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산과 양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산과 양산은 햇빛이나 비를 가리기 위한 도구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고대 이집트, 페르시아 등에서 사용된 기록이 있으며, 고대 그리스에서는 신의 위광을 나타내는 징표로 사용되기도 했다. 동양에서는 마법이나 액막이의 목적으로 천개 형태의 우산이 발명되었고, 일본에서는 백제를 통해 전래되어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우산은 일반적으로 축과 뼈대가 금속으로 되어 있고, 방수 기능이 있는 옷감이 펼쳐지는 형태로 만들어진다.
우산은 재료와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며, 현대에는 비닐 우산이 널리 사용되지만 환경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우산은 날씨 예보의 아이콘으로 사용되며, 종교 의식이나 문화적 상징으로도 활용된다. 또한, 우산은 사회·문화적으로도 다양한 의미를 가지며, 상징성, 패션 아이템, 대중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2. 역사
우산 또는 양산과 관련된 용어는 그 기원과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양산'에 해당하는 프랑스어 parasol|파라솔프랑스어은 '막다'라는 의미의 라틴어 parare|파라레la에서 파생된 para|파라프랑스어와 '태양'을 의미하는 sol|솔프랑스어이 결합된 단어이다.[3] 마찬가지로 비를 막는다는 의미의 프랑스어 Parapluie|파라플뤼프랑스어는 para|파라프랑스어와 '비'를 뜻하는 pluie|플뤼프랑스어(라틴어 pluvia|플루비아la에서 유래)가 합쳐진 것이다. 눈을 막는다는 의미의 Paraneige|파라네주프랑스어(para|파라프랑스어 + neige|네주프랑스어, '눈')도 있다.
'우산'을 뜻하는 영어 단어 umbrella|엄브렐라영어는 '그늘' 또는 '그림자'를 의미하는 라틴어 umbra|움브라la에서 유래했으며[4],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 따르면 1611년에 처음 사용된 기록이 있다.[5][6] 영국에서는 한때 찰스 디킨스의 소설 등장인물 이름을 따 'gamp'라고 부르기도 했으나 현재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7][5] 영어권에서는 속어로 'brolly'(주로 영국, 호주 등)나 'bumbershoot'(미국식 구식 표현)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8]
우산의 역사는 고대 문명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대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고대 중국, 고대 인도 등 여러 지역에서 초기 형태의 양산이 사용되었으며, 이는 주로 햇볕을 가리거나 권위의 상징으로 쓰였다. 상세한 내용은 각 문명별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아프리카의 아샨티 제국에서는 1800년대에 이미 고위 족장들이 크고 화려한 우산을 사용했으며, 이는 축제 행렬 등에서 신분을 나타내는 중요한 도구였다.[10] 아메리카 대륙의 아즈텍 제국 수도 테노치티틀란에서는 깃털과 금으로 장식된 우산 형태의 '판틀리(pantli|판틀리nah)'를 군대의 상징으로 사용했다.[11]
미국 최초의 우산 공장은 1828년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에서 독일 이민자 프랜시스 비엘러(Francis Beehler)가 설립한 비엘러 우산 공장(Beehler Umbrella Factory)이다. 당시 미국에서는 우산이 여성적인 물건으로 여겨졌으나, 비엘러는 나무 기둥과 고래뼈 살을 이용한 우산을 만들어 새로운 시장을 개척했다. 이후 볼티모어는 오랫동안 미국 우산 산업의 중심지가 되었다.[12]
유럽에서는 고대 로마에서 사용된 우산이 중세를 거치며 주로 종교적, 왕권적 권위의 상징으로 쓰이다가, 르네상스 이후 프랑스 등을 중심으로 다시 실용적인 양산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18세기 영국인 조나스 핸웨이가 비 오는 날 우산을 대중화하는 데 기여했으며, 19세기 중반 새뮤얼 폭스(Samuel Fox)가 금속 살 우산을 발명하면서 현대적인 우산의 보급이 가속화되었다.[83]
아시아에서는 중국에서 발명된 우산이 주변국으로 전파되었으며, 특히 일본에는 백제를 통해 전래되어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었다.[82] 이후 개항과 함께 서양식 우산이 도입되어 현대적인 우산 문화로 이어졌다.[83]
2. 1. 고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양산의 증거는 기원전 2310년경 메소포타미아 아카드의 사르곤 승전비에서 발견된다.[9][13]
페르시아 제국에서는 페르세폴리스의 조각에서 양산이 반복적으로 발견되며[14], 크세르크세스 1세(기원전 485–465년)의 부조에서도 왕 뒤에 양산을 든 시종의 모습을 볼 수 있다. 타크-이 보스탄의 암각화에는 왕이 말을 타고 사슴 사냥을 하는 동안 시종이 머리 위로 우산을 받쳐 든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14]
고대 인도에서는 산스크리트어 서사시 마하바라타에 우산과 관련된 전설이 전해진다. 뛰어난 궁술가 자마다그니가 태양의 뜨거움 때문에 화살 회수가 늦어진 아내 레누카를 위해 태양에게 활을 쏘려 하자, 태양이 자비를 구하며 레누카에게 우산을 주었다는 이야기이다.[19] 또한 굽타 제국(서기 320년경) 시대의 아잔타 석굴 벽화에는 우산을 든 여인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고대 로마에서는 제정 시대에 우산이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이후 중세 가톨릭교회를 통해 유럽에 퍼졌다. 주로 군주나 성직자의 권위와 위신을 나타내는 천개(canopy)의 형태로 사용되어 단순한 비 가리개 이상의 의미를 지녔다.[83]
일본에는 삼국 시대 백제를 통해 우산이 전래되었다. 『일본서기』에는 552년 백제 성왕의 사신이 긴메이 천황에게 '번(幡)'과 함께 '개(蓋)'를 바쳤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 '개'가 우산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82] 처음에는 주로 햇볕을 가리는 양산으로 사용되었다.[82]
2. 1. 1. 고대 중국
중국에서는 우산의 발명이 전국 시대에 살았던 유명한 장인 노반의 아내에게서 비롯되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15] 일부 연구자들은 초기 우산이 큰 나뭇잎을 나뭇가지 모양의 살에 묶어 만들었을 것이라고 추측하며, 다른 이들은 오늘날까지 그 형태가 거의 변하지 않은 텐트에서 유래했을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하지만 중국에는 깃발이나 깃발이 바람에 펄럭이는 모습에서 우산의 아이디어를 얻었다는 전통적인 설명도 있으며, 이 때문에 우산은 종종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들(반드시 왕족은 아님)과 연관되었다.[15] 우산을 사용하여 신분과 사회 계급을 나타내는 관습은 북위 시대에 시작되어 명나라 때까지 이어졌다.[15] 황제가 사냥을 나갈 때 24개의 우산을 앞세우고 행진했다는 기록도 있는데, 이 경우 우산은 햇볕이 아닌 비를 막기 위한 용도였다.
약 2,400년 전의 중국 의례 서적인 『주례』에는 황제의 수레 위에 '대(蓋)'라는 것을 설치하라는 지시가 나온다. 『주례』에 묘사된 '대'의 모습과 후대 학자 麟希預중국어의 해설은 이것이 우산과 같은 구조임을 보여준다. 린히예는 이 '대'가 현대 우산의 살과 같은 28개의 아치로 이루어져 있으며, 덮개를 지탱하는 막대는 위아래 두 부분으로 나뉘어 위쪽 막대를 아래쪽 관 속으로 밀어 넣어 접을 수 있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한서』에는 접이식 우산에 대한 언급이 나오는데, 서기 21년 왕망(재위 9–23)이 의례용 사륜마차를 위해 디자인한 것에서 사용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119][16] 2세기 주석가 부전은 왕망의 마차에 달린 이 접이식 우산에는 구부러지는 관절이 있어 펴거나 접을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17] 실제로 1세기의 접이식 우산 유물이 한반도 낙랑군에 위치했던 왕광(王光)의 무덤에서 발견되기도 했다.[18] 그러나 중국의 접이식 우산은 이보다 더 오래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주나라 시대인 기원전 6세기경으로 추정되는 뤄양의 고고학 유적지에서는 파라솔이나 우산에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이는, 잠금 슬라이드와 볼트가 있는 복잡한 청동 소켓식 경첩이 발견되었다.[18]
또한, 袁天網중국어이 1270년경에 인쇄한 송나라 말기의 중국 점술 서적인 『삼가(三家)에 따른 관상, 점성술 및 조류관상 점서』(演禽斗數三世相書중국어)에는 오늘날의 중국 현대 우산과 거의 동일한 형태의 접이식 우산 그림이 실려 있다.[18]
기름을 먹인 종이로 만든 유지우산 역시 중국에서 유래했으며, 동한 시대 이후 일반 대중에게 퍼져나갔다.[15] 이후 당나라 시대를 거치며 다른 나라로 전파되기 시작했다.[15]
2. 1. 2. 메소포타미아
니네베의 조각물에서 파라솔이 자주 등장한다.[120]
2. 1. 3. 고대 이집트
고대 이집트에서는 다양한 모양의 파라솔(양산)이 발견된다. 고대 이집트 미술에서 확인되는 가장 오래된 양산은 기원전 2450년경의 제5왕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9]
이집트의 양산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데, 대표적인 것은 플라벨룸(Flabellum)이다. 이는 긴 손잡이에 야자나무 잎이나 색깔 있는 깃털을 단 부채 형태로, 오늘날 교황의 행렬 뒤에서 사용되는 것과 유사하다.[14] 이집트 연구가 가디너 윌킨슨은 에티오피아 공주가 전차를 타고 상이집트를 여행하는 모습을 묘사한 판화에서 또 다른 형태의 양산을 발견했다. 전차 중앙에 튼튼한 기둥으로 고정된 이 양산은 현대의 중국식 우산과 매우 비슷했다.[14]
윌킨슨에 따르면, 양산은 이집트 전역에서 흔히 사용되었으며, 단순한 장식품이라기보다는 실용적인 목적이 강했다. 물론 신분을 나타내는 상징이기도 했지만, 햇볕을 가리는 기능이 더 중요하게 여겨졌다.[14] 또한, 일부 사원의 벽화에는 종교적인 행렬에서 신의 형상 위에 양산을 받쳐 든 모습이 묘사되어 있어, 종교 의식에서도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14]
2. 1. 4. 고대 그리스
그리스에서 파라솔(σκιάδειον|스키아데이온grc)은 기원전 4세기 말 숙녀에게 패션의 필수품이었다.[121]
2. 2. 중세 및 근대
중국에서는 예로부터 천개(天蓋) 형태의 우산이 발달했으며, 일본에는 백제를 통해 전래되었다. 『일본서기』에 따르면, 552년 백제 성왕의 사자가 긴메이 천황에게 당번(幢幡, 불교 의식에 쓰이는 깃발)을 헌상했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것이 일본 우산 문화의 시작으로 여겨진다.[82] 처음에는 주로 햇볕을 가리는 양산으로 사용되었으나, 점차 일본 특유의 구조로 발전하면서 비를 막는 용도로도 많이 쓰이게 되었다.[82] 그러나 개항 이후 서양 문화가 유입되면서 변화가 생겼다. 요코하마 등 개항장에서는 무역상뿐 아니라 무사 계층까지 서양식으로 만든 8살 또는 16살짜리 비단 우산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 비단 우산은 오늘날 양산의 원형이며, 우산 겸용으로 사용되기도 했고 지팡이(스틱)처럼 들고 다니기도 하여 문명 개화의 상징 중 하나가 되었다.[83]
메이지 시대 중기 이후, 특히 여성용 양산은 비단에 유럽풍 술 장식을 달거나 레이스를 덧대는 등 장식성을 강조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머리를 깊게 덮는 형태의 양산은 '미인산'(美人傘)이라 불리며 고급 직물로 만들어졌다. 메이지 시대 후기부터는 파라솔이 서양식 양산으로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요코하마 개항 견문지』에는 개항장에서 여성이 파라솔을 쓰고 다니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다만 파라솔이 대중적으로 퍼진 것은 다이쇼 시대에 들어서였다.[83] 쇼와 시대 30년대(1955년~1964년)에는 양산 생산량이 일본 전통 우산을 넘어서게 되었다.[83]
유럽에서는 고대 로마 제정 시대에 등장한 우산이 중세 시대 가톨릭 교회를 통해 퍼져나갔다. 하지만 이때의 우산은 주로 군주나 성직자에게 씌워주는 천개(天蓋) 형태로, 단순한 비 가리개 이상의 권위와 위엄을 상징했다. 일반적인 의미의 우산은 오랫동안 연약한 물건으로 여겨져 기피되었다. 프랑스에 파라솔이 도입된 것은 1533년, 이탈리아 메디치 가문 출신으로 앙리 2세와 결혼한 카트린 드 메디시스 왕비에 의해서였다. 17세기에 들어서면서 우산은 상류 사회에서 점차 사용되기 시작했고, 18세기에는 양산과 함께 멋을 내기 위한 도구로 자리 잡았다. 영국에서 우산을 뜻하는 '엄브렐라'(umbrella영어)라는 단어가 정착된 것도 18세기 초의 일이다.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것과 같은 한 사람이 쓰는 형태의 서양식 우산은 18세기 중반 영국의 조나스 핸웨이(Jonas Hanway)에 의해 발명되었다. 이 우산이 상품으로 판매되기 시작한 것은 1787년이며, 19세기 초에 이르러서야 일반화되었다. 이후 1847년 영국의 새뮤얼 폭스(Samuel Fox) 사가 금속 살 우산을 발명하면서 우산은 더욱 빠르게 보급되었다.[83]
2. 3. 한국
백제를 통해 일본에 우산 문화가 전파되었다. 『일본서기』에는 백제 성왕의 사자가 552년 긴메이 천황에게 당번(幢幡)을 헌상했다는 기록이 있다.[82]
2. 3. 1. 조선시대
(작성할 내용 없음 -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 관련 정보가 부재함)
2. 3. 2. 일제강점기
(작성할 내용 없음 -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 관련 정보 부재)
2. 3. 3. 광복 이후
(내용 없음)
3. 종류
우산과 양산은 다양한 기준에 따라 종류를 나눌 수 있다.[122] 주요 분류 기준은 다음과 같다.
각 분류 기준에 따른 구체적인 종류와 특징, 그리고 우산과 양산의 역사 및 관리 방법 등은 하위 항목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3. 1. 용도에 따른 분류
우산과 양산은 주로 피하고자 하는 대상에 따라 구분된다.
우산은 기본적으로 비나 눈과 같은 강수를 피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방수 기능이 필수적이며, 크기와 형태, 재질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용하는 것 외에도 행사용, 아동용, 패션용, 골프용 등 특정 목적에 맞춰 제작되기도 한다.[122]
양산은 강한 햇볕을 가려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더위를 피하기 위해 사용된다. 방수 기능보다는 자외선 차단 기능이나 디자인 등 장식성이 중요하게 여겨진다. 일반적으로 손에 들고 사용하는 작은 크기를 의미하지만, 야외나 해변 등에서 지면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큰 크기의 양산은 보통 파라솔이라고 부른다.
3. 1. 1. 우산
우산은 비나 눈을 피하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로, 흔히 축과 뼈대가 금속으로 되어 있고 방수가 되는 옷감이 펼쳐지는 형태로 만들어진다. 가벼운 탄소 섬유 살대의 우산도 늘고 있으며, '장인의 우산'이라 불리는 수제 고급품의 축(샤프트)에는 천연 나무인 참나무 막대기가 사용되기도 한다.
우산은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나눌 수 있다.[122]
기준 | 세부 내용 |
---|---|
봉(tube)의 단수 | |
자동화 유무 | |
우산살(rib & stretcher) 길이와 개수 | |
우산살대(rib & stretcher) 재질 | |
용도 |
살대의 길이와 실제 우산의 방수 가능 지름 사이에는 대략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오차는 ±3cm 정도이다.
살대 길이(cm) | 우산 지름(cm) |
---|---|
50cm | - |
55cm | 97cm |
58cm | 102cm |
60cm | 110cm |
63cm | 113cm |
65cm | 115cm |
70cm | 120cm |
75cm | 130cm |
80cm | 135cm |
90cm | 160cm |
=== 관리 요령 ===
일반적인 우산 관리 방법은 다음과 같다.
# 보관 시에는 손잡이가 아래로, 꼭지가 위로 가게 세워둔다. 손잡이가 위로 가게 두면 빗물이 고여 살대에 녹이 생길 수 있다.
# 사용 후에는 활짝 펴서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다.
# 통풍이 잘 되는 그늘에서 말린다. 햇빛 아래에서 말리면 직사광선 때문에 방수력이 떨어질 수 있다.
# 오염된 부분은 70°C 정도의 물에 중성세제를 섞어 헝겊에 적셔 닦아낸다. 진흙 등이 묻었을 때는 물로 씻는 정도로 충분하며, 방수 소재이므로 특별히 세제로 세탁할 필요는 없다.
# 방수 스프레이를 사용하면 방수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 우산 전용인지 양산 겸용인지 확인하고 용도에 맞게 사용한다.
=== 역사 ===
미국 최초의 우산 제조 회사는 1828년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에 설립된 비엘러 우산 공장(Beehler Umbrella Factory)이다. 설립자 프랜시스 비엘러(Francis Beehler)는 독일 출신 목각사로, 미국에서 우산이 부족하다는 것을 발견하고 나무 기둥과 고래뼈 살대로 우산을 제작하여 새로운 시장을 개척했다(강철 살대 디자인은 1852년 이후 등장). 비엘러의 성공 이후 볼티모어는 오랫동안 미국의 우산 중심지로 인정받았으며, 1920년대 산업 정점기에는 7개의 우산 회사가 연간 수백만 개의 우산을 생산했다.[12]
아시아 일부 국가에서는 우산이 신분의 상징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17세기 말 샴(현 태국)에서는 왕족이나 일부 귀족만이 우산을 사용할 수 있었으며, 여러 겹의 우산은 왕만이 사용할 수 있었다. 1855년, 버마 국왕은 자신을 "동방의 모든 위대한 우산 착용 수장들을 다스리는 폐하"라고 칭하기도 했다. 태국의 왕실 장식품 중 하나인 구중 백산개도 이러한 전통과 관련이 있다.
=== 비닐 우산 ===
비닐 우산은 가격이 저렴하고 다이소나 편의점, 역 매점 등에서 쉽게 구할 수 있어 갑작스러운 비에 대처하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투명한 비닐 재질 덕분에 우산을 앞으로 기울여도 시야가 확보되어 안전하며, 이러한 이유로 아동용으로 사용되거나 TV 야외 중계 방송 시 리포터나 탤런트가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비닐 우산은 구조적으로 취약하여 쉽게 파손되는 단점이 있다. 살대 수가 적고(6~8개), 부품 결합 방식이 간이하여 강풍에 약하며, 특히 살대 변형, 젖꼭지 파손, 우산 천 박리 등이 자주 발생한다.
더 큰 문제는 분해가 어렵다는 점이다. 대부분의 비닐 우산은 부품이 강력한 접착제로 고정되어 있어 수리가 거의 불가능하며, 폐기 시 재질별 분리도 어렵다. 이로 인해 대부분 일회용으로 사용 후 그대로 버려지며, 쓰레기 처리 시설에서 문제를 일으키거나 매립되어 환경에 부담을 주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부 기업에서는 내구성을 높인 우산을 개발하거나, 재생 플라스틱을 사용하고 폐우산 부품을 재활용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현대의 우산 문화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생활 양식의 변화와 화학 섬유 개발, 대량 생산에 따른 가격 하락으로 양산(서양식 우산)이 보편화되면서, 현대에는 단순히 '우산'이라고 하면 양산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아졌다. 과거에는 우산 수리점이나 장인이 많았으나, 저렴한 외국 제품의 등장으로 우산을 수리하여 오래 사용하는 문화는 점차 줄어들었다. 하지만 여전히 개인의 취향이나 지위를 나타내는 상징으로 고가 브랜드나 주문 제작 우산을 애용하는 사람들도 있다.
기상 예보 정확도 향상으로 미리 우산을 준비하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갑작스러운 비에 대비해 집 외에 회사나 학교 등 자주 가는 장소에 우산을 두는 '놓고 쓰는 우산' 문화도 생겨났다. 테이블 등에 우산을 걸어두기 위한 우산 스토퍼나 스트랩 같은 편의 상품도 판매되고 있다.
최근에는 소형 드론을 이용해 사용자 머리 위를 따라다니며 비를 막아주는 '하늘을 나는 우산'도 고안되었다.[109]
유니코드에서는 우산 기호(☂)에 U+2602 코드 포인트가 할당되어 있다. 건물 입구에는 젖은 우산을 보관하고 다른 사람의 우산과 섞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우산꽂이가 비치된 경우가 많으며, 때로는 일회용 '우산 봉투'가 사용되기도 한다.
3. 1. 2. 양산
양산(陽傘)은 비가 아닌 강한 햇볕을 피하기 위한 우산의 일종이다. 지면에 축을 꽂아 사용하는 큰 것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양산'이라고 부르는 경우는 우산처럼 손에 들고 사용하는 작은 것을 가리킨다. 야외나 바닷가에 세워두는 큰 양산은 대개 파라솔(parasol프랑스어)이라고 부른다.
양산은 그 용도상, 방수 기능보다는 자외선(UV) 차단 및 반사 기능(UV 컷 기능)이 중시되며, 장식성을 추구한 제품도 많다. 우산과 비교해 크기가 작은 것이 일반적이지만, 큰 돔 형태의 파라솔도 등장했다. 정원 파라솔이나 마켓 엄브렐러처럼 실외의 특정 장소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도 있다. 모래 사장(해변)에서 사용되는 것은 비치 파라솔(beach umbrella영어)이라고 불리지만, beach parasol영어이라는 표현도 사용된다.[85]
단어 '파라솔'(parasol프랑스어)은 '보호하다'라는 의미의 라틴어 pararela에서 파생된 para프랑스어와 '태양'을 의미하는 sol프랑스어이 결합된 것이다.[3]
=== 역사와 문화 ===

일본에서는 덴나(天和)·조쿄(貞享) 연간(1681년~1688년)에는 어린이용이었으나, 간엔(寛延) 연간(1748년~1751년)에는 성인도 사용하게 되었다.[86] 이후 에도 막부는 양산을 사치품으로 간주하여 사치 금지령을 내리기도 했다.[87][88]
현대에서 손에 드는 양산을 사용하는 습관이 있는 곳은 주로 일본이다.[89] 19세기 프랑스에서 유행한 시기가 있었지만 이후 쇠퇴하여, 자외선 차단에 대한 관심이 비교적 적은 유럽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89] 대한민국에서는 사용하는 경우가 있지만 과거에는 노년층의 물건이라는 인식이 있었으나[89][90], 최근 젊은 층 사이에서도 사용이 확산되는 경향이 있다.[90] 프랑스에서는 당시 부채와 함께, 던져서 키스를 할 때의 소품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일본에서는 다이쇼 시대부터 쇼와 시대 초기에 걸쳐 서양 문화가 퍼지면서, 일본 전통 의상(와후쿠)에도 양산이나 클러치 백 등 서양식 복식 소품을 조합하는 것이 유행했고[91], 이후 여성용 아이템으로 일반화되었다.
과거에는 남성이 양산을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지만, 최근에는 남성들도 열사병 예방, 쿨비즈의 일환, 그리고 강한 햇볕으로 인한 피부 손상(직사광선 및 발한에 따른 피부 질환, 멜라노마 등)을 우려하여 양산을 애용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으며, 판매량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92] 2011년 7월 일본 환경성이 발표한 『열섬 현상 대책의 효과 추산 결과에 대하여』[93]에서는 "스트레스 관점에서 남녀노소 불문하고 양산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남성용 양산의 상품 개발·보급 등도 병행하여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공식적으로 언급했다. 또한 2013년 일본 신어·유행어 대상에는 '양산 남자(日傘男子)'가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오키나와현에서는 '오키나와 양산 애호회'가 활동하며 퍼레이드 등을 실시하고 있다. 2017년에는 사이타마현청에서 JUPA(일본 양산 진흥 협의회[94])의 지원으로 '양산 남자 홍보대'가 결성되어 남성용 양산 보급에 힘쓰고 있다. 1999년에 결성된 '남자도 양산을 쓰자회' 역시 환경성의 지원을 받아 보급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초등학교에서는 어린이의 열사병 예방을 위해 양산 사용을 권장하는 학교도 있는 반면, 안전사고를 우려하여 금지하는 학교도 있다.[95]
=== 재질과 특징 ===
양산은 태양으로부터 오는 열선을 섬유 안쪽에 축적하여 뒷면까지 열이 통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두꺼운 면, 마, 실크, 폴리에스터 등이 주로 사용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천에 알루미늄 코팅 등을 하여 열과 자외선의 차단율을 더욱 높인 제품도 있다. 손으로 들 때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뼈대에 경량화된 탄소 소재 등을 사용한 것도 많다.
레이스 등 구멍이 뚫린 천을 사용하는 것은 통기성을 확보하기 위함이지만, 그만큼 햇빛을 통과시키기 쉽다. 따라서 자외선 차단 가공을 한 천 위에 겹쳐 사용하는 등, 외관 디자인도 고려한 상품이 선호된다.
색상 면에서는 자외선을 잘 통과시키지 않는 검은색 계통(짙은 색)의 제품과, 열이 덜 축적되고 외관상 가벼워 보이는 흰색 계통이나 파스텔 색상의 제품이 많이 유통되고 있다.
3. 2. 재료에 따른 분류
(내용 없음)3. 2. 1. 전통 우산
우산의 발명은 전국 시대에 활동했던 노반의 아내 덕분이라는 이야기가 전해진다.[15] 일부 연구자들은 초기의 우산이 큰 나뭇잎을 나뭇가지 모양의 살에 묶어 만들었을 것으로 추측한다. 다른 이들은 오늘날까지도 그 형태가 거의 변하지 않은 텐트에서 아이디어를 얻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중국에서는 깃발과 배너가 바람에 펄럭이는 모습에서 유래했다는 전통적인 설명이 있으며, 이 때문에 우산은 종종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들(반드시 왕족은 아님)과 관련되었다. 사용자의 신분과 사회 계급을 나타내는 사회적 지표로서 우산을 사용하는 관행은 북위 시대에 시작되어 명나라 때까지 이어졌다.[15] 한 예로, 황제가 사냥을 나갈 때 24개의 우산을 앞세워 행진하기도 했는데, 이는 햇볕이 아닌 비를 막기 위한 용도였다. 중국과 일본의 전통적인 양산은 사찰 근처에서 자주 볼 수 있으며, 고대 중국의 디자인과 유사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약 2,400년 전 중국의 의례를 다룬 고대 서적인 ''주례''에는 황제의 수레 위에 '대(蓋)'라는 것을 설치하도록 지시하는 내용이 나온다. ''주례''에 묘사된 대의 모습과 후대 학자 린히예의 해설은 이것이 우산과 같은 물건임을 시사한다. 린히예는 대가 28개의 아치(현대 우산의 살과 유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덮개를 지지하는 막대는 위아래 두 부분으로 나뉘어 위쪽 막대를 아래쪽 관 속으로 밀어 넣어 접을 수 있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한서''에는 접는 우산에 대한 언급이 나오는데, 기원후 21년 왕망(9–23 재위)이 의례용 4륜 마차를 위해 디자인하면서 사용되었다고 한다.[16] 2세기 주석가 부전은 왕망의 마차에 달린 이 접는 우산에는 구부러지는 관절이 있어 펴거나 접을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17] 이후 1세기경의 것으로 추정되는 접는 우산이 한반도 낙랑군에 위치한 왕광의 무덤에서 발견되기도 했다.[18] 그러나 중국의 접는 우산은 이보다 더 오래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주나라 시대의 청동 주조품 중에는 잠금 슬라이드와 볼트가 있는 복잡한 소켓식 경첩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파라솔이나 우산에 사용되었을 수 있으며, 뤄양의 고고학 유적지에서 기원전 6세기의 것으로 추정되는 유물이다.[18]
송나라 말기인 1270년경 원 천왕(袁天網중국어)이 인쇄한 중국 점술 서적인 ''삼가(三家)에 따른 관상, 점성술 및 조류관상 점서''(演禽斗數三世相書중국어)에는 오늘날의 중국 현대 우산과 거의 동일한 모습의 접는 우산 그림이 실려 있다.[18]
유지우산 역시 중국에서 유래했으며, 동한 이후 일반 대중에게 퍼져나갔다.[15] 당나라 시기[15]에는 다른 나라로 전파되기 시작하여 일본, 말레이시아, 미얀마, 방글라데시, 인도, 스리랑카, 태국, 라오스, 베트남 등 여러 동아시아,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국가로 퍼지면서 각기 다른 특징을 지니게 되었다.

로마 제국 멸망 이후 5~6세기 동안 유럽에서는 우산과 양산이 거의 잊혔다가, 이후 몇 세기 동안 그 자취를 감췄다. 8세기부터 나머지 중세 시대 동안에는 주로 교회의 종교 의식에서 사용된 우산과 양산에 대한 다양한 묘사와 기록이 나타난다. 8세기 무렵에는 우산과 양산이 교회 내에서 명예와 상징물로 확고히 자리 잡았다. 가장 오래된 시각적 기록 중 하나는 "8세기 파비아의 주교 요한이 하인에게 우산을 받쳐 든 모습"이다. 양산에 대한 가장 오래된 문헌 증거 역시 8세기의 것으로, 교황 바오로 1세(757-767)가 평화 협정의 일환으로 보석으로 장식된 양산을 피핀 3세에게 선물했다는 기록이다.[35]

1530년 지롤라모 다이 리브리가 그린 ''마돈나 델롬브렐로''("우산의 성모")에는 성모 마리아가 큰 붉은 우산을 든 천사에 의해 보호받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이처럼 우산은 교황과 성직자의 특권으로 여겨졌다.[36]
3. 2. 2. 현대 우산
현대의 우산은 흔히 볼 수 있으며 축과 뼈대가 금속으로 되어 있고, 방수가 되는 옷감이 펼쳐지는 형태가 많다.현대 우산은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나눌 수 있다.[122]
기준 | 세부 내용 |
---|---|
봉(tube)의 단수 | |
자동화 유무 | |
우산살(rib & stretcher) | |
우산살대(rib & stretcher) 재질 | |
용도 |
살대의 길이와 실제 방수가 가능한 우산 지름의 상관관계는 아래 표와 같으며, 오차는 약 ±3cm 정도이다.
살대 길이(cm) | 우산 지름(cm) |
---|---|
50cm | |
55cm | 97cm |
58cm | 102cm |
60cm | 110cm |
63cm | 113cm |
65cm | 115cm |
70cm | 120cm |
75cm | 130cm |
80cm | 135cm |
90cm | 160cm |
'''관리 요령''' (일반 우산 기준)
- 손잡이가 아래로, 꼭지가 위로 가도록 세워서 보관한다. 반대로 두면 빗물이 고여 살대에 녹이 슬 수 있다.
- 사용한 후에는 활짝 펴서 물기를 완전히 말린다.
- 통풍이 잘 되는 그늘에서 말린다. 햇볕에 직접 말리면 방수력이 떨어질 수 있다.
- 오염된 부분은 70°C 정도의 물에 중성세제를 풀어 헝겊에 적셔 닦아낸다.
- 방수 스프레이를 뿌려주면 방수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 우산 전용인지 양산 겸용인지 확인하고 용도에 맞게 사용한다.
'''비닐 우산'''
비닐 우산은 가격이 저렴하고 다이소나 편의점 등에서 쉽게 구할 수 있어 갑작스러운 비에 대처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투명한 비닐 재질 덕분에 우산을 앞으로 기울여도 시야 확보가 용이하여 안전성이 높다. 이 때문에 아동용으로 사용되거나, TV 야외 중계 방송 등에서 리포터나 탤런트가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비닐 우산은 구조적으로 취약하여 쉽게 파손되는 단점이 있다. 살대 수가 적고(6~8개), 부품 결합 방식이 단순하여 강풍에 약하며, 특히 안쪽에서 바람을 받으면 쉽게 뒤집히거나 부러진다. 또한, 대부분의 부품이 강력한 접착제로 고정되어 있어 분해가 어렵고 수리가 거의 불가능하다. 폐기 시에도 분해가 어려워 재활용이 힘들고, 금속 부품 등이 쓰레기 처리 시설의 기계를 고장 내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로 인해 대부분 매립 처리되어 환경 문제를 유발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부 기업에서는 내구성을 높인 제품 개발, 재생 플라스틱 사용, 폐우산 부품 재활용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현대의 우산 사용'''
일본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서양식 우산(양산, 洋傘)이 빠르게 보급되었고, 화학 섬유 사용과 대량 생산으로 가격이 낮아지면서 쇼와 시대 중기에는 전통적인 일본식 우산의 생산량을 넘어섰다. 현대에는 일반적으로 '우산'이라고 하면 서양식 우산을 의미하게 되었다. 과거에는 우산을 수리해서 오래 사용하는 문화가 있었으나, 저렴한 외국산 제품의 등장으로 이러한 인식은 많이 약화되었다. 다만, 여전히 고급 주문 제작 우산이나 브랜드 우산을 애용하는 사람들도 존재하며, 일부 제조사들은 수리 서비스 강화를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려 하고 있다.
기상 예보 정확도 향상으로 미리 우산을 준비하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갑작스러운 비에 대비해 집 외에 회사나 학교 등 자주 가는 장소에 우산을 두는 '놓고 쓰는 우산' 문화도 생겨났다. 우산을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우산 스토퍼나 스트랩 같은 상품도 판매되고 있다.
최근에는 소형 드론을 이용해 사용자의 머리 위를 따라다니며 비를 막아주는 '하늘을 나는 우산'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우산도 고안되고 있다.[109]
4. 구조
우산은 일반적으로 중심 축과 여러 개의 뼈대(우산살)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뼈대 위에 방수가 되는 옷감(우산 천)이 펼쳐지는 구조이다. 우산은 크게 전체를 지탱하는 '''중봉''', 우산 천을 지탱하는 '''우산살''', 그리고 비나 햇빛을 막는 '''우산 천'''(커버)으로 구성된다.
우산은 사용 목적과 편의성에 따라 다양한 기준으로 나눌 수 있다.[122]
- 봉(tube)의 단수: 우산의 중심 봉이 몇 번 접히는지에 따라 구분된다.
- 1단 (장우산): 접히지 않는 긴 우산. 가장 튼튼하지만 휴대하기에는 부피가 크다.
- 2단 ~ 5단: 봉이 접히는 횟수에 따라 구분된다. 단수가 높을수록 접었을 때 길이가 짧아져 휴대하기 편리하지만, 구조적으로는 1단 우산보다 약할 수 있다.
- 자동화 유무: 우산을 펴고 접는 방식에 따라 구분된다.
- 수동: 우산을 펴고 접을 때 모두 손으로 우산살이 모이는 부분(러너)을 밀거나 당겨야 한다.
- 반자동: 펼 때는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펴지고, 접을 때는 수동으로 러너를 당겨 접는다. 현재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방식이다.
- 자동: 펼 때와 접을 때 모두 버튼 조작으로 가능하다. 버튼에 펼침(▲)과 접힘(▼) 표시가 함께 있는 경우가 많다.
- 용도: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가진 우산이 있다.
- 일반용: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기본적인 우산.
- 행사용: 기업 홍보나 기념품 등으로 사용되며, 로고 인쇄나 특별한 포장이 추가되기도 한다.
- 아동용: 아이들의 신체 크기에 맞게 작게 제작되며(주로 47~53cm), 만화 캐릭터 등이 인쇄된 경우가 많다.
- 패션용: 디자인을 강조한 우산으로, 주로 여성이 사용하며 화려한 그림이나 레이스 장식이 특징이다.
- 골프용: 크고(주로 75cm 이상) 가벼운 것이 특징이다. 골프 경기 중 캐디가 선수를 위해 사용하던 것에서 유래했으며, 현재는 크기가 매우 큰 우산을 통칭하는 용어로도 쓰인다.
- 파라솔: 휴대용보다는 특정 장소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대형 우산. 주로 해변이나 야외 테이블, 낚시 등에 사용된다.
우산의 각 구성 요소인 중봉, 우산살, 우산 천, 손잡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설명한다.
4. 1. 중봉
우산의 중심을 이루는 심봉으로, 중축 또는 샤프트라고도 불린다. 전통적으로는 단단함을 위해 밀도가 높은 나무를 선호하여 사용했다. 현대에도 고급 우산에는 고밀도 목재가 쓰이며, 견고성을 높이기 위해 속이 빈 관 모양의 티타늄 재질이나 탄소 섬유 복합 재질이 사용되기도 한다. 특히 접이식 우산에는 가벼우면서도 튼튼하게 만들기 위해 알루미늄 합금이나 특수 플라스틱이 주로 사용된다. 일반적인 보급형 우산에는 가격을 낮추기 위해 밀도가 높지 않은 목재나 철(스틸)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중봉은 여러 부품이 연결되는 부분이 많아, 제작이 미흡하면 연결 부위에서 삐걱거리는 소리가 나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또한 중봉이 휘어지면 우산을 부드럽게 펴고 접기 어려워진다. 우산 전체를 지탱하고 많은 부품이 연결되는 핵심 부품이므로 특히 튼튼해야 한다. 따라서 목재를 사용할 경우 시간이 지나도 변형되지 않도록 적절한 건조 및 안정화 처리와 정밀한 가공이 필요하며, 금속이나 특수 수지를 사용할 때도 정교한 가공이 요구된다. 이 때문에 중봉 제작은 우산 제조사나 장인의 기술력이 드러나는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이다.
중봉과 관련된 주요 부품은 다음과 같다.
; 석돌
: 중봉의 가장 끝부분(선단부).
; 진립
: 우산 꼭대기에서 살을 고정하는 원뿔 모양의 부품.
; 윗 로크로(노치)
: 우산살이 모여 연결되는 부분.
; 멈춤 핀(스토퍼)
: 우산을 펼쳤을 때 아래 로크로가 더 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위쪽에서 고정하는 부분.
; 윗 하지키
: 우산을 펼쳤을 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아래 로크로를 아래쪽에서 고정하는 부품.
; 아래 로크로(러너)
: 중봉을 따라 위아래로 움직이며 우산을 펴고 접는 역할을 하는 부품.
; 아래 하지키
: 우산을 접었을 때 저절로 펴지지 않도록 중봉 아래쪽, 손잡이 근처에 설치된 고정 부품.
; 옥멈춤
: 중봉과 손잡이를 연결하는 부분에 부착하는 부품.
4. 2. 우산살
우산살은 우산이나 양산의 중봉에서 뻗어 나와 우산 천(커버)을 지탱하는 구조 부분을 말한다. 크게 살(리브)과 받침대(스트레처)로 구성되며, 이 외에도 로크로, 다보 등의 부품이 있다.우산살은 길이, 개수, 재질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122]
=== 길이와 개수 ===
우산살의 길이에 따라 우산의 종류와 크기가 달라진다.
- 양산, 초미니 우산: 47cm ~ 53cm
- 삼단 우산: 55cm ~ 70cm
- 이단 우산: 58cm 이상
- 장우산: 60cm ~ 90cm
살대의 개수는 이론상 5개에서 24개까지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 8개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 개수가 적을 경우: 우산이 가벼워 휴대하기 좋지만, 상대적으로 튼튼함은 부족할 수 있다.
- 개수가 많을 경우: 우산이 튼튼하지만 무거워질 수 있으며, 봉제를 꼼꼼하게 하지 않으면 빗물이 스며들 수 있다.
=== 재질 ===
우산살대는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지며, 재질에 따라 가격과 특징이 다르다.
재질 | 색상 | 특징 | 비고 |
---|---|---|---|
니켈도금 | 은색 | 철로 만든 살대에 니켈을 도금함. | 일반적인 우산에 사용됨. |
흑살대 | 검정 | 철로 만든 살대에 검정 도료를 칠함. | 일반적인 우산에 사용됨. |
알루미늄 | 은색 | 철 살대보다 가볍지만 가격이 비쌈. | 경량 우산에 사용됨. |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FRP) | 다양 | 화이바라고도 불림. 통살로 제작되며 가볍고 견고함. 부식에 강함. | 고급 우산에 사용됨. |
탄소 (Carbon) | 검정/회색 | 탄소 섬유를 압착하여 통살로 제작함. 매우 가볍고 탄성이 좋으며 견고하고 부식에 강함. | 최고급 우산에 사용됨. |
=== 구조 및 부품 ===
- 살 (리브, Rib): 중봉 위쪽의 '상단 로크로'에서 뻗어 나와 우산 천(커버)을 직접 지탱하는 뼈대이다. 살의 끝부분을 '팁(Tip)'이라고 하며, 중봉과 연결되는 부분은 '진갓'이라는 금속 부품으로 고정된다. 우산 천을 균일하게 펴는 역할을 하며, 우산을 펼칠 때 많은 힘을 받는 부분 중 하나이다.
- 받침대 (지골, 스트레처, Stretcher): 중봉 중간 부분의 '하단 로크로'와 살(리브) 중간의 '다보'를 연결하는 지지 뼈대이다. 우산을 펼치고 접을 때 살을 밀고 당기는 역할을 한다.
- 로크로 (Runner): 중봉을 따라 움직이며 살과 받침대를 연결하는 부품이다. 살과 연결되는 부분을 '상단 로크로', 받침대와 연결되는 부분을 '하단 로크로'라고 부른다.
- 다보 (Joint): 살과 받침대가 연결되는 관절 부분이다. 우산을 펼치고 접을 때 가장 큰 힘을 받는 부분 중 하나로, 손상되기 쉬운 부위이다. 살과 받침대는 '하토메'라는 부품으로 연결되며, 다보를 보호하기 위해 천 조각을 덧댄 것을 '다보 천'이라고 한다. 다보 천은 우산 천의 마모를 줄이고, 살대가 금속일 경우 녹이 우산 천에 묻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 살대 길이와 우산 지름 ===
우산 살대의 길이는 우산을 펼쳤을 때의 실제 지름과 관련이 있다. 일반적인 상관관계는 아래 표와 같으며, 약 ±3cm 정도의 오차가 있을 수 있다.
살대 길이 (cm) | 우산 지름 (cm) |
---|---|
50cm | - |
55cm | 97cm |
58cm | 102cm |
60cm | 110cm |
63cm | 113cm |
65cm | 115cm |
70cm | 120cm |
75cm | 130cm |
80cm | 135cm |
90cm | 160cm |
=== 화산(和傘)의 우산살 ===
일본의 전통 우산인 화산은 현대의 양산과는 다른 구조의 우산살을 가진다.
- 재료: 주로 대나무를 사용하여 중봉과 살대를 만든다.
- 개수: 양산의 살대가 보통 8개인 것에 비해, 화산은 크기에 따라 수십 개의 살대가 사용된다.
- 구조: 양산이 우산 천의 장력으로 형태를 유지하는 것과 달리, 화산은 많은 수의 대나무 살대가 자체의 탄성으로 팽팽하게 당겨진 기름종이(감 떫은 즙, 아마인유, 동유 등으로 방수 처리)를 지탱하는 구조이다. 이 구조 때문에 접었을 때 우산 천 부분이 안쪽으로 자연스럽게 접힌다.
- 특징: 방수성은 뛰어나지만 무겁고, 내구성은 양산보다 약할 수 있다. 펼칠 때는 아래쪽을 향해 펼친 후 위로 들어 올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4. 3. 우산 천
우산에서 살 전체를 덮도록 꿰맨 천을 '우산 천'(커버)이라고 한다. 우산 천을 만들 때 사용하는 각 조각(패턴)은 정확한 이등변삼각형 모양이 아니라, 약간의 팽창을 주어 만든다. 이렇게 해야 우산을 펼쳤을 때 아름다운 곡선이 만들어진다. 이는 우산 제조업체나 장인의 중요한 기술 중 하나이다.양산이 널리 쓰이면서 비가 올 때도 사용할 수 있는 양산이 상품으로 나오기도 했다. 이런 제품의 천은 일반 양산보다 올이 촘촘하고 물이 잘 스며들지 않도록 만들어진다. 하지만 이는 '양산으로도 쓸 수 있는 우산'이라기보다는 '갑작스러운 비에도 쓸 수 있는 양산'에 가까우며, 디자인이나 크기는 양산을 기준으로 한다.
'양우산 겸용'이라는 말은 비와 햇빛을 모두 막을 수 있다는 오해를 살 수 있어, 일본 양산 진흥 협의회에서는 2007년 무렵부터 '양우산 겸용 파라솔'이라는 용어를 업계 표준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최근에는 우산을 기본으로 하면서 양산의 UV 컷 기능을 더한 '우산 겸용' 제품도 나오고 있다. '양우산 겸용 파라솔'과 '우산 겸용'은 비슷해 보이지만 약간의 의미 차이가 있다.
4. 4. 손잡이

손잡이는 우산을 펼치거나 들고 다닐 때 잡는 부분으로, 중봉(중축) 끝에 부착되어 있다. 영어 명칭을 사용하여 '핸들'이라고도 부른다.
일반적인 장우산의 경우, 중봉의 지름과 손잡이의 구멍 지름을 정교하게 맞추어야 한다. 손잡이는 보통 강력한 접착제로 고정하거나, 중봉과 손잡이가 모두 나무 재질일 때는 장인이 특수한 조립 처리를 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장우산의 손잡이는 개인이 쉽게 교체하기 어렵다. 반면, 접이식 우산은 손잡이가 나사 방식으로 연결된 경우가 많아 상대적으로 교체가 용이하다.
손잡이는 우산을 사용하지 않을 때도 눈에 잘 띄고, 사용할 때는 직접 손이 닿는 부분이기 때문에 디자인과 재질이 중요하게 여겨지기도 한다. 고급 우산 중에는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불에 굽거나 특수 가공을 한 고급 목재나 대나무 등을 손잡이 재질로 사용하기도 한다.
우산을 사용한 후 보관할 때는 손잡이가 아래쪽으로, 우산 꼭지가 위쪽으로 가도록 세워두는 것이 좋다. 손잡이가 위로 가도록 두면 우산 천에 남아있던 빗물이 아래로 흘러내려 중봉이나 살대에 고여 녹이 슬 수 있기 때문이다.[122]
5. 사회·문화적 의미
우산은 본래의 기능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거나, 때로는 예상치 못한 사건의 도구로 사용되기도 한다.
사진 촬영 시, 특히 인물 사진을 찍을 때 우산은 조명 장비로 유용하게 쓰인다. 안쪽 면이 반사 재질로 된 우산은 인공 조명을 부드럽게 확산시키는 반사판 역할을 하며, 빛을 가려 그늘을 만들거나 눈부심을 방지하는 데에도 사용된다.[63] 빛이 우산 천을 통과하며 확산되도록 만들어진 투과형 우산도 있다.[64]
한편, 우산은 역사적으로나 현대 사회에서 때때로 폭력적인 사건과 연관되기도 했다.
- 1978년 런던에서 불가리아 출신 반체제 작가 게오르기 마르코프가 리신 독극물이 든 작은 탄환을 발사하도록 개조된 특수 우산, 이른바 '불가리아 우산'에 찔려 암살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의 배후에는 불가리아 비밀경찰과 소련의 KGB가 연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70]
- 2005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케이프타운 대학교의 수학 교수가 이전 지도 학생에게 우산으로 폭행당해 사망하는 사건이 있었다.[71]
- 2007년 이탈리아 로마의 지하철에서 한 여성이 다른 여성과 다투던 중 우산에 눈을 찔려 사망했다.[72]
- 2019년 독일 베를린에서는 한 사제가 입에 우산이 꽂힌 채 발견되었는데, 우산이 뇌까지 관통하여 사망한 것으로 밝혀졌다.[73]
이처럼 우산은 일상적인 도구이지만, 때로는 사진 촬영 보조 도구로, 때로는 치명적인 사건의 도구로 사용되는 등 다양한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존재해왔다.
5. 1. 상징성
우산은 역사적으로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지녀왔다. 오리엔트 정교회의 일부, 예를 들어 에티오피아 정교 테와히도 교회에서는 주교와 같은 성직자나 성물에 대한 존경의 표시로 전례 중에 우산을 사용한다. 특히 팀카트 (주현절) 의식에서는 사제들이 십계명의 모형인 타보트를 머리에 이고 물가로 행진하는데, 이때 화려한 자수와 술로 장식된 전례용 양산이 타보트 위에 받쳐진다. 이러한 행렬은 다른 주요 축일에도 이루어진다. 불교에서도 우산은 존경의 상징으로 사용되어, 부처의 유물이나 조각상, 불교 경전, 그리고 비구 위에 씌워진다.우산의 사용은 약 4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고대 이집트나 페르시아 등의 조각이나 벽화에서도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제례 시 신상 위에 우산을 씌워 신의 위엄을 나타내는 상징물로 사용했다. 기원전 7세기 아시리아의 벽화에는 왕의 머리 위에 천개처럼 우산이 받쳐진 모습이 그려져 있어, 초기 우산이 권위의 상징이었음을 보여준다. 인도에서는 본래 혹서기에 귀족이나 고승들이 햇볕을 가리기 위해 사용했으며, 길상을 가져다주는 여덟 가지 물건 중 하나로 여겨지기도 했다.
유럽에서도 우산은 오랫동안 사치품이자 부와 권력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심지어 유언장에 우산의 상속자를 명시하는 경우도 있었다고 전해진다. 이는 비교적 저렴한 재료로 만들어진 일본식 우산에 익숙했던 일본인들과는 다른 시각이었다.
오늘날과 같이 접었다 펼 수 있는 우산은 13세기 이탈리아에서 처음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당시 우산의 살대는 고래 수염이나 나무로 만들어졌다. 이탈리아에서 시작된 일산(양산)은 스페인과 포르투갈로 퍼져나갔다. 프랑스에는 1533년, 피렌체의 메디치 가문 출신 카트린이 앙리 2세가 될 왕자와 결혼하면서 전해졌다고 한다. 17세기 프랑스에서는 거리에서 2층 창문을 통해 버려지는 오물(분뇨)을 피하기 위해 여성들에게 우산이 필수품이 되기도 했다.
영국에서는 18세기에 현재와 유사한 구조의 우산이 개발되었다. 처음에는 햇볕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양산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비 오는 날 우산을 쓰는 것은 일반적이지 않았고 오히려 조롱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99]. 그러나 1750년경, 자선가이자 여행가였던 조나스 핸웨이가 비 오는 날 우산을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남성들 사이에서도 우산 사용이 점차 확산되었다. 당시 남성이 우산을 쓰는 것은 여성의 옷인 페티코트를 입는 것만큼이나 기이하게 여겨졌으나, 핸웨이가 약 30년간 꾸준히 우산을 사용하면서 점차 인식이 바뀌어 비 오는 날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우산은 다양한 문화적 함의와 파생된 용어를 가지고 있다.
구분 | 내용 | 비고 |
---|---|---|
일본 속담 및 용어 | 비 안 올 때 우산 | |
일본 속담 및 용어 | 찢어진 우산은 맑은 날 우산 | 무지개 속 별은 맑은 날씨 의미 |
일본 속담 및 용어 | 봄 해 질 녘에는 우산을, 가을 해 질 녘에는 낫을 갈아라 | |
일본 용어 | 산수 (傘寿) | 80세. 우산의 약자 仐이 八十으로 풀이됨. |
일본 요괴 | 가라카사 코조 (唐傘小僧) | 낡은 우산이 변한 쓰쿠모가미. 가라카사 오바케라고도 불림. |
방송 용어 | 우산 방송 | 우천 등으로 행사 취소 시 대체 편성되는 프로그램. |
생물학 용어 | 버섯 갓 | 버섯 자실체 모양 비유. |
정치/군사 용어 | 핵우산 | 핵 보유국의 동맹국 핵 억제력 제공 비유. |
기상학 용어 | 햇빛 가리개 효과 | 구름의 햇빛 차단으로 인한 기온 저하 현상 비유. |
식물 이름 | 잎갈퀴 | 국화과 식물. |
중국 문화 | 선물 금기 (강남 지방) | 우산(傘)과 흩어지다(散) 발음 동일하여 선물 금기. |
서양 문화 | 실내 사용 금기 (이탈리아 등 지중해 연안) | 실내 우산 사용은 불행 초래 미신. |
5. 2. 패션 아이템
우산은 약 4000년 전부터 사용되었으며, 고대 이집트, 페르시아 등의 조각이나 벽화에 그 흔적이 남아 있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제례 때 신의 위엄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신상 위에 씌웠고, 기원전 7세기 아시리아 벽화에는 왕의 머리 위에 천개처럼 씌워진 모습이 그려져 있다. 인도에서는 본래 더운 날씨에 귀족이나 고승이 햇볕을 가리기 위해 사용했으며, 길상을 가져다주는 여덟 가지 물건 중 하나로 여겨졌다.고대 그리스 시대에 우산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아테네의 귀부인들이 햇빛을 가리는 용도로 시종에게 우산을 들게 하고 걷는 그림이 남아 있다. 당시의 우산은 펼쳐진 상태로 접을 수 없는 형태였다.
유럽에서도 우산은 천개에서 발전했으며, 오랫동안 사치품이자 부와 권력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유언장에 우산 상속 내용을 적는 경우도 드물지 않았다고 한다. 이러한 인식 때문에, 저렴한 재료로 만든 일본식 우산을 사용하던 일본인들과는 우산에 대한 시각이 달랐으며, 일본의 저가 비닐 우산을 보고 놀라는 유럽인도 있었다고 전해진다.
오늘날과 같은 접이식 우산은 13세기 이탈리아에서 처음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우산의 살대에는 고래 수염이나 나무를 사용했다. 이탈리아에서 만들어진 양산은 스페인과 포르투갈로 퍼져 나갔다.
프랑스에는 1533년 피렌체의 메디치 가문 출신 카트린이 앙리 왕자(훗날의 앙리 2세)와 결혼하면서 전해졌다고 한다. 17세기 프랑스에서는 거리에서 2층 창문을 통해 버려지는 오물(분뇨)을 피하기 위해 여성들에게 우산이 필수품이 되기도 했다.
영국에서는 18세기경 현재와 유사한 구조의 우산이 개발되었다. 초기에는 주로 햇볕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양산으로 개발되었으며, 비 오는 날에는 우산을 쓰는 습관이 없어 비를 맞는 경우가 많았다[99]. 한 신사가 비 오는 날 우산을 쓰고 다니다 비웃음을 샀다는 일화도 전해진다[99]. 그러나 점차 그를 따라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우산은 비 오는 날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처음에는 여성의 전유물로 여겨졌으나, 1750년경 자선가이자 여행가, 작가였던 조너스 핸웨이가 우산을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남성들에게도 널리 보급되었다. 그는 페르시아 여행 중 본 중국식 우산에서 영감을 받아 방수 처리된 우산을 쓰고 런던 거리를 다녔다고 한다. 당시 남성이 우산을 쓰는 것은 매우 기이하게 여겨졌지만, 핸웨이가 약 30년간 꾸준히 우산을 사용하면서 영국 남성들에게도 우산이 점차 익숙한 물건이 되었다.
19세기 후반 무렵부터 일본에서도 양산이 보급되기 시작했지만, 아직 서민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물건은 아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생활 양식이 서구화되고, 방수성이 높은 화학 섬유가 우산 천으로 사용되면서 대량 생산과 가격 인하가 이루어졌다. 쇼와 시대 중기에는 양산 생산량이 일본 전통 우산 생산량을 넘어섰고, 현대에는 단순히 '우산'이라고 하면 주로 양산을 의미하게 되었다.
쇼와 시대 중반까지도 수제품이나 고급 우산은 고가품이라는 인식이 남아 있어 우산 수리점이나 장인이 많았지만, 저렴한 외국 제품이 늘어나면서 우산을 수리해서 오래 사용하는 문화는 점차 사라졌다. 하지만 여전히 자신의 취향이나 지위를 나타내기 위해 주문 제작 우산이나 브랜드 우산과 같은 고가품을 애용하는 사람들도 존재한다. 일부 일본 제조사들은 충실한 수리 서비스 제공을 통해 저가 공세 속에서 차별화를 꾀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기상 예보 정확도 향상으로 미리 우산을 준비하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갑작스러운 비에 대비해 집 외에 회사나 학교 등 자주 가는 장소에 우산을 미리 놓아두는 '놓고 쓰는 우산' 문화도 생겨났다. 또한, 우산을 테이블 등에 걸어둘 수 있는 우산 스토퍼나 스트랩 같은 편의 상품도 판매되고 있다. 다만, 천연 나무나 대나무로 만든 손잡이가 달린 고급 우산의 경우, 손잡이 끝을 테이블 가장자리에 걸면 형태가 변형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5. 3. 대중문화
우산은 때로 예상치 못한 용도로 사용되기도 한다. 1835년, 찰스 랜덤 드 베렌저 남작은 저서 《생명과 재산 보호 방법》에서 우산을 강도에 맞서는 즉석 무기로 사용하는 방법을 소개했다.[65] 1897년에는 언론인 J. F. 설리번이 잡지 《루드게이트 월간》에 우산을 오해받는 무기로 묘사하는 우스개 글을 실었다.[66] 1899년에서 1902년 사이에는 바르티추라는 무술에서 우산과 지팡이를 호신술 무기로 가르치기도 했다. 1902년 1월, 영국의 신문 《데일리 미러》는 여성들에게 우산이나 양산으로 불량배로부터 자신을 방어하는 방법을 소개하는 기사를 싣기도 했다.[67][68]현대에 와서는 우산이 사회적 저항의 상징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2014년 홍콩 시위는 시위대가 경찰의 최루액과 최루탄을 막기 위해 우산을 방패처럼 사용하면서 "우산 혁명"이라는 별칭을 얻었다.[69]
일본 문화에서는 두 사람이 하나의 우산을 함께 쓰는 행위를 아이아이카사(相合傘, あいあいがさ)라고 부른다. 이는 주로 연인이나 가까운 사이의 남녀가 어깨를 맞대고 우산을 쓰는 낭만적인 모습으로 그려지며, 연애 관계를 암시하는 경우가 많다. 에도 시대 이후의 문학 작품이나 센류, 조루리 등에서 남녀 간의 친밀함을 나타내는 소재로 자주 등장했으며,[112] 지카마쓰 몬자에몬의 작품이나 싯테이 산바의 골계본 『우키요부로』 등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나쓰메 소세키의 『우미인초』나 나가이 가후의 『스미다 강』에서는 전신주나 벽에 그려진 아이아이카사 낙서가 등장하는데, 이는 연애 성취를 바라거나 커플을 놀리는 의미로 그려지곤 했다.


아이아이카사를 그리는 낙서는 간단한 이등변삼각형 모양의 우산 아래에 두 사람의 이름을 적는 형태가 일반적이며, 때로는 우산 꼭대기에 하트를 그리기도 한다. 고치현에는 에도 시대의 사랑 이야기를 바탕으로 만든 '아이아이카사 인형'이라는 향토 완구도 전해진다.
현대 일본에서는 생활 양식의 변화와 우산 제조 기술의 발달로 양산(서양식 우산)이 보편화되었으며, 저렴한 가격의 우산이 대량 생산되면서 우산을 소모품처럼 여기는 경향이 강해졌다. 하지만 여전히 고급 우산을 애용하는 사람들도 있으며, 갑작스러운 비에 대비해 집 외에 회사나 학교 등에 우산을 미리 놓아두는 '오키카사'(置き傘, 놓고 쓰는 우산) 문화도 생겨났다. 최근에는 소형 드론을 이용해 자동으로 머리 위에서 비를 막아주는 '하늘을 나는 우산'도 개발되고 있다.[109]
5. 4. 환경 문제
최근에는 중봉(중축)이나 각 살을 최소한의 강도를 만족하는 재료로 구성하고, 덮개에 비닐 시트를 사용한 "비닐 우산"이 저렴하게 판매되는 사례가 정착되어 널리 알려져 있다. 일본은 세계에서 가장 비닐 우산 소비량이 많은 국가 중 하나이다.[106] 비닐 우산은 가격이 저렴하고 편의점이나 역 매점 등에서 쉽게 구할 수 있어 갑작스러운 비에 즉시 대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환경적인 측면에서는 여러 문제를 안고 있다.비닐 우산은 구조적으로 간이하게 만들어져 본격적인 우산 제품에 비해 매우 취약하다. 각 살대의 변형, 젖꼭지 파손, 우산 천(커버)의 박리가 쉽게 일어나며, 안쪽에서 강풍을 받으면 쉽게 파손된다. 이렇게 내구성이 약해 쉽게 버려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비닐 우산은 분해가 어렵다는 심각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고급 우산은 손잡이와 중봉(중축) 등 일부 강력하게 접합된 부분을 제외하면 분해가 가능하여 수리 및 폐기 시 재질별 분별이 용이하다. 하지만 비닐 우산의 대부분은 상로크에서 진가사까지 강력한 접착제로 고정되어 있어 분해 수리가 거의 불가능하며, 폐기 시에도 금속, 플라스틱, 비닐 등 재질별 분해가 매우 어렵다. 이로 인해 비닐 우산은 대부분 일회용처럼 사용되고 그대로 폐기된다.
폐기된 비닐 우산은 환경에 부담을 준다. 스틸 부품인 각 살대의 복잡한 형태 등은 쓰레기 처리 시설의 금속 분별 과정이나 소각 과정에서 종종 처리 기기를 막히게 하여 처리 라인을 정지시키는 요인이 된다. 결국 많은 지방 자치 단체에서는 금속 부품의 재활용이나 수지 부품의 소각 처리를 제대로 하지 못하고 대부분을 무처리 상태로 매립하고 있어, 비닐 우산은 환경에 부담을 주는 폐기물로 여겨진다.
이러한 폐기물 문제를 줄이기 위해, 일부 기업에서는 가능한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내구성을 높인 우산을 개발하거나, 재생 플라스틱을 원료로 사용하고 폐기된 우산에서 회수한 부품을 재활용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편, 우산 자체의 관리 문제도 환경 문제와 연결된다. 우산은 비가 그치면 불필요하게 여겨져 쉽게 잊히는 경우가 많아, 교통 기관 등 공공장소의 분실물 중 항상 상위권을 차지하며 매년 많은 양의 분실 우산이 폐기된다. 또한 강풍에 뼈가 부러지거나 고장 난 우산이 길가에 그대로 버려지는 경우도 흔하게 발생하여 도시 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환경 문제도 심화시킨다.
6. 같이 보기
- 메리 포핀스: 마법 보모 메리 포핀스는 런던 체리 트리 레인의 뱅크스 집을 떠날 때 우산을 펼쳐 바람에 날아간다.
- 어벤저스: 1960년대 텔레비전 시리즈의 등장인물 존 스티드는 검이 달린 우산을 사용했다.
- 펭귄: DC 코믹스의 배트맨의 적으로, 기관총, 로켓 발사기, 화염 방사기, 검, 스위치 블레이드, 산 분사기, 광선총, 가스총 등 다양한 무기가 장착된 우산을 사용한다.
- 킹스맨: 시크릿 에이전트: 2015년 영화에서 해리 하트(콜린 퍼스)와 에그시 언윈(태런 에저턴)이 첨단 방탄 우산을 무기로 사용한다.
- 별의 커비: 비디오 게임 시리즈에서 주인공 커비의 카피 능력 중 하나인 '파라솔'은 양산을 무기로 사용하게 하며, 공중에서 하강 속도를 늦추는 기능도 한다.
- 포트나이트: 배틀 로얄: 비디오 게임에서 플레이어는 승리 보상으로 얻는 우산을 사용하여 배틀 아레나로 활공한다.
참조
[1]
웹사이트
En-tout-cas
https://www.merriam-[...]
2018-07-13
[2]
웹사이트
Parts of an Umbrella
http://www.umbrellam[...]
Carver Umbrellas
2007-02-28
[3]
citation
History and Etymology for ''parasol''
https://www.merriam-[...]
2021-08-27
[4]
citation
Umbrella: A History
https://www.merriam-[...]
2020-04-09
[5]
OED
umbrella, n.
[6]
OED
umbra, n.1
[7]
웹사이트
oxforddictionaries.com
https://archive.toda[...]
oxforddictionaries.com
2013-10-10
[8]
웹사이트
"WorldWideWords" – Origin of the word "Bumbershoot"
http://www.worldwide[...]
Worldwidewords.org
2002-10-13
[9]
간행물
"Parasols in the Ancient Near East"
[10]
서적
Asante Catholicism; Religious and Cultural Reproduction among the Akan of Ghana
https://books.google[...]
BRILL
1996
[11]
웹사이트
Mexico - Pre-Hispanic Flags
http://www.crwflags.[...]
[12]
서적
Baltimore, 1797-1997: Bringing Our Heritage into the 21st Century
Cherbo Pub. Group
[13]
간행물
"A Parasol from Tumulus P at Gordion"
[14]
서적
Umbrellas and Their History
https://www.gutenber[...]
Cassell, Petter, and Galpin
1871
[15]
conference
Advances in Ergonomics in Design
Springer
2020
[16]
서적
Science and Civilization in China: Volume 4, Physics and Physical Technology, Part 2: Mechanical Engineering
Caves Books, Ltd.
1986
[17]
서적
Science and Civilization in China: Volume 4, Physics and Physical Technology, Part 2: Mechanical Engineering
Caves Books, Ltd.
1986
[18]
서적
Science and Civilization in China: Volume 4, Physics and Physical Technology, Part 2: Mechanical Engineering
Caves Books, Ltd.
1986
[19]
서적
Indian Mythology
https://books.google[...]
Inner Traditions / Bear & Co
[20]
journal
From Dupljaja to Delphi: the ceremonial use of the wagon in later prehistory
https://www.academia[...]
1995
[21]
간행물
A Note on Two Mycenaean Parasol Kraters
[22]
기타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https://penelope.uch[...]
John Murray, London
[23]
간행물
"A Parasol from Tumulus P at Gordion"
[24]
LSJ
skia/deion
[25]
기타
"The Parasol: An Oriental Status-Symbol in Late Archaic and Classical Athens"
[26]
기타
Thesmophoriazusae
[27]
기타
Knights
[28]
기타
[29]
기타
fr.70 PCG apud Athenaeus
[30]
기타
Birds
[31]
기타
The taming of the aristoi – an ancient Greek civilizing process?
2014-07
[32]
서적
Archaic Greece: New Approaches and New Evidence
Classical Press of Wales
[33]
기타
[34]
웹사이트
Harry Thurston Peck, Harpers Dictionary of Classical Antiquities (1898), Sciadephoria
https://www.perseus.[...]
2022-10-09
[35]
웹사이트
A European History of the Parasol through the Sixteenth and Early Seventeenth Centuries
http://margaretroede[...]
2024-04-01
[36]
백과사전
Umbrella
https://www.britanni[...]
2024-08-01
[37]
서적
Umbrellas and their history
Elibron Classics
[38]
서적
A Geographical Account of Countries Round the Bay of Bengal, 1669 to 1679
https://archive.org/[...]
Printed for the Hakluyt Society
[39]
서적
Histoire et Dictionnaire de Paris
Robert Laffont
[40]
서적
Robinson Crusoe
Everyman's Library
[41]
웹사이트
Dipteris conjugata
https://lkcnhm.nus.e[...]
2019-09-30
[42]
간행물
The Times
1788-02-13
[43]
웹사이트
National Umbrella Day
http://thedaysofthey[...]
[44]
웹사이트
Tudta-e, hogy magyar találmány az összecsukható esernyő?
https://www.origo.hu[...]
2019-06-05
[45]
웹사이트
History
http://www.knirps.co[...]
Knirps
2011-04-16
[46]
웹사이트
Prototype umbrella
http://from.ph/10102
Powerhouse Museum, Australia
2015-04-14
[47]
웹사이트
About Us
http://www.totes-iso[...]
Totes-Isotoner Corporation
[48]
웹사이트
1987 U.S. Patent Patent number: 4760610, Patent by Bing T. Wu for Umbrella Hat
https://patents.goog[...]
2013-10-10
[49]
웹사이트
What is a golf umbrella? Conjecture Corporation, 2013
http://www.wisegeek.[...]
Wisegeek.com
2013-09-23
[50]
웹사이트
The white rose that blossoms in the rain
https://www.japantim[...]
2019-10-06
[51]
웹사이트
History of Plastic Umbrella in Japan
https://www.iromegan[...]
2011-10-17
[52]
뉴스
Thinking in the Rain: An artist takes on the umbrella
http://www.newyorker[...]
2010-04-24
[53]
웹사이트
United States Patent: 5642747 - Hand-held aerodynamic umbrella
http://patft.uspto.g[...]
[54]
웹사이트
Espacenet – Bibliographic data
http://worldwide.esp[...]
2013-11-10
[55]
웹사이트
Espacenet – Bibliographic data
http://worldwide.esp[...]
2013-11-10
[56]
Youtube
Dutch Designs at 100% Tokyo Design Expo on YouTube
https://www.youtube.[...]
[57]
웹사이트
Dossier SENZ umbrella
http://tudelft.nl/en[...]
[58]
웹사이트
Senz umbrella tested by the hosts of Good Morning America
https://abcnews.go.c[...]
[59]
뉴스
An umbrella to defeat the wind
http://www.timesonli[...]
The Times
2007-03-05
[60]
웹사이트
Contemporary parasol designs
http://ngm.nationalg[...]
National Geographic
2013-10-10
[61]
뉴스
Opnieuw designprijs voor Delftse stormparaplu
http://vorige.nrc.nl[...]
NRC Handelsblad
2008-07-21
[62]
웹사이트
Senz development
http://tudelft.nl/en[...]
[63]
웹사이트
Diffusers & Reflectors - soft lighting usually the best lighting
http://www.graphic-d[...]
[64]
웹사이트
Rethinking the Umbrella
http://strobist.blog[...]
[65]
서적
Helps and hints how to protect life and property. [Followed by] Particulars and recommendations of the Stadium, or British national arena for manly and defensive exercises
https://books.google[...]
1835
[66]
간행물
A Misunderstood Weapon
https://books.google[...]
1897
[67]
웹사이트
HISTORY OF THE UMBRELLA
https://www.umbrella[...]
2023-04-23
[68]
웹사이트
Self-Defence With An Umbrella (Daily Mirror, Jan. 9 1902)
http://bartitsuclubo[...]
2021-03-10
[69]
웹사이트
Images of Hong Kong's 'Umbrella Revolution' Tell a Story
http://sinosphere.bl[...]
2014-10-04
[70]
뉴스
Detectives on the trail of defector's poison umbrella assassin
http://www.thefreeli[...]
2008-06-21
[71]
뉴스
UCT prof dies of injuries
http://www.news24.co[...]
2005-02-05
[72]
웹사이트
Omicidio in metro a Roma: Matei ottiene affidamento a servizi sociali
https://roma.corrier[...]
2017-01-28
[73]
웹사이트
Killer rammed umbrella into priest's mouth piercing brain in horrific attack
https://www.mirror.c[...]
2019-04-12
[74]
웹사이트
"Schirmkonstruktionen von Frei Otto - Arch+"
http://www.archplus.[...]
2013-12-03
[75]
서적
Frei Otto. Das Gesamtwerk: Leicht Bauen Natürlich Gestalten
2005
[76]
웹사이트
SL-RASCH – Special and Lightweight Structures
http://www.sl-rasch.[...]
Institute for Scientific Architecture
[77]
웹사이트
The Stuttgart School of Building Design
http://www.structure[...]
2014-03-27
[78]
웹사이트
AD Classics: Centre Le Corbusier (Heidi Weber Museum) / Le Corbusier
http://www.archdaily[...]
archdaily.com
2013-01-24
[79]
문서
大辞林
三省堂
[80]
뉴스
【なるほど!ルーツ調査隊】ビニール傘、もとは布傘カバー テーブルクロス材料ヒントに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2-06-27
[81]
웹사이트
手傘(てがさ)とは? 意味・読み方・使い方をわかりやすく解説 - goo国語辞書
https://dictionary.g[...]
2024-03-19
[82]
문서
日本大百科全書
小学館
[83]
웹사이트
傘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84]
웹사이트
再考「こうもり傘」について
https://www.kasaya.c[...]
[85]
문서
日本の多くの辞書では[[和製英語]]とされているが、[[英語版ウィキペディア]]の umbrella には [[:en:beach parasol|beach parasol]] でもリダイレクトが貼られ、また図版の説明文にも用いられている。
[86]
웹사이트
石元明 著『近世日本履物史の研究』,雄山閣出版,1963.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87]
웹사이트
たまにではあるが、街で日傘を差している男性を見掛ける…
https://www.nishinip[...]
[88]
웹사이트
余録:江戸幕府は実にこまごまと暮らしの統制をしたもので…
https://mainichi.jp/[...]
[89]
뉴스
日傘さす女性は日本だけ!? 中国や韓国など訪日9カ国女性が「使わない」ワケ…アンケートでも「驚き」1位
https://www.sankei.c[...]
産業経済新聞社
2016-07-20
[90]
뉴스
【NOW!ソウル】夏のソウルで日傘韓国女子が急増中!
http://japanese.join[...]
中央日報
2016-07-21
[91]
서적
昭和のキモノ
河出書房新社
2006-05-30
[92]
뉴스
"男の日傘:クールに決める…熱中症対策、売れ行き好調"
http://mainichi.jp/s[...]
毎日新聞
2013-08-07
[93]
간행물
ヒートアイランド現象に対する適応策の効果の試算結果について
www.env.go.jp/press/[...]
2011-08-24
[94]
웹사이트
日本洋傘振興協議会
http://www.jupa.gr.j[...]
[95]
뉴스
日傘NGなぜ?小学校 人への危害を恐れ/保護者 熱中症避けたいのに…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2-09-02
[96]
웹사이트
長野県商工会連合会 公式サイト 「信州我が市町村、日本一自慢」
https://web.archive.[...]
2005-12-28
[97]
웹사이트
和傘工房・朱夏 公式サイト
http://www1.bbiq.jp/[...]
[98]
웹사이트
雑貨工業品品質表示規程
http://www.caa.go.jp[...]
消費者庁
[99]
웹사이트
傘物語
http://www.hakata-ka[...]
[100]
뉴스
古い歴史を更に新しく飾った仙女香 : 洋傘界流行の先駆者
url
万朝報
1919-05-10
[101]
뉴스
対清貿易影響 [(2〜4)]
url
大阪朝日新聞
1911-11-14
[102]
뉴스
日印貿易の大勢
url
大阪毎日新聞
1912-10-22
[103]
뉴스
비닐우산 "일회용하지 않는다" 부서지기 어렵고 오래*가방이나 모자에 재이용
読売新聞
2022-07-09
[104]
웹사이트
長傘(ナガガサ)とは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105]
웹사이트
洋傘の歴史
http://www.jupa.gr.j[...]
日本洋傘振興協議会
[106]
간행물
ビニール傘の消費量世界一No.1の日本。傘をシェアするサービス「アイカサ」渋谷の企業オフィスに無料導入を開始!
http://smoo.jp/2019/[...]
Smooth Life Magazine スムースライフマガジン
[107]
뉴스
【昭和史再訪】ビニール傘誕生
2011-10-08
[108]
방송
噂の!東京マガジン
TBS
2009-11-08
[109]
뉴스
もう持たなくていい 飛ぶ傘が日本で開発 - Sputnik 日本
https://sputniknews.[...]
[110]
뉴스
貸し傘に企業広告/久我山など7駅で5社/京王電鉄が試み
朝日新聞社
2003-11-30
[111]
뉴스
News Up 傘、どちらに向けて持ってます?
https://www3.nhk.or.[...]
NHK
[112]
논문
相合傘図様の生成 ─菱川師宣『やまとゑの根元』まで時代を遡りながら考える─
美術史學會
2014-03
[113]
서적
日本庶民文化史料集成 第五巻
三一書房
1976
[114]
웹사이트
『相合傘』と『貸し傘』
http://www.kasaya.co[...]
洋がさタイムズ
2008-05-12
[115]
웹사이트
図書カード:No.1809『寛永相合傘』
https://www.aozora.g[...]
青空文庫
2008-05-12
[116]
웹사이트
連載・日本語塾
http://www.nikkoku.n[...]
日国フォーラム
2008-05-12
[117]
웹사이트
Men's Fashion Brand NAVI
http://mensbrand.ras[...]
2019-01-03
[118]
웹사이트
Parts of an Umbrella
http://www.umbrellam[...]
Carver Umbrellas
2017-07-24
[119]
서적
Science and Civilization in China: Volume 4, Physics and Physical Technology, Part 2: Mechanical Engineering
Caves Books, Ltd.
1986
[120]
서적
Umbrellas and Their History
http://www.gutenberg[...]
Cassell, Petter, and Galpin
1871
[121]
논문
The Parasol: An Oriental Status-Symbol in Late Archaic and Classical Athens
1992
[122]
뉴스
우산의 종류(분류,2단우산이란,3단우산이란)-발렌티노루디우산 (KC품질안전규격1등급합격인증업체)
http://blog.daum.net[...]
(주)우산애
2018-07-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