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존 포스터 덜레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포스터 덜레스는 1888년 장로교 목사의 아들로 태어나 국제법 전문가, 외교관, 정치인으로 활동했다. 그는 프린스턴 대학교를 졸업하고 변호사로 활동하며 제1차 세계 대전과 베르사유 조약 체결에 참여했다. 1940년대에는 토머스 듀이의 외교 고문을 역임하고 유엔 헌장 초안 작성에 기여했으며, 상원의원을 거쳐 아이젠하워 행정부에서 국무장관을 지냈다. 국무장관 재임 기간 중 반공 정책과 군사 동맹 강화를 추진했으며, 이란과 과테말라 쿠데타를 지원했다. 덜레스는 벼랑 끝 전술을 주창하고, 중립주의를 비판하며 비동맹 국가들과 갈등을 빚기도 했다. 한국 전쟁 당시 한국 해협 중립화 정책을 펼쳤고,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체결을 주도했다. 1959년 암으로 사망했으며, 워싱턴 덜레스 국제공항 등 그의 이름을 딴 시설들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각료 - 리처드 닉슨
    리처드 닉슨은 제37대 미국 대통령으로, 외교 정책, 워터게이트 사건, 그리고 사임이라는 상반된 유산을 남겼다.
  •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각료 - 크리스천 허터
    크리스천 허터는 역사를 거쳐 발전해 왔으며 사회적 영향과 윤리적 고려 사항을 가지는 주제에 대한 내용을 다루는 문서이다.
  • 워싱턴 D.C.의 정치인 - 더럼 스티븐스
    더럼 스티븐스는 미국의 외교관으로, 주일 미국 공사관 서기관으로 외교관 생활을 시작하여 일본 외무성에서 일했으며, 대한제국 외부 고문으로 친일 행보를 보이다가 샌프란시스코에서 재미 한인에게 피격되어 사망, 한국 역사에서 비판받는 인물이다.
  • 워싱턴 D.C.의 정치인 - 알레한드로 마요르카스
    알레한드로 마요르카스는 바이든 행정부의 국토안보부 장관으로서 이민 정책을 총괄하며 미국-멕시코 국경 문제, 불법 이민, 국내 테러리즘 등 주요 현안에 직면해 있고, 그의 정책은 이념적 분열 속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 뉴욕주의 연방 상원의원 - 힐러리 클린턴
    힐러리 클린턴은 미국의 정치인이자 변호사로, 아칸소주 영부인, 미국의 영부인, 뉴욕주 연방 상원의원, 국무장관을 역임했으며,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출마했다.
  • 뉴욕주의 연방 상원의원 - 척 슈머
    척 슈머는 뉴욕주 출신 미국 상원의원으로, 하원의원을 거쳐 1999년부터 상원의원으로 활동하며 2017년부터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를 맡고 있고, 소비자 보호, 선거 개혁, 건강 관리, 망 중립성 등 진보적인 입장을 견지하는 정치인이다.
존 포스터 덜레스 - [인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존 포스터 덜레스
원어 이름John Foster Dulles
출생일1888년 2월 25일
출생지워싱턴 D.C.
사망일1959년 5월 24일
사망지워싱턴 D.C.
안장지알링턴 국립묘지
서명[[파일:Dulles signature vectorized.svg|서명]]
정치
소속 정당공화당
직책국무 장관
임기 시작1953년 1월 26일
임기 종료1959년 4월 22일
대통령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전임자딘 애치슨
후임자크리스천 허터
임명자토마스 E. 듀이
임기 시작일1949년 7월 7일
임기 종료일1949년 11월 8일
전임 의원로버트 F. 와그너
후임 의원허버트 H. 리먼
가족
배우자재닛 포머로이 에이버리
자녀존 왓슨
릴리아스
에이버리
친척덜레스 가족
학력
대학교프린스턴 대학교 (BA)
대학원조지 워싱턴 대학교 (LLB)
군사 복무
소속 국가미국
군종미국 육군
계급소령
복무 기간1917년 – 1919년
참전 전투제1차 세계 대전
기타
1949년경 덜레스
이미지
이미지
발음

2. 어린 시절

워싱턴 D.C.에서 1888년 2월 25일 태어났다.[62] 아버지는 장로교 목사인 앨런 메이시 덜레스였고, 어머니는 에디스 포스터였다. 그는 다섯 자녀 중 맏이였다.[1][2][3] 그의 외할아버지 존 W. 포스터는 벤저민 해리슨 행정부에서 국무장관을 지냈으며, 덜레스와 훗날 중앙정보국 국장이 되는 동생 앨런 덜레스를 매우 아꼈다. 친할아버지인 존 웰시 덜레스는 인도에서 장로교 선교사로 활동했다.

덜레스 형제는 뉴욕주 워터타운에서 자랐으며, 여름에는 인근 헨더슨에서 외할아버지(존 W. 포스터)와 함께 시간을 보냈다. 부모는 공교육을 불신하여 초기에는 가정교육을 받았다.[1][2][3]

덜레스는 프린스턴 대학교에 입학하여 1908년 파이 베타 카파 회원으로 졸업했다.[4][5][62] 프린스턴 재학 시절에는 미국 휘그-클리오소픽 협회 토론팀에서 활동했으며, 유니버시티 코티지 클럽 회원이었다.[4][5] 이후 워싱턴 D.C.에 있는 조지 워싱턴 대학교 로스쿨에 진학했다.

3. 초기 경력

1888년 2월 25일 워싱턴 D.C.에서 장로교 목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프린스턴 대학교조지 워싱턴 대학교 로스쿨을 졸업하고 변호사가 되어 뉴욕의 로펌 설리번 앤드 크롬웰(Sullivan & Cromwell)에서 국제법 전문가로 활동을 시작했다.[6][62]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시력 문제로 입대하지 못하고 전시 산업 위원회에서 일했으며, 국무장관이었던 삼촌 로버트 랜싱을 도와 중앙아메리카에서 외교 활동을 경험했다.[7][8]

1918년 베르사유 평화 회의에 미국 대표단 법률 고문으로 참여하며 본격적인 외교 경력을 시작했고, 이후 전쟁 배상 위원회에서도 활동했다. 전후에는 설리번 앤드 크롬웰의 파트너로서 국제 금융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이 시기 로펌의 나치 독일 관련 업무는 이후 논란이 되기도 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참조) 또한 독실한 신자로서 국제 종교 회의에 참여하고, 1924년 해리 에머슨 포스딕 목사 변호를 맡는 등 종교 활동에도 관여했다.

1940년대 들어 정치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시작했다. 1944년 토머스 E. 듀이 공화당 대선 후보의 외교 고문을 맡았고, 교회 연방 회의 위원회 의장으로서 유엔 창설 논의에 기여했다. 1945년 샌프란시스코 회의에서 유엔 헌장 초안 작성에 참여했으며, 이후 여러 차례 유엔 총회에 미국 대표로 참석했다. 1949년에는 잠시 뉴욕주 연방 상원의원을 지냈다.

1950년에는 미국의 봉쇄 정책을 비판하고 동구권 '해방'을 주장하는 저서 《전쟁 아니면 평화》(War or Peaceeng)를 출간했다. 같은 해 6월 국무부 고문 자격으로 대한민국을 방문하여 대한민국 제2대 국회 개원식 참석 및 38선 시찰 등 한국 전쟁 직전 한반도 상황과 관련된 행보를 보였다.[89][90]

1953년 1월,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에 의해 국무장관으로 임명되었다.

3. 1. 제1차 세계 대전과 베르사유 조약

1914년 7월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미국 육군에 자원했으나, 시력이 나빠 입대가 거절되었다. 대신 전쟁산업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며 군수 물자 조달 업무에 종사했다. 1915년에는 당시 국무장관이었던 삼촌 로버트 랜싱과 함께 니카라과, 코스타리카, 파나마를 방문했다. 이 방문은 표면적으로는 로펌 설리번 앤드 크롬웰의 업무 시찰이었으나, 실제 목적은 독일 제국에 대항하기 위한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과의 협력이었다. 덜레스는 반독일 성향의 코스타리카 페데리코 티노코 대통령을 지지하고, 친독일 성향의 니카라과 에밀리아노 차모로 대통령에게 독일과의 외교 관계 단절을 압박할 것을 제안했다. 또한 파나마에는 독일에 선전포고를 하면 파나마 운하 연간 사용료를 면제해주겠다고 제안하기도 했다.

1918년 우드로 윌슨 대통령은 덜레스를 베르사유 평화 회의에 파견될 미국 대표단의 법률 고문으로 임명했고, 그는 삼촌인 국무장관 로버트 랜싱 아래에서 일했다. 덜레스는 젊은 외교관으로서 일찍부터 두각을 나타냈다. 일부 기록에 따르면 그는 독일 제국에 과도한 전쟁 배상금을 부과하는 것에 명확하고 강력하게 반대했다고 하나,[9] 다른 기록에서는 독일의 배상금 지급 의무를 수십 년간 지속시켜 향후 독일의 적대 행위를 막는 수단으로 삼으려 했다고도 전해진다. 이후 덜레스는 윌슨 대통령의 요청으로 전쟁 배상 위원회의 위원으로도 활동했다.

1919년 1월 열린 파리 강화 회의에 미국 대표단 법률 고문으로 참가했으며, 같은 해 6월 체결된 베르사유 조약의 핵심 조항 중 하나인 베르사유 조약 제231조(전쟁 책임 조항) 작성에 노먼 데이비스와 함께 참여했다.

덜레스(오른쪽)와 엘리너 루스벨트(왼쪽)가 파리 유엔 총회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전후에는 1918년 설립된 자유국가 연맹 협회(1923년 이후 외교 정책 협회로 개칭)의 초창기 회원이 되어, 엘리너 루즈벨트와 함께 국제 연맹 창설과 미국의 가입을 지지했다.[9] 비록 독일에 대한 강력한 배상 요구 입장을 견지하기도 했지만, 이후 미국의 자본을 독일에 투입하는 도스 계획 수립에 참여했다. 이 계획을 통해 독일은 경제 회복의 발판을 마련하고, 영국프랑스는 독일로부터 받은 배상금으로 미국에 대한 전쟁 채무를 상환할 수 있었다.

3. 2. 다우에스 계획과 종교 활동

설리번 앤드 크롬웰(Sullivan & Cromwell)의 파트너로서, 덜레스는 그의 고조부 존 W. 포스터의 전문성을 이어받아 국제 금융 분야를 전문으로 다루었다. 그는 독일배상금 지급 부담을 줄이고 미국 기업이 독일 국가 및 민간 기업에 자금을 대출하는 방식으로 배상 문제를 일시적으로 해결한 다우에스 계획 설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0] 이 타협안에 따라 미국 자본이 독일에 투자되었고, 이 자금은 영국프랑스에 배상금으로 지급되었으며, 이들 국가는 다시 이 돈으로 미국으로부터 빌린 전쟁 차관을 상환하는 데 사용했다. 1920년대에 덜레스는 이러한 대독일 대출 중 약 10억달러 규모의 거래 설정에 관여했다.[10]

1938년 상하이 방문 당시 덜레스의 풍자화


그러나 1929년 주식 시장 대폭락 이후 국제 대출 중개 업무는 크게 위축되었고, 1931년부터 독일은 일부 예정된 배상금 지급을 중단했다. 1934년에는 독일이 덜레스가 중개했던 유형의 민간 부채 상환마저 일방적으로 중단했다.[11] 나치당이 집권한 후, 설리번 앤드 크롬웰은 나치 독일과의 사업 관계를 통해 이익을 얻었으며, 덜레스가 아돌프 히틀러에게 동정적이었다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다. 스티븐 킨저의 주장에 따르면, 덜레스는 로펌의 베를린 사무소 직원들에게 발송 우편물 말미에 "하일 히틀러" 서명을 요구하기도 했다고 한다.[11] 하지만 로펌 내 다른 파트너들은 나치의 활동에 점차 우려를 표명했고, 덜레스에게 독일과의 관계를 끊도록 압력을 가했다.[11][12][13] 결국 덜레스는 1935년 설리번 앤드 크롬웰의 베를린 사무소를 폐쇄하고 나치 독일과의 모든 업무 관계를 청산했다.[11][63][64] 이후 그는 종교 평화 운동과 고립주의 운동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금융 관련 업무는 그의 동생인 앨런 덜레스가 주로 맡게 되었다.[12][13][63][64]

덜레스는 독실한 장로교 신자로, 1920년대와 1930년대에 걸쳐 여러 국제 교회 지도자 회의에 참석했다.[14] 특히 1924년에는 자유주의 신학자로 알려진 침례교 목사 해리 에머슨 포스딕이 그의 교파 내 보수주의자들로부터 이단 혐의로 고발당했을 때, 교회 재판에서 포스딕의 변호인을 맡았다.[14] 이 재판은 성경 해석과 새로운 신학 방법론을 둘러싼 당시 기독교계의 근본주의-현대주의 논쟁의 연장선상에 있는 사건이었다.[14] 사건은 포스딕 목사가 자신이 정식으로 소속되지 않았던 장로교회 강단에서 사임하는 것으로 마무리되었다.[14]

3. 3. 나치 독일과의 관계 단절

덜레스는 국제적 로펌 설리번 앤드 크롬웰에서 파트너로 일했다. 스티븐 킨저가 2006년에 쓴 저서 《Overthrow|타도eng》에 따르면, 이 로펌은 나치 정권과 사업을 하며 이익을 얻었고, 덜레스는 1934년까지 아돌프 히틀러의 매우 공개적인 지지자였다고 한다. 하지만 로펌의 다른 파트너들은 나치의 활동에 경악했고, 덜레스에게 나치 정권과의 관계를 정리하지 않으면 반발하겠다고 위협했다. 결국 1935년 덜레스는 설리번 앤드 크롬웰의 베를린 사무소를 폐쇄했다. 이후 그는 1934년을 기점으로 나치 독일과의 연관성을 축소하여 자신의 평판을 관리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4. 정치 경력

1918년 우드로 윌슨 대통령에 의해 베르사유 평화 회의 미국 사절단의 법률 고문으로 임명되어, 당시 국무장관이었던 삼촌 로버트 랜싱 아래에서 활동했다. 그는 독일 제국에 대한 과도한 배상금 부과에 반대하는 명확한 주장을 펼쳐 젊은 외교관으로서 주목받았으며, 이후 윌슨 대통령의 요청으로 전쟁 배상 위원회에서도 활동했다. 신앙심이 깊었던 그는 1920년대와 1930년대에 다수의 국제 신자 회의에 참석했고, 1924년에는 이단으로 고발된 해리 에머슨 포스딕 목사의 변호를 맡기도 했다.

덜레스는 국제 로펌 설리번 앤드 크롬웰의 파트너로도 활동했다. 스티븐 킨저의 2006년 저서 《타도》에 따르면, 이 로펌은 나치 정권과의 거래로 이익을 얻었으며, 덜레스는 1934년까지 아돌프 히틀러를 공개적으로 지지했다고 한다. 그러나 로펌의 다른 파트너들이 나치의 활동에 경악하며 반발하자, 덜레스는 1935년 설리번 앤드 크롬웰의 베를린 사무소를 폐쇄했다. 이후 그는 나치 독일과의 관계를 1934년에 끝낸 것으로 정리하며 자신의 평판을 관리하려 했다는 평가가 있다.

그는 1944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공화당 후보였던 뉴욕주지사 토머스 E. 듀이의 가까운 제휴자이자 외교 고문으로 활동했으며,[65] 이후 유엔 창설 논의와 초기 활동에도 참여했다.[16][65] 1949년에는 잠시 뉴욕주를 대표하는 연방 상원의원으로 임명되었으나 보궐선거에서 패배했다.[20] 1950년에는 해리 S. 트루먼 행정부의 봉쇄 정책을 비판하고 '해방' 정책을 주장하는 저서 《War or Peace|전쟁이냐 평화냐eng》를 출간했으며,[21] 국무장관 고문 자격으로 한국 전쟁 직전 대한민국을 방문하기도 했다.[89][90]

1953년 1월,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덜레스를 국무장관으로 임명했다.

4. 1. 토머스 E. 듀이의 외교 고문

덜레스는 저명한 공화당원으로, 1944년1948년 공화당 대통령 후보였던 뉴욕주지사 토머스 E. 듀이의 가까운 제휴자이자 수석 외교 정책 고문이었다.[16][65] 특히 1944년 선거 운동 기간에는 팔레스타인의 영국 위임통치령에 유대인 국가 건설을 요구하는 공화당 강령을 입안하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했다.[16][65]

4. 2. 유엔 활동과 상원의원 임명

1944년, 덜레스는 교회 연방 회의가 설립한 '정의롭고 튼튼한 평화의 기지 연구위원회' 의장을 맡아, 훗날 유엔 창설로 이어지는 국제기구 설립 논의에 기여했다. 1945년에는 샌프란시스코 회의에 아서 H. 밴덴버그의 고문으로 참석하여 유엔 헌장 서문 초안 작성에 참여했다.[16][65] 이후 1946년, 1947년, 1950년에는 미국 대표로 유엔 총회에 참석했다.[16][65]

덜레스는 미국의 일본 원자폭탄 투하에 강하게 반대했으며, 초기에는 유엔의 관리하에 핵에너지를 국제적으로 통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7][66] 그는 원자력의 무기화가 인류의 파멸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17] 그러나 베를린 봉쇄, 소비에트 연방의 원자폭탄 개발, 한국 전쟁 발발 등을 겪으며 공산주의 진영의 팽창을 경계하게 되었고, 핵 문제에 대한 그의 시각도 점차 변화했다.[18][67]

1949년 7월 7일, 토머스 E. 듀이 뉴욕주지사는 건강 문제로 사임한 민주당 소속 로버트 F. 와그너 상원의원의 후임으로 공화당원인 덜레스를 미국 상원 의원으로 임명했다.[20] 덜레스는 같은 해 11월 8일까지 상원의원으로 활동했으나, 이어진 보궐선거에서 민주당의 허버트 H. 레먼에게 패배하여 정식 임기를 채우지는 못했다.[20]

1950년 6월에는 국무장관 고문 자격으로 대한민국을 방문하여 대한민국 제2대 국회 개원식에 참석하고(19일) 38도선을 시찰(20일)하기도 했다.[89][90] 같은 해, 덜레스는 당시 해리 S. 트루먼 행정부의 봉쇄 정책을 비판하고 '해방' 정책을 대안으로 제시하는 내용의 저서 《War or Peace|워 오어 피스eng》를 출간했다.[21] 이는 그가 이후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행정부에서 미국 국무장관으로 활동하며 추진할 외교 정책의 방향을 예고하는 것이었다.

4. 3. 트루먼 행정부의 국무장관 고문

1949년 7월 7일, 민주당 소속 로버트 F. 와그너 상원의원의 사임으로 공석이 된 뉴욕주 연방 상원의원에 공화당 소속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같은 해 11월 8일에 열린 특별 선거에서 허버트 리먼에게 패배하여 짧은 상원의원 활동을 마감했다.

1950년 4월 6일, 해리 S. 트루먼 행정부의 딘 애치슨 국무장관 아래에서 국무장관 고문으로 임명되어 외교 정책에 깊이 관여하기 시작했다.[69] 같은 해, 그는 트루먼 행정부의 봉쇄 정책을 비판하는 저서 War or Peace|전쟁이냐 평화냐eng를 출간하며 주목받았다. 이 책에서 덜레스는 기존의 소극적인 봉쇄 정책 대신, 공산주의 세력을 적극적으로 밀어내는 '압박 정책(Rollback)'을 주장했다. 이는 냉전 시기 미국의 대외 정책 방향에 대한 중요한 대안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받는다.[19] 공화당의 유력 인사로서 민주당 행정부의 정책에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하면서도, 덜레스는 트루먼 대통령의 신임을 얻어 특히 일본 점령 종식과 같은 중요한 문제에 대해 자문 역할을 수행했다.[22]

1950년 6월, 덜레스는 국무장관 고문 자격으로 한국을 방문했다. 6월 19일에는 대한민국 제2대 국회 개원식에 참석했고,[89] 다음 날인 6월 20일에는 38도선을 시찰했다.[90][70] 그의 방한 직후인 6월 25일 한국 전쟁이 발발했다. 전쟁 발발 후 덜레스는 유엔 총회에 미국 대표로 참석하여 활동했으며, 11월 3일에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기능이 마비될 경우 총회가 평화 유지를 위한 집단적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평화를 위한 결집 결의(Uniting for Peace Resolution, 유엔 총회 결의 377호) 채택을 주도했다.

덜레스는 트루먼 행정부의 대일 강화 정책을 이끌며 1951년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체결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이 조약을 통해 미국의 일본 점령을 공식적으로 종식시키는 동시에, 일본을 냉전 구도 하에서 미국의 핵심 동맹국으로 편입시키고자 했다. 이를 위해 그는 미국-일본 안보 조약 체결을 강력히 추진하여, 일본 영토 내 미군 기지의 영구적인 주둔을 가능하게 만들었다.[23][72] 덜레스는 일본의 재무장을 통해 서방 진영의 군사력을 강화하려 했지만, 동시에 과거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적국이었던 일본에 대한 불신을 완전히 거두지 못했다. 존 다우어(John Dower)에 따르면, 덜레스는 일본이 미국과의 동맹 이면에서 중화인민공화국과 비밀리에 협력할 가능성을 경계했으며, 이러한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해 미일 안보 조약을 통해 일본을 군사적으로 미국에 종속시키는 구조를 만들었다고 평가했다.[73]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체결 과정에서 한국의 이승만 정부는 1949년부터 조약 서명국 참여를 존 조셉 무치오 주한 미국 대사를 통해 미국 측에 요구했다. 1951년 7월 19일, 양유찬 주미 한국 대사는 미국 측에 제출한 의견서를 통해 독도가 한국 영토임을 명시하며 조약 참여 의사를 재차 밝혔으나,[71] 영국 등의 반대로 인해 덜레스는 같은 날 양 대사에게 한국의 조약 서명국 참여가 불가능함을 통보했다.

같은 해, 덜레스는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와의 상호 방위 조약인 ANZUS 조약 체결에도 기여했다. 1951년 9월 8일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과 미일 안보 조약에 서명하며 전후 동아시아 질서 재편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58][59][60][61] 그의 이러한 활동들은 강력한 반공주의 신념에 기반한 것이었으며, 냉전 시대 미국의 외교 정책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5. 국무장관 재임

1953년 1월 20일, 아이젠하워가 대통령에 취임하면서 덜레스는 국무장관으로 임명되었다. 그의 국무장관 재임 기간은 냉전이 심화되던 시기로, 특히 소련을 중심으로 한 공산주의 진영과의 강경한 대립으로 특징지어진다. 덜레스는 공산주의를 "신 없는 테러"라고 부르며 강력히 반대했으며,[28] 군사력 증강과 동맹 체결(소위 팩토마니아)을 통한 봉쇄 정책을 핵심 전략으로 삼았다.

덜레스는 핵무기를 포함한 압도적인 군사력을 바탕으로 공산 진영의 도발에 즉각적이고 강력하게 보복한다는 대규모 보복 전략과, 전쟁 직전까지 가는 위험을 감수하며 상대를 압박하는 벼랑끝 전술의 주요 주창자였다. 그는 ''라이프'' 잡지 인터뷰에서 벼랑 끝 전술을 "전쟁에 돌입하지 않고 벼랑 끝까지 갈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한 기술이다"라고 설명하기도 했다.[29][79] 이러한 그의 강경 노선은 공산권 국가들과의 관계를 악화시키고 냉전의 긴장을 더욱 고조시킨다는 비판을 받았다.

국무장관으로서 덜레스는 소련의 확장을 억제하기 위한 군사 동맹 체제 강화에 주력했다. 그는 NATO의 역할을 강조하고 강화하는 데 힘썼으며, 1950년에는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와 앤저스 조약 체결을 주도했고, 1954년에는 SEATO, 1955년에는 CENTO 창설을 이끌었다.

또한 덜레스는 공산주의의 확산을 막는다는 명분 아래 다른 국가의 내정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기도 했다. 1953년에는 이란모하마드 모사데그 정권을 전복시키는 쿠데타를 지원했으며,[75] 1954년에는 과테말라에서 민주적으로 선출된 하코보 아르벤스 정부를 전복시키는 쿠데타를 주도했다.[76][77] 이러한 개입은 해당 지역의 불안정을 심화시키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

덜레스는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에서 프랑스를 지원하며 공산주의 세력의 확장을 막으려 했으며, 이는 이후 미국이 베트남 전쟁에 깊숙이 개입하게 되는 배경 중 하나가 되었다. 또한 비동맹 운동에 대해 "비도덕적이고 근시안적"이라고 비판하며[30][80][31] 제3세계 국가들과의 관계에서 마찰을 빚기도 했다. 1956년 수에즈 위기 당시에는 영국프랑스의 군사 개입에 반대했지만, 이후 이집트가말 압델 나세르 대통령과 대립하며 미국의 무기 판매를 금지하는 등 강경책을 펼쳤다. 이는 결과적으로 이집트가 소련에 더욱 의존하게 만들어 중동에서 소련의 영향력이 커지는 역효과를 낳았다.[83] 덜레스는 1954년타임』지의 올해의 인물로 선정되기도 했다.[78]

5. 1. 반공 정책과 군사 동맹 강화

1953년 8월, 휴전 협상을 마무리하고 경복궁 근정전을 거닐고 있는 왼쪽부터 미 국무장관 존 포스터 덜레스(John Foster Dulles), 이승만 대통령, 월터 로버트슨(Walter S. Robertson) 미 국무부 차관보.


1953년 1월 20일, 아이젠하워가 대통령에 취임하면서 덜레스는 국무장관으로 임명되었다. 그의 국무장관 재임 기간은 전 세계, 특히 소련을 중심으로 한 공산주의 진영과의 갈등 심화로 특징지어진다. 덜레스는 공산주의를 "신 없는 테러"라고 부르며 강력히 반대했으며,[28] 군사력 증강과 동맹 체결(소위 팩토마니아)을 통한 봉쇄 정책을 핵심 전략으로 삼았다.

덜레스는 대규모 보복과 벼랑끝 전술 전략의 주요 주창자였다. 그는 ''라이프'' 잡지 인터뷰에서 벼랑 끝 전술을 "전쟁에 돌입하지 않고 벼랑 끝까지 갈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한 기술이다"라고 정의했다.[29][79] 이러한 강경 노선은 공산 진영과의 관계를 악화시키고 냉전의 긴장을 고조시킨다는 비판을 받았다.

국무장관으로서 덜레스는 소련의 확장을 억제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NATO 강화에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다. 또한 1950년에는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와 함께 상호 방위를 위한 앤저스 조약 체결을 주도했다. 공산주의에 대한 더욱 공세적인 정책의 일환으로, 1953년 3월에는 CIA를 통해 이란의 총리 모하마드 모사데그앵글로-페르시아 석유 회사(AIOC)를 국유화하고 친소련 정책을 펼치자, 그를 축출하는 계획(아약스 작전)을 입안하고 실행했다. 이 쿠데타로 친미 성향의 국왕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가 권력을 장악하고 1979년 이란 혁명까지 통치하게 되었다.[75]

덜레스는 1954년 7월에 창설된 SEATO의 주요 기획자이기도 했다. 이 조약은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영국, 프랑스, 파키스탄, 필리핀, 태국이 참여하여 침략에 대한 집단적 대응을 목표로 했다. 같은 해, 덜레스는 "미국의 뒷마당"으로 불리던 과테말라에서 민주적으로 선출된 하코보 아르벤스 정부가 유나이티드 프루트 컴퍼니(현 치키타 브랜즈 인터내셔널)의 토지를 접수하려 하자, CIA 주도의 쿠데타(PBSUCCESS 작전)를 통해 정권을 전복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당시 그의 동생인 앨런 덜레스 CIA 국장이 과거 유나이티드 프루트의 변호사였고 이사로 경영에 참여하고 있었다는 점[76][77]은 쿠데타 추진의 배경으로 지적된다. 이 쿠데타는 이후 수십 년간 지속된 과테말라 내전의 주요 원인이 되었다. 1955년 2월에는 CENTO 결성에도 힘썼다.

덜레스는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에서 소련중화인민공화국의 지원을 받는 베트민에 맞서 싸우는 프랑스에 대한 지원을 강력히 주장했는데, 이는 이후 베트남 전쟁으로의 미국의 전면적인 개입으로 이어지는 한 요인이 되었다. 이 시기 프랑스의 조르주 비도 외무장관과의 비밀 회담에서 덜레스는 미국이 프랑스에 핵폭탄 제공을 고려할 수 있다는 발언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덜레스의 강경한 반공 노선은 비동맹 운동을 표방하는 국가들과의 관계에도 영향을 미쳤다. 그는 1955년 6월 9일 연설에서 "중립은 점점 쓸모없게 되었고, 매우 예외적인 상황을 제외하고는 비도덕적이고 근시안적인 개념이다"라고 주장하며 비동맹 노선을 비판했다.[30][80] 1956년 6월 아이오와주 연설에서는 비동맹을 "비도덕적"이라고 재차 비난했다.[31] 1950년대 내내 그는 인도의 V. K. 크리슈나 메논 등 공산주의에 동조적인 것으로 간주된 비동맹 정치인들과 자주 갈등을 빚었다.

1956년 수에즈 위기 당시 덜레스는 이집트수에즈 운하 국유화에 반발한 영국과 프랑스의 군사 개입에 강력히 반대했다. 그러나 그는 이전부터 이집트가말 압델 나세르 대통령과 대립하고 있었으며, 특히 나세르가 1956년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한[81] 것에 불만을 품고 이집트에 대한 미국의 무기 판매를 중단시켰다. 이 조치는 결과적으로 나세르가 소련에 더욱 의존하게 만들어 중동 지역에서 소련의 영향력이 확대되는 역효과를 낳았다.[83] 한편, 수에즈 위기가 최고조에 달했을 때 덜레스는 암 수술을 위해 입원하여 관련 중요 결정에는 직접 참여하지 못했다.

같은 해 8월, 덜레스는 런던에서 일본의 시게미쓰 마모루 외무대신과 회담하며 북방 영토 문제와 관련하여 에토로후섬과 쿠나시르섬의 영유권을 소련에 강력히 주장하도록 요구했다. 그는 만약 일본이 이 두 섬을 소련 영토로 인정한다면, 미국은 오키나와를 영구히 점유할 것이라고 압박하며 일본의 대소련 평화 협상에 영향을 미치려 했다.[82]

5. 2. 이란 및 과테말라 쿠데타 지원

아이젠하워 행정부에서 국무장관으로 임명된 덜레스는 냉전 시기 소련을 중심으로 한 공산주의 세력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취했다. 그는 공산주의를 "신 없는 테러"라고 비판하며[28], 군사력 증강과 동맹 강화를 통해 공산주의 확산을 막으려는 봉쇄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덜레스의 반공주의 정책은 때로 다른 국가의 내정에 직접 개입하는 방식으로 나타났다. 그의 첫 번째 주요 개입 중 하나는 1953년 이란에서 일어났다. 덜레스는 당시 민족주의 성향의 총리 모하마드 모사데그가 석유 산업 국유화 등 친소련 정책을 펼친다고 판단했고, 아이젠하워 대통령의 결정을 지지하며 CIA에 모사데그 축출 계획 수립을 지시했다.[32] 당시 CIA 국장은 그의 동생인 앨런 덜레스였다. CIA는 영국 MI6와 협력하여 아약스 작전Operation Ajaxeng을 실행했고, 이 쿠데타로 모사데그는 실각했으며 친미 성향의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 국왕이 권력을 되찾았다.[75]

아이젠하워 대통령과 덜레스, 1956년


이듬해인 1954년, 덜레스는 과테말라에서도 비슷한 방식의 개입을 주도했다. 당시 과테말라에서는 민주적으로 선출된 하코보 아르벤스 대통령이 토지 개혁을 추진하며 미국 기업 유나이티드 프루트 컴퍼니(UFCO)의 토지를 접수하려 했다. 덜레스는 아르벤스 정부가 공산주의 성향이라고 주장하며 CIA를 통해 PBSUCCESS 작전을 지원하여 아르벤스 정권을 전복시켰다. 이 쿠데타는 이후 수십 년간 지속된 과테말라 내전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덜레스는 과거 유나이티드 프루트 컴퍼니의 법률 고문으로 일한 경력이 있었고, 그의 동생 앨런 덜레스는 쿠데타 당시 이 회사의 이사로 재직 중이어서[76][77], 미국의 개입 배경에 대한 이해관계 충돌 논란이 제기되기도 했다.[44][45]

5. 3. 베트남 문제 개입

아이젠하워 행정부에서 국무장관으로 임명된 덜레스는 강력한 반공주의 정책을 추진했다. 그는 소련중화인민공화국의 지원을 받는 베트민과 싸우는 프랑스를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매카시즘의 영향으로 인한 '아시아 전문가 부재' 현상과 맞물려 미국이 이후 베트남 전쟁에 전면적으로 개입하게 되는 배경 중 하나가 되었다.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당시 덜레스는 공산주의 베트민에 대한 프랑스의 승리를 예상하며 "인도차이나에서 공산주의가 승리할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하기도 했다.[33] 그는 베트남에서 프랑스의 영향력을 줄이고, 미국이 프랑스와 협력하여 디엠 정권의 군대를 강화하는 방안을 모색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덜레스는 "프랑스를 베트남에서 몰아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렀다.[34]

1954년 디엔비엔푸 전투가 치열해지자, 덜레스는 포위된 프랑스군을 구출하기 위해 공산주의 베트민 진지에 B-29 폭격을 가하는 벌처 작전을 계획하고 이를 적극 추진했다. 그러나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영국의 지원을 미국의 개입 조건으로 내걸었고, 영국 외무장관 앤서니 이든이 이에 반대하면서 벌처 작전은 결국 취소되었다.[35][36] 당시 프랑스 외무장관 조르주 비도는 덜레스가 전투를 끝내기 위해 핵무기 사용을 제안했다고 후에 주장하기도 했다.[37]

1954년 제네바 협정 과정에서 덜레스는 강경한 반공 입장을 고수했다. 그는 중국 대표단과의 접촉을 금지했으며, 중국 측 수석 대표였던 저우언라이와의 악수를 거부했다. 또한 베트남을 분단하고 통일 정부 구성을 위한 선거를 실시하자는 협정안에 반대하며, 반공주의 베트남국(이후 남베트남)이 합법적인 정부로 남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결국 덜레스는 협상 타결 직전 자리를 떠났고, 그의 이러한 행동은 제네바 협정이 베트남의 분쟁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분단을 고착시키는 데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38][39]

5. 4. 한국 문제와 일본과의 관계



덜레스는 냉전 시기 미국의 외교 정책, 특히 동아시아 정책에 깊이 관여했으며, 이는 한국 및 일본과의 관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50년 4월, 덜레스는 해리 S. 트루먼 행정부의 국무장관 고문으로 임명되어 일본과의 강화 조약 체결 문제를 담당하게 되었다.[69] 같은 해 6월 20일, 한국 전쟁 발발 직전 대한민국을 방문하여 38선을 시찰했으며, 이후 일본으로 건너가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 요시다 시게루 수상과 회담했다.[70]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그는 미국 대표로 유엔 총회에 참석하여 1950년 11월 3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기능을 보완하기 위한 평화를 위한 결집 결의 채택을 주도했다.

덜레스는 1951년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체결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이 과정에서 그는 한국 전쟁 중 중화민국(대만)에 대한 중립을 유지한다는 트루먼 행정부의 정책을 실행했다. 이승만 대통령은 1949년부터 한국이 강화 조약의 서명국으로 참여해야 한다고 존 조셉 무치오 주한 미국 대사를 통해 주장했으나, 1951년 5월 영국이 한국의 서명 참여에 반대했다. 이에 7월 19일, 양유찬 주미 한국 대사는 미국 측에 "미국 초안에 대한 한국측 의견서"를 제출하며 독도가 한국 영토임을 명시할 것을 요구했다.[71] 그러나 같은 날 회담에서 덜레스는 한국이 조약의 서명국이 될 수 없음을 통보했다. 이는 결과적으로 강화 조약에서 독도 영유권 문제가 명확히 해결되지 않는 배경 중 하나가 되었다.

덜레스는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과 함께 미일 안보 조약 체결을 주도하여[72], 일본이 냉전 구도 하에서 미국의 동맹으로 남도록 했다. 그는 일본의 재무장을 추진하면서도 일본을 완전히 신뢰하지는 않았으며, 일본이 중화인민공화국과 손잡을 가능성을 경계했다. 덜레스는 일본인들이 가진 서구 사회에 대한 동경심 등을 이용하여 일본을 서방 진영에 묶어두려 했으며, 미일 안보 조약을 통해 일본을 군사적으로 미국에 종속시키는 구조를 만들고자 했다.[73]

국무장관 취임 이후, 덜레스는 한국 전쟁 당시 대한해협을 중립화하는 정책을 추진했으며,[40] 1954년 제네바 회담에서는 중국소련이 제안한 외교적 방식의 한반도 통일 방안에 반대하여 한국 전쟁이 공식적으로 종결되지 못한 채 휴전 상태로 남게 되는 데 영향을 미쳤다.[41] 또한 같은 회담에서 그는 악수를 청하는 중국의 주은래 국무원 총리를 외면하며 반공 노선을 분명히 드러냈다.

그의 강력한 반공주의적 입장은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이후 국제 사회에 복귀한 일본의 보수 세력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덜레스는 1957년부터 1959년까지 미일 안보 조약의 개정 협상을 감독했으며, 이는 그의 사후인 1960년에 비준되었다.[43]

5. 5. 수에즈 위기

덜레스는 비동맹 운동에 대해 매우 비판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 1955년 6월 9일 연설에서 그는 "중립은 점점 쓸모없게 되었고, 매우 예외적인 상황을 제외하고는 비도덕적이고 근시안적인 개념이다"라고 주장했으며[30], 1956년 6월 아이오와주 연설에서는 비동맹을 "비도덕적"이라고 선언하기까지 했다.[31] 이러한 강경한 입장은 이집트가말 압델 나세르와 같은 비동맹 지도자들과의 관계를 악화시키는 배경이 되었다.

1956년 7월, 나세르가 수에즈 운하를 국유화하자[81] 덜레스는 나세르와 더욱 적대적인 관계가 되었다. 같은 해 11월, 영국프랑스수에즈 운하 지역을 침공하여 제2차 중동 전쟁이 발발했을 때, 덜레스는 이 침공에 강력히 반대하는 입장을 표명했다.[46][83] 하지만 전쟁 발발이라는 가장 중요한 시기에 덜레스는 수술 후 입원 중이었기 때문에 미국 행정부의 위기 대응 관련 주요 의사결정 과정에는 직접 참여하지 못했다.[46][83]

이후 1958년까지 덜레스는 나세르 대통령의 공개적인 반대자로서, 이집트 정부가 미국으로부터 무기를 구매하는 것을 막았다.[46][83] 그러나 이러한 미국의 정책은 결과적으로 이집트가 소련에 더욱 의존하게 만들었고, 중동 지역에서 소련의 영향력이 확대되는 역효과를 낳았다.[46][83]

5. 6. 비동맹 국가들과의 관계

덜레스의 강경한 반공주의 노선은 비동맹 운동 국가들의 많은 지도자들과의 관계에 영향을 미쳤다. 그는 중립주의를 공산주의에 대한 유약한 태도로 간주하며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

1955년 6월 9일 연설에서 덜레스는 "중립은 점점 쓸모없게 되었고, 매우 예외적인 상황을 제외하고는 비도덕적이고 근시안적인 개념이다"라고 주장하며 비동맹 국가 지도자들을 소외시켰다.[30] 1956년 6월 아이오와주 연설에서는 비동맹 노선을 "비도덕적"이라고 규정하며 비판 수위를 높였다.[31] 이러한 그의 입장은 인도의 V. K. 크리슈나 메논과 같이 공산주의에 동정적이라고 여겨진 비동맹 정치인들과의 잦은 갈등으로 이어졌다.

1956년 덜레스(왼쪽)가 리처드 닉슨 부통령(가운데) 앞에서 인도네시아의 수카르노 대통령과 악수하는 모습. 수카르노는 비동맹 운동의 주요 인물이었다.


1956년 수에즈 위기 당시에는 영국프랑스이집트 침공에 강하게 반대했지만, 이후 가말 압델 나세르 대통령에게 노골적인 반감을 드러내며 미국의 무기 판매를 금지했다. 이 정책은 결과적으로 이집트가 소련에 더 의존하게 만들어 중동 지역에서 소련의 영향력을 확대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6. 사망과 유산

결장암(대장암)으로 고통받았던 덜레스는 1956년 11월, 암으로 인한 장천공으로 첫 수술을 받았다.[49][84] 이후 1958년 말에는 복통으로 게실염(대장게실증) 진단을 받고 입원하기도 했다.[49][84] 1959년 1월 잠시 직무에 복귀했으나, 통증이 계속되고 건강이 악화되어 2월에 암 재발이 확인되었다. 그는 월터 리드 육군 의료 센터에서 다시 복부 수술을 받았다.[49][84] 플로리다에서 요양 후 워싱턴으로 돌아와 방사선 치료를 받으며 업무를 이어가려 했지만, 건강은 더욱 나빠졌고 골 전이 증거까지 발견되었다.[49][84] 결국 건강 악화로 인해 1959년 4월 15일 국무장관직에서 사임했다.[49][84]

덜레스는 사임 한 달여 뒤인 1959년 5월 24일, 워싱턴 D. C.의 월터 리드 육군 의료 센터에서 7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50][85] 그의 장례식은 5월 27일 워싱턴 국립 대성당에서 거행되었으며,[51][86] 유해는 버지니아주 아링턴군의 알링턴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51][86]

덜레스 공항 내부의 덜레스 흉상


사후인 1959년 대통령 자유 훈장과 실배너스 테이어 상을 수상했다.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여러 장소와 시설에 그의 이름이 붙여졌다. 독일 베를린 중심가의 한 도로는 그의 국무장관 후임자인 크리스천 허터가 참석한 가운데 John-Foster-Dulles-Allee|존 포스터 덜레스 알레de로 명명되었다. 버지니아주 덜레스에 위치한 워싱턴 덜레스 국제공항은 그의 이름을 딴 가장 대표적인 시설이다. 이 외에도 뉴욕주 워터타운의 덜레스 주립 사무소 건물, 텍사스주 슈거랜드의 존 포스터 덜레스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52] 오하이오주 신시내티와 일리노이주 시카고의 초등학교도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52] 그의 모교인 프린스턴 대학교 파이어스톤 도서관에는 그의 개인 문서를 포함한 외교사 자료를 소장한 '존 포스터 덜레스 외교사 도서관'이 1962년 헌정되었다.[53] 또한 1960년 미국 우정청은 그를 기리는 기념 우표를 발행했다.

덜레스는 1954년 타임지의 올해의 인물로 선정된 바 있다. 아이젠하워 행정부 시절 그가 추진했던 롤백 정책은 이후 1980년대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에 의해 다시 강조되었으며, 일부에서는 이 정책이 동구권 공산주의 정권의 붕괴에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하기도 한다.

영국의 전 총리 앤서니 이든은 덜레스에 대해 "정치 세계의 선구자였으나 때로는 자기 발언의 결과에 대해 깊이 생각하지 않는 경향이 있었다"고 회고했다.[91] 한편, "미국은 친구가 없고 이익만 있을 뿐이다"라는 말은 때때로 덜레스의 발언으로 잘못 인용되곤 한다. 이 말은 실제로는 프랑스의 샤를 드골 대통령이 한 말이며, 1958년 덜레스가 멕시코를 방문했을 때 반미 시위대가 드골의 발언이 적힌 팻말을 들고 시위를 벌인 것에서 비롯된 오해일 수 있다.[54]

7. 가족 관계

덜레스는 워싱턴 D.C.에서 미국 장로교회 목사인 앨런 메이시 덜레스(Allen Macy Dulles)와 에디스 포스터 덜레스(Edith Foster Dulles) 사이의 다섯 자녀 중 맏이로 태어났다.[1] 그의 외할아버지 존 W. 포스터(John W. Foster)는 벤저민 해리슨 행정부에서 미국 국무장관을 지냈으며, 친할아버지 존 웰시 덜레스(John Welsh Dulles)는 인도에서 장로교 선교사였다.[1][2][3]

덜레스 가문은 외교 및 정보 분야에서 영향력 있는 인물들을 다수 배출했다. 외할아버지 존 W. 포스터뿐만 아니라, 어머니의 여동생 엘리너 포스터의 남편인 로버트 랜싱(Robert Lansing) 역시 미국 국무장관을 역임했다. 남동생 앨런 덜레스(Allen Welsh Dulles)는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Dwight D. Eisenhower) 행정부에서 CIA 국장을 지냈고, 여동생 엘리너 랜싱 덜레스(Eleanor Lansing Dulles)는 국무부에서 활동하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 경제 재건에 기여했다.

1912년 6월 26일, 덜레스는 재닛 포머로이 에이버리(Janet Pomeroy Avery, 1891–1969)와 결혼했다.[47][87] 그녀는 전 미국 연방 하원의원이자 하원의장을 지낸 시어도어 M. 포머로이(Theodore M. Pomeroy)의 손녀였다. 두 사람 사이에는 2남 1녀를 두었다. 장남 존 W. F. 덜레스(John W. F. Dulles)(1913–2008)는 텍사스 오스틴 대학교(University of Texas at Austin)에서 브라질 역사를 가르치는 교수가 되었고,[48][88] 딸 릴리아스 덜레스 힌쇼(Lilias Dulles Hinshaw, 1914–1987)는 장로교 목사가 되었다. 차남 에이버리 덜레스(Avery Dulles)(1918–2008)는 로마 가톨릭으로 개종하여 예수회 사제가 되었으며, 미국인으로는 처음으로 추기경의 지위에 오른 신학자가 되었다.

참조

[1] 서적 The American Secretaries of State and Their Diplomacy: John Foster Dulles Cooper Square Publishers
[2] 서적 The Time of Power: A Reappraisal of John Foster Dulles Weidenfeld and Nicolson
[3] 웹사이트 Q&A with Stephen Kinzer https://www.c-span.o[...] 2024-03-17
[4] 뉴스 Freshman Debate http://theprince.pri[...] 1905-05-19
[5] 웹사이트 About the Cottage Club https://www.cottagec[...] 2021-01-03
[6] 서적
[7] 웹사이트 DULLES, JOHN FOSTER: Papers, 1950–1961 https://www.eisenhow[...] 2021-02-28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The Devil's Chessboard: Allen Dulles, the CIA, and the Rise of America's Secret Government https://books.google[...] HarperCollins 2015-10-13
[12] 서적 Gentleman Spy, The Life of Allen Dulles
[13] 서적 John Foster Dulles: The Road to Power
[14] 논문 The Controversy Surrounding the Ministry of Harry Emerson Fosdick in the First Presbyterian Church of New York City, 1922–1925 https://scholarsrepo[...]
[15] 서적 Sword of the Spirit, Shield of Faith
[16] 서적 Eisenhower and Israel: U.S.-Israeli Relations, 1953–1960 University Press of Florida
[17] 서적 Cold War Statesmen Confront the Bomb: Nuclear Diplomacy Since 1945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8] 서적 John Foster Dulles' Nuclear Schizophrenia Oxford University Press
[19] 서적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in the Era of the Cold War, 1945–1968: A Handboo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Japan at the Crossroads: Conflict and Compromise after Anpo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3] 서적 Japan at the Crossroads: Conflict and Compromise after Anpo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4] 서적 The Presidency of Dwight D. Eisenhower University Press of Kansas
[25] 뉴스 Past Chief Justices' Record Will Help Eisenhower Pick Successor 1953-09-13
[26] 뉴스 Dulles May Get Vinson’s Post 1953-09-09
[27] 뉴스 A New Chief Justice: Eisenhower Must Make Historic Decision – Will President Appoint the Best Man Available or Will He Listen to Partisan Politicians 1953-09-27
[28] 서적 The American People, Concise Edition Creating a Nation and a Society Longman
[29] 서적 Rise to Globalism: American Foreign Policy Since 1938, Ninth Revised Edition https://books.google[...] Penguin
[30] 서적 Containment: Rebuilding a Strategy against Global Terror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31] 학술지 The Rise and Fall of Non-Aligned Mediation, 1961–6 https://www.tandfonl[...] 2015-08-24
[32] 웹사이트 The C.I.A. in Iran http://www.gwu.edu/~[...]
[33] Youtube Hearts and Minds (1974) https://www.youtube.[...] 2018-01-15
[34] 서적 John Foster Dulles: Piety, Pragmatism, and Power in U.S. Foreign Policy https://books.google[...] Scholarly Resources
[35] 서적 Groupthink or deadlock: when do leaders learn from their advisors? https://books.google[...] SUNY Press
[36] 서적 Vietnam https://books.google[...] Routledge
[37] 서적 U. S. Containment Policy and the Conflict in Indochina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4
[38] 서적 Embers of War: The Fall of an Empire and the Making of America's Vietnam random House
[39] 서적 The Brothers: John Foster Dulles, Allen Dulles, and Their Secret World War https://books.google[...] Macmillan 2013-10-01
[40] 서적 John Foster Dulles Piety, Pragmatism, and Power in U.S. Foreign Policy SR Books
[41] 서적 The Korean Armistice https://books.google[...] Springer 1992-07-13
[42] 서적 Dark Sun: The Making of the Hydrogen Bomb Simon & Schuster 1995
[43] 서적 Japan at the Crossroads: Conflict and Compromise after Anpo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44] 서적 The Fish that Ate the Whale https://books.google[...] Farrar, Straus & Giroux
[45] 논문 Coups, Corporations, and Classified Information https://academic.oup[...]
[46] 서적 Eisenhower and the Suez Crisis of 1956 https://books.google[...] LSU Press
[47] 웹사이트 Honorable Theodore Medad POMEROY http://sites.rootsma[...] American Pomeroy Historic Genealogical Association 2019-10-19
[48] 뉴스 90-year-old Still Active at University http://media.www.dai[...] The Daily Texan
[49] 서적 When Illness Goes Public: Celebrity Patients and How We Look at Medicine https://archive.org/[...]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2006-11-20
[50] 웹사이트 Death of John Foster Dulles - 1959 Year In Review - Audio - UPI.com https://www.upi.com/[...] 2022-07-15
[51] 웹사이트 Burial Detail: Dulles, John F. (Section 21, Grave S-31) https://ancexplorer.[...] Arlington National Cemetery
[52] 웹사이트 J.F. Dulles Elementary http://www.oakhills.[...] 2008-12-18
[53] 웹사이트 Dulles Library of Diplomatic History http://etcweb.prince[...] 2020-02-05
[54] 뉴스 Dulles in Rio 1958-08-10
[55] 웹사이트 Man of the Year – TIME http://www.time.com/[...] 2022-07-15
[56] 서적 The Great Clowns of American Television https://books.google[...] McFarland & Company
[57] 웹사이트 Carol Burnett Was "The World's Worst Guest" On Johnny Carson's "Tonight Show" https://www.youtube.[...] YouTube 2024-03-27
[58] 간행물 日米同盟の静かなる危機 ウェッジ
[59] 서적 「共犯」の同盟史 日米密約と自民党政権 岩波書店 2009
[60] 서적 回想十年、第3巻 中公文庫
[61] 서적 世界と日本 中公文庫
[62] 웹사이트 John Dulles http://www.arlington[...] 2009-10-11
[63] 서적 Gentleman Spy, The Life of Allen Dulles
[64] 서적 John Foster Dulles: The Road to Power
[65] 서적 Eisenhower and Israel: U.S.-Israeli Relations, 1953–1960 University Press of Florida
[66] 서적 Cold War Statesmen Confront the Bomb: Nuclear Diplomacy Since 1945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67] 서적 John Foster Dulles' Nuclear Schizophrenia Oxford University Press
[68] 서적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in the Era of the Cold War, 1945–1968: A Handbook Cambridge University Press
[69] 서적 増補新版 現代世相風俗史年表 昭和20年(1945)-平成20年(2008) 河出書房新社 2003-11-07
[70] 서적 増補新版 現代世相風俗史年表 昭和20年(1945)-平成20年(2008)
[71] 서적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51. Asia and the Pacific (in two parts) http://digicoll.libr[...]
[72] 서적 占領1945~1952 戦後日本をつくりあげた8人のアメリカ人 時事通信社
[73] 서적 容赦なき戦争 太平洋戦争における人種差別 平凡社
[74] 서적 朝鮮戦争と核兵器 : トルーマンとアイゼンハワー https://koara.lib.ke[...] 慶應義塾大学法学部
[75] 서적 John Foster Dulles: Piety, Pragmatism, and Power in U.S. Foreign Policy https://books.google[...] Scholarly Resources
[76] 서적 The Fish that Ate the Whale Farrar, Straus & Giroux
[77] 서적 American Sugar Kingdom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78] 웹사이트 Man of the Year – Jan. 3, 1955 – Page 1 http://www.time.com/[...]
[79] 서적 Rise to Globalism: American Foreign Policy Since 1938, Ninth Revised Edition https://books.google[...] Penguin
[80] 서적 Containment: Rebuilding a Strategy against Global Terror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81] 서적 Palestine and the Arab–Israeli Conflict Bedford/St. Martin's
[82] 서적 日ソ外交回復秘録 朝日新聞出版 2012
[83] 서적 Eisenhower and the Suez Crisis of 1956 https://books.google[...] LSU Press
[84] 서적 When Illness Goes Public: Celebrity Patients and How We Look at Medicin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85] 웹사이트 Death-of-John-Foster-Dulles http://www.upi.com/A[...] UPI
[86] 웹사이트 John Foster Dulles http://www.arlington[...]
[87] 웹사이트 ジャネット・ポメロイ・エイブリー(1891-1969) https://familypedia.[...]
[88] 뉴스 90-year-old Still Active at University http://media.www.dai[...]
[89] 뉴스 光復十年의 발자취(19) : 六 · 二五事變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55-08-19
[90] 뉴스 덜레스氏 38線視察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50-06-19
[91] 뉴스 써취라이트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60-01-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