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각 (수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각(角)은 기하학에서 평면상의 두 직선이 만나 벌어진 정도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두 직선의 기울어진 정도를 각도라고 한다. 라틴어 'angulus'에서 유래되었으며, 유클리드는 각을 두 선의 기울어짐으로 정의했다. 각은 두 직선이 이루는 4개의 각을 포함하며, 반직선을 사용하여 단 하나의 각을 가정할 수도 있다. 각도는 영각, 예각, 직각, 둔각, 평각, 요각, 주각 등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며, 도, 분, 초, 라디안, 스테라디안 등 여러 단위로 측정된다. 각도는 각도기, 컴퍼스 등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두 변의 점곱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도 있다. 또한, 경사각, 고각, 시각 등 다양한 관련 용어들이 존재하며, 지리학과 천문학에서도 널리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각 - 위도
    위도는 지구 표면의 남북 위치를 각도로 나타내며, 지구를 회전 타원체로 가정했을 때 법선과 적도면이 이루는 각으로 측정하여 적도를 0°로 북극과 남극까지 나타내고, 기후와 지리적 특징 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 각 - 등각 사상
    등각 사상은 각도를 보존하는 사상으로, 2차원에서는 도함수가 0이 아닌 정칙 함수인 복소 함수가 해당되며, 3차원 이상에서는 상사 변환, 등거리 변환, 특수 등각 변환 등으로 분류되어 지도 제작, 항공우주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초등 기하학 - 대원
    구면기하학에서 대원은 구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과 구의 교선으로, 유클리드 공간의 직선에 대응하며, 서로 대극점이 아닌 두 점을 잇는 최단 거리인 대원 거리를 정의하고, 자오선이나 적도처럼 항해, 천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된다.
  • 초등 기하학 - 현 (기하학)
    현은 원 둘레를 두 호로 나누는 선분으로, 원에 내접하는 정다각형의 변이 될 수 있으며, 원의 중심을 지나는 가장 긴 현은 지름이라고 한다.
각 (수학)
정의
설명두 개의 반직선이 한 점에서 만나 이루는 도형
기호
구성 요소
꼭짓점두 반직선이 만나는 점
각을 이루는 두 반직선
각의 종류
예각0° 초과 90° 미만의 각
직각90°의 각
둔각90° 초과 180° 미만의 각
평각180°의 각
반사각180° 초과 360° 미만의 각
완전각360°의 각
각의 측정 단위
도 (degree)기호는 °. 원을 360등분한 각
라디안 (radian)기호는 rad. 원의 반지름과 같은 길이의 호에 대한 중심각
각의 활용
기하학도형의 성질을 연구하는 데 사용
삼각법각과 변의 관계를 다루는 데 사용
항해방향을 나타내는 데 사용
공학설계 및 건축에 사용

2. 역사와 어원

'각(angle)'이라는 단어는 '모서리'를 의미하는 라틴어 angulusla에서 유래했다.[2] 어원 관련어로는 "구부러진, 굽은"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ἀγκύλος|ankylοsgrc영어 단어 "발목"(ankle)이 있다. 이 둘은 모두 "구부리다" 또는 "활을 굽히다"를 의미하는 원시 인도 유럽어 어근 ''*ank-''와 관련이 있다.[2]

유클리드는 평면각을 서로 만나고 서로 직선상에 있지 않은 두 선이 평면에서 서로에 대해 기울어진 것으로 정의했다. 프로클로스에 따르면, 각은 품질, 양 또는 관계 중 하나여야 한다. 각을 품질로 보는 첫 번째 개념은 로도스의 에우데모스가 사용했는데, 그는 각을 직선에서 벗어난 것으로 간주했다. 두 번째로, 각을 양으로 보는 것은 안티오키아의 카르푸스가 사용했는데, 그는 각을 교차하는 선 사이의 간격 또는 공간으로 간주했다. 유클리드는 세 번째 개념, 즉 각을 관계로 채택했다.[3]

3. 정의

기하학에서 각(角, angle)은 평면상의 두 직선이 서로 만나 교차할 때 그 두 직선들이 서로에 대해 벌어진 정도를 말하며, 이러한 각의 크기를 각도(角度)라고 부른다.[51]

이러한 정의에 따르면 두 직선이 서로 한 직선상에서 일치하지 않는 한 교차되는 각은 항상 4개가 나타난다. 따라서 좌표평면상의 0점을 기준으로 끝점을 갖는 두 반직선을 가정하여 단 하나의 각을 갖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52]

'각(angle)'이라는 단어는 "모서리"를 의미하는 라틴어 angulusla에서 유래했다. 어원 관련어로는 "구부러진, 굽은"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ἀγκύλος|ankylοsgrc영어 단어 "발목"(ankle)이 있다. 이들은 모두 "구부리다" 또는 "활을 굽히다"를 의미하는 원시 인도 유럽어 어근 ''*ank-''와 관련이 있다.[2]

유클리드는 평면 각을 서로 만나고 서로 직선상에 있지 않은 두 선이 평면에서 서로에 대해 기울어진 것으로 정의한다. 신플라톤 철학자 프로클로스에 따르면, 각은 품질, 양 또는 관계 중 하나여야 한다. 각을 품질로 보는 첫 번째 개념은 로도스의 에우데모스가 사용했는데, 그는 각을 직선에서 벗어난 것으로 간주했다. 각을 양으로 보는 것은 안티오키아의 카르푸스가 사용했는데, 그는 각을 교차하는 선 사이의 간격 또는 공간으로 간주했다. 유클리드는 세 번째, 즉 각을 관계로 채택했다.[3]

수학적 수식에서, 각도의 크기를 나타내는 변수그리스 문자(α, β, γ, θ, φ 등)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소문자 로마자 (''a'', ''b'', ''c'' 등)도 사용된다.

세 개의 정의된 점은 기하학적 도형에서 각도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직선 AB와 AC로 형성된 꼭짓점 A를 갖는 각도는 \widehat{\rm BAC}로 표시한다.

두 곡선 사이의 각도 ''P''는 ''P''에서의 접선 AB 사이의 각도로 정의된다.


선과 곡선 사이의 각도(혼합 각도) 또는 두 개의 교차하는 곡선 사이의 각도(곡선 각도)는 교차점에서의 접선 사이의 각도로 정의된다.[16]

유클리드 공간에서, 두 유클리드 벡터 '''u'''와 '''v''' 사이의 각도 ''θ''는 다음 공식에 의해 두 벡터의 내적과 길이에 의해 연관된다.

\mathbf{u} \cdot \mathbf{v} = \cos(\theta) \left\| \mathbf{u} \right\| \left\| \mathbf{v} \right\| .

리만 기하학에서, 계량 텐서는 두 접선 사이의 각도를 정의하는 데 사용된다. 여기서 ''U''와 ''V''는 접선 벡터이고, ''g''''ij''는 계량 텐서 ''G''의 성분이다.



\cos \theta = \frac{g_{ij} U^i V^j}{\sqrt{ \left| g_{ij} U^i U^j \right| \left| g_{ij} V^i V^j \right|}}.



쌍곡각은 쌍곡선 함수의 인수이며, 이는 ''원각''이 원 함수의 인수와 같은 관계이다. 레온하르트 오일러는 1748년 저서 ''무한대 해석 입문''에서 각 함수의 두 급수를 비교하여 기술했다.

'''꼭짓점'''과 그곳에서 뻗어 있는 '''반직선'''(Ray1, Ray2).


단순히 각이라고 할 경우, 대부분 평면상의 도형에 대해 정의된 '''평면각'''(''plane angle''영어)을 가리키며, 더 좁은 의미로는 어떤 점에서 뻗어 나온 두 개의 '''반직선'''(''ray''영어)에 의해 만들어진 도형을 가리킨다. 평면각의 각도는 같은 종점을 갖는 두 반직선 사이의 간격을 나타내는 이라고 할 수 있다. 두 반직선이 공유하는 종점은 '''각의 꼭짓점'''(''vertex'' of angle영어)이라고 불리며, 꼭짓점을 끼고 있는 반직선은 '''각의 변'''(''side'' of angle영어)이라고 불린다.[31][37][43]

각이 나타나는 기본적인 도형으로는 삼각형이나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polygon''영어)이 있다.

정해진 값의 '''각도'''를 수반하는 '''각'''이란, 평면 위의 1점 O와 그 점에서 나오는 2개의 반직선과 그들에 의해 평면 α가 분할되어 생기는 2개의 영역 중 하나 α1로 이루어진 도형으로 정의할 수 있다.

2개의 반직선이 공유하는 끝점 O를 각의 '''꼭짓점''', 어떤 각의 꼭짓점에서 나오는 2개의 반직선을 각의 '''변'''이라고 한다.[31][37][43]

꼭짓점 O에서 나오는 2개의 반직선이 이루는 영역 α1 위의, 꼭짓점으로부터의 거리가 r 이하인 점만을 포함하는 영역을 추출하면, 이 영역은 꼭짓점 O를 중심으로 하는 반지름 r의 부채꼴이 된다. 이 부채꼴의 크기는 유한하며, 닮음인 도형의 성질로부터, 부채꼴의 호의 길이는 반지름 r에 비례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부채꼴은 반지름과 호의 길이를 특정할 수 있으면 모양을 완전히 특징지을 수 있으므로, 반지름과 호의 길이를 이용하여, 반지름 r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호의 길이를 변화시켰을 때, 호의 길이에 비례하는 양으로서 각도를 정의할 수 있다.

위의 점 O와 2개의 반직선이 정해지면, 그들에 의해 평면 α가 분할되어 생기는 2개의 영역 α1, α2에 각각 대응하여 2개의 각이 생긴다. 이 2개의 각 중 각도가 더 큰 쪽을 '''둔각'''[38][48][42][43][46], 작은 쪽을 '''예각'''[42][43][47]이라고 부른다.

평면 α 위의 1점에서 만나는 2개의 직선은 평면 α를 4개의 영역으로 나누고, 각각의 영역에 대응하는 4개의 각이 생긴다. 이 4개의 각을, 이 '''2개의 직선이 이루는 각'''이라고 한다.

다비트 힐베르트가 저서 『기하학 기초론』에서 제시한 "끝점을 공유하는 2개의 반직선의 조"로 각을 정의[31]하고 있으며, 일본에서도 이 정의를 채택하고 있는 수학 사전[38][37]이나 국어 사전[42][43][44]이 많아, 가장 널리 받아들여진 수학적 정의로 볼 수 있다.

힐베르트의 공리계에서는 평면 α가 각(2개의 반직선)에 의해 분할되어 생기는 2개의 영역 중 하나를 '''각의 내부''', 다른 하나를 '''각의 외부'''로 구분하고 있다. 각도가 작은 영역이 내부가 되는데, 이 단계에서는 각도가 아직 정의되지 않았기 때문에, 다른 방법으로 정의를 하고 있다. 그리고 정리 20에서 '''각의 대소 관계'''를 정의하고 있다. 즉, 1변을 공유하는 2개의 각 중 한쪽 각 θ1의 변이 다른 쪽 각 θ2의 내부에 있다면, θ1 < θ2라고 정의한다. 즉, 각의 대소 관계로 '''예각'''의 각도의 대소 관계를 채택하게 된다.

유클리드의 저서 『원론』[32][33][40]에서는 제1권 정의 8에서, "서로 교차하는 2개의 선의 기울기"로 정의[32][34]되어 있다. 2개의 반직선의 기울기로서의 각, 즉 힐베르트의 정의에 의한 각은, 정의 9에서 '''직선각'''이라는 명칭으로 정의되어 있다.

각도는 계량법에 따른 물상 상태의 양 중 하나이다. 국제 단위계 국제 문서에 따르면, 각도의 계량 단위인 라디안은 고유한 명칭과 기호를 가진 22개의 SI 단위 중 하나이다.

4. 각의 종류


  • 빗각(-角, oblique angle|오블리크 앵글영어): 직각이나 평각이 아닌 기울기가 있는 각으로, 예각 또는 둔각이 이에 해당한다.
  • 바퀴(Turn (geometry)|턴영어): 360도
  • 주각(周角, round angle|라운드 앵글영어): 다각형 둘레의 각


  • 우각(優角, reflex angle|리플렉스 앵글영어, major angle|메이저 앵글영어):에서 나오는 두 반직선이 이루는 각 중 큰 쪽(바깥쪽) 각.[53]
  • 열각(劣角, minor angle|마이너 앵글영어):에서 나오는 두 반직선이 이루는 각 중 작은 쪽(안쪽) 각.
  • 여각(餘角, complementary angle|컴플리멘터리 앵글영어): 예각과 더하여 직각이 되는 각.
  • 보각(補角, supplementary angle|서플리멘터리 앵글영어): 평각보다 작은 각과 더하여 평각이 되는 각.
  • 공액각(共軛角, explementary angle|익스플리멘터리 앵글영어): 서로 더하여 원둘레 360도를 이루는 각.
  • 맞꼭지각(=대정각(對頂角)): 두 직선이 교차할 때 서로 마주 보는 각.
  • -|]]
  • 끼인각(--角, =협각(夾角), contained angle|컨테인드 앵글영어)=사잇각: 두 변 사이에 끼어 있는 각. 예각삼각형, 내행성과 외행성의 공전궤도, 원뿔곡선 등에서 다루어진다.
  • 교각(交角, =만난각, angle of intersection|앵글 오브 인터섹션영어): 두 직선이 만나 서로의 선분을 양분하여 생기는 각.
  • 동위각(同位角, corresponding angle|코레스폰딩 앵글영어): 두 직선과 한 횡단선이 만날 때 같은 위치에 있는 각.
  • 엇각(alternate angles, 얼터네이트 앵글영어): 두 직선과 한 횡단선이 만날 때 엇갈린 위치에 있는 각.

4. 1. 크기에 따른 각

이름구간 ( )구간 ( 라디안 )
영각0
예각(0°, 90°)(0, )
직각90°
둔각(90°, 180°)(, π)
평각180°π
요각(180°, 360°)(π, 2π)
주각360°


  • 영각(零角, zero angle): 0° (0 rad)
  • 예각(銳角, acute angle): 0°보다 크고 90°보다 작은 각 (0 < θ < rad)
  • 직각(直角, right angle): 90° ( rad)
  • 둔각(鈍角, obtuse angle): 90°보다 크고 180°보다 작은 각 ( < θ < π rad)
  • 평각(平角, straight angle): 180° (π rad)
  • 요각(凹角, reentering angle): 180°보다 크고 360°보다 작은 각 (π < θ < 2π rad)
  • 철각(凸角, convex angle): 180°보다 작은 각
  • 주각(周角, round angle/full angle/perigon): 360° (2π rad)
  • 빗각(-角, oblique angle): 예각 또는 둔각처럼 직각이나 평각이 아닌 경사(기울기)가 있는 각

4. 2. 직선의 교차로 이루어지는 각

각 A와 B는 맞꼭지각 쌍이고, 각 C와 D는 맞꼭지각 쌍이다. 여기서는 각의 동일성을 나타내기 위해 해치 마크가 사용되었다.


각 ''A''와 ''B''는 인접각이다.


''보각'' ab (ba의 ''보각''이고, ab의 보각이다.)


ab는 ''보충각''이다.



  • -|]]

  • 우각(優角, reflex angle|리플렉스 앵글영어, major angle|메이저 앵글영어): 두 반직선이 이루는 각 중 큰 쪽의 각 (180°보다 큼)[53]
  • 열각(劣角, minor angle|마이너 앵글영어): 두 반직선이 이루는 각 중 작은 쪽의 각
  • 여각(餘角, complementary angle|컴플리멘터리 앵글영어): 합쳐서 직각이 되는 두 각[6]
  • 보각(補角, supplementary angle|서플리멘터리 앵글영어): 합쳐서 평각이 되는 두 각[8]
  • 공액각(共軛角, explementary angle|익스플리멘터리 앵글영어): 서로 더하여 원둘레 360도를 이루는 각[9]
  • 맞꼭지각(=대정각(對頂角)): 두 직선이 교차할 때 서로 마주 보는 각[4]
  • 끼인각(--角, =협각(夾角), contained angle|컨테인드 앵글영어): 두 변 사이에 끼어 있는 각
  • 교각(交角, =만난각, angle of intersection|앵글 오브 인터섹션영어): 두 직선이 만나 서로의 선분을 양분함으로써 각도가 생기는 것
  • 동위각(同位角, corresponding angle|코레스폰딩 앵글영어): 두 직선과 한 횡단선이 만날 때 같은 위치에 있는 각
  • 엇각(alternate angles, 얼터네이트 앵글영어): 두 직선과 한 횡단선이 만날 때 엇갈린 위치에 있는 각


두 개의 직선이 한 점에서 교차하면 네 개의 각이 형성되며, 이 각들은 서로에 대한 위치에 따라 쌍으로 이름이 지정된다. 맞꼭지각의 동일성을 ''맞꼭지각 정리''라고 한다. 로도스의 에우데모스는 이 증명을 밀레토스의 탈레스에게 귀속시켰다.[5] 역사적 기록에 따르면, 탈레스가 이집트를 방문했을 때 이집트인들이 두 개의 교차하는 선을 그릴 때마다 맞꼭지각을 측정하여 그들이 같은지 확인하는 것을 관찰했다. 탈레스는 다음과 같은 일반적인 개념을 받아들인다면 모든 맞꼭지각이 같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 모든 평각은 같다.
  • 같은 것에 같은 것을 더하면 같다.
  • 같은 것에서 같은 것을 빼면 같다.


두 인접한 각이 직선을 이루면 서로 보각 관계에 있다. 각 ''A''의 크기가 ''x''라고 가정하면, 각 ''C''의 크기는 180° − ''x''가 된다. 마찬가지로, 각 ''D''의 크기도 180° − ''x''가 된다. 각 ''C''와 각 ''D''는 모두 180° − ''x''와 같은 크기를 가지며 합동이다. 각 ''B''는 각 ''C''와 각 ''D'' 모두와 보각 관계에 있으므로, 이 각의 크기 중 하나를 사용하여 각 ''B''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각 ''C'' 또는 각 ''D''의 크기를 사용하여 각 ''B''의 크기를 180° − (180° − ''x'') = 180° − 180° + ''x'' = ''x''로 구한다. 따라서 각 ''A''와 각 ''B''는 모두 ''x''와 같은 크기를 가지며 크기가 같다.

횡단선은 쌍을 이루는 (종종 평행한) 선을 교차하는 선이며, ''외각'', ''내각'', ''엇각'', ''엇내각'', ''동위각'', ''동측내각''과 관련이 있다.

'''각의 덧셈 공준'''은 점 B가 각 AOC의 내부에 있을 경우 다음이 성립한다고 명시한다.

: m\angle \mathrm{AOC} = m\angle \mathrm{AOB} + m\angle \mathrm{BOC}

즉, 각 AOC의 크기는 각 AOB와 각 BOC의 크기의 합과 같다.

두 보각이 인접해 있으면, 공유되지 않는 변은 직각을 이룬다.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직각삼각형의 두 예각삼각형의 내각의 합이 180°이고 직각이 90°를 차지하므로 서로 보각 관계에 있다.

각 ''A''와 ''B''가 보각 관계에 있을 경우, 다음 관계가 성립한다.

:

\begin{align}

& \sin^2A + \sin^2B = 1 & & \cos^2A + \cos^2B = 1 \\[3pt]

& \tan A = \cot B & & \sec A = \csc B

\end{align}

(각의 탄젠트는 보각의 코탄젠트와 같고, 그 시컨트는 보각의 코시컨트와 같다.)

일부 삼각비의 이름에 있는 접두사 "co-"는 "보각"이라는 단어와 관련이 있다.

두 보충각이 인접해 있으면(즉, 공통 꼭짓점을 공유하고 하나의 변만 공유), 공유되지 않는 변은 직선을 형성한다. 이러한 각을 ''선형 각 쌍''이라고 한다. 그러나 보충각은 같은 선 위에 있을 필요는 없으며 공간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행사변형의 인접한 각은 보충각이고, 원내접 사각형의 대각(꼭짓점이 모두 하나의 원 위에 있는 사각형)은 보충각이다.

점 P가 중심 O를 갖는 원의 외부에 있고, P에서 원에 대한 접선이 점 T와 Q에서 원에 접하면, ∠TPQ와 ∠TOQ는 보충각이다.

보충각의 사인은 같다. 코사인과 탄젠트(정의되지 않은 경우 제외)는 크기가 같지만 부호가 반대이다.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삼각형의 두 각의 합은 세 번째 각의 보충각이며, 그 이유는 삼각형의 내각의 합이 평각이기 때문이다.

4. 3. 도형에서 이루어지는 각

내각과 외각

  • 내각(內角, =안각, interior angle): 다각형의 내부 각.[54]
  • 외각(外角, =밭각, exterior angle): 다각형의 한 변과 그 변에 이웃한 변의 연장선이 이루는 각.[54]
  • 대각(對角, opposite angle): 다각형 내에서 서로 마주보는 각.[54]
  • 내대각(內對角, =안맞각, interior opposite angle): 삼각형에서 한 외각에 대하여 이웃하지 않는 내각.
  • 밑각(-角, base angle): 등변사다리꼴, 이등변삼각형에서 밑변의 양 끝에 있는 두 각.
  • 이웃각(--角, adjacent angles, =인접각): 공통 변을 갖는 두 각.
  • 평면각(平面角, =이면각, plane angle): 두 평면이 만나서 이루는 각.
  • 다면각(多面角, polyhedral angle): 다면체에서 나타나는 각.
  • 단순 다각형에서 다각형의 내부에 위치하면 ''내각''이라고 한다. 단순 오목 다각형은 적어도 하나의 내각(둔각)을 갖는다.
  • 내각의 여각을 ''외각''이라고 한다. 즉, 내각과 외각은 각의 선형쌍을 이룬다. 다각형의 각 꼭짓점에는 두 개의 외각이 있으며, 각 꼭짓점에서 만나는 다각형의 두 변 중 하나를 연장하여 결정된다.
  • 삼각형에서, 두 외각의 이등분선과 다른 내각의 이등분선은 공점선(한 점에서 만난다)이다.[10]
  • 삼각형에서, 각 외각 이등분선과 마주보는 연장 변 사이의 세 개의 교차점은 공선점이다.[10]
  • 삼각형에서, 내각 이등분선과 마주보는 변 사이의 두 점과 다른 외각 이등분선과 마주보는 변의 연장선 사이의 세 번째 점은 공선점이다.[10]
  • 두 평면(다면체의 두 인접한 면 등) 사이의 각을 ''이변각''이라고 한다.[7]

4. 4. 원에서 성립하는 각


  • 원주각(圓周角, angle of circumference영어): 원둘레 위의 한 점에서 그은 두 이 만드는 각이다. 원주각의 크기는 같은 호에 대한 중심각의 절반이다.
  • 중심각(中心角, central angle영어): 원의 중심에서 원주 위의 두 점을 이은 두 반지름이 만드는 각이다. 부채꼴의 두 반지름이 이루는 각도 중심각이라고 한다.


원주를 n 등분하여 n개의 호로 나눌 때, n 등분점을 꼭짓점으로 하는 정 n각형의 한 외각과, n개의 호 중 하나를 바라보는 중심각의 크기는 같다.

5. 특수각과 일반각

특수각은 삼각함수에서 나타나는 0˚, 15˚, 30˚, 45˚, 60˚, 75˚, 90˚를 가리키며, 이로 인해 단위원상에서 정삼각형, 정사각형 등을 사용해 그 삼각비를 유도하여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특별한 각들인 특수각들은 삼각함수 등에서 매우 중요한 성질을 갖는다.

단위원 상에서 0˚, 30˚, 45˚, 60˚, 90˚을 내각으로 갖는 정삼각형, 이등변삼각형, 정사각형은 0˚, 30˚, 45˚, 60˚, 90˚와 그의 주기적인 각도 120˚, 135˚, 150˚, 180˚, .... 등에서 삼각함수를 얻게 해주기에 특별한 각으로 불린다. 그리고 15˚와 75˚는 삼각함수의 덧셈정리로 유도할 수 있다.

특수각사인코사인탄젠트
010
15˚2-\sqrt3
30˚
45˚1
60˚\sqrt3
75˚2+\sqrt3
90˚10\infty



원점에서 60˚를 갖는 이등변삼각형의 성질을 이용하여 원에 내접하는 정삼각형과 피타고라스의 정리로부터 얻어지는 삼각함수의 예


0˚와 90˚에서의 삼각함수 값


일반각은 임의의 반직선을 기준선(축)으로 해서 그것과 원점을 꼭지점으로 공유하는 또 다른 반직선(동경 선)이 이루는 각 또는 이러한 각과 그 동경선의 회전으로 얻어진 각을 합하여 나타내는 각을 가리킨다. 일반각은 360˚n+α(n은 원둘레 회전횟수, α는 각도, 호도법으로는 2πn+α)처럼 표현된다.

200px

6. 각도의 단위


  • (degree): 기호는 °이며 원주를 360등분한 호에 대한 중심각이다.
  • (minute): 기호는 '이며 1도를 60등분한 각이다.
  • (second): 기호는 "이며 1분을 60등분한 각이다.
  • 라디안(radian, rad): 부채꼴의 반지름의 비로 나타내는 각의 단위이다.
  • 스테라디안(steradian, sr), 평방라디안(square radian, rad²): 의 일부의 둥근 부분의 넓이와 반지름의 제곱의 비로 나타내는 입체각의 단위이다.
  • 평방도(square degree, deg², (°)²): 입체각의 단위이다.
  • 점(pt, point): 항해 또는 항공에 관한 각도의 단위로, 1점은 11.25°이다.


이들 사이의 환산 관계는 다음과 같다.

: =1 ^{\circ}

: { {360^{\circ}} \over {2 \pi} }=1

국제수량계에서 각도는 무차원량으로 정의되며, 특히 라디안 단위는 무차원이다.

역사를 통틀어 각도는 다양한 단위로 측정되어 왔다. 가장 현대적인 단위는 ( ° ), 라디안 (rad), 그레이드 (grad)이지만, 역사적으로 다른 많은 단위가 사용되었다.[13]

다음 표는 각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일부 단위를 나열한다.

이름1회전당 숫자도 단위설명
라디안≈57°17′원의 반지름과 길이가 같은 원호에 대한 중심각이다. 1회전은 2 라디안이며, 1 라디안은 또는 약 57.2958도이다. SI의 각도 측정 단위이다.
3601회전의 1/360이다. 도의 소수는 일반적인 소수 표기법으로 쓸 수 있지만, "도–분–초" 시스템의 "분"과 "초" 육십분법 하위 단위도 사용된다.
각분21,6000°1′1도의 이다. 기호는 작은따옴표(')이다. 항해는 역사적으로 지구의 대원을 따라 아크분으로 정의되었다.
각초1,296,0000°0′1″각분의 이고 1도의 이다. 기호는 겹작은따옴표(")이다. 파섹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각도이다.
그레이드4000°54′그라드 또는 이라고도 한다. 직각은 100 그레이드이다. 킬로미터는 역사적으로 지구의 자오선을 따라 아크 그레이드의 센티로 정의되었다. 주로 삼각 측량 및 대륙 측량에 사용된다.
회전1360°원의 중심에서 원의 둘레에 의해 이루어지는 각도이다. 1회전은 2 또는 {{lang 라디안과 같다.
시간각2415°천문학적 시간각은 회전이다. 하루에 한 번 순환하는 객체(예: 별의 상대적 위치)를 측정하는 데 적합하므로 육십분법 하위 단위는 "시간의 분"과 "시간의 초"라고 한다. 1 시간 = 15° = rad = 사분원 = 회전 = grad.
(나침반) 방위3211.25°항해에 사용되는 방위 또는 은 1회전의 이다. 1 방위 = 직각의 = 11.25° = 12.5 grad.
밀리라디안≈0.057°실제 밀리라디안은 라디안의 천 분의 1로 정의되는데, 이는 1 회전의 회전이 정확히 2000π mrad(또는 약 6283.185 mrad)와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의 "NATO 밀"은 1회전의 로 정의된다.
이진 도2561°33'45"이진 라디안 또는 브래드라고도 한다.[21] 1회전의 이다.[21]
라디안2180°라디안의 배수 단위는 RPN 과학 계산기 WP 43S에 구현되어 있다.[23]
사분원490°1 사분원은 회전이며 직각이라고도 한다. 유클리드의 원론의 단위이다. 1 사분원 = 90° = rad = 회전 = 100 grad.
육분원660°육분원은 바빌로니아인이 사용한 단위였다.[18][19] 도, 각분 및 각초는 바빌로니아 단위의 육십분법 하위 단위이다. 정삼각형의 각이거나 회전이다. 1 바빌론 단위 = 60° = /3 rad ≈ 1.047197551 rad.
육십분60육십분에라토스테네스가 사용한 단위이다. 이는 6°와 같으므로 전체 회전은 60개의 육십분으로 나누어졌다.
페추스144 to 1802° to °페추스는 약 2° 또는 °와 같은 바빌로니아 단위였다.
지름 부분≈376.991≈0.95493°지름 부분(이슬람 수학에서 가끔 사용됨)은 라디안이다. 하나의 "지름 부분"은 약 0.95493°이다. 회전당 약 376.991개의 지름 부분이 있다.
224≈1.607°옛 아라비아에서 회전은 32개의 아크남으로 세분되었고, 각 아크남은 7개의 잠으로 세분되어 회전이 224개의 잠이 되었다.


7. 각도의 측정 및 계산

수학에서 각의 크기를 나타내는 변수로는 그리스 문자(α, β, γ, θ, φ 등)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π원주율을 나타내므로 혼동을 피하기 위해 사용하지 않는다. 소문자 로마자 (''a'', ''b'', ''c'' 등)도 사용되며, 혼동의 여지가 없는 경우 꼭짓점을 나타내는 대문자 로마자로 각도를 표시할 수 있다.

기하학적 각도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한 반직선을 다른 반직선으로 매핑하는 최소 회전의 크기로 특징지어진다. 크기가 같은 각도는 '같다', '합동' 또는 '측정에서 같다'고 한다.

각도 θ를 측정하기 위해, 각도의 꼭짓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그린다. 원의 반지름 r에 대한 호의 길이 s의 비율은 각도 내의 라디안 수이다.[12]

: \theta = \frac{s}{r} \, \mathrm{rad}.

다른 각도 단위로 표현된 각도는 각도에 \frac{k}{2\pi} 형태의 적절한 변환 상수를 곱하여 얻을 수 있으며, 여기서 ''k''는 선택한 단위로 표현된 완전한 회전의 측정값이다 (예를 들어, 의 경우 k=360°).

: \theta = \frac{k}{2\pi} \cdot \frac{s}{r}.

두 변이 이루는 각도는 두 변을 기하 벡터로 간주하고 두 벡터의 '''점곱'''(내적, )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코사인 법칙을 이용하여 각도를 구하는 방법과 같다. 일반적인 각도를 계산하려면 삼각 함수의 값을 구하고, 그 값을 역삼각 함수에 대입하여 각도를 구한다.

각각의 벡터를 \vec{u}, \vec{v}라고 하면, 그 크기 |\vec{u}|, |\vec{v}|는 대응하는 변의 길이를 나타낸다. 벡터 \vec{u}, \vec{v}의 내적 \vec{u} \cdot \vec{v}는,

:\vec{u} \cdot \vec{v} = |\vec{u}| |\vec{v}| \cos\theta

로 나타낼 수 있으며, θ는 두 변이 이루는 열각의 크기로 간주할 수 있다. 내적 \vec{u} \cdot \vec{v} 및 각 벡터의 절댓값 |\vec{u}|, |\vec{v}|를 알고 있다면, \cos\theta를 구할 수 있으며, 이것을 이용하여 각도 θ를 얻을 수 있다.

:\cos\theta = \frac{\vec{u} \cdot \vec{v}}



에 의해, 코사인 함수 \cos\theta를 얻으면, 그 역함수인 역코사인 함수를 이용하여,

:\arccos\left(\cos\theta\right) = \theta

에 의해 θ를 계산할 수 있다. 즉, 두 변이 이루는 열각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theta = \arccos\left(\frac{\vec{u} \cdot \vec{v}}

\right).

또한, 벡터 \vec{u}, \vec{v}에 의해 만들어지는 삼각형을 생각하면, 내적 \vec{u} \cdot \vec{v}는 벡터 \vec{w} = \vec{u} - \vec{v}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다시 쓸 수 있다.

:\vec{u} \cdot \vec{v} = \frac{1}{2}\left\{\vec{u}\cdot\vec{u} + \vec{v}\cdot\vec{v}

  • \left(\vec{u} - \vec{v}\right) \cdot \left(\vec{u} - \vec{v}\right)\right\}

= \frac{1}{2}\left(|\vec{u}|^2 + |\vec{v}|^2 - |\vec{w}|^2 \right).

따라서, 세 변의 길이를 알고 있다면, 그것들을 이용하여 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theta = \arccos\left(

\frac



\right).

8. 기타 용어


  • 경사각(傾斜角, tilt angle): 기울기(경사)가 있는 각도이다.[1]
  • 고각(高角, 올려본각, 앙각(仰角) altitude, high[wide, vertical] angle): 회화카메라 촬영 등에서 다루어진다.[1]
  • 광각(光角, optic angle): 광각막염[1]
  • 광각(廣角, wide-angle): 광각 렌즈, 광각 X선 산란[1]
  • 광축각(光軸角, optic angle)[1]
  • 굴절각(屈折角, refracting angle): 입사각이나 분산에서 거론된다.[1]
  • 면각(面角, face angle)[1]
  • 반사각[1]
  • 방향각(方向角, direction angle)[1]
  • 복각(伏角, dip, inclination)[1]
  • 부각(俯角, 내려본각, dip, angle of depression[declination]): 회화카메라 촬영 등에서 다루어진다.[1]
  • 사각(死角, dead angle): 사각지대 경고 장치에서처럼 시야에서 가리워져 보이지 않는 영역을 사각지대라고 칭한다.[1]
  • 상반각(上反角, dihedral angle)[1]
  • 시각(視角, visual angle): 위키낱말사전 시각3 참조[1]
  • 시각(時角, hour angle): 위키낱말사전 시각1 참조[1]
  • 시차(視差, parallax): 시차 (천문학)[1]
  • 실속각(失速角)[1]
  • 안면각(顔面角, facial angle)[1]
  • 영각(迎角, 날개각, angle of incidence[attack], attck angle) = 받음각[1]
  • 위상각(位相角, phase angle): 위상각[1]
  • 임계각(臨界角, 한계각, critical angle): 전반사 또는 오각프리즘 등에서 거론된다.[1]
  • 입사각(入射角, 투사각)[1]
  • 자오각(子午角, meridian angle)[1]
  • 조각(照角, glancing angle)[1]
  • 착륙각(着陸角, landing angle)[1]
  • 편각(偏角, polar angle): 편각 (수학)[1]
  • 하반각(下反角)[1]
  • 행성 시각(時角, sidereal hour angle)[1]
  • 활공각(滑空角, glide slope, gliding angle): 활공각 지시기 및 수평자세 지시계 등에서 다루어진다.[1]

참조

[1] 간행물
[2] 간행물
[3] 간행물
[4] 간행물
[5] 서적 The Elements
[6] 웹사이트 Complementary Angles https://www.mathsisf[...] 2020-08-17
[7] 간행물
[8] 웹사이트 Supplementary Angles https://www.mathsisf[...] 2020-08-17
[9] 서적 Plane Geometry https://archive.org/[...] Blakiston's Son
[10] 서적 Advanced Euclidean Geometry Dover Publications
[11] 간행물 CRC Standard Mathematical Tables and Formulae CRC Press
[12] 간행물 The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 (SI) https://www.bipm.org[...] 2019-05-20
[13] 웹사이트 angular unit https://www.thefreed[...] 2020-08-31
[14] 웹사이트 Mathwords: Reference Angle http://www.mathwords[...] 2018-04-26
[15] 서적 Trigonometry Thomson Brooks/Cole 2008
[16] 간행물
[17] 문서 Robert Baldwin Hayward https://archive.org/[...]
[18] 서적 The Growth of Physical Science https://archive.org/[...] CUP Archive 1947
[19] 서적 Analytic Geometry 1946
[20] 논문 On Angles and Angle Measurements http://elib.mi.sanu.[...] 2019-08-06
[21] 웹사이트 ooPIC Programmer's Guide - Chapter 15: URCP http://www.oopic.com[...] Savage Innovations, LLC 2019-08-05
[22] 웹사이트 Angles, integers, and modulo arithmetic http://blogs.msdn.co[...] blogs.msdn.com 2019-08-05
[23] 웹사이트 RE: WP-32S in 2016? https://www.hpmuseum[...] 2019-08-05
[24] 문서 "計量単位令 別表第1" https://laws.e-gov.g[...]
[25] 문서 国際単位系国際文書
[26] 문서 "計量単位令 別表第1" https://laws.e-gov.g[...]
[27] 문서 "計量単位令" https://laws.e-gov.g[...]
[28] 문서 "計量単位令" https://laws.e-gov.g[...]
[29] 문서 "計量単位規則" https://laws.e-gov.g[...]
[30] 문서 "計量単位規則" https://laws.e-gov.g[...]
[31] 서적 幾何学基礎論
[32] 서적 『エウクレイデス全集』第1巻
[33] 서적 『ユークリッド原論』
[34] 간행물
[35] 서적 図説 数学の辞典
[36] 서적 岩波数学辞典第 2 版
[37] 서적 岩波数学辞典第 3 版
[38] 서적 数学辞典
[39] 서적 岩波数学入門辞典
[40] 웹사이트 유클리드 원론
[41] 웹사이트 Wolfram mathworld
[42] 서적 広辞苑第五版
[43] 서적 日本国語大辞典第六版
[44] 서적 大辞泉
[45] 서적 日本語大辞典
[46] 간행물 大辞林 http://dictionary.go[...] 三省堂 2008-06-20
[47] 간행물 大辞林 http://dictionary.go[...] 三省堂 2008-06-20
[48] 서적 新英和大辞典第 6 版
[49] 서적 オックスフォード現代英英辞典第 7 版
[50] 서적 科学技術45万語英対訳大辞典
[51] 웹사이트 유클리드 기하학 원론 1권 정의 http://www.gutenberg[...] 구텐베르크 프로젝트
[52] 웹사이트 매스월드 http://mathworld.wol[...]
[53] 웹인용 우각 https://stdict.korea[...] 국립국어원 2020-09-14
[54] 웹인용 대각 https://stdict.korea[...] 국립국어원 2020-09-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