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핀란드 요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핀란드 요리는 노르웨이, 스웨덴, 러시아 요리와 유사하지만 조리 방식에 차이가 있다. 과거에는 핀란드의 혹독한 환경으로 인해 뿌리채소, 호밀빵, 염장 생선 등에 의존했으며, 숲에서 얻는 식재료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 현대에는 핀란드 요리사들이 유럽식 조리법을 혼합하여 발전하고 있으며, 1995년 유럽 연합 가입 이후 무역 장벽이 제거되면서 다양한 식재료를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핀란드 요리는 육류, 베리류, 생선, 버섯 등을 활용하며, 지역별 특색 있는 요리도 존재한다. 핀란드 요리는 과거에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 현재는 유럽의 조리 기술을 활용하여 발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핀란드 요리 - 월귤잼
    월귤잼은 월귤과 설탕을 주재료로 하고 사과나 펙틴을 첨가하여 만들며, 스웨덴 전통 음식과 함께 먹거나 현대에는 시리얼, 팬케이크, 고기 요리 등의 소스나 토핑, 베이킹 재료로 활용된다.
  • 핀란드 요리 - 루테피스크
    루테피스크는 스칸디나비아 지역에서 유래한 건조 생선을 가성소다 용액에 처리하여 젤리처럼 만든 전통 음식으로, 특별한 날에 즐겨 먹으며 독특한 풍미와 조리법으로 다양한 이야깃거리가 되고 북미 이민자 사회에서도 소비된다.
핀란드 요리
지도 정보
요리
카렐리아 파이
카렐리아 파이
일반 정보
국가핀란드
지역핀란드
역사적 영향스웨덴 요리
러시아 요리
주요 특징
주재료생선
고기 (순록, 사슴)
감자
유제품
호밀
귀리
보리
조리법훈제
염장
특별 고려 사항계절적 가용성
유사 요리스칸디나비아 요리
식사
아침 식사오트밀
시리얼

커피
점심 식사간단한 식사
종종 직장 구내 식당에서 제공
저녁 식사집에서 만든 식사
레스토랑 식사
간식
과일
음식
주요 음식카렐리아 파이 (karjalanpiirakka)
칼라쿠코 (kalakukko)
뢰스튀 (rösti)
마카로니 라티코 (makaronilaatikko)
그릴리 코르바 (grilli-makkara)
무스타마카라 (mustamakkara)
살미아키 (salmiakki)
맘미 (mämmi)
생선 요리그라아빌로히 (graavilohi)
린시리하 (lipeäkala)
마티 (matjes)
실라카 (silakka)
수프헤르네케이토 (hernekeitto)
로히케이토 (lohikeitto)
디저트핀란드 치즈
파스토 (pulla)
루네베르그 토르타 (runebergintorttu)
살미아키 (salmiakki)
음료
알코올 음료코스켄코르바 비이나 (koskenkorva viina)
론케로 (lonkero)
사스티 (sahti)
무알코올 음료커피
밀크
피이마 (piimä)
추가 정보
전통여름 코티지 문화
모닥불 소시지 굽기
독립 기념일 저녁 식사
부활절 맘미
특징건강한 음식
유기농 식품
현지 생산 식품
기타핀란드 음식 문화 협회

2. 특징

전통적인 핀란드 음식은 노르웨이 요리, 스웨덴 요리, 러시아 요리와 많은 부분에서 유사하지만, 조리 방법에서 차이를 보인다. 예를 들어 핀란드 음식은 스웨덴 요리에 비해 덜 달고, 사워크림(스메타나 크림)을 적게 쓰거나 아예 쓰지 않는다.[2]

핀란드인의 삶과 문화는 농업에 기반을 두었지만, 혹독하고 추운 환경에서 농업은 안정적인 생계 수단이 아니었다. 따라서 자연에서 식량을 얻는 것이 중요했으며, 특히 낚시는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이었다. 대규모 육류 생산은 20세기 초에 이르러서야 시작되었다.

과거에는 신선한 과일과 채소를 구하기 어려워 뿌리채소(순무, 감자), 검은 호밀빵, 발효된 유제품에 의존했으며, 소금 외에는 향신료가 거의 없었고, , 차이브와 같은 신선한 허브는 여름철에만 구할 수 있었다. 많은 핀란드 전통 요리는 오븐에서 오랫동안 끓여서 준비한다. 숲과 호수는 주요 식량 공급원이었으며, 숲에서 생산되는 식품은 핀란드 요리의 독특한 특징이다. 현대 핀란드 요리사들은 고품질 핀란드 제품과 유럽식 조리법을 혼합한다.[2]

국제화로 인해 파스타, 피자, 케밥, 햄버거가 핀란드 메뉴에 통합되면서 전통적인 일상 요리가 대체되기도 했다. 20세기에는 핀란드 여성의 대다수가 노동 시장에 진출하면서 오랜 준비 시간이 필요한 많은 전통 요리는 명절에만 먹는 음식이 되었다.

현대 농업과 운송에도 불구하고 핀란드의 음식은 다른 유럽 국가에 비해 비싼 편이다. 1995년 유럽 연합 가입으로 무역 장벽이 제거되면서 곡물, 육류, 우유와 같은 제품의 가격이 하락했다.[3] 오늘날 핀란드 슈퍼마켓과 레스토랑은 전 세계의 다양한 음식을 제공한다.

핀란드 요리는 스웨덴 요리와 매우 유사하며, ''Janssons frestelse''(janssoninkiusausfi), ''pyttipannu'', ''gravlax''(graavilohifi)와 같은 스웨덴 요리가 핀란드에서 흔하다. 가장 큰 차이점은 핀란드인들이 설탕이 들어가지 않은 음식을 선호한다는 것이다. 핀란드 요리는 독일러시아 요리와도 유사하다.[4] kiisselifi(키셀) 및 lihapiirakkafi(cf. pirozhki)는 각각 독일과 러시아 음식과 유사하다. 그러나 핀란드 요리법은 신선한 재료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5]

3. 핀란드의 식재료

전통적인 핀란드 음식은 노르웨이 요리, 스웨덴 요리, 러시아 요리와 많은 부분에서 유사하지만, 조리 방법에서 차이를 보인다. 예를 들어 핀란드 음식은 스웨덴 요리에 비해 덜 달고, 사워크림(스메타나 크림)을 적게 쓰거나 아예 쓰지 않는다.

핀란드인의 삶의 방식과 문화는 농업에 기반을 두었지만, 혹독하고 추운 환경에서 농업은 안정적인 생계 수단이 아니었다. 따라서 자연에서 식량을 얻는 것이 중요했으며, 특히 낚시는 단백질을 얻는 중요한 방법이었다. 대규모 육류 생산은 20세기 초에 이르러서야 시작되었다.[2]

과거 핀란드의 기후 때문에 신선한 과일과 채소를 구하기 어려웠고, 순무, 감자, 검은 호밀빵, 발효 유제품, 염장 생선과 육류에 의존했다. 전통적으로 소금 외에는 향신료가 거의 없었고, , 차이브와 같은 신선한 허브는 여름철에만 구할 수 있었다. 많은 전통 요리는 오븐에서 오랫동안 끓여서 준비했다. 숲과 호수는 주요 식량 공급원이었으며, 숲에서 생산되는 식품은 핀란드 요리의 독특한 특징이다. 현대 핀란드 요리사들은 고품질 핀란드 제품과 유럽식 조리법을 혼합한다.

국제화로 인해 파스타, 피자, 케밥, 햄버거와 같은 수입품이 핀란드 메뉴에 통합되면서 전통적인 일상 요리가 대체되기도 했다. 20세기에는 핀란드 여성의 대다수가 노동 시장에 진출하면서 오랜 준비 시간이 필요한 많은 전통 요리는 명절에만 먹는 음식이 되었다.

현대 농업과 운송에도 불구하고 핀란드의 음식은 다른 유럽 국가에 비해 비싼 편이다. 1995년 유럽 연합 가입으로 무역 장벽이 제거되면서 곡물, 육류, 우유와 같은 제품의 가격이 하락했지만,[3] 그 이전에는 높은 세금과 수입 제한으로 인해 외국산 식품의 가용성이 제한되었다. 오늘날 핀란드 슈퍼마켓과 레스토랑은 전 세계의 다양한 음식을 제공한다.

핀란드 요리는 스웨덴 요리와 매우 유사하며, ''Janssons frestelse''(janssoninkiusaus|얀손신키우사우스fi), ''pyttipannu'', ''gravlax''(graavilohi|그라빌로히fi)와 같은 스웨덴 요리가 흔하다. 가장 큰 차이점은 핀란드인들이 설탕이 들어가지 않은 음식을 선호한다는 것이다. 핀란드 요리는 독일 요리, 러시아 요리와도 유사하다.[4] 그러나 핀란드 요리법은 통조림이나 절인 식품보다 신선한 재료를 선호한다.[5]

3. 1. 육류

쇠고기와 돼지고기 미트볼(lihapullat)은 으깬 감자, 크림 루 소스, 샐러드, 링곤베리 잼과 함께 제공된다.


순록 스튜(poronkäristys)는 라플란드에서 가장 인기 있는 요리이며, 으깬 감자 볼에 링곤베리와 함께 제공된다.


핀란드에서 가장 인기 있는 육류는 돼지고기 (2005년 기준 1인당 연간 33.5kg), 쇠고기 (18.6kg), 그리고 닭고기 (13.3kg)이다.[6] 이 중 약 3분의 1은 소시지(makkara|마카라fi) 형태로 소비되며, 주로 돼지고기로 만들지만 다른 육류도 혼합되는 경우가 많다.[7] 말고기, 양고기, 그리고 순록고기는 전체 육류 소비량의 작은 부분을 차지하지만, 널리 구할 수 있다.[8]

사육되는 동물 외에도 핀란드에는 사냥낚시의 오랜 전통이 있다. 사냥꾼들은 사슴, 무스, 그리고 을 주로 사냥하지만, 토끼, 오리, 그리고 뇌조와 같은 작은 동물들도 인기 있다. 매년 약 70,000~80,000마리의 무스가 도태되면서 상당한 양의 고기가 생산된다. 매우 엄격한 식품 위생 규정으로 인해 무스 고기는 주로 가정에서 소비되며, 식당에서는 거의 구할 수 없다.

3. 2. 베리류

북극의 야생 열매는 강한 풍미와 높은 영양 성분으로 핀란드 요리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전통적으로 여름에는 신선하게 먹었고, 다른 계절에는 말려서 먹었다. 숲에서 직접 열매를 따는 것은 여전히 매우 흔하며, 실제로 야생 열매는 주거지 근처를 제외하고 모든 국유 또는 사유 숲에서 자유롭게 채취할 수 있다 (자유 통행권 참조). 야생 산딸기 (vadelmafi), 빌베리 (mustikkafi) 및 링곤베리 (puolukkafi)는 핀란드의 거의 모든 지역에서 발견되는 반면, 클라우드베리 (lakkafi), 크랜베리 (karpalofi), 북극 산딸기 (mesimarjafi) 및 비타민나무 (tyrnifi)는 더 제한된 지역에서 자란다. 강렬한 풍미를 지닌 야생 딸기 (metsämansikkafi)는 케이크를 장식하거나, 크림, 또는 아이스크림과 함께 단독으로 제공되는 계절별 별미이다. 재배된 딸기 (mansikkafi) 또한 매우 흔하다.

월귤 ()은 핀란드 전역에서 흔하게 자란다.


오늘날, 열매는 더 이상 겨울철 소비를 위해 건조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냉동된다. 열매는 재료로 사용되거나, 예를 들어 죽과 설탕과 함께 단독으로 먹을 수 있다. 키이셀리 (감자 전분으로 걸쭉하게 만든 베리 주스와 베리 수프)는 흔한 디저트이다. 수제 베리 주스와 잼은 특히 노년층에서 흔하다. 열매는 디저트에 가장 많이 사용되지만, 고기와 함께 제공되기도 하며, 특히 시큼한 링곤베리 렐리시와 함께 제공된다.

전형적인 키이셀리


빌베리 ''키이셀리''(mustikkakiisselifi)와 야생 빌베리 (''Vaccinium myrtillus'')로 만든 파이 (mustikkapiirakkafi)는 전통적인 핀란드 디저트이다. 빌베리는 핀란드 요리에서 빌베리 파이와 같은 재료로 자주 사용되며, 크림이나 아이스크림과 함께 제공되기도 한다. 또한 종종 ''빌리''와 다른 요구르트 종류의 요리에 올려진다.

3. 3. 생선

핀란드와 발트해의 호수와 강은 낚시를 할 수 있는 많은 기회를 제공하며, 생선은 항상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이었다. 생선을 준비하는 데는 튀김, 삶기, 건조, 소금 절임, 발효, 냉훈 또는 단순히 바다 생선을 썰어 생으로 먹는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된다. 연어는 kylmäsavustettu lohifi(냉훈 연어, 락스) 또는 레몬즙과 함께 ''graavilohi''(스웨덴어로는 gravlaxsv)로 제공되는 인기 있는 선택이다. ''lohikeitto''(연어 수프) 또한 핀란드에서 가장 인기 있는 연어 요리 중 하나이다.[9] 훈제된 연어, 농어, 잉어, 배스 및 발트 청어와 같은 모든 종류의 생선은 흔하다. 스웨덴어 사용 인구 사이에서 인기 있는 요리는 훈제 청어(savusilakkafi, böcklingsv)이다. 흔한 전채 요리인 피클링한 청어는 다양한 스타일이 있으며, 하지 무렵에는 uusiperunafi(스웨덴어로는 nypotatissv, '새 감자'를 의미)라고 불리는 작은 감자, 즉 일반적으로 첫 수확 감자와 함께 제공된다. 흰 물고기와 멸치 은 토스트 위에 올려 먹거나 블리니와 함께 제공되는 핀란드의 진미이다. 가재는 핀란드의 많은 호수와 강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특히 8월에는 스웨덴어 사용 인구가 종종 가재를 먹고 술을 마시는 것을 중심으로 한 파티를 연다.

튀긴 멸치(''Coregonus albula'')는 핀란드의 여름 별미이다. 생선을 튀겨서 마늘 소스와 함께 통째로 먹는다.


''Loimulohi''(불에 구운 연어)


튀긴 청어는 핀란드의 인기 요리이다. 보통 삶거나 으깬 감자와 함께 제공된다.

3. 4. 버섯

노란대혹버섯은 흔히 자작나무 근처에서 자란다.


핀란드 숲에서는 다양한 종의 버섯이 풍부하게 자라며, 독새송이는 봄에 제철을 맞아 크림 요리에 사용된다. 노란대혹버섯과 세프는 하지 이후에 나타나 전국적으로 인기가 있으며, 핀란드 동부에서는 젖버섯과 무당버섯을 포함하여 거의 모든 식용 버섯이 소비된다. 대부분의 버섯 레시피는 핀란드인들이 버섯을 음식보다는 천연 염색에 사용했기 때문에 러시아에서 유래되었다.[10] 버섯은 수프, 소스, 스튜, 파이 충전재로 사용되거나, 단순히 양파와 함께 팬에 볶아 사이드 디시로 제공된다. 겨울을 위해 절이거나 말려서 보관한다. 노란대혹버섯은 종종 핀란드 고급 요리에 등장하며, 그 친척인 겨울 노란대혹버섯은 종종 시즌을 마무리한다. 딸기 따기와 마찬가지로, 버섯 사냥 또한 핀란드인들 사이에서 인기 있는 야외 활동이다.[10]

3. 5. 빵

섬유질이 풍부하고 색이 어두운 ''루이스레파(ruisleipä)'' 즉, 호밀빵은 핀란드 식단의 기본이다. 빵은 보리, 귀리, 호밀과 같은 곡물로 만들어지거나, 다양한 곡물과 밀가루를 혼합하여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sihtileipäfi는 호밀과 밀을 조합하여 만든다. 또한, rieskafi라고 불리는 다양한 종류의 납작빵이 있는데, ''마이토리에스카(maitorieska)''(우유 납작빵), 사보니아(Savonia) 지방의 보리쌀로 만든 ryynirieskafi, 서부 해안에서 돼지 비계를 넣어 만든 다소 납작한 보리빵인 läskirieskafi(라드 납작빵), 그리고 ''페루나리에스카''(perunarieska, 감자 납작빵)가 있다. 카이누(Kainuu), 북부 핀란드에서는 납작빵이 매우 얇고 불에 직접 구워진다. 바삭한 호밀빵인 ''내키레파(Näkkileipä)'' 또한 흔하다. 19세기에 작물 실패로 인한 기근으로 인해 핀란드인들은 페툴레파(pettuleipä) 또는 수피 빵(bark bread)을 즉석에서 만들어 먹었는데, 이는 호밀가루와 소나무 껍질의 부드러운 사부 층으로 만든 빵이었다.[11] 이 빵은 영양가는 있었지만 돌처럼 단단하고 맛과는 거리가 멀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도 먹었으며, 이 빵을 만드는 전통은 건강에 좋다는 주장과 함께 소규모로 부활했다.

3. 6. 죽

핀란드의 아침 식사에는 전통적으로 상당한 양의 이 포함된다. 귀리, 호밀 또는 혼합 곡물로 만든 죽이 가장 흔하다. 우유를 기반으로 한 만나푸로fi (세몰리나 우유 죽)와 헬미푸로fi (전분 곡물 우유 죽)도 먹는다. 죽은 종종 우유, 설탕, 버터 또는 베리 키이셀리와 함께 먹는다. 크리스마스 시즌에는 계피와 설탕을 뿌리고 자두 키이셀리fi (루우무키이셀리fi)를 얹은 우유 기반 쌀죽 (리시푸로fi)을 먹는다. 신선하거나 냉동된 링곤베리로 맛을 낸 세몰리나 기반 죽인 비스피푸로fi ("휘저은 죽")도 있다.

설탕과 계피를 곁들인 쌀죽은 핀란드에서 크리스마스에 일반적으로 먹으며, 다른 핀란드 죽보다 달콤하여 디저트로도 제공될 수 있다.


비스피푸로 (Vispipuuro)


아침 식사로는 (핀란드어: puurofi)을 흔히 먹는데, 종종 압착 귀리로 만들며 버터 한 조각(핀란드어: voisilmäfi, 문자 그대로 '버터 눈') 또는 우유, 과일, 잼(특히 라즈베리나 딸기, 때로는 링곤베리)과 함께 먹는다.

3. 7. 음료

물과 커피는 핀란드에서 가장 흔한 음료이지만, 식사 중에는 우유와 사워 밀크의 일종인 발효유(피이마)도 어른들 사이에서도 인기가 있다. 커피는 하루에 여러 번 마시는 경우가 많으며, 핀란드는 세계에서 1인당 커피 소비량이 가장 높은 국가이다.[12] 도 대부분의 가정에서 구할 수 있다.

Koff는 핀란드에서 가장 오래된 맥주 브랜드 중 하나이다.


Finlandia 보드카 한 병


롱 드링크(Lonkero)


''시마''(꿀술)와 ''sahti''(전통 맥주)와 같은 여러 종류의 집에서 양조한 알코올 음료가 있다. 증류주 브랜드로는 Koskenkorva(보드카와 유사한 맑은 증류주) 및 ''salmiakki'' 맛의 샷 Salmiakkikossu, Jaloviina(브랜디), Finlandia 보드카, Marskin ryyppy(만네르헤임 원수의 샷)가 있다. 크리스마스 즈음에는 ''glögi''라고 불리는 일종의 멀드 와인이 제공되며, 비알코올 버전으로도 제공된다. 많은 베리류가 리큐어의 향을 내는데 사용되며, 예를 들어 클라우드베리 리큐어가 있고, 붉은 건포도와 검은 건포도로 만든 과실주가 있다. 전국 특산품으로는 다양한 브랜드의 맛을 낸 하드 사이다(스웨덴과 같은)와 애칭 ''lonkero''가 붙은 롱 드링크 믹스가 있으며, 원래는 진과 자몽 소다 롱 드링크였다.

핀란드 맥주 시장은 페일 라거가 지배하고 있다. 시장 점유율이 가장 높은 현지 브랜드로는 Koff, Lapin Kulta, Karjala, Olvi 및 Karhu가 있다. 무알코올 맥주도 최근 몇 년 동안 인기 있는 대안이 되었다. Kotikaljafi(슬라브 kvass와 유사)는 전통적인 소규모 맥주이다. Kotikalja는 탄산만을 위해 발효된 맥아와 설탕이 함유된 단맛이 나는 맥주로, 알코올 함량이 매우 낮다(<1.2%). 홉은 종종 빠져 있다. 신선한 kotikalja는 여과되지 않아 흐리고 보관할 수 없다. 핀란드 맥주 특산품은 주니퍼 베리로 맛을 낸 전통 에일인 ''sahti''이다.

핀란드는 1인당 커피 소비량이 세계에서 가장 높으며, 연간 1인당 평균 12kg의 커피를 소비한다.[17]

4. 핀란드의 대표적인 요리


  • '''칼라쿠코(Kalakukko)''' - 작은 생선과 고기를 호밀 반죽으로 감싸 구운 요리이다.
  • '''칼리캐리엘레트(Kaalikääryleet)''' – 양배추 롤(롤 캐비지)이다.
  • '''사냥감 음식''' - 순록, 사슴, 뇌조, 오리, 토끼 등의 요리이다. 최고급 레스토랑을 제외하고는 식당에서 드물게 접할 수 있으며, 사냥을 취미로 하는 사람들에게 흔하다.
  • '''헤르네케이토(Hernekeitto)''' – 완두콩 수프이다. 보통 목요일에 팬케이크와 함께 디저트로 제공된다.
  • '''레 이패유스토(Leipäjuusto)''' (juustoleipäfi) – 할루미와 비슷한 부드러운 치즈이다. 치즈를 사용한다.
  • 레 이패유스토(Leipäjuusto)
  • --
  • '''빌리(Viili)''' – 요거트와 유사한 발효유 제품이다.
  • '''페루나무시(Perunamuusi)''' – 으깬 감자이며, 흔한 반찬이다.
  • '''리하풀라트(Lihapullat)''' – 핀란드 미트볼이며, 종종 그레이비 소스나 링곤베리 소스와 곁들여 먹는다.
  • '''팔비킹쿠fi''' 및 '''팔빌리하fi''' – 훈제 또는 쇠고기이다.
  • '''로히케이토(lohikeitto)''' - 연어 수프이다.
  • '''청어 염장''' - 감자를 곁들이는 경우가 많다.
  • '''냉훈제 식품'''
  • 맴미
  • 뿔라


이 외에도 부활절맴미크리스마스의 요울루포유타(크리스마스 메뉴)에 포함되는 당근 캐서롤인 포르카나라티코, 감자 캐서롤인 페르나라티코, 순무 캐서롤인 란투라티코 등, 축제용 특별 요리가 있다.[1]

전통적인 핀란드 요리는 스웨덴, 독일, 러시아의 영향을 크게 받았지만, 스웨덴 요리보다 단맛이 적고 러시아 요리에 비해 사워크림(스메타나)을 적게 사용하는 등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1] perinneruokafi("전통 요리")는 일상적으로 거의 먹지 않고 주로 특정 지역이나 노년층, 또는 특정 휴일에 먹는 특별한 요리를 의미한다.[1]

5. 지역별 요리

전통적인 핀란드 음식은 노르웨이 요리, 스웨덴 요리, 러시아 요리와 많은 부분에서 유사점을 가지지만, 조리 방법에서 차이를 보인다. 예를 들어 핀란드 음식은 스웨덴 요리에 비해 덜 달고, 사워크림을 적게 쓰거나 아예 쓰지 않는다.

핀란드는 지역별로 특색 있는 요리가 발달하였다.

5. 1. 라플란드


  • 볶음 순록 고기 (poronkäristysfi)
  • 로히케이토 연어 수프 (크림 포함)

5. 2. 카이누


  • 뢴퇴넨(Rönttönen): 월귤로 속을 채운 페이스트리로, EU 법률에 따른 지리적 표시 보호(PGI)를 받는다.[1]
  • 훈제 육수
  • 카이누운 유스토레이파(Kainuun Juustoleipä): 빵 치즈[1]
  • 시앙어 수프
  • 페투레잎야fi(Pettuleipä): '페투fi-빵'으로, 기근 시기에 호밀가루와 소나무 사부로 만든 나무껍질 빵이다.[1]

5. 3. 카렐리야


  • 카렐리야 파스티는 핀란드 전역에서 인기 있는 음식이다.
  • 카렐리야 스튜는 핀란드의 독립기념일과 크리스마스에 자주 먹는다.
  • 술치나는 요엔수의 시장 광장과 그 지역의 다른 곳에서 판매된다.

5. 4. 사보

사보니아 (동부 핀란드)의 전통적인 칼라쿠코는 유럽 농어와 돼지 삼겹살로 만들어진다.

  • '''칼라쿠코''' (Kalakukko): 생선 페이스트 빵
  • '''미키로카''' (Mykyrokka): 피 만두 수프
  • '''뢰르치''' (Lörtsy): 시큼하거나 달콤한 소(고기, 채소 또는 잼)로 속을 채운 페이스트리

5. 5. 오스트로보트니아와 올란드 제도

서해안에 위치한 지리적 특성 때문에, 이 지역의 요리에는 몇 가지 지역 특산물이 있다.

  • 클림프소파(밀가루 경단 수프)
  • 올란드의 팬케이크는 일반적으로 남은 죽으로 만들며 자두 잼과 함께 제공된다.
  • 스웨덴어 svartbrödsv('검은 빵')은 스웨덴어를 사용하는 올란드에서 먹으며, skärgårdslimpasv('섬 주민의 빵', 올란드를 지칭)로 알려진 유사한 검은 빵은 남부 해안과 오스트로보트니아 해안의 말락스( malaxlimpasv)에서 만들어진다. 이 빵은 짙은 갈색을 띠며, 호밀로 만들어졌고 많은 양의 흑설탕 시럽을 포함한다.

5. 6. 기타 지역 특산 요리


  • 케사케이토(Kesäkeitto)는 버터와 우유를 넣은 전통적인 채소 수프이다.
  • 무스타마카라(Mustamakkara)는 탐페레의 블러드 소시지이다.

무스타마카라 식사

  • 뢰쇨포투(Rössypottu)는 오울루의 혼합 블러드 푸딩과 돼지고기 스튜이다.
  • 하판벨리(Hapanvelli)는 비롤라티의 호밀 및 완두콩 죽이다.
  • Kakkofi는 주로 사타쿤타 지역에서 구워지는 흰 빵의 일종이다.[13]

6. 특별한 날의 요리

전통적인 핀란드 음식은 노르웨이 요리, 스웨덴 요리, 러시아 요리와 많은 부분에서 유사점을 가지지만, 조리 방법에서 차이를 보인다. 예를 들어 핀란드 음식은 스웨덴 요리에 비해 덜 달고, 핀란드인들은 러시아인들과 비교했을 때 음식을 요리할 때 사워크림(또는 스메타나 크림)을 적게 쓰거나 아예 쓰지 않는다.[1]

핀란드에는 특별한 날에 먹는 전통 음식들이 있다. 사순절에는 헤르네케이토와 라스키아이스풀라를 먹고, 부활절에는 매미파스카를 먹는다. 5월 1일 밥푸에는 시마, Munkki|뭉끼fi, Tippaleipä|팁빨레이패fi를 먹으며, 크리스마스에는 율루표탸와 글뢰기를 먹는다.

6. 1. 사순절

6. 2. 부활절

매미는 부활절 디저트 푸딩으로, 달콤하게 조리된 오븐 구이 호밀 맥아 죽이다. 설탕과 우유 또는 크림과 함께 제공되며, 연중 냉동 상태로 판매된다. 가톨릭 시대에는 사순절 음식이었으며 성 금요일에도 제공되었다.

파스카는 커드, 버터, 계란 및 향신료로 만든 디저트로, 러시아에서 유래되었다.

6. 3. 밥푸 (5월 1일)

4월 30일, 밥푸 전야에 디저트로 제공되는 ''뭉끼''와 ''시마'' 한 잔

  • ''시마'' – 가정에서 만들거나 구매한 벌꿀술
  • Munkki|뭉끼fi(설탕을 입힌 튀긴 pulla|풀라fi, 도넛과 유사)
  • Tippaleipä|팁빨레이패fi (메이데이 프리터), 일종의 퍼널 케이크

6. 4. 크리스마스


  • '''율루표탸'''(크리스마스 테이블)는 다양한 요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부는 크리스마스에 거의 독점적으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리페아칼라'''(lutefisk)가 있다.
  • '''글뢰기'''(Glögi), 뱅쇼는 휴가철에 제공된다.

7. 디저트


  • '''풀라''' - 커피와 함께 먹거나 디저트로 먹는 달콤한 카다멈 향의 빵이다.
  • 코르바푸우스티 – 시나몬과 설탕을 넣어 롤 형태로 만든 풀라이다.
  • '''키이셀리''' – 물, 설탕, 베리 주스 및 베리(요즘은 종종 통조림 또는 냉동)에 감자 전분을 넣어 걸쭉하게 만든 것으로, 우유/크림과 설탕과 함께 제공된다. 음료처럼 묽지 않을 수도 있다. 무스틱카케이토(스웨덴어: blåbärssoppa)와 비슷하지만 젤라틴처럼 굳지는 않는다.
  • '''레이패주스토''' - 클라우드베리 잼(핀란드어: lakkahillo)과 커피와 함께 제공되는 부드러운 치즈이다.
  • 루네베리 토르테 - 국민 시인 요한 루드비그 루네베리의 이름을 따서 그의 기념일인 2월 5일에 제공된다.
  • '''뢴퇴넨''' - 링곤베리 필링을 넣은 페이스트리
  • '''우니유스토''' - 베리와 함께 먹는 구운 우유 요리
  • '''비스피푸우로'''(휘핑 죽) - 링곤베리 또는 기타 베리를 넣은 달콤한 분홍색 디저트 죽으로 우유와 설탕과 함께 제공된다.

루네베리 토르테

8. 과자


  • '''살미아키''' - 짠맛이 나는 검은 감초 캔디이다.
  • '''감초 파이프''' - 단맛이 나는 검은 감초 캔디이다.
  • 시수 파스틸 - 아라비아 검으로 만든 캔디이다.
  • 파체르 블루(Fazer Sininen) - 밀크 초콜릿이다.
  • 키스메트 - 웨이퍼 초콜릿 바이다.
  • 투플라 - 초콜릿 바이다.

피흘라야 마멀레이드 캔디

  • 피흘라야 - 마멀레이드 캔디이다.
  • 키스-키스 - 분홍색 껍질에 페퍼민트 향이 나고 끈적한 토피가 들어있는 하드 캔디이다.
  • 마리안느 - 페퍼민트 향 껍질에 초콜릿이 들어있는 하드 캔디이다.
  • 오마르 - 캐러멜 캔디이다.
  • 목 타르 - (terva) 향 캔디이다. (예: 테르바 레이요나)
  • 옌키 - 핀란드 이다.
  • 민톤 - 목 캔디, 파스텔이다.
  • 살미아키 - 염화암모늄 맛 사탕이다.
  • 감초 과자

9. 핀란드 음식에 대한 비판

2005년, 핀란드 요리는 요리로 유명한 두 나라의 지도자로부터 거센 비판을 받았다. 이탈리아총리는 "핀란드에 가본 적이 있는데 핀란드 식단을 견뎌야 했으니 비교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고 주장했다. 베를루스코니는 2001년 핀란드 음식에 대한 반대 캠페인을 시작했다. 그는 이어서 "핀란드인들은 프로슈토가 무엇인지조차 모른다"고 말했다. 이는 유럽 위원회가 헬싱키에 유럽 식품 안전청을 설립하기로 한 결정에 이은 것이었다. 2005년 7월 4일 프랑스대통령는 "핀란드 다음으로, [영국은] 최악의 음식을 가진 나라"라고 주장했다.[18][19]

자크 시라크와 실비오 베를루스코니의 비판 이후, 일부 국제 음식 기자들은 다음과 같이 답변했다.

기자출판물반응
우테 융커오스트레일리아 파이낸셜 리뷰 매거진 (시드니, 호주)"시라크와 베를루스코니는 틀렸습니다! 핀란드 요리는 제가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국제적입니다. 멋진 레스토랑에서 아주 맛있는 음식을 먹었고, 시장을 방문했고, 훌륭한 카페테리아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냈습니다. 핀란드 치즈는 매우 훌륭합니다. 저는 핀란드 구름 버섯과 훈제 생선도 좋아합니다."
릴리안 델와세르 피가로 (파리, 프랑스)"핀란드 레스토랑의 음식은 매우 훌륭합니다. 특히 핀란드 연어, 버섯 수프, 디저트를 좋아합니다. 핀란드 와인도 아주 맛있게 먹었습니다. 핀란드 요리의 세계적인 명성은 좋지 않지만, 그래야 합니다!"
에이프릴 허친슨압타 매거진 (런던, 잉글랜드)"저는 핀란드에서 맛있는 음식만 먹었습니다. 핀란드의 음식은 매우 신선합니다. 빵, 베리, 버섯, 디저트가 아주 맛있습니다. 핀란드 베리(특히 구름 버섯), 연어, 치즈, 순록 고기는 런던에서도 구할 수 있어야 합니다."



핀란드 피자 체인 코티피자는 2008년 뉴욕에서 열린 아메리카스 플레이트 국제 피자 대회에서 우승했고, 이탈리아계 미국인 피자는 2위를 차지했다. 코티피자는 수상작인 훈제 순록 피자의 이름을 핀란드 요리가 이탈리아 총리로부터 받았던 비판에 대한 상징적인 보복으로 ''베를루스코니''라고 명명했다.[20]

피자 베를루스코니


핀란드 요리는 영국 요리와 함께 평판이 그리 좋지 않다고 여겨진다. 예를 들어, 2005년 프랑스 대통령 자크 시라크는 핀란드 요리에 대해 "유럽 최악의 요리 중 하나이며, 영국 요리보다는 약간 더 맛있다"고 혹평했다고 보도되었다.[21] 이탈리아 총리 실비오 베를루스코니도 핀란드의 훈제 순록을 "파르마 햄이 비교도 안 되게 맛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부정적인 이미지의 원인으로는 과거 가혹한 풍토로 인해 신선한 과일채소를 구하기 어려워 뿌리채소나 검은 호밀빵, 발효 유제품 등에 의존해야 했으며, 핀란드 요리의 밍밍한 맛이 외국인에게 익숙하지 않았고, 예로부터 소금 외의 향신료를 구하기 어려웠던 점 등이 꼽힌다.

농업과 수송 기술이 발달한 현대에도 이러한 상황은 크게 변하지 않았으나, 1995년 유럽 연합 가입이 전환점이 되었다. 무역 장벽이 제거됨에 따라 곡물과 고기, 우유 등의 물가가 50% 가까이 하락[22]했을 뿐만 아니라, 슈퍼마켓이나 레스토랑에도 전 세계의 식재료가 갖춰지게 되었다. 현재 핀란드 요리는 유럽 대륙의 최첨단 조리 기술을 활용하여 날마다 연구를 거듭하고 있으며, 2003년에는 헬싱키 시내의 레스토랑이 미슐랭 가이드에서 별 2개를 받을 정도로 발전했다.

참조

[1] 웹사이트 A Nation in Transition: The Resettlement of the Karelian Evacuees http://www15.uta.fi/[...] Department of Translation Studies, University of Tampere 2013-11-12
[2] 웹사이트 RAVINTOLAT {{!}} Chez Dominique saa toisen Michelin-tähden https://www.hs.fi/ru[...] 2024-03-01
[3] 웹사이트 Tilastokeskus – Tietoaika – Tietoaika 2/2005 http://www.stat.fi/t[...] 2017-08-02
[4] 웹사이트 Finnish Food http://www.freshfrom[...] Fresh! From Finland 2013-11-12
[5] 웹사이트 ?? http://publications.[...] 2017-08-02
[6] 웹사이트 Liha http://akva.ayy.fi/v[...] 2017-08-02
[7] 웹사이트 Wigren http://www.wigren.sc[...] 2011-10-22
[8] 웹사이트 Suomessa lihaa syödään kohtuullisesti http://www.lihatiedo[...] 2018-12-30
[9] Webarchive Salmon soup is one of many Lappish wonders https://www.helsinki[...] 2022-09-11
[10] 웹사이트 Marjastus ja sienestys - TAKO verkosto http://www.takoverko[...] 2024-03-01
[11] 웹사이트 Famine Bread http://www.genealogi[...] 2018-12-30
[12] 뉴스 Coffee: Who grows, drinks and pays the most? https://www.bbc.com/[...] 2020-12-07
[13] 웹사이트 Pakarin pitkän iän salaisuus piilee kakossa http://yle.fi/uutise[...] Yle 2018-12-30
[14] 웹사이트 Englantilainen vs. suomalainen ruoka eli friteerattua Mars-patukkaa ja unohdettuja metsän antimia – Makutarinoita http://makutarinoita[...] 2014-11-27
[15] 웹사이트 Ateriatuki https://www.kela.fi/[...] Kela 2021-01-18
[16] 웹사이트 Suomalainen tapakulttuuri https://www.infofinl[...]
[17] 웹사이트 Coffee Consumption Per Capita Worldwide http://www.indexmund[...] IndexMundi Blog 2018-12-30
[18] 뉴스 Chirac shares a joke at Britain's expense https://www.theguard[...] 2018-12-30
[19]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today.reuters[...] 2005-07-05
[20] 웹사이트 Reindeer Pizza Named after Berlusconi http://www.corriere.[...] 2019-01-03
[21] 뉴스 仏大統領、酷評したフィンランド料理に舌鼓 - フィンランド http://www.afpbb.com[...] 2006-10-21
[22] 웹사이트 Tilastokeskus - Tietoaika - Tietoaika 2/2005 http://www.stat.fi/t[...] 2012-01-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