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칭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칭호는 존경, 사회적 지위, 직위 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문구이다. 한국에서는 역사적으로 신분제와 유교 문화의 영향으로 다양한 칭호가 사용되었으며, 왕족, 귀족, 양반, 평민, 천민 등 신분에 따라 칭호가 달랐다. 현대 사회에서는 성별, 결혼 여부, 직업 등에 따라 다양한 칭호가 사용되며, 공식적인 칭호는 직위, 직책, 자격, 학위 등을 나타낸다. 칭호 사용은 성 평등, 다양성 존중의 관점에서 변화하고 있으며, 차별적인 칭호 사용에 대한 논란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칭 - 성하 (호칭)
    성하는 로마 가톨릭 교회의 교황과 동방 정교회의 총대주교를 지칭하는 존칭으로, 가톨릭에서는 교황에게만, 동방 정교회에서는 총대주교에게 사용되지만, 최근 다른 종교 지도자에게도 사용되면서 논란이 있다.
  • 호칭 - Sir
    Sir는 남성에 대한 존칭으로, 기사 작위나 준남작 작위를 받은 남성에게 사용되며, 영국을 비롯한 영연방 국가에서 훈장을 수여받은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Sir' 칭호의 사용법은 칭호 사용 자격, 여성형 칭호인 '데임(Dame)' 및 '레이디(Lady)'의 사용법과 관련되어 있다.
  • 칭호 - 관찰사
    관찰사는 중국, 한국, 일본에서 지방 행정 감찰관직으로, 당나라 채방처치사에서 시작되어 관찰처치사로 개칭되며 명칭이 유래되었고, 한국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정착하여 각 도에 파견된 종2품 문관직으로 지방 행정 전반에 걸쳐 권한을 행사했다.
  • 칭호 - 마쓰다이라씨
    마쓰다이라씨는 기원이 불분명하나 세이와 겐지 닛타씨의 후예로 여겨지기도 하고 가모씨나 스즈키씨의 일족일 가능성도 있으며 미카와국 유래설이 가장 널리 알려진 일본의 무가로, 14세기경 미카와 마쓰다이라 마을에 세력을 확립한 후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배출하고 에도 시대까지 이어졌다.
칭호
기본 정보
칭호
칭호의 예시
의미사람의 이름 앞에 붙여 그 사람의 사회적 지위, 신분, 직함, 명예 등을 나타내는 단어
종류
사회적 지위귀족, 성직자, 군인, 전문직 등
신분왕족, 귀족, 평민 등
직함대통령, 장관, 교수, 의사 등
명예박사, 명예교수, 훈장 수훈자 등
사용
사용 목적존경, 존중, 구별, 과시 등
사용 방법이름 앞에 붙이거나, 이름 뒤에 붙이거나, 이름 대신 사용
주의 사항
남용칭호를 남용하면 오히려 역효과를 낼 수 있음
시대착오적 칭호시대착오적인 칭호는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함

2. 역사적 배경

칭호는 인류 역사와 함께 발전해 온 개념으로, 사회 구조와 권력 관계를 반영한다. 존칭이나 경칭은 의사 전달을 받는 사람에 대한 존경을 표시하거나 속성을 인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제국, 왕실 및 귀족 계급, 학위, 사회적 지위, 명예 칭호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11]

역사적으로 칭호는 더 이상 공식적으로 사용되지 않지만, 일부는 과거 왕조에 의해 주장될 수 있다. 러시아에는 보야르, 댜크, 크냐즈(벨리키 크냐즈 포함), 나메스트니크 등의 칭호가 있었다. 독일에는 부르크라프, 그라프, 프라이그라프, 란트그라프, 마르크그라프 등의 칭호가, 스페인에는 돈, 이달고 등의 칭호가 존재했다.

그 외에도 아우구스타(아우구스투스의 여성형), 코메스, 후궁, 신사, 라스, 사히브, 반, 베이, 보야르, 성주, 백부장, 정복자, 다이묘, 선제후, 사무라이, 쇼군 등 다양한 칭호가 역사 속에서 사용되었다.

군주, 제후, 국가 원수의 지위(황위 또는 왕위 등)를 나타내는 칭호로는 천황, 황제, 국왕, , 아우구스투스, 카이사르 등이 있다. 대통령, 국가 주석 등의 국가 원수나 총리, 장관 등의 관직명, 영웅에게 수여되는 칭호, 작위와 같은 귀족 칭호, 군대의 계급 등도 칭호에 포함된다.

2. 1. 한국의 전통 칭호

조선시대에는 유교 문화와 신분제의 영향으로 다양한 칭호가 사용되었다. 대방, 도방 (경영), 대행수, 행수 등의 칭호가 있었으며[11], 현재에는 직책과 직무에 따른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회장 (경영), 사장, 대표, 이사 등의 호칭이 사용된다.[11]

2. 2. 근대 이후의 변화

개항 이후 서구 문물의 유입과 함께 새로운 칭호가 등장하고, 기존 칭호의 의미와 사용 방식이 변화하기 시작했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식 칭호가 강요되기도 했으며, 이는 한국 사회의 전통적인 칭호 체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해방 이후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함께 민주주의 이념이 확산되면서, 신분제적 요소가 강한 칭호는 점차 사라지고, 직업, 직책, 학위 등을 나타내는 칭호가 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3. 현대 사회의 칭호

현대 사회에서는 다양한 칭호가 사용된다. 이러한 칭호는 특정 의미와 사회적 기능을 갖는다.

현대 사회에서 사용되는 칭호에는 공식적인 칭호와 비공식적인 칭호가 있다. 군주국에서는 황제, 국왕, 천황 등의 칭호를 사용하며,[4] 공화국에서는 대통령, 국가주석, 총독, 총리(수상) 등의 칭호를 사용한다. 장관, 교육감, 교장, 교감, 교사, 학생, 원생 등도 공식 칭호에 해당한다. 조선 시대에는 대방, 도방, 대행수, 행수 등의 칭호를 사용했고, 현재는 '''직위'''(職位)를 직책 및 직무에 따른 사회적 지위로 부르며, 회장, 사장, 대표, 이사 등의 호칭을 사용한다. 불교(법사), 천주교(교황), 기독교(목사), 이슬람(칼리프) 등 종교에서도 공식 칭호를 사용한다.

비공식 칭호는 공식적인 직함 외에 사회생활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호칭, 존칭, 예우 등을 포함한다. 여기에는 가족 호칭(부모, 조부모, 형제자매, 친척 등), 사회적 호칭(선생님, 사장님, 선배님, 후배님 등), 존칭(이름 뒤에 붙여 존경의 의미를 나타내는 '~님', '~씨' 등), 애칭(친근함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별명이나 약칭), 온라인 칭호(인터넷 커뮤니티나 게임 등에서 사용되는 닉네임, 아이디 등) 등이 있다.

한편, 일부 칭호는 성별, 결혼 여부, 직업, 연령 등을 기준으로 차별적인 의미를 내포하거나 특정 집단에 대한 편견을 조장할 수 있어 논란이 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여성에게만 사용되는 '여사', '미스', '미세스' 등은 성차별적이라는 비판을 받는다. '미혼', '기혼', '돌싱' 등 결혼 여부에 따른 칭호는 개인의 사생활을 불필요하게 드러낸다는 지적이 있다. 2018년에는 GoTitleFree[1]라는 캠페인이 시작되어 기업들이 등록 양식에서 결혼 여부 칭호를 요구, 저장, 사용하는 것을 중단하고 고객과 대화할 때 사용하지 않도록 권장했다. 이는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orld Wide Web Consortium)[2]과 영국 정부 디지털 서비스(Government Digital Service)[3]가 옹호하는 확립된 관행과 일치한다. 특정 직업을 비하하거나 낮춰 부르는 칭호는 사회적 편견을 강화할 수 있으며, '아줌마', '아저씨', '노인' 등 특정 연령대에 대한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반영하는 칭호도 논란이 될 수 있다.

성별에 따른 칭호는 다음과 같다.


  • '''미스터''' (Mr.): 성인 남성 (결혼 여부와 무관)
  • '''미스''' (Ms.): 성인 여성 (결혼 여부와 무관)
  • '''미세스''' (Mrs.): 기혼 성인 여성 (미망인 및 이혼녀 포함)
  • '''미스''' (Miss): 미혼 성인 여성 또는 여자아이
  • '''마스터''' (Master): 남자아이
  • '''마담''' (Madam, Madame, Ma'am): 성인 여성에 대한 공식적인 경칭
  • '''Mx.''': 성 중립 또는 미지정

3. 1. 공식 칭호

군주국에서는 황제, 국왕, 천왕, 천황 등의 칭호를 사용한다.[4] 공화국에서는 대통령, 국가주석, 총독, 총리(수상) 등의 칭호를 사용한다.

장관, 교육감, 교장, 교감, 교사, 학생, 원생 등도 공식 칭호에 해당한다.

조선 시대에는 대방, 도방 (경영), 대행수, 행수 등의 칭호를 사용했다. 현재는 '''직위'''(職位)를 직책 및 직무에 따른 사회적 지위로 부르며, 회장 (경영), 사장, 대표, 이사 등의 호칭을 사용한다.

불교(법사), 천주교(교황), 기독교(목사), 이슬람(칼리프) 등 종교에서도 공식 칭호를 사용한다.

3. 2. 비공식 칭호

비공식 칭호는 공식적인 직함 외에 사회생활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호칭, 존칭, 예우 등을 포함한다.

  • 가족 호칭: 부모, 조부모, 형제자매, 친척 등을 부르는 칭호
  • 사회적 호칭: 선생님, 사장님, 선배님, 후배님 등
  • 존칭: 이름 뒤에 붙여 존경의 의미를 나타내는 '~님', '~씨' 등
  • 애칭: 친근함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별명이나 약칭
  • 온라인 칭호: 인터넷 커뮤니티나 게임 등에서 사용되는 닉네임, 아이디 등

3. 3. 논란이 되는 칭호

일부 칭호는 성별, 결혼 여부, 직업, 연령 등을 기준으로 차별적인 의미를 내포하거나, 특정 집단에 대한 편견을 조장할 수 있어 논란이 되기도 한다.
성차별적 칭호: 여성에게만 사용되는 '여사', '미스', '미세스' 등은 성차별적이라는 비판을 받는다.

  • '''미스터''' (Mr.): 성인 남성 (결혼 여부와 무관)
  • '''미스''' (Ms.): 성인 여성 (결혼 여부와 무관)
  • '''미세스''' (Mrs.): 기혼 성인 여성 (미망인 및 이혼녀 포함)
  • '''미스''' (Miss): 미혼 성인 여성 또는 여자아이
  • '''마스터''' (Master): 남자아이
  • '''마담''' (Madam, Madame, Ma'am): 성인 여성에 대한 공식적인 경칭. "미스터"의 용법과 유사하게 권위나 존경을 나타내는 데에도 사용됨.
  • '''Mx.''': 성 중립 또는 미지정 (일부 지역에서는 인정되지 않을 수 있음)

결혼 여부에 따른 칭호: '미혼', '기혼', '돌싱' 등은 개인의 사생활을 불필요하게 드러낸다는 지적이 있다. 2018년에는 GoTitleFree[1]라는 캠페인이 시작되어 기업들이 등록 양식에서 결혼 여부 칭호를 요구, 저장, 사용하는 것을 중단하고 고객과 대화할 때 사용하지 않도록 권장했다. 이는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orld Wide Web Consortium)[2]과 영국 정부 디지털 서비스(Government Digital Service)[3]가 옹호하는 확립된 관행과 일치한다.
직업 차별적 칭호: 특정 직업을 비하하거나 낮춰 부르는 칭호는 사회적 편견을 강화할 수 있다.
연령 차별적 칭호: '아줌마', '아저씨', '노인' 등은 특정 연령대에 대한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반영할 수 있다.

4. 칭호 사용의 변화와 과제

사회가 변화함에 따라 칭호 사용 방식도 변화하고 있으며, 특히 평등과 다양성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변화해야 한다. 일부 사람들은 결혼 여부, 나이, 성별을 나타내는 칭호 사용에 반대한다. 이러한 변화는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2]과 영국 정부 디지털 서비스[3]와 같은 기관에서 옹호하는 확립된 관행과 일치한다.[1]

4. 1. 성 평등한 칭호 사용

일부 사람들은 결혼 여부, 나이, 성별을 나타내는 칭호 사용에 반대한다. 2018년에는 GoTitleFree[1] 캠페인이 시작되어 기업들이 등록 양식에서 결혼 여부 칭호를 요구, 저장, 사용하지 않고 고객과 대화할 때 사용하지 않도록 권장했다. 이는 칭호가 여성의 나이나 결혼 가능성에 대한 추측을 유발하고, 성 중립적인 사람들을 배제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Mx.와 같은 다양한 칭호가 일부 국가에서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는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orld Wide Web Consortium)[2]과 영국 정부 온라인 서비스의 표준을 설정하는 영국 정부 디지털 서비스(Government Digital Service)[3]가 옹호하는 확립된 관행과 일치한다. 영국 여권 및 운전 면허증에서 칭호가 선택 사항인 것도 같은 맥락이다.

프랑스어독일어네덜란드어스페인어이탈리아어스웨덴어포르투갈어그리스어힌디어
남성무슈(Monsieur)헤어(Herr)메네르(Meneer)세뇨르(Señor)시뇨르(Signor)헤르(Herr)세뇨르(Senhor)키리오스-에(Κύριος-ε)스리만/스리(Śrīmān/Śrī)
여성마담(Madame)프라우(Frau)메브라우(Mevrouw)세뇨라(Señora)시뇨라(Signora)프루(Fru)센호라(Senhora)키리아(Κυρία)스리마티(Śrīmatī)
미혼 여성마드모아젤(Mademoiselle)프라울라인(Fräulein)퓌프로우/메퓌프로우(Juffrouw/
Mejuffrouw)
세뇨리타(Señorita)시뇨리나(Signorina)프뢰켄(Fröken)세뇨리타(Senhorita)데스포이니스(Δεσποινίς)수스리(Suśrī)


4. 2. 다양성을 존중하는 칭호 사용

2018년에 GoTitleFree영어[1] 캠페인이 시작되어 기업들이 등록 양식에서 결혼 여부 칭호를 요구, 저장, 사용하는 것을 중단하고 고객과 대화할 때 사용하지 않도록 권장했다. 이는 칭호가 종종 여성의 나이나 결혼 가능성에 대한 추측을 유발하고, 성 중립적인 사람들을 배제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Mx.|엠엑스영어와 같은 다양한 칭호가 일부 국가에서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는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orld Wide Web Consortium)[2]과 영국 정부 온라인 서비스의 표준을 설정하는 영국 정부 디지털 서비스(Government Digital Service)[3]가 옹호하는 확립된 관행과 일치한다. 다시 말해 영국 여권 및 운전 면허증에서 칭호는 선택 사항이다.

4. 3. 한국 사회의 특수성

한국어에는 존댓말과 반말의 구분이 있으며, 이는 칭호 사용에도 영향을 미친다. 연장자나 상급자에게는 존칭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과도한 존칭은 오히려 소통을 어렵게 할 수 있다.[1] 직장 내 호칭 문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의 호칭 문제 등 한국 사회에서 칭호와 관련된 다양한 논쟁이 존재한다.

5. 특정 분야별 칭호


  • 존칭 또는 경칭: 의사 전달을 받는 사람에 대한 존경을 표시하거나 특정 속성을 인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문구이다.
  • 권위의 칭호: 공무원이 보유한 직위나 지위를 명시하는 식별자이다.


기독교 성직자는 이름 앞에 'The Reverend'와 유사한 칭호가 붙는 경우가 많다.

  • 주교 (여기에서 대주교, 소년 주교, 주교, 수도 대주교, 제후 주교가 파생됨)
  • 장로
  • 사제 (여기에서 대사제가 파생됨. 여성형은 여사제)
  • 사제 (Father, Fr.)
  • 총대주교
  • 교황
  • Catholicos
  • 교구 목사
  • 군종 신부
  • 캐논
  • 목사
  • 고위 성직자
  • 수장 주교
  • Dom – (Dominusla에서 유래, "주님") 엄숙한 수도 서원을 한 성 베네딕토회 수도사들이 사용하지만, 트라피스트회에서는 수도원장에게만 사용. 브라질에서는 주교가 사용.
  • 추기경
  • Ter (칭호) – 아르메니아 사제가 사용.


이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칭호가 사용된다.

  • 군주호: 군주 또는 제후, 국가 원수의 지위(황위 또는 왕위 등)의 명칭이다. 예시로는 천황, 황제, 국왕, , 아우구스투스, 카이사르 (시저), 칼리파, 술탄, , 말리크, 아미르, 바실레우스, 차르, 대공, 수장 등이 있다.
  • 전사·무인 등의 칭호, 귀족의 지위, 관직의 이름: 대통령, 국가 주석 등의 국가 원수나 총리, 각료 평의회 의장, 행정부의 대신, 장관 등의 관직명이 있다. 영웅에게 국가로부터 수여되는 칭호(예: 몽골 등에서의 바가투르)도 있다.
  • 왕조 등에서 특정 귀인을 대우하기 위해 수여하는 특정 지위(관위 등) 또는 그 명칭(준후 등)이 있다.
  • 작위: 귀족의 칭호. 공작·후작·백작·자작·남작작위는 세습 칭호, 준남작(baronet)도 세습이지만, 일대 귀족, 훈공작(knight)(기사 작위) 등은 일대 칭호로 여겨진다.
  • 기사: 서구에서의 무인의 칭호.
  • 군대의 계급: 원수나 명예 대령 등이 있다.
  • 학문·연구 칭호: 학위, 고등전문학교 졸업자에게 주어지는 준학사, 전수학교 전문 과정 수료자에게 주어지는 고도 전문사 및 전문사 등이 있다.
  • 공적에 대한 칭호: 명예 교수, 학회 등에서 주어지는 칭호, 독립 행정 법인에서 연구 협력원 또는 명예 펠로우에게 주어지는 칭호 등이 있다.
  • 영예직: 도도부현 경찰의 명예 사범, 도도부현립 또는 시정촌립 병원의 명예 원장, 소방대의 명예 소방대장 및 명예 소방대원 등이 있다.
  • 일본 적십자사 칭호: 명예 사장, 명예 사원, 특별 사원
  • 도도부현, 시정촌 등에서 지역 자치·행정 분야 공로자에게 증정하는 명예 칭호 (예: 명예 읍장, 명예 시장, 명예 촌장, 명예 의원, 명예 도민, 명예 부민, 명예 현민, 명예 시민, 명예 정민, 명예 촌민, 명예 구민 등).
  • 효고현히메지시의 독행 고사 칭호
  • 홍보 활동 칭호: 관광 대사, 일일 서장 등.
  • 무도·기능·예능 칭호: 무도의 '''단급 칭호'''[11] (범사·교사·연사 등), 마인드 스포츠 (바둑·장기)의 타이틀, 체스그랜드마스터, 스포츠 마스터 칭호, 마이스터 칭호 등.
  • 특정 업계 칭호: 악단의 명예 총지휘자, 명예 지휘자, 민간 자격 중 직함으로 사용 가능한 자격 칭호 등.
  • 서비스업 칭호: 택시 운전사의 마스터 칭호 등.
  • 기업 사내 칭호: 아사히 맥주의 테크니컬 마스터, 테크니컬 전문가, 타카사고 제작소의 기술 감, 일본 상공 회의소의 골드 홀더 등.
  • 전통 예능에서 계승되는 명적이나 '''선조 전래의 세습''' 호칭.
  • 성씨·인명 관련 칭호: 성씨, 이명, 통칭, 별명, 존호(양위한 천황 등), 원호(태상천황, 여원, 장군, 다이묘정실·생모 등, 계명), 공방호, 어소호, 옥형호, 상호·가호(야고), 백관명, 동백관 등.
  • 진사: 중국 과거 합격자.

5. 1. 정치 및 행정 분야

군주국에서는 황제, 국왕, 천왕, 천황 등의 칭호를 사용한다. 공화국에서는 대통령, 국가주석, 총독, 총리(수상) 등의 칭호를 사용한다.[11]

입법 및 행정부 구성원의 일부 직함도 칭호로 사용된다.

칭호설명
국회의원(MP), 하원 의원
영국 청소년 의회 의원(MYP)
스코틀랜드 청소년 의회 의원(MSYP)
대표
상원 의원
의장
대통령부통령, 수석 부사장, 추밀원 의장 등의 직함이 파생됨
의원
청소년 의원(YC)
알더만/선출된 공무원
대표
시장 및 영부인
주지사 및 부지사
프리펙트
고위 성직자
총리
버제스
대사
특사
비서추기경 국무장관, 외무부 장관, 사무총장, 국무장관 및 "비서..." 형식의 기타 직함
주재관
임시 대리 대사
교수
장관국무총리 및 보건부 장관과 같은 직함이 파생됨
재상 및 대재상
총독
위원제1교회 재산 위원과 고등 판무관이 파생됨
감사관일반 감사관 및 가정 감사관이 파생됨
궁정인
큐레이터
도옌
에도헨
에케그비안
엘레룬원
산림 관리인 또는 수석 산림 관리인
촌장
국장 (및 관련 감독관)
라미도
변경 백작 또는 레이디 변경 백작
여족장 또는 남성 족장
프라이어, 로드 프라이어
문장관
랑가티라
레인저
등록관
샤리프
셰후
셰이크
보안관 (여기에서 고위 보안관이 파생됨)
부관
수베다르
시셀만
티미
재무관, 수석 재무관 및 서기 재무관
베르데러
관리인, 세습 관리인, 로드 관리인
우드맨
운반인
사이드
견습생
직인
정통자
아쿤드
아라한
브와나
굿맨 및 굿와이프
대 음유 시인
물라
스리
바바
에펜디
기아니 또는 자아니
구루
싯다
피르, 무르시드
아부나
아이딜
알리이
아카베 사아트
발람바라스
베이그
베이
보야르
성주
지하실장
감찰관
백부장
순찰자
정무관, 종종 인민 위원으로 불림
정복자
다이묘
데이
두스
선제후
가울라이터
수호자
이체게
요양원장
종교 재판관 및 대종교 재판관
제마달
키치너
마법사
마기스테르 밀리툼
집사
메이드
변경백
나이프
오피키움
파샤
팔라틴
교황 및 최고 제사장
프라에토르
수입 교인
퀘스토르
성물 관리인
사무라이
쇼군
스타트홀더
관리인
타코르
보이보드
부왕 (여성형은 부왕 부인)
에미르/에미라
Eze
마하라자
라자
라이
바부
다토
Mwami
니잠
오바
오비
술탄/술타나 (칭호)
추장
진사



북한에서는 "친애하는 지도자"와 "최고 지도자"라는 칭호가 김정일을 지칭했으며, 현재는 그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김정은을 지칭한다.[11]

5. 2. 경제 및 기업 분야

조선 시대에는 대방, 도방 (경영), 대행수, 행수 등의 호칭이 사용되었다.[11] 현대에는 직위(職位)를 직책 및 직무에 따른 사회적 지위로 부르며, 회장 (경영), 사장, 대표, 이사 등의 호칭을 사용한다.[11]

5. 3. 교육 분야

장관, 교육감, 교장, 교감, 교사, 학생, 원생 등.

  • 교수
  • Doc. - 도첸트
  • 박사

학위 종류학위 명칭
문학 박사DA
경영학 박사DBA
신학 박사D.D.
교육학 박사Ed.D.
공학 박사EngD or DEng
미술 박사DFA
예술 박사DMA
목회학 박사D.Min.
음악 박사D.Mus.
전문 연구 박사D.Prof
행정학 박사DPA
이학 박사D.Sc.
법무 박사JD
법학 박사LL.D.
의학 박사MD
정골의학 박사DO
약학 박사Pharm.D.
철학 박사Ph.D. / D.Phil.
심리학 박사PsyD
법률학 박사SJD
신학 박사Th.D.
의학 분야 박사
카이로프랙틱 박사DC
치과 외과 박사DDS
치과 의학 박사DMD
검안 박사O.D.
물리 치료 박사DPT
족부 의학 박사DPM
수의학 박사DVM


  • 석사

학위 종류학위 명칭
건축학 석사MArch
문학 석사MA
문학 석사MAL
경영학 석사MBA
행정학 석사MPA
공공 서비스 석사MPS
도시 계획 석사MPl
화학 석사MChem
상담 석사MC
디자인 석사M. Des
신학 석사M.Div.
드라마 석사MDrama
구강 외과 석사MDS
교육학 석사MEd
교육 기술 석사MET
공학 석사MEng
미술 석사MFA
보건 행정 석사MHA
역사 석사MHist
문학 석사MLitt
법학 석사LL.M.
조경학 석사MLA
수학 석사MMath
철학 석사MPhil
연구 석사MRes
이학 석사MSc
생물의학 커뮤니케이션 석사MScBMC
물리학 석사MPhys
약학 석사MPharm
공중 보건 석사MPH
비즈니스 분석 이학 석사MSBA
공학 이학 석사MSE
부동산 이학 석사MSRE
간호학 석사MSN
사회복지 석사MSW
석사Magister
성서신학 석사S.T.M.
신학 석사MTh/Th.M.
도시 및 지역 계획 석사MURP


  • 학사

학위 종류학위 명칭
문학사BA
건축학사BArch
경영학사BBA
경영학 이학사BSBA
생명공학사BBiotech
외과 학사BDS / BChD
치기공학사BDentTech
디자인 학사BDes
신학사BD / BDiv
교육학사BEd
공학사BEng
환경 설계 학사BEnvd
미술 학사BFA
법학사LLB
수학사BMath
의학 학사, 외과 학사MB, ChB / MB, BS / BM, BCh / MB, BChir
음악 학사BMus
간호학사BN
철학사BPhil
성서신학사STB
이학사BSc
간호학 이학사BSN
사회복지학사BSW
신학사BTh / ThB
수의학사BVSc


  • 준학사

학위 종류학위 명칭
문학 준학사AA
응용과학 준학사AAS
이학 준학사AS


  • 도란두스 (약칭 ''drs.'')
  • EUR ING - 유럽 엔지니어
  • 공학사, 등록 엔지니어[7], 엔지니어 (퀘벡)[8]
  • 전문 간호사, 등록 간호사, 간호사[9]
  • 도슨트
  • 고등전문학교 졸업자에게는 준학사 칭호가 수여된다. 이전에는 단기대학 졸업자에게 준학사 칭호를 부여했지만, 2005년 10월 1일부터 단기대학사 학위가 수여된다 (고등전문학교는 현행대로).
  • 일정한 요건을 충족하는 전수학교 전문 과정을 수료한 자에게는 고도 전문사 및 전문사 칭호가 부여된다.

5. 4. 법조 분야


  • 변호사
  • 법정 변호사
  • 법원장 '''C''' (고등법원의)
  • 판사 및 해사 재판관
  • 대법관 '''J'''
  • 대법원장 또는 영국 대법원장 '''CJ''' (사법부의)
  • 스코틀랜드 항소법원 부장 판사
  • 항소법원 판사 '''LJ''' (항소법원의)
  • 치안 판사
  • 판사 및 임시 판사
  • 원장 '''MR''' (항소법원의)
  • 준사법 위원회 위원 및 의장
  • 무프티대무프티
  • 공증인
  • 재판장 '''P''' (왕 벤치부의) 또는 재판장 '''P''' (가족부의)
  • 스코틀랜드 재판소 원장
  • 국왕 자문관 '''PC''' (국왕 자문관의)
  • 국왕 변호사 '''QC''' (국왕이 남성일 경우 왕실 변호사 '''KC''')
  • 사무 변호사

5. 5. 종교 분야

불교법사, 천주교의 교황, 개신교목사, 이슬람교의 칼리프 등이 있다.

기독교에서는 종파에 따라 다양한 칭호를 사용한다.

기독교 사제는 이름 앞에 The Reverend와 유사한 칭호가 붙는 경우가 많다.

  • 주교 (여기에서 대주교, 소년 주교, 주교, 수도 대주교, 제후 주교가 파생됨)
  • 장로
  • 사제 (여기에서 대사제가 파생됨. 여성형은 여사제)
  • 사제 (Father, Fr.)
  • 총대주교
  • 교황
  • Catholicos
  • 교구 목사
  • 군종 신부
  • 캐논
  • 목사
  • 고위 성직자
  • 수장 주교
  • Dom – (Dominusla에서 유래, "주님") 엄숙한 수도 서원을 한 성 베네딕토회 수도사들이 사용하지만, 트라피스트회에서는 수도원장에게만 사용. 브라질에서는 주교가 사용.
  • 추기경
  • Ter (칭호) – 아르메니아 사제가 사용.


다른 종교의 칭호는 다음과 같다.

6. 한국의 관점과 칭호

군주 또는 제후, 국가 원수의 지위( 황위 또는 왕위 등)를 나타내는 군주호에는 천황, 황제, 국왕 등이 있으며, 한국에서도 이러한 칭호가 사용된다.

대통령, 국가 주석 등의 국가 원수나 총리, 각료 평의회 의장, 행정부의 대신, 장관 등의 관직명도 칭호로 사용된다.

국가에서 영웅에게 수여하는 칭호도 존재한다.

작위귀족의 칭호로, 공작, 후작, 백작, 자작, 남작 등이 있다.

기사는 서구에서 무인에게 주어지는 칭호이며, 한국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군대의 계급에는 원수나 명예 대령 등이 있다.

학위는 대학에서 일정 단위와 수료 요건을 충족하면 수여되며, 박사, 석사, 전문직 학위 (석사 상당), 학사, 단기대학사 등이 있다. 고등전문학교 졸업자에게는 준학사 칭호가 수여된다.

전수학교 전문 과정을 수료한 사람에게는 고도 전문사 및 전문사 칭호가 부여된다.

대학 운영이나 연구에 공로가 있는 사람에게는 대학에서 명예 교수 칭호를 수여한다.

일본 적십자사에서는 명예 사장, 명예 사원, 특별 사원 등의 칭호를 수여하고 있다.

도도부현, 시정촌 등에서는 지역 자치·행정 분야에 공로가 있는 사람에게 명예 칭호를 증정하기도 한다. (예: 명예 읍장, 명예 시장, 명예 촌장, 명예 의원, 명예 도민, 명예 부민, 명예 현민, 명예 시민, 명예 정민, 명예 촌민, 명예 구민 등)

무도 수련자의 숙련도를 나타내는 계급적 칭호를 '''단급 칭호'''라고 하며[11], 범사, 교사, 연사 등이 있다.

마인드 스포츠 (바둑, 장기) 등에서 대회 우승자에게는 타이틀 등이 수여된다.

전통 예능에서는 명적이나 선조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세습 호칭을 사용하기도 한다.

존호양위한 천황 등에게 붙이는 칭호로, 태상법황, 태상천황 등이 있다.

원호태상천황이나 여원에게 붙이는 칭호이다.

상호·가호(야고)는 상점이나 가부키 배우의 칭호를 말한다.

진사는 중국에서 598년부터 1905년까지 시행된 과거 시험 합격자를 말하며, 베트남, 조선, 일본 등 중화 문화권에서도 같은 제도를 채택했다.

7. 결론

칭호는 단순한 호칭을 넘어 사회적 관계, 권력 구조, 문화적 가치를 반영하는 복잡한 개념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평등과 다양성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칭호 사용이 변화해야 하며, 이는 사회 구성원 간의 원활한 소통과 상호 존중을 위해 중요하다.

특히 한국 사회는 전통적인 유교 문화와 현대적인 민주주의 가치가 공존하는 특수한 상황이므로, 칭호 사용에 있어 더욱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앞으로도 칭호와 관련된 논의는 계속될 것이며, 사회적 합의를 통해 더욱 바람직한 칭호 사용 문화를 만들어나가야 할 것이다.

참조

[1] 웹사이트 GoTitleFree: Freedom from marital status titles https://gotitlefree.[...] 2022-06-29
[2] 웹사이트 Personal names around the world https://www.w3.org/I[...] 2022-08-06
[3] 웹사이트 Ask users for Names https://design-syste[...] 2022-08-06
[4] 문서 Prince of Wales is a title granted, following an investiture, to the eldest son of the Sovereign of the United Kingdom – he is not a monarch in his own right.
[5] 백과사전 Popess Joan https://www.newadven[...] New Advent 1910-10-01
[6] 웹사이트 The Future of Nursing: Leading Change, Advancing Health Report Recommendations http://iom.edu/Repor[...] 2010-11-17
[7] 웹사이트 The Use of the Title "Engineer" http://ieeeusa.org/p[...] IEEE-USA 2013-02-15
[8] 웹사이트 Titres professionnels http://gpp.oiq.qc.ca[...] Ordre des ingénieurs du Québec 2023-03-23
[9] 웹사이트 Title "Nurse" Protection: Summary of Language by State http://www.nursingwo[...] 2021-07
[10] 서적 大辞林 三省堂
[11] 백과사전 段級称号 2021-12-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