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부 노다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부 노다선은 오미야역에서 후나바시역까지 62.7km 구간을 운행하는 철도 노선이다. 복선 및 단선 구간, 직류 1,500볼트 전철화, 토부형 ATS 보안 장치를 사용하며 최고 속도는 100km/h이다. 가시와역에 스위치백 구조가 있어 오미야역, 가시와역, 후나바시역을 기점으로 하는 열차로 운행되며, 급행, 구간 급행, 보통 열차가 있다. 1911년 지바현영철도로 개통되어 호쿠소 철도, 소부 철도를 거쳐 1944년 도부 철도에 흡수합병되었다. 현재 8000계, 10000계, 60000계 전동차와 특급 "어반 파크 라이너"가 운행 중이며, 2025년부터 80000계 전동차로 대체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부 철도의 철도 노선 - 도부 기류선
    도부 기류선은 1911년 610mm 궤간의 손수레 철도로 시작하여 1913년 도부 철도에 인수된 후 1,067mm 궤간으로 개량되어 아사쿠사역과 아카기역을 잇는 료모호와 보통 열차를 운행한다.
  • 도부 철도의 철도 노선 - 도부 사노선
    도부 사노선은 군마현 관린시와 도치기현 사노시를 잇는 도부 철도 노선으로, 석회석 및 목재 운송을 목적으로 설립되어 철도로 전환 후 도부 철도에 합병되었으며, 현재는 단선 철로에서 특급열차와 보통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 1911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경원선
    경원선은 일제강점기에 개통된 서울과 원산을 잇는 철도 간선으로, 광복 후 남북 분단으로 인해 현재는 남한 구간만 운행 중이며, 남북 관계 개선에 따라 북한 구간 운행 재개 가능성이 논의되고 있다.
  • 1911년 개통한 철도 노선 - 호남선
    호남선은 대전에서 목포를 잇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 쌀 수송을 위해 건설되어 복선화 및 전철화 사업을 거쳐 KTX 운행과 호남고속선 개통으로 운행 시간이 단축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열차가 운행되고 서대전~논산 구간 직선화 사업이 추진 중이다.
  • 사이타마현의 철도 - 우에노 도쿄 라인
    우에노 도쿄 라인은 도쿄역과 우에노역을 연결하는 3.8km의 고가철도로, 도호쿠 본선 및 조반선의 도쿄역 직결 운행을 재개하고 통근 혼잡을 완화하며 도쿄 북부와 도심 간 접근성을 향상시킨다.
  • 사이타마현의 철도 - 도부 닛코선
    도부 닛코선은 도쿄도 아사쿠사에서 도치기현 닛코시를 잇는 도부 철도의 94.5km 협궤 복선 전철 노선으로, 수도권 주요 지역과 연결되며 다양한 종류의 열차가 운행되고 도쿄 메트로 및 도큐 전철 노선과 직결 운행된다.
도부 노다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개요
도부 60000계 전동차
에도가와를 건너는 60000계 전차 (2020년 8월 가와마역 - 미나미사쿠라이역 구간)
노선 이름[[파일:Tōbu Tetsudō Logo.svg|50px|link=도부 철도]] 노다 선
다른 이름도부 어반 파크 라인
로마자 표기Tōbu Ābanpāku-rain
별칭도부 어반 파크 라인
노선 정보
노선 색상#00bfff
노선 기호TD
종류통근 열차
상태운영 중
지역간토 지방
기점오미야역
종점후나바시역
역 수35개
개업일1911년 5월 9일
전체 개통일1930년 10월 1일
소유자도부 철도
운영자도부 철도
차량기지미나미쿠리하시 차량 관구 나나코다이 지소 등
사용 차량도부 8000계 전동차, 도부 10000계 전동차, 도부 60000계 전동차
노선 길이62.7km
궤간1,067mm
선로 수복선 (오미야역 - 가스카베역 구간, 운하역 - 가시와역 - 후나바시역 구간)
단선 (가스카베역 - 운하역 구간)
전철화 방식직류 1,500V (가공 전차선 방식)
보안 장치도부형 ATS
최고 속도100km/h
최대 경사25.0‰
최소 곡선 반지름170m
운행 및 수송
1일 이용자 수448,528명 (2010년)
노선도
도부 철도 노선도
차량 기지
소속나나코다이

2. 노선 정보


  • 노선 거리: 62.7km
  • 궤간: 1067mm (협궤)
  • 역 수: 35개 역 (기·종점역 포함)
  • 복선 구간:
  • * 오미야역 ~ 카스가베역 간 15.2km
  • * 운가역 ~ 카시와역 ~ 후나바시역 간 29.5km
  • * 총 연장 44.7km (전체의 71.3 %)
  • 단선 구간: 카스가베역 ~ 운가역 간 18km (전체의 28.7 %)
  • * 단선 구간 내에서도 부지나 구조물이 일부 복선화에 대비하여 건설된 곳이 있다. 또한, 미나미사쿠라이역의 카와마역 방면(약 0.8km), 우메고역의 노다시역 방면(약 0.9km) 구간은 외견상 복선처럼 보이나, 이는 각 역의 장내를 연장한 것으로 공식적으로는 단선 구간에 해당한다.
  • 전철화 구간: 전 구간 직류 1,500 V
  • 최고 속도: 100 km/h[17]
  • 보안 장치: 토부형 ATS


2023년도 아침 러시아워 시간대의 최고 혼잡 구간은 신후나바시역후나바시역 구간이며, 해당 시간대 혼잡률은 '''116%'''이다.[102]

차량 전체의 혼잡률은 오미야 방면이 더 낮지만, 후나바시역은 승강장과 개찰구를 잇는 계단이 두 곳이고 엘리베이터가 설치된[103] 반면, 오미야역은 두단식 승강장 구조로 개찰구가 한 곳에 모여 있어[104] 기타오미야역 → 오미야역 구간의 선두 차량은 종일 승객이 집중되는 경향이 있으며, 아침 러시아워 시간대에는 전 구간 중 가장 혼잡하다.

2000년대 이후 연선 지역인 카스카베시나 노다시 등은 인구가 감소 추세에 있어 이용객 역시 줄어들고 있으나, 나가레야마시는 2005년 츠쿠바 익스프레스 개통 이후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나가레야마오타카노모리역의 이용객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

최근의 수송 실적은 아래 표와 같다.[105][106][107][108]

연도최혼잡 구간 수송 실적특기 사항
기타오미야 → 오미야 간하츠시 → 나가레야마오타카노모리 간신후나바시 → 후나바시 간
본수: 본수송력: 명수송 인원: 명혼잡률: %본수: 본수송력: 명수송 인원: 명혼잡률: %본수: 본수송력: 명수송 인원: 명혼잡률: %
1970년(쇼와 45년)104,5728,773192 73,2847,302222
1980년(쇼와 55년)128,18412,827157 75,5449,932179
1985년(쇼와 60년)129,26414,071152 97,03211,3361611985년 11월 19일, 마스오역 - 사카이역 간 복선화
1990년(헤이세이 2년)129,68417,171177 97,45212,918173
1993년(헤이세이 5년)169 150
1994년(헤이세이 6년)1411,59218,281158
1995년(헤이세이 7년)1411,59218,561160 119,10813,804152
1996년(헤이세이 8년)1411,592 119,108
1997년(헤이세이 9년)1411,59217,886154 119,108
1998년(헤이세이 10년)1411,592 119,108
1999년(헤이세이 11년)1411,59217,016147 119,108 1999년 11월 25일, 신카마가야역 개업.
이와츠키역 - 히가시이와츠키역 간・카마가야역 - 마고메자와역 간 복선화。
2000년(헤이세이 12년)1411,59217,030147 119,10812,950142
2001년(헤이세이 13년)1411,59217,147148 119,108
2002년(헤이세이 14년)1411,59216,207140 119,108
2003년(헤이세이 15년)1411,59215,787136 119,108
2004년(헤이세이 16년)1411,59215,507134 119,108 2004년 10월 19일, 히가시이와츠키역 - 카스카베역 간・신카마가야역 - 카마가야역 간 복선화
2005년(헤이세이 17년)1411,59215,845137 119,10812,7011392005년 8월 24일, 나가레야마오타카노모리역 개업
2006년(헤이세이 18년)1411,59215,914137119,10812,508137119,108
2007년(헤이세이 19년)1411,59216,069139119,108 119,108142
2008년(헤이세이 20년)1411,59216,127139119,108 119,108
2009년(헤이세이 21년)1411,59215,873137119,108 119,10812,717140
2010년(헤이세이 22년)1411,59215,931137119,10812,674139119,10812,864141
2011년(헤이세이 23년)1411,59215,471133119,108 119,10812,559138
2012년(헤이세이 24년)1411,59215,524134119,108 119,10812,926142
2013년(헤이세이 25년)1411,59215,524134119,10812,694139119,10813,125144
2014년(헤이세이 26년)1411,59215,389133119,10812,438137119,10813,277146
2015년(헤이세이 27년)1411,59214,839128119,10811,857130119,10813,069143
2016년(헤이세이 28년)1411,59214,562126108,28011,225136119,10812,999143
2017년(헤이세이 29년)1411,59214,849128108,28011,535139119,10812,973142
2018년(헤이세이 30년)1411,59214,487125108,28011,251136119,10812,678139
2019년(레이와 원년)1411,59214,322122108,28010,959132119,10812,6211392019년 12월 15일, 타카야나기역 - 로쿠미역 간 복선화
2020년(레이와 2년)1310,7649,77291108,2806,98684129,93610,009101
2021년(레이와 3년)1310,76410,06193108,2807,36189129,93610,622107
2022년(레이와 4년)1310,76410,58098108,2807,41890129,93611,177112
2023년(레이와 5년)1310,76410,879101108,2807,67993129,93611,505116


3. 운행 형태

가시와역스위치백 구조 때문에 운행 계통은 대부분 오미야역 - 가시와역 구간과 가시와역 - 후나바시역 구간으로 나뉘어 운행된다. 일부 차량 기지 입출고 열차나 특정 시간대 열차를 제외하면 대부분 가시와역에서 시종착한다.

기본적으로는 각 역에 정차하는 보통 열차가 운행되며, 2016년부터는 급행 열차도 운행되고 있다.[3] 낮 시간대에는 시간당 6편 정도의 열차가 운행된다. 열차 종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조한다.

노선은 오미야역 - 가스카베역 구간 (15.2km) 및 운가역 - 가시와역 - 후나바시역 구간 (29.5km)이 복선이며, 그 외 구간은 단선이다. 단선 구간인 가스카베역 - 운가역 사이는 모든 역에서 상하행 열차의 열차 교환이 가능하며, 이른 아침과 심야를 제외하고 거의 모든 역에서 열차 교환이 이루어져 넷 다이어를 형성하고 있다. 이로 인해 단선 구간에서의 추가 증편은 어려운 상황이다.

오미야역에서 후나바시역까지 노다선으로 이동할 경우, 가시와역 환승을 포함하여 약 90분이 소요된다 (운임: 830JPY, IC 카드 827JPY). 반면 JR 동일본 노선을 이용하면(우에노 도쿄 라인, 소부 쾌속선 경유) 약 70분이 소요되지만 운임은 더 비싸다 (승차권 950JPY, IC 카드 945JPY). 2020년 3월 14일 시간표 개정으로 급행 운행 구간이 확대되어 소요 시간이 단축되었다.

과거에는 정기 우등 열차가 없었으나, 임시 열차는 운행된 적이 있다. 1969년부터 1972년까지 봄·가을 관광 시즌 주말에 오미야역에서 가스카베역을 경유하여 닛코선의 도부닛코역 및 기누가와온센역까지 운행하는 임시 유료 급행 「키리후리」·「류오」가 5700계로 운행되었다. 이후에도 오미야시 등의 요청으로 1990년에는 1720계 "DRC"를 이용한 단체 열차 「오미야 시민호」가 오미야역 - 기누가와온센역/도부닛코역 간을 운행하기도 했다. 지바현 측에서도 과거 수학여행 등을 위한 단체 임시 열차 「타비지」가 가시와역 또는 노다시역 발착으로 운행된 사례가 있다.

3. 1. 열차 종류

오미야역에서 가시와·후나바시역 방면으로 향하는 열차를 하행, 후나바시역에서 가시와·오미야 방면으로 향하는 열차를 상행으로 한다.

과거 도부 노다선은 장거리 노선임에도 불구하고 우등 열차 없이 모든 열차가 각 역에 정차하는 보통 열차로만 운행되었다. 그러나 2016년 3월 26일 시간표 개정으로 오미야역 - 가스카베역 구간에서 통과 운행하는 급행이 처음으로 신설되었으며[27], 이와 함께 열차 종별 표시도 도입되었다. 2017년에는 특급 "어번 파크 라이너"가 신설되었으나[71][72], 2024년 3월 16일 시간표 개정으로 폐지되었다.[74] 2020년 3월 14일에는 구간 급행이 신설되었고, 급행 열차의 운행 구간 및 통과 역이 조정되었다.[29][73]

현재 운행되는 정기 열차는 급행, 구간 급행, 보통 세 종류이다. 특급 "어반 파크 라이너"를 제외한 모든 정기 열차는 8000계, 10030계, 60000계의 6량 편성으로 운행된다.

가시와역스위치백 구조이기 때문에 운행 계통은 기본적으로 오미야역 - 가시와역 구간과 가시와역 - 후나바시역 구간으로 나뉘어 운행된다. 하지만 낮 시간대의 오미야역 - 후나바시역 간 급행 열차나, 이른 아침의 오미야역 발 후나바시역 행 보통 열차, 차량 기지 입출고 관련 열차 등 가시와역을 넘어 직통 운행하는 열차도 일부 존재한다.

노선 최고 속도는 2004년 10월 19일 시간표 개정으로 기존 90km/h[16]에서 100km/h로 향상되었다.

각 열차 종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문단을 참조.

3. 1. 1. 특급 (2024년 운행 중지)

2017년 4월 21일 시간표 개정으로 평일 야간에 500계 "리버티"를 이용한 특급 "어번 파크 라이너"가 운행을 시작했다.[71][72] 이는 도부 노다선 최초의 정기 특급 열차였다.

운행 초기에는 도부 스카이트리 라인(이세사키 선)에서 직통 운행하는 2개 계통과 노다선 내에서 운행하는 1개 계통, 총 3개 계통으로 운행되었다.[72]

아사쿠사역에서 출발하는 오미야행 및 노다시행 열차는 아사쿠사역부터 가스카베역까지 6량 편성으로 함께 운행하다가, 가스카베역에서 오미야행(1~3호차)과 노다시행(4~6호차)으로 분리되어 각각 3량 편성으로 운행했다.[72]

2020년 3월 14일 시간표 개정으로 운행 계통이 변경되었다. 기존 아사쿠사역 발 오미야역행 6량 편성 열차는 가스카베역까지만 운행하는 "스카이 트리 라이너"로 단축되었고, 아사쿠사역 발 노다시역행 열차는 가시와역까지 운행 구간이 연장되었다. 오미야역 발 운가역행 열차는 그대로 유지되었으며, 새롭게 가시와역 발 가스카베역행 열차가 신설되었다.[29][73] 같은 해 6월 6일 도부 스카이트리 라인의 시간표 개정에서는 오미야역과 가시와역을 오가는 열차가 2왕복 신설되었다.[69]

정차역은 기본적으로 급행 열차와 동일했으나, 아사쿠사역에서 출발하는 열차는 야기자키역, 도요하루역, 히가시이와쓰키역에 추가로 정차했다.

이후 가스카베역의 고가화 공사가 진행되면서 노다선과 도부 스카이트리 라인을 연결하는 연락선이 철거되었고, 이에 따라 2024년 3월 16일 시간표 개정을 통해 어번 파크 라이너는 폐지되었다.[74]

3. 1. 2. 급행

2016년 3월 26일 다이어 개정으로 신설된 열차 등급이다.[27] 처음에는 오미야역과 가스카베역 사이에서는 이와쓰키역에만 정차하고, 가스카베역부터 후나바시역까지는 모든 역에 정차하는 방식으로 운행되었다. 이로 인해 오미야역과 가스카베역 사이의 소요 시간은 각 역에 정차하는 보통 열차보다 6분 단축되었다.[3] 신설 당시 평일 낮 시간대(9시~16시대)에는 약 30분 간격으로 상하행 합계 31편, 주말 및 공휴일에는 7~8시대 상행 2편 및 9~20시대 약 30분 간격으로 상하행 합계 50편이 운행되었다. 기본적으로 오미야역 - 가시와역 구간 운행이 중심이었고, 후나바시역까지 운행하는 열차는 평일, 주말 모두 하루 1왕복뿐이었다. 가스카베역에서 보통 열차와 완급 연결을 했으며, 주말 및 공휴일 저녁 하행 열차에 한해 이와쓰키역에서 가스카베행 보통 열차와 완급 연결을 하기도 했다.

2020년 3월 14일 다이어 개정부터는 운가역 - 후나바시역 구간에서도 통과 운전을 시작하여 현재의 정차역은 다음과 같다.

낮 시간대에는 오미야역 - 후나바시역 구간을 약 30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가시와역 - 후나바시역 구간은 아침이나 저녁·야간 시간대에도 약 30분 간격으로 설정되어 있다. 낮 시간대를 포함하여 평일에는 상하행 합계 69편, 주말 및 공휴일에는 상하행 합계 65편이 운행된다. 이 개정으로 소요 시간이 가시와역 - 후나바시역 구간에서 최대 11분, 오미야역 - 후나바시역 구간에서 최대 16분 단축되었다.[29][73] 상하행 열차 모두 가스카베역, 운가역, 가시와역, 다카야나기역에서 보통 열차와 완급 연결을 한다.

노선도 상의 심볼 컬러는 진한 핑크색(■)이며, 영문 표기는 "EXPRESS" 또는 "EXP."로 사용된다. 차량에서는 종별 표시를 적색으로 한다.

60000계에 의한 급행(가시와역)


2020년 3월 개정 당시 평일 야간에 가스카베역 발 가시와역 행 2편(오미야역 발 가스카베역 행 보통 열차가 열차 번호 변경 후 급행으로 연장 운행하는 형태와 가스카베역 시발 급행)과, 가시와역 발 가스카베역 행 및 이와쓰키역 행 급행이 설정되었으나, 이는 특급 "어반 파크 라이너"로 변경하기 위한 임시 설정이었으며, 같은 해 6월 개정으로 모두 특급 "어반 파크 라이너"로 변경되었다.

'''낮 시간대 운행 패턴 (2020년 3월 14일 개정 기준)'''

낮 시간 운행 패턴
종별\역명오미야가스카베운가가시와후나바시
운행 범위급행시간당 2편
보통시간당 2편style="text-align:left;" colspan="9" |
시간당 4편colspan="3" style="text-align:left;"|
colspan="6" |시간당 2편colspan="3" |
style="text-align:left;" colspan="9" |시간당 6편


3. 1. 3. 구간 급행

2020년 3월 14일 시간표 개정으로 신설된 종별이다.[29][73] 이전에 급행으로 운행되던 열차의 종별이 변경된 것이다. 운행 구간은 오미야역 - 가시와역 간이며, 정차역은 오미야역, 이와쓰키역, 가스카베역부터 가시와역까지의 각 역이다.

노선도 상의 심볼 컬러는 옅은 분홍색이다. 영문 표기는 "SECTION EXPRESS"이며, 일부 차량에서는 "SECTION EXP." 또는 "SEC.EXP"로 약칭된다. 차량에서는 기본적으로 적색으로 표기하며, 표기 방법은 이세사키선 계통과 동일하다.

평일에는 아침 시간대에 상행 2편, 저녁 시간대에 하행 2편이 운행된다. 토요일 및 휴일에는 아침 시간대에 상행 4편이 운행되며, 저녁 및 야간 시간대에는 급행 대신 상하 9왕복이 운행된다. 기존 급행 운행 방식과 유사하게, 토요일 및 휴일 하행 열차의 경우 저녁 및 야간 시간대에 이와쓰키역에서 가스카베역행 보통 열차와 완급결합을 실시한다.

3. 1. 4. 보통

각 역에 정차하는 열차로, 차내 및 역내 안내방송에서는 주로 "각역정차"라고 안내한다. 일부 역 안내방송에서는 "보통"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기도 한다.

기본적으로 운행 계통은 오미야역 - 가시와역 구간과 가시와역 - 후나바시역 구간으로 나뉘어 운행된다. 이는 스위치백 구조인 가시와역에서의 운행 횟수 증가에 따른 교차 지장을 피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오미야역 - 후나바시역 간을 직통하는 열차도 일부 존재하며, 이른 아침의 오미야역 발 후나바시역 행 보통 열차나 나나코다이역 발착 입출고 열차 등이 해당된다. 다만, 직통 보통 열차의 경우 가시와역에서 먼저 출발하는 열차로 환승하는 것이 더 빠른 경우가 많다. 출퇴근 시간대에는 시치코다이역이나 다카야나기역에서 시종착하는 구간 열차도 운행된다.

특급 "어반 파크 라이너"를 제외한 모든 정기 보통 열차는 8000계, 10030계, 60000계의 6량 편성으로 운행된다. 최고 속도는 2004년 10월 19일 시간표 개정으로 기존 90km/h[16]에서 100km/h로 향상되었다.

노선도 상의 심볼 컬러는 도부 스카이트리 라인과 동일한 회색(■)이며, 영문 표기는 "LOCAL"이다.

=== 운행 패턴 변화 ===

  • 2007년 3월 10일 시간표 개정 이전: 오미야역 - 가시와역 구간은 오미야역 - 이와쓰키역·가스카베역 간, 시미즈코엔역·운가역 - 가시와역 간 등 다수의 구간 열차가 설정되어 시간당 4~8편으로 운행 횟수 편차가 컸다.
  • 2007년 3월 10일 시간표 개정: 낮 시간대 운행 횟수가 10분 간격(시간당 6편)으로 통일되고, 운행 구간도 오미야역 - 가시와역 간으로 통일되었다. 또한 일부 역의 안전측선 설치 및 탄성 분기기 교체로 통과 속도가 향상되어 오미야역 - 가시와역 간 소요 시간이 3~4분 단축되었다. 가시와역 - 후나바시역 구간은 이전부터 낮 시간대 10분 간격으로 운행되었으며, 이 개정으로 가시와역 환승 시간이 2~3분으로 단축되었다.
  • 2011년 7월 23일 시간표 변경: 가시와역에서의 대기 시간이 6분으로 늘어나면서 오미야역 - 가시와역 간 소요 시간이 다시 3~4분 정도 증가했다.
  • 2016년 3월 26일 시간표 개정: 급행 열차 운행 개시에 따라, 통과역의 열차 횟수 확보를 위해 오미야역 - 가스카베역 간 구간 보통 열차가 평일 낮, 토요일·휴일 낮부터 저녁 시간대에 다시 설정되었다.[27]
  • 2020년 3월 14일 시간표 개정: 급행 열차의 통과 운전 구간 확대에 따라, 통과역의 열차 횟수 확보를 위해 운가역 - 가시와역 간 구간 보통 열차가 낮 시간대에 다시 설정되었다.


=== 낮 시간대 운행 패턴 ===

2020년 3월 14일 개정 시점의 낮 시간대 보통 열차 운행 횟수는 다음과 같다.

낮 시간 운행 패턴 (2020년 3월 14일 개정 기준)
종별구간시간당 운행 편수
보통오미야 ↔ 가스카베역2편
오미야 ↔ 가시와역4편
운가역가시와역2편
가시와역후나바시역6편


4. 역사

도부 노다선은 1911년 5월 9일, 지바현이 운영하는 千葉県営鉄道野田線|지바현영 철도 노다선일본어으로 처음 개통되었다.[2] 초기에는 노다마치(현 노다시)에서 생산되는 간장가시와역을 통해 조반선으로 운송할 목적으로 건설되었으며, 증기 기관차를 사용했다. 당시 노다시의 기꼬만 본사 내에는 화물역이 있었고, 가시와역에서는 일본국유철도(현 JR 동일본) 조반선을 통해 전국으로 간장이 수송되었다.

1923년 노선은 민영화되어 北総鉄道|호쿠소 철도일본어(현재의 호쿠소 철도와는 별개 회사)가 운영을 맡았고, 같은 해 후나바시역에서 가시와역까지의 자체 노선(후나바시선)도 개통했다. 이후 회사는 노선을 서쪽으로 점차 연장하여 사이타마현 오미야역까지 확장했으며, 1929년에는 総武鉄道|소부 철도일본어(현재의 소부 본선과는 별개 회사)로 사명을 변경했다. 에도강 교량 완공과 함께 1930년 오미야에서 후나바시까지 전 구간이 연결되었다. 오미야 - 가스카베 구간은 1929년 개통과 동시에 전철화되었고,[2] 이후 다른 구간의 전철화도 진행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이던 1944년 3월 1일, 전시 교통 통합 정책에 따라 소부 철도는 도부 철도에 흡수 합병되었고, 노선명은 '''도부 노다선'''이 되었다.[12] 합병 당시 비전철 구간이었던 가시와 - 후나바시 구간은 1947년 3월 1일에 전철화가 완료되어 전 구간 전철 운행이 가능해졌다.[12] 1948년에는 기존의 노다선(오미야 - 가시와)과 후나바시선(가시와 - 후나바시)이 공식적으로 '''노다선'''으로 통합되었다.[25]

전후 수도권의 확장과 함께 노선 주변의 베드타운 개발이 활발해지면서 노다선은 점차 중요한 통근 노선으로 변모했다. 이에 따라 1957년부터 구간별 복선화 공사가 꾸준히 진행되었고, 차량 역시 현대화되었다. 1972년부터 6량 편성 열차가 도입되었으며,[2] 이후 8000계, 5000계, 10030계, 60000계 등 새로운 차량이 투입되었다. 2004년에는 최고 속도가 시속 90km/h에서 100km/h로 향상되었다.[13]

2012년 3월 17일부터는 모든 도부 노선에 역 번호가 도입되어 노다선 역에는 "TD" 코드가 부여되었고,[14] 2014년 4월 1일부터는 東武アーバンパークライン|도부 어번 파크 라인일본어이라는 애칭이 사용되기 시작했다.[15] 최근에는 급행, 특급("어반 파크 라이너"), 구간 급행 등 다양한 등급의 열차가 운행되었으나, 특급 열차는 2024년 3월부터 운행이 중단되었다.

현재 도부 노다선은 사이타마현 남동부에서 지바현 북서부의 도카츠 지역을 연결하며, 도쿄 도심에서 방사형으로 뻗어 나가는 여러 철도 노선들과 접속하는 환상형 노선의 일부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노선 대부분이 국도 제16호선 및 지바현도 제8호 후나바시 아비코선 등 주요 도로와 나란히 달린다.

4. 1. 지바현영 철도 (1911-1923)

지바현영 철도 노다선


이 노선은 1911년 5월 9일, 千葉県営鉄道野田線|지바현영 철도 노다선일본어으로 처음 개통되었다.[2] 당시 지바현히가시카쓰시카군 노다정(현 노다시)의 간장 양조업자들로부터 뱃길 운송의 불편함을 개선해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이에 1910년 8월 3일, 노다정에서 히가시카쓰시카군 지요다촌(현 가시와시)을 잇는 경편철도 부설 면허를 철도성에 신청했다.[22] 건설 비용은 현 채권을 발행하여 충당하기로 했으며, 노다의 간장 양조 조합이 20만 상당의 채권을 인수했다.[22]

처음에는 군용 경편철도와 같은 600mm 궤간을 계획했으나, 조반선 가시와역에서 화물을 바로 실어 나를 수 있도록 철도원(현 JR 동일본)과 같은 1,067mm 궤간으로 변경해 달라는 양조 조합의 주장이 받아들여졌다.[23] 1910년 8월 31일에 면허를 받아 공사를 시작했고, 1911년 5월 9일에 노다정역(현 노다시역)에서 가시와역까지 14.7km 구간이 증기 기관차 운행으로 개통되었다.[2][23]

1921년, 지바현은 노선 운영 유지를 조건으로 현영 철도를 민간에 매각하기로 결정했다. 노다 간장 양조 조합과 게이세이 전기 궤도의 전무이사였던 혼다 사다지로 등이 중심이 되어 매각 운동을 벌였다. 같은 해 11월 21일, 현영 노다선 운영과 후나바시-가시와 간 신규 노선 건설을 목적으로 하는 '''호쿠소 철도'''(현재의 호쿠소선을 운영하는 호쿠소 철도와는 다른 회사) 설립 면허가 발급되었다.

1922년 4월 5일, 자본금 150만으로 호쿠소 철도가 정식 설립되었고, 1923년 7월에 지바현은 현영 철도 노다선을 41만에 호쿠소 철도로 매각하였다.

4. 2. 호쿠소 철도 / 소부 철도 (1923-1944)



1921년 지바현이 현영 철도 노다선의 불하 방침을 세우자, 노다시의 간장 양조 조합과 게이세이 전철의 전무이사였던 혼다 사다지로 등이 중심이 되어 새로운 철도 회사를 추진했다. 이들은 현영 노다선(노다정역 - 가시와역) 운영권 인수와 함께 후나바시 - 가시와 구간에 새로운 노선을 건설할 목적으로 北総鉄道|호쿠소 철도일본어(현재의 호쿠소 철도와는 다른 회사)를 발기했고, 1922년 4월 5일 자본금 150만 엔으로 회사를 설립했다.

1923년 호쿠소 철도는 지바현으로부터 노다선을 41만 엔에 인수하여 8월부터 직접 운영하기 시작했으며[2], 같은 해 12월 27일에는 자체적으로 건설한 후나바시선(후나바시역 - 가시와역, 19.6km)을 개통했다.[2] 당시 후나바시선의 가시와역은 조반선 가시와역 동쪽 출구 쪽에, 노다선의 가시와역은 서쪽 출구 쪽에 위치하여 조반선을 사이에 두고 떨어져 있었다.

1926년 호쿠소 철도는 노선을 사이타마현 오미야역까지 연장할 계획을 세우고 부설 면허를 취득했다. 이후 사장 교체와 본사 이전을 거쳐 1928년 자본금을 450만 엔으로 늘리고 연장 공사에 착수했다. 이때부터 장래의 전철화를 고려하여 노선을 건설했다.

1929년은 노선 확장에 중요한 해였다. 9월 1일 노다정역(현 노다시역) - 시미즈코엔역 구간(약 1.9km)이 개통되었고, 11월 17일에는 오미야 임시 정류장 - 가스카베역 구간(15.3km)이 운행을 시작했다. 특히 오미야 - 가스카베 구간은 개통과 동시에 전철화되어 호쿠소 철도 최초로 전동차 운행이 시작되었다.[2] 12월 9일에는 오미야역까지 노선이 완전히 연결되었다. 노선이 기존의 지바현(시모사국)을 넘어 사이타마현(무사시국)까지 이어지게 되면서, 11월 22일 회사 이름을 総武鉄道|소부 철도일본어(현재의 소부 본선과는 다른 회사)로 변경했다.[2] 같은 해 12월 30일부터는 시미즈코엔역 - 가시와역 구간도 전철화되었다. 전철화 구간에는 전기 기관차 3량과 전동차 10량이, 비전철화 구간에는 가솔린카가 투입되었다. 또한, 12월 25일에는 후나바시역과 게이세이 전철을 잇는 연락선인 가이진선(후나바시역 - 가이진역)이 개통되어 가솔린 객차로 운행을 시작했다.

1930년 에도강을 건너는 다리가 완공되면서 10월 1일 가스카베역 - 시미즈코엔역 구간이 개통되어 오미야역부터 후나바시역까지 전 구간이 연결되었다.[2] 이로써 오미야역 - 가시와역 간 전동차 직통 운행이 가능해졌다. 또한, 8월 30일에는 조반선 동쪽에 있던 후나바시선의 가시와역을 서쪽의 노다선 가시와역으로 통합 이전하여 환승 편의를 높였다.

그러나 모든 노선이 성공적이었던 것은 아니다. 1929년 개통했던 가이진선은 수익성이 낮아 1933년 11월 운행을 중단했고, 결국 1934년 4월 3일 폐지되었다.

소부 철도는 철도 사업 외에도 영역을 확장했다. 1935년에는 이와쓰키정(현 사이타마시 이와쓰키구)의 이와쓰키 자동차 주식회사를 인수하여 노선 버스 사업에 진출했고, 노다정 - 고시가야소카역 간 노선을 운행했다. 1936년에는 오미야 자동차 상회를 인수하여 오미야 근교의 버스 노선망을 더욱 넓혔다. 1937년에는 도네가와를 건너는 도선 사업까지 인수하여 이바라키현 방면으로의 교통편의도 제공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심화되면서 전시 교통 통합 정책에 따라, 1944년 3월 1일 소부 철도는 도부 철도에 합병되었고, 노선 이름은 도부 노다선으로 변경되었다.[12] 합병 당시 오미야역 - 가시와역 구간은 전철화가 완료되었지만, 가시와역 - 후나바시역 구간은 여전히 증기 기관차나 가솔린카가 운행하는 비전철화 상태로 남아 있었다.[12]

4. 3. 도부 철도 (1944-현재)

1944년 3월 1일, 소부 철도는 도부 철도에 흡수 합병되었고, 노선명은 '''도부 노다선'''이 되었다.[12] 합병 이전 오미야역 - 가시와역 구간은 '노다선', 후나바시역 - 가시와역 구간은 '후나바시선'으로 불렸으나, 1948년에 전 구간이 '''노다선'''으로 통합되었다.[25] 합병 당시 비전철 구간이었던 가시와 - 후나바시 구간의 전철화는 1947년 3월 1일에 완료되었다.[12]

전후 복선화 공사는 1957년 기타오미야역 - 오미야코엔역 구간을 시작으로 점진적으로 이루어졌다. 주요 구간별 복선화 완료 시기는 다음과 같다.

  • 오미야 - 가스카베: 1957년 ~ 2011년 사이
  • 노다시 - 우메사토: 2011년
  • 운가 - 사카사이: 1960년 ~ 1991년 사이
  • 무쓰미 - 후나바시: 1964년 ~ 1999년 사이


차량 운용 면에서는 1972년 11월부터 6량 편성 열차가 도입되었으며,[2] 이후 차량 현대화가 꾸준히 진행되었다. 구형 차량을 시작으로 3000계, 8000계, 5000계, 2080계를 거쳐 다시 8000계가 주력 차종이 되는 과정을 거쳤다. 1992년에는 2080계와 3000계가 8000계로 대체되면서 전 차량이 20m급 차량으로 통일되었다. 1997년부터는 도부 이세사키선에 신형 30000계가 도입됨에 따라 기존의 8000계가 노다선으로 이관되어 투입되기 시작했다.[13] 마지막 5070계는 2004년 10월 19일 시간표 개정을 끝으로 운행을 종료했으며, 이와 함께 노선 최고 속도가 시속 90km/h에서 100km/h로 향상되었다.[13] 한동안 8000계 단일 차종으로 운행되다가, 2013년에는 10030계와 도부 철도 합병 이후 첫 신형 차량인 60000계가 도입되어 운행 중이다.

2012년 3월 17일부터는 도부 철도의 다른 노선들과 함께 역 번호 시스템이 도입되어, 노다선 역들에는 "TD"라는 노선 기호와 번호가 부여되었다.[14] 2014년 4월 1일에는 노선 애칭으로 東武アーバンパークライン|도부 어번 파크 라인일본어 (Tobu Urban Park Line)이 제정되었다.[15]

승객 편의 시설 개선도 이루어져, 2007년 3월 가시와역과 후나바시역을 시작으로 2009년 3월까지 전 역에 발차 멜로디가 도입되었다. 또한, 2014년 3월 22일 후나바시역에 도부 철도 최초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고, 2015년에는 가시와역에도 단계적으로 설치가 완료되었다.

열차 운행 등급에도 변화가 있었다. 2016년 3월 26일 다이어 개정으로 급행 운행이 시작되었고,[27] 2017년 4월 21일에는 노선 최초의 정기 특급인 "어반 파크 라이너"가 신설되었다.[28][71] 이후 2020년 3월 14일 다이어 개정으로 구간 급행 운행도 개시되었다.[29][30]

특급 "'''어반 파크 라이너'''"는 2017년 4월 21일부터 평일 야간에 500계 "리버티" 차량을 사용하여 운행을 시작했다.[71][72] 초기에는 아사쿠사역에서 오미야역노다시역으로 향하는 계통과, 오미야역에서 운가역으로 가는 계통 등 3개 계통으로 운행되었다.[72] 2020년 3월 시간표 개정에서는 아사쿠사 발 오미야 행이 가스카베역 종착 "스카이트리 라이너"로 변경되고, 아사쿠사 발 노다시 행은 가시와역까지 연장 운행하게 되었다. 오미야 발 운가 행은 유지되었으며, 가시와 발 가스카베 행이 신설되었다.[29][73] 같은 해 6월에는 오미야 - 가시와 간 왕복 운행도 추가되었다.[69] 그러나 가스카베역 고가화 공사 진행에 따라 도부 스카이트리 라인과의 연결선이 철거되면서, 2024년 3월 16일 시간표 개정을 기해 "어반 파크 라이너"는 운행을 중단하게 되었다.[74]

이 외에도 노다선과 다른 노선을 잇는 임시 열차가 운행된 사례가 있다. 도쿄 스카이트리 개업을 기념하여 2012년 오미야역과 도쿄 스카이트리역을 잇는 직통 열차가 운행되었고,[75][76] 2012년 말부터 2017년 봄까지는 주말 및 공휴일에 전망 열차 634형을 이용한 임시 특급 "스카이트리 트레인"이 오미야역에서 아사쿠사역 방면으로 운행되었다.[78][81] 또한 2015년에는 호쿠리쿠 신칸센 연장 개업에 맞춰 오미야 발 아사쿠사 행 임시 쾌속이,[80] 2015년2016년 연말 금요일에는 아사쿠사 발 운가 행 임시 특급 "기리후리"가 운행되기도 했다.[82][83]

5. 차량

도부 노다선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전동차가 운행되고 있다. 현재 주력으로 운행되는 통근형 전동차는 8000계, 10000계(10030형/10050계), 60000계 등이 있다. 2013년부터 신형 차량인 60000계와 10000계가 투입되어 구형 8000계를 점차 대체하고 있다.

특급 열차로는 과거 500계 전동차가 '어반 파크 라이너' 등급으로 운행되었으며, 임시 열차로 634형 "스카이트리 트레인"이 운행되기도 한다. 노다선에서 운행되는 대부분의 차량은 미나미쿠리하시 차량관구 나나코다이 지소 소속이다.

5. 1. 현재 운행 차량

현재 운행되는 차량은 모두 전동차이며, 과거 차량 역시 특별히 언급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전동차이다. 노다선 내 계통의 급행·구간 급행·보통 열차에 사용되는 모든 차량은 미나미쿠리하시 차량관구 나나코다이 지소 소속이다. 2014년에는 '도부 어반 파크 라인'이라는 애칭 도입에 따라 모든 차량의 선두차 전면과 측면에 애칭 로고가 부착되었다.

=== 통근형 전동차 ===

  • 8000계
  • 6량 편성으로 운행된다. 과거에는 4량과 2량을 연결한 편성도 있었으나, 현재는 모두 6량 관통 편성이다. 중간 선두차는 데드맨 장치 미설치 및 전락 방지 덮개 설치로 사실상 고정 편성으로 취급되었고, 일부는 운전대가 철거되어 800형·850형으로 개조되었다. 4량+2량 연결 편성은 현재 폐차되어 노다선에는 없다. 현존하는 대부분 편성은 행선지 표시기가 LED화되고 배리어 프리 대응(휠체어 공간 설치)이 완료되었으나, 8111F[93], 8159F, 8163F 편성 등 일부는 방향막식을 유지하며 휠체어 공간이 없다. 2023년 11월 폐차된 8150F는 노다선에 남은 마지막 냉방 개조차였으며, 한때 도부 박물관 소유의 8111F를 제외하고 정기 운용되는 도부 철도 통근형 차량 중 가장 오래된 편성이었다.



8000계(행선지 표시기가 막식)


8000계(행선지 표시기가 LED식)

  • 10030형 / 10050계
  • 2013년 4월 20일부터 운행을 시작했다. 주로 삼림공원 검수구나 미나미쿠리하시 차량 관리구에서 전입한 6량 편성 차량들이다. 전입 시 가스카베역에서의 오승 방지를 위해, 동시에 도입된 60000계와 유사하게 띠 색상이 로열 마룬(적갈색)에서 퓨처 블루(파란색)와 브라이트 그린(연두색) 조합으로 변경되었다[94]. 6량 고정 편성으로 운용되므로, 전입 시 대부분 선두차의 전기 연결기, 전면 관통문 건널판, 관통 덮개가 철거되었다. 비 리뉴얼 차량은 방향막식을 사용하며, 리뉴얼 차량 및 일부는 풀 컬러 LED 행선지 표시기를 사용한다. 2021년 9월 기준으로 9개 편성이 운용 중이다.

10030형 50번대


10030형(리뉴얼차)

  • 60000계
  • 1944년 소부 철도가 도부 철도에 흡수 합병된 이후 노다선에 처음으로 도입된 완전 신형 통근 차량이다. 기존 8000계 대체를 목적으로 2012년도 계획에 따라 2개 편성이 신조되어[95][96], 2013년 6월 15일부터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98]. (선행 이벤트 운행은 6월 9일[97]). 이후 2013년도에 6개 편성[99], 2014년도에 8개 편성[100], 2015년도에 2개 편성이 추가 신조되어[101] 총 18개 편성이 도입되었다.

60000계


=== 특급형 전동차 ===
2017년 5월의 500계 전동차

  • 634형
  • 임시 특급 '스카이트리 트레인' 운행 시 투입된다.


=== 여성 전용차 ===

2005년 6월 20일부터 여성 전용차가 도입되었다. 평일 첫차부터 오전 9시까지 운행되는 모든 열차(상행, 하행)의 전 구간에서 운영되며, 오전 9시에 일제히 해제된다. 대상 차량은 상행, 하행 모두 가시와역 방면 선두 차량인 6호차이다.

6
(가시와 방면)
54321
(오미야/후나바시 방면)
여성 전용차
(평일 첫차~9:00)



노다선은 아침 출근 시간대 혼잡 구간이 다양하고 가시와역에서의 스위치백 운행도 있어 여성 전용차 위치 선정에 논의가 있었다. 최종적으로 오미야 도착 열차의 개찰구와 가까운 1호차가 가장 혼잡하다고 판단되어, 혼잡도가 비교적 낮은 맨 뒤 6호차에 여성 전용차를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가시와역후나바시역 도착 열차는 개찰구 계단이 승강장에 분산되어 있어 차량별 혼잡도가 비교적 균등하다고 판단되었다. 다만 신카시와역처럼 계단이 한쪽에만 있는 경우, 가장 가까운 차량이 6호차가 되는 경우도 있다. 특히 평일 아침 러시 아워에는 매우 혼잡하다.

5. 2. 과거 운행 차량

노다선에서는 과거 다양한 종류의 차량이 운행되었다. 전동차뿐만 아니라 증기 기관차, 가솔린 기동차, 전기 기관차 등도 운행 기록을 가지고 있다.

과거에는 닛코·기누가와온센 방면으로 직통하는 임시 열차가 운행되기도 했다. 1969년부터 1972년까지 관광 시즌 주말에 오미야역에서 가스카베역을 거쳐 도부닛코역이나 기누가와온센역까지 가는 임시 유료 급행열차 「키리후리」·「류오」가 운행되었다. 이 열차에는 주로 5700계 전동차가 사용되었다. 1990년에는 사이타마시의 시 승격 50주년을 기념하여 1720계 「DRC」를 사용한 단체 열차 「오미야 시민호」가 오미야역과 기누가와온센역·도부닛코역 사이를 운행하기도 했다. 또한, 쇼와 40년대에서 50년대(1965년~1984년경)에는 연선 초등학교의 수학여행 등을 위해 가시와역이나 노다시역에서 출발하는 단체 임시 열차 「타비지」가 운행되었으며, 때로는 5700계가 사용되기도 했다.

이 외에도 300형·350형, 6050계, 1800계 등이 임시 열차나 단체 열차로 노다선에 투입된 기록이 있다. 특히 1800계는 "노다선 개통 100주년 기념호"로 운행되기도 했다.

2017년 4월 21일부터는 500계 전동차가 특급 「어반 파크 라이너」로 운행을 시작했으나, 2024년 3월 16일 다이어 개정으로 운행이 중단되었다.[28][71]

노다선에서 과거에 운행했던 주요 차량들은 다음과 같다.

'''도부 철도'''

  • 1720계: 단체 열차 "오미야 시민호" 운행에 사용되었다.
  • 3000계·3050계·3070계: 1965년부터 1992년까지 운행되었다.[11][12]
  • 2080계: 6량 편성 2개 편성이 1988년 5월부터 1992년 11월까지 운행되었다.[12]
  • 5000계·5050계·5070계: 7800계를 개조한 차량으로, 1983년 3월부터 운행을 시작하여 5000계는 1994년 11월까지, 5070계 등은 2004년까지 운행되었다.[12][11]
  • 데하 1형: 소부 철도 합병 후인 1944년에 3량이 배치되었으나, 곧 다른 회사로 양도되었다. 마지막 남은 데하 5호(모하 1101)는 배급차 대용으로 1955년경까지 운용되었다.
  • 6300계·7300계: 1947년 운수성으로부터 국철 63계 할당 차량으로 배치되었다. 6300계는 약 3년간, 7300계로 개조된 후에는 1963년부터 약 1년간 운행되었다.[12]
  • 7800계·7820계: 1958년 2월부터 1969년까지 약 12년간 운행되었다.[12]
  • 5700계: 임시 급행 "키리후리"·"류오" 및 단체 열차 운행에 사용되었다.
  • 500계: 특급 "어반 파크 라이너"로 2017년 4월 21일부터 2024년 3월 15일까지 운행했다.
  • 300형·350형: 임시 특급 "키리후리" 및 단체 열차로 운행했다.
  • 6050계: 임시 열차 및 단체 열차로 운행했다.
  • 1800계: 임시 열차 및 단체 열차, "노다선 개통 100주년 기념호"로 운행했다.
  • ED5010형 전기 기관차
  • ED5060형 전기 기관차
  • ED4020형 전기 기관차


'''소부 철도''' (도부 철도 합병 이전)

  • 모하 1000형·쿠하 1200형: 1929년 일본 차량(Nippon Sharyo)에서 제작한 16m급 전동차이다.[12] 후에 도부 3000계로 개조되었으나, 일부는 다른 철도 회사로 양도되었다.
  • 코하 500형 객차
  • 데키 1호형 전기 기관차 (후의 도부 ED3000형)
  • 키하 101형 가솔린 기동차
  • 코펠사제 형식 3호 증기 기관차
  • 아메미야 제작소제 C형 탱크 4호·5호 증기 기관차
  • 아메미야 제작소제 C형 탱크 6호·7호 증기 기관차


'''호쿠소 철도''' (소부 철도로 사명 변경 이전)

  • 발칸사제 1B1형 증기 기관차 (No.1·2호)
  • 객차: 1924년 신조한 목제 보기차 3량, 1925년 양수한 목제 단차 1량, 1926년 철도성에서 불하받은 보기 객차 3량 등이 있었다.


'''지바현영 철도''' (호쿠소 철도에 인수되기 이전)

  • 1형 증기 기관차 (1·2): 구 철도성 1290형. 영국 매닝 워들사 제작.
  • 클라우스사제 C형 탱크식 증기 기관차
  • 객차: 목제 단차 8량을 보유했다.
  • 화차: 12량을 보유했다.


6. 역 목록

거리
(km)누계
거리
(km)구간
급행급행접속 노선선로소재지TD-01오미야大宮일본어-0.0●●JR 동일본: 도호쿠 신칸센야마가타 신칸센아키타 신칸센홋카이도 신칸센조에쓰 신칸센호쿠리쿠 신칸센・게이힌토호쿠선 (JK 47)・우쓰노미야선다카사키선우에노 도쿄 라인 (JU 07)・쇼난 신주쿠 라인 (JS 24)・사이쿄선 (JA 26)・가와고에선
사이타마 신도시 교통: 이나선 (뉴셔틀) (NS01)∥사이타마현사이타마시오미야구TD-02기타오미야역北大宮일본어1.2km1.2km||∥TD-03오미야코엔大宮公園일본어1km2.2km||∥TD-04오와다大和田일본어1.8km4km||∥미누마구TD-05나나사토七里일본어1.6km5.6km||∥TD-06이와쓰키역#岩槻일본어2.9km8.5km●●∥이와쓰키구TD-07히가시이와쓰키역東岩槻일본어2.4km10.9km||∥TD-08도요하루역豊春일본어1.3km12.2km||∥가스카베시TD-09야기사키역八木崎일본어1.9km14.1km||∥TD-10가스카베역#春日部일본어1.1km15.2km●●도부 철도: 이세사키선 (도부 스카이트리 라인) (TS-27)∨TD-11후지노우시지마藤の牛島일본어2.6km17.8km●●◇TD-12미나미사쿠라이南桜井일본어2.8km20.6km●●◇TD-13가와마역川間일본어2.3km22.9km●●◇지바현노다시TD-14나나코다이#七光台일본어2.2km25.1km●●◇TD-15시미즈코엔清水公園일본어1.5km26.6km●●◇TD-16아타고愛宕일본어1.1km27.7km●●◇TD-17노다시역#野田市일본어0.9km28.6km●●◇TD-18우메사토역梅郷일본어2.3km30.9km●●◇TD-19운가역#運河일본어2.3km33.2km●●∧나가레야마시TD-20에도가와다이역江戸川台일본어1.9km35.1km●|∥TD-21하쓰이시역初石일본어1.7km36.8km●|∥TD-22나가레야마오타카노모리流山おおたかの森일본어1.6km38.4km●●수도권 신도시 철도: 쓰쿠바 익스프레스 (TX12)∥TD-23도요시키역豊四季일본어1.3km39.7km●|∥가시와시TD-24가시와역#柏일본어3.2km42.9km●●JR 동일본: 조반선 (쾌속) (우에노 도쿄 라인) (JJ 07)・조반선 (각역정차) (JL 28)∥TD-25신카시와역新柏일본어2.9km45.8km●|∥TD-26마스오역増尾일본어1.3km47.1km●|∥TD-27사카사이逆井일본어0.9km48km●|∥TD-28다카야나기역#高柳일본어2.2km50.2km●●∥TD-29무쓰미六実일본어1.7km51.9km●|∥마쓰도시TD-30신카마가야역新鎌ヶ谷일본어1.4km53.3km●●신케이세이 전철: 신케이세이선 (SL11)
호쿠소 철도: 호쿠소선 (HS08)
게이세이 전철: 나리타 공항선 (나리타 스카이 액세스선) (HS08)∥가마가야시TD-31가마가야역鎌ヶ谷일본어1.9km55.2km●|∥TD-32마고메자와역馬込沢일본어2.5km57.7km●|∥후나바시시TD-33쓰카다역塚田일본어2.4km60.1km●|∥TD-34신후나바시역新船橋일본어1.2km61.3km●|∥TD-35후나바시역船橋일본어1.4km62.7km●●JR 동일본: 소부선 (쾌속) (JO 25)・소부선 (각역정차) (JB 31)
게이세이 전철: 본선 (게이세이후나바시역: KS22)∥



=== 대피 가능역 및 상하선 모두 출발 가능한 역 ===

과거 시미즈코엔역, 노다시역, 무쓰미역에도 대피선이 있었으나, 역 개량, 연속 입체 교차 사업, 다카야나기역으로의 기능 집약 등으로 인해 폐지되거나 구조가 변경되었다. 시미즈코엔역과 노다시역은 연속 입체 교차 사업 진행에 따라 승강장 구조가 변경되었으며, 노다시역은 사업 완료 후 2면 4선이 될 예정이다. 무쓰미역은 중선이 철거되어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으로 변경되었다.

=== 유치선 설치역 ===

과거 무쓰미역 동쪽에도 유치선 2선이 있었으나, 다카야나기역 유치선 신설 후 폐지되었다. 이와쓰키역, 히가시이와쓰키역, 마고메자와역에도 복선화 이전에 인상선이 있었으나, 복선화 과정에서 본선으로 전용되거나 철거되었다. 노다시역의 유치선은 연속 입체 교차 사업으로 철거되었으며, 사업 완료 후 보수 차량용 유치선 1선이 설치될 예정이다.

7. 향후 계획

'''차량 계획'''



'''타 노선과의 직통 운행 구상'''

'''역 시설 개량'''

'''신역 설치 요구'''

참조

[1] 웹사이트 Tobu ridership in 2010 http://www.train-med[...] 2012-05-28
[2] 서적 データブック日本の私鉄 Neko Publishing 2002-07
[3] 웹사이트 http://response.jp/a[...] IID, Inc. 2015-11-05
[4] 웹사이트 http://www.tobu.co.j[...] Tobu Railway 2012-11-06
[5] 웹사이트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13-06-16
[6] 웹사이트 http://rail.hobidas.[...] Neko Publishing 2013-03-05
[7] 웹사이트 http://www.tobu.co.j[...] Tobu Railway 2013-04-18
[8] 웹사이트 http://rail.hobidas.[...] Neko Publishing Co., Ltd. 2016-10-27
[9] 웹사이트 東武野田線に新形車両「80000系」を導入 https://railf.jp/new[...] Koyusha Co., Ltd. 2024-04-16
[10] 웹사이트 東武野田線“新車”導入で大変化! 残る古い車両はどうなる? 東武鉄道に聞く https://trafficnews.[...] 2024-04-17
[11] 서적 Neko Publishing Co., Ltd. 2002-07
[12] 간행물 Koyusha Co., Ltd. 2013-09
[13] 논문 Tetsudō Journal 2005-01
[14] 웹사이트 http://www.tobu.co.j[...] Tobu Railway 2012-02-09
[15] 웹사이트 http://www.tobu.co.j[...] Tobu Railway 2013-12-17
[16] 서적 データブック日本の私鉄 : 全国私鉄165社局掲載 ネコ・パブリッシング 2013-01
[17] 서적 東武鉄道のひみつ PHP研究所 2013-03
[18] 문서 米島駅(貨物駅)として1943年に開業
[19] 문서 常磐線の[[北柏駅]]とは別
[20] PDF 東武野田線の路線愛称名「東武アーバンパークライン」のロゴマークを制定しました https://web.archive.[...] 東武鉄道ニュースリリース 2013-02-13
[21] 웹사이트 地図・空中写真閲覧サービス - CKT7415-C12-65 https://mapps.gsi.go[...] 国土地理院
[22] 문서 『ちばの鉄道一世紀』p.214
[23] 문서 『ちばの鉄道一世紀』p.215より。
[24] 서적 地方鉄道及軌道一覧 "{{NDLDC|1184231/24}[...] 鉄道同志会 1944-03
[25] 웹사이트 東武鉄道 野田線 http://www.city.funa[...] 船橋市都市計画部都市計画課 交通政策室
[26] PDF 東武バスセントラル株式会社と東武バスイースト株式会社の合併について https://www.tobu-bus[...] 東武バスグループ 2021-07-01
[27] PDF 3月26日(土)に東武アーバンパークラインでダイヤ改正を実施 https://web.archive.[...] 東武鉄道 2016-02-09
[28] 뉴스 アーバンパークラインに近距離特急 東武、きょうから新ダイヤ 朝日新聞社 2017-04-21
[29] PDF 2020年3月東武アーバンパークラインで大幅なダイヤ改正を実施!ラッシュ時の柏〜船橋間を最大11分短縮します! http://www.tobu.co.j[...] 東武鉄道 2019-09-27
[30] PDF 東武アーバンパークライン、急行運転の開始や最終列車の繰り下げ等大幅なダイヤ改正を2020年3月14日に実施 http://www.tobu.co.j[...] 東武鉄道 2019-12-09
[31] 웹사이트 「軽便鉄道免許状下付」『官報』1910年9月14日 "{{NDLDC|2951523/6}}[...]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10-09-14
[32] 웹사이트 「軽便鉄道運輸開始」『官報』1911年5月17日 "{{NDLDC|2951725/6}}[...]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11-05-17
[33] 웹사이트 「鉄道免許状下付」『官報』1921年11月22日 "{{NDLDC|2954909/8}}[...]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21-11-22
[34] 웹사이트 「地方鉄道運輸営業継承」『官報』1923年8月10日 "{{NDLDC|2955432/4}}[...]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23-08-10
[35] 웹사이트 7月26日譲渡許可「鉄道譲渡」『官報』1923年7月28日 "{{NDLDC|2955422/7}}[...]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23-07-28
[36] 간행물 「地方鉄道運輸開始」『官報』1924年1月10日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24-01-10
[37] 간행물 「地方鉄道駅名改称」『官報』1924年4月5日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24-04-05
[38] 간행물 「鉄道免許状下付」『官報』1926年6月2日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26-06-02
[39] 간행물 「地方鉄道運輸開始」『官報』1929年9月7日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29-09-07
[40] 간행물 「地方鉄道運輸開始」『官報』1929年11月22日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29-11-22
[41] 간행물 「地方鉄道運輸開始」『官報』1929年12月16日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29-12-16
[42] 간행물 「地方鉄道運輸開始」『官報』1930年1月11日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30-01-11
[43] 서적 鉄道停車場一覧 https://dl.ndl.go.jp[...] 川口印刷所出版部 1935-03-27
[44] 간행물 「地方鉄道運輸開始」『官報』1930年10月6日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30-10-06
[45] 서적 日本鉄道旅行地図帳 신조사 2008-07
[46] 웹사이트 第一回 かしわ・その時「昭和8年7月20日〜柏競馬場駅ができた日〜」 http://www.city.kash[...] 柏市役所公式サイト
[47] 간행물 薄命な総武鉄道海神線を探る 電気車研究会 1990-01
[48] 간행물 薄命な総武鉄道海神線を探る 電気車研究会 1990-01
[49] 뉴스 初石-柏間の複線化が完成 東武野田線 交通協力会 1978-11-14
[50] 뉴스 きょう複線開業 東武野田線 馬込沢-塚田間 交通協力会 1982-11-10
[51] 뉴스 28日から野田線ダイヤ改正 交通新聞社 1989-11-21
[52] 뉴스 東武野田線も 交通新聞社 1991-11-01
[53] 웹사이트 11月25日、野田線でダイヤ改正を実施。新鎌ヶ谷駅が開業・鎌ヶ谷~馬込沢間複線化 https://web.archive.[...] 東武鉄道ニュースリリース・インターネットアーカイブ
[54] 뉴스 東武野田線 新鎌ケ谷駅が開業 私鉄3線乗り換え可能に 지바일보사 1999-11-26
[55] 간행물 鉄道記録帳 鉄道友の会 2005-01
[56] PDF 野田線でダイヤ改正を実施 東岩槻 - 春日部間・新鎌ヶ谷 - 鎌ヶ谷間の複線化が完成 複線化の延伸とスピードアップにより、利便性が大幅に向上いたします。大宮 - 柏間最大で14分短縮(朝ラッシュ時) https://web.archive.[...]
[57] PDF 「流山おおたかの森」駅8月24日開業 https://web.archive.[...]
[58] PDF 3月10日(土)野田線ダイヤ改正 https://web.archive.[...]
[59] PDF 東武野田線開通100周年記念イベントを実施! https://web.archive.[...]
[60] PDF 7月23日(土)から野田線のダイヤを変更します。 https://web.archive.[...]
[61] 웹사이트 「野田線開通100周年記念号」運転 http://railf.jp/news[...] 교우사 2011-12-05
[62] PDF 3月22日(土)より、野田線船橋駅ホームにて可動式ホーム柵の使用を開始します! https://web.archive.[...] 東武鉄道 2014-02-20
[63] 보도자료 2014年4月1日(火)より東武野田線に路線愛称名「東武アーバンパークライン」を導入します! http://www.tobu.co.j[...] 東武鉄道株式会社 2021-09-25
[64] PDF 4月26日(土)より 東武アーバンパークラインでコバトン&チーバくん ラッピングトレイン運行開始! https://web.archive.[...] 東武鉄道 2014-04-17
[65] 뉴스 東武柏駅:可動式のホーム柵、あすから使用開始 매일신문사 2015-02-06
[66] 웹사이트 「東武野田線、全線急行化のための線路切り替え工事を公開。柏〜船橋で最大11分、大宮〜船橋で最大16分短縮へ」 https://travel.watch[...] トラベル Watch 2019-12-16
[67] 뉴스 柏-船橋間が複線化 六実-逆井間の工事完了 https://mainichi.jp/[...] 2019-12-16
[68] PDF 2020年3月東武アーバンパークラインで大幅なダイヤ改正を実施!ラッシュ時の柏〜船橋間を最大11分短縮します! http://www.tobu.co.j[...] 東武鉄道 2019-09-27
[69] 보도자료 2020年6月6日(土)ダイヤ改正を実施!【特急列車・THライナー・SL大樹概要が決定】 https://www.tobu.co.[...] 東武鉄道 2020-02-27
[70] 보도자료 11か所の踏切を廃止し安全性が向上します 3月28日(日)から東武アーバンパークライン 清水公園〜梅郷間 高架区間の使用を開始します 〜愛宕駅新駅舎も同日より使用開始、2023年度の事業完成に向けて連続立体交差事業を推進します〜 https://www.tobu.co.[...] 東武鉄道 2021-02-22
[71] PDF 2017年4月21日(金)ダイヤ改正を実施! 東武スカイツリーライン・伊勢崎線・日光線・東武アーバンパークライン 【特急列車概要】 https://web.archive.[...] 東武鉄道 2017-01-18
[72] PDF 新型特急車両「500系」の車両愛称名が「Revaty(リバティ)」に決定しました! http://www.tobu.co.j[...] 東武鉄道 2016-10-27
[73] 웹사이트 東武野田線全線に急行、柏始発の特急も 2020年3月ダイヤ改正 https://response.jp/[...] イード 2019-09-27
[74] 웹사이트 왜?東武の異色特急「アーバンパークライナー」全て廃止のワケ 乗車率は関係なかった https://trafficnews.[...] メディア・ヴァーグ 2023-12-19
[75] PDF 8000系リバイバルカラー車両 イベント列車を運行します! https://web.archive.[...] 東武鉄道 2012-08-22
[76] PDF 8000系リバイバルカラー車両が、土休日に臨時列車として運行開始! https://web.archive.[...] 東武鉄道 2012-09-20
[77] PDF 10月27日(土) 展望車両634むさし型 「スカイツリートレイン」がデビュー! https://web.archive.[...] 東武鉄道 2012-09-27
[78] PDF 展望車両634型「スカイツリートレイン」が臨時特急列車として運行 https://web.archive.[...] 東武鉄道 2012-10-22
[79] PDF 展望列車で大宮から浅草・東京スカイツリータウンへ直行! 8月8日(土)から大宮発浅草行き臨時特急「スカイツリートレイン」増発! https://web.archive.[...] 東武鉄道 2015-07-27
[80] PDF 北陸新幹線の開業に合わせ、大宮発 東京スカイツリータウン®への直通臨時快速列車を運転します! https://web.archive.[...] 東武鉄道 2015-02-12
[81] PDF スカイツリートレイン 運転日&時刻表 https://web.archive.[...] 東武鉄道 2017-03
[82] 웹사이트 浅草駅から東武アーバンパークライン 清水公園駅方面に直通する運河駅行き臨時特急を初運転! http://www.tobu.co.j[...] 東武鉄道 2015-11-10
[83] 웹사이트 昨年に引き続き浅草駅から東武アーバンパークライン 清水公園方面に直通する運河行き臨時特急を列車運転します! http://www.tobu.co.j[...] 東武鉄道 2016-11-21
[84] 웹사이트 春日部市議会 平成20年 9月定例会-09月09日-06号 http://www.kasukabe-[...] 春日部市 2018-02-01
[85] 웹사이트 埼玉県議会 平成24年12月定例会 一般質問 質疑質問・答弁 http://www.pref.sait[...] 埼玉県 2018-02-01
[86] PDF 第95回簡易アンケート(交通政策課) 埼玉県の交通(鉄道・バス)について 自由意見 http://www.pref.sait[...] 埼玉県 2018-02-01
[87] 웹사이트 千葉県に東武野田線整備促進の要望書を提出(平成28年11月21日) http://www.city.noda[...] 千葉県野田市 2018-02-03
[88] 웹사이트 埼玉県に東武野田線整備促進の要望書を提出(平成29年1月10日) http://www.city.noda[...] 千葉県野田市 2018-02-03
[89] 웹사이트 東武鉄道株式会社に東武野田線整備促進の要望書を提出(平成29年1月30日) http://www.city.noda[...] 千葉県野田市 2018-02-03
[90] PDF 第4回大宮グランドセントラルステーション推進会議 http://www.city.sait[...] 埼玉県さいたま市 2018-02-03
[91] 서적 鉄道ピクトリアル 鉄道ピクトリアルアーカイブスセレクション27 東武鉄道1970~80 1972-03
[92] 웹사이트 都市交通審議会の中間答申について https://www.digital.[...] 1968-04-10
[93] 문서 8111F는 동부 박물관 보유이며, 오랫동안 동태 보존 차량이었지만, 2023년 10월에 노다선에 전속되어 같은 해 11월에 정기 운용에 복귀했다.
[94] PDF 「10000系車両 野田線デビュー記念乗車券」を4月20日(土)より発売します! https://web.archive.[...] 東武鉄道ニュースリリース 2013-04-18
[95] PDF 2012年度の鉄道事業投資計画 https://web.archive.[...] 東武鉄道ニュースリリース 2012-04-26
[96] PDF 野田線(大宮〜船橋間)に新型車両「60000系」を導入します! https://web.archive.[...] 東武鉄道ニュースリリース 2012-11-06
[97] PDF 野田線新型車両60000系デビューイベント開催 https://web.archive.[...] 東武鉄道ニュースリリース 2013-05-08
[98] PDF 「60000系車両野田線就役記念乗車券」を6月9日(日)より限定販売します! https://web.archive.[...] 東武鉄道ニュースリリース 2013-06-03
[99] PDF 2013年度の鉄道事業設備投資計画 https://web.archive.[...] 東武鉄道ニュースリリース 2013-04-25
[100] PDF 2014年度の鉄道事業設備投資計画について http://www.tobu.co.j[...] 東武鉄道ニュースリリース 2014-04-30
[101] PDF 2015年度の鉄道事業設備投資計画について http://www.tobu.co.j[...] 東武鉄道ニュースリリース 2015-04-30
[102] 보고서 最混雑区間における混雑率(令和5年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4-08-02
[103] 웹사이트 構内マップ 船橋駅 http://railway.tobu.[...] 東武鉄道
[104] 웹사이트 構内マップ 大宮駅 http://railway.tobu.[...] 東武鉄道
[105] 간행물 都市交通年報
[106] 웹사이트 公共交通関係データ集 https://www.pref.sai[...]
[107] 웹사이트 民鉄線ラッシュ時1時間当たりの旅客輸送状況(令和4年度) https://www.pref.sai[...] 埼玉県 2024-07-28
[108] 웹사이트 資料1(路線整備の意義・必要性等の整理) https://www.pref.sai[...] 埼玉県 2011-07-29
[109] 웹사이트 2023年10月28日(土)、23時30分頃〜終列車までの間 東武アーバンパークラインの七光台駅〜野田市駅間を運休します https://www.tobu.co.[...] 東武鉄道 2023-11-03
[110] 웹사이트 清水公園駅 構内マップ| https://www.tobu.co.[...] 東武鉄道 2023-11-03
[111] 웹사이트 清水公園駅 構内マップ| https://www.tobu.co.[...] 東武鉄道 2023-11-03
[112] 웹사이트 東武野田線の清水公園〜梅郷間が3月28日高架化、着工から12年 https://www.tetsudo.[...] 朝日インタラクティブ 2021-03-29
[113] PDF 東武グループ長期経営構想・東武グループ中期経営計画2017〜2020 http://www.tobu.co.j[...] 東武鉄道 2017-05-12
[114] 웹사이트 春日部駅付近連続立体交差事業に関する都市計画が決定されました http://www.city.kasu[...] 春日部市鉄道高架整備課 2019-03-28
[115] 뉴스 埼玉県/東武春日部駅連立事業/17年度に国と設計協議、4面8線に拡充 2017-03-07
[116] 웹사이트 東武鉄道 第199期 有価証券報告書 http://www.tobu.co.j[...] 東武鉄道 2019-06-30
[117] 웹사이트 常盤台駅(仮称)誘致促進協議会 http://blogs.yahoo.c[...]
[118] 웹사이트 第14回 塚田地区市政懇談会議事録 https://www.city.fun[...] 船橋市 2021-09-25
[119] PDF 船橋市都市計画マスタープラン(改訂版) 第3章 地域別構想 法典地域(現況と課題) https://www.city.fun[...] 船橋市都市計画部都市計画課
[120] 웹사이트 2018年度の鉄道事業設備投資計画 https://www.tobu.co.[...] 東武鉄道 2021-02-17
[121] 간행물 鉄道駅バリアフリー料金制度を活用し、駅設備のバリアフリー化を促進します https://www.tobu.co.[...] 東武鉄道 2022-10-22
[122] PDF 大宮駅GCS構想 https://www.city.sai[...] さいたま市 2020-07
[123] 웹사이트 2025年から東武アーバンパークラインに5両編成の新型車両80000系を導入します https://www.tobu.co.[...] 東武鉄道株式会社 2024-05-16
[124] 웹사이트 東武アーバンパークラインに5両編成の新型車両を導入します https://www.tobu.co.[...] 東武鉄道株式会社 2022-04-29
[125] 웹사이트 東武鉄道「ソライエ清水公園アーバンパークタウン」街びらき https://www.re-port.[...] 最新不動産ニュースサイト「R.E.port」 2021-09-25
[126] 웹사이트 名が体を表していない?「残念な路線名」10選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新報社 2021-09-25
[127] 웹사이트 野田線新名称「アーバンパークライン」肯定派たった3%...幼児「アンパンパンチライン?」 https://j-town.net/2[...] Jタウンネット 2021-09-25
[128] 뉴스 野田線の愛称「アーバンパークライン」浸透せず 東武、ネット調査 https://www.nikkei.c[...] 2021-09-25
[129] 웹사이트 野田線「アーバンパークライン」やはり浸透せず 愛称導入から6年、路線の実力は高まったが…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新報社 2021-09-25
[130] 웹사이트 アーバンパークライン「改称」は定着したのか 鉄道路線の愛称、浸透しないケースも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新報社 2021-09-25
[131] Youtube 第1話 「東武アーバンパークラインはなぜスイッチバックしてるの?」 これってナンダイ!?市立柏研Q所 https://www.youtube.[...] The City of Kashiwa PR 2023-11-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