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고수 (식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고수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잎, 줄기, 뿌리, 씨앗을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한다. 한국에서는 '고수'로 불리며, 영어로는 '코리앤더'로 알려져 있다. 잎은 독특한 향으로 호불호가 갈리며, 씨앗은 향신료로 사용된다. 고수는 전 세계 다양한 요리에 사용되며, 중국, 태국, 베트남, 멕시코 등에서 각기 다른 이름으로 불린다. 고수는 또한 약재로도 사용되어 소화 불량 개선, 해독 작용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향신료 - 후추
    후추는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인 후추나무 열매를 말린 향신료로, 수확 및 가공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전 세계 요리에 널리 사용된다.
  • 향신료 -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가르시니아 캄보지아는 인도 원산의 상록 교목으로, 열매는 요리에 사용되며, 히드록시구연산(HCA) 성분이 다이어트 보조제로 쓰이지만 효과에 대한 과학적 근거는 불충분하고 부작용 보고가 있어 섭취 시 주의가 필요한 식물이다.
  • 허브 - 에델바이스
    에델바이스는 알프스 등 고산 지대에 자생하는 여러해살이풀로, 흰 털로 덮인 잎과 꽃이 특징이며, 강인한 생존력과 상징성으로 관상용 재배 및 화장품 원료로 활용되지만, 과도한 채집으로 보호가 필요한 식물이다.
  • 허브 -
    딜은 미나리과의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 풀로, 남유럽, 지중해 연안 등이 원산지이며 특유의 향긋한 향으로 유럽과 아시아 요리에서 향신료 및 약초로 활용된다.
고수 (식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고수 부분 그림
고수 부분 그림
학명Coriandrum sativum
명명자L. (1753년)
일반명고수
영어coriander, cilantro
일본어코엔도로
분류
식물계
문 (미분류)속씨식물군
강 (미분류)진정쌍떡잎식물군
목 (미분류)국화군
미나리목
미나리과
고수속
영양 정보 (생잎)
수분92.21 g
에너지95 kJ
단백질2.13 g
지방0.52 g
탄수화물3.67 g
섬유질2.8 g
당류0.87
칼슘67 mg
철분1.77 mg
마그네슘26 mg
48 mg
칼륨521 mg
나트륨46 mg
아연0.5 mg
망간0.426 mg
비타민 C27 mg
티아민0.067 mg
리보플라빈0.162 mg
니아신1.114 mg
판토텐산0.57 mg
비타민 B60.149 mg
엽산62 ug
비타민 A337 ug
베타카로틴3930 ug
루테인865 ug
비타민 E2.5 mg
비타민 K310 ug

2. 명칭

한국어로는 고수, 호유실이라고 부른다.[45] 중화권에서는 '''샹차이'''(香菜|샹차이중국어)라고 부르며, 인도에서는 '''다니아'''(धनिया|다니아hi)[78], 태국에서는 '''팍치'''(ผักชี|팍치th), 베트남에서는 '''자우무이'''(하노이) 또는 '''라우무이'''(호찌민)(rau mùi|라우무이vi)라고 부른다. 중남미에서는 '''실란트로'''(cilantro|실란트로es), 포르투갈에서는 '''코엔트루'''(coentro|코엔트루pt)라고 부른다.

일본에서는 '''고엔도'''(コエンドロ)라는 명칭이 쇄국 이전 포르투갈어 coentro|코엔드로pt에서 유래되었으며, 그 외에 '''코스이'''(コスイ), '''코니시'''(コニシ)라고도 불렸다. 또한, 노린재와 매우 비슷한 냄새 때문에 '''카메무시소우'''(カメムシソウ, 노린재풀)라고도 불린다.[47][48] 1990년대 이후 에스닉 요리의 인기로 '''팍치'''(ผักชี|팍치th)라고도 불리며, 중국 요리의 영향으로 '''샹차이'''(香菜|샹차이중국어)라고도 불린다.

영어권에서는 씨앗을 '''코리앤더'''(coriander|코리앤더영어)라고 부르며, 잎은 멕시코 요리의 영향으로 '''실란트로'''(cilantro|실란트로es)라고도 부른다. 파슬리와는 다른 식물이지만, '''중국 파슬리'''(Chinese parsley|차이니즈 파슬리영어)라고도 불린다.

"고수"라는 단어는 14세기 후반 영어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고대 프랑스어 coriandre|코리앙드르fro에서 유래되었고, 이는 다시 라틴어 coriandrum|코리안드룸la[14], 고대 그리스어 κορίαννον|코리안논grc (또는 κορίανδρον|코리안드론grc '''')에서 유래되었다.[15][16]

3. 어원

'고수'라는 이름은 쇄국 이전 시대에 포르투갈어 'coentro|고엔드루pt'에서 유래된 오래된 단어이다. 일본명 '''고엔도''' 역시 같은 어원을 가진다. 에도 시대의 『농업전서』(1697년)에는 고수를 "코즈이"로 읽게 했으며, 남만어에 "코엔트로"라고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영어 명칭 'coriander'(코리앤더)는 고대 프랑스어 'coriandre|코리앙드르fro'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다시 라틴어 'coriandrum|코리안드룸la'[14], 고대 그리스어 'κορίαννον|koríannon|코리안논grc' 또는 'κορίανδρον|koríandron|코리안드론grc'[15][16]에서 파생되었다.

고대 그리스어 'κορίαννον|koríannon|코리안논grc'는 빈대를 뜻하는 'κόρις|kóris|코리스grc'[17][18]와 관련이 있을 수 있는데, 이는 고수의 냄새가 빈대 냄새와 비슷하기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19] 다만, 고대 그리스어 'κορίαννον|koríannon|코리안논grc' 자체가 "코리앤더"를 가리키는 말이므로, 빈대를 의미한다는 것은 오해이다.

이 단어의 가장 초기에 확인된 형태는 미케네 그리스어 ''[20]이며, 선 문자 B 음절 문자로 기록되었다. 이는 ''''으로 재구성되며, 미노스의 딸 아리아드네의 이름과 유사하다.

'Cilantro|실란트로es'는 고수를 뜻하는 스페인어 단어이며, 역시 'coriandrum'에서 유래되었다. 미국 영어에서는 멕시코 요리의 영향으로 고수 잎을 지칭하는 일반적인 용어로 사용되지만, 씨앗은 'coriander'로 불린다.[23]

1990년대 이후 에스닉 요리 가게가 늘어나면서, 생으로 먹는 잎을 가리켜 태국어에서 유래한 '''팍치''' (ผักชี|팍치th)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아졌다. 중국 요리에서는 중국어에서 유래한 '''샹차이''' (香菜|샹차이중국어)라고 부르며, 일본에서도 '''코우사이'''라고 불렸다.

4. 역사

고수는 3000년 이상 사용된 역사를 지니고 있다. 기원전 1550년경에 작성된 이집트 문헌인 에버스 파피루스에는 고수의 용도가 언급되어 있다.[30] 투탕카멘의 무덤에서 고수 열매가 발견되었는데, 고수는 이집트에서 야생으로 자라지 않으므로 고대 이집트인들이 고수를 재배했음을 보여준다.[24]

고수는 기원전 2000년경부터 그리스에서 재배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필로스에서 발견된 선 문자 B 점토판에는 고수가 향수 제조에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있다.[22] 마케도니아 시타그로이의 초기 청동기 시대 지층에서 대량의 고수가 발견된 것은 이 시기에 고수가 재배되었음을 시사한다.[31] 히포크라테스(기원전 400년경)와 디오스코리데스(서기 65년)도 고수를 언급했다.[30]

중국에는 한나라장건이 서역에서 고수를 들여왔다고 전해진다.[24] 한국에는 10세기 이전에 중국에서 전래된 것으로 추정되며, 헤이안 시대 중기의 『엔기시키』(927년)에 공물 기록이 있다.

5. 생태

고수는 한해살이 식물로 높이는 30~60cm이다. 전체에 털이 없고, 줄기는 곧게 서며, 속이 비어 있다. 잎은 빈대 냄새가 나고, 1~3회 깃털 모양 겹잎이다. 뿌리 근처의 잎은 폭이 넓고 얕게 갈라져 있으며, 위로 올라갈수록 잎 조각이 가늘어지고 틈이 넓은 깃털 모양으로 가늘게 갈라져 실 모양이 된다.



은 흰색 또는 매우 옅은 분홍색을 띠며 겹산형꽃차례를 이룬다. 작은 산형꽃차례는 3~6개이다. 꽃잎은 산형화서 중심에서 바깥쪽을 향하는 쪽이 더 길고(5mm 에서 6mm), 중심을 향하는 쪽은 짧다(1mm 에서 3mm). 열매는 둥근 모양의 분열과이고 지름이 3mm 에서 5mm이다.[4] 10개의 능선이 있으며 향기가 있다. 꽃가루 크기는 약 30μm이다.[5]

잎과 줄기에서 나는 특이한 냄새는 카프린알데히드라는 성분 때문이며, 미숙과에도 포함되어 있다. 고수의 주요 정유 성분은 리날로올이며, 그 외에 피넨, 테르피넨, 시멘, 제라니올 등을 포함하고 있다. 열매가 익으면 감귤류와 세이지를 합친 듯한 향기가 난다.

6. 특징

고수는 한해살이풀[1]이다. 전체적으로 털이 없고, 노린재와 비슷한 냄새가 난다[2]. 높이는 30cm~60cm 정도로 자라며, 큰 것은 90cm 정도, 좌우로 20cm~30cm 정도 넓어진다[3]. 줄기의 단면은 원형이며 속이 비어 있고[4], 세로로 줄이 있다[5].

잎은 1~3회 깃털 모양 겹잎이며, 위에 있는 잎일수록 잎 조각이 가늘어져 완전히 다른 모양을 하고 있다[6]. 뿌리 가까이에 있는 잎은 폭이 넓고 얕게 갈라져 있으며, 정상부의 잎은 틈이 넓은 깃털 모양으로 가늘게 갈라져 실 모양으로 가늘어진다. 잎이나 줄기에서 코를 자극하는 독특한 향기가 난다[7][8].

개화기는 봄부터 여름[9]이며, 가지 끝에 3~4개의 큰 꽃자루가 달려 있고, 그 끝에서 10개 전후의 작은 꽃자루가 나와[10], 흰색에서 옅은 홍색의 작은 꽃을 10개 정도 산형으로 피운다[11][12]. 꽃의 지름은 6mm 정도이며, 꽃잎은 5장이다[13].

꽃이 진 후에는 곧 익어서 녹색이 되고, 가을에는 둥근 갈색 열매를 맺는다[14][15]. 열매는 지름 3mm~5mm의 구형으로, 표면에 10개의 거친 줄이 있다[16][17]. 익은 열매에서는 감귤류와 세이지를 합친 듯한 독특한 향기가 난다[18].

노린재와도 같은 특이한 냄새는, 지상부의 줄기와 잎, 미숙과에 포함된 카프린알데히드라는 성분에서 유래한다[19]. 고수의 주요 정유 성분은 리날로올이며, 그 외에 피넨, 테르피넨, 시멘, 제라니올 등을 포함하고 있다[20]. 열매가 미숙할 때는 줄기와 잎과 마찬가지로 노린재와 같은 냄새가 나지만, 성숙함에 따라 리날로올의 쾌적한 향으로 변화한다[21].

오오바고수(''Eryngium foetidum'')는 미나리과 엉겅퀴속에 속하는 열대 아메리카 원산의 다른 식물로, 동남아시아와 중남미에서 고수와 마찬가지로 향미 채소로 사용된다. 오오바고수에도 고수와 비슷한 향이 난다.

6. 1. 잎

고수 잎은 피넨, 데카날, 노나날, 리날올[58] 등에서 유래하는 독특한 풍미가 있어 사람에 따라 호불호가 크게 갈린다. 잎의 지배적인 향미 성분은 알데하이드인 2-데세날과 2-도데세날이다.[37]

고수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상쾌하고 레몬이나 라임과 같은 풍미가 있다고 말하는 반면, 싫어하는 사람들은 자극적인 맛과 냄새에 강한 거부감을 느껴 비누나 썩은 냄새와 같다고 묘사한다.[63][64] 이러한 냄새에 대한 호불호는 냄새를 느끼는 방식이 다른 DNA (OR6A2 유전자)와 같은 유전적 요인이 관련되어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65][66][67]

피넨 등의 모노테르펜류는 증발하기 쉽고, 건조에 약하기 때문에 말린 고수 잎에는 독특한 향이 거의 남아있지 않다. 하지만 생 잎은 아스코르브산(L-아스코르브산, 비타민 C)을 비교적 풍부하게 함유하고, β-카로틴, 티아민(비타민 B1), 리보플라빈(B2), 비타민 E, 비타민 K, 식이 섬유, 칼슘, 칼륨과 같은 영양소가 풍부하다.

열을 가하면 맛이 감소하므로, 고수 잎은 주로 생으로 사용하거나 조리 마지막 단계에 첨가한다.[36] 인도 요리 및 중앙 아시아 요리에서는 고수 잎을 대량으로 사용하여 맛이 감소할 때까지 조리하기도 한다.[23]

6. 2. 씨앗

건조된 고수 열매는 향신료로 사용될 때 종종 "고수 씨앗"이라고 불린다.


건조된 열매는 '''고수 씨앗''' 또는 '''코리앤더'''라고 불린다. 요리에서 "고수"라는 단어는 식물 자체보다는 이 씨앗(향신료)만을 지칭할 수 있다. 씨앗은 테르펜리날룰(휘발성 성분의 약 2/3를 차지)과 피넨 때문에 으깨면 레몬 시트러스 향이 난다.[38] 따뜻하고, 견과류 맛이 나며, 매콤하고, 오렌지 향이 나는 것으로 묘사된다.

씨앗(식물학적으로는 열매)을 건조시킨 것은 주로 향신료로 이용되며, 그대로 또는 부수어 사용한다. 유럽이나 인도에서는 향신료로의 이용도 성행하고 있다. 건조된 고수 씨앗(열매)은 '''코리앤더 시드''' 또는 '''코리앤더 홀''' 등으로도 불리며, 갈아 만든 가루는 '''코리앤더 파우더'''라고도 불린다. 잎과는 전혀 다른 풍미로, 감귤류, 오렌지, 아니스와 같거나, 레몬세이지를 합친 것 같은 향으로 표현된다. 씨앗은 쉽게 부술 수 있으며, 가정에서도 갈아서 가루로 만들 수 있지만, 인도에서는 약간 볶아서 향을 돋우어 가루로 갈고 있다.

고기, 달걀, 콩 요리 등에 널리 사용되며, 카레는 물론, 차트니, 라따뚜이, 살사 소스, 피클, 소시지에 사용되며, 애플파이, 시폰 케이크 등 과자의 풍미를 더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벨기에에서는 밀맥주 양조에, 중동에서는 다진 고기나 달걀 요리, 콩 조림, 팔라펠에, 또한 구미에서는 피클과 마리네용 향신료로 사용된다. 우유홍차와 함께 넣어 끓이는 방법도 있다. 보드카나 진에 담가 과실주로 만들 수도 있다.

모로코산이 많이 유통되고 있으며, 인도산은 향에 단맛이 있다. 열매 냄새의 주요 성분은 잎의 냄새 성분과는 다르며, 모노테르펜류의 ''d''-리날로올이다. 품질 평가는 알갱이의 크기 또는 향기 성분인 리날로올 냄새의 강약에 따라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작은 알갱이가 향미가 강하다. 사용할 때는 같은 단 향을 가진 향신료와의 병용이 효과적이라고 하며, 궁합이 좋은 다른 향신료로 아니스, 카다멈, 클로브, 계피, 육두구, 세이지 등이 꼽힌다.

씨앗을 대량으로 섭취하면 심한 졸음에 시달릴 때가 있다. 따라서 고수는 dizzycorn (「어지럼증 열매」의 뜻)이라고도 불린다.

6. 3. 뿌리

고수 뿌리는 잎보다 더 깊고 강렬한 풍미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태국 요리에서 똠얌꿍과 같은 국이나 카레 페이스트를 만들 때 사용된다.[1] 향이 강한 뿌리와 줄기는 잘게 썰어 볶음 요리나 계란말이에 사용되기도 한다.[2] 끓인 요리의 풍미를 더하고, 잘게 썰어 조미료처럼 사용된다.[3]

7. 재배

고수는 햇볕이 잘 들고 배수가 잘 되는 토양에서 잘 자란다. 더위와 추위에 약하며,[24] 발아에는 어느 정도의 고온이 필요하다.[25][26] 배수가 나쁘고 항상 습도가 높은 환경을 싫어하며, 건조에도 약하므로 흙이 마르지 않도록 물주기를 관리해야 한다.[27][28]

일반적으로 봄에 씨앗을 직파하여 재배한다.[29] 온난한 지역에서는 가을 파종도 가능하다. 밤 기온이 7도 이하로 내려가지 않으면 2~3주 후에 발아한다. 모종을 만들 경우, 셀 트레이에 씨앗을 파종하고 떡잎이 나오면 솎아낸 후 본잎 3~4장의 모종을 밭에 심는다.[30] 육묘 상자에 줄뿌림하여 떡잎이 나오면 육묘 포트에 이식하고, 본잎 4~5장이 되면 포기 간 30cm 간격으로 밭에 정식한다.[31] 화분 재배도 가능하다. 잎 수확이 목적이라면 약 5cm 간격, 씨앗 채취가 목적이라면 약 20cm 간격으로 솎아낸다.

파종 후 약 6주(30~40일)가 지나면 잎을 수확할 수 있다.[22] 꽃이 피기 시작하면 잎과 줄기가 굳어지므로 어린잎일 때 수확한다. 뿌리째 뽑아서 수확해도 좋다.[23]

씨앗은 여름 이후에 수확할 수 있다. 열매가 황갈색으로 익으면 씨앗이 흩날리기 쉬우므로 이른 아침이나 늦은 저녁에 줄기째 잘라 수확한다. 수확이 늦어지면 과피가 흑갈색으로 변하고 향이 나빠진다.[36][37]

고수는 병이 거의 없지만, 기온이 높고 건조하면 진딧물이나 응애가 생길 수 있다.

8. 품종

꽃 색깔에 따라 흰색과 붉은 자색 품종이 있다. 과실 크기에 따라 큰 알갱이 계열(지름 3mm~5mm))과 작은 알갱이 계열(지름 1.5mm~3mm))이 있다. 큰 알갱이 계열은 작은 알갱이 계열에 비해 발아와 개화가 빠르고, 줄기와 잎도 커진다. 작은 알갱이 계열은 큰 알갱이 계열보다 정유 함유량 비율이 높다.

큰 알갱이 계열은 모로코, 인도열대아열대 지역에서 재배되며, 작은 알갱이 계열은 러시아, 동유럽, 중앙유럽 등에서 재배된다.


  • '''사와디 팍치''' - 잎이 비교적 작고 색깔이 약간 옅지만 향이 강하다. 샐러드나 곁들임 음식, 에스닉 요리에 이용된다. 열매는 레몬과 비슷한 향기가 있다.
  • '''사바이 팍치''' - 일반 고수보다 줄기가 굵고, 늦게 자라며 내서성이 있다. 잎은 색이 짙고, 향은 중간 정도이며, 쓴맛이 적다. 샐러드나 곁들임 음식 외에, 수프나 주스에도 적합하다.
  • '''나리 팍치''' - 잎 모양이 가는 것이 특징이며, 부드러운 식감에 상쾌한 향이 있어 먹기 쉽다. 샐러드에도 적합하다.

9. 용도

고수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요리와 약재로 사용된다. 잎, 줄기, 뿌리, 씨앗 모두 식용 가능하며, 특히 잎과 말린 씨앗이 많이 사용된다.[56]

9. 1. 요리

고수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요리에 사용되는 향신료이다. 잎, 줄기, 뿌리, 씨앗 모두 식용 가능하며, 특히 잎과 말린 씨앗이 요리에 가장 많이 사용된다.[56] 잎은 주로 생으로 사용되며, 샐러드, 수프, 쌀국수, 쌈, 소스 등에 첨가된다.[36] 씨앗은 통째로 또는 가루 형태로 사용되며, 카레, 피클, 소시지, 빵, 과자 등에 사용된다.[41][42] 뿌리는 주로 태국 요리의 수프나 카레 페이스트에 사용된다.

고수 잎

  • 잎:
  • 다양한 이름: 고수 잎, 신선한 고수, 중국 파슬리, 실란트로(미국, 캐나다, 스페인어 사용 국가)[36]
  • 사용: 처트니, 샐러드, 살사, 과카몰리 등의 재료; 수프, 생선, 고기 요리의 고명.[36]
  • 특징: 열을 가하면 맛이 감소하므로 주로 생으로 사용하거나 요리 직전에 첨가.[36] 인도 및 중앙 아시아 조리법에서는 대량으로 사용하여 맛이 감소할 때까지 요리.[23]
  • 맛: 씨앗과 다른 맛. 주요 향미 성분은 알데히드 2-데세날과 2-도데세날.[37]
  • 보관: 식물에서 제거하면 빠르게 상하고, 건조하거나 냉동하면 향이 사라짐.
  • 씨앗:
  • 다양한 이름: 고수 씨앗, 코리앤더 시드, 코리앤더 홀(건조된 통 씨앗), 코리앤더 파우더(갈아 만든 가루)


  • 사용: 가람 마살라, 인도 카레의 향신료; ''다니아 지라'' 혼합물; 피클; 독일남아프리카 공화국 소시지; 러시아 및 중앙 유럽 빵; 주니족 요리; 특정 벨기에 밀 맥주; 진.[41]
  • 특징: 으깨면 리날룰피넨 때문에 레몬 시트러스 향.[38] 따뜻하고, 견과류 맛이 나며, 매콤하고, 오렌지 향. 굽거나 가열하면 풍미, 향, 매운맛이 강해짐. 분쇄된 고수 씨앗은 저장 시 풍미를 빠르게 잃음.
  • 종류: ''C. sativum'' var''. sativum''(지름 3mm~5mm), var. ''microcarpum''(지름 1.5mm~3mm), var. ''indicum''(길쭉한 열매).[39] 열매가 큰 품종은 휘발성 오일 함량이 낮고(0.1–0.4%), 열매가 작은 품종은 휘발성 오일 함량이 높음(0.4–1.8%).[40]
  • 뿌리:

고수 뿌리

  • 사용: 태국 요리 (특히 수프나 카레 페이스트).
  • 특징: 잎보다 더 깊고 강렬한 풍미.

각 지역별 사용:

  • 중국: '''샹차이'''(香菜|샹차이중국어) - 수프, 면류, 죽, 냄비 요리; 라오후차이(샐러드).[59]
  • 태국: '''팍치'''(ผักชี|팍치th) - 똠 얌 꿍, 수끼.[60]
  • 베트남: '''자우무이'''(하노이), '''라우무이'''(호찌민)(rau mùi|자우무이/라우무이vi) - 월남쌈, 쌀국수.
  • 중남미: '''실란트로'''(cilantro|실란트로es) - 수프, 살사.
  • 포르투갈: '''코엔트루'''(coentro|코엔트루pt) - 카타플라나.
  • 인도: '''다니야'''(धनिया|다니야hi) - 카레.[41]
  • 독일 라이프치히: 고제 (밀맥주).
  • 일본 야에야마 열도 요나구니 섬: '''쿠시티''' - 무침.[59]

기타:

  • 핑거볼에 넣어 냄새 제거.
  • 코카콜라의 비밀 공식 재료 중 하나.[44]

9. 2. 약용

고수는 중국 의학에서 약재로 사용되어 왔으며, 그 씨앗은 '고수자'라고 불린다. 전한 시대(기원전 2세기~기원후 1세기)에 중국의 사신이 호(현재의 이란 북방)에서 가져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34]

고수 씨앗에는 데 리날롤, 피넨, 디펜텐 등의 정유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위액 분비를 촉진하고 장내 가스를 배출하는 작용을 한다.[34] 또한, 입과 목의 점막을 자극하여 가래를 삭이는 효과도 있다고 알려져 있다.[34] 이러한 효능 덕분에 두통 완화 및 소화 불량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한다.

민간 요법에서는 위가 좋지 않거나 식욕 부진, 장내 가스로 배가 팽창할 때, 기침을 멈추기 위해 고수 씨앗 3~5알을 넣은 홍차를 마시는 방법이 전해진다.[34] 은은한 오렌지 향은 아로마 마사지에도 사용되며, 불안감을 해소하는 데 도움을 준다.

중국 요리베트남 요리에서는 잎과 줄기를 '샹차이', '원채' 등으로 부르며 약식동원의 개념에 따라 식욕 증진과 소화를 돕는 약재로 사용한다. 잎과 줄기의 향기 성분은 식욕 부진, 건위·정장 작용, 해독 작용이 있으며, 긴장감과 스트레스 완화, 불면 해소에도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고수는 고창, 관절염, 류마티즘 치료에도 사용되어 왔으며, 인도에서는 강장제, 기침약 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항산화 작용을 하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신체에서 유해한 중금속 및 유해 물질 배출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염증 완화", "기분 안정", "체내 독소 배설" 등의 효과에 대한 과학적 근거는 부족하다.[61]

10. 알레르기

일부 사람들은 고수 잎이나 씨앗에 알레르기가 있다.[73] 피부 단자 검사 결과, 어린이의 32%, 성인의 23%가 고수와 캐러웨이, 회향, 셀러리를 포함한 미나리과 식물에 대해 양성 반응을 보였다.[73] 알레르기 증상은 경미하거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74][75]

11. 문화

고수는 지중해 지역에서 생산된 것을 한나라장건이 들여왔다고 전해진다. 고수의 냄새 때문에 도가에서는 이를 오훈이라고 불렀는데, 어린아이가 경기를 하면 고수와 오색실을 함께 꼬아 어린아이 머리맡에 놓아주거나, 술을 섞어 뿌려주었다.

고수는 히포크라테스(기원전 400년경)와 디오스코리데스(서기 65년)에 의해 언급되었다.[30] 3000년 이상 사용되었으며, 기원전 1550년경의 『테베 의학 파피루스』나 산스크리트어 서적에 요리법이나 약용에 대해 기재되어 있으며, 구약성서에도 등장한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이미 재배되고 있었으며, 플리니우스의 『박물지』에는, 가장 좋은 품질의 고수는 이집트산이라는 기재가 있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조리나 의료에 사용되었다. 고대 그리스고대 로마에서도 특히 자주 사용된 약초 중 하나이며, "의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히포크라테스도 건위·수면 작용의 약효를 언급하고 있다. 고대 로마의 의사 디오스코리데스는 고수가 남성의 성 능력을 높이는 것 같다고 기록했다. 또한 이집트에서는 기원전 1000년경부터 고수와 시신을 함께 묘에 묻는 습관이 있었다.[55]

중국에는 전한의 무제(기원전 141 - 87년) 무렵, 서역에서 전해졌다. 중국에서는 불로불사의 묘약으로 여겨졌으며, 중세 유럽이나 『천일야화』의 기술에서는 사랑을 이루는 비약의 성분(최음제)으로서도 사용되었다. 영국(그레이트브리튼 섬)에는 청동기 시대에 침공한 로마인으로부터 전해졌으며, 의 풍미를 더하거나, 커민이나 식초와 섞어 고기를 보존하는 데 사용되었다.

고대의 지중해 연안 지역에서는 고수를 요리에 사용했지만, 중세에 들어 유럽에 동양의 이국적인 향신료가 전해지면서 고수의 인기는 시들해졌다. 중남미에는 16세기 스페인 정복자에 의해 전해졌으며, 중남미 요리에 사용되게 되었다. 미국에는 17세기 초에 영국으로부터 최초의 이주자가 전했다고 하며, 즐겨 재배되었다.[55] 이 시대의 프랑스에서는 고수의 증류주도 만들어지고 있다. 현대에는 열대아열대의 대부분 지역에서 재배되게 되었다.

일본에는 10세기 이전에 중국에서 전해진 것으로 생각되며, 헤이안 시대 중기의 『엔기시키』(927년)에 공봉 기재가 있으며, 『와묘류지』(930년대경)에는 코니시(古仁志)의 옛 이름이 보이며, 일본 현존 최고(最古)의 본초서 『혼조와묘』(918년)에도 기재가 있다. 『엔기시키』, 『와묘류지』 등에는 조정 요리에서 생선을 먹을 때 반드시 사용하는 약념으로서 기재가 있다. 에도 시대가이바라 에키켄의 『농업전서』나, 본초학자 오노 란잔의 『중수본초강목』에도 기술이 있다.

현재는 러시아, 동유럽 제국, 모로코, 아르헨티나, 인도, 중국, 태국 등의 동남아시아 지역 등에도 널리 재배되고 있다. 본고장 태국에서는 상상할 수 없는, 고수를 수북하게 올린 요리가 유행하는 등, 압도적인 인기를 자랑하고 있다.[76] "고수 마니아"라고 칭하는 마니아도 나타났다. 2016년의 트렌드 냄비(구루나비 조사)에 "풀 냄비"가 선정되었다.[77] 풀 냄비는 푸성귀, 미나리, 고수를 중심으로 한 푸른 채소를 메인으로 하면서도, 채소가 듬뿍 들어간 냄비의 총칭이다.[77]

참조

[1] 서적 Cambridge English Pronouncing Dictiona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10-06
[2] 간행물 A genetic variant near olfactory receptor genes influences cilantro preference 2012-11-29
[3] 웹사이트 Coriander https://nutritionalg[...]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Nutrition Department 2023-12-07
[4] 서적 Crop Plant Anatomy https://books.google[...] CABI 2012
[5] 웹사이트 - A palynological database https://www.paldat.o[...] 2022-07-24
[6] 간행물 Safety Assessment of Coriander (''Coriandrum sativum'' L.) Essential Oil as a Food Ingredient
[7] 간행물 Hydrodistillation extraction time effect on essential oil yield, composition, and bioactivity of coriander oil
[8] 뉴스 Across the Land, People Are Fuming Over an Herb (No, Not That One) https://www.wsj.com/[...] 2009-02-13
[9] 간행물 Prevalence of cilantro (Coriandrum sativum) disliking among different ethnocultural groups 2012-05-02
[10] 간행물 A genetic variant near olfactory receptor genes influences cilantro preference 2012-09-10
[11] 웹사이트 Getting to the Root of the Great Cilantro Divide https://www.npr.org/[...] 2008-12-26
[12] 간행물 Genetic analysis of chemosensory traits in human twins
[13] 간행물 Cilantro Around The World
[14] 문서 L&S|coriandrum|ref
[15] 문서 LSJ|kori/annon|κορίαννον|ref.
[16] 문서 Coriander, Oxford English Dictionary 2nd ed., 1989. Oxford University Press.
[17] 문서 LSJ|ko/ris|κόρις|shortref.
[18] 문서 OEtymD|coriander
[19] 문서 cite EB1911|wstitle=Coriander|volume=7|page=146
[20] 웹사이트 The Linear B word ko-ri-ja-da-na http://www.palaeolex[...]
[21] 서적 Medicine and Healing in the Ancient Mediterranean Oxbow Books
[22] 서적 The Mycenaean World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3] 웹사이트 Coriander (''Coriandrum sativum'') http://gernot-katzer[...] Gernot Katzer Spice Pages 2012-02-29
[24] 서적 Domestication of Plants in the Old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25] 간행물 Wild coriander: an untapped genetic resource for future coriander breeding Springer 2021-06-09
[26] 간행물 Characterization and evaluation of traditional and wild coriander in Alentejo (Portugal)
[27] 간행물 Early Agriculture and Paleoecology of Netiv Hagdud https://www.research[...] 1988
[28] 간행물 Archaeobotanical and archaeoentomological evidence from a well at Atlit-Yam indicates colder, more humid climate on the Israeli coast during the PPNC period https://www.scienced[...] 2004-09-01
[29] 서적 Domestication of Plants in the Old World: The origin and spread of domesticated plants in Southwest Asia, Europe, and the Mediterranean Basin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30] 서적 The Cultural History of Plants Routledge 2005
[31] 간행물 Wild and Cultivated Vegetables, Herbs and Spices in Greek Antiquity
[32] 간행물 Food allergy and IgE sensitization caused by spices: CICBAA data (based on 589 cases of food allergy)
[33] 간행물 Allergy Recapitulates Phylogeny https://blogs.scient[...] 2011-09-18
[34] 웹사이트 Nutrients, coriander seeds per 100 g https://fdc.nal.usda[...] FoodData Central,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9-04-01
[35] 서적 Aquavit: And the New Scandinavian Cuisine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Harcourt 2003
[36] 서적 Eating and Drinking in Europe: A Cultural History https://books.google[...] Mercatorfonds 2002
[37] 서적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38] 논문 Volatile and sensory profiling of cocktail bitters https://static1.squa[...] 2015
[39] 논문 infraspecific taxa of coriander (Coriandrum sativum L.). http://link.springer[...] 2003
[40] 웹사이트 Coriander – Coriandrum sativum http://www.crop.cri.[...] 1993-06
[41] 웹사이트 Dhana Jeera Powder – Also Known As Cumin and Coriander Blend or Dhanajiru Powder http://www.myspicesa[...] My Spice Sage 2016-01-14
[42] 문서 Ethnobotany of the Zuni Indians 1915
[43] 논문 Coriander (Coriandrum sativum L.) essential oil: its antibacterial activity and mode of action evaluated by flow cytometry 2011
[44] 서적 For God, Country and Coca-Cola Collier
[45] 웹사이트 2024-09-01
[46] 서적 Species Plantarum https://www.biodiver[...] Laurentius Salvius
[47] 뉴스 「カメムシソウ」とよばれることも パクチーの名前トリビア https://jisin.jp/lif[...] 女性自身 2015-05-18
[48] 웹사이트 シャンサイ(香菜)パクチー http://jaenchu.ja-sh[...] 農産物百科 JA遠州中央
[49] 문서 『一切経音義 (慧琳)|慧琳音義』巻70などに引く張華『博物志』にこの説が見える。ただし現行の『博物志』では張騫がクルミ|胡桃をもたらしたという話はあるが、胡荽に関する記載はない。
[50] 서적 カレーのすべて 柴田書店
[51] 문서 いずれも Cuminum 属で、互いによく似ている。
[52] 웹사이트 Coriander / Gernot Katzer's Spice Pages http://gernot-katzer[...]
[53] 서적 花の名前 婦人生活社
[54] 뉴스 【食の進化論】パクチーの価格安定へタッグ 農家と買い手、直接取引で信頼 2022-01-03
[55] 서적 基本ハーブの事典 東京堂出版
[56] 서적 Aquavit: And the New Scandinavian Cuisine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Harcourt 2003
[57] 뉴스 京都のタイ料理店「パクチー料理ありません」 店主、異様なブームに「嫌気差した」 https://www.j-cast.c[...] J-CAST 2017-04-15
[58] 서적 中薬大辞典 上海科学技術出版社
[59] 뉴스 【新年特集】長命草に次ぐ特産品〝クシティ〟 http://www.y-mainich[...] 2016-01-02
[60] 웹사이트 パクチー http://jbpress.ismed[...] jbpress.ismedia.jp 2018-12-04
[61] 웹사이트 コリアンダー、コエンドロ、シャンツァイ(香菜)、中国パセリ、パクチー 2018-09-26
[62] 논문 Hydrodistillation extraction time effect on essential oil yield, composition, and bioactivity of coriander oil
[63] 뉴스 Cilantro Haters, It's Not Your Fault https://www.nytimes.[...] 2012-07-24
[64] 뉴스 Across the Land, People Are Fuming Over an Herb (No, Not That One) https://www.wsj.com/[...] 2012-07-24
[65] 웹사이트 Why some people like coriander and others think it tastes like soap, according to science https://www.mirror.c[...] Mirror 2020-03-27
[66] 웹사이트 A genetic variant near olfactory receptor genes influences cilantro preference https://arxiv.org/pd[...] Cornell University 2020-03-27
[67] 웹사이트 パクチーの味を表現するとカメムシ?好き嫌いの原因はDNA成分反応 https://laccord.info[...] laccord.info 2018-12-04
[68] 논문 Prevalence of cilantro (Coriandrum sativum) disliking among different ethnocultural groups 2012-05-02
[69] 논문 A genetic variant near olfactory receptor genes influences cilantro preference https://arxiv.org/ab[...] 2012-09-10
[70] 웹사이트 Getting To The Root Of The Great Cilantro Divide https://www.npr.org/[...] 2019-09-02
[71] 웹사이트 Soapy taste of coriander linked to genetic variants https://www.nature.c[...] 2012-09-12
[72] 간행물 Genetic analysis of chemosensory traits in human twins
[73] 간행물 Food allergy and IgE sensitization caused by spices: CICBAA data (based on 589 cases of food allergy)
[74] 웹사이트 How to Recognize a Cilantro Allergy https://www.healthli[...] Healthline 2017-03-29
[75] 웹사이트 Allergy Recapitulates Phylogeny https://blogs.scient[...] Scientific American 2011-09-18
[76] 웹사이트 "「タイ料理といえばパクチー」は日本人の幻想だった" https://jbpress.isme[...] 2018-04-06
[77] 뉴스 2016年版トレンド鍋は“草鍋” https://prtimes.jp/m[...] PR TIMES 2016-10-19
[78] 웹인용 dhania http://oald8.oxfordl[...] 2013-12-2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