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의 언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캐나다는 영어와 프랑스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며, 다양한 원주민 언어와 이민자 언어도 존재한다. 2016년 인구조사에서 영어 사용 인구는 55.97%, 프랑스어 사용 인구는 20.61%를 차지했으며, 그 외 중국어, 펀자브어, 스페인어 등 다양한 언어가 사용되었다. 캐나다는 연방 차원에서 영어와 프랑스어의 동등한 지위를 보장하며, 일부 주와 준주에서는 프랑스어를 포함한 여러 언어를 공식 언어로 지정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나다의 인구 - 캐나다 연방통계청
캐나다 연방통계청은 1971년 통계법에 따라 설립되어 캐나다의 사회,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통계 자료를 수집, 분석, 제공하며 정부 정책 결정과 연구 활동을 지원하는 공식 통계 기관이다. - 캐나다의 인구 - 캐나다의 민족
캐나다는 다양한 인종과 민족으로 구성된 다문화 사회로서, 이민 장려 정책으로 민족적 다양성을 증진해 왔으며, 정부는 다문화주의를 중요 가치로 여기고 이민자 정착 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고, 주요 민족 집단으로는 캐나다인, 잉글랜드인, 스코틀랜드인, 프랑스인, 아일랜드인 등이 있으며, 가시적 소수 민족과 원주민 인구 또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 캐나다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 캐나다의 언어 - 스코틀랜드 게일어
스코틀랜드 게일어는 켈트어의 일종으로 아일랜드 게일어, 맨섬 게일어와 관련이 깊으며, 스코틀랜드에 전파된 후 쇠퇴하여 현재는 소수만 사용하고 있고, 잉글랜드의 탄압과 영어 확산으로 사용 인구가 급감했으나 스코틀랜드 정부의 지원으로 소멸 위기를 극복하려 노력 중이지만 소멸 가능성 우려도 제기되는 언어이다.
캐나다의 언어 | |
---|---|
개요 | |
![]() | |
언어 현황 | |
공용어 | 영어와 프랑스어 |
준공용어 | 노스웨스트 준주 노바스코샤주 누나부트 준주 |
키보드 | QWERTY |
지역어 | Deitsch Gaelic Hutterisch Irish Plautdietsch Russian |
소수 언어 | Mandarin Cantonese Punjabi Spanish Arabic Tagalog (Filipino) German Italian Hindustani Portuguese |
방언 | Canadian English Canadian French 온타리오 프랑스어|Ontarois]], Québécois French 추가 언어 |
수화 | Signed English, Signed French American Sign Language (ASL), Quebec Sign Language (LSQ), MSL, IUR, Prairie Hand Talk, OSL, PSL, KSL, Secwepemcékst |
원주민 언어 | 약 104개 (어족별) Algic (23), Inuit (13), Iroquoian (7), Na-Dene (24), Plains Sign (2), Plateau Sign (2), Salishan (17), Siouan (3), Tsimshian (4), Wakashan (6), Isolates (3: Haida, Inuit Sign Language, Ktunaxa) |
![]() | |
![]() | |
![]() | |
![]() |
2. 지리적 분포
2016년 캐나다 인구조사에 따르면, 캐나다의 각 주와 준주별 인구는 모어(母語)를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분포한다.[176][148]
영토 | 총 인구 | 영어 | % | 프랑스어 | % | 기타 언어 | % | 공식 언어 |
---|---|---|---|---|---|---|---|---|
온타리오주 | 13,312,870 | 9,255,978 | 69.52% | 568,345 | 4.27% | 3,865,780 | 29.04% | 영어[172] |
퀘벡주 | 8,066,555 | 718,985 | 8.91% | 6,377,080 | 79.06% | 1,173,345 | 14.54% | 프랑스어[173] |
브리티시컬럼비아주 | 4,598,415 | 3,271,425 | 71.14% | 71,705 | 1.56% | 1,360,815 | 29.59% | 영어 (사실상) |
앨버타주 | 4,026,650 | 3,080,865 | 76.51% | 86,705 | 2.15% | 952,790 | 23.66% | 영어 |
매니토바주 | 1,261,615 | 931,410 | 73.83% | 46,055 | 3.65% | 316,120 | 25.06% | 영어 |
서스캐처원주 | 1,083,240 | 910,865 | 84.09% | 17,735 | 1.64% | 173,475 | 16.01% | 영어 |
노바스코샤주 | 912,300 | 838,055 | 91.86% | 33,345 | 3.66% | 49,165 | 5.39% | 영어 (사실상) |
뉴브런즈윅주 | 736,280 | 481,690 | 65.42% | 238,865 | 32.44% | 25,165 | 3.42% | 영어, 프랑스어 |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주 | 515,680 | 501,350 | 97.22% | 3,020 | 0.59% | 13,035 | 2.53% | 영어 (사실상) |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주 | 141,020 | 128,975 | 91.46% | 5,395 | 3.83% | 7,670 | 5.44% | 영어 (사실상) |
노스웨스트 준주 | 41,380 | 32,545 | 78.65% | 1,365 | 3.30% | 8,295 | 20.05% | 크리어cr, 드네수리네어chp, 데네 야티에/자티에dnj, 영어, 프랑스어, 그위친어gwi, 이누인나크툰어ikt, 이누크티투트어iu, 이누비알루크툰어ikt, 사투고티네 야티에/카쇼고티네 고세데/시고티네 야티에dene, 칠초어tli[174] |
유콘 준주 | 35,555 | 29,765 | 83.72% | 1,815 | 5.10% | 4,665 | 13.12% | 영어, 프랑스어 |
누나부트 준주 | 35,695 | 11,745 | 32.90% | 640 | 1.79% | 24,050 | 67.38% | 이누이트어iu (이누크티투트어iu, 이누인나크툰어ikt), 영어, 프랑스어[175] |
캐나다 | 34,767,255 | 20,193,340 | 58.08% | 7,452,075 | 21.43% | 7,974,375 | 22.94% | 영어, 프랑스어 |
전국적으로 영어를 모어로 사용하는 인구가 58.08%로 가장 많고, 프랑스어를 모어로 사용하는 인구는 21.43%이다. 기타 언어를 모어로 사용하는 인구는 22.94%를 차지한다. 주별로 살펴보면, 퀘벡주는 프랑스어 사용 인구 비율이 79.06%로 가장 높고, 뉴브런즈윅주는 영어와 프랑스어를 모두 공용어로 지정하고 있으며, 프랑스어 사용 인구 비율이 32.44%로 비교적 높다. 누나부트 준주는 이누이트어 사용 인구 비율이 67.38%로 가장 높다. 노스웨스트 준주는 11개의 공용어를 지정하고 있어, 다양한 언어가 사용되고 있음을 보여준다.[174]
2. 1. 개요
2. 2. 상세 현황
다음 표는 2016년 캐나다 인구 조사에서 보고된 모어(母語)를 기준으로 각 주와 준주의 인구와 전국 총계를 자세히 보여준다.[176]주/준주 | 총 인구 | 영어 | % | 프랑스어 | % | 기타 언어 | % | 공용어 |
---|---|---|---|---|---|---|---|---|
온타리오주 | 13,312,870 | 9,255,978 | 69.52% | 568,345 | 4.27% | 3,865,780 | 29.04% | 영어[172] |
퀘벡주 | 8,066,555 | 718,985 | 8.91% | 6,377,080 | 79.06% | 1,173,345 | 14.54% | 프랑스어[173] |
브리티시컬럼비아주 | 4,598,415 | 3,271,425 | 71.14% | 71,705 | 1.56% | 1,360,815 | 29.59% | 영어 (사실상) |
앨버타주 | 4,026,650 | 3,080,865 | 76.51% | 86,705 | 2.15% | 952,790 | 23.66% | 영어 |
매니토바주 | 1,261,615 | 931,410 | 73.83% | 46,055 | 3.65% | 316,120 | 25.06% | 영어 |
서스캐처원주 | 1,083,240 | 910,865 | 84.09% | 17,735 | 1.64% | 173,475 | 16.01% | 영어 |
노바스코샤주 | 912,300 | 838,055 | 91.86% | 33,345 | 3.66% | 49,165 | 5.39% | 영어 (사실상) |
뉴브런즈윅주 | 736,280 | 481,690 | 65.42% | 238,865 | 32.44% | 25,165 | 3.42% | 영어, 프랑스어 |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주 | 515,680 | 501,350 | 97.22% | 3,020 | 0.59% | 13,035 | 2.53% | 영어 (사실상) |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주 | 141,020 | 128,975 | 91.46% | 5,395 | 3.83% | 7,670 | 5.44% | 영어 (사실상) |
노스웨스트 준주 | 41,380 | 32,545 | 78.65% | 1,365 | 3.30% | 8,295 | 20.05% | 크리어/크리어cr, 드네수리네어/드네수리네어chp, 영어, 프랑스어, 그위친어/그위친어gwi, 이누인나크툰어/이누인나크툰어iu, 이누크티투트어/이누크티투트어iu, 이누비알루크툰어/이누비알루크툰어ikt, 노스슬레이비어/노스슬레이비어xsl, 사우스슬레이비어/사우스슬레이비어xss, 틀링코어/틀링코어tli[174] |
유콘 준주 | 35,555 | 29,765 | 83.72% | 1,815 | 5.10% | 4,665 | 13.12% | 영어, 프랑스어 |
누나부트 준주 | 35,695 | 11,745 | 32.90% | 640 | 1.79% | 24,050 | 67.38% | 이누이트어/이누이트어iu (이누크티투트어/이누크티투트어iu, 이누인나크툰어/이누인나크툰어iu), 영어, 프랑스어[175] |
캐나다 | 34,767,255 | 20,193,340 | 58.08% | 7,452,075 | 21.43% | 7,974,375 | 22.94% | 영어, 프랑스어 |
2. 2. 1. 주/준주별 현황
wikitable주/준주 | 총 인구 | 영어 | % | 프랑스어 | % | 기타 언어 | % | 공용어 |
---|---|---|---|---|---|---|---|---|
온타리오주 | 13,312,870 | 9,255,978 | 69.52% | 568,345 | 4.27% | 3,865,780 | 29.04% | 영어[172] |
퀘벡주 | 8,066,555 | 718,985 | 8.91% | 6,377,080 | 79.06% | 1,173,345 | 14.54% | 프랑스어[173] |
브리티시컬럼비아주 | 4,598,415 | 3,271,425 | 71.14% | 71,705 | 1.56% | 1,360,815 | 29.59% | 영어 (사실상) |
앨버타주 | 4,026,650 | 3,080,865 | 76.51% | 86,705 | 2.15% | 952,790 | 23.66% | 영어 |
매니토바주 | 1,261,615 | 931,410 | 73.83% | 46,055 | 3.65% | 316,120 | 25.06% | 영어 |
서스캐처원주 | 1,083,240 | 910,865 | 84.09% | 17,735 | 1.64% | 173,475 | 16.01% | 영어 |
노바스코샤주 | 912,300 | 838,055 | 91.86% | 33,345 | 3.66% | 49,165 | 5.39% | 영어 (사실상) |
뉴브런즈윅주 | 736,280 | 481,690 | 65.42% | 238,865 | 32.44% | 25,165 | 3.42% | 영어, 프랑스어 |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주 | 515,680 | 501,350 | 97.22% | 3,020 | 0.59% | 13,035 | 2.53% | 영어 (사실상) |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주 | 141,020 | 128,975 | 91.46% | 5,395 | 3.83% | 7,670 | 5.44% | 영어 (사실상) |
노스웨스트 준주 | 41,380 | 32,545 | 78.65% | 1,365 | 3.30% | 8,295 | 20.05% | Creecr, Chipewyanchp, 영어, 프랑스어, Gwich’ingwi, Inuinnaqtuniu, Inuktitutiu, Inuvialuktunikt, North Slaveyxsl, South Slaveyxss, Tłįchǫtli[174] |
유콘 준주 | 35,555 | 29,765 | 83.72% | 1,815 | 5.10% | 4,665 | 13.12% | 영어, 프랑스어 |
누나부트 준주 | 35,695 | 11,745 | 32.90% | 640 | 1.79% | 24,050 | 67.38% | 이누이트어iu (Inuktitutiu, Inuinnaqtuniu), 영어, 프랑스어[175] |
캐나다 | 34,767,255 | 20,193,340 | 58.08% | 7,452,075 | 21.43% | 7,974,375 | 22.94% | 영어, 프랑스어 |
wikitext
위 표는 2016년 캐나다 인구 조사에서 보고된 모어(母語)를 기준으로 각 주와 준주의 인구와 전국 총계를 자세히 보여준다.[176]
3. 공용어
2011년, 캐나다 인구의 65%를 차지하는 약 2,150만 명의 캐나다인이 집에서 대부분 영어를 사용한다고 답했으며, 58%는 영어를 모국어로 꼽았다.[148] 영어는 퀘벡과 누나부트를 제외한 캐나다 전역의 주요 언어이며, 대부분의 캐나다인(85%)은 영어를 구사할 수 있다.[15] 퀘벡에서는 영어가 선호되는 언어는 아니지만, 퀘벡인의 36.1%가 영어를 구사할 수 있다.[16] 전국적으로, 프랑스어 사용 인구가 영어 사용 인구보다 영어를 구사할 가능성이 5배 더 높다.[17] 2011년, 2,840만 명의 캐나다인이 영어를 알고 있었지만, 2,160만 명의 캐나다인만이 집에서 가장 자주 영어를 사용했다.[18][19]
2011년, 710만 명이 넘는 캐나다인이 집에서 프랑스어를 가장 많이 사용했는데, 이는 4.2% 증가한 수치이지만, 캐나다에서 집에서 프랑스어를 "가장 자주" 사용하는 사람들의 비율은 21.7%에서 21.5%로 약간 감소했다. 이들 중 약 610만 명, 즉 85%가 퀘벡에 거주했다.[20] 퀘벡 외에 가장 큰 프랑스어 사용 인구는 뉴브런즈윅 (캐나다 프랑스어 사용자의 3.1%가 거주)과 온타리오 (4.2%, 주로 온타리오 동부 및 온타리오 북동부 지역과 토론토 및 오타와에 거주)에서 발견된다. 다른 일부 주에도 소규모의 프랑스어 사용 원주민 공동체가 존재한다.[21] 예를 들어, 뉴펀들랜드의 포트오포트 반도에는 섬 서부 해안을 따라 형성된 "프랑스 해안"의 잔재인 소규모 공동체가 존재한다.
모국어와 가정에서 사용하는 언어 모두 프랑스어 사용 인구의 비율은 지난 30년 동안 감소했다. 집에서 영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인구보다 많지만, 프랑스어 사용자의 경우에는 그 반대이다. 프랑스어를 출생 후 배운 사람들보다 집에서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사람이 더 적다.[22]
프랑스계 캐나다인이 거주하는 지역의 민족적 다양성은 증가하고 있지만, 여전히 영어를 사용하는 지역에 비해 뒤처져 있다. 1970년대 이후 프랑스어가 널리 사용되는 국가에서 이민이 증가한 결과, 퀘벡인 중 일부는 자신이 아이티, 벨기에, 스위스, 레바논 또는 모로코 출신이라고 답했다.[23] 비 프랑스어 사용 이민자들 (아일랜드계 가톨릭, 이탈리아계, 포르투갈계 등)의 다른 집단들도 여러 세대에 걸쳐 프랑스어에 동화되었다.
3. 1. 영어와 프랑스어의 지위
2011년, 캐나다 인구의 65%를 차지하는 약 2,150만 명의 캐나다인이 집에서 대부분 영어를 사용한다고 답했으며, 58%는 영어를 모국어로 꼽았다.[148] 영어는 퀘벡과 누나부트를 제외한 캐나다 전역의 주요 언어이며, 대부분의 캐나다인(85%)은 영어를 구사할 수 있다.[15] 퀘벡에서는 영어가 선호되는 언어는 아니지만, 퀘벡인의 36.1%가 영어를 구사할 수 있다.[16] 전국적으로, 프랑스어 사용 인구가 영어 사용 인구보다 영어를 구사할 가능성이 5배 더 높다.[17] 2011년, 2,840만 명의 캐나다인이 영어를 알고 있었지만, 2,160만 명의 캐나다인만이 집에서 가장 자주 영어를 사용했다.[18][19]
2011년, 710만 명이 넘는 캐나다인이 집에서 프랑스어를 가장 많이 사용했는데, 이는 4.2% 증가한 수치이지만, 캐나다에서 집에서 프랑스어를 "가장 자주" 사용하는 사람들의 비율은 21.7%에서 21.5%로 약간 감소했다. 이들 중 약 610만 명, 즉 85%가 퀘벡에 거주했다.[20] 퀘벡 외에 가장 큰 프랑스어 사용 인구는 뉴브런즈윅 (캐나다 프랑스어 사용자의 3.1%가 거주)과 온타리오 (4.2%, 주로 온타리오 동부 및 온타리오 북동부 지역과 토론토 및 오타와에 거주)에서 발견된다. 다른 일부 주에도 소규모의 프랑스어 사용 원주민 공동체가 존재한다.[21] 예를 들어, 뉴펀들랜드의 포트오포트 반도에는 섬 서부 해안을 따라 형성된 "프랑스 해안"의 잔재인 소규모 공동체가 존재한다.
모국어와 가정에서 사용하는 언어 모두 프랑스어 사용 인구의 비율은 지난 30년 동안 감소했다. 집에서 영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인구보다 많지만, 프랑스어 사용자의 경우에는 그 반대이다. 프랑스어를 출생 후 배운 사람들보다 집에서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사람이 더 적다.[22]
프랑스계 캐나다인이 거주하는 지역의 민족적 다양성은 증가하고 있지만, 여전히 영어를 사용하는 지역에 비해 뒤처져 있다. 1970년대 이후 프랑스어가 널리 사용되는 국가에서 이민이 증가한 결과, 퀘벡인 중 일부는 자신이 아이티, 벨기에, 스위스, 레바논 또는 모로코 출신이라고 답했다.[23] 비 프랑스어 사용 이민자들 (아일랜드계 가톨릭, 이탈리아계, 포르투갈계 등)의 다른 집단들도 여러 세대에 걸쳐 프랑스어에 동화되었다.
3. 2. 이중 언어 사용의 변화
1986년 이후, 가정에서 영어, 프랑스어 또는 두 언어를 모두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인구의 비율은 감소했으며, 특히 프랑스어 사용 인구의 감소가 가장 컸다. 반면, 영어와 프랑스어를 모두 사용하지 않는 인구의 비율은 증가했다. 이러한 추세는 지리적으로도 나타나는데, 영어와 프랑스어 사용이 캐나다의 영어 사용 지역과 프랑스어 사용 지역 모두에서 감소했지만, 퀘벡 안팎에서 프랑스어의 감소세가 더 두드러졌다.[14] 1971년부터 2006년까지의 통계에 따르면, 캐나다 전체 인구 중 캐나다의 공용어를 가정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비율은 지속적으로 변화했다.[14] "가정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언어", "모국어", "첫 번째 공용어"는 미묘한 차이가 있으며, 이 세 가지 데이터는 캐나다의 언어 사용에 대한 상세하고 완벽한 정보를 제공한다.[14]
2011년 인구 조사에서 캐나다 거주자의 98.2%가 하나 또는 두 개의 공용어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나타났다.[15] 2006년에서 2011년 사이에 두 공식 언어로 대화가 가능하다고 보고한 사람의 수는 약 35만 명 증가하여 580만 명이 되었고, 캐나다 인구의 이중 언어 구사율은 17.4%에서 17.5%로 소폭 상승했다.[26] 이러한 영어-프랑스어 이중 언어 구사율의 증가는 주로 퀘벡 주민의 증가에 기인한다.[26] 비공식 언어에 대한 이중 언어 구사율도 증가했는데, 대부분 영어와 펀자브어 또는 만다린어와 같은 이민자 언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27]
영어-프랑스어 이중 언어 구사 능력은 지역 언어 소수 집단 구성원 사이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다. 캐나다인이 해당 지역의 소수 공식 언어(퀘벡 외부의 프랑스어 또는 퀘벡의 영어)만 구사할 수 있는 경우는 매우 드물며, 캐나다인의 1.5%만이 소수 공식 언어만 구사할 수 있고, 이들 중 대부분(90%)은 이중 언어 구사 지역에 거주한다.[53] 이중 언어 구사 능력은 해당 지역의 언어 소수 집단에 속하는 개인에게서 지역 언어 다수 집단 구성원보다 훨씬 높다. 예를 들어, 퀘벡 내에서 이중 언어 구사 캐나다인의 약 37%가 프랑스어 사용자인 반면, 퀘벡 외부에서 프랑스어 사용자는 인구의 4.5%에 불과하다.[54]
영어 사용 캐나다인 | 프랑스어 사용 캐나다인 | 알로폰 | |
---|---|---|---|
퀘벡 | 66.1% | 36.6% | 50.4% |
캐나다 나머지 지역 | 7.1% | 85.1% | 5.7% |
3. 3. 이중 언어 사용 지역
캐나다 대부분 지역에서는 영어 또는 프랑스어가 우세하지만, 온타리오주 북부와 뉴브런즈윅주 북부를 잇는 간헐적인 "벨트"와 몇몇 고립된 지역에서만 두 언어가 정기적으로 혼합되어 사용된다.[15] 이를 이중 언어 벨트라고 부른다.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퀘벡주 주민의 94.3%가 프랑스어를 알고 있으며, 47.2%가 영어를 알고 있다.[15] 두 공식 언어의 이중 언어 사용은 퀘벡 자체와 퀘벡에서 뉴브런즈윅 북부, 오타와 및 온타리오 북동부 일부 지역까지 뻗어 있는 "이중 언어 벨트"라고 불리는 지역으로 제한된다.[15] 이중 언어 구사 캐나다인의 85%가 퀘벡, 온타리오, 뉴브런즈윅에 거주하고 있다.[15] 모든 이중 언어 구사 캐나다인의 과반수(57.4%)가 퀘벡 주민이며,[15] 캐나다 나머지 지역의 이중 언어 구사 인구의 높은 비율은 퀘벡 국경 근처에 거주한다.
퀘벡의 이중 언어 구사율은 캐나다 나머지 지역보다 더 빠르게 증가했다. 퀘벡에서 1951년 영어와 프랑스어를 구사하는 인구 비율은 26%에서 2011년 42.5%로 증가했다.[15] 2011년 기준으로 캐나다 나머지 지역(퀘벡 제외)의 이중 언어 구사율은 7.5%였다.[15]
주/준주 | 인구 % | 총 인원 | 참조 |
---|---|---|---|
퀘벡 | 44.5% | 3,586,410 | [52] |
뉴브런즈윅 | 34% | 249,950 | [40] |
노스웨스트 준주 | 14% | 4,900 | [41] |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주 | 13% | 17,840 | [42] |
온타리오 | 11.2% | 1,490,390 | [43] |
노바스코샤주 | 10.5% | 95,380 | [44] |
유콘 준주 | 10.3% | 4,275 | [45] |
매니토바주 | 9% | 108,460 | [46] |
앨버타주 | 7% | 264,720 | [47] |
브리티시컬럼비아주 | 7% | 314,925 | [48] |
서스캐처원주 | 5% | 51,560 | [49] |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주 | 5% | 25,940 | [50] |
누나부트 준주 | 4.3% | 1,525 | [51] |
캐나다—총계 | 17.9% | 6,216,065 | [52] |
언어 지속성 지수는 집에서 프랑스어를 가장 자주 사용하는 사람의 수와 모국어가 프랑스어인 사람의 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지속성 지수가 1 미만이면 프랑스어가 얻는 것보다 잃는 것이 더 많다는 것을 나타낸다. 즉, 모국어가 프랑스어인 사람들 중 집에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이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퀘벡주를 제외한 지역에서 뉴브런즈윅주는 프랑스어 지속성 비율이 가장 높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와 서스캐처원주는 프랑스어 지속성 비율이 가장 낮고, 따라서 프랑스어 유지율이 가장 낮다. 1971년부터 2011년까지 퀘벡주를 제외한 지역의 프랑스어 지속성 전체 비율은 0.73에서 0.45로 감소했다. 감소폭이 가장 큰 곳은 매니토바주, 서스캐처원주,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주였다.
4. 비공식 언어
캐나다는 유럽의 식민지 개척 역사로 인해, 유럽인들의 탐험과 정착 과정에서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는 문화들이 만나 혼성 언어가 발달했다. 원주민과 새로운 이주민들 사이에 무역과 통혼을 위한 공통적인 의사 소통 수단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혼성 언어는 매우 지역적이었으며, 소수의 사람들만 사용했고, 영어 또는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대규모 정착민의 유입으로 인해 짧은 기간 동안만 존재하다 소멸했다.
- 벙기 크리올: 오지브웨어 단어 "bangii"에서 유래되었으며, "a little bit(조금)"을 의미한다.[88][89] 컨트리본 또는 앵글로-메티스의 메티스 커뮤니티에서 발전한 잉글리시 기반의 혼성 언어이다. 스코틀랜드 영어, 평원 크리어, 나카웨모윈, 오크니 방언, 노른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캐나다 프랑스어의 영향을 받았다.[90][91][92] 19세기에는 5,000명 정도의 원어민이 있었으나, 표준 캐나다 영어에 대체되어 1980년대 후반에는 소수의 노인 화자만 남아 사멸된 언어로 간주된다.[93]
- 시아크: 해양주 지역 (대부분 뉴브런즈윅)에서 사용되는 혼성 언어로, 아카디아 프랑스어와 대서양 캐나다 영어를 기반으로 하며 미크마크어와 말리시트어의 영향을 받았다.[94] 영어와 프랑스어 사이의 언어 전환이 특징이며, 프랑글레의 변형으로 간주되기도 한다.[95] 하지만, 프랑사스코아나 프랑코-온타리오에서 발견되는 다른 프랑스어-영어 혼용 사례와는 뚜렷이 다르다.[96][97]
- 치누크 와와: 브리티시컬럼비아, 유콘 및 태평양 북서부 지역에서 19세기 초에 등장한 피진어로, 치누칸, 누트카, 체할리스, 프랑스어 및 영어의 혼합어이며, 하와이어, 스페인어를 포함한 다른 언어에서 소수의 단어가 혼합되었다.[98] 19세기에는 태평양 북서부 지역에서 크리올화되었다. 스쿠컴, 타이, 솔트척과 같은 특정 단어와 표현이 태평양 북서부 영어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으며, 일부는 전 세계 영어의 일부가 되었다.
- 프랑글레: 캐나다 영어권 학교 시스템의 의무적인 기초 프랑스어 교육으로 인해, 영어와 프랑스어의 구문, 문법 및 어휘를 결합하여 독특한 중간 언어를 형성한다고 여겨지는 언어이다. 많은 단일 언어 사용 앵글로폰 캐나다인들은 문장에 프랑스어 단어를 차용한다. "C'est quoi ça?프랑스어" (그게 뭐지?)와 같은 간단한 단어와 구절 또는 "arrête프랑스어" (멈춰)와 같은 단어는 영어 대응어와 번갈아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인구가 더 밀집된 캐나다 동부에서 더 흔하게 나타난다.
- 하이더 자르곤: 하이더 과이와 그 주변 지역에서 1830년대에 사용된, 하이다어를 기반으로 한 피진 무역어였다. 영어, 하이다어, 해안 침시안어, 힐츠욱어 및 기타 언어 사용자들에 의해 사용되었다.
- 루쇼 자르곤(Jargon Loucheux): 구친어 (과거에는 "루쇼"라고 불림)와 유럽인(주로 프랑스 모피상 및 모피 운송인) 사이의 문화적 접촉의 결과로, 구친 난, 데네데 전역에서 역사적으로 사용된 피진 언어이다.[101] 영어로 종종 전통적인 프랑스어 구문을 사용한다.[102]
- 미치프어: 크리족과 프랑코-가톨릭 문화를 지향하는 메티스 공동체 내에서 발전한 혼합 언어이다. 크리어와 프랑스어의 요소와 오지브와 및 어시니보인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오늘날 미치프어는 서스캐처원, 매니토바 및 노스다코타주에서 1,000명 미만의 사람들이 사용한다. 1900년경 전성기에는 이 숫자의 3배 정도가 미치프어를 이해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누트카 자곤: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초에 형성되었으며, 치누크 와와의 선구자일 가능성이 높은 누차눌트어와 영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그리고 다른 지역 언어에서 파생된 통상어였다.
- Slavey Jargon: "브로큰 슬레이비(Broken Slavey)"라고도 알려진 이 언어는 1900년대 중반까지 사용되었으나, 데네데와 이누이트 누나탕앗에 영어의 유입으로 인해 급격히 쇠퇴했다.[103] 주로 데네데의 리야드강과 매켄지강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명사는 일반적으로 영어, Dënësųłınë́ Yatıé, Sahtúgot’įné / Shíhgot’įne Yatı̨́ / K’ashógot’įne Goxedǝ́, Dene Yatıé/Zhatıé로 구성되었고, 동사와 대명사는 프랑스어에서 파생되었다. 부사는 일반적으로 Dënësųłınë́와 그위친어에서 가져왔다. 그러나 슬레이비 자곤에는 많은 변이가 존재한다.[103]
- 알곤킨-바스크 피진: 바스크/브르타뉴-이누이트 벨아일 피진과 함께 16세기에 바스크인과 현지 알곤킨족 사이의 접촉으로 인해 세인트로렌스 만과 벨아일 해협을 따라 해안 지역에서 개발된 또 다른 피진 언어가 있었다. 특히 미크마크족.[104]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f805d907_89ebc6aa.png|right|thumb|upright=1.2|미국과 캐나다의 수화 역사적 사용 범위(ASL과 LSQ 제외):
]]
캐나다는 여러 개의 수화를 사용한다. 현재 캐나다는 4~6개의 서로 다른 언어 계통에 속하는 5개 이상의 수화를 사용하고 있다. 여기에는 프랑스 수화 계열, BANZSL 계열, 평원 수화 계열, 이누이트 수화 고립어, 아마도 코스트 살리쉬 수화 고립어, 그리고 아마도 세크웨펨케스트와 크투나카 수화로 구성된 고원 수화 계열이 포함된다.
자연적으로 발전한 전 세계의 모든 수화와 마찬가지로, 이들은 구어와는 별개의 자연적이고 인간적인 언어이다. 미국 수화는 (수화된 영어와 달리) 러시아어가 영어의 파생어가 아닌 것과 마찬가지로 영어의 파생어가 아니다.[106]
캐나다의 수화는 일반 대중의 오해로 인해 국내에서 매우 제한적인 권리를 공유하고 있다. 온타리오는 법적으로 수화를 공식화한 유일한 주 또는 준주로, 교육, 입법 및 사법 절차에서 미국 수화, 퀘벡 수화(LSQ) 및 "원주민 수화"(평원 수화, 원이다 수화, 또는 기타 언어를 지칭할 수 있음)의 사용을 허용한다.[107]
- 미국 수화(American Sign Language, ASL): 주로 영어를 사용하는 지역에서 전국적으로 사용된다. ASL은 프랑스 수화 (Francosign) 계열에 속하며, 미국 동부 해안에서 ''랑그 데 시뉴 프랑세즈''(LSF)와 다른 지역 언어들이 혼합되어 생겨났다.
- 평원 수화: 원래는 교역을 위한 피진어였으나, 여러 국가에서 아이들이 제1 언어로 배우기 시작하면서 완전한 언어가 되었다. "HANDS"와 "TO TALK TO"에서 유래한 Hand Talk는 대륙 전체의 언어 및 국가 경계를 넘어 ''공용어''로 사용되었으며, 여러 주에 걸쳐 사용되었다.[111]
- 마리티임 수화: BANZSL 언어이다. 20세기 중반 미국 수화(ASL)가 보급되기 전까지 노바스코샤, 뉴브런즈윅,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의 청각 장애인 교육에 사용되었다. 현재는 일부 노년층에게 기억되고 있지만, 소멸 위기에 놓인 언어이다.
- 고원 수화: 브리티시컬럼비아, 워싱턴, 오리건, 아이다호의 컬럼비아 고원과 주변 지역에서 평원 수화를 대체했을 가능성이 있는 또 다른 교역 피진으로, 별도의 언어가 되었을 수도 있다. 현재는 사멸했다.
- 퀘벡 수화 또는 LSQ(Langue des signes québécoise): ASL과 함께 캐나다에서 두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수화이다. 주로 퀘벡과 그 주변 지역에서 사용되며, LSQ는 온타리오, 뉴브런즈윅 및 캐나다의 여러 지역에서도 발견된다. LSQ는 ASL과 함께 프랑코사인어족에 속한다. 따라서 두 언어는 상호 이해가 가능하다.
- 아카디아 프랑스어: 독특한 형태의 캐나다 프랑스어로, 캐나다 고유의 어구뿐만 아니라 해상 용어, 영어 차용어, 프랑스어의 고어에서만 발견되는 언어학적 특징과 대서양 캐나다 영어 방언에서 발견되는 특징을 포함한다.
- 퀘벡 프랑스어: 캐나다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프랑스어이며, 일반적으로 영국의 정복 당시의 영토에서 사용되던 "오래된" 방언과 정복 이후에 나타난 "새로운" 방언의 두 가지로 분류된다.
- 메티프랑스어: 미치프어와 벙기어와 함께, 프랑스어의 메티스 방언은 메티스 민족의 전통 언어 중 하나이며, 미치프어의 프랑스어 방언의 근원이기도 하다.[121] 원주민 언어, 예를 들어 오지브웨어, 데인자어 (비버어), 그리고 여러 크리어에서 차용된 단어가 상당수 있다.[58]
- 뉴펀들랜드 프랑스어: 뉴펀들랜드의 포르토포르 반도에서 사용되는 프랑스어를 지칭한다. 해양 주의 일부 아카디아인들도 이 지역에 정착했다. 이러한 이유로 뉴펀들랜드 프랑스어는 인근 생피에르 미클롱의 브르타뉴 프랑스어와 노르망디 프랑스어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다. 오늘날에는 아카디아 프랑스어와의 잦은 접촉, 특히 뉴펀들랜드 영어와의 광범위한 이중 언어 사용으로 인해 타격을 입었으며, 이 공동체는 쇠퇴하고 있다.
- 프랑코-온타리오 프랑스어: 퀘벡 프랑스어와 매우 유사하지만, 온타리오인 또는 프랑코-온타리오인의 방언은 독특한 특징을 유지하고 있다.
- 태평양 북서부 영어: 브리티시컬럼비아주의 영어는 인접한 워싱턴주와 오리건주와 많은 특징을 공유한다.
- 캐나다의 원주민 영어: 원주민이 사용하는 영어의 변종은 모국어 또는 전통 언어의 영향을 받아 음운론적으로 변화했다. 이로 인해 다른 캐나다 영어 방언과는 구별되는 식별 가능한 방언 스펙트럼이 생겨났다.
- 루넨버그 영어: 노바스코샤주의 루넨버그와 루넨버그 군에서 사용되는 이 소멸 언어 방언은 때때로 "루넨버그 독일어"라고 불리는데, 이는 이 마을에 정착한 대규모 쿠르팔츠와 뷔르템베르크 출신 인구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 대서양 캐나다 영어: 노바스코샤, 뉴브런즈윅,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주에서 사용되는 이 영어 방언은 영국 영어, 아일랜드 영어, 아일랜드 게일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일부 아카디아 프랑스어, 그리고 미크마크어의 영향을 받았다.
- 뉴펀들랜드 영어: 뉴펀들랜드에 처음 정착한 유럽인들은 1500년대부터 잉글랜드 서부 지역의 콘월, 데번, 도싯, 서머싯, 브리스톨, 윌트셔 등 해안 마을에서 온 어부들이었다. 1700년대에 이르러 아일랜드에서 일어난 사회적 혼란으로 인해 워터포드, 웩스퍼드, 킬케니, 코크 등 남동부 지역에서 수천 명의 아일랜드인이 뉴펀들랜드 동부의 아발론 반도로 이주하면서 뉴펀들랜드 방언에 아일랜드의 상당한 영향이 남아있게 되었다.
- 퀘벡 영어: 퀘벡의 영어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표준 캐나다 영어를 사용하지만, 특정 민족 집단은 고유한 어휘적 특징을 유지하고 있다.
- 토론토 슬랭: 광역 토론토 지역에서 사용되는 토론토 슬랭은 토론토 시에서 사용되는 미묘하고 다문화적인 영어이다. 이 방언은 다양한 지역 사회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특히 자메이카, 트리니다드, 가이아나 및 기타 카리브해 지역 사회와 그들의 말투가 두드러진다.
- 캐나다 게일어: 온타리오주 글렌게리 카운티, 캐나다 대서양 연안 지방—주로 뉴브런즈윅의 리스티구슈 강 계곡, 프린스에드워드 아일랜드 중부 및 남동부, 그리고 노바스코샤 북부 전체—특히 케이프 브레턴에 정착한 많은 이민자들에 의해 사용되었다. 캐나다 게일어 방언은 대부분 사라졌지만, 지역적인 잔존은 여전히 남아있다.
- 뉴펀들랜드의 아일랜드어: 뉴펀들랜드는 캐나다에서 아일랜드계 후손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지역이며, 한때 번성했던 아일랜드 게일어 언어 공동체가 존재했다.
- 웨일스어: 일부 웨일스어는 뉴펀들랜드에서 사용된다. 이는 17세기부터 시작된 웨일스인 정착의 결과이기도 하다.
- 캐나다 우크라이나어: 주로 캐나다 서부에서 우크라이나계 캐나다인의 첫 두 차례 이주민의 후손들이 사용하며,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러시아 제국, 폴란드, 소련으로부터 어느 정도 고립된 상태에서 발전한 우크라이나어의 독특한 방언이다.
- 두호보르 러시아어: 캐나다의 두호보르 공동체는, 특히 그랜드 포크스와 캐슬가에서 독특한 방언의 러시아어를 유지해 왔다.
- 펜실베이니아 독일어: 아미쉬, 구교 메노나이트를 비롯한 캐나다 독일계 이민자의 후손들이 사용하는 서부 중부 독일어의 한 변종이다.
- 후테르어: 알버타, 서스캐처원, 매니토바를 중심으로 하는 후터라이트 공동체는 야코프 후터가 사용했던 바이에른 방언에서 유래된 독일어의 독특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 플라우트디치어: 메노나이트 공동체가 정착한 서스캐처원, 매니토바, 온타리오에서 주로 사용된다.
4. 1. 원주민 언어

캐나다는 고유한 원주민 언어가 풍부하게 존재하며, 대부분 다른 곳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캐나다에는 약 100개의 독특한 언어와 방언, 많은 수화 언어를 포함하여 14개의 원주민 언어 계통이 있다.[64] 캐나다의 거의 모든 원주민 언어는 멸종 위기 언어로 간주되며, 이누이트어, 이누인낙툰어 및 크리어 방언인 나스카피어, 아티카멕어, 동부 크리어, 평원 크리어는 예외이다.[65] 식민지화 이전에는 여러 원주민 국가에서 다국어 구사가 흔했으며, 많은 사람들이 계절에 따라 이동했다. 그러나 인디언 보호 구역 시스템은 더 영구적인 고정 밴드 정부를 만들었고, 이러한 밴드는 증가하는 영국화, 프랑스화에 직면하여 보존하기 위해 다양한 조상 언어 중 하나만 선택하는 경향이 있었다.[66] 또는 Amslanization (미국 수화가 지역 수화를 대체하는 과정).[67] 또한, 인디언 기숙 학교 시스템은 캐나다 전역에서 언어와 문화를 제도적으로 근절하려 했다. 잔혹한 방식(예: 신체적 및 아동 성학대, 그리고 20명 중 1명에 달하는 사망률[68])으로 인해 모든 국가에서 언어 사용이 급격히 감소했으며,[69] 청각 장애인 및 수화 커뮤니티에서도 마찬가지였다.[70]
로버트 팔콘 오울렛 크리어 국회의원은 캐나다 의회와 캐나다 하원에서 원주민 언어를 홍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모든 정당으로부터 하원에서 원주민 언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완전한 통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만장일치 동의를 얻는 데 기여했다. 이 역사적인 변화를 통해 오울렛은 크리어로 연설할 수 있었고, 이는 2019년 1월 28일에 하원에서 원주민 언어가 처음 사용된 것을 기념했다.[71] [72] [73]
2019년에 통과된 원주민 언어법인 C-91 법안은 캐나다 전역에서 원주민 언어를 지원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이 법안은 지속 가능한 자금 지원과 원주민 언어 담당관 사무소의 설립을 통해 원주민 언어를 되찾고, 활성화하고,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오울렛은 하원의 원주민 의원 총회 의장을 맡았으며, 2019년 선거 전에 법안 통과를 도왔다.[74] [75] [76] [77]
캐나다의 두 준주는 원주민 언어에 공식적인 지위를 부여한다. 누나부트에서는 이누이트어와 이누인낙툰어(통칭 이누크투트어)가 영어 및 프랑스어와 함께 공식 언어이며, 이누크투트어는 준주 정부에서 흔히 사용되는 공용어이다.[78][79] 노스웨스트 준주에서는 ''공식 언어법''에 따라 크리어, 데네술리네어, 데네 야티에 / 데네 자티에, 영어, 프랑스어, 그위친어, 이누인낙툰어, 이누크투트어, 이누비알루크툰어, 사투고티네 야티 / 카쇼고티네 고세데 / 시고티네 야티, 및 틀리초어의 11개의 언어가 있다.[11] 영어와 프랑스어를 제외하고, 이 언어들은 정부에서 사용되지 않는다. 공식적인 지위는 시민들이 요청 시 해당 언어로 서비스를 받고, 정부와 소통할 수 있도록 한다.[80]
2022년 10월 조약의 날에 국왕 재가를 기다리는 노바스코샤는 "미크마우 언어법"이라는 법안(제148호)을 통해 미크마위심크어를 주의 "첫 번째 언어"로 확인했다. 이 법은 미크마우 키나마트뉴이가 공동으로 개발하고 운영하는 언어 위원회를 설립하고, "미크마우 언어를 미래 세대를 위해 보존, 활성화, 홍보 및 보호하기 위한 정부 지원"을 보장하며, 노바스코샤 미크마크 족과 노바스코샤 주 정부 간의 전략을 공동으로 개발한다.[2]
2016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캐나다인의 1% 미만(213,225명)이 원주민 언어를 모국어로 보고했으며, 캐나다인의 1% 미만(137,515명)이 원주민 언어를 집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언어로 보고했다.[81] 대부분의 캐나다 원주민 언어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고 현재 화자 수가 적지만, 화자 수는 증가했으며 원주민을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의 수를 능가하기까지 하여, 많은 사람들이 처음부터 그 언어를 사용하지 않았더라도 계속해서 언어를 배우고 있음을 나타낸다.[82]
원주민 국가 구조가 파괴되었기 때문에, 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캐나다 원주민을 지역별로 "문화 지역" 또는 언어 계통으로 분류한다.[83]
- 북극 문화 지역 (이누이트어, 이누이트 수화 포함)
- 북극 문화 지역 (나데네어 및 알곤킨어)
- 동부 삼림(북동부) 문화 지역 (알곤킨어 및 이로쿼이어)
- 평원 문화 지역 (알곤킨어, 평원 수화, 및 수어)
- 북서부 고원 문화 지역 (크투나카어, 나데네어, 및 살리시어, 세크웨펨크 수화 포함[84] 및 ''고원 수화'')
- 북서부 해안 문화 지역 (하이더어, 살리시어, 침시안어, 및 와카시어, 해안 살리시 수화 포함 가능성[84])
원주민 언어 | 화자 수 | 모국어 | 가정 언어 |
---|---|---|---|
크리어 | 99,950 | 78,855 | 47,190 |
이누이트어 | 35,690 | 32,010 | 25,290 |
오지브웨모윈 | 32,460 | 11,115 | 11,115 |
이누어–나스카피어 | 11,815 | 10,970 | 9,720 |
데네술리네 | 11,130 | 9,750 | 7,490 |
오지-크리어 (아니시니니모윈ojc) | 12,605 | 8,480 | 8,480 |
미크마위심크 | 8,750 | 7,365 | 3,985 |
수어 (다코타/나코타) | 6,495 | 5,585 | 3,780 |
아티카메크 | 5,645 | 5,245 | 4,745 |
블랙풋 | 4,915 | 3,085 | 3,085 |
틀리초 | 2,645 | 2,015 | 1,110 |
알곤킨 (오마미위니니모윈alq) | 2,685 | 1,920 | 385 |
다켈 | 2,495 | 1,560 | 605 |
기치산마악스 | 1,575 | 1,175 | 320 |
칠코틴 | 1,400 | 1,070 | 435 |
사투고티네 야티 / 카쇼고티네 고세데 / 시고티네 야티 | 1,235 | 650 | 650 |
데네 다 / 데네 야티에 / 데네 자티에 | 2,315 | 600 | 600 |
우라스테케 라토웨왁스 | 790 | 535 | 140 |
이누인낙툰어 | 580 | 370 | 70 |
그위친 | 570 | 355 | 25 |
카니엔케하 | 615 | 290 | 20 |
세크웨펨츠신 | 1,650 | 250 | 250 |
니스카 | 1,090 | 250 | 250 |
틀링깃 | 175 | 0 | 0 |
아트강무운그니크 | 47[85] | 미상 | 미상 |
오너요타아:카 수화 | 미상 | 미상 | 미상 |
평원 수화 | 미상 | 미상 | 미상 |
세크웨펨크스트 | 미상 | 미상 | 미상 |
출처: 캐나다 통계청, ''2006 연방 선거구 프로필 (2003 대표 명령): 언어, 이동성 및 이주 및 시민권'' 오타와, 2007, pp. 2, 6, 10.[64]
글로토로그 4.3 (2020)은 캐나다에서 13개의 독립적인 원주민 언어 계통 및/또는 고립어를 계산했다.[87] 잠재적인 14번째 계통인 고원의 수화 언어는 세크웨펨크스트 및 크투나카 수화와 같은 언어를 호스팅할 수 있으며, 글로토로그에 의해 목록에 오르지 않았다. 수화가 어느 정도 사용되고, 언어 계통 내에서, 그리고 언어 계통 간에 어떻게 관련되는지는 학계에 알려지지 않았다.[86]
# '''알곤킨어'''
# '''하이더어'''
# '''이누이트어'''
# '''이누이트 수화'''
# '''이로쿼이어'''
# '''크투나카어'''
# '''나데네어'''
# '''평원 수화'''
# '''살리시어'''
# '''수어'''
# '''침시안어'''
# '''와카시어'''
# ''베오투크어''
# ?고원 수화
4. 1. 1. 주요 원주민 언어
캐나다는 고유한 원주민 언어가 풍부하게 존재하며, 대부분 다른 곳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캐나다에는 약 100개의 독특한 언어와 방언, 많은 수화 언어를 포함하여 14개의 원주민 언어 계통이 있다.[64] 캐나다의 거의 모든 원주민 언어는 멸종 위기 언어로 간주되며, 이누이트어, 이누인낙툰어 및 크리어 방언인 나스카피어, 아티카멕어, 동부 크리어, 평원 크리어는 예외이다.[65] 식민지화 이전에는 여러 원주민 국가에서 다국어 구사가 흔했으며, 많은 사람들이 계절에 따라 이동했다. 그러나 인디언 보호 구역 시스템은 더 영구적인 고정 밴드 정부를 만들었고, 이러한 밴드는 증가하는 영국화, 프랑스화에 직면하여 보존하기 위해 다양한 조상 언어 중 하나만 선택하는 경향이 있었다.[66] 또는 Amslanization (미국 수화가 지역 수화를 대체하는 과정).[67] 또한, 인디언 기숙 학교 시스템은 캐나다 전역에서 언어와 문화를 제도적으로 근절하려 했다. 잔혹한 방식(예: 신체적 및 아동 성학대, 그리고 20명 중 1명에 달하는 사망률[68])으로 인해 모든 국가에서 언어 사용이 급격히 감소했으며,[69] 청각 장애인 및 수화 커뮤니티에서도 마찬가지였다.[70]
로버트 팔콘 오울렛 크리어 국회의원은 캐나다 의회와 캐나다 하원에서 원주민 언어를 홍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모든 정당으로부터 하원에서 원주민 언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완전한 통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만장일치 동의를 얻는 데 기여했다. 이 역사적인 변화를 통해 오울렛은 크리어로 연설할 수 있었고, 이는 2019년 1월 28일에 하원에서 원주민 언어가 처음 사용된 것을 기념했다.[71] [72] [73]
2019년에 통과된 원주민 언어법인 C-91 법안은 캐나다 전역에서 원주민 언어를 지원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이 법안은 지속 가능한 자금 지원과 원주민 언어 담당관 사무소의 설립을 통해 원주민 언어를 되찾고, 활성화하고,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오울렛은 하원의 원주민 의원 총회 의장을 맡았으며, 2019년 선거 전에 법안 통과를 도왔다.[74] [75] [76] [77]
캐나다의 두 준주는 원주민 언어에 공식적인 지위를 부여한다. 누나부트에서는 이누이트어와 이누인낙툰어(통칭 이누크투트어)가 영어 및 프랑스어와 함께 공식 언어이며, 이누크투트어는 준주 정부에서 흔히 사용되는 공용어이다.[78][79] 노스웨스트 준주에서는 ''공식 언어법''에 따라 크리어, 데네술리네어, 데네 야티에 / 데네 자티에, 영어, 프랑스어, 그위친어, 이누인낙툰어, 이누크투트어, 이누비알루크툰어, 사투고티네 야티 / 카쇼고티네 고세데 / 시고티네 야티, 및 틀리초어의 11개의 언어가 있다.[11] 영어와 프랑스어를 제외하고, 이 언어들은 정부에서 사용되지 않는다. 공식적인 지위는 시민들이 요청 시 해당 언어로 서비스를 받고, 정부와 소통할 수 있도록 한다.[80]
2022년 10월 조약의 날에 국왕 재가를 기다리는 노바스코샤는 "미크마우 언어법"이라는 법안(제148호)을 통해 미크마위심크어를 주의 "첫 번째 언어"로 확인했다. 이 법은 미크마우 키나마트뉴이가 공동으로 개발하고 운영하는 언어 위원회를 설립하고, "미크마우 언어를 미래 세대를 위해 보존, 활성화, 홍보 및 보호하기 위한 정부 지원"을 보장하며, 노바스코샤 미크마크 족과 노바스코샤 주 정부 간의 전략을 공동으로 개발한다.[2]
2016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캐나다인의 1% 미만(213,225명)이 원주민 언어를 모국어로 보고했으며, 캐나다인의 1% 미만(137,515명)이 원주민 언어를 집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언어로 보고했다.[81] 대부분의 캐나다 원주민 언어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고 현재 화자 수가 적지만, 화자 수는 증가했으며 원주민을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의 수를 능가하기까지 하여, 많은 사람들이 처음부터 그 언어를 사용하지 않았더라도 계속해서 언어를 배우고 있음을 나타낸다.[82]
원주민 국가 구조가 파괴되었기 때문에, 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캐나다 원주민을 지역별로 "문화 지역" 또는 언어 계통으로 분류한다.[83]
- 북극 문화 지역 (이누이트어, 이누이트 수화 포함)
- 북극 문화 지역 (나데네어 및 알곤킨어)
- 동부 삼림(북동부) 문화 지역 (알곤킨어 및 이로쿼이어)
- 평원 문화 지역 (알곤킨어, 평원 수화, 및 수어)
- 북서부 고원 문화 지역 (크투나카어, 나데네어, 및 살리시어, 세크웨펨크 수화 포함[84] 및 ''고원 수화'')
- 북서부 해안 문화 지역 (하이더어, 살리시어, 침시안어, 및 와카시어, 해안 살리시 수화 포함 가능성[84])
원주민 언어 | 화자 수 | 모국어 | 가정 언어 |
---|---|---|---|
크리어 | 99,950 | 78,855 | 47,190 |
이누이트어 | 35,690 | 32,010 | 25,290 |
오지브웨모윈 | 32,460 | 11,115 | 11,115 |
이누어–나스카피어 | 11,815 | 10,970 | 9,720 |
데네술리네 | 11,130 | 9,750 | 7,490 |
오지-크리어 (아니시니니모윈) | 12,605 | 8,480 | 8,480 |
미크마위심크 | 8,750 | 7,365 | 3,985 |
수어 (다코타/나코타) | 6,495 | 5,585 | 3,780 |
아티카메크 | 5,645 | 5,245 | 4,745 |
블랙풋 | 4,915 | 3,085 | 3,085 |
틀리초 | 2,645 | 2,015 | 1,110 |
알곤킨 (오마미위니니모윈) | 2,685 | 1,920 | 385 |
다켈 | 2,495 | 1,560 | 605 |
기치산마악스 | 1,575 | 1,175 | 320 |
칠코틴 | 1,400 | 1,070 | 435 |
사투고티네 야티 / 카쇼고티네 고세데 / 시고티네 야티 | 1,235 | 650 | 650 |
데네 다 / 데네 야티에 / 데네 자티에 | 2,315 | 600 | 600 |
우라스테케 라토웨왁스 | 790 | 535 | 140 |
이누인낙툰어 | 580 | 370 | 70 |
그위친 | 570 | 355 | 25 |
카니엔케하 | 615 | 290 | 20 |
세크웨펨츠신 | 1,650 | 250 | 250 |
니스카 | 1,090 | 250 | 250 |
틀링깃 | 175 | 0 | 0 |
아트강무운그니크 | 47[85] | 미상 | 미상 |
오너요타아:카 수화 | 미상 | 미상 | 미상 |
평원 수화 | 미상 | 미상 | 미상 |
세크웨펨크스트 | 미상 | 미상 | 미상 |
출처: 캐나다 통계청, ''2006 연방 선거구 프로필 (2003 대표 명령): 언어, 이동성 및 이주 및 시민권'' 오타와, 2007, pp. 2, 6, 10.[64]
글로토로그 4.3 (2020)은 캐나다에서 13개의 독립적인 원주민 언어 계통 및/또는 고립어를 계산했다.[87] 잠재적인 14번째 계통인 고원의 수화 언어는 세크웨펨크스트 및 크투나카 수화와 같은 언어를 호스팅할 수 있으며, 글로토로그에 의해 목록에 오르지 않았다. 수화가 어느 정도 사용되고, 언어 계통 내에서, 그리고 언어 계통 간에 어떻게 관련되는지는 학계에 알려지지 않았다.[86]
# '''알곤킨어'''
# '''하이더어'''
# '''이누이트어'''
# '''이누이트 수화'''
# '''이로쿼이어'''
# '''크투나카어'''
# '''나데네어'''
# '''평원 수화'''
# '''살리시어'''
# '''수어'''
# '''침시안어'''
# '''와카시어'''
# ''베오투크어''
# ?고원 수화
4. 2. 이민자 언어
4. 2. 1. 주요 이민자 언어
(내용 없음)5. 언어 정책
영어와 프랑스어는 연방 법원, 캐나다 의회 및 모든 연방 기관에서 동등한 지위를 갖는다. 국민은 충분한 수요가 있는 경우, 연방 정부 서비스를 영어 또는 프랑스어로 받을 권리가 있다. 캐나다 시민권을 신청하는 이민자는 일반적으로 영어 또는 프랑스어를 할 수 있어야 한다.
캐나다의 이중 언어주의 원칙은 1982년의 ''캐나다 권리 및 자유 헌장''의 제16조에서 제23조까지 보호되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프랑스어와 영어는 연방 공용어로서 서로 동등하다.
- 의회에서의 토론은 두 공용어 중 하나로 진행될 수 있다.
- 연방 법률은 동등한 효력을 가지며, 두 공용어로 인쇄되어야 한다.
- 누구나 의회가 설립한 법원에서 두 공용어 중 하나를 사용하여 거래할 수 있다.
- 모든 사람은 자신이 선택한 공용어로 연방 정부로부터 서비스를 받을 권리가 있다.
- 한 공용어의 소수 언어 집단 구성원은 그 언어를 배우고 여전히 이해하는 경우, 또는 그 언어로 초등 교육을 받은 경우, 숫자가 보장되는 경우 자녀가 자신의 언어로 공립 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다.
1969년에 처음 채택되고 1988년에 개정된 캐나다의 ''공용어법''은 영어와 프랑스어에 연방 기관 전체에서 동등한 지위를 부여한다.
== 주/준주 정부의 언어 정책 ==
뉴브런즈윅, 노바스코샤, 그리고 캐나다의 3개 준주는 모두 2개 이상의 언어에 공식적인 지위를 부여했다. 뉴브런즈윅의 경우 이는 완전한 평등을 의미한다. 다른 경우에는 이러한 인정이 때때로 공식 언어에 대한 형식적인 인정에 해당하지만, 영어 외의 공식 언어 서비스는 제한적이다.
공식 언어는 다음과 같다.
- 뉴브런즈윅: 영어와 프랑스어. 뉴브런즈윅은 1960년대부터 공식적으로 이중 언어 사용 지역이었다. 이 주의 공식적인 이중 언어 지위는 1982년부터 ''캐나다 권리 및 자유 헌장''에 명시되어 있다.
- 노바스코샤: 미크마위심크/Míkmawísimkmic가 이 주의 공식적인 "첫 번째 언어"로 간주된다.
- 노스웨스트 준주: 크리어, 데네수린, Dene Yatiéchp / Dene Zhatiechp, 영어, 프랑스어, 그위친 어/Gwichʼingwi, 이누인나크툰, 이누크티투트, 이누비알루크툰, Sahtúgot’įné Yatidrs / K’áshógot’įne Goxedédrs / Shíhgot’įne Yatidrs, 그리고 틀리초/Tłı̨chǫtli.
- 누나부트: 영어, 이누크투트(이누크티투트, 이누인나크툰) 및 프랑스어.
- 유콘: 영어와 프랑스어.
1969년까지 퀘벡은 캐나다에서 유일하게 공식적으로 이중 언어를 사용하는 주였으며 대부분의 공공 기관은 두 언어로 운영되었다. 영어는 입법부, 정부 위원회 및 법원에서도 사용되었다. 그러나 1977년 8월 퀘벡 퀘벡 국회에서 ''프랑스어 헌장''(일명 "법안 101")이 채택되면서 프랑스어가 퀘벡의 유일한 공식 언어가 되었다. 하지만 ''프랑스어 헌장''은 영어 및 원주민 언어에 대한 명확한 언어 권리를 열거하고 있으며, 특정 시민과 특정 지역에서는 정부 서비스가 영어로 제공된다. 또한, 일련의 법원 판결은 퀘벡 정부에 ''프랑스어 헌장''의 원래 조건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를 넘어 영어 서비스의 확대를 강제했다. 누나빅 지역인 퀘벡 북부의 지역 기관은 이누이트어와 크리어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대부분의 주에서는 의회와 법원의 공식 언어를 영어 또는 영어와 프랑스어 둘 다로 지정하는 법률이 있지만, 교육 및 관료제와 관련하여 별도의 정책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앨버타에서는 영어와 프랑스어가 모두 앨버타 주의회 토론의 공식 언어이지만, 법률은 영어로만 초안될 수 있으며 프랑스어로 번역해야 한다는 법적 요구 사항은 없다. 프랑스어는 일부 하급 법원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양 언어로 교육이 제공되지만, 관료제는 거의 전적으로 영어로 운영된다. 따라서 앨버타는 공식적으로 영어를 공식 언어로 하는 주는 아니지만, 영어는 프랑스어보다 더 높은 ''사실상의'' 지위를 갖는다. 온타리오와 매니토바도 유사하지만, 지방 수준에서 프랑스어로 더 많은 서비스를 제공한다.
5. 1. 연방 정부의 언어 정책
영어와 프랑스어는 연방 법원, 캐나다 의회 및 모든 연방 기관에서 동등한 지위를 갖는다. 국민은 충분한 수요가 있는 경우, 연방 정부 서비스를 영어 또는 프랑스어로 받을 권리가 있다. 캐나다 시민권을 신청하는 이민자는 일반적으로 영어 또는 프랑스어를 할 수 있어야 한다.캐나다의 이중 언어주의 원칙은 1982년의 ''캐나다 권리 및 자유 헌장''의 제16조에서 제23조까지 보호되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프랑스어와 영어는 연방 공용어로서 서로 동등하다.
- 의회에서의 토론은 두 공용어 중 하나로 진행될 수 있다.
- 연방 법률은 동등한 효력을 가지며, 두 공용어로 인쇄되어야 한다.
- 누구나 의회가 설립한 법원에서 두 공용어 중 하나를 사용하여 거래할 수 있다.
- 모든 사람은 자신이 선택한 공용어로 연방 정부로부터 서비스를 받을 권리가 있다.
- 한 공용어의 소수 언어 집단 구성원은 그 언어를 배우고 여전히 이해하는 경우, 또는 그 언어로 초등 교육을 받은 경우, 숫자가 보장되는 경우 자녀가 자신의 언어로 공립 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다.
1969년에 처음 채택되고 1988년에 개정된 캐나다의 ''공용어법''은 영어와 프랑스어에 연방 기관 전체에서 동등한 지위를 부여한다.
5. 2. 주/준주 정부의 언어 정책
뉴브런즈윅, 노바스코샤, 그리고 캐나다의 3개 준주는 모두 2개 이상의 언어에 공식적인 지위를 부여했다. 뉴브런즈윅의 경우 이는 완전한 평등을 의미한다. 다른 경우에는 이러한 인정이 때때로 공식 언어에 대한 형식적인 인정에 해당하지만, 영어 외의 공식 언어 서비스는 제한적이다.공식 언어는 다음과 같다.
- 뉴브런즈윅: 영어와 프랑스어. 뉴브런즈윅은 1960년대부터 공식적으로 이중 언어 사용 지역이었다. 이 주의 공식적인 이중 언어 지위는 1982년부터 ''캐나다 권리 및 자유 헌장''에 명시되어 있다.
- 노바스코샤: 미크마위심크/Míkmawísimkmic가 이 주의 공식적인 "첫 번째 언어"로 간주된다.
- 노스웨스트 준주: 크리어, 데네수린, Dene Yatiéchp / Dene Zhatiechp, 영어, 프랑스어, 그위친 어/Gwichʼingwi, 이누인나크툰, 이누크티투트, 이누비알루크툰, Sahtúgot’įné Yatidrs / K’áshógot’įne Goxedédrs / Shíhgot’įne Yatidrs, 그리고 틀리초/Tłı̨chǫtli.
- 누나부트: 영어, 이누크투트(이누크티투트, 이누인나크툰) 및 프랑스어.
- 유콘: 영어와 프랑스어.
1969년까지 퀘벡은 캐나다에서 유일하게 공식적으로 이중 언어를 사용하는 주였으며 대부분의 공공 기관은 두 언어로 운영되었다. 영어는 입법부, 정부 위원회 및 법원에서도 사용되었다. 그러나 1977년 8월 퀘벡 퀘벡 국회에서 ''프랑스어 헌장''(일명 "법안 101")이 채택되면서 프랑스어가 퀘벡의 유일한 공식 언어가 되었다. 하지만 ''프랑스어 헌장''은 영어 및 원주민 언어에 대한 명확한 언어 권리를 열거하고 있으며, 특정 시민과 특정 지역에서는 정부 서비스가 영어로 제공된다. 또한, 일련의 법원 판결은 퀘벡 정부에 ''프랑스어 헌장''의 원래 조건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를 넘어 영어 서비스의 확대를 강제했다. 누나빅 지역인 퀘벡 북부의 지역 기관은 이누이트어와 크리어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대부분의 주에서는 의회와 법원의 공식 언어를 영어 또는 영어와 프랑스어 둘 다로 지정하는 법률이 있지만, 교육 및 관료제와 관련하여 별도의 정책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앨버타에서는 영어와 프랑스어가 모두 앨버타 주의회 토론의 공식 언어이지만, 법률은 영어로만 초안될 수 있으며 프랑스어로 번역해야 한다는 법적 요구 사항은 없다. 프랑스어는 일부 하급 법원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양 언어로 교육이 제공되지만, 관료제는 거의 전적으로 영어로 운영된다. 따라서 앨버타는 공식적으로 영어를 공식 언어로 하는 주는 아니지만, 영어는 프랑스어보다 더 높은 ''사실상의'' 지위를 갖는다. 온타리오와 매니토바도 유사하지만, 지방 수준에서 프랑스어로 더 많은 서비스를 제공한다.
6. 언어 관련 통계
wikitext
2016년 캐나다 인구조사에 따르면, 캐나다 전체 인구 34,767,255명 중 단일 언어 응답자는 33,947,610명이었다. 이 중 영어와 프랑스어 사용자 (official language영어)는 26,627,545명(76.59%)이며, 영어 사용자는 19,460,855명(55.97%), 프랑스어 사용자는 7,166,700명(20.61%)이었다. 비공식 언어 사용자는 7,321,070명(21.06%)이었다.[176]
영토 | 총 인구 | 영어 | % | 프랑스어 | % | 기타 언어 | % | 공식 언어 |
---|---|---|---|---|---|---|---|---|
온타리오주 | 13,312,870 | 9,255,978 | 69.52% | 568,345 | 4.27% | 3,865,780 | 29.04% | 영어[172] |
퀘벡주 | 8,066,555 | 718,985 | 8.91% | 6,377,080 | 79.06% | 1,173,345 | 14.54% | 프랑스어[173] |
브리티시컬럼비아주 | 4,598,415 | 3,271,425 | 71.14% | 71,705 | 1.56% | 1,360,815 | 29.59% | 영어 (사실상) |
앨버타주 | 4,026,650 | 3,080,865 | 76.51% | 86,705 | 2.15% | 952,790 | 23.66% | 영어 |
매니토바주 | 1,261,615 | 931,410 | 73.83% | 46,055 | 3.65% | 316,120 | 25.06% | 영어 |
서스캐처원주 | 1,083,240 | 910,865 | 84.09% | 17,735 | 1.64% | 173,475 | 16.01% | 영어 |
노바스코샤주 | 912,300 | 838,055 | 91.86% | 33,345 | 3.66% | 49,165 | 5.39% | 영어 (사실상) |
뉴브런즈윅주 | 736,280 | 481,690 | 65.42% | 238,865 | 32.44% | 25,165 | 3.42% | 영어, 프랑스어 |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주 | 515,680 | 501,350 | 97.22% | 3,020 | 0.59% | 13,035 | 2.53% | 영어 (사실상) |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주 | 141,020 | 128,975 | 91.46% | 5,395 | 3.83% | 7,670 | 5.44% | 영어 (사실상) |
노스웨스트 준주 | 41,380 | 32,545 | 78.65% | 1,365 | 3.30% | 8,295 | 20.05% | Chipewyan, Cree, 영어, 프랑스어, Gwich’in, Inuinnaqtun, 이누크티투트어, Inuvialuktun, North Slavey, South Slavey, Tłįchǫ[174] |
유콘 준주 | 35,555 | 29,765 | 83.72% | 1,815 | 5.10% | 4,665 | 13.12% | 영어, 프랑스어 |
누나부트 준주 | 35,695 | 11,745 | 32.90% | 640 | 1.79% | 24,050 | 67.38% | 이누이트어 (Inuktitutiu, Inuinnaqtun), 영어, 프랑스어[175] |
캐나다 | 34,767,255 | 20,193,340 | 58.08% | 7,452,075 | 21.43% | 7,974,375 | 22.94% | 영어, 프랑스어 |
비공식 언어 중에서는 중국어(보통어, 광둥어, 기타 중국어, 민난어 결합) 응답이 1,227,680명(3.53%)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펀자브어(501,680명), 스페인어(458,850명), 타갈로그어(431,385명), 아랍어(419,895명) 순이었다. 한국어는 153,425명(0.44%)으로 16위를 기록했다.[176]
모국어 | 2016년 | |
---|---|---|
인구 | % | |
단일 언어 응답 | 33,947,610 | 97.64% |
공용어 | 26,627,545 | 76.59% |
영어 | 19,460,855 | 55.97% |
프랑스어 | 7,166,700 | 20.61% |
비공식 언어 | 7,321,070 | 21.06% |
중국어 (결합) 응답 | 1,227,680 | 3.53% |
보통어(표준 중국어) | 592,035 | 1.70% |
광둥어 | 565,275 | 1.63% |
펀자브어 | 501,680 | 1.44% |
스페인어 | 458,850 | 1.32% |
타갈로그어 | 431,385 | 1.24% |
아랍어 | 419,895 | 1.21% |
독일어 | 384,040 | 1.10% |
이탈리아어 | 375,645 | 1.08% |
힌두스탄어 | 321,465 | 0.92% |
포르투갈어 | 221,535 | 0.64% |
페르시아어 (다리어) | 214,200 | 0.62% |
우르두어 | 210,820 | 0.61% |
러시아어 | 188,255 | 0.54% |
폴란드어 | 181,705 | 0.52% |
베트남어 | 156,430 | 0.45% |
한국어 | 153,425 | 0.44% |
타밀어 | 140,720 | 0.40% |
힌디어 | 110,645 | 0.32% |
구자라트어 | 108,775 | 0.31% |
그리스어 | 106,520 | 0.31% |
우크라이나어 | 102,485 | 0.30% |
네덜란드어 | 99,015 | 0.28% |
루마니아어 | 96,660 | 0.28% |
벵골어 | 73,125 | 0.21% |
크레올어 | 72,130 | 0.21% |
크리어 | 64,045 | 0.18% |
헝가리어 | 61,235 | 0.18% |
세르비아어 | 57,345 | 0.16% |
크로아티아어 | 48,200 | 0.14% |
일본어 | 43,640 | 0.13% |
중국어, n.o.s. | 38,575 | 0.11% |
소말리아어 | 36,760 | 0.11% |
이누이트어 | 35,215 | 0.10% |
아르메니아어 | 33,455 | 0.10% |
튀르키예어 | 32,815 | 0.09% |
민난어 (차오저우, 테오추, 복건, 타이완어) | 31,795 | 0.09% |
말라얄람어 | 28,570 | 0.08% |
알바니아어 | 26,895 | 0.08% |
일로카노어 | 26,345 | 0.08% |
암하라어 | 22,465 | 0.06% |
체코어 | 22,295 | 0.06% |
크메르어 (캄보디아어) | 20,130 | 0.06% |
불가리아어 | 20,020 | 0.06% |
히브리어 | 19,530 | 0.06% |
니제르-콩고어족 언어 | 19,140 | 0.06% |
네팔어 | 18,275 | 0.05% |
오지브웨어 | 17,885 | 0.05% |
슬로바키아어 | 17,585 | 0.05% |
파슈토어 | 16,910 | 0.05% |
마케도니아어 | 16,770 | 0.05% |
티그리냐어 | 16,650 | 0.05% |
싱할라어 | 16,335 | 0.05% |
텔루구어 | 15,655 | 0.04% |
핀란드어 | 15,295 | 0.04% |
이디시어 | 13,555 | 0.04% |
아칸어 (트위) | 13,460 | 0.04% |
스와힐리어 | 13,375 | 0.04% |
오어 (상해어) | 12,920 | 0.04% |
오지크리어 | 12,855 | 0.04% |
라오어 | 12,670 | 0.04% |
덴마크어 | 12,630 | 0.04% |
말레이어 | 12,275 | 0.04% |
보스니아어 | 12,210 | 0.03% |
신디어 | 11,860 | 0.03% |
6. 1. 모국어별 사용자 수
2016년 캐나다 인구조사에 따르면, 캐나다 전체 인구 34,767,255명 중 단일 언어 응답자는 33,947,610명이었다. 이 중 공용어 (영어와 프랑스어) 사용자는 26,627,545명(76.59%)이며, 영어 사용자는 19,460,855명(55.97%), 프랑스어 사용자는 7,166,700명(20.61%)이었다. 비공식 언어 사용자는 7,321,070명(21.06%)이었다.[176]영토 | 총 인구 | 영어 | % | 프랑스어 | % | 기타 언어 | % | 공식 언어 |
---|---|---|---|---|---|---|---|---|
온타리오주 | 13,312,870 | 9,255,978 | 69.52% | 568,345 | 4.27% | 3,865,780 | 29.04% | 영어[172] |
퀘벡주 | 8,066,555 | 718,985 | 8.91% | 6,377,080 | 79.06% | 1,173,345 | 14.54% | 프랑스어[173] |
브리티시컬럼비아주 | 4,598,415 | 3,271,425 | 71.14% | 71,705 | 1.56% | 1,360,815 | 29.59% | 영어 (사실상) |
앨버타주 | 4,026,650 | 3,080,865 | 76.51% | 86,705 | 2.15% | 952,790 | 23.66% | 영어 |
매니토바주 | 1,261,615 | 931,410 | 73.83% | 46,055 | 3.65% | 316,120 | 25.06% | 영어 |
서스캐처원주 | 1,083,240 | 910,865 | 84.09% | 17,735 | 1.64% | 173,475 | 16.01% | 영어 |
노바스코샤주 | 912,300 | 838,055 | 91.86% | 33,345 | 3.66% | 49,165 | 5.39% | 영어 (사실상) |
뉴브런즈윅주 | 736,280 | 481,690 | 65.42% | 238,865 | 32.44% | 25,165 | 3.42% | 영어, 프랑스어 |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주 | 515,680 | 501,350 | 97.22% | 3,020 | 0.59% | 13,035 | 2.53% | 영어 (사실상) |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주 | 141,020 | 128,975 | 91.46% | 5,395 | 3.83% | 7,670 | 5.44% | 영어 (사실상) |
노스웨스트 준주 | 41,380 | 32,545 | 78.65% | 1,365 | 3.30% | 8,295 | 20.05% | Chipewyan, Cree, 영어, 프랑스어, Gwich’in, Inuinnaqtun, 이누크티투트어, Inuvialuktun, North Slavey, South Slavey, Tłįchǫ[174] |
유콘 준주 | 35,555 | 29,765 | 83.72% | 1,815 | 5.10% | 4,665 | 13.12% | 영어, 프랑스어 |
누나부트 준주 | 35,695 | 11,745 | 32.90% | 640 | 1.79% | 24,050 | 67.38% | 이누이트어 (Inuktitutiu, Inuinnaqtun), 영어, 프랑스어[175] |
캐나다 | 34,767,255 | 20,193,340 | 58.08% | 7,452,075 | 21.43% | 7,974,375 | 22.94% | 영어, 프랑스어 |
비공식 언어 중에서는 중국어(보통어, 광둥어, 기타 중국어, 민난어 결합) 응답이 1,227,680명(3.53%)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펀자브어(501,680명), 스페인어(458,850명), 타갈로그어(431,385명), 아랍어(419,895명) 순이었다. 한국어는 153,425명(0.44%)으로 16위를 기록했다.[176]
모국어 | 2016년 | |
---|---|---|
인구 | % | |
단일 언어 응답 | 33,947,610 | 97.64% |
공용어 | 26,627,545 | 76.59% |
영어 | 19,460,855 | 55.97% |
프랑스어 | 7,166,700 | 20.61% |
비공식 언어 | 7,321,070 | 21.06% |
중국어 (결합) 응답 | 1,227,680 | 3.53% |
보통어(표준 중국어) | 592,035 | 1.70% |
광둥어 | 565,275 | 1.63% |
펀자브어 | 501,680 | 1.44% |
스페인어 | 458,850 | 1.32% |
타갈로그어 | 431,385 | 1.24% |
아랍어 | 419,895 | 1.21% |
독일어 | 384,040 | 1.10% |
이탈리아어 | 375,645 | 1.08% |
힌두스탄어 | 321,465 | 0.92% |
포르투갈어 | 221,535 | 0.64% |
페르시아어 (다리어) | 214,200 | 0.62% |
우르두어 | 210,820 | 0.61% |
러시아어 | 188,255 | 0.54% |
폴란드어 | 181,705 | 0.52% |
베트남어 | 156,430 | 0.45% |
한국어 | 153,425 | 0.44% |
타밀어 | 140,720 | 0.40% |
힌디어 | 110,645 | 0.32% |
구자라트어 | 108,775 | 0.31% |
그리스어 | 106,520 | 0.31% |
우크라이나어 | 102,485 | 0.30% |
네덜란드어 | 99,015 | 0.28% |
루마니아어 | 96,660 | 0.28% |
벵골어 | 73,125 | 0.21% |
크레올어 | 72,130 | 0.21% |
크리어 | 64,045 | 0.18% |
헝가리어 | 61,235 | 0.18% |
세르비아어 | 57,345 | 0.16% |
크로아티아어 | 48,200 | 0.14% |
일본어 | 43,640 | 0.13% |
중국어, n.o.s. | 38,575 | 0.11% |
소말리아어 | 36,760 | 0.11% |
이누이트어 | 35,215 | 0.10% |
아르메니아어 | 33,455 | 0.10% |
튀르키예어 | 32,815 | 0.09% |
민난어 (차오저우, 테오추, 복건, 타이완어) | 31,795 | 0.09% |
말라얄람어 | 28,570 | 0.08% |
알바니아어 | 26,895 | 0.08% |
일로카노어 | 26,345 | 0.08% |
암하라어 | 22,465 | 0.06% |
체코어 | 22,295 | 0.06% |
크메르어 (캄보디아어) | 20,130 | 0.06% |
불가리아어 | 20,020 | 0.06% |
히브리어 | 19,530 | 0.06% |
니제르-콩고어족 언어 | 19,140 | 0.06% |
네팔어 | 18,275 | 0.05% |
오지브웨어 | 17,885 | 0.05% |
슬로바키아어 | 17,585 | 0.05% |
파슈토어 | 16,910 | 0.05% |
마케도니아어 | 16,770 | 0.05% |
티그리냐어 | 16,650 | 0.05% |
싱할라어 | 16,335 | 0.05% |
텔루구어 | 15,655 | 0.04% |
핀란드어 | 15,295 | 0.04% |
이디시어 | 13,555 | 0.04% |
아칸어 (트위) | 13,460 | 0.04% |
스와힐리어 | 13,375 | 0.04% |
오어 (상해어) | 12,920 | 0.04% |
오지크리어 | 12,855 | 0.04% |
라오어 | 12,670 | 0.04% |
덴마크어 | 12,630 | 0.04% |
말레이어 | 12,275 | 0.04% |
보스니아어 | 12,210 | 0.03% |
신디어 | 11,860 | 0.03% |
6. 1. 1. 주요 언어 (2016년)
wikitext2016년 캐나다 인구조사에 따르면, 캐나다 전체 인구 34,767,255명 중 단일 언어 응답자는 33,947,610명이었다. 이 중 공용어(영어와 프랑스어) 사용자는 26,627,545명(76.59%)이며, 영어 사용자는 19,460,855명(55.97%), 프랑스어 사용자는 7,166,700명(20.61%)이었다. 비공식 언어 사용자는 7,321,070명(21.06%)이었다.[176]
영토 | 총 인구 | 영어 | % | 프랑스어 | % | 기타 언어 | % | 공식 언어 |
---|---|---|---|---|---|---|---|---|
온타리오주 | 13,312,870 | 9,255,978 | 69.52% | 568,345 | 4.27% | 3,865,780 | 29.04% | 영어[172] |
퀘벡주 | 8,066,555 | 718,985 | 8.91% | 6,377,080 | 79.06% | 1,173,345 | 14.54% | 프랑스어[173] |
브리티시컬럼비아주 | 4,598,415 | 3,271,425 | 71.14% | 71,705 | 1.56% | 1,360,815 | 29.59% | 영어 (사실상) |
앨버타주 | 4,026,650 | 3,080,865 | 76.51% | 86,705 | 2.15% | 952,790 | 23.66% | 영어 |
매니토바주 | 1,261,615 | 931,410 | 73.83% | 46,055 | 3.65% | 316,120 | 25.06% | 영어 |
서스캐처원주 | 1,083,240 | 910,865 | 84.09% | 17,735 | 1.64% | 173,475 | 16.01% | 영어 |
노바스코샤주 | 912,300 | 838,055 | 91.86% | 33,345 | 3.66% | 49,165 | 5.39% | 영어 (사실상) |
뉴브런즈윅주 | 736,280 | 481,690 | 65.42% | 238,865 | 32.44% | 25,165 | 3.42% | 영어, 프랑스어 |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주 | 515,680 | 501,350 | 97.22% | 3,020 | 0.59% | 13,035 | 2.53% | 영어 (사실상) |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주 | 141,020 | 128,975 | 91.46% | 5,395 | 3.83% | 7,670 | 5.44% | 영어 (사실상) |
노스웨스트 준주 | 41,380 | 32,545 | 78.65% | 1,365 | 3.30% | 8,295 | 20.05% | Chipewyan, Cree, 영어, 프랑스어, Gwich’in, Inuinnaqtun, 이누크티투트어, Inuvialuktun, North Slavey, South Slavey, Tłįchǫ[174] |
유콘 준주 | 35,555 | 29,765 | 83.72% | 1,815 | 5.10% | 4,665 | 13.12% | 영어, 프랑스어 |
누나부트 준주 | 35,695 | 11,745 | 32.90% | 640 | 1.79% | 24,050 | 67.38% | 이누이트어 (Inuktitutiu, Inuinnaqtun), 영어, 프랑스어[175] |
캐나다 | 34,767,255 | 20,193,340 | 58.08% | 7,452,075 | 21.43% | 7,974,375 | 22.94% | 영어, 프랑스어 |
비공식 언어 중에서는 중국어(보통어, 광둥어, 기타 중국어, 민난어 결합) 응답이 1,227,680명(3.53%)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펀자브어(501,680명), 스페인어(458,850명), 타갈로그어(431,385명), 아랍어(419,895명) 순이었다. 한국어는 153,425명(0.44%)으로 16위를 기록했다.[176]
모국어 | 2016년 | |
---|---|---|
단일 언어 응답 | 33,947,610 | 97.64% |
공용어 | 26,627,545 | 76.59% |
영어 | 19,460,855 | 55.97% |
프랑스어 | 7,166,700 | 20.61% |
비공식 언어 | 7,321,070 | 21.06% |
중국어 (결합) 응답 | 1,227,680 | 3.53% |
보통어(표준 중국어) | 592,035 | 1.70% |
광둥어 | 565,275 | 1.63% |
펀자브어 | 501,680 | 1.44% |
스페인어 | 458,850 | 1.32% |
타갈로그어 | 431,385 | 1.24% |
아랍어 | 419,895 | 1.21% |
독일어 | 384,040 | 1.10% |
이탈리아어 | 375,645 | 1.08% |
힌두스탄어 | 321,465 | 0.92% |
포르투갈어 | 221,535 | 0.64% |
페르시아어 (다리어) | 214,200 | 0.62% |
우르두어 | 210,820 | 0.61% |
러시아어 | 188,255 | 0.54% |
폴란드어 | 181,705 | 0.52% |
베트남어 | 156,430 | 0.45% |
한국어 | 153,425 | 0.44% |
타밀어 | 140,720 | 0.40% |
힌디어 | 110,645 | 0.32% |
구자라트어 | 108,775 | 0.31% |
그리스어 | 106,520 | 0.31% |
우크라이나어 | 102,485 | 0.30% |
네덜란드어 | 99,015 | 0.28% |
루마니아어 | 96,660 | 0.28% |
벵골어 | 73,125 | 0.21% |
크레올어 | 72,130 | 0.21% |
크리어 | 64,045 | 0.18% |
헝가리어 | 61,235 | 0.18% |
세르비아어 | 57,345 | 0.16% |
크로아티아어 | 48,200 | 0.14% |
일본어 | 43,640 | 0.13% |
중국어, n.o.s. | 38,575 | 0.11% |
소말리아어 | 36,760 | 0.11% |
이누이트어 | 35,215 | 0.10% |
아르메니아어 | 33,455 | 0.10% |
튀르키예어 | 32,815 | 0.09% |
민난어 (차오저우, 테오추, 복건, 타이완어) | 31,795 | 0.09% |
말라얄람어 | 28,570 | 0.08% |
알바니아어 | 26,895 | 0.08% |
일로카노어 | 26,345 | 0.08% |
암하라어 | 22,465 | 0.06% |
체코어 | 22,295 | 0.06% |
크메르어 (캄보디아어) | 20,130 | 0.06% |
불가리아어 | 20,020 | 0.06% |
히브리어 | 19,530 | 0.06% |
니제르-콩고어족 언어 | 19,140 | 0.06% |
네팔어 | 18,275 | 0.05% |
오지브웨어 | 17,885 | 0.05% |
슬로바키아어 | 17,585 | 0.05% |
파슈토어 | 16,910 | 0.05% |
마케도니아어 | 16,770 | 0.05% |
티그리냐어 | 16,650 | 0.05% |
싱할라어 | 16,335 | 0.05% |
텔루구어 | 15,655 | 0.04% |
핀란드어 | 15,295 | 0.04% |
이디시어 | 13,555 | 0.04% |
아칸어 (트위) | 13,460 | 0.04% |
스와힐리어 | 13,375 | 0.04% |
오어 (상해어) | 12,920 | 0.04% |
오지크리어 | 12,855 | 0.04% |
라오어 | 12,670 | 0.04% |
덴마크어 | 12,630 | 0.04% |
말레이어 | 12,275 | 0.04% |
보스니아어 | 12,210 | 0.03% |
신디어 | 11,860 | 0.03% |
6. 2. 공용어 사용 능력
wikitable언어 | 2021[156] | |
---|---|---|
인구 | % | |
영어 전체 | 31,628,570 | 87.06% |
프랑스어 전체 | 10,563,235 | 29.08% |
영어만 | 25,261,655 | 69.54% |
프랑스어만 | 4,087,895 | 11.25% |
영어 & 프랑스어 | 6,581,680 | 18.12% |
영어도 프랑스어도 아님 | 689,725 | 1.9% |
6. 2. 1. 공용어 구사 능력 (2021년)
wikitable언어 | 2021[156] | 2016[157] | 2011[154] | 2006[158] | 2001[151][155] | 1996[159] | 1991[160] | 1981[161][162] | ||||||||
---|---|---|---|---|---|---|---|---|---|---|---|---|---|---|---|---|
인구 | % | 인구 | % | 인구 | % | 인구 | % | 인구 | % | 인구 | % | 인구 | % | 인구 | % | |
영어 전체 | 31,628,570 | 87.06% | 29,973,590 | 86.21% | 28,360,235 | 85.63% | 26,578,795 | 85.08% | 25,246,220 | 85.18% | 23,975,565 | 84.04% | 22,505,415 | 83.37% | 19,804,855 | 82.23% |
프랑스어 전체 | 10,563,235 | 29.08% | 10,360,750 | 29.8% | 9,960,585 | 30.07% | 9,590,700 | 30.7% | 9,178,100 | 30.97% | 8,920,405 | 31.27% | 8,508,960 | 31.52% | 7,669,205 | 31.84% |
영어만 | 25,261,655 | 69.54% | 23,757,525 | 68.33% | 22,564,665 | 68.13% | 21,129,945 | 67.64% | 20,014,645 | 67.53% | 19,134,245 | 67.07% | 18,106,760 | 67.08% | 16,122,895 | 66.95% |
프랑스어만 | 4,087,895 | 11.25% | 4,144,685 | 11.92% | 4,165,015 | 12.58% | 4,141,850 | 13.26% | 3,946,525 | 13.32% | 4,079,085 | 14.3% | 4,110,305 | 15.23% | 3,987,245 | 16.56% |
영어 & 프랑스어 | 6,581,680 | 18.12% | 6,216,065 | 17.88% | 5,795,570 | 17.5% | 5,448,850 | 17.44% | 5,231,575 | 17.65% | 4,841,320 | 16.97% | 4,398,655 | 16.29% | 3,681,960 | 15.29% |
영어도 프랑스어도 아님 | 689,725 | 1.9% | 648,970 | 1.87% | 595,920 | 1.8% | 520,385 | 1.67% | 446,285 | 1.51% | 473,475 | 1.66% | 378,320 | 1.4% | 291,395 | 1.21% |
참조
[1]
웹사이트
Legislation Enshrines Mi'kmaw as Nova Scotia's First Language
https://novascotia.c[...]
L'nu Affairs
2022-04-07
[2]
Bill
Mi'kmaw Language Act
https://nslegislatur[...]
2022-10-01
[3]
웹사이트
"2011 Census of Canada: Topic-based tabulations – Mother Tongue - Detailed Aboriginal Languages (85), Languages Spoken Most Often at Home - Detailed Aboriginal Languages (85), Other Languages Spoken Regularly at Home - Aboriginal Languages (12), Age Groups (13A), Sex (3) and Area of Residence (6) for the Population Excluding Institutional Residents of Canada, Provinces and Territories, 2011 Census"
http://www12.statcan[...]
2012-10-24
[4]
웹사이트
"Language Highlight Tables, 2016 Census - Mother tongue by age (Total), % distribution (2016) for the population excluding institutional residents of Canada, provinces and territories, 2016 Census – 100% Data"
https://www12.statca[...]
2017-08-02
[5]
웹사이트
"Language Highlight Tables, 2016 Census - Knowledge of official languages by age (Total), % distribution (2016) for the population excluding institutional residents of Canada, provinces and territories, 2016 Census – 100% Data"
https://www12.statca[...]
2017-08-02
[6]
웹사이트
Status of the French language
http://www.oqlf.gouv[...]
Government of Quebec
2010-11-10
[7]
웹사이트
Legislation Enshrines Mi'kmaw as Nova Scotia's First Language
https://novascotia.c[...]
L'nu Affairs
2022-04-07
[8]
Bill
Mi'kmaw Language Act
https://nslegislatur[...]
2022-10-01
[9]
웹사이트
Official Languages
https://www.gov.nu.c[...]
The Government of Nunavut
2022-03-20
[10]
뉴스
Goodbye Great Slave Lake? Movement to decolonize N.W.T. maps is growing
https://www.cbc.ca/n[...]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6-07-21
[11]
웹사이트
Official Languages
http://www.ece.gov.n[...]
Government of the Northwest Territories
2014-07-19
[12]
문서
Official Languages Commissioner [[Graham Fraser]] is quoted in ''[[The Hill Times]]'', August 31, 2009, p. 14.
[13]
문서
'1981: Statistics Canada, 1981, Population by Selected Mother Tongues and Sex, Showing Official Language and Home Language, for Canada and Provinces, Urban and Rural, (table 2), 1981 Census.
[14]
문서
Given the large discrepancies in the data for both official languages and neither language in 1971 and 1981,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 manner in which the data collected for these years was different from for 1986–2006
[15]
웹사이트
Population by knowledge of official languages, age groups (total), 2011 counts, for Canada, provinces and territories
http://www12.statcan[...]
2020-05-18
[16]
웹사이트
La dynamique des langues en quelques chiffres : Tableaux
http://www.spl.gouv.[...]
2014-03-17
[17]
문서
'Marmen, Louise and Corbeil, Jean-Pierre, "New Canadian Perspectives, Languages in Canada 2001 Census," Library and Archives Canada Cataloguing in Publication, Statistics Canada Cat. No. Ch3-2/8-2004, (Canadian Heritage, 2004), pg. 60.'
[18]
웹사이트
Census Data Navigator
http://www12.statcan[...]
2020-05-18
[19]
문서
'1931–1991: Statistics Canada, The 1997 Canada Year Book, "3.14 Official Language Knowledge," Catalogue No. 11-402XPE/1997.
[20]
웹사이트
French and the francophonie in Canada
http://www12.statcan[...]
2020-05-18
[21]
웹사이트
Census Program
http://www.statcan.g[...]
2001-01-15
[22]
문서
'Statistics Canada, The Evolving Linguistic Portrait, 2006 Census, Catalogue no. 97-555-XIE, Ottawa, December 2007, pp. 15–16.'
[23]
웹사이트
Statistics Canada, Place of birth for the immigrant population by period of immigration, 2006 counts and percentage distribution, for Canada, provinces and territories – 20% sample data, 2006 Census of Population
http://www12.statcan[...]
[24]
문서
'1931–1991: Statistics Canada, The 1997 Canada Year Book, "3.14 Official Language Knowledge," Catalogue No. 11-402XPE/1997.
[25]
문서
'1941: Dominion Bureau of Statistics, "Table II. Percentage Distribution of the Population Classified According to Sex, by Official Language, For Canada and the Provinces, 1941," Eighth Census of Canada, 1941.
[26]
웹사이트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Canadians
http://www12.statcan[...]
2020-05-18
[27]
웹사이트
Bilingualism growing, but not in French and English
https://www.cbc.ca/n[...]
[28]
문서
'Dominion Bureau of Statistics, "Table II. Percentage Distribution of the Population Classified According to Sex, by Official Language, For Canada and the Provinces, 1941," Eighth Census of Canada, 1941.'
[29]
웹사이트
'Series A2:Population of Canada, by province, census dates, 1851 to 1976'
http://www.statcan.g[...]
[30]
문서
'Dominion Bureau of Statistics, "Table 54. Population by a) official language and sex, and b) mother tongue and sex, for provinces and territories, 1951," Ninth Census of Canada.'
[31]
문서
'Statistics Canada, "Table 64. Population by a) official language and sex, and b) mother tongue and sex, for provinces and territories, 1961," 1961 Census of Canada, Catalogue:92-549, Vol: I – Part: 2.'
[32]
문서
'Statistics Canada, "Table 26. Population by A) Official Language, B) Language Most Often Spoken at Home, and Sex, For Canada and Provinces, 1971," 1971 Census of Canada, Catalogue 92-726 Vol: 1-Part:3.'
[33]
문서
'Statistics Canada, "Table 3. Population by Selected Mother Tongues, age groups and sex, Showing Official Language and Home Language for Canada and Provinces, Urban and Rural, 1981," 1981 Census of Canada, Catalogue 92–910 (Volume 1).'
[34]
문서
'Statistics Canada, "Table 7. Population by Official Languages and Sex, for Canada, Provinces and Territories, 1986 Census – 20% Sample Data," 1986 Census, Catalogue 93–103.'
[35]
문서
'Statistics Canada, "Table 1A. Population by Knowledge of Official Languages and Sex, for Canada, Provinces and Territories, 1991 – 20% Sample Data," 1991 Census, Catalogue 93–318.'
[36]
간행물
"Table 1. Selected Characteristics for Census Subdivisions, 1996 Census – 100% Data and 20% Sample Data"
Statistics Canada
1996
[37]
데이터베이스
Languages, Mobility and Migration, 2001 – Provinces and Territories in Canada (table)
http://www.statcan.g[...]
Statistics Canada
2026-05-10
[38]
데이터베이스
Cumulative Profile, 2006 – Provinces and Territories in Canada (table)
http://www.statcan.g[...]
Statistics Canada
2026-05-10
[39]
웹사이트
Knowledge of official languages by age (Total), 2016 counts for the population excluding institutional residents of Canada, provinces and territories, 2016 Census – 100% Data
http://www12.statcan[...]
2017-08-02
[40]
웹사이트
Infographic: The French presence in New Brunswick
https://web.archive.[...]
Office of the Commissioner of Official Languages
2020-08-12
[41]
웹사이트
Infographic: The French presence in Northwest Territories
https://web.archive.[...]
Office of the Commissioner of Official Languages
2020-08-12
[42]
웹사이트
Infographic: The French presence in Prince Edward Island
https://web.archive.[...]
Office of the Commissioner of Official Languages
2020-08-12
[43]
웹사이트
Infographic: The French presence in Ontario
https://web.archive.[...]
Office of the Commissioner of Official Languages
2020-08-12
[44]
웹사이트
Infographic: The French presence in Nova Scotia
https://web.archive.[...]
Office of the Commissioner of Official Languages
2020-08-12
[45]
웹사이트
Infographic: The French presence in Yukon
https://web.archive.[...]
Office of the Commissioner of Official Languages
2020-08-12
[46]
웹사이트
Infographic: The French presence in Manitoba
https://web.archive.[...]
Office of the Commissioner of Official Languages
2020-08-12
[47]
웹사이트
Infographic: The French presence in Alberta
https://web.archive.[...]
Office of the Commissioner of Official Languages
2020-08-12
[48]
웹사이트
Infographic: The French presence in British Columbia
https://web.archive.[...]
Office of the Commissioner of Official Languages
2020-08-12
[49]
웹사이트
Infographic: The French presence in Saskatchewan
https://web.archive.[...]
Office of the Commissioner of Official Languages
2020-08-12
[50]
웹사이트
Infographic: The French presence in Newfoundland and Labrador
https://www.clo-ocol[...]
Office of the Commissioner of Official Languages
2020-08-12
[51]
웹사이트
Infographic: The French presence in Nunavut
https://web.archive.[...]
Office of the Commissioner of Official Languages
2020-08-12
[52]
웹사이트
Fast figures on Canada's official languages (2016)
https://web.archive.[...]
Office of the Commissioner of Official Languages
2020-08-12
[53]
데이터베이스
Cumulative Profile, 2006 – Canada (308 electoral districts)
http://www12.statcan[...]
Statistics Canada
2010-06-28
[54]
서적
"Francophone Minorities: Assimilation and Community Vitality, second edition"
Canadian Heritage
2001
[55]
웹사이트
Bilingualism Rate in Canada, Site for Language Management in Canada
http://www.salic-slm[...]
SLMC
[56]
웹사이트
Au Manitoba, redonner de la force au mitchif-français
https://francopresse[...]
2021-12-15
[57]
논문
La Variation dialectale dans le parler français des Métis de l'Ouest canadien
https://www.erudit.o[...]
2021-12-15
[58]
논문
Quelques remarques sur un parler français méconnu de l'Ouest canadien: le métis
https://www.erudit.o[...]
2021-12-15
[59]
웹사이트
Toward a Métis homeland
https://www.canadian[...]
The Royal Canadian Geographical Society
2021-12-15
[60]
웹사이트
The Boundaries of the Métis Nation
https://www.metispor[...]
2021-12-15
[61]
웹사이트
Michif Piyii (Métis)
https://native-land.[...]
Native Land Digital
2021-12-15
[62]
웹사이트
La Francophonie Canadienne
https://web.archive.[...]
Statistics Canada
2003-10-03
[63]
서적
"Francophone Minorities: Assimilation and Community Vitality, second edition"
Canadian Heritage
2001
[64]
웹사이트
Aboriginal languages
http://www.statcan.g[...]
2009-10-05
[65]
웹사이트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https://www.ethnolog[...]
2021-10-14
[66]
논문
Plains Cree Identity: Borderlands, Ambiguous Genealogies and Narrative Irony
https://web.archive.[...]
SIL International
2013-04-18
[67]
논문
Indigenous and Deaf People and the Implications of Ongoing Practices of Colonization: A Comparison of Australia and Canada
2021-04-19
[68]
뉴스
Why so many children died at Indian Residential Schools
https://nationalpost[...]
National Post
2021-05-29
[69]
웹사이트
The Residential School System
https://indigenousfo[...]
First Nations and Indigenous Studies at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2022-03-09
[70]
논문
A Comparative Study of Native Residential Schools and the Residential Schools for the Deaf in Canada
https://curve.carlet[...]
Carleton University
2022-03-09
[71]
웹사이트
Honouring Indigenous Languages within Parliament – Canadian Parliamentary Review – la Revue parlementaire canadienne
https://www.revparlc[...]
2019-08-08
[72]
웹사이트
Indigenous Winnipeg MP delivers speech in Cree in House of Commons - Winnipeg | Globalnews.ca
https://globalnews.c[...]
[73]
뉴스
Sound of native languages in parliament to mark win for indigenous Canadians
https://www.theguard[...]
2019-01-27
[74]
웹사이트
Government Bill (House of Commons) C-91 (42-1) - Royal Assent - Indigenous Languages Act - Parliament of Canada
https://www.parl.ca/[...]
[75]
PDF
https://lop.parl.ca/[...]
2024-08-01
[76]
inline
https://www.canlii.o[...]
2024-08-01
[77]
웹사이트
Meet Robert-Falcon Ouellette: Veteran, former parliamentarian, and professor
https://www.uottawa.[...]
[78]
웹사이트
What are the Official Languages of Nunavut
http://langcom.nu.ca[...]
2017-08-14
[79]
웹사이트
Official Languages Act, SNu 2008, c 10
https://www.canlii.o[...]
2020-05-18
[80]
서적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http://www.ethnologu[...]
SIL International
2009-11-16
[81]
웹사이트
Aboriginal mother tongue, Aboriginal language spoken most often at home and Other Aboriginal language(s) spoken regularly at home for the population excluding institutional residents of Canada, provinces and territories, 2016 Census
https://www12.statca[...]
2017-08-02
[82]
웹사이트
Census in Brief: The Aboriginal languages of First Nations people, Métis and Inuit
https://www12.statca[...]
2021-10-14
[83]
서적
Handbook of the North American Indians
https://books.google[...]
Smithsonian Institution
2010-08-11
[84]
웹사이트
Recognize Indigenous Sign Languages – Reconnaître les Langues des Signes Autochtones
https://www.ourcommo[...]
BC Hummingbird Society for the Deaf (BCHSD)
2022-03-09
[85]
간행물
Inuit Sign Language: a contribution to sign language typology
http://www.linguisti[...]
2015-08-01
[86]
웹사이트
Statistics on Deaf Canadians
http://cad.ca/issues[...]
Canadian Association of the Deaf – Association des Sourds du Canada
2022-03-09
[87]
문서
Harald Hammarström, Robert Forkel, Martin Haspelmath & Sebastian Bank, eds., ''Glottolog'', ver. 4.3
doi:10.5281/zenodo.4[...]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88]
웹사이트
bangii
https://ojibwe.lib.u[...]
Ojibwe People's Dictionary
2021-12-15
[89]
웹사이트
Michif
https://www.thecanad[...]
Historica Canada
2021-12-15
[90]
서적
Atlas of Language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n the Pacific, Asia, and the Americas
https://books.google[...]
Mouton de Gruyter
2020-08-10
[91]
웹사이트
Michif and other languages of the Canadian Métis
http://www.metismuse[...]
Gabriel Dumont Institute of Native Studies and Applied Research
2020-08-10
[92]
MA
The Bungee Dialect of the Red River Settlement
https://mspace.lib.u[...]
University of Manitoba
1989
[93]
웹사이트
Bungee, Bungi
https://www.noslangu[...]
Government of Canada
2021-12-15
[94]
웹사이트
Les acadianismes
https://www.axl.cefa[...]
2015-12-15
[95]
서적
Glossaire du vieux parler acadien
Éditions Lambda ACADIE
[96]
웹사이트
Chiac {{!}} The Canadian Encyclopedia
https://www.thecanad[...]
2021-06-15
[97]
간행물
Hybrid Languages in Canada Involving French
2014
[98]
웹사이트
Chinook Jargon website
http://www.cayoosh.n[...]
Cayoosh.net
2011-01-18
[99]
문서
Conséquences linguistiques du contact de langues: un modèle d’analyse variationniste. Langage et société
[100]
문서
An English "like no other"?: Language contact and change in Quebec
[101]
웹사이트
Glottolog Language: Jargon Loucheux
https://glottolog.or[...]
2022-03-20
[102]
서적
Broken Slavey and Jargon Loucheux: A first exploration. In I. Broch & E. H. Jahr (Eds.), Language contact in the Arctic: Northern pidgins and contact languages.
Mounton de Gruyter
[103]
간행물
'That's a Rubbaboo'
http://dx.doi.org/10[...]
2008-09-17
[104]
간행물
'The Language of the Coast Tribes is Half Basque': A Basque-American Indian Pidgin in Use between Europeans and Native Americans in North America, ca. 1540-ca. 1640
http://www.indiana.e[...]
2013-04-18
[105]
웹사이트
Souris: Of Mice and Mi'kmaq
https://www.mayzil.c[...]
2021-06-09
[106]
웹사이트
American Sign Language
http://www.ethnologu[...]
SIL International
[107]
뉴스
Bill 213: An Act to recognize sign language as an official language in Ontario
http://www.ontla.on.[...]
2007
[108]
뉴스
Inuit sign language makes debut in Nunavut legislature
http://www.cbc.ca/ne[...]
CBC
2015-08-01
[109]
웹사이트
Projet de loi n°14 : Loi modifiant la Charte de la langue française, la Charte des droits et libertés de la personne et d'autres dispositions législatives
http://www.assnat.qc[...]
2013
[110]
논문
"A historical linguistic account of sign language among North American Indian groups."
Gallaudet University Press
2006
[111]
웹사이트
Hand Talk: American Indian Sign Language
http://sunsite.utk.e[...]
2014-08-06
[112]
서적
The Book of Name Signs
1992
[113]
웹사이트
Oneida Sign Language
https://oneidalangua[...]
Oneida Language & Cultural Centre
2022-03-09
[114]
뉴스
Oneida sign language created to connect deaf community with their culture
https://www.cbc.ca/n[...]
2018-04-15
[115]
뉴스
Signs of changing times: Deaf Nunavummiut working to improve quality of life
http://www.nnsl.com/[...]
Northern News Services Online
2015-08-23
[116]
웹사이트
ʾa·qanⱡiⱡⱡitnam, n. sign language
https://www.facebook[...]
Ktunaxa Language Group
2022-04-03
[117]
서적
Imagining Difference: Legend, Curse, and Spectacle in a Canadian Mining Town
UBC Press
2022-04-03
[118]
웹사이트
Acadian Culture in Maine
https://acim.umfk.ed[...]
University of Maine at Fort Kent
2021-12-15
[119]
웹사이트
Chiac, Brayon et autres couleurs de l'accent acadien!
https://rvf.ca/blogu[...]
Fondation canadienne pour le dialogue des cultures
2021-12-15
[120]
웹사이트
Le Brayonnaire
https://edmundston.c[...]
City of Edmunston
2021-12-15
[121]
웹사이트
Les langues des Métis
https://atlasdespeup[...]
2021-12-15
[122]
웹사이트
Au Manitoba, redonner de la force au mitchif-français
https://francopresse[...]
2021-11-01
[123]
간행물
Canadian English: A Linguistic Reader
https://www.queensu.[...]
Queen’s University
2022-05-23
[124]
서적
Odysseys home: Mapping African-Canadian literatur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02-01-01
[125]
서적
Focus on Canada
https://trove.nla.go[...]
Amsterdam; Philadelphia : J. Benjamins Pub. Co
1993
[126]
서적
African-American English: Structure, History, and Use
Psychology Press
1998
[127]
간행물
African American English in the diaspora: Evidence from old-line Nova Scotians
http://pdfs.semantic[...]
1991
[128]
서적
The English History of African American English
[129]
conference
The /r/-ful Truth about African Nova Scotian English
http://www.yorku.ca/[...]
2019-03-18
[130]
간행물
"First Nations English dialects in Canada: Implications for speech-language pathology"
http://www.ecdip.org[...]
2008-08-01
[131]
서적
Stories of the Road Allowance People
Theytus Books
1995
[132]
웹사이트
Ottawa Valley facts
http://www.canadiang[...]
2012-09-27
[133]
서적
English: One Language, Different Cultures
https://books.google[...]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134]
웹사이트
Language
https://www.heritage[...]
Newfoundland and Labrador Heritage
2021-12-15
[135]
서적
North American Gaels: Speech, Song, and Story in the Diaspora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020
[136]
서적
North American Gaels: Speech, Song, and Story in the Diaspora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020
[137]
웹사이트
Teagascóirí Gaeilge
https://www.icuf.ie/[...]
[138]
웹사이트
Irish Student Resources | Digital Learning Centre
https://www.mun.ca/d[...]
[139]
서적
A Pennsylvania German Grammar
Schlecter's
[140]
웹사이트
THE AMISH of Southern Ontario
https://www.discover[...]
2021-12-15
[141]
웹사이트
Hutterisch
https://www.ethnolog[...]
[142]
웹사이트
Hutterites in Canada
https://www.thecanad[...]
2013-07-21
[143]
웹사이트
The Hutterites in Canada – "Communitarians Are We"
http://cafmuseum.tec[...]
Canadian Agricultural Museum
2021-12-15
[144]
웹사이트
Les mennonites
https://www.axl.cefa[...]
2015-12-18
[145]
논문
Plautdietsch: Origins, Development and State of the Mennonite Low German Language
1987
[146]
문서
About Ontario
Government of Ontario
2019-03-07
[147]
문서
Consolidation of (S.Nu. 2008, c.10) (NIF) Official Languages Act
http://www.justice.g[...]
[148]
웹사이트
Mother tongue by age (Total), 2016 counts for the population excluding institutional residents of Canada, provinces and territories, 2016 Census
https://www12.statca[...]
2017-08-02
[149]
웹사이트
Knowledge of languages by age and gender: Canada, provinces and territories, census metropolitan areas and census agglomerations with parts
https://www150.statc[...]
2022-08-17
[150]
웹사이트
NHS Profile, Canada, 2011 Non-official language
https://www12.statca[...]
2022-08-17
[151]
웹사이트
Languages in Canada: 2001 Census
https://www150.statc[...]
2001
[152]
웹사이트
Topic-based tabulation:Various Non-official Languages Spoken (76), Age Groups (13) and Sex (3) for Population, for Canada, Provinces, Territories, Census Divisions and Census Subdivisions, 2001 Census - 20% Sample Data
https://www12.statca[...]
2022-08-24
[153]
웹사이트
Profile of Urban Forward Sortation Areas
https://www12.statca[...]
2022-08-24
[154]
웹사이트
Census Profile Language
https://www12.statca[...]
2022-08-17
[155]
웹사이트
Knowledge of Official Languages (5), Age Groups (13) and Sex (3) for Population, for Canada, Provinces, Territories, Census Divisions, Census Subdivisions and Dissemination Areas, 2001 Census - 20% Sample Data
https://www12.statca[...]
2022-08-23
[156]
웹사이트
Census Profile, 2021 Census of Population Profile table Canada [Country]
https://www12.statca[...]
2022-08-17
[157]
웹사이트
Census Profile, 2016 Census Canada [Country] and Canada [Country]
https://www12.statca[...]
2021-10-27
[158]
웹사이트
Knowledge of Official Languages (5), Number of Non-official Languages Known (5), Age Groups (17A) and Sex (3) for the Population of Canada, Provinces, Territories, Census Metropolitan Areas and Census Agglomerations, 2006 Census - 20% Sample Data
https://www12.statca[...]
2020-05-01
[159]
웹사이트
Population by Knowledge of Official Languages (5) and Sex (3), Showing Age Groups (15A), for Canada, Provinces, Territories and Census Metropolitan Areas, 1991 and 1996 Censuses (20% Sample Data)
https://www12.statca[...]
2019-06-04
[160]
웹사이트
L9104 -Population by Knowledge of Official Languages (5), showing Age Groups (13b) - Canada, provinces and territories, census divisions and census subdivisions
https://www12.statca[...]
2019-03-29
[161]
웹사이트
1981 Census of Canada : volume 1 - national series : population = Recensement du Canada de 1981 : volume 1 - série nationale : population. Mother tongue, official language and home language.
https://publications[...]
2013-04-03
[162]
웹사이트
Census Profile for Canada, Provinces and Territories, Census Divisions and Census Subdivisions, 1981 Census - Part B
https://www12.statca[...]
2020-05-26
[163]
웹사이트
Census Profile, 2016 Census – Canada
http://www12.statcan[...]
2017-08-02
[164]
웹사이트
Census Profile
http://www12.statcan[...]
2012-02-08
[165]
문서
Topic-based tabulations
[166]
문서
Statistics Canada – Language used at work1 by frequency of language used at work and mother tongue, 2006 counts
http://www12.statcan[...]
[167]
웹사이트
Census Profile, 2016 Census - Canada [Country] and Canada [Country]
https://www12.statca[...]
2017-02-08
[168]
웹사이트
Detailed Language Spoken Most Often at Home
http://www12.statcan[...]
Statistics Canada
2008-04-08
[169]
웹사이트
Census Profile, 2016 Census Canada [Country] and Canada [Country] Language spoken most often at home
https://www12.statca[...]
2017-02-08
[170]
웹인용
Language Highlight Tables, 2016 Census - Mother tongue by age (Total), % distribution (2016) for the population excluding institutional residents of Canada, provinces and territories, 2016 Census – 100% Data
https://www12.statca[...]
2017-08-02
[171]
웹인용
Language Highlight Tables, 2016 Census - Knowledge of official languages by age (Total), % distribution (2016) for the population excluding institutional residents of Canada, provinces and territories, 2016 Census – 100% Data
https://www12.statca[...]
2017-08-02
[172]
문서
About Ontario
en:Government of Ontario
2019-03-07
[173]
웹인용
Status of the French language
http://www.oqlf.gouv[...]
Government of Quebec
2010-11-10
[174]
웹인용
Official Languages
http://www.ece.gov.n[...]
Government of the Northwest Territories
2014-07-19
[175]
문서
Consolidation of (S.Nu. 2008, c.10) (NIF) Official Languages Act
http://www.justice.g[...]
[176]
웹인용
Mother tongue by age (Total), 2016 counts for the population excluding institutional residents of Canada, provinces and territories, 2016 Census
https://www12.statca[...]
2017-08-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