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힌두교의 역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힌두교는 인더스 문명 시기부터 시작되어 베다 시대를 거치며 발전한 종교로, 다양한 철학, 신앙, 의례를 포괄한다. 인더스 문명 유적에서 종교적 상징과 숭배의 흔적이 발견되었으며, 베다 시대에는 인도아리아인의 종교가 형성되었다. 이후 슈라마나 운동과 힌두교 종합을 거쳐, 굽타 시대에 힌두 사원 건축과 박티 운동이 발전했다. 중세 시대에는 이슬람 세력의 유입과 함께 힌두교와 이슬람교 간의 관계가 형성되었고, 힌두 왕국들의 흥망성쇠가 있었다. 근대에는 힌두 르네상스를 통해 서구 사상과 교류하며 다양한 종교 개혁 운동이 일어났으며, 20세기에는 힌두교가 인도 민족주의의 원천으로 부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힌두교의 역사 - 베다 시대
    베다 시대는 인도 아대륙에서 기원전 1500년에서 기원전 600년까지 이어진 시기로, 베다 문헌 편찬, 초기 카스트 제도 형성, 농경 사회 발전, 베다 종교(브라만교)의 성립을 특징으로 한다.
  • 힌두교의 역사 - 인더스 문명
    인더스 문명은 기원전 3300년경부터 기원전 1700년경까지 파키스탄과 북서부 인도 지역에서 청동기 문명을 기반으로 도시를 건설하고 상업, 수공업, 도시 계획, 문자를 발전시켰으며 기후 변화, 강의 소멸 등으로 쇠퇴했다.
힌두교의 역사
힌두교 역사
가네샤
가네샤
개요
기원인더스 문명
베다 시대
형성 시기기원전 200년경 (힌두교 종합)
황금기서기 320년경 (굽타 시대)
쇠퇴기서기 1200년경 (이슬람 침략)
고대 기원
뿌리인더스 계곡 문명 (기원전 3300–1700년)
베다 종교
베다 시대기원전 1500년경 - 기원전 500년경
초기 베다 힌두교기원전 1500년경 - 기원전 800년경
후기 베다 힌두교기원전 800년경 - 기원전 500년경
종교적 종합
형성기원전 200년경 - 서기 300년경 (고전 힌두교)
푸라나 시대서기 320년경 - 서기 650년경
후기 고전 시대서기 650년경 - 서기 1100년경
이슬람 통치 시대
시기서기 1200년경 - 서기 1750년경
현대
시기서기 1750년경 - 현재

2. 역사적 기원 및 발전

힌두교는 다양한 인도 문화와 전통이 융합된 종교로, 그 기원은 역사적 베다 종교, 인더스 문명의 종교,[3] 드라비다 민족 전통,[4] 부족 종교 등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 "힌두 종합"은 베다 시대 이후, 기원전 500년에서 200년 사이, 제2의 도시화와 힌두교 초고전 시대에 서사시와 최초의 푸라나가 쓰여졌을 때 나타났다. 이 종합은 슈라마나와 불교의 영향을 받았으며, 불교와 자이나교의 압력 속에서 나타났다.

북인도에서 시작된 "힌두 종합"은 산스크리트화를 통해 남인도와 동남아시아 일부 지역으로 퍼져나갔다. 이 과정에서 브라만들은 지역 언어와 산스크리트어를 모두 구사하며 문화적 차이를 넘어 지역 문화를 더 큰 전체로 통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엘리엇 도이치).

힌두교와 그 역사를 다룬 저자들은 다양한 시대 구분을 사용해 왔으며, 자세한 시대 구분은 아래 표와 같다.

{| class="wikitable collapsible autocollapse" style="width:100%;text-align:center;"

|-

! colspan=5 | 힌두교의 역사

|-

|colspan=5|제임스 밀(1773–1836)은 저서 ''영국령 인도사''(1817)에서 인도의 역사를 힌두교, 이슬람교, 영국 문명 등 세 단계로 구분했다. 이 시대 구분은 영향력이 있었지만, 오해를 불러일으킨다는 비판도 받았다. 또 다른 영향력 있는 시대 구분은 "고대, 고전, 중세, 근대" 시대로 나누는 것이다.

|-

! Smart

! colspan="2" | Michaels

! Muesse

! Flood

|-

| (Smart) rowspan="3" style="text-align:center;" | 인더스 문명베다 시대
(기원전 3000년경 ~ 기원전 1000년경)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선베다 종교
(기원전 1750년경까지)

| (Muesse) style="text-align:center;" | 인더스 문명
(기원전 3300년경 ~ 기원전 1400년경)

| (Flood) style="text-align:center;" | 인더스 문명
(기원전 2500년경 ~ 기원전 1500년경)

|-

| (Michaels overall) rowspan="3" style="text-align:center;" | 베다 시대

| (Michaels detailed) style="text-align:center;" | 초기 베다 시대
(기원전 1750년경 ~ 기원전 1200년경)

| (Muesse) rowspan="2" style="text-align:center;" | 베다 시대
(기원전 1600년경 ~ 기원전 800년경)

| (Flood) rowspan="3" style="text-align:center;" | 베다 시대
(기원전 1500년경 ~ 기원전 500년경)

|-

| (Michaels detailed) style="text-align:center;" | 중기 베다 시대
(기원전 1200년경 ~ 기원전 850년경)

|-

| (Smart) rowspan="3" style="text-align:center;" | 전고전 시대
(기원전 1000년경 ~ 기원후 100년경)

| (Michaels detailed) style="text-align:center;" | 후기 베다 시대
(기원전 850년경 ~ 기원전 500년경)

| (Muesse) rowspan="2" style="text-align:center;" | 고전 시대
(기원전 800년경 ~ 기원전 200년경)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고행적 개혁주의
(기원전 500년경 ~ 기원전 200년경)

| (Flood) rowspan="3" style="text-align:center;" | 서사시푸라나 시대
(기원전 500년경 ~ 기원후 500년경)

|-

| (Michaels overall) rowspan="3" style="text-align:center;" | 고전 시대

| (Michaels detailed) style="text-align:center;" | 전고전 힌두교
(기원전 200년경 ~ 기원후 300년경)

| (Muesse) rowspan="2" style="text-align:center;" | 서사시푸라나 시대
(기원전 200년경 ~ 기원후 500년경)

|-

| (Smart) rowspan="2" style="text-align:center;" | 고전 시대
(기원후 100년경 ~ 기원후 1000년경)

| (Michaels detailed) style="text-align:center;" | "황금 시대" (굽타 제국)
(기원후 320년경 ~ 기원후 650년경)

|-

| (Michaels detailed) style="text-align:center;" | 후기 고전 힌두교
(기원후 650년경 ~ 기원후 1100년경)

| (Muesse) rowspan="2" style="text-align:center;" | 중세 및 후기 푸라나 시대
(기원후 500년경 ~ 기원후 1500년경)

| (Flood) rowspan="2" style="text-align:center;" | 중세 및 후기 푸라나 시대
(기원후 500년경 ~ 기원후 1500년경)

|-

| (Smart) rowspan="2" style="text-align:center;" | 힌두-이슬람 문명
(기원후 1000년경 ~ 기원후 1750년경)

| colspan="2" rowspan="2" style="text-align:center;" | 이슬람 통치와 힌두교 "분파"
(기원후 1100년경 ~ 기원후 1850년경)

|-

| (Muesse) rowspan="2" style="text-align:center;" | 근대
(기원후 1500년경 ~ 현재)

| (Flood) rowspan="2" style="text-align:center;" | 근대 시대
(기원후 1500년경 ~ 현재)

|-

| (Smart) style="text-align:center;" | 근대 시대
(기원후 1750년경 ~ 현재)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근대 힌두교
(기원후 1850년경부터)

|-

| colspan=12 |

표에 대한 참고 및 참고 문헌



|}

2. 1. 인더스 문명 (기원전 3300년경 ~ 기원전 1700년경)

청동기 시대 인더스 문명에서는 종교 의식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목욕탕과 시바 링감에 비견되는 상징들이 발견되었다.[156] 또한 현대 힌두교에서 널리 사용되는 스와스티카 기호나 상징물도 발견되었다.[156]

몇몇 인더스 계곡의 인장에는 만자가 나타나는데, 이는 전 세계 다른 종교에서도 발견된다. 하라파 유적에서는 후대의 힌두교 링가로 해석되는 남근 상징이 발견되었다.[14] 많은 인더스 계곡 인장에는 동물이 묘사되어 있다. 그중 한 인장에는 연꽃 자세와 비슷한 자세로 앉아 동물에 둘러싸인 뿔 달린 인물이 있는데, 초기 발굴자들은 이를 후대의 힌두교 신인 시바루드라의 별칭인 "파슈파티"라고 불렀다.[15][16] 그러나 도리스 메스 스리니바산은 이 인물을 '원시 시바'라고 부르는 것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며, 존 마셜이 얼굴로 해석한 것을 인간이 아닌 소과 동물, 아마도 신성한 물소 인간으로 해석했다.[17] 이라바탐 마하데반은 인더스 문자 해설서(1977)의 기호 47과 48이 앉아 있는 인간형 인물을 나타내며, 남인도 신 무르간을 묘사한 것이라고 주장했다.[17]

인더스 계곡에서 발견된 많은 수의 조각상을 바탕으로, 일부 학자들은 하라파 사람들이 오늘날에도 시골 힌두교인들 사이에서 흔히 행해지는 관행처럼 다산을 상징하는 어머니 여신을 숭배했을 것이라고 추정한다.[18] 그러나 이 견해는 S. 클라크에 의해 논쟁의 여지가 있다.[19]

종교 건물이나 정교한 매장 풍습의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사원이 존재했을 가능성도 있지만,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20] 다만, 모헨조다로 하층 도시 HR-A 지역의 1호 집은 사찰로 추정된다.[21]

2. 2. 베다 시대 (기원전 1750년경 ~ 기원전 500년경)

베다 시대는 기원전 1750년경부터 기원전 500년경까지 지속되었으며, 인도-아리아인의 이주와 함께 시작되었다.[49] 인도-아리아인은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며, 중앙아시아 스텝 지대의 쿠르간 문화에서 기원했다고 여겨진다.[50][51] 이들은 인더스 문명이 쇠퇴한 후 북서 인도 지역으로 이주하여 정착하였다.[52][53][54]

인도아리아인들은 원시 인도유럽 종교 및 인도-이란 종교와 밀접하게 관련된 베다 종교를 가지고 있었다.[32] 이 종교는 제라프샨강 유역(현재의 우즈베키스탄)과 이란 사이의 접촉 지대에서 박트리아-마르기아나 고고학 복합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55] 이들은 신 인드라와 의식용 음료 소마를 비롯한 여러 종교적 요소들을 받아들였다.[56]

베다 시대의 종교는 리그베다, 야주르베다, 사마베다, 아타르바베다 등의 베다 경전에 기록되어 있다. 리그베다는 가장 오래된 경전으로, 신들에 대한 찬가와 제사 의식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37] 아그니 ("불"), 인드라 (신들의 왕), 우샤 ("새벽"), 수르야 ("태양")와 같은 자연신과 미트라 ("계약"), 아리야만 (우정과 결혼의 수호신), 바루나와 같은 도덕적 개념의 신들이 등장한다.[57]

베다 시대의 윤리는 사트야와 Ṛta의 개념에 기반한다. 사트야는 절대자에 뿌리를 둔 통합의 원리이며,[40] Ṛta는 사트야의 표현으로 우주의 질서를 유지한다.[58]

기원전 9세기와 8세기에는 우파니샤드가 쓰여졌다.[59] 우파니샤드는 베다의 철학적 사상을 담고 있으며, 베단타라고도 불린다.[60] 초기 우파니샤드는 의례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제시하기도 했지만, 후기에는 의례의 중요성을 인정하기도 했다.[42]

기원전 1100년 이후 철기 시대가 시작되면서 인도아리아인들은 갠지스 평원으로 이동하여 농경 생활을 시작했다.[61][62][63] 이 과정에서 쿠루 왕국과 같은 국가가 형성되었고, 베다 종교는 슈라우타 의식으로 발전하여 인도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64]

베다 시대의 종교는 브라만교로 발전하여 아리아바르타 지역으로 확장되었다.[65] 브라만교는 베다 경전뿐만 아니라 다르마수트라와 다르마샤스트라와 같은 후기 텍스트도 포함하며, 브라만 계급의 중요성을 강조했다.[65]

2. 3. 슈라마나 운동과 힌두교 종합 (기원전 600년경 ~ 기원전 200년경)

기원전 600년경부터 기원전 200년경까지는 베다 종교의 권위에 도전하는 슈라마나 운동이 등장하고, 브라만교가 슈라마나 전통과 지역 종교를 통합하여 힌두교 종합을 이루는 시기였다.

슈라마나 운동은 베다 시대 이후, 기원전 500년에서 200년 사이, 그리고 기원후 300년경 제2차 도시화와 힌두교 초고전 시대에 나타났다. 이 시기에는 서사시와 최초의 푸라나가 쓰여졌다.[1] 브라만교는 슈라마나[2]와 불교의 영향[3]을 받았으며, 신흥 ''박티'' 전통을 ''스므리티'' 문학을 통해 브라만 계열로 편입시켰다.[4]

이러한 힌두교 종합은 불교와 자이나교의 성공적인 압력 속에서 나타났으며,[5] 베다 중심지난다 제국마우리아 제국의 통치자에게 정복되면서 시작되었다. 이로 인해 브라만들은 후원자를 빼앗겨 베다 의식 전통의 생존을 위협받았다.[6] 이에 대응하여 브라만들은 그들의 서비스를 확대했으며,[7] 결국 브라만 정통성과 지역 종교 전통의 힌두교 종합을 초래하여[8] 수세기 후 인도에서 지배하게 되었다.[9]

기원전 7세기와 6세기에 인도의 도시화가 증가하고, 아케메네스 왕조의 인더스 계곡 정복(기원전 535년경)과 함께 시작된 외국 자극의 유입으로 인해 정통 의례를 가진 브라만교는 도전을 받았을 수 있다.[10] 불교, 자이나교와 지역 대중 종교와 같은 새로운 고행자 또는 사마나 운동이 일어나 기존의 종교적 정통성에 도전했다.[11] 다양한 신들의 의인화 묘사는 베다의 권위가 약화된 결과로, 기원전 1천년 중반에 부활한 것으로 보인다.[12]

마하비라(기원전 549년경 ~ 기원전 477년경), 자이나교의 주창자, 그리고 붓다(기원전 563년경 ~ 기원전 483년경), 불교의 창시자는 이 운동의 가장 두드러진 아이콘이었다.[13] 하인리히 짐머에 따르면, 자이나교와 불교는 삼캬와 요가를 포함하는 베다 이전의 유산의 일부이다. 사마나 전통은 부분적으로 생과 사의 순환, 윤회 개념, 그리고 힌두교의 특징이 된 해탈의 개념을 만들었다.

마우리아 제국 시대에는 고전 산스크리트어 수트라샤스트라 문학이 초기에 꽃을 피웠고, 베당가의 "주변 베다" 분야에 대한 학술적인 해설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 시기에는 인도의 상당 부분을 통치했던 아쇼카가 불교를 후원했으며, 불교는 굽타 시대까지 주류 종교였다.

남부드리 브라만이 슈라우타 의례를 수행하고 있다.


제2차 도시화 시대의 후기 베다 시대에는 브라만교가 쇠퇴했다.[14] 베다 시대 말기에 베다의 단어들의 의미는 모호해졌고, "고정된 음의 시퀀스"[15]이며, 마법의 힘,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 여겨졌다. 도시의 성장으로 인해 시골 브라만의 수입과 후원이 위협받았고, 불교의 부상,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인도 원정(기원전 327년 ~ 기원전 325년), 불교를 수용한 마우리아 제국(기원전 322년 ~ 기원전 185년)의 확장, 그리고 사카의 침략과 북서 인도 통치 (기원전 2세기 ~ 서기 4세기)로 인해 브라만교는 존립에 심각한 위협을 받았다.[16]

2. 4. 초기 힌두교 (기원전 200년경 ~ 기원후 320년경)

인더스 문명 종교의 요소와 베다교가 결합하고, 슈라마나 전통과 여러 지역 종교가 융합하여 기원전 200년경부터 기원후 320년경 사이에 초기 힌두교가 형성되었다.

이 시기에는 힌두교의 중요한 경전인 ''스므리티'' 문헌이 형성되었다. 스므리티 문헌에는 라마야나, 마하바라타, 바가바드 기타 등이 포함된다.

  • '''라마야나''': 라마 왕자의 모험과 그의 아내 시타를 구출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서사시는 다르마(의무)와 카르마(행위의 결과)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힌두교의 이상적인 인간상을 제시한다.
  • '''마하바라타''': 쿠루크셰트라 전쟁을 배경으로 판다바 가문과 카우라바 가문의 갈등을 다룬다. 이 서사시는 정의, 의무, 헌신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힌두교 철학과 윤리의 중요한 원천이다.
  • '''바가바드 기타''': 마하바라타의 일부로, 아르주나 왕자와 그의 마부이자 신의 화신인 크리슈나 사이의 대화를 담고 있다. 이 대화는 다르마, 카르마, 요가, 박티(헌신) 등 힌두교의 핵심 가르침을 설명한다.


이러한 스므리티 문헌은 힌두교의 교리와 신앙을 체계화하고 대중화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바가바드 기타는 박티(헌신)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힌두교 신앙의 대중화에 기여했다.

이 시기에는 힌두 철학의 여러 학파도 발전했다. 대표적인 학파로는 삼키아, 요가, 니야야, 바이셰시카, 푸르바 미맘사, 베단타 등이 있다.

  • '''삼키아''': 이원론적 철학으로, 푸루샤(영혼)와 프라크리티(물질)의 개념을 중심으로 세계를 설명한다.
  • '''요가''': 삼키아 철학에 기반하여, 신체적, 정신적 수련을 통해 해탈에 이르는 방법을 제시한다.
  • '''니야야''': 논리와 인식론을 중심으로 하는 학파로, 올바른 지식을 얻는 방법을 탐구한다.
  • '''바이셰시카''': 원자론적 철학으로, 세계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와 그 속성을 분석한다.
  • '''푸르바 미맘사''': 베다의 제의적 측면을 강조하며, 올바른 제의 수행을 통해 해탈에 이르는 방법을 제시한다.
  • '''베단타''': 우파니샤드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브라만(절대 실재)과 아트만(개인 영혼)의 관계를 탐구한다.


이러한 철학 학파들은 힌두교 사상의 다양성을 보여주며, 힌두교의 지적 전통을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

한편, 상감 문학에서는 초기 박티 전통의 증거를 찾아볼 수 있다. 상감 문학타밀어로 쓰여진 고전 문학 작품으로, 대부분 세속적인 내용을 담고 있지만, 일부 작품에서는 비슈누, 시바, 무루간 등에 대한 개인적인 헌신을 표현하고 있다. 이는 힌두교의 대중적인 신앙 형태인 박티 전통이 이미 이 시기에 형성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2. 5. 굽타 시대와 힌두교의 발전 (기원후 320년경 ~ 기원후 650년경)

굽타 왕조의 후원으로 힌두교가 부흥했다. 굽타 왕조는 바이슈나바교도였으며, 이들의 지원 아래 바라문의 지위가 강화되었다.[57] 굽타 시대 말기에는 힌두 신들에게 헌정된 최초의 힌두 사원이 등장하기 시작했다.[57] 이 시기에 푸라나가 쓰였는데, 이는 문맹 부족 집단에게 주류 종교 이데올로기를 보급하는 데 사용되었다.[56] 굽타 왕조는 푸라나 종교를 후원하여 왕조의 정당성을 확보하려 했다.[55] 푸라나 힌두교는 다르마샤스트라와 스므리티의 이전 바라만교와는 상당히 달랐다.[56]

굽타 시대(4세기~6세기)는 학문이 번성하고, 고전 학파가 성문화되었으며, 의학, 수의학, 수학, 점성술, 천문학, 천체물리학에 이르기까지 고전 산스크리트 문학이 발전하였다. 아리아바타와 바라하미히라가 이 시대의 대표적인 학자들이다. 굽타 왕조는 강력한 중앙 정부를 수립하고, 어느 정도의 지방 통제를 허용했다. 굽타 사회는 브라만교의 믿음에 따라 질서가 잡혔으며, 엄격한 카스트 제도가 존재했다. 굽타 지도력 아래 만들어진 평화와 번영은 과학적, 예술적 노력을 추구할 수 있게 하였다.

P. S. 샤르마에 따르면, 굽타 시대와 하르샤 시대는 엄밀히 지적인 관점에서 볼 때 힌두 철학과 불교 철학이 나란히 번성하면서 인도 철학 발전의 가장 훌륭한 시대를 형성했다.[58]

다샤바타라 사원은 굽타 시대에 지어진 비슈누 힌두 사원이다.


다양한 신들에게 사원을 봉헌하는 관행이 유행하게 되었고, 훌륭한 예술적인 힌두 사원 건축과 조각이 이어졌다.

박티 운동도 이 시기에 등장했다. 박티 운동은 남인도 타밀 나두에서 바이슈나바 알바르(서기 3~9세기)를 시작으로 급속한 '박티'의 성장으로 나타났으며,[60] 시바교의 나야나르(서기 4~10세기)들은 12세기에서 18세기까지 박티 시와 헌신을 인도 전역으로 퍼뜨렸다.[61]

2. 6. 중세 및 근대 초기 힌두교 (기원후 650년경 ~ 기원후 1850년경)

푸라나 힌두교는 다양한 지역 종교 전통을 통합하며 발전하였다. 이 과정에서 박티 운동이 확산되었고, 아드바이타 베단타 학파가 형성, 발전하였다. الإسلام|이슬람ar 세력의 인도 진출로 힌두-이슬람 관계가 형성되었으며, 비자야나가라 제국, 마라타 제국 등 힌두 왕국의 흥망성쇠가 나타났다.

굽타 제국 멸망 이후, 인도의 권력은 여러 왕국으로 분산되었다.[63] 이로 인해 종교는 지역화되었고, 시바교, 바이슈나바교, 박티, 탄트라 등 다양한 종교 운동이 발생하였다. 불교는 8세기 이후 쇠퇴하여 인도에서 사라지기 시작했다.[5]

초기 중세 푸라나는 문맹인 부족 사회에 종교적 주류 이데올로기를 전파하기 위해 만들어졌다.[65] 브라만들은 푸라나를 통해 지역 씨족을 농업 사회와 종교, 이데올로기에 통합시켰다. 지역 종교와 전통이 푸라나 힌두교에 흡수되면서 비슈누시바는 주요 신으로 부상했다.

upright


라마크리슈나는 ''바가바타 푸라나''에서 나타난 강력한 ''박티'' 전통의 중심이 되었다. 8세기 왕실에서는 부처가 힌두 신으로 대체되기 시작했다.[66]

최초로 기록된 박티 운동은 바이슈나바 알바르에 의해 시작되었다.[67][68] 12세기에는 바사바나의 영향으로 비라샤이바 운동이 나타났다.

upright


아디 샹카라(8세기)는 Advaita Vedanta의 견해를 종합하고 체계화한 학자였다.[75] 그는 ''아트만''과 ''브라만''이 하나라는 통일된 실재를 주장했다.[76][77][78][79]

아바스 왕조 칼리프 시대에는 바그다드가 학문 중심지가 되었고, 힌두 학자들이 과학 및 수학 컨퍼런스에 초청되었다.[81]

13세기부터 18세기 사이에 인도 아대륙에서 무슬림 정복이 일어났다.[82] 이 시기 동안 불교는 쇠퇴했고, 종교적 갈등과 충돌이 발생했다.[85]

무굴 제국 건국 후, 인도는 상대적 안정과 번영을 누렸다.[89][90][91] 무굴인은 종교적 관용을 보였고,[92][93][94][95] 예술과 문학을 후원했다. 그러나 아우랑제브는 종교적 불관용 정책으로 비판받았다.[96]

비자야나가라 제국은 1336년 상가마 왕조의 하리하라 1세와 부카 라야 1세에 의해 건국되었다.[106] 이 제국은 남인도 세력들이 이슬람의 침략을 막으려는 시도의 정점이었다.[107] 비자야나가라 황제들은 종교와 종파에 관대했다.[108] 이 시기에 박티 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비자야나가라는 탈리코타 전투 (1565)에서 패배한 후 쇠퇴했다.

마라타 제국은 1674년부터 1818년까지 힌두교가 다시 정치적 위상을 떨치게 된 시기였다. 마라타 제국은 전성기에 남쪽의 타밀나두에서 북쪽의 페샤와르까지[118] 그리고 동쪽의 벵골까지 뻗어 있었다.[120]

네팔 왕국프리트비 나라얀 샤 왕은 통일된 네팔 왕국을 '아살 힌두스탄'(Asal Hindustan, "진정한 힌두인의 땅")이라고 칭했다.[122]

플라시 전투 이후 영국 동인도 회사는 정치 권력으로 부상했고, 영국령 인도는 인도 아대륙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마라타 제국은 제3차 앵글로-마라타 전쟁에서 패배하여 동인도 회사가 인도 대부분을 지배하게 되었다.

3. 근대 힌두교 (기원후 1850년경 ~ 현재)

영국령 인도 제국의 시작과 함께, 영국의 인도 식민지화와 더불어 19세기에 힌두 르네상스가 시작되었고, 이는 인도와 서구 모두에서 힌두교에 대한 이해를 깊이 변화시켰다.[135] 인도학막스 뮐러와 존 우드로프와 같은 유럽 학자들에 의해 19세기에 설립된 학문 분야로, 인도 문화를 유럽인의 시각에서 연구했다. 이들은 베다, 푸라나, 탄트라 문학과 철학을 유럽과 미국에 소개했다. 서구의 동양학자들은 베다에서 인도의 종교의 "본질"을 찾았고,[135] 동시에 "힌두교"를 통일된 종교적 실천 체계로 만들었으며,[135] '신비로운 인도'라는 대중적인 이미지를 만들어냈다.[135] 이러한 베다의 본질에 대한 관점은 힌두교 개혁 운동에 영향을 주었으며, 브라모 사마지는 한동안 유니테리언 교회의 지원을 받으며[135] 종교 보편주의와 영원 철학의 아이디어, 즉 모든 종교가 공통적인 신비주의 기반을 공유한다는 사상을 따랐다.[135] 비베카난다, 아라빈도, 라빈드라나트 타고르, 라다크리슈난과 같은 지지자들은 이러한 "힌두교 근대주의"를 통해 힌두교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넓혔다.[135]

19세기 동안 힌두교는 유럽의 낭만주의, 민족주의, 과학적 인종차별주의, 비밀주의 (신지학)에 부분적으로 영감을 받아 많은 수의 새로운 종교 운동을 발전시켰다. 폴 해커는 "신 힌두교의 윤리적 가치는 서양 철학과 기독교에서 비롯되었지만 힌두교 용어로 표현된다"고 설명했다.[135]

이러한 개혁 운동은 힌두교 부흥주의로 요약되며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주요 운동은 다음과 같다.


  • 스와미나라얀은 1800년경 스와미나라얀 삼프라다야 종파를 설립했다.[136]
  • 브라모 사마지는 라자 람 모한 로이가 1828년 콜카타에서 창설한 사회 및 종교 운동이다. 그는 유럽을 방문한 최초의 인도인 중 한 명으로, 서양 사상의 영향을 받았다. 그는 영국 브리스톨에서 사망했다. 이후 브라모 사마지 운동은 데벤드라나트 타고르(라빈드라나트 타고르의 아버지)가 1850년에 창설한 브라모 종교로 이어졌다.[137]
  • 라마크리슈나와 그의 제자 스와미 비베카난다는 19세기 후반에 힌두교 개혁을 이끌었다. 그들의 이상과 어록은 인도인과 비(非) 인도인, 힌두교 신자와 비(非) 힌두교 신자 모두에게 영감을 주었다.[138]
  • 아리아 사마지 ("귀족의 사회")는 스와미 다야난다가 1875년에 창설한 인도의 힌두교 개혁 운동이다. 그는 베다의 무오류 권위를 믿는 산야신(포기자)이었다. 다야난다는 카르마와 윤회의 교리를 옹호했으며 브라흐마차리아(정결)와 산야사(포기)의 이상을 강조했다. 다야난다는 모든 비(非) 베다 신념을 완전히 거부한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아리아 사마지는 우상 숭배, 동물 희생, 조상 숭배, 순례, 사제직, 사원에서 드리는 제물, 카스트 제도, 불가촉천민, 아동 결혼을 모두 베다의 승인이 없다는 이유로 비판했다. 이 운동은 베다의 권위에 기반한 보편적인 교회가 되려고 했다. 다야난다는 '온 세상을 아리아인으로 만들고' 싶다고 말했는데, 즉 그는 베다의 보편성을 기반으로 하는 ''선교'' 힌두교를 발전시키고 싶어했다. 이를 위해 아리아 사마지는 20세기 초에 슈디 운동을 시작하여 이슬람교기독교로 개종한 사람들을 힌두교로 다시 데려오고, 학교와 선교 단체를 설립했으며, 인도 외부로 활동을 확대했다.[139][140][141]




영국 식민지 시대에 힌두교 전통은 서구 사상과 새로운 종교 운동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아르투어 쇼펜하우어는 1850년대에 "아리아-베다적 정신적 자기 정복"을 기반으로 한 윤리를 옹호한 서구의 초기 인도 사상 옹호자였다.[142] 헬레나 블라바츠키는 1879년 인도에 이주했으며, 1875년 뉴욕에서 설립된 그녀의 테오소피 협회는 말년에 서구 오컬트와 힌두교 신비주의의 독특한 혼합으로 발전했다.

스와미 비베카난다가 1893년 시카고에서 열린 세계 종교 의회에 참여한 것은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비베카난다는 오늘날에도 활동하고 있는 힌두교 선교 단체인 라마크리슈나 미션을 창설했다.

20세기 초, 막시미아니 포르타즈(스스로를 ''사비트리 데비''라고 칭함)와 야콥 빌헬름 하우어 (독일 신앙 운동의 창시자)와 같은 힌두교의 영향을 받은 서구 오컬티스트들이 있었다. 1920년대까지, 나치당과의 연관성이 1930년대에 지배적이기 전까지 만자는 서구에서 행운의 보편적인 상징이 되었다.

신지학의 힌두교에서 영감을 받은 요소들은 아리오소피와 인간지학의 파생 운동에 의해 계승되었으며, 1960년대에서 1980년대까지의 뉴에이지 붐에 기여했는데, ''뉴에이지''라는 용어는 블라바츠키의 1888년 ''비밀 교리''에서 유래되었다.

라마나 마하르시, B. K. S. 아이엥가, 파라만사 요가난다, 프라부파다(ISKCON의 창시자), 스리 친모이, 스와미 라마 등은 영향력 있는 20세기 힌두교인으로, 힌두교의 근본 텍스트를 현대 청중을 위해 새로운 형태로 번역, 재구성 및 제시하여 서구에서 요가와 베단타의 위상을 높이고 인도와 해외에서 추종자와 관심을 끌었다.

현대에 스마르타의 관점은 신-베단타를 통해 인도[146]와 서구[147]의 힌두교 이해에 큰 영향을 미쳤다. 비베카난다는 스마르타의 관점을 옹호했으며,[147] 라다크리슈난도 스마르타 브라만이었다.[147]

스와미 비베카난다, 파라만사 요가난다, A. C. 박티베단타 스와미 프라부파다(하레 크리슈나 운동), 스리 아우로빈도, 메헤르 바바, 마하리쉬 마헤쉬 요기(초월명상), 지두 크리슈나무르티, 사티아 사이 바바, 마더 미라 등은 힌두교를 서구에 전파하는 데 영향력을 행사했다.

20세기에는 힌두교가 인도의 정치 세력과 국가 정체성의 원천으로 부상했다. 1910년대 힌두 마하사바의 창립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이 운동은 힌두트바 이데올로기의 공식화와 발전을 통해 성장했으며, 1925년 라스트리야 스와얌세바크 상그(RSS)의 설립과 독립 이후 인도에서 RSS의 분파인 자나 상그와 바라티야 자나타당(BJP)의 선거 정치 진출과 성공을 통해 성장했다.[148] 힌두교의 종교성은 민족주의 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148]

인도 외에도 힌두 민족주의와 힌두트바의 개념은 네팔,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말레이시아와 같이 힌두교도가 많은 국가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149][150][151] 현대 세계에서 힌두 정체성과 민족주의는 많은 조직에 의해 해당 지역과 영토에 따라 장려되고 있다. 인도에서는 상 파리바르가 라스트리야 스와얌세바크 상그, 바라티야 자나타당, 비슈바 힌두 파리샤드 등을 포함한 대부분의 힌두 민족주의 단체의 상위 조직이다.[152][153] 다른 민족주의 단체로는 시바 세나 (스리랑카), 네팔 시브세나, 라스트리야 프라자탄트라당, 힌두 프라자탄트릭당(네팔), 방가부미(방글라데시), HINDRAF(말레이시아)가 있다.

인도의 힌두교 사프론 깃발

참조

[1] Harvnb Stein 2010
[2] 서적 Some Aspects of Muslim Administration https://books.google[...] Central Book Depot 1956
[3] Harvnb Narayanan 2009
[4] Harvnb Tiwari 2002
[5] 웹사이트 University of Oslo, ''The Mauryan Empire'', study course http://www.uio.no/st[...] 2015-02-13
[6] 웹인용 Other sources: the process of "Sanskritization" https://www.britanni[...] 2015-04-26
[7] 서적 Prehistoric Painting of Bhimbetka https://books.google[...] Abhinav Publications 1984
[8] 서적 Riddles of Indian Rockshelter Paintings https://books.google[...] Sarup & Sons 2000
[9] 서적 Rock Shelters of Bhimbetka https://whc.unesco.o[...] UNESCO 2003
[10] 서적 After the Ice: A Global Human History, 20,000–5000 BC https://books.google[...] Orion 2011
[11] 서적 World Heritage Monuments and Related Edifices in India https://books.google[...] Algora Publishing 2008
[12] 웹인용 World Heritage Nomination: Rock Shelters of Bhimbetka. https://whc.unesco.o[...] 2003-07-05
[13] 웹사이트 Tribal Religions of India http://www.philtar.a[...] PHILTAR, Division of Religion and Philosophy, University of Cumbria 2015-01-19
[14] 서적 Plants of life, plants of death
[15] 서적 The Making of India: A Historical Survey M. E. Sharpe
[16] 서적 Ancient Indian Civilization Arnold-Heinemann
[17] 서적 A Note on the Muruku Sign of the Indus Script in light of the Mayiladuthurai Stone Axe Discovery http://www.harappa.c[...] harappa.com
[18] 서적 In Search of the Cradle of Civilization:New Light on Ancient India Quest Books
[19] PhD The social lives of figurines: recontextualizing the third millennium BC terracotta figurines from Harappa, Pakistan Harvard
[20] 문서 Early India: From the Origins to 1300 Penguin Books 2002
[21] 문서 The Ancient Indus Valley: New Perspectives ABC-CLIO 2008
[22] 서적 South Asian Archaeology, 1989: Papers from the Te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South Asian Archaeologists in Western Europe, Musée National Des Arts Asiatiques-Guimet, Paris, France, 3–7 July 1989 https://books.google[...] Prehistory Press 1992
[23] 웹사이트 Image of the seal with horned deity http://www.columbia.[...] 2021-03-31
[24] 서적 Art of the First Cities: The Third Millennium B.C. from the Mediterranean to the Indus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3
[25] 서적 The Indus Script. Text, Concordance And Tables Iravathan Mahadevan https://archive.org/[...]
[26] 서적 Gods, Goddesses, and Mythology https://books.google[...] Marshall Cavendish 2005
[27] 서적 The Pearson Indian History Manual for the UPSC Civil Services Preliminary Examination https://books.google[...] Pearson Education India
[28] 논문 Brahmanical Imagery in the Kuṣāṇa Art of Mathurā: Tradition and Innovations 1989
[29] 서적 The Buddha Image: Its Origin and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Bharatiya Vidya Bhavan 1996
[30] 서적 A Dictionary of Archaeolog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8
[31] 서적 Maps of Time: An Introduction to Big Histo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1-09-01
[32] 서적 Indo-European Sacred Space: Vedic and Roman Cul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06-08-18
[33] 백과사전 yaksha https://www.britanni[...] 2022-06-23
[34] 논문 On the Yṻpa in the Brāhmaṇa Texts 1994
[35] 서적 Asian Mythologi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3
[36] 서적 Hindu Samskaras Motilal Banarasidass
[37] 서적 Living Religions Pearson Education
[38] 간행물 Indo-Iranian Studies: I Vishva Bharati
[39] 문서 RV 8.5; 8.46; 8.56
[40] 서적 A Short History of Religious and Philosophic Thought in India Divine Life Society
[41] 서적 The Conception of Punishment in Early Indian Literature Wilfrid Laurier University Press
[42] 서적 History of Philosophy Eastern and Western George Allen & Unwin Ltd
[43] 서적 Character of the Self in Ancient India, The: Priests, Kings, and Women in the Early Upanisads http://dx.doi.org/10[...]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7
[44] 서적 The Bhagavad Gita: A Text and Commentary for Students https://books.google[...] Sussex Academic Press 2012-02-01
[45] 서적 The Pilgrimage of Buddhism and a Buddhist Pilgrimage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2016-02-13
[46] 서적 Nambudiri Veda Recitations
[47] 서적 Agni: The Vedic ritual of the fire altar
[48] 서적 Universals: studies in Indian logic and linguistic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9] 웹인용 Emergence of Viṣṇu and Śiva Images in India: Numismatic and Sculptural Evidence https://www.academia[...] 2022-04-05
[50] 웹인용 Emergence of Viṣṇu and Śiva Images in India: Numismatic and Sculptural Evidence https://www.academia[...] 2017-11-23
[51] 백과사전 Vedic religion https://www.britanni[...] 2020-05-27
[52] 웹사이트 Itihasas http://www.religionf[...] ReligionFacts 2011-10-01
[53] 백과사전 Hinduism – The Bhagavad Gita https://www.britanni[...] 2015-04-30
[54] 문서
[55] 서적 Zanzibar: Its History and Its People Routledge
[56] 웹인용 Hindus Stand Strong In Ancient Tanzania http://www.hinduismt[...] 2018-10-02
[57] 서적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Indian People 1968
[58] 서적 Anthology of Kumārilabhaṭṭa's Works Delhi, Motilal Banarsidass
[59] 백과사전 The spread of Hinduism in Southeast Asia and the Pacific https://www.britanni[...] 2021-06-19
[60] 웹사이트 The Alvars http://www.mahavidya[...] 2013-04-20
[61] 웹사이트 The Alvars http://www.mahavidya[...] 2013-04-20
[62] 간행물 The Indian Religions in Pre-Islamic Indonesia and their survival in Bali
[63] 서적 History of Gopāchala https://books.google[...] Bharatiya Jnanpith
[64] 서적 The Śāmalājī Sculptures and 6th Century Art in Western India BRILL
[65] 문서
[66] 서적 The Buddhist Visnu Columbia University Press
[67] 서적 Philosophy and Theistic Mysticism of the Āl̲vārs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68] 문서 Śrībhāṣyam: Catuḥsūtryātmakaḥ
[69] 서적 Religion, Philosophy, Yoga: A Selection of Articles Motilal Banarsidass
[70] 서적 Indian Transnationalism Online: New Perspectives on Diaspora
[71] 웹사이트 Mayavada and Buddhism – Are They One and the Same? https://web.archive.[...] 2013-11-13
[72] 웹사이트 'Mayavada Philosophy' http://www.harekrish[...] 2017-02-14
[73] 웹사이트 'The Mayavada School' http://www.harekrsna[...] 2016-12-14
[74] 웹사이트 'The Self-Defeating Philosophy of Mayavada' http://gosai.com/wri[...] 2018-12-15
[75] 웹사이트 "Shankara" https://plato.stanfo[...] 2021
[76] 서적 The Mind of Adi Shankaracharya Repro Knowledgcast Ltd 2004-01
[77] 서적 Technic and Magic: The Reconstruction of Reality Bloomsbury
[78] 서적 Nirguna Manasa Puja: Worship of the Attributeless Society of Abidance in Truth
[79] 서적 Self and Identity in Modern Psychology and Indian Thought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80] 서적 Mnemosyne, Bibliotheca Classica Batava: Supplementum https://books.google[...] Brill
[81] 서적 The History of Medical Education: An International Symposium Held February 5–9, 1968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82] 서적 Foundation of the Delhi Sultanat https://books.google[...] The Indian History Congress / People's Publishing House 2023-12-23
[83] 서적 A Textbook of Medieval Indian History Primus Books
[84] 간행물 "Religious vs. regional determinism: India, Pakistan and Bangladesh as inheritors of empire."
[85] 간행물
[86] 서적 The real Tipu: a brief history of Tipu Sultan https://books.google[...] Rishi publications
[87] 간행물 "Modern European and Muslim explanations of conversion to Islam in South Asia: A preliminary survey of the literature"
[88] 서적 The real Tipu: a brief history of Tipu Sultan https://books.google[...] Rishi publications
[89] 웹사이트 Aurangzeb: Mughal Emperor https://origins.osu.[...] 2024-02-25
[90] 논문 Mughal Rulers' (1526-1707) Religious Tolerance Policy and its Impacts on the Society of Sub-Continent https://assap.wum.ed[...] 2024-02-25
[91] 웹사이트 The majestic Mughal Empire: The rise and fall of India's most powerful dynasty https://www.historys[...] 2024-02-25
[92] 논문 Revisiting the History and Historiography of Mughal Pluralism https://www.scienceo[...] 2024-03-02
[93] 웹사이트 MUGHALS AND THE RELIGIOUS MOVEMENTS https://www.proquest[...] 2024-03-02
[94] 웹사이트 Religious Policy of Emperor Shahjahan (1627-1658AD) http://pu.edu.pk/ima[...] Journal of Indian Studies
[95] 서적 Annual Review of the Sociology of Religion. Volume 10 (2019) https://books.google[...] Verlag Ferdinand Schöningh 2024-03-10
[96] 웹사이트 Aurangzeb: Religious Policies https://archive.toda[...] Manas Group, UCLA 2011-06-26
[97] 서적 India as an Organization: Volume One: A Strategic Risk Analysis of Ideals, Heritage and Vis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8-12-26
[98] 웹사이트 Did Islam Spread by the Sword? A Critical Look at Forced Conversions https://yaqeeninstit[...] 2023-09-20
[99] 서적 A History of Islamic Societies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0] 간행물
[101] 간행물 "Medieval Hindu Devotionalism"
[102] 서적 Encyclopedia of Global Religion
[103] 서적 'Precolonial India in Practice: Society, Region, and Identity in Medieval Andhra' Oxford University Press
[104] 백과사전 Ganga dynasty https://www.britanni[...] 2020-01-07
[105] 백과사전 Odisha https://www.britanni[...] 2020-01-07
[106] 서적 History of Classical Sanskrit Literature
[107] 서적 A history of South India from prehistoric times to the fall of Vijayanagar Indian Branch, Oxford University Press
[108] 문서 From the notes of Duarte Barbosa
[109] 간행물 Sultan among Hindu Kings: Dress, Titles, and the Islamicization of Hindu Culture at Vijayanagara 1996-11
[110] 문서
[111] 문서 Kamat, Saint Purandaradasa
[112] 웹사이트 Sri Vyasa Tirtha http://www.dvaita.or[...] 2006-12-31
[113] 서적 World and Its Peoples: Eastern and Southern Asia Marshall Cavendish Corporation
[114]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Tamils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9-01-05
[115] 웹사이트 Sri Ranganathaswamy Temple, Srirangam https://whc.unesco.o[...] UNESCO 2022-05-16
[116] 서적 Poetry of Kings: The Classical Hindi Literature of Mughal Ind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3-12-23
[117] 서적 Encyclopaedia of Indian Events & Dates https://books.google[...] Sterling 2009-05-01
[118] 서적 An Advanced History of Modern India https://books.google[...] Macmillan India 2023-12-23
[119] 서적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Indian People
[120] 웹사이트 History of Andaman & Nicobar http://www.andamanon[...] 2013-07-12
[121] 서적 Banaras: City of Light Princeton University Press
[122] 서적 Badamaharaj Prithivi Narayan Shah ko Divya Upadesh Shree Krishna Acharya
[123] 웹사이트 Harka Gurung https://www.nepjol.i[...] 2010-04-17
[124] 서적 Education and Polity in Nepal: An Asian Experiment https://books.google[...] Northern Book Centre 2019-03-02
[125] 서적 The patron and the panca: village values and pancayat democracy in Nepal https://books.google[...] Vikas House 2023-12-23
[126] 간행물 The Auto da Fe: Ritual and Imagery The Warburg Institute
[127] 웹사이트 Goa Inquisition and massacre of Native Hindus by Portuguese {{!}} Sanskriti - Hinduism and Indian Culture Website https://www.sanskrit[...] 2014-04-29
[128] 서적 Shivaji and his Times
[129] 서적 Selections from the papers of Lord Metcalfe; late governor-general of India, governor of Jamaica, and governor-general of Canada https://archive.org/[...] Smith, Elder and Co.
[130] 서적 Charles Metcalfe In India: Ideas And Administration 1806–35 https://books.google[...] Munshiram Manoharlal Publishers 2023-12-23
[131] 웹사이트 The polegars of South India http://princelystate[...]
[132] 간행물 Maharaja Ranjit Singh and the Principles of War 1981-07
[133] 서적 The Sikhs of the Punjab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12-26
[134] 서적 The Yoga Tradition Motilal Banarsidass
[135] 서적 Religions of the Modern World Routledge
[136] 서적 An introduction to Swaminarayan Hindu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137] 서적 Modern religious movements in India http://archive.org/d[...] Macmillan 1915
[138] 서적 Life and philosophy of Swami Vivekananda Atlantic 1995
[139] 서적 Arya Samaj movement in India, 1875–1947 Commonwealth Publishers 1990
[140] 간행물 The Arya Samaj and Congress Politics in the Punjab, 1894–1908 1967-05
[141] 서적 From autocracy to integration: political developments in Hyderabad State, 1938–1948 Orient Longman 2000
[142] 문서 Fragments for the history of philosophy
[143] 웹사이트 India –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22-06-21
[144] 웹사이트 Peringatan http://sp2010.bps.go[...] sp2010.bps.go.id 2023-12-23
[145] 웹사이트 Vietnam https://2001-2009.st[...] State.gov 2002-10-22
[146] 웹사이트 Heart of Hinduism: The Smarta Tradition http://hinduism.iskc[...] 2013-11-13
[147] 웹사이트 Hinduism http://www.hinduism-[...] 2013-11-13
[148] 서적 The Blackwell Companion to Hinduism Blackwell Publishing
[149] 웹사이트 Indian Hindu Nationalism's Nepali Cousin https://thediplomat.[...] 2021-05-23
[150] 웹사이트 Sri Lankan Tamil nationalists seek alliance with India's Hindu-chauvinist BJP https://www.wsws.org[...] 2021-03-03
[151] 간행물 Bengaliness, Hindu nationalism and Bangladeshi migrants in West Bengal, India 2017-10-02
[152] 서적 Ethnicity, Gender and the Subversion of Nationalism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2-04
[153] 서적 Militant Publics in India: Physical Culture and Violence in the Making of a Modern Polit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1-11-11
[154] 서적 World Religions https://archive.org/[...] Saint Mary's Press
[155] 문서 Ritual, Authority, And Cycle Time in Hindu Kingship Oxford University Press
[156] 웹인용 Hindu History http://www.bbc.co.uk[...] BBC 2009-08-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