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슬람 문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슬람 문화는 이슬람교와 관련된 광범위한 문화적 현상을 포괄하며, 언어, 문학, 예술, 건축, 공연 예술, 축제, 결혼, 무술 등 다양한 측면을 포함한다. 이슬람 문화는 이슬람교의 영향 아래 발전해 왔으며, 아랍어, 페르시아어, 튀르키예어 등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는 지역에서 각기 독특한 형태로 나타난다. 이슬람 문화는 종교적, 세속적 요소를 모두 포함하며, 다양한 예술 형식과 건축 양식을 통해 표현된다. 공연 예술에서는 연극, 춤, 음악 등이 발달했으며, 결혼과 축제는 사회적, 문화적 중요성을 지닌다. 또한, 이슬람 문화권에는 다양한 무술이 존재하며, 각 지역의 역사와 전통을 반영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슬람 문화 - 이슬람력
    이슬람력은 이슬람교에서 사용하는 태음력으로, 무함마드의 메디나 이주를 원년으로 하며, 12개의 달로 구성되어 종교적 목적과 공식 연대 표기에 사용된다.
  • 이슬람 문화 - 파트와
    파트와는 아랍어에서 유래된 용어로, 이슬람 율법학자가 종교적, 사회적 문제에 대해 코란과 하디스에 근거하여 내리는 권고나 판결을 의미한다.
  • 이슬람교에 관한 - 무자헤딘
    무자헤딘은 아랍어로 지하드를 수행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초기에는 이슬람교 포교자를 지칭했으나 근대에는 침략에 저항하는 저항 운동을, 20세기에는 아프가니스탄 게릴라를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었고, 현대에는 지하디스트와 유사한 의미로 무장 단체들이 사용하는 용어이다.
  • 이슬람교에 관한 - 카바
    카바는 사우디아라비아 메카에 있는 이슬람교의 가장 신성한 장소로, 이슬람 이전부터 아랍인들의 성역이었으며 무함마드에 의해 이슬람의 중심 성지가 되었고, 아브라함과 이스마엘이 건설했다는 기록이 있는 '검은 돌'을 포함한 여러 유물이 있는 곳이며, 하즈와 움라 순례의 중심지이다.
  • 종교 및 믿음에 관한 - 개종
    개종은 한 종교에서 다른 종교로, 또는 무신론으로 신념을 바꾸는 행위이며, 종교에 따라 개종에 대한 입장이 다르고 개인의 신념 변화, 사회적 요인 등에 의해 발생하며 종교 간 갈등과 관련될 수 있다.
  • 종교 및 믿음에 관한 - 탕카
    탕카는 티베트 불교 회화의 한 형태로, 불교 교리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며, 7세기경 인도에서 유래하여 만다라, 부처 등을 묘사하고, 천연 안료로 면이나 비단에 그림을 그리며, 채색 탕카, 자수 탕카 등으로 분류된다.
이슬람 문화

2. 이슬람 문화의 정의와 논쟁

이슬람 문화는 그 자체로 논쟁의 여지가 있는 용어이다. 무슬림은 많은 다른 국가와 지역에 거주하고 있으며, 무슬림 간의 문화적 연대를 분리하는 것은 어렵다. 인류학자나 역사학자는 종교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지역으로서 이슬람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슬람의 저명한 역사학자인 마셜 호지슨은 자신의 저서인 "이슬람의 시도"에서 "이슬람의 (Islamic)"나 "무슬림 (Muslim)"이라는 용어를 세속적인 이용과 대비하면서 종교 용어로서 사용하는 어려움을 언급하고 있다. 그는 이슬람이나 무슬림과 같은 용어를 순수하게 종교적인 현상에만 사용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하려 하였으며, 역사상 무슬림의 문화나 사물에 관해서는 "Islamicate"라는 용어를 만들어 차별화를 꾀하려 했다. 그러나 이 용어는 널리 퍼지지 않았고, 이슬람 문화의 사물과 이슬람의 종교적 용어의 문맥 차이에 대해서는 혼동된 채로 남아있다.

이슬람 문화는 일반적으로 이슬람교와 관련하여 발전한 살라트 등 꾸란에 관한 모든 수행과 그 외의 이슬람 세계의 문화, 벵골 지방의 바울이라고 불리는 신비주의 음유 시인의 탄식 등을 포함한다.

3. 언어 및 문학

이슬람 문화권에서는 다양한 언어가 사용되었고, 각 언어는 고유한 문학적 전통을 가지고 발전해왔다.


  • '''아랍어''': 아랍 문학은 꾸란의 영향으로 이슬람 황금 시대에 크게 번성했다.
  • '''페르시아어''': 페르시아 문학은 이슬람 문학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며, 루미와 같은 유명한 시인들을 배출했다.
  • '''튀르키예어''': 셀주크 제국오스만 제국 시대에 페르시아어의 영향을 받았으나, 점차 오스만 튀르크어가 발전하여 문학 언어로 자리 잡았다.
  • '''남아시아 지역''': 인도에서는 페르시아어가 여러 제국의 공식 언어로 사용되면서 우르두어 등 인도 문학에 영향을 주었다. 벵골 지역에서는 이슬람 서사시와 바울 문화가 발전했다.


근대에 들어, 이집트 출신 노벨 문학상 수상 작가 나기브 마흐푸즈의 작품은 영어로 번역되어 전 세계에서 읽히고 있으며, 오르한 파무크와 같은 작가들은 국제적인 영향력을 고려하여 직접 영어로 저술하기도 한다.

이슬람 서예는 아랍 문자를 기반으로 하며, 코란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다. 쿠피체와 나스흐와 같은 주요 스타일과 다양한 지역별 스타일이 존재한다. 이슬람 서예는 종교적인 주제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현대 미술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3. 1. 아랍어

아랍 문학(الأدب العربي|알아답 알아라비ar)은 아랍어를 사용하는 작가들이 창작한 산문를 모두 아우르는 글을 의미한다. 아랍어로 문학을 뜻하는 단어는 ''"아답"''인데, 이는 에티켓의 의미에서 파생되었으며, 예절, 문화, 그리고 풍요로움을 내포한다.

아랍 문학은 5세기에 등장했으며, 그 이전에는 단편적인 기록만 존재한다. 꾸란 (이슬람의 성서)은 아랍어로 쓰인 최고의 문학 작품으로 널리 여겨지며,[2] 아랍 문화와 문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아랍 문학은 이슬람 황금 시대에 번성했으며, 아랍 세계와 전 세계의 시인과 산문 작가들이 점점 더 큰 성공을 거두면서 현재까지 활발하게 이어지고 있다.

초기 무슬림 문학은 아랍어로 쓰였으며, 예언자 무함마드메카, 메디나와 같이 이슬람교에서 특별하게 여겨지는 장소에 대한 언급이 많았다. 초기 무슬림의 역사는 이슬람의 설립에 관한 내용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무슬림 문학은 그 성격상 종교적인 색채를 띠었다.

우마이야 왕조의 건국과 함께, 천일야화에서 볼 수 있는 세속적인 이슬람 문화가 발전했다. 종교적인 내용을 포함하지 않는 세속적인 문학은 이슬람 제국 내 아랍 지역에서 널리 퍼져 공유되는 문화 중 하나가 되었다.

3. 2. 페르시아어

페르시아 문학은 서부 이란어로 된 구술 작품과 문헌을 포함하며, 특히 중세 및 신 페르시아어가 대표적이다. 페르시아 문학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문학 중 하나로,[3][4][5] 2,500년이 넘는 세월을 아우른다. 그 기원은 현재의 이란, 이라크, 시리아, 아프가니스탄, 코카서스, 터키, 중앙아시아타지키스탄과 같은 지역, 그리고 역사적으로 페르시아어가 모국어이거나 공용어였던 남아시아를 포함하는 대이란 내에 있었다. 예를 들어, 가장 사랑받는 페르시아 시인 중 한 명인 루미발흐 (현재의 아프가니스탄) 또는 바흐시 (현재의 타지키스탄)에서 태어났고, 페르시아어로 글을 썼으며, 당시 아나톨리아의 셀주크 왕조 수도였던 코냐에서 살았다. 가즈나 왕조는 중앙 및 남아시아의 광대한 영토를 정복하고 페르시아어를 궁정 언어로 채택했다. 따라서 이란, 메소포타미아, 아제르바이잔, 더 넓은 트란스코카서스, 아나톨리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인도, 타지키스탄 및 중앙아시아의 다른 지역에서 페르시아 문학이 존재한다.

모든 페르시아 문학이 페르시아어로 쓰인 것은 아니며, 그리스어아랍어와 같은 다른 언어로 쓰인 민족 페르시아인의 작품도 때때로 포함된다. 동시에, 페르시아어로 쓰인 모든 문학이 민족 페르시아인 또는 이란인이 쓴 것은 아니며, 튀르크, 코카서스, 인도 시인과 작가들도 페르시아 문화권 사회의 환경에서 페르시아어를 사용했다.

괴테가 세계 문학의 네 가지 주요 흐름 중 하나로 평가한 페르시아 문학[6] 인류의 위대한 문학 중 하나로 묘사된다. 페르시아 문학은 중세 및 고대 페르시아어의 현존하는 작품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후자는 기원전 522년, 즉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아케메네스 비문인 베히스툰 비문의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현존하는 페르시아 문학의 대부분은 페르시아의 이슬람 정복 이후의 시대에서 비롯된다. 아바스 왕조가 750년에 권력을 잡은 후, 페르시아인들은 그들의 서기이자 관료가 되었으며, 점차 그들의 작가이자 시인이 되었다. 신 페르시아어 문학은 호라산트란스옥시아나에서 정치적 이유로, 타히리드 왕조와 사만 왕조와 같은 초기 이란 왕조가 호라산에 기반을 두었기 때문에 부상하고 번성했다.[8]

페르도우시, 사디 시라지, 하페즈 시라지, 아타르 니샤푸리, 니자미 간자비,[9] 루미[10]오마르 하이얌과 같은 페르시아 시인들은 서방 세계에도 알려져 있으며 여러 국가의 문학에 영향을 미쳤다.

페르시아어는 아바스 왕조 시대에 찾아온 이슬람 황금 시대의 주요 언어였기 때문에, 유명한 이슬람 문학의 대부분은 페르시아 문학이었다. 자세한 내용은 『새의 회의』나 자랄 웃 딘 루미의 시를 참고할 수 있다.

3. 3. 튀르키예어

11세기부터 튀르크어족에 이슬람 문학이 증가했다. 그러나 수세기 동안 튀르크어를 사용하는 지역의 공식 언어는 페르시아어로 남아있었다. 셀주크 제국이 등장하면서 아나톨리아에서는 페르시아어 사용이 강력하게 부활했다. 룸 술탄국셀주크 제국의 한 지파로서 페르시아어, 예술, 문학을 아나톨리아로 가져왔다.[14] 그들은 페르시아어를 제국의 공용어로 채택했다.[15] "대략" 그들의 궁극적인 계승자로 볼 수 있는 오스만 제국은 이 전통을 이어받았다. 페르시아어는 제국의 공식 궁정 언어였으며, 한동안 제국의 공용어였다.[16] 15~16세기부터 일반 대중 사이의 공통 언어는 튀르크어가 되었으며, 4세기 초부터 튀르크어의 적극적인 "기초"를 다져왔다(튀르크화 참조). 수 세기가 지난 후, 오스만 튀르크어는 과학적 발표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정도로 문학의 완전한 언어로 발전했다.[17] 그러나 이러한 작품에 포함된 페르시아어 및 아랍어 차용어의 수는 때때로 최대 88%까지 증가했다.[17] 17세기에 카라만 왕조는 튀르크어를 공용어로 선포했지만, 오스만 제국의 등장 전까지 더 넓은 지역이나 더 큰 제국에서 공용어가 되지는 못했다. 오스만 제국의 건립과 함께 오스만 튀르크어는 시와 산문 모두에서 중요성이 커졌고, 18세기 초에는 제국의 공용어가 되었다. 페르시아어가 19세기까지 무슬림과 힌두교 국가의 공식적이고 주요한 문학 언어로 남아있던 인도와는 대조적이다.

3. 4. 남아시아 지역

가즈나 왕조의 인도 침략 이후 천 년 동안, 이슬람 세계 동부의 페르시아-이슬람 문화는 인도 문화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페르시아어가즈나 왕조, 델리 술탄국, 벵골 술탄국, 데칸 술탄국(쿠트브 샤히 왕조 등) 및 무굴 제국과 같은 대부분의 인도 제국의 공식 언어였다. 가잘과 같은 문학 및 시에서 페르시아 예술 형태는 우르두어 및 기타 인도 문학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11]

이란 세계보다 인도에서 더 많은 페르시아 문학이 제작되었다. 20세기 후반까지 알라마 이크발은 주요 시 작품 중 일부를 페르시아어로 선택했다. 인쇄기가 처음 인도에서 도입되었기 때문에 최초의 페르시아어 신문도 인도에서 발행되었다.

벵골에서 무슬림 작가들은 문화, 우주론, 사랑, 역사와 같은 이슬람 서사시를 통해 다양한 주제를 탐구했다. 14세기 샤 무하마드 사기르를 시작으로 무슬림 작가들은 600년 이상 벵골어를 풍부하게 만들었고, 종종 통치자들의 적극적인 지원과 홍보를 받았다.[11] 20세기 초는 벵골 이슬람 문학의 새로운 시대를 가져왔으며, 가장 유명한 시인인 카지 나즈룰 이슬람은 벵골 가잘의 호평을 받는 작품을 쓰는 것 외에도 식민주의와 압제에 대한 격렬한 반란을 옹호했다. 이슬람 페미니스트인 베굼 로케야의 술타나의 꿈은 페미니스트 SF의 가장 초기 작품 중 하나이다. 유네스코는 2월 21일을 국제 모어의 날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12] 유네스코 총회는 1999년 11월 17일에 발효된 결정을 내렸다.[13]

벵골 지방에는 전통 음악에 맞춰 수피즘과 토착 문물을 노래하는 바울이라는 문화가 있다. 유명한 인물로는 Hason Raja|하산 라자영어와 Lalon|라론영어이 있다.

4. 예술

이슬람 문화권에서는 미술이 종교적인 영향을 받아 독특한 방식으로 발전해왔다. 특히 이슬람교는 우상 숭배를 금지하기 때문에, 인물이나 동물을 직접적으로 묘사하는 대신 추상적인 문양이나 기하학적인 패턴을 활용하는 경향이 강하다.

공공 이슬람 미술은 주로 아라베스크라고 불리는 소용돌이치는 듯한 식물 문양을 광범위하게 사용하며, 이슬람 서예, 기하학적 패턴과 결합하여 다양한 예술품에 나타난다. 모스크를 포함한 대형 건물의 외부 및 내부 장식에도 널리 사용된다.

하지만, 이슬람 미술에서 인물이나 동물을 묘사하는 것이 완전히 배제된 것은 아니다. 특히 엘리트 계층이 소유했던 책이나 무라카 앨범의 페르시아 미니어처(장식적인 오스만 삽화는 제외)에는 인물과 동물이 자주 등장한다. 무굴 미니어처와 같이 초상화도 16세기 후반에 이르러서야 미니어처 회화에서 발전했다. 무함마드의 묘사와 기타 종교적 인물을 묘사하는 오랜 전통이 있지만, 20세기 이후 무함마드는 주로 얼굴을 가리는 베일을 쓰고 있는 것으로 묘사되었으며, 많은 이전 미니어처는 이 관습에 따라 덧칠되었다.[18]

이슬람의 일부 해석에는 살아있는 존재의 묘사를 금지하는 불상 숭배 금지가 포함된다. 꾸란은 어떤 살아있는 존재의 시각적 표현을 명시적으로 금지하지 않지만, 하디스에는 살아있는 존재의 이미지에 대한 더 명시적인 금지 사항이 포함되어 있다.[19][20]

4. 1. 이슬람 미술의 특징

이슬람 미술은 비재현적인 특징을 가지며, 주로 아라베스크 문양과 식물 형태를 활용한다. 이러한 문양은 이슬람 서예, 기하학적 패턴과 결합되어 다양한 예술품에 나타난다. 모스크와 같은 건축물의 장식에도 널리 사용된다.

가즈 피르(Gazi Pir)의 파타치트라, 순다르반스, 방글라데시


방글라데시 미흐라브는 골디 모스크 안에 있다.


그러나 이슬람 미술에는 인물과 동물을 묘사하는 전통도 존재한다. 특히 페르시아 미니어처에서는 많은 인물들이 등장하며, 아랍, 무굴, 오스만 미니어처에서도 이러한 경향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미니어처는 주로 엘리트 계층이 소유한 개인적인 작품이었다.[18] 무굴 미니어처에서는 16세기 후반부터 인물 묘사가 발전했다. 무함마드의 묘사를 포함한 종교적 인물 묘사는 역사와 시집에서 나타나지만, 20세기 이후에는 얼굴을 가리는 방식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18]

인도네시아그림자극 예술 와양 쿨릿. 토착 민족과 이슬람의 융합을 표현하고 있다.


테헤란골레스탄 궁전에 있는 16세기의 페르시아 미니어처 「금욕의 권유」


이슬람의 일부 해석은 살아있는 존재의 묘사를 금지하는 불상 숭배 금지를 포함한다. 이는 우상 숭배 금지와 생명 창조가 신의 특권이라는 믿음에서 비롯되었다. 꾸란은 명시적인 금지를 하지 않지만, 하디스에는 이미지에 대한 금지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19][20] 무슬림들은 시대와 장소에 따라 이러한 금지 사항을 다르게 해석해 왔다. 종교적 이슬람 예술은 인물 묘사 대신 서예, 기하학적, 추상적인 꽃 패턴을 주로 사용한다. 그러나 무함마드와 다른 종교적 인물들은 페르시아, 인도 등 일부 지역 필사본에서 발견되기도 한다.[19] 세속 예술에서는 인간과 동물 형태의 표현이 번성했지만, 종교적 감정으로 인해 양식화되는 경우가 많았다.[20]

이슬람 서예는 아랍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필기와 서예의 예술적 실천이다.[21][22] 아랍 서예, 오스만 제국, 페르시아 서예를 포함한다.[21][22] 코란은 이슬람 서예 발전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이슬람 서예는 종교적인 주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맥락에서 창작되었다.[24] 이슬람에서 글쓰기와 기록된 텍스트의 중요성을 반영하며, 무함마드는 "가장 먼저 신이 창조한 것은 펜이었다."라고 말했다고 한다.[26] 쿠피체와 나스흐라는 두 가지 주요 스타일이 있으며, 다양한 변형과 지역별 스타일이 존재한다. 이슬람 서예는 현대 미술에도 통합되었으며, 캘리그라피티 스타일도 등장했다.

이슬람 연구에서 이슬람 미술은 기하학적 문양, 꽃무늬, 아라베스크, 서예를 통한 추상적인 장식을 주로 사용한다. 알라는 기하학적인 문양으로 표현되며, 아라베스크 문양과 유사한 기하학 문양을 반복하여 사용한다.

쿠란의 가르침에 따라 이슬람교 신자들은 이슬람 서예를 예술로 발전시켰다. 이슬람 서예가들은 쿠란의 말씀이나 격언을 아랍어 문자의 흐름을 통해 예술로 표현했다.

5. 건축

이슬람 건축은 이슬람과 관련된 건축 양식으로, 초기 이슬람 역사부터 오늘날까지의 세속적, 종교적 양식을 모두 포함한다. 초기 이슬람 건축은 7세기와 8세기에 무슬림이 정복한 로마 건축, 비잔틴 건축, 페르시아 건축 등의 영향을 받았다.[27][28] 동쪽으로 더 나아가 이슬람이 동남아시아로 퍼져나가면서 중국 건축과 인도 건축의 영향도 받았다. 이후 건물 형태와 이슬람 서예, 기하학적 무늬 및 얽힌 무늬 장식에서 뚜렷한 특징을 발전시켰다.

주요 이슬람 건축 유형으로는 모스크, , 궁전, 요새가 있으며, 이 네 가지 유형에서 파생되어 공중 목욕탕, 분수 및 주거 건축과 같은 다른 건물에도 사용된다.[29][30]

이슬람 건축에 대한 일반적인 해석은 다음과 같다.


  • 알라의 전능성이 반복적인 양식을 통해 표현된다.
  • 이슬람교에서 표현이 제한된 인간이나 동물의 그림이 건물의 장식에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잎 무늬는 종종 모티프로 사용되지만, 일반적으로 단순화된 정형적인 것에 머무른다.
  • 쿠란의 구절을 활용한 서예 사용을 통해 건물 내부의 예술성을 높인다.
  • 이슬람 건축은 정원이나 교실과 같은 건물의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는 내부 공간의 아름다움을 중시하기 때문에 "베일의 건축"이라고 불린다.
  • 거대한 첨탑이나 미나레트, 광대한 안뜰 등 인상적인 건축 방법을 사용한다.

5. 1. 이슬람 건축의 주요 요소

이슬람 건축은 무함마드메디나에 건설한 최초의 모스크와 교회 및 유대교 회당에서 채택된 다른 이슬람 이전 특징에서 물려받은 디자인 요소를 가지고 있다.

  • 넓은 안뜰은 종종 중앙 기도실과 합쳐졌다(원래 마스지드 알나바위의 특징).
  • 미나렛 또는 탑(원래 다마스쿠스 대사원과 같이 횃불을 밝힌 망루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단어는 "빛"을 의미하는 아랍어 ''nur''에서 파생되었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미나렛은 튀니지 카이루안에 있는 우크바 모스크의 미나렛이다.[33][34] 2세기와 3세기 사이에 세워졌으며 점진적인 크기와 장식으로 된 세 개의 층으로 구성된 웅장한 사각형 탑이다.
  • 미흐라브 또는 메카 방향을 나타내는 내부 벽의 틈새. 이것은 유대교 회당에서 토라 두루마리를 보관하기 위한 틈새, 페르시아 미트라교 문화의 ''Mehrab'' (페르시아어: مِهراب), 알렉산드리아 콥트 정교회 교회의 :wikt:haikal에서 파생되었을 수 있다.
  • 돔 (가장 초기의 이슬람 사용은 8세기 메디나의 모스크에서였다).
  • 다른 섹션 간의 중간 연결을 위해 이완 사용.
  • 기하학적 형태와 반복적인 예술(아라베스크) 사용.
  • 장식적인 아랍 서예 사용.
  • 대칭 사용.
  • 수세 분수.
  • 밝은 색상 사용.
  • 외부보다는 건물의 내부 공간에 중점.

6. 공연 예술

이슬람 문화권에서는 연극, 무용, 음악 등 다양한 형태의 공연 예술이 발전해 왔다.

방글라데시 예술가들이 전통 벵골 춤 공연을 하고 있다.


오만 무스카트의 로열 오페라 하우스는 이슬람 문화와 클래식 음악을 연결하는 최초의 오페라 하우스로 여겨진다.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루겠지만,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연극: 이슬람에서는 신이나 무함마드 등을 묘사하는 공연은 허용하지 않지만, 인형극이나 타지야와 같은 형태의 공연은 발전했다.
  • 무용: 종교적, 세속적 맥락에서 다양한 춤이 발전했으며, 특히 디크르(dhikr) 의식과 관련된 춤이 주목할 만하다.
  • 음악: 이슬람의 고전적인 중심지는 아라비아와 중동, 북아프리카, 중앙아시아 등이며, 수피 신비가 형제단이 음악을 널리 퍼뜨렸다.


이슬람 세계에서 연극은 종교적인 제약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특히 인형극과 타지야라고 불리는 수난극은 이슬람 황금 시대에 큰 인기를 끌었다.[59] 시아파의 희곡은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의 아들인 하산 이븐 알리와 후세인 이븐 알리의 순교를 다루는 경우가 많았다. 중세 아다브 문학에는 아크라자(akhraja)라는 대중극도 기록되어 있지만, 인형극이나 타지야 극장보다는 규모가 작았다.[59]

터키의 그림자극 카라교즈는 중국에서 인도를 거쳐 전해졌으며, 이후 몽골을 거쳐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민족에게 전해졌다. 다른 학자들은 그림자극이 16세기에 이집트에서 아나톨리아 지방으로 전해졌다고 주장한다. 세림 1세는 그림자극에 매료되어 이스탄불 궁전에 그림자 인형을 가져갔고, 그의 아들 술레이만 1세도 그림자극을 즐겨 보았다.[60]

다른 지역에서는 이러한 그림자극을 "카얄 앗=질 (khayal al-zill)"이라고 불렀으며, 라이브 연주와 특수 효과를 더해 사람들의 흥분을 자아냈다.[61]

이란에서는 1000년 이전부터 인형극이 있었고, 카자르 왕조 시대에는 터키에서 유입된 "케이메 샤브-바지(Kheimeh Shab-Bazi)"라는 인형극이 인기를 끌었다. 이 극은 이야기꾼과 인형의 대화로 진행되었다.[63] 로스탐과 소흐라브는 이란에서 인기 있는 인형극의 대표적인 예이다.[64]

이슬람 문화권에서는 종교적[41] 및 세속적 맥락에서 다양한 형태의 춤 예술이 행해지고 있다.

일부 이슬람 피크(fiqh) 학자들은 춤에 대해 성별에 따른 판결을 내렸지만,[42][43] 알 가잘리와 알 나와위를 포함한 다른 고전 권위자들은 춤을 허용했다.[44][45]

전통적인 이슬람 종교 단체(''타리카(tariqa)'')는 ''디크르(dhikr)'' 의식에서 의례적인 춤을 수행한다. ''디크르''는 명상적 예배 형태로, 신에게 집중하여 신비로운 상태를 유발하고자 한다.

알 가잘리는 ''디크르''에서 음악과 춤의 사용과 그것이 신자들에게 유도하는 신비로운 상태를 논의했다.[46]

잘랄루딘 루미가 설립한 메블레비 교단의 ''사마'' 의식은 "회전하는 데르비시"로 알려져 있으며,[47] 유네스코는 터키의 메블레비 사마 의식을 인류 무형 문화유산으로 확정했다.[48]

이집트레반트에서 메블레비 형태의 ''사마''는 탄누라로 알려져 있다.

아프가니스탄인도 아대륙의 치스티 교단은 힌두스타니 고전 음악과 ''카왈리''와 같은 헌신적 장르와 관련되어 있으며, ''사마''와 다른 형태의 헌신적인 춤을 수행한다.

헌신적인 춤의 다른 예는 마그레브의 그나와 음악과 관련이 있으며,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에서도 발견된다. 이란의 나크쉬반디 교단은 ''디크르''에서 음악과 춤을 사용하지 않는다.

엄격한 종교적 춤 외에도, 화려한 춤 행렬은 결혼식과 공공 축하 행사 중에 열린다. 많은 이슬람 문화는 또한 궁정 문화, 민속 및 부족 춤, 밸리 댄스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춤을 개발했다.

''타리카''와 그들의 의식은 이슬람 역사 동안 이슬람 생활에 큰 영향을 미쳤지만, 19세기 후반 이후 여러 세력의 반대에 직면하며 영향력이 감소했다. ISIS탈레반과 같은 와하비 무장 단체는 ''디크르'' 의식을 테러 공격으로 표적으로 삼고 있다.[49][50]

많은 무슬림들은 음악을 듣는 것에 익숙하며, 이슬람 음악은 공공 장소나 개인 예배에서 연주되고 불린다. 이슬람의 핵심 지역은 아라비아 반도와 중동 지역, 북아프리카, 이집트, 이란, 중앙아시아, 인도 북부, 파키스탄 등이다. 이슬람교는 다문화 종교이므로, 신자들의 음악적 표현은 다양하며, 각 지역의 토착 음악과 결합하여 다양한 스타일을 만들어낸다.[51]

셀주크 제국오스만 제국은 이슬람 음악에 큰 영향을 미쳤다. (터키 고전 음악 참조)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남부 등에도 무슬림이 많지만, 이 지역에서는 이슬람 음악의 영향력이 크지 않았다.

'''남인도''': Mappila Songs|마피라 파투영어, Duffmuttu|도프무투영어

이들 지역은 이슬람교 국가 침략 이전부터 교역을 통해 관계를 맺었으며, 이슬람 음악도 교역품과 함께 전파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수피즘은 이슬람 음악 확산과 함께 이들 지역으로 전해졌다.

벵골 지방에는 수피즘과 토착 문물을 노래하는 바울 문화가 있으며, Hason Raja|하산 라자영어와 Lalon|라론영어이 유명하다.

알라우딘 칸, 알리 악바르 칸, 굴 모하마드 칸은 벵골 무슬림의 저명한 고전 음악 옹호자였으며, 루나 릴라는 현대 음악 분야에서 남아시아 전역에서 음악적 재능으로 찬사를 받았다.[51] 나즐룰 상기트는 카지 나즐룰 이슬람이 작곡한 4,000곡의 노래와 가잘 모음집이다. 자리 간, O Mon Romzaner Oi Rozar Sheshe, 바와이야 및 바티얄리에 대한 기사를 참조하라.

이드 울 피트르, 이드 울 아다, 아슈라 (또한 호세이와 타부익 참조), 마울리드, 라일라트 알 미라지 및 샤브에바라트에 대한 기사를 참조하라.

6. 1. 연극

방글라데시의 자트라 연극 공연


인도네시아의 아미르 함자 와양 연극의 인형


이슬람교는 연극을 허용하지만,[35] 신, 무함마드, 그의 동료, 천사 또는 종교에서 자세히 다루는 보이지 않는 문제들을 묘사하는 공연은 허용하지 않는다.

중세 이슬람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연극 형태는 인형극(손 인형극, 그림자극, 마리오네트 제작 포함)과 무슬림 역사의 에피소드를 재현하는 배우들이 등장하는 ''타지야''(ta'ziya)로 알려진 라이브 열정극이었다. 특히, 시아파 이슬람교의 연극은 알리의 아들 하산 이븐 알리와 후세인 이븐 알리의 ''샤히드''(순교)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라이브 세속극은 중세 ''아답'' 문헌에 기록된 ''아크라자''(akhraja)로 알려졌지만, 인형극과 ''타지야'' 연극보다 덜 흔했다.[36]

인도네시아의 와양은 가장 오래되고 지속적인 인형극 형태 중 하나이다. 비록 주로 이슬람 이전의 전설을 이야기하지만, 아미르 함자의 모험과 같은 이슬람 서사시의 중요한 무대이기도 하다. 이슬람 와양은 ''와양 사다트''(Wayang Sadat) 또는 ''와양 메나크''(Wayang Menak)로 알려져 있다.

터키 그림자극인 카라괴즈는 이 지역의 인형극에 큰 영향을 미쳤다. 중국에서 인도를 거쳐 전해진 것으로 여겨진다. 나중에는 몽골인들이 중국에서 가져와 중앙 러시아의 터키 민족에게 전파했다. 따라서 그림자극 예술은 중앙 아시아에서 이주해 온 터키인들에 의해 아나톨리아로 전해졌다. 다른 학자들은 그림자극이 16세기 이집트에서 아나톨리아로 전해졌다고 주장한다. 이 주장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1517년 야부즈 술탄 셀림이 이집트를 정복했을 때 그의 명예를 위해 열린 파티에서 그림자극을 보았다고 주장한다. 야부즈 술탄 셀림은 이에 깊은 감명을 받아 인형극 배우를 이스탄불에 있는 자신의 궁궐로 데려갔다. 그곳에서 그의 아들인 훗날 술탄 술레이만 대제는 이 연극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그 연극을 많이 보았다. 따라서 그림자극은 오스만 궁궐로 들어갔다.[37]

다른 지역에서는 '상상의 그림자' 또는 '공상의 그림자'로 번역되는 의도적으로 은유적인 용어인 ''카얄 알-질''(''khayal al-zill'')로 알려진 그림자 인형극 스타일이 살아남았다. 이는 라이브 음악과 함께하는 그림자극이다. "...드럼, 탬버린, 피리의 반주...또한..."특수 효과" – 연기, 불, 천둥, 딸랑이, 찍찍 소리, 쿵 소리, 그리고 청중에게 웃음이나 전율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모든 것"[38]

이란에서는 1000년보다 훨씬 이전에 인형이 존재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처음에는 장갑 인형과 끈 인형만 이란에서 인기가 있었다.[39] 카자르 왕조 시대(18~19세기)에 터키의 영향이 이 지역으로 확산되면서 다른 인형극 장르가 등장했다. ''케이에메 샤브-바지''(Kheimeh Shab-Bazi)는 작은 방에서 음악 연주자와 ''모르셰드''(morshed) 또는 ''나갈''(naghal)이라고 불리는 이야기꾼이 공연하는 페르시아 전통 인형극이다. 이러한 쇼는 전통적인 찻집(''가흐베-카베'')(Ghahve-Khave)에서 이야기와 함께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대화는 모르셰드와 인형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인형극은 이란에서 여전히 매우 인기가 있으며, 순회 오페라 로스탐과 소랍 인형 오페라가 최근의 예이다.

1947년 파키스탄 독립 이후, 종교에 기반한 민족주의가 강했고, 이는 양쪽의 연극에 영향을 미쳤다. 동파키스탄(현재의 방글라데시)에서는 이브라힘 칸(1894-1978), 이브라힘 할릴(b. 1916), 아크바르 아드-딘(1895-1978) 등 극작가들이 등장했다. 이들 극작가들은 아대륙과 중동의 이슬람 역사를 주제로 한 연극을 만들어 과거 무슬림 통치자들과 파키스탄 운동의 역사를 찬양했다.[40]

6. 2. 무용

이슬람 문화권에서는 종교적[41] 및 세속적 맥락에서 다양한 형태의 춤 예술이 행해지고 있다. 민속 및 부족 춤, 궁정 무용, 결혼식과 축제 때의 축하 춤, 밸리 댄스 등이 그 예시이다.[41]

일부 이슬람 피크(fiqh) 학자들은 춤에 대해 성별에 따른 판결을 내려, 여성들만 있는 환경에서는 여성에게 허용했지만[42] 남성은 참여를 자제하도록 했다.[43] 알 가잘리와 알 나와위를 포함한 다른 고전 권위자들은 이러한 구별 없이 춤을 허용했지만, "무기력한" 춤이나 육욕을 자극하는 춤은 비판했다.[44][45]

전통적인 이슬람 종교 생활을 지배하는 대부분의 종교 단체(''타리카(tariqa)'')는 ''디크르(dhikr)'' 의식의 맥락에서 의례적인 형태의 춤을 수행한다. "기억"이라는 뜻의 ''디크르''는 의례적인 기도와는 다른 명상적 형태의 예배로, 구도자는 자신의 모든 감각과 생각을 신에게 집중하여 ''마리파트''(신에 대한 경험적 지식)를 얻고 자신 안에서 신비로운 상태를 유발하고자 한다.

알 가잘리는 그의 저서 ''행복의 연금술''과 ''종교 과학의 부흥''에서 ''디크르''에서 음악과 춤의 사용과 그것이 신자들에게 유도하는 신비로운 상태, 그리고 이러한 의식에 부착된 에티켓을 논의했다.[46]

주목할 만한 예로는 잘랄루딘 루미가 설립한 메블레비 교단의 ''사마'' 의식(서구에서는 "회전하는 데르비시"로 알려짐)이 있다.[47] 2008년, 유네스코는 터키의 "메블레비 사마 의식"을 인류 무형 문화유산 중 하나로 확정했다.[48]

이집트레반트에서 메블레비 형태의 ''사마''는 탄누라로 알려져 있으며, 다른 수피 교단에서도 채택되었다.

아프가니스탄인도 아대륙의 치스티 교단은 힌두스타니 고전 음악과 ''카왈리''와 같은 준고전적인 헌신적 장르의 발달과 강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메블레비와 유사한 형태의 ''사마''와 다른 형태의 헌신적인 춤을 수행한다.

헌신적인 춤의 다른 예는 마그레브에서 발견되며, 그나와 음악과 관련이 있으며,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에서도 발견된다. 이란의 나크쉬반디 교단은 ''디크르''의 맥락에서 음악과 춤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예외이다.

엄격한 종교적 형태의 춤 외에도, 화려한 춤 행렬은 ''마울리드'', ''이드 알 아드하''와 같은 결혼식과 공공 축하 행사 중에 이슬람 공동체에서 열린다. 많은 이슬람 문화는 또한 무굴, 오스만, 페르시아 및 자바 궁정 문화뿐만 아니라 수많은 지역 민속 및 부족 춤, 그리고 밸리 댄스와 같이 오락이나 치유를 위해 사용되는 다른 형태의 춤도 개발했다.

''타리카''와 그들의 의식은 이슬람 역사 대부분 동안 이슬람 생활에 큰 영향을 미쳤지만, 19세기 후반 이후 프랑스영국 식민 행정부, 케말 아타튀르크와 같은 이슬람 근대주의자 및 세속주의자들, 그리고 사우디 아라비아가 장려하는 근본주의 와하비 종파의 반대에 직면하며 그 영향력이 감소했다. ISIS탈레반과 같은 와하비 무장 단체는 이집트파키스탄에서 테러 공격으로 ''디크르'' 의식을 반복적으로 표적으로 삼고 있다.[49][50]

6. 3. 음악

바울 전통은 방글라데시의 수피즘의 한 유형으로, 유네스코에 의해 인류 무형 문화유산 대표 목록에 등재되었다.


많은 무슬림들은 평소에 많은 음악을 접하고 있다. 이슬람 음악은 무슬림을 위한 종교 음악이며, 공공 장소나 개인적인 예배 시에 연주되고 불린다. 이슬람 국가의 핵심 지역은 아라비아 반도와 중동 지역, 북아프리카, 이집트, 이란, 중앙아시아, 인도 북부, 파키스탄이 있다. 이슬람교는 다문화에 걸쳐 수용되는 종교이므로, 이슬람교 신자들의 음악 표현은 매우 다양하며, 각 지역의 토착 음악과 결합하여 다양한 음악 스타일을 만들어내고 있다.[51]

셀주크 제국은 아나톨리아 반도를 정복했고, 오스만 제국이슬람 제국을 건설했다. 이들 국가들은 이슬람 음악에도 강한 영향을 미쳤다. (터키 고전 음악 참조)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 지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남부 등에도 많은 이슬람교 신자가 있지만, 이들 지역에서는 이슬람 음악이 그다지 영향력을 갖지 못했다.

'''남인도''': Mappila Songs|마피라 파투영어, Duffmuttu|도프무투영어

이들 지역에서는 600년 전후에 일어난 이슬람교 국가의 침략 이전부터 이슬람교 국가와의 교역을 통해 관계를 맺어 왔으며, 이슬람 음악 또한 교역품과 함께 전파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기록의 부족으로 인해, 이슬람 음악이 전해지기 이전의 음악에 대해서는 추측 외에는 알 방법이 없다. 이슬람교는 음악에도 강한 영향력을 미쳤으며, 초기의 칼리파 아래에서 영토를 확장하고, 먼 지역과의 교역을 권장함으로써 광범위한 지역으로 전파되었다. 무슬림의 신비주의인 수피즘은 이슬람 음악의 확산과 함께 이들 지역으로 전해졌다.

벵골 지방에는 전통 음악에 맞춰 수피즘과 토착 문물을 노래하는 바울이라는 문화가 있다. 유명한 인물로는 Hason Raja|하산 라자영어와 Lalon|라론영어이 있다.

7. 이슬람의 축제

이슬람교의 주요 축제는 다음과 같다.


  • 이드 알 피트르
  • 이드 알 아드하
  • 아슈라
  • 마울리드 안 나비
  • 이스라 와 미라지|Isra and Mi'raj영어
  • 미드 샤반|Mid-Sha'ban영어

8. 이슬람의 결혼

방글라데시 무슬림의 전통인 Furir Bari Iftari는 라마단 기간 동안 사위의 집에 Iftar를 제공하는 풍습이다.


결혼은 무슬림 가정의 기초이며, 두 명의 자격을 갖춘 당사자 간의 제안과 수락으로 구성된 시민 계약으로, 두 명의 증인이 참여한다. 신랑은 계약에 명시된 대로 신부에게 지참금(''마흐르'')을 지불해야 한다.[55] 무슬림 결혼에는 49개 무슬림 다수 국가를 포함한 다양한 배경을 가진 무슬림과 전 세계에 걸쳐 강력한 소수 민족이 존재하기 때문에 많은 변형이 있다.

이슬람 결혼식은 매우 중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슬람교의 예언자인 무함마드는 "결혼은 신앙의 절반이다"라고 말했다. 하디스에는 결혼과 가족에 관한 찬사가 많이 언급되어 있다.

이슬람에서 결혼은 샤리아에 따른 법적 연결이자 사회 계약의 역할을 한다.

9. 이슬람의 무술

포헬라 보이샤크를 기념하여 열리는 조바르 볼리 켈라, 일종의 벵골 무술


국가무술 종류
이란바르제쉬-에 파흘라바니
튀르키예야을르 귀레쉬
파키스탄가트카
중앙아시아쿠라쉬
소말리아이스툰카
수단누바 격투
이집트타흐티브
세네갈람브 레슬링
나이지리아덤베
방글라데시조바르 볼리 켈라, 모카르 볼리 켈라, 라티 켈라
인도스퀘이
인도네시아펜칵 실랏, 박티 네가라, 쿤타오, 타룽 데라잣, 실랏
말레이시아실랏 멜라유, 세니 가융 파타니, 세니 가용, 토모이, 리안 파두칸
서아시아푸루시야
회족회족 무술
바르제셰 바스타니영어
야르 귈레시
크래쉬


참조

[1] 뉴스 Minds unmade https://www.economis[...] 2013-05-04
[2] 문서 Jones, p. ix.
[3] 서적 Persian Studies in North America: Studies in Honor of Mohammad Ali Jazayery Brill 1994
[4] 서적 Language policy and language conflict in Afghanistan and its neighbors: the changing politics of language choice Brill 2012
[5] 서적 Compendium of the World's Languages Routledge 2013
[6] 서적 The Legacy of Persia Clarendon Press 1953
[7] 서적 Encyclopedia of Modern Asia Charles Scribner's Sons 2002
[8] 간행물 Darī Brill Publications
[9] 문서 Persian Literature – A Biobibliographical Survey: Volume V Poetry of the Pre-Mongol Period RoutledgeCurzon 2004-06-21
[10] 문서 Rumi Past and Present, East and West Oneworld Publications 2000
[11] 학술지 Politics and Literary Activities in the Bengali Language during the Independent Sultanate of Bengal https://www.banglajo[...] 2017-11-07
[12] 웹사이트 Commemorating the International Mother Language Day http://www.newsgram.[...] 2016-05-06
[13] 웹사이트 Language Movement http://en.banglapedi[...] 2016-05-06
[14] 문서 History of Humanity: From the seventh to the six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UNESCO 1994
[15] 문서 Encyclopedia of the Ottoman Empire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09-01-01
[16] 문서 The Ashgate Research Companion to Border Studies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Ltd. 2011
[17] 문서 Persian Historiography & Geography https://books.google[...] Pustaka Nasional Pte Ltd
[18] 서적 Islamic Art in Detail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19] 서적 What Everyone Needs to Know about Islam Oxford University Press
[20] 웹사이트 Figural Representation in Islamic Art https://www.metmuseu[...]
[21] 서적 The art and architecture of Islam : 1250–1800 Yale University Press
[22] 문서 Encyclopedia of Islamic Art and Architecture 2012
[23] 웹사이트 Arabic calligraphy as a typographic exercise http://ilovetypograp[...] 2010-07-10
[24] 문서 The Mirage of Islamic Art: Reflections on the Study of an Unwieldy Field 2003
[25] 문서 Five Essays on Islamic Art Solipsist Press 1988
[26] 문서 "The Eye is Favored for Seeing the Writing's Form": On the Sensual and the Sensuous in Islamic Calligraphy 2008
[27] 문서 Early Christian and Byzantine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Pelican History of Art, Penguin Books Ltd. 1965
[28] 문서 A History of Architecture on the Comparative Method https://books.google[...]
[29] 문서 Copplestone, p.149
[30] 웹사이트 A Tour of Architecture in Islamic Cities http://www.islamonli[...] 2018-12-10
[31] 서적 Tracing The Way: Spiritual Dimensions of the World Religions https://books.google[...] A&C Black
[32] 웹사이트 Kairouan Capital of Political Power and Learning in the Ifriqiya http://www.muslimher[...] Muslim Heritage 2014-03-16
[33] 서적 Titus Burckhardt, ''Art of Islam, Language and Meaning : Commemorative Edition''. World Wisdom. 2009. p. 128 https://books.google[...] World Wisdom 2014-03-16
[34] 서적 Linda Kay Davidson and David Martin Gitlitz, ''Pilgrimage: from the Ganges to Graceland : an encyclopedia'', Volume 1. ABC-CLIO. 2002. p. 302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014-03-16
[35] 서적 Medieval Islamic Civilization: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36] 간행물 Studies in Islamic History and Civilization Brill Publishers
[37] 문서 Tradition Folk The Site by Hayali Mustafa Mutlu
[38] 문서 Article Saudi Aramco World 1999/John Feeney
[39] 서적 The History of Theatre in Iran Mage
[40] 간행물 Theatre
[41] 서적 The New Encyclopedia of Islam https://books.google[...] Rowman Altamira
[42] 서적 Muslim Women Sing: Hausa Popular Song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43] 서적 Embodiment, Morality, and Medicine https://books.google[...] Springer
[44] 서적 The Alchemy of Happiness (Chapter 5: Concerning Music and Dancing as Aids to the Religious Life) http://www.sacred-te[...]
[45] 웹사이트 'Reliance of the Traveller (''Umdat ul-Salik''); Section r40.4 on "Dancing", p. 794' https://abudaniyal.f[...] 2018-05-19
[46] 문서 Ghazzālī, and Claud Field. The Alchemy of Happiness. Armonk, N.Y.: M.E. Sharpe, 1991.
[47] 서적 The Whirling Dervishes SUNY Press
[48] 웹사이트 The Mevlevi Sama Ceremony http://www.unesco.or[...]
[49] 웹사이트 Steeped in ancient mysticism, passion of Pakistani Sufis infuriates Taliban http://www.dawn.com/[...] 2013-09-27
[50] 웹사이트 Damadam mast Qalandar is a cry of rebellion against established orders http://www.dawn.com/[...] 2017-02-20
[51] 웹사이트 Beyond borders Runa Laila http://www.filmfare.[...] Times Internet Limited 2019-05-21
[52] 간행물 Encyclopedia of Islam https://books.google[...] Facts on File
[53] 서적 Islam: Its History, Teaching, and Practices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54] 간행물 Encyclopedia of Islam https://books.google[...] Facts on File
[55] 문서 The Oxford Dictionary of Islam
[56] 서적 Remembering God: Reflections on Islam https://archive.org/[...] The Islamic Texts Society
[57] 서적 Islamic Beliefs and Practices https://archive.org/[...] Britannica Educational Publishing
[58] 간행물 Slaughter
[59] 간행물 Studies in Islamic History and Civilization Brill Publishers 2012-11-13
[60] 문서 Tradition Folk The Site by Hayali Mustafa Mutlu
[61] 문서 Article Saudi Aramco World 1999/John Feeney
[62] 서적 The History of Theatre in Iran Mage
[63] 뉴스 http://www.mehrnews Mehr News Agency 2007-07-07
[64] 뉴스 http://www.iran-dail[...] Iran Daily 2006-03-01
[65] 서적 'Tracing the Way : Spiritual Dimensions of the World Religions' https://books.google[...]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66] 웹사이트 Kairouan Capital of Political Power and Learning in the Ifriqiya (Muslim Heritage) http://www.muslimher[...]
[67] 서적 'Art of Islam, Language and Meaning : Commemorative Edition' https://books.google[...] World Wisdom
[68] 서적 'Pilgrimage: from the Ganges to Graceland :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69] 웹사이트 Al-Quairawan Mosque (Muslim heritage.com) http://www.muslimh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