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계는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어원적으로는 '인류의 시대'를 의미하며, 공상 과학 등에서는 특정 행성이나 천체를 지칭하기도 한다. 또한, 직업 세계와 같이 사람의 경험 분야를 나타내기도 하며, 신세계와 구세계처럼 역사적 맥락에서 사용되기도 한다.
세계관은 세계에 대한 포괄적인 표상으로, 철학, 종교,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르게 정의되고, 일원론과 다원론, 현실주의, 자유주의, 구성주의 등 다양한 이론적 관점이 존재한다. 국제 관계는 세계 정치, 국제 정치, 국제 관계라고도 불리며, 국가 간의 관계뿐만 아니라 초국가적 행위자들을 포함하는 사회 세계의 복잡한 패턴을 설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국제 연합(UN), 세계 무역 기구(WTO),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 등 다양한 국제기구들이 활동하며, 국제앰네스티, 국경없는의사회, 그린피스 등 비정부기구(NGO)도 국제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 세계화와 지역화는 세계 경제, 표준, 시장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며, 세계사는 인류의 발전과 함께 세계의 일체화 과정을 연구한다. 한국은 세계사의 흐름 속에서 외세의 침략을 겪었지만 민족 정체성을 지켜왔으며, 현재 국제 사회의 일원으로서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계 - 세계 인구
세계 인구는 지구 거주 인간의 총 수로, 2022년 80억 명을 돌파하며 꾸준히 증가했지만, 증가율은 둔화되고 있으며, 과거 추정의 불확실성, 산업혁명 이후 급증, 최근 출산율 감소, 지역별 불균형, 자연적/사회적 요인 등 다양한 특징과 함께 미래 전망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세계 - 세계 에너지 공급 및 소비
세계 에너지 공급 및 소비는 2021년 기준 14,800 Mtoe에 달하는 1차 에너지 생산을 중심으로 석유, 가스, 석탄, 재생에너지, 원자력 등의 에너지원별 생산과 국가 간 무역, 그리고 에너지 안보 및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에너지 전환과 재생에너지 확대가 주요 과제이다. - 지리에 관한 - 측지학
측지학은 지구의 형상, 크기, 중력장 및 시간적 변화를 측정하고 연구하는 지구과학의 한 분야로,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현대에는 GPS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지구 역학적 현상 연구에 기여한다. - 지리에 관한 - 지리학
지리학은 지구와 천체의 특징, 현상, 그리고 공간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진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세계 | |
---|---|
세계 | |
정의 | |
정의 | 존재하는 모든 것의 총체. |
포함 | 전 우주 모든 창조물 모든 존재 |
주요 특징 | |
범위 | 광범위하고 포괄적 모든 물질과 에너지 모든 시간과 공간 |
다양성 | 다양한 형태와 크기 살아있는 생물과 무생물 모두 포함 다양한 활동과 과정 |
역동성 | 끊임없이 변화 상호작용과 진화 생성과 소멸의 과정 |
세계의 여러 의미 | |
지구 | 행성으로서의 지구 지구상의 모든 것 |
사회 | 인류 문명 국가 문화 |
경험 | 개인의 경험 주관적인 현실 인식 |
분야 | 특정 활동 영역 예술, 스포츠, 과학 종교, 철학 |
세계관 | |
철학적 | 세계의 본질과 의미 탐구 실존, 우주론, 인식론 다양한 철학적 관점 |
종교적 | 신앙의 대상 신성한 의미 부여 다양한 종교적 해석 |
개인적 | 개인적인 경험과 가치관 반영 세계에 대한 태도와 신념 주관적인 현실 인식 |
언어별 표현 | |
라틴어 | mundus |
산스크리트어 | loka-dhaatu |
기타 | |
관련 주제 | 우주 지구 인류 문화 역사 |
2. 어원 및 개념
"세계"는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는 단어이다. 일반적으로는 인류가 활동하는 물리적 영역 전체를 가리키지만(예: "세계적인 〇〇", "세계 각국"),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인문지리적 개념으로도 사용된다.[2]
유의어인 "사회"는 집단이나 공동체에 초점을 맞춘 개념으로 인간관계를 연상시키는 반면, "세계"는 공간 개념을 강조한다. 현대에는 "지구상의 모든 지역"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지만, "지구"는 자연과학적인 측면에서 물리적 공간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미래에는 인류의 활동 범위가 우주로 확장됨에 따라 "세계"의 개념도 우주 공간이나 다른 행성으로 확장될 가능성이 있다.
세계와 인간의 존재 방식에 대한 체계적인 사고방식을 "세계관"이라고 한다.[99] 인생관과 겹치는 부분이 있지만, 세계관은 더 넓은 범위를 다루며 감정적인 평가를 포함한다. 반면 "세계상"은 세계를 외부에서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태도를 의미하며, 시대에 따라 검증을 거쳐 전통적인 세계관을 무너뜨리고 새로운 세계관의 기반이 되기도 한다.
"세계"는 인간 외의 생물이나 무생물, 추상적인 사건의 영역을 가리키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국제화(Internationalization)"는 17세기 유럽에서 성립된 주권 국가 체제를 전제로 하는 반면, "세계화(Globalization)"는 정치, 문화, 경제적 국경을 초월하는 움직임을 의미한다. 국제화에서는 국경의 역할이 중요하지만, 세계화에서는 국경을 감시해야 할 대상이 아닌 것으로 본다. 현대에는 경제 분야의 세계화와 함께 정치 분야의 지역화(Regionalization)도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역사적으로는 지역 간의 관계를 "역내(域際)(Interregional)"라는 단어로 표현하기도 했는데, 17세기 네덜란드는 역내 무역과 교류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한다.
2. 1. 한국어 '누리'
"누리"는 세계를 예스럽게 이르는 한국 고유어 표현으로, 서적에서 많이 쓰인다. 영어 단어 '월드(world)'는 사람을 뜻하는 'wer'과 나이를 뜻하는 'eld'가 합쳐져 "사람의 나이"라는 뜻에서 비롯되었다.[104]2. 2. 영어 'World'
영어 낱말 '월드(world)'는 사람이라는 뜻의 'wer'과 나이란 뜻의 'eld'가 하나가 되어 "사람의 나이"라는 뜻에서 비롯한 것이다.[104]영어 단어 ''world''는 고대 영어 weoroldang에서 유래했다. 고대 영어는 게르만 조어 ''*''weraldizmis의 반영으로, '사람'을 뜻하는 werazmis와 '시대'를 뜻하는 aldizmis의 합성어이며, 따라서 문자 그대로 '인류의 시대'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2] 이 단어는 고대 프리지아어 warldofs, 고대 작센어 weroldosx, 고대 네덜란드어 weroltodt, 고대 고지 독일어 weraltgoh, 그리고 고대 노르웨이어 verǫldnon로 이어졌다.[3]
라틴어에 해당하는 단어는 mundusla로, 문자 그대로 '깨끗한, 우아한'이라는 뜻이며, 그 자체로 그리스어 ''cosmos'' ('질서 있는 배열'이라는 뜻)의 의역 차용어이다. 게르만어 단어가 "인간의 영역"이라는 신화적인 개념을 반영하는 반면(예: 미드가르드) – 아마도 한편으로는 신성한 영역과 다른 한편으로는 지하 세계의 지하 영역과 대조되는 것으로 추정 – 그리스-라틴어 용어는 창조를 혼돈으로부터 질서를 확립하는 행위로 표현한다.[6]
2. 3. 그리스어 'Cosmos'와 라틴어 'Mundus'
cosmos|코스모스grc는 '질서 있는 배열'을 의미하며, mundus|문두스la는 '깨끗한, 우아한'이라는 뜻으로, cosmos를 의역 차용한 단어이다.[6] 게르만어 단어(영어: world)가 미드가르드와 같이 "인간의 영역"이라는 신화적 개념을 반영하는 반면, 그리스-라틴어 용어는 창조를 혼돈으로부터 질서를 확립하는 행위로 표현한다.[6]2. 4. 일본어 '世界'
일본어의 '世界'(세계)는 인도에서 중국을 거쳐 일본에 전래된 단어이다.원래 산스크리트어로는 로카다투(loka-dhaatu)라고 한다. "loka"는 "공간"이나 "(숲 속의) 나무 없는 장소"를, "dhaatu"는 경계(界)를 의미한다. "loka-dhaatu"는 불교 용어로, "생명체가 살아가고 윤회하는 공간이자, 한 부처가 가르침을 펴는 공간"을 뜻한다.
이 산스크리트어가 한자로 번역되면서 '世界'(세계)가 되었다. '世'(세)는 시간, '界'(계)는 공간을 나타내는 글자로, '世界'는 시간과 공간을 모두 고려한 번역어이다. 어떤 경전에서는 동서남북상하를 계(界), 과거·현재·미래의 삼세(三世)를 세(世)라고 설명하기도 한다.
중국에서는 처음에는 불교 용어였던 '世界'가 점차 시가(詩歌) 분야에서 "세상"이나 "세간(世間)"이라는 의미로 쓰이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를 거쳐 일본에 전래된 '世界'는 『탁본 이야기』 등에서도 "세상", "세간"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에도 시대에는 당시의 세계지도를 바탕으로 한 『세계도 병풍(世界図屏風)』[102]이 널리 퍼졌는데, 여기서의 '世界'는 오늘날처럼 '지구', '만국(萬國)'을 의미한다. 1867년 초판된 제임스 커티스 헤본(ジェームス・カーティス・ヘボン)의 『화영어림집성』에서도 '世界'는 지구, 만국을 뜻하는 단어로 나타난다. 또한, 이노우에 테츠지로(井上哲次郎) 등이 편집한 『철학자휘(哲学字彙)』(1912)에서는 world, cosmos의 번역어로 "우주"와 함께 "세계"를 제시하고 있다.
사카이야 타이치는 징기스칸에 의해 '世界'가 처음으로 의식되게 되었다고 주장한다. 그는 징기스칸이 "동양과 서양은 하나"라는 세계관을 가지고 있었으며, 대량 보복 사상, 신앙의 자유와 함께 이를 "징기스칸의 3대 발명"이라고 불렀다.[103]
3. 세계관
세계관은 세계와 우리의 위치에 대한 포괄적인 생각을 말한다.[74] 세계관은 세계에 대한 주관적인 관점을 제시하며, 모든 고등 동물은 환경을 탐색하기 위해 환경을 어떤 방식으로든 표상하지만, 인간만이 "세계관"이라는 용어에 적합한 포괄적인 표상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된다.[75]
세계관 철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어떤 대상에 대한 이해는 이 이해가 일어날 수 있는 배경, 즉 세계관에 의존한다고 생각한다. 이는 대상에 대한 지적 이해뿐만 아니라 경험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74] 세계관은 이론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문제에서도 방향을 제시하며, 삶의 의미, 가치관, 행동 방식 등 다양한 요소를 포함한다.[77][78] 세계관은 개인마다 다를 수 있지만, 특정 문화나 종교를 공유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공통된 세계관이 나타나기도 한다.
"세계"라는 단어는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는데, 주로 어떤 사회와 관련된 공간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인간 등 생명체와 관련하여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또는 인문지리적 개념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99] 인간계의 개인이나 집단이 소속되거나 활동하는 물리적, 사회적, 심리적 영역을 가리켜 사용되는 경우가 많지만, 인간 이외의 생물의 영역, 또는 무생물이나 추상적인 사건의 영역 등에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 세계 경제
- 세계 표준
- 세계시 - 표준시
- 세계의 지리
- 세계의 역사
- 세계 지도
- 인류
- 세계축
- 세계의 일체화 - 세계 시스템 이론
- 세계관 - 세계상
- 이세계 - 천계 - 영계 - 마계
- 왜 아무것도 없는 것이 아니라 무언가가 있는가
- 다층성
3. 1. 철학에서의 세계관
플라톤은 이데아론을 통해 감각 세계와 지성 세계라는 두 가지 다른 세계를 제시했다. 감각 세계는 우리가 보고, 만지고, 상호 작용하는 변화하는 물리적 사물들로 가득 찬 우리가 사는 세계이다. 반면 지성 세계는 선, 아름다움, 통일성, 동일성과 같이 보이지 않고 영원하며 불변하는 형상들의 세계이다.[47][48][49] 플라톤은 감각 세계가 형상의 세계를 모방할 뿐이므로 더 낮은 존재론적 지위를 가진다고 보았다. 물리적 사물은 형상에 참여하는 만큼만 존재하지만, 형상 자체는 독립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이다.[47][48][49] 즉, 감각 세계는 형상 세계의 완벽한 본보기를 복제한 것이지만 결코 원본에 미치지 못한다. 동굴의 비유에서 플라톤은 우리에게 익숙한 물리적 사물들을 실제 사물의 그림자에 비유하며, 동굴 속 죄수들은 그 차이를 모르고 그림자를 실제 사물로 착각한다고 설명한다.[50]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은 1921년 출판된 『논리철학 논고』에서 "세계는 사실인 모든 것이다"라고 정의했다.[51]
마르틴 하이데거는 "우리가 공통된 세계를 돌아다닌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주변 세계는 우리 각자에게 다르다"라고 말했다.[52]
오이겐 핑크는 서구 철학이 세계를 우리에게 친숙한 작은 일상적인 것들을 모두 포함하는 거대한 하나의 사물로 이해하려는 잘못된 경향이 있다고 보았다.[53][54] 그는 이를 세계에 대한 망각의 한 형태로 간주하고, "우주론적 차이(cosmological difference)", 즉 세계와 세계 내 사물들 사이의 차이를 통해 이에 반대했다.[54] 핑크에 따르면 세계는 세계 내 사물들의 총체를 초월하며,[55] 근거 없이 사물들에게 근거를 제공한다. 따라서 세계는 단순한 그릇이 아니라, 세계 내 사물들에게 외양을 부여하고 장소, 시작과 끝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54] 세계를 연구하기 어려운 이유는 우리가 세계를 하나의 사물처럼 만날 수 없기 때문이다. 핑크는 세계의 본질을 설명하기 위해 놀이 개념을 사용하며, 놀이를 세계의 상징으로 보았다.[54][55] 놀이는 다양한 놀이 관련 사물들을 포함하는 상상의 놀이 세계를 수반하는데, 놀이가 상상의 현실보다 더 큰 것처럼 세계도 그 안에 나타나는 실제 사물보다 크다.[54][56]
넬슨 굿맨은 현실에서 양립할 수 없는 여러 진술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설명하기 위해 서로 다른 세계들을 설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79][57] 예를 들어, 지구가 움직인다는 주장과 정지해 있다는 주장은 양립할 수 없으며, 이는 태양 중심설과 천동설이라는 서로 다른 세계 묘사에 해당한다.[57] 굿맨은 이러한 묘사를 "세계판(world version)"이라 부르고, 대응 이론에 따라 세계판이 특정 세계에 대응할 때 참이라고 보았다. 양립 불가능한 참 세계판들은 서로 다른 세계에 대응한다.[57] 굿맨의 이론은 가능세계가 아닌 실제 세계의 다수성을 설정한다는 점에서 독특하다.[79][4] 세계를 최대 포괄적 전체(maximally inclusive wholes)로 정의하면 실제 세계의 다수성은 존재할 수 없다는 모순이 발생할 수 있지만,[79][4] 굿맨은 세계 개념을 절대적 의미의 최대 포괄적 전체가 아닌, 세계판과의 관계로 해석하여 이 문제를 해결한다. 즉, 세계는 해당 세계판이 묘사하는 실체만을 포함한다.[79]
3. 2. 종교에서의 세계관
힌두교는 여러 종교철학적 관점들의 집합체이다.[63] 이러한 관점들은 세계의 본질과 역할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제시한다. 예를 들어, 상캬(Samkhya) 철학은 현실을 푸루샤(purusha)와 프라크리티(prakriti)라는 두 부분으로 구성된 것으로 보는 이원론적 형이상학을 제시한다.[62] "푸루샤"는 우리 각자가 지닌 개별적인 의식적 자아를 의미하며, 프라크리티는 이러한 모든 자아가 거주하는 하나의 세계를 의미한다.[61] 상캬는 이 세계를 인과율에 따라 지배되는 물질의 세계로 이해하며,[62] 여기서 "물질"은 물리적 측면과 정신적 측면을 모두 포함한다.[60] 이는 프라크리티가 물이나 흙과 같은 물리적 요소와 지능이나 감각 인상과 같은 정신적 요소를 포함하는 23가지 원리 또는 현실의 요소로 구성된다는 탓트바(tattva) 교리에 반영되어 있다.[60][61] 푸루샤와 프라크리티의 관계는 푸루샤가 프라크리티의 세계를 인식하는 의식적인 자아로서, 프라크리티와 인과적으로 상호 작용하지 않는 관찰의 관계로 이해된다.[62]아드바이타 베단타(Advaita Vedanta)는 베단타 학파 중 유일론적 학파로서, 상캬 철학의 실재론적 입장과 달리 다원적인 세계를 마야라는 환영으로 본다.[63] 이 환영에는 지바(Jiva)라고 불리는 분리된 경험하는 자아로서 존재한다는 인상이 포함된다.[64] 아드바이타 베단타는 가장 근본적인 현실의 수준, 즉 브라흐만(Brahman)에서는 다원성이나 차이가 존재하지 않으며, 존재하는 것은 모든 것을 포괄하는 하나의 자아, 즉 아트만뿐이라고 가르친다.[63][64] 이러한 환영의 근원은 무지로 여겨지며, 이는 단순한 외관의 세계에 대한 속박으로 이어진다. 아드바이타 베단타에 따르면, 브라흐만에 대한 지식을 얻음으로써 이 환영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해탈이 가능하다.[64]
세속 멸시는 세상의 허무함이 하나님으로부터 도피하려는, 선과 신성에 대한 우리의 갈망을 억누르는 헛된 시도에 불과하다는 믿음을 가리킨다.[65] 장 들뤼모는 이러한 견해를 "공포의 목회"로 묘사했다.[66] "세상, 육체, 그리고 악마"는 유혹의 근원을 나누는 전통적인 구분이다.[67]
Orbis Catholicusla는 "가톨릭 세계"를 의미하는 라틴어 구절이며, ''우르비 에트 오르비'' 표현에 따라 그리스도교 세계 중 교황권 아래 있는 지역을 가리킨다.[68]
이슬람에서 "두냐"(dunya)는 세상을 의미하는 용어로, "가까운"을 뜻하는 어근 "다나"(dana)에서 유래한다.[69] 이는 시간적이고 감각적인 세상과 현세적인 관심사, 즉 영적인 세계와 대조되는 "이 세상"과 관련이 있다.[70] 종교적 가르침은 "이 세상"에서 행복을 추구하는 경향에 대해 경고하고, 사후 세계에 관심을 두는 더욱 금욕적인 삶을 권한다.[71] 이슬람의 다른 흐름에서는 균형 잡힌 접근 방식을 권장한다.[70]
만다이즘의 우주론에서 세계 또는 현세는 티빌로 알려져 있다. 티빌은 위의 빛의 세계()와 아래의 어둠의 세계() 사이에 에테르()로 구분된다.[72][73]
3. 3. 과학적 세계관
과학적 우주론은 우주 전체를 다루는 과학 분야이다. 이 분야에서 "우주", "코스모스"라는 용어는 "세계"라는 용어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12] 과학적 우주론에서 세계/우주는 "[시간과 공간의 총체; 존재하는 것, 존재했던 것, 그리고 존재할 것]"으로 정의된다.[13][4][5] 어떤 정의에서는 시공간 외에도 에너지 또는 물질의 형태(별, 입자 등)와 자연 법칙이라는 두 가지 측면이 더 있다고 강조한다.[14]상대성 이론은 현대 우주론과 시공간 개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전의 시공간 개념과 달리, 시공간을 별개의 차원이 아닌 시공간이라는 단일 4차원 다양체로 개념화한다.[15] 특수 상대성 이론에서는 거리 정의에 공간적, 시간적 구성 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민코프스키 메트릭을 사용한다.[16] 일반 상대성 이론은 질량 개념을 시공간의 곡률로 통합하여 시공간 개념을 더욱 발전시켰다.[16] 양자 우주론은 고전적인 시공간 개념을 사용하며, 전체 세계를 주어진 위치에서 입자를 발견할 확률을 나타내는 하나의 큰 파동 함수로 개념화한다.[17]
과학적 우주론에서 가장 지배적인 이론은 빅뱅 이론이다. 빅뱅 이론에 따르면, 공간, 시간, 물질은 모두 약 138억 년 전에 발생한 초기 특이점에서 기원한다. 이 특이점 이후 팽창이 일어나 우주가 충분히 냉각되어 아원자 입자와 나중에 원자가 형성될 수 있었다. 이러한 초기 원소들은 거대한 구름을 형성했고, 이는 다시 별과 은하로 응축되었다.[16]
4. 자연
지구의 자연환경은 매우 다양하며, 지형, 섬, 산맥, 해안, 해양 등으로 나눌 수 있다.[1]
4. 1. 지형
지구의 표면적은 5km2이며, 이 가운데 육지가 차지하는 면적은 29%에 불과하다. 육지는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오세아니아, 남극대륙의 7대륙으로 나뉘어 있다. 이 가운데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는 문화적으로 일찍부터 개발되어 구대륙으로 불리고, 나머지 4대륙인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오세아니아, 남극대륙은 신대륙이라고 불린다.각 대륙의 평균 고도는 남극대륙이 2200m로 가장 높고, 아시아는 960m, 유럽과 오세아니아는 340m로 가장 낮다. 남극대륙이 특히 높은 이유는 평균 2000m에 달하는 빙하가 지상을 덮고 있기 때문이다.
4. 2. 섬
세계에는 많은 섬들이 있고 생성 요인에 따라 육도와 양도로 나뉜다. 그린란드, 뉴기니섬, 보르네오섬, 마다가스카르섬, 일본열도 등의 큰 섬들은 대륙이 분리된 육도이다.[1] 화산도나 산호초는 해양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양도라고 부른다.[1]4. 3. 산맥
아시아에는 파미르고원을 중심으로 히말라야산맥, 카라코람산맥, 쿤룬산맥, 순다 열도(수마트라섬 등)이 있다. 서쪽으로는 힌두쿠시산맥, 알프스산맥, 피레네산맥 등이 있다.4. 4. 해안
에스파냐 북서부나 에게해 연안 등에서 볼 수 있는 리아스식 해안, 대륙빙하가 덮여 있던 고위도 지방에서 볼 수 있는 피오르드, 유럽의 북해 연안 하구에서 볼 수 있는 삼각강 등은 침강해안이며, 이에 대하여 육지가 융기하여 나타난 사빈해안은 융기해안이다.4. 5. 해양
해양에는 태평양, 대서양, 인도양의 3대양 외에 그 부속해로 지중해가 있다. 지중해의 종류에는 유럽 지중해, 호아 지중해, 아메리카 지중해가 있으며, 아메리카 지중해에는 멕시코만과 카리브해가 있다. 그러나 대체로 지중해라 함은 유럽 지중해를 일컫는 말이다.베링해, 오호츠크해, 황해, 아라비아해, 북해 등은 대륙의 가장자리에 있으며 열도나 반도에 의해 제한된 불완전한 해양이어서 연해(沿海)라고 한다.
5. 인류
2019년 7월 10일 기준, 세계 인구는 약 이며,[105] 아시아에 가장 많이 살고 있다. 매일 약 36만 명이 태어나고, 약 15만 명이 사망하여, 세계 인구는 매일 약 21만 명씩 늘고 있다.
5. 1. 인구 통계
2019년 7월 10일 기준, 세계 인구는 약 이며,[105] 아시아에 가장 많은 인구가 살고 있다. 매일 약 36만 명이 태어나고, 약 15만 명이 사망한다. 세계 인구는 매일 약 21만 명씩 늘고 있다.5. 2. 인구 증가
2019년 7월 10일 기준, 세계 인구는 약 이며,[105] 아시아에 가장 많이 살고 있다. 매일 약 36만 명이 태어나고, 약 15만 명이 사망하여, 세계 인구는 매일 약 21만 명씩 늘고 있다.6. 분류
세계는 지리적, 정치적, 문화적 기준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지리적으로는 적도를 기준으로 북반구와 남반구, 본초자오선을 기준으로 동반구와 서반구로 나뉜다. 또한 육지 분포를 기준으로 육반구와 수반구로 나누기도 한다. 보통 7개의 대륙으로 나누지만, 남극을 제외한 6대륙, 남아메리카와 북아메리카를 합쳐 5대륙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정치적으로는 선진국, 개발도상국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문화적으로, 이슬람 문화권에서는 "두냐"(dunya)라는 용어로 세상을 표현하는데, 이는 영적인 세계와 대조되는 현세적인 관심사를 의미한다.[69][70]
6. 1. 지리적 분류
적도를 기준으로 북반구와 남반구로 나뉜다. 본초자오선을 기준으로 동반구와 서반구로 나뉜다. 육지와 바다의 비율을 기준으로 육지반구와 물반구로 나눌 수 있다.- 적도를 기준으로 → 북반구·남반구
- 본초자오선을 기준으로 → 동반구·서반구
- 육지와 바다의 비율을 기준으로 → 육지반구·물반구
- 아프로-유라시아(유시리카)
- * 유라시아
- **아시아
- **유럽
- * 아프리카
- 아메리카(남북아메리카)
- * 북아메리카
- ** 앵글로아메리카
- * 라틴 아메리카
- ** 중앙아메리카
- ** 남아메리카
- 오세아니아
- * 오스트레일리아
- 북극
- 남극
- 환태평양・환대서양
- 북극권・남극권・적도 지대
- 극동・중동・근동・중근동
6. 2. 정치적 분류
인류가 활동하는 영역은 정치적, 경제적 기준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선진국: 경제적으로 발전하고 산업화된 국가를 의미한다. OECD 회원국이나 G20 회원국 등이 대표적인 선진국으로 분류된다.
- 개발도상국: 경제 발전 수준이 낮고 산업화가 진행 중인 국가를 의미한다.
- 제3세계: 냉전 시대에 미국과 소련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은 국가들을 지칭하는 용어였으나, 현재는 개발도상국과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대한민국은 OECD 회원국이자 G20 회원국으로서, 국제사회에서 선진국으로 분류된다. 또한, 개발도상국과의 경제 협력 및 기술 지원 등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6. 3. 문화적 분류
세계는 다음과 같이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이슬람 문화권에서는 "두냐"(dunya)라는 용어로 세상을 표현한다. 이는 "가까운"을 뜻하는 어근 "다나"(dana)에서 유래하며,[69] 영적인 세계와 대조되는 현세적인 관심사를 의미한다.[70]
7. 국제 관계
인류가 꾸준히 활동하는 물리적 영역 전체를 "세계"라고 칭하며, 이는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인문지리적 개념으로 사용된다. "세계"는 공간 개념으로 현대에는 "지구상의 모든 지역"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세계 정치(World politics), 국제 정치(global politics) 또는 국제 관계(international relations)는 국가와 대륙을 초월하는 세계적인 관심사를 연구하는 정치학의 한 분야이다.[91][92] 단순히 국가 간 관계뿐만 아니라 다국적 기업, 테러 집단 또는 비정부기구(NGO)와 같은 다른 초국가적 행위자들도 고려한다.[93]
국제 연합(UN), 세계 무역 기구(WTO), 국제 통화 기금(IMF),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 등 주요 국제기구와 국제앰네스티, 국경없는의사회, 그린피스와 같은 비정부기구(NGO)들은 각각의 설립 목적과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국제사회의 여러 문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9.11 테러, 2003년 이라크 전쟁, 2007년~2008년 세계 금융 위기 등은 주요 국제 관계 이슈로서, 세계 각국은 이러한 문제들에 대응하고 협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7. 1. 세계 정치 이론
세계 정치(World politics), 또는 국제 정치(global politics)나 국제 관계(international relations)는 국가와 대륙을 초월하는 세계적인 관심사를 연구하는 정치학의 한 분야이다.[91][92] 세계 정치는 흔히 세계화의 맥락에서 권력, 질서, 정의 추구와 관련된 사회 세계의 복잡한 패턴을 설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93] 단순히 국가 간 관계뿐만 아니라 다국적 기업, 테러 집단 또는 비정부기구와 같은 다른 초국가적 행위자들도 고려한다.[93] 예를 들어, 9.11 테러, 2003년 이라크 전쟁 또는 2007년~2008년 세계 금융 위기와 같은 사건들을 설명하려고 시도한다.이러한 설명을 구성하는 데 수반되는 복잡성을 다루기 위해 다양한 이론이 제시되었다.[93] 이러한 이론들은 때때로 현실주의, 자유주의, 구성주의로 나뉜다.[94]
- 현실주의: 국가를 세계 정치의 주요 행위자로 본다. 국가들은 그들의 행동을 통제할 수 있는 상위 권력이 없는 무정부 상태의 국제 시스템을 구성한다. 국가들은 인간 본성에 의해 결정되고, 국가의 자기 이익에 따라 행동하는 주권적 행위자로 여겨진다. 군사력은 국가 간 권력 투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지만, 외교와 협력 또한 국가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핵심 메커니즘이다.[93][95][96]
- 자유주의: 국가의 중요성을 인정하지만, 국제 연합이나 세계 무역 기구와 같은 초국가적 행위자의 역할도 강조한다. 그들은 인간은 완벽해질 수 있다고 보고 이 과정에서 민주주의의 역할을 강조한다. 이 관점에서 세계 정치의 부상하는 질서는 더 많은 다양한 행위자와 이해관계가 그 생성에 관여하기 때문에 단순한 권력 균형보다 더 복잡하다.[93][97]
- 구성주의: 현실주의와 자유주의보다 개인의 행위자에 더 많은 중요성을 부여한다. 사회 세계를 그 안에 사는 사람들이 구성한 것으로 이해한다. 이는 변화의 가능성을 강조하게 된다. 만약 국제 시스템이 현실주의자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국가들의 무정부 상태라면, 이는 우리가 그렇게 만들었기 때문이며, 구성주의자들에 따르면 이것은 인간 본성에 의해 예정된 것이 아니므로 변경될 수 있다.[93][98]
7. 2. 국제기구
국제 연합(UN), 세계 무역 기구(WTO), 국제 통화 기금(IMF),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 등 주요 국제기구는 각각의 설립 목적과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한국은 이러한 국제기구의 회원국으로서 국제사회의 여러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국제 연합(UN): 국제 평화와 안전 유지, 국가 간 우호 관계 증진, 경제·사회·문화·인도적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 협력을 목적으로 한다. 대한민국은 UN 회원국으로서 평화 유지 활동, 개발 협력, 인권 증진 등 다양한 분야에 기여하고 있다.
- 세계 무역 기구(WTO): 자유 무역 질서 확립과 무역 분쟁 해결을 위한 국제기구이다. 대한민국은 WTO 회원국으로서 다자간 무역 체제의 발전과 무역 자유화에 기여하고 있다.
- 국제 통화 기금(IMF): 국제 금융 안정과 회원국의 경제 성장 지원을 목적으로 한다. 대한민국은 IMF 회원국으로서 국제 금융 위기 극복과 경제 안정화에 기여하고 있다.
-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 회원국 간 경제·사회 정책 협의 및 조정을 통해 공동 번영을 추구하는 국제기구이다. 대한민국은 OECD 회원국으로서 경제 발전 경험을 공유하고, 개발도상국 지원 및 기후 변화 대응 등 글로벌 이슈 해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 주요 20개국(G20): 세계 경제 위기 극복과 국제 금융 시스템 안정을 위해 설립된 주요 20개국의 협의체이다. 대한민국은 G20 회원국으로서 글로벌 경제 문제 해결과 국제 공조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UN, OECD, G20 등 주요 국제기구의 회원국으로서 국제사회의 평화와 번영에 기여하고 있으며, 특히 기후 변화, 개발 협력, 인권 등 글로벌 이슈 해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7. 3. 비정부기구 (NGO)
국제앰네스티는 세계적인 인권 문제를 다루는 비정부기구(NGO)이다. 국경없는의사회는 의료 지원이 필요한 분쟁 지역이나 질병 발생 지역에서 활동하는 NGO이다. 그린피스는 환경 문제에 초점을 맞춘 활동을 하는 NGO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비정부기구들은 각자의 분야에서 국제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7. 4. 주요 국제 관계 이슈
9.11 테러는 국제 관계에 큰 영향을 미친 사건으로, 이후 국제 테러리즘 대응을 위한 국제 공조가 강화되었다. 대한민국도 테러 방지를 위한 국제 협력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93]2003년 이라크 전쟁은 대량살상무기 확산 문제와 국제사회의 개입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한국은 미국의 동맹국으로서 이라크 파병을 결정했으나, 이는 국내외적으로 큰 논란을 야기했다.[93]
2007년~2008년 세계 금융 위기는 세계 경제의 상호의존성을 보여주었으며, 한국 경제도 큰 영향을 받았다.[93]
8. 세계화와 지역화
세계화와 지역화는 서로 상반되는 개념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밀접하게 연관되어 현대 사회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치는 현상이다. 세계화는 경제 성장과 문화 교류의 기회를 제공하지만, 불평등 심화, 문화적 획일화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반면 지역화는 지역 간 협력을 통해 공동 발전을 추구하지만, 배타적인 지역주의로 변질될 위험도 있다.[99]
세계화는 인류가 활동하는 물리적 영역 전체를 포괄하는 개념이며, 지역화는 특정 집단이나 공동체와 관련된 공간을 의미한다. 대한민국은 이러한 세계화와 지역화의 흐름 속에서 긍정적인 측면은 극대화하고 부정적인 측면은 최소화하는 전략을 추구해야 한다. 경제적으로는 세계 경제의 흐름에 맞춰 세계 표준을 따르면서도, 지역 경제의 특수성을 고려해야 한다. 문화적으로는 한류와 같이 한국 문화를 세계에 알리는 동시에, 다양한 지역 문화를 보존하고 발전시켜야 한다.
8. 1. 세계화 (Globalization)
인류가 꾸준히 활동하는 물리적 영역 전체를 가리키는 "세계"는,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인문지리적 개념으로 사용되며, 주로 어떤 사회와 관련된 공간을 의미하는 다의어이다. "사회"는 집단이나 공동체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세계"는 공간 개념으로 현대에는 "지구상의 모든 지역"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앞으로 인류의 활동이 우주로 확장될 경우, “세계”에 포함되는 물리적 영역이 우주 공간이나 다른 행성으로 확장될 가능성이 있다.세계와 세계에서 인간의 존재 방식에 대한 체계적인 사고방식을 “세계관”이라고 한다.[99] 세계상은 세계관과 달리 세계를 외부에서 바라보는 태도이며, 지적이고 객관적인 분석 대상이다. 하지만 세계상은 종종 그 시대에 맞는 검증을 받아 전통적인 세계관을 무너뜨리고 새로운 세계관의 지적 기반이 되기도 한다.
세계의 일체화는 세계 시스템 이론과 연결되어 설명될 수 있다.
8. 2. 지역화 (Regionalization)
실용적인 의미에서 '세계'는 인류가 활동하는 물리적 영역 전체를, 사회적 맥락에서는 특정 집단이나 공동체와 관련된 공간을 의미한다. 이는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인문지리적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유의어인 "사회"는 집단이나 공동체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세계"는 공간적 개념을 강조하며, 현대에는 "지구상의 모든 지역"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지구"는 자연과학적 관점에서 물리적 공간을 지칭하는 경향이 있다. 미래에 인류의 활동이 우주로 확장되면, "세계"의 개념은 우주 공간이나 다른 행성으로 확장될 수 있다.세계와 인간 존재에 대한 체계적인 사고방식은 "세계관"이라고 불린다.[99] 인생관과 유사하지만 더 넓은 범위를 다루며, 감정적 평가를 포함한다. 반면 "세계상"은 세계를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태도를 의미하며, 종종 전통적인 세계관을 변화시키고 새로운 세계관의 지적 기반이 되기도 한다. 즉, 세계관은 각 시대와 지역 사람들의 생활 경험과 전통적 관념을 바탕으로, 세계상과 연결되어 개인의 삶과 행동 지침이 되는 사고방식을 의미한다.
'세계'는 인간 외 생물, 무생물, 추상적 사건의 영역에도 사용될 수 있지만, 주로 인간과 관련된 물리적, 사회적, 심리적 영역을 지칭한다.
8. 3. 세계화와 지역화의 관계
세계화와 지역화는 상호 연관된 현상으로, 현대 사회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세계화는 경제 성장과 문화 교류의 기회를 제공하지만, 동시에 불평등 심화, 문화적 획일화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지역화는 지역 간 협력을 통해 공동 발전을 추구하지만, 배타적인 지역주의로 변질될 위험도 있다.[99]대한민국은 세계화와 지역화의 긍정적인 측면을 극대화하고 부정적인 측면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특히, 경제적 측면에서 세계 경제의 흐름에 발맞춰 세계 표준을 따르면서도, 지역 경제의 특수성을 고려한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문화적 측면에서는 한류와 같이 한국의 문화를 세계에 알리는 동시에, 다양한 지역 문화를 보존하고 발전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9. 한국과 세계
한국은 세계 속에서 독특한 역사와 문화를 지닌 국가이다. 고조선 건국 이후 한반도 내 여러 국가들이 흥망성쇠를 거듭하며 주변국과 교류했다. 삼국시대에는 불교, 유교 등 외래 사상을 수용하고 일본에 문물을 전파했으며, 고려 시대에는 송나라, 요나라, 금나라 등과 외교 관계를 맺고 원나라의 간섭을 받기도 했다. 조선 시대에는 명나라와 사대 관계를 맺고 일본과 교류하며 임진왜란과 같은 외침을 겪었다. 개항기에는 서구 열강의 침략에 맞서 근대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였으나, 결국 일제 강점기를 맞이했다.
일제 강점기에는 3·1 운동,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등 독립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으며, 해방 이후 대한민국은 한국 전쟁이라는 동족상잔의 비극을 겪었지만, 폐허 속에서 경제 성장과 민주화를 이루어냈다.
오늘날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이자 G20 정상회의에 참여하는 등 국제사회에서 중견국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K-팝을 필두로 한 한류 열풍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한국의 문화적 영향력이 크게 확대되었다.
앞으로 한국은 한반도 평화 정착, 기후변화 대응, 불평등 해소,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혁신 성장 등 여러 과제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사회와 협력하며, 포용적 성장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구해야 한다.
9. 1. 역사 속 한국과 세계
세계사(학문)는 역사적 관점에서 세계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개별 국가나 문명보다는 넓은 지역 간의 상호작용과 사람, 상품, 사상의 이동에 주목한다.[86][87] 특히 산업화 과정과 같이 장기적인 세계적 영향을 미치는 광범위한 발전을 고려한다.[86]한국사는 이러한 세계사의 흐름 속에서 독자적인 발전과 외부와의 교류를 통해 형성되었다. 고조선 건국 이후 한반도 내 여러 국가들이 흥망성쇠를 거듭하며 중국, 일본 등 주변국과 교류하였다. 삼국시대에는 불교, 유교 등 외래 사상을 수용하고, 일본에 문물을 전파하는 등 활발한 문화 교류가 이루어졌다.
고려 시대에는 송나라, 요나라, 금나라 등과 외교 관계를 맺고, 원나라의 간섭을 받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팔만대장경 제작, 금속활자 발명 등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켰다.
조선 시대에는 명나라와 사대 관계를 맺고, 일본과 교류하며 임진왜란과 같은 외침을 겪기도 했다. 임진왜란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침략으로 발발한 전쟁으로, 이순신 장군의 활약과 의병들의 항쟁으로 국난을 극복한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후 병자호란 등 외세의 침략을 경험했지만, 민족의 정체성을 지키고 실학 등 새로운 사상을 발전시켰다.
개항기에는 서구 열강의 침략에 맞서 갑오개혁, 대한제국 수립 등 근대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였으나, 결국 일제 강점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일제 강점기에는 3.1 운동,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등 독립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으며, 이는 민족의 자주독립 의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이다.
해방 이후 대한민국은 한국 전쟁이라는 동족상잔의 비극을 겪었지만, 폐허 속에서 경제 성장과 민주화를 이루어냈다. 특히 1980년대 민주화 운동은 군사 독재를 종식시키고 민주주의를 정착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오늘날 한국은 세계 경제의 주요 주체로 성장했으며, 한류를 통해 전 세계에 한국 문화를 알리고 있다. 이러한 발전은 과거 외세의 침략과 시련을 극복하고 민족의 정체성을 지켜온 역사적 경험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9. 2. 현대 한국과 세계
한국은 1960년대 이후 괄목할 만한 경제 성장을 이루어 한강의 기적으로 불리는 시기를 경험했다. 동시에, 시민들의 끊임없는 노력으로 민주화 운동을 통해 군사 독재를 종식시키고 민주주의를 성취했다. 이러한 경제 성장과 민주화를 동시에 달성한 경험은 국제사회에서 한국을 모범적인 국가로 인식하게 했다.
현재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이자 G20 정상회의에 참여하는 등 국제사회에서 중견국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개발도상국에 대한 경제 원조를 통해 국제사회의 발전에도 기여하고 있다.
최근에는 K-팝을 필두로 한 한류 열풍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한국의 문화적 영향력이 크게 확대되었다. 드라마, 영화, 음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 문화가 인기를 얻으며, 이는 한국의 소프트 파워를 강화하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9. 3. 한국의 미래와 세계
인류가 꾸준히 활동하는 물리적 영역은 '세계'라고 불리며, 이는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개념을 포함한다. 앞으로 인류의 활동이 우주로 확장되면, "세계"의 범위는 우주 공간이나 다른 행성으로 확장될 수 있다.[99]한국은 한반도 평화 정착, 기후변화 대응, 불평등 해소,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혁신 성장 등 여러 과제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사회와 협력하며, 포용적 성장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구해야 한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노력을 통해 한국이 세계 평화와 번영에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
참조
[1]
웹사이트
World
http://wordnetweb.pr[...]
Princeton University
2021-08-14
[2]
웹사이트
Homework Help and Textbook Solutions | bartleby
https://www.bartleby[...]
2008-05-12
[3]
서적
A Handbook of Germanic Etymology
Brill
2003
[4]
서적
Enzyklopädie Philosophie
https://meiner.de/en[...]
Meiner
2010
[5]
서적
Enzyklopädie Philosophie und Wissenschaftstheorie
https://www.springer[...]
Metzler
2005
[6]
서적
On the Plurality of Worlds
https://philpapers.o[...]
Wiley-Blackwell
1986
[7]
웹사이트
Monism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8
[8]
논문
From Nihilism to Monism
https://philpapers.o[...]
2007
[9]
논문
Against Monism
https://philpapers.o[...]
2007
[10]
논문
Blobjectivism and Indirect Correspondence
https://philpapers.o[...]
2000
[11]
논문
Priority Monism and Part/Whole Dependence
https://philpapers.o[...]
2015
[12]
서적
Universe, Human Immortality and Future Human Evaluation
https://books.google[...]
Elsevier
2011-12-26
[13]
서적
Introductory Astronomy & Astrophysics
https://books.google[...]
Saunders College Pub.
[14]
서적
Vision and Visual Perception
https://books.google[...]
Archway Publishing
2014-12-03
[15]
논문
'World' is Not a Count Noun
https://philpapers.o[...]
1995
[16]
서적
Introductory Astronomy & Astrophysics
https://books.google[...]
Saunders College Pub.
[17]
논문
Spontaneous creation of the universe from nothing
2014
[18]
웹사이트
Modal Metaphysics
https://iep.utm.edu/[...]
[19]
웹사이트
Possible Worlds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7
[20]
논문
Propositions, Sets, and Worlds
https://link.springe[...]
2006-04-01
[21]
웹사이트
Possible Worlds > Problems with Abstractionism
https://plato.stanfo[...]
[22]
웹사이트
Actualism > An Account of Abstract Possible Worlds
https://plato.stanfo[...]
[23]
논문
David Lewis: On the Plurality of Worlds
https://philpapers.o[...]
Acumen Publishing
2006
[24]
웹사이트
Impossible Worlds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8
[25]
논문
A Classically-Based Theory of Impossible Worlds
https://philpapers.o[...]
1997
[26]
서적
Immersion and Distance
https://brill.com/vi[...]
Brill Rodopi
2013
[27]
서적
Encyclopedia of Phenomenology
https://philpapers.o[...]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97
[28]
웹사이트
Phenomenology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8
[29]
웹사이트
Phenomenology
https://iep.utm.edu/[...]
[30]
논문
Mind and World
https://philpapers.o[...]
1994
[31]
웹사이트
Philosophy of Mind: Overview
https://www.encyclop[...]
[32]
웹사이트
Philosophy Of Mind
https://www.encyclop[...]
[33]
웹사이트
Philosophy of mind
https://www.britanni[...]
[34]
논문
Mind-World Relations
https://philpapers.o[...]
2015
[35]
논문
Perception and Rational Constraint: McDowell's Mind and World
https://philpapers.o[...]
1996
[36]
웹사이트
Realism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9
[37]
웹사이트
Idealism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1-04-10
[38]
웹사이트
Kant's Transcendental Idealism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1
[39]
웹사이트
Berkeley, George
https://iep.utm.edu/[...]
2021-04-10
[40]
웹사이트
God, concepts of: Classical theism
https://www.rep.rout[...]
2021-04-12
[41]
웹사이트
Theism
https://www.britanni[...]
2021-04-12
[42]
웹사이트
Panentheism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0
[43]
웹사이트
Deism
https://www.britanni[...]
2021-04-12
[44]
웹사이트
God, concepts of: Pantheism
https://www.rep.rout[...]
[45]
웹사이트
God, concepts of: Panentheism
https://www.rep.rout[...]
[46]
서적
Basic Problems of Phenomenology
https://archive.org/[...]
Indiana University Press
[47]
웹사이트
Plato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7
[48]
웹사이트
Plato: 6b. The Theory of Forms
https://iep.utm.edu/[...]
2021-04-24
[49]
논문
Plato on the Imperfection of the Sensible World
https://www.jstor.or[...]
1975
[50]
웹사이트
Plato's Myths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8
[51]
웹사이트
Ludwig Wittgenstein
https://plato.stanfo[...]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2017-12-03
[52]
서적
[53]
논문
Eugen Fink and the Question of the World
https://philpapers.o[...]
2008
[54]
논문
The Play of Ethics in Eugen Fink
https://philpapers.o[...]
2013
[55]
논문
Beyond Things: The Ontological Importance of Play According to Eugen Fink
https://philpapers.o[...]
2016
[56]
논문
Towards the World: Eugen Fink on the Cosmological Value of Play
https://philpapers.o[...]
2015
[57]
웹사이트
Nelson Goodman: 6. Irrealism and Worldmaking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0
[58]
간행물
"Worldly"
Wm. B. Eerdmans
[59]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60]
논문
The Problem of the Sāṃkhya Tattvas as Both Cosmic and Psychological Phenomena
https://www.jstor.or[...]
1986
[61]
웹사이트
Indian philosophy - The Samkhya-karikas
https://www.britanni[...]
2021-04-15
[62]
웹사이트
Sankhya
https://iep.utm.edu/[...]
2021-04-15
[63]
웹사이트
Hindu Philosophy
https://iep.utm.edu/[...]
2021-04-15
[64]
웹사이트
Vedanta, Advaita
https://iep.utm.edu/[...]
2021-04-15
[65]
웹사이트
Contemptus Mundi : Contempt of the world | Catholic Christian Healing Psychology
http://www.chastitys[...]
[66]
웹사이트
Parish Missions
http://www.ewtn.com/[...]
[67]
웹사이트
The meaning of 'The world, the flesh and the Devil'
https://catholichera[...]
2019-03-14
[68]
서적
The Christian World: A Global History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Publishing Group
[69]
웹사이트
Attas, Islam and Secularism
2023-07
[70]
서적
Concise Encyclopaedia of Islam: Edited on Behalf of the Royal Netherlands Academy. Fourth Impression
https://brill.com/vi[...]
Brill
2001
[71]
서적
The Truth of the Life of This World
https://harun-yahya.[...]
1999
[72]
PhD
The story of creation in the Mandaean holy book in the Ginza Rba
https://discovery.uc[...]
University College London
2008
[73]
서적
The Mandaeans: ancient texts and modern peop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74]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Sciences
https://www.encyclop[...]
[75]
서적
Matter and Mind: A Philosophical Inquiry
https://philpapers.o[...]
Springer Verlag
2010
[76]
서적
International Dictionary of Psychoanalysis
https://www.encyclop[...]
[77]
서적
A Dictionary of Sociology
https://www.encyclop[...]
[78]
학술지
Introduction
https://philpapers.o[...]
1998
[79]
학술지
Goodman's Many Worlds
https://philpapers.o[...]
2019
[80]
웹사이트
The Old World-New World Debate and the Columbian Exchange
https://www.wondrium[...]
2021-01-31
[81]
서적
Encyclopedia of Religion
https://www.encyclop[...]
[82]
웹사이트
Cosmogony
https://www.britanni[...]
2021-04-12
[83]
웹사이트
Eschatology
https://www.britanni[...]
2021-04-13
[84]
서적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www.encyclop[...]
[85]
웹사이트
Cosmology and Theology: 7. Physical eschatology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1-04-13
[86]
웹사이트
The Task of World History
https://www.oxfordha[...]
2011-03-31
[87]
웹사이트
What Is World History?
https://www.thewha.o[...]
World History Association
2021-04-14
[88]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World History
https://www.oxfordha[...]
2011
[89]
서적
The Agricultural Revolution in Prehistory: Why did Foragers become Farmer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90]
웹사이트
Industrial Revolution
https://www.britanni[...]
2021-04-14
[91]
서적
The Globalization of World Politics: An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Relations
https://global.oup.c[...]
Oxford University Press
2020
[92]
서적
World Politics: Trend and Transformation, 17th Edition - 9780357141809 - Cengage
https://www.cengage.[...]
Cengage
2021
[93]
서적
The Globalization of World Politics: An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Relations
https://global.oup.c[...]
Oxford University Press
2020
[94]
서적
World Politics: Trend and Transformation, 17th Edition - 9780357141809 - Cengage
https://www.cengage.[...]
Cengage
2021
[95]
웹사이트
Political Realism in International Relations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1-04-14
[96]
웹사이트
Political Realism
https://iep.utm.edu/[...]
2021-04-14
[97]
웹사이트
Liberalism
https://www.oxfordbi[...]
2021-04-14
[98]
웹사이트
Constructivism
https://www.oxfordbi[...]
2021-04-14
[99]
서적
広辞林 第五版
[100]
서적
広辞苑第5版
[101]
서적
岩波 哲学思想事典
1988
[102]
간행물
세계図屏風
岡山県
[103]
서적
東大講義録, 堺屋太一が説くチンギス・ハンの世界
2003, 2006
[104]
웹사이트
Bartleby.com: Great Books Online - Quotes, Poems, Novels, Classics and hundreds more
http://www.bartleby.[...]
2008-06-03
[105]
웹사이트
https://www.worldom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