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도네시아의 역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도네시아의 역사는 구석기 시대부터 시작되어, 자바원인과 같은 초기 인류의 화석이 발견되었다. 기원전 2000년경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이 이주해오면서 현대 인도네시아 인구의 기원이 되었고, 이후 힌두-불교 문명이 발흥하여 스리위자야 왕국과 마자파히트 왕국 등이 번성했다. 13세기 말 이슬람이 전파되어 15세기부터 이슬람 국가들이 등장했으며, 16세기부터는 포르투갈, 네덜란드 등 유럽 열강의 식민 지배를 받았다. 20세기 초 민족주의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의 점령을 거쳐 1945년 독립을 선언했으나, 네덜란드와의 독립 전쟁을 겪었다. 수카르노 대통령 시기에는 민족주의와 권위주의적 통치가 이루어졌고, 신질서 시대에는 수하르토의 개발 독재가 이어졌지만, 1998년 아시아 금융 위기를 겪으며 개혁 시대를 맞이했다. 현재는 민주주의와 경제 발전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며, 테러리즘, 자연재해, 사회적 갈등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네시아의 역사 - 위안부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에 의해 성적 노예로 강제 동원된 여성들을 일컫는 '위안부'는 일본군 공식 문서에도 사용된 용어이나, 국제적으로는 "일본군 성노예"로 불리며, 한국과 중국 출신 여성들이 주로 피해를 입었고, 성병 감소 및 군 기강 유지 목적에도 불구하고 극심한 성적 학대와 비인간적인 대우가 자행되었으며, 한일 관계의 주요 쟁점으로 남아 국제적인 비판을 받고 있다.
  • 인도네시아의 역사 - 아체 술탄국
    16세기 초 수마트라섬 북부에 건국된 아체 술탄국은 이스칸다르 무다 시대에 전성기를 맞이하여 동남아시아 이슬람 문화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지만, 네덜란드와의 전쟁 끝에 19세기 초 식민지화되었다.
  • 아시아 - 브루나이
    브루나이는 보르네오 섬에 위치한 동남아시아 국가로, 이슬람 술탄국으로 독립하여 석유와 천연가스 생산을 기반으로 높은 국민 소득을 유지하며, 국왕이 강력한 권한을 행사하는 입헌 군주국이다.
  • 아시아 - 중앙아시아
    중앙아시아는 유라시아 대륙 중심부에 위치한 지역으로,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을 포함하며 다양한 지형과 기후, 실크로드의 중심지로서의 역사, 그리고 지정학적 경쟁이 치열한 지역이다.
  • 나라별 역사에 관한 - 청나라
    청나라는 만주족이 세운 중국 최후의 통일 왕조로, 후금에서 국호를 변경하여 시작되었고 명나라를 멸망시킨 후 중국 대륙을 통일하여 강희제, 옹정제, 건륭제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서구 열강의 침략과 내부 반란, 근대화 개혁 실패 후 신해혁명으로 멸망, 중국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확보하고 다민족 국가로서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 나라별 역사에 관한 - 토번
    토번은 7세기 초에 건국되어 9세기 중반까지 존속한 티베트의 고대 왕국으로, 당나라와 빈번한 외교 및 전쟁을 벌였으며, 8세기 후반에 불교를 국교로 삼았으나 종교적 갈등과 왕위 계승 분쟁으로 멸망했다.
인도네시아의 역사
지도 정보
기본 정보
Indiae Orientalis 지도
Indiae Orientalis, 17세기 니콜라스 비셔 2세 지도
위치동남아시아
역사선사 시대
힌두교 및 불교 왕국
이슬람 술탄국
기독교 왕국
중국 콩시 연맹
유럽 식민 통치
인도네시아의 부상
인도네시아 공화국
선사 시대
구석기 시대자바 원인: 1,000,000 BP
플로레스인: 94,000–12,000 BP
신석기 시대토바 재앙: 75,000 BP
부니 문화: 400 BCE–500 CE
힌두교 및 불교 왕국
쿠타이 왕국350–1605
타루마나가라400년대–500년대
칸톨리 왕국400년대–500년대
헬링 왕국500년대–600년대
믈라유 왕국600년대–1347
스리위자야600년대–1025
샤일렌드라 왕조600년대–900년대
마타람 왕국716–1016
발리 왕국914–1908
순다 왕국932–1579
카후리판1019–1045
케디리 왕국1045–1221
다르마스라야 왕국1183–1347
판나이 왕국1000년대–1300년대
싱하사리1222–1292
마자파힛1293–1527
이슬람 술탄국
이슬람 전파800–1600
페우렐락 술탄국840–1292
아루 왕국1225–1613
테르나테 술탄국1257–1914
사무드라 파사이 술탄국1267–1521
파가루융 왕국1347–1833
브루나이 제국1368–1888
말라카 술탄국1400–1511
술루 술탄국1405–1851
치레본 술탄국1445–1677
드막 술탄국1475–1554
아체 술탄국1496–1903
테르나테 술탄국1486–1914
바칸 술탄국1515–1946
티도레 술탄국1500년대–1967
자일로로 술탄국1496–1903
반텐 술탄국1526–현재
반자르 술탄국1526–1863
칼리냐맛 술탄국1527–1599
마타람 술탄국1586–1755
조호르 술탄국1528년대–1877
카이마나 왕국1600년대–1926
잠비 술탄국1604년대–1904
팔렘방 술탄국1659–1823
시아크 술탄국1725–1946
수라카르타 수나나테1745–현재
족자카르타 술탄국1755–현재
델리 술탄국1814–1946
리아우-링가 술탄국1824–1911
기독교 왕국
라란투카 왕국1515–1904
시아우 왕국1510–1956
볼라앙 몽온도우 왕국1670–1950
중국 콩시 연맹
허순 연맹1776–1854
란팡 공화국1777–1884
산티아오고우 공화국1777–1853
유럽 식민 통치
포르투갈령 인도네시아1512–1850
스페인령 동인도1521–1677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1602–1799
영국령 벤쿨렌1685–1824
프랑스 및 영국령 과도기1806–1816
네덜란드령 동인도1800–1942, 1945–1949
인도네시아의 부상
인도네시아 민족 각성1908–1942
일본 점령1942–1945
인도네시아 독립 혁명1945–1949
인도네시아 연방 공화국1949–1950
인도네시아 공화국
자유 민주주의1950–1959
유도 민주주의1959–1966
전환기1966–1967
신질서1967–1998
개혁 시대1998–현재
지역
주제별

2. 선사 시대

인도네시아 군도에서 인류의 활동은 플라이스토세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1891년 외제네 뒤부아가 자바원인 (호모 에렉투스) 화석을 발견한 이후, 구석기 시대부터 이 지역에 인류가 거주했음이 밝혀졌다.[166] 빙하기 동안 육지였던 순다 대륙붕순다랜드[165]는 기원전 12000년경부터 기원전 4000년경까지 약 8000년에 걸친 해수면 상승으로 해저로 가라앉았고, 약 1만 년 전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현재와 같은 다도해의 모습이 형성되었다.

기원전 2500년부터 기원전 1500년경에는 중국 남서부 지역에서 이주한 민족이 벼농사를 경작했다. 기원전 2천년기부터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언어를 사용하는 말레이계 민족이 동남아시아 열도에 건너와 각 섬에 정착해 갔다. 기원전 2000년경에는 타이완을 기원지로 하는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이 인도네시아에 도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29] 이 시기 인도네시아 일부 지역은 해상 비취길에 참여했으며, 칼리만탄에는 기원전 2000년부터 서기 1000년까지 3000년 동안 시장이 존재했다.[30][31][32][33]

동손 문화는 습전 벼농사, 의례적인 물소 제물, 청동 주조, 거석 관행, 이카트 직조 방법을 인도네시아로 전파했다. 이러한 관행은 수마트라의 바탁 지역, 수라웨시의 토라자, 누사 텡가라의 여러 섬 등 일부 지역에 남아 있다. 초기 인도네시아인들은 애니미즘 신앙을 가졌으며, 죽은 자의 영혼을 공경했다.

인도네시아의 벼농사 계단식 논의 예


기원전 8세기 초부터 최적의 농업 조건과 습전 벼농사의 발달[34]은 1세기 경 마을, 도시, 소왕국이 번성할 수 있도록 했다. 자바의 덥고 고른 기온, 풍부한 강우량, 화산토는 습전 벼농사에 완벽했으며, 이는 건전 벼농사와는 대조적으로 복잡한 사회 구조를 필요로 했다.

기원전 400년에서 서기 100년 사이 서자바와 반텐의 북쪽 해안에서는 부니 문화의 점토 토기가 번성했다.[35] 부니 문화는 아마도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초기의 힌두교 왕국 중 하나인 타루마나가라 왕국의 전신이었을 것이며, 수많은 비문을 남기고 자바의 역사 시대의 시작을 알렸다.

2. 1. 초기 인류의 흔적

2007년 상기란에서 발견된 두 개의 소과 동물 뼈에 대한 분석 결과, 150만 년에서 160만 년 전 조개껍데기 도구로 만들어진 자국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인도네시아에 초기 인류가 존재했다는 가장 오래된 증거이다. "자바원인"으로 널리 알려진 인도네시아의 *호모 에렉투스* 화석은 1891년 네덜란드 해부학자 외제네 뒤부아에 의해 트리닐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최소 70만 년 전의 것이다.[4][5][6][7] 비슷한 시대의 다른 *H. 에렉투스* 화석들은 1930년대에 인류학자 구스타프 하인리히 랄프 폰 케니히스발트에 의해 상기란에서 발견되었는데, 그는 같은 시기에 응안동에서도 화석을 발굴했고, 더 발전된 도구들도 함께 발견되었다. 이 도구들은 2011년 재연대 측정 결과 55만 년 전에서 14만 3천 년 전 사이의 것으로 밝혀졌다. 1977년에는 삼붕마칸에서 또 다른 *H. 에렉투스* 두개골이 발견되었다.[8]

자바원인( *호모 에렉투스* )의 동형표본 화석들(라이덴의 네이처리스)


1890년대 자바에서 발견된 50만 년 된 조개 화석에 새겨진 사선 형태의 조각은 *H. 에렉투스*와 관련되어 있으며,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오래된 예술 활동의 증거이다(상어 이빨을 사용하여 만들어졌다).[10]

2010년에는 플로레스 섬에서 100만 년 전의 석기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인류의 항해 기술을 시사하는 가장 오래된 유물이다.[9] 2003년, 플로레스 섬에서는 7만 4천 년 전에서 1만 3천 년 전 사이의 것으로 추정되는 키 1.1m의 호미닌 화석이 발견되어 학계를 놀라게 했다. 이 새롭게 발견된 호미닌은 "플로레스인" 또는 *호모 플로레시엔시스*로 명명되었다.[11][12] 2017년에 발표된 계통 분석에 따르면, *H. 플로레시엔시스*는 *호모 하빌리스*와 같은 조상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13] 따라서 *H. 플로레시엔시스*는 이전에 알려지지 않았던 매우 초기 아프리카 이주를 나타낸다. *호모 플로레시엔시스*의 골격 유물은 6만 년에서 10만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며, 골격 유물과 함께 발견된 석기들은 고고학적 지평에서 5만 년에서 19만 년 전의 것들이다.[14]

인도네시아 제도는 최후 빙기 최대기 이후 해빙 과정에서 형성되었다. 초기 인류는 바다를 통해 이동하여 아시아 본토에서 동쪽으로 뉴기니와 오스트레일리아로 퍼져나갔다. *호모 사피엔스*는 약 4만 5천 년 전에 이 지역에 도착했다.[15] 2011년, 이웃 동티모르에서 발견된 증거에 따르면, 4만 2천 년 전 초기 정착민들은 높은 수준의 해양 기술을 가지고 있었고, 참치와 같은 큰 심해어를 잡아 먹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오스트레일리아와 다른 섬에 도달하는 데 필요한 기술을 가지고 있었음을 시사한다.[16]

2021년 연구자들은 레앙 테동게에서 최소 4만 5500년 전 것으로 추정되는 동굴 벽화를 발견했는데, 이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구상 미술 작품이다.


2018년 11월, 과학자들은 인도네시아 보르네오 섬의 루방 제리지 살레 동굴에서 미지의 동물을 묘사한 당시까지 알려진 가장 오래된 구상 미술 그림(4만 년 이상, 혹은 5만 2천 년 전)을 발견했다고 보고했다.[17][18] 이 동굴 벽화의 발견은 인류 문화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왜냐하면 동굴 벽화가 인도네시아유럽에서 동시에 만들어졌다는 견해에 힘을 실어주기 때문이다.[19] 프랑스 보르도 대학교의 선사 시대 미술 전문가인 프란체스코 데리코는 이 조사를 "중대한 고고학적 발견"이라고 묘사했다.[20] 2019년 12월 11일, 막심 오베르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사냥 장면을 묘사한 선사 시대 예술 작품(4만 4천 년 이상)을 석회암 동굴인 레앙 불루 시퐁 4에서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고고학자들은 방해석 '팝콘', 방사성 우라늄토륨의 다른 동위원소 수준 덕분에 돼지와 물소 사냥 장면의 연대를 측정할 수 있었다.[21][22][23]

수라웨시 레앙 불루의 석회암 동굴에 있는 정교한 4.5m 길이의 암각화 패널은 현재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구상 미술 작품으로 간주된다.[24] 이 암각화는 여러 인물들이 멧돼지와 왜소한 소과 동물을 사냥하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이 암각화는 상층부 스펠레오템의 우라늄 계열 분석을 통해 최소 4만 3900년 전의 것으로 밝혀졌다. 최소 3만 9900년 전의 것으로 알려진 레앙 팀푸생의 손바닥 그림은 현재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손바닥 그림이다.[25] 2021년의 발견은 또 다른 동굴인 레앙 테동게에 최소 4만 5500년 전의 동굴 벽화가 있다는 것을 밝혀냈는데, 이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구상 미술 작품이다.[26] 2024년 7월 3일, ''네이처''지는 의인화된 인물들이 돼지와 상호 작용하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으며 크기가 36by인 레앙 카람푸앙의 동굴 벽화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는데, 이는 약 5만 1200년 전의 것으로 밝혀져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그림으로 자리매김했다.[27][28]

현대 인구의 대다수는 오스트로네시아인이다. 그들은 기원전 2000년경에 인도네시아에 도착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타이완이 기원지로 여겨진다.[29] 이 기간 동안 인도네시아 일부 지역은 해상 비취길에 참여했으며, 기원전 2000년부터 서기 1000년까지 3000년 동안 존재했던 칼리만탄의 시장이 있었다.[30][31][32][33] 동손 문화는 습전 벼농사, 의례적인 물소 제물, 청동 주조, 거석 관행, 이카트 직조 방법을 인도네시아로 전파했다. 이러한 관행 중 일부는 수마트라의 바탁 지역, 수라웨시의 토라자, 그리고 누사 텡가라의 여러 섬을 포함한 지역에 남아 있다. 초기 인도네시아인들은 애니미즘 신앙을 가진 사람들이었고, 죽은 자의 영혼이나 생명력이 산 자를 여전히 도울 수 있다고 믿으며 죽은 자의 영혼을 공경했다.

이 지역에서 인류의 활동은 순다랜드가 육지화되기 이전의 플라이스토세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순다랜드는 빙하기에 육지였던 순다 대륙붕을 말한다.[165] 기원전 70000년경부터 기원전 14000년경까지의 빙하기에는 순다랜드가 육지였다. 인도네시아가 현재와 같은 다도해의 모습을 드러낸 것은 약 1만 년 전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그때까지 자바, 수마트라, 보르네오 등을 아시아 대륙과 연결하던 순다랜드가 수몰된 이후의 일이다. 기원전 12000년경부터 기원전 4000년경까지 약 8000년에 걸친 해수면 상승으로 순다랜드는 해저로 가라앉았다.

3. 힌두-불교 문명의 발흥

기원전 1세기경부터 인도 상인들이 인도네시아에 방문하기 시작하면서 인도의 영향을 받은 독자적인 문화가 발전하기 시작했다. 5세기경 보르네오 섬 동부에는 쿠타이 왕국이, 서부 자와에는 타루마나가라 왕국이 번성했다. 쿠타이 왕국은 인도에서 마카사르 해협, 필리핀, 중국으로 이어지는 무역로에 위치하여 중계 무역으로 번영했을 것으로 보인다.

358년에는 살락 왕국에서 타루마나가라 왕국으로 바뀌었다. 669년 자바 서부의 타루마 왕국이 멸망하고 순다 왕국이 건국되었으나, 순다 왕국은 840년대까지 갈루 왕국과 순다 왕국으로 분열되었다.

7세기부터 11세기에 걸쳐 수마트라 남부 팔렘방을 중심으로 하는 스리위자야 왕국(7세기-13세기)이 말라카 해협을 제압하고 남해 무역을 장악하여 불교 문화가 크게 번영하였다.

자와에서는 8세기 전반에 고대 마타람 왕국과 샤일렌드라 왕조(8세기-9세기)가 건국되었다. 샤일렌드라 왕조는 8세기 말부터 9세기 초에 자와 섬 중부에 보로부두르 사원을 건설했는데, 이 사원은 밑면의 한 변이 120m, 높이 약 42m에 달하는 거대한 대승불교 석조 스투파이다.

고대 마타람 왕국은 10세기 초까지 이어졌고, 장대한 힌두교 사원인 프람바난 사원군을 건설했다.

929년에는 동부 자와에 쿠딜리 왕국이 건국되어 무역 이권을 놓고 스리위자야 왕국에 도전했지만, 1016년에 달마완샤 왕이 살해되어 스리위자야가 승리하였다. 그러나 1025년에 남인도를 지배했던 촐라 왕조라젠드라 1세의 군대 원정으로 스리위자야는 타격을 입어 쇠퇴하게 된다.

그 후 자와에서는 1222년에 싱가사리 왕조가 건국되었다.

3. 1. 초기 왕국들

인도네시아의 많은 지역은 인도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36] 2세기부터 12세기까지 팔라바 왕조, 굽타 제국, 팔라 제국, 촐라 왕조와 같은 인도 왕조를 통해 인도 문화는 동남아시아 전역으로 퍼져나갔다.[36]

기원전 200년경 산스크리트어 문서에는 자바와 수마트라에 있는 힌두 왕국인 드비판타라(Dvipantara) 또는 야와드비파(Yawadvipa)에 대한 언급이 나타난다. 인도의 서사시인 라마야나에서 라마의 군대 지휘관인 수그리바는 시타를 찾기 위해 그의 부하들을 야와드비파, 즉 자바 섬으로 파견했다.[37] 고대 타밀어 문서인 마니메갈라이(Manimekalai)에 따르면 자바에는 나가푸람(Nagapuram)이라는 수도를 가진 왕국이 있었다.[38][39][40]

인도네시아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유물은 서자바 우중 쿨론 국립공원에서 발견되었는데, 기원 1세기경으로 추정되는 가네샤의 초기 힌두교 조각상이 파나이탄 섬 락사 산 정상에서 발견되었다.

기원 4세기 초 동칼리만탄 쿠타이의 마하캄 강 근처에서 발견된 7개의 거친 받침돌은 "물라와르만 비문" 또는 유파 비문으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산스크리트 비문 중 하나로 여겨진다. 이 받침돌에는 브라만들이 산스크리트어로 팔라바 문자를 사용하여 물라와르만이라는 왕이 자신의 왕국에서 브라만 사제들에게 막대한 양의 시주를 기증한 것을 기록하고 있다. 이 왕국은 현재 동칼리만탄 주에 위치한 쿠타이 마르타디푸라 왕국으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오래되고 첫 번째 힌두 왕국으로 여겨진다.[42]

358년에는 살락 왕국에서 타루마나가라 왕국으로 바뀌었다. 이 왕국의 5세기 왕 푸르나와르만은 자바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비문인 치아르투른 비문(치아르투른 비문)(보고르 근처에 위치)을 세웠다. 이 비문은 팔라바 문자와 산스크리트어로 쓰여 있으며 1500년이 지난 후에도 여전히 선명하다. 푸르나와르만은 차쿵 강의 흐름을 바꾸고 농업과 정착을 위해 해안 지역의 물을 빼는 운하를 건설한 것으로 보인다.[43] 타루마나가라는 7세기 중반 스리위자야 왕국의 개입으로 669년 멸망했다.

같은 시기인 6세기부터 7세기(501~700년)에는 중국 기록에 언급된 중앙자바 북부 해안에 깔링가 왕국이 건설되었다.[44] 이 왕국의 이름은 고대 인도의 깔링가 왕국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인도와 인도네시아 사이의 고대 연결을 시사한다.

650년수마트라팔렘방에 스리위자야 왕국이 건국되었다. 스리위자야 왕국은 불교국교로 정하기도 했다. 7세기부터 11세기(601~1100년)까지 인도네시아 군도의 정치적 역사는 스리비자야가 지배했다.

8세기 보로부두르 불교 기념물, 샤일렌드라 왕조는 세계에서 가장 큰 불교 사찰이다.


8세기에는 자바에서 샤일렌드라 왕조가 일어나 보로부두르 등에 사원을 건설했다.

자바 섬에 있는 프람바난 사원은 마타람 왕국의 산자야 왕조 시대에 건설되었으며,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큰 힌두교 사원 단지 중 하나이다.


마타람 제국(Mataram Empire)은 8세기부터 10세기까지 현대 요기야카르타 근처 중부 자바에 기반을 둔 인도화 왕국이었다. 이 왕국은 샤일렌드라 왕조, 그리고 나중에는 산자야 왕조에 의해 통치되었다. 왕국의 중심지는 Mpu Sindok에 의해 중부 자바에서 동부 자바로 옮겨졌다. 929년 메라피 산의 분화와 스리위자야 왕국에 기반을 둔 Sailendrans의 정치적 압력이 이동의 원인이 되었을 수 있다.

마타람 왕국의 초대 국왕인 스리 산자야는 창갈 비문에 비문을 남겼다.[46] 요기야카르타 인근에 있는 프람바난의 기념비적인 힌두교 사원은 피카탄에 의해 건설되었다. 다르마왕사는 996년에 마하바라타를 고대 자바어로 번역하도록 명령했다.

750년~850년 사이에 이 왕국은 고전 자바 예술과 건축의 발전을 보였다. 요기야카르타의 마타람 (케두 평원과 케우 평원) 중심지 전역에서 사원 건설이 급증했다. 마타람에 건설된 가장 주목할 만한 사원은 칼라산, 세우, 보로부두르, 프람바난이다. 이 제국은 자바뿐만 아니라 스리위자야 왕국, 발리, 리골(남부 태국), 일부 필리핀 왕국, 그리고 캄보디아의 크메르 제국에 이르기까지 최고의 권력을 가지게 되었다.[47]

요기야카르타 특별주에 있는 세우 사원


후대에 이 왕조는 불교계인 Sailendra 왕조와 힌두교 샤이바교 계열인 Sanjaya 왕조로 나뉘었다. 내전은 불가피했고 그 결과 마타람 제국은 지역과 종교에 따라 두 개의 강력한 왕국으로 나뉘었다. 자바에 있는 마타람 왕국의 샤이바교 계열인 산자야 왕조는 라카이 피카탄이 이끌었고, 수마트라에 있는 스리위자야 왕국의 불교계인 Sailendra 왕조는 발라푸트라데와가 이끌었다.

3. 2. 타루마나가라와 순다

358년부터 669년까지 번영했던 타루마나가라는 오늘날 자카르타 근처 서자바에 위치했다. 이 왕국의 5세기 왕 푸르나와르만은 자바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비문인 치아르투른 비문(보고르 근처에 위치)을 세웠다.[43] 파시르 아위 비문, 문출 비문도 푸르나와르만 왕과 관련된 비문이다. 이 기념물에는 푸르나와르만 왕이 자신의 이름을 새기고 발자국과 코끼리 발자국을 새겼다. 함께 새겨진 비문에는 "여기는 세계를 정복한 영웅적인 정복자 푸르나와르만 왕의 발자국이다"라고 적혀 있다. 이 비문은 팔라바 문자와 산스크리트어로 쓰여 있으며 1500년이 지난 후에도 여전히 선명하다. 푸르나와르만은 차쿵 강의 흐름을 바꾸고 농업과 정착을 위해 해안 지역의 물을 빼는 운하를 건설한 것으로 보인다.[43]

같은 시기인 6세기부터 7세기(501~700년)에는 중국 기록에 언급된 중앙자바 북부 해안에 깔링가 왕국이 건설되었다.[44] 이 왕국의 이름은 고대 인도의 깔링가 왕국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인도와 인도네시아 사이의 고대 연결을 시사한다.

3. 3. 마타람

8세기 전반, 자와 섬에는 고대 마타람 왕국샤일렌드라 왕조(8세기~9세기)가 건국되었다. 샤일렌드라 왕조는 8세기 말부터 9세기 초에 걸쳐 자와 섬 중부에 보로부두르 사원을 건설했다. 보로부두르는 한 변이 120m, 높이가 약 42m에 달하는 거대한 대승불교 석조 스투파이다.

고대 마타람 왕국은 10세기 초까지 이어졌으며, 힌두교 사원인 프람바난 사원군을 건설했다.

3. 4. 스리위자야

7세기부터 11세기에 걸쳐 수마트라 섬 남부 팔렘방을 중심지로 하는 스리위자야 왕국(7세기-13세기)이 말라카 해협을 제압하고 남해 무역을 장악하여 불교 문화가 번성하고 크게 번영하였다.[2]

자와 섬에서는 8세기 전반에 고대 마타람 왕국과 샤일렌드라 왕조(8세기-9세기)가 건국되었다. 샤일렌드라 왕조에 의해 8세기 말부터 9세기 초에 자와 섬 중부에 건설된 보로부두르 사원은 밑면의 한 변이 120m, 높이 약 42m에 달하는 거대한 대승불교의 석조 스투파이다. 캄보디아나 베트남 남부의 참파 왕국까지 원정했다는 설이 있지만, 최근에는 말레이 반도에 있던 오스트로네시아계 사람들을 가리킨다는 견해가 유력하다.[2]

고대 마타람 왕국은 10세기 초까지 이어졌고, 장대한 힌두 사원인 프람바난 사원군을 건설했다.[2]

929년에는 동부 자와에 쿠딜리 왕국이 건국되어 무역 이권을 놓고 달마완샤 왕이 스리위자야 왕국의 패권에 도전했지만, 1016년에 달마완샤가 살해되어 스리위자야가 승리하였다. 그러나 1025년에 남인도를 지배했던 촐라 왕조라젠드라 1세의 군대 원정으로 스리위자야는 타격을 입어 쇠퇴하게 된다.[2]

3. 5. 싱하사리와 마자파힛

1292년 Raden Wijaya영어는 싱가사리 왕국을 계승하여 마자파힛 왕국을 건국했다. 싱가사리 왕국의 마지막 왕 쿠르타나가라는 몽골 제국, 원나라의 사신에게 굴욕적인 처벌을 가해 돌려보냈는데, 이에 분노한 쿠빌라이 칸이 보복 원정을 감행했다. 비록 자와 섬은 원나라의 침공(몽골의 자와 침공)으로 피해를 입었으나, 결국 Raden Wijaya영어는 원군을 격퇴하고 새로운 왕국을 세웠다.[59]

마자파힛 왕국은 명재상 가자 마다의 활약으로 14세기부터 15세기까지 번영을 누렸다. 1365년에 완성된 고대 자와어 서사시 『데샤와르나나』(Desawarnana, 지방의 묘사) (통칭 『』)는 마자파힛 왕국이 자와 섬 동부를 거점으로 현재의 인도네시아 대부분 지역, 필리핀 일부와 말레이시아를 포함한 광대한 영토를 지배했다고 묘사한다.

마자파힛 왕국의 재상 가자 마다의 테라코타 마스크.

4. 이슬람 국가 시대

13세기 말 수마트라 북부에서 이슬람이 확산되기 시작했으며, 파사이 왕국이 이슬람의 중심지가 되었다. 마자파힛 제국 말기에는 왕족들이 이슬람으로 개종했고, 자바 섬에서는 드막 술탄국이 최초의 이슬람 국가가 되었다. 수피 성자들의 포교 활동으로 자바 전역에 이슬람이 퍼져나갔고, 수마트라에서는 아체 술탄국이 이슬람의 중심지로 발전했다.

13세기 말부터 수마트라 섬 북부를 중심으로 이슬람교가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11세기경부터 무슬림 상인들이 인도네시아 지역을 왕래하기 시작했고, 이들은 현지의 지배층과 밀접한 관계를 맺었다.[169] 13세기 말엽에는 수마트라 북부에 파사이 왕국이 이슬람교의 중심지로 성장하였다.[168]

힌두교 국가였던 마자파힛 제국에서는 왕 케르타위자야가 짬파의 무슬림 공주를 아들 브라위자야의 왕비로 맞이하고, 국내에서 이슬람으로 개종하는 것을 허용하였다. 15세기에 마자파힛 제국을 방문한 명나라정화운남 출신의 무슬림 중국인이었다. 그러나 케르타위자야는 무슬림의 경제력에 대항할 힘이 없었고, 왕조의 권위는 쇠퇴하였다.

자바 섬에서는 15세기 말에 건국된 드막 술탄국이 최초의 이슬람 국가였다. 드막 술탄국은 1478년에 마자파힛 제국의 브라위자야 왕에게 종주권을 인정받았다. 자바 북쪽 해안의 이슬람화된 항구 도시 국가들 또한 마자파힛으로부터 독립하면서, 내륙에 세력을 가진 마자파힛 제국은 해안의 항구를 가진 북쪽 국가들에 대한 영향력을 잃게 되었다.[170] 16세기 전반, 드막 술탄국은 마자파힛 제국을 무너뜨리고 자바 섬 최초의 이슬람 국가가 되었다.[171] 이후 드막 술탄국의 지원을 받은 반텐 왕국이 이슬람을 받아들이면서 자바 섬 전역으로 이슬람이 확산되었다.

왈리 상가(9인)라고 불리는 수피 성자들은 자바 섬 각지에 프산트렌을 만들어 자바인 자제들을 교육하고, 민중들에게 이슬람을 확산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172]

수마트라 섬에서는 15세기 말 이미 독립했던 아체 술탄국이 이슬람화되어 이 해역의 교역 중심지로 발전했다. 16세기 전반에는 말라카 해협에 접한 수마트라 동쪽 해안의 대부분 항구 도시들이 이슬람으로 개종했다.[173]

4. 1. 이슬람의 확산

13세기 말경 수마트라섬 북부에서 동남아시아 여러 왕조의 이슬람 수용이 시작되었으며, 그 중심지는 파사이 왕국(سامودرا ڤاساms)이었다.[168] 이보다 앞선 11세기경부터 이미 무슬림 상인들이 왕래하기 시작했고, 그들은 현지 지배층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169]

힌두교 국가였던 마자파힛 제국에서는 말기에 왕 케르타위자야(Kertawijaya)가 짬파에서 무슬림 공주를 아들 브라위자야(Brawijaya)의 왕비로 맞이하고, 국내에서 이슬람으로의 개종을 허용했다. 15세기마자파힛 제국을 방문한 명나라정화운남 출신의 무슬림 중국인이었다. 케르타위자야는 무슬림의 경제력에 대항할 수 없었고, 왕조의 권위는 쇠퇴했지만 이슬람화는 되지 않았다.

자바섬에서 이슬람 국가 성립의 역사는 15세기 말에 건국된 드막 술탄국(Demak Sultanate)에서 시작된다. 드막 술탄국은 1478년에 마자파힛 제국의 브라위자야 왕에게 종주권을 인정받았다. 또한, 자바 북쪽 해안의 이슬람화된 항구 도시 국가들도 마자파힛으로부터 독립하여, 내륙에 세력을 가진 마자파힛 제국은 해안에 접한 좋은 항구를 가진 북쪽 여러 국가들에 대한 영향력을 잃었다.[170] 드막 술탄국은 16세기 전반에 마자파힛 왕국을 무너뜨리고 자바섬에서 최초의 이슬람 국가가 되었다.[171] 자바섬 서부에서도 드막 술탄국의 지원을 받은 반텐 왕국이 이슬람을 받아들이면서 자바섬 전역에 이슬람이 퍼져나갔다.

자바섬에서 활발한 포교 활동을 한 것은 왈리 상가(Wali Sanga, 9인)라고 불리는 수피 성자들이었고, 그들은 자바섬 각지에 프산트렌을 만들어 거기서 자바인 자제들을 교육하고, 민중 수준에서의 이슬람 확산에 적극적인 역할을 했다.[172]

수마트라섬에서는 15세기 말 이미 독립했던 아체 술탄국이 이슬람화되었고, 이 해역의 교역 중심지로서 발전했다. 또한 16세기 전반에는 말라카 해협에 접한 수마트라 동쪽 해안의 대부분 항구 도시가 이슬람으로 개종했다.[173]

4. 2. 마타람 술탄국

1587년에 드막 술탄국을 잇는 마타람 술탄국이 건국되었다.[63] 마타람 술탄국은 자바 섬에서 드막 술탄국과 파장 술탄국 다음으로 세 번째로 등장한 술탄국이었다.

자바의 기록에 따르면, 게데 파마나한(Kyai Gedhe Pamanahan)이 1570년년대에 현재의 수라카르타 근처 동쪽에 있는 파장 왕국의 지원을 받아 마타람 지역의 통치자가 되었다. 파마나한은 즉위 후 게데 마타람(Kyai Gedhe Mataram)으로 불리게 되었다.[64]

파마나한의 아들인 세나파티(Panembahan Senapati)는 1584년경 아버지를 대신하여 왕위에 올랐다. 세나파티 치하에서 마타람은 이웃 국가들에 대한 꾸준한 군사 작전을 통해 크게 성장했다. 예를 들어, 그는 즉위 직후 아버지의 후원자인 파장을 정복했다.[27]

세나파티의 아들인 세다 잉 크라피악(Panembahan Seda ing Krapyak, 수후수난 아냐크라와티(Suhusunan Anyakrawati)) (약 1601년~1613년)의 통치 기간은 특히 동자바의 주요 중심지였던 강력한 수라바야와의 전쟁이 지배적이었다. 마타람과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의 최초 접촉은 크라피악 시대에 이루어졌다. 당시 네덜란드의 활동은 제한적인 해안 정착지에서의 무역으로 제한되었으므로 내륙 마타람 왕국과의 상호 작용은 제한적이었지만, 1613년 수라바야에 대항하는 동맹을 맺었다. 크라피악은 그해 사망했다.[65] 크라피악의 뒤를 이은 그의 아들은 자바 기록에서 술탄 아궁(Sultan Agung of Mataram, "위대한 술탄")으로 알려져 있다. 아궁은 1613년부터 1646년까지의 그의 긴 통치 기간 동안 광범위한 군사 정복으로 인해 마타람의 큰 확장과 지속적인 역사적 유산을 책임졌다.

4. 3. 반텐 술탄국

1526년에 반텐 술탄국이 건국되었다.[1] 1579년 반텐 술탄국의 개입으로 순다 왕국이 멸망했다.[1]

5. 식민 시대

16세기부터 포르투갈, 스페인, 네덜란드, 영국 등 유럽 열강들은 인도인도네시아'향신료 제도'에서 향신료 무역을 장악하기 위해 경쟁했다. 당시 향신료는 유럽에서 매우 비싼 값에 거래되었는데, 부패한 고기를 보존하고 먹을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약재나 마법 물약으로도 사용되었기 때문이다.[67]

1602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가 자바섬에 진출하면서 네덜란드에 의한 식민지화 시대가 시작되었다. 네덜란드는 이 지역에 먼저 도착했던 포르투갈이나 경쟁 관계에 있던 영국을 물리치고 지배권을 확보했다. 1619년에는 반텐 왕국의 수도 자카르타를 정복하고 바타비아로 이름을 바꾸었다.

18세기에는 3차례에 걸친 자바 계승 전쟁(1704년~1708년, 1719년~1723년, 1749년~1757년)과 화교 학살 사건(1740년)으로 마타람 왕국이 4분할되어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보호 아래 편입되면서 자바섬 전역이 그 지배하에 놓였다. 1825년에는 술탄 가문의 디포네고로가 네덜란드에 대한 반란을 일으켰지만, 1830년에 진압되었다(자바 전쟁).

19세기에 들어서면서 나폴레옹 전쟁으로 네덜란드 본국의 혼란을 틈타 일시적으로 지배력이 약해지기도 했지만,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가 해산되고 네덜란드 본국에 의한 직접 통치가 시작되면서 경제적 착취는 더욱 강화되었다.

1824년 영란 조약은 아체 전쟁(1873년-1913년)의 도화선이 되었고, 이 전쟁에서 네덜란드가 승리하면서 수마트라섬의 지배권도 확립되었다. 포르투갈령 티모르(현 동티모르)를 제외한 동인도 제도 전체가 네덜란드령이 된 것은 20세기에 들어서였다.

5. 1. 포르투갈인

포르투갈은 항해술, 조선술, 무기 기술에서 새롭게 얻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대담한 탐험과 확장을 위한 원정을 감행했다. 1512년 새롭게 정복한 말라카에서 파견된 최초의 탐험대를 시작으로, 포르투갈은 인도네시아에 도착한 최초의 유럽인이었으며, 귀중한 향신료의 원천을 장악하고 가톨릭교회의 선교 활동을 확대하려 했다.[69] 포르투갈은 동쪽으로 말루쿠 제도로 향했고, 군사 정복과 지역 통치자들과의 동맹을 통해 테르나테, 암본, 솔로르 등의 섬에 무역 기지, 요새, 선교지를 설립했다. 그러나 포르투갈 선교 활동의 절정기는 16세기 후반에 이르렀다. 궁극적으로 말루쿠에서 토착 테르나테인들과 네덜란드인들에게 패배하고, 지역 무역 장악에 실패하면서 포르투갈의 인도네시아 영향력은 현대 누사틍가라의 솔로르, 플로레스, 티모르로 축소되었다.[70] 아시아 무역을 지배하려는 포르투갈의 초기 야망과 비교하여, 인도네시아 문화에 대한 그들의 영향은 미미했다. 낭만적인 ''크롱콩'' 기타 발라드, 포르투갈어말레이어와 함께 군도의 공용어 역할을 했음을 반영하는 많은 인도네시아어 단어, 그리고 동인도네시아의 많은 가족 이름(다 코스타, 디아스, 드 프레테스, 곤살베스 등) 등이 있다. 포르투갈의 도착으로 인한 가장 중요한 영향은 주로 말라카 정복의 결과로 무역망의 붕괴와 혼란, 그리고 인도네시아에서의 최초의 중요한 기독교 전파였다. 동인도네시아에는 현재까지 기독교 공동체가 존속하고 있으며, 이는 특히 암본인들 사이에서 유럽인들과의 공동 관심사를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71]

5. 2.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1602년 네덜란드는 동인도 회사를 설립하여 향료 무역 독점을 통해 인도네시아를 지배하기 시작했다. 이후 영국과의 경쟁 끝에 1824년 조약으로 네덜란드의 인도네시아 지배가 확립되었다.

동인도의 네덜란드 식민지. 바타비아(현재 자카르타), 자바, 약 1665년.


16세기부터 유럽 국가들은 인도와 인도네시아의 '향신료 제도'(말루쿠 제도)에서 향료 무역을 장악하려 경쟁했다. 당시 향신료는 매우 비쌌으며, 부패한 고기를 보존하고 먹을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약재나 마법 물약으로도 높이 평가되었다.[67]

1602년, 네덜란드 의회는 VOC(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에 무역과 식민 활동 독점권을 부여했다. 1619년, VOC는 서자바의 자야카르타(현재의 자카르타)를 정복하고 바타비아를 건설했다. VOC는 자바 내정에 깊이 관여했으며, 마타람과 반텐 지도자들과 관련된 여러 전쟁을 치렀다.

네덜란드는 포르투갈의 전략을 따랐지만 더 나은 조직, 무기, 배, 재정적 지원을 제공했다. 인도네시아 향신료 무역 통제에는 실패했지만, 자바에 영구적인 발판을 마련하여 가장 부유한 식민지 중 하나를 건설했다.[71]

17세기 중반, 바타비아는 중요한 무역 중심지가 되었다. 바타비아는 자바인들의 마타람 술탄국의 공격을 격퇴했다. 1641년, 네덜란드는 말라카를 점령하여 아시아에서 포르투갈의 입지를 약화시켰다. 1667년 마카사르를 패배시켜 무역을 통제했고, 수마트라 항구들도 통제하에 두었으며, 1660년 마지막 포르투갈인들을 추방했다. 후추 무역 독점권과 영국 추방의 대가로 1680년 반텐 통치자의 아들이 아버지를 전복하는 것을 도왔다. 18세기까지 VOC는 인도네시아 제도에 확고히 자리 잡아 섬 간 무역을 통제했다. VOC는 자바, 말루쿠, 술라웨시, 수마트라, 말레이 반도의 일부 항구에 중요한 기지를 건설했다.

1660년부터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술라웨시섬마카사르 서해안에서 과의 전쟁에 돌입하여 1669년에 술라웨시섬 지배에 관한 을 체결했다. 1665년부터 1667년까지의 제2차 영란 전쟁에서 반다 제도룬섬(향신료 무역)과 뉴네덜란트 식민지의 뉴암스테르담(모피 무역)의 자치권을 교환하여 획득하고, 향신료 무역(육두구, 정향 등)의 독점을 꾀했다.

5. 3. 프랑스와 영국의 개입

1800년 네덜란드프랑스 제1제국에 함락되고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가 해산되면서 동인도의 유럽 식민 통치에 중대한 변화가 일어났다. 동인도 회사의 자산은 네덜란드 식민지인 네덜란드령 동인도로 국유화되었다. 한편, 유럽나폴레옹 전쟁으로 황폐해졌다. 네덜란드에서는 1806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바타비아 공화국을 해산하고, 나폴레옹의 세 번째 형제인 루이 보나파르트(Lodewijk Napoleon)가 통치하는 프랑스의 꼭두각시 왕국인 네덜란드 왕국으로 대체했다. 동인도는 네덜란드 중개자를 통해 관리되는 간접적인 프랑스 식민지로 취급되었다.

1806년, 네덜란드 국왕 Lodewijk는 그의 장군 중 한 명인 허먼 빌럼 다엔델스를 자바에 주둔하는 동인도 총독으로 파견했다. 다엔델스는 예상되는 영국 침공에 대비하여 자바의 방어를 강화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1685년부터 영국은 수마트라 서해안의 Bencoolen과 말라카 해협 북쪽의 여러 거점에 주둔하고 있었다. 다엔델스는 Anjer에서 Panaroecan까지 북부 자바를 가로지르는 대포스트 도로(Jalan Raya Posid) 건설을 담당했다. 1000km에 달하는 이 도로는 자바 전역의 물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단 1년 만에 완공되었지만 수천 명의 자바 노동자들이 강제 노역으로 사망했다.[72] 1811년, 자바는 영국에 점령되어 영국 제국의 영토가 되었고, 스탬퍼드 래플스가 섬의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래플스는 자바의 여러 지역 군주들에 대한 여러 군사 원정을 시작했는데, 그 예로 1812년 6월 21일 욕야카르타 크라톤 공격과 팔렘방의 술탄 마무드 바다루딘 2세에 대한 군사 원정, 그리고 인근 방카 섬 점령 명령이 있다.[73][74]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자바의 많은 고대 유적들이 재발견되고 발굴되어 체계적으로 목록화되었는데,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은 중부 자바의 보로부두르 불교 사원의 재발견이다.[75][76] 래플스는 자바 역사에 열정적이었으며, 나중에 1817년에 출판된 "자바의 역사"라는 책을 저술했다. 1816년, 영국 총독 John Fendall의 통치 하에, 1814년 영국-네덜란드 조약에 따라 자바는 네덜란드의 통치로 반환되었다.[77][78]

5. 4. 네덜란드 국가 통치

1800년 동인도회사(VOC)가 파산하면서 해체되고,[79] 라플레스 총독 시대의 영국 통치가 끝난 후, 1816년 네덜란드 국가가 VOC의 소유지를 인수했다. 1825년부터 1830년까지 자바 전쟁에서 자바인의 반란이 진압되었다. 1830년 이후 자바에서는 강제 경작과 강제 노역 제도인 강제 경작 제도(네덜란드어: ''cultuurstelsel'')가 도입되었다. 이 제도는 네덜란드와 인도네시아 동맹국에 막대한 부를 가져다주었다. 강제 경작 제도는 농민들을 그들의 땅에 묶어두었고, 일 년에 60일 동안 정부 소유의 농장에서 일하도록 강요했다. 이 제도는 1870년 이후 더 자유로운 시대에 폐지되었다. 1901년 네덜란드는 원주민 교육에 대한 투자를 다소 늘리고 소규모 정치 개혁을 포함하는 윤리 정책을 채택했다.

네덜란드령 동인도를 "우리의 가장 귀중한 보석"으로 묘사한 네덜란드 제국주의 회화(1916)


네덜란드 식민 지배자들은 군인, 행정관, 관리자, 교사 및 개척자들로 구성된 특권적인 상류 사회 계급을 형성했다. 그들은 "원주민"들과 함께 살았지만, 엄격한 사회적 및 인종적 카스트 제도의 최상위에 있었다.[80][81] 네덜란드령 동인도에는 유럽인과 원주민이라는 두 가지 법적 시민 계급이 있었으며, 1920년에 외국 동양인이라는 세 번째 계급이 추가되었다.[82]

항구와 도로 인프라 개선은 경제 현대화, 지역 사회에 대한 임금 지출, 상업 촉진 및 군사 이동 속도 향상을 목표로 한 네덜란드의 최우선 과제였다. 1950년까지 네덜란드 엔지니어들은 아스팔트 포장 도로 12,000km, 포장 도로 41,000km, 자갈 도로 16,000km의 도로망을 건설 및 개선했다.[83] 또한 네덜란드는 7500km의 철도, 다리, 140만 헥타르(5,400 평방마일)의 논을 포함하는 관개 시스템, 여러 항구 및 140개의 공공 식수 시스템을 건설했다. 이러한 네덜란드가 건설한 공공 사업은 식민지 국가의 경제적 기반이 되었고, 독립 후에는 인도네시아 인프라의 기반이 되었다.[84]

식민지 시대 대부분 동안 네덜란드의 인도네시아 군도 영토에 대한 통제는 불안정했다. 어떤 경우에는 인도네시아 일부 지역에서 네덜란드 경찰과 군대의 행동이 매우 잔혹했다. 예를 들어, 최근 아체에서의 네덜란드의 잔혹 행위에 대한 논의는 네덜란드 통치의 이러한 측면에 대한 새로운 연구를 촉진했다.[85] 최초의 네덜란드 무역소가 설립된 후 3세기가 지난 20세기 초에야 식민지 영토의 전체 규모가 확립되었고 현대 인도네시아 국가의 경계가 될 지역 전반에 걸쳐 직접적인 식민 통치가 행사되었다.[86]

6. 인도네시아의 형성

20세기 초 인도네시아에서는 민족주의 운동이 시작되었다. 1908년 부디 우토모가 결성되었고,[87] 1912년에는 사레카트 이슬람이 결성되어 9만 3천 명의 회원을 확보했다.[88]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네덜란드의 탄압에도 불구하고 민족주의 운동은 지속되었으며, 인도네시아 공산당(PKI)도 성장했다.[89] 수카르노와 모하마드 하타 등 민족주의 지도자들은 체포되기도 했지만,[90][91] 1928년 "청년의 맹세"를 통해 인도네시아라는 하나의 조국, 민족, 언어를 확인하며 독립 의지를 다졌다.[180]

제2차 세계 대전일본 점령은 네덜란드의 지배를 종식시키고,[97][98] 인도네시아 독립 운동을 더욱 고취시켰다. 일본은 석유 등 천연자원 확보를 위해 인도네시아인들에게 완화 정책을 펼치며, 수카르노와 모하마드 하타 등 민족주의 지도자들을 석방하고 이슬람 단체들의 협력을 얻었다. 일본은 인도네시아어와 일본어 교육을 실시하고, 병보와 향토방위의용군을 통해 군사 훈련을 제공했다.

일본군 자전거 보병대가 네덜란드령 동인도 점령 기간 중 자바를 통과하고 있다.


항복 당시 네덜란드령 동인도의 일본군 사령관들


1945년 3월, 일본은 독립 준비 작업 조사 위원회(BPUPK)를 설립했고,[100] 1945년 8월 17일, 일본의 항복 후 수카르노는 인도네시아 독립을 선포했다.[101] 그러나 네덜란드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인도네시아 독립전쟁을 일으켰다. 인도네시아는 일본군으로부터 획득한 무기와 일본군 출신 병사들의 도움을 받아 독립전쟁을 이어갔고, 결국 1949년 12월 27일, 네덜란드는 네덜란드-인도네시아 원탁 회의를 통해 인도네시아의 독립을 승인했다.[184]

6. 1. 인도네시아 민족 각성

1908년 10월, 최초의 민족주의 운동인 부디 우토모(Budi Utomo)가 결성되었다.[87] 1912년 9월 10일에는 최초의 민족주의 대중 운동인 사레카트 이슬람(Sarekat Islam)이 결성되었다.[88] 1912년 12월까지 사레카트 이슬람은 9만 3천 명의 회원을 보유하게 되었다.[88]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네덜란드는 탄압적인 조치로 대응했다. 민족주의 지도자들은 소규모의 젊은 전문가와 학생들로 구성되었으며, 그중 일부는 네덜란드에서 교육을 받았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시대에는 제3인터내셔널과 연관된 인도네시아 공산주의자들이 민족주의 운동을 장악하기 시작했다.[89] 민족주의 운동 탄압으로 많은 사람이 체포되었는데, 1929년 12월 29일에는 정치 활동으로 투옥된 인도네시아 초대 대통령 수카르노(Sukarno) (1901~1970)도 포함되었다.[90] 인도네시아 초대 부통령인 모하마드 하타(Mohammad Hatta)[91]와 이후 인도네시아 초대 총리가 된 수탄 샤히르(Sutan Sjahrir)도 같은 날 체포되었다.[92]

1914년 망명한 네덜란드 사회주의자 헨크 스네브리트(Henk Sneevliet)는 인디즈 사회민주당(Indies Social Democratic Association)을 창립했다. 처음에는 소규모 네덜란드 사회주의자들의 모임이었지만, 나중에는 1924년 인도네시아 공산당(PKI, Communist Party of Indonesia)으로 발전했다.[93]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시대에 네덜란드는 모든 변화 시도를 강력하게 탄압했고, 이는 PKI의 성장으로 이어졌다. 1924년 12월까지 PKI는 1,140명의 회원을 보유했고,[93] 1년 후인 1925년에는 회원 수가 3,000명으로 증가했다.[93] 1926년부터 1927년까지 PKI 주도로 네덜란드 식민주의와 도시 노동자들의 파업에 대한 가혹한 탄압에 반란이 일어났다.[94] 그러나 네덜란드는 파업과 반란을 진압했고, 약 1만 3천 명의 민족주의자와 공산주의 지도자들이 체포되었으며, 약 4,500명이 징역형을 선고받았다.[94]

수카르노는 1931년 12월에 석방되었지만,[95] 1933년 8월 1일에 다시 체포되었다.[96]

20세기 초, 네덜란드는 현지 주민의 복지 향상과 본국에서 식민지 정부로의 권한 위임을 추진하는 "윤리 정책"을 시행했다. 이 정책으로 현지 주민에게 초등 교육 기회가 주어졌고, 일부 엘리트 자녀들에게는 네덜란드어로 전문 교육을 받을 기회가 주어졌다. 그러나 친 네덜란드적인 엘리트를 제외한 현지 주민들은 여전히 초등 교육 이상의 기회를 얻지 못했다.

네덜란드어로 교육받은 학생들 사이에서 민족 독립을 지향하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1908년 부디 우토모(Budi Utomo)처럼 자바인의 사회적 지위 향상을 위한 온건한 활동이 시작되었다.[175] 1911년 결성된 사레카트 이슬람(Sarekat Islam)은 처음에는 화교 상인에 대항하기 위해 자바의 바틱 상인이 결성했지만, 점차 동인도 전역으로 확대되는 대중 조직이 되었다. 사레카트 이슬람(Sarekat Islam)의 지도자 초크로아미노토는 열정적인 연설로 인기를 얻었다.[177]

제1차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사레카트 이슬람(Sarekat Islam)의 회원 수는 200만 명을 넘어섰고, 독립과 사회주의를 내걸게 되었다. 1920년에는 인도네시아 공산당이 성립되어 코민테른에 가입했다. 인도네시아 공산당은 사레카트 이슬람(Sarekat Islam) 내부에서 영향력을 강화하려 했고, 이는 민족주의 운동의 분열을 초래했다.[179] 인도네시아 공산당은 1926년부터 1927년에 걸쳐 무장 봉기를 일으켰지만, 식민지 정부의 탄압을 받았다. 이후 민족주의 운동은 수카르노(Sukarno) 등이 1927년에 결성한 인도네시아 민족당 등 세속주의를 내거는 단체들이 주도하게 되었다.

전쟁 전 인도네시아 민족주의 운동의 정점은 1928년 10월 27일에 개최된 인도네시아 청년 회의에서 채택된 “청년의 맹세”였다.[180] 이 맹세는 인도네시아라는 하나의 조국, 민족, 언어를 확인하며, “인도네시아(Indonesia)”라는 이름을 통해 다양한 민족을 통합하고 독립을 달성하겠다는 결의를 보여주었다.

6. 2. 일본 점령

제2차 세계 대전일본군의 침략과 점령은 네덜란드의 지배를 중단시키고,[97][98] 이전까지 억압되었던 인도네시아 독립 운동을 고무시켰다. 1940년 5월, 제2차 세계 대전 초기에 나치 독일이 네덜란드를 점령했지만, 망명 네덜란드 정부는 런던을 중심으로 네덜란드령 동인도를 계속 통제했다. 네덜란드령 동인도는 일본으로 수출될 예정이었던 물품들을 미국과 영국으로 우회시켰다. 일본은 1941년 12월 동남아시아 정복을 시작했고,[99] 1942년 3월 동인도에서 네덜란드군을 완전히 몰아냈다.

1942년 7월, 수카르노는 일본의 전쟁 노력을 지지하는 대중 결집 제안을 수락했고, 모하마드 핫타와 함께 1943년 일본 천황으로부터 훈장을 받았다. 그러나 네덜란드령 동인도 점령의 경험은 거주 지역과 사회적 지위에 따라 크게 달랐다. 전쟁 수행에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지역에 거주하는 많은 사람들은 고문, 성노예, 자의적 체포 및 처형과 같은 전쟁범죄를 경험했다. 인도네시아에서 강제 노역자(로무샤)로 끌려간 수천 명이 학대와 기아로 인해 고통을 받거나 사망했다. 네덜란드인과 네덜란드-인도네시아계 사람들은 특히 일본 점령의 표적이 되었다.

1945년 3월, 일본은 독립 준비 작업 조사 위원회(BPUPK)를 설립했다.[100] 5월 첫 회의에서 수포모는 국가 통합을 강조했고, 무하마드 야민은 신생 국가가 영국령 보르네오, 말레이아 연방, 포르투갈령 티모르 및 네덜란드령 동인도의 전전 영토를 모두 주장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위원회는 1945년 헌법을 초안했다. 1945년 8월 9일 수카르노, 핫타, 라지만 위디오디닝랏은 베트남에서 테라우치 히사이치 원수를 만나 8월 24일에 인도네시아 독립을 선포할 것이라는 말을 들었다. 그러나 일본의 항복 후, 수카르노는 8월 17일에 일방적으로 인도네시아 독립을 선포했다. 유엔 보고서는 일본 점령으로 인해 인도네시아에서 400만 명이 사망했다고 밝혔다.[101]

태평양 전쟁(대동아 전쟁) 중이던 1942년 2월, 일본군의 침공으로 네덜란드의 식민지 지배는 붕괴되었다. 동인도를 점령한 일본은 일본 육군의 이무라 준 중장에 의해 전역을 군정 지배하에 두었다. 석유를 비롯한 천연자원 확보를 위해 군정에 현지 주민의 협력을 얻을 필요가 있었고, 이무라 중장의 군정 하에서는 인도네시아인에 대한 완화 정책을 기본으로 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네덜란드에 의해 유형지에 있던 수카르노와 하타 등 민족주의 운동 지도자들을 석방하고, 나흐다투르울라마 등 이슬람 계열 단체의 종교 지도자들에게 협력을 요청하여, 그들의 지도력을 이용해 물적·인적 자원의 조달을 시도했다. 민족주의 운동 지도자들도 군정 당국에 의해 주어진 지위를 활용하여 민중에게 호소하고, 민족 의식을 고취했다. 그러한 활동으로 수카르노 등은 민족 지도자로서의 지위를 확립해 나갔다.

일본은 네덜란드 지배하에서 박해받았던 이슬람교의 존재를 인정하고, 이슬람교도에 의한 활동을 자유화했으며, 네덜란드어 대신 인도네시아어와 일본어에 의한 교육을 실시했다.

1942년 4월, 일본은 네덜란드령 동인도에 설치되어 있던 인종별 여러 종류의 제1심 재판소 중 지방 재판소(Tihoo Hooin, 지방 법원)만을 남기고 일원화하고, 다른 재판소는 폐지했다.[181][182] 유럽인 전용의 소송법도 무효가 되었다.[183]

군정 당국은 동인도의 병력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병보와 향토방위의용군을 설립하여 현지 주민 자녀들에게 군사훈련을 실시했다. 이 군사 교육을 받은 젊은이들은 이후 인도네시아 독립 전쟁에서 네덜란드와 싸우는 인도네시아 군사 조직의 장교단을 형성하게 되었다.

임팔 작전의 실패로 전황이 악화되자, 일본은 인도네시아의 독립을 인정하는 방침으로 변경했다. 1944년 9월에는 인도네시아 국기를 게양하고 국가를 제창하는 것을 허용했으며, 1945년 3월에는 독립 준비 위원회를 발족시켰다.

6. 3. 인도네시아 독립 혁명

2차 대전 중 인도네시아는 일본군의 지배 하에 있었는데 1945년 대전이 끝나면서 수카르노가 인도네시아의 독립을 선언했다. 인도네시아 지역의 지배권을 잃고 싶지 않던 네덜란드는 인도네시아 독립전쟁을 일으켰으나, 결국 인도네시아가 1949년 12월 27일 정치적으로 승리한다. 1949년 인도네시아는 네덜란드 연합 산하의 독립국가로 발족했다.[184] 1950년에는 인도네시아가 UN의 승인을 받았다.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연합국에 항복하자, 독립이 무산될 것을 우려한 수카르노 등 민족주의자들은 같은 달 17일 자카르타 푸간사안 티무르 거리 56번지 수카르노 자택 앞에서 인도네시아 독립을 선언했고, 수카르노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1945년 8월 18일, 인도네시아는 헌법을 제정·공포·시행하였다.[183]

하지만 네덜란드는 이 독립 선언과 수카르노의 대통령 취임을 무효로 하였고, 독립을 추구하는 수카르노와 하타 등 민족주의자들과 부디만 등 군인들, 그리고 일본군의 무장 해제를 실시한 영국군, 그리고 식민 지배 재개를 희망하며 돌아온 네덜란드군 사이에서 4년에 걸쳐 인도네시아 독립 전쟁이 벌어졌다.

전쟁 이전 네덜란드의 가혹한 착취를 없애고 독립을 추구하는 사람들의 전의는 높았고, 도검, 죽창, 몽둥이, 독화살, 함정 등의 무기 외에도 항복 후 일본군이 철수하고 네덜란드와 영국의 관리 하에 놓인 병기고에서 빼앗거나, 항복을 받아들이지 않은 일부 일본군인들이 빼돌린 무기와 탄약으로 무장하여 다양한 수단으로 연합군을 괴롭혔다. 독립파에는 일본 군정 하에서 독립파에 대한 군사 훈련을 실시했던 일본군인 2000명이 가담하여 훈련, 교육, 선무에 활약했고, 그중 절반은 전사했지만 전투에 참가한 자들도 있었다.

이 전쟁의 결과, 극도로 피폐해진 네덜란드군은 결국 재식민화를 포기하였고, 1949년 12월 유엔의 중재로 덴 하흐에서 열린 네덜란드-인도네시아 원탁 회의(헤이그 원탁 회의)를 통해 네덜란드는 공식적으로 인도네시아 연방 공화국 (Republik Indonesia Serikatid)의 독립을 승인하였다.

7. 수카르노 대통령 시대

수카르노(Soekarno) 대통령


수카르노는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인도네시아의 독립을 선언하고, 인도네시아 독립전쟁을 거쳐 1949년 네덜란드로부터 주권을 이양받았다. 1956년 네덜란드와의 관계를 단절하고 완전한 독립국이 되었다.[117]

수카르노는 "민족 독립의 아버지"로 불리며, 낭만적인 혁명가로서 대중에게 열광적인 지지를 받았다. "방"(형)으로 불리며 서구에 맞서 싸울 용기가 있는 민중의 지도자로 자신을 묘사했다.[117] 그는 민족주의(Nasionalisme), 종교(Agama), 공산주의(Komunisme) 세력을 통합하는 '나사콤' 이념을 제시하며, 온 국민이 단결하여 국가적 위기를 극복할 것을 호소했다.

수카르노는 1955년 아시아 아프리카 회의(반둥 회의)를 주최하여 국제무대에서 지도자로 주목받았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1950년 헌법 하에서 의회 민주주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고, 정당 간의 갈등과 부패로 인해 정치적 혼란이 지속되었다. 이에 수카르노는 1959년 제헌 의회를 해산하고 대통령에게 강력한 권한을 부여하는 1945년 헌법으로 복귀했다.

1961년 12월, 수카르노는 서뉴기니(이리안자야)를 점령하고, 1963년 5월 UN의 중재로 통치권을 이관받았다.[194] 1963년에는 말레이시아와의 ''콘프론타시''를 시작하여 "말레이시아 분쇄"를 외치며 영토 분쟁을 일으켰다. 이로 인해 미국과 IMF의 경제 원조가 중단되고 국제 사회에서 고립되자, 수카르노는 중국에 급속히 접근했다. 1965년 1월 7일에는 UN을 탈퇴했고,[196] 같은 해 8월 17일에는 세계은행과 IMF 탈퇴를 선언했다.[197]

수카르노 집권 시기에는 보건 및 교육 분야에서 개혁이 이루어졌고,[119] 노동자 옹호 조치가 시행되었다.[120] 그러나 경제 상황은 악화되어 1960년대 중반에는 인플레이션이 1,000%에 달하고, 수출 수입 감소, 인프라 붕괴 등으로 인해 심각한 빈곤과 기아가 만연했다.[118][121]

7. 1. 민주주의 실험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수카르노의 독립 선언과 인도네시아 독립전쟁을 거쳐 1949년 12월 27일 네덜란드로부터 주권을 이양받았다. 1950년에는 UN의 승인을 받았고, 1956년에는 네덜란드와의 관계를 단절하고 완전한 독립국이 되었다.

독립 이후 인도네시아 사회는 관습, 종교, 지역, 이념 등의 차이로 분열되기 시작했다. 식민 통치와 전쟁의 후유증으로 빈곤, 경제 파탄, 낮은 교육 수준, 권위주의적 전통 등의 문제에 직면했다.[111][112] 다룰 이슬람의 게릴라 투쟁, 남말루쿠 공화국의 독립 선언, 수마트라와 술라웨시의 반란 등은 공화국의 권위에 대한 도전이었다.

1950년 헌법은 의회 정부 체제를 채택하고, 의회에 책임을 지는 행정부를 규정했다. 또한 세계인권선언을 참고하여 인권에 대한 헌법적 보장을 상세히 규정했다.[113] 그러나 정당 난립으로 인해 1945년부터 1958년까지 17개의 내각이 빈번하게 교체되었다.

1955년에 실시된 총선에서는 인도네시아 국민당(PNI)이 1위를 차지하고 인도네시아 공산당(PKI)도 상당한 지지를 얻었지만, 과반수를 획득한 정당은 없었다. 이로 인해 불안정한 연립 정부가 지속되었다.[112]

1949년 12월 27일 헤이그 협정에 따라 네덜란드에서 '''인도네시아 연방 공화국'''으로 주권이 이양되었다. 이 연방 공화국은 16개의 국가·자치 지역으로 구성되었는데, 그 중 자와섬의 약 절반과 수마트라섬의 대부분을 차지했던 인도네시아 공화국의 인구는 연방 공화국 전체 4,600만 명 중 3,100만 명이었다.[186][187]

구성국
인도네시아 공화국
동인도네시아
파순단
동자와
마두라
중부자와
방카섬
빌리톤섬
리아우 제도
[186]



인도네시아 공화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구성국은 독립 전쟁 중 네덜란드가 만든 괴뢰 국가였다. 그러나 독립 전쟁 말기에는 이들 국가에서도 "네덜란드 탈피"가 진행되었고, 1950년 8월 15일, 연방 공화국은 해체되고 단일 '''인도네시아 공화국'''이 출범했다.[188][189] 같은 날 의회 민주주의를 채택한 인도네시아 공화국 잠정 헌법('''1950년 헌법''')이 공포·시행되었다.

헤이그 협정에 따라 인도네시아 연방 공화국과 네덜란드는 네덜란드 여왕을 수장으로 하는 '''Nederlands-Indonesische Unienl''' (Uni Belanda-Indonesiaid)을 형성하기로 했지만, 1954년 8월, 네덜란드와의 연합 국가 해소가 선언되었다.[190]

1956년에는 헤이그 협정을 공식적으로 파기하고, 1957년 12월에는 인도네시아 국내에 남아 있던 네덜란드인들을 추방했다.

1955년 9월 29일에 실시된 인도네시아 최초의 국민의회 의원 선거에는 다양한 정당들이 참여했고, 3,900만 명 이상의 인도네시아 국민이 투표했다. 인도네시아 국민당, 마슈미, 나흐다투르울라마당, 인도네시아 공산당의 4대 정당이 표를 나누어 가지면서 복잡한 정치적 대립이 나타났다. 민족·종교·이데올로기를 달리하는 정당들 간의 타협은 어려웠고, 의회는 공전했으며, 이 시기의 내각들은 모두 단명했다.[191]

독립 전쟁 기간 동안 행정부와 군대 내부에서는 권력 분산이 진행되었고, 중앙 정부의 통제는 지방에 제대로 미치지 못했다. 아체주의 다우드 푸르에의 반란, 서자와의 세카르마지 마리얀 카르토스위르요의 (1962년 총살), 남술라웨시주의 의 반란, 그리고 서수마트라의 및 인도네시아 공화국 혁명 정부[192] 등, 인도네시아는 국가 분열의 위기에 처해 있었다.

이 당시 수카르노는 1955년 아시아 아프리카 회의(반둥 회의)를 주최하는 등 국제 무대에서 지도자로 주목받았지만, 국내 정치에서는 1950년 헌법 하에서 리더십을 발휘하기 어려웠다.[193]

수카르노는 의회 민주주의의 기능 불능과 정당 정치인들의 부패를 목격하고, 1959년 7월, 제헌 의회 해산과 1945년 헌법으로의 복귀를 선언했다.

7. 2. 지도 민주주의

수카르노는 1957년 2월, 군부의 지지를 바탕으로 '지도 민주주의' 체제를 선포하고, 주요 정당들을 대표하는 내각을 제안했다.[112] 그는 '나시오날리슴'(국가주의), '아가마'(종교), '코무니슴'(공산주의)의 세 가지 요소를 융합한 '나사콤' 정부를 구성하려 했다.

1959년 7월, 수카르노는 1950년 헌법을 폐지하고 제헌 의회를 해산했으며, 대통령에게 강력한 권한을 부여하는 1945년 헌법을 복원했다.[112] 선출된 의회는 대통령이 임명하는 의회로 대체되었고, 1960년 8월에는 마수미당이 금지되었다.[115] 최고 자문위원회가 주요 정책 개발 기구로, 국가 전선이 "인민의 혁명 세력을 동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112] 이로써 서구식 의회 민주주의는 1999년 개혁 시대까지 인도네시아에서 종식되었다.[112]

수카르노는 "민족 독립의 아버지"라는 지위와 대중적 카리스마를 가졌지만, 특정 지지 기반은 없었다. 그는 국군의 정치적 위협을 견제하기 위해 인도네시아 공산당에 의존했으며, 국군과 공산당의 중재자 역할을 통해 자신의 리더십을 유지하고자 했다.

이 시기 수카르노는 민족주의(Nasionalisme), 종교(Agama), 공산주의(Komunisme) 세력의 지지를 호소하며 국가적 위기를 극복하려는 '나사콤(NASAKOM)' 구호를 외쳤다.

7. 3. 수카르노의 혁명과 민족주의

2차 대전이 끝난 1945년, 수카르노는 인도네시아의 독립을 선언했다. 네덜란드는 인도네시아 독립전쟁을 일으켰지만, 1949년 인도네시아는 정치적으로 승리하여 네덜란드 연합 산하의 독립국으로 발족했다. 1950년 UN의 승인을 받았고, 1956년에는 네덜란드와의 관계를 끊고 완전한 독립국이 되었다.[117] 카리스마 넘치던 수카르노는 낭만적인 혁명가로서 연설했고, 그의 권위주의적인 통치 아래 인도네시아는 격동적인 민족주의 노선을 걸었다. 수카르노는 "방"(형)으로 불렸으며, 서구에 맞서 싸울 용기가 있는 민중의 지도자로 자신을 묘사했다.[117] 그는 인도네시아 정체성을 기념하는 대규모의 이념 중심 인프라 프로젝트와 기념비들을 추진했지만, 악화되는 경제 속에서 진정한 발전을 위한 대체물로 비판받았다.[117]

수카르노는 "나사콤(NASAKOM)"이라는 구호를 외치며 민족주의(Nasionalisme), 종교(Agama), 공산주의(Komunisme) 세력에 지지를 호소하여 온 국민이 단결하여 국가적 위기를 극복하려 했다. "민족 독립의 아버지"로서 대중을 열광시켰던 웅변술과 카리스마를 가지고 있었지만, 특정한 지지 기반은 없었다. 수카르노는 국군을 견제하기 위해 인도네시아 공산당에 접근하여 그 대중 동원력에 의존했다. 국군과 공산당은 대립 관계에 있었고, 수카르노는 그 양자의 중재 역할을 함으로써 자신의 리더십을 유지하려 했다.

서뉴기니는 네덜란드령 동인도의 일부였으며, 인도네시아 민족주의자들은 이를 근거로 주장했다. 1961년 12월, 수카르노는 "서이리안 해방 작전"으로 공수부대를 파병하여 네덜란드와 전투 끝에 뉴기니섬 서부(이리안자야(Irian Jaya))를 점령했다. 1963년 5월, 유엔의 중재 결과 휴전하고 통치권이 인도네시아로 이관되었다.[194] 이 합병에 반대하는 자유 파푸아 운동과 en:National Committee for West Papua가 인도네시아 정부에 반기를 들고 파푸아 분쟁(1963년~현재)이 발생했다.[195]

1963년 인도네시아는 말레이시아 신생 국가와 ''콘프론타시''를 시작했다. 사라왁과 사바는 말레이시아 합류에 대해 주저했고, 인도네시아는 자신을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정당한 지배자로 여기고 브루나이에서 실패한 혁명 시도를 지원했다.[118] 수카르노는 "말레이시아 분쇄"를 슬로건으로 내걸고 말레이시아 영토에 침입하는 등 일촉즉발의 상황이 되었다. 이 대결 정책으로 인해 인도네시아는 미국과 IMF으로부터의 경제 원조가 중단되고 국제 사회에서 고립되어 갔다. 수카르노는 급속히 중국에 접근했다.

1965년 1월 7일, UN을 탈퇴했고,[196] 같은 해 8월 17일 독립기념일에는 세계은행과 IMF 탈퇴도 선언했다.[197]

사회 정책 측면에서 수카르노 집권 시기에는 보건 및 교육 분야에서 상당한 개혁이 이루어졌고,[119] 여러 가지 노동자 옹호 조치가 시행되었다.[120] 그러나 인도네시아의 경제 상황은 수카르노 집권하에 악화되었으며, 1960년대 중반까지 재정이 고갈된 정부는 중요한 공공 부문 보조금을 폐지해야 했고, 인플레이션은 1,000%에 달했으며, 수출 수입은 감소하고, 인프라는 무너지고, 공장들은 최소한의 생산 능력으로 운영되었고 투자는 미미했다. 심각한 빈곤과 기아가 만연했다.[118][121]

8. 신질서 시대

수하르토 대통령 취임식


1968년 3월, 수하르토가 인도네시아의 제2대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수하르토는 수카르노 정권의 외교 노선을 뒤집고 반공주의적 태도를 분명히 하여 서구 국가들과의 관계를 개선했으며, 규제 완화와 개방 경제 체제를 중심으로 하는 경제 재건 정책을 추진했다.

수카르노 정권으로부터 물려받은 누적 부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66년 '''IGGI'''(인도네시아 정부 간 그룹, Inter-Governmental Group on Indonesia)가 결성되었고, 이후 이 채권국 그룹과 세계은행을 중심으로 인도네시아에 대한 경제 원조를 논의하는 체계가 마련되었다.[198] 1967년 2월에는 IMF에, 4월에는 세계은행에 다시 가입했다.

수하르토는 인도네시아 공산당을 비롯한 국내 좌파 세력을 제거하고, 수카르노와 마찬가지로 대통령에게 강력한 권한을 부여하는 1945년 헌법 체제를 유지했다. 그러나 초기에는 군부 내에 수카르노 계열 장교들이 남아 있어 정치적 라이벌이 적지 않았다. 수하르토는 이들을 강등시키거나 숙청하면서 1969년에 이르러서야 군부를 자신의 지지 기반으로 확립할 수 있었다.[199]

1971년에는 정권의 정통성을 국내외에 과시하기 위해 총선을 실시했다. 1969년 새로운 선거법을 제정하고 자신의 지지 기반인 골카르를 선거에 참여시켰다. 1971년 7월 3일 실시된 선거에서 골카르는 압승을 거두었고, 기존 정당들은 인도네시아 민주당이나 개발통일당으로 통합되어 응집력을 잃고 내분이 끊이지 않는 만년 야당으로 전락했다.[200]

이러한 과정을 통해 수하르토는 정권 기반을 안정화하고, "안정과 질서"를 내세워 경제 발전을 추구하는 "개발 독재"를 추진했다.

1970년 제14호 법률에 따라 일본 군정 시대에 통합되었던 법원 체계는 일반 법원, 종교 법원, 군 법원, 국가 행정 법원의 4개 체계로 분리되었다.[201]

1974년 포르투갈에서 좌파 정권이 들어서면서 해외 식민지 포기 정책을 발표하자, 동티모르에서도 변화가 일어났다. 인도네시아와의 합병을 주장하는 티모르 인민 민주주의 협회를 제치고 완전 독립을 추구하는 동티모르 독립혁명전선(프레틸린, FRETILIN)이 세력을 확장했다. 1975년11월 28일, 프레틸린은 동티모르 민주 공화국으로서 독립을 선언했다. 그러나 인도네시아 정부는 무력 개입을 통해 동티모르 합병파를 지원했고, 1976년7월 17일 동티모르를 27번째 주로 합병했다. 이후 프레틸린은 게릴라전으로 전환하여 지하 활동을 계속하며 동티모르의 독립을 추구했다.

자와섬발리섬의 인구 과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마트라섬, 보르네오섬(칼리만탄), 뉴기니섬, 몰루카 제도 등 주변 섬으로 주민들을 이주시키는 정책이 장려되었다. 이 정책은 자와를 중심으로 한 통일된 인도네시아 개념을 확산시키는 데 기여했지만, 이주 지역에서 원주민과의 마찰을 야기하기도 했다.

1979년9월 12일에는 이리안자야 서부에서 규모 6.7의 강진이 발생하여 연안 지역에 큰 피해를 입혔다.[202]

8. 1. 신질서로의 이행

"위대한 달랑(인형극 조종자)"으로 묘사된 수카르노의 권력은 군부와 인도네시아 공산당(PKI)의 대립 속에서 균형을 유지하고 있었다. 수카르노의 반제국주의 정책으로 인도네시아는 소련과 중국에 의존하게 되었고, 1965년 PKI는 세계에서 가장 큰 비집권 공산당이 되었다. PKI는 정부 모든 수준에 침투하여 영향력을 확대해 나갔다.[122]

20세기 중반 인도네시아 공산당(PKI)의 로고


1965년 9월 30일, 군 최고위 장성 6명 등이 쿠데타 시도 과정에서 암살당했다. 9·30사건으로 알려진 이 반란군은 군부 내 경쟁 세력을 지원하며 수도와 국가 방송국을 장악했다. 이들은 수카르노를 제거하려는 장성들의 음모에 맞서 행동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몇 시간 만에 수하르토 소장이 이끄는 육군 전략 예비군(코스트라드)의 반격으로 쿠데타는 실패했다. 쿠데타 배후 세력과 목표에 대한 여러 이론이 제기되었고, 인도네시아 군부는 PKI가 쿠데타 배후라고 주장했으며, 이것이 수하르토 신질서 정부의 공식 입장이 되었다. 최근 증거에 따르면 미국 CIA[123][124]와 영국의 MI6[125] 등 서방 정보 기관들이 이 사건에 어느 정도 역할을 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쿠데타의 책임은 PKI에게 돌아갔고, 군 주도로 전국에서 반공주의 숙청이 자행되었다. PKI는 파괴되었고,[126][127][128] 50만에서 100만 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산된다.[129][130][131] 특히 자바와 발리에서 폭력이 심했다. PKI는 불법화되었고, 백만 명이 넘는 지도자와 관련자들이 투옥되었다.[131] 미국과 서방 국가들은 이 숙청을 지원했다.[132][133][134]

1965년에서 1966년 사이, 수카르노는 정치적 입지를 회복하려 했으나, PKI의 몰락으로 그의 권력은 약화되었다. 그는 대통령직을 유지했지만, 수하르토 장군에게 주요 정치 및 군사 권한을 넘겨야 했다. 1967년 3월, 임시 인민 협의회(MPRS)는 수하르토를 대통령 권한대행으로 임명했고, 1968년 3월 수하르토는 공식적으로 대통령에 취임했다. 수카르노는 1970년 사망할 때까지 사실상 가택 연금 상태에 있었다.

8. 2. 신질서 강화

수하르토 정권은 보통 ''신질서'' 시대라고 불린다.[137] 수하르토는 대규모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여 상당한 경제 성장을 이끌었지만, 그 성장은 불균형적이었다. 그러나 수하르토는 사업 거래와 널리 퍼진 부정부패를 통해 자신과 가족을 부유하게 만들었다.[138]

1968년 3월, 수하르토가 제2대 대통령에 취임했다. 수하르토는 수카르노 정권의 외교 노선을 뒤집고 반공적인 태도를 분명히 하여 서구 국가들에 접근했으며, 규제 완화와 개방 경제 체제를 중심으로 하는 경제 재건책을 내놓았다.

수카르노 체제로부터 이어받은 누적 부채 처리 문제를 검토하기 위해 1966년에 '''IGGI'''(인도네시아 정부 간 그룹, Inter-Governmental Group on Indonesia)가 결성되었고, 이후 이 채권국 그룹과 세계은행을 중심으로 인도네시아에 대한 경제 원조를 논의하는 틀이 마련되었다.[198] 1967년 2월 IMF에 재가입하고, 같은 해 4월에는 세계은행에도 재가입했다.

인도네시아 공산당을 비롯한 국내 좌파 세력을 일소하고, 수카르노와 마찬가지로 대통령에게 강력한 권한을 부여하는 1945년 헌법 체제를 계승한 수하르토였지만, 초기에는 정치적 라이벌이 적지 않았다. 군부 내부에는 여전히 수카르노 계열 장교들이 남아 있었고, 이러한 장교들을 강등시키거나 숙청하면서 수하르토가 군부를 자신의 지지 기반으로 확립한 것은 1969년이 되어서였다.[199]

또한 수하르토는 정권의 정통성을 국내외에 보여주기 위해 1971년에 총선을 실시하기로 결정했다. 이 선거에 임함에 있어 수하르토는 1969년 새로운 선거법을 제정하고, 자신의 지지 기반으로 골카르를 선거에 참여시키기로 했다. 1971년 7월 3일에 실시된 선거는 골카르의 압승으로 끝나 정당 세력의 후퇴를 결정지었다. 이후 정권의 주도로 기존의 여러 정당들은 인도네시아 민주당 또는 통합되었고, 당으로서의 응집력을 잃고 내분이 끊이지 않는 만년 야당으로 전락했다.[200]

이렇게 하여 수하르토는 정권 기반을 안정화하는 데 성공하고, “안정과 질서” 아래 경제 발전을 추구하는 “개발 독재”를 추진해 나갔다.

사법권의 기본 제도에 관한 1970년 제14호 법률에 따라 일본 군정 시대에 통합되었던 법원 체계는 일반 법원, 종교 법원, 군 법원, 국가 행정 법원의 4개 체계로 나뉘었다.[201]

1974년 4월 포르투갈에서 좌파 정권이 수립되어 해외 식민지 포기를 선언하자, 동티모르에서도 인도네시아와의 합병을 주장하는 티모르 인민 민주주의 협회를 누르고 완전 독립파인 동티모르 독립혁명전선(프레틸린, FRETILIN)이 전토를 장악하고, 1975년11월 28일, 동티모르 민주 공화국으로서 독립을 선언했다. 이에 인도네시아 정부가 무력 개입하여 동티모르의 합병파를 지원하여 인도네시아와의 합병을 선언하게 만들었고, 1976년7월 17일, 동티모르는 27번째 주가 되었다. 이후 프레틸린은 게릴라전으로 전환하여 지하 활동을 계속하면서 동티모르의 독립을 목표로 하게 되었다.

또한 원래 인구가 많았던 자와섬발리섬의 인구 과밀이 문제가 되자, 이들 주민의 수마트라섬, 보르네오섬(칼리만탄), 뉴기니섬, 몰루카 제도 등 주변 도서 지역으로의 이주·이민을 장려했다. 자와섬 주민들이 각 섬으로 흩어짐으로써 자와를 중심으로 한 통일된 인도네시아의 개념이 확산되었지만, 이주한 각 지역에서 원주민과의 마찰이 발생했다.

8. 3. 서이리안 합병

1961년 12월, 네덜란드 식민지였던 뉴기니섬 서부(서이리안)에 인도네시아 공수부대가 "서이리안 해방 작전"으로 파병되어 네덜란드와 전투를 벌여 점령했다. 유엔 중재로 휴전 후, 1963년 5월 유엔 잠정 통치 후 통치권이 인도네시아로 이관되었다.[194]

수카르노 시대에 합의된 서이리안 주민 전체 국민투표 대신, 1969년 인도네시아가 선출한 1025명 파푸아 지역 의회 대표들이 참여하는 '자유 선택 행위'가 실시되었다. 이들은 인도네시아와 통합에 찬성하도록 경고받았고, 만장일치로 통합에 투표했다.[139] 이후 유엔 총회 결의로 인도네시아 주권 이양이 확인되었다.

이 합병에 반대한 자유 파푸아 운동과 en:National Committee for West Papua는 인도네시아 정부에 반기를 들고 파푸아 분쟁(1963년~현재)을 일으켰다.[195] 서이리안은 1973년 이리안 자야('영광스러운 이리안')로 개명되었다가 이후 파푸아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인도네시아 행정에 대한 반대는 자카르타 통제권 장악 이후 수년간 게릴라 활동을 야기했다.

8. 4. 동티모르 합병

1975년 포르투갈에서 발생한 카네이션 혁명으로 포르투갈 당국은 포르투갈령 티모르의 식민지 해체 계획을 발표했다. 같은 해 동티모르에서 치러진 선거에서 좌익 성향의 정당인 프레틸린과 지역 엘리트와 연대하는 UDT가 가장 큰 정당으로 부상했는데, 이들은 이전에 포르투갈로부터 독립을 위한 선거운동을 위해 연합을 결성한 바 있다. 인도네시아와의 통합을 주장하는 아포데티는 인기가 거의 없었다.[198]

인도네시아는 프레틸린이 공산주의자들이라고 주장했고, 독립된 동티모르가 군도 내 분리주의에 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했다. 인도네시아 군 정보부는 프레틸린과 UDT의 연합을 분열시키는 데 영향을 미쳤고, 이는 1975년 8월 11일 UDT의 쿠데타와 한 달 동안 지속된 동티모르 내전의 시작으로 이어졌다. 이 기간 동안 포르투갈 정부는 사실상 이 지역을 포기했고 식민지 해체 과정을 재개하지 않았다. 11월 28일, 프레틸린은 일방적 독립 선언을 하고 '동티모르 민주 공화국'을 선포했다. 9일 후인 12월 7일, 인도네시아는 인도네시아의 동티모르 침공을 감행하여 당시 68만 명의 인구를 가진 작은 국가를 결국 병합했다. 인도네시아는 인도네시아를 반공주의 동맹국으로 여긴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영국의 물적·외교적 지원을 받았다.[198]

1974년 4월 포르투갈에서 좌파 정권이 수립되어 해외 식민지 포기를 선언하자, 동티모르에서도 인도네시아와의 합병을 주장하는 티모르 인민 민주주의 협회를 누르고 완전 독립파인 동티모르 독립혁명전선(프레틸린, FRETILIN)이 전토를 장악하고, 1975년 11월 28일 동티모르 민주 공화국으로서 독립을 선언했다. 이에 인도네시아 정부가 무력 개입하여 동티모르의 합병파를 지원하여 인도네시아와의 합병을 선언하게 만들었고, 1976년 7월 17일 동티모르는 인도네시아의 27번째 주가 되었다. 이후 프레틸린은 게릴라전으로 전환하여 지하 활동을 계속하면서 동티모르의 독립을 목표로 하게 되었다.[201]

1998년 수하르토의 사임 이후, 동티모르 국민들은 1999년 8월 30일에 열린 동티모르 특별 자치권 국민투표에서 독립을 압도적으로 지지했다. 유권자의 약 99%가 참여했고, 수개월 동안 인도네시아 군과 민병대의 공격에도 불구하고 4분의 3 이상이 독립을 선택했다. 결과가 발표된 후 인도네시아 군과 민병대는 약 2,000명의 동티모르인을 살해하고 인구의 3분의 2를 난민으로 만들고 수백 명의 여성과 소녀를 강간하고 국가 기반 시설의 상당 부분을 파괴하는 보복을 가했다. 1999년 10월, 인도네시아 의회(MPR)는 동티모르를 병합한 법령을 폐지했고, 동티모르 유엔 과도행정부(UNTAET)가 2002년 5월 동티모르가 공식적으로 독립국이 될 때까지 동티모르 통치의 책임을 맡았다.[198]

8. 5. 이주 정책

이주 프로그램(''Transmigrasi'')은 인도네시아(인도네시아)의 자바, 발리와 같이 인구밀도가 높은 지역에서 파푸아, 칼리만탄, 수마트라, 술라웨시 등 인구밀도가 낮은 지역으로 토지가 없는 사람들을 이주시키는 인도네시아 정부의 정책이었다.[140][141] 이 정책의 공식적인 목적은 자바의 심각한 빈곤과 인구 과잉을 줄이고, 근면한 빈민들에게 기회를 제공하며, 외딴 섬의 자원을 더 잘 활용할 수 있는 노동력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주 정책은 인도네시아 정부가 이주민들을 이용하여 목적지 지역의 원주민 비율을 줄이고 분리주의 운동을 약화시키려 한다는 비판을 받았다.[142] 또한, 정착민과 원주민 간의 갈등과 폭력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 자주 언급되었다.

자바섬과 발리섬의 인구 과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마트라섬, 보르네오섬(칼리만탄), 뉴기니섬, 몰루카 제도 등 주변 도서 지역으로 주민들을 이주시키는 정책이 장려되기도 했다. 자와섬 주민들이 각 섬으로 흩어짐으로써 자와를 중심으로 한 통일된 인도네시아의 개념이 확산되었지만, 이주한 각 지역에서 원주민과의 마찰이 발생하기도 했다.

9. 개혁 시대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 이후 수하르토 대통령이 사임하면서 인도네시아는 민주화와 개혁의 시대를 맞이했다. 유수프 하비비는 수하르토로부터 대통령직을 이양받아 정치범 석방, 노동조합 합법화, 정당 설립 및 활동 자유화, 언론·집회 자유화 등 민주화 조치를 시행했다.[203] 중앙집권적인 지방 통치 방식도 개선하여 지방 정부에 더 많은 권한을 부여했다.[204]

그러나 이러한 개혁 과정에서 억눌렸던 문제들이 표면화되면서 국가 통합이 위협받기도 했다. 말루쿠 제도에서는 무슬림기독교인 간의 종교 분쟁이 학살로 이어졌고,[205] 아체에서는 분리 독립 운동이 격화되어 내전으로 치달았다. 동티모르에서는 주민 간 또는 주민과 국군 간의 충돌이 발생하여 사회 불안이 심화되었다.[206] 동티모르1999년 주민 투표를 통해 독립이 결정되었고, 2002년 독립을 이루었다.

1999년 압두르라흐만 와히드가 대통령으로,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가 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와히드 정부는 민주화와 경제 성장을 추진했지만, 지역, 종족, 종교 간 갈등에 직면했다. 2001년 와히드 대통령이 부정부패 스캔들로 사임 압력을 받자, 메가와티가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2004년 수실로 밤방 유도요노가 인도네시아 최초의 직접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했고, 2009년 재선에 성공했다.[148][149] 2014년 PDI-P 후보 조코 위도도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며, 2019년 재선되었다.[150][152] 2024년 프라보워 수비안토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고, 그의 러닝메이트인 조코 위도도 대통령의 아들 기브란 라카부밍 라카가 부통령이 되었다.[153]

이 시기 인도네시아는 테러리즘이라는 새로운 도전에 직면했다. 알카에다와 연계된 자마아 이슬라미야는 2002년 발리 폭탄 테러, 2003년 자카르타 폭탄 테러 등 인도네시아에서 여러 차례 테러를 일으켰다.[155]

2004년 대규모 지진과 쓰나미가 아체를 강타하여 큰 피해를 입혔다. 이후 인도네시아 정부와 아체 자유 운동(GAM) 간의 평화 협상이 진행되어 헬싱키에서 평화 협정이 체결되었다.

인도네시아는 수마트라섬과 칼리만탄섬에서 발생하는 산불과 스모그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는 불법적인 농경지 방화로 인해 발생하며, 1997년, 2015년 등 심각한 스모그가 발생하여 인명 피해를 낳기도 했다.[156][157][158][159][160][161][162][163]

9. 1. 민주화 운동

1996년, 수하르토는 인도네시아 민주당(PDI)이 독립적인 성향을 보이자, 당내 분열을 조장했다. 수카르노의 딸이자 PDI 의장인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를 따르는 파벌과 인민대표평의회 부의장 수르야디를 지지하는 파벌을 대립시켰다.

수르야디 파벌이 메단에서 당 대회를 열어 메가와티를 해임하려 하자, 메가와티 지지자들의 항의 시위가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시위대와 보안군 간의 충돌이 발생했고, 군부는 메가와티 지지자들이 자카르타의 PDI 본부를 점거하도록 허용했다.

수하르토는 아세안 회의를 이용하여, PDI 본부 점거를 한 달 가까이 방치했다. 메가와티 지지자들은 "민주주의 포럼"을 열었고, 7월 26일 군 장교들과 수르야디, 수하르토는 이에 대한 분노를 표출했다.[143]

7월 27일, 경찰, 군인, 수르야디 지지자들이 본부를 급습하여 여러 명이 사망하고 200명 이상이 체포되었다. 이 날은 "검은 토요일"로 알려졌으며, 이는 "개혁" 운동으로 불리는 민주화 운동에 대한 새로운 탄압의 시작이었다.[144]

하비비는 수하르토로부터 대통령직을 이양받은 후, 정치범 석방, 노동조합 합법화, 정당 설립 및 활동 자유화, 언론·집회 자유화 등을 제시하며 민주화를 추진했다.[203] 또한 지방 정부의 권한을 강화하고, 중앙집권적인 통치 방식을 개선했다.[204]

그러나 이러한 개혁으로 인해 억눌려 왔던 문제들이 표면화되어 국가 통합이 위협받았다. 말루쿠 제도에서는 무슬림기독교인 간의 분쟁이 학살로 이어졌고,[205] 아체에서는 분리 독립 운동이 격화되어 내전으로 치달았다. 동티모르에서는 주민 간, 또는 주민과 국군 간의 충돌이 발생하며 사회 불안이 심화되었다.[206]

9. 2. 경제 위기와 수하르토 사임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로 인해 인도네시아는 가장 큰 타격을 받은 국가가 되었다.[145] 이는 인도네시아 경제, 사회, 그리고 수하르토 대통령에게 심각한 영향을 주었다. 이와 동시에 인도네시아는 극심한 가뭄을 겪었으며, 칼리만탄과 수마트라에서는 역사상 최대 규모의 산불이 발생했다. 인도네시아 통화인 루피아의 가치는 급락했다. 세계은행, 국제통화기금(IMF), 그리고 미국과 같은 국제 금융 기관들은 수하르토의 오랜 자금 횡령과 일부 보호무역주의 정책을 문제 삼았다. 12월, 수하르토 정부는 IMF와 양해각서(LOI)를 체결, 공공 서비스 감축 및 보조금 제거를 포함한 긴축재정 조치를 약속했고, IMF와 다른 기증자들로부터 지원을 받았다. 등유, 쌀과 같은 상품 가격과 교육을 포함한 공공 서비스 요금이 급격히 상승했다. 만연한 부패는 그 영향을 더욱 악화시켰다. 수하르토의 긴축재정 조치는 신질서[146]에 대한 국내 신뢰를 약화시켰고, 대중 시위를 불러왔다.

위기 속에서 수하르토는 1998년 3월, 자신의 리더십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7번째 재선을 시도했고, 의회는 이를 승인했다. 이로 인해 전국적으로 시위와 폭동이 발생했으며, 이는 1998년 인도네시아 혁명으로 이어졌다. 골카르 정당과 군부 내부의 반대는 결국 수하르토를 약화시켰고, 1998년 5월 21일 그는 대통령직에서 물러났다.[147] 수하르토는 부통령이었던 B.J. 하비비에게 권력을 이양했다.

9. 3. 1998년 5월 폭동

1998년 인도네시아 5월 폭동(1998년 비극 또는 1998년 사건으로도 알려짐)은 인도네시아 전역에서 발생한 인종적 성격의 대규모 폭력, 시위 및 민중 봉기 사건이었다.

9. 4. 1999년 이후의 정치

1999년 10월, 500명의 의원과 200명의 임명직 위원으로 구성된 인민협의회(MPR)는 압두르라흐만 와히드(일반적으로 "구스 두르"로 알려짐)를 대통령으로,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를 부통령으로 5년 임기로 선출했다. 와히드 정부는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민주화를 추진하고 경제 성장을 촉진하려고 노력했다. 지속적인 경기 침체 외에도, 아체, 말루쿠 제도, 이리안자야 등에서 지역, 종족 간, 종교 간 갈등에 직면했다. 서티모르에서는 난민이 된 동티모르 사람들과 친인도네시아 동티모르 민병대의 폭력으로 인해 상당한 인도주의적 및 사회적 문제가 발생했다. 점점 더 단호해지는 의회는 와히드 대통령의 정책과 권한에 자주 이의를 제기하여 활발하고 때로는 격렬한 국가 정치 논쟁에 기여했다.

2000년 8월 인민협의회의 첫 번째 연례 회의에서 와히드 대통령은 정부의 성과에 대한 보고를 했다. 2001년 1월 29일, 수천 명의 학생 시위대가 의회 건물을 급습하여 부정부패 스캔들에 연루되었다는 이유로 와히드 대통령의 사임을 요구했다. 의회의 압력을 받아 그는 부통령 메가와티에게 정부의 일상 행정을 통제하는 대통령령을 발표했다. 그 직후,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2001년 7월 23일 대통령직을 인수했다.

수실로 밤방 유도요노는 인도네시아 최초의 직접 대통령 선거인 2004년 대선에서 승리했고, 2009년에 재선되었다.[148][149]

PDI-P 후보 조코 위도도2014년 대선에서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이전에 자카르타 주지사를 역임한 그는 고위 정치인이나 군인 출신이 아닌 최초의 인도네시아 대통령이다.[150] 그러나 그의 상대 후보인 프라보워 수비안토는 결과에 이의를 제기하고 개표가 완료되기 전에 경쟁을 포기했다.[151] 조코위는 2019년에 프라보워 수비안토를 다시 물리치고 재선되었다.[152] 2024년 3월, 국민주의 성향의 전직 장군 프라보워 수비안토가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하여 차기 인도네시아 대통령이 되었으며, 그의 러닝메이트인 조코위 대통령의 아들 기브란 라카부밍 라카가 새로운 부통령이 되었다.[153] 2024년 10월 20일, 프라보워 수비안토는 부통령 기브란 라카부밍 라카와 함께 인도네시아 8대 대통령으로 취임했다.[154]

9. 5. 테러리즘

다민족, 다문화 민주주의 국가이자 무슬림 인구가 대다수인 인도네시아는 전 세계 이슬람 무장 세력과 연관된 테러리즘 문제에 직면해 있다. 동남아시아 전역에 걸쳐 다울라 이슬라미야(Daulah Islamiyah)를 건설하려는 무장 이슬람 조직인 자마아 이슬라미야는 인도네시아에서 일련의 테러 공격을 자행했다.[155] 알카에다와 연계된 이 테러 조직은 2002년 발리 폭탄 테러, 2005년 발리 폭탄 테러, 2003년 자카르타 폭탄 테러, 2004년 자카르타 호주 대사관 폭탄 테러, 2009년 자카르타 폭탄 테러를 일으켰다. 인도네시아 정부와 당국은 인도네시아 내 테러 세포를 진압하려고 노력해왔다.

2016년 1월 14일에는 자카르타에서 자살 폭탄 테러범과 무장 괴한들이 테러 공격을 감행하여 8명(인도네시아 민간인 3명, Canadian|캐나다인영어 1명, 공격범 4명)이 사망하고 20명이 부상을 입었다. 이슬람 국가(ISIS)가 이 사건의 책임을 주장했다.

9. 6. 쓰나미 재난과 아체 평화 협정

2004년 12월 26일, 대규모 지진과 쓰나미가 수마트라 북부, 특히 아체를 강타했다. 아체 쓰나미 복구 과정에서 협력과 평화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인도네시아 정부와 아체 자유 운동(GAM) 간의 평화 협상이 재개되었다. 헬싱키에서 체결된 협정은 정부가 군사력을 감축하고, GAM 무장 세력 구성원들이 무기를 반납하고 사면을 신청하는 군사적 긴장 완화의 틀을 마련했다. 이 협정은 또한 지역 정당의 설립과 기타 자치 조치를 허용했다.

2004년 12월 말, 수마트라섬 해저 지진이 발생하여 지진과 쓰나미로 아체를 중심으로 한 수마트라섬 연안이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국제 긴급 구호 활동이 이루어졌지만, 100년 만이라고 불리는 쓰나미 피해는 매우 컸다. 이듬해 2005년니아스섬 해역에서도 여진으로 보이는 지진이 발생하여 다시 피해를 입혔다.

수실로 밤방 유도요노는 우선 지진 대책에 매달리게 되었지만, 피해가 막심한 아체에는 국제기구가 대규모로 개입하지 않도록 공작을 벌였다. 2005년 8월에 정부는 아체와 평화 협정을 맺고, 아체 측의 무장 해제를 조건으로 국군을 철수시켰다.

9. 7. 산림 및 농지 화재

1997년 이후 인도네시아는 특히 수마트라섬과 칼리만탄섬에서 산불 진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건기 동안 매년 스모그가 발생하는데, 이는 주로 인도네시아, 특히 수마트라섬의 남수마트라주리아우주, 그리고 인도네시아령 보르네오의 칼리만탄에서 이루어지는 화전 농업으로 인한 불법적인 농경지 방화 때문이다.[156][157][158] 1997년에 발생한 스모그는 가장 심각한 사례 중 하나였다. 2005년, 2006년, 2009년, 2013년에도 짙은 스모그가 발생했고, 가장 심각했던 2015년에는 호흡기 질환과 시야 악화로 인한 교통사고로 인해 수십 명의 인도네시아인이 사망했다. 산불로 인한 스모그로 인해 추가로 10명이 사망했다.[159][160][161][162][163]

2014년 9월 인도네시아는 국경을 넘는 스모그 오염에 관한 아세안 협정을 비준하여 이 협정을 비준한 마지막 아세안 국가가 되었다.[164]

10. 참고 문헌


  • 브라운, 콜린 (2003). 《인도네시아 단편 역사》(A Short History of Indonesia). 앨런 & 언윈(Allen & Unwin).
  • 크리브, 로버트 (2013). 《인도네시아 역사 아틀라스》(Historical atlas of Indonesia). 라우틀리지(Routledge).
  • 크라우치, 해롤드 (2019). 《인도네시아의 군대와 정치》(The army and politics in Indonesia). 코넬대학교 출판부(Cornell UP).
  • 드레이클리, 스티븐 (2005). 《인도네시아 역사》(The History Of Indonesia).
  • 얼, 조지 윈저 (1850). "파푸아, 오스트레일리아 및 말레이-폴리네시아 국가들의 주요 특징에 관하여"(On the Leading Characteristics of the Papuan, Australian and Malay-Polynesian Nations). 《인도네시아 군도 및 동아시아 저널》(Journal of the Indian Archipelago and Eastern Asia (JIAEA)), 4권.
  • 엘슨, 로버트 에드워드 (2008). 《인도네시아의 개념: 역사 1권》(The idea of Indonesia: A history. Vol. 1).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Cambridge UP).
  • 프렌드, T. (2003). 《인도네시아의 운명》(Indonesian Destinies).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Harvard University Press). ISBN 978-0-674-01137-3.
  • 구다, 프랜시스 (2002). 《미국의 네덜란드 동인도/인도네시아에 대한 비전: 미국 외교 정책과 인도네시아 민족주의, 1920-1949》(American Visions of the Netherlands East Indies/Indonesia: US Foreign Policy and Indonesian Nationalism, 1920-1949). 암스테르담 대학교 출판부(Amsterdam University Press).
  • 힌들리, 도널드 (1966). 《인도네시아 공산당, 1951–1963》(The Communist Party of Indonesia, 1951–1963). 캘리포니아 대학교 출판부(U of California Press).
  • 카힌, 조지 맥턴 (1952). 《인도네시아의 민족주의와 혁명》(Nationalism and Revolution in Indonesia). 코넬 대학교 출판부(Cornell University Press).
  • 멜빈, 제스 (2018). 《군대와 인도네시아 대학살: 대량 학살의 메커니즘》(The Army and the Indonesian Genocide: Mechanics of Mass Murder). 라우틀리지(Routledge). ISBN 978-1138574694.
  • 레이드, 앤서니 (1974). 《인도네시아 국민혁명 1945–1950》(The Indonesian National Revolution 1945–1950). 롱먼 피티 리미티드(Longman Pty Ltd). ISBN 978-0-582-71046-7.
  • 릭플스, M.C. (1993). 《자바의 전쟁, 문화 그리고 경제, 1677–1726: 초기 카르타수라 시대의 아시아 및 유럽 제국주의》(War, Culture and Economy in Java, 1677–1726: Asian and European Imperialism in the Early Kartasura Period). 오스트레일리아 아시아 연구 협회(Asian Studies Association of Australia). ISBN 978-1-86373-380-9.
  • 로빈슨, 제프리 B. (2018). 《살인의 계절: 인도네시아 대학살의 역사, 1965-66》(The Killing Season: A History of the Indonesian Massacres, 1965-66). 프린스턴 대학교 출판부(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1400888863.
  • 테일러, 진 겔만 (2003). 《인도네시아》(Indonesia). 예일 대학교 출판부(Yale University Press). ISBN 978-0-300-10518-6.
  • 비커스, 에이드리언 (2005). 《현대 인도네시아 역사》(A History of Modern Indonesia).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54262-3.
  • 휘튼, T., 소리아트마자, R. E., 수라야, A. A. (1996). 《자바와 발리의 생태학》(The Ecology of Java and Bali). 페리플러스 에디션스 리미티드(Periplus Editions Ltd).
  • 윗턴, 패트릭 (2003). 《인도네시아》(Indonesia). 로널리 플래닛(Lonely Planet).
  • 우드워드, 마크 R. (1989). 《자바의 이슬람: 요크야카르타 술탄국의 규범적 경건과 신비주의》(Islam in Java: Normative Piety and Mysticism in the Sultanate of Yogyakarta).

참조

[1] 뉴스 Jumlah Pulau Resmi di RI Capai 17.024, Masih Ada yang Tanpa Identitas https://www.cnnindon[...] 2023-06-19
[2] 웹사이트 Indonesia at a Glance https://kemlu.go.id/[...] 2023-11-20
[3] 웹사이트 Sejarah Kerajaan Islam di Sumatera https://www.gramedia[...] 2022-07-15
[4] 웹사이트 Finding showing human ancestor older than previously thought offers new insights into evolution http://www.terradail[...] Terradaily.com
[5] 논문 Recent advances in far eastern paleoanthropology
[6] 논문 Evidence on the Age of the Asian Hominidae 1983-08-15
[7] 논문 Dating hominid sites in Indonesia http://www.sciencema[...] 1994-12-09
[8] 논문 The Sambungmacan 3 ''Homo erectus'' calvaria: A comparative morphometric and morphological analysis http://pages.nycep.o[...]
[9] 웹사이트 Flores Man Could Be 1 Million Years Old – Science News http://www.redorbit.[...] redOrbit 2010-03-18
[10] 웹사이트 Shell 'art' made 300,000 years before humans evolved https://www.newscien[...]
[11] 논문 A new small-bodied hominin from the Late Pleistocene of Flores, Indonesia. http://doc.rero.ch/r[...] 2004-10-27
[12] 논문 Archaeology and age of a new hominin from Flores in eastern Indonesia. https://espace.libra[...] 2004-10-27
[13] 논문 The affinities of Homo floresiensis based on phylogenetic analyses of cranial, dental, and postcranial characters. http://dx.doi.org/10[...] 2017
[14] 논문 Revised stratigraphy and chronology for Homo floresiensis at Liang Bua in Indonesia http://dx.doi.org/10[...] 2016-03-30
[15] 웹사이트 The Great Human Migration http://www.smithsoni[...] Smithsonian 2008-07
[16] 웹사이트 Evidence of 42,000 year old deep sea fishing revealed : Archaeology News from Past Horizons http://www.pasthoriz[...] Pasthorizonspr.com
[17] 뉴스 In Cave in Borneo Jungle, Scientists Find Oldest Figurative Painting in the World – A cave drawing in Borneo is at least 40,000 years old, raising intriguing questions about creativity in ancient societies. https://www.nytimes.[...] 2018-11-07
[18] 논문 Palaeolithic cave art in Borneo 2018-11-07
[19] 뉴스 Earliest cave paintings of animal discovered in Indonesia, dating back 40,000 years https://eu.usatoday.[...] 2018-11-08
[20] 뉴스 'Oldest animal painting' discovered https://www.bbc.co.u[...] 2018-11-07
[21] 뉴스 Animal painting found in cave is 44,000 years old https://www.bbc.com/[...] 2019-12-12
[22] 뉴스 Earliest known cave art by modern humans found in Indonesia https://www.theguard[...] 2019-12-11
[23] 뉴스 The oldest story ever told is painted on this cave wall, archaeologists report https://www.washingt[...]
[24] 논문 Earliest hunting scene in prehistoric art http://dx.doi.org/10[...] 2019-12-11
[25] 논문 Pleistocene cave art from Sulawesi, Indonesia http://dx.doi.org/10[...] 2014
[26] 논문 Oldest cave art found in Sulawesi 2021-01-15
[27] 논문 Narrative cave art in Indonesia by 51,200 years ago 2024-07-03
[28] 웹사이트 Oldest example of figurative art found in Indonesian cave https://www.theartne[...] 2024-07-04
[29] 간행물
[30] 논문 Recent advances in the Iron Age archaeology of Taiwan
[31] 뉴스 Notes from central Taiwan: Our brother to the south. Taiwan's relations with the Philippines date back millennia, so it's a mystery that it's not the jewel in the crown of the New Southbound Policy.
[32] 뉴스 Birthplace of Austronesians is Taiwan, capital was Taitung: Scholar
[33] 간행물 Taiwan Jade in the Philippines: 3,000 Years of Trade and Long-distance Interaction
[34] 간행물
[35] 서적 The Sunda Kingdoms of West Java, From Tarumanagara to Pakuan Pajajaran with Royal Center of Bogor, Over 1000 Years of Propsperity and Glory Yayasan cipta Loka Caraka
[36] 서적 Becoming Indian: The Unfinished Revolution of Culture and Identity
[37] 서적 History of Ancient India https://books.google[...] Sterling Publishers Pvt. 2023-03-15
[38] 서적 Hindu culture in ancient India
[39] 서적 Tamil Literature
[40] 서적 The Tamils Eighteen Hundred Years Ago
[41] 서적 History of Humanity: From the seventh century B.C. to the seventh century A.D.
[42] 웹사이트 Three Oldest Hindu Kingdoms in Indonesia https://www.iphedia.[...] www.iphedia.com 2021-08-29
[43] 서적 Southeast Asia: A Concise History Thames and Hudson 2000
[44] 서적 Pengantar Sejarah Kebudayaan Indonesia 2 Penerbit Kanisius
[45] 논문 Volcanic Disaster and the Decline of Mataram Kingdom in the Central Java, Indonesia https://link.springe[...] Springer, Cham
[46] 학술지 In Search of "Ho-Ling"
[47] 서적 The Indianized States of Southeast Asia University of Hawaii Press
[48] harvp
[49] harvp
[50] harvp
[51] harvp
[52] harvp
[53] 백과사전 Indonesia: a country study https://lccn.loc.gov[...] Federal Research Division, Library of Congress 2022-09-25
[54] 학술지 The Search for the 'Origins' of Melayu https://www.jstor.or[...] 2022-11-14
[55] 서적 Power and Plenty: Trade, War, and the World Economy in the Second Millennium
[56] harvp
[57] 학술지 The next great empire
[58] 서적 Historical Atlas of Indones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59] 웹사이트 Geographic Spice Index http://gernot-katzer[...] Gernot-katzers-spice-pages.com
[60] harvp
[61] 웹사이트 How Islam came to dominate Indonesia https://www.trtworld[...]
[62] harvp
[63] 서적 Encyclopaedia of Southeast Asian dynasties Anmol Publications
[64] 서적 A concise history of Islam 2011-09-14
[65] 서적 A history of modern Indonesia, c. 1300 to the present Macmillan
[66] 서적 The Sultanate of Banten Gramedia Book Publishing Division
[67] 웹사이트 Spices and Their Costs in Medieval Europe https://www.economic[...]
[68] harvp
[69] harvp
[70] 서적 To The Spice Islands and Beyond: Travels in Eastern Indonesia Oxford University Press
[71] 서적
[72] 뉴스 Pramoedya sheds light on dark side of Daendels' highway The Jakarta Post 2006-01-08
[73] 서적 A History of Modern Indonesia Since C. 1200 Palgrave Macmillan
[74] 서적 The Power of Prophecy: Prince Dipanagara and the End of an Old Order in Java, 1785–1855
[75] 서적 Raffles' Ark Redrawn: Natural History Drawings from the Collection of Sir Thomas Stamford Raffles British Library & Royal Botanic Garden Edinburgh
[76] 서적 Steen van den berg Pananggungan (Soerabaja), thans in’t India Museum te Calcutta Martinus Nijhoff
[77] 학술지 The Anglo-Dutch Dispute in the East, 1814–1824 http://dx.doi.org/10[...] 1950-00-00
[78] 서적 Raffles and the British invasion of Java Singapore: Monsoon Books Pte Ltd.
[79] 서적
[80] 서적
[81] 서적
[82] 서적 De Privaatrechterlijke Toestand: Der Vreemde Oosterlingen Op Java En Madoera http://www.tongtong.[...] Bibiliobazaar
[83] 학술지 The road to an empire: Organisation and technology of road construction in the Dutch East Indies, 1800–1940
[84] 학술지 Between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The Case of Dutch Civil Engineering in Indonesia, 1800–1950 http://muse.jhu.edu/[...] 2007-00-00
[85] 뉴스 Images of a grisly past http://www.thejakart[...] The Jakarta Post: Weekender 2011-07-00
[86] 서적
[87] 서적
[88] 서적
[89] 서적 The Southwest Pacific since 1900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90] 서적
[91] 서적
[92] 서적
[93] 서적
[94] 서적
[95] 서적
[96] 서적
[97] 학술지 Dutch Attitudes towards Colonial Empires, Indigenous Cultures, and Slaves https://pure.knaw.nl[...] 2020-09-01
[98] 서적
[99] 웹사이트 The Netherlands East Indies 1941–42 http://warfare.gq/du[...]
[100] 학술지 A note on the sources for the 1945 constitutional debates in Indonesia http://espace.librar[...]
[101] 서적 War Without Mercy: Race and Power in the Pacific War Pantheon
[102] 웹사이트 Peran Kerajaan Nusantara dalam Proklamasi Kemerdekaan Indonesia https://kagama.co/20[...] 2023-04-00
[103] 서적
[104] 학술지 Indonesia
[105] 학술지 Independence the Issue 1945-12-05
[106] 논문
[107] 논문
[108] 웹사이트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Session 1 Resolution 66 http://www.un.org/do[...] United Nations 2017-09-16
[108] 웹사이트 Transmission of Information under Article 73e of the Charter https://digitallibra[...] United Nations 2017-09-16
[109] 웹사이트 "The Girdle of Emeralds: Dutch colonial rule in the East Indies" http://www.radioneth[...] 1995-08
[110] 논문
[111] 논문
[112] 논문
[113] 서적 A Nation in Waiting: Indonesia in the 1990s https://archive.org/[...] Westview Press
[114] 웹사이트 Legacy of Ashes: The History of the CIA https://komododreaml[...] 2024-02
[115] 서적 Islam and Political Legitimac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3-09-02
[116] 간행물 Conflict and Confrontation in South East Asia, 1961–1965 http://www.cambridge[...]
[117] 논문
[118] 논문
[119] 서적 Health History in Literature: A Reader's Guide to 20th Century History and the Literature It Inspired https://books.google[...]
[120] 서적 Globalization, Wages, and the Quality of Jobs: Five Country Studies https://books.google[...]
[121] 서적
[122] 서적 Maoism: A Global History
[123] 학술지 The United States and the Overthrow of Sukarno, 1965–1967 https://www.jstor.or[...] 2022-11-17
[124] 웹사이트 What the United States Did in Indonesia https://www.theatlan[...] 2017-10-20
[125] 웹사이트 Slaughter in Indonesia: Britain's secret propaganda war https://www.theguard[...] 2021-10-17
[126] 논문
[127] 비디오 Shadowplay Vagabond Films and Hilton Cordell Productions
[128] 논문
[129] 논문
[130] 논문
[131] 논문
[132] 논문
[133] 논문
[134] 서적 The Jakarta Method: Washington's Anticommunist Crusade and the Mass Murder Program that Shaped Our World PublicAffairs
[135] 뉴스 What the United States Did in Indonesia https://www.theatlan[...] 2017-10-20
[136] 웹사이트 Telegrams confirm scale of US complicity in 1965 genocide http://indonesiaatme[...] University of Melbourne 2017-10-20
[137] 웹사이트 History of Indonesia #10 http://www.indonesia[...] The Library Congress
[138] 웹사이트 Suharto Of Indonesia Embezzled Most Of Any Modern Leader http://www.parapundi[...]
[139] 웹사이트 Breaking Free From Betrayal http://www.newint.or[...] 1999-11
[140] 웹사이트 Govt builds transmigration museum in Lampung http://www.thejakart[...] 2010-06-04
[141] 웹사이트 Indonesia - The transmigration program in perspective (English) https://documents.wo[...] 2024-12-07
[142] 서적 The Indonesian Crisis: A Human Development Perspectiv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143] 간행물 Aspinall 1996
[144] 간행물 Amnesty International 1996
[145] 서적 Asia in Crisis: The Implosion of the Banking and Finance Systems Willey
[146] 학술지 Indonesia: from showcase to basket case
[147] 뉴스 President Suharto resigns http://news.bbc.co.u[...] BBC 1998-05-21
[148] 서적 Emerging Democracy in Indonesia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149] 뉴스 SBY-Boediono Presiden-Wapres Terpilih 2009 http://www.antaranew[...] 2009-08-18
[150] 뉴스 A Child of the Slum Rises as President of Indonesia https://www.nytimes.[...] 2014-07-22
[151] 뉴스 Jakarta governor Widodo wins Indonesian presidential election https://web.archive.[...] Indonesia News.Net
[152] 뉴스 Indonesia election: Joko Widodo re-elected as president https://www.bbc.com/[...] 2019-05-21
[153] 뉴스 Indonesia's Prabowo Subianto wins presidency, elections body confirms https://www.aljazeer[...]
[154] 뉴스 Indonesia: Ex-general Prabowo Subianto sworn in as president – DW – 10/20/2024 https://www.dw.com/e[...]
[155] 웹사이트 From Counter-Society to Counter-State: Jemaah Islamiah According to Pupji, p. 11. https://web.archive.[...] The Institute of Defence and Strategic Studies
[156] 웹사이트 Minister blasts execs of firm that denied burning forest http://www.straitsti[...] 2015-10-13
[157] 뉴스 Indonesia haze: Why do forests keep burning? https://www.bbc.com/[...] 2019-09-16
[158] 뉴스 Southeast Asia's haze: what's behind the annual outbreaks? https://www.asiaone.[...] 2015-09-17
[159] 뉴스 Haze kills 10 people, leaves 503,874 with respiratory ailments: Agency http://www.thejakart[...] 2015-10-24
[160] 웹사이트 Gara-Gara Kabut Asap, Biker Tewas Tabrak Mobil Pemadam http://news.okezone.[...] Okezone 2015-09-18
[161] 웹사이트 Akibat Kabut Asap, Dua Tewas (Laka Tunggal, Tabrak Tiang Listrik) https://web.archive.[...] Balikpapan Pos 2015-09-29
[162] 웹사이트 Tewas Akibat 'Tercekik' Asap http://news.liputan6[...] Liputan 6 2015-09-14
[163] 비디오 Ini Daftar Korban Tewas Akibat Kabut Asap https://web.archive.[...] Metro TV News 2015-10-04
[164] 웹사이트 Indonesia Meratifikasi Undang-Undang Tentang Pengesahan Asean Agreement On Transboundary Haze Pollution (Persetujuan Asean Tentang Pencemaran Asap Lintas Batas) https://web.archive.[...] Ministry of Environment, Indonesia
[165] 서적 古代の栄光 山川出版社
[166] 서적 講談社
[167] 서적 明石書店
[168] 서적 交易の時代と近世国家の成立
[169] 학술지 ジャワのイスラム化に関する一試論
[170] 서적 東方諸国記 岩波書店
[171] 서적
[172] 서적
[173] 서적
[174] 서적 The Emergence of the Indonesian Elite Foris Publications
[175] 학술지 ブディ・ウトモの成立と発展 -ジャワの民族的自覚の源流- (1)・(2)
[176] 간행물 オランダにおけるインドネシア留学生の活動(1908-17年)- 「インドネシア協会」成立前史 - 1977-03
[177] 간행물 成立期イスラム同盟に関する研究 - イスラム商業同盟からイスラム同盟へ - 1975-09
[178] 웹사이트 #추가 정보 필요. 웹사이트 형식으로 가정. こうした方針を立てたのは、東インド社会民主主義連連盟結成に携わったオランダ人社会主義者スネーフリートの発案によるものであった。のちにスネーフリートは、中国における共産党と国民党の連携(国共合作)にも携わった。
[179] 서적 インドネシア民族意識の形成 東京大学出版会 1980
[180] 서적 1928年10月27日から28日にかけて開催されたこの会議は、この組織が1927年に発足してから2回目の会議だった。この会議にはジャワ人青年だけでなく、東インド各地に結成された青年組織(青年スマトラ同盟、青年アンボン)やムスリム青年組織、そしてオランダから帰国した留学生たちも加わった。 1980
[181] 서적 # 추가 정보 필요. 서적 형식으로 가정. 2012
[182] 서적 # 추가 정보 필요. 서적 형식으로 가정. 2009
[183] 서적 # 추가 정보 필요. 서적 형식으로 가정. 2012
[184] 서적 # 추가 정보 필요. 서적 형식으로 가정.
[185] 웹사이트 オランダ政府も2005年に至り、インドネシアの独立日が1949年12月27日ではなく、1945年8月17日であることを認める表明を行った http://www.thejakart[...] 2005-08-18
[186] 서적 インドネシア - ナショナリズム変容の政治過程 勁草書房 1993
[187] 서적 # 추가 정보 필요. 서적 형식으로 가정. 脱植民地化の道 1999
[188] 서적 # 추가 정보 필요. 저자, 제목 등 추가 정보 부족. 서적 형식으로 가정.
[189] 서적 インドネシア現代史 中央公論社 1971
[190] 서적 # 추가 정보 필요. 저자, 제목 등 추가 정보 부족. 서적 형식으로 가정.
[191] 서적 The Indonesian Elections of 1955 Cornell University Press 1957
[192] 웹사이트 #추가 정보 필요. 웹사이트 형식으로 가정. プルメスタ(Permesta - Perjuangan Semesta = 全体闘争)は西スマトラを中心にした反中央政府運動。1958年2月に革命政府の樹立を宣言し、これにはマシュミやインドネシア社会党の有力指導者も加わっていた。これに呼応して東インドネシアでも運動が広がった。 1958-02
[193] 서적 # 추가 정보 필요. 저자, 제목 등 추가 정보 부족. 서적 형식으로 가정.
[194] 웹사이트 #추가 정보 필요. 웹사이트 형식으로 가정. スカルノ失脚後の1969年に西イリアンで住民投票がおこなわれ、西イリアンはインドネシアに帰属することが決まった。 1969
[195] 웹사이트 #추가 정보 필요. 웹사이트 형식으로 가정. 反政府側に、ラスカー・ジハードも加わった。
[196] 서적 # 추가 정보 필요. 저자, 제목 등 추가 정보 부족. 서적 형식으로 가정. 1986
[197] 서적 ガネフォ 同朋舎出版 1991
[198] 서적 マクロ経済の成果 アジア経済研究所 1995
[199] 서적 国軍 -その世代交代と変貌- アジア経済研究所 1995
[200] 서적 ゴルカル -スハルトと国軍のはざまで- アジア経済研究所 1995
[201] 서적 # 추가 정보 필요. 서적 형식으로 가정. 2009
[202] 뉴스 建物多数が海中に沈む インドネシア地震被害 朝日新聞 1979-09-13
[203] 서적 ハビビ新政権の特徴 アジア経済研究所 1998
[204] 서적 地方自治と民主化の進展 バリの事例から NTT出版 2006
[205] 서적 流血のマルク インドネシア軍・政治家の陰謀 インドネシア民主化支援ネットワーク 2001
[206] 서적 東ティモール 奪われた独立・自由への闘い 明石書店 19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