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밀화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밀화학은 1908년 이전에 사용된 용어로, 1970년대 후반 타가메트와 잔탁의 성공으로 산업이 성장했다. 저분자량과 고분자량 제품으로 나뉘며, N-헤테로고리 화합물, β-락탐, 이미다졸 등이 제품으로 사용된다. 정밀 화학 물질은 석유 화학 원료, 생명 공학, 추출 등을 통해 생산되며, 화학 합성, 생명 공학 기술을 활용한다. 산업은 정밀 화학/맞춤형 제조 회사, 위탁 연구 기관으로 구분되며, 제약, 농화학, 특수 화학 산업에서 사용된다. 시장은 제약 분야가 가장 크며, 2000년대 후반 호황과 불황을 겪었다. 린 생산, 틈새 기술 추구, 아시아 시장 기회 활용 등이 생존 전략으로 제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정밀화학 | |
---|---|
개요 | |
정의 | 화학 산업에서 생산 및 사용되는 순수한 화학 물질 |
특징 | 고도의 순도 명확하게 정의된 화학 구조 특정 기능 또는 특성 |
용도 | 의약품 농약 염료 특수 화학 제품 전자 제품 |
가격 | 킬로그램당 10달러 이상 (일반적으로) |
분류 | |
분류 기준 | 생산 방법 시장 규모 가격 기능 |
주요 분류 | 특수 화학 제품 정밀 화학 제품 의약 화학 제품 농업 화학 제품 |
생산 | |
생산 방식 | 복잡한 다단계 화학 합성 |
핵심 기술 | 유기 합성 촉매 반응 분리 및 정제 |
주요 생산 국가 | 미국 유럽 일본 중국 인도 |
시장 | |
주요 시장 | 의약품 농약 전자 제품 화장품 |
시장 성장 요인 | 신흥국의 경제 성장 인구 증가 고령화 사회 기술 혁신 |
주요 기업 | 바스프 (BASF) 바이엘 (Bayer) 듀폰 (DuPont) 다우 케미컬 (Dow Chemical) 미쓰비시 케미컬 (Mitsubishi Chemical) |
기타 | |
주의 사항 | 안전한 취급 및 보관 필요 환경 오염 방지 노력 필요 |
2. 역사
"정밀 화학"이라는 용어는 1908년 이전에 사용되었다.[1] 그러나 정밀 화학 산업이 별개의 산업 분야로 등장한 것은 1970년대 후반이다. 당시 히스타민 H2 수용체 길항제인 타가메트 (시메티딘)와 잔탁 (라니티딘 염산염)이 큰 성공을 거두면서, 이들 약물의 제조에 필요한 고급 유기 화학 물질에 대한 수요가 급증했다. 제약 회사인 Smith, Kline, & French(SKF)와 Glaxo(두 회사는 이후 글락소스미스클라인으로 합병)는 빠르게 늘어나는 수요를 자체 생산 능력만으로는 감당하기 어려워지자, 비교적 정교한 유기 분자 생산 경험이 있는 화학 회사에 제조의 일부를 아웃소싱하기 시작했다.
분자 구조 측면에서 정밀화학 제품은 저분자량(LMW, Low Molecular Weight) 제품과 고분자량(HMW, High Molecular Weight) 제품으로 구분되며, 일반적으로 분자량 약 700을 기준으로 나뉜다.
스위스의 론자는 이미 약물 개발 초기 단계의 중간체인 아세토아세트산 메틸을 공급하고 있었으며, 점차 더 복잡한 고급 전구체의 주요 공급업체로 부상했다.[2] SKF와 론자 간의 첫 단순 공급 계약 체결은 정밀 화학 산업의 시작을 알리는 역사적인 사건으로 여겨진다.
이후 몇 년 동안 사업이 발전하면서 론자는 SKF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은 최초의 정밀 화학 회사가 되었다. 비슷한 시기에 영국의 Fine Organics는 글락소가 잔탁이라는 상품명으로 판매한 라니티딘의 티오에틸-N'-메틸-2-니트로-1,1-에텐디아민 부분의 공급업체가 되었다.[3] 다른 제약 및 농화학 회사들도 점차 정밀 화학 물질 조달을 외부 업체에 맡기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이탈리아의 F.I.S.는 스위스의 로슈와 제휴하여 벤조디아제핀 계열 진정제인 리브리움 (클로르디아제폭시드 HCl) 및 바리움 (디아제팜)의 맞춤형 제조 전구체를 공급했다.[4]
새로운 제약 및 농화학 물질의 복잡성과 효능이 증가하고, 특정 제품만을 위한 전용 공장보다는 다양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다목적 공장의 필요성이 커지면서 정밀 화학 물질에 대한 수요는 더욱 늘어났다. 특히 최근 생물 제약 제품의 출현은 정밀 화학 산업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과거 생명 과학 산업은 활성 성분의 자체 생산을 핵심 역량으로 여겼으나, 점차 생산 능력 부족, 위험한 화학 공정 필요성, 신제품 성공 불확실성 등의 이유로 아웃소싱을 활용하는 경우가 늘어나게 되었다.
3. 제품
정밀화학 제품은 과학 기술에서 표준적인 반응을 통해 대량 생산되는 벌크 케미컬과 구별된다. 벌크 케미컬과 달리 정밀화학 제품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정밀화학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일부 정밀화학 제품은 단위 무게당 가격이 금보다 비싸기도 하다. 특정 용도에 맞춰 개발되므로 시장 경쟁 원리가 제한적으로 작용하여, 제조 회사의 이익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향이 있다.
3. 1. 소분자 (Small molecules)
분자 구조 측면에서 정밀화학 물질은 저분자량(LMW, Low Molecular Weight) 제품과 고분자량(HMW, High Molecular Weight) 제품으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분자량 약 700을 기준으로 LMW와 HMW를 구분한다. 소분자(Small molecules)라고도 불리는 LMW 정밀화학 물질은 전통적인 화학적 합성,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나 생물전환, 또는 식물 및 동물로부터의 추출을 통해 생산된다. 현대 생명 과학 제품 생산에서는 석유 화학 물질로부터의 전합성(total synthesis)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LMW 정밀화학 물질 중에서는 질소를 포함하는 헤테로고리 화합물, 즉 N-헤테로고리 화합물이 가장 중요한 범주를 차지한다. 이러한 구조는 엽록소, 헤모글로빈, 비오틴, 엽산, 나이아신(비타민 PP), 피리독신(비타민 B6), 리보플라빈(비타민 B2), 티아민(비타민 B1)과 같은 많은 천연물에서 발견된다. 합성된 생명 과학 제품에서도 N-헤테로고리 구조는 의약품과 농약 모두에서 널리 활용된다.
구체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이 외에도 디페닐피라졸로피라졸, 퀴나크리돈과 같은 현대 안료나 폴리벤즈이미다졸, 폴리이미드, 트리아진 수지와 같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에서도 N-헤테로고리 구조를 찾아볼 수 있다.
3. 2. 거대 분자 (Big molecules)
분자 구조를 기준으로 정밀화학 제품은 저분자량(LMW) 제품과 고분자량(HMW) 제품으로 나눌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분자량 약 700을 기준으로 저분자와 고분자를 구분한다. 저분자 정밀화학 물질은 전통적인 화학 합성,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나 생물전환, 또는 식물 및 동물로부터의 추출을 통해 생산된다.
고분자량(HMW) 제품, 즉 거대 분자는 주로 생명 공학 공정을 통해 얻어진다. 거대 분자 중에서는 펩타이드와 단백질이 특히 중요하다.
정밀 화학 물질 생산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기술들이 사용된다.
이 중 화학 합성과 생명 공학 기술이 가장 자주 사용되며, 때로는 두 기술이 함께 적용되기도 한다.
3. 2. 1. 펩타이드와 단백질
펩타이드는 아미노산이 펩타이드 결합(카복스아미드기)으로 연결된 중합체이다. 펩타이드를 생산하는 방법에는 크게 화학 합성, 천연 물질로부터의 추출, 그리고 생합성 세 가지가 있다.
화학적 합성은 주로 30개에서 40개 정도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비교적 작은 펩타이드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화학적 합성 방식은 크게 '액상 합성'과 '고상 합성'으로 나뉜다. 고상 합성은 반응기나 컬럼 안에 고정된 수지(resin)에 시약을 결합시켜 반응을 진행하는 방식이다. 첫 번째 아미노산을 수지의 반응 부위에 부착한 후, 나머지 아미노산들을 순서대로 하나씩 추가해 나간다. 이 과정에서 각 아미노산의 아미노 그룹은 원치 않는 부가 반응을 막기 위해 미리 보호되어야 한다.
고상 합성은 자동화에 유리하지만, 각 합성 단계에서 생성되는 중간 생성물을 정제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매우 높은 수준의 선택성(거의 100%)이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각 반응 단계의 선택성이 99%라 하더라도, 10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데카펩타이드(총 30단계 반응 필요)를 합성할 경우 최종 생성물의 순도는 75% 미만으로 떨어진다. 이러한 이유로 산업적으로는 고상 합성을 통해 보통 10개에서 15개 아미노산 길이의 펩타이드까지만 생산하며, 실험실 규모에서는 최대 40개까지 합성이 가능하다.
더 긴 펩타이드를 만들기 위해서는 다른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 먼저 고상 합성을 이용해 여러 개의 짧은 펩타이드 조각(단편)을 만들고 각각을 정제한다. 그 후, 액상 합성을 통해 이 조각들을 서로 연결하여 최종적으로 원하는 길이의 펩타이드 분자를 완성한다. 예를 들어, 스위스의 제약회사 로슈(Roche)가 개발한 항에이즈 약물인 퓨제온(Fuzeon, 성분명: 엔푸비르티드)은 총 35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약물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먼저 10개에서 12개 아미노산 길이의 조각 세 개를 고상 합성으로 만든 다음, 액상 합성을 통해 이들을 연결한다. 전체 펩타이드를 완성하기까지 130단계 이상의 개별 화학 반응이 필요하다.
3. 2. 2. 단백질
단백질은 펩타이드 결합으로 연결된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고분자 유기 화합물이다. 특히 분자량이 매우 큰 단백질(예: 분자량 100,000 이상)은 주로 포유류 세포 배양과 같은 고급 생명 공학 공정을 통해 생산된다. 이 방식으로 생산되는 대표적인 예는 바이오 의약품으로 사용되는 단클론 항체(mAb)이다.
정밀 화학 분야에서 복잡한 거대 분자 치료 단백질, 즉 바이오 의약품을 생산하는 데 주로 사용되는 기술은 포유류 세포 배양 발효이며, 이는 재조합 DNA 기술이라고도 불린다.[11] 이 기술로 처음 생산된 제품에는 인터페론(1957년 발견), 인슐린, 소마토트로핀 등이 있다. 생산에는 주로 차이니즈 햄스터 난소(CHO) 세포나 식물 세포 배양 기술이 이용된다.
그러나 포유류 세포 배양을 통한 생산량은 일반적으로 매우 적다. 연간 생산량이 100kg을 초과하는 제품은 리툭산(로슈-제넨텍), 엔브렐(암젠 및 머크 앤 컴퍼니), 레미케이드(존슨앤존슨) 등 소수에 불과하다. 이 기술은 기존의 생물 촉매 작용이나 화학 합성에 비해 훨씬 까다로운 공정을 요구한다. 포유류 세포는 열과 전단 응력에 민감하여 바이오리액터 운전 시 더 엄격한 제어가 필요하며, 성장 속도 또한 며칠에서 몇 달까지 걸릴 정도로 매우 느리다.
포유류 세포 배양 기술과 기존 화학 합성 기술 간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차이점이 존재한다.
특성 | 포유류 세포 기술 | 화학 기술 | |
---|---|---|---|
전 세계 반응기 부피 | 약 3000m3 (발효조) | 약 80000m3 | |
m3 반응기 부피당 투자 | 약 500만달러 | 약 50만달러 | |
m3 반응기 부피 및 연간 생산량 | 수십 kg | 수천 kg | |
m3 반응기 부피 및 연간 판매량 | 약 500만달러 – 1000만달러 | 약 25만달러 - 50만달러 | |
1 배치의 가치 | 약 500만달러 (20000L 발효조) | 약 50만달러 | |
반응 혼합물의 제품 농도 | 약 2g/L ~ 10g/L | 약 100g/L (10%) | |
일반적인 반응 시간 | 약 20일 | 약 6시간 | |
공정 개발 시간 | 약 3년 (1단계) | 단계별 2~3개월 | |
용량 확장 프로젝트 | 다수, 실제 용량의 두 배 | 소수, 주로 극동 지역 | |
지배 규정 | cGMP, BLA [생물학적 허가 신청(제품별)] | cGMP, ISO 14000 | |
스케일업 계수 (1차 실험실 공정에서 산업 규모) | 약 109 (μg → 1톤) | 약 106 (10g → 10ton) | |
플랜트 건설 시간 | 4 – 6년 | 2 – 3년 | |
아웃소싱 점유율 | 초기 단계 | 55% | 화학 생산의 25% |
상업용 | 20% | 화학 생산의 45% |
대부분의 바이오 의약품 생산에 사용되는 포유류 세포 생산 공정은 일반적으로 네 가지 주요 단계로 나뉜다.
# '''배양''': 세포 증식 단계.
# '''발효''': 일반적으로 10000L 또는 그 이상의 바이오리액터에서 단백질을 실제 생산하는 단계.
# '''정제''': 배양 배지에서 세포를 분리하고, 주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정제하는 단계.
# '''제형''': 민감한 단백질을 안정적인 형태로 만드는 단계.
이 모든 단계는 완전히 자동화되어 운영된다. 그러나 동물 세포 배양은 생산성이 낮아 기술 비용이 높고 오염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소량의 박테리아 오염만으로도 느리게 성장하는 동물 세포 전체를 압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낮은 생산성과 동물 유래 원료라는 점이 주요 한계로 지적되며, 식물 세포 생산과 같은 다른 기술이 미래에 중요해질 가능성도 있다. 포유류 세포 배양 기술은 기존 화학 공정 기술과 근본적인 차이가 있어, 관련 생산 시설은 새로 건설해야 한다.
정밀 화학 회사가 세포 배양 기술 분야에 참여하는 것에는 다음과 같은 장단점이 있다.
'''장점:'''
- '''강력한 수요 증가''': 바이오 의약품 시장은 전체 제약 시장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2010년 세계 10대 의약품 중 5개가 바이오 의약품이었으며, 2016년에는 8개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었다.[13]
제품명 | 일반명 | 회사 | |
---|---|---|---|
저분자량 (화학 합성) | |||
1 | 크레스토어 | 로수바스타틴 | 아스트라제네카 |
2 | 애드베어/세레타이드 | 살메테롤 /플루티카손 | 글락소스미스클라인 |
고분자량 (바이오 의약품) | |||
1 | 휴미라 | 아달리무맙 | 애브비 |
2 | 엔브렐 | 에타너셉트 | 암젠 |
3 | 프롤리아 | 데노수맙 | 암젠 |
4 | 리툭산 | 리툭시맙 | 로슈/바이오젠 |
5 | 아바스틴 | 베바시주맙 | 로슈 |
6 | 허셉틴 | 트라스투주맙 | 로슈 |
7 | 레미케이드 | 인플릭시맙 | 존슨앤존슨/머크 & 컴퍼니 |
8 | 란투스 | 인슐린 글라진 | 사노피-아벤티스 |
- '''높은 개발 성공 가능성''': 바이오 의약품은 임상 1상 진입 시 최종 승인 확률이 약 25%로, 기존 화학 합성 의약품(약 6% 미만)보다 훨씬 높다.
- '''높은 아웃소싱 비율''': 전통적으로 바이오 의약품 생산의 아웃소싱 비율이 높다.
- '''소수의 전문 위탁 생산업체''': 산업 규모의 제조 능력을 갖춘 위탁 생산업체(CMO)가 소수에 불과하다. 서구권에서는 독일의 뵈링거 인겔하임과 스위스의 론자가 대표적이며, 동구권에서는 인도의 니콜라스 피라말, 중국의 오텍바이오 합작사, 인도의 바이오콘과 대한민국 셀트리온의 합작사 등이 있다.
- '''유사한 사업 환경''': 주요 고객(제약 산업), 사업 모델(독점 의약품 위탁 생산, 바이오시밀러 기회), 규제 환경(FDA, GMP) 등이 기존 정밀 화학 사업과 유사하다.
- '''기존 인프라 활용 가능성''': 유틸리티 등 기존 인프라를 일부 활용할 수 있다.
'''단점:'''
- '''높은 진입 장벽''': 기술적 난이도가 높고, 대규모 생산 시설 건설에 약 5억달러의 비용과 4~6년의 시간이 소요된다.
- '''기존 설비 활용 어려움''': 바이오 의약품 생산 설비는 기존 정밀 화학 플랜트와 달라 호환이 어렵다.
- '''높은 재정적 위험''': 자본 집약도가 높고 배치 실패(오염 등) 위험이 크다.
- '''대형 제약사의 자체 생산 투자 증가''': 암젠, 로슈/제넨텍, 화이자 등 대형 바이오 제약 회사들이 자체 생산 능력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다.
- '''기술 발전으로 인한 불확실성''': 발현 시스템 개선으로 생산 역가(단위 부피당 생산량)가 증가하고 있으며(2020년까지 10g/L 목표), 일회용 생물 공정 기술의 확산으로 필요 생산 용량이 줄어들 수 있다.
- '''새로운 생산 시스템 등장 가능성''': 형질전환 기술(이끼, 식물, 동물 등 이용)이 경제성을 갖추고 등장할 수 있다.
- '''규제 불확실성''': 바이오시밀러 관련 법규 등 생명 공학 관련 규정이 아직 명확히 정립되지 않은 부분이 있어 해석상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내재된 위험 때문에 일부 회사들은 포유류 세포 기술 사업을 포기하거나 축소하기도 했다. 결론적으로, 생물 촉매 작용은 모든 정밀 화학 회사가 갖추어야 할 기술이지만, 포유류 세포 배양 발효는 충분한 자금력과 장기적인 전략을 가진 대규모 회사만이 신중하게 고려해야 할 분야이다.
3. 2. 3.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해당 섹션 제목과 관련된 내용이 원본 소스에 존재하지 않습니다.)3. 2. 4. 항체-약물 접합체 (ADC)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항체-약물 접합체 (ADC)'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요약에 언급된 작은 분자와 큰 분자의 조합, 포미비르센, 마이로타르그 등의 내용은 원본 소스에서 찾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해당 섹션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4. 기술
정밀화학 산업의 기술 개발 및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는 계약 연구 기관(CRO, 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과 계약 생산 전문기업(CMO, Contract Manufacturing Organization)의 역할이 중요하다. CRO는 주로 생명 과학 산업의 제품 개발 과정에 필요한 연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이다. 전 세계적으로 2,000개 이상의 CRO가 운영되고 있으며, 총 매출은 200억달러를 넘어선다.
CRO는 크게 '제품 CRO'와 '환자 CRO'로 나눌 수 있다. 제품 CRO가 실험실 연구를 기반으로 한다면, 환자 CRO는 임상 시험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CRO 서비스의 주요 고객은 화이자(Pfizer), 글락소스미스클라인(GlaxoSmithKline), 사노피(Sanofi),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 존슨앤존슨(Johnson & Johnson), 머크(Merck & Co.)와 같은 대규모 글로벌 제약 회사들이다. 이들 소수 기업이 전체 CRO 지출의 약 3분의 1을 차지한다. 또한, 신약 개발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지만 자원이 제한적인 생명 공학 스타트업 기업들도 중요한 고객층이다.
제품 CRO는 주로 샘플 준비, 공정 연구 및 개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들의 업무 영역 중 파일럿 플랜트(약 100kg 규모 생산) 운영은 CMO의 영역과 일부 겹치기도 한다. 현재 100개 이상의 제품 CRO가 활동하고 있으며, 대부분은 비상장 회사로 연간 매출 1000만달러에서 2000만달러 사이를 기록하고 있다. 전체 제품 CRO 시장 규모는 약 15억달러에서 20억달러 수준으로 추정된다.
지역 | 기업명 |
---|---|
북미 | 알포라(Alphora), 델마(Delmar), NAEJA (이상 캐나다); 올바니 분자 연구(AMRI), 앱튜이트(Aptuit), 케임브리지 메이저(Cambridge Major), 켐브리지(ChemBridge), 이노센티브(Innocentive), 이릭스 제약(Irix Pharmaceuticals), 팜에코(PharmEco) (이상 미국) |
유럽 | 카보젠-암시스(Carbogen-Amcis) (스위스); 켐콤(Chemcomm) (독일); 켐디브(ChemDiv) (러시아); 클라슨-카스(Clauson-Kaas) (덴마크); 에나민(Enamine Ltd) (우크라이나); 기린두스(Girindus) (독일); 네르비아노 의학 과학(Nerviano Medical Sciences) (이탈리아); 레시팜(Recipharm) (스웨덴); 세리침(Serichim) (이탈리아); 솔비아스(Solvias) (스위스, 네덜란드) |
아시아 | 바이오듀로(BioDuro), 메디실론(Medicilon), 파마론(Pharmaron), 우시 앱텍(WuXi AppTec) (이상 중국); 아코리스(Acoris), 앱튜이트 라우루스(Aptuit Laurus), 바이오콘 / 싱진(Syngene), 켐비오텍(Chembiotek), 켐파트너(Chempartner), 프로시티우스(ProCitius) (이상 인도); 나드 연구소(NARD Institute), 리켄(Riken) (이상 일본) |
CRO의 사업은 일반적으로 "서비스에 대한 지불(fee-for-service)"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즉, 생산된 제품 단위가 아니라 특정 고객의 과제를 위해 투입된 연구 인력의 시간(FTE, Full-Time Equivalent)을 기준으로 비용을 청구한다.
한편, 계약 연구 및 제조 서비스(CRAMS, Contract Research and Manufacturing Services)를 모두 제공하는 회사들도 있다. 이들은 CRO가 산업 규모의 생산 역량을 추가하거나, CMO가 연구 개발 역량을 확보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하지만 연구 개발 단계에서 실제 생산으로 이어지는 프로젝트 비율이 낮기 때문에(샘플 준비 단계에서 90% 이상 종료), 연구와 생산을 한 곳에서 모두 처리하는 '원스톱 샵'의 실질적인 시너지 효과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 실제로 일부 대형 정밀 화학 회사들은 초기 샘플 준비 단계를 이익 창출보다는 마케팅 도구나 비용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환자 CRO는 신약 개발의 임상 단계를 주로 담당하며, 신규 약물 화합물의 임상 개발 및 선택 등 30개 이상의 다양한 업무를 수행한다. 임상 시험은 제약 연구 개발 과정에서 가장 큰 비용이 드는 부분이므로, 환자 CRO 시장은 제품 CRO 시장보다 규모가 훨씬 크다. 찰스 리버 연구소(Charles River Laboratories), 포트리아(Fortrea), 파렉셀(Parexel), 제약 제품 개발(PPD), 아이큐비아(IQVIA, 구 킨타일즈 트랜스내셔널) (이상 미국), TCG 생명과학(TCG Lifescience) (인도) 등 주요 환자 CRO 기업들의 매출은 10억달러에서 20억달러에 달하는 반면, 가장 큰 제품 CRO의 매출은 수억 달러 수준이다.
4. 1. 전통적인 화학 합성
정밀 화학 합성은 벌크 케미컬과 달리 특수한 용도를 위해 비교적 소량으로 수주 생산되는 화학 물질을 만드는 과정이다. 다양한 종류의 정밀 화학 물질이 수요에 따라 유연하게 생산되며, 원자 효율보다는 특정 기능 구현이 더 중요하게 여겨지기도 한다. 이로 인해 제조 비용이 높고 폐기물 발생량이 많으며, 단위 무게당 연구 투자가 많이 요구된다. 그러나 연구실 규모의 연구용 화학 약품과는 달리 산업적인 양으로 생산된다는 차이가 있다.[20]정밀 화학 합성의 대상이 되는 중요한 화합물 군 중 하나는 질소를 포함하는 헤테로고리 화합물, 즉 N-헤테로고리 구조이다. 과거에는 방향족 화합물이 생명 과학 제품의 주요 구성 요소였으나, 오늘날에는 N-헤테로고리 구조가 우세하다. 이 구조는 엽록소, 헤모글로빈 같은 자연계 물질뿐만 아니라, 의약품과 농약 등 다양한 합성 생명 과학 제품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페니실린과 세팔로스포린 계열 항생제의 β-락탐 구조, 제초제나 항궤양제에 사용되는 이미다졸 구조, 고혈압 치료제의 테트라졸 구조, 비타민 B1이나 설폰아미드 항생제, 제초제에 포함된 피리미딘 구조, 중추신경계 약물의 벤조디아제핀 구조, 농약에 쓰이는 피리딘 유도체 등이 대표적이다. 심지어 현대 안료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중에도 N-헤테로고리 구조를 가진 것이 많다.
정밀 화학 물질을 생산하기 위한 연구 개발(R&D) 과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다.
- '''문헌 및 특허 조사''': 새로운 합성을 시작하기 전, 관련 연구 결과와 기존 특허를 검토하여 지적 재산권(IPR) 침해를 피하고, 필요한 경우 새로운 특허를 출원할지 결정한다. 특히 제네릭 의약품 개발 시에는 기존 특허 분석이 매우 중요하다.
- '''공정 연구''': 새로운 합성 경로를 설계하는 단계이다. 비교적 단순한 분자는 상업적으로 구매 가능한 출발 물질에서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반응시키는 "바텀업(bottom-up)" 접근 방식을 사용한다. 반면, 복잡한 분자는 목표 분자를 먼저 주요 조각으로 분해하여 각각 합성한 뒤 마지막에 결합하는 "톱다운(top-down)" 접근 방식, 즉 역합성을 활용한다.
- '''공정 개발''': 실험실에서 개발된 합성법을 실제 산업 생산에 적용할 수 있도록 새롭고 효율적이며 안정적이고 안전하며 규모 확대가 가능한 합성 경로를 설계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이 과정은 공정 연구와 상업 생산 사이의 필수적인 연결 고리 역할을 하며, 결과적으로 예비 원자재 및 제품 사양 결정, 파일럿 플랜트 제조, 환경 영향 평가, 규제 제출, 기술 이전, 생산 비용 추정 등에 필요한 데이터를 담은 "기본 공정"을 확립하게 된다. 고객으로부터 기본 공정을 제공받는 경우에도, 해당 공정을 실제 생산 설비의 특성에 맞게 최적화하고 조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 '''벤치 규모 실험실, kg-lab 및 파일럿 플랜트 개발''':[19] 합성 규모를 점진적으로 늘려가며 공정을 검증하고 최적화하는 단계이다. 일반적으로 그램(g)에서 100g 규모는 벤치 규모 실험실, 킬로그램(kg)에서 10kg 규모는 kg-lab, 100kg에서 톤(t) 규모는 파일럿 플랜트에서 다룬다. 실험실 규모의 공정은 다수의 단위 조작, 묽은 반응 농도, 많은 양의 추출 용매 사용 등 산업 규모 생산에 부적합한 특징을 가지므로 직접적인 이전은 권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파일럿 플랜트 단계에서 반 상업적 규모로 공정의 실현 가능성을 입증하고, 시장 개발이나 임상 시험 등에 필요한 시험 수량을 생산하며, 산업 규모 생산을 위한 데이터를 확보한다. 실험실 합성과 산업 규모 공정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작업 | 실험실 합성 | 산업 규모 공정 |
---|---|---|
작업자 | 실험실 화학자 | 화학 엔지니어 |
경제성 | 수율 | 처리량(kg/m3/시간) |
단위 | G, mL, mol; 최소 시간 | Kg, 톤, 시간, 교대 |
장비 | 유리 플라스크 | 스테인리스 강, 유리 라이닝 |
공정 제어 | 수동 | 자동 [반응 용기] |
중요 경로 | 반응 시간 | 가열/냉각 |
액체 취급 | 따르기 | 펌핑 |
액체/고체 분리 | 여과 | 원심 분리 |
특히 cGMP(우수 의약품 제조 및 품질 관리 기준)를 따라야 하는 정밀 화학 물질의 경우, 공정 검증 절차가 필수적이며, 이는 공정 설계, 공정 자격 및 지속적인 공정 검증의 세 단계로 구성된다.
- '''공정 최적화''': 산업 규모 생산이 성공적으로 시작된 후에는 경제성을 개선하기 위해 공정을 지속적으로 최적화한다. 일반적인 규칙으로 연간 생산량이 두 배로 증가할 때마다 매출 원가(COGS)를 10-20% 줄이려고 시도해야 한다. 이 작업은 현재 사용되는 합성 방법의 미세 조정에서 완전히 다른 2세대 공정 탐색까지 확장된다. 구체적인 조항은 전체 수율 증가, 단계 수 감소, 원자재 비용, 용매, 촉매, 효소 소비, 환경 영향이다.
의약품이나 그 중간체와 같은 정밀 화학 물질 제조 시에는 엄격한 작업 표준 준수가 요구되며, 더욱이 (미국에서는) 특히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의해 감독된다. 특수한 화학 약품은 기술적인 용도로 생산된다. 잉크, 성능 향상 첨가제, 특수 도료나 사진 화학 재료가 그 예시이다. 일반적인 화학품은 무게당 가격이 매겨지는 데 반해, 정밀 화학 물질은 그 특성에 따른 효능에 따라 가격이 매겨진다. 단위 무게당 가격이 금보다 비싼 정밀 화학 물질도 있다. 특정 용도에 대한 특수 화학 약품은 시장에 의한 경쟁 원리가 작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제조 회사의 이익률은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4. 2. 생명 공학 (Biotechnology)
생명 공학 기술은 "화이트 바이오 기술"이라고도 불리며, 정밀화학 산업에서 점차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 분야에서는 주로 세 가지 핵심 공정 기술이 활용되는데, 이는 생물 촉매 작용, 생합성(특히 미생물 발효를 이용한 방식), 그리고 세포 배양 기술이다. 이러한 기술들은 기존의 화학 공정을 보완하거나 대체하며, 보다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인 생산 방식을 가능하게 한다.4. 2. 1. 생물 촉매 작용
정밀 화학 물질 생산에서 생물 촉매 작용은 효소나 미생물 등을 이용하여 화학 반응을 진행시키는 방법을 의미한다. 특히 단일 에난티오머와 같이 특정 입체화학 구조를 갖는 정밀 화학 물질의 상업적 중요성이 커지면서, 키랄 분자를 효율적으로 합성하는 기술이 중요해졌다. 키랄 분자를 합성하는 방법 중 하나인 입체 특이적 합성에서는 효소가 중요한 촉매로 사용된다. 효소는 특정 반응만을 선택적으로 촉진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높은 수율과 선택성으로 얻을 수 있게 하며, 이는 합성 BINAP과 같은 다른 키랄 촉매와 함께 자주 활용되는 방식이다.또한, 펩타이드와 같은 복잡한 분자를 합성할 때도 화학적 합성이나 천연물 추출 외에 생합성 방식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생명 공학 기술, 즉 생물 촉매를 활용하는 것은 다른 합성 기술과 비교했을 때 뚜렷한 경쟁 우위를 제공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다. 효소를 이용한 공정은 반응 효율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며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어, 정밀 화학 물질 생산 공정을 최적화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고려된다. 자연 상태의 효소뿐만 아니라 유전적으로 변형된 효소, 효소 추출물, 또는 전체 세포 시스템을 활용하여 원하는 소분자의 생산 효율을 높이는 것은 정밀 화학 산업에서 비용 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핵심 기술 중 하나로 여겨진다.
4. 2. 2. 생합성
정밀화학 물질은 분자 구조에 따라 저분자량(LMW) 제품과 고분자량(HMW) 제품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분자량 약 700을 기준으로 나뉜다. 소분자로도 불리는 LMW 정밀화학 물질은 여러 방법으로 생산되는데, 그중 하나가 미생물을 이용한 생합성이다.미생물에 의한 유기 물질의 정밀 화학 물질로의 전환, 즉 생합성은 발효나 생물전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 방법은 주로 소분자와 상대적으로 덜 복잡한 비당화 거대 분자(예: 펩타이드 및 일부 단백질) 생산에 사용된다. 현대 산업에서 미생물 생합성 공정을 통해 대량 생산되는 LMW 제품의 대표적인 예로는 글루탐산나트륨(MSG), 비타민 B2(리보플라빈), 비타민 C(아스코르브산) 등이 있다.
4. 2. 3. 세포 배양
wikitext5. 산업
정밀 화학 산업은 대량 생산되는 벌크 케미컬 산업과 특정 기능에 초점을 맞춘 특수 화학 산업 사이에 위치한다. 이 산업은 주로 두 가지 유형의 기업으로 구성되는데, 하나는 고객의 요구에 따라 정밀 화학 물질을 직접 생산하는 정밀 화학 회사(맞춤형 제조 회사 포함)이고, 다른 하나는 연구 개발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탁 연구 기관(CRO, 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이다.
정밀 화학 회사는 특정 용도를 위해 소량의 화학 물질을 수주 생산하거나 공정 개발, 시험 생산 등을 담당한다. 이는 표준화된 공정으로 대량 생산하는 벌크 케미컬과는 다른 특징이다. 위탁 연구 기관(CRO)은 특히 생명 과학 분야에서 신약 개발 초기 단계의 연구, 임상 시험 지원 등 전문적인 연구 개발 서비스를 제공하며 산업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정밀 화학 물질은 주로 의약품, 농약의 원료나 중간체, 또는 전자 재료, 기능성 염료와 같은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에 사용된다. 따라서 소량 다품종 생산 방식과 높은 기술 수준, 지속적인 연구 개발 투자가 요구되는 산업 분야이다.
5. 1. 정밀 화학 / 맞춤형 제조 회사 (Fine Chemical / Custom Manufacturing Companies)
"정밀 화학"이라는 용어는 1908년 이전에 사용되었다.[1] 정밀 화학 산업이 별개의 산업 분야로 등장한 것은 1970년대 후반으로, 타가메트(시메티딘)와 잔탁(라니티딘 염산염)과 같은 히스타민 H2 수용체 길항제가 큰 성공을 거두면서 시작되었다. 이 약물들의 성공은 제조에 필요한 고급 유기 화학 물질에 대한 강력한 수요를 창출했다. 당시 제약 회사였던 Smith, Kline & French(SKF)와 Glaxo(현재 글락소스미스클라인으로 합병)는 자체 생산 능력만으로는 빠르게 증가하는 수요를 감당할 수 없게 되자, 정교한 유기 분자 생산 경험이 있는 화학 회사들에게 제조의 일부를 아웃소싱하기 시작했다.스위스의 론자는 이미 SKF에 약물 개발 초기 중간체인 아세토아세트산 메틸을 공급하고 있었으며, 곧이어 더 복잡한 고급 전구체의 주요 공급업체로 부상했다.[2] SKF와 론자 간의 첫 공급 계약은 정밀 화학 산업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계기로 여겨진다. 이후 론자는 SKF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은 최초의 정밀 화학 회사가 되었다. 이와 유사하게 영국의 Fine Organics는 Glaxo가 잔탁이라는 이름으로 판매한 라니티딘의 티오에틸-N'-메틸-2-니트로-1,1-에텐디아민 부분을 공급했다.[3] 이탈리아의 F.I.S.는 스위스의 로슈와 협력하여 벤조디아제핀 계열 진정제인 리브리움(클로르디아제폭시드 HCl) 및 바리움(디아제팜)의 전구체를 맞춤 제조하는 등, 다른 제약 및 농화학 회사들도 점차 정밀 화학 물질 조달을 아웃소싱하는 추세를 따랐다.[4]
정밀 화학 회사는 공정 확장, 파일럿 플랜트(시험) 생산, 산업 규모의 독점 및 비독점 제조와 마케팅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이 산업은 높은 자산 집약도, 전용 공장이 아닌 다목적 공장에서의 캠페인별 배치 생산, 업계 평균 이상의 연구개발(R&D) 지출, 그리고 산업 고객과의 긴밀하고 다단계적이며 다기능적인 관계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새로운 제약 및 농화학 물질의 복잡성과 효능이 증가하고, 특히 생물 제약 제품이 등장하면서 정밀 화학 물질에 대한 수요와 산업의 발전이 더욱 촉진되었다. 과거에는 생명 과학 산업이 활성 성분의 자체 생산을 핵심 역량으로 여겼으나, 점차 용량 부족, 위험한 화학 공정의 필요성, 신제품 출시의 불확실성 등의 이유로 아웃소싱을 활용하는 경우가 늘어났다.
정밀 화학 물질은 과학 기술의 표준 반응을 통해 대량 생산되는 벌크 케미컬과 구별된다. 정밀 화학 물질은 특수한 용도를 위해 소량으로 수주 생산되며, 수요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매우 다양한 종류가 생산된다. 제조 과정에서는 원자 효율보다는 최종 제품의 특성이 더 중요하게 여겨질 때가 많다. 소량 생산과 빈번한 공정 변화로 인해 제조 비용이 높고, 많은 폐기물이 발생하며, 무게당 높은 연구 투자가 요구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밀 화학 물질은 연구실에서 소량 생산되는 연구용 화학 약품과는 달리 산업적인 규모로 생산된다.
새로운 의약품이 출시될 때, 해당 약물이나 그 중간체의 화학적 본질은 정밀 화학 물질과 유사하게 소량 생산된다. 생리 활성 물질은 공장에서 분리되어 분말 형태로 만들어진 후, 불활성 안료, 용매, 부형제 등과 혼합되어 정제 형태로 가공된다. 의약품이나 그 중간체를 정밀 화학 방식으로 제조할 때는 엄격한 작업 표준 준수가 필수적이며, 특히 미국에서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감독을 받는다.
특수 화학 약품은 잉크, 성능 향상 첨가제, 특수 도료, 사진 화학 재료 등 기술적인 용도로 생산된다. 일반적인 화학 물질이 무게당 가격이 매겨지는 것과 달리, 정밀 화학 물질은 그 특성과 효능에 따라 가격이 결정된다. 어떤 정밀 화학 물질은 단위 무게당 가격이 금보다 비싸기도 하다. 특정 용도에 맞춰진 특수 화학 약품은 시장 경쟁 원리가 작용하기 어려워 제조 회사의 이익률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정밀 화학 산업은 매우 분열되어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약 2000~3000개의 회사가 활동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회사들은 규모, 보유 자원, 화학 공정 기술의 복잡성 수준에 따라 대략 세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상위 20개 대기업, 중견 기업, 그리고 다수의 소규모 독립 기업들이다.
5. 2. 위탁 연구 기관 (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s)
계약 연구 기관(CRO, 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은 주로 생명 과학 산업에서 제품 개발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다. 전 세계적으로 2,000개 이상의 CRO가 활동하고 있으며, 전체 매출 규모는 200억달러를 넘어선다.CRO는 크게 '제품 CRO'와 '환자 CRO'로 나눌 수 있다. 위탁생산 기관(CMO)이 수십 톤에서 수백 톤 규모의 정밀화학 물질 생산을 위한 다목적 공장을 운영하는 것과 달리, 환자 CRO는 임상 시험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며, 제품 CRO는 주로 실험실 환경에서 연구 개발을 수행한다.
CRO 서비스의 주요 고객은 화이자, 글락소스미스클라인, 사노피-아벤티스, 아스트라제네카, 존슨앤존슨, 머크와 같은 대규모 글로벌 제약 회사들이다. 이 소수의 회사들이 전체 CRO 지출의 약 3분의 1을 차지할 정도로 영향력이 크다. 또한, 신약 개발 프로그램을 추진하지만 자원이 제한적인 생명공학 스타트업 기업들도 중요한 고객층이다.
제품 CRO(화학 CRO)는 주로 샘플 준비, 공정 연구 및 개발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100kg 규모의 파일럿 플랜트 운영과 관련해서는 CMO와의 역할 중복이 발생하기도 한다. 전 세계적으로 100개 이상의 제품 CRO가 있으며, 대부분 비상장 회사로 연간 매출은 1000만달러에서 2000만달러 미만 수준이다. 전체 제품 CRO 시장 규모는 15억달러에서 20억달러 정도로 추산된다.
다음은 지역별 주요 제품 CRO의 예시이다.
지역 | 주요 기업 |
---|---|
북미 | 알포라 (캐나다), 델마(Delmar) (캐나다), NAEJA (캐나다), 올바니 분자 연구 (미국), 앱튜이트 (미국), 케임브리지 메이저 (미국), 켐브리지 (미국), 이노센티브 (미국), 이릭스 제약 (미국), 팜에코 (미국) |
유럽 | 카보젠-암시스 (스위스), 켐콤 (독일), 켐디브 (러시아), 클라슨-카스 (덴마크), 에나민 (우크라이나), 기린두스 (독일), 네르비아노 의학 과학 (이탈리아), 레시팜 (스웨덴), 세리침 (이탈리아), 솔비아스 (스위스, 네덜란드) |
아시아 | 바이오듀로 (중국), 메디실론 (중국), 파마론 (중국), 우시 앱텍 (중국), 아코리스 (인도), 앱튜이트 라우루스 (인도), 바이오콘 / 싱진 (인도), 켐비오텍 (인도), 켐파트너 (인도), 프로시티우스 (인도), 나드 연구소 (일본), 리켄 (일본) |
CRO의 사업은 일반적으로 '서비스에 대한 지불'(fee-for-service) 방식으로 운영된다. 제조 회사처럼 제품 단위로 가격을 책정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고객의 과제를 위해 투입되는 연구 인력의 시간(FTE, Full-Time Equivalent)을 기준으로 비용을 청구한다.
계약 연구 및 제조 서비스(CRAMS, Contract Research and Manufacturing Services)를 모두 제공하는 회사도 있다. 이는 CRO가 제조 역량을 추가하거나(전방 통합), CMO가 연구 개발 역량을 추가하는(후방 통합) 방식으로 형성된다. 하지만 연구 개발 프로젝트의 상당수(90% 이상)가 초기 샘플 준비 단계에서 종료되는 등 실제적인 시너지 효과는 제한적이라는 시각도 있다. 일부 대형 정밀화학 회사들은 샘플 준비 서비스를 이익 창출보다는 마케팅 수단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환자 CRO(임상 CRO)는 신약 후보 물질의 임상 개발 및 임상 시험 관리 등 신약, 의사, 병원, 환자 사이의 임상 연구 부분을 담당한다. 제약 연구 개발 과정에서 임상 시험 비용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환자 CRO 시장은 제품 CRO 시장보다 규모가 훨씬 크다. 찰스 리버 연구소, 포트리아, 파렉셀, 제약 제품 개발, 킨타일즈 트랜스내셔널 (이상 미국), TCG 생명과학 (인도) 등 주요 환자 CRO 기업들의 매출은 10억달러에서 20억달러 수준에 달한다. 반면, 가장 큰 제품 CRO의 매출은 수억 달러 수준이다.
6. 연구 개발 (Research and development)
정밀화학 연구 개발(R&D)은 순수 연구보다는 개발에 더 큰 비중을 둔다. 주요 과제는 다음과 같다.[19]
# 새로운 제품이나 공정에 대한 실험실 절차를 설계하고, 맞춤형 제조의 경우 이를 복제 및 적용하며 개발하는 것.
# 실험실에서 파일럿 플랜트를 거쳐 산업 규모로 공정을 이전하는 것 (예: 10g 샘플에서 1ton 배치로의 규모 확대 계수는 100,000에 달한다).
# 기존 공정을 최적화하는 것.
이 모든 과정에서는 경제성, 시간 제약, 안전, 환경 및 지속 가능성이라는 네 가지 중요한 제약 조건을 준수해야 한다.[19]
정밀화학 산업의 R&D 지출은 벌크 케미컬 산업보다 높다. 매출의 약 5~10%를 R&D에 투자하며, 이는 벌크 케미컬 산업의 2~5%보다 높은 수준이다. 이는 정밀 화학 제품의 수명 주기가 상품보다 짧아 지속적인 제품 혁신이 필요하고, 제품의 복잡성이 높으며 규제 요구 사항이 더 엄격하기 때문이다.
R&D 부서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관리하여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한다.[19]
- '''문헌 및 특허 조사''': 연구 결과를 주기적으로 검토하여 지적 재산권(IPR)을 보호하고 특허 출원 여부를 결정한다. 특히 제네릭 의약품용 주성분 원료의약품(API) 개발 가능성을 평가하는 데 특허 조사가 중요하다.
- '''공정 연구''': 새로운 합성 경로를 설계한다. 단순 분자는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출발 물질에서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반응물을 첨가하는 "바텀업(bottom-up)" 접근 방식을 사용한다. 복잡한 분자는 목표 분자를 조각내어 각 단편을 합성한 후 결합하는 역합성(retrosynthesis) 또는 "톱다운(top-down)" 접근 방식을 사용한다.
- '''공정 개발''': 새롭고 효율적이며 안정적이고 안전하며 확장 가능한 합성 경로 설계를 목표로 한다. 이는 공정 연구와 상업 생산 사이의 필수적인 연결 고리이며, 결과물인 "기본 공정"은 원자재 및 제품 사양 결정, 파일럿 플랜트 제조, 생태학적 영향 평가, 규제 제출, 산업 규모로의 기술 이전 및 제조 비용 추정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고객이 기본 공정을 제공하는 경우, 이를 생산 라인 특성에 맞게 최적화해야 한다.
- '''벤치 규모 실험실, kg-lab 및 파일럿 플랜트 개발''':[19] 필요한 양에 따라 다른 규모의 장비를 사용한다. (벤치 규모: g ~ 100g, 킬로 랩: kg ~ 10kg, 파일럿 플랜트: 100kg ~ t) 실험실 규모 공정의 특징(다수의 단위 조작, 희석된 반응 혼합물, 대량 용매 사용 등)은 산업 규모 생산에 적합하지 않으므로, 파일럿 플랜트 단계에서 공정의 실현 가능성을 검증하고 시장 개발 및 임상 시험용 샘플을 제조하며 산업 규모 생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파일럿 플랜트는 반응 용기 크기(~100–2500리터)와 자동화 정도를 제외하면 산업용 다목적 플랜트와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산업 규모 플랜트로 이전하기 전에 실험실 공정을 파일럿 플랜트 조건에 맞게 조정하고, 위험 및 운전성 분석(HAZOP)을 수행하며, 시연 배치를 실행해야 한다. 실험실 합성과 산업 규모 생산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우수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cGMP)을 따라야 하는 정밀 화학 물질의 경우, 공정 설계, 공정 자격, 지속적인 공정 검증으로 구성된 공정 검증이 추가로 필요하다.
- '''공정 최적화''': 산업 규모 생산이 성공적으로 시작된 후, 경제성을 개선하기 위해 공정을 최적화한다. 일반적으로 연간 생산량이 두 배가 될 때마다 매출 원가(COGS)를 10-20% 절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기존 합성법 개선부터 완전히 새로운 2세대 공정 탐색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전체 수율 증가, 단계 수 감소, 원자재/용매/촉매/효소 비용 절감, 환경 영향 감소 등을 고려한다.
새로운 연구 프로젝트 아이디어는 주로 연구자 자신("공급 주도") 또는 고객("수요 견인")으로부터 나온다. 일반적으로 새로운 공정 아이디어는 연구자로부터, 새로운 제품 아이디어는 고객으로부터 비롯되며, 특히 주문 제조에서는 "수요 견인" 방식이 일반적이다. "신제품 위원회"는 새로운 연구 활동을 평가하고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며, 프로젝트 착수, 재평가, 중단 여부를 결정한다.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책임은 프로젝트 챔피언이 지며, 기술적 성공은 프로젝트 매니저가 책임진다. 주문 제조 프로젝트는 일반적으로 고객의 요구사항이 담긴 "기술 패키지"를 기반으로 시작된다. 기술 패키지에는 반응 개요, 프로젝트 목표, 분석 방법, 공정 개발 기회, 안전/보건/환경(SHE) 문제, 고객 제공 물질, 포장 및 배송 정보 등이 포함된다. 프로젝트 기간은 기술 패키지의 정보 품질과 프로젝트 복잡성에 따라 12개월에서 24개월 정도 소요될 수 있으며, 예산은 수백만 달러에 달할 수 있다.
정밀 화학 물질은 표준 반응으로 대량 생산되는 벌크 케미컬과 달리, 특수한 용도로 소량 수주 생산된다. 이로 인해 제조 비용이 더 높고, 많은 폐기물이 발생하며, 단위 무게당 높은 연구 투자가 필요하다. 하지만 연구실에서 소량 생산되는 연구용 화학 약품과는 달리 산업적 규모로 생산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7. 시장 (Markets)
정밀화학 물질은 특수 화학 물질의 출발 물질로 사용되며, 주로 제약, 농화학, 식품 및 사료 산업과 같은 생명 과학 분야에서 주요하게 소비된다. 화학 산업 내에서 정밀화학 산업은 대량 생산되는 범용 화학 물질과 최종 용도에 맞게 제형화되는 특수 화학 물질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정밀화학 시장에 참여하는 기업들은 제공하는 서비스에 따라 크게 몇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표준 제품과 독점 제품의 산업적 생산을 담당하는 정밀화학 회사가 있으며, 특히 고객사의 요청에 따라 독점적인 화학 물질을 생산하는 경우 맞춤형 제조 기관(CMO, Custom Manufacturing Organization)으로 불리기도 한다. 반면, 위탁 연구 기관(CRO, 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은 주로 연구 개발 단계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실험실 규모의 연구에 집중한다. 이 두 가지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위탁 연구 및 제조 기관(CRAMS, Contract Research and Manufacturing Services)도 존재한다.[14]
정밀화학 산업, 특히 제약 관련 정밀화학 물질 생산은 매우 엄격한 규제를 받는다.[15] 대표적인 규제 기관으로는 미국의 식품의약국(FDA), 중국의 국가식품약품감독관리국(SFDA), 유럽의 유럽 의약품청(EMEA) 등이 있다. 이 기관들은 우수 의약품 제조 관리 기준(GMP)과 같은 포괄적인 감독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하며, 의약품 등록 및 허가 기준을 관리한다. 또한, 화학 물질의 등록, 평가, 허가 및 제한(REACH) 규정이나 미국 약전(USP)[16]과 같은 품질 표준 역시 전 세계적으로 준수되어야 하는 중요한 규제 요소이다. 이러한 규제 환경은 정밀화학 시장의 진입 장벽으로 작용하기도 하지만, 제품의 안전성과 품질을 보증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밀화학 시장의 구체적인 규모, 주요 목표 시장 및 제품/서비스 유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어지는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7. 1. 시장 규모 (Market size)
정밀화학은 전체 화학 물질의 약 4%를 차지한다. 전체 화학 물질 시장은 2.5조달러 규모로 추정되며, 이는 주로 석유, 가스, 광물 유래 상품(약 40%)과 다양한 특수 화학 물질(약 55%)로 구성된다. 정밀화학의 세계 생산 가치는 약 850억달러로 추산된다. 이 중 약 2/3에 해당하는 550억달러는 기업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생산되어 소비되고(자가 생산), 나머지 300억달러가 정밀화학 산업의 세계적인 상업적 매출 규모를 나타낸다. 주요 사용자인 제약 산업의 경우, 정밀화학 물질 생산 가치는 550억달러이며, 이 중 320억달러는 제약 회사가 자체 생산하고 230억달러는 외부에서 구매하는 상업 시장 규모에 해당한다. 다만, 통계 데이터 부족과 정밀화학의 정의가 다소 모호한 점 등 여러 이유로 인해 정확한 시장 규모를 파악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구분 | 규모 (10억 달러) | |||
---|---|---|---|---|
총 생산 가치 | 자가 생산 | 상업 시장 | ||
생명 과학 | 제약 | 550억달러 | 320억달러 | 230억달러 |
농화학 | 150억달러 | 110억달러 | 40억달러 | |
기타 특수 화학 물질 | 150억달러 | 100억달러 | 50억달러 | |
전체 정밀 화학 산업 | 850억달러 | 530억달러 | 320억달러 |
위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약 850억달러 규모의 정밀화학 시장은 주요 응용 분야인 제약, 농화학, 그리고 그 외 특수 화학 물질 분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자가 생산과 상업 시장으로 구분된다. 제약용 정밀 화학 물질(PFC, Pharmaceutical Fine Chemicals)은 전체 시장의 약 2/3를 차지하며 가장 큰 비중을 보인다. PFC의 총 생산 가치 550억달러 중 약 40%인 230억달러가 상업 시장에서 거래되고, 나머지 60%인 320억달러는 제약 산업 내에서 자체적으로 생산된다. 생명 과학 분야 내에서는 제약 다음으로 농업용 정밀 화학 물질(총 150억달러)과 동물 의약품 등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제약 및 농화학 외의 다양한 특수 화학 물질에 사용되는 정밀 화학 물질의 생산 가치는 약 150억달러로 추산된다. 이 분야의 주요 기업들인 악조노벨, 다우 케미컬, 듀폰, 에보닉, 켐추라, 미쓰비시 등은 수직 계열화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자체 생산 비중이 약 75%(100억달러)에 달하며 상업 시장 규모는 약 50억달러 정도로 추정된다.
7. 2. 목표 시장 (Target markets)
정밀화학 물질은 특수 화학 물질을 만드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원료로 사용된다. 이 특수 화학 물질은 직접 제품에 사용되거나, 화학적 또는 생화학적 과정을 거쳐 특정 기능을 가진 활성 물질로 만들어진다. 정밀화학 물질의 주요 소비자는 생명 과학 분야이며, 특히 제약, 농화학, 그리고 식품 및 사료 산업이 중요한 시장을 형성한다.7. 2. 1. 제약 (Pharmaceuticals)
정밀화학 산업에서 제약 산업은 가장 중요한 고객 기반을 형성한다.[17] 미국의 화이자(Pfizer), 스위스의 호프만-라 로슈(Hoffmann–La Roche), 영국의 글락소스미스클라인(GlaxoSmithKline), 프랑스의 사노피 아벤티스(Sanofi Aventis), 스위스의 노바티스(Novartis) 등이 대표적인 글로벌 제약 기업이다. 이들은 연구 개발부터 제조, 마케팅까지 전 과정을 수행한다. 현재 약 2,000가지 이상의 다양한 활성 제약 성분(API)을 포함한 의약품이 시중에 판매되고 있으며, 이 중 상당수는 정밀화학 산업을 통해 공급된다. 제약 산업은 평균 이상의 성장세를 보이는 분야이기도 하다.의약품에 사용되는 정밀화학 물질은 점차 복잡한 구조를 가지는 경향이 있다. 과거 방향족 화합물이 생명 과학 제품의 구성 요소로서 많이 사용되었으나, 오늘날에는 질소를 포함하는 헤테로고리 화합물, 즉 N-헤테로고리 구조가 의약품과 농약 모두에서 널리 사용된다. 예를 들어, 페니실린과 세팔로스포린 계열 항생제의 핵심 구조인 β-락탐, 항궤양제 타가메트(시메티딘) 및 넥시움(오메프라졸)이나 항진균제 닥타린(미코나졸) 등에 포함된 이미다졸, 고혈압 치료제인 "사르탄" 계열(칸데사르탄, 이르베사르탄, 코자르(로사르탄), 디오반(발사르탄))의 핵심 부분인 테트라졸 등이 대표적이다. 또한 피리미딘 구조는 비타민 B1(티아민)이나 설폰아미드 항생제 등에서 발견되며, 벤조디아제핀 유도체는 바리움(디아제팜)과 같은 중추신경계 약물의 핵심 구조이다. 피리딘 유도체는 현대 니코티노이드 살충제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최근에는 분자량이 큰 '''빅 분자'''(Big molecules), 즉 '고분자량'(HMW) 분자가 신약 개발에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는 주로 펩타이드, 단백질,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한다.
- '''펩타이드와 단백질''': 아미노산이 펩타이드 결합(카복스아미드기)으로 연결된 올리고머 또는 중합체이다.[5] 일반적으로 아미노산 약 50개를 기준으로 그보다 짧으면 펩타이드, 길면 단백질로 구분한다. 이들의 독특한 생물학적 기능 때문에 신약 발견 및 개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고 있다. 펩타이드 합성은 아미노산(시작 물질), 보호된 아미노산, 펩타이드 단편 등 소위 펩타이드 빌딩 블록(PBB)을 이용하며, 이 과정에서 분자량은 약 102에서 104으로, 단가는 킬로그램당 약 100USD에서 10만달러까지 증가한다. 알라프릴(lisinopril), 캡토릴(captopril) 등 "-프릴" 계열 심혈관 약물은 다이펩타이드 (L-알라닐-L-프롤린) 부분을 포함하며, 인공 감미료 아스파탐 역시 다이펩타이드이다. 분자량이 약 7000에 달하는 항응고제 히루딘은 65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다. 의약품 외에도 펩타이드는 진단 및 백신에도 사용된다. 화학적으로 합성된 순수 펩타이드(아스파탐 제외)의 총 생산량은 약 1500kg이며, API 수준 매출은 약 5억달러, 완제품 의약품 수준 매출은 100억달러에 이른다. 주요 펩타이드 계약 제조업체로는 바쳠(스위스), 론자(스위스), 폴리펩타이드(덴마크) 등이 있다.
- '''단백질''': 분자량이 100,000을 초과하는 "초고분자량" 유기 화합물로, 모든 생물 세포와 바이러스의 구조와 기능에 필수적이다. 주로 포유류 세포 배양과 같은 고급 생명공학 공정으로 생산된다. 단클론 항체(mAb)는 인공 단백질 중 가장 중요한 유형이며, EPO(비노크릿, 네오레코몬 등), 엔브렐(에타너셉트), 레미케이드(인플릭시맙), 맙테라/리툭산(리툭시맙), 허셉틴(트라스투주맙) 등이 대표적인 단백질 의약품이다. PEGylation 기술은 펩타이드 및 단백질 약물의 투여 방식을 개선(주사→경구)하고 투여 횟수를 줄여 치료 비용 절감에 기여한다.
-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뉴클레오타이드의 올리고머(짧은 사슬 중합체)이다. 뉴클레오타이드는 5탄당, 질소 염기, 인산기로 구성된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는 화학적으로 합성되며, 최대 길이는 보통 200 뉴클레오티드 성분을 거의 넘지 않는다. 현재 기초 연구, 약물 표적 검증, 약물 발견 및 치료 개발에 활용되며, 향후 유전자 치료(안티센스 약물), 질병 예방 등에서 잠재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항체-약물 접합체 (ADC)'''는 작은 분자(API)와 빅 분자(주로 단클론 항체)의 조합이다. 작은 분자 부분은 매우 강력한 세포 독성 약물이며, 단클론 항체는 이 약물을 표적 세포(주로 암세포)로 특이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항체 자체는 치료 효과가 거의 없거나 없지만, 약물의 표적 지향성을 높여준다. 최초로 상업화된 ADC는 아이시스의 포미비르센이었고, 이후 화이자의 마이로타르그(젬투주맙 오조가미신) 등이 개발되었다.
정밀화학 산업은 특히 연간 전 세계 매출액이 10억달러 이상인 소위 '블록버스터 의약품'에 주목한다. 블록버스터 의약품의 수는 꾸준히 증가해왔다. 2010년 기준 상위 10개 블록버스터 의약품과 매출은 다음과 같다.
순위 | 브랜드 | API | 회사 | 2010년 매출 (10억 달러) |
---|---|---|---|---|
1 | 리피토 (Lipitor) | 아토르바스타틴 | 화이자 | 118억달러 |
2 | 플라빅스 (Plavix) | 클로피도그렐 |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퀴브, 사노피-아벤티스 | 94억달러 |
3 | 레미케이드 (Remicade)* | 인플릭시맙 | J&J, 머크, 미쓰비시, 타나베 | 80억달러 |
4 | 애드베어/ 세레타이드 (Advair/ Seretide) | 살메테롤 + 플루티카손 | 글락소스미스클라인 | 80억달러 |
5 | 엔브렐 (Enbrel)* | 에타너셉트 | 암젠, 화이자, 다케다 | 74억달러 |
6 | 아바스틴 (Avastin)* | 베바시주맙 | 로슈 | 68억달러 |
7 | 아빌리파이 (Abilify) | 아리피프라졸 |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퀴브, 오츠카 | 68억달러 |
8 | 맙테라/ 리툭산 (Mabthera/ Rituxan)* | 리툭시맙 | 로슈 | 67억달러 |
9 | 휴미라 (Humira)* | 아달리무맙 | 애브비(이전: 애보트) | 65억달러 |
10 | 디오반 & 코-디오반 (Diovan & Co-Diovan) | 발사르탄 | 노바티스 | 61억달러 |
상위 10개 총합 | 775억달러 |
- ''이탤릭체'': 바이오 의약품 (고분자량)
상위 10개 의약품 중 5개가 바이오 의약품이며, 이는 2005년에는 하나도 없었던 것과 비교하면 큰 변화이다. 나머지 저분자(LMW) API들은 평균 분자량이 477 정도로, 3개의 고리 구조를 포함하는 등 상당히 복잡한 구조를 가진 경우가 많다. 이 중 10개는 최소 하나 이상의 N-헤테로고리 구조를 포함한다. 한편, 특허가 만료된 비특허 의약품 중 가장 많이 판매되는 것들로는 파라세타몰, 오메프라졸, 에티닐에스트라디올, 아목시실린 등이 있다.
제약 산업 내 기업 유형에 따라 정밀화학 산업과의 관계도 달라진다.
- '''혁신적 제약 회사''': 주로 자체적으로 개발한 특허 의약품 물질 생산을 위해 정밀화학 회사에 맞춤형 제조(Custom Manufacturing, CM) 서비스를 의뢰한다. 이러한 아웃소싱 수요는 신약 출시 건수, 필요한 생산량, 그리고 각 제약사의 "제조 또는 구매(make-or-buy)" 전략에 따라 결정된다. 제약사 입장에서 API 제조를 아웃소싱하는 것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다.
뉴욕 시립 대학교 스턴 경영 대학원의 연구에 따르면, 재정적 측면에서는 아웃소싱("구매")이 유리한 경우가 많다.[21]
- '''제네릭 회사''': 특허가 만료된 의약품의 복제약을 생산한다. 테바 제약(Teva)과 산도스(Sandoz)가 이 분야의 대표적인 선두 기업이다. 이들은 단순히 복제약만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자체 특허 의약품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강력한 수직 계열화를 이루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제네릭 회사들과 차별화된다. 또한, 성장 가능성이 높은 바이오시밀러 시장에서도 경쟁을 벌이고 있다.
- '''소규모 또는 가상 제약 회사''': 수천 개에 달하며, 주로 소수의 주요 화합물에 대한 연구 개발(R&D)에 집중한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대부분 학계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설립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들의 R&D 전략은 합성 방법 개발보다는 질병의 생물학적 원인을 규명하는 데 더 초점을 맞춘다.
이러한 제약 관련 정밀화학 물질 생산에는 화학 합성 외에도 생명공학 기술이 중요하게 활용된다. 특히 생물 촉매 작용(효소 촉매), 생합성(발효), 세포 배양 기술이 활발히 사용된다. 키랄 화합물 합성에 효소를 이용하는 생물 촉매 작용은 전통적인 유기 합성과 비교할 때 공정을 단축하고, 에너지 소비가 적으며, 폐기물 발생이 적어 환경적, 경제적으로 매력적이다. 특히 키랄 중심이 있는 분자 합성에 효과적이며, (+)-α-페닐에틸아민과 같은 키랄 화합물의 분리 및 정제 과정을 대체하여 높은 수율과 거울상 이성질체 과잉(ee)을 얻을 수 있다.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의 블록버스터 약물 크레스토어(로수바스타틴), 화이자(Pfizer)의 리피토어(아토르바스타틴) 중간체 생산, 머크 앤 컴퍼니(Merck & Co.)의 싱귤레어(몬테루카스트) 합성 과정에서 값비싼 화학 시약 대신 케토환원효소를 사용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생합성, 즉 미생물을 이용한 유기 물질 전환은 소분자 및 덜 복잡한 비당화 거대 분자(펩타이드, 단백질 등) 생산에 사용된다. 비타민 B2(리보플라빈)의 경우, 기존의 복잡한 화학 합성 공정이 미생물을 이용한 1단계 공정으로 대체되어 폐기물을 95% 줄이고 제조 비용을 약 50% 절감했다. 페니실린을 비롯한 많은 항생제(세팔로스포린, 스트렙토마이신, 테트라사이클린 등)도 미생물 발효를 통해 대량 생산된다.
세포 배양, 특히 포유류 세포 배양은 인터페론, 인슐린, 소마토트로핀과 같은 바이오 의약품(복잡한 거대 분자 치료 단백질) 생산에 주로 사용된다.[11] 생산량은 적지만 부가가치가 매우 높다. 다만, 포유류 세포는 민감하고 성장 속도가 느려 생산 공정이 까다롭고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7. 2. 2. 농화학 (Agrochemicals)
농화학 산업은 제약 산업 다음으로 정밀화학 물질의 주요 수요처이다. 지난 10~20년간 활발한 인수 합병(M&A) 결과, 농화학 산업은 제약 산업보다 더 높은 수준의 통합을 이루었다. 신젠타(Syngenta, 스위스), 바이엘 크롭사이언스(Bayer Cropsciences, 독일), 몬산토(Monsanto, 미국), BASF 작물 보호(BASF Crop Protection, 독일), 다우 아그로사이언스(Dow Agrosciences, 미국) 등이 주도하는 상위 10개 기업이 2010년 기준 세계 살충제 생산량(200만 톤 / 485억달러)의 약 95%를 차지한다.1990년대 이후 연구개발(R&D)은 주로 유전자 변형(GM) 종자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인다. 몬산토나 듀폰의 종자 자회사인 파이오니어 하이-브레드(Pioneer Hi-Bred) 같은 경우, GM 종자 사업이 이미 전체 매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2000년부터 2009년까지 100개의 새로운 저분자량(LMW) 농약이 출시되었으나, 연 매출 1억달러 이상을 달성한 제품은 8개에 불과했다.
제네릭은 제약 산업에서보다 농화학 산업에서 더 큰 비중을 차지하며, 세계 시장의 약 70%에 달한다. 켐차이나(China National Chemical Corp, a.k.a. ChemChina Group)는 세계 최대의 제네릭 농약 공급업체이며, 마흐테심 아간(Mahkteshim Agan, 이스라엘)과 케미노바(Cheminova, 덴마크)가 그 뒤를 잇는다. 이들 외에도 주로 인도와 중국에 연 매출 5000만달러 미만의 소규모 회사 수백 개가 존재한다. 활성 성분 비용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33%로 의약품보다 훨씬 높다. 농약 소비와 가격은 작물 수확량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 조건에 따라 해마다 크게 변동하며, 이는 공급업체에도 영향을 미친다.
현대 농약의 분자 구조는 과거 제품보다 훨씬 복잡해졌지만, 제약 분야의 분자 구조보다는 덜 복잡한 편이다.[23] 상위 10개 농약 제품의 평균 분자량은 330인 반면, 상위 10개 의약품의 평균 분자량은 477이다. 제약 정밀화학 합성에 비해 아지드화나트륨, 할로겐, 메틸 설파이드, 포스겐, 인산염과 같은 유해 화학 물질이 더 자주 사용된다. 농약 회사들은 때때로 전문 장비가 필요한 이러한 공정을 외부 업체에 위탁(톨 컨버전)하기도 한다. 자연 발생 피레트럼의 광안정성 변형인 피레스로이드 계열을 제외하면, 농약 활성 성분이 키랄성을 갖는 경우는 드물다.
주요 농약 제품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제초제''': 오랫동안 세계 판매 1위를 기록한 몬산토의 라운드업(글리포세이트)이 대표적이며, 신젠타의 메소트리온(사이클로헥사디온계)과 파라콰트 디클로라이드 등도 있다.
- '''살충제''': 말라티온과 같은 전통적인 유기인산염계 살충제나 γ-사이할로트린 같은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와 더불어, 바이엘의 이미다클로프리드, 신젠타의 티아메톡삼, BASF의 피프로닐과 같은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듀폰의 광범위 살충제인 클로란타닐리프롤(안트라닐산 디아미드계)도 중요한 제품이다.
- '''살균제''': 스트로빌루린계 살균제가 빠르게 성장하여 세계 살균제 시장(100억달러 규모)의 30% 이상을 차지한다. 신젠타의 아족시스트로빈이 이 계열 최초 제품이며, BASF의 피라클로스트로빈, 크레속심-메틸 등도 주요 제품이다. 바이엘 크롭사이언스, 몬산토 등도 관련 신물질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 '''복합 살충제''': 몬산토의 제뉴이티나 스마트스택스와 같이 여러 성분을 혼합한 제품의 사용도 증가하고 있다.
7. 2. 3. 기타 특수 화학 산업 (Other specialty chemical industries)
생명 과학 분야 외에도, 활성 성분이나 정밀 화학 물질 형태의 특수 화학 물질은 생물 살충제나 부식 방지제와 같은 산업 응용 분야 및 개인 위생 용품이나 가정용 제품 같은 소비자 응용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활성 성분은 액정 디스플레이(LCD)에 사용되는 고가/소량 정밀 화학 물질부터 사료 첨가제로 사용되는 대량/저가 아미노산까지 다양하다.산업 | 판매액(10억 달러) | 매력도 | 제품 |
---|---|---|---|
동물의약품 | ~ 200억달러 | ♦♦♦ | 사람 의약품에서 파생된 경우가 많다(예: "강아지 프로작"으로 불리는 Reconzile). 기생충 구제제가 가장 큰 제품 범주이며, 양식업의 성장 전망이 좋다. |
접착제 및 실런트 | ~ 600억달러 | ♦♦ | 가정용 종이 접착부터 전자 부품, 자동차 및 항공기 조립용 첨단 특수 제품까지 용도가 다양하다. |
생물 살충제 | ~ 30억달러 | ♦ | 목재 보존 및 수처리가 가장 큰 응용 분야이다. 활성 성분(AI)은 주로 상품(commodity)이다. |
촉매 및 효소 | ~ 150억달러 | ♦ | 촉매(자동차, 폴리머, 석유 가공, 화학 물질)와 효소(세제/기술 효소, 식품 및 사료)의 비율은 약 80:20이다. |
염료 및 안료 | ~ 100억달러 | ♦ | 대부분 글루타르산과 같은 대량 방향족 화합물에 기반한다. 아시아 염료 생산량은 연간 100만ton 이상이다. 색상 변화 안료와 같은 일부 틈새 제품도 있다. |
전자 화학 물질 | ~ 300억달러 | ♦♦♦ | 에칭용 옥타플루오로사이클로부탄과 같은 정밀 화학 물질 수요가 상당하며 증가하고 있다. 액정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용으로도 사용된다. |
향료 및 향수 | ~ 200억달러 | ♦♦ | 약 3000개의 분자가 사용된다. 예: (-)-멘톨 [20k], 다환 사향 [10k], 바닐린, 리날룰, 제라니올, 헤테로고리, 2-페닐에탄올. |
식품 및 사료 첨가제 | 400억달러-500억달러 | ♦♦ | 주로 아미노산(L-라이신 [100만ton], L-메티오닌 등), 비타민(비타민 C [> 100k], 나이아신, 리보플라빈 등), 인공 감미료(아스파탐, 스플렌다) 및 카로티노이드이다. |
특수 폴리머 | 해당 없음 | ♦♦ | 항공우주 분야: 불소화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30k],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PEEK), 폴리이미드. 정밀 부품: 아라미드 [25k], 폴리벤즈이미다졸. |
정밀 화학 상업 시장 규모, 성장 잠재력
위 표는 접착제부터 특수 폴리머까지 8개 분야의 응용 사례를 보여준다. 전반적으로 이 분야들에서 정밀 화학 산업의 매력은 생명 과학 산업보다 낮다고 평가된다. 완제품 판매액 기준 총 시장 규모는 1500억달러에서 2000억달러 사이로, 제약 시장의 약 1/4 수준이다. 여기에 포함된 정밀 화학 물질의 가치는 약 150억달러로 추산된다. 또한 네덜란드의 악조노벨, 일본의 아지노모토, 프랑스의 다논, 대만의 에버라이트 케미컬 인더스트리얼(Everlight Chemical Industrial Corp.), 독일의 에보닉 데구사, 스위스의 지보단 및 네슬레, 덴마크의 노보자임스, 미국의 프록터 앤드 갬블(P&G) 및 유니레버와 같은 주요 기업들의 수직 통합도 고려해야 할 점이다. 마지막으로, 이 분야의 혁신은 새로운 정밀 화학 물질 개발보다는 기존 제품의 새로운 제형 개발에 더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다. 이는 인간 건강과 직접 관련되지 않은 응용 분야에서 더 두드러지는데, 신규 화학 물질(NCE)이 매우 광범위한 테스트를 거쳐야 하는 제약 분야와는 대조적이다.
특수 화학 약품은 잉크, 성능 향상 첨가제, 특수 도료, 사진 화학 재료 등 기술적인 용도로 생산된다. 일반적인 화학품이 무게당 가격이 매겨지는 것과 달리, 특수 화학 약품은 그 특성에 따른 효능에 따라 가격이 결정된다. 단위 무게당 가격이 금보다 비싼 특수 화학 약품도 존재한다. 특정 용도에 맞춰진 특수 화학 약품은 시장 경쟁 원리가 작용하기 어려워, 제조 회사의 이익률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7. 3. 목표 제품 및 서비스 (Target products and services)
분자 구조 측면에서 정밀화학 물질은 저분자량(LMW, Low Molecular Weight) 제품과 고분자량(HMW, High Molecular Weight) 제품으로 나눌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분자량 약 700을 기준으로 구분한다.- 저분자량(LMW) 정밀화학 물질: 소분자라고도 불리며, 전통적인 화학 합성,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 또는 생물전환, 식물 및 동물로부터의 추출을 통해 생산된다. 특히 현대 생명 과학 제품 생산에서는 석유화학 물질로부터의 완전 합성이 주를 이룬다. LMW 제품 중에서는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고리 구조 화합물(N-헤테로고리 화합물)이 가장 중요한 범주이다.
- 고분자량(HMW) 정밀화학 물질: 대분자라고도 하며, 주로 생명공학 공정을 통해 얻어진다. 펩타이드와 단백질이 대표적인 HMW 정밀화학 물질이다.
정밀화학 물질은 그 자체로 최종 제품이 되기보다는, 특수 화학 물질을 만드는 데 필요한 출발 물질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만들어진 특수 화학 물질은 직접 제형화되거나 추가적인 화학적 또는 생화학적 변환을 거쳐 활성 성분으로 사용된다.
정밀화학 물질의 주요 소비처는 생명 과학 분야이며, 특히 제약, 농화학, 식품 및 사료 산업에서 많이 사용된다.
7. 3. 1. 맞춤형 제조 (Custom manufacturing)
정밀화학 산업이 별개의 산업 분야로 등장한 것은 1970년대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타가메트 (시메티딘)와 잔탁 (라니티딘 염산염)과 같은 히스타민 H2 수용체 길항제가 큰 성공을 거두면서, 이들 의약품 제조에 필요한 고급 유기 화학 물질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했다. 제약 회사인 Smith, Kline, & French(SKF)와 Glaxo(현재는 합병하여 글락소스미스클라인)는 자체 생산 능력만으로는 빠르게 늘어나는 수요를 감당하기 어려워졌다. 이에 따라 두 회사는 비교적 정교한 유기 분자 생산 경험을 가진 화학 회사에 제조 과정의 일부를 아웃소싱하기 시작했다. 스위스의 론자는 이미 타가메트 개발 초기 단계에서 중간체인 아세토아세트산 메틸을 공급하고 있었으며, 점차 더 복잡한 고급 전구체의 주요 공급업체가 되었다.[2] SKF와 론자 간의 첫 공급 계약 체결은 정밀화학 산업, 특히 맞춤형 제조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사건으로 여겨진다.이후 몇 년 동안 맞춤형 제조 사업은 더욱 발전했다. 론자는 SKF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은 최초의 정밀화학 회사가 되었다. 비슷한 시기에 영국의 Fine Organics는 글락소가 잔탁이라는 상품명으로 판매한 두 번째 H2 수용체 길항제, 라니티딘의 핵심 부분인 티오에틸-N'-메틸-2-니트로-1,1-에텐디아민 제조를 맡았다.[3] 다른 주요 제약 및 농화학 회사들도 점차 이러한 흐름에 동참하여 정밀화학 물질 조달을 외부 전문 기업에 맡기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이탈리아의 F.I.S.는 스위스의 호프만–라 로슈와 협력하여 벤조디아제핀 계열 신경안정제인 리브리움(클로르디아제폭시드 염산염) 및 바리움(디아제팜)의 맞춤형 제조 전구체를 생산했다.[4]
새로운 제약 및 농화학 물질의 복잡성과 효능이 증가하면서, 특정 제품만을 위한 전용 생산 시설보다는 다양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다목적 공장의 필요성이 커졌다. 특히 최근 생물학적 제제 기반의 의약품(바이오의약품)이 등장하면서 이러한 경향은 더욱 뚜렷해졌다. 이는 정밀화학 물질에 대한 수요 증가와 함께 정밀화학 산업이 독립적인 분야로 성장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과거 생명과학 기업들은 활성 성분의 자체 생산을 핵심 역량으로 여겼고, 아웃소싱은 생산 능력 부족, 위험한 화학 공정 필요, 신제품의 성공 불확실성 등 예외적인 경우에만 고려되었다. 그러나 점차 아웃소싱은 정밀화학 산업의 중요한 사업 모델로 자리 잡게 되었다.
7. 3. 2. 표준 제품 (Standard products)
제네릭 의약품(복제약) 생산에 사용되는 활성 의약품 성분(API, 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은 비독점적인 표준 정밀화학 제품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이러한 표준 제품은 맞춤형 제조 제품 다음으로 정밀화학 산업에서 중요한 판매처를 구성한다. 2010년 기준으로 제네릭 의약품의 세계 판매액은 약 1000억달러에 달하며, 이는 전체 제약 시장의 10%를 조금 넘는 규모이다. 그러나 제네릭 의약품은 일반적으로 독점 의약품보다 단위 가격이 훨씬 낮기 때문에, API의 부피 기준으로 보면 시장 점유율은 30%에 가까울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제네릭 API와 같은 표준화된 정밀화학 제품이 상당한 규모로 생산 및 거래되고 있음을 보여준다.8. 재무 (Financials)
정밀화학 산업의 재무적 측면은 높은 초기 투자 비용, 복잡한 제조 비용 구조, 그리고 변동성이 큰 수익성으로 특징지어진다. 이러한 재무 요소들은 정밀화학 기업의 운영과 성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주요 재무적 고려 사항은 다음과 같다.
- '''투자 비용''': 주로 다목적 공장 건설 및 설비 구축과 관련된 비용이다. 초기 투자 규모가 크지만, 생산 규모가 커짐에 따라 규모의 경제 효과를 통해 단위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공장의 지리적 위치, 자동화 수준, 규제 준수 요구사항(예: cGMP) 등에 따라 투자 비용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 '''제조 비용''': 제품 생산에 직접 투입되는 원자재 비용과 생산 공정 운영에 필요한 전환 비용(인건비, 에너지, 설비 감가상각 등)으로 구성된다. 다양한 제품을 소량 생산하는 경우가 많아 개별 제품에 대한 정확한 원가 계산 및 배분이 중요하며, 이는 기업의 가격 경쟁력과 수익성 관리에 핵심적인 요소이다.
- '''수익성''': 정밀화학 산업은 시장 수요 변화, 특히 주요 수요처인 제약 및 농약 산업의 경기에 따라 수익성 변동이 큰 편이다. 과거 여러 차례 호황과 불황을 경험했으며, 경쟁 심화와 신규 시장 진입자의 등장으로 인해 전반적인 수익성 확보가 도전적인 과제로 남아있다. 산업의 평균적인 수익성은 자본 비용을 충족시키기 어려운 경우도 나타난다.
8. 1. 투자 비용 (Investment costs)
다목적 공장의 투자 비용은 일반적으로 제품 생산량에 비해 높은 편이다. 그러나 공장의 위치, 장비 규모, 그리고 자동화 수준, 격리 시설, 장비 품질, 인프라 복잡성 등 정교함의 정도에 따라 비용 차이가 상당히 크다.[25]미국에 건설된 cGMP(Current Good Manufacturing Practice, 우수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다목적 공장의 투자 비용 예시는 아래 표와 같다. 여기에 제시된 2100만달러의 투자 비용은 장비 구매 및 설치 비용만을 포함하며, 건물, 부지 및 외부 서비스 비용은 제외된 금액이다. 비용 비교를 위해 반응기 부피 1 m3당 투자 비용 개념이 사용되는데, 이 사례에서는 90만달러에 해당한다. 이 금액에는 반응기 자체 비용뿐만 아니라 공급 탱크, 배관, 펌프, 공정 제어 시스템과 같은 관련 부대 설비 비용이 포함된다.[25]
장비 / 투자 | 수치 |
---|---|
주요 장비 설명 | |
생산 라인 | 2 |
반응 용기 (개별 부피 = 4m3) | 6 |
총 반응기 부피 | 24m3 |
여과 장치 | 2 |
건조기 | 2 |
자본 투자 | |
총 자본 투자 | 2100만달러 |
* 생산 라인당 투자 | 1150만달러 |
* 주요 장비 1개당 투자 | 210만달러 |
* 1m3 반응기 부피당 투자 | 90만달러 |
더 크거나 작은 반응기를 설치할 경우, m3당 투자 비용은 각각 0.5 제곱 지수(즉, 제곱근에 비례)로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장비 규모를 늘리면 일반적으로 제품 kg당 제조 비용이 크게 감소하여 규모의 경제 효과를 볼 수 있다.[25]
또한, 규제를 받지 않는 중간체만을 생산하는 공장의 경우 투자 비용이 상당히 낮아질 수 있다. 반면, 제약 회사들은 엄격한 규제 준수와 높은 품질 기준으로 인해 동일한 생산 능력을 가진 공장에 최대 10배 더 많은 비용을 투자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개발도상국, 특히 인도나 중국과 같은 국가에서는 투자 비용이 미국이나 유럽에 비해 상당히 낮은 편이다.[25]
8. 2. 제조 비용 (Manufacturing costs)
원자재 소비와 전환 비용은 특정 정밀 화학 제품의 제조 비용을 결정하는 두 가지 주요 요소이다. 원자재 소비는 주로 사용된 재료의 단위 소비량과 구매 비용에 따라 결정되며, 전환 비용은 주어진 생산 설비에서 하루 동안 처리되는 생산량(킬로그램 단위)에 따라 결정된다.전환 비용을 정확하게 계산하는 것은 복잡한 작업이다. 이는 다목적 플랜트에서 처리량이 크게 다른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고, 장비 사용률도 다르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특정 제품의 생산 능력과 장비 가동률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 또한, 인건비, 자본, 유틸리티, 유지 보수, 폐기물 처리, 품질 관리와 같은 비용 요소를 개별 제품에 명확하게 배분하기 어렵다.
숙련된 공정 개발 화학자나 파일럿 플랜트 화학자는 실험실 합성 절차와 공정을 단위 조작으로 나누어, 이전에 결정된 표준 비용을 바탕으로 대략적인 비용을 계산할 수 있다. 더 정확한 원가 계산을 위해서는 경영진의 참여가 필요하며, 특히 사용되지 않는 생산 능력에 대한 비용을 어떻게 공정하게 배분할지가 중요한 문제이다. 이는 수요 부족이나 특정 공정에 특정 장비가 필요하지 않아 발생하는 유휴 상태 때문이다.
제조 비용은 일반적으로 제품 킬로그램당 기준으로 보고된다. 내부 및 외부 벤치마킹을 위해, 생산량 대비 설비 가동 시간(Volume x Time / Output, VTO) 지표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정밀 화학 회사의 예상 비용 구조는 아래 표와 같다.
비용 요소 | 세부 정보 | 비율 | ||
---|---|---|---|---|
원자재 | 포함된 용매 | 30% | ||
전환 비용 | 플랜트 관련 | 유틸리티 및 에너지 | 전력, 증기, 염수 | 4–5 % |
플랜트 인건비 | 교대 근무 및 주간 근무 | 10–15 % | ||
자본 비용 | 감가상각 및 자본 이자 | 15% | ||
플랜트 간접비 | 품질 관리, 유지 보수, 폐기물 처리 등 | 10 % | ||
연구 개발 | 파일럿 플랜트 포함 | 8 % | ||
마케팅 및 판매 | 판촉 포함 | 5% | ||
일반 간접비 | 행정 서비스 | 15 % |
오늘날 정밀 화학 생산에서는 주 7일, 4~5개 조가 하루 8시간씩 근무하는 교대 근무 방식이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 이는 생산 비용 측면에서 가장 효율적인 방식으로 평가된다. 야간 근무에 따른 추가 인건비는 고정 비용 분산 효과로 상쇄될 수 있다. 예산 책정 과정에서는 과거 경험을 바탕으로 특정 제품 생산 캠페인에 대한 표준 비용을 설정한다. 이후 실제 캠페인 결과를 표준 비용과 비교하여 평가한다. 정밀 화학 회사가 제조 비용을 신뢰성 있게 예측하는 능력은 중요한 경쟁 우위 요소가 된다.
8. 3. 수익성 (Profitability)
정밀 화학 산업은 지난 30여 년 동안 여러 차례의 호황과 불황을 겪으며 수익성 변동성이 큰 모습을 보였다. 1990년대 후반에는 고용량, 대량 생산이 필요한 항-AIDS 약물과 COX-2 억제제의 맞춤형 제조 수요가 크게 늘면서 산업이 활기를 띠었다. 그러나 2000년의 과열이 끝나고 생산 능력이 과도하게 확장되었으며, 아시아 경쟁 업체의 등장과 파괴적인 M&A 활동이 이어지면서 2003년에는 첫 번째 불황을 맞이했고, 이 과정에서 수십억 달러 규모의 주주 가치가 소멸되었다.이후 소규모 호황도 있었다. 여러 국가에서 조류 독감 유행에 대비하기 위해 글락소스미스클라인(GlaxoSmithKline)의 Relenza(자나미비르)와 로슈(Roche)의 Tamiflu(오셀타미비르 인산염)를 비축하면서 관련 수요가 증가한 것이 원인이었다. 2009년 침체는 일반적인 경기 침체보다는 제약 산업의 성장 둔화와 재고 조정의 영향이 컸으며, 이로 인해 주문이 연기되거나 취소되는 경우가 발생했다. 이는 당시 많은 정밀 화학 회사가 발표했던 낙관적인 성장 예측과 큰 차이를 보였다.
수익성 지표 변동 또한 컸다. 2000년과 2009년 일부 시기에는 산업 내 거의 절반의 기업이 10% 이상의 매출액 순이익률(ROS)을 달성했지만, 불황기였던 2003년과 2009년에는 반대로 거의 절반의 기업들이 5% 미만의 ROS를 기록하며 어려움을 겪었다. 2000년부터 2009년까지의 기간을 살펴보면, 대표적인 기업들의 평균 EBITDA/매출 비율은 15%, EBIT/매출 비율은 7.5% 수준이었으나, 시기별 편차가 컸다.
지표 | 평균 (2000-2009) | 호황기 | 불황기 |
---|---|---|---|
EBITDA/매출 비율 | 15% | 20% | 10% |
EBIT/매출 비율 | 7.5% | 10~13% | 5% |
호황기와 불황기 사이 수익성 지표는 약 2배 차이를 보여 산업의 높은 변동성을 나타낸다. 전반적으로 평균적인 서구 정밀 화학 회사는 자본 비용 이하의 수익을 내고 있어, 벌어들인 이익으로 재투자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9. 전망 (Outlook)
공급 측면에서는 생명공학이 빠르게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 소분자 정밀화학 물질 합성에 생물 촉매와 미생물 발효를 이용하면 기존 유기 화학 방식보다 더 지속 가능하고 경제적인 생산이 가능하다. 바이오 의약품 같은 대분자 합성에서는 이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다. 바이오 의약품은 연 15%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소분자 의약품보다 3배 빠른 속도이다. 2010년 상위 10대 의약품 중 5개가 바이오 의약품이었고, 2016년에는 8개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수요 측면에서는 정밀화학의 주요 고객인 제약 산업이 수요 둔화, 수익성 높은 블록버스터 의약품의 특허 만료, 신제품 출시 지연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어려움에 대응하기 위해 주요 기업들은 구조조정을 시행하고 있다. 여기에는 자체 화학물질 제조 축소 및 공장 폐쇄 등이 포함된다. 아웃소싱은 단순히 기회를 노리는 방식에서 전략적인 접근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지는 예측하기 어렵다. 최악의 경우, 최첨단 설비와 공정을 갖춘 우수한 중견 정밀화학 회사[27]조차 개발 후기 단계의 신약 후보 물질을 위한 소량의 정밀화학 물질만 생산하게 될 수도 있다. 농업 정밀화학 물질의 경우, 활성 성분이 더욱 정교해지고 성능이 향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전용 공장 대신 다목적 공장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동시에 아웃소싱 경향도 강해지고 있다.
세계화로 인해 정밀화학 생산 기지가 선진국에서 개발 도상국으로 이동하고 있다. 개발도상국은 "저비용/고기술"이라는 이점과 함께, 자국 내 서구 의약품 수요 증가로 인해 이익을 얻고 있다. 서구 기업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시아 생산자들의 가격 경쟁력은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28] 신흥 제약 국가들은 주로 제네릭 의약품을 사용하며, 이들 시장 점유율은 오리지널 의약품 및 농화학 제품 시장을 잠식하며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이는 바이오 의약품의 복제약인 바이오시밀러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처럼 어려운 사업 환경 속에서, 20세기 말 "비이성적 과열" 시기에 설립되었던 서구의 많은 정밀화학 회사나 사업 부문이 이미 시장에서 철수했다. 다른 회사들도 철수하거나 사모 펀드에 인수될 가능성이 있다. 생존 전략으로는 자동차 산업에서 유래한 린 생산 방식 도입, 가치 사슬 확장을 통한 사업 모델 변화 등이 있다. 가치 사슬 확장은 계약 연구부터 최종 단계인 활성 의약품 제형까지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활성 의약품 제형까지 사업을 확장하는 전략에 대해서는 업계 전문가들의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
정밀화학 물질에 대한 시장 수요가 예상만큼 성장하지는 않았지만, 핵심 사업에 집중하고 생명공학과 같은 틈새 기술을 개발하며 아시아 시장의 기회를 활용하는 등 성공 요인을 잘 관리하는 기업에게는 정밀화학 분야가 여전히 매력적인 기회를 제공한다.
참조
[1]
논문
XX.- Fine Chemicals, Alkaloids, Essential Oils, & Extracts
https://books.google[...]
1908
[2]
서적
Pharmaceutical Substances
https://archive.org/[...]
[3]
서적
Pharmaceutical Substances
https://archive.org/[...]
[4]
서적
US 3371085
[5]
서적
Amino Acids, Peptides and Proteins in Organic Chemistry
John Wiley & Sons, Hoboken
[6]
문서
Examples: Swiss Federal Institute of Technology (ETHZ), Switzerland;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IT), USA; Institut für Mikrotechnik (IMM), Germany; University of Washington (WU), USA; Micro-Chemical ProcessTechnology Research Association (MCPT), Japan.
[7]
서적
Micro Process Engineering
Wiley-VCH Verlag, Weiheim
[8]
서적
), Industrial Biotechnology: Sustainable Growth and Economic Success
J. Wiley & Sons, Hoboken NJ
[9]
문서
Secretary: Prof. M.P. Walsh. University of Calgary, Calgary, Canada T2N 4N1
[10]
서적
Fine Chemicals: The Industry and the Busines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1-03-29
[11]
서적
Handbook of Industrial Cell Culture: Mammalian, Microbial, and Plant Cells
Humana Press, New York
[12]
논문
Outlook for chemical and biochemical manufacturing
2004-01-01
[13]
웹사이트
Expected Top Ten Drugs by 2016
http://www.evaluatep[...]
2011-12-11
[14]
서적
CRAMS India: Overview & Outlook
ICRA Ltd. Mumbai
[15]
서적
Encyclopedia of Chemical Technology
John Wiley & Sons, Hoboken NJ
[16]
서적
The U.S. Pharmacopeia 34 (USP 34 –NF29)
The U.S Pharmacopeial Convention, Inc., Rockville, MD.
[17]
서적
Fine Chemicals – The Industry and the Business
https://archive.org/[...]
J. Wiley & Sons
[18]
서적
CPhI Worldwide, 25-27 October 2011
Messe Frankfurt, UBM plc., London
[19]
서적
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s: Development, Manufacturing, and Regulation
Taylor&Francis Group, Boca Raton FL
[20]
서적
Fine Chemicals – The Industry and the Business
https://archive.org/[...]
J. Wiley & Sons
[21]
논문
R&D AND CAPITAL MARKETS
1999-01-01
[22]
서적
Fine Chemicals – The Industry and the Business
https://archive.org/[...]
J. Wiley & Sons
[23]
서적
The Pesticide Manual: A World Compendium
BCPC Publications, Alton, Hampshire, UK
[24]
뉴스
Fine chemicals market to reach 191 billion USD by 2021 - IndustryARC
https://www.prnewswi[...]
2017-08-29
[25]
서적
Fine Chemicals – The Industry and the Business
https://archive.org/[...]
J. Wiley & Sons
[26]
서적
Fine Chemicals – The Industry and the Business
https://archive.org/[...]
J. Wiley & Sons
[27]
논문
Family owned businesses
2008-11-01
[28]
서적
Costs of Asian Fine Chemical Producers close-up to European Levels – Facts or Fiction?
Contract Pharma
2011-11-01
[29]
뉴스
[V차트 우량주] 휴켐스, 증설로 매출 증가, 아이투자
2014-06-0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