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 (이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름은 개인을 식별하고, 사회적, 문화적 의미를 담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름은 일반적으로 이름-성 또는 성-이름 순서로 표기되며, 이는 문화권에 따라 다르다. 서양 문화권에서는 이름-성 순서를, 동아시아 문화권에서는 성-이름 순서를 주로 사용한다. 이름은 개인의 특징, 직업, 출생 상황, 조상 등을 반영하여 지어질 수 있으며, 여러 개의 이름이나 이니셜, 애칭 등으로 구성되기도 한다. 이름은 법적으로 등록되며, 국가에 따라 이름의 사용과 변경에 대한 규제가 존재한다. 또한, 대중 매체, 유명인, 사회적 사건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이름의 유행이 변화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름 - 미카엘라
미카엘라는 여러 언어에서 변형되어 사용되는 이름으로, 실존 인물, 가상 인물, 노래 제목, 드라마 제목 등으로 사용되며, 특정 국가에서는 이름날로 기념되기도 한다. - 이름 - 창씨개명
창씨개명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내선일체를 명분으로 조선인의 성과 이름을 일본식으로 바꾸도록 강요한 황국신민화 정책으로, 천황 중심의 국가 체계에 통합하려는 목적을 가졌다. - 언어학에 관한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 언어학에 관한 - 개명
개명은 개인이나 법인이 이름을 바꾸는 행위로, 결혼, 이혼, 이민, 종교 개종, 성 정체성 확인, 사회적 이미지 개선, 범죄 회피 등 여러 이유로 행해지며, 절차는 국가별로 다르지만 법적 제약과 고려 사항이 따른다. - 없는 문서를 링크하고 있는 - 알카에다
알카에다는 압둘라 아잠에 의해 1988년 설립되어 오사마 빈 라덴이 이끌었던 국제적인 지하디스트 테러 조직으로, 샤리아 법에 기반한 세계적인 이슬람 국가 건설을 목표로 하며 9·11 테러를 비롯한 수많은 테러에 연루되어 국제사회의 비판과 제재를 받고 있다. - 없는 문서를 링크하고 있는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 명 (이름) | |
|---|---|
| 명칭 | |
| 종류 | 이름의 한 종류 |
| 설명 | 개인을 식별하기 위해 주어지는 이름 |
| 구성 | |
| 일반적 구성 | 이름(Given name) + 성(Family name) |
| 기타 구성 요소 | 중간 이름 (Middle name) 칭호 (Honorifics) |
| 문화적 측면 | |
| 사용 방식 | 공식적인 상황 친밀한 관계 |
| 중요성 | 개인의 정체성, 문화, 역사 등을 반영 |
| 사회적 의미 | 이름에 대한 인식, 선호도, 유행 등 |
| 관련 용어 | |
| 한국어 | 이름 성명 명 |
| 영어 | Given name First name Forename |
| 기타 | |
| 로마자 표기 | Ireum |
2. 이름의 순서
이름을 부르는 순서는 문화권마다 다양하게 나타난다. 크게 개인의 이름을 먼저 부르는 방식과 성(姓)을 먼저 부르는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개인의 이름을 성 앞에 두는 '이름-성' 순서는 대부분의 유럽 국가들과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등 유럽 문화의 영향을 받은 지역에서 흔히 사용된다. 호주, 뉴질랜드, 필리핀 등에서도 이 방식을 따른다.
반대로 성을 이름 앞에 두는 '성-이름' 순서는 대한민국, 중국, 일본, 베트남 등 동아시아 국가들에서 보편적이다. 헝가리와 인도의 일부 지역에서도 이 순서를 표준으로 사용한다. 일부 유럽 국가에서도 비공식적인 상황 등에서 사용되기도 한다. 한국과 중국에서는 항렬자를 통해 같은 세대임을 나타내는 문화도 있다.
이 외에도 스페인어권이나 포르투갈어권처럼 부모 양쪽의 성을 모두 사용하거나, 아랍어권처럼 아버지와 할아버지의 이름까지 포함하는 등 다양한 이름 순서 방식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특정 문화권의 이름 순서가 정해져 있지만, 헝가리처럼 기본적으로 '성-이름' 순서를 쓰면서도 국제적인 표기 등에서는 '이름-성' 순서를 사용하거나, 한자 문화권의 인명을 로마자로 표기할 때 '이름-성' 순서로 쓰는 경우처럼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되기도 한다.
2. 1. 서양식 이름 순서 (이름-성)
일반적으로 이름-성 순서는 대부분의 유럽 국가와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를 포함하여 유럽 문화의 영향을 주로 받은 국가에서 사용된다. 또한 북인도, 동인도, 중앙인도 및 서인도, 호주, 뉴질랜드, 필리핀에서도 이 순서가 사용된다.이 방식은 개인의 이름을 가족 이름 앞에 두는 형식으로, 특히 영어권 국가에서 널리 사용된다. 영어 문법에서 'A of B'라는 표현이 'B의 A'를 의미하는 것처럼, 성명을 배열할 때도 성을 이름 뒤에 놓는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다.
2. 2. 동양식 이름 순서 (성-이름)
'성-이름' 순서는 주로 동아시아(대한민국, 중국, 일본, 베트남, 대만, 싱가포르, 말레이시아의 화교 등)에서 사용된다. 또한 남인도와 인도의 북동부 지역, 그리고 헝가리에서도 표준으로 사용된다.이 순서는 오스트리아와 인접한 독일 지역 (바이에른), 프랑스, 스위스, 벨기에, 그리스, 이탈리아와 같은 일부 유럽 국가에서도 어느 정도 사용되는데, 이는 주로 비공식적이거나 전통적인 맥락, 혹은 성을 이름 앞에 두는 관료주의의 영향 때문일 수 있다. (다만 오스트리아와 바이에른의 공식적인 이름 순서는 '이름-성'이다.)
한국과 중국에서는 항렬자를 사용하여 이름의 일부를 특정 세대의 모든 구성원이 공유함으로써 다른 세대와 구별하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전통적으로 가게호(家号), 씨(氏), 성(姓)과 같은 가계명을 개인 이름 앞에 두어 소속 집단을 나타냈다. 1875년 평민 성씨 필칭 의무령에 의해 모든 국민에게 성씨 사용이 의무화되면서 법적으로도 이러한 관행이 이어졌다. 씨명(氏名)이라는 단어 자체가 가계명(씨)이 이름(명)보다 먼저 오는 순서를 나타낸다. 직함의 경우 "'''(개인 이름)''' 교장"과 같이 개인 이름 뒤에 붙는 경우가 있지만, 소속을 나타낼 때는 "'''(소속명)''' '''(개인 이름)''' 교장" 또는 "'''(소속명)''' 교장 '''(개인 이름)'''"처럼 소속 집단명 뒤에 개인 이름을 두기도 한다.
고대부터 한자 문화권에서는 부모나 군주 외에는 개인의 실제 이름인 휘(諱)를 직접 부르는 것을 피하는 실명 기피 문화가 있었으며, 이를 대신할 자(字)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헝가리인의 인명은 기본적으로 '''성-이름''' 순서를 따르지만, 특히 저자명 등에서는 다른 언어의 관행에 따라 '''이름-성''' 순서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마찬가지로 한자 문화권의 인명도 로마자로 음역할 때 '''이름-성''' 순서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어, 이름 순서가 항상 고정적인 것은 아니다.
2. 3. 기타 이름 순서
스페인어권 국가에서는 양쪽 부모의 성을 모두 표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이름 - 아버지 성 - 어머니 성"''' 순서를 사용한다.포르투갈어권 국가에서도 양쪽 부모의 성을 모두 사용하지만, '''"이름 - 어머니 성 - 아버지 성"''' 순서가 일반적이다. 오늘날 스페인과 우루과이에서는 법적으로 자신의 이름 순서를 이 포르투갈어권 방식처럼 변경할 수 있다.
아랍어권 국가(예: 사우디 아라비아, 이라크, 아랍 에미리트)에서는 '''"이름 - 아버지의 이름 - 할아버지의 이름"''' 순서가 공식적으로 사용되는데, 이를 흔히 '''삼중 이름'''이라고 부른다.
3. 이름의 구성
아이슬란드의 경우, 아이슬란드인의 이름은 성에 해당하는 가계명을 가지지 않고 개인 이름 뒤에 아버지 또는 드물게 어머니의 개인 이름에 접미사를 붙인 이름을 사용한다. 이는 가계를 나타내는 이름 없이 개인 이름만으로 구성된 이름 체계의 한 예시이다.
개인을 특정하기 위한 이름이 없는 경우는 현실적으로 극히 드물다. 이름을 짓기 전에 부모를 잃는 등 특별한 상황에서도, 사회 집단 내에서 개인을 특정하기 위해 호적이 없더라도 어떤 형태로든 이름이 붙여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개인 이름을 사용하지 않아도 직함 등으로 개인이 특정 가능한 경우는 예외가 될 수 있다. 극히 드물게 종교상의 이유 등으로 출생 시의 이름을 버리고 세례명 등 대신할 이름 없이 직함명 등만 갖게 되는 사람도 있다. 또한, 가계명과의 관계를 나타내거나 어형 변화를 통해 개인을 식별하고 별도의 개인 이름을 붙이지 않는 문화도 존재한다.
한편, 유명하지만 개인 이름이 불명인 경우는 흔히 찾아볼 수 있다. 역사 속 인물 중에는 개인 이름 대신 직함과 그 대수만 전해져 이름이 불명확한 경우가 많다. 종교나 학술 분야의 지도자 주변 인물 역시 제자 등 입장만 전해지고 개인 이름이 명확히 알려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3. 1. 복합 이름
많은 서구 문화에서는 사람들이 종종 여러 개의 이름(given name)을 갖는다. 대부분의 경우 순서상 첫 번째 이름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존 에드거 후버나 데임 메리 바바라 해밀턴 카트랜드와 같은 예외도 드물지 않다.
이름은 존 폴과 같이 복합 형태로 사용되거나, 벵트-아르네처럼 하이픈으로 연결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미들 네임은 복합 이름의 일부일 수도 있고, 결혼 전 성, 부칭, 또는 세례명일 수도 있다.
영국에서는 찰스 1세(찰스 제임스 스튜어트)가 두 개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기 전까지는 한 사람이 두 개 이상의 이름을 갖는 것이 드물었다. 이는 프랑스식 유행이었으며, 왕실의 예를 따라 영국 귀족에게 퍼졌고, 그 후 일반 대중에게 퍼져 18세기 말까지 흔해졌다.[3]
여성의 경우 18세기 초에 몇몇 이중 이름이 사용되었지만, 안나 마리아, 메리 앤, 사라 제인처럼 하나의 단위로 함께 사용되었다. 이 이름들은 하녀의 전형적인 이름으로 고정관념화되었고 19세기에 유행이 지났다.
이중 이름은 미국 남부에서 여전히 인기가 있다.[4]
이중 이름은 또한 가족 내에서 반복되는 이름을 만들기 위해 베트남 이름에서도 흔하다. 예를 들어, Đặng Vũ Minh Anh|당 부 민 안vie과 Đặng Vũ Minh Ánh|당 부 민 아인vie은 이름이 민 안과 민 아인인 두 자매이다.
3. 2. 이니셜
때때로 이름은 특히 중간 이름의 이니셜과 함께 이니셜로만 사용되며(예: H. G. 웰스), 드물게는 중간 이름이 없는 이니셜로 사용되기도 한다(예: L. 론 허바드).4. 이름의 법적 지위
아이가 태어나면 부모는 보통 아이의 이름을 짓는다. 아이가 출생 시 이름을 받지 못하면 가족과 친구들이 참석한 가운데 명명식을 통해 이름을 지어줄 수 있다. 대부분의 관할 구역에서 출생 시 아이의 이름은 출생 증명서 또는 이에 상응하는 문서에 기록되어 공적 기록으로 남는다. 서구 문화권에서는 사람들이 평생 동안 같은 이름을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법적 절차를 따르거나 평판에 의해 이름을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사람들은 명명 관습이 다른 다른 국가로 이민을 갈 때 이름을 변경할 수도 있다.[5]
특정 관할 구역에서는 정부가 임명한 출생 등록관이 아이에게 해를 끼칠 수 있거나, 모욕적이거나, 실용적이지 않다고 판단되는 이유로 이름 등록을 거부할 수 있다. 프랑스에서는 이 기관이 해당 사건을 지역 판사에게 회부할 수 있다. 스웨덴과 같은 일부 관할 구역에서는 이름 철자를 제한한다. 1996년, 스웨덴의 명명법에 반대하여 두 부모는 아이의 이름을 Brfxxccxxmnpcccclllmmnprxvclmnckssqlbb11116로 지으려 시도하며, 이를 "우리가 예술적 창작물로 보는 임신적이고 표현주의적인 발전"이라고 밝혔다.[6] 덴마크에서는 아이가 생후 6개월이 될 때까지 아이의 이름을 등록할 필요가 없으며, 어떤 경우에는 이보다 조금 더 늦게 공식적인 이름을 얻을 수도 있다.
일본인의 인명은 호적법에 의해 호적에 성명 모두를 기재하도록 정해져 있으므로, 원칙적으로 이름만 있는 인명은 존재하지 않는다.[38] 그러나 예로부터 일본에서 씨는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주는 것이기 때문에, 아직 씨를 부여받지 않은 천황은 이름만 가진다.
5. 이름의 유래와 의미
이름은 단순히 개인을 식별하는 기호를 넘어, 그 유래와 의미 속에 개인적, 가족적, 종교적, 문화적 배경 등 다양한 요소가 담겨 있다. 부모는 자녀의 이름을 지을 때 존경하는 인물이나 긍정적인 가치, 또는 특별한 바람을 담기도 하며,[32] 이는 시대와 문화권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난다. 이름의 구체적인 유래와 다양한 문화권에서의 의미는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살펴본다.
5. 1. 이름의 유래
부모는 이름이 가진 의미 때문에 특정 이름을 선택하기도 한다. 이는 존경하는 사람의 이름을 따서 짓는 것처럼 개인적이거나 가족적인 의미일 수도 있고, 부모가 아이에게 행운이나 유리한 미래를 가져다줄 것이라고 믿는 이름을 지어주는 지명적 결정론의 예일 수도 있다. 이름은 주로 다음과 같은 범주에서 유래한다.
- 긍정적인 개인적 특성 (외적 및 내적):
- 클레멘트(Clemensla, "자비로운"):[7][8] 클레멘스 1세(재위 88–98) 교황이 사용한 것으로 유명하며, 이후 많은 교황들이 이 이름을 사용했다.
- 아우구스투스(Augustusla, "신성한"[9]): 초대 로마 황제가 처음 사용했으며, 이후 성 아우구스티누스 등 두 명의 성인이 사용했다.
- 영국의 여성 이름 예시: 페이스Faith영어, 프루던스Prudence영어, 아만다Amanda영어 (라틴어로 "사랑받을 가치가 있는"), 블랑쉬(Blanche프랑스어, 흰색(순수함)).
- 직업: 예를 들어, 조지George영어는 "땅을 경작하는 사람", 즉 "농부"를 의미한다.[10]
- 출생 상황:
- 토머스Thomas영어는 "쌍둥이"를 의미한다.
- 퀸투스(Quintusla, 라틴어로 "다섯 번째")는 전통적으로 다섯 번째 남자아이에게 주어졌다.[11][12]
- 물체: 예를 들어 피터Peter영어는 "바위"를 의미하고, 에드거Edgar영어는 "풍요로운 창"을 의미한다.[13][14]
- 신체적 특징: 예를 들어 캘빈Calvin영어은 "대머리"를 의미한다.[15]
- 다른 이름의 변형: 특히 이름의 성별을 바꾸거나(폴린Pauline영어, 조지아Georgia영어) 다른 언어에 맞게 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프랜시스Francis영어 또는 프란시스코Franciscoes라는 이름은 "프랑크 또는 프랑스인"을 의미하는 프란키스쿠스(Franciscusla)에서 유래했다.[16][17][18]
- 성(Surname): 이러한 이름은 대가 끊길 수 있는 가문의 다른 분파를 기리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예: 어머니의 결혼 전 성씨). 현대의 예로는 윈스턴(Winston영어),[19] 해리슨Harrison영어,[20] 로스Ross영어[21] 등이 있다. 많은 성씨 이름은 17세기 잉글랜드에서 저명한 조상을 기리기 위해 채택되었으며, 주로 관련 명문가의 조카나 손자에게 주어졌고, 이 관행은 점차 일반 사회로 퍼져나갔다. 이는 해당 가문의 성씨가 사라질 위험에 처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이루어졌으며, 예를 들어 역사적으로 강력한 남성 계보를 가진 하워드 가문 같은 경우도 포함된다. 주목할 만한 예는 다음과 같다.
- 하워드(Howard영어): 노퍽 공작의 하워드 가문에서 유래.
- 코트니(Courtenay영어): 데번 백작의 성씨에서 유래.
- 트레버(Trevor영어): 웨일스 족장 튜더 트레버, 헤리퍼드의 영주에서 유래.[22]
- 클리포드(Clifford영어): 클리포드 남작에서 유래.
- 디그비(Digby영어): 디그비 남작/브리스톨 백작 가문에서 유래.
- 셜리(Shirley영어, 원래 남성 이름): 셜리 가문, 페러스 백작에서 유래.
- 퍼시(Percy영어): 노섬벌랜드 백작과 공작의 퍼시 가문에서 유래.
- 린지(Lindsay영어): 스코틀랜드 귀족 가문인 크로포드 백작에서 유래.
- 그레이엄(Graham영어): 스코틀랜드 귀족 가문인 몬트로즈 공작에서 유래.
- 엘리엇(Eliot영어): 세인트 저먼스 백작의 엘리엇 가문에서 유래.
- 허버트(Herbert영어): 펨브로크 백작의 허버트 가문에서 유래.
- 러셀(Russell영어): 베드퍼드 백작과 공작의 러셀 가문에서 유래.
- 스탠리(Stanley영어): 더비 백작의 스탠리 가문에서 유래.
- 버논(Vernon영어): 쉽브룩 백작에서 유래.
- 딜런(Dillon영어): 아일랜드의 딜런 가문, 딜런 자작에서 유래.
- 장소: 예를 들어 브리트니Brittany영어[23] 와 로렌Lorraine프랑스어.[24]
- 출생 시간: 예를 들어 요일(코피 아난의 경우 이름이 "금요일에 태어난"을 의미함[25]) 또는 사람이 태어난 공휴일(예: 나탈리Natalie영어는 라틴어로 "크리스마스 날에 태어난"을 의미함[26]). 노엘(Noël프랑스어, 프랑스어로 "크리스마스")은 크리스마스에 태어난 남자에게 주어지는 이름이다. 또한 에이프릴April영어, 메이May영어, 준June영어 등이 있다.
- 위의 조합: 예를 들어, 아르메니아어 이름 시르바르트(Sirvarthy)는 "사랑의 장미"를 의미한다.[27]
많은 문화권에서는 조상이나 특별히 존경받는 인물을 기리기 위해 이름을 다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철자법에 따라 약간씩 달라지기는 하지만 제한된 범위의 이름들이 반복해서 사용되기도 한다.
서구 독자들에게 가장 친숙한 예는 대부분의 기독교 국가에서 성경 인물이나 성인의 이름을 사용하는 것이다. (에티오피아는 이름이 종종 이상이나 추상적 개념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아 두드러진 예외이다. 예를 들어 하일레 셀라시에("삼위일체의 권능"), 하일레 미리암("마리아의 권능") 등이 있다.) 그러나 예수라는 이름은 일부 기독교 세계에서 금기시되거나 신성모독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하지만 이 금기는 동족어인 여호수아나 관련된 다른 형태의 이름까지 확장되지는 않으며, 이 이름들은 많은 언어권의 기독교인들 사이에서도 흔하게 사용된다. 일부 스페인어권 국가에서는 예수라는 이름을 일반적인 이름으로 사용한다.
마찬가지로, 현재 기독교인, 특히 로마 가톨릭교회 신자들 사이에서 인기 있는 마리아라는 이름은 약 12세기까지는 세속적인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너무 신성하다고 여겨졌다. 특히 마리아 숭배가 강한 국가에서는 이러한 경향이 더 오래 지속되었다. 폴란드에서는 17세기에 마리라는 이름의 프랑스 여왕(마리 루이즈 곤자가)이 등장할 때까지 마리아라는 이름이 널리 사용되지 않았다.[28]
영어(및 다른 많은 유럽 언어)에서 가장 흔한 이름들은 그 기원에 따라 다음과 같은 범주로 나눌 수 있다.
- '''히브리어 이름''': 대부분 성경에서 유래했으며, 역사적으로 기독교 국가에서 사용된 이름이거나 그 일부이다. 일부 이름, 특히 엘리Eli영어와 같은 신명론적 이름은 "하느님"을 의미하는 요소를 포함한다. 예: 미카엘Michael영어, 여호수아, 다니엘, 요셉, 다윗, 아담, 사무엘, 엘리자베스, 한나, 메리. 또한 '''아람어'''에서 유래한 소수의 이름도 있는데, 특히 신약성경의 저명한 인물인 토마스, 마르타, 바르톨로메오의 이름이 있다.
- 역사적으로나 현재나 모든 셈족 문화권에서는 히브리어 어원을 가진 이름을 일부 사용한다. (고대 히브리인들도 모세와 같이 히브리어 어원이 아닌 이름, 아마도 투트모세나 아흐모세와 같은 파라오의 이름과 관련된 이집트식 이름을 사용했다.) 이슬람 세계가 가장 잘 알려진 예로, 사이프 알딘(Saif-al-dinar, "믿음의 칼")이나 압둘라(Abd-Allahar, "하나님의 종")와 같은 이름을 사용한다. 심지어 카르타고인들도 비슷한 이름을 가졌는데, 예를 들어 한니발은 "신의 은총"을 의미한다(이 경우 아브라함 계통 종교의 신이 아니라, 바알과 같이 일반적으로 번역되지 않고 칭호로 불리는 신, 아마도 멜카르트를 의미).
- '''게르만 이름''': 특징적으로 호전적인 의미를 가진 경우가 많다. "영광", "힘", "의지"와 같은 의미를 가진 어원이 흔하다. 많은 이름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베르트-bert영어" 요소는 "밝은"을 의미하는 ''beraht''에서 유래했다. 예: 로버트, 에드워드, 로저, 리처드, 앨버트, 칼, 앨프리드, 로절린드, 에마, 에멧, 에릭, 마틸다.
- '''프랑스어''' 형태의 '''게르만어''' 이름: 잉글랜드의 노르만 정복 이후, 많은 영어 이름은 게르만어 기원이지만 프랑스어 형태로 사용되었다. 예: 찰스, 헨리.
- '''슬라브 이름''': 평화로운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복합어는 "보호", "사랑", "평화", "찬양[신]", "주다"를 의미하는 어근에서 파생된다. 예: 밀레나, 베스나, 보후밀(Bohumilcs), 도브로미르, 스베틀라나, 블라스티밀(Vlastimilcs). 다른 이름들은 호전적인 특성을 가지며 "전사", "전쟁", "분노"를 의미하는 단어로 구성된다. 예: 카지미르, 블라디미르, 삼보르(Samborpl), 보이치에흐, 즈비그니에프. 그중 많은 이름이 "슬라바"(slavasl, 영광)라는 어근에서 파생되었다. 예: 볼레스와프, 미로슬라프, 블라디슬라프, 라도슬라프, 슬라보미르(Slavomírsk), 스타니스와프. "미르"(mirsl, 세계, 평화)라는 어근에서 파생된 이름도 인기가 있다. 예: 카지미르, 슬라보미르(Slavomírsk), 라도미르, 블라디미르, 미로슬라프, 야체미르(Jaczemirpl).
- '''켈트 이름''': 때로는 영어화된 켈트어 형태이지만, 원래 형태도 사용될 수 있다. 예: 앨런, 브라이언, 브리지드, 모라그(Mòraggd), 로스, 로건, 키어런, 제니퍼, 숀. 이 이름들은 종종 켈트어 단어에서 유래하거나, 국제적으로 알려진 기독교 성인의 켈트어 버전, 켈트 신화의 인물 이름, 또는 어원이 불분명한 오래된 이름들이다.
- '''그리스 이름''': 고대 그리스의 역사와 신화, 또는 신약성경과 초기 기독교 전통에서 유래할 수 있다. 이러한 이름은 종종 영어화되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 예: 헬렌, 스티븐, 알렉산더, 앤드루, 피터, 그레고리, 조지, 크리스토퍼, 마거릿, 니콜라스, 제이슨, 티머시, 클로이, 조이, 캐서린, 페넬로페, 시어도어.
- '''로마식 이름''': 변경되지 않고 채택되거나 수정될 수 있다. 특히, 라틴어에서 영어로 차용될 때 굴절 요소가 삭제되는 경우가 많다. 예: 로라, 빅토리아, 마크 (라틴어 ''Marcus''), 저스틴 (라틴어 ''Justinus''), 폴 (라틴어 ''Paulus''), 율리우스, 줄리아, 세실리아, 펠릭스, 비비안, 파스칼 (전통적인 라틴 이름 유형은 아니며, '부활절의'(Paschala)를 의미하는 형용사 ''paschalis''가 이름으로 바뀐 것).
- '''단어 이름''': 영어 어휘 단어에서 유래한다. 이런 종류의 여성 이름은 영어뿐만 아니라 유럽 및 다른 많은 문화권에서 자연, 꽃, 새, 색깔, 보석 등에서 자주 파생된다. 예로는 재스민, 라벤더(Lavender영어), 돈, 데이지, 로즈, 아이리스, 페튜니아(Petunia영어), 로언, 제이드, 바이올렛이 있다. 남성 이름 중에서는 덜 일반적이지만, 헌터, 피셔(Fischer영어), 또는 강한 동물을 연상시키는 브롱코(Bronco영어), 울프(Wolf영어)와 같은 예가 있다. (이는 북게르만어나 튀르키예어 등 다른 언어에서 더 흔하다).
- '''특성 이름''': 위에서 언급한 기독교적 미덕이 가장 대표적이며, 주로 여성 이름으로 사용된다 (예: 세 가지 기독교적 미덕—믿음Faith영어, 희망Hope영어, 자선Charity영어).
- '''애칭''': 때때로 같은 이름을 가진 두 명 이상의 사람을 구별하는 데 사용된다. 영어에서 로버트Robert영어는 "로비(Robbie영어)"로, 토머스Thomas영어는 "토미(Tommy영어)"로 바뀔 수 있다. 독일어에서 헨젤과 그레텔에 나오는 헨젤(Hänselde)과 그레텔(Gretelde)은 각각 요한(Johannde)과 마가레테(Margarethede)의 애칭이다. 예: 비키Vicky영어, 신디Cindy영어, 토미(Tommy영어), 애비Abby영어, 앨리Ally영어.
- '''단축된 이름'''(애칭 참조): 일반적으로 더 긴 이름의 애칭이지만, 정식 이름으로 주어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제임스James영어의 약자가 아닌 그냥 "짐(Jim영어)"으로 이름 지어질 수 있다. 예: 베스, 벤, 잭, 톰.
- '''여성형 변형''': 많은 남성 이름에 존재하며, 종종 여러 형태로 나타난다. 예: 샬럿, 스테파니, 빅토리아, 필리파, 제인, 재클린, 조제핀, 다니엘, 폴라, 폴린, 퍼트리샤, 프란체스카.
종종 이름은 여러 언어로 변형되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성경 이름인 수산나Susanna영어는 원래 성서 히브리어 버전인 쇼샨나(Shoshannahhe), 스페인어 및 포르투갈어 버전인 수사나(Susanaes), 프랑스어 버전인 쉬잔(Suzanne프랑스어), 폴란드어 버전인 주잔나(Zuzannapl), 헝가리어 버전인 주잔나(Zsuzsannahu)로도 사용된다.
교육 수준, 민족, 종교, 계층, 정치적 이념 등은 부모가 자녀의 이름을 선택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정치적으로 보수적인 성향의 부모는 일반적이고 전통적인 이름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정치적으로 진보적인 성향의 부모는 문학 작품의 등장인물이나 비교적 덜 알려진 문화적 인물의 이름을 선택할 수 있다.[32] 독실한 종교 신자들은 종종 자신들의 종교 경전에서 이름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힌두교 부모는 딸의 이름을 여신의 이름을 따 산비(Sanvihi)라고 지을 수 있고, 유대인 부모는 초기 조상 중 한 명의 이름을 따 아들의 이름을 이삭이라고 지을 수 있으며, 이슬람교 부모는 예언자 무함마드의 이름을 따 아들의 이름을 무함마드라고 지을 수 있다.
부모가 이름을 선택하는 데 도움을 주는 책, 웹사이트,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도구가 있다. 예를 들어, 부모가 선호하는 이름의 순위를 매기고 선택하는 데 도움을 주는 엘로 평점 시스템을 사용하는 '베이비 네임 게임'(Baby Name Game영어)이 있다.[33]
개인을 특정하기 위한 이름이 없는 경우는 현실적으로 극히 드물다. 이름을 짓기 전에 부모를 잃는 등 특별한 경우에도, 생활하는 사회 집단 내에서 개인을 특정하기 위해 호적이 없더라도 어떤 형태로든 이름이 붙여진다. 개인 이름을 사용하지 않아도 직함 등으로 개인이 특정 가능한 경우가 예외이다. 극히 드물게 종교상의 이유 등으로 출생 시의 이름을 버리고, 세례명 등 대신할 개인 특정 명칭 없이 직함명 등만 가지게 되는 사람도 있다. 또는, 가문의 이름에 관계를 나타내는 말을 덧붙이거나 어형 변화를 통해 개인을 식별하고 별도의 개인 이름을 붙이지 않는 경우도 있다.
유명하지만 개인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경우는 흔하며, 역사 속 인물 중에는 개인 이름 대신 직함명과 그 대수만 전해져 개인 이름이 불명확한 경우가 많다. 또한, 종교나 학문 분야 지도자 주변 인물은 제자 등과 같은 관계만 전해지고 개인 이름이 불명확해지기도 한다.
문화권에 따라 관습적으로 신화 속 인물이나 성전의 등장인물 이름을 따서 짓는 경우도 있다.
반대로, 특히 한자 문화권 등에서는 귀인의 실명을 부르는 것을 피하는 피휘 관습 때문에, 통용되는 이름(통칭)과는 별개로 실명에 출생 시의 사건 등 개인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한 사람이 휘와 자, 공적인 이름과 사적인 통용 이름 등 여러 이름을 가지는 것은 과거부터 존재했던 관습이며, 현대에 시작된 것은 아니다.
5. 2. 이름의 의미
부모는 이름이 가진 의미 때문에 자녀의 이름을 선택하기도 한다. 이는 존경하는 사람의 이름을 아이에게 붙여주는 것과 같은 개인적 또는 가족적 의미일 수도 있고, 부모가 아이에게 행운이나 유리한 점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믿는 이름을 지어주는 지명적 결정론의 예일 수도 있다. 이름의 의미는 주로 다음과 같은 범주에서 파생된다.
- 긍정적인 개인적 특성 (외적 및 내적):
- 클레멘트(라틴어: Clement): "자비로운"이라는 뜻으로,[7][8] 교황 클레멘스 1세(재위 88–98)가 사용한 이후 많은 교황들이 사용했다.
- 아우구스투스(Augustus): "신성한"이라는 뜻으로,[9] 초대 로마 황제가 처음 사용했으며, 이후 두 명의 성인이 사용했다 (어거스틴).
- 영국의 여성 이름 예시: 페이스(Faith, '믿음'), 프루던스(Prudence, '신중함'), 아만다(Amanda, 라틴어: 사랑받을 가치가 있는), 블랑쉬(Blanche, 프랑스어: 흰색, 즉 '순수함').
- 직업: 예를 들어, 조지(George)는 "땅을 경작하는 사람", 즉 "농부"를 의미한다.[10]
- 출생 상황:
- 토마스(Thomas)는 "쌍둥이"를 의미한다.
- 퀸투스(라틴어: Quintus, "다섯 번째")는 전통적으로 다섯 번째 남자아이에게 주어졌다.[11][12]
- 물체: 예를 들어, 피터(Peter)는 "바위"를 의미하고[13] 에드거(Edgar)는 "풍요로운 창"을 의미한다.[14]
- 신체적 특징: 예를 들어, 캘빈(Calvin)은 "대머리"를 의미한다.[15]
- 다른 이름의 변형: 특히 이름의 성별을 바꾸거나(폴린, 조지아), 다른 언어에 맞게 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프랜시스(Francis) 또는 프란시스코(Francisco)는 "프랑크족 또는 프랑스인"을 의미하는 라틴어 프란키스쿠스(Franciscus)에서 유래했다.[16][17][18]
- 성(Surname): 어머니의 처녀 성씨와 같이, 대가 끊길 수 있는 가문의 성씨를 기리기 위해 이름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현대의 예로는 윈스턴[19], 해리슨[20], 로스[21] 등이 있다. 이러한 관행은 17세기 잉글랜드에서 저명한 조상을 기리기 위해 시작되었으며, 주로 명문가의 조카나 손자에게 주어졌으나 점차 일반 사회로 확산되었다. 이는 해당 가문의 이름이 사라질 위험이 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이루어졌는데, 예를 들어 강력한 남성 계보를 가진 하워드 가문 같은 경우도 있다. 주목할 만한 예는 다음과 같다.
- 하워드(Howard): 노퍽 공작 하워드 가문에서 유래.
- 코트니(Courtenay): 데번 백작 가문의 성씨에서 유래.
- 트레버(Trevor): 웨일스 족장 튜더 트레버(Tudur Trefor)에서 유래.[22]
- 클리포드(Clifford): 클리포드 남작 가문에서 유래.
- 딕비(Digby): 딕비 남작/브리스톨 백작 가문에서 유래.
- 셜리(Shirley, 원래 남성 이름): 페러스 백작 셜리 가문에서 유래.
- 퍼시(Percy): 노섬벌랜드 백작 및 공작 퍼시 가문에서 유래.
- 린지(Lindsay): 스코틀랜드 귀족 가문인 크로퍼드 백작에서 유래.
- 그레이엄(Graham): 스코틀랜드 귀족 가문인 몬트로즈 공작에서 유래.
- 엘리엇(Eliot): 세인트 저먼스 백작 엘리엇 가문에서 유래.
- 허버트(Herbert): 펨브로크 백작 허버트 가문에서 유래.
- 러셀(Russell): 베드포드 백작 및 공작 러셀 가문에서 유래.
- 스탠리(Stanley): 더비 백작 스탠리 가문에서 유래.
- 버논(Vernon): 쉽브룩 백작 버논 가문에서 유래.
- 딜런(Dillon): 아일랜드 딜런 자작 가문에서 유래.
- 장소: 예를 들어, 브르타뉴[23] 와 로렌 공국(Lorraine)[24].
- 출생 시간: 태어난 요일 (예: 코피 아난의 이름은 "금요일에 태어난"을 의미[25]), 태어난 공휴일 (예: 나탈리(Natalie)는 라틴어로 "크리스마스 날에 태어난"을 의미[26], 노엘(Noel)은 프랑스어로 "크리스마스"를 뜻하며 크리스마스에 태어난 남자아이에게 주어짐), 또는 태어난 달 (예: 에이프릴, 메이, 준).
- 위 요소들의 조합: 예를 들어, 아르메니아어 이름 시르바르트(Sirvart)는 "사랑의 장미"를 의미한다.[27]
많은 문화권에서는 특히 이름의 유래가 된 인물(namesake)이나 조상, 또는 존경하는 인물을 기리기 위해 이름을 반복해서 사용하며, 이로 인해 철자법에 따라 약간씩 달라지는 제한된 이름 목록이 생기기도 한다.
서구 독자들에게 가장 익숙한 예는 대부분의 기독교 국가에서 성경과 성인의 이름을 사용하는 것이다. (단, 에티오피아는 이름이 종종 이상이나 추상적 개념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아 예외적이다. 예를 들어 하일레 셀라시에는 "삼위일체의 권능", 하일레 미리암(Haile Miriam)은 "마리아의 권능"을 의미한다.) 그러나 예수(Jesus)라는 이름은 일부 기독교권에서 금기시되거나 신성모독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이 금기는 동족어인 여호수아(Joshua)나 다른 여러 언어에서 기독교인들 사이에서도 흔한 관련 이름들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일부 스페인어권 국가에서는 예수라는 이름을 일반적인 이름으로 사용한다.
마찬가지로, 현재 기독교인들, 특히 로마 가톨릭교회 신자들 사이에서 인기 있는 마리아(Mary)라는 이름은 약 12세기까지는 세속적인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너무 신성하게 여겨졌다. 특히 마리아 숭배가 강한 국가에서는 이러한 경향이 더 오래 지속되었는데, 폴란드에서는 17세기에 마리(Marie)라는 이름의 프랑스 출신 왕비가 등장할 때까지 세속적인 이름으로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28]
영어(및 다른 많은 유럽 언어)에서 가장 흔한 이름들은 그 기원에 따라 다음과 같은 넓은 범주로 나눌 수 있다.
6. 동아시아의 이름
한자 문화권에 속하는 동아시아 국가들은 역사적으로 유사한 이름 문화를 공유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가계명(성씨)을 개인 이름 앞에 두는 형식을 사용하는데, 이는 한국, 중국, 베트남 등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일본 역시 성씨나 씨( 氏|우지일본어 ) 등 가계명을 개인 이름 앞에 두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름을 지을 때 한자를 사용하는 것 또한 동아시아 이름 문화의 주요 특징 중 하나이다. 과거 한자 문화권에서는 부모나 군주 외의 사람이 개인의 실명인 휘(諱)를 직접 부르는 것을 꺼리는 문화가 있었으며, 이를 대신하여 자(字)를 사용하기도 했다.
현대에 들어서는 서구 문화의 영향으로 본래의 아시아식 이름 외에 서양식(주로 영어식) 이름을 비공식적으로 또는 공식적으로 함께 사용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 이는 특히 미국, 캐나다, 호주 등 서구권 국가에서 유학하는 학생들이나 국제적인 교류가 잦은 사람들 사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이다.
6. 1. 중국의 이름
중국 성씨는 종류가 비교적 한정적인 편이지만, 중국 이름은 사용할 수 있는 한자의 조합이 매우 다양하여 독창적인 경우가 많다. 성경이나 그리스-로마 문화의 영향을 받은 유럽 언어와 달리, 중국어에는 이름에만 사용하도록 정해진 단어가 따로 없다. 이론적으로는 어떤 한자 조합이든 이름으로 사용할 수 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주 사용되는 인기 있는 글자들이 있는데, 예를 들어 '강함'을 뜻하는 伟|웨이중국어, '배움'을 뜻하는 文|원중국어, '평화'를 뜻하는 安|안중국어, '아름다움'을 뜻하는 美|메이중국어 등이 있다. 중국의 도시화가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소나무'를 뜻하는 松|쑹중국어이나 '매화'를 뜻하는 梅|메이중국어처럼 자연을 나타내는 글자들도 이름에 사용된다.
대부분의 중국 이름은 두 글자로 이루어지는데, 각 글자가 가진 의미와 별개로 두 글자를 합쳤을 때 특별한 의미가 없는 경우도 있다. 이름의 글자는 특정한 소리, 성조, 또는 부수를 고려하여 선택되기도 한다. 또한 아이의 출생 정보를 바탕으로 오행의 균형을 맞추거나, 가문에 대대로 내려오는 항렬시에 따라 특정 글자를 사용하기도 한다.
전통적으로 중국에서는 아랫사람이 윗사람의 이름을 함부로 부르는 것을 피하는 명명 금기 문화가 있었다. 따라서 조상의 이름을 따서 신생아의 이름을 짓는 것은 영광이 아니라 실례로 여겨졌다. 이 때문에 미국 영어의 '시니어(Senior)', '주니어(Junior)', '3세(III)' 등과 같이 이름 전체가 세대를 거쳐 그대로 이어지는 경우는 거의 없다. 마찬가지로, 로마자 표기가 같다는 이유로 이미 유명해진 사람의 이름(예: 류샹)을 자녀에게 지어주는 것을 꺼리는 경향도 있다. 물론 이러한 이름들도 실제로는 수만 명 이상이 사용하고 있을 수 있다.
한국 이름과 베트남 이름은 종종 고대 중국어의 관습에서 파생된 것이다.
고대부터 한자 문화권에서는 부모나 군주가 아닌 사람이 개인에게 주어진 실명인 '''휘'''를 부르는 것은 무례하다고 하여 꺼려졌으며, 이를 대신할 '''자'''가 필요했다. 자는 개인에게 주어지는 별칭으로, 이름 대신 사용되었다.
6. 2. 일본의 이름
일본에서는 가계명 뒤에 개인 이름을 두는 형식을 사용한다. 이는 "'''○○'''의 '''××'''" 또는 "'''○○ ××'''"와 같이, '''가게호'''나 씨( 氏|우지일본어 ), '''성'''과 같은 가계명 뒤에 개인 이름을 붙여 그 집단의 구성원임을 나타내는 방식이다. 평민 성씨 필칭 의무령을 통해 모든 국민에게 보급된 공적인 성씨를 계승하는 일본법에서도 씨명이라는 단어에서 알 수 있듯이 가계명이 먼저 오는 관행을 따르고 있다. 직장에서도 직함은 "'''××''' 교장"처럼 개인 이름 뒤에 붙는 경우가 있지만, 소속명은 "'''○○ 학교''' '''××''' 교장" 또는 "'''○○ 학교''' 교장 '''××'''"와 같이 소속 집단명 뒤에 개인 이름을 둔다.일본인의 인명은 호적법에 따라 호적에 성명을 모두 기재하도록 정해져 있어, 원칙적으로 이름만 있는 경우는 존재하지 않는다.[38] 그러나 예로부터 일본에서 씨( 氏|우지일본어 )는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주는 것이었기 때문에, 아직 씨를 받지 않은 천황은 이름만 가진다.
과거 일본에서는 개인 이름이 불분명한 인물도 드물지 않았다. 특히 헤이안 시대부터 가마쿠라 시대까지 여성의 휘(개인 이름)를 공적인 자리에서 부르는 것은 무례한 행위로 여겨졌으며, 궁중의 우타아와세 기록이나 가계도에서도 이러한 예법이 지켜졌다. 귀족을 모시는 뇨보(女房)의 경우, 개인을 특정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휘 대신 '''뇨보메이'''( 女房名|뇨보나일본어 , 여방명)라는 별칭을 사용했다. 예를 들어, 세이 쇼나곤의 이름은 '''뇨보메이'''이며, 아버지의 씨( 氏|우지일본어 )인 '''기요하라 씨'''( 清原氏|기요하라 우지일본어 )와 관직명인 쇼나곤을 합친 것으로, 개인 이름에 해당하는 부분은 없다.[39] 또한, 무라사키 시키부의 이름으로 알려진 '''후지 시키부'''( 藤式部|도시키부일본어 ) 역시 아버지의 씨( 氏|우지일본어 )인 '''후지와라 씨'''( 藤原氏|후지와라 우지일본어 )에 관직명인 시키부를 합친 것이며, 개인 이름 부분은 포함되지 않는다.[40] 무라사키 시키부의 '무라사키'라는 호칭도 대표작인 『겐지 이야기』의 등장인물 "무라사키노우에"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일반적이며, 이 역시 개인 이름은 아니다.
6. 3. 한국의 이름
한국 이름은 성(가계명) 뒤에 개인 이름을 두는 형식을 따른다. 이는 한자 문화권 및 유교 문화권에서 널리 나타나는 방식이다. 한국 이름과 베트남 이름은 종종 고대 중국어의 관습에서 파생된 것으로 여겨진다.7. 성별에 따른 이름
대부분의 영어 이름은 전통적으로 남성형(휴고, 제임스, 해럴드) 또는 여성형(다프네, 샬롯, 제인)으로 구분되지만, 중성적인 이름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조던, 제이미, 제시, 모건, 레슬리/레슬리, 조/조, 재키, 팻, 다나, 알렉스, 크리스/크리스, 랜디/랜디, 리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런 중성적인 이름도 종종 특정 성별에서 더 많이 사용되는 경향이 있으며, 발음이 같더라도 철자에 따라 남성 또는 여성에게 더 흔하게 쓰이는 경우가 있다.
과거와 현재의 많은 문화권에서는 이름을 성별로 엄격하게 구분하지 않기도 한다. 이런 문화권에서는 이름의 전부 또는 대부분이 중성적이다. 반면, 영어를 제외한 대부분의 인도유럽어족을 포함한 많은 언어에서는 문법적으로 성별 구분이 존재한다. 일부 국가에서는 법률로 중성적인 이름을 금지하고 부모가 자녀에게 성별에 맞는 이름을 짓도록 강제하기도 한다.[29] 같은 이름이라도 국가나 언어에 따라 성별에 대한 인식이 다를 수 있다.
인명 연구 분야에서는 남성의 이름을 앤드로님(ἀνήρ|아네르grc / 남자, ὄνυμα [ὄνομα]|오누마grc / 이름에서 유래), 여성의 이름을 지노님(γυνή|귀네grc / 여자, ὄνυμα [ὄνομα]|오누마grc / 이름에서 유래)이라고 부른다.
언어에 따라서는 기본적으로 성별에 따라 남녀 이름이 짝을 이루기도 한다. 예를 들어, 영어 인명에서 남성 이름인 John|존영어은 여성 이름인 Jane|제인영어에 해당한다. 또한, 일본인 이름에서는 '''타로'''(太郎)나 '''지로'''(次郎)와 같이 형제 순서를 나타내는 이름이나, '''마츠코'''(松子), '''타케코'''(竹子)처럼 출생 순위에 따라 변화하는 이름도 존재한다.
8. 이름의 유행
일반적으로 이름의 인기(빈도) 분포는 멱법칙 분포를 따른다.
1800년경부터 영국과 웨일스, 그리고 미국에서는 이름의 인기 분포가 변화하여 가장 인기 있는 이름의 인기가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예를 들어, 영국과 웨일스에서 1800년에 태어난 아기에게 가장 인기 있었던 여자아이와 남자아이 이름은 각각 메리(Mary)와 존(John)이었으며, 당시 여자아이의 24%와 남자아이의 22%가 이 이름을 받았다.[30] 그러나 1994년 영국과 웨일스의 통계에서는 가장 인기 있는 이름이 에밀리(Emily)와 제임스(James)로 바뀌었고, 이 이름들은 각각 전체의 3%와 4%만을 차지했다. 메리와 존은 영어권에서 인기가 줄었을 뿐만 아니라, 지난 100년 동안 전체적인 이름 분포 역시 여성의 경우 크게 변화하며 다양성이 증가했지만, 남성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변화가 적었다.[31]
대중 문화는 적어도 미국과 영국에서 이름 유행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새롭게 명성을 얻은 유명인이나 공인은 특정 이름의 인기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2004년 영국에서는 여배우 키이라 나이틀리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키라(Keira)'와 '키어라(Kiera)'(아일랜드 이름 Ciara의 영어식 표기)가 각각 여자 이름 인기 순위 51위와 92위에 올랐다.[34] 2001년 미국에서는 콜비 도널드슨이 리얼리티 쇼 ''서바이버: 오스트레일리안 아웃백''에서 준우승을 차지한 직후, 남자 아기 이름 '콜비(Colby)'의 사용이 233위에서 99위로 급증했다. 또한, 이전에는 1000위 안에도 들지 못했던 여자 이름 '마일리(Miley)'는 가수 겸 배우 마일리 사이러스(출생 시 이름은 데스티니)가 유명해진 후 2007년에 278번째로 인기 있는 이름이 되었다.[35]
소설이나 영화 속 등장인물 역시 이름 유행에 영향을 미친다. 미국 연속극 ''우리 생애 나날들''에서 케일라 브래디라는 캐릭터에게 '케일라(Kayla)'라는 이름이 사용된 후, 이 이름의 인기가 크게 증가했다. 1957년 영화 ''태미 앤 더 배처러''가 개봉한 후에는 '태미(Tammy)'와 관련 이름인 '타마라(Tamara)'가 인기를 얻었다. 어떤 이름들은 문학 작품을 통해 자리 잡거나 널리 퍼지기도 했다. 대표적인 예로는 필립 시드니 경이 서사 산문 ''펨브로크 백작부인의 아카디아''의 주요 인물을 위해 만든 '파멜라(Pamela)', 윌리엄 셰익스피어가 희곡 ''베니스의 상인''에서 창조한 '제시카(Jessica)', 조나단 스위프트가 만들어낸 '바네사(Vanessa)', 제임스 맥퍼슨의 오시안 시에 등장하는 '피오나(Fiona)', J. M. 배리가 희곡 ''피터 팬''을 통해 대중화시킨 잘 알려지지 않았던 이름 '웬디(Wendy)', 영화 ''스플래시''의 등장인물 이름 '매디슨(Madison)' 등이 있다. '라라(Lara)'와 '라리사(Larissa)'는 영화 ''닥터 지바고''가 개봉하기 전까지 미국에서 드물었으나, 영화 개봉 이후 상당히 흔한 이름이 되었다.
노래도 아이들의 이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비틀즈의 "Hey Jude"가 발표된 후, 1968년 남자 이름 인기 순위 814위였던 '주드(Jude)'는 1969년에 668위로 상승했다. 마찬가지로, 에릭 클랩튼의 노래 "Layla" 이후 '레일라(Layla)'는 1972년에 969위로 처음 순위권에 진입했다. 그 전에는 1,000위 안에 든 적이 없었다.[35] '케일리(Kayleigh)'는 영국 록 그룹 마릴리온이 동명의 노래 "Kayleigh"를 발표한 이후 영국에서 특히 인기 있는 이름이 되었다. 2005년 정부 통계에 따르면, 케일리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의 96%가 마릴리온의 노래가 발표된 1985년 이후에 태어났다.
대중문화 속 인물이 반드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야만 이름 유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페이튼(Peyton)'은 영화 ''요람을 흔드는 손''에서 사악한 유모의 이름으로 등장한 직후인 1992년에 처음으로 미국 여자 아기 이름 상위 1000위 안에 들었다(#583).[35] 반면, 역사적 사건 역시 이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돌프(아돌프)'라는 이름은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1945년 이후 거의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이러한 사례들과는 대조적으로, 노르웨이 이름 데이터세트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36]는 이름 선택의 역학을 지배하는 주요 요인이 내생적임을 시사한다. 연구진은 130년에 걸쳐 1,000개의 이름 인기를 추적한 결과, 외생적 효과(외부 사건의 영향)는 단 5건만 확인했으며, 그중 3건은 노르웨이 왕족 아기들에게 주어진 이름과 관련이 있었다.
언어에 따라서는 기본적으로 성별에 따라 남녀 이름이 짝을 이루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영어 인명에서 남성 이름인 John|존영어(존)은 여성 이름인 Jane|제인영어(제인)에 대응된다.
또한, 일본인 이름에서는 '''타로'''(일본어: たろう)나 '''지로'''(일본어: じろう)와 같은 배행명(형제 순서를 나타내는 이름)이나, '''마츠코'''(일본어: まつこ), '''타케코'''(일본어: たけこ)와 같이 출생 순위에 따라 변화하는 이름이 존재한다.
참조
[1]
뉴스
The Times
1991-11-02
[1]
서적
The New Fowler's Modern English Usag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A name given to a person at birth or at baptism, as distinguished from a surname"
http://www.bartleby.[...]
[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English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How The Double-Name Trend Started And Stayed In The South
https://www.southern[...]
2023-09-19
[5]
웹사이트
Naming Conventions; Use of Full Legal Name on All USCIS Issued Documents
https://www.uscis.go[...]
2005-09-13
[6]
뉴스
BBC NEWS - Entertainment - Baby named Metallica rocks Sweden
http://news.bbc.co.u[...]
2007-04-04
[7]
웹사이트
Origin and Meaning of Clement
http://www.mfnames.c[...]
2009-01-05
[8]
웹사이트
Origin and Meaning of Clemens
http://www.mfnames.c[...]
2009-01-05
[9]
서적
Cassell's Latin Dictionary
[10]
웹사이트
Meaning, Origin and History of the Name George
http://www.behindthe[...]
2008-07-21
[11]
웹사이트
Meaning, Origin and History of the Name Thomas
http://www.behindthe[...]
2008-07-21
[12]
웹사이트
Meaning, Origin and History of the Name Quintus
http://www.behindthe[...]
2008-07-21
[13]
웹사이트
Meaning, Origin and History of the Name Edgar
http://www.behindthe[...]
2008-07-21
[14]
웹사이트
Meaning, Origin and History of the Name Peter
http://www.behindthe[...]
2008-07-21
[15]
웹사이트
Meaning, Origin and History of the Name Calvin
http://www.behindthe[...]
2008-07-21
[16]
웹사이트
Origin and Meaning of Francis
http://www.mfnames.c[...]
2009-01-05
[17]
웹사이트
Origin and Meaning of Francisco
http://www.mfnames.c[...]
2009-01-05
[18]
웹사이트
Origin and Meaning of Franciscus
http://www.mfnames.c[...]
2009-01-05
[19]
웹사이트
Origin and Meaning of Winston
http://www.mfnames.c[...]
2009-01-05
[20]
웹사이트
Origin and Meaning of Harrison
http://www.mfnames.c[...]
2009-01-05
[21]
웹사이트
Origin and Meaning of Ross
http://www.mfnames.c[...]
2009-01-05
[22]
문서
Trevors, whose descendant Trevor Charles Roper became Lord Dacre in 1786
[23]
웹사이트
Origin and Meaning of Brittany
http://www.mfnames.c[...]
2009-01-05
[24]
웹사이트
Meaning, Origin and History of the Name Lorraine
http://www.behindthe[...]
2009-01-05
[25]
웹사이트
Meaning, Origin and History of the Name Kofi
http://www.behindthe[...]
2009-01-05
[26]
웹사이트
Origin and Meaning of Natalie
http://www.mfnames.c[...]
2009-01-05
[27]
웹사이트
Meaning, Origin and History of the Name Sirvart
http://www.behindthe[...]
2009-01-05
[28]
웹사이트
Witamy
http://www.poland.go[...]
2006-08-19
[29]
웹사이트
Unisex Baby Names Are Illegal In These 4 Countries
https://www.huffingt[...]
2022-03-05
[30]
웹사이트
First Name Popularity in England and Wales over the Past Thousand Years
http://www.galbithin[...]
[31]
웹사이트
Names
http://analyticalvis[...]
2006-11-13
[32]
간행물
Liberellas versus Konservatives: Social Status, Ideology, and Birth Names in the United States
http://conference.mp[...]
Midwester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33]
웹사이트
Baby Name Game
http://www.monkie.bi[...]
[34]
웹사이트
Babies' Names 2004
http://www.statistic[...]
2005-01-05
[35]
웹사이트
Popular Baby Names
http://www.ssa.gov/O[...]
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 US.
[36]
논문
You Name It – How Memory and Delay Govern First Name Dynamics
2012-06-20
[37]
논문
How Black Are Lakisha and Jamal? Racial Perceptions from Names Used in Correspondence Audit Studies
https://osf.io/7c4wv[...]
2017
[38]
웹사이트
戸籍法 {{!}} e-Gov法令検索
https://laws.e-gov.g[...]
2023-07-01
[39]
문서
ちなみに、本名を清原 諾子とする説はある
[40]
문서
本名を藤原 香子とする説はあるが、通説というほどではな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