맨위로가기

도에이 지하철 오에도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에이 지하철 오에도선은 도쿄 도 교통국이 운영하는 지하철 노선으로, 1991년 히카리가오카-네리마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2000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이 노선은 6자 형태의 독특한 운행 방식으로, 히카리가오카역에서 도초마에역을 거쳐 롯폰기, 료고쿠, 이다바시를 지나 다시 도초마에역으로 돌아오는 순환 운행을 기본으로 한다. 오에도선은 리니어 모터 방식을 채택하여 급커브와 급경사에 강하며, 2013년 전 역사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 그러나 좁은 터널 구조로 인해 소음 문제가 심각하며, 2023년부터는 출근 시간대에 여성 전용칸을 운영하고 있다. 현재 히카리가오카역에서 사이타마현 방면으로의 연장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에이 지하철의 철도 노선 - 도에이 지하철 신주쿠선
    도에이 지하철 신주쿠선은 도쿄 신주쿠역에서 지바 모토야와타역을 잇는 도쿄도 교통국의 지하철 노선으로, 게이오 전철과 직결 운행하며 급행 및 각역정차 열차가 운행되고 21개 역 모두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도에이 지하철의 철도 노선 - 도에이 지하철 미타선
    도에이 지하철 미타선은 도쿄도 교통국이 운영하며 메구로역에서 니시타카시마다이라역까지 운행하고, 도큐 메구로선, 소테츠선과 직결 운행을 통해 도쿄 도심과 가나가와현을 연결하며, 도쿄 메트로 난보쿠선과 일부 구간을 공유하는 지하철 노선이다.
  • 1991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도쿄 메트로 난보쿠선
    도쿄 메트로 난보쿠선은 메구로역에서 아카바네이와부치역을 잇는 도쿄 메트로 운영 노선으로, 직결 운행과 첨단 기술 적용, 그리고 시나가와역 연장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 1991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남회선
    남회선은 핑둥과 타이둥을 잇는 대만 철도 노선으로, 일본 통치 시대에 계획되어 1992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2020년에 전 노선 전철화가 완료되었다.
  • 철도 순환선 -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 지하철 2호선은 1977년에 착공하여 1984년 환상선이 완성되었으며, 신정지선과 성수지선을 포함하여 순환 운행하고 서울의 주요 대중교통 수단으로 이용된다.
  • 철도 순환선 - 야마노테선
    야마노테선은 도쿄 도심의 주요 역들을 연결하는 34.5km 길이의 순환선으로, JR 동일본이 운영하며 높은 이용률과 혼잡률 해소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도에이 지하철 오에도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도에이 오에도 선 노선도
기본 정보
노선 이름도에이 오에도 선
원어 이름大江戸線
원어 이름 (언어)ja
다른 이름E
노선 번호12
노선 색상루비 (#b6007a)
마젠타 (#8B008B)
도에이 오에도 선 심볼
도에이 오에도 선 심볼
오에도 선의 도에이 12-600 시리즈 열차
오에도 선의 도에이 12-600 시리즈 열차
종류급행 철도
체계도쿄 지하철
상태운영 중
위치도쿄
기점도초마에 역
종점히카리가오카 역
역 수38
일일 승객 수933,621 (2016년)
개통1991년 12월 10일 (첫 구간)
2000년 12월 12일 (전체 노선)
소유주도쿄도 교통국
운영자도쿄도 교통국
차량 기지기바
사용 차량도에이 12-000, 도에이 12-600 8량 편성
노선 길이40.7 km
선로 수복선
최대 경사5.0%
최소 곡선 반지름100 m
신호 방식차내 신호 폐색식, 폐쇄 블록
열차 보호신 CS-ATC, ATO
궤간표준궤 (1,435 mm) 와 선형 유도 모터 사이
전철화직류 1,500 V (가공 전선)
최고 속도70 km/h
수송 실적
2012년1,773,927 천인킬로미터
노선 기호
노선 기호E
노선 번호12호선

2. 역사


  • 1986년 6월 1일: 히카리가오카 역 - 네리마 역 구간 착공.
  • 1991년 12월 10일: 네리마 역 - 히카리가오카 역 구간 개통.[56][57]
  • 1997년 12월 19일: 신주쿠역 - 네리마 역 구간 개통.[57][61]
  • 2000년 4월 20일: 국립경기장역 - 신주쿠역 구간 개통, 노선명을 '12호선 오에도 선'으로 변경.[57]
  • 2000년 12월 12일: 전 구간 개통.[57][64] 이 날짜는 '12'라는 숫자가 세 번 들어간 날(헤이세이 12년 12월 12일)이었다.
  • 2002년 11월 2일: 시오도메 역 영업 개시.[57][65][66][67]
  • 도쿄 도 교통국 소속 모든 노선의 각 역에는 방문 기념 스탬프가 비치되어 있다.

2. 1. 건설 배경 및 계획

리니어 모터 추진 방식을 사용하는 최초의 도쿄 지하철 노선이자, 오사카 메트로 나가호리 쓰루미료쿠치선에 이어 일본에서 두 번째로 건설된 노선이다. 이 기술은 더 작은 차량과 터널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었지만, 다른 철도 및 지하철 노선과의 호환성이 없어 직통 운행이 불가능하다. 오에도선은 40년 이상 도쿄에서 최초의 자체 폐쇄형 지하철 노선이었고, 지금까지 도에이가 운행하는 유일한 노선이다. 다만, 아사쿠사선과 5000형 기관차만 사용할 수 있는 궤도 연결은 있다.[2]

건설에는 거의 10년이 걸렸고, 최종 건설 비용은 1조 4000억 엔 이상으로 추정되어 당시 건설된 지하철 노선 중 가장 비쌌다.[2]

원래 승객 수는 하루 100만 명으로 추정되었으나, 개통 전 82만 명으로 줄었다. 2006년 말에는 하루 평균 72만 명의 승객이 이용했다.[4] 도쿄 도 교통국에 따르면, 2009년 6월 현재 오에도선은 도쿄에서 네 번째로 혼잡한 지하철 노선이었으며, 몬젠나카초에서 쓰키시마역 사이의 최고 혼잡도는 178%였다.[5]

현재 서쪽 종점인 히카리가오카역에서 오이즈미가쿠엔초까지 서쪽으로 연장하는 계획이 있으며, 세이부 이케부쿠로선오이즈미가쿠엔역에서 1.5km 북쪽에 위치한 새로운 종점을 거쳐 이후 무사시노선히가시토코로자와역으로 연결될 예정이다. 오이즈미가쿠엔초까지의 첫 번째 구간 건설은 잠정적으로 2015년 이전에 예정되어 있었으며, 도시다역, 오이즈미초역, 오이즈미가쿠엔초역이라는 임시 이름의 3개의 새로운 역 건설이 포함될 예정이었다.[6] 2020년 하계 올림픽이 도쿄로 유치된 후, 사격장이 위치할 니자까지 노선을 연장하기 위해 제안된 연장에 2.7km를 더 추가하는 것에 대한 추측이 있었으나, 이 문제에 대한 결정은 나오지 않았다.[7]

오에도선은 1968년 신주쿠에서 시작하여 도쿄 북부와 동부를 거쳐 아자부까지 이어지는 미완성 루프선으로 처음 제안되었다. 1972년에 신주쿠로 돌아오는 루프를 완성하고, 히카리가오카까지 연장하며, 북쪽에서 메지로까지 지선을 추가하는 것으로 수정되었다. 도쿄 도청은 이 노선의 건설을 담당했으며, 초기에는 '''도에이 지하철 12호선'''이라고 불렸다.

1991년 12월 10일, 히카리가오카에서 네리마까지의 첫 번째 구간이 운행을 시작했다. 1997년 12월 19일, 네리마에서 신주쿠까지 노선이 연장되었고, 2000년 4월 20일에는 신주쿠에서 국립 경기장까지 연장되었다.

이 연장으로 이시하라 신타로 도쿄 도지사는 이 노선의 이름을 "도에이 오에도선"으로 명명했는데, 여기서 '오에도'는 문자 그대로 "거대한 에도"를 의미하며, 도쿄의 옛 이름을 가리킨다. 이전 노선들과 마찬가지로, 대중 투표를 통해 이름을 선택했지만, 이시하라 도지사는 처음에는 완전한 루프를 형성하지 않을 것이고, 그렇게 부르면 야마노테선오사카 순환선과의 혼동을 야기할 수 있다는 이유로, 선택된 이름인 東京環状線|도쿄 환상선일본어을 거부했다.

전 노선은 2000년 12월 12일에 운행을 시작했다. 유리카모메 노선과 연결하기 위해 2002년 11월 2일에 시오도메역이 추가로 개통되었다.

이 노선은 1962년 6월 8일 도시교통심의회 답신 제6호에서 답신된 '''제9호선'''[23] (아시카공원 방면 - 호난초 - 신주쿠 - 가스가마치 - 구라야바시 - 후카가와 및 쓰키시마의 각 방면을 거쳐 아자부 방면)에 유래한다.[24][25]

1968년 4월 10일 답신 제10호에서 제9호선은 '''제12호선'''(신주쿠 방면에서 가스가마치, 우에노, 후카가와 및 쓰키시마의 각 방면을 거쳐 아자부 방면)으로 변경되었고[29][30][24],「'''또한, 본 노선은 환상선으로 할 수도 있으므로, 노선의 일부에 대해서는 장래 재검토하는 것으로 한다'''」라고 했다.[29]

1972년 3월 답신 제15호에서는 신주쿠 방면 - 아자부 방면을 환상선으로 하고, 신주쿠에서 다시 신주쿠로 돌아와, 다카마쓰 (네리마구) 간 및 도쿄 8호선에서 삭제한 고코쿠지 - 메지로 - 니시오치아이 간을 더하는 형태로 변경되었다.[24] 이 중, 방사부에 해당하는 히카리가오카역 - 네리마역 - 도초마에역 - 신주쿠역 간이 「'''도영 12호선'''」으로 개업하고, 후에 환상부 연장 개업 시에 「오에도선」으로 개칭했다.

건설비를 삭감하기 위해, 오사카 시영 지하철 (현재의 Osaka Metro) 나가호리 쓰루미료쿠치선에 이어 일본에서 2번째로 철륜식 리니어 모터미니 지하철가 채용되었다. 도영 지하철 노선 중에서는 유일하게 타사 노선과의 직결 운행을 하지 않는다.

1974년 8월에 전 노선 (히카리가오카역 - 도초마에역 구간 전 노선 · 방사부 및 환상부)의 지방 철도 부설 면허를 취득하여, 1985년 전 노선 개업을 목표로 건설 계획을 추진하고 있었다.[36] 이 시점에서는 신주쿠선과 같은 20m 차량 10량 편성 (궤간은 1,435mm)으로 건설할 계획이었다.[36] 건설 비용은 6628억 8100만 엔으로 추산되었다.[36]

그러나, 1973년 오일 쇼크로 인한 사회 정세의 급변, 그리고 교통국의 재정 악화로 인해, 1976년 중반부터 건설 계획은 일시 동결되었다.[24][37]

그 후, 1978년 5월에 도쿄도 지사의 자문 기관인 도쿄도 교통 문제 대책 회의에서[37], 지하철 12호선을 "다시 교통 수요를 예측하고, 노선 입지, 교통 기관의 구조, 경제성, 보조 제도 등을 검토한 후에 건설해야 한다"고 제안했다.[37]

1982년 12월에 수립한 '도쿄도 장기 계획'의 10개년 계획에서 지하철 12호선을 건설하기로 결정했다.[37] 이 시점에서 수요 및 건설 비용의 재검토를 실시하여, 소형 지하철 차량 (16.5m 차량 · 8량 편성)에 의한 터널 단면 축소[37], 역 설비를 축소하는 방침으로 결정했다.[37]

계획 당시의 루트는 현행 루트와 일부 다르며, 네리마 부근, 신주쿠 부근, 롯폰기 부근, 시오도메 부근, 이이다바시 부근에서 큰 재검토가 이루어졌다.[38] 크게 변경된 것은, 나카노사카우에 - 도초마에 (가칭: 니시신주쿠역) - 국립경기장 간으로, 니시신주쿠 5초메역을 경유하여 4호 가로 (중앙 거리) 지하를 통과하는 루트로 변경했다.[39]

다이몬 - 가치도키 간은 시오도메역, 쓰키지 시장역을 경유하는 루트로, 가스가 - 우시고메카구라자카 간은 이이다바시를 경유하는 루트로 변경했다.[40]

오에도선 건설 공사 착수 시점의 자료에 따르면[41], 당초 계획에 따른 방사부의 건설 비용은 2640억 엔, 환상부는 5850억 엔, 합계 8490억 엔으로 되어 있었다.[41] 히카리가오카 - 네리마 간의 개업은 1990년도 말 (1991년 3월)[41], 네리마 - 신주쿠로의 연장 개업은 1994년도 말 (1995년 3월), 환상부는 1996년도 말 (1997년 3월) 개업 예정이었다.[41][42] 실제로는, 어느 구간도 용지 매입의 난항으로 인해 건설 공사에 지연이 발생하여[43], 건설 비용은 계획의 약 1.5배로 불어났다.

2. 2. 건설 과정

오에도선은 리니어 모터 추진 방식을 사용하는 도쿄 지하철 노선이며(일본에서는 오사카 메트로 나가호리 쓰루미료쿠치선에 이어 두 번째), 더 작은 차량과 터널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 기술은 다른 철도 및 지하철 노선과 호환되지 않아 오에도선 열차가 다른 노선으로 직통 운행을 할 수 없다. 비록 회전 모터 추진 차량이 기술적으로 오에도선에서 운행될 수 있지만, 더 작은 터널과 적재 한계로 인해 운행은 불가능하며, 오에도선은 40년 이상 도쿄에서 최초의 자체 폐쇄형 지하철 노선이 되었다. 다만, 아사쿠사선과 5000형 기관차만 사용할 수 있는 궤도 연결이 있다.[2]

이 노선은 도쿄 중심부를 지나 지하 깊숙이(지하 48m 지점)에 있으며, 스미다강을 세 번 횡단하는 지하 통로가 있다. 원래 6826억 엔과 6년으로 예산이 책정되었지만, 건설은 거의 10년이 걸렸고, 최종 건설 비용은 공식적인 9886억 엔에서 1조 4000억 엔 이상으로 추정되어, 당시 건설된 지하철 노선 중 가장 비싼 노선이 되었다.[2]

원래 승객 수는 하루 100만 명으로 추정되었으나, 개통 전 82만 명으로 줄었다. 2006년 말, 이 노선의 하루 평균 승객 수는 72만 명이었다.[4] 그러나 롯폰기, 시오도메 등 주요 역 주변의 새로운 상업 및 주거 개발에 따라 개통 이후 매년 승객 수가 약 5%씩 증가했다. 도쿄 도 교통국에 따르면, 2009년 6월 현재 오에도선은 도쿄에서 네 번째로 혼잡한 지하철 노선이었으며, 몬젠나카초에서 쓰키시마역 사이의 최고 혼잡도는 178%였다.[5]

현재 서쪽 종점인 히카리가오카역에서 오이즈미가쿠엔초까지 서쪽으로 연장하는 계획이 있으며, 세이부 이케부쿠로선의 오이즈미가쿠엔역에서 1.5km 북쪽에 위치한 새로운 종점을 거쳐 이후 무사시노선의 히가시토코로자와역으로 연결될 예정이다. 오이즈미가쿠엔초까지의 첫 번째 구간 건설은 잠정적으로 2015년 이전에 예정되어 있으며, 도시다역, 오이즈미초역, 오이즈미가쿠엔초역이라는 임시 이름의 3개의 새로운 역 건설이 포함될 예정이다.[6] 2020년 하계 올림픽이 도쿄로 유치된 후, 사격장이 위치할 니자까지 노선을 연장하기 위해 제안된 연장에 2.7km를 더 추가하는 것에 대한 추측이 있었다.

오에도선은 1968년 신주쿠에서 시작하여 도쿄 북부와 동부를 거쳐 아자부까지 이어지는 미완성 루프선으로 처음 제안되었다. 이 계획은 1972년에 신주쿠로 돌아오는 루프를 완성하고, 히카리가오카까지 연장하며, 북쪽에서 메지로까지 지선을 추가하는 것으로 수정되었다. 도쿄 도청은 이 노선의 건설을 담당했으며, 초기에는 도에이 지하철 12호선|Toei Chikatetsu Jūnigō-sen일본어이라고 불렸다.

1991년 12월 10일, 히카리가오카에서 네리마까지의 첫 번째 구간이 운행을 시작했다. 1997년 12월 19일, 네리마에서 신주쿠까지 노선이 연장되었고, 2000년 4월 20일에는 신주쿠에서 국립 경기장까지 연장되었다.

이 연장으로 이시하라 신타로 도쿄 도지사는 이 노선의 이름을 "도에이 오에도선"으로 명명했는데, 여기서 '오에도'는 문자 그대로 "거대한 에도"를 의미하며, 도쿄의 옛 이름을 가리킨다. 이전 노선들과 마찬가지로, 대중 투표를 통해 이름을 선택했지만, 이시하라 도지사는 처음에는 완전한 루프를 형성하지 않을 것이고, 그렇게 부르면 야마노테선오사카 순환선과의 혼동을 야기할 수 있다는 이유로, 선택된 이름인 도쿄 환상선|Tōkyō Kanjō-sen일본어을 거부했다.

전 노선은 2000년 12월 12일에 운행을 시작했다. 유리카모메 노선과 연결하기 위해 2002년 11월 2일에 시오도메역이 추가로 개통되었다. 시오도메역이 추가된 후, 열차 내 자동 안내 방송은 각 역 근처의 상점 및 시설을 홍보하는 것으로 변경되었으며, 이는 도쿄에서는 처음 있는 일이었다.

이 노선은 1962년 (쇼와 37년) 6월 8일 도시교통심의회 답신 제6호에서 답신된 '''제9호선'''[23]「'''아시카공원 방면 - 호난초 - 신주쿠 - 가스가마치 - 구라야바시 - 후카가와 및 쓰키시마의 각 방면을 거쳐 아자부 방면으로 이어지는 노선'''」에 유래한다.[24][25] 단, 같은 해 8월 29일 도쿄 도시계획 고속철도망의 개정(도시계획)에서는 선형, 경과지에 대해 계속 검토하는 것으로 했다.[25]

이 노선 루트는 신주쿠역에서 호난 거리 (도도 14호선) 지하를 서쪽으로 진행하여 호난초를 지나 게이오 이노카시라선니시에이후쿠역에서 교차하여 아시카공원에 이르는 루트였다.[26][27] 그러나, 이 노선 루트는 게이오 버스의 중요한 영업 구역을 지나는 것으로, 지하철이 개업하면 버스 사업의 경영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게이오가 반대 의견을 제시했다.[26] 또한, 이 계획에서는 신주쿠역은 북쪽의 신주쿠 오도리 아래 지하를 지나는 것으로, 기존의 신주쿠 터미널에서 크게 벗어나는 것으로, 문제점이 지적되었다.[26][27] 게이오는 아시카공원 - 신주쿠 간은 게이오선복복선화시키고, 제9호선과 직결 운행하여 도심으로 진입하고, 제9호선은 신주쿠역 남쪽 출구에서 고슈 가도 (국도 20호선)의 지하를 지나는 안(현행 신선 신주쿠 경유)을 주장했다.[26][27]

이를 받아 1964년 (쇼와 39년) 3월 27일, 도시교통심의회는 게이오가 주장한 안을 채택하여, 제9호선 아시카공원 - 신주쿠 간의 경유지는 게이오선을 복복선화시켜 사쿠라조스이, 메이다이마에, 하타가야를 경유하는 것으로 변경했다.[28][26]

1968년 (쇼와 43년) 4월 10일 답신 제10호에서, 그때까지의 제9호선은 '''제12호선'''으로 변경되어[29][30],「'''신주쿠 방면에서 가스가마치, 우에노, 후카가와 및 쓰키시마의 각 방면을 거쳐 아자부 방면으로 이어지는 노선'''」으로 제시되었고[24],「'''또한, 본 노선은 환상선으로 할 수도 있으므로, 노선의 일부에 대해서는 장래 재검토하는 것으로 한다'''」라고 했다.[29] 이 제10호 답신에서는, 게이오선 아시카공원 방면 - 신주쿠 - 스미요시초에 이르는 도시계획 제10호선 (도영 신주쿠선)이 새롭게 제정되었다.[29][27] 제9호선 → 제12호선의 타사 상호 운행 계획은 없어졌다.[30]

1972년 (쇼와 47년) 3월 답신 제15호에서는 신주쿠 방면 - 아자부 방면을 환상선으로 하고, 신주쿠에서 신주쿠로 돌아와, 더욱이 신주쿠 - 다카마쓰 (네리마구) 간 및 도쿄 8호선에서 삭제한 고코쿠지 - 메지로 - 니시오치아이 간을 더하는 형태로 변경되었다.[24] 또한, 동시에 다카마쓰초(현: 히카리가오카 파크 타운 부근)에서 오이즈미 방면으로의 연장도 검토되고 있다.[24] 이 중, 방사부에 해당하는 히카리가오카역 - 네리마역 - 도초마에역 - 신주쿠역 간이 「'''도영 12호선'''」으로 개업하고, 후에 환상부 연장 개업 시에 「오에도선」으로 개칭했다. 또한, 지선에 해당하는 니시오치아이 - 고코쿠지 간은 면허 신청을 하지 않는 것으로 하여[36], 1985년 (쇼와 60년) 운수정책심의회 답신 제7호에서는 이 구간이 삭제되었다.

건설비를 삭감하기 위해, 오사카 시영 지하철 (현재의 Osaka Metro) 나가호리 쓰루미료쿠치선에 이어 일본에서 2번째로 철륜식 리니어 모터미니 지하철가 채용되었다. 도영 지하철의 노선 중에서는 유일하게, 타사 노선과의 직결 운행을 하지 않는다. 오에도선의 영업선은 전선 지하이지만, 차량은 검사를 하고 있는 마고메 차량 검수장에서 지상에 모습을 드러낸다. 아사쿠사선도 자국 영업선은 전선 지하에 있지만, 차량은 마고메 차량 검수장이나 직결처의 타사선에서 지상에 모습을 드러낸다. 그 때문에, 영업 운행에서 차량이 지상에 나오지 않는 노선은, 도영 지하철에서는 오에도선뿐이다.

도영 지하철에서 처음으로 원맨 운전을 실시했다. 단일의 지하철 노선으로서는 일본 최장 (40.7 km)이며[31], 전선이 터널 (지하 구간) 구조이기 때문에, 연속된 지하철 터널로도 일본 최장이다.

후발로 건설된 지하철 노선이기 때문에, 기존의 노선보다 심부를 지나고, 전반적으로 역 홈이 상당히 깊은 곳에 설치되어 있다. 특히 2층 구조의 롯폰기역은 하부의 내선 1번선 홈이 지하 42 m로, 지하철역으로서는 일본에서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한다. 또한, 나카이역 북쪽 - 니시신주쿠고초메역 서쪽에 걸쳐 있는 구간은 병행하는 수도고속도로 중앙 환상선야마노테 터널의 바로 아래를 통과하고 있어, 나카이역·히가시나카노역·나카노사카우에역의 역 구조는 야마노테 터널과 일체화된 구조가 되어 있다.

일본의 지하철에서는 최심부를 주행하고 있으며, 내진성이 풍부하고, 재해 시에는 구조 작업의 대동맥으로 이용될 예정이다. 그 때문에, 비상용 비축 창고가 아자부주반역기요스미시라카와역에 설치되어 있다.[32]

1974년 (쇼와 49년) 8월에 전 노선 (현재의 히카리가오카역 - 도초마에역 구간 전 노선 · 방사부 및 환상부)의 지방 철도 부설 면허를 취득하여, 1985년 (쇼와 60년) 전 노선 개업을 목표로 건설 계획을 추진하고 있었다.[36] 이 시점에서는 신주쿠선과 같은 20m 차량 10량 편성 (궤간은 1,435mm)으로 건설할 계획이었다.[36] 건설 비용은 6628.81억으로 추산되었다.[36]

그러나, 1973년 (쇼와 48년) 오일 쇼크로 인한 사회 정세의 급변, 그리고 교통국의 재정 악화로 인해, 1976년 (쇼와 51년) 중반부터 건설 계획은 일시 동결되었다.[24][37] 단, 1975년 (쇼와 50년) 12월에 대형 규격 (20m 차량 · 10량 편성)으로 네리마 - 히카리가오카 구간의 공사 시행 인가를 운수성에 신청했지만[36], 사업 동결로 인해 미심사 상태로 자동 소멸되었다.[36]

그 후, 1978년 (쇼와 53년) 5월에 도쿄도 지사의 자문 기관인 도쿄도 교통 문제 대책 회의에서[37], 지하철 12호선을 "다시 교통 수요를 예측하고, 노선 입지, 교통 기관의 구조, 경제성, 보조 제도 등을 검토한 후에 건설해야 한다"고 제안했다.[37]

그래트 하이츠 부지 (히카리가오카 지구)에 대규모 주택 단지 건설을 비롯한 재개발을 실시하기로 결정되어, 교통망 정비의 필요성이 높아졌다.[37] 그 때문에, 도쿄도가 1982년 (쇼와 57년) 12월에 수립한 '도쿄도 장기 계획'의 10개년 계획에서 지하철 12호선을 건설하기로 결정했다.[37] 이 시점에서 수요 및 건설 비용의 재검토를 실시하여, 소형 지하철 차량 (16.5m 차량 · 8량 편성)에 의한 터널 단면 축소[37], 역 설비를 축소하는 방침으로 결정했다.[37] 이는 오에도선 착공 전에 동선 외에 지하철의 연장 개업이 잇따랐던 것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계획 당시의 루트는 현행 루트와 일부 다르며, 네리마 부근, 신주쿠 부근, 롯폰기 부근, 시오도메 부근, 이이다바시 부근에서 큰 재검토가 이루어졌다.[38] 크게 변경된 것은, 나카노사카우에 - 도초마에 (가칭: 니시신주쿠역) - 국립경기장 간으로, 도초마에역은 9호 가로 (히가시 거리)의 게이오 플라자 호텔 앞에 상하 2층 구조의 T자형 배치로 계획했지만, 니시신주쿠 5초메역을 경유하여 4호 가로 (중앙 거리) 지하를 통과하는 루트로 변경했다.[39]

다이몬 - 가치도키 간은 다케시바 부두 - 도요미초를 횡단하는 루트에서[39] 시오도메역, 쓰키지 시장역을 경유하는 루트로, 가스가 - 우시고메카구라자카 간은 직행하는 루트에서[39] 이이다바시를 경유하는 루트로 변경했다.[40] 루트 재검토는 대형차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지고, 더욱이 환승역이나 공공 시설 등과의 접근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편리성 향상과 건설비 절감의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38]

환상 루트의 건설도 검토되었지만,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신주쿠역신주쿠니시구치역을 연결하는 새로운 선로의 건설과, 두 역 중 한 역을 2면화하는 공사를 해야만 했다. 그러나, 두 역의 지상부는 도로 폭이 좁고 빌딩이 밀집해 있어, 2면 홈 설치가 어렵고, 난공사로 인한 비용과 기간의 팽대가 우려되었으며, 더욱이 신주쿠역 전후의 환상 방향의 여객 유동은 적을 것으로 예상되어, 비용 대비 효과를 검증한 결과, 6자형 루트가 되었다.

오에도선 건설 공사 착수 시점의 자료에 따르면[41], 당초 계획에 따른 방사부의 건설 비용은 2640억, 환상부는 5850억, 합계 8490억으로 되어 있었다.[41] 히카리가오카 - 네리마 간의 개업은 1990년도 말 (1991년 3월)[41], 네리마 - 신주쿠로의 연장 개업은 1994년도 말 (1995년 3월), 환상부는 1996년도 말 (1997년 3월) 개업 예정이었다.[41][42] 실제로는, 어느 구간도 용지 매입의 난항으로 인해 건설 공사에 지연이 발생하여[43], 건설 비용은 계획의 약 1.5배로 불어났다.

환상부 구간은 조기 건설, 전선 동시 개업을 할 필요성이 있었기 때문에[44], 자금 면 등에서 유연한 대응이 가능한 제3섹터 방식으로 건설하기로 했다.[44] 그리고, 1988년(쇼와 63년)7월에 도쿄도 지하철 건설이 설립되어, 제3종 철도 사업자로서 환상부의 건설을 실시했다.[44] 동사가 건설·제조한 철도 시설·차량은 도쿄도 교통국이 장기 분할 지불로 양수하고, 방사부와 일체로 경영하기로 했다.[44]

국립경기장 - 신주쿠 간은 환상부이지만, 개업은 환상부의 다른 구간보다 빠르다. 이것은 국립경기장역에 비상 건넘선이 있어 회차 운전이 가능하다는 점[42], 승객의 편의성 향상 등을 고려하여, 도쿄도 교통국이 도쿄도 지하철 건설로부터 선행하여 매입하여 개업했기 때문이다.[42]

환상부의 역 건설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약 60대・에스컬레이터 약 250기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건설비 절감을 위해 복수 역을 묶어 일괄 발주함과 동시에, 일본 국외의 기업을 참여하게 되었다.[45] 그 결과, 엘리베이터는 코네의 모노스페이스형(머신룸레스)을 채용하고(시공은 도시바가 담당), 에스컬레이터는 신드러(오스트리아)(요요기 - 시오도메)・미쓰비시 전기(쓰키지 시장 - 구라마에)・히타치 제작소(신오카치마치 - 신주쿠 니시구치)의 3사에 발주했다.[45]

2000년(헤이세이 12년)11월 29일에는 환상부의 철도 시설이 완성[42], 다음 11월 30일에 도쿄도 지하철 건설에서 도쿄도 교통국에 철도 시설을 양도했다.[42]

2. 3. 연혁


  • 1986년 6월 1일: 히카리가오카 역 - 네리마 역 구간 착공.
  • 1991년 12월 10일: 네리마 역 - 히카리가오카 역 구간 개통.[56][57]
  • 1997년 12월 19일: 신주쿠역 - 네리마 역 구간 개통.[57][61]
  • 2000년 4월 20일: 국립경기장역 - 신주쿠역 구간 개통, 노선명을 '12호선 오에도 선'으로 변경.[57]
  • 2000년 12월 12일: 전 구간 개통.[57][64]
  • 2002년 11월 2일: 시오도메 역 영업 개시.[57][65][66][67]
  • 2006년 4월 1일: 아사쿠사선과 연결되는 시오도메 연락선 사용 개시, E5000형 운용 개시.[57]
  • 2007년 10월 23일: 나카이역 - 네리마역 구간 가선 정전으로 전 노선 운행 중단, 오전 11시 전 구간 복구.[69]
  • 2008년 4월 1일: 도쿄도 지하철 건설에서 도쿄도 교통국으로 환상부(신주쿠역 - 기요스미시라카와역 - 도청앞역) 양도 완료, 전 노선 도쿄도 교통국 관할.
  • 2011년 3월 11일: 동일본 대지진으로 일시 운행 중단, 20시 40분 전 노선 운행 재개.
  • 2011년 4월 23일: 기요스미시라카와역에서 스크린도어 운용 개시.[71]
  • 2013년 4월 27일: 니시신주쿠고초메역에서 스크린도어 운용을 개시, 전 역 스크린도어 설치 완료.[72]
  • 2019년 7월 31일: 『기관차 토마스』 디자인의 "육아 응원 공간" 부착 차량 운행 개시.[74]
  • 2023년 1월 18일: 평일 아침 출퇴근 시간 여성 전용 차량 도입.[75]
  • 2024년 12월 21일: 일부 역에서 신용카드 등의 터치 결제 승차 서비스 실증 실험 개시.[76]


전 구간 개통일은 '12'라는 숫자가 들어간 날(헤이세이 12년(2000년) 12월 12일)이었다.

오에도 선을 포함하여 도쿄 도 교통국 소속 모든 노선의 각 역에는 방문 기념 스탬프가 비치되어 있다.

오에도선은 리니어 모터 추진 방식을 사용하는 최초의 도쿄 지하철 노선이며(일본에서 오사카 메트로 나가호리 쓰루미료쿠치선에 이어 두 번째), 더 작은 차량과 터널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 기술은 다른 철도 및 지하철 노선과 호환되지 않아 오에도선 열차가 다른 노선으로 직통 운행을 할 수 없다. 오에도선은 도쿄에서 40년 이상 만에 처음으로 자체 폐쇄형 지하철 노선이 되었고, 도에이가 운행하는 유일한 노선이 되었다. 다만, 아사쿠사선과 5000형 기관차만 사용할 수 있는 궤도 연결이 있다.

이 노선은 도쿄 중심부를 지나 지하 깊숙이(지하 48m 지점)에 있으며, 스미다강을 세 번 횡단하는 지하 통로가 있다. 건설에는 거의 10년이 걸렸고, 최종 건설 비용은 1조 4000억 엔 이상으로 추정되어 당시 건설된 지하철 노선 중 가장 비싼 노선이 되었다.[2]

2020년 하계 올림픽이 도쿄로 유치된 후, 사격장이 위치할 니자까지 노선을 연장하는 것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7]

3. 운행 형태

오에도선은 리니어 모터 추진 방식을 사용하는 도쿄 지하철 노선으로, 더 작은 차량과 터널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2] 그러나 이 기술은 다른 철도 및 지하철 노선과 호환되지 않아 오에도선 열차가 다른 노선으로 직통 운행을 할 수 없다. 오에도선은 40년 이상 도쿄에서 최초의 자체 폐쇄형 지하철 노선이었고, 도에이가 운행하는 유일한 노선이다.[2]

노선 형태는 숫자 "6"을 옆으로 눕힌 모양과 같다. 순환 운전을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일반적인 복선 노선과 같은 운행 형태를 보인다. 도초마에역 - 이이다바시역 - 료고쿠역 - 다이몬역 - 롯폰기역 - 도초마에역 - 히카리가오카역 구간을 왕복 운전(6자형 운전)한다.[8] 운전 방향은 "내선순환", "외선순환"이라고 부르지만, 각 역에서는 방면으로 안내한다. 정식으로는 "내선순환"을 A선, "외선순환"을 B선이라고 부른다. 도영 지하철에서 A선·B선 호칭을 사용하는 것은 오에도선뿐이다.

차량 측면 상부의 행선지 표시(2008년 11월 22일 촬영)


각 차량의 LED식 전면·측면 행선지 표시는 주행 구간에 따라 변화한다.[8]

아침, 저녁 출퇴근 시간에는 최단 3분 간격으로 운전되며,

  • 도초마에역 - 이이다바시역 - 료고쿠역 - 기요스미시라카와역 구간
  • 기요스미시라카와역 - 다이몬역 - 롯폰기역 - 도초마에역 - 히카리가오카역 구간

의 구간 운전 열차가 많이 설정되어 있다. 이 열차들은 대부분 기요스미시라카와역 동쪽에 있는 차량기지의 입출고 때문에 설정되었다. 기요스미시라카와역 외에도 시오도메역신오카치마치역에는 도초마에역 방면으로 회차가 가능한 인상선이 있다.[77] 이른 아침·야간에는,

  • 도초마에역 발 롯폰기·다이몬·료고쿠·이이다바시역 경유 도초마에역행(아침만)
  • 시오도메역 - 다이몬역 - 롯폰기역 - 도초마에역 - 히카리가오카역 구간
  • 도초마에역 - 이이다바시역 - 신오카치마치역 구간
  • 히카리가오카역 발 도초마에역행(심야만)

과 같은 구간 운전 열차가 소수 설정되어 있다.[77]

낮에는 전 구간 왕복 운전이 기본이며, 2012년 3월 17일 다이어 개정 이후 6분 간격으로 운전되고 있다. 다른 도영 지하철 노선과 마찬가지로, 불꽃놀이 대회나 국립 경기장에서의 축구 경기나 콘서트 등 대규모 이벤트가 열릴 때 임시 열차가 설정되는 경우가 있다.[8]

개업 당시부터 전 노선에서 원맨 운전을 실시하고 있다. 보안 장치에 ATC 장치를, 열차의 자동 운전 기능을 갖는 ATO 장치를 채용하고 있다.[78]

스크린도어는 2011년 4월 23일 기요스미시라카와역에서 사용을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정비되었으며,[71] 2013년 4월 27일 니시신주쿠5초메역에서 사용을 시작하면서 오에도선 전역에서 스크린도어 운용이 시작되었다.[72]

4. 차량


  • 12-000형 8량 편성 전동차
  • 12-600형 8량 편성 전동차


도에이 지하철 12-600형 전동차


오에도선(大江戸線)은 리니어 모터 추진 방식을 사용하는 최초의 도쿄 지하철 노선이다.( 오사카 메트로 나가호리 쓰루미료쿠치선에 이어 일본에서 두 번째) 이 방식은 더 작은 차량과 터널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이 기술은 다른 철도 및 지하철 노선과 호환되지 않아, 오에도선 열차가 다른 노선으로 직통 운행을 할 수 없다. 오에도선은 40년 이상 도쿄에서 최초의 자체 폐쇄형 지하철 노선이며, 도에이가 운행하는 유일한 노선이다. 다만, 아사쿠사선과 5000형 기관차만 사용할 수 있는 궤도 연결이 있다.

오에도선 열차는 기요스미시라카와역 남동쪽에 위치한 키바 공원 지하에 있는 키바 차량사업소에서 유지보수된다. 2000년 오에도선 순환선 완공 전에는 히카리가오카역 인근의 차량사업소에서 정비가 이루어졌다.

오에도선 열차의 주요 개량 작업은 도에이 아사쿠사선의 니시마고메역 남쪽에 위치한 마고메 차량사업소에서 수행된다. 오에도선 열차는 시오도메역 인근 아사쿠사선과 연결되는 터널을 이용하여 이 시설로 접근한다. 인프라와 기술의 차이로 인해 양 노선의 열차가 서로 운행할 수 없으므로, 지하철이 운행하지 않는 심야 시간에 특별한 도에이 E5000형 기관차가 이러한 연결 운행을 한다.

1986년 4월, 12호선용 12-000형 시제차가 제작되어, 아사쿠사선 마고메 검차장 (당시)에서 소형 지하철로서 새로운 기술의 시험을 포함한 주행 시험을 실시했다.[46] 이 차량은 도영 지하철에서 처음으로 VVVF 인버터 제어 방식을 채택했으며, 주전동기는 소형 유도 전동기를 사용했다.[46]

1988년에 12-000형 시제차를 리니어 모터 차량으로 개조하여, 같은 해 4월 - 6월, 9월 - 11월에 마고메 검차장에서 리니어 모터 방식의 주행 시험을 실시했다.[48]

이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1988년 12월 21일에 지하철 12호선에 리니어 모터 구동 방식을 채용하기로 결정했다.[47][49]

5. 역 목록

거리누적
거리소재지E-28도초마에
(도쿄도청)都庁前|도초마에
(도쿄도초)일본어-- 롯폰기 방면 · 히카리가오카 방면 (E-28)0.0도쿄도신주쿠구E-01신주쿠니시구치新宿西口|신주쿠니시구치일본어---- 마루노우치 선 (신주쿠역, M-08)
-- 야마노테 선 (신주쿠역, JY 17)
-- 사이쿄 선 (신주쿠역, JA 11)
-- 쇼난 신주쿠 라인 (신주쿠역, JS 20)
-- 주오 쾌속선 (신주쿠역, JC 05)
-- 주오·소부 완행선 (신주쿠역, JB 10)
-- 게이오 전철 게이오 선 · 신선 (신주쿠역, KO 01)
-- 오다큐 전철 오다와라 선 (신주쿠역, OH 01)

세이부 철도 신주쿠 선 (세이부 신주쿠 역, SS 01)0.80.8E-02히가시신주쿠東新宿|히가시신주쿠일본어-- 후쿠토신 선 (F-12)1.42.2E-03와카마쓰카와다若松河田|와카마쓰카와다일본어rowspan="3" |1.03.2E-04우시고메야나기초牛込柳町|우시고메야나기초일본어0.63.8E-05우시고메카구라자카牛込神楽坂|우시고메카구라자카일본어1.04.8E-06이다바시飯田橋|이다바시일본어-- 도자이 선 (T-06)
-- 난보쿠 선 (N-10)
-- 유라쿠초 선 (Y-13)
-- 주오·소부 완행선 (JB 16)1.05.8분쿄구E-07가스가
(분쿄 시빅 센터 앞)春日|가스가일본어
(文京シビックセンター前)|(분쿄 시빅쿠 센타 마에)일본어-- 미타 선 (I-12)
---- 마루노우치 선 (고라쿠엔 역, M-22)
-- 난보쿠 선 (고라쿠엔 역, N-11)1.06.8E-08혼고 3초메本郷三丁目|혼고산초메일본어---- 마루노우치 선 (M-21)0.87.6E-09우에노오카치마치上野御徒町|우에노오카치마치일본어-- 히비야 선 (나카오카치마치 역, H-17)
-- 긴자 선 (우에노히로코지 역, G-15)
-- 야마노테 선 (오카치마치역, JY 04)
-- 게이힌 도호쿠 선 (오카치마치역, JK 29)1.18.7다이토구E-10신오카치마치新御徒町|신오카치마치일본어-- 쓰쿠바 익스프레스 (TX 02)0.89.5E-11구라마에蔵前|구라마에일본어-- 아사쿠사 선 (A-17)1.010.5E-12료고쿠
(에도 도쿄 박물관 앞)
両国|료고쿠일본어
(江戸東京博物館前)|(에도 도쿄 하쿠부쓰칸 마에)일본어-- 주오·소부 완행선 (JB 21)1.211.7스미다구E-13모리시타森下|모리시타일본어-- 신주쿠 선 (S-11)1.012.7고토구E-14기요스미시라카와清澄白河|기요스미시라카와일본어-- 한조몬 선 (Z-11)0.613.3E-15몬젠나카초門前仲町|몬젠나카초일본어-- 도자이 선 (T-12)1.214.5E-16쓰키시마月島|쓰키시마일본어-- 유라쿠초 선 (Y-21)1.415.9주오구E-17가치도키勝どき|가치도키일본어rowspan="2" |0.816.7E-18쓰키지 시장
(아사히 신문사 앞)築地市場|쓰키지시조일본어
(朝日新聞社前)|(아사히 신분샤 마에)일본어1.518.2E-19시오도메
(시오사이트)汐留|시오도메일본어
(シオサイト)|(시오사이토)일본어-- 유리카모메 도쿄 임해 신교통 임해선 (U-02)0.919.1미나토구E-20다이몬
(하마마쓰초)大門|다이몬일본어
(浜松町)|(하마마쓰초)일본어-- 아사쿠사 선 (A-09)
-- 야마노테 선 (하마마쓰초역, JY 28)
-- 게이힌 도호쿠 선 (하마마쓰초역, JK 23)
-- 도쿄 모노레일 하네다 공항선 (모노레일 하마마쓰초 역, MO 01)0.920.0E-21아카바네바시赤羽橋|아카바네바시일본어1.321.3E-22아자부주반麻布十番|아자부주반일본어-- 난보쿠 선 (N-04)0.822.1E-23롯폰기
(도쿄 미드타운 앞)六本木|롯폰기일본어
(東京ミッドタウン前)|(도쿄밋도타운마에)일본어-- 히비야 선 (H-04)1.123.2E-24아오야마 1초메青山一丁目|아오야마잇초메일본어-- 긴자 선 (G-04)
-- 한조몬 선 (Z-03)1.324.5E-25고쿠리쓰쿄지조
(도쿄 체육관 앞)国立競技場|고쿠리쓰쿄기조일본어
(東京体育館前)|(도쿄 다이이쿠칸 마에)일본어-- 주오·소부 완행선 (센다가야역, JB 12)1.225.7신주쿠구E-26요요기代々木|요요기일본어-- 야마노테 선 (JY 18)
-- 주오·소부 완행선 (JB 11)1.527.2시부야구E-27신주쿠新宿|신주쿠일본어-- 신주쿠 선 (S-01)
-- 야마노테 선 (JY 17)
-- 사이쿄 선 (JA 11)
-- 쇼난 신주쿠 라인 (JS 20)
-- 주오 쾌속선 (JC 05)
-- 주오·소부 완행선 (JB 10)
-- 게이오 전철 게이오 선 · 신선 (KO 01)
-- 오다큐 전철 오다와라 선 (OH 01)0.627.8E-28도초마에
(도쿄도청)都庁前|도초마에
(도쿄도초)일본어-- 이다바시 방면 (E-28)0.828.6신주쿠구E-29니시신주쿠 5초메
(시미즈바시)西新宿五丁目|니시신주쿠고초메일본어
(清水橋)|(시미즈바시)일본어0.829.4E-30나카노사카우에中野坂上|나카노사카우에일본어---- 마루노우치 선 (M-06)1.230.6나카노구E-31히가시나카노東中野|히가시나카노일본어-- 주오·소부 완행선 (JB 08)1.031.6E-32나카이中井|나카이일본어 세이부 철도 신주쿠 선 (SS 04)0.832.4신주쿠구E-33오치아이미나미나가사키落合南長崎|오치아이미나미나가사키일본어rowspan="2" |1.333.7E-34신에고타新江古田|신에고타일본어1.635.3나카노구E-35네리마練馬|네리마일본어-- 세이부 철도 이케부쿠로 선 · 유라쿠초 선 · 도시마 선 (SI 06)1.636.9네리마구E-36도시마엔豊島園|도시마엔일본어rowspan="3" |0.937.8E-37네리마카스가초練馬春日町|네리마카스가초일본어1.539.3E-38히카리가오카光が丘|히카리가오카일본어1.440.7



모든 역은 도쿄도에 위치해 있다.

6. 기술

오에도선은 리니어 모터 추진 방식을 사용하는 도쿄 지하철 노선이다. (오사카 메트로 나가호리 쓰루미료쿠치선에 이어 일본에서 두 번째). 이 기술은 더 작은 차량과 터널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지만, 다른 철도 및 지하철 노선과 호환되지 않아 직통 운행을 할 수 없다. 회전 모터 추진 차량이 기술적으로 오에도선에서 운행될 수 있지만, 더 작은 터널과 적재 한계로 인해 불가능하다. 따라서 오에도선은 40년 이상 도쿄에서 최초의 자체 폐쇄형 지하철 노선이 되었고, 지금까지 도에이가 운행하는 유일한 노선이 되었다. 다만, 아사쿠사선과 5000형 기관차만 사용할 수 있는 궤도 연결이 있다.

이 노선은 도쿄 중심부를 지하 깊숙이(지하 48m 지점) 지나며, 스미다강을 세 번 횡단한다.[2] 원래 6826억 엔과 6년으로 예산이 책정되었지만, 건설은 거의 10년이 걸렸고, 최종 건설 비용은 공식적인 9886억 엔에서 1조 4000억 엔 이상으로 추정되어, 당시 건설된 지하철 노선 중 가장 비싼 노선이 되었다.[2]

원래 승객 수는 하루 100만 명으로 추정되었으나, 개통 전 82만 명으로 줄었다. 2006년 말, 이 노선의 하루 평균 승객 수는 72만 명이었다.[4] 그러나 롯폰기, 시오도메 등 주요 역 주변의 새로운 상업 및 주거 개발에 따라 개통 이후 매년 승객 수가 약 5%씩 증가했다. 도쿄 도 교통국에 따르면, 2009년 6월 현재 오에도선은 도쿄에서 네 번째로 혼잡한 지하철 노선이었으며, 몬젠나카초에서 쓰키시마역 사이의 최고 혼잡도는 178%였다.[5]

현재 서쪽 종점인 히카리가오카역에서 오이즈미가쿠엔초까지 서쪽으로 연장하는 계획이 있으며, 세이부 이케부쿠로선의 오이즈미가쿠엔역에서 1.5km 북쪽에 위치한 새로운 종점을 거쳐 이후 무사시노선의 히가시토코로자와역으로 연결될 예정이다.

건설비를 삭감하기 위해 나가호리 쓰루미료쿠치선에 이어 일본에서 2번째로 철륜식 리니어 모터미니 지하철가 채용되었다. 도영 지하철의 노선 중에서는 유일하게 타사 노선과의 직결 운행을 하지 않는다.

도영 지하철에서 처음으로 원맨 운전을 실시했다. 단일의 지하철 노선으로서는 일본 최장 (40.7 km)이며[31], 전선이 터널 (지하 구간) 구조이기 때문에, 연속된 지하철 터널로도 일본 최장이다.

후발로 건설된 지하철 노선이기 때문에, 기존의 노선보다 심부를 지나고, 전반적으로 역 홈이 상당히 깊은 곳에 설치되어 있다. 특히 2층 구조의 롯폰기역은 하부의 내선 1번선 홈이 지하 42 m로, 지하철역으로서는 일본에서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한다.

일본의 지하철에서는 최심부를 주행하고 있으며, 내진성이 풍부하고, 재해 시에는 구조 작업의 대동맥으로 이용될 예정이다. 그 때문에, 비상용 비축 창고가 아자부주반역기요스미시라카와역에 설치되어 있다.[32]



내선은 히카리가오카역 - 도초마에역 - 다이몬역 - 료고쿠역 - 도초마에역 착까지[34]이며, 외선은 도초마에역 - 료고쿠역 - 다이몬역 - 도초마에역 - 히카리가오카역 착까지[34]이다.

이 노선의 건설 비용은 방사부에서 3991억 엔, 환상부에서 9583억 엔으로 전 노선에서는 1조 3574억 엔에 달한다[35]。1 km당 건설 비용은 방사부에서 286억 엔, 환상부에서 323억 엔[35]으로, 도쿄만 아쿠아라인이나 간사이 국제공항등의 국가 프로젝트에 필적하는 건설 비용이 들었다[35]

1986년 4월, 12호선용 12-000형 시제차가 제작되어, 아사쿠사선 마고메 검차장 (당시)에서 소형 지하철로서 새로운 기술의 시험을 포함한 주행 시험을 실시했다.[46] 이 차량은 도영 지하철에서 처음으로 VVVF 인버터 제어 방식을 채택했으며, 주전동기는 소형 유도 전동기를 사용했다.[46]

1988년에 12-000형 시제차를 리니어 모터 차량으로 개조하여, 같은 해 4월 - 6월, 9월 - 11월에 마고메 검차장에서 리니어 모터 방식의 주행 시험을 실시했다.[48]

이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1988년 12월 21일에 지하철 12호선에 리니어 모터 구동 방식을 채용하기로 결정했으며[47][49], 곧 네리마 이남의 방사부 및 환상부의 선형을 변경(리니어 지하철의 장점인 급곡선과 급경사를 활용하여, 사유지 지하에서 도로와 공원 지하를 통과하는 루트로 변경 등)하게 되었다.[38][50]

6. 1. 리니어 모터 방식

도초마에역에서 이이다바시역, 료고쿠역, 다이몬역, 롯폰기역을 거쳐 다시 도초마에역, 히카리가오카역까지 왕복하는 도에이 지하철 오에도선은 순환선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일반적인 복선 노선처럼 운행된다. 운전 방향은 "내선순환"과 "외선순환"으로 불리며(정기권 경로에도 표시), 각 역에서는 방면으로 안내된다. 정식으로는 "내선순환"을 A선, "외선순환"을 B선이라고 부르는데, 도영 지하철에서 A선·B선 호칭을 사용하는 유일한 노선이다.[77]

2005년 말까지는 내선순환 구간에서 히카리가오카역→도초마에역 구간은 "롯폰기·다이몬 방면", 신주쿠역→신주쿠니시구치역 구간은 "(○○ 경유) 도초마에행"으로 불렀고, 외선순환 구간에서는 신주쿠니시구치역→네리마카스가초역 구간을 "(○○ 경유) 히카리가오카행"으로 불렀다. 그러나 현재는 내선순환 구간에서 히카리가오카역→쓰키지시조역 구간은 "○○·○○ 방면행", 가치도키역→신주쿠니시구치역 구간은 "(○○ 경유) 도초마에행"으로, 외선순환 구간에서 도초마에역 - 구라마에역 구간은 "○○·○○ 방면행", 료고쿠 - 네리마카스가초 구간은 "(○○ 경유) 히카리가오카행"으로 변경되었다. ○○에는 도초마에·롯폰기·다이몬·료고쿠·카스가·이이다바시 각 역에서 2개 역이 들어간다(단, 카스가역은 다이몬역 - 기요스미시라카와역 사이의 내선순환만, 도초마에는 다이몬역 - 신주쿠역 사이의 외선순환만 해당).[77]

이 때문에 각 차량의 LED식 전면·측면 행선지 표시는 주행 구간에 따라 달라진다.

아침, 저녁 출퇴근 시간에는 최단 3분 간격으로 운행되며,
을 운행하는 열차가 많다. 이 열차들은 대부분 기요스미시라카와역 동쪽에 있는 키바 차량기지의 입출고 때문에 설정되었다. 기요스미시라카와역 외에도 시오도메역신오카치마치역에는 도초마에역 방면으로 회차할 수 있는 인상선이 있고[77], 네리마역, 국립경기장역, 아카바네바시역, 우시고메카구라자카역에는 비상용 건넘선이 설치되어 있다.[77] 이러한 이유로 이른 아침·야간에는
과 같은 구간 운행 열차가 적게 설정되어 있다.

낮에는 전 구간 왕복 운전이 기본이며, 2012년 3월 17일 다이어 개정 이후 6분 간격으로 운행되고 있다. 이 개정 전에는 180분 동안 29편(6분 12초 간격) 운행되었다.

종일 도초마에역에서는 롯폰기·다이몬 방면 열차에서 이이다바시역 방면 열차로, 이이다바시 방면 발 도초마에행 열차에서 히카리가오카행 열차로의 환승 시간이 짧게 설정되어 있다.

다른 도영 지하철 노선과 마찬가지로, 연선의 불꽃놀이 대회나 국립 경기장에서의 축구 경기, 콘서트 등 대규모 행사가 있을 때 임시 열차가 운행되는 경우가 있다.

6. 2. 소음 문제

오에도선은 세계에서 가장 시끄러운 철도 노선 중 하나로, 노선 전체에서 자주 90데시벨에 달하는 소음이 발생한다.[9] 2020년에는 코로나19(COVID-19) 유행으로 환기를 위해 창문을 일부 개방하면서 소음이 더욱 커졌다. 도쿄 신문 조사에 따르면 오치아이미나미나가사키역 - 나카이역 구간에서 120데시벨을 기록했다.[116] 코로나19 발생 기간 동안에는 소음 수준이 105데시벨을 넘기도 했다. 노선 사장은 [청력 손상]보다 감염이 더 심각한 문제라며 열차 창문을 계속 열어두었고, 이로 인해 많은 불만이 제기되었다. 2023년 4월 현재도 코로나19 전파 위험을 줄이기 위해 창문을 계속 열어두고 있다.[10] 오에도선의 소음이 큰 이유는 기존 인프라와 깊은 터널 건설의 필요성 등 건설상의 제약으로 인해 반경이 작은 곡선과 작은 터널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이다.[11]

6. 3. 스크린도어

2011년 4월 23일 기요스미시라카와역에서 스크린도어 사용을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정비가 진행되었으며[71], 2013년 4월 27일에는 니시신주쿠5초메역에서의 사용을 시작하면서 오에도선 전역에서 스크린도어의 운용이 시작되었다[72]미타선에 이어 2번째로 스크린도어가 도입된 노선이다.

미타선에서는 ATO 장치나 ATO 차상자 등을 사용하여 스크린도어를 제어하고 차량 출입문과 연동하고 있다[80]。그러나, 오에도선의 ATO 장치는 스크린도어의 제어 및 차량 출입문과의 연동에 대응하지 않고, 또한, 대응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에, 스크린도어 제어용으로 별도의 기기를 정비하여 대응하고 있다[80]

스크린도어의 개구 폭은, ATO 장치의 정위치 정지 정밀도가 전후 500 mm로 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정지 위치의 오차를 고려하여 차량의 출입문 폭인 1,300 mm보다 1,100 mm 넓은 2,400 mm로 하고 있다[80]。정지 위치의 검지에는 역 선단부에 정지 위치 검지 센서를 설치하고 있으며, 적외선 레이저 광으로 차량 최전부의 돌출부를 측정하여, 쇼트(정위치 전), 정위치(저스트), 오버(정위치 초과)를 판단하고 있다[80]

스크린도어와 차량 출입문의 연동에는 무선 통신을 사용하고 있으며, UHF대 무선(극초단파)과 LF대 무선(장파)을 사용하여, 차량 측과 지상 측의 인터페이스를 하고 있다[80][81]。대응 장치로서, 승무원실에는 차상 전송 장치(운전대 상부의 흰 상자, 전송 제어부(UHF 송수신부))를, 지상 측에는 지상 전송 장치를 설치하고 있다[81]。차량 측의 앞 유리의 좌우에는 LF 수신부를 설치하고 있다[81]

6. 4. 역 디자인

대부분의 오에도선 역은 이용객에게 매력적인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개찰구 근처에 "여유로운 공간"을 설치하고, 지역의 특징을 살린 디자인을 곳곳에 도입하고 있다. 도청앞역신주쿠역을 제외한 환상선 26개 역은 공모 제안 방식에 따라 공공 미술로서 역 디자인(주로 실내 장식)을 토목업체와는 별도로 건축 등의 설계 사무소에 위탁했다.[93]

비용 문제로 인해 역 전체 설계에는 디자이너가 관여하지 않았지만, 지하 부분 디자인에 전면적으로 참여하게 된 시도로 평가받고 있다. 2001년에는 일부 역이 굿 디자인 상 건축·환경 디자인 부문 금상, 인터·인트라 스페이스 디자인 셀렉션 대상, 토목 학회 기술상을 수상했다.[93]

6. 5. 역 깊이

오에도선은 도쿄 중심부를 지하 깊숙이 지나며(지하 48m 지점), 스미다강을 세 번 횡단하는 지하 통로가 있다.[2]

7. 미래 계획

도에이 지하철 오에도선은 리니어 모터 추진 방식을 사용하여, 더 작은 차량과 터널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2] 그러나 이 기술은 다른 철도 및 지하철 노선과 호환되지 않아, 오에도선 열차가 다른 노선으로 직통 운행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오에도선은 40년 이상 도쿄에서 최초의 자체 폐쇄형 지하철 노선이 되었고, 현재까지 도에이가 운행하는 유일한 노선이다.

이 노선은 도쿄 중심부를 지하 깊숙이 지나며, 스미다강을 세 번 횡단한다. 건설에는 원래 6826억 엔의 예산과 6년의 기간이 책정되었지만, 실제로는 거의 10년이 걸렸고, 최종 건설 비용은 1조 4000억 엔 이상으로 추정되어 당시 건설된 지하철 노선 중 가장 비쌌다.[2]

개통 전 예상 승객 수는 하루 100만 명이었으나, 82만 명으로 감소했다. 2006년 말 기준 하루 평균 승객 수는 72만 명이었다.[4] 그러나 롯폰기, 시오도메 등 주요 역 주변의 새로운 상업 및 주거 개발에 따라 개통 이후 매년 승객 수가 약 5%씩 증가했다. 도쿄 도 교통국에 따르면, 2009년 6월 현재 오에도선은 도쿄에서 네 번째로 혼잡한 지하철 노선이었으며, 몬젠나카초에서 쓰키시마역 사이의 최고 혼잡도는 178%였다.[5]

2023년 1월 18일부터 오에도선 모든 열차의 4호차는 열차 내 성폭력을 줄이기 위해 여성 전용칸으로 지정되었다.[12] 이 제약은 출근 시간대에 시행된다.

2017년도 오에도선 단독 순이익은 약 8.76억였다.[33] 약 570억의 수입에 대해 약 562억의 비용이 소요되었으며, 특히 약 222억감가상각비가 큰 부담이었다. 승차 요금 수입 또한 2012년도부터 2017년도까지 꾸준히 증가하여, 2017년도에는 427억를 기록했다.

환상부 구간은 조기 건설 및 전 노선 동시 개통의 필요성 때문에[44], 자금 면에서 유연한 대응이 가능한 제3섹터 방식으로 건설하기로 했다.[44] 1988년 7월에 도쿄도 지하철 건설이 설립되어, 제3종 철도 사업자로서 환상부 건설을 실시했다.[44]

환상부 역 건설 시, 엘리베이터에스컬레이터 건설비 절감을 위해 복수 역을 묶어 일괄 발주하고, 일본 국외 기업을 참여시켰다.[45] 2000년 11월 29일에는 환상부의 철도 시설이 완성되었고[42], 다음 날인 11월 30일에 도쿄도 지하철 건설에서 도쿄도 교통국으로 철도 시설을 양도했다.[42]

2019년의 1일 평균 수송 인원은 978,206명으로, 도에이 지하철 4개 노선 중 가장 많다.[87] 도심 회귀의 영향으로 이용객이 증가 추세에 있으며, 환상선을 중심으로 연선의 대형 프로젝트 및 대규모 맨션 건설이 잇따르고 있어 앞으로도 장기적으로 증가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88]

2022년도 최혼잡 구간(나카이히가시나카노 간)의 러시 아워 시간대 혼잡률은 135% (수송력: 15,600명 / 수송 인원: 21,014명)이다.[89]

개통 이후의 수송 실적은 아래 표와 같다.

도에이 지하철 오에도선 수송 실적 추이[90]
연도1일 평균
수송 인원
최혼잡 구간(나카이 → 히가시나카노 간) 수송 실적[91]특기 사항
운행 횟수: 회수송력: 명수송량: 명혼잡률: %
1991년20,001히카리가오카 - 네리마 간 개통
1992년105,8002,17738최혼잡 구간은 토시마엔 → 네리마 간
1993년105,8002,47543
1994년105,8003,22956
1995년28,827105,8003,17655
1996년105,8004,01169
1997년118,5805,25561네리마 - 신주쿠 간 개통, 최혼잡 구간을 나카이 → 히가시나카노 간으로 변경
1998년118,58010,336120
1999년130
2000년219,358전 노선 개통
2001년14148
2002년1612,48017,661142
2003년1612,48018,589149
2004년647,573157
2005년681,623155
2006년720,162158
2007년781,4871914,82026,385178
2008년796,2571914,820152
2009년792,2561914,82023,978162
2010년795,4612015,60022,860147
2011년780,7142015,60024,142155
2012년825,6662015,60022,864147
2013년859,1962015,60023,045148
2014년878,9602015,60022,799146
2015년914,0122015,60023,836153
2016년933,6212015,60024,163155
2017년956,0412015,60024,483157
2018년976,9572015,60024,726159
2019년978,2062015,60025,158161
2020년2015,60018,999122
2021년2015,60018,700120
2022년2015,60021,014135


7. 1. 연장 계획

건설 당시부터 히카리가오카역의 구조와 배선은 장래의 연장을 고려하여 설계되었다.[96] 1997년부터 네리마구도쿄도기요세시, 사이타마현니자시, 도코로자와시를 회원으로 하고, 사이타마현사야마시를 준회원으로 하는 1구 4시가 도시 고속철도 12호선 연장 촉진 협의회를 설치하여 히카리가오카역에서 각 시구를 경유하여 JR 무사시노선 방면으로 연장하는 요구 활동을 도쿄도와 사이타마현에 대해 진행하고 있다.[97]

2000년의 운수정책심의회 답신 제18호에서는 히카리가오카 - 오이즈미가쿠엔초 구간에 대해서는 '2015년까지 정비 착수가 적절한 노선', 오이즈미가쿠엔초 - 무사시노선 방면 구간에 대해서도 '향후 정비에 대해 검토해야 할 노선'으로 위치를 정했다.

2016년의 교통정책심의회 답신 제198호에서는 히카리가오카역에서 오이즈미가쿠엔초, 사이타마현 니자시, 기요세시를 경유하여 무사시노선 히가시토코로자와역까지의 연장이 답신되었다.[98]

네리마구 내에서는 정비 중인 도시계획도로 보조 제230호선 바로 아래를 도입 공간으로 하여 츠치다역, 오이즈미마치역, 오이즈미가쿠엔초역 3개 역(역명은 모두 가칭)을 신설할 계획이다.[99][100][101][102]

현재 서쪽 종점인 히카리가오카역에서 오이즈미가쿠엔초까지 서쪽으로 연장하는 계획이 있으며, 세이부 이케부쿠로선의 오이즈미가쿠엔역에서 1.5km 북쪽에 위치한 새로운 종점을 거쳐 이후 무사시노선의 히가시토코로자와역으로 연결될 예정이다. 오이즈미가쿠엔초까지의 첫 번째 구간 건설은 잠정적으로 2015년 이전에 예정되어 있으며, 도시다역, 오이즈미초역, 오이즈미가쿠엔초역이라는 임시 이름의 3개의 새로운 역 건설이 포함될 예정이다.[6] 2020년 하계 올림픽이 도쿄로 유치된 후, 사격장이 위치할 니자까지 노선을 연장하기 위해 제안된 연장에 2.7km를 더 추가하는 것에 대한 추측이 있었다. 이 문제에 대한 결정은 2015년에 나올 것으로 예상되었다.[7]

니자시에서는 1972년 12호선 면허 신청 단계에서는 카타야마에 차량기지 및 차량 공장을 설치하고, 히카리가오카역과의 사이에 5.3 km의 비영업 입출고선으로 연락하는 계획이 존재했으며,[103] 도쿄도에서 비공식적으로 시내에 1개 역 설치와 차량기지 건설을 제안받은 경위가 있다.[104] 차량기지 부지로 4헥타르의 토지를 무상 제공하고, 시 남부에 설치될 것으로 보이는 신역(시에서는 '니자 중앙역'이라고 가칭) 주변 약 90헥타르를 구획 정리한 후 대학교나 상업 시설을 유치하는 등의 구상을 발표하며 조기 연장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105][106]

2019년 8월 31일에 사이타마현 지사로 취임한 오노 모토히로는 연장을 공약으로 내걸고 있다.[107]

이 외에도, 도초마에역의 인상선을 활용하여 오이즈미가쿠엔초에서 남하하여 세타가야구를 경유하여 도초마에역으로 돌아오는 8자형 운전 구상도 있었지만, 정식 계획으로 채택되지는 않았다.[108]

8. 기타

오에도선은 리니어 모터 추진 방식을 사용하는 도쿄 지하철 노선이다. (일본에서는 오사카 메트로 나가호리 쓰루미료쿠치선에 이어 두 번째이다.) 이 기술은 더 작은 차량과 터널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지만, 다른 철도 및 지하철 노선과 호환되지 않아 오에도선 열차가 다른 노선으로 직통 운행을 할 수 없다. 회전 모터 추진 차량이 기술적으로 오에도선에서 운행될 수 있지만, 더 작은 터널과 적재 한계로 인해 불가능하다. 따라서 오에도선은 40년 이상 도쿄에서 최초의 자체 폐쇄형 지하철 노선이 되었고, 도에이가 운행하는 유일한 노선이다. 다만, 아사쿠사선과 5000형 기관차만 사용할 수 있는 궤도 연결이 있다.

이 노선은 도쿄 중심부를 지나 지하 깊숙이(지하 48m 지점)에 있으며, 스미다강을 세 번 횡단하는 지하 통로가 있다. 원래 6826억 엔과 6년으로 예산이 책정되었지만, 건설은 거의 10년이 걸렸고, 최종 건설 비용은 공식적인 9886억 엔에서 1조 4000억 엔 이상으로 추정되어, 당시 건설된 지하철 노선 중 가장 비싼 노선이 되었다.[2] 킬로미터당 기준으로 비교하면, 2017년에 완공된 싱가포르의 다운타운 MRT 노선과 뉴욕의 세컨드 애비뉴 지하철 1단계가 오에도선보다 훨씬 더 비싸다.[3]

개통 전 승객 수는 하루 82만 명으로 추정되었고, 2006년 말에는 하루 평균 72만 명의 승객을 기록했다.[4] 그러나 롯폰기, 시오도메 등 주요 역 주변의 새로운 상업 및 주거 개발에 따라 개통 이후 매년 승객 수가 약 5%씩 증가했다. 도쿄 도 교통국에 따르면, 2009년 6월 현재 오에도선은 도쿄에서 네 번째로 혼잡한 지하철 노선이었으며, 몬젠나카초에서 쓰키시마역 사이의 최고 혼잡도는 178%였다.[5]

현재 서쪽 종점인 히카리가오카역에서 오이즈미가쿠엔초까지 서쪽으로 연장하는 계획이 있으며, 세이부 이케부쿠로선의 오이즈미가쿠엔역에서 1.5km 북쪽에 위치한 새로운 종점을 거쳐 이후 무사시노선의 히가시토코로자와역으로 연결될 예정이다. 오이즈미가쿠엔초까지의 첫 번째 구간 건설은 잠정적으로 2015년 이전에 예정되어 있으며, 도시다역, 오이즈미초역, 오이즈미가쿠엔초역이라는 임시 이름의 3개의 새로운 역 건설이 포함될 예정이다.[6] 2020년 하계 올림픽이 도쿄로 유치된 후, 사격장이 위치할 니자까지 노선을 연장하기 위해 제안된 연장에 2.7km를 더 추가하는 것에 대한 추측이 있었다.[7]

8. 1. 여객 안내

오에도선은 도쿄 도심을 순환한 다음 서부 교외의 네리마 방면으로 뻗어나가며, 노선 형태는 옆으로 누운 숫자 "6"과 같다. 진정한 순환선은 아니며, 서쪽의 히카리가오카 종점에서 출발한 열차는 순환선을 반시계 방향으로 운행하여 도초마에역에서 종착하며, 반대 방향도 마찬가지이다. 도초마에역에서 순환선을 따라 히카리가오카까지의 전체 40.7km 이동 시간은 81분이다. 러시아워에는 3~5분 간격으로, 평일 비첨두 시간대, 주말 및 공휴일에는 6분 간격으로 열차가 운행된다.[8]

개업 당시부터 다른 도에이 지하철 노선에는 없는, 검은색 배경에 녹색 글자나 흰색 글자 등의 독자적인 안내 사인이 설치되었다. 다만, 2010년경부터 순차적으로 다른 노선과 마찬가지로 새 사인으로 갱신되어 현재는 개업 당시의 안내 사인이 줄어들었다.

현재, 도영 지하철 전 노선에서 사용되는 접근 멜로디를 처음으로 도입한 노선이다. 2000년 전 노선 개업 시점에서는 12호선 시대에 개업한 히카리가오카 - 신주쿠의 각 역에서는 다른 역·노선에서 사용되는 것보다 음이 낮은 초기형이 사용되었다. 2013년 시점에서는 초기형이 사용되는 곳은 네리마 - 나카노사카우에의 각 역뿐이었지만, 2014년 2월 1일 접근 방송 갱신에 맞춰 표준형 접근 멜로디로 갱신되어 초기형 접근 멜로디는 들을 수 없게 되었다.

일부 역에서는 열차의 승강장 도착 직전에 차내 안내 방송으로 도착역명과 함께 역 주변의 기업, 점포 등의 광고 안내가 나온다.

2014년 2월 1일부터 오에도선 전 역에서 접근 방송이 갱신되어 2013년에 미타선, 아사쿠사선, 신주쿠선에서 갱신된 새 접근 방송과 같은 아나운서가 녹음한 방송으로 바뀌었다. 이 방송은 중앙 음원 방식을 채택하여 중앙 장치에서 생성한 음성이 VoIP로 각 역에 배포되어 방송 장치에서 출력된다.[109]

8. 2. 냉난방

오에도 선은 전 구간이 지하 터널이며, 차량과 터널 단면이 작아 열이 쉽게 갇히는 특성 때문에 원칙적으로 난방은 사용하지 않는다. 반면, 냉방은 도영 지하철의 다른 노선보다 낮은 설정 온도로 운영된다.[110][111]

참조

[1] 웹사이트 東京都交通局ホーム - 経営情報 - 交通局の概要 - 都営地下鉄 http://www.kotsu.met[...] 東京都交通局 [Tokyo Metropolitan Bureau of Transportation] 2015-04-01
[2] 웹아카이브 都営12号線(大江戸線)環状部事業の評価(総括表) http://www.kotsu.met[...] Toei 2006-05-17
[3] 웹사이트 Data https://transitcosts[...] 2024-04-03
[4] 웹사이트 東京都交通局,都営地下鉄,各駅乗降人員一覧 https://www.kotsu.me[...]
[5] 간행물 Commute http://archive.metro[...] Metropolis 2009-06-12
[6] 웹사이트 Moving Towards the Early Stages of Ōedo line extension http://www.city.neri[...] www.kotsu.metro.tokyo.jp 2012-03
[7] 뉴스 地下鉄12号・都営大江戸線:延伸、五輪特需に期待 射撃会場予定地、スムーズに移動 /埼玉 http://mainichi.jp/a[...] Mainichi Shimbun 2013-09-11
[8] 웹사이트 平成21年度東京都高速電車事業会計決算審査意見書 http://www.kansa.met[...]
[9] 웹사이트 Japan masters the art of noise https://www.japantim[...] 2002-12-03
[10] 웹사이트 コロナ禍で地下鉄大江戸線の車内が「騒々しい工場内」レベルの音になる理由(Aera) https://news.line.me[...]
[11] 웹사이트 The Sound of the Most Annoying Metro in Tokyo https://lovetransit.[...] 2022-06-08
[12] 웹사이트 都営地下鉄大江戸線に女性専用車…平日朝ラッシュ時の4号車 2023年1月18日から https://response.jp/[...] 2022-11-27
[13] 웹사이트 混雑率の推移 https://www.mlit.go.[...]
[14] 뉴스 Tokyo plans new effort to ease commuter hell on rush-hour trains https://www.japantim[...] 2017-07-06
[15] 웹사이트 東京都統計年鑑平成24年/運輸 https://www.toukei.m[...] 東京都
[16] 웹사이트 メディア・ユニバーサルデザイン 地下鉄マップTokyoカレンダー画像 https://note.com/ino[...]
[17] 문서 大江戸線建設物語
[18] 서적 山手線 ウグイス色の電車今昔50年 JTBパブリッシング
[19] 문서 大江戸線放射部建設史
[20] 문서 大江戸線放射部建設史
[21] 웹아카이브 東京都交通局告示 東京都地下高速電車の路線の名称及び区間 http://www.reiki.met[...] 2019-05-10
[22] 서적 東京都交通局100年史 東京都交通局
[23] 문서 現在の都市計画第9号線(東京メトロ千代田線)とは無関係である。
[24] 문서 東京都交通局80年史
[25] 문서 東京地下鉄道日比谷線建設史
[26] 논문 京王-都営地下鉄新宿線相互直通運転開始の頃 電気車研究会 2001-07-10
[27] 문서 京王帝都電鐵三十年史
[28] 문서 東京地下鉄道日比谷線建設史
[29] 문서 東京地下鉄道東西線建設史
[30] 문서 交通技術 1968-07
[31] 문서 大江戸線建設物語
[32] 문서 大江戸線建設物語
[33] 웹사이트 平成29年度東京都高速電車事業会計決算審査意見書 http://www.kansa.met[...] 東京都監査事務局
[34] 논문 営業線の概要 https://www.kotsu.me[...] 東京都交通局 2020-09
[35] 문서 大江戸線建設物語
[36] 간행물 大江戸線放射部建設史
[37] 간행물 大江戸線建設物語
[38] 간행물 大江戸線の構想から完成まで 鉄道図書刊行会『鉄道ピクトリアル』 2001-07
[39] 간행물 東京都営地下鉄12号線の建設計画 日本鉄道技術協会『JREA』 1976-11
[40] 간행물 今だから話せる都営地下鉄の秘密 洋泉社
[41] 간행물 東京都地下鉄建設・経営調査会最終報告の概要 東京都交通局90年史
[42] 간행물 東京都交通局90年史
[43] 간행물 大江戸線放射部建設史
[44] 간행물 大江戸線建設物語
[45] 간행물 大江戸線建設物語
[46] 간행물 大江戸線放射部建設史
[47] 간행물 東京都交通局90年史
[48] 간행물 大江戸線放射部建設史
[49] 간행물 地下鉄12号線車両駆動方式の決定について 東京都交通局90年史
[50] 웹사이트 都営大江戸線の車両、なぜ狭い? 「普通サイズ」で計画されるも、小型化したワケ https://trafficnews.[...] 2019-03-28
[51] 웹사이트 営団地下鉄「メトロネットワーク」 http://www.tokyometr[...] 1999-04-27
[52] 뉴스 トップダウン、都政一変させた石原さん 「大江戸線」誕生秘話 https://ryukyushimpo[...] 2022-02-22
[53] 웹사이트 かねやすビル https://www.city.bun[...] 2021-06-09
[54] 간행물 大江戸線の経緯 大江戸線放射部建設史
[55] 간행물 東京都交通局90年史
[56] 간행물 読売ニュース総覧 読売新聞社 1992-04
[57] 웹사이트 交通局のあゆみ 都営地下鉄 https://www.kotsu.me[...] 東京都交通局 2015-01-27
[58] 간행물 東京都交通局90年史
[59] 간행물 平成9年12月19日東京都交通局12号線練馬 - 新宿間延伸開業 『鉄道ファン』1998年3月号
[60] 뉴스 都営地下鉄12号線 放射部のレールつながる 中野坂上駅で締結式 交通新聞社 1997-06-19
[61] 간행물 鉄道ジャーナル 鉄道ジャーナル社 1998-03
[62] 웹사이트 大江戸線 木場車庫への車両搬入が完了しました https://web.archive.[...] 2000-02-17
[63] 웹사이트 地下鉄にも広告!全面広告車両がデビュー https://web.archive.[...] 2000-09-13
[64] 웹사이트 大江戸線国立競技場 - 六本木 - 上野御徒町 - 都庁前間の開業について https://web.archive.[...] 2000-08-18
[65] 간행물 鉄道記録帳2002年11月 鉄道友の会 2003-02-01
[66] 웹사이트 汐留駅開業で、こんなに便利になります。 https://web.archive.[...] 2002
[67] 웹사이트 平成14年11月2日(土)都営地下鉄大江戸線汐留駅が開業しました。 https://web.archive.[...] 2002
[68] 웹사이트 公営企業委員会速記録第十二号 https://www.gikai.me[...] 東京都議会 2002-11-29
[69] 웹사이트 都営大江戸線における停電事故について<続報> http://www.kotsu.met[...] 2007-10-23
[70] 보고서 2010 安全報告書(鉄・軌道事業) https://www.kotsu.me[...] 東京都交通局 2010-08
[71] 보도자료 都営大江戸線ホームドア使用開始について http://www.kotsu.met[...] 東京都交通局 2011-04-18
[72] 보도자료 都営大江戸線全38駅のホームドア整備完了 http://www.kotsu.met[...] 東京都交通局 2013-04-26
[73] 문서 일부 편성의 3호차·6호차 프리 스페이스에 설치
[74] 보도자료 「子育て応援スペース」を設置した車両の運行を開始します! https://www.kotsu.me[...] 東京都交通局 2019-07-19
[75] 보도자료 都営大江戸線における女性専用車の導入について https://www.kotsu.me[...] 東京都交通局 2022-11-25
[76] 보도자료 令和6年12月21日からクレジットカード等のタッチ決済による 乗車サービス(実証実験)を開始します ~羽田空港をご利用のインバウンドのお客様が品川・都心方面へ便利で快適に~ https://www.kotsu.me[...] 東京都交通局 2024-12-12
[77] 서적 대에도선 건설 이야기
[78] 간행물 都営12号線ホーム監視ITVシステム 일본 사이바네틱스 협의회 1992-12
[79] PDF 대열차 광공간 전송 시스템 납입 사례집 https://web.archive.[...] 히타치 제작소 야기 안테나
[80] 잡지 Rolling stock & Machinery 2012년 1월호
[81] 간행물 導入が容易な可動式ホーム柵で使用する無線伝送装置 일본 사이바네틱스 협의회 2010-11
[82] 잡지 DJ NEWS FILE 東京都交通局12-600形(大江戸線) 교통 신문사 2012-04
[83] 웹사이트 都営大江戸線12-000形1次車が営業運転終了 http://railf.jp/news[...] 교우사 2015-12-11
[84] 보고서 보이는 개혁 보고서 「지하철」(발췌) http://www.toseikaik[...] 東京都都정개혁본부 2018-07-12
[85] 뉴스 痴漢被害多い大江戸線、女性専用車両を導入へ…都は混雑への影響小さいと判断 https://www.yomiuri.[...] 2022-03-24
[86] 뉴스 都営大江戸線に女性専用車、来年1月から コロナ禍の混雑緩和受け https://www.asahi.co[...] 2022-12-07
[87] 웹사이트 각 역 승하차 인원 일람 http://www.kotsu.met[...] 東京都交通局
[88] 보도자료 대에도선 환상부 및 미타선 연장부의 사후 평가 결과에 대해 http://www.kotsu.met[...] 東京都交通局 2006-03-24
[89] 웹사이트 최혼잡 구간에 있어서의 혼잡률(令和4년도) https://www.mlit.go.[...] 국토교통성 2023-07-14
[90] 웹사이트 도영 지하철 노선별 수송 인원 추이(일일 평균) https://www.kotsu.me[...] 東京都交通局
[91] 서적 도시 교통 연보
[92] 문서 환승에는 일단 지상에 나갈 필요가 있다.
[93] 웹사이트 대에도선의 역사가 굿 디자인상 금상에!! https://web.archive.[...] 東京都交通局
[94] 웹사이트 「도영 교통의 아라마시(2019)」 https://www.kotsu.me[...] 東京都交通局
[95] 서적 도쿄 메트로 핸드북 2021 도쿄 지하철
[96] 서적 대에도선 방사부 건설사
[97] 웹사이트 도시 고속 철도 12호선 연장 촉진 협의회 https://www.city.kiy[...] 기요세시 2021-02-15
[98] 뉴스 도영 대에도선, 지하철 7호선 연장으로 답신안 沿線 자치단체가 기대, 과제도 http://www.saitama-n[...] 사이타마 신문사 2016-04-08
[99] 웹사이트 대에도선 연장 지역의 마치즈쿠리:네리마구 공식 홈페이지 https://www.city.ner[...]
[100] 서적 대에도선 방사부 건설사
[101] 웹사이트 수도권의 철도 「신선・연장 계획」이 잇따라 부상하고 있는 이유 https://diamond.jp/a[...] 다이아몬드사 2018-07-23
[102] 웹사이트 대에도선 연장 계획에 대해・네리마구 공식 홈페이지 https://www.city.ner[...] 2020-11-01
[103] 서적 대에도선 방사부 건설사
[104] 웹사이트 신자 시청 공식 사이트-제93회 시장 시정 懇談회에서의 주요 의견・제언 http://www.city.niiz[...] 2011-01-06
[105] 잡지 특집 「모두의 힘으로 대에도선을 신자시에」 https://www.city.nii[...] 신자시 2014-06
[106] 뉴스 都営大江戸線、県内延伸の動き佳境 新座が誘致に熱…所沢など連携 http://www.saitama-n[...] 埼玉新聞社 2015-11-02
[107] 뉴스 大野氏、鉄道延伸など重点政策に 埼玉県知事選、記者会見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社 2020-02-12
[108] 서적 〈図解〉新説 全国未完成鉄道路線――謎の施設から読み解く鉄道計画の真実 講談社
[109] 간행물 都営地下鉄4路線運行管理システムの一括更新と総合指令所の構築 http://www.hitachihy[...] 日立評論社 2014-09
[110] 웹사이트 真冬でも暖房を使わない「地下鉄」があった! https://toyokeizai.n[...] 2019-03-13
[111] 문서 都営交通お客様センター等に寄せられたお客様の声 https://www.kotsu.me[...] 東京都交通局 2019-03-13
[112] 문서 大江戸線放射部建設史
[113] 문서 大江戸線放射部建設史
[114] 간행물 鉄道図書刊行会 2000-04
[115] 법규 신철도기술성령 해석기준 2002-03-31
[116] 뉴스 【検証】大江戸線がうるさい? 実際に測ってみました【動画あり】 https://www.tokyo-np[...] 2022-05-12
[117] 뉴스 Killer Tohoku temblor tops scale http://www.japantime[...] 2013-06-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