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계 종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도계 종교는 인도 아대륙에서 발생하여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으며,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시크교 등을 포함한다. 초기 종교는 토착 애니미즘에서 시작하여 빔베트카 암석화와 같은 유물을 통해 선사 시대 종교의 흔적을 찾을 수 있다. 인더스 문명 시기에는 종교적 관습의 전조가 나타났으며, 베다 시대에 이르러 힌두교의 기반이 되는 베다 종교가 형성되었다. 이후 스라마나 시대를 거치며 불교와 자이나교가 등장했고, 서사시 및 초기 푸라나 시대에는 힌두교의 주요 서사시와 다양한 신앙 형태가 발전했다. 중세 시대에는 여러 왕국들의 흥망성쇠 속에서 종교의 지역화가 진행되었고, 델리 술탄국의 침략으로 이슬람 문화와 융합되기도 했다. 인도계 종교들은 아스티카와 나스티카로 분류되며, 각 종교는 다르마, 윤회, 해탈 등의 개념을 공유하며 상호 영향을 주고받았다. 힌두교는 인도에서 가장 많은 신자를 가진 종교이며, 불교, 자이나교, 시크교 등도 인도 사회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인도 종교의 역사는 기원전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다양한 종교 전통이 복잡하게 얽혀 발전해왔다.
인도에서 기원한 주요 종교는 다음과 같다.
2. 인도 종교의 역사
스코틀랜드 역사학자 제임스 밀은 ''대영 제국 인도사''(1817)에서 인도 역사를 힌두교 시대, 이슬람 시대, 영국 시대로 구분했다. 그러나 이러한 구분은 오해를 불러일으킨다는 비판을 받았다. "고대, 고전, 중세, 근대"로 나누는 방식도 비판을 받았다.[15]
로밀라 타파르는 힌두교-이슬람교-영국 시대로 구분하는 것이 "지배 왕조와 외세 침략"에 지나치게 비중을 두고, 사회 경제적 역사의 연속성을 간과한다고 지적한다. 고대-중세-근대로 구분하는 것은 이슬람교 정복이 8세기에서 14세기에 걸쳐 일어났고, 남부는 완전히 정복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간과한다. 타파르는 시대 구분이 지배 권력 변화와 직접 관련 없는 "중대한 사회적, 경제적 변화"에 기초할 수 있다고 본다.[15]
스마트와 미카엘스는 밀의 시대 구분을 따르고, 플러드와 뮤스는 "고대, 고전, 중세, 근대" 시대 구분을 따른다. 상세한 시대 구분은 다음과 같다.[15]
인도 자이나교의 역사적 기원은 파르스바나타와 그의 비폭력 철학이 시작된 기원전 9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2. 1. 선사 시대 및 인더스 문명 (기원전 1750년 이전)
인도 아대륙, 인더스 문명과 갠지스강 유역을 포함한 지역의 초기 종교는 선교 활동이 없는 지역 애니미즘이었을 가능성이 높다.[9]
인도 아대륙의 선사 시대 종교를 증명하는 증거는 빔베트카와 같이 춤과 의식을 묘사한 산재된 중석기 시대의 암석화에서 비롯된다. 신석기 시대의 농업인들이 인더스강 유역에 거주하며 사후 세계에 대한 개념과 마법에 대한 믿음을 포함하는 영적 관행을 암시하는 방식으로 죽은 자를 매장했다. 마드야 프라데시 중부의 빔베트카 암석 쉼터와 카르나타카 동부의 쿠프갈 암각화와 같은 다른 남아시아 석기 시대 유적지에는 종교 의식을 묘사한 암석 예술과 의례적인 음악의 증거가 포함되어 있다.[10]
2. 2. 베다 시대 (기원전 1750년 ~ 기원전 500년)
인도 종교의 기록된 역사는 초기 인도아리아인들의 종교적 관습인 역사적 베다 종교에서 시작된다. 이 관습들은 고대 베다 산스크리트어로 쓰여진 찬가 또는 만트라의 네 가지 정경 모음인 ''삼히타''(일반적으로 베다라고 함)로 수집되었고, 나중에 개정되었다. 이 텍스트들은 힌두교의 중심 ''슈루티''(계시) 텍스트이다. 이 텍스트들의 작성, 개정 및 주석 기간은 대략 기원전 1750년부터 500년까지 지속된 베다 시대로 알려져 있다.[15]
베다 시대는 네 개의 베다, 브라마나, 그리고 더 오래된 우파니샤드(네 개의 베다에서 발견된 의식, 만트라 및 개념에 대한 논의)를 작성하는 데 가장 중요하며, 오늘날 힌두교의 가장 중요한 정경 텍스트 중 일부이며, 힌두교의 핵심 신념으로 발전한 많은 것들을 체계화한 것이다.[15]
일부 현대 힌두 학자들은 "베다 종교"를 "힌두교"와 동의어로 사용한다.[16] 순다라라잔에 따르면, 힌두교는 또한 베다 종교로 알려져 있다.[17] 다른 저자들은 베다가 "힌두 다르마에 대한 근본적인 진실"을 담고 있다고 말하며 이를 "고대 베다 다르마의 현대 버전"이라고 부른다.[19] 아리아 사마지는 베다 종교를 진정한 힌두교로 인정한다.[20]
2. 3. 스라마나 시대 (기원전 800년 ~ 기원전 200년)
베다의 권위에 도전하는 스라마나 전통이 등장했다. 스라마나는 출가 수행을 통해 개인의 해탈을 추구하는 종교 운동이었다. 스라마나 전통에서 자이나교와 불교가 발전했다. 이들은 카스트 제도를 부정하고, 윤회와 해탈을 강조했다. 기원전 6세기경, 자이나교의 마하비라와 불교의 고타마 붓다가 등장하여 각 종교를 확립했다.[11] 이 시기에 드라비다 문화와 인도-아리아 문화의 융합이 일어나면서, 힌두교의 초기 형태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마우리아 제국 시대에 자이나교와 불교는 인도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불교는 기원전 3세기에 불교 가르침을 후원하고 인도 아대륙을 통일한 마우리아 제국의 아소카 왕 통치 기간에 번성했다. 그는 해외로 선교사를 파견하여 불교가 아시아 전역으로 퍼져나가게 했다.[47]
기원전 5세기경, 북인도의 거의 같은 지역에서 불교나 자이나교를 비롯한 안티-브라만 신종교가 몇 개 탄생했지만,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것은 그 중 불교와 자이나교뿐이다.
브라만의 권위에 대항하는 불교는 브라만교의 기본 중 하나인 카스트 제도를 부정했다. 즉, 사제 계급 브라만(브라만)의 우월성도 부정했다. 그러나 고타마 붓다의 사후에 브라만 자신이 불교의 사제로 행동하는 등, 브라만교가 불교를 흡수하여 브라만의 특수한 지위를 재확보하려는 정치적 움직임도 있었다.
또한, 고타마 붓다는 유일신의 존재를 자신의 종교의 일부로 인정하지 않았다. 다만 고타마 붓다의 사후, 브라만교의 신이 불법 수호신이나 권속으로 흡수되어 갔다. 따라서 불교는 브라만교에 대항하여 발전했지만, 민중들 사이에 퍼져나가면서 브라만교의 신들을 흡수해 갔다.
또 다른 안티-브라만인 자이나교의 개조 마하비라는 그 이전에 23명의 티르탕카라 (조사)가 있었고, 24조로 여겨졌다. 티르탕카라 자신은 베다의 종교의 일부였던 것으로 보인다. 마하비라가 24번째 티르탕카라의 환생으로 인정된 후에 자이나는 브라만교로부터 독립했다고 하는 설도 있다. 또한, 마하비라와 고타마 붓다는 동시대, 동지역에 살았고, 자이나교의 전설에서는 고타마 붓다 자신도 24번째 마지막 티르탕카라가 되기를 원했고, 마하비라에게 졌다고 한다.
2. 4. 서사시 및 초기 푸라나 시대 (기원전 200년 ~ 서기 500년)
마하바라타와 라마야나는 이 시기에 쓰인 힌두교의 중요한 서사시이다.[75] 특정 신에 대한 헌신을 담은 텍스트도 많이 만들어졌는데, 예를 들어 ''가나파티 푸라나''는 가네샤에 대한 헌신을 위해 쓰였다. 이 시기에는 시바, 비슈누, 두르가, 수르야, 스칸다, 가네샤와 같은 신들이 인기가 많았다.
후기 베단타 시대에는 우파니샤드를 요약하거나 추가한 푸라나라는 텍스트들이 만들어졌다. 푸라나는 신화적이고 신성한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인간과 비슷한 특성을 가진 신과 여신들의 전설과 서사시가 포함되어 있다.
서기 2세기경 베단타 시대가 끝나면서 베단타 철학을 발전시킨 여러 분파가 생겨났고, 이들은 요가, 드바이타, 아드바이타 등 자체적인 신학 학파가 되었다. 중세 시대에는 바크티 운동이 일어났다.
스므리티sa 텍스트들은 베다의 권위를 중요하게 여겼으며, 베다를 거부하지 않는 것이 힌두교를 정의하는 중요한 기준 중 하나였다.[75] 6개의 힌두교 철학 학파 중, 미맘사와 베단타는 베다 슈루티sa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스므리티sa에 기반한 스마르타sa 정통 사상의 흐름을 발전시켰다.[75] ''바가바드 기타''는 이러한 통합의 중요한 결과물이며, 시바와 비슈누를 상호 보완적이고 존재론적으로 동일한 존재로 본다.[75]
탄트라 전통은 서기 초기에 시작되어 굽타 제국 말기에 완전히 정립되었다. 굽타 제국 시대(서기 320~550년)와 하르샤 제국 멸망(서기 606~647년)까지는 "힌두교의 황금기"였다.[75] 이 시기에는 권력이 중앙에 집중되고, 무역이 발달했으며, 법적 절차가 표준화되고, 문해력이 확산되었다. 대승 불교가 번성했지만, 굽타 왕조의 후원으로 정통 브라만 문화가 다시 활성화되기 시작했다. 브라만들의 지위가 강화되었고, 굽타 시대 말기에 최초의 힌두 사원이 등장했다.[75]
2. 5. 중세 및 후기 푸라나 시대 (서기 500년 ~ 1500년)
굽타 제국과 하르샤 제국의 붕괴 이후, 인도는 여러 왕국으로 분열되었다. 이들 왕국은 봉건 제도를 통해 통치되었으며, 작은 왕국들은 더 큰 왕국에 의존하는 형태였다. 이러한 중앙 권력의 약화는 종교적인 면에서도 지역화와 경쟁을 촉진시켰다.[89] 시바교, 비슈누교, 박티 등 다양한 종교 운동이 일어났고, 이들은 지역 군주들의 인정을 받기 위해 경쟁했다.[89]
12세기와 13세기에는 튀르크족과 아프가니스탄인들이 북인도를 침략하여 델리 술탄국을 세웠다.[89] 델리 술탄국의 맘루크 술탄국은 북인도의 넓은 지역을 정복했고, 할지 왕조는 중앙 인도 대부분을 정복했지만, 인도 아대륙 전체를 통일하지는 못했다. 델리 술탄국 시대는 인도 문화의 부흥을 가져왔고, "인도-무슬림" 문화 융합은 건축, 음악, 문학, 종교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개빈 플러드에 따르면, 인도 근대 시대는 1500년경 서양과의 접촉과 함께 시작되었다.[90] 무굴 제국 시대에는 새로운 형태의 종교가 등장했다.[90]
3. 주요 종교
종교 설명 브라만교 힌두교의 전신으로, 사제 계급인 브라만을 중시했다. 4세기경 민간 신앙을 흡수하여 힌두교로 발전하면서 소멸했다. 힌두교 인도 공화국의 최대 종교이다. 다양한 신앙과 철학을 포괄하며, 다신교, 범신론, 일신교, 무신론 등 다양한 신관을 허용한다. 불교 고타마 붓다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 기원전 4세기경 근본 분열로 상좌부와 대중부로 분열되었다. 인도 국내에서는 소멸했으나, 현대에 반 카스트 운동으로 부활했다. 자이나교 바르다마나가 창시한 종교로, 비폭력을 강조한다. 현재도 인도에 많은 신도를 가지고 있다. 차르바카 아지타 케사캄발린이 창시한 유물론적 종교로, 15세기경 소멸했다. 아지비카교 마칼리 고살라가 창시한 종교로, 13세기 이후 자이나교에 흡수되어 소멸했다. 시크교 구루 나나크가 16세기에 창시한 종교로, 유일신 사상을 믿는다. 아이야바리 Ayya Vaikundar영어가 19세기에 창시한 종교로, 남인도 타밀인을 중심으로 많은 신자를 가지고 있다. 탄트라 라지푸트 시대 전기(7세기 전후)에 흥륭한 종교적·사상적 조류로, 힌두교와 불교에 영향을 미쳤다.
인도 자이나교의 역사적 기원은 파르스바나타와 그의 비폭력 철학이 시작된 기원전 9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12] 중기 베다 시대에는 야주르베다의 만트라와 브라만 텍스트가 만들어졌고, 브라만들은 강력한 중개자가 되었다.
3. 1. 브라만교
브라만교는 사제 계급인 브라만(brāhmaṇasa)을 특별하게 여겨 신과 동등하게 존경한다. 브라만은 우주의 근본 원리인 브라만과 같다고 여겨지며, 생제(生祭) 등의 의식을 행할 수 있는 것은 브라만뿐이라고 생각한다.[24]
1세기부터 3세기에 걸쳐 불교에 밀려 쇠퇴한 브라만교는 4세기경 인도의 각 민족 종교를 흡수하여 힌두교로 발전한다. 이 과정에서 주신이 시바, 비슈누로 변화하는데, 브라만교나 베다에서 시바나 비슈누는 부수적인 역할만 했었다. 시바는 별명을 1000개나 가지며, 비슈누는 10개의 화신을 가지는 등 민족 종교를 흡수한 흔적이 보인다.[24]
3. 2. 힌두교
인도 공화국의 최대 종교이다.[1] 인도에서 가장 많은 신자를 가진 종교로, 다양한 신앙과 철학을 포괄한다. 다신교, 범신론, 일신교, 무신론 등 다양한 신관을 허용한다. 윤회와 해탈을 믿으며, 카르마와 다르마를 중시한다.
인더스 문명 사람들의 종교와 신념 체계는, 특히 이 지역에서 나중에 발전한 인도 종교의 신과 종교적 관습의 전조를 식별하는 관점에서 상당한 주목을 받아왔다. 그러나 증거가 부족하여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고, 인더스 문자가 여전히 해독되지 않았기 때문에 결론은 부분적으로 추측에 근거하며, 훨씬 후대의 힌두교 관점에서 소급적으로 이루어졌다.[2] 이 지역에서 하라파 유적의 고고학적 증거에 대한 힌두교적 해석의 경향을 설정한 초기이자 영향력 있는 연구는 존 마셜의 것이었는데, 그는 1931년에 인더스 종교의 주요 특징으로 다음과 같은 것을 식별했다.
마셜의 해석은 수십 년 동안 많은 논쟁의 대상이 되었고, 때로는 이의가 제기되었다.[3][4]
인더스 계곡의 인장 하나는 뿔이 달린 머리 장식을 한 인물이 앉아 있고, 그 주변에 동물들이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마셜은 이 인물을 힌두교 신 시바(또는 루드라)의 초기 형태로 식별했는데, 그는 금욕주의, 요가, 링가와 연관되어 있으며, 동물의 주인으로 여겨지며, 종종 세 개의 눈을 가진 것으로 묘사된다. 따라서 그 인장은 시바의 별칭인 ''파슈파티''(모든 동물의 주)를 따서 파슈파티 인장으로 알려지게 되었다.[3][4] 마셜의 연구는 어느 정도 지지를 받았지만, 많은 비평가들과 심지어 지지자들조차 몇 가지 반론을 제기했다. 도리스 스리니바산은 그 인물이 세 개의 얼굴이나 요가 자세를 하고 있지 않으며, 베다 문학에서 루드라는 야생 동물의 보호자가 아니라고 주장했다.[5][6] 허버트 설리번과 알프 힐테베이텔 또한 마셜의 결론을 거부했는데, 전자는 그 인물이 여성이라고 주장했고, 후자는 그 인물을 버팔로 신인 ''마히샤''와 연관시켰으며, 주변의 동물들은 네 개의 기본 방향에 대한 신들의 바하나(탈것)과 연관시켰다.[7][8] 2002년에 그레고리 L. 포스헬은 그 인물을 신으로 인정하는 것은 적절하지만, 물소와 연관시키고, 의례적 규율의 자세를 취하는 것은 너무 나아가는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4] 마셜이 그 인장을 원시 시바 아이콘과 연관시킨 것에 대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자이나교도들은 티르탄카라 리샤바로, 빌라스 상가베[11]는 초기 부처로 해석했다.[9] 하인리히 짐머, 토머스 맥에빌리와 같은 역사가들은 최초의 자이나교 티르탄카라 리샤바와 인더스 계곡 문명 사이에 어떤 연관성이 존재한다는 의견을 가지고 있다.[12][10]
마셜은 여러 여성 조각상을 발굴하여 여신 숭배가 존재한다는 가설을 세웠으며, 이것이 샤크티교의 힌두교 분파의 전조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인더스 계곡 사람들의 삶에서 여성 조각상의 기능은 불분명하며, 포스헬은 마셜의 가설에 대한 증거를 "매우 강력한" 것으로 간주하지 않는다.[10] 마셜이 신성한 남근 표현으로 해석한 몇몇 베이틸들은 이제 대신 절구나 게임 계수로 사용된 것으로 생각되며, ''요니''를 상징한다고 생각했던 고리 모양의 돌들은 기둥을 세우는 데 사용된 건축적 특징으로 결정되었지만, 그들의 종교적 상징성의 가능성은 제거할 수 없다.[11]
많은 인더스 계곡 인장들은 동물을 보여주며, 일부는 행렬에 실려 있는 모습을, 다른 일부는 키메라적 창조물을 묘사한다.[13] 모헨조다로에서 발견된 한 인장은 반인반수 괴물이 호랑이를 공격하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이는 여신 아루루가 길가메시와 싸우기 위해 만든 그러한 괴물에 대한 수메르 신화의 언급일 수 있다.[12] 일부 인장들은 두 개의 뿔이 달린 모자를 쓰고 동물들에 둘러싸여 왕좌에 앉아 있는 식물을 가진 남자를 보여준다.[14] 일부 학자들은 이것이 일부 수메르 신들과 왕들이 착용한 모자를 쓴 시바의 전신이라고 이론화한다.[14]
동시대의 고대 이집트와 고대 근동 문명과는 대조적으로, 인더스 계곡에는 기념비적인 궁전이 없지만, 발굴된 도시들은 그 사회가 필요한 엔지니어링 지식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13][14] 이것은 종교 의식이 있다면 주로 개인의 집, 작은 사원 또는 야외에 국한되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셜과 후대의 학자들은 여러 장소를 종교적 목적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제안했지만, 현재는 모헨조다로의 대욕장만이 의례적 정화 장소로 널리 사용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10][15] 하라파 문명의 장례 관행은 앙와위 매장, 시체를 요소에 노출시켜 골격 잔해로 줄인 후 최종 매장하는 분골 매장, 심지어 화장 등 다양성으로 특징지어진다.[16][17]
인도 종교의 기록된 역사는 초기 인도아리아인들의 종교적 관습인 역사적 베다 종교로 시작되며, 이 관습들은 고대 베다 산스크리트어로 작곡된 찬가 또는 만트라의 네 가지 정경 모음인 ''삼히타'' (일반적으로 베다로 알려짐)로 수집되고 나중에 개정되었다. 이 텍스트는 힌두교의 중심 ''슈루티''(계시) 텍스트이다. 이 텍스트의 작곡, 개정 및 주석의 기간은 대략 기원전 1750년부터 500년까지 지속된 베다 시대로 알려져 있다.[18]
베다 시대는 네 개의 베다, 브라만, 그리고 더 오래된 우파니샤드(네 개의 베다에서 발견된 의식, 만트라 및 개념에 대한 논의로 제시됨)를 작곡하는 데 가장 중요하며, 오늘날 힌두교의 가장 중요한 정경 텍스트 중 일부이며, 힌두교의 핵심 신념으로 발전한 많은 것들을 체계화한 것이다.[15]
일부 현대 힌두 학자들은 "베다 종교"를 "힌두교"와 동의어로 사용한다.[16] 순다라라잔에 따르면, 힌두교는 또한 베다 종교로 알려져 있다.[17] 다른 저자들은 베다가 "힌두 다르마에 대한 근본적인 진실"을 담고 있다고 말하며[19] 이를 "고대 베다 다르마의 현대 버전"이라고 부른다.[19] 아리아 사마지는 베다 종교를 진정한 힌두교로 인정한다.[20]
리쉬, 즉 리그베다 찬가를 작곡한 이들은 영감을 받은 시인이자 예언자로 여겨졌다. 숭배 방식은 야지나를 수행하는 것이었는데, 야지나에는 화재 속에서 하바나 사마그리(약초 제제)를 희생하고 승화시키는 과정이 포함되었으며,[21] 사만을 노래하고 제사 만트라인 야주스를 '중얼거리는' 행위가 수반되었다. 야지나라는 단어의 숭고한 의미는 산스크리트어 동사 yaj에서 파생되었는데, 이는 신들을 숭배(devapujana), 단결(saògatikaraña), 자선(dána)의 세 가지 의미를 지닌다.[22] 필수적인 요소는 희생의 불 – 신성한 아그니 – 이었고, 불에 바쳐진 모든 것은 신에게 도달한다고 믿어졌다.
베다의 중심 개념은 사티야와 르타이다. ''사티야''는 동사 어근 ''as'', 즉 "존재하다, 실존하다, 살다"의 현재 분사형인 Sat에서 파생되었다.[23] ''Sat''는 "실제로 존재하는 것 [...] 진정으로 존재하는 진실; 선"을 의미하며,[23] ''Sat-ya''는 "존재함"을 의미한다.[24] ''르타'', 즉 "적절하게 결합된 것; 질서, 규칙; 진실"은 우주와 그 안의 모든 것의 작동을 규제하고 조정하는 자연 질서의 원리이다.[25] "사티야(존재로서의 진실)와 리타(법으로서의 진실)는 현실의 주요 원리이며, 그 나타남은 다르마의 규범, 즉 의로운 삶의 배경이다."[26] "사티야는 절대에 뿌리를 둔 통합의 원리이고, 리타는 우주에서 작용하는 규칙과 질서로서의 적용과 기능이다."[27] Ṛ타에 순응하면 진보할 수 있지만, 이를 위반하면 벌을 받게 된다.
르타라는 용어는 원형 인도-이란 종교, 즉 초기 베다(인도-아리아)와 조로아스터교 (이란) 경전 이전의 인도-이란 민족의 종교에서 유래되었다. 아베스타어 용어인 "아샤"는 조로아스터교 신학과 교리에 매우 중요한 개념에 해당하며(베다어 ṛta에 해당).[23] "다르마"라는 용어는 이미 브라만교 사상에서 사용되었으며, 그곳에서 리타의 한 측면으로 간주되었다.[29]
이 시대의 주요 철학자로는 리쉬 나라야나, 칸바, 리샤바, 바마데바, 앙기라스 등이 있었다.[24]
중기 베다 시대 동안, 야주르베다의 만트라와 더 오래된 브라만 텍스트가 만들어졌다. 브라만들은 강력한 중개자가 되었다.
인도 자이나교의 역사적 기원은 파르스바나타의 등장과 그의 비폭력 철학이 시작된 기원전 9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베다 종교는 힌두교로 발전했으며, 베다의 '본질'로 간주하며 베다의 신들을 이슈바라와 브라만의 형태로 내재적이고 초월적인 '신'(브라만)으로 보는 종교적 길인 베단타로 발전했다. 우파니샤드와 서사시 (라마야나와 마하바라타)와 같은 후기 베다 시대의 사상 체계는 현대 힌두교의 주요 구성 요소이다. 베다 종교의 의례적 전통은 보수적인 슈라우타 전통에 보존되어 있다.
베다 시대 이후로 "아대륙 전역의 사회 여러 계층의 사람들이 브라만교 규범에 맞춰 종교적, 사회적 삶을 적응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이는 때때로 산스크리트화라고 불린다.[25] 이는 지역 신들을 산스크리트 텍스트의 신들과 동일시하는 경향에서 나타난다.[25]
초기 드라비다 종교는 베다 형태가 아닌 힌두교로 구성되었으며, 역사적으로 또는 현재 아가마이다. 아가마는 베다에서 유래하지 않았으며[49] 베다 이후의 텍스트로[50] 또는 베다 이전의 구전으로 추정된다.[51] 아가마는 타밀어와 후기 산스크리트어 경전 모음으로, 주로 사원 건축 방법, ''무르티'' 창조, 신 숭배 수단, 철학적 교리, 명상 수행, 육욕 달성, 네 종류의 요가 등으로 구성된다.[52] 힌두교에서 수호신, 신성한 동식물 숭배 또한 베다 이전 드라비다 종교의 생존으로 인식된다.[53]
고대 타밀 문법 작품 톨카피얌, 10개의 시집 파투파투, 8개의 시집 에투토카이 또한 고대 드라비다인의 초기 종교에 대한 빛을 비춘다. ''세욘]''은 "푸른 공작 위에 앉아 항상 젊고 빛나는 붉은 신"으로, "타밀인의 총애를 받는 신"으로 묘사되었다.[54]
3. 3. 불교
불교는 고타마 붓다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 사성제와 팔정도를 통해 해탈을 추구한다.[47] 인도에서 발생했지만, 현재는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널리 퍼져있다. 한국에는 삼국시대에 전래되어 한국인의 정신세계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기원전 5세기경, 북인도에서는 브라만교에 대항하는 새로운 종교들이 등장했는데, 불교도 그 중 하나였다. 불교는 브라만교의 카스트 제도를 부정하고, 사제 계급인 브라만의 우월성도 인정하지 않았다. 그러나 고타마 붓다 사후에는 브라만교가 불교를 흡수하려는 움직임도 있었다.
고타마 붓다는 유일신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았지만, 그의 사후 브라만교의 신들이 불교에 흡수되기도 했다. 불교는 브라만교에 대항하며 발전했지만, 민중 속에 퍼지면서 브라만교의 요소들을 흡수해 나갔다.
마우리아 제국의 아소카 왕은 불교를 후원하여 인도 아대륙을 통일하고, 해외로 선교사를 파견하여 불교가 아시아 전역으로 퍼져나가게 했다. 불교는 12세기까지 인도의 일부 지역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유지했다.
굽타 제국은 불교를 후원하기도 했다. 불교는 브라만교 정통성에 대한 대안을 지속적으로 제공했다. 비슈누를 숭배했던 굽타 제국, 팔라 제국, 찰루키아 왕조, 소마밤시 왕조, 사타바하나 왕조와 같은 몇몇 불교 왕들이 있었다.[79] 불교는 힌두교도들에 의해 살아남았다.[80]
인도 대법원은 사법적 재확인에서 시크교와 자이나교를 더 큰 힌두교 집단 내의 하위 종파 또는 "특별" 신앙으로 간주했으며,[102] 자이나교는 힌두교 집단 내의 종파라고 언급했다.[102]
3. 4. 자이나교
마하비라를 중심으로 발전한 종교로, 비폭력과 고행을 강조한다. 엄격한 계율을 지키며, 윤회로부터의 해탈을 추구한다. 현재도 인도에서 소수 종교로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11]
인도 자이나교의 역사적 기원은 파르스바나타의 등장과 그의 비폭력 철학이 시작된 기원전 9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학자들은 파르스바가 23번째 자이나교 티르탕카라로 기원전 9세기에 살았다고 믿는다.[12]
자이나교는 기원전 2세기에 칼링가의 카라벨라 황제가 종교를 크게 후원하면서 황금기를 맞이했다. 그의 통치는 자이나교가 수세기 동안 번성했고, 그 이후에도 계속 발전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종교의 성장과 영향력의 시기로 여겨진다.[48]
기원전 5세기경, 북인도의 거의 같은 지역에서 불교나 자이나교를 비롯한 안티-브라만 신종교가 몇 개 탄생했지만,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것은 그 중 불교와 자이나교뿐이다.
자이나교의 개조 마하비라는 그 이전에 23명의 티르탕카라(조사)가 있었고, 24조로 여겨졌다. 티르탕카라 자신은 베다 종교의 일부였던 것으로 보인다. 마하비라가 24번째 티르탕카라의 환생으로 인정된 후에 자이나교는 브라만교로부터 독립했다는 설도 있다. 또한, 마하비라와 고타마 붓다는 동시대, 동지역에 살았고, 자이나교 전설에서는 고타마 붓다 자신도 24번째 마지막 티르탕카라가 되기를 원했고, 마하비라에게 졌다고 한다.
불교도, 자이나교도, 시크교도의 힌두교 편입은 인도 법체계의 일부이다. 1955년 힌두 결혼법은 "힌두교도, 기독교인, 무슬림, 파르시 또는 유대인이 아닌 모든 불교도, 자이나교도, 시크교도를 힌두교도로 정의한다."[102] 또한 인도 헌법은 "힌두교도에 대한 언급은 시크교, 자이나교 또는 불교를 믿는 사람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라고 언급하였다.
인도 대법원은 사법적 재확인에서 시크교와 자이나교를 더 큰 힌두교 집단 내의 하위 종파 또는 "특별" 신앙으로 간주했으며,[102] 자이나교는 힌두교 집단 내의 종파라고 언급했다.[102] 인도 정부는 1873년 처음으로 인구 조사를 실시할 때부터 인도 자이나교도를 주요 종교 공동체로 간주했지만, 1947년 독립 이후 시크교도와 자이나교도는 국가 소수자로 취급되지 않았다.[102] 2005년, 인도 대법원은 인도 전역의 자이나교도에게 종교적 소수자 지위를 부여하는 만다토스 영장을 발부하지 않았다. 그러나 법원은 자이나교의 소수자 지위에 대한 결정은 각 주에 맡겼다.[103][102]
그러나 지난 수십 년 동안 일부 개별 주에서는 자이나교도, 불교도, 시크교도가 종교적 소수자인지 여부에 대해 판결을 내리거나 법률을 통과시키면서 의견이 달랐다. 2006년 우타르프라데시 주와 관련된 사건에서 대법원이 내린 판결은 자이나교가 힌두교와 명백히 다르다고 선언했지만, "자이나교도가 힌두교의 일부인지에 대한 문제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고 언급했다.[104] 그러나 대법원은 자이나교가 별개의 종교임을 주장하는 다양한 법원 사건을 언급했다.[105]
구자라트 종교 자유 법안은 자이나교도와 불교도를 힌두교 내의 종파로 정의하려는 법률에 대한 수정안이다.[106] 2007년 7월 31일, 구자라트 주지사 나발 키쇼르 샤르마는 헌법 제25조 (1)항에 명시된 종교의 자유 개념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구자라트 종교 자유 (수정) 법안, 2006을 반환했다. 이는 자이나교도의 광범위한 항의[107]와 자이나교는 "힌두교의 정수를 바탕으로 형성된 특별한 종교"라는 대법원의 사법 외적 관찰을 인용했다.[108]
3. 5. 시크교
구루 나나크에 의해 16세기에 창시된 종교이다. 힌두교와 이슬람교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유일신 사상과 평등주의를 강조한다. 주로 인도 펀자브 지방을 중심으로 신자가 분포한다.[102]
4. 인도 종교 간의 관계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시크교는 특정 핵심 개념을 공유하며, 이 개념들은 다양한 집단과 개인에 의해 다르게 해석된다. 19세기까지, 이들 다양한 종교의 신봉자들은 서로를 반대하는 존재로 여기기보다는 "같은 문화적 대가족에 속한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12]
이러한 종교들은 핵심 개념인 다르마를 공유하기 때문에 다르마 종교라고 불린다. 다르마는 맥락에 따라 의무, 의로움, 영적 가르침, 행위 등 다양한 의미를 지닌다.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시크교는 해탈(moksha), 즉 윤회로부터의 해방이라는 개념을 공유하지만, 이 해탈의 정확한 본질에 대해서는 차이를 보인다.
의례에서도 공통적인 특징이 관찰된다. 머리에 기름을 바르는 의례인 아비셰카는 시크교를 제외한 세 가지 전통에서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불교에서는 금강승 내에서 발견된다).[95] 주목할 만한 다른 의례로는 죽은 자의 화장, 기혼 여성의 머리에 주홍색을 바르는 것, 그리고 다양한 결혼 의례 등이 있다.[95] 문학에서 많은 고전적 서사와 푸라나는 힌두교, 불교 또는 자이나교 버전을 가지고 있다.[96] 네 가지 전통 모두 ''업'', ''다르마'', ''윤회'', ''해탈''에 대한 개념과 다양한 형태의 요가를 가지고 있다.[95]
라마는 이 모든 종교에서 영웅적인 인물이다. 힌두교에서는 왕자 신으로 화신한 신이며, 불교에서는 보살의 화신이고, 자이나교에서는 완벽한 인간이다. 불교의 라마야나에는 ''베산타라자타카'',[97] 리엠께르, 라마끼엔, 프라 락 프라 람, 히카야트 세리 라마 등이 있다. 아솜의 캄티 부족 사이에는 라마가 악마 왕 라바나를 벌하기 위해 화신한 보살의 아바타인 ''캄티 라마야나''가 존재한다(B.Datta 1993). ''타이 라마야나''는 아솜에서 신성한 이야기를 다시 이야기하는 또 다른 책이다.
비평가들은 다양한 인도 종교들 사이, 심지어 그 안에서도 광범위한 차이점이 존재한다고 지적한다. 주요 종교는 모두 수많은 종파와 분파로 구성되어 있다.
인도 신화는 또한 다양한 인도 종교 간의 경쟁을 반영한다. 한 인기 있는 이야기는 바즈라파니가 악한 존재로 묘사된 시바의 화신인 마헤슈바라를 어떻게 죽이는지를 보여준다. 이 이야기는 ''사르바타타가타타트바삼그라하''(Sarvatathagatatattvasamgraha)와 ''바즈라파니-아비세카-마하탄트라''(Vajrapany-abhiseka-mahatantra) 등 여러 경전에 등장한다. 칼루파하나에 따르면, 이 이야기는 암바타의 개종 이야기를 "반영"하며, 불교 기관과 시바교 사이의 경쟁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롤리(Frawley)와 말호트라(Malhotra)는 다양한 인도 종교 간의 유사성을 강조하기 위해 "다르마 종교"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프롤리에 따르면, "인도의 모든 종교는 다르마라고 불려왔다."
할바파스(Halbfass)에 따르면, 폴 해커(Paul Hacker)는 "다르마"라는 용어가 19세기에 뱅킴 찬드라 차터지에서 시작하여 현대 인도 사상에서 근본적으로 새로운 의미와 기능을 갖게 되었다고 보았다. 다르마가 서양의 "종교" 개념과 동등하게 제시되었지만, 이에 대한 대응으로 제시된 이 과정은 힌두교의 정체성과 다른 종교 및 문화 전통에 대한 태도에 근본적인 변화를 반영한다. "종교"와 "국가"라는 외래 도구는 자기 정의의 도구가 되었고, "힌두교의 통일성"과 국가적 및 종교적 정체성에 대한 새롭고 불안정한 감각이 뿌리내렸다.
다르마 신앙의 유사성과 통합적 통일성에 대한 강조는 다양한 인도 종교와 전통 사이, 그리고 심지어 그 내부에 존재하는 엄청난 차이점을 간과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리처드 E. 킹에 따르면 이는 신-베단타의 "다른 전통의 포용적 전유"의 전형이다.
5. 한국의 관점
인도는 불교를 통해 한국과 깊은 관계를 맺어왔다. 삼국시대부터 불교는 한국인의 정신세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 불교는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현대 한국 사회에서 불교는 여전히 중요한 종교 중 하나이며, 힌두교, 자이나교, 시크교 등 다른 인도 종교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Classification of religions: Geographical"
https://www.britanni[...]
2007
[2]
웹사이트
Központi Statisztikai Hivatal
http://www.nepszamla[...]
Nepszamlalas.hu
2013-10-02
[3]
웹사이트
Christianity 2015: Religious Diversity and Personal Contact
http://www.gordoncon[...]
2015-01-01
[4]
뉴스
Viewpoint: Why Sikhs celebrate kindness
https://www.bbc.com/[...]
BBC News
2021-07-15
[5]
웹사이트
Countries with the Largest Jain Populations
https://www.worldatl[...]
2020-06-11
[6]
뉴스
Rude Travel: Down The Sages
https://www.hindusta[...]
2021-07-02
[7]
서적
The Upanishad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8]
웹사이트
Religions by adherents
http://www.adherents[...]
2007-02-09
[9]
서적
Sapiens: A Brief History of Humankind
Penguin Random House UK
[10]
뉴스
Ancient Indians made 'rock music'
http://news.bbc.co.u[...]
2004-03-19
[11]
서적
Facets of Jainology: Selected Research Papers on Jain Society, Religion,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Popular Prakashan
[12]
서적
The Shape of Ancient Thought: Comparative Studies in Greek and Indian Philosophies
Allworth Communications, Inc.
[13]
서적
World Religions: Eastern Tradi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14]
서적
World Religions: Eastern Tradi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15]
문서
The Study of Hinduism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16]
서적
Portraits of a Nation: History of Ancient India
Sterling Publishers Private Ltd
[17]
문서
Hindu Spirituality: Vedas Through Vedanta
[18]
서적
Hindu Dharma: Introduction to Scriptures And Theology
[19]
문서
I Am Proud To Be A Hindu
[20]
문서
Hinduism: An Alphabetical Guide
[21]
서적
Ancient India: A Glimpse of Indias' Glorious Ancient Past
https://books.google[...]
BookRix
2018-04-10
[22]
서적
Axiological Approach to the Vedas
Northern Book Centre
[23]
문서
[24]
문서
Indian sociology through Ghurye, a dictionary
[25]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Other sources: the process of "Sanskritization"''
https://www.britanni[...]
2022-06-23
[26]
웹사이트
India Studies Program
http://www.indiana.e[...]
[27]
서적
World Religions in America: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8]
서적
Religions of the World, Second Edition: A Comprehensive Encyclopedia of Beliefs and Practices
https://books.google[...]
ABC-CLIO
[29]
서적
History of Philosophy Eastern and Western
George Allen & Unwin Ltd
[30]
문서
Study of Jainism
Prakrit Bharti Academy, Jaipur
[31]
문서
Brahmanism, Buddhism and Hinduism
[32]
서적
A Comparative Study of Religions
Motilal Banarsidass Publ
[33]
서적
The Jaina Path to Purification
Motilal Banarsidass
[34]
서적
World Religions
[35]
서적
The Pilgrimage of Buddhism and a Buddhist Pilgrimage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36]
서적
Early Buddhism and the Bhagavadgītā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37]
서적
"A History of Early Vedānta Philosophy: Part One."
Motilal Banarsidass Publ.
[38]
서적
Light from the East: Eastern Wisdom for the Modern West
World Wisdom, Inc.
[39]
서적
'Living Religions: An Encyclopedia of the World''s Faiths'
https://archive.org/[...]
I. B. Tauris: London
[40]
웹사이트
Life of Gautama Buddha and the origin of Buddhism
https://www.britanni[...]
1997-07-01
[41]
서적
Buddhist Missionarie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http://www.jstor.org[...]
University of Hawaiʻi Press
2005
[42]
웹사이트
Buddhism: Origin, Spread And Decline
https://www.huffpost[...]
2011-09-01
[43]
웹사이트
Buddhism
https://www.britanni[...]
1998-09-28
[44]
문서
The Life of Buddha as Legend and History
[45]
서적
A dictionary of Buddhism
Oxford Univ. Press
2003
[46]
서적
A dictionary of Buddhism
Oxford Univ. Press
2003
[47]
문서
[48]
웹사이트
Kharavela – The Great Philanthropic Emperor
https://magazines.od[...]
[49]
서적
Āgamaprāmāṇya of Yāmunācārya
Oriental Institute, Maharaja Sayajirao University of Baroda
[50]
서적
Psycho-Religious Studies Of Man, Mind And Nature
https://books.google[...]
Global Vision Publishing House
[51]
웹사이트
Chapter 3
http://www.siddha.co[...]
Siddhanta Publications
[52]
서적
A Concise Dictionary of Indian Philosophy: Sanskrit Terms Defined in English
https://books.google[...]
SUNY Press
[53]
서적
The Modern review: Volume 28
Prabasi Press
[54]
문서
Kartikeya in Indian art and literature
Delhi: Sundeep Prakashan
[55]
웹사이트
A Note on the Muruku Sign of the Indus Script in light of the Mayiladuthurai Stone Axe Discovery
http://www.harappa.c[...]
2006-05-06
[56]
서적
The Making of India: A Historical Survey
M.E. Sharpe
[57]
서적
Ancient Indian Civilization
Arnold-Heinemann
[58]
서적
Essential Hinduism
Greenwood Publishing Group
[59]
서적
Ancient Cities of the Indus Valley Civilization
Karachi: Oxford University Press
[60]
서적
Plants of life, plants of death
[61]
서적
India: A History
Grove Press
[62]
문서
Encyclopedia of Indo-European Culture
[63]
문서
Dravidian Linguistics: an Introduction
Pondicherry: Pondicherry Institute of Linguistics and Culture
[64]
서적
The sacred marriage of a Hindu goddess
Motilal Banarsidass
[65]
서적
Splendours of Tamil Nadu
https://www.google.c[...]
Marg Publications
[66]
서적
History of South India
S. Chand
[67]
서적
Tamil oratory and the Dravidian aesthetic: democratic practice in south India
Columbia University Press
[68]
서적
Tamil culture: religion, culture, and literature
Bharatiya Kala Prakashan
[69]
서적
Encyclopedia of Asian history: Volume 1
https://archive.org/[...]
Scribner
[70]
서적
Ideology, caste, class, and gender
Vikas Pub. House
[71]
서적
A glimpse of Tamilology
https://books.google[...]
Academy of Tamil Scholars of Tamil Nadu
[72]
서적
The Encyclopaedia Of Indian Literature, Volume 5 (Sasay To Zorgot)
Sahitya Akademi
[73]
서적
Encyclopaedia Indica: India, Pakistan, Bangladesh: Volume 100
Anmol Publications
[74]
서적
Śaṅgam polity: the administration and social life of the Śaṅgam Tamils
Ennes Publications
[75]
서적
Indian Philosophy, Volume II
Oxford University Press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79]
문서
History of the Andhras up to 1565 A. D.
[80]
간행물
The flow between faiths was such that for hundreds of years, almost all Buddhist temples, including the ones at [[Ajanta Caves|Ajanta]], were built under the rule and patronage of Hindu kings.
National Geographic
2008-01
[81]
웹사이트
Mayavada Philosophy
https://harekrishnat[...]
2021-07-02
[82]
웹사이트
The Self-Defeating Philosophy of Mayavada
https://gosai.com/wr[...]
2021-07-02
[83]
웹사이트
Mayavada and Buddhism – Are They One and the Same?
http://gaudiyatouchs[...]
2013-11-13
[84]
웹사이트
The rise of Buddhism and Jainism
http://www.bbc.co.uk[...]
BBC
2004-07-26
[85]
웹사이트
The Alvars
http://www.mahavidya[...]
2013-04-20
[86]
문서
Walking Naked
[87]
문서
Walking Naked
[88]
웹사이트
The Centre for Cultural Resources and Training, ''Indian Literature Through the Ages''
http://ccrtindia.gov[...]
[89]
웹사이트
Battuta's Travels: Delhi, capital of Muslim India
http://www.sfusd.k12[...]
[90]
문서
History and Philosophy of the Lingayat Religion
Prasaranga, Karnataka University, Dharwad
[91]
웹사이트
Mahamagam Festival
http://blessingsonth[...]
2014-02-14
[92]
Citation
Fairs and Festivals of India
https://books.google[...]
Gyan Publishing House
2014-02-14
[93]
서적
Buddhism in India: Challenging Brahmanism and Caste
Sage, London/New Delhi/Thousand Oaks
[94]
Citation
Political Ideas in Modern India: thematic explorations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2020-10-26
[95]
서적
History of Indian Nation: Ancient India
https://books.google[...]
K.K. Publications
2022-02-20
[96]
문서
Jainism > Jainism, Hinduism, and Buddhism
[97]
문서
Literary Cultures in History:
[98]
문서
Forms of Indian Philosophical Literature and Other Papers
[99]
문서
Mahāvīra: His Life and Teachings
[100]
문서
Questioning the Secular State: The Worldwide Resurgence of Religion in Politics
[101]
웹사이트
Council of Dharmic Faiths UK
http://councilofdhar[...]
2017-05-27
[102]
웹사이트
Supreme Court of India, in the judgement of Bal Patil vs. Union of India, Dec 2005
http://judis.nic.in/[...]
2008-03-29
[103]
뉴스
Minority rights are indivisible
https://www.tribunei[...]
2021-07-02
[104]
웹사이트
CASE NO.: Appeal (civil) 9595 of 2003
http://judis.nic.in/[...]
2008-03-29
[105]
웹사이트
Constitutional and Legal Challenges Faced by Religious Minorities in India
https://www.uscirf.g[...]
2017
[106]
PDF
Gujarat Freedom of religions Act, 2003
http://209.85.175.10[...]
2017-11
[107]
뉴스
Religious freedom Bill returned
https://indianexpres[...]
2007-09-15
[108]
뉴스
The Times of India, 11 Mar, 2008
https://timesofindia[...]
The Times of India
2008-03-11
[109]
웹사이트
Központi Statisztikai Hivatal
http://www.nepszamla[...]
Nepszamlalas.hu
2013-10-02
[110]
웹사이트
Christianity 2015: Religious Diversity and Personal Contact
https://web.archive.[...]
2015-01
[111]
웹사이트
Countries With The Largest Jain Populations - WorldAtlas
https://www.worldatl[...]
2020-01
[112]
기타
古宇田亮修「ヒンドゥー教における身の処し方 -âšrama‐説を中心に-」
http://sanskrit.webc[...]
大正大学綜合佛教研究所公開講座
2002-12-04
[113]
서적
インドの思想
放送大学教育振興会
1997
[114]
백과사전
달마
https://www.doopedia[...]
두산
2021-03-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