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히브리어 성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브리어 성경은 유대교의 경전으로, '타나크' 또는 '미크라'로 불리며, 토라(율법), 네비임(예언서), 케투빔(성문서)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타나크는 다양한 장르와 일신교를 중심 주제로 하며, 고대 이스라엘인들의 역사, 윤리, 신학적 내용을 담고 있다. 히브리어 성경은 여러 단계에 걸쳐 정경화되었으며, 마소라 본문과 같은 다양한 판본과 사본이 존재한다. 히브리어 성경은 유대교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기독교의 구약 성경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히브리어 성경 - 타나크
    타나크는 유대교 경전으로 토라, 네비임, 케투빔으로 구성된 히브리어 성경을 가리키며 총 24권으로 이루어져 있고 기독교 구약성경의 기반이 되며, '미크라'라고도 불리고, 히브리어와 아람어로 기록되었으며, 마소라 본문이 널리 사용되고, 유대교 정경 확립 과정에 대한 여러 전승이 존재한다.
  • 히브리어 성경 - 레닌그라드 사본
    레닌그라드 사본은 러시아 국립도서관 소장 히브리어 성경 사본으로, 티베리아식 모음과 마소라 주석을 포함하며, 1937년 비블리아 헤브라이카 기본 본문 채택 이후 국제적으로 알려졌고, 중세 유대 예술의 사례로 평가받으며, 현대 히브리어 성경 판본의 기초가 되었다.
히브리어 성경
개요
타나크 전체 스크롤 세트
타나크를 구성하는 스크롤 전체 세트
종교유대교
기독교
언어성경 히브리어
성경 아람어
창작 시기기원전 8/7세기 – 기원전 2/1세기
위키문헌히브리어 성경
명칭
히브리어, 타나크
구성 (유대교)
토라 (Torah)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
느비임 (Nevi'im)전기 예언서:
여호수아기
사사기
사무엘상
사무엘하
열왕기상
열왕기하
후기 예언서:
이사야서
예레미야서
에제키엘서
열두 소예언서:
호세아서
요엘서
아모스서
오바댜서
요나서
미가서
나훔서
하박국서
스바냐서
학개서
스가랴서
말라기서
케투빔 (Ketuvim)시편
잠언
욥기
아가
룻기
애가
전도서
에스더기
다니엘서
에스라기
느헤미야기
역대상
역대하
기타
관련 항목미크라
타나크
구약성경
성경

2. 용어

히브리어 성경은 유대교 신앙 공동체에서 구속력 있는 정경으로 확립되었다.[69] 유대교에서는 히브리어 성경을 주로 "타나크"(Tanakh) 또는 "미크라"(Mikra)라고 부른다. 타나크는 토라(율법), 네비임(예언서), 케투빔(성문서)의 첫 글자를 딴 두문자어이다. 미크라는 "기록된 토라"(קראhe, 카라)를 의미하며, 미쉬나(구전 토라)와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때로는 히브리어로 5를 뜻하는 "추마쉬"(Chumash)라고도 불린다.[70]

'''타나크'''는 마소라 본문의 세 가지 구분인 토라(문자 그대로 '교훈' 또는 '율법'),[10] 느비임(예언자), 케투빔(성문서)의 첫 히브리어 문자를 따서 만든 것이다. '타나크'라는 두문자어는 중세 시대에 처음 기록되었으며,[12] 오늘날 히브리어에서 히브리어 성경을 지칭할 때 ''미크라''와 함께 사용된다.[13]

많은 성서학 학자들은 ''타나크''나 ''구약성경'' 대신 ''히브리어 성경''(또는 ''히브리어 성서'')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14][15] 성서 문학 협회의 ''스타일 핸드북''은 "히브리어 성경 [및] 구약성경과 같은 대안 표현의 함의를 인식"하도록 제안한다.[16] "히브리어"는 책의 원어를 가리키며, 제2성전 시대의 유대인과 그 후손들을 가리키는 것으로도 간주될 수 있다.[17] 히브리어 성경에는 성경 아람어로 된 작은 부분(주로 다니엘서와 에스라서에 있음)이 포함되어 있다.

기독교에서는 신약성서를 인정하지 않는 유대교와 달리 "구약성서"라고 부른다.

2. 1. 한국어 명칭 관련 논란

"성경"이라는 번역어는 일본어 번역인 "성서(聖書)"에서 왔는데, 이 단어 자체가 이미 기독교적인 뉘앙스를 포함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14][15] 히브리어 "카도쉬(קדוש)"는 "특별한, 헌정된" 등의 의미를 지니므로, "성(聖)"이라는 번역이 부적절하다는 비판도 존재한다.[12]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성서학 학자들은 "히브리 성경" 또는 타나크와 같은 중립적인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한다.[16] 유대교 또는 기독교적 함의가 있는 ''구약성경'' 대신 ''히브리어 성경''(또는 ''히브리어 성서'')이라는 용어 사용을 옹호한다.[17]

3. 내용

타나크는 다양한 장르와 주제를 포함하며, 일신교, 언약, 구원, 윤리, 신정론 등의 핵심 주제를 다룬다.

히브리어 성경은 본래 ספר תורה|Sefer Torah|label=세페르 토라he로서 두루마리 형태였다.

"구약성서"는 기독교 신자나 그들의 영향을 받은 이교도의 호칭이며, 유대교에서는 "신약성서"를 인정하지 않으므로 "구약성서"라고 부르지 않는다. "성서"라는 표현은 이미 기독교적 뉘앙스를 포함하고 있다.

서기 90년경 얌니아에서 열린 얌니아 회의에서 에스더기를 포함한 39권의 서적을 유대교 정경으로 확정했다.

3. 1. 장르

토라(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에는 율법적인 내용이 담겨 있다. 시편은 찬송가의 모음집이지만, 출애굽기 15장, 사무엘상 2장, 요나 2장 등 타나크의 다른 곳에도 노래가 포함되어 있다. 잠언전도서와 같은 책은 지혜 문학의 예시이다.[18]

다른 책들은 예언의 예시이다. 예언서에서 예언자는 악을 규탄하거나 하나님이 미래에 하실 일을 예언한다. 예언자는 또한 환상을 묘사하고 해석할 수도 있다. 다니엘서는 일반적으로 묵시 문학으로 묘사되는 타나크의 유일한 책이다. 그러나 이사야 24-27장, 요엘, 스가랴 9-14장 등 다른 책이나 책의 일부도 원시 묵시 문학으로 불려왔다.

3. 2. 주제

히브리어 성경은 여러 주제를 다루고 있는데,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은 다음과 같다:

  • '''일신교''': 히브리어 성경은 하나의 유일신을 믿는 사상을 강조한다. 이 유일신은 세상을 창조하고 다스리며, 인간과 특별한 관계를 맺는다.[20]
  • '''언약''': 하나님과 이스라엘 백성 사이의 특별한 관계를 의미한다. 하나님은 아브라함과 그의 후손들에게 축복과 땅을 약속했고, 이 언약은 할례를 통해 표시되었다.[21]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에게 모세의 율법을 주어 그들의 행동을 인도했다.[22]
  • '''구원''': 하나님은 그의 백성을 적으로부터 구원하고 보호한다. 탈출기에서 이스라엘 백성을 이집트에서 구출하고, 가나안 땅으로 인도한 것이 대표적인 예시이다.[22]
  • '''윤리''': 히브리어 성경은 사회 정의와 의례적 순결을 포함하는 윤리적 요구를 강조한다. 모세의 율법에는 종교 의식과 윤리에 대한 규칙이 포함되어 있으며, 가난한 자, 과부, 고아에 대한 정의와 배려를 요구한다.[22]
  • '''신정론''': 세상에 악과 고통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은 정의로우시다는 믿음을 나타낸다. 히브리어 성경은 하나님이 인간의 행동에 따라 상과 벌을 내리지만, 궁극적으로는 그의 백성을 사랑하고 보호한다는 것을 보여준다.[22]

3. 3. 타나크의 서사

타나크는 창세기 창조 서사로 시작한다.[20] 창세기 12-50장은 이스라엘의 기원을 족장인 아브라함, 그의 아들 이삭, 손자 야곱까지 추적한다. 하느님은 아브라함과 그의 후손들에게 축복과 땅을 약속한다. 하느님이 아브라함과 맺은 언약은 할례로 표시된다. 야곱의 자녀들은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의 조상이 된다. 야곱의 아들 요셉은 형제들에게 노예로 팔려갔지만, 이집트에서 권력자가 된다. 기근 동안, 야곱과 그의 가족은 이집트에 정착한다.[21]

야곱의 후손들은 430년 동안 이집트에서 살았다. 탈출기 이후, 이스라엘 백성은 40년 동안 광야를 헤맨다. 하느님은 이스라엘 백성에게 그들의 행동을 인도할 모세의 율법을 준다. 율법에는 종교적 의식과 윤리에 대한 규칙이 포함되어 있다. 이 도덕적 규범은 가난한 자, 과부, 고아에 대한 정의와 배려를 요구한다. 성경 이야기는 하느님이 그 백성에 대한 무조건적인 사랑을 확언하지만, 그들이 언약에 따라 살지 못할 때 벌을 내리기도 한다.[22]

하느님은 이스라엘을 가나안약속의 땅으로 인도하여, 그들이 5년 후에 정복한다. 그 후 470년 동안, 이스라엘은 판관의 인도를 받았다. 시간이 지나면서, 필리스티아인이라는 새로운 적이 등장했다. 그들은 예언자 사무엘이 판관이었을 때에도 이스라엘을 괴롭혔다 (사무엘상 4:1–7:1). 사무엘이 늙어가자, 백성은 그의 아들들이 부패했고 다른 민족과 같아지기를 원했기에 그에게 왕을 세워달라고 요청했다 (사무엘상 8). 타나크는 이를 하느님의 왕권을 거부하는 것으로 부정적으로 묘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느님은 이를 허락하셨고, 베냐민 지파사울이 왕으로 기름부음을 받는다. 이는 이스라엘 왕국의 통일 왕국을 시작한다.

사울의 군대의 장교인 다윗은 뛰어난 군사적 성공을 거둔다. 사울은 질투심에 그를 죽이려 하지만, 다윗은 성공적으로 탈출한다 (사무엘상 16–29). 사울이 필리스티아인과 싸우다 죽은 후 (사무엘상 31; 역대기하 10), 왕국은 그의 아들 에스바알과 다윗으로 나뉜다 (다윗은 그의 유다 지파를 통치하고 에스바알은 나머지를 통치했다). 에스바알이 암살된 후, 다윗은 이스라엘 전체의 왕으로 기름부음을 받았다 (사무엘하 2–5).

다윗은 여부스인의 도시 예루살렘을 점령하고 (사무엘하 5:6–7) 그곳을 그의 수도로 삼는다. 유다의 남부 언덕과 북부 이스라엘 지파 사이에 위치한 예루살렘은 모든 지파를 다스리기에 이상적인 장소였다. 그는 언약궤를 실로에서 그곳으로 가져옴으로써 예루살렘의 중요성을 더욱 높였다 (사무엘하 6). 다윗의 아들 솔로몬은 예루살렘에 첫 번째 성전을 지었다.

솔로몬이 죽은 후, 통일 왕국은 수도가 사마리아인 북부 이스라엘 왕국(사마리아 왕국이라고도 함)과 수도가 예루살렘인 남부 유다 왕국으로 분열되었다. 사마리아 왕국은 아시리아인에게 정복될 때까지(722 BCE) 200년 동안 존속했다. 유다 왕국은 더 오래 존속했지만, 바빌로니아인에게 정복되었다(586 BCE). 성전은 파괴되었고, 많은 유대인들은 바빌론 유수로 추방되었다. 키루스 대왕이 바빌론을 정복하고(539 BCE), 추방된 사람들에게 유다로 돌아갈 것을 허락했다. 성전은 520년에서 515 BCE 사이에 재건되었다.

4. 구조

유대교에서는 히브리어 성경을 토라(율법), 네비임(예언서), 케투빔(성문서)의 세 부분의 첫 글자를 따서 만든 두문자어인 "타나크"(Tanakh)라고 부른다.[70] 타나크는 원래 두루마리 형태였다.

오늘날 타나크는 일반적으로 39권의 책이 수록된 것으로 여겨지지만, 에스라 4서에는 24권, 요세푸스는 22권으로 언급하기도 했다.[72] 22와 24는 완전성을 강조하는 숫자로, 22는 히브리 알파벳의 개수이고 24는 열두 지파의 수에 2를 곱한 것이다.[73] 탈무드 (야다임 3:5)에 따르면, 100년 경에 72명의 장로가 논란이 되었던 아가서와 전도서를 정경으로 선포했다고 전해진다.[74]



종교적 전통은 모세에게 토라의 저작을 귀속시킨다. 후기 성경 텍스트에서는 이를 "모세의 토라(율법)"라고 언급한다.[23] 다윗 왕은 시편 중 최소 73편의 저자로, 그의 아들 솔로몬잠언, 전도서, 솔로몬의 노래의 저자로 알려져 있다.

4. 1. 토라 (Torah, 율법)

토라(תּוֹרָהhe, 문자 그대로 "가르침")는 모세 오경 또는 "모세 오서"라고도 불린다. 유대교 전통에서는 모세가 기록한 것으로 여겨진다.[23] 인쇄본(두루마리가 아닌)은 종종 라고 불리며, 비공식적으로 라고 불린다.

다니엘서 9:11과 에스라기 3:2에서는 "모세의 토라(율법)"이라고 언급한다.[23] 그러나 토라 자체는 모세가 특정 부분만을 기록했다고 언급한다. 학자들에 따르면, 모세는 기원전 2천년기에 살았지만, 이는 히브리어 문자가 발명되기 전이다. 토라는 이스라엘과 유다가 이미 국가로 발전한 이후인 기원전 1천년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속담, 이야기, 노래의 광범위한 구전이 이 기간 동안 일어났을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이는 히브리 성경에 포함되었을 수 있다. 족장 시대를 묘사하는 창세기 12–50의 요소와 출애굽기구전을 반영할 수 있다.

탈출기의 모세 이야기는 구전과 초기 기록 형태로 존재했지만, 바빌론 유수기 또는 그 이후 기간 동안 족장 이야기와 연결되었다. 모세의 출생에 대한 설명(출애굽기 2장)은 사르곤의 출생과 유사점을 보여주며, 이는 기원전 722년 이후의 신아시리아 제국의 영향을 시사한다. 모세 이야기는 이집트를 배경으로 설정되었지만, 아시리아에 반대하고 제국주의에 반대하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동시에 아시리아 이야기 패턴을 차용했다.

4. 1. 1. 토라의 책 목록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

4. 2. 느비임 (Nevi'im, 예언서)

느비임(נְבִיאִים|Nəḇīʾīmhe, "예언자들")은 타나크를 구성하는 세 부분 중 두 번째로, 토라케투빔 사이에 있다. 느비임은 이스라엘 백성이 이스라엘 땅에 들어간 때부터 유다 왕국이 바빌론 유수로 끌려갈 때까지의 기간을 다룬다.

느비임은 크게 전기 예언서와 후기 예언서로 나뉜다. 전기 예언서는 여호수아기, 판관기, 사무엘기, 열왕기를 포함한다. 후기 예언서는 이사야서, 예레미야서, 에제키엘서와 12 소예언서를 포함한다. 12소예언서는 호세아서, 요엘서, 아모스서, 오바댜서, 요나서, 미가서, 나훔서, 하바국서, 스바냐서, 학개서, 스가랴서, 말라키서를 한 권으로 묶은 것이다.[72]

4. 2. 1. 느비임의 책 목록

''느비임''( נְבִיאִים|Nəḇīʾīmhe, "예언자들")은 토라케투빔 사이에 있는 타나크의 두 번째 주요 부분이다. 이 부분은 이스라엘 백성이 이스라엘 땅에 들어선 시점부터 유다의 바빌론 유수까지의 기간("예언 시대")을 다루는 책들을 포함한다. 이들의 배치는 연대순이 아니라 내용에 따른 것이다.

'''전기 예언서'''(נביאים ראשונים |Nevi'im Rishonimhe)

'''후기 예언서'''(נביאים אחרונים |Nevi'im Aharonimhe)

'''12 소예언서'''(תרי עשר|Trei Asarhe, "열둘")

  • (הוֹשֵׁעַhe) – 호세아
  • (יוֹאֵלhe) – 요엘
  • (עָמוֹסhe) – 아모스
  • (עֹבַדְיָהhe) – 오바댜
  • (יוֹנָהhe) – 요나
  • (מִיכָהhe) – 미가
  • (נַחוּםhe) – 나훔
  • (חֲבַקּוּקhe) – 하바국
  • (צְפַנְיָהhe) – 스바냐
  • (חַגַּיhe) – 학개
  • (זְכַרְיָהhe) – 스가랴
  • (מַלְאָכִיhe) – 말라키

4. 3. 케투빔 (Ketuvim, 성문서)

히브리어 성경의 세 부분 중 하나인 케투빔(성문서)은 시편, 욥기, 잠언을 포함하는 시가서와 아가, 룻기, 예레미야애가, 전도서, 에스더기로 구성된 다섯 두루마리, 그리고 다니엘서, 에즈라기-느헤미야기, 역대기로 구성된다. 다섯 두루마리는 유대교의 특정 절기에 회당에서 낭독된다.[72] 탈무드(야다임 3:5)에 따르면, 100년 경에 72명의 장로가 논란이 되었던 아가서와 전도서를 정경으로 선포했다고 전해진다.[74]

다니엘서와 에스라는 아람어로 된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종류제목내용
시가서시편, 욥기, 잠언신앙, 지혜, 인생에 대한 시적 표현
다섯 두루마리아가, 룻기, 예레미야애가, 전도서, 에스더기유대교 절기와 관련된 이야기
기타다니엘서, 에즈라기-느헤미야기, 역대기역사적 사건, 예언, 신학적 내용


4. 3. 1. 케투빔의 책 목록

(כְּתוּבִים|rtl=yeshe, "글")은 11권의 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가, 룻기, 예레미야애가, 전도서, 에스더기를 묶어 (다섯 두루마리)라고 부른다.

다음은 유대교 공동체에서 특정 시기에 회당에서 낭독되는 책들과 그 시기이다.

  • (rtl=yes|שִׁיר הַשִּׁירִיםhe) – 아가, 솔로몬의 노래 (유월절)
  • (rtl=yes|רוּתhe) – 룻기 (샤부오트)
  • (rtl=yes|אֵיכָהhe) – 예레미야애가[33] (티샤 베아브)
  • (rtl=yes|קֹהֶלֶתhe) – 전도서 (숙콧)
  • (rtl=yes|אֶסְתֵרhe) – 에스더기 (푸림절)


케투빔의 나머지 책들은 다니엘, 에즈라-느헤미야, 역대기이다. 유대교 전통에서 이 책들은 공식적으로 묶이지 않지만, 몇 가지 공통점을 가진다. 이 책들은 모두 비교적 늦은 시대(바빌론 유수와 그 이후 시온의 회복)의 사건을 묘사하며, 탈무드 전통은 이 책들의 저작 시기를 모두 늦은 시기로 본다. 다니엘과 에즈라는 아람어로 된 부분이 있는 유일한 타나크 책들이다.

  • (rtl=yes|דָּנִיֵּאלhe) – 다니엘
  • (rtl=yes|עֶזְרָאhe) – 에스라 및 느헤미야
  • (rtl=yes|דִּבְרֵי הַיָּמִיםhe) – 역대기

5. 정경화 과정

히브리어 성경을 구성하는 책들은 수백 년에 걸쳐 여러 단계로 구성되고 편집되었다. 전통적으로 토라모세가 기록한 것으로 여겨졌으며, 가장 먼저 정경으로 인정받았다. 느비임은 기원전 2세기에 정경적 지위를 얻었다. 케투빔은 가장 늦게 정경으로 인정되었으며, 기원후 2세기까지 그 내용이 유동적이었다.

히브리어 성경은 일반적으로 24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되지만, 이 숫자는 다소 임의적이다. 예를 들어 12권의 소예언서를 1권으로 간주한다.[36] 전통적인 랍비들의 24권 계산법은 탈무드[34]와 수많은 미드라쉬 작품에 나타난다.[37] 몇몇 초기의 랍비가 아닌 자료에서는 책의 수를 22권으로 언급하고 있다.[38] 이 숫자는 히브리 문자의 글자 수와 일치하며, 아타나시우스에 따르면, 종결 문자를 포함하여 27권이 있었다. 24권의 계산법은 제사장의 수와 같다고 한다.[39]

현대 자료에 따르면, 책의 수는 그리스 문자 수에 해당하는 일리아스오디세이아의 24권 분할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성경과 호메로스의 작품은 각각의 문화의 "기초 문학"을 형성하여 아이들이 배우고 사회의 가치를 축약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성경을 22권으로 나누는 것은 그리스 체계를 히브리 문자로 변환한 것일 수 있으며, 24권으로 나누는 것은 유대인에게 성경의 지위에 걸맞게 "완전한" 숫자 24를 채택한 것일 수 있다.[36]

서기 90년경 현재 이스라엘 남서부의 얌니야에서 유대교 학자들에 의해 열린 종교 회의인 얌니아 회의에서 에스더기를 포함한 39권의 서적을 유대교 정경으로 확정했다.

6. 판본과 사본

히브리어 성경은 필사 과정에서 다양한 본문 변이가 발생했다. 중세 시대에 유대인 학자들은 타나크의 권위 있는 판본인 마소라 본문을 제작했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히브리어 성경 사본으로는 알레포 코덱스(930년경)와 사순 코덱스(9세기 후반~10세기 초)[67][68] 등이 있다. 알레포 코덱스는 전체의 1/4이 손실되었고, 사순 코덱스는 창세기 초두 12장이 결락되었지만 거의 완전한 형태로 현존하며, 2023년에 경매에서 사본으로서는 사상 최고액인 3810만달러에 낙찰되었다.

7. 언어와 발음

히브리어 성경은 주로 고대 히브리어로 기록되었으며, 일부는 아람어로 기록되었다. 원래 히브리어 문자는 자음 문자였으나, 중세 시대에 마소라 학자들이 모음 부호를 추가하여 발음을 통일했다.[70]

8. 주석

1962년 이스라엘에서 인쇄된 스위스 유대인 박물관 소장 히브리어 성경(타나크)


타나크 연구와 주석에는 크게 두 가지 접근 방식이 있다. 하나는 유대교 공동체에서 전통적으로 이어져 온 종교적 연구이고, 다른 하나는 성경을 인간이 만든 것으로 보고 연구하는 세속적 연구이다.[48][49] 정통 유대교에서는 후자의 방식을 이단으로 간주한다.[50][51]

유대교 전통에서는 다양한 주석서가 발달했다. 코마쉬(토라)에는 라시 주석이 주로 사용되며, 나흐(예언서와 성문서)에는 라시 주석과 메추도트 주석이 주로 사용된다.[46][47]

아브라함 이븐 에즈라, 게르소니데스, 마이모니데스와 같은 일부 고전 랍비 주석가들은 역사, 과학, 어원학 등 현대 성경 비평의 여러 요소를 사용했다. 이들의 역사적, 과학적 분석은 하나님이 시나이 산에서 모세에게 토라를 계시했다는 신앙에 기반했기에 역사적 유대교에서 허용되었다.

현대 정통 유대교에서는 토라 이외의 성경에 대해 더 광범위한 성경 비평을 허용하며, 현대의 일부 정통 주석은 이전 학계에서 발견된 여러 기법을 통합하기도 한다.[53] 다아트 미크라 시리즈가 그 예이다. 보수 유대교 및 개혁 유대교와 관련된 사람들을 포함한 비정통 유대인들은 성경 연구에 대한 전통적 접근 방식과 세속적 접근 방식을 모두 수용한다.

9. 유대교 정체성에 미친 영향

히브리어 성경은 고대 유대 민족의 민족 정체성과 국가 정체성을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54] 퍼거스 밀러는 성경이 "국가 역사이자 법의 근원"으로서 고대 유대인들 사이에서 국가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고 보았다. 데이비드 굿블랫은 성경과 관련 문헌이 제2성전 시대 동안 유대 민족주의의 핵심 기반이 되었으며, 공동의 혈통, 역사, 문화적 통일성에 대한 집단적 믿음을 뒷받침했다고 주장했다.[55]

성경은 족장 이야기와 부족 계보를 통해 유대 민족의 계보를 추적하는 "국가 역사"를 제공하여, 현대 유대인들을 역사적 조상들과 연결하고 공유된 혈통 의식을 굳건히 하는 공동 조상적 틀을 확립했다.[55] 할례, 안식일 준수, 식단 금지 등 성경의 율법은 유대인 공동체를 주변 민족과 구별하는 유대 정체성의 주요 문화적 표식이 되었다.[55]

성경은 또한 페니키아어와 에돔어와 달리, 아람어가 다른 지역 언어를 대체했음에도 살아남은 히브리어 보존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성경 텍스트의 그리스어 및 아람어 번역은 언어적 경계를 넘어 유대 문화를 표현할 수 있게 하여 문화적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다언어 유대 정체성을 가능하게 했다.[55]

여러 학자들은 히브리어 성경의 핵심 부분이 특정한 역사적 시기에 의도적으로 구성되어 이스라엘 민족의 뚜렷한 민족 의식을 구축하고 공고히 했다고 주장한다. E. 테오도르 멀런은 신명기 역사가 바빌론 유수 기간 동안 구성되었다고 주장했고,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를 포함하는 사서(Tetrateuch)는 페르시아 시대에 통일된 민족 정체성을 형성하기 위해 편집되었다고 주장했다. 이 자료는 신명기와 결합되어 오경을 형성했으며, 데이비드 노엘 프리드먼은 이를 "주요 역사"라고 칭했다.[55]

에이드리언 헤이스팅스에 따르면, 히브리어 성경을 포함한 성스러운 텍스트 연구는 유대인들이 서기 1세기 정치적 실체를 잃은 후 2천 년 동안 국가 정체성을 보존할 수 있게 해준 기본적인 요소였다. 유대인들은 그들의 유산과의 지속적인 연결을 통해 단순한 민족 집단이 아닌 국가로 인식되었고, 이는 시온주의의 부상과 궁극적인 이스라엘 국가의 건국으로 이어졌다.[56]

10. 기독교에 미친 영향

기독교는 오랫동안 히브리 성경과 신약 성경 사이의 밀접한 관계를 주장해 왔다.[57] 개신교 성경에서 구약 성경은 히브리 성경과 동일하지만 책의 배열이 다르다. 가톨릭 성경과 동방 정교회 성경, 그리고 오리엔트 정교회 및 아시리아 동방 교회의 성경에는 히브리 성경의 특정 판본에 포함되지 않은 책, 즉 제2 정경이라고 불리는 책이 포함되어 있다. 개신교 영어 성경은 원래 제2 정경을 포함했는데, 개신교는 현재 이것을 외경에 포함시킨다. 이 책들은 비용 절감을 위해 대량 생산된 축소판 킹 제임스 성경이 성경 공회에서 제작되면서 제거되었다.[58]

로마 가톨릭과 동방 정교회가 현재 사용하는 히브리 성경의 고대 번역본은 초기 기독교인들이 권위 있는 성경 정경으로 여겼던 칠십인역을 기반으로 한다.[59] 칠십인역은 히브리 성경의 헬레니즘 그리스어 번역본으로, 1세기 초기 기독교 작가들이 주로 사용했기 때문에 초기 기독교에 영향을 미쳤다.[60]

에이드리언 헤이스팅스는 히브리 성경에 제시된 고대 이스라엘의 모델이 국가 개념의 원형을 확립했고, 이것이 이후 기독교 세계의 민족 국가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했다.[56]

참조

[1] 웹사이트 Tanach http://dictionary.re[...] 2016-03-04
[2] 서적 The Text of the Hebrew Bible: From the Rabbis to the Masoretes Vandenhoeck & Ruprecht 2023-02-16
[3] 성경 Jeremiah 10:11
[4] 웹사이트 Scholars seek Hebrew Bible's original text – but was there one? http://www.jta.org/2[...] 2014-05-13
[5] 웹사이트 Controversy lurks as scholars try to work out Bible's original text http://www.timesofis[...] 2014-05-14
[6] 서적 The Septuagint Version of Isaiah and Cognate Studies Tübingen
[7] 서적 Understanding the Dead Sea Scrolls https://archive.org/[...] Random House
[8] 학술지 Reconsidering the Roman Catholic Apocrypha https://firescholars[...] Southeastern University 2019-03-01
[9] 서적 Intertextualität als hermeneutischer Zugang zur Auslegung des Korans: Eine Betrachtung am Beispiel der Verwendung von Israiliyyat in der Rezeption der Davidserzählung in Sure 38: 21-25 Logos Verlag Berlin GmbH
[10] 백과사전 Torah https://www.etymonli[...]
[11] 웹사이트 Mikra'ot Gedolot https://people.ucalg[...]
[12] 웹사이트 Research Query: Tanakh/תנ״ך https://networks.h-n[...] 2019-07-18
[13] 학술지 Biblical Studies Mikra: Text, Translation, Reading, and Interpretation
[14] 뉴스 The New Old Testament https://www.nytimes.[...] 1997-05-25
[15] 웹사이트 From Hebrew Bible to Christian Bible: Jews, Christians and the Word of God https://www.pbs.org/[...]
[16] 서적 The SBL Handbook of Style https://archive.org/[...] Hendrickson 2016-03-04
[17] 뉴스 Scanning an Ancient Biblical Text That Humans Fear to Open https://www.nytimes.[...] 2018-01-05
[18] 서적 The Oxford Bible Commenta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 서적 Introduction to the Bible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 서적 Introduction to the Hebrew Bible Fortress Press
[21] 서적 The Hebrew Bible: A Contemporary Introduction to the Christian Old Testament and the Jewish Tanakh https://books.google[...] Wiley Blackwell
[22] 서적 A History of Judaism https://archive.org/[...] Penguin Books
[23] 서적 The Making of the Bible: From the First Fragments to Sacred Scripture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4] 서적 The Old Testament: A Historical and Literary Introduction to the Hebrew Scriptures Oxford University Press
[25] 서적 The Canon Debate Baker Academic
[26] 서적 The Canon Debate McDonald & Sanders
[27] 서적 The Legends of the Jews http://www.swartzent[...] Jewish Publication Society 2020-03-13
[28] 탈무드 Babylonian Talmud, Bava Batra 14b–15a, Rashi to Megillah 3a, 14a
[29] 미드라쉬 Midrash Qoheleth 12:12
[30] 서적 The Masorah of Biblia Hebraica Stuttgartensia: Introduction and Annotated Glossary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1998
[31] 서적 A Dissertation Concerning the Antiquity of the Hebrew Language: Letters, Vowel-points, and Accents https://archive.org/[...] G. Keith 1767
[32] 서적 Revivalistics: From the Genesis of Israeli to Language Reclamation in Australia and Beyond https://global.oup.c[...] Oxford University Press
[33] 문서 Kinnot
[34] 탈무드 Babylonian Talmud, Bava Batra 14b https://www.sefaria.[...]
[35]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 in Greek https://archive.org/[...] Macmillan and Co.
[36] 논문 The Twenty-Four Books of the Hebrew Bible and Alexandrian Scribal Methods https://www.academia[...] Brill
[37] 문서 Exodus Rabbah 41:5; Numbers Rabbah 13:15, 14:4, 14:18, 15:22, 18:21; Song of Songs Rabbah 4:11; Ecclesiastes Rabbah 12:11, 12:12; Tanhuma Ki Tisa 16:2, Korach 12:1, Vayelech 1:1; Pesikta Rabbati 3:1; Lekach Tov, Genesis 49:8; Kallah Rabbati 10:14, etc.
[38] 문서 Josephus, Against Apion, 1:8; also 2 Esdras 12:45, Origen
[39] 웹사이트 התנ"ך שלנו https://www.daat.ac.[...]
[40] 웹사이트 Guide to Israel Schools (Tiferet) https://www.yu.edu/i[...] 2020-06-19
[41] 간행물 Who's Afraid of Change? Rethinking the Yeshivah Curriculum https://jewishaction[...] 2020-06-19
[42] 서적 The Living Nach Moznaim Publishing Corporation
[43] 웹사이트 Tova .. our new .. https://www.jcot.org[...] 2020-06-19
[44] 문서 covered in or before 8th grade (so it is a review)
[45] 문서 Esther, Rus, Shir HaShirim, Eicha and KoHeles: these are read aloud in synagogue, each at a particular point in the yearly Holiday cycle.
[46] 서적 Mishlei Shai LaMora "Eshkol"
[47] 웹사이트 NACH – Shai LaMorah – All Volumes https://www.monseyju[...] 2020-06-19
[48] 뉴스 Irreconcilable Differences in Bible's Interpretations https://www.nytimes.[...] 2007-09-15
[49] 뉴스 New Torah For Modern Minds https://www.nytimes.[...] 2002-03-09
[50] 뉴스 Reading Is Believing, or Not https://www.nytimes.[...] 2007-09-16
[51] 뉴스 American Jews Rediscover Orthodoxy https://www.nytimes.[...] 1984-09-30
[52] 뉴스 The Bible's Inspired Art https://www.nytimes.[...] 1982-10-03
[53] 뉴스 Rabbi Hayyim Angel's 13th Book Is Compilation of Tanach-Related Topics https://www.jewishli[...] 2018-01-11
[54] 학술지 Empire, Community and Culture in the Roman near East: Greeks, Syrians, Jews and Arabs https://doi.org/10.1[...] 1987
[55] 서적 Constructing Jewish Nationalism: The Role of Scripture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4-10-08
[56] 서적 The Construction of Nationhood: Ethnicity, Religion and National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57] 서적 Christian Theology Blackwell
[58] 서적 The Bible in English: its history and influence Yale university press 2003
[59] 서적 Hebrew Bible, Greek Bible, and Quran Mohr Siebeck
[60] 서적 Christianity: The First Three Thousand Years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2023-03-21
[61] 백과사전 ミクラー
[62] 서적 図解 世界の宗教 https://www.google.c[...]
[63] 웹사이트 torahの意味・使い方 https://eow.alc.co.j[...]
[64] 웹사이트 Torahの意味 https://dictionary.g[...]
[65] 웹사이트 humashの意味・使い方 https://eow.alc.co.j[...]
[66] 백과사전 律法
[67] 웹사이트 世界最古のヘブライ語聖書「サスーン写本」40年ぶり公開、5月に競売へ 史上最高額か https://www.christia[...] christiantoday 2023-02-21
[68] 웹사이트 世界最古のヘブライ語聖書、52億円で落札 写本では史上最高額 https://www.afpbb.co[...] AFP 2023-05-18
[69] 웹사이트 Einleitung in das Alte Testament – ein Abriss www.theologie-online[...] 2005-02-17
[70] 웹사이트 1. Einleitung zur Bibelkunde des Alten Testaments, Bibelkunde des Alten Testaments www.die-bibel.de/res[...]
[71] 서적 1. 유다인과 그리스도인의 거룩한 책 분도출판사
[72] 웹사이트 1. Einleitung zur Bibelkunde des Alten Testaments
[73] 서적 1. 유다인과 그리스도인의 거룩한 책 분도출판사
[74] 웹사이트 Einleitung in das Alte Testament – ein Abriss 2005-02-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