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영유아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유아식은 아기가 모유나 분유만으로는 충분한 영양을 섭취할 수 없을 때 시작하는 보충 음식으로, 인류 역사와 함께 발전해 왔다. 초기에는 곡물 페이스트 형태가 일반적이었으며, 현재는 상업적으로 생산된 다양한 형태의 이유식이 널리 사용된다. 이유식 시작 시기는 문화와 시대에 따라 다르며, 세계 보건 기구(WHO)는 생후 6개월까지 모유 수유를 권장하고 이후 이유식을 시작할 것을 권고한다. 이유식은 아기의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적절한 시기와 방법으로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영유아식은 다양한 식품 종류와 조리 방법으로 제공되며, 아기 주도 이유식과 같은 다양한 접근 방식이 존재한다. 그러나 상업적 이유식의 성분과 안전성, 농약 잔류물 문제 등 논란과 문제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형별 음식 - 구황음식
    구황음식은 식량 부족 시 주식 대용으로 사용된 작물 및 식물로, 조선시대 구황 정책과 관련 서적을 통해 소개되었으며, 감자, 고구마, 옥수수 등이 주요 작물이었고, 현대에는 식량 안보와 슬로우 푸드 운동과 연계되어 재평가받고 있다.
  • 육아용품 - 유모차
    유모차는 아이를 태워 이동하는 도구로, 13세기 유럽의 손수레에서 시작되어 18세기 짐마차 형태를 거쳐 19세기 대중화되었으며, 현대에는 다양한 형태와 안전 및 편의 기능이 강화된 제품들이 사용되고 있다.
  • 육아용품 - 보행기
    보행기는 아기의 이동을 돕는 기구이지만, 운동 발달 지연 및 안전 문제로 인해 사용 자제 권고 및 판매 금지 국가가 있으며, 부모 보조 보행기가 대안으로 제시되고 15세기 유럽에서 처음 등장했다.
  • 가공식품 - 고헤이모치
    으깬 쌀밥을 꼬치에 꽂아 양념을 발라 구워 먹는 고헤이모치는 에도 시대부터 전해 내려오는 일본 주부 지방의 향토 음식으로, 이름의 유래에는 고헤이와 닮은 모양에서 왔다는 설과 특정 인물에서 왔다는 설이 있다.
  • 가공식품 - 고이아바다
    고이아바다는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가 원산지인 구아바 열매를 주재료로 하여 설탕, 레몬즙 등을 첨가하여 만든 다양한 질감의 디저트이며, 빵이나 크래커와 함께 먹거나 브라질에서는 치즈와 함께, 포르투갈에서는 케이크 속 재료로 사용되는 등 지역별로 다양한 이름과 활용법을 가진다.
영유아식 - [음식]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미국 해군 수병들이 유아식을 옮기는 모습
시판 유아식은 인도적 구호 물품으로 사용됨.
일반 정보
종류유아를 위해 특별히 만들어진 식품

2. 역사적 배경

이유식의 역사는 인류의 역사와 함께 시작되었으며, 각 시대와 문화권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발전해 왔다. 생후 6개월 무렵부터 아기는 모유나 조제분유 외에 일반 음식을 섭취할 준비가 되는데[20], 이때 제공되는 이유식의 형태는 매우 다양했다.

초기 인류 사회 및 여러 문화권에서는 곡물과 액체를 섞어 만든 페이스트나, 아기를 돌보는 사람이 음식을 미리 씹어 부드럽게 만든 형태[68]가 이유식으로 흔히 사용되었다. 아기가 처음 고형식을 먹는 것은 힌두교의 안나프라샨(Annaprashana) 의식처럼 문화적으로 중요한 통과의례로 여겨지기도 했다.

산업 혁명 이전 서양에서는 이유식을 주로 가정에서 만들었으나, 1900년대 이후 산업화와 함께 시판 이유식 시장이 형성되기 시작했다.[69] 20세기 초 네덜란드[71]와 미국[72][62] 등지에서 상업용 이유식이 등장했으며, 점차 편리성을 바탕으로 보급되었다. 현대 선진국에서는 철분이 강화된 유아용 시리얼[46]이나 으깬 과일, 채소 등으로 이유식을 시작하는 경우가 많다.

시판 이유식의 확산은 유아 식단에 큰 변화를 가져왔지만, 설탕, 소금, MSG 등 첨가물에 대한 우려[70][63]와 함께 유기농 식품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이유식을 시작하는 권장 연령 또한 시대적 상황과 연구에 따라 변화를 거듭해왔다.[63]

오늘날에도 이유식 문화는 지역별로 다양성을 보인다. 중국 등 동아시아에서는 죽이나 으깬 음식 형태의 수제 이유식이 여전히 일반적이며[75], 스웨덴의 오트밀이나 서아프리카의 옥수수[76]처럼 각 지역의 주식이나 환경에 따라 다양한 첫 이유식이 존재한다. 이는 이유식이 단순한 영양 공급을 넘어 각 사회의 문화와 환경을 반영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보여준다.

2. 1. 고대 사회

안나프라샤나(Annaprashana)라고 불리는 종교 의식으로 힌두교 아이가 첫 고형식을 먹는다.


이유식은 문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띠었다. 많은 문화권에서는 곡물과 액체를 섞어 만든 페이스트 형태의 음식이 첫 이유식으로 사용되었다. 이는 고대 사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방식으로, 곡물을 갈아 죽이나 미음 형태로 만들어 먹이는 것과 유사하다.

또한 인류 역사 전반에 걸쳐, 그리고 오늘날 여러 문화권에서도 아기를 돌보는 사람이 음식을 미리 씹어 부드럽게 만든 뒤 아기에게 먹이는 방식(미리 씹은 음식)이 사용되었다[68]. 이는 아기의 소화 과정을 돕기 위한 방법이었다. 힌두교의 '안나프라샨'과 같이 아기가 처음으로 고형식을 먹는 것을 기념하는 의례는 여러 문화권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이는 이유식이 단순히 영양 공급을 넘어 문화적 의미를 지니기도 했음을 보여준다.

2. 2. 중세 시대



이유식은 문화에 따라 다르며, 많은 문화권에서는 곡물과 액체를 섞어 만든 페이스트 형태가 첫 이유식으로 사용된다. 인류 역사 전반에 걸쳐, 그리고 현재에도 여러 문화권에서는 아기를 돌보는 사람이 음식을 미리 씹어[68] 부드럽게 만든 후 아기에게 먹였다.

유아가 고형식을 처음 접하는 것은 여러 문화권에서 의례적인 의미를 지니며, 종교적 중요성을 갖기도 한다. 예를 들어, 힌두교에서는 안나프라샤나 (Annaprashan)라는 의식을 통해 나이 많은 가족 구성원이 축복한 달콤한 죽을 아기에게 처음으로 먹인다. 이와 유사한 통과의례는 벵골 지역, 베트남, 태국 등 다른 힌두교 문화권에서도 행해진다.

2. 3. 산업 혁명 이후

산업 혁명 이후 서양 사회에서는 이유식 문화에 큰 변화가 생겼다. 1900년대 중반까지 서양에서는 이유식을 주로 가정에서 직접 만들어 먹였으나, 산업 혁명과 함께 시판 이유식 시장이 형성되면서 편리함을 내세운 상업용 제품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69] 오늘날 선진국에서는 철분이 강화된 유아용 시리얼로 이유식을 시작하고, 이후 으깬 과일이나 채소로 넘어가는 경우가 일반적이다.[46] 시판 이유식은 건조, 즉석, 냉동 등 다양한 형태로 유통되며, 작은 병이나 용기에 담겨 있어 준비하기 편리하다.

이러한 변화는 사회적 대조를 낳기도 했다. 개발도상국에서는 여전히 모유 수유가 보편적이고 공공장소에서도 비교적 자유로운 반면, 선진국에서는 가공된 이유식을 구매하여 먹이는 경향이 강하다. 에이미 벤틀리( Amy Bentleyeng )는 그의 저서 ''Inventing Baby Foodeng''에서 이러한 유아 수유 방식의 차이가 각 사회의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다고 분석했다.[70]

상업용 이유식의 역사는 20세기 초로 거슬러 올라간다.

  • 네덜란드: 1901년 마르티누스 판 더르 하헌( Martinus van der Hagennld )이 누트리시아( NV Nutricianld )사를 통해 처음으로 시판 이유식을 선보였다.[71]
  • 미국: 1920년대 해럴드 클랩( Harold Clappeng )이 Clapp's Baby Foodeng를 판매하기 시작했으며[72], 1927년에는 프리몬트 캐닝 컴퍼니( Fremont Canning Companyeng ) (현 거버 프로덕츠 컴퍼니)가[62], 1931년에는 Beech-Nuteng사가 시장에 진출했다.[73] 초기 시판 이유식은 주로 병든 아이들을 위해 만들어졌다.


이후 하인츠( H.J. Heinz Companyeng ), 네슬레( Nestléeng ), 누트리시아( Nutriciaeng ), Organixeng, 유니레버( Unilevereng ) 등 여러 기업들이 이유식 시장에 참여했다. 특히 하인츠는 1980년대에 탈수 형태의 이유식을 제조하기도 했다.[74]

회사명국가시작 연도비고
누트리시아 (Nutricianld)네덜란드1901년마르티누스 판 더르 하헌 설립[71]
Clapp's Baby Foodeng미국1920년대해럴드 클랩 설립[72]
거버 (Gerbereng)미국1927년프리몬트 캐닝 컴퍼니에서 시작[62]
Beech-Nuteng미국1931년미국 시장 진출[73]
하인츠 (H.J. Heinz Companyeng)미국-1980년대 탈수 이유식 제조[74]
네슬레 (Nestléeng)스위스-주요 제조사
Organixeng영국-주요 제조사
유니레버 (Unilevereng)영국/네덜란드-주요 제조사



이유식을 시작하는 시기 또한 변화해왔다. 20세기 초 미국에서는 대부분 생후 7개월경 이유식을 시작했으나[63], 제2차 세계 대전 중과 직후에는 그 시기가 생후 6주까지 앞당겨지기도 했다.[63] 이후 전문가들의 권고에 따라 다시 생후 4개월에서 6개월 사이로 늦춰졌다.[63]

시판 이유식의 편리함 이면에는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에이미 벤틀리는 일부 제조 이유식에 설탕, 소금, MSG 등이 과도하게 첨가되어 아기들이 가공식품 맛에 익숙해지게 만들 수 있다고 지적했다.[70] 이러한 성분들의 과다 섭취는 장기적으로 체중 문제나 영양 불균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었다.[63] 이러한 배경 속에서 1960년대부터는 유기농 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했으며, 많은 대형 이유식 제조사들도 유기농 제품 라인을 출시하고 있다.

2. 4. 20세기 중반 이후

20세기 중반 무렵 서구 사회에서는 가정에서 이유식을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점차 상업적으로 제조된 이유식이 편리함을 앞세워 보편화되기 시작했다[69]。 선진국에서는 철분이 강화된 유아용 시리얼로 이유식을 시작하는 경우가 많아졌고[46], 이후 으깬 과일이나 채소 등으로 넘어가는 방식이 일반화되었다. 시판 이유식은 건조, 즉석, 냉동 등 다양한 형태로 유통되었으며, 작은 병과 같이 사용하기 편리한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유식 시작 연령에도 변화가 있었는데, 20세기 초 미국에서는 생후 7개월경 시작하던 것이 제2차 세계 대전 중과 종전 직후에는 생후 6주까지 앞당겨졌다가[63], 이후 다시 4개월에서 6개월 사이로 조정되었다[63]

한편, 제조 이유식이 널리 사용되면서 설탕, 소금, MSG 등의 첨가물 과다 사용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했다. ''Inventing Baby Food''의 저자 에이미 벤틀리는 이러한 첨가물이 유아기 입맛에 영향을 미쳐 가공식품 선호도를 높일 수 있으며[70], 장기적으로는 체중 문제나 영양 관련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63]。 이러한 배경 속에서 1960년대부터는 유기농 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했고, 이에 따라 여러 대형 제조사들이 유아식의 유기농 라인을 도입하였다. HJ 하인츠 컴퍼니는 1980년대에 탈수 이유식을 제조하기도 했다[74]

에이미 벤틀리는 선진국에서는 가공된 이유식을 구매하여 먹이는 것이 일반적인 반면, 개발도상국에서는 모유 수유가 더 보편적인 현상을 지적하며, 이러한 유아 수유 방식의 차이가 전후 시대 각 사회의 모습을 반영한다고 분석했다[70]

2. 5. 현대



1900년대 중반까지 서양에서는 이유식이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만들어졌다. 그러나 산업 혁명으로 인해 시판 이유식을 편리한 대안으로 홍보하는 시장이 형성되기 시작했다.[69] 현대 선진국에서는 철분이 강화된 상업용 유아용 시리얼로 이유식을 시작하는 경우가 많고[46], 이후 으깬 과일이나 채소로 만든 부드러운 음식으로 넘어간다. 시판 이유식은 건조, 즉석, 냉동 등 다양한 형태로 널리 유통되며, 작은 병과 같이 준비하기 쉬운 소량 포장으로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한편, 개발도상국에서는 모유 수유가 더 보편적이고 공공장소에서도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경향이 있어, 선진국과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에이미 벤틀리(Amy Bentley)는 저서 ''Inventing Baby Food''에서 이러한 차이가 사회적 상황을 반영한다고 분석했다. 선진국 가정은 가공된 이유식을 구매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개발도상국에서는 자연적인 모유 수유가 더 일반적이라는 것이다.[70]

최초의 시판 이유식은 1901년 네덜란드에서 마르티누스 반 데르 하겐(Martinus van der Hagen)이 자신의 회사 Nutricia를 통해 선보였다.[71] 미국에서는 1920년대 해럴드 클랩(Harold Clapp)이 'Clapp's Baby Food'를 판매하며 시작되었고[72], 1927년에는 현재 거버 프로덕츠 컴퍼니로 알려진 프리몬트 캐닝 컴퍼니(Fremont Canning Company)가 설립되었다.[62] 1931년에는 Beech-Nut company가 미국 시장에 진출했다.[73] 초기(1930년대)에는 주로 병약한 아이들을 위해 만들어졌다. 현재 주요 이유식 제조업체로는 HJ 하인츠 컴퍼니, 네슬레, Nutricia, Organix, 유니레버 등이 있다. 하인츠는 1980년대에 탈수 이유식을 개발하기도 했다.[74] 1960년대부터는 유기농 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많은 대형 제조업체들이 유기농 이유식 라인을 출시하고 있다.

20세기 초 미국에서는 대부분 생후 7개월경 이유식을 시작했으나[63], 제2차 세계 대전 중후반에는 그 시기가 생후 6주까지 앞당겨지기도 했다.[63] 이후 다시 4개월에서 6개월 사이로 조정되었다.[63] 20세기 중반 이후 시판 이유식의 보급은 유아 식단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에이미 벤틀리는 시판 이유식에 과도하게 첨가된 설탕, 소금, MSG 등이 아이들이 가공식품 맛에 익숙해지게 만들 수 있다고 지적했다.[70] 또한, 소금과 설탕의 과다 섭취가 장기적으로 체중 문제나 영양 관련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었다.[63] 반면, 유아기에 다양한 고형 식품을 접하는 것이 이후 식습관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시각도 존재한다.[70]

지역별로 현대 이유식 문화는 다양하게 나타난다.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국가에서는 여전히 수제 이유식이 일반적이며, 아기는 (시판, 稀飯)으로 시작해 으깬 과일, 부드러운 채소, 두부, 생선 순으로 음식을 접한다.[75] 스웨덴에서는 바나나 같은 으깬 과일, 오트밀, 으깬 채소로 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서아프리카에서는 옥수수 죽이 첫 고형식으로 흔히 제공된다.[76]

많은 문화권에서 아기가 처음으로 고형식을 먹는 것은 중요한 의례로 여겨지며 종교적 의미를 갖기도 한다. 힌두교의 '안나프라샨'(Annaprashan) 의식이 대표적인 예로, 연장자가 축복한 달콤한 죽을 아기에게 먹인다. 유사한 통과의례는 벵골 지역, 베트남, 태국 등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3. 한국의 이유식

한국의 전통적인 이유식을 주재료로 한 미음이나 으로 시작하는 경우가 많았다. 아기의 성장 단계에 맞춰 점차 다양한 곡물채소 등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3. 1. 현대 한국의 이유식

일부 상업용 유아식 회사들은 생후 12개월에서 2년 6개월 사이의 유아를 위한 특수 식품 생산으로 제품군을 확장했다.[32] 여기에는 주스, 시리얼, 소형 전자레인지용 식사, 구운 식품 및 유아를 위해 특별히 제조 및 판매되는 기타 식품이 포함된다.

4. 이유식 시작 시기 및 건강

세계 보건 기구(WHO), 유니세프(UNICEF)를 비롯한 여러 국가의 보건 기관에서는 아기가 생후 만 6개월이 될 때까지 모유 수유만을 권장하며, 그 이후에 이유식을 시작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1][2][3][42][43][44][45] 이유식 시작 시기는 아기의 건강과 발달에 매우 중요하며, 너무 이르거나 너무 늦지 않게 적절한 시기를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9][46]

너무 이른 시기에 이유식을 시작하면(특히 생후 4개월 이전) 음식 알레르기 발생 위험이 높아지고, 아기의 미성숙한 소화 기관이나 신장에 부담을 줄 수 있으며, 질식이나 위장염의 위험도 증가한다.[6][7] 또한, 생후 6개월 이전에 고형식을 도입하면 모유 섭취량이 줄어 철분 결핍의 위험이 커질 수 있다.[9][46] 반대로 이유식 시작이 너무 늦어지면 성장에 필요한 에너지와 영양소를 충분히 공급받지 못할 수 있다.[42][43][65][66]

음식 알레르기 예방을 위해 특정 음식의 섭취를 일부러 늦추는 것은 권장되지 않으며,[8] 가족력이 있는 경우 새로운 음식을 하나씩 천천히 시도하며 반응을 살피는 것이 좋다.[12][49] 영아기의 적절한 영양 공급은 건강한 신체 및 정신 발달의 기초가 된다.[13][50] 이유식 시작 시기, 방법, 주의사항 등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4. 1. 이유식 시작의 적절성

이유식을 먹고 있는 아기


2023년 현재, 세계 보건 기구(WHO), 유니세프(UNICEF) 및 많은 국가 보건 기관은 생후 6개월까지 이유식을 시작하지 않도록 권장하고 있다. 너무 이르지도, 너무 늦지도 않게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1][2][3][42][43][44][45] 세계 보건 기구(WHO)는 전 세계적인 공중 보건 권고 사항으로, 최적의 성장, 발달 및 건강을 위해 생후 첫 6개월 동안은 영아에게 모유 수유만을 할 것을 권장한다. 대부분의 생후 6개월 영아는 새로운 음식, 질감 및 수유 방식에 생리적 및 발달적으로 준비가 되어 있다.[9][46]
너무 이른 시작의 위험생후 4개월 이전에 이유식이나 모유 또는 유아용 조제분유 외의 음식을 먹이는 것은 여러 위험을 동반한다. 이는 음식 알레르기 발생 위험을 높이며,[6][7] 질식(음식이 기도를 막아 호흡 곤란 발생) 위험, 미성숙한 신장에 대한 부담, 그리고 위장염(구토설사를 유발하는 장 염증)의 위험을 증가시킨다.[7] 때때로 부모들은 아기의 배고픔이 모유만으로는 충족되지 않는다는 우려 때문에 너무 일찍 이유식을 시작하기도 한다.[5]

또한, 생후 6개월 이전에 고형식을 도입하는 것은 아기의 성장을 개선하지 못하면서 질병에 걸릴 위험만 높인다는 증거가 세계 보건 총회 자문 전문가들에 의해 제시되었다.[10][47] 이 시기에 이유식을 너무 빨리 시작하면 아기가 배불러 모유 수유 횟수가 줄어들고, 이는 결국 어머니의 모유 생산량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모유 속 분은 다른 음식과 함께 섭취될 때 흡수율이 떨어지므로, 너무 이른 이유식 시작은 철분 결핍 및 빈혈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9][46]
너무 늦은 시작의 위험반면, 이유식 시작이 너무 늦어지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생후 6개월경이 되면 아기의 에너지와 영양소 요구량은 모유만으로는 충족되기 어려워지기 시작하므로, 그 차이를 보충해 줄 필요가 있다.[42][43][65][66] 이 시기에 필요한 영양소를 적절히 공급받지 못하면 영양 결핍이나 성장 지연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알레르기 관련 고려사항땅콩과 같이 잠재적으로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는 음식의 섭취를 생후 6개월 이후로 일부러 늦추는 것은 건강상의 이점을 제공하지 않는다.[8] 만약 가족 중에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음식 알레르기나 민감성 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한 번에 한 가지 새로운 음식만 며칠 간격을 두고 시도하는 것이 좋다. 이를 통해 아이가 특정 음식을 견디지 못할 경우 원인 식품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12][49]
결론결론적으로, 영아가 성장함에 따라 필요한 영양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은 건강한 발달에 필수적이다.[13][50] 이유식은 적절한 시기(생후 6개월경)에 시작하여, 충분한 양을 안전하고 적합한 방식으로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65][66] 영아에게 부적절하거나 불충분하게 음식을 제공하면 주요 질병을 유발하고 신체적, 정신적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13][50] 따라서 이유식 시작 시기, 적절한 음식 종류, 위생 관리 등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알고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13][50]

4. 2. 건강 문제

세계 보건 기구(WHO), 유니세프(UNICEF)를 비롯한 여러 국가의 보건 기관에서는 2023년 현재, 아기가 생후 6개월이 될 때까지는 고형식을 시작하지 않도록 권장하고 있다. 이유식 시작은 너무 이르지도, 너무 늦지도 않게 적절한 시기를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1][2][3] 세계 보건 기구는 전 세계적인 공중 보건 권고 사항으로, 최적의 성장, 발달 및 건강을 위해 생후 첫 6개월 동안은 영아에게 모유 수유만을 할 것을 권장한다. 대부분의 6개월 된 영아는 생리적 및 발달적으로 새로운 음식, 질감, 수유 방식에 적응할 준비가 되어 있다.[9][46] 세계 보건 총회에 자문하는 전문가들은 생후 6개월 이전에 고형식을 도입하는 것이 아기의 성장을 개선하지 못하면서 오히려 질병 위험을 높인다는 증거를 제시했다.[10][47]

생후 4개월 이전에 이유식을 시작하는 등 부적절하게 이른 시기에 고형식을 도입하는 것은 여러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는 음식 알레르기 발생 위험을 높이며,[6][7] 질식(음식이 기도를 막아 호흡 곤란을 유발하는 상태), 신장 기능에 대한 부담 증가, 위장염(구토설사를 유발할 수 있는 장 염증)의 위험을 증가시킨다.[7] 또한, 생후 6개월 이전에 고형식을 도입하는 것은 철분 결핍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 보충식을 일찍 시작하면 아기의 배고픔이 충족되어 모유 수유 횟수가 줄어들고, 이는 결국 어머니의 모유 생산량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모유 속 철분은 다른 음식과 함께 섭취될 때 흡수율이 떨어지므로, 너무 이른 보충식 도입은 철분 고갈 및 빈혈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9][46]

알레르기 예방을 위해 이유식 시작이나 특정 음식(예: 땅콩)의 섭취를 늦추는 것이 건강상의 이점을 제공한다는 과학적 근거는 없다.[8][64] 오히려 알레르기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는, 음식 알레르기나 민감성을 나타내는 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며칠 간격을 두고 한 번에 하나의 새로운 음식만 도입하는 것이 권장된다. 이를 통해 아이가 특정 음식을 견디지 못할 경우 원인이 되는 음식을 파악할 수 있다.[12][49] 이유식을 진행하면서 알레르기가 의심되는 증상이 나타나면 자의적으로 판단하지 말고 반드시 의사의 진단과 지시에 따라야 한다.[64]

특정 식품 섭취 시에는 다음과 같은 주의가 필요하다.

  • 꿀: 영아 보툴리누스증을 일으킬 위험이 있으므로 만 1세가 될 때까지는 절대 먹이지 않아야 한다. 보툴리누스균은 일반적인 가열이나 조리로는 사멸하지 않는다.[64]
  • 달걀: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기 쉬우므로, 처음에는 달걀 노른자부터 완전히 익혀서 소량씩 시도하는 것이 좋다.[64]
  • 우유: 철분 흡수를 방해하여 철 결핍성 빈혈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음용은 만 1세 이후가 바람직하다.[64][67]
  • : 질식의 위험이 높으므로, 영유아기 후반에 제공하더라도 잘게 잘라서 주의 깊게 먹여야 한다.[64]


영아의 영양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은 건강한 발달에 필수적이다.[13][50] 부적절하거나 불충분한 영양 공급은 주요 질병을 유발하고 신체적, 정신적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13][50] 나트륨 과다 섭취도 문제가 될 수 있는데, 캐나다에서는 영아 식품의 나트륨 함량을 규제하여 첨가된 나트륨이 들어간 과일, 주스, 시리얼 등의 판매를 제한하고 있다.[11][48] 과거 일부 상업용 이유식에는 설탕이나 소금이 과도하게 첨가되어 영유아의 건강을 위협하고 장기적으로 가공 식품 선호도를 높인다는 비판도 있었다.[29][26]

따라서 고형식 도입 시기, 적절한 음식 종류, 위생적인 조리 및 수유 방법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부모와 양육자에게 제공하는 교육 캠페인은 영유아의 건강한 식습관 형성에 효과적이다.[13][50] 만약의 사고알레르기 질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아이의 상태를 주의 깊게 관찰하고, 필요한 경우 의사보건소 등 전문가의 지도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5. 영양 요구량 및 식품 종류

영유아는 성장 단계에 따라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그 양이 달라지므로, 시기에 맞춰 적절한 이유식(보완식)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42][43] 생후 첫 1년 동안은 모유 또는 영아용 분유칼로리와 영양소의 주요 공급원이 되며, 특히 생후 6개월까지는 모유나 분유만으로도 충분하다.

세계 보건 기구(WHO)는 생후 6개월경부터 모유만으로는 부족해지는 에너지와 영양소를 보충하기 위해 '보완적 수유'(eng)를 시작할 것을 권장한다.[42][43][65][66] 이때 제공되는 보완식은 아이의 발달 단계에 맞춰 "적절한 시기, 충분한 양, 안전, 적합한 급여"의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42][43][65][66] 처음에는 소량으로 시작하여 아이가 성장함에 따라 점차 양과 횟수를 늘려가는 것이 일반적이다.[1]

이유식을 시작할 때 질식 위험에 주의를 기울인다면, 특별히 조제된 이유식 외에 일반 가정식으로 바로 시작할 수도 있다. 이를 아기 주도 이유식(eng)이라고 부른다. 엄마가 섭취한 음식의 풍미가 모유를 통해 아기에게 전달되므로, 엄마가 평소 먹는 건강한 음식을 이유식으로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5. 1. 영양 요구량

세계 보건 기구(WHO)는 아이의 성장에 따라 점진적으로 양을 늘리는 소량의 식사를 권장한다. 생후 6~8개월 영아는 하루 2~3끼, 생후 9~23개월 영아는 하루 3~4끼의 보완식을 먹이고, 필요에 따라 1~2회의 간식을 추가로 제공한다.[1][42][43] WHO는 이러한 이유식(보완식)이 "적절한 시기, 충분한 양, 안전, 적합한 급여"의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고 강조한다.[42][43][65][66]

영유아기에는 모유 또는 분유가 주요 에너지 및 영양 공급원이다.[51] 특히 생후 6개월까지는 완전 모유 수유가 권장되며, 이는 최적의 성장, 발달, 건강을 위해 중요하다.[46] 생후 6개월 이전의 이유식 시작은 성장을 개선하지 못하고 질병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전문가 의견이 있다.[47] 또한, 보충 식품을 너무 일찍 도입하면 모유 수유 횟수가 줄어 모유 생산량이 감소하고, 모유로부터의 흡수가 억제되어 철 결핍성 빈혈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46]

영아의 최소 탄수화물(주로 유당) 섭취량은 총 에너지의 40% 이상이어야 하며, 만 2세까지 점차 55% 수준으로 늘리는 것이 좋다.[14][51] 이 외에도 단백질, 지방, 비타민, 무기질 등 다양한 영양소를 균형 있게 섭취하는 것이 필수적이다.[50]

2008년 미국의 ''영아 및 유아 영양 섭취 연구''(Feeding Infants and Toddlers study)에 따르면, 이유식의 주 소비자인 영유아의 전반적인 식단은 권장량의 다량 영양소를 충족하거나 초과하는 경우가 많았다.[15][52] 유아와 미취학 아동은 식이 섬유 섭취가 부족하고, 미취학 아동의 경우 전체 지방 섭취량은 권장량보다 낮았지만 포화 지방 섭취가 과다한 경향을 보였다.[15][52] 미량 영양소는 대체로 권장 수준이었다. 미국 연구에서 일부 고연령 영아는 철분 강화 이유식 등을 통해 더 많은 철분과 아연이 필요했다.[15][52] 상당수 영유아가 합성 엽산, 비타민 A, 아연, 나트륨(소금)을 상한 섭취 권장량 이상으로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5][52] 캐나다에서는 유아식의 나트륨 함유량이 규제되고 있다. 으깬 과일, 과즙, 과일 음료, 시리얼은 나트륨이 첨가된 경우에는 판매할 수 없으며(으깬 디저트 제외), 자연적으로 나트륨을 포함하는 식품은 유아식 종류에 따라 식품 100g당 0.05-0.25g으로 제한된다.[48]

알레르기 가족력이 있는 경우, 식품 알레르기과민증 반응을 확인할 때까지 며칠 간격을 두고 한 번에 하나의 새로운 음식만 도입하는 것이 권장된다. 이를 통해 특정 음식에 대한 부작용 발생 시 원인 식품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49]

성장기 유아의 영양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은 건강한 발달에 매우 중요하다.[50] 부적절하거나 불충분한 영양 공급은 심각한 질병을 유발하고 신체적 및 정신적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50] 따라서 이유식 시작 시기, 적절한 식품 종류 선택, 위생 관리 등에 대한 교육을 통해 올바른 영양 습관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50]

5. 2. 식품 종류

자두 퓌레 작은 병. 이유식을 막 시작하는 아기는 작은 숟가락 하나도 삼키지 못할 수 있다.


영유아기에는 다양한 종류의 식품을 통해 필요한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세계 보건 기구(WHO)는 아이가 성장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식사량과 종류를 늘려갈 것을 권장한다.[1] 일반적으로 영유아식에 사용되는 식품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곡물

: 생후 초기 이유식으로 , 보리, 찹쌀, 귀리 등으로 만든 미음이나 죽 형태의 영아 곡물을 흔히 사용한다. 미국 아기의 경우, 생후 4~5개월의 약 절반이 영아 곡물을 섭취하며, 생후 6~12개월 아기의 약 90%가 어떤 형태로든 곡물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기 이후에는 영아 곡물 외에도 쌀밥, , 크래커, 파스타 등 다양한 형태의 곡물 음식을 접하게 된다.[23]

;과일

: 사과, , 바나나 등 부드러운 과일을 으깨거나 갈아서 제공한다. 미국 기준으로 생후 4~5개월 아기의 약 20%가 과일을 섭취하며, 이 비율은 생후 6개월 이후 크게 증가하여 9개월 이상 아기 및 유아의 75~85%가 과일을 먹는다.[23] 초기에는 조제된 이유식 형태의 과일을 주로 먹지만, 점차 신선한 과일이나 통조림 과일 등으로 확대된다. 사과와 바나나는 모든 연령대의 아기에게 흔히 제공되는 과일이다. 과일 주스는 일반적으로 과일 자체보다 늦게 도입되며, 사과나 포도 주스가 주로 이용된다.[23]

;채소

: 애호박, 브로콜리, 당근, 시금치, 고구마 등 다양한 채소를 삶아 으깨거나 갈아서 제공한다. 초기에는 당근, 호박, 고구마와 같은 노란색 또는 주황색 채소를 주로 사용한다.[23] 미국 기준으로 생후 4~5개월 아기의 약 25%가 채소를 섭취하며, 6~9개월에는 약 60%, 그 이후에는 약 70%로 증가한다. 약 9개월 이후에는 조제된 이유식 형태의 채소 대신 조리된 채소를 먹는 경우가 많아진다. 생채소는 영유아에게 흔히 제공되지 않는다. 첫 돌 무렵에는 약 3분의 1의 아기가 감자를 섭취한다.[23]

;육류 및 기타 단백질원

: 쇠고기, 닭고기, 돼지고기 등 다양한 육류를 곱게 다져 익혀서 제공한다. 생후 6개월 이전에는 육류 섭취가 드물지만, 6~9개월에는 채소나 곡물과 섞인 이유식 형태로 소량의 고기를 접하게 된다.[23] 생후 9~12개월 아기의 약 75%는 고기 또는 달걀, 치즈, 요구르트, , 견과류와 같은 다른 단백질 공급원을 섭취한다. 12개월 이후에는 대부분의 유아가 하루에 한 번 이상 단백질원을 섭취하며, 이유식 형태가 아닌 일반 조리된 고기를 먹는 비율이 높아진다.[23]

;생선

: 일반적으로 흰살 생선부터 시작하여 점차 등푸른 생선으로 종류를 확대해 나간다. 생선은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 깊게 관찰하며 제공해야 한다.

;유제품

: 치즈, 요구르트 등의 유제품은 일반적으로 생후 6개월 이후부터 섭취할 수 있다. 다만, 우유는 철분 흡수를 방해할 수 있고 알레르기 위험도 있어 돌 이후에 섭취하는 것이 권장된다.[64][67]

;단 음식 및 짠 음식

: 과자, 아이스크림, 가당 음료 등 단 음식이나 나트륨 함량이 높은 짠 음식은 영유아에게 권장되지 않는다.[23] 최근 연구에 따르면 생후 9개월 미만 아기의 단 음식 섭취는 과거에 비해 감소하는 추세이다.[23] 필수 영양소를 제공하면서 아이의 입맛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과일과 채소의 천연 당분을 활용하고, 첨가당과 포화 지방 섭취를 제한하여 장기적인 건강 문제를 예방하는 것이 좋다.[24] 캐나다 등 일부 국가에서는 유아식의 나트륨 함량을 규제하고 있다.[48]

;주의가 필요한 식품

  • '''꿀''': 영아 보툴리누스증을 일으킬 위험이 있으므로 만 1세 이전에는 절대 먹이지 않는다. 보툴리누스균 포자는 일반적인 가열로는 사멸하지 않는다.[64]
  • '''달걀''':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기 쉬우므로, 처음에는 달걀 노른자를 완전히 익혀 소량만 제공하고 점차 흰자를 포함한 전체로 확대한다.[64]
  • '''우유''': 철 결핍성 빈혈 예방 및 알레르기 가능성 때문에 만 1세 이후에 주는 것이 좋다.[64][67]
  • '''''': 질식 위험이 높으므로 영유아기에는 잘게 잘라서 제공하거나 피하는 것이 좋다.[64]


음식 알레르기 가족력이 있는 경우, 새로운 음식을 한 번에 하나씩 며칠 간격을 두고 시도하여 알레르기 반응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49] 또한, 미국 환경 실무 그룹(EWG)의 2023년 연구에 따르면 시판 유아식 일부에서 농약 성분이 검출되었다는 보고가 있어 식품 안전성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며, 이 연구에서 유기농 식품 유아식에서는 농약이 검출되지 않았다.[41] 이유식 진행 중 알레르기나 이상 반응이 의심될 경우, 자의적으로 판단하지 말고 반드시 의사와 상담해야 한다.[64]

6. 이유식 준비 및 방법

이유식은 아기가 효과적으로 씹기 어려운 시기에 모유 수유분유를 보충하기 위해 제공하는 부드러운 음식이다. 주로 생후 6개월 전후, 모유나 분유만으로 영양 요구량을 충족하기 어려워질 때 시작한다. 초기에는 퓌레 형태의 액체 상태로 시작하여 점차 씹는 능력에 맞춰 작고 부드러운 조각이나 덩어리가 포함된 형태로 나아간다. 고형식을 시작하기 위해 반드시 치아가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이가 나기 시작하는 시기와 맞물리는 경우가 많다. 이가 있더라도 어금니가 발달하기 전까지는 음식을 잘게 으깨거나 썰어주어야 하며, 덜 익힌 채소, 포도, 뼈 있는 음식 등 질식 위험이 있는 음식은 피해야 한다.

생후 6개월경부터 아기는 보호자의 도움을 받아 스스로 음식을 먹기 시작할 수 있다. 처음에는 손 전체로 음식 조각을 쥐다가 점차 엄지-검지 집기를 사용하게 된다.

세계 보건 기구(WHO)는 이유식을 소량으로 시작하여 아이가 성장함에 따라 점차 양과 횟수를 늘릴 것을 권장한다. 아이의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생후 6-8개월 영아는 하루 2-3끼, 생후 9-23개월 영아는 하루 3-4끼를 먹이고, 요구에 따라 1-2번 정도 간식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42][43]

영양 측면에서 영아는 탄수화물(주로 유당)을 총 에너지의 최소 40% 섭취해야 하며, 이는 2세까지 점차 에너지의 55%까지 늘어나야 한다.[51] 2008년 미국의 ''영아 및 유아 영양 섭취 연구''(Feeding Infants and Toddlers study)에 따르면, 이유식을 주로 먹는 영유아의 식단은 권장량의 주요 영양소를 충족하거나 초과하는 경우가 많았다.[52] 그러나 식이 섬유 섭취는 부족하고, 미취학 아동의 경우 포화 지방 섭취가 과다한 경향이 나타나기도 했다.[52] 특히 연령이 높은 영아는 철분 강화 이유식 등을 통해 철분과 아연 섭취를 늘릴 필요가 있었다.[52] 일부 유아 및 미취학 아동은 합성 엽산, 기성 비타민 A, 아연, 나트륨(소금)을 권장량보다 많이 섭취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허용 범위 내였다.[52]

이유식 과정에서 부모나 보호자는 아이가 음식을 가리는 문제에 직면할 수 있다. 유아의 최대 절반 가량이 특정 음식을 거부하는 "까다로운" 모습을 보일 수 있으며, 이는 생후 24개월 전후에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54][55] 이럴 때 많은 어른들은 아이가 새로운 음식을 3~5번 거부하면 포기하는 경향이 있지만, 실제로는 아이가 음식에 익숙해지기까지 8번에서 15번의 시도가 필요할 수 있다. 아이에게 억지로 먹이거나, 거부하는 음식 대신 모유나 다른 좋아하는 음식만 주는 행동은 오히려 역효과를 낳을 수 있다.[56]

미국 영유아의 이유식 섭취 경향은 다음과 같다.[60]


  • '''시리얼''': 생후 4~5개월 아기의 약 절반이 유아용 시리얼을 먹는다. 생후 6~12개월에는 약 90%가 어떤 종류의 곡물을 먹지만, 유아용 시리얼 비율은 절반으로 줄고 대신 쌀, 빵, 크래커, 파스타 등을 먹는다.
  • '''과일''': 생후 4~5개월 아기의 약 20%가 이유식용 과일을 먹는다. 생후 9개월 이상이 되면 75~85%가 과일을 먹으며, 점차 이유식용 과일 대신 신선한 바나나나 통조림 과일 등을 먹게 된다. 사과와 바나나가 가장 흔하다. 과일 주스는 과일보다 늦게 도입된다.
  • '''채소''': 생후 4~5개월 아기의 약 25%가 이유식용 채소(주로 당근, 호박, 고구마 등 노란색/주황색 채소)를 먹는다. 생후 9개월경부터는 조리된 채소로 빠르게 대체된다. 생채소는 거의 먹지 않는다.
  • '''고기''': 생후 4~5개월에는 고기나 다른 단백질원을 거의 먹지 않는다. 생후 6~9개월에는 이유식에 포함된 소량의 고기를 먹기 시작하며, 9~12개월에는 약 75%가 고기, 계란, 치즈, 콩 등 단백질원을 먹는다. 12개월 이상 유아의 90% 이상이 단백질원을 먹으며, 대부분 이유식 외의 고기를 섭취한다.
  • '''단 음식, 짠 음식''': 아기에게는 드물게 제공된다. 생후 9개월 미만 아기의 단 음식 섭취는 과거에 비해 절반으로 줄었다. 9~12개월 아기의 절반 미만이 쿠키, 아이스크림 등 단 음식을 먹는다.


세계 각국의 문화에 따라 아기에게 처음 주는 이유식의 종류와 시기, 먹이는 방식은 매우 다양하다.

'''각국의 아기의 첫 번째 음식'''[61]
영역국가첫 번째 음식첫 번째 식사 연령 (개월)수유 방법
아프리카나이지리아 (요루바족)eko, 수수 또는 옥수수(옥수수)에서 나온 액체 pap6어머니의 손으로 pap를 담아 아기 입에 따라준다. 거부 시 강제로 먹이기도 한다.
아프리카탄자니아 (와고고족)uji, 얇은 조 죽3-4술잔이나 표주박으로 마신다.
아프리카말리기장 또는 쌀로 만든 진한 죽(porridge) 또는 묽은 죽(gruel), 또는 거기에 생선 또는 감자를 곁들인 것여자아이는 7, 남자아이는 10아이들은 그릇에서 자신의 오른손으로 먹는다.
아프리카짐바브웨bota, 옥수수 가루로 만든 pap3 이전어머니 또는 간병인은 컵 또는 숟가락으로 아기에게 음식을 준다.
남아메리카브라질옥수수 전분 및 기타 곡물4분유는, 많은 경우, 생후 3개월 미만의 신생아에게 준다. 6개월 후, 대부분의 아기는 콩과 쌀, 또는 가족이 먹는 것은 무엇이든 먹는다. 어른 음식은 잘게 부수어 어머니의 손에서 준다.
남아메리카과테말라Incaparina 또는 옥수수 가루 죽, 계란, 과일 주스4-6어머니는 일반적으로, 가족이 먹고 있는 것 중에서 적절한 음식을 선택한다. 옥수수 가루의 묽은 죽은 종종 병으로 준다.
남아메리카페루밀과 감자 수프6-8아이들은, 아프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스스로 식사를 할 수 있다. 도시의 아이들은, 시골의 아이들보다 더 빨리 고형식을 먹는다.
남아메리카도미니카 공화국오렌지 주스, 라임 주스, 콩3분유는, 많은 경우, 생후 1개월 미만의 신생아에게 준다. 우유와 주스는 일반적으로 병으로 준다. 과일과 채소는 일반적으로 고기와 콩 전에 도입되고, 곡물은 일반적으로 마지막으로 도입된다.
아시아부탄버터로 지은 쌀가루 또는 옥수수 진한 죽2아기는 엄마의 손에서 먹는다.
아시아방글라데시핑거 푸드, 쌀, 또는 쌀과 비슷한 음식정보 없음아기에게 주는 고형식의 양은 일반적으로 매우 적지만, 매일 여러 번 한다. 음식은 일반적으로 간병인의 손으로 받지만, 병, 컵 또는 숟가락을 사용할 수도 있다.
아시아네팔곡류6어머니들은 가족을 위해 요리하는 곡물을 미리 씹어 둔 것을 물이나 버터와 섞어, 손가락을 사용하여 음식을 아기의 입에 넣는다. 힌두교 가정의 아기는, 안나프라샤나 축제에서 생후 3주에 쌀을 먹지만, 그 후 계속해서 주지는 않는다. 많은 어머니는 농장에서 일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고형식 도입은 바쁜 농업 시기의 시작에 시작된다.
아시아필리핀lugao (쌀죽), 으깬 과일 또는 채소, 또는 부드러운 빵3-6젖병은, 더 높은 사회적 지위를 가지고 있다고 인식된다. 파인애플이나 옥수수 등 섬유질이 많은 음식은, 아기가 쉽게 소화할 수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어머니는 이러한 음식을 거부했다.
오세아니아파푸아뉴기니으깬 파파야, 고구마, 호박, 바나나6-12물, 야채 수프, 껍질을 벗긴 사탕수수가, 추가적인 수분 공급원으로 어린 유아에게 주어졌다. 액체는, 그릇, 컵 또는 대나무 빨대로 주어졌다. 토란과 고기는 아기가 한 살 정도가 될 때까지 삼갔다. 전통적으로, 아기는 걸을 수 있게 될 때까지 고형식을 먹지 않았다.
오세아니아솔로몬 제도 (콰이오족)물과 함께 씹은 토란, 코코넛 밀크로 조리한 고구마0-9콰이오족의 관습은, 종교적 전통에 의해 나뉘어 있었다. 전통적인 음식의 금기를 고수하는 많은 이교도 어머니는, 생후 1~2개월 이내에 아기에게 고형식을 주기 시작했다. 그들은 음식을 잘 씹어, 처음 몇 달 동안 입에서 입으로 먹였다. 이것은 어머니가 일시적으로 부재한 경우에, 배고픈 아기에게 식사를 주는 일반적인 방법이기도 했다. 스쿨(기독교 정착민과 관련된 전통)의 어머니는 일반적으로, 생후 6개월에서 9개월 사이에 고형식을 주기 시작했다. 아기에게 입에서 입으로 준 사람도 있었다. 다른 사람은, 음식을 미리 씹거나, 삶거나, 으깨서, 숟가락 또는 아기의 손으로 아기에게 주었다.
오세아니아트로브리안 제도수프, 으깬, 또는 미리 씹은 참마 또는 토란1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불이 있는 어두운 건물에 어머니와 아기를 격리시키는 전통적인 산후 관습을 따르는 여성도 있었다. 음식은, kanua (예를 들어, 토란 또는 모유)와 kawenu (예를 들어, 야생 채소 또는 시판 유아용 조제 분유)로 생각되었다. kanua로 생각된 음식은, 아기에게 권장되었다.
북미미국유아용 시리얼, 다음은 퓌레 상태의 과일 또는 채소2-6시리얼은 유아용 조제 분유와 섞어서 젖병으로 주거나, 숟가락으로 아기에게 준다. 가난한 여성은, 부유한 여성보다 훨씬 더 빨리 고형식을 먹이기 시작한다.


6. 1. 수제 이유식

집에서 만들어 유리병에 냉동 보관한 퓌레 이유식.


집에서 사과 퓌레를 만드는 영상.


수제 이유식은 시판 이유식에 비해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16][53] 신선한 재료를 직접 선택하여 영양소 손실을 최소화하고, 아기의 입맛과 발달 단계에 맞춰 다지기나 퓌레 형태로 조리할 수 있다. 특히 가족이 먹는 음식에 들어가는 소금, 강한 향신료, 설탕 등을 제외하고 아기에게 맞게 조절하여 만들 수 있다.[16][53]

하지만 수제 이유식을 만들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과 주의사항이 따른다. 우선, 가족의 식단이 충분히 다양하고 영양적으로 균형 잡혀 있어야 하며, 음식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냉장 시설과 기본적인 위생 설비가 갖춰져 있어야 한다.[16][53] 또한, 이유식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철저한 위생 관리가 필수적이다. 채소나 과일을 깨끗하게 씻고 헹구는 것은 물론, 사용하는 조리 도구와 보관 용기도 청결하게 관리해야 한다.[16][53]

수제 이유식은 시판 이유식처럼 바로 먹일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재료 손질부터 조리까지 시간이 더 많이 소요된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16][53]

6. 2. 시판 이유식

가게 통로에 시판 이유식이 진열되어 있다


시판 이유식은 수제 이유식과 비교했을 때 바로 먹을 수 있는 병이나 상자 형태로 제공되어 준비 시간이 덜 걸린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수제 이유식보다 비용이 더 많이 든다.[16][53]

일부 상업용 유아식 회사들은 제품군을 확장하여, 생후 약 12개월부터 2년 6개월까지의 유아를 위한 특별 식품을 생산하기도 한다.[32][62] 이러한 제품에는 주스, 시리얼, 전자레인지 조리용 소량 식사, 구운 과자 등 유아를 위해 특별히 제조 및 판매되는 식품들이 포함된다.[32]

6. 3. 이유식 방법



이유식은 아기가 효과적으로 씹을 수 있는 근육과 치아가 아직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부드러운 액체 페이스트 형태이거나 쉽게 씹을 수 있는 음식이다.[64] 아기는 보통 모유 수유나 분유만으로는 영양 요구량을 충족하기 어려워지는 시기에 이유식을 시작한다. 고형식을 먹기 위해 반드시 치아가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대개 이 시기에 치아가 나기 시작한다. 덜 익힌 채소, 포도, 뼈가 있는 음식 등은 질식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초기에는 퓌레 형태의 채소나 과일로 만든 액체 이유식부터 시작하며, 때로는 쌀 시리얼이나 분유, 모유와 섞어 주기도 한다. 이유식을 삼키고 그 감촉과 맛에 익숙해지는 것이 주된 목적이며, 보통 하루에 한 번 제공한다.[64] 숟가락을 아기 아랫입술에 대고 아기가 윗입술을 닫아 음식을 가져가 삼키도록 돕는다.[64]

아기가 점차 씹는 것에 익숙해지면 작고 부드러운 조각이나 덩어리가 있는 음식으로 바꿔 나가며 씹는 연습을 돕는다. 이유식 단계는 아기의 발달에 맞춰 진행하며, 일반적인 단계는 다음과 같다.[64]

  • 초기 (생후 5~6개월 무렵): 부드러운 미음이나 퓌레 형태의 음식을 하루 1회 제공한다. 혀를 사용하여 음식을 입 안 뒤쪽으로 넘기는 연습을 한다.
  • 중기 (생후 7~8개월 무렵): 혀로 으깰 수 있는 정도의 부드러운 음식을 하루 2회 제공한다. 혀와 턱이 위아래로 움직이기 시작하며, 이유식 후에 모유나 분유를 보충한다.
  • 후기 (생후 9~11개월 무렵): 잇몸이나 새로 난 이로 으깰 수 있는 정도의 무른 고형식을 하루 3회 제공한다. 혀로 음식을 잇몸 위로 가져가 씹는 연습을 한다. 손으로 집어 먹는 것을 시도하게 할 수 있다.
  • 완료기 (생후 12~18개월 무렵): 형태가 있는 음식을 씹어 먹을 수 있게 되는 시기이다. 에너지와 영양소의 대부분을 이유식으로부터 얻게 된다. 하루 3번의 식사와 필요에 따라 1~2번의 간식을 제공한다. 이유 완료가 모유나 분유를 완전히 끊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손으로 먹거나 식기를 사용하며 스스로 먹는 준비를 한다.


세계 보건 기구(WHO)는 이유식을 소량으로 시작하여 아이가 성장함에 따라 점차 양과 횟수를 늘릴 것을 권장한다. 예를 들어, 생후 6-8개월 영아는 하루 2-3끼, 생후 9-23개월 영아는 하루 3-4끼를 먹이고, 필요에 따라 간식을 1-2회 추가로 제공한다.[42][43]

질식 위험에 주의한다면, 아기가 처음부터 일반 가정식을 먹도록 하는 아기 주도 이유식 (Baby-led weaning|BLW영어) 방법도 있다. 이 방식은 아기가 스스로 음식 조각을 손으로 집어 먹도록 유도한다. 생후 6개월경부터 아기는 손으로 음식을 집거나(초기에는 주먹 전체 사용, 이후 엄지-검지 집기 Pincer grasp영어 사용) 스스로 먹기 시작할 수 있다. 엄마가 먹은 음식의 풍미가 모유에 배어 나오므로, 엄마가 먹던 음식을 주는 것이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손으로 먹기는 생후 9개월경부터 시작하여 아기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64] 아기는 음식을 직접 만지고 쥐면서 단단함이나 질감을 배우고, 음식에 대한 관심을 높이며 스스로 먹으려는 의지를 키운다. 손으로 먹는 과정은 눈으로 음식의 크기와 모양을 확인하고, 손으로 굳기와 온도를 느끼며, 입으로 가져가 먹는 눈-손-입의 협응 능력을 발달시킨다.[64] 주변이 더러워지거나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지만, 아기의 발달을 위해 격려하는 것이 좋다.[64]

7. 아기 주도 이유식 (Baby-Led Weaning, BLW)

아기 주도 이유식(Baby-Led Weaning, BLW)은 아기가 스스로 음식을 탐색하고 선택하여 먹는 방식으로, 전통적으로 숟가락을 이용해 떠먹여 주는 방식과는 차이가 있다. 이는 세계보건기구(WHO)에서 권장하는 '보완식'(Complementary Feeding) 개념과도 연결될 수 있는데, 보완식이란 모유나 분유만으로는 부족해지는 영양을 보충하기 위해 고형식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64]

이유식 과정은 단순히 영양을 공급하는 것을 넘어, 아기가 젖을 빠는 단계에서 음식을 스스로 씹고 삼키는 단계로 섭식 기능을 발달시키는 중요한 과정이다.[64] 이 과정에서 아기는 점차 다양한 종류와 형태의 음식을 경험하게 되며, 스스로 먹는 독립성을 키워나가게 된다.[64] 아기 주도 이유식의 특징 중 하나는 아기가 스스로 손으로 음식을 집어 먹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보통 생후 9개월경부터 시작되며 아이의 발달 과정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64] 아이가 직접 음식을 만지고 탐색하는 과정은 음식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하고 긍정적인 식습관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유식을 진행할 때는 아이마다 성장 속도, 식욕, 음식에 대한 반응 등이 모두 다르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64] 획일적인 기준을 적용하기보다는 아이의 개별적인 발달 패턴과 상황에 맞춰 이유식의 종류, 양, 형태를 조절하고, 각 가정의 식습관이나 한국의 식문화를 고려하여 자연스럽게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64] 이유 완료가 반드시 모유나 분유 수유의 완전한 중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64]

7. 1. 장점

유즙에서 이유식으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아이의 섭식 기능은, 유즙을 빠는 것에서 음식을 씹어 부수어 삼키는 것으로 발달한다.[64] 섭취하는 식품의 양과 종류가 점차 늘어나고, 식단과 조리의 형태도 변화하며, 섭식 행동은 점차 자립으로 향하게 된다.[64]

특히 손으로 먹는 행위는 생후 9개월경부터 시작하여 1세가 넘은 아이의 발육 및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64] 아이가 직접 음식을 만지고 쥐는 과정을 통해 음식의 굳기나 촉감을 경험하고, 이는 음식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져 스스로 먹으려는 자기 주도성독립성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된다.[64] 비록 주변이 더러워지고 식사 시간이 길어질 수 있지만, 손으로 먹는 것은 아이의 발달에 중요한 과정이다.[64]

손으로 먹는 과정은 눈과 손, 입의 협응력을 발달시키며, 섭식 기능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64] 구체적인 과정과 효과는 다음과 같다.

# 눈으로 음식의 크기와 모양을 확인한다.

# 손으로 음식을 잡으며 온도와 굳기를 느끼고, 적절히 쥐는 힘을 조절하는 경험을 쌓는다. 이는 소근육 발달과 연결된다.

# 입으로 음식을 가져가는 과정에서 이전에 손가락을 빨거나 장난감을 핥으며 익힌 입과 손의 협응 경험이 활용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아이는 다양한 질감과 맛을 경험하고, 씹는 능력을 포함한 섭식 기능을 자연스럽게 발달시킬 수 있다.

7. 2. 주의사항

식품 공포증(음식 거부증)과 관련하여, 부모나 보호자는 상당수의 유아가 특정 시기에 '까다로운' 식습관을 보인다고 느낄 수 있으며, 이는 보통 생후 24개월경에 두드러진다.[17][18][54][55] 이때 아이가 새로운 음식을 몇 번 거부한다고 해서 바로 포기하기보다는, 아이가 익숙해질 수 있도록 여러 번(8~15회) 꾸준히 시도해 보는 것이 좋다.[19][56] 아이에게 음식을 억지로 먹이거나, 다른 좋아하는 음식(예: 우유)으로 달래는 방식은 오히려 건강한 식습관 형성에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19][56]

이유식을 진행할 때는 아이마다 성장 속도, 식욕, 음식에 대한 반응 등이 모두 다르다는 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64] 획일적인 기준을 적용하기보다는 아이의 개별적인 발달 패턴과 상황에 맞춰 이유식의 종류, 양, 형태를 조절해야 한다.[64] 또한, 각 가정의 식습관이나 한국의 식문화를 고려하여 자연스럽게 이유식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64]

생후 9개월 무렵부터 아이는 손으로 음식을 직접 집어 먹으려는 행동을 보이기 시작하는데, 이는 아이의 발달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64] 손으로 음식을 만지고 느끼는 과정은 음식의 질감이나 온도를 배우고, 눈과 손, 입의 협응 능력을 발달시키며, 음식에 대한 호기심과 스스로 먹으려는 의지를 키워준다.[64] 아이가 손으로 먹으면 주변이 지저분해지고 식사 시간이 길어질 수 있지만, 이러한 이유로 아이의 탐색 행동을 막는 것은 발달에 좋지 않다.[64] 부모나 보호자는 손으로 먹는 행위가 아이의 성장에 필수적인 과정임을 이해하고 격려해주는 자세가 필요하다.[64] 손으로 먹는 과정은 다음과 같은 발달을 돕는다.[64]

  • 눈으로 음식의 크기와 모양을 확인한다.
  • 손으로 잡으며 음식의 온도와 굳기를 느끼고, 적절한 힘 조절을 경험한다.
  • 음식을 입으로 가져가면서 손과 입의 협응 능력을 발달시킨다.

8. 다양한 문화권의 이유식

생후 1년 동안은 모유나 유아용 조제분유가 아기의 주된 영양 공급원이다. 생후 6개월 무렵부터는 일반적인 음식을 먹을 준비가 된다.[20] 질식 위험에 주의하면 아기가 스스로 먹는 아기 주도 이유식 방식으로 가족이 먹는 식단을 바로 시작할 수도 있다. 모유는 어머니가 섭취한 음식의 맛을 전달하므로,[21] 아기가 익숙한 맛의 음식을 주는 것이 좋다.[22]

이유식의 형태와 시작 시기는 문화권마다 매우 다양하다. 20세기 중반까지 서양에서는 대부분 가정에서 이유식을 직접 만들었으나, 산업 혁명 이후 편리함을 내세운 시판 이유식 시장이 형성되었다.[69] 네덜란드에서는 1901년 누트리시아(Nutricia)가,[71] 미국에서는 1920년대 클랩스 베이비 푸드(Clapp's Baby Food)가[72] 시판 이유식을 처음 선보였다. 이후 거버(Gerber, 1927년),[62] 비치넛(Beech-Nut, 1931년),[73] 하인즈(Heinz), 네슬레(Nestlé), 유니레버(Unilever) 등 여러 기업이 시장에 참여했다.[74] 오늘날 선진국에서는 철분이 강화된 상업용 유아 시리얼로 이유식을 시작하여 점차 으깬 과일이나 채소로 넘어가는 경우가 많으며,[46] 시판 이유식은 건조, 즉석, 냉동 등 다양한 형태로 유통되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반면, 개발도상국에서는 모유 수유가 더 보편적이고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분위기이다. 에이미 벤틀리(Amy Bentley)는 저서 ''Inventing Baby Food''에서 선진국의 가공 이유식 소비와 개발도상국의 자연스러운 모유 수유 경향이 각 사회의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다고 분석했다.[70]

미국에서는 이유식 시작 시기가 변화해왔다. 20세기 초에는 생후 7개월경 시작했지만,[6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생후 6주까지 앞당겨지기도 했다.[63] 이후 다시 4~6개월로 조정되었다.[63] 시판 이유식의 보급은 편리함을 가져왔지만, 에이미 벤틀리는 과도한 설탕, 소금, MSG 첨가가 아기들의 입맛을 가공식품에 길들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70] 또한 이러한 첨가물 남용이 장기적으로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었다.[63] 1960년대부터는 유기농 식품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주요 제조사들도 유기농 이유식 라인을 출시하기 시작했다.

8. 1. 예시

이유식은 문화에 따라 다르다. 많은 문화권에서 곡물과 액체를 섞어 만든 형태의 음식이 첫 이유식으로 사용된다. 인류 역사 전반에 걸쳐, 그리고 현재 여러 문화권에서는 아기를 돌보는 사람이 음식을 미리 씹어 부드럽게 만든 후 아기에게 먹이는 방식(미리 씹은 음식)이 사용되기도 했다.[68]

다음은 여러 국가에서 아기에게 처음으로 제공되는 음식의 예시이다.

여러 국가의 아기 첫 음식[25]
지역국가첫 음식첫 음식 섭취 연령(개월)수유 방법
아프리카나이지리아 (요루바 족)에코, 수수 또는 옥수수로 만든 액체 파프6파프를 어머니의 손에 담아 아기의 입에 붓는다. 아기가 삼키기를 거부하면 강제로 먹이기도 한다.
아프리카탄자니아 (와고고 족)우지, 얇은 기장3~4우지는 컵이나 바가지로 마신다.
아프리카말리기장 또는 로 만든 또는 묽은 죽, 때로는 생선이나 감자와 함께 제공여자아이는 7개월, 남자아이는 10개월아이들은 그릇에 담긴 음식을 오른손으로 스스로 먹는다.
아프리카짐바브웨땅콩 빵으로 만든 보타3 또는 그 이전어머니나 돌보는 사람이 컵이나 숟가락으로 아기에게 먹인다.
남아메리카브라질옥수수 전분 및 기타 곡물4생후 3개월 미만 신생아에게 분유를 주기도 했다. 6개월 이후에는 대부분 콩과 쌀 또는 가족 식단을 먹었다. 어른 음식은 작게 부숴 어머니 손으로 먹였다.
남아메리카과테말라인카파리나 또는 옥수수 가루 , 계란 및 과일 주스4~6어머니는 보통 가족 식단 중 적합한 음식을 선택했다. 옥수수 가루 죽은 젖병으로 주기도 했다.
남아메리카페루감자 수프6~8아프지 않으면 아이들은 보통 스스로 먹을 수 있었다. 도시 아이들이 시골 아이들보다 고형식을 더 빨리 시작했다.
남아메리카도미니카 공화국오렌지 주스, 라임 주스, 콩3생후 1개월 미만 신생아에게 분유를 주기도 했다. 우유와 주스는 젖병으로 제공되는 경우가 많았다. 과일과 채소를 고기와 콩보다 먼저, 곡물은 마지막에 도입하는 경향이 있었다.
아시아부탄쌀가루 또는 옥수수가루 , 버터와 함께 조리2아기는 어머니의 손으로 음식을 받아 먹는다.
아시아방글라데시손으로 먹는 음식, 또는 쌀과 유사한 음식정보 없음아기에게 제공되는 고형 음식 양은 적지만 매일 여러 번 주었다. 음식은 주로 돌보는 사람의 손으로 주지만, 젖병, 컵, 숟가락을 사용하기도 했다.
아시아네팔곡물6어머니는 가족 식사용 곡물을 미리 씹어 물이나 버터와 섞은 후 손가락으로 아기 입에 넣어주었다. 힌두교 가정의 아기는 안나프라샤나 축하 행사에서 생후 3주에 쌀을 먹기도 했지만, 이후 정기적으로 음식을 먹지는 않았다. 많은 어머니가 농장에서 일하기 때문에 고형식 도입은 바쁜 농업 시즌 시작과 겹치기도 했다.
아시아필리핀루가오(쌀죽), 으깬 과일 또는 채소, 또는 부드러운 빵3~6젖병 수유가 더 높은 사회적 지위로 인식되었다. 어머니들은 파인애플이나 옥수수 같은 섬유질 음식이 아기 소화에 어렵다는 믿음 때문에 피했다.
오세아니아파푸아뉴기니으깬 파파야, 고구마, 호박, 바나나6~12물, 채소 육수, 껍질 벗긴 사탕수수를 어린 영아에게 추가 수분 공급원으로 제공했다. 액체는 그릇, 컵, 대나무 빨대로 주었다. 토란과 고기는 아기가 약 1살이 될 때까지 주지 않았다. 전통적으로 아기가 걸을 수 있을 때까지 고형식을 주지 않았다.
오세아니아솔로몬 제도 (콰이오 족)미리 씹은 토란과 물 또는 코코넛 밀크에 조리된 고구마0~9콰이오족의 관행은 종교적 전통에 따라 달랐다. 전통적인 음식 금기를 따르는 많은 이교도 어머니는 출생 후 1~2개월 내에 아기에게 고형식을 먹이기 시작했다. 음식을 완전히 씹어 처음 몇 달간 입에서 입으로 먹였다. 이는 어머니가 잠시 자리를 비웠을 때 배고픈 아기에게 먹이는 일반적인 방법이기도 했다. 기독교 영향을 받은 어머니들은 보통 생후 6~9개월 사이에 고형식을 먹이기 시작했다. 일부는 입에서 입으로 먹였고, 다른 이들은 음식을 미리 씹거나 삶거나 으깨어 숟가락이나 아기 손에 주었다.
오세아니아트로브리안드 제도수프, 이후 으깬 또는 미리 씹은 참마 또는 토란11970년대와 1980년대 일부 여성은 어머니와 아기를 불에서 떨어진 어두운 건물에 격리하는 전통적인 산후 관행을 따랐다. 음식은 카누아(예: 토란, 모유)와 카웨누(예: 야생 채소, 상업용 조제분유)로 구분되었으며, 카누아 음식이 아기에게 선호되었다.
북아메리카미국영아용 시리얼, 이후 으깬 과일 또는 채소2~6시리얼은 분유와 섞어 젖병에 담아 주거나 숟가락으로 먹였다. 가난한 여성이 부유한 여성보다 훨씬 일찍 고형식을 먹이기 시작하는 경향이 있었다.


  • 중국과 기타 동아시아 국가: 수제 이유식이 일반적이다. 아기는 稀饭|시판중국어이라 불리는 으로 시작하여 으깬 과일, 부드러운 채소, 두부, 생선 순으로 넘어간다.[75]
  • 스웨덴: 바나나와 같은 으깬 과일, 오트밀, 으깬 채소로 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서아프리카: 옥수수 죽이 유아에게 제공되는 첫 번째 고형 식품인 경우가 많다.[76]


유아가 고형식을 처음 먹는 것은 의례적인 의미를 지니기도 하며, 많은 문화권에서 종교적 중요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힌두교 의식인 안나프라샤나(Annaprashan)에서는 일반적으로 나이 많은 가족 구성원이 축복한 달콤한 죽을 유아에게 준다. 유사한 통과의례는 벵골 지역, 베트남, 태국 등 다른 힌두교 영향권 국가에서도 행해지고 있다.

9. 논란 및 문제점

일부 시판 이유식은 그 내용과 비용에 대해 비판을 받고 있다.[78] 또한 수십 년 동안 오염 및 부패에 대한 우려로 인해 이유식 리콜이 여러 차례 이루어졌다.

9. 1. 상업용 이유식

다양한 제조사에서 유아식이라고 불리는 레토르트 식품이나 병조림 형태의 이유식을 출시하고 있다. 시판 이유식은 이유의 진행 단계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굳기의 제품이 준비되어 있으며, 영양이 강화된 제품도 있다. 일부 상업용 유아식 회사들은 생후 약 12개월부터 2세 반까지의 유아들을 위한 특별 식품(주스, 시리얼, 전자레인지 조리용 소량 식사, 구운 과자 등)을 생산하기 위해 제품 라인을 확장하고 있다.[62] 이러한 제품들은 주로 슈퍼마켓, 드럭스토어, 편의점,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 판매되고 있으며, 일부 음식점이나 패밀리 레스토랑에서는 이유식을 메뉴로 제공하는 곳도 있다.

Zion Market Research에 따르면, 미국의 영유아식 시장 규모는 2018년에 530억달러였으며, 2021년까지 760억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추정된다.[77] 시장 점유율 면에서는 특정 기업의 영향력이 큰 경향을 보인다.

주요 국가별 영유아식 시장 점유율 (1996년 기준)[62]
국가기업시장 점유율
미국Gerber약 70%
미국Heinzs Earths Best (유기농)약 2%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Heinz약 90%



캐나다에서는 유아식의 나트륨 함유량이 규제되고 있다. 으깬 과일, 과즙, 과일 음료, 시리얼은 나트륨이 첨가된 경우 판매할 수 없다(으깬 디저트 제외). 자연적으로 나트륨을 포함하는 식품은 유아식의 종류에 따라 식품 100g당 0.05g에서 0.25g으로 제한된다.[48].

한편, 일부 시판 이유식은 그 내용과 비용에 대해 비판을 받기도 한다.[78] 또한 수십 년 동안 오염 및 부패에 대한 우려로 인해 이유식 리콜이 여러 차례 이루어졌다.


  • 1984년과 1986년: Gerber는 유리로 된 이유식 병이 운송 중 파손되었다는 문제에 휘말려 매출과 수익성에 큰 영향을 받았으나, 미국 식품의약국은 후에 회사에 과실이 없다고 결론 내렸다.[62]
  • 1987년: Beechnut은 1980년대 초에 혼입된 사과 주스를 판매한 혐의로 2500만달러를 지불하고 합의했다.[62]
  • 2011년: Nestlé 프랑스는 고객이 병 하나에서 유리 파편을 발견했다는 보고 후 예방 조치로 ''쁘띠 폿(Petite pot)'' 이유식을 리콜했다. 조사 결과, 회사는 이것이 개별적인 사건이며 다른 제품에는 영향이 없다고 결론지었다.[79]

9. 2. 농약 잔류물

일부 시판 이유식은 내용이나 비용 측면에서 비판을 받기도 한다.[78] 수십 년 동안 오염 및 부패에 대한 우려로 인해 이유식 리콜이 여러 차례 발생했다.

  • 1984년과 1986년 거버(Gerber)는 이유식 유리병이 운송 중 파손되는 문제로 인해 매출과 수익성에 큰 타격을 입었으나,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조사 후 회사에 과실이 없다고 결론 내렸다.[62]
  • 1987년에는 비치넛(Beechnut)이 1980년대 초에 규격 미달의 성분이 혼입된 사과 주스를 판매한 사실이 드러나 2500만달러를 지불하고 합의했다.[62]
  • 2011년에는 네슬레(Nestlé) 프랑스 법인이 고객이 제품 병에서 유리 파편을 발견했다는 신고 이후, 예방 차원에서 ''쁘띠 폿(Petite pot)'' 이유식 제품을 리콜하기도 했다. 회사 측은 조사를 통해 해당 문제가 특정 병에 국한된 고립된 사건이며 다른 생산 라인에는 영향이 없었다고 밝혔다.[79]


이러한 사례들은 영유아식의 안전성 확보가 중요함을 보여준다.

참조

[1] 웹사이트 WHO Guideline for complementary feeding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6-23 months of age https://www.who.int/[...] 2023-11-13
[2] 웹사이트 Infant and young child feeding https://www.who.int/[...] 2023-01-15
[3] 웹사이트 Feeding your baby: 6–12 months https://www.unicef.o[...] 2023-01-15
[4] 논문 Baby Food and Oral Health: Knowledge of the Existing Interaction 2022-05-10
[5] 서적 Evidence-based Care for Breastfeeding Mothers: A Resource for Midwives and Allied Healthcare Professional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3-08-29
[6] 서적 The Healthy Baby Gut Guide: Prevent Allergies, Build Immunity and Strengthen Microbiome Health From Day One https://books.google[...] Greystone Books Ltd 2022-06-07
[7] 서적 Nutrition, Health and Disease: A Lifespan Approach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21-11-08
[8] 서적 Your Baby's First Year: Fifth Edition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Publishing Group 2020-09-22
[9] 웹사이트 Transition to Solid Foods http://www.hc-sc.gc.[...] 2008-06-07
[10] 웹사이트 Australian Breastfeeding Association. http://www.breastfee[...] 2021-05-07
[11] 웹사이트 Consolidated federal laws of canada, Food and Drug Regulations http://laws.justice.[...] 2017-07-14
[12] 웹사이트 When, What, and How to Introduce Solid Foods https://www.cdc.gov/[...] 2023-02-28
[13] 논문 Educational interventions for improving primary caregiver complementary feeding practices for children aged 24 months and under 2018-05-18
[14] 논문 The role and requirements of digestible dietary carbohydrates in infants and toddlers 2012-07
[15] 논문 Nutrient intakes of US infants, toddlers, and preschoolers meet or exceed dietary reference intakes http://www.journals.[...] 2010-12
[16] 서적 Pediatric Nutrition https://books.google[...] Jones & Bartlett Publishers 2013-01-25
[17] 논문 Prevalence of picky eaters among infants and toddlers and their caregivers' decisions about offering a new food 2004-01
[18] 논문 How do toddler eating problems relate to their eating behavior, food preferences, and growth? 2007-10
[19] 논문 Determinants of children's eating behavior 2011-12
[20] 간행물 Bright Futures Health Promotion Themes http://dx.doi.org/10[...]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2022-09-26
[21] 서적 Obesity prevention the role of brain and society on individual behavior Elsevier/Academic Press 2010
[22] 웹사이트 Kiddo Feedo http://www.kiddofeed[...] 2015-05-10
[23] 논문 Food consumption patterns of infants and toddlers: where are we now? http://www.journals.[...] 2010-12
[24] 웹사이트 Feeding Our Future: A Parent's Guide to Nutritious Eating - Aunty! https://aunty.sg/fee[...] 2024-05-29
[25] 논문 Improving Feeding Practices: Current Patterns, Common Constraints, and the Design of Interventions http://journals.sage[...] 2003-01
[26] 논문 Booming Baby Food: Infant Food and Feeding in Post-WWII America http://steinhardt.ny[...] 2012-12-08
[27] 간행물 Influences on maternal and child nutrition in the highlands of the northern Lao PDR
[28] 웹사이트 Baby food history notes http://www.foodtimel[...] 2021-05-07
[29] 서적 Inventing Baby Food: Taste, Health, and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American Die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0] 웹사이트 Nutricia http://www.nutricia.[...] 2021-05-07
[31] 뉴스 How Canned Baby Food Became King https://www.theatlan[...] Atlantic Media Company 2014-11-24
[32] 서적 The food industry wars: marketing triumphs and blunders https://archive.org/[...] Quorum
[33] 웹사이트 Our Company http://www.beechnut.[...] 2008-12-11
[34] 서적 Into the Mouths of Babes https://books.google[...] New York Media, LLC 2017-05-23
[35] 웹사이트 FW-91 -- Homemade Baby Food: Fast, Frugal, and Fun https://www.japaninc[...] 2021-05-07
[36] 논문 Aflatoxin Exposure after Weaning: Solid Food Contaminant Impairs Growth 2011-10-03
[37] 논문 Improving feeding practices: current patterns, common constraints, and the design of interventions https://www.who.int/[...] 2003-03-01
[38] 뉴스 Heavy Metals in Baby Food: What You Need to Know https://www.consumer[...] 2018-08-20
[39] 웹사이트 Cheating Babies: Nutritional Quality and Cost of Commercial Baby Food https://www.cspinet.[...] 2021-02-03
[40] 웹사이트 Recall of Nestlé P’tit Pot) Recette Banana baby food by Nestlé France. http://www.nestle.co[...] Pillay, Ravi. 2011-10-05
[41] 뉴스 Nearly 40% of conventional baby food contains toxic pesticides, US study finds https://www.theguard[...] 2024-02-19
[42] 웹사이트 WHO Guideline for complementary feeding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6-23 months of age https://www.who.int/[...] 2023-11-13
[43] 웹사이트 Infant and young child feeding https://www.who.int/[...] 2023-01-15
[44] 웹사이트 Feeding your baby: 6–12 months https://www.unicef.o[...] 2023-01-15
[45] 웹사이트 Feeding your baby: When to start with solid foods https://www.unicef.o[...] 2023-01-28
[46] 웹사이트 Transition to Solid Foods http://www.hc-sc.gc.[...] 2011-06-07
[47] 웹사이트 Australian Breastfeeding Association. http://www.breastfee[...] 2021-05-07
[48] 웹사이트 Consolidated federal laws of canada, Food and Drug Regulations http://laws.justice.[...] 2017-07-14
[49] 웹사이트 When, What, and How to Introduce Solid Foods https://www.cdc.gov/[...] 2023-02-28
[50] 논문 Educational interventions for improving primary caregiver complementary feeding practices for children aged 24 months and under 2018-05-18
[51] 논문 The role and requirements of digestible dietary carbohydrates in infants and toddlers 2012-07
[52] 논문 Nutrient intakes of US infants, toddlers, and preschoolers meet or exceed dietary reference intakes https://doi.org/10.1[...] 2010-12
[53] 서적 Pediatric Nutrition https://books.google[...] Jones & Bartlett Publishers 2013-01-25
[54] 논문 Prevalence of picky eaters among infants and toddlers and their caregivers' decisions about offering a new food 2004-01
[55] 논문 How do toddler eating problems relate to their eating behavior, food preferences, and growth? 2007-10
[56] 논문 Determinants of children's eating behavior 2011-12
[57] 간행물 Bright Futures Health Promotion Themes https://doi.org/10.1[...]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2022-09-26
[58] 서적 Obesity prevention the role of brain and society on individual behavior Elsevier/Academic Press 2010
[59] 웹사이트 Kiddo Feedo http://www.kiddofeed[...] 2015-05-10
[60] 논문 Food consumption patterns of infants and toddlers: where are we now? https://doi.org/10.1[...] 2010-12
[61] 논문 Improving Feeding Practices: Current Patterns, Common Constraints, and the Design of Interventions http://journals.sage[...] 2003-01
[62] 서적 The food industry wars: marketing triumphs and blunders https://archive.org/[...] Quorum
[63] 논문 Booming Baby Food: Infant Food and Feeding in Post-WWII America http://steinhardt.ny[...] 2012-12-08
[64] 웹사이트 授乳・離乳の支援ガイド(2019年改定版) https://www.mhlw.go.[...] 2023-01-07
[65] 웹사이트 Complementary feeding https://www.who.int/[...] 2022-12-29
[66] 서적 Complementary feeding https://www.ncbi.nlm[...]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
[67] 논문 Consumption of cow's milk as a cause of iron deficiency in infants and toddlers https://pubmed.ncbi.[...] 2011-11
[68] 논문 Influences on maternal and child nutrition in the highlands of the northern Lao PDR
[69] 웹사이트 Baby food history notes http://www.foodtimel[...] 2021-05-07
[70] 서적 Inventing Baby Food: Taste, Health, and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American Die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1] 웹사이트 Nutricia http://www.nutricia.[...] 2021-05-07
[72] 뉴스 How Canned Baby Food Became King https://www.theatlan[...] Atlantic Media Company 2014-11-24
[73] 웹사이트 Our Company http://www.beechnut.[...] 2008-12-11
[74] 서적 Into the Mouths of Babes https://books.google[...] New York Media, LLC 1986-11
[75] 웹사이트 FW-91 -- Homemade Baby Food: Fast, Frugal, and Fun https://www.japaninc[...] 2006-03-28
[76] 논문 Aflatoxin Exposure after Weaning: Solid Food Contaminant Impairs Growth 2011-10-03
[77] 뉴스 Heavy Metals in Baby Food: What You Need to Know https://www.consumer[...] 2018-08-16
[78] 웹사이트 Cheating Babies: Nutritional Quality and Cost of Commercial Baby Food https://www.cspinet.[...] 2021-02-03
[79] 간행물 Recall of Nestlé P’tit Pot Recette Banana baby food by Nestlé France. http://www.nestle.co[...] 2011-1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