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는 일제강점기부터 한국전쟁 이후까지의 건축물, 산업 시설, 군사 시설, 종교 시설, 인물 관련 유산 등을 포함한다. 주요 유형으로는 관공서 건물, 금융 시설, 종교 시설, 주거 시설, 교육 시설, 교통 시설, 생산 시설, 군사 시설 등이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용도의 건축물들이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이 중 일부는 화재, 자료 부족 등의 사유로 등록이 해제되기도 했다.

2. 건축 유산

국가등록문화재 제101호부터 제200호 사이에는 일제강점기를 비롯한 근대 시기에 지어진 다양한 용도의 건축 유산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이 건축물들은 당시의 사회 모습과 건축 기술의 발달, 서양 건축 양식의 도입과 정착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역사적 자료이다.

이 시기 건축 유산은 용도에 따라 크게 관공서 건물, 금융 시설, 종교 시설, 주거 시설, 교육 시설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관공서와 금융 시설은 당시 행정과 경제 활동의 중심지였으며, 일부는 일제강점기 식민 통치 및 경제 정책과 관련된 역사를 담고 있기도 하다. 성당이나 교회 같은 종교 시설은 서양 건축 양식이 한국에 도입되어 토착화되는 과정을 보여주며, 주택과 관사는 당시 사람들의 생활 방식과 주거 문화를 엿볼 수 있게 한다. 학교 건물들은 근대 교육의 발전 과정을 보여주는 공간이다. 이러한 건축 유산들은 한국 근현대사의 중요한 단면을 보여주는 가치를 지닌다.

2. 1. 관공서 건물

근대 시기 행정, 치안, 경제 활동의 중심이었던 관공서 건물 및 관련 시설들은 당시 시대상과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이다. 국가등록문화재 제101호부터 제200호 사이에 지정된 주요 관공서 건물 및 관련 시설은 다음과 같다.
대전 충청남도청 구 관사 1·2·5·6호와 부속창고

울산 구 상북면사무소

춘천 강원도지사 구 관사

구 홍천군청

구 철원 제2금융조합 건물 터

구 제주도청사

남제주 구 대정면사무소

구 조선식산은행 원주지점

구 철도청 대전지역사무소 보급창고 3호

구 마산헌병 분견대

2. 2. 금융 시설

일제강점기 금융기관은 당시 경제 활동의 중요한 축이었으나, 한편으로는 일제의 경제 수탈 정책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운영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가진 금융 관련 시설들이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외촌리에 위치한다. 1936년 건립된 금융조합 건물의 터로, 한국 전쟁 당시 폭격으로 파괴되어 현재는 건물의 외벽 일부와 금고의 잔해만 남아 있다. 당시 철원 지역의 금융 중심지 역할을 했던 곳의 흔적을 보여준다. 2004년 12월 31일 지정되었다.

  • '''제164호 구 조선식산은행 원주지점'''


강원도 원주시 중앙동에 위치한다. 조선식산은행동양척식주식회사와 함께 일제의 대표적인 식민지 경제 수탈 기관으로 기능했다. 이 건물은 1934년에 지어졌으며, 당시 유행했던 절충주의 양식의 특징을 보여주는 석조 건물이다. 2005년 4월 15일 지정되었다.

  • '''제170호 구 제일은행 여수지점'''

전라남도 여수시 중앙동에 위치한다. 1923년 조선상업은행 여수지점으로 건립되었으며, 해방 이후 제일은행 지점으로 사용되었다. 건물의 정면은 화강석으로 마감되었고, 상부에는 장식적인 요소가 가미되어 있어 근대 은행 건축물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2005년 4월 15일 지정되었다.

  • '''제177호 구 부안금융조합'''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동중리에 위치한다. 1918년에 건립된 건물로, 일제강점기 지역 농민들을 대상으로 한 금융 업무를 담당했던 곳이다. 목조 단층 건물로, 지붕 형태 등에서 당시의 건축 양식을 엿볼 수 있다. 2005년 6월 18일 지정되었다.

  • '''제181호 익산 구 익옥수리조합 사무소와 창고'''

전라북도 익산시 평화동에 위치한다. 수리조합은 농업용수 관리와 농업 생산 증대를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나, 일제강점기에는 농민 통제와 수탈의 도구로 이용되기도 했다. 1930년에 건립된 사무소와 창고 건물은 당시 농업 관련 시설의 구조와 형태를 잘 보여준다. 2005년 6월 18일 지정되었다.

  • '''제186호 김제 구 백구금융조합'''

전라북도 김제시 백구면 월봉리에 위치한다. 1929년에 건립된 금융조합 건물로, 전형적인 소규모 금융기관의 건축 양식을 보여준다. 목조 건물이며, 지붕의 형태와 창호 등에서 근대 건축의 특징을 찾아볼 수 있다. 2005년 6월 18일 지정되었다.

2. 3. 종교 시설

근대 시기 종교 활동의 중심지였던 성당, 교회 등 다양한 종교 시설들이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제101호부터 제200호까지 지정된 문화재 중 종교 시설은 다음과 같다.
울산 언양성당과 사제관

  • 소재지: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구교동1길 11, 외 1필지 (송대리)
  • 지정일: 2004년 9월 4일
  • 천주교 부산교구 소속 성당으로, 1936년에 건립된 고딕 양식의 석조 건물이다. 성당 건물과 함께 지어진 사제관도 당시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다.

  • '''목포 양동교회''' (제114호)
  • 소재지: 전라남도 목포시 호남로 15 (양동)
  • 지정일: 2004년 12월 31일
  • 1910년에 건립된 개신교 교회로, 미국 남장로회 선교사 유진 벨(한국명 배유지)에 의해 세워졌다. 목포 지역 초기 개신교 선교의 역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건축물이다.

  • '''여수 장천교회''' (제115호)
  • 소재지: 전라남도 여수시 율촌면 동산개길 42 (조화리)
  • 지정일: 2004년 12월 31일
  • 1906년에 설립된 교회로, 현재의 건물은 1955년에 신축되었다. 여수 지역의 초기 개신교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 '''순천 구 남장로교회 조지와츠 기념관''' (제127호)
  • 소재지: 전라남도 순천시 매산길 11 (매곡동)
  • 지정일: 2004년 12월 31일
  • 1913년 순천 지역 선교를 위해 세워진 미국 남장로회 선교부 건물 중 하나로, 조지 와츠(George Watts)의 기부금으로 건립되었다.

원주 흥업성당 대안리공소

  • 소재지: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흥업면 승안동길 216, 외 1필지 (대안리)
  • 지정일: 2004년 12월 31일
  • 1910년대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작은 공소 건물로, 초기 천주교 신앙 공동체의 모습을 보여준다.

진주 옥봉성당

  • '''원불교 익산성지''' (제179호)
  • 소재지: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신용동 344-2
  • 지정일: 2005년 6월 18일
  • 원불교의 발상지이자 중심지로, 소태산 대종사가 원불교를 창시하고 교리를 펼친 곳이다. 대각전, 본원실 등 초기 교단 시설들이 남아 있다.

  • '''김제 증산법종교 본부영대와 삼청전''' (제185호)
  • 소재지: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금산면 모악로 260 (금산리)
  • 지정일: 2005년 6월 18일
  • 증산교의 한 교파인 증산법종교의 본부 건물이다. 영대(靈臺)는 교주 강일순의 무덤이며, 삼청전(三淸殿)은 제사를 지내는 공간이다.

2. 4. 주거 시설

당시의 주거 문화를 엿볼 수 있는 가옥과 관사들이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 '''춘천 강원도지사 구 관사''' (제107호)

  • '''함평 월호리 일본식 가옥과 창고''' (제118호)
  • * 소재지: 전라남도 함평군 학교면 중천포로 634, 외 2필지 (월호리)
  • * 지정일: 2004년 12월 31일
  • * 설명: 일제강점기 일본식 주거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가옥과 창고이다.

서울 누하동 이상범 가옥과 화실

군산 신흥동 일본식 가옥

2. 5. 교육 시설

번호명칭소재지지정일
제121호구례 구 방광국민학교 교사전남 구례군 광의면 매천로 244 (수월리)2004년 12월 31일
제123호순천 매산중학교 매산관전남 순천시 매산길 23 (매곡동)2004년 12월 31일
제124호구 순천선교부 외국인 어린이학교전남 순천시 매산길 53 (매곡동)2004년 12월 31일
제126호순천 구 선교사 프레스턴 가옥전남 순천시 매산길 43 (매곡동)2004년 12월 31일
제127호순천 구 남장로교회 조지와츠 기념관전남 순천시 매산길 11 (매곡동)2004년 12월 31일
제158호광주 구 수피아여학교 수피아 홀광주 남구 백서로 13 (양림동)2005년 4월 15일
제159호광주 구 수피아여학교 커티스 메모리얼 홀광주 남구 백서로 13 (양림동)2005년 4월 15일
제172호전주 신흥고등학교 강당과 본관 포치전북 전주시 완산구 서원로 399 (중화산동1가)2005년 6월 18일
제176호구 고창고등보통학교 강당전북 고창군 고창읍 모양성로 50 (교촌리)2005년 6월 18일
제178호익산 구 이리농림학교 축산과 교사전북 익산시 고봉로 79 (마동)2005년 6월 18일


2. 6. 기타 시설


  • 구 보성여관 (제132호)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태백산맥길 19 (벌교리)에 있는 옛 여관 건물이다. 조정래의 대하소설 태백산맥의 배경으로 등장하여 널리 알려졌으며, 일제강점기 벌교 지역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건축물이다. 문화유산국민신탁이 관리하고 있으며, 2004년 12월 31일 등록되었다.

  • 서울 한국기독교장로회총회 선교교육원 (제133호)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경기대로 55 (충정로2가)에 있는 건물로, 1921년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서양식 건축물이다. 한국 개신교 선교 활동의 역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2004년 12월 31일 등록되었다.
서울특별시 성북구 동소문로26마길 2-15 (동선동3가)에 있으며, 한국 현대 조각사에 중요한 족적을 남긴 조각가 권진규가 1959년부터 1973년까지 거주하며 작업했던 공간이다. 그의 예술 세계를 엿볼 수 있는 장소로서 가치가 있다. 2004년 12월 31일 등록되었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누하동 178, 181에 있으며, 한국 근현대 동양화의 대가인 청전 이상범이 1929년부터 1972년까지 거주하며 작품 활동을 했던 곳이다. 그의 예술 활동과 생활 모습을 엿볼 수 있는 공간이다. 2005년 4월 15일 등록되었다.

  • 전주 중앙동 구 박다옥 (제173호)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전라감영3길 14 (중앙동2가)에 있는 건물로, 과거 '박다옥(博多屋)'이라는 상호로 운영되었던 일본식 상업 시설이다. 일제강점기 전주 지역 상업 활동의 모습을 보여주는 건축물이다. 2005년 6월 18일 등록되었다.

  • 전주 다가동 구 중국인 포목상점 (제174호)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전라감영2길 25 (다가동1가)에 있는 건물로, 과거 중국인이 운영했던 포목 상점이다. 개항기 이후 전주 지역에 정착했던 화교들의 생활상과 상업 활동을 엿볼 수 있는 자료이다. 2005년 6월 18일 등록되었다.

  • 익산 중앙동 구 삼산의원 (제180호)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중앙로 22-253 (중앙동3가)에 있는 건물로, 과거 '삼산의원'이라는 병원으로 사용되었다. 일제강점기 익산 지역의 의료 시설 역사를 보여주는 건축물이다. 2005년 6월 18일 등록되었다.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구영1길 17 (신흥동)에 있는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대규모 일본식 주택이다. 당시 군산 지역의 부유층이었던 일본인 히로쓰 게이샤브로가 건립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제강점기 군산의 생활상과 일본식 주거 건축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영화 '장군의 아들', '타짜' 등의 촬영 장소로도 유명하다. 2005년 6월 18일 등록되었다.

3. 산업 유산

근대 시기 한국의 산업 발달 과정을 보여주는 다양한 시설들이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이러한 산업 유산은 당시 사회 발전상과 생활 모습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역사적 자료이다.

산업 유산 범주에는 교통망 확충과 관련된 교량, 철도역, 터널 등의 '''교통 시설'''과, 산업 생산의 기반이 된 '''생산 시설''' 및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기타 시설'''들이 포함된다. 각 시설은 근대화 과정에서의 기술 도입과 사회 변화를 보여주는 구체적인 증거물로서 가치를 지닌다.

3. 1. 교통 시설


  • '''울산 구 삼호교''' (제104호) : 울산광역시 남구 무거동 및 중구 다운동에 위치한 교량이다. 1924년 준공되었으며, 근대기 울산 지역의 주요 교통로 역할을 하였다. 2004년 9월 4일 지정되었다.
  • 울산 남창역사
    '''울산 남창역사''' (제105호) :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양읍 남창역길 40에 위치한 동해선철도역 건물이다. 1935년 건립된 역사로, 일제강점기 동해남부선 개통과 함께 지어져 지역 교통 및 산업 발전에 기여하였다. 2004년 9월 4일 지정되었다.
  • '''화천 꺼먹다리''' (제110호) :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화천읍 대이리 및 간동면 구만리에 걸쳐 있는 교량이다. 일제강점기인 1945년 화천댐과 화천수력발전소 건설 당시에 세워진 다리로, 목재와 콘크리트를 혼합하여 만든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2004년 9월 4일 지정되었다.
  • '''태백 장성이중교''' (제111호) :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장성동에 위치한 교량이다. 1936년 건설된 철근 콘크리트 아치교로, 위아래 2층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2004년 9월 4일 지정되었다.
  • 철원 금강산 전기철도교량
    '''철원 금강산 전기철도교량''' (제112호) :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김화읍 도창리 및 갈말읍 정연리에 위치한 옛 금강산선의 철도 교량이다. 1926년 건설되었으며, 한반도 분단으로 인해 현재는 사용되지 않고 교각 일부만 남아 있다. 2004년 9월 4일 지정되었다.
  • '''여수 마래 제2터널''' (제116호) : 전라남도 여수시 덕충동에 위치한 터널이다. 1926년 일제강점기에 만들어진 터널로, 차량 통행이 가능하도록 암반을 깎아 만든 형태가 특징적이다. 2004년 12월 31일 지정되었다.
  • 구 곡성역사
    '''구 곡성역사''' (제122호) : 전라남도 곡성군 오곡면 기차마을로 232에 위치한 옛 전라선철도역 건물이다. 1933년 건립되었으며, 현재는 섬진강 기차마을 내에 이전되어 보존되고 있다. 2004년 12월 31일 지정되었다.
  • 순천 구 원창역사
    '''순천 구 원창역사''' (제128호) : 전라남도 순천시 별량면 동송리에 위치한 옛 경전선철도역 건물이다. 1936년 건립된 소규모 간이역사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2004년 12월 31일 지정되었다.
  • -- '''서울 구 신촌역사''' (제136호)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대현동에 위치한 옛 경의선철도역 건물이다. 1921년 건립된 서울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 건물 중 하나이다. 2004년 12월 31일 지정되었다.
  • 원주역 급수탑
    '''원주역 급수탑''' (제138호)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학성동 옛 원주역 구내에 위치한 증기 기관차급수탑이다. 1942년 건립되었으며,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만들어졌다. 2004년 12월 31일 지정되었다.
  • 창녕 남지철교
    '''창녕 남지철교''' (제145호) : 경상남도 창녕군 남지읍 남지리에 위치한 옛 경전선의 철도 교량이다. 1933년 개통되었으며, 낙동강을 가로지르는 트러스 구조의 철교이다. 2004년 12월 31일 지정되었다.
  • -- '''원주 구 반곡역사''' (제165호)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반곡동에 위치한 중앙선철도역 건물이다. 1941년 건립되었으며, 전형적인 간이역사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다. 2005년 4월 15일 지정되었다.
  • '''군산 해망굴''' (제184호) :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해망동에 위치한 터널이다. 1926년 일제강점기 당시 군산항과 시내를 연결하여 물자 수탈을 용이하게 할 목적으로 건설되었다. 2005년 6월 18일 지정되었다.
  • 진해역
    '''진해역''' (제192호)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여좌동에 위치한 진해선철도역 건물이다. 1926년 건립되었으며, 진해 군항제 기간 동안 임시 여객 취급을 하기도 한다. 2005년 9월 14일 지정되었다.

3. 2. 생산 시설

근대 시기 산업 발달과 관련된 주요 생산 시설들이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이러한 시설들은 당시의 기술 수준과 산업 구조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번호사진명칭소재지지정일
제109호화천 수력발전소강원 화천군 간동면 구만리2004년 9월 4일
제135호
서울 구 경성방직 사무동
서울 구 경성방직 사무동서울 영등포구 영등포동 4가 441-102004년 12월 31일
제156호서귀포 천제연 관개수로제주 서귀포시 중문동 2785-1 외 (천제연폭포 구역내)2005년 4월 15일
제175호정읍 신태인 구 도정공장 창고전북 정읍시 신태인읍 신태인1길 123, 외 10필지 (신태인리)2005년 6월 18일
제181호익산 구 익옥수리조합 사무소와 창고전북 익산시 평동로1길 28-4 (평화동)2005년 6월 18일
제182호
군산 발산리 구 일본인 농장 창고
군산 발산리 구 일본인 농장 창고전북 군산시 개정면 바르메길 43 (발산리)2005년 6월 18일


3. 3. 기타 시설


  • '''제106호 울산 울기등대 구 등탑'''

울산 울기등대 구 등탑

  • '''제168호 구 철도청 대전지역사무소 보급창고 3호'''

4. 군사 유산

한국 근현대사의 군사적 상황 속에서 건설된 다양한 시설들이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여기에는 일제강점기 당시 일본 제국주의의 대륙 침략이나 태평양 전쟁 준비를 위해 건설된 교량, 터널, 사령부 건물, 병원 등이 포함되며, 해방 이후 한국 전쟁과 분단 상황 속에서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방어적 필요에 의해 세워진 망루, 보루 등도 포함된다. 이러한 군사 유산들은 당시의 건축 기술과 시대상을 보여주는 동시에, 외세의 침략과 전쟁, 분단이라는 한국 근현대사의 아픈 역사를 증언하는 중요한 자료이다.

4. 1. 군사 시설

(華川 꺼먹다리)
(Kkeomeok Bridge, Hwacheon)강원 화천군 화천읍 평화로 656, 외 1필지 간동면 구만리 산9-1 외 1필지 (대이리)2004년 9월 4일 지정제111호태백 장성이중교
(太白 長省二重橋)
(Jangseong Double-tier Bridge, Taebaek)강원 태백시 장성동 222 외2004년 9월 4일 지정제116호여수 마래 제2터널
(麗水 馬來 第二터널)
(Marae Tunnel No. 2, Yeosu)전남 여수시 덕충동 산7-3 외2004년 12월 31일 지정제143호고성 합축교
(高城 合築橋)
(Hapchukgyo Bridge, Goseong)강원 고성군 거진읍 상리 214-1 외, 거진읍 대대리 6-1 외2004년 12월 31일 지정제167호태백경찰서 망루
(太白警察署 望樓)
(Watchtower of Taebaek Police Station)강원 태백시 장성로 26 (장성동)2005년 4월 15일 지정제184호군산 해망굴
(群山 海望堀)
(Haemanggul Tunnel, Gunsan)전북 군산시 중앙로 255, 외 3필지, 금동 9-3 외 4필지 (해망동)2005년 6월 18일 지정제188호임실 오수망루
(任實 獒樹望樓)
(Osu Watchtower, Imsil)전북 임실군 오수면 오수리 348-62005년 6월 18일 지정제190호장수 호룡보루
(長水 虎龍堡壘)
(Horyong Fort, Jangsu)전북 장수군 산서면 비행로 20 (동화리)2005년 6월 18일 지정제193호구 진해해군통제부 병원장 사택
(舊 鎭海海軍統制府 病院長 舍宅)
(Former Residence of the Director of Jinhae Naval Station Hospital)경남 창원시 진해구 중원로32번길 22, , 18 (근화동)2005년 9월 14일 지정제194호구 진해요항부 사령부
(舊 鎭海要港部 司令部)
(Former Jinhae Naval Port Command Headquarters)경남 창원시 현동 23-12005년 9월 14일 지정제195호구 진해방비대 사령부
(舊 鎭海防備隊 司令部)
(Former Jinhae Defense Unit Command Headquarters)경남 창원시 현동 72-42005년 9월 14일 지정제196호구 진해방비대 사령부 별관
(舊 鎭海防備隊 司令部 別館)
(Annex of Former Jinhae Defense Unit Command Headquarters)경남 창원시 현동 72-42005년 9월 14일 지정제197호구 진해요항부 병원
(舊 鎭海要港部 病院)
(Former Jinhae Naval Port Hospital)경남 창원시 현동 232005년 9월 14일 지정제198호구 마산헌병 분견대
(舊 馬山憲兵 分遣隊)
(Masan Detachment of Japanese Military Police)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3·15대로 52 (월남동3가)2005년 9월 14일 지정


4. 2. 방어 시설

wikitext

번호명칭소재지지정일
제167호태백경찰서 망루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장성로 26 (장성동)2005년 4월 15일
제188호임실 오수망루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오수면 오수리 348-62005년 6월 18일
제190호장수 호룡보루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산서면 비행로 20 (동화리)2005년 6월 18일


5. 종교 유산

근대 시기 한국 사회에 유입되거나 자생적으로 발생한 다양한 종교와 관련된 건축물 및 유물들이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이는 당시의 건축 양식, 종교 전파 과정, 사회 변화상 등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주요 종교 시설 및 관련 유산은 하위 분류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1. 종교 시설

(蔚山 彦陽聖堂과 司祭館)
(Main Building and Presbytery of Eonyang Catholic Church, Ulsan)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구교동1길 11, 외 1필지 (송대리)2004년 9월 4일제114호목포 양동교회
(木浦 陽洞敎會)
(Yangdong Church, Mokpo)전라남도 목포시 호남로 15 (양동)2004년 12월 31일제115호여수 장천교회
(麗水 長川敎會)
(Jangcheon Church, Yeosu)전라남도 여수시 율촌면 동산개길 42 (조화리)2004년 12월 31일제117호구 함평성당
(舊 咸平聖堂)
(Former Hampyeong Catholic Church)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 남일길 21 (내교리)2004년 12월 31일제123호순천 매산중학교 매산관
(順川 梅山中學校 梅山館)
(Maesangwan Hall at Maesan Middle School, Suncheon)전라남도 순천시 매산길 23 (매곡동)2004년 12월 31일제124호구 순천선교부 외국인 어린이학교
(舊 順川宣敎部 外國人 어린이學校)
(Former Suncheon Missionary School for Foreign Children)전라남도 순천시 매산길 53 (매곡동)2004년 12월 31일제126호순천 구 선교사 프레스턴 가옥
(順川 舊 宣敎師 프레스턴 家屋)
(Missionary Preston's House, Suncheon)전라남도 순천시 매산길 43 (매곡동)2004년 12월 31일제127호순천 구 남장로교회 조지와츠 기념관
(順川 舊 南長老敎會 조지와츠 記念館)
(George Watts Memorial Hall at Former Southern Presbyterian Church, Suncheon)전라남도 순천시 매산길 11 (매곡동)2004년 12월 31일제133호서울 한국기독교장로회총회 선교교육원
(서울 韓國基督敎長老會總會 宣敎敎育院)
(Missionary Training Center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Republic of Korea, Seoul)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경기대로 55 (충정로2가)2004년 12월 31일제139호원주 원동성당
(原州 園洞聖堂)
(Wondong Catholic Cathedral, Wonju)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원일로 27 (원동)2004년 12월 31일제140호원주 흥업성당 대안리공소
(原州 興業聖堂 大安里公所)
(Daean-ri Secondary Station of Heungeop Catholic Church, Wonju)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흥업면 승안동길 216, 외 1필지 (대안리)2004년 12월 31일제141호삼척 성내동성당
(三陟 城內洞聖堂)
(Seongnae-dong Catholic Church, Samcheok)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성당길 34-84 (성내동)2004년 12월 31일제154호진주 옥봉성당
(晉州 玉峰聖堂)
(Okbong Catholic Church, Jinju)경상남도 진주시 향교로42번길 5 (옥봉동)2005년 4월 15일제158호광주 구 수피아여학교 수피아 홀
(光州 舊 수피아女學校 수피아 홀)
(Speer Hall of Former Jennie Speer Memorial School for Girls, Gwangju)광주광역시 남구 백서로 13 (양림동)2005년 4월 15일제159호광주 구 수피아여학교 커티스 메모리얼 홀
(光州 舊 수피아女學校 커티스 메모리얼 홀)
(Curtis Memorial Hall of Former Jennie Speer Memorial School for Girls, Gwangju)광주광역시 남구 백서로 13 (양림동)2005년 4월 15일제161호춘천 소양로성당
(春川 昭陽路聖堂)
(Soyang-ro Catholic Church, Chuncheon)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모수물길22번길 26 (소양로2가)2005년 4월 15일제162호홍천성당
(洪川聖堂)
(Hongcheon Catholic Church)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홍천읍 마지기로 54 (희망리)2005년 4월 15일제163호횡성 풍수원성당 구 사제관
(橫城 豊水院聖堂 舊 司祭館)
(Former Presbytery of Pungsuwon Catholic Church, Hoengseong)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서원면 경강로유현1길 30 (유현2리)2005년 4월 15일제172호전주 신흥고등학교 강당과 본관 포치
(全州 新興高等學校 講堂과 本館 포치)
(Auditorium and Main Hall Porch of Sinheung High School, Jeonju)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서원로 399 (중화산동1가)2005년 6월 18일제179호원불교 익산성지
(圓佛敎 益山聖地)
(Iksan Sanctuary of Won-Buddhism)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신용동 344-22005년 6월 18일제185호김제 증산법종교 본부영대와 삼청전
(金堤 甑山法宗敎 本部靈臺와 三淸殿)
(Yeongdae Tomb and Samcheongjeon Hall at Jeungsan Beopjonggyo Headquarters, Gimje)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금산면 모악로 260 (금산리)2005년 6월 18일제189호장수성당 수분공소
(長水聖堂 水分公所)
(Subun Secondary Station of Jangsu Catholic Church)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장수읍 뜬봉샘길 51-3 (수분리)2005년 6월 18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