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독교와 이슬람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독교와 이슬람교는 아브라함 계통 종교로서 아브라함을 공통의 기원으로 하며, 유일신을 숭배한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두 종교는 경전, 예수, 삼위일체, 무함마드 등 다양한 신학적 차이점을 보이며, 역사적으로 갈등과 교류를 겪어왔다. 기독교는 성경을, 이슬람교는 쿠란을 경전으로 삼고 있으며, 예수를 보는 관점과 삼위일체 교리에 대한 입장이 다르다. 현대에는 가톨릭교회와 이슬람교 간의 대화가 진행되고, 개신교와 이슬람교는 종교 개혁 이후 접촉을 가져왔으며, 몰몬교와 이슬람교는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하며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와 이슬람교 - 예수의 동정녀 탄생
    예수의 동정녀 탄생은 기독교의 핵심 교리로서 예수가 인간 아버지 없이 성령으로 마리아에게 잉태되어 태어났다는 신념이며, 예수의 신성을 강조하고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전승을 바탕으로 하지만 역사적 근거에 대한 학계의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며, 기독교 미술, 전례, 마리아 공경, 서구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기독교와 이슬람교 - 예수의 승천
    예수의 승천은 기독교 신학에서 부활한 예수가 하늘로 올라간 사건으로,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에 기록되었으며, 승천 장소와 시기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기독교 미술에서의 중요한 주제, 교회력 절기인 승천 축일 기념, 이슬람에서의 다른 관점 해석 등 다양한 의미를 지닌다.
  • 이슬람교에 관한 - 무자헤딘
    무자헤딘은 아랍어로 지하드를 수행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초기에는 이슬람교 포교자를 지칭했으나 근대에는 침략에 저항하는 저항 운동을, 20세기에는 아프가니스탄 게릴라를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었고, 현대에는 지하디스트와 유사한 의미로 무장 단체들이 사용하는 용어이다.
  • 이슬람교에 관한 - 카바
    카바는 사우디아라비아 메카에 있는 이슬람교의 가장 신성한 장소로, 이슬람 이전부터 아랍인들의 성역이었으며 무함마드에 의해 이슬람의 중심 성지가 되었고, 아브라함과 이스마엘이 건설했다는 기록이 있는 '검은 돌'을 포함한 여러 유물이 있는 곳이며, 하즈와 움라 순례의 중심지이다.
  • 종교 및 믿음에 관한 - 개종
    개종은 한 종교에서 다른 종교로, 또는 무신론으로 신념을 바꾸는 행위이며, 종교에 따라 개종에 대한 입장이 다르고 개인의 신념 변화, 사회적 요인 등에 의해 발생하며 종교 간 갈등과 관련될 수 있다.
  • 종교 및 믿음에 관한 - 탕카
    탕카는 티베트 불교 회화의 한 형태로, 불교 교리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며, 7세기경 인도에서 유래하여 만다라, 부처 등을 묘사하고, 천연 안료로 면이나 비단에 그림을 그리며, 채색 탕카, 자수 탕카 등으로 분류된다.
기독교와 이슬람교

2. 아브라함 계통 종교로서의 공통점

기독교, 이슬람교, 유대교는 아브라함 계통 종교로 알려져 있으며, 아브라함을 공통 조상으로 여긴다. 기독교는 서기 1세기에 유대교에서 파생되었으며, 예수 그리스도의 삶, 가르침, 죽음과 부활에 기초한다. 이슬람교는 서기 7세기에 중동에서 시작된, 예언자 무함마드의 가르침에 기반한 일신교이다.[83][84]

2. 1. 경전의 백성

이슬람 전통에서 기독교인과 유대인은 무슬림이 숭배하는 것과 동일한 신을 숭배한다고 여겨진다.[8] 그러나 일부에서는 무슬림기독교인이 동일한 을 숭배하는지에 대한 논쟁에 대해 다양한 의견이 존재한다.[9][10] 무슬림들은 일반적으로 기독교도와 유대교도를 "경전의 백성"이라고 부르며, 거의 같은 가르침에 따라 아브라함이 전한 단 한 분의 신을 숭배(타우히드)하는 사람들로 간주한다.

2. 2. 아브라함의 자손

기독교도와 무슬림은 이스마엘아랍 민족의 아버지로, 이삭히브리 민족의 아버지로 간주한다. 아브라함과 그의 아들들에 대한 이야기는 창세기쿠란에 모두 언급되어 있다. 이슬람교는 이스마엘을 아브라함의 장남으로 중시하는 반면, 기독교는 이삭을 아브라함의 사랑하는 아들로 중시한다.

3. 신학적 차이점

기독교는 서기 1세기에 유대교에서 파생되었으며, 예수 그리스도의 삶, 가르침, 죽음과 부활에 기초한다.[83] 반면 이슬람교는 서기 7세기에 예언자 무함마드의 가르침에 기반하여 시작된 일신교이다.[84] 이슬람은 알라의 뜻에 순종하는 것을 의미한다.[84]

이슬람 전통에서는 기독교인도 무슬림과 동일한 신을 숭배한다고 믿지만, 일부에서는 야훼알라가 같은 이름이라 할지라도 무슬림인 “압둘”이 야훼를 숭배한다고 말할 수는 없다는 다른 의견을 제시하기도 한다.

두 종교는 삼위일체, 성령, 예수, 무함마드, 성경 등에 대한 관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3. 1. 예수

무슬림과 기독교인은 모두 예수가 마리아에게서 동정녀로 태어났으며, 메시아라고 믿는다.[20] 그러나 예수의 신성, 십자가형, 예수의 부활 등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다.

기독교는 예수가 본디오 빌라도에 의해 십자가형을 당하고 사흘 후에 부활했다고 믿는 반면, 이슬람교는 예수가 십자가형에서 구원받아 하늘로 올라갔다고 믿는다.[21]

기독교인과 무슬림은 모두 예수의 재림을 믿는다. 기독교는 예수가 어디로 돌아올지 명시하지 않지만, 이슬람교의 하디스는 예수가 다마스쿠스 동쪽의 흰색 첨탑(우마이야 사원의 이사 첨탑으로 추정)에 돌아와 마흐디 뒤에서 기도할 것이라고 명시하고 있다.[23] 기독교인은 예수가 적그리스도를, 무슬림은 예수가 다잘을 죽이기 위해 돌아올 것이라고 믿는다.

3. 1. 1. 기독교의 관점

무슬림과 기독교인은 모두 예수가 마리아에게서 동정녀로 태어났으며, 메시아라고 믿는다.[20] 그러나 거의 모든 기독교인은 예수가 육화된 하나님의 아들이며, 신성하고 죄가 없다고 믿는다. 반면 이슬람교는 예수가 하나님의 예언자 중 한 명이었지만, 하나님의 아들이 아니며, 신성하지 않으며, 삼위일체의 일부가 아니라고 가르친다.

기독교는 예수가 산헤드린과 로마 제국총독 본디오 빌라도에 의해 사형을 선고받아 십자가형을 당했으며, 사흘 후에 부활했다고 가르친다.

대부분의 기독교인들은 신약성서, 특히 요한 복음서가 삼위일체에 대해 언급하고 있으며, 예수는 하나님의 아들이며 본질적으로 하나님이라고 주장한다.[95]

3. 1. 2. 이슬람교의 관점

무슬림과 기독교인은 모두 동정녀에게서 태어난 마리아의 아들 예수가 메시아라는 점을 믿는다.[20] 그러나, 예수의 본질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핵심적인 관점을 가지고 있다. 거의 모든 기독교인은 예수가 육화된 하나님의 아들이며, 신성하고 죄가 없다고 믿는다. 반면 이슬람교는 예수가 하나님의 예언자 중 한 명이지만, 하나님의 아들이 아니며, 신성하지 않고, 삼위일체의 일부가 아니라고 가르친다. 무슬림들은 예수의 창조가 아담의 창조와 유사하다고 믿는다.

기독교와 이슬람교는 십자가형과 예수의 부활에 대한 근본적인 견해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기독교는 예수가 산헤드린과 로마 제국총독 본디오 빌라도에 의해 사형을 선고받아 십자가형을 당했으며, 사흘 후에 부활했다고 가르친다. 이슬람교는 예수가 다른 예언자들처럼, 자신의 백성을 유일신, 즉 ''타우히드''를 숭배하도록 이끌려 했던 인간 예언자였다고 가르친다. 무슬림들은 또한 예수가 십자가형을 선고받았지만 기적적으로 처형에서 구원받아 하늘로 들려 올려졌다고 믿는다.[21] 이슬람교에서는 예수 대신 그와 닮은 사람이 십자가에 매달렸다.[22]

기독교인과 무슬림은 모두 예수의 재림을 믿는다. 기독교는 예수가 어디로 돌아올지 명시하지 않지만, 이슬람교의 하디스는 예수가 다마스쿠스 동쪽의 흰색 첨탑(우마이야 사원의 이사 첨탑으로 추정)에 돌아와 마흐디 뒤에서 기도할 것이라고 명시하고 있다.[23] 기독교인은 예수가 적그리스도를 죽이기 위해 돌아올 것이라고 믿으며, 무슬림 역시 예수가 다잘을 죽이기 위해 돌아올 것이라고 믿는다.

이슬람교와 기독교는 예수의 본질, 십자가형, 부활과 같은 기본적인 견해에 차이가 있다. 이슬람교에서 이사는 신이 아닌 인간이며, 가장 중요한 예언자 중 한 명이다. 무슬림은 이사가 신의 아들이거나 삼위일체 하나님의 일부라고 생각하지 않으며, 인간 예언자로서 이스라엘 자손들이 유일신을 숭배하도록 노력한 인물이라고 믿는다. 무슬림은 처녀 잉태의 기적을 통해 이사가 어머니 마르얌에게서 태어났으며, 최초의 예언자 아담과 마찬가지로 신의 손으로 창조되었기에 인간 아버지를 두지 않았다고 믿는다. 또한, 이사가 십자가형에 처해질 뻔했지만 기적적으로 구원받았다고 믿는다. 이사는 신의 유일성을 분할하는 것(시르크)에 반대한다고, 탈출기와 꾸란을 바탕으로 무슬림은 주장한다.[92][93][94]

3. 2. 삼위일체

기독교에서 하나님의 가장 일반적인 이름은 야훼이다. 이슬람교에서 하나님의 가장 일반적인 이름은 알라이며, 이는 구약성서의 엘로아와 유사하다. 전 세계 기독교인의 대다수는 삼위일체 교리를 따르는데, 이 교리는 신조적 표현에서 하나님이 하나의 ''본질'' 안에 성부, 성자, 성령의 세 ''위격''으로 존재한다고 명시한다. 이슬람교에서 이 개념은 일신교를 부정하는 것으로 간주되며, 따라서 죄인 시르크가 된다.[34] 이는 주요 '알-카바'이르' 죄로 간주된다.[35][36] 꾸란 자체는 알-마이다 5:73에서 삼위일체를 언급하며, "''하나님은 셋 중의 하나라 말하는 자들은 진실로 불신자들이라. 한 분 외에 다른 신은 없느니라. 그들이 말하는 것을 그치지 아니하면, 그들 중 불신자들에게 고통스러운 벌이 있으리라''"고 말한다.[37] 이슬람교는 파트너가 없는 단일하고 분할할 수 없는 하나님이라는 개념인 타우히드를 가지고 있다.[38]

기독교의 삼위일체 교리는 한 분의 하느님이 동시에 성부, 성자, 성령의 세 위격을 가진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슬람교에서는 그러한 개념은 하느님의 유일성을 부정하는 것이며, 이슬람의 성서에 쓰여 있는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꾸란》은 하느님의 절대적인 유일성을 주장하며, 다른 존재가 하느님의 통치권이나 본질을 공유할 가능성을 부정한다. 이슬람교는 무슬림에게, 이사는 하느님의 사도이지 하느님의 아들이 될 수 없다고 가르친다.

3. 3. 성령

기독교와 이슬람교는 성령에 대한 견해가 다르다. 대부분의 기독교인들은 성령을 삼위일체의 세 번째 위격인 하느님으로 믿는 반면, 이슬람에서는 성령을 일반적으로 천사 가브리엘로 여긴다. 요한의 복음서에 언급된 파라클레토스에 대해 기독교에서는 오순절에 나타난 성령이라고 믿지만, 일부 이슬람 학자들은 무함마드의 도래에 대한 예언이라고 해석한다.[41]

3. 3. 1. 기독교의 관점

대부분의 기독교인들은 성령이 하나님이며 삼위일체의 세 번째 위격이라고 믿는다. 요한의 복음서에 언급된 파라클레토스는 성령을 가리키며, 오순절에 나타났다.[39][40]

파라클레토스와 관련된 주요 구절 중 하나는 요한복음 16장 7절이다.

기독교의 삼위일체 교리는 한 분의 하느님이 동시에 성부, 성자, 성령의 세 위격을 가진다고 주장한다.

기독교인은 성령이란 하느님 혹은 하느님의 페르소나이며, 요한의 복음서에 등장하는 파라클레토스이며, 오순절에 강림했다고 믿는다[96][97]

3. 3. 2. 이슬람교의 관점

이슬람 전통에서는 기독교인이 무슬림과 동일한 신을 숭배한다고 믿지만, 일부에서는 이에 대한 이견이 있다. 이슬람에서는 성령을 일반적으로 천사 지브릴을 의미한다고 여긴다.[98] 요한의 복음서에 언급된 파라클레토스는 무함마드의 도래를 예언하는 것이라고 해석된다.[41]

3. 4. 무함마드

이슬람 전통에서는 유대인과 기독교인 모두 무슬림과 같은 신을 숭배한다고 믿는다. 그러나 무슬림과 기독교인이 동일한 신을 숭배하는지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있다. 종교 철학 교수 피터 반 인와게는 "'x를 숭배한다'는 것은 '의도적 맥락'"이라고 했다. 예를 들어 "Jason worships Zeus"에서 "주피터"가 "제우스"와 같더라도 그리스인 이아손은 주피터를 숭배하지 않으며 로마 신에 대해 알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야훼알라가 같은 이름이라도 무슬림 "압둘"이 야훼를 숭배한다고 말할 수 없다.

3. 4. 1. 이슬람교의 관점

무슬림들은 무함마드가 천사 가브리엘(지브릴)을 통해 신으로부터 계시(쿠란)를 받은 예언자라고 믿는다.[24][25] 이 계시는 무함마드가 40세였던 609년 12월 22일에 시작되어 약 23년 동안 점진적으로 이루어졌으며,[26] 632년 무함마드가 사망하면서 끝났다.[27][13][14] 무슬림들은 쿠란을 무함마드의 가장 중요한 기적이자 그의 예언자 직분을 증명하는 것으로 여긴다.[28]

무슬림들은 무함마드를 완벽한 신앙인의 전형으로 존경하며 그의 행동과 말씀을 이상적인 행실의 본보기로 삼는다. 기독교인들이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믿는 예수와는 달리, 무함마드는 비록 특별한 자질을 가졌지만 인간이었다. 오늘날 많은 무슬림들은 무함마드를 묘사하는 것이 잘못되었다고 믿지만, 항상 그랬던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시기와 장소에서 경건한 무슬림들은 무함마드를 묘사했지만, 결코 그 이미지를 숭배하지는 않았다.[29]

무함마드는 생전에 많은 기독교인들과 교류했다. 무함마드를 처음 만난 기독교인 중 한 명은 고대 아라비아의 기독교 사제인 와라카 이븐 나우팔이었다. 그는 무함마드의 예언을 믿은 최초의 ''하나프'' 중 한 명이었다.[30] 무함마드는 또한 나즈란 기독교인들을 만나 그들과 평화 협정을 맺었다.[31][32] 무함마드의 죽음으로부터 불과 몇 년 후에 기독교인이 무함마드에 대해 처음으로 기록된 언급을 찾을 수 있다. 아랍 예언자의 이야기가 시리아의 기독교로 퍼져나가자, "사라센과 함께 나타난 예언자"에 대한 질문을 받은 한 노인은 이렇게 답했다. "그는 거짓이다. 예언자는 칼을 들고 나타나지 않는다."[33]

3. 4. 2. 기독교의 관점

일반적으로 기독교인은 성경무함마드에 대한 기술이나 암시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믿는다.

예수하나님의 아들로 여겨지며, 그 이후의 계시는 불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일부 기독교 보수주의자는 무함마드를 거짓 예언자나 적그리스도로 간주한다.[33]

3. 5. 경전

기독교의 경전인 성경구약성경신약성경으로 구성된다. 이슬람교의 경전인 쿠란은 7세기에 무함마드 이븐 압둘라에게 계시된 것으로 여겨진다.[12][13][14]

성경쿠란은 내용상 유사한 부분이 있지만, 이야기 전개 방식에서 차이를 보인다. 성경은 선형적인 시간 흐름을 따르는 반면, 쿠란은 각 예언자 시대마다 주요 이야기가 반복되는 순환적 패턴을 갖는다.[18]

3. 5. 1. 기독교의 관점

기독교성경구약성경신약성경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약성경은 그리스도 탄생 이전 2천 년 동안 기록되었다. 신약성경은 그리스도 사후 수십 년 동안 기록되었다. 역사적으로 기독교인들은 성경 전체를 신이 영감한 하나님의 말씀이라고 보편적으로 믿었다. 그러나 계몽주의 시대에 더 가혹한 비판이 등장하면서 다양한 교파에서 성경의 권위와 무오성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생겨났다. 기독교인들은 쿠란을 신성하지 않은 일련의 텍스트로 간주한다.[12][13][14]

3. 5. 2. 이슬람교의 관점

무슬림들은 쿠란무함마드 이븐 압둘라에게 약 23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계시되었다고 믿는다. 이 계시는 무함마드가 40세였던 609년 12월 22일에 시작되어 그가 사망한 해인 632년에 끝났다.[12][13][14] 쿠란은 주로 비유적인 방식으로 쓰였으며, 선형적인 역사 과정의 형태는 아니다. 그러나 이야기는 종종 성경 인물들을 포함하며, 독자들이 관련된 이야기를 잘 알고 있다고 가정한다. 때로는 성경에 등장하는 이야기가 요약되거나, 상세하게 다루어지거나, 완전히 다르게 나타나기도 한다.[15][16][17]

무슬림들은 예수에게 하나님이 인질(그리스어 ''evangel'', 또는 ''복음'')을 주셨다고 믿지만, 이 가르침의 일부 또는 전부가 히브리 성경과 기독교 신약성경을 만들기 위해 유실되거나 왜곡되었다고 (''타흐리프'') 믿는다. 대다수의 무슬림들은 쿠란을 하나님이 계시된 책 중에서 왜곡이나 부패로부터 보호하신 유일한 책으로 간주한다.[19] 무슬림은 쿠란이 무함마드에게 주어진 가장 중요한 기적이며, 그가 예언자임을 증명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4. 구원

기독교와 이슬람교는 구원에 대해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다. 이슬람 전통에서는 기독교인도 무슬림과 동일한 신을 숭배한다고 보지만, 이에 대한 이견도 존재한다.

로마 가톨릭 교회와 개신교예수에 대한 믿음을 구원의 조건으로 강조하는 반면, 이슬람교알라와 마지막 날에 대한 믿음, 그리고 선행을 구원의 조건으로 제시한다. 꾸란은 무함마드 이전에 존재했던 의로운 기독교인들에게도 구원을 약속하며, 기독교인들이 꾸란을 따르는 사람들에게 가장 가까운 사랑을 가질 것이라고 말한다.

이스마일 라지 알-파루키는 저서 ''기독교 윤리''에서 기독교가 예수의 원래 가르침에서 벗어났다고 주장하며, 기독교의 죄성과 구원론 개념을 이슬람교의 견해와 대조한다.[44][45][46]

4. 1. 가톨릭교회

로마 가톨릭 교회가 발표한 공식 교리 문서인 가톨릭교회 교리서는 이슬람교도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42]

''교회와 무슬림의 관계.'' "구원의 계획은 창조주를 인정하는 자들, 그 중에서도 무슬림을 포함한다. 이들은 아브라함의 신앙을 지키고 우리와 함께 한 분이시며 자비로우신 하느님, 마지막 날 인류의 심판자를 숭배한다고 공언한다."la

이는 이슬람교도들이 아브라함의 종교에 대한 신앙을 명시하며, 가톨릭과 마찬가지로 자비로운 유일신을 숭배하고, 최후의 심판 날에 인류를 심판할 분을 믿는다는 것을 의미한다.[85]

4. 2. 개신교

대부분의 개신교 신학은 예수를 구세주로 믿는 것이 구원을 얻기 위한 필수 조건이라고 강조한다. 만인 구원설에 따르면 무슬림도 구원을 받을 수 있지만, 대부분의 개신교 신학은 믿음을 통한 칭의를 강조하기 때문에 무슬림은 구원을 받을 수 없다고 본다.[43]

마르틴 루터는 로마서 3장 24-25절, 요한복음 1장 29절, 이사야 53장 6절을 근거로, 예수 그리스도만이 세상의 죄를 없애는 하나님의 어린 양이며, 인간은 오직 믿음으로만 의롭게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마가복음 13장 31절을 인용하며, 하늘과 땅이 무너져도 이 믿음의 조항은 양보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43]

4. 3. 이슬람교

꾸란은 무함마드 이전에 존재했던 의로운 기독교인들에게 구원을 약속한다.[87] 꾸란은 겸손하고 지혜로운 기독교인들을 칭찬하며, 꾸란을 따르는 사람들에게 가장 가까운 사랑을 가진 사람들로 묘사한다.[88] 그러나 하디스에 따르면, 이슬람교를 부정하는 기독교인이나 유대인은 지옥에 떨어진다고도 한다.[89]

5. 역사적 관계

기독교이슬람교중세 시대부터 복잡한 관계를 맺어왔다. 초기 기독교 저술가들은 이슬람교와 꾸란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보였다. 다마스쿠스의 요한은 ''지식의 샘''에서 꾸란의 여러 수라를 언급하며 의문을 제기했고,[47] 신앙고백자 테오파네스는 무함마드에 대해 언급했다.[49][50][51] 니케타스 비잔티오스는 꾸란 전체에 대한 지식을 보여주며 후대 저술에 영향을 주었다.[52]

중세 시대에는 롤랑의 노래와 같이 이슬람교를 왜곡하여 묘사하는 작품이 나타나기도 했지만,[53] 교황 그레고리오 7세처럼 종교 간 유사성을 인정하는 경우도 있었다.[54] 단테 알리기에리신곡에서는 무함마드가 종교적 분열을 일으킨 죄로 지옥에서 고통받는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했다.[55]

귀스타브 도레의 ''신곡'' 삽화. 단테, 기독교인, 베르길리우스는 지옥에서 분열주의자로 고통받는 무함마드를 바라본다.


알폰소 10세의 ''놀이의 서''(약 1285년) 삽화. 기독교인과 무슬림이 체스를 두는 모습


기독교인들은 이슬람교 도입 이후 이슬람 문명에 상당한 기여를 했다.[69][70] 특히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인을 중심으로 한 동방 기독교 과학자 및 학자들은 그리스 철학자들의 작품을 번역하여 이슬람 황금기 이슬람 문명에 기여했다.[74][75][76] 비잔틴 과학은 이슬람 세계에 고전 지식을 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79]

중세 성기 동안 이슬람 세계는 알-안달루스, 시칠리아 토후국, 레반트십자군 국가 등을 통해 유럽에 정보와 아이디어를 제공했다. 여기에는 그리스 고전의 전달과 아랍어 텍스트의 12세기 라틴어 번역이 포함되며, 이슬람 천문학, 이슬람 수학, 이슬람 과학, 이슬람 의학 등이 해당된다. 무슬림 철학자들의 영향력은 자연 철학, 심리학, 형이상학에서 강하게 나타났다.[80] 이슬람 미술이슬람 문화기독교 미술기독교 문화에 영향을 주고받았다.[81][82]

5. 1. 초기 기독교 저술가들의 관점

다마스쿠스의 요한(성 다마스쿠스의 요한)은 746년 ''지식의 샘''을 저술했는데, 그 두 번째 부분은 ''개요로 된 이단: 그들이 어떻게 시작되었고 어디에서 기원을 얻었는가''이다.[47] 이 작품에서 요한은 꾸란을 광범위하게 언급하며, 요한의 견해로는 꾸란이 가장 기본적인 검토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지식의 샘''은 여러 수라를 직접적으로 언급하며 종종 의심하는 태도를 보인다.

신앙고백자 테오파네스(822년경 사망)는 게오르기오스 싱켈로스의 연대기를 기반으로 하여 서기 284년 이후 및 602–813년의 일련의 연대기를 기록했다.[49][50][51] 테오파네스는 무함마드에 대해 언급했다.

《기독교-이슬람 관계사》에서[52] 휴 고다드는 다마스쿠스의 요한과 테오파네스를 언급하며, 미카엘 3세 황제(842-867)를 대신하여 편지에 대한 답변을 작성한 니케타스 비잔티오스에 대해 논한다. 고다드는 니케타스가 그의 저서에서 수라 2~18장을 포함하여, 꾸란 전체에 대한 지식을 보여준다고 주장한다. 비잔틴 제국 국경 너머에서 나온 니케타스의 설명은 어조와 논점 모두에서 후대의 저술에 강력한 선례를 세운 것으로 보인다.

5. 2. 중세 시대의 갈등과 교류

11세기 기독교 서방 세계에서 이슬람교에 대한 묘사는 다양하게 나타났다. 11세기 작품인 《롤랑의 노래》에서는 무슬림들이 마호메트 조각상을 숭배하고, 마호메트가 아폴리온과 허구적인 신 터미건트와 함께 "불경한 삼위일체"의 일부라는 묘사가 나타난다. 이는 이슬람교를 기독교 이전의 그리스-로마 종교와 혼동하는 당시 서방 기독교 사회의 오해를 반영한다.[53]

반면, 몬테카시노의 아마투스나 제프리 말라테라와 같은 교회 작가들은 무슬림들과 함께 살면서도 그들을 부정적으로 묘사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묘사는 비잔틴 그리스인이나 이탈리아 롬바르드족과 같이 노르만 통치에 반대하는 다른 집단에게도 마찬가지였다. 중립적인 사건에서는 무슬림들을 "사라센"이나 "시칠리아인"과 같은 지리적 용어로 불렀지만, 노르만인과 충돌하는 사건에서는 "이교도" 또는 "불신자"라고 불렀다.[53]

교황 그레고리오 7세는 함마디드 아미르 안-나시르에게 보낸 서한에서 기독교인과 무슬림이 "다양한 형태로 매일 같은 신을 숭배하고 고백한다"고 언급하며 종교 간 유사성을 인정하기도 했다.[54]

단테 알리기에리신곡에서 무함마드는 종교적 분열을 일으킨 죄로 여덟 번째 지옥에 갇혀 허리가 갈라지고 창자가 드러난 모습으로 묘사된다.[55]

이 장면은 조반니 다 모데나,[55] 살바도르 달리, 오귀스트 로댕, 윌리엄 블레이크, 구스타브 도레의 작품 등 신곡 삽화에 자주 등장한다.[56]

5. 3. 문화적, 학문적 교류



학자들은 기독교인들이 이슬람교 도입 이후 아랍 및 이슬람 문명에 상당한 기여를 했다는 데 동의하며,[69][70] 중동북아프리카를 비롯한 여러 지역의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71][72][73] 특히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인을 중심으로 한 중세 이슬람 세계의 동방 기독교 과학자 및 학자들은 우마이야 왕조와 아바스 왕조 시대에 그리스 철학자들의 작품을 시리아어로 번역하고 이후 아랍어로 번역하여 이슬람 황금기 이슬람 문명에 기여했다.[74][75][76] 이들은 철학, 과학, 신학, 의학 분야에서도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77][78] 비잔틴 과학은 고전 지식의 전달에서 이슬람 세계에 중요하고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했다.[79]

중세 성기 동안, 이슬람 세계는 문화적 정점에 도달하여 혁신의 확산을 통해 중세 유럽에 알-안달루스, 시칠리아 토후국, 레반트십자군 국가 등을 거쳐 정보와 아이디어를 제공했다. 여기에는 그리스 고전의 전달과 아랍어 텍스트의 12세기 라틴어 번역이 포함되며, 이슬람 천문학, 이슬람 수학, 이슬람 과학, 이슬람 의학 등이 해당된다. 아랍 철학 텍스트를 라틴어로 번역한 것은 "중세 라틴 세계의 거의 모든 철학 분야의 변혁을 가져왔다"고 하며, 특히 무슬림 철학자들의 영향력은 자연 철학, 심리학, 형이상학에서 강하게 나타났다.[80] 이슬람 세계는 또한 이슬람 황금기 동안 만들어진 독창적인 혁신을 통해 중세 유럽 문화의 다른 측면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이슬람 미술, 아랍 농업 혁명, 중세 이슬람의 연금술과 화학, 아랍 음악, 이슬람 도자기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한다.

이슬람 미술이슬람 문화기독교 미술기독교 문화로부터 영향을 주고받았다. 특히 성 건축#비잔틴 건축과 중세 건축 시대의 종교 건축에서 이러한 상호 영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81][82]

6. 현대의 관계

현대에 들어 기독교와 이슬람교는 종교 간 대화와 협력을 모색하고 있다. 가톨릭교회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통해 무슬림이 일신교를 고백한다는 이유로 구원 계획에 포함된다고 선언하였다.[59] 개신교는 16세기 오스만 제국과의 교류를 통해 이슬람교와 접촉하기 시작했으며, 최근에는 화해를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60][61] 몰몬교와 이슬람교는 19세기부터 비교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두 종교 신자들 간의 대화와 자선 활동 협력이 증가하고 있다.[67][68]

6. 1. 가톨릭교회와 이슬람교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무슬림이 고백하는 일신교 때문에 구원 계획에 포함된다고 선언하였다.[59] 노스트라 에타테가 처음 초안을 작성했을 때나 제2차 바티칸 공의회가 개막했을 때조차 이슬람교 문제는 의제에 없었다. 하지만 유대교 문제와 마찬가지로, 몇몇 사건들이 함께 일어나 이슬람교에 대한 고려를 촉구했다. 1963년 공의회 제2회기 무렵, 중동 지역 주교들은 이 문제 포함에 대해 유보적인 입장을 보이기 시작했다. 이 문제는 아예 제기하지 않거나, 제기한다면 무슬림에 대한 언급이 있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멜키트 총대주교 막시모스 4세가 후자의 입장을 지지하는 인물 중 한 명이었다.

1964년 초, 베아 추기경은 공의회 조정위원회의 의장인 치코냐니 추기경에게 공의회 교부들이 위대한 일신교 종교, 특히 이슬람교에 대해 언급하기를 원한다고 알렸다. 하지만 이 문제는 베아의 그리스도교 일치 촉진 사무국의 관할 밖으로 여겨졌다. 베아는 "능력 있는 몇몇 사람들을 선발하여 그들과 함께 초안을 작성"하여 조정위원회에 제출할 의향을 표명했다. 4월 16-17일 조정위원회 회의에서 치코냐니는 무슬림에 대해 언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인정했다.[57]

제1회기와 제2회기 사이에는 교황의 변화가 있었다. 교황 요한 23세에서 교황 바오로 6세로 교황이 바뀌었는데, 그는 이슬람교 연구자 루이 마시뇽의 서클(the ''Badaliya'')의 일원이었다. 교황 바오로 6세는 막시모스 4세가 권고한 방안을 따르기로 결정하고, 두 문서에 무슬림에 대한 단락을 삽입하기 위한 위원회를 설립했다. 그 중 하나는 ''노스트라 에타테'' 3항이었고, 다른 하나는 ''인류의 빛'' 16항이었다.[58]

최종 초안의 내용은 마시뇽의 영향을 받았다. 예를 들어, 성모 마리아에 대한 언급은 마시뇽과 함께 스미르나에서 성모 마리아 숭배를 부활시키는 데 협력했던 스미르나의 라틴 대주교인 몬시뇰 데스쿠피의 개입으로 이루어졌다. 무슬림 기도를 칭찬하는 내용은 바달리야의 영향을 반영한 것일 수 있다.[58]

한편, 가톨릭 교회와 이슬람교 간에는 다음과 같은 갈등과 논란도 존재한다.

  • 코르도바 대성당 무슬림 캠페인: 스페인 내 무슬림 기도 논란
  • 피에르 클라베리#이슬람과의 관계: 무슬림과의 종교 간 대화에 대한 비판
  • 레이몬드 레오 버크#이슬람과 이민: 이슬람이 종교인지 정치 체제인지에 대한 논란
  • 조제 폴리카르포#무슬림 남성과의 결혼: 무슬림과의 결혼 및 이슬람 국가로의 이주를 권하지 않는 것에 대한 논란
  • ''쿠알라룸푸르의 명의 로마 가톨릭 대주교 대 내무부 장관'': 가톨릭 신자가 원할 경우 하느님을 "알라"라고 부를 수 있는지에 대한 논란
  • 레겐스부르크 강연, 교황 베네딕토 16세와 이슬람: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발언에 대한 논란

6. 2. 개신교와 이슬람교

개신교이슬람교는 16세기 북유럽개신교 운동이 남유럽오스만 제국의 확장과 일치하는 시기에 접촉하게 되었다. 둘 다 가톨릭 신성 로마 제국과 갈등 관계에 있었기 때문에, 종교적 유사성을 탐구하고 무역 및 군사 동맹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수많은 교류가 있었다.[60] 관계는 근대 초와 현대에 더 갈등적으로 변했지만, 최근 화해하려는 시도가 있었다.[61]

이슬람교와 프로테스탄트는 성상 파괴 정책을 공유한다. 종교 개혁 기간 중 네덜란드에서의 성상 파괴 운동의 모습.


이슬람교와 프로테스탄트가 접촉을 시작한 것은 16세기, 북유럽에서의 프로테스탄트의 활동, 남유럽에서의 오스만 제국의 팽창과 동시기에 일어났다.

둘 다 가톨릭교회의 신성 로마 제국과 대립했기 때문에 많은 교류가 있었고, 종교적인 유사점, 통상 및 군사 동맹의 가능성이 모색되었다.[118]

양자의 관계는 근현대에 들어 대립적인 것이 되었지만, 최근에는 화해를 위한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119]

비교 종교학적인 관점에서는, 흥미로운 유사점과 상이점이 있으며, 그 예로 양 종교의 접근 방식에서 본문 비평성상 파괴 운동이 꼽힌다.

6. 3. 몰몬교와 이슬람교

몰몬교와 이슬람교는 19세기에 몰몬교가 처음 시작된 이래로 서로 비교되어 왔으며, 종종 한 종교 또는 다른 종교, 혹은 두 종교 모두를 비방하는 사람들이 비교의 대상이 되었다.[62] 예를 들어, 몰몬교의 창시 선지자인 조셉 스미스는 1844년 6월 그가 살해된 직후 ''뉴욕 헤럴드''에 의해 "현대의 무함마드"로 불렸다.[63] 이 칭호는 스미스의 초창기 경력부터 이루어졌던 비교를 반복한 것이었으며,[64] 당시에는 칭찬의 의미로 사용된 것은 아니었다. 몰몬교와 이슬람교의 선지자에 대한 비교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때로는 비하적이거나 논쟁적인 이유로,[65] 때로는 더 학문적이고 중립적인 목적으로 이루어지기도 한다.[66] 몰몬교와 이슬람교는 분명히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지만, 두 종교 사이에는 상당하고 근본적인 차이점도 존재한다. 몰몬교와 이슬람교의 관계는 역사적으로 우호적이었다.[67] 최근 몇 년 동안 두 종교의 신자들 사이에서 대화가 증가했으며, 특히 중동극동 지역에서 자선 활동에 대한 협력이 증가하고 있다.[68]

참조

[1] 웹사이트 World's largest religion by population is still Christianity https://www.pewresea[...] 2017-04-05
[2] 웹사이트 Christianity http://www.patheos.c[...]
[3] 간행물 Islām Brill
[4] 서적 Studies in Semitic Philology https://books.google[...] BRILL
[5] 서적 The new encyclopedia of Islam, with introduction by Huston Smith https://books.google[...] AltaMira Press
[6] 서적 Understanding Islam and Christianity: Beliefs That Separate Us and How to Talk About Them https://books.google[...] Harvest House Publishers 2002
[7] 문서 The Oxford Dictionary of Islam
[8] 웹사이트 Surah Al-'Ankabut – 46 https://quran.com/al[...] 2023-02-02
[9] 학술 논문 Did God Create Shapes? https://www.research[...] 2021-03-14
[10] 학술 논문 Response to Bridges and Van Inwagen https://www.research[...] 2021-03-14
[11] 문서 Chronology of Prophetic Events Ta-Ha Publishers Ltd.
[12] 간행물 Qurʾān https://www.britanni[...] 2013-09-24
[13] 문서 Living Religions: An Encyclopaedia of the World's Faiths I.B. Tauris Publishers
[14] 문서
[15] 문서 From Haggadic Exegesis To Myth: Popular Stories Of The Prophets In Islam Brill
[16] 서적 Islam: its history, teaching and practices https://archive.org/[...] Indiana Univ. Press
[17] 서적 Prophets in the Quran: an introduction to the Quran and Muslim exegesis Continuum
[18] 문서 Myth and History in Islamic Thought: A Comparison with the Jewish and Christian Traditions.
[19] 문서 Understanding the Qurán
[20] 서적 Christ in Islam and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1-07-31
[21] 서적 The Mission and Death of Jesus in Islam and Christianity (Faith Meets Faith Series) https://books.google[...] Orbis Books 2008-10-30
[22] 웹사이트 Surah An-Nisa' Verse 157 https://qurano.com/e[...] 2021-06-25
[23] 웹사이트 7 Things Muslims Should Know about Prophet 'Isa (as) https://muslimhands.[...] 2020-12-25
[24] 서적 The Leaders Are Coming! https://books.google[...] WestBow Press 2013
[25] 서적 Pendulum: How Past Generations Shape Our Present and Predict Our Future https://books.google[...] Vanguard Press 2012
[26] 문서 Chronology of Prophetic Events Ta-Ha Publishers Ltd.
[27] 간행물 Qurʾān https://www.britanni[...] 2013-09-24
[28] 서적 The Words and Will of God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29] 웹사이트 Muhammad https://www.pbs.org/[...]
[30] 문서 Waraqah bin. Nawfal
[31] 학술 논문 "We Will Make Peace With You": The Christians of Najrān in Muqātil's Tafsir https://www.academia[...] 2006-01
[32] 웹사이트 Al-Mizan (Al I Imran) https://www.scribd.c[...] 2021-08-15
[33] 학술 논문 Christianity face to face with Islam http://go.galegroup.[...] 2009
[34] 서적 The New Encyclopedia of Islam https://books.google[...] Rowman Altamira 2003-01-01
[35] 서적 The Major Sins : Arabic Text and English Translation of "Al Kaba'ir" (Muhammad Bin Uthman Adh Dhahabi) http://www.islamicbo[...] Kazi Publications 2017-05-06
[36] 웹사이트 The Major Sins: Al-Kaba'r http://www.jannah.or[...]
[37] 웹사이트 The Quranic Arabic Corpus – Translation https://corpus.quran[...] 2021-07-21
[38] 웹사이트 The Fundamentals of Tawhid (Islamic Monotheism) https://web.archive.[...] ICRS (Indonesian Consortium of Religious Studies 2010-10-30
[39] 웹사이트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https://archive.toda[...]
[40] 서적 Beiträge zur Geschichte der biblischen Exegese https://books.google[...] Mohr 1983-01-01
[41] 간행물 Muḥammad, Menaḥem, and the Paraclete: new light on Ibn Isḥāq's (d. 150/767) Arabic version of John 15: 23–16: 1 https://www.academia[...]
[42] 서적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https://www.vatican.[...]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00-04-16
[43] 문서 "The Smalcald Articles," Concordia Publishing House 2005
[44] 간행물 Christian Ethics: A Review from the Perspective of Al-Faruqi 2022-01
[45] 간행물 A Structured Critical Analysis of Al-Faruqi's Christian Ethics 2023
[46] 간행물 Investigating Ismāʿīl Rājī al-Fārūqī's Methodology in the Study of Christianity through Selected Textual Analysis from His Christian Ethics International Islamic University Malaysia Press 2023
[47] 웹사이트 St. John of Damascus: Critique of Islam http://www.orthodoxi[...]
[48] 웹사이트 St. John of Damascus: Critique of Islam http://orthodoxinfo.[...]
[49] 웹사이트 Theophanes in English, on Mohammed http://www.roger-pea[...]
[50] 문서 The Chronicle of Theophanes Confessor (Byzantine and Near Eastern History AD 284–813) Oxford 1997
[51] 웹사이트 The Chronicle of Theophanes Anni Mundi 6095–6305 (A.D. 602–813) http://www.upenn.edu[...]
[52] 서적 A History of Christian-Muslim Relations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0-01-01
[53] 간행물 Pagans and Infidels, Saracens and Sicilians: Identifying Muslims in the Eleventh-Century Chronicles of Norman Italy 2009
[54] 서적 The correspondence of Pope Gregory VII : selected letters from the Registrum https://archive.org/[...] Octagon Books 1979
[55] 뉴스 Al-Qaida plot to blow up Bologna church fresco http://arts.guardian[...] 2002-06-24
[56] 웹사이트 What's behind Muslim cartoon outrage http://sfgate.com/cg[...] 2006-02-11
[57] 문서 History of Vatican II
[58] 문서 Robinson
[59] 웹사이트 Lumen gentium, 16 https://www.vatican.[...] 2014-09-06
[60] 웹사이트 Monash Arts http://artsonline.mo[...] 2023-12-12
[61] 웹사이트 Muslim-Christian Dialogue – Oxford Islamic Studies Online https://web.archive.[...]
[62] 웹사이트 Thomas Marsh and Orson Hyde Affidavit http://www.saintswit[...] 2011-11-14
[63] 웹사이트 PBS's American Prophet: Prologue https://www.pbs.org/[...]
[64] 웹사이트 Thomas Marsh and Orson Hyde Affidavit http://www.saintswit[...] 2011-11-14
[65] 웹사이트 Joseph Smith and Muhammad: The Similarities http://www.inplainsi[...]
[66] 웹사이트 A Comparison of Muhammad and Joseph Smith in the Prophetic Pattern http://contentdm.lib[...] 2011-11-14
[67] 웹사이트 U.S. Muslims share friendship, similar values with Mormons https://www.latimes.[...] 2008-04-02
[68] 웹사이트 World Muslim Congress: Mormons and Muslims http://worldmuslimco[...]
[69] 서적 Islamic Science and Engineering Edinburgh Univ. Press 1993
[70] 서적 The Legend of the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71] 서적 Christian Communities in the Arab Middle East: The Challenge of the Future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2016-10-21
[72] 서적 Jews, Antisemitism, and the Middle East Routledge
[73] 서적 Secular Nationalism and Citizenship in Muslim Countries: Arab Christians in the Levant Springer
[74] 서적 Islamic Science and Engineering Edinburgh Univ. Press
[75] 서적 The Legend of the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4-02-11
[76] 간행물 Pythagoras: His Lives and the Legacy of a Rational Universe https://books.google[...] Walker Publishing Company, New York
[77] 웹사이트 Assyrians contributions to the Islamic civilization http://www.christian[...] 2013-09-27
[78] 웹사이트 Nestorian http://www.britannic[...]
[79] 웹사이트 Islamic Science and the Making of Renaissance Europe https://www.loc.gov/[...] 2006-04-27
[80] 백과사전 Influence of Arabic and Islamic Philosophy on the Latin West https://plato.stanfo[...] 2020-06-03
[81] 서적 A World History of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McGraw-Hill 2004-01-01
[82] 서적 Encountering the World of Islam https://books.google[...] Biblica 2005-01-01
[83] 웹사이트 Christianity http://www.patheos.c[...] 2014-12-12
[84] 웹사이트 Islam http://www.patheos.c[...] 2014-12-12
[85] 문서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http://www.vatican.v[...]
[86] 문서 The Smalcald Articles
[87] Quran
[88] Quran
[89] 웹사이트 預言者ムハンマドへの啓示に対する信仰について,1巻 P.112-114 http://hadith.main.j[...] 日本ムスリム協会 2016-11-15
[90] 서적 Islam : its history, teaching and practices Indiana Univ. Press
[91] 서적 Prophets in the Quran: an introduction to the Quran and Muslim exegesis Continuum
[92] 성경
[93] 웹사이트 similarities http://www.islam101.[...]
[94] Quran
[95] 성경
[96] 웹사이트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http://concordances.[...]
[97] 웹사이트 The Johannine Paraclete in the church fathers: a study in the history of exegesis https://books.google[...]
[98] 웹사이트 http://islam-qa.com/[...]
[99] 문서 "The monastery of Saint Catherine at Mount Sinai and the Christian communities of the Caliphate."
[100] 서적 The Leaders Are Coming! https://books.google[...] WestBow Press 2013
[101] 서적 Pendulum: How Past Generations Shape Our Present and Predict Our Future https://books.google[...] Vanguard Press 2012
[102] 문서 Quran 17:105 http://tanzil.net/#t[...]
[103] 백과사전 Qurʾān http://www.britannic[...] 2013-09-24
[104] 문서 Living Religions: An Encyclopaedia of the World's Faiths
[105] Quran
[106] 서적 The Words and Will of God Princeton University Press
[107] 문서 Understanding the Qurán Ahmad Hussein Sakr
[108] 웹사이트 Muhammad http://www.pbs.org/e[...] 2014-12-12
[109] 웹사이트 St. John of Damascuss Critique of Islam http://www.orthodoxi[...]
[110] 웹사이트 St. John of Damascus’s Critique of Islam http://orthodoxinfo.[...]
[111] 웹사이트 Theophanes in English, on Mohammed http://www.roger-pea[...]
[112] 문서 The Chronicle of Theophanes Confessor (Byzantine and Near Eastern History AD 284-813)
[113] 웹사이트 The Chronicle of Theophanes Anni mundi 6095-6305 (A.D. 602-813) http://www.upenn.edu[...]
[114] 웹사이트 A history of Christian-Muslim relations https://books.google[...]
[115] 문서 History of Vatican II
[116] 문서 Robinson
[117] 웹사이트 Lumen Gentium, 16 http://www.vatican.v[...]
[118] 웹사이트 http://artsonline.mo[...]
[119] 웹사이트 http://www.oxfordisl[...]
[120] 웹사이트 A world history of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Marian Moffett
[121] 웹사이트 Encountering the World of Islam https://books.google[...] Keith E. Swartle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