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음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식은 인류가 주식으로 섭취하는 식품을 의미하며, 식물성과 동물성으로 구분된다. 식물성 주식에는 곡물, 콩류, 뿌리채소, 과일 등이 있으며, 동물성 주식에는 육류, 어류, 달걀, 유제품 등이 있다. 쌀, 밀, 옥수수는 세계적으로 중요한 작물이며, 지역별로 다양한 종류의 주식이 존재한다. 주식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등 주요 영양소를 제공하지만, 특정 주식에 편중된 식단은 영양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주식 (음식) | |
---|---|
지도 | |
정의 | |
주식 | 일상적으로 먹고 표준 식단의 주요 부분을 차지하는 음식 |
특징 | |
주요 구성 요소 | 탄수화물 |
일반적인 형태 | 곡물 (쌀, 밀, 옥수수), 뿌리채소 (감자, 카사바, 고구마), 콩과식물 |
지역별 다양성 | 문화적, 지리적, 경제적 요인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주식 존재 |
곡물 | |
주요 곡물 | 쌀 밀 옥수수 보리 수수 기장 |
쌀 | 아시아, 라틴 아메리카, 아프리카 일부 지역에서 주식 |
밀 | 유럽, 북아메리카, 중동에서 주식 |
옥수수 | 라틴 아메리카, 아프리카 일부 지역에서 주식 |
뿌리채소 및 덩이줄기 | |
주요 뿌리채소 | 감자 카사바 고구마 얌 |
감자 | 유럽, 남아메리카 일부 지역에서 주식 |
카사바 |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일부 지역에서 주식 |
콩과식물 | |
주요 콩과식물 | 콩 렌틸콩 병아리콩 |
특징 | 단백질, 섬유질, 미네랄 풍부 |
사용 | 주식과 함께 섭취하거나 주식으로 사용 |
식량 안보 | |
주식의 중요성 | 식량 안보 및 영양에 필수적인 역할 |
가격 변동 영향 | 가격 변동은 식량 불안정 초래 가능 |
지속 가능한 생산 | 지속 가능한 생산 방법이 중요 |
문화적 중요성 | |
의례 및 전통 |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례 및 전통과 관련 |
상징적 의미 | 각 지역 사회에서 상징적 의미 부여 |
기타 | |
과학적 분석 | 분광 기술을 활용한 품질 평가 연구 진행 중 |
2. 종류
주식은 크게 식물성과 동물성으로 나눌 수 있다.
- 식물성 주식: 곡물(쌀, 밀, 옥수수, 보리, 수수, 귀리 등), 콩과 식물(콩, 렌틸콩 등), 뿌리채소(감자, 고구마, 카사바, 토란 등), 과일(빵나무 열매, 코코넛, 플랜테인 등)[3]
- 동물성 주식: 육류(소, 돼지, 닭, 양 등 가축 및 가금류), 어류, 유제품(우유, 치즈 등), 달걀[2]
농업에 적합하지 않은 지역에서는 목축이 더 선호될 수 있다. 동물은 작물 재배에 부적합한 땅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고, 사람이 먹을 수 없는 식물을 섭취하여 육류, 내장, 동물성 지방, 달걀, 우유와 같이 사람이 먹을 수 있는 음식으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막, 스텝, 타이가, 툰드라 및 산악 지형과 같은 곳에서 동물은 사람 식단의 주식을 제공할 수 있다.[8]
세계 여러 지역의 주요 주식은 기후 패턴, 지형, 농업 제약, 습득된 기호, 생태계의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평균적인 아프리카 식단에서 주요 에너지원은 곡물(46%), 뿌리채소 및 덩이줄기(20%), 동물성 식품(7%)이다. 서유럽의 평균적인 식단에서는 동물성 식품(33%), 곡물(26%), 뿌리채소 및 덩이줄기(4%)가 주요 주식이다.
대부분의 인구는 곡물(쌀, 밀, 옥수수, 수수), 뿌리채소 및 덩이줄기(감자, 카사바, 야콘, 타로), 그리고 고기, 우유, 달걀, 치즈, 생선과 같은 동물성 식품 중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하는 식단으로 생활한다. 지역별 주식으로는 호밀, 대두, 보리, 귀리, 테프와 같은 식물이 있다.
전 세계 식량 에너지 섭취량의 90%(육류 제외)는 단 15가지 식물 작물에서 나오며, 쌀, 옥수수, 밀이 인류 식량 소비의 2/3를 차지한다.[11] 쌀은 인류의 거의 절반을 먹여 살린다.
한편, 뿌리채소와 덩이줄기는 개발도상국 10억 명 이상의 주요 주식이며,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인구의 절반이 먹는 음식의 약 40%를 차지한다. 카사바는 개발도상국의 주요 식량 작물이며, 약 5억 명의 기본 식량원이다.
경제 발전과 자유 무역을 통해 많은 국가들이 영양가가 낮은 주식에서 영양가가 높은 주식으로, 그리고 육류 소비량 증가로 전환해 왔다.
퀴노아와 같은 일부 식품은 수세기 전에도 주식이었다.[12] 옥살리스 투베로사, 울루쿠, amaranth는 안데스 지역의 역사적인 주식이다.[13]
2. 1. 곡물
쌀, 밀, 옥수수는 전 세계 인구 대다수의 주식이다.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서는 쌀이 주식이며, 특히 한국에서는 밥의 형태로 소비된다. 서양에서는 밀을 빵, 파스타 등의 형태로 가공하여 섭취한다. 옥수수는 아메리카 대륙에서 중요한 주식이며, 가축 사료로도 널리 사용된다. 이 외에도 보리, 수수, 귀리, 호밀, 테프 등 다양한 곡물이 지역별로 주식으로 이용된다.[3]세계적으로 특히 중요한 작물로는 밀, 보리, 옥수수가 있으며, 동남아시아와 중국 남부(및 일본) 등에서는 쌀도 많이 재배되어 먹는다. 개발도상국에서는 수수 (별칭: 수수, 코리안), 잡곡류 (기장, 수수, 조, 피, 차조 등)도 중요한 영양원이다. 유럽 남부의 따뜻한 지역에서는 밀과 보리가 재배된다. 밀 재배에 적합하지 않은 유럽의 추운 지역과 토양이 척박한 지역에서는 전통적으로 호밀과 귀리(오트밀)이 이용되어 왔다. 테프는 에티오피아의 전통적인 주식 작물이다. 벼과 이외의 작물도 곡류에 포함되는 경우가 있으며("의사곡류"), 메밀, 안데스 지역의 퀴노아, 아마란스 등이 해당된다. 곡류는 생식에 적합하지 않고, 그대로 가열하여 곡식(쌀밥 등)으로 먹거나, 제분하여 면(파스타 등)이나 빵(발효빵) 등으로 가공하여 먹는다.[27]
순위 | 작물 | 세계 생산량 2008년 (t) | 경지 면적당 평균 생산량 2010년 (t/ha) | 경지 면적당 최대 생산국 2010년[29] | |
---|---|---|---|---|---|
1 | 옥수수 | 8.23억 | 5.1 | 28.4 | 이스라엘 |
2 | 밀 | 6.90억 | 3.1 | 8.9 | 네덜란드, 벨기에 |
3 | 쌀 | 6.85억 | 4.3 | 10.8 | 오스트레일리아 |
6 | 콩 | 2.31억 | 2.4 | 3.7 | 터키 |
8 | 수수 | 0.66억 | 1.5 | 12.7 | 요르단 |
2. 2. 콩과 식물
콩과 식물(렌틸콩, 콩)은 단백질이 풍부하여 채식주의 식단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3] 콩은 두부, 된장, 간장 등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한국인의 식탁에 오른다. 콩류에는 콩, 강낭콩, 팥, 완두콩, 풋콩, 렌틸콩, 병아리콩, 땅콩 등이 있다.2. 3. 뿌리채소
감자, 고구마, 카사바, 타로 등은 탄수화물 함량이 높고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 개발도상국에서 중요한 식량 자원이다. 특히 카사바는 열대 개발도상국에서 약 5억 명의 주식이 되고 있다.[27] 뿌리채소는 탄수화물, 칼슘, 비타민 C가 풍부하지만 단백질이 부족하다는 공통점이 있다.[3] 한국에서는 감자와 고구마가 간식이나 구황작물로 이용되기도 한다.2. 4. 과일
열대 지방에서는 빵나무 열매, 코코넛, 플랜테인 등이 주식으로 이용된다.[3]2. 5. 동물성 주식
육류(일반적으로 가축과 가금류), 어류, 달걀, 우유 및 유제품(예: 치즈)은 동물성 주식에 포함된다.[2] 육류와 달걀은 주로 단백질과 동물성 지방을 제공하지만, 유제품은 이 모든 것을 제공한다. 목축은 농작물 재배에 부적합한 땅에서도 동물이 살아남을 수 있고, 사람이 먹을 수 없는 식물을 섭취하여 육류, 내장, 동물성 지방, 달걀, 우유와 같이 사람이 먹을 수 있는 음식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동물은 사막, 스텝, 타이가, 툰드라 및 산악 지형과 같은 불리한 생태계에서 사람의 식단에 주식을 제공할 수 있다.[8] 구체적인 예로는 몽골과 같이 양을 치는 지역의 목축, 프레리에서 수족이 들소를 치던 곳, 그리고 사미족이 순록을 치는 북극이 있다.[9][10]세계 여러 지역의 주요 주식은 기후 패턴, 지형, 농업 제약, 습득된 기호, 생태계의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평균적인 아프리카 식단에서 동물성 식품은 7%이다. 서유럽의 평균적인 식단에서는 동물성 식품이 33%를 차지한다. 대부분의 인구는 고기, 우유, 달걀, 치즈, 생선과 같은 동물성 식품을 주식 중 하나로 하는 식단으로 생활한다.
3. 지역별 주식
세계 여러 지역의 주요 주식은 기후 패턴, 지형, 농업 제약, 습득된 기호, 생태계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에서는 곡물(46%), 뿌리채소 및 덩이줄기(20%), 동물성 식품(7%)이 주요 에너지원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곡물(쌀, 밀, 옥수수, 수수), 뿌리채소 및 덩이줄기(감자, 카사바, 야콘, 타로), 동물성 식품(고기, 우유, 달걀, 치즈, 생선 등) 중 하나 이상을 주식으로 삼는다. 호밀, 대두, 보리, 귀리, 테프 등은 특정 지역에서만 주식으로 소비된다.
전 세계적으로 섭취되는 식량 에너지의 90%(육류 제외)는 15가지 식물 작물에서 비롯되며, 그중 쌀, 옥수수, 밀이 3분의 2를 차지한다.[11] 이 세 작물은 세계 인구의 약 80%가 주식으로 삼고 있으며, 특히 쌀은 인류의 절반 가량을 먹여 살린다.
뿌리채소와 덩이줄기는 개발도상국에서 10억 명 이상이 주식으로 삼고 있으며,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서는 인구의 절반이 섭취하는 식량의 약 40%를 차지한다. 이들은 탄수화물, 칼슘, 비타민 C는 풍부하지만 단백질은 부족하다. 카사바는 개발도상국의 주요 식량 작물로, 약 5억 명이 주식으로 이용한다.
경제 발전과 자유 무역으로 인해 많은 국가에서 영양가가 낮은 주식 대신 영양가 높은 주식을 섭취하고, 육류 소비를 늘리는 추세이다.
안데스 산맥 원산의 가짜 곡물인 퀴노아는 수 세기 전부터 주식으로 이용되었다.[12] 옥살리스 투베로사, 울루쿠, amaranth 등도 안데스 지역의 전통적인 주식이었다.[13] 북아메리카 대평원 인디언은 건조된 고기와 지방으로 만든 팸미컨을 주식으로 삼았다.[14]
3. 1. 아시아
아시아 지역의 주식은 다양하며, 각 국가 및 지역별로 특색 있는 식재료와 조리법이 발달해 왔다.- 한국: 쌀을 주식으로 하는 '''밥''' 문화가 중심이며, 콩을 발효시켜 만든 된장, 두부 등도 중요한 식재료이다. 이 외에도 다양한 채소와 육류, 어패류를 곁들여 먹는다.
- 중국: 북부 지역에서는 밀을 재배하여 면, 만두 등을 주식으로 하며,[37] 양고기, 돼지고기, 소고기, 닭고기, 오리고기, 생선 등을 부식으로 섭취한다.[37] 남부 지역에서는 쌀을 주식으로 한다.
- 일본: 쌀을 이용한 '''밥'''이 주식이며, 생선, 해조류와 콩을 발효시킨 미소, 두부 등을 함께 먹는다.
- 구석기 시대~메이지 시대 중엽: 구석기인들은 밤, 호두, 도토리 등의 나무 열매를 주식으로 하였다.[38] 니시다 마사노리는 밤과 호두가 주식이었다고 언급했다.[39] 아이누족은 연어와 사슴을 주식으로 하였다.[40]
- 야요이 시대 이후: 벼농사가 전래되었으나, 쇼와 30년대(1955년~1964년)까지는 쌀 이외에 보리밥, 잡곡밥 등 다양한 곡물을 섞어 먹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고구마와 옥수수도 17세기경부터 재배되었다.[41]
- 1960년대 이후: 쌀 생산량이 증가하였으나, 영양 개선 운동으로 쌀 소비량이 감소하고 감산 정책이 실시되었다.[42] 1970년대 이후 다양한 식재료가 수입되면서 식생활이 다양화되었으나, 이는 고도경제성장 이전과 유사한 면도 있다. 현대에는 식품 선택의 폭이 넓어져 개인의 기호에 따라 주식을 선택하게 되었다.[43]
- 동남아시아: 쌀을 주식으로 하며, 다양한 열대 과일, 채소, 어패류를 곁들여 먹는다.
3. 2. 유럽
서유럽의 평균적인 식단에서는 동물성 식품(33%), 곡물(26%), 뿌리채소 및 덩이줄기(4%)가 주요 주식이다.[11]독일의 주식은 양배추, 감자, 소시지, 슈니첼(뼈 없는 얇은 고기를 튀기거나 구운 것)이다.[32] 독일 빵은 독일 문화의 핵심이며, 진한 색깔의 빵(호밀빵 등)부터 밝은 색깔의 빵까지 300종류 이상, 세분화하면 1200종류의 변형이 있다.[33]
프랑스의 주식은 바게트(프랑스빵)이며, 이는 프랑스의 상징이기도 하다.[34] 프랑스빵과 함께 다양한 종류의 치즈(프랑스의 치즈 소비량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를 즐기며,[35] 대개 와인을 함께 마신다.[35] 닭고기, 쇠고기, 송아지고기, 양고기를 먹으며, 사냥감 고기도 자주 먹는다.[35] 대구, 연어, 송어, 새우, 오징어, 정어리 등 생선도 자주 먹는다.[35] 버섯,[35] 사과나 포도와 같은 과일도 즐겨 먹는다.[35]
그리스에서는 채소, 과일, 해산물이 특히 주요 식품이다.[36] 해안 지역에서는 채소와 해산물이 주로 섭취되고 육류의 비중은 낮다.[36] 반대로 내륙 지역에서는 육류와 치즈의 비중이 크다.[36] 거의 매일 빵, 곡류, 감자, 쌀, 파스타를 먹는다.[36] 올리브 열매, 올리브 오일, 가지, 오이, 토마토, 시금치, 렌틸콩과 다른 종류의 콩, 레몬, 견과류, 꿀, 요구르트를 자주 섭취한다.[36] 육류로는 양고기가 있다.[36]
노르웨이 사람들은 수세기 동안 북대서양의 신선한 생선을 주요 식량으로 삼아 생활해 왔다.[31] 때로는 순록이나 사슴고기를 소금에 절여 말린 것을 주식으로 삼기도 했다.[24]
3. 3. 아메리카
멕시코와 과테말라 등 중앙아메리카의 주식은 옥수수로 만든 토르티야이며, 쌀이나 빵 등이 그 뒤를 잇는다.[44] 강낭콩은 영양가를 보충하는 식재료로서 주식에 버금가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44] 브리토에 고기가 들어갈 때에도 반드시 콩이 추가된다.[44] 콩은 잘 자라고, 저렴하며, 다양한 조리법이 가능하기 때문에 선택된다.[44]페루의 주식은 옥수수, 콩류, 감자이다.[45]
3. 4. 아프리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의 주식은 주로 곡물(46%), 뿌리채소 및 덩이줄기(20%)로 구성된다.[11] 곡물에는 옥수수, 수수 등이 있으며, 뿌리채소에는 카사바, 얌 등이 있다. 이 지역 인구의 절반은 뿌리채소와 덩이줄기를 주식으로 하며, 이는 전체 식량의 약 40%를 차지한다.[11] 뿌리채소와 덩이줄기는 탄수화물, 칼슘, 비타민 C가 풍부하지만 단백질 함량은 낮다. 카사바는 이 지역의 주요 식량 작물 중 하나로, 약 5억 명이 주식으로 섭취한다.[11]4. 생산
대부분의 주식은 현대적인 집약적 농업 방식을 사용하여 생산되고 있다. 그러나 유기농업 방식을 사용한 주식 생산량도 증가하고 있다.
순위 | 작물 | 세계 생산량, 2012[16] | 세계 평균 수확량, 2010 | 세계에서 가장 생산성이 높은 국가, 2012[18] | 세계 최대 생산국, 2013[19] | ||
---|---|---|---|---|---|---|---|
1 | 옥수수 | 8.73억ton | 5.1t/ha | 11.1t/ha[20] | 미국 | 3.54억ton | 미국 |
2 | 벼 | 7.38억ton | 4.3t/ha | 9.5t/ha | 이집트 | 2.04억ton | 중국 |
3 | 밀 | 6.71억ton | 3.1t/ha | 8.9t/ha | 뉴질랜드 | 1.22억ton | 중국 |
4 | 감자 | 3.65억ton | 17.2t/ha | 45.4t/ha | 네덜란드 | 9600만ton | 중국 |
5 | 카사바 | 2.69억ton | 12.5t/ha | 34.8t/ha | 인도네시아 | 4700만ton | 나이지리아 |
6 | 대두 | 2.41억ton | 2.4t/ha | 4.4t/ha | 이집트 | 9100만ton | 미국 |
7 | 고구마 | 1.08억ton | 13.5t/ha | 33.3t/ha | 세네갈 | 7100만ton | 중국 |
8 | 야마 | 5950만ton | 10.5t/ha | 28.3t/ha | 콜롬비아 | 3600만ton | 나이지리아 |
9 | 수수 | 5700만ton | 1.5t/ha | 4.5t/ha | 미국 | 1000만ton | 미국 |
10 | 플랜테인 | 3720.0000000000005만ton | 6.3t/ha | 31.1t/ha | 엘살바도르 | 900만ton | 우간다 |
5. 영양
주식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등 주요 영양소를 제공하지만, 주식만으로는 모든 영양소를 섭취하기는 어렵다.[47] 특정 주식에만 의존하는 식단은 영양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옥수수 위주의 식단은 나이아신 결핍으로 펠라그라를 유발할 수 있고, 흰쌀 위주의 식단은 비타민 B1 결핍으로 각기병을 유발할 수 있다.[47] 따라서 다양한 식품을 함께 섭취하여 영양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 표는 주요 주식 10가지의 영양소 함량을 100g 건조 중량 기준으로 나타낸 것이다.[23]
주식 | 옥수수 | 백미 | 밀 | 감자 | 카사바 | 대두 | 고구마 | 야콘 | 수수 | 플랜테인 | 권장 섭취량 |
---|---|---|---|---|---|---|---|---|---|---|---|
에너지 (kJ) | 1698 | 1736 | 1574 | 1533 | 1675 | 1922 | 1565 | 1647 | 1559 | 1460 | 8,368–10,460 |
단백질 (g) | 10.4 | 8.1 | 14.5 | 9.5 | 3.5 | 40.6 | 7.0 | 5.0 | 12.4 | 3.7 | 50 |
지방 (g) | 5.3 | 0.8 | 1.8 | 0.4 | 0.7 | 21.6 | 0.2 | 0.6 | 3.6 | 1.1 | 44–77 |
탄수화물 (g) | 82 | 91 | 82 | 81 | 95 | 34 | 87 | 93 | 82 | 91 | 130 |
식이섬유 (g) | 8.1 | 1.5 | 14.0 | 10.5 | 4.5 | 13.1 | 13.0 | 13.7 | 6.9 | 6.6 | 30 |
당 (g) | 0.7 | 0.1 | 0.5 | 3.7 | 4.3 | 0.0 | 18.2 | 1.7 | 0.0 | 42.9 | 최소 |
무기질 | 권장 섭취량 | ||||||||||
칼슘 (mg) | 8 | 32 | 33 | 57 | 40 | 616 | 130 | 57 | 31 | 9 | 1,000 |
철 (mg) | 3.01 | 0.91 | 3.67 | 3.71 | 0.68 | 11.09 | 2.65 | 1.80 | 4.84 | 1.71 | 8 |
마그네슘 (mg) | 141 | 28 | 145 | 110 | 53 | 203 | 109 | 70 | 0 | 106 | 400 |
인 (mg) | 233 | 131 | 331 | 271 | 68 | 606 | 204 | 183 | 315 | 97 | 700 |
칼륨 (mg) | 319 | 131 | 417 | 2005 | 678 | 1938 | 1465 | 2720 | 385 | 1426 | 4700 |
나트륨 (mg) | 39 | 6 | 2 | 29 | 35 | 47 | 239 | 30 | 7 | 11 | 1,500 |
아연 (mg) | 2.46 | 1.24 | 3.05 | 1.38 | 0.85 | 3.09 | 1.30 | 0.80 | 0.00 | 0.40 | 11 |
구리 (mg) | 0.34 | 0.25 | 0.49 | 0.52 | 0.25 | 0.41 | 0.65 | 0.60 | - | 0.23 | 0.9 |
망간 (mg) | 0.54 | 1.24 | 4.59 | 0.71 | 0.95 | 1.72 | 1.13 | 1.33 | - | - | 2.3 |
셀레늄 (μg) | 17.2 | 17.2 | 81.3 | 1.4 | 1.8 | 4.7 | 2.6 | 2.3 | 0.0 | 4.3 | 55 |
비타민 | 권장 섭취량 | ||||||||||
비타민 C (mg) | 0.0 | 0.0 | 0.0 | 93.8 | 51.5 | 90.6 | 10.4 | 57.0 | 0.0 | 52.6 | 90 |
티아민 (B1) (mg) | 0.43 | 0.08 | 0.34 | 0.38 | 0.23 | 1.38 | 0.35 | 0.37 | 0.26 | 0.14 | 1.2 |
리보플라빈 (B2) (mg) | 0.22 | 0.06 | 0.14 | 0.14 | 0.13 | 0.56 | 0.26 | 0.10 | 0.15 | 0.14 | 1.3 |
니아신 (B3) (mg) | 4.03 | 1.82 | 6.28 | 5.00 | 2.13 | 5.16 | 2.43 | 1.83 | 3.22 | 1.97 | 16 |
판토텐산 (B5) (mg) | 0.47 | 1.15 | 1.09 | 1.43 | 0.28 | 0.47 | 3.48 | 1.03 | - | 0.74 | 5 |
비타민 B6 (mg) | 0.69 | 0.18 | 0.34 | 1.43 | 0.23 | 0.22 | 0.91 | 0.97 | - | 0.86 | 1.3 |
엽산 총량 (B9) (μg) | 21 | 9 | 44 | 76 | 68 | 516 | 48 | 77 | 0 | 63 | 400 |
비타민 A (IU) | 238 | 0 | 10 | 10 | 33 | 563 | 4178 | 460 | 0 | 3220 | 5000 |
비타민 E, 알파-토코페롤 (mg) | 0.54 | 0.13 | 1.16 | 0.05 | 0.48 | 0.00 | 1.13 | 1.30 | 0.00 | 0.40 | 15 |
비타민 K1 (μg) | 0.3 | 0.1 | 2.2 | 9.0 | 4.8 | 0.0 | 7.8 | 8.7 | 0.0 | 2.0 | 120 |
베타카로틴 (μg) | 108 | 0 | 6 | 5 | 20 | 0 | 36996 | 277 | 0 | 1306 | 10500 |
루테인+제아잔틴 (μg) | 1506 | 0 | 253 | 38 | 0 | 0 | 0 | 0 | 0 | 86 | 6000 |
지방 | 권장 섭취량 | ||||||||||
포화지방산 (g) | 0.74 | 0.20 | 0.30 | 0.14 | 0.18 | 2.47 | 0.09 | 0.13 | 0.51 | 0.40 | 최소 |
불포화지방산 (g) | 1.39 | 0.24 | 0.23 | 0.00 | 0.20 | 4.00 | 0.00 | 0.03 | 1.09 | 0.09 | 22–55 |
다불포화지방산 (g) | 2.40 | 0.20 | 0.72 | 0.19 | 0.13 | 10.00 | 0.04 | 0.27 | 1.51 | 0.20 | 13–19 |
최근에는 기후 변화로 인해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지면서 일부 주식 작물의 영양가가 저하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22]
참조
[1]
논문
Non-Destructive and rapid evaluation of staple foods quality by using spectroscopic techniques: A review
2017-03-24
[2]
웹사이트
Dimensions of Need - Staples: What do people eat?
http://www.fao.org/d[...]
2010-10-15
[3]
웹사이트
Around the world in dishes made with pulses
http://www.fao.org/p[...]
2017-09-23
[4]
서적
The Sago Palm: The Food and Environmental Challenges of the 21st Century
https://books.google[...]
Kyoto University Press
[5]
웹사이트
African Food Staples
http://www.afrol.com[...]
2015-05-29
[6]
웹사이트
Olive Oil & Health - All Olive Oil
http://www.alloliveo[...]
2015-05-29
[7]
잡지
How Sugar Went From a Condiment to a Diet Staple
https://time.com/281[...]
[8]
웹사이트
Bidos
https://nordicdiner.[...]
2016-03-26
[9]
서적
Sustainability of the Indigenous People's food system
https://openknowledg[...]
2021
[10]
서적
Precolonial Foodways
https://www.taylorfr[...]
Routledge
2016-05-02
[11]
웹사이트
Dimensions of Need: An atlas of food and agriculture
http://www.fao.org/d[...]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12]
웹사이트
Quinoa
http://www.hort.purd[...]
University of Minnesota
[13]
웹사이트
Plant Production and Protection Series No. 26. FAO, Rome, Italy
http://www.hort.purd[...]
FAO / Purdue University
[14]
백과사전
Pemmican
https://www.thecanad[...]
2015-05-29
[15]
웹사이트
Food security: Ten Crops that Feed the World
http://knowledge.all[...]
Allianz
[16]
웹사이트
Food and Agricultural commodities production / Commodities by regions
http://faostat3.fao.[...]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15-01-07
[17]
문서
[18]
웹사이트
FAOSTAT: Production-Crops, 2010 data
http://faostat.fao.o[...]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12-01-08
[19]
웹사이트
Food and Agricultural commodities production / Countries by commodity (2013 data)
http://faostat3.fao.[...]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16-04-24
[20]
웹사이트
USDA Crop Production
https://www.nass.usd[...]
2022-02-20
[21]
웹사이트
Rice and Human Nutrition
http://www.fao.org/r[...]
2010-10-15
[22]
뉴스
Global warming threatens nutrition levels in staple crops
https://www.pri.org/[...]
2017-10-30
[23]
웹사이트
Nutrient data laboratory
https://fdc.nal.usd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6-08-10
[24]
백과사전
広辞苑
[25]
웹사이트
主食
https://kotobank.jp/[...]
[26]
백과사전
世界大百科事典
[27]
웹사이트
Dimensions of Need: An atlas of food and agriculture
http://www.fao.org/d[...]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13-04-17
[28]
웹사이트
Food security: Ten Crops that Feed the World
http://knowledge.all[...]
Allianz
2013-04-18
[29]
웹사이트
FAOSTAT: Production-Crops, 2010 data
http://faostat.fao.o[...]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13-04-18
[30]
문서
[31]
서적
Rough Guides Snapshot Norway
Norway, Oslo.
[32]
웹사이트
The Most Essential Ingredients In German Cuisine
https://theculturetr[...]
[33]
웹사이트
STAPLE FOOD – Bread
https://gastrotouris[...]
[34]
웹사이트
French bread and french baguette - food from france
https://www.franceth[...]
[35]
웹사이트
What Are the Staple Foods in France?
https://www.referenc[...]
[36]
웹사이트
Greece
http://www.foodbycou[...]
[37]
웹사이트
Northern Chinese Food
https://www.chinahig[...]
[38]
웹사이트
https://diamond.jp/a[...]
[39]
논문
縄文時代の人間 - 植物関係
https://cir.nii.ac.j[...]
国立民族学博物館研究報告
1981
[40]
서적
日本の考古学: 弥生時代
河出書房新社
2011
[41]
서적
民俗小事典 食
吉川弘文館
2013
[42]
서적
コメを選んだ日本の歴史
文芸春秋
2006
[43]
서적
食の民俗事典
柊風舎
2011
[44]
웹사이트
Mexican staple foods
https://www.leaf.tv/[...]
[45]
웹사이트
Discover Peru
http://www.discover-[...]
[46]
웹사이트
Nutrient data laboratory
http://www.nal.usd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3-03-04
[47]
웹사이트
Rice and Human Nutrition
http://www.fao.org/r[...]
2010-1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