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쿄 메트로 유라쿠초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쿄 메트로 유라쿠초선은 도쿄도 내 이케부쿠로역과 신키바역을 잇는 지하철 노선이다. 1974년 이케부쿠로역-긴자 1초메역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여러 차례 연장을 거쳐 1988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현재 24개 역을 운영하며, 도부 철도 도조 본선 및 세이부 철도 세이부 유라쿠초선과 직결 운행한다. 7000계, 10000계, 17000계 전동차를 비롯하여 세이부 철도와 도부 철도의 차량도 운행한다. 2021년에는 도요스역에서 스미요시역까지의 연장 계획이 발표되었으며, 2024년 11월 5일 공사가 착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쿄 지하철의 철도 노선 - 도쿄 메트로 난보쿠선
    도쿄 메트로 난보쿠선은 메구로역에서 아카바네이와부치역을 잇는 도쿄 메트로 운영 노선으로, 직결 운행과 첨단 기술 적용, 그리고 시나가와역 연장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 도쿄 지하철의 철도 노선 - 도쿄 메트로 후쿠토신선
    도쿄 메트로 후쿠토신선은 이케부쿠로, 신주쿠, 시부야 등 도쿄 부도심을 연결하는 도쿄 지하철 노선으로, 다양한 노선과의 직결 운행을 통해 수도권 철도망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급행, 통근 급행, 각역 정차 등의 운행 형태로 운영된다.
  • 197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핵심 노선으로, 1974년 개통 이후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등 여러 노선을 경유하며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완행 및 급행 열차를 운행한다.
  • 197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상파울루 지하철
    상파울루 지하철은 1974년 개통 이후 6개 노선이 운영 중이며, 2019년 평일 평균 530만 명의 승객을 수송하는 상파울루 시민의 주요 교통 수단으로 도시 교통망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도쿄 메트로 유라쿠초선 - 나가타초역
    나가타초역은 도쿄도 지요다구 나가타초에 위치하며 도쿄 지하철 난보쿠 선, 유라쿠초 선, 한조몬 선이 지나고 아카사카미쓰케역과 연결되어 긴자 선, 마루노우치 선으로 환승 가능한, 국회의사당 인근에 있는 섬식 승강장의 철도역이다.
  • 도쿄 메트로 유라쿠초선 - 유라쿠초역
    유라쿠초역은 도쿄도 지요다구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JR 동일본의 게이힌-도호쿠 선, 야마노테 선과 도쿄 메트로의 유라쿠초 선이 지나며, 유라쿠초 마리온, 도쿄 국제 포럼 등 상업 및 문화 시설과 인접해 유동 인구가 많다.
도쿄 메트로 유라쿠초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유라쿠초 선 17000계 전동차
유라쿠초 선에서 사용되는 17000계 전동차 (2021년 6월, 와코시 역 - 지하철 나리마스 역 구간)
노선 이름도쿄 메트로 유라쿠초 선
다른 이름Y
노선 번호8
본명ja
본명 (언어)ja
지도 색상금색 (#)
로고File:Logo of Tokyo Metro Yūrakuchō Line.svg
로고 크기50px
노선 종류도시 철도
노선 시스템도쿄 지하철
상태운영 중
위치도쿄
기점와코시 역
종점신키바 역
역 수24
노선망도쿄 메트로
일일 승객 수1,124,478
개통일1974년 10월 30일
마지막 연장1988년 6월 8일
운영자도쿄 메트로
차량 기지와코 검차구, 와코 검차구 신키바 분실, 이이다바시 검차구 (전신인 영단 시대에 폐지)
고테사시 차량 기지, 무사시가오카 차량 기지 (세이부)
신린코엔 검수구 (도부)
사용 차량도쿄 메트로 10000계 전동차
도쿄 메트로 17000계 전동차
세이부 6000계 및 6050계
세이부 40000계 및 40050계
도부 9000계 및 9050계
도부 50070계
도큐 5050-4000계 (덜 흔하게 사용됨)
노선 길이28.3 km
선로 수복선
최대 경사3.5%
최소 곡선 반지름150 m
열차 보호 장치신 CS-ATC, ATO
궤간1067 mm
전기 방식1,500 V DC (가공 전차선)
최고 속도80 km/h
노선 기호Y
노선 번호8호선
지도
수송 실적
2019년3,035,621천 인킬로미터

2. 역사

1962년 6월 8일, 도시교통심의회 답신 제6호에서 제6호선 이후의 지하철 계획 중 하나로 '''제10호선'''(현재의 유라쿠초선)이 "나카무라바시 방면에서 메지로, 이이다바시 및 아사쿠사바시를 거쳐 킨시초 방면에 이르는 노선"으로 정해졌다.[28] 1968년 도시교통심의회 답신 제10호에서 제8호선은 "나리마스 및 네리마 각 방면에서 무코하라 및 이케부쿠로 각 방면을 경유하고, 또한 나카무라바시 방면에서 메지로 방면을 경유하여, 고코쿠지, 이이다바시, 이치가야, 나가타초, 유라쿠초, 긴자 각 방면을 거쳐 아카시초 방면에 이르는 노선"으로 변경되었다.[30]

도쿄 메트로 유라쿠초선은 1974년 10월 30일 이케부쿠로역과 긴자 1초메역 구간이 처음 개통되면서 영업을 시작했다.[69] 1980년 3월 27일에는 긴자 1초메역에서 신토미초역 구간이,[72] 1983년 6월 24일에는 에이단 나리마스역(현재 지하철 나리마스역)에서 이케부쿠로역 구간이 개통되었다.[44] 1983년 10월 1일부터는 세이부 유라쿠초선과의 직결 운행이 시작되었고,[74] 1987년 8월 25일에는 와코시역에서 에이단 나리마스역 구간이 개통되면서 도부 철도 도조 본선과의 직결 운행도 시작되었다.[75] 1988년 6월 8일, 신토미초역에서 신키바역 구간이 개통되면서 현재의 노선이 완성되었다.[78]

1994년 12월 7일에는 고타케무카이하라역에서 신선 이케부쿠로역(현재 이케부쿠로역) 구간을 잇는 '유라쿠초 신선'(현재 후쿠토신선)이 개통되었고,[80] 같은 날 세이부 유라쿠초선 네리마역까지의 상호 직통운전이 개시되었다.[81] 1998년 3월 26일부터는 세이부 이케부쿠로선과의 상호 운행이 시작되었다.[82]

2004년 4월 1일에는 제도고속도교통영단이 민영화되면서 도쿄 메트로로 승계되었고,[83] 에이단 아카즈카역과 에이단 나리마스역이 각각 지하철 아카즈카역과 지하철 나리마스역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84] 2008년 6월 14일에는 후쿠토신선이 개통되면서 와코시역에서 고타케무카이하라역 구간은 후쿠토신선과 선로를 공유하게 되었고, 유라쿠초 신선은 후쿠토신선에 흡수되었다.[91]

2022년 8월 6일부터는 전 구간에서 원맨 운전이 시행되고 있다.[112]

도쿄 메트로 유라쿠초선 노선도


사쿠라다몬역 출구

2. 1. 노선 연혁


  • 1962년 10월 16일: 제8호선, 나카무라바시 - 긴시초 간의 지방 철도 부설 면허 신청.[28]
  • 1964년 6월 4일: 도쿄도 교통국이 8호선 나카무라바시 - 긴시초 간의 지방 철도 부설 면허 신청(후 10호선 면허 취득을 위해 1968년 7월에 취하).[65]
  • 1968년
  • 6월 6일: 제8호선, 나리마스초 - 무코하라 간 및 니시이케부쿠로(현 이케부쿠로) - 아카시초(현 신토미초) 간의 지방 철도 부설 면허 신청과 1962년에 노선 면허를 취득했던 무코하라 - 이케부쿠로 간의 기업 계획 변경 인가[66]를 신청.[30]
  • 7월 22일: 제8호선, 나카무라바시 - 긴시초 간의 지방 철도 부설 면허 신청 취하, 가미사기노미야 - 오토와 간(나카무라바시 - 고코쿠지 간)의 지방 철도 부설 면허 신청.[30]
  • 10월 30일: 제8호선, 나리마스 - 이케부쿠로 간과 니시이케부쿠로 - 아카시초 간의 지방 철도 부설 면허 취득 및 무코하라 - 이케부쿠로 간의 기업 계획 변경 인가(현재의 지하철 나리마스 - 신토미초 간의 지방 철도 부설 면허 취득).[30]
  • 1970년 8월 19일: 이케부쿠로 - 긴자잇초메 간 건설 공사 착수.[67]
  • 1972년
  • 2월 26일: 영단 나리마스(현 지하철 나리마스) - 이케부쿠로 간 건설 공사 착수.[67] 단, 실제로 착수할 수 있었던 것은 영단 나리마스 - 영단 아카즈카(현 지하철 아카즈카) 부근뿐이며, 이 구간은 1975년 3월에 선행하여 완성.[37] 그 외 구간은 1976년 6월 이후 건설 공사 착수.[37]
  • 3월 1일: 도시 교통 심의회 답신 제15호가 답신되어, 새롭게 제13호선(시키시 - 와코시 - 나리마스 - 무코하라 - 이케부쿠로 방면) 제정.[38]
  • 10월 23일: 가미사기노미야 - 오토와 간(나카무라바시 - 고코쿠지 간)의 지방 철도 부설 면허 신청 취하.[32]
  • 1974년
  • 1월 9일: 제8호선을 유라쿠초선으로 호칭 결정.[68]
  • 10월 30일: 이케부쿠로 - 긴자잇초메 간 개통.[69] 개통 당시 해당 구간 운임은 80엔. 7000계 5량 편성으로 운행.[73][69] 단, 이케부쿠로역, 긴자잇초메역은 일부 공사가 늦어져 당초 가시설로 영업.[70] 1976년 6월 이케부쿠로역 콘코스부와 긴자잇초메역 완성, 같은 해 8월 이케부쿠로역 홈 부분 완성.[70]
  • 1975년 9월 2일: 제13호선 와코시 - 나리마스 간과 이케부쿠로 - 시부야 간의 지방 철도 부설 면허 신청 및 제8호선 무코하라 - 이케부쿠로 간의 공사 방법 일부 변경(무코하라 - 이케부쿠로 간 복복선화)인가 신청.[38]
  • 1976년
  • 3월 1일: 긴자잇초메 - 신토미초 간 건설 공사 착수.[67]
  • 8월 11일: 제13호선 와코시 - 나리마스 간 지방 철도 부설 면허 취득 및 제8호선 무코하라 - 이케부쿠로 간 공사 방법 일부 변경(무코하라 - 이케부쿠로 간 복복선화) 인가.[38] 단, 이케부쿠로 - 시부야 간 지방 철도 부설 면허 교부 보류.[38]
  • 9월 22일: 자동 열차 운행 제어 장치(PTC) 도입.[71]
  • 1978년 9월 1일: 와코시 - 영단 나리마스 간 건설 공사 착수.[67]
  • 1979년 10월 24일: 신토미초 - 만간(현 신키바) 간 지방 철도 부설 면허 신청.[72]
  • 1980년
  • 3월 27일: 긴자잇초메 - 신토미초 간 개업.[72]
  • 9월 26일: 신토미초 - 만간 간 지방 철도 부설 면허 취득.[72]
  • 1982년
  • 1월 29일: 도요스 - 가메이리 간 (14.7 km) 지방 철도 부설 면허 신청.[52] 단, 면허 교부되지 않음.
  • 4월 1일: 신토미초 - 신키바 간 건설 공사 착수.[67]
  • 7월 30일: 제13호선 구간(와코시 - 이케부쿠로 간) "유라쿠초선"으로 호칭 정식 결정.[52]
  • 1983년
  • 6월 17일: 10량 편성 운전 개시.[73]
  • 6월 24일: 영단 나리마스(현 지하철 나리마스) - 이케부쿠로 간 개업.[44]
  • 7월 9일: 전 열차 10량 편성으로 변경.[73]
  • 10월 1일: 세이부 유라쿠초선 고타케무코하라 - 신사쿠라다이 간 개업, 상호 운행 개시.[74]
  • 1987년 8월 25일: 와코시 - 영단 나리마스(현 지하철 나리마스) 간 개업.[75] 도부 도조선과 상호 운행 개시(도부 출입고 차량만 신린코엔역까지 운전, 그 외는 가와고에시역까지 운전).[75][76]
  • 1988년
  • 6월 1일: 차량 냉방 운용 개시.[77]
  • 6월 8일: 신토미초 - 신키바 간 개업, 전선 개업.[78]
  • 1993년 3월 18일: 07계 영업 운전 개시.[79]
  • 1994년 12월 7일: 유라쿠초선 신선 고타케무코하라 - 신선 이케부쿠로(현 이케부쿠로) 간 개업.[80] 동시에 세이부 유라쿠초선 신사쿠라다이 - 네리마 간 단선 개업, 네리마역까지 상호 운행 개시.[81] 세이부 철도 차량 상호 운행 개시.[81]
  • 1995년 3월 20일: 지하철 사린 사건 관련, 오전 운전 휴지, 오후부터 재개.
  • 1998년 3월 26일: 세이부 유라쿠초선 전선 복선화, 해당 선 경유 세이부 이케부쿠로선과 상호 운행 개시(상호 운행 구간 한노역까지 연장).[82]
  • 2002년 10월 12일: 이케부쿠로역 - 신토미초역 간 신 CS-ATC 사용 개시.[55][54]
  • 2004년 4월 1일: 제도고속도교통영단 민영화, 도쿄 지하철(도쿄 메트로) 승계.[83] 영단 아카즈카역과 영단 나리마스역 각각 지하철 아카즈카역, 지하철 나리마스역으로 개칭.[84]
  • 2005년 10월 31일: 여성 전용 차량 도입.[85][54]
  • 2006년 9월 1일: 10000계 영업 운전 개시.[86][87][88]
  • 2007년 10월 27일: 와코시역 - 이케부쿠로역・고타케무코하라역 - 신선 이케부쿠로역(당시) 간 신 CS-ATC 사용 개시.[89]
  • 2008년
  • 5월 3일: 오다큐 특급 로맨스카(60000형 "MSE") 상호 운행 개시.[87][90]
  • 6월 14일: 후쿠토신선 개업, 와코시역 - 고타케무코하라역 간 해당 선과 공용 구간, 유라쿠초선 신선 고타케무코하라역 - 신선 이케부쿠로역 간 후쿠토신선 편입. 준급 열차 운전 개시.[91]
  • 11월 29일: 준급 열차 와코시역 - 신키바역 간 선내 운전, 본수 대폭 감편.[92]
  • 2010년
  • 3월 6일: 준급 열차 폐지.[93]
  • 5월 22일: 본 노선 전 열차 ATO 장치 이용 자동 운전 개시.[54][56]
  • 헤이세이 22년도 사업 계획, 이미 설치된 고타케무코하라역 제외 전 역 순차적 스크린도어 설치 표명. 고타케무코하라역 - 센가와역 간 연락선 설치 등 지연 대책 발표.[94]
  • 2011년
  • 2월 23일: 지하철 나리마스・지하철 아카즈카 양 역 발차 멜로디 도입. 이후, 스크린도어 가동 역 순차적 발차 멜로디 사용 개시.[95]
  • 9월 25일: 오다큐 로맨스카 상호 운행 휴지.[87][90]
  • 10월 4일: 8시 54분경, 고타케무코하라역 콘크리트 낙하, 신호 케이블 절단. 고타케무코하라 - 이케부쿠로 간 17시 넘어서까지 운휴.[96] 국토교통성간토 운수국 도쿄 지하철에 조속 원인 규명, 재발 방지 요구 경고 문서 발송.
  • 12월 7일: 2시 10분경, 도요스역 야간 작업 사고 발생, 사상자 발생. 긴자잇초메역 - 신키바역 간 8시 30분 넘어서까지 운휴, 긴자잇초메역 회차 운전.
  • 2012년
  • 3월 17일: 스크린도어 설치 공사 진척, 오다큐 로맨스카 상호 운행 중지.[126][90]
  • 9월 10일: 도큐 5050계 4000번대 영업 운전 개시. 당일 도부 도조선 신린코엔역 - 신키바역 간 아침 1왕복 운전.
  • 8월 4일: 신토미초역 - 신키바역 간 신 CS-ATC 사용 개시.[54] 유라쿠초선 전선 신 CS-ATC화 완료.[54]
  • 11월 4일: 고타케무코하라역 - 센가와역 간 입체 교차화 공사 따른 선로 공사, 종일 와코시역 - 이케부쿠로역 간 운휴.[97]
  • 2013년
  • 2월 7일: 에도가와바시역 - 신키바역휴대 전화 이용 가능.[98]
  • 2월 21일: 요와마치역 - 에도가와바시역 간 휴대 전화 이용 가능.[99]
  • 3월 21일: 와코시역 - 요와마치역 간 휴대 전화 이용 가능.[100]
  • 12월 7일: 전 역 스크린도어 설치 완료.[101]
  • 2014년 2월 8일: 센가와역 스크린도어 가동 개시, 전 역 스크린도어 가동.[102]
  • 2015년 3월 28일: 와코시 - 고타케무코하라 간 원맨 운전 개시.[103]
  • 2016년 2월 14일: 센가와역 - 고타케무코하라역 간 유라쿠초선 와코시 방면 연락선 완성, 시발부터 운용 개시.[104]
  • 2018년 3월 17일: 신토미초역 히비야선 쓰키지역 환승 업무 개시.[105]
  • 2020년 6월 6일: 긴자잇초메역 긴자선・마루노우치선・히비야선 긴자역 환승 업무 개시.[106]
  • 2021년 2월 21일: 17000계 영업 운전 개시.[107][108]
  • 2022년
  • 1월 28일: 도요스 - 스미요시 간 약 4.8 km 철도 사업 허가 국토교통대신 신청.[109]
  • 3월 28일: 국토교통대신 도요스 - 스미요시 간 약 4.8 km 제1종 철도 사업 허가.[110][111]
  • 8월 6일: 전선 원맨 운전 개시.[112]
  • 2024년 11월 5일: 도요스 - 스미요시 간 공사 착수.[113]

2. 2. 건설 배경 및 계획

1962년 6월 8일, 도시교통심의회 답신 제6호에서 제6호선 이후의 지하철 계획 중 하나로 '''제10호선'''(현재의 유라쿠초선)이 "나카무라바시 방면에서 메지로, 이이다바시 및 아사쿠사바시를 거쳐 킨시초 방면에 이르는 노선"으로 정해졌다.[28] 같은 해 8월 29일 고시된 건설성 고시 제2187호에서는 '''도시계획 제8호선'''으로 "나카무라바시역 - 에고타 - 니시오치아이 - 시이나초 - 메지로역 - 에도가와바시 - 이이다바시역 - 진보초 - 스다초 - 히가시료고쿠미도리 - 킨시초역(17.5 km)이 정식으로 결정되었다.[28]

영단 지하철은 1962년 10월 16일 제8호선 야와라초 - 코토바시 간(도시계획상 나카무라바시에서 서쪽으로 약간 연장된 20.88km)으로 지방 철도 부설 면허를 신청했다.[28] 이후 도쿄도(도쿄도 교통국)도 노선 면허를 신청하여 경합 상태가 되었다.

1968년 4월 10일 도시교통심의회 답신 제10호에서 제8호선은 "나리마스 및 네리마 각 방면에서 무코하라 및 이케부쿠로 각 방면을 경유하고, 또한 나카무라바시 방면에서 메지로 방면을 경유하여, 고코쿠지, 이이다바시, 이치가야, 나가타초, 유라쿠초, 긴자 각 방면을 거쳐 아카시초[29] 방면에 이르는 노선"으로 변경되었다.[30] 같은 해 12월 28일 고시된 건설성 고시 제3731호에서는 제8호선이 "네리마 - 긴자 간의 본선(16.5km), 나리마스 - 고타케초 간(6.3km) 및 나카무라바시 - 오토와 간(9.1km)의 분기선"으로 도시계획 노선이 대폭 개정되었다.[30]

영단 지하철은 1968년 6월 6일 제8호선 무코하라 - 나리마스초 간 및 니시이케부쿠로 - 아카시초 간의 지방 철도 부설 면허를 신청하고, 1968년 10월 30일 면허를 취득했다.[30]

1972년 3월 1일 도시교통심의회 답신 제15호에서는 제8호선의 기점 측이 나카무라바시에서 호야로 변경되었고, 종점 측은 아카시초 - 만안 간 및 도요스 - 도요초 - 스미요시초 - 오시아게 - 가메아리 간이 추가되었다.[38] 이 중 고타케무카이하라역 - 신키바역 간이 유라쿠초선으로 개업했다.

1985년 7월 11일 운수정책심의회 답신 제7호에서 제8호선은 도요스에서 북쪽으로 분기하는 노선이 스미요시 - 요츠기 간에서 제11호선(한조몬선)과 선로를 공용하여 조반선 가메아리역(더 나아가 JR 무사시노선 방면)에 이르는 노선으로 변경되었다.[153]

2022년 1월 28일 도쿄 메트로는 도요스 - 스미요시 간 약 4.8 km의 철도 사업 허가를 국토교통대신에게 신청하고,[109] 같은 해 3월 28일 제1종 철도 사업 허가를 받았다.[110][111] 2024년 11월 5일 공사에 착수하여,[113] 2030년대 중반 개업 예정이다.[109]

2. 3. 노선 데이터

路線データ|노선 데이터일본어

연도최혼잡 구간(히가시이케부쿠로역고코쿠지역 간) 수송 실적[141][142]특기 사항
운행 횟수: 회수송력: 명수송량: 명혼잡률: %
1975년(쇼와 50년)2014,08022,874162
1976년(쇼와 51년)2014,08026,023185
1977년(쇼와 52년)2014,08026,148186
1978년(쇼와 53년)2014,08026,754190
1979년(쇼와 54년)2014,08029,369209
1980년(쇼와 55년)2014,08029,519210
1981년(쇼와 56년)2014,08030,576217
1982년(쇼와 57년)2014,08030,969220
1983년(쇼와 58년)1724,20840,8971691983년 6월 24일, 에이단 나리마스 - 이케부쿠로역 간 개업
1984년(쇼와 59년)1724,20841,446171
1985년(쇼와 60년)1724,20847,128195
1986년(쇼와 61년)1724,20848,667201
1987년(쇼와 62년)1724,20855,3312291987년 8월 25일, 와코시역 - 에이단 나리마스 간 개업, 도부 도조선과의 직통 운전 개시
1988년(쇼와 63년)1825,63256,2052191988년 6월 8일, 신토미초역 - 신키바역 간 개업
1989년(헤이세이 원년)2028,48058,782206
1990년(헤이세이 2년)2028,48059,544209
1991년(헤이세이 3년)2028,48059,993211
1992년(헤이세이 4년)2129,90461,011204
1993년(헤이세이 5년)2332,75259,422181
1994년(헤이세이 6년)2332,75260,4011841994년 12월 7일, 유라쿠초선 신선 개업
1995년(헤이세이 7년)2434,17661,271179
1996년(헤이세이 8년)2434,17660,729178
1997년(헤이세이 9년)2434,17661,0141791998년 3월 26일, 세이부 이케부쿠로선과의 직통 운전 개시
1998년(헤이세이 10년)2434,17661,437180
1999년(헤이세이 11년)2434,17660,460177
2000년(헤이세이 12년)2434,17660,312176
2001년(헤이세이 13년)2434,176177
2002년(헤이세이 14년)2434,17660,226176
2003년(헤이세이 15년)2434,17660,113176
2004년(헤이세이 16년)2434,176174
2005년(헤이세이 17년)2434,176175
2006년(헤이세이 18년)2434,17660,020176
2007년(헤이세이 19년)2434,17659,230173
2008년(헤이세이 20년)2434,17657,5901692008년 6월 14일, 도쿄 메트로 부도심선 개업
2009년(헤이세이 21년)2434,17657,109167
2010년(헤이세이 22년)2434,17657,411168
2011년(헤이세이 23년)2434,17657,211167
2012년(헤이세이 24년)2434,17658,0501702013년 3월 16일, 부도심선이 도큐 도요코선과의 직통 운전 개시
2013년(헤이세이 25년)2434,17656,397165
2014년(헤이세이 26년)2434,17654,726160
2015년(헤이세이 27년)2434,17654,915161
2016년(헤이세이 28년)2434,17654,457159
2017년(헤이세이 29년)2434,17655,847163
2018년(헤이세이 30년)2434,17656,254165
2019년(레이와 원년)2434,17656,269165
2020년(레이와 2년)2434,17637,419109
2021년(레이와 3년)2434,17634,959102
2022년(레이와 4년)2436,43247,726131
2023년(레이와 5년)2334,91451,673148

3. 운행 형태

도쿄 메트로 유라쿠초선은 와코시역(사이타마현)과 신키바역(고토구) 사이를 운행하며, 북쪽으로는 도쿄 도의 대형 사철 회사 두 곳과 직결 운행을 한다. 하나는 와코시에서 도부 철도 도부 도조 본선신린코엔역까지, 다른 하나는 고타케무카이하라역에서 세이부 철도 세이부 유라쿠초선을 통해 세이부 이케부쿠로선고테사시역이나 한노역까지 직결 운행한다.[171]

도쿄 도 교통국에 따르면, 2009년 6월 유라쿠초선은 도쿄에서 5번째로 혼잡한 노선으로, 히가시이케부쿠로역고코쿠지역 사이 구간에서는 피크 시간대에 173%의 혼잡도를 기록했다.[3] 2008년 6월 14일부터 2010년 3월 6일까지는 준급 열차가 운행되었으나, 이후 폐지되고 완행 열차로 대체되었다.[4]

와코시-고타케무카이하라 간은 도쿄 메트로 후쿠토신선과 선로 및 역 시설을 공유한다. 이 구간에서는 10량 편성 및 8량 편성 열차가 운행되지만, 고타케무코하라-신키바 간은 모두 10량 편성 열차로 운행된다. 평일 아침 러시아워 시간에는 이케부쿠로역 방면으로 많은 열차가 운행되며, 고타케무카이하라역에서 신키바 방면과 시부야 방면으로 분배된다.[114]

2017년 3월 25일부터는 유료 지정 열차인 "S-TRAIN"이 평일에 운행을 시작했다. 유라쿠초선 내에서는 이다바시역유라쿠초역에만 정차하며, 도요스행은 하차 전용, 고타케시행은 승차 전용으로 운영되어 유라쿠초선 내에서만 이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121] 야구 경기나 불꽃놀이 등 이벤트 개최 시에는 임시 열차가 운행되기도 한다.

낮 시간대 운행 패턴은 다음과 같다.

낮 시간대 운행 패턴
역명

종별
직통 노선와코시고타케무코하라이케부쿠로신키바비고
각역정차가와고에시2개도부선 내 보통
 4개style="text-align:center;" |
고테사시2개세이부선 내 각역정차
호야2개세이부선 내 각역정차
부도심선
각역정차
 2개모토마치·주카가도큐선・미나토미라이선 내 각역정차
 2개모토마치·주카가도큐선・미나토미라이선 내 급행
 1개쇼난다이도큐선 내 급행
소테쓰선 내 각역정차
가와고에시1개쇼난다이도부선 내 보통
도큐선 내 급행
소테쓰선 내 각역정차
부도심선
(F-Liner) 급행
신린코엔2개모토마치·주카가도부선 내 (F-Liner) 쾌속급행
도큐선・미나토미라이선 내 (F-Liner) 특급


  • 아침/저녁: 2~4분 간격 (1시간에 10~17왕복)
  • 도부 도조선 직통 열차(가와고에시역・시키역 발착) 6~8왕복 (아침 신키바 방면 행과 저녁 와코시 방면 행은 모두 린코엔역 발착 편도 있음)
  • 와코시역 발착 열차 4~11왕복
  • 신키바역 발착 5~15왕복
  • 모든 열차 각역 정차
  • : 5~7분 간격 (1시간에 6왕복)
  • 신키바역-가와고에시역 간 열차 2왕복
  • 신키바역-와코시역 간 열차 4왕복
  • 새벽/밤: 6~9분 간격


운행 번호의 말단은 도쿄 메트로 차량이 S, 도부 차량이 T, 세이부 차량이 M이다. 도부 차량은 세이부 노선에, 세이부 차량은 도부 노선에 입선할 수 없다.

3. 1. 과거 운행 열차 종류


  • 営団01系電車일본어
  • 営団02系電車일본어
  • 営団03系電車일본어
  • 営団04系電車일본어
  • 営団05系電車일본어
  • 営団5000系電車일본어
  • 営団6000系電車일본어[124]
  • 営団7000系電車일본어
  • 営団8000系電車일본어
  • 小田急60000形電車일본어


오다큐 전철 소속 小田急60000形電車|60000형 "MSE"일본어로 오다큐선과 지요다선을 직통하는 특급 로망스카 일부를 "베이리조트"로 하여 연간 30일 정도, 지요다선 기타센주역에서 유라쿠초선 신키바역으로 행선지·시작역을 변경하여 운행했었다.[124] 유라쿠초선 사쿠라다몬역과 지요다선 가스미가세키역 사이를 잇는 연락선을 경유하여 가스미가세키역에서 방향 전환을 했다. 유라쿠초선 내에서는 도요스역신키바역에만 정차했다.[125] 2011년 9월 25일 이후 운행을 중지했다가,[87] 2012년 3월 17일 다이어 개정으로 운행이 중단되었다.[126][90]

유라쿠초선 내에서 통과역이 있는 열차로 처음 설정된 종별이다. 2008년 6월 14일 시간표 개정으로 평일 낮 시간대와 토요일, 휴일의 이른 아침, 심야를 제외한 시간대에 설정되었다.[91] 병주 구간이 있는 부도심선 급행, 통근 급행과 함께, 도쿄 지하철에서 요금이 필요 없는 우등 열차 운행은 도자이선 쾌속, 도영 신주쿠선 급행, 도영 아사쿠사선 에어포트 쾌특에 이어 4번째였다.

정차역은 와코시, 고타케무카이하라, 이케부쿠로 - 신키바 간의 각 역이었다. 이미지 컬러는 연두색이다.

설정 초기에는 도부 도조선세이부선과 상호 직통 운전을 하는 열차도 있었다. 운전 횟수는 신키바 방면은 매시 3편(와코시 발 2편, 고테사시 발 1편), 와코시·도조선 계통과 세이부선 계통은 매시 각 2편씩으로, 토요일, 휴일 시간표에서는 21시경까지 운전되었고, 평일에는 왕복 22편(토요일, 휴일은 왕복 44편)이 운행되었다. 그러나 같은 해 11월 29일 시간표 개정으로 평일·토요일, 휴일 시간표 모두 낮 시간대에만 양방향 모두 매시 2편(1일당 10왕복)으로 대폭 줄였고, 모든 준급이 와코시 - 신키바 간의 선내 운전만으로 변경되었으며, 도부 도조선·세이부선 직통 준급과 저녁 이후의 준급은 각역 정차로 격하되었다.[92] 게다가 준급 운행으로 요초마치역·센카와역에서는 정차 열차 횟수·승객의 이용 기회가 감소했기 때문에, 2개 역이 소재한 도요시마구 의회는 준급 전폐를 요구하는 의견서를 제출했다.[127] 이러한 의견을 받아, 도쿄 메트로는 2010년3월 6일 시간표 개정으로 준급을 폐지하는 것을 발표했고,[93] 유라쿠초선의 준급은 등장한 지 2년도 안 되어 사라졌다.

도조선 직통 준급은 와코시역에서 "보통"으로 종별을 변경한 후, 도조선 내를 보통 열차로 운행했다(도조선 준급과 정차역이 바뀌지 않으므로, 営団7000系電車|7000계일본어 일부 차량은 "준급" 그대로 운행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도부 차량의 풀 컬러 LED 표시는 유라쿠초선 준급이 녹색, 도조선 준급이 파란색이었다[128]). 단, 도조선 직통 준급은 횟수가 적어, 평일에는 신키바→가와고에시 편도 1편만 운행되었고, 토요일, 휴일도 아침 가와고에시→신키바 3편과 저녁 이후 5왕복만 운행되었으며, 토요일, 휴일에 1편 숲공원행이 있는 것을 제외하면 모두 가와고에시 발착이었다. 한편, 세이부선 직통 준급은 세이부선 내에서도 "준급"으로 운행하는 것과, 고타케무카이하라에서 "각역 정차", "쾌속"으로 종별을 변경하는 것이 있었다. 또한, 세이부선 직통 준급은 고테사시 발착을 중심으로 횟수가 많았고, 일부 열차는 기요세 발착·한노 발착으로 운행되었다.

유라쿠초선 준급이 폐지된 후에도, 앞서 언급한 부도심선 급행(F-라이너 포함)이 와코시, 고타케무카이하라, 이케부쿠로에 정차하는 속달 열차로서 존속하고 있다.

4. 차량

도쿄 메트로에서는 과거 7000계, 07계를 운용했으나, 현재는 10000계와 17000계를 운용하고 있다. 07계는 현재 도자이 선으로 이적했다.

다른 회사에서 유라쿠초선으로 직통 운행하는 차량은 다음과 같다.



7000계


현재 운행되는 차량은 모두 10량 편성이다. 고타케무이하라역 동쪽으로는 원칙적으로 10량 편성의 자사 차량, 세이부 차량, 도부 차량만 진입한다. 그러나 와코시역 - 고타케무이하라역 구간 및 병주 구간인 고타케무이하라역 - 이케부쿠로역 구간의 부도심선 선로에는 8량 편성의 자사 차량, 도큐 차량, 요코하마 고속철도 차량, 소테츠 차량도 진입한다.

4. 1. 현재 운행 차량

현재 도쿄 메트로 유라쿠초선에서 운행되는 차량은 다음과 같다.

도쿄 메트로 10000계 전동차


모든 차량은 10량 편성으로 운행된다. 10000계의 경우, 제1 - 5편성은 8량 편성으로도 운행 가능하지만, 유라쿠초선에서는 운행되지 않는다.[87] 17000계는 7000계 10량 편성을 대체했다.[107][129]

이 외에도, 다른 철도 회사의 차량도 유라쿠초선에서 운행된다.

; 세이부 철도

  • 40000계
  • 0번대(듀얼 시트 차량): 2017년 3월 25일부터 운행하는 "S-TRAIN"과 그 간합 운용으로 운행.[121][131]
  • 50번대(롱 시트 차량): 와코시역 발착을 포함한 일반 열차로, 6000계와 공통 운용.
  • 6000계: 세이부 이케부쿠로선과의 상호 직통 운전을 시작한 1994년부터 운행.


; 도부 철도

  • 50000계(50070형): 9000계와 공통으로 운용.
  • 9000계(9000형・9050형): 도부 도조선과의 상호 직통 운전을 시작한 1987년부터 운행.


도부 9000계 전동차


도큐 5050-4000계는 비상 시각표 조정 시에만 운행될 수 있다.

4. 2. 과거 운행 차량


  • 7000계 (1974년 ~ 2021년 10월 29일)
  • * 2010년 5월까지 10량 편성은 부도심선·유라쿠초선 겸용차로 통일되었고, 금색 띠의 7000계는 사라지고 부도심선 색상의 차량이 운용되었다.
  • * 부도심선 개업에 맞춰 개조된 8량 편성 차량은 유라쿠초선 운행에 투입되지 않고, 와코 시 - 고타케무카이하라 간 부도심선과의 공용 구간에서 부도심선 각역 정차로 운행했다.
  • * 2022년 4월부로 영업 운전을 종료했다.[130]

7000계
(2017년 12월 29일 가와고에시역

  • 07계 (1992년 ~ 2007년)
  • * 2009년 3월까지 모든 차량이 도자이선으로 이동했다.

07계
(2007년 2월 10일)

  • 60000형 MSE
  • * 부정기적으로 운행되었다. (특급 로맨스카 "베이 리조트")
  • 5050계 4000번대
  • * 부도심선과 도요코선 직통 운전이 시작되기 전인 2012년 9월부터 도부세이부 두 회사에 대여되어 선행 운전을 시작했으며, 정기 운행도 있었다.[134]
  • * 부도심선과의 직통 운전이 시작된 2013년 3월 16일 이후에는 고타케무코하라 - 신키바 구간에서 정기 운행은 하지 않는다.
  • * 다만, 운행에 문제가 발생하면 지금도 유라쿠초선에 들어오는 경우가 있다.

5050계 4000번대
(2019년 8월 13일)

  • 20000계
  • * 도쿄 메트로에 임대되어, 도큐 신요코하마선과 사가미 철도 신요코하마선이 개업하기 전까지 시운전으로 들어온 적이 있다.
  • * 후쿠토신선이 도큐 도요코선도큐 신요코하마선을 경유하여 사가미 철도선과의 직통 운전이 시작된 2023년 3월 18일 이후에도, 고타케무코하라역 - 신키바역 구간에서는 정기 운행을 하지 않는다.
  • * 단, 운행에 문제가 발생하면 유라쿠초선에 영업 운전으로 들어오는 경우가 있다.
  • * 유라쿠초선에 영업 운전으로 들어오는 경우에도 와코시역까지만 운행하며, 그 이후의 도부 도조선이나 고타케무코하라역에서 분기하는 세이부선으로는 운행하지 않는다.

사가미 철도 20000계
(2023년 4월 28일)

5. 역 목록

거리누적
거리소재지Y-01와코시和光市|와코시일본어rowspan="5" |후쿠토신선 (F-01, 공용)
도부 철도 도조 본선 (TJ-11, 직결 운행)0.0사이타마현 와코시Y-02지카테쓰나리마스地下鉄成増|지카테쓰나리마스일본어2.22.2도쿄도이타바시구Y-03지카테쓰아카쓰카地下鉄赤塚|지카테쓰아카쓰카일본어1.43.6네리마구Y-04헤이와다이平和台|헤이와다이일본어1.85.4Y-05히카와다이氷川台|히카와다이일본어1.46.8Y-06고타케무카이하라小竹向原|고타케무카이하라일본어후쿠토신선 (F-06, 공용)
세이부 철도 유라쿠초선 (SI 37, 직결 운행)1.58.3Y-07센카와千川|센카와일본어후쿠토신선 (F-07)1.09.3도시마구Y-08가나메초要町|가나메초일본어후쿠토신선 (F-08)1.010.3Y-09이케부쿠로池袋|이케부쿠로일본어마루노우치선 (M-25)
후쿠토신선 (F-09)
야마노테선 (JY 13)
사이쿄선 (JA 12)
쇼난 신주쿠 라인 (JS 23)
도부 철도 도조 본선 (TJ-01)
세이부 철도 이케부쿠로선 (SI 01)1.211.5Y-10히가시이케부쿠로東池袋|히가시이케부쿠로일본어아라카와선 (히가시이케부쿠로 4초메 정류장, SA 25)0.912.4Y-11고코쿠지護国寺|고코쿠지일본어│1.113.5분쿄구Y-12에도가와바시江戸川橋|에도가와바시일본어│1.314.8Y-13이다바시飯田橋|이다바시일본어도자이선 (T-06)
난보쿠선 (N-10)
오에도선 (E-06)
주오·소부 완행선 (JB 16)1.616.4신주쿠구Y-14이치가야市ケ谷|이치가야일본어난보쿠선 (N-09)
신주쿠선 (S-04)
주오·소부 완행선 (JB 15)1.117.5지요다구Y-15고지마치麹町|고지마치일본어│0.918.4Y-16나가타초永田町|나가타초일본어난보쿠선 (N-07)
한조몬선 (Z-04)
긴자선 (아카사카미쓰케 역, G-05)
마루노우치선 (아카사카미쓰케 역, M-13)0.919.3Y-17사쿠라다몬桜田門|사쿠라다몬일본어│0.920.2Y-18유라쿠초有楽町|유라쿠초일본어야마노테선 (JY 30)
게이힌 도호쿠선 (JK 25)
히비야선 (히비야 역, H-08)
지요다선 (히비야 역, C-09)
미타선 (히비야 역, I-08)
게이요선 (도쿄역, JE 01)1.021.2Y-19긴자 1초메銀座一丁目|긴자 1초메일본어히비야선 (긴자 역, H-09)
긴자선 (긴자 역, G-09)
마루노우치선 (긴자 역, M-16)0.521.7주오구Y-20신토미초新富町|신토미초일본어히비야선 (쓰키지 역, H-11)0.722.4Y-21쓰키시마月島|쓰키시마일본어오에도선 (E-16)1.323.7Y-22도요스豊洲|도요스일본어●유리카모메 도쿄 임해 신교통 임해선 (U-16)1.425.1고토구Y-23다쓰미辰巳|다쓰미일본어1.726.8Y-24신키바新木場|신키바일본어게이요선 (JE 05)
도쿄 임해 고속철도 린카이선 (R 01)1.528.3

6. 추가 정보

도쿄 메트로 유라쿠초선은 다른 노선과의 직통 운행 및 다양한 임시 열차 운행을 통해 폭넓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역명곡명
A선 (신키바 방면)B선 (와코시·도부선 방면)
와코시[147]3: (토부 철도 범용 발차 멜로디)[148]2: (토부 철도 범용 발차 멜로디)
지하철 나리마스1: 전철 라이트 (후쿠시마)2: 하라리 (시오츠카)
지하철 아카츠카1: 렛츠 트레인 (후쿠시마)2: 시작이야 (시오츠카)
헤이와다이1: 둥글게 (시오츠카)2: 귀뚜라미 (시오츠카)
히카와다이1: 이제 옵니다 (타니모토)2: 두근두근 전철 (후쿠시마)
고타케무코하라1: 오버플로우 (시오츠카)
2: 역 스트레칭 (후쿠시마)
3: 캐롯 (시오츠카)
4: 무휴 (타니모토)
센가와1: 스타 차량 (후쿠시마)2: 상쾌한 스테이션 (후쿠시마)
카나메초1: 쉬면서 (타니모토)2: 전철로 스텝 (후쿠시마)
이케부쿠로3: bright (타니모토)4: OK! (시오츠카)
히가시이케부쿠로1: 마일드 전철 (후쿠시마)2: 시간의 스파이럴 (시오츠카)
고코쿠지1: 모험 전철 (후쿠시마)2: 바람개비 (시오츠카)
에도가와바시1: 별의 무도회 (시오츠카)2: 바람이 감도는 역 (후쿠시마)
이이다바시3: 러블리 트레인 (후쿠시마)4: 별의 행방 (시오츠카)
이치가야1: common (타니모토)2: 전철로 두근두근 (후쿠시마)
코지마치1: 큐티 전철 (후쿠시마)2: 반짝임 전철 (후쿠시마)
나가타초1: 사무라이 전철 (후쿠시마)2: 파피용 (후쿠시마)
사쿠라다몬1: 눈 내리는 풍경 (타니모토)2: 지하철을 좋아해 (타니모토)
유라쿠초1: 함께 (시오츠카)2: 엄브렐러 왈츠 (시오츠카)
긴자 잇초메1: 꽃 시계 (시오츠카)2: Rolling (시오츠카)
신토미초1: 비가 그치면 (시오츠카)2: 잠 깨는 전철 (후쿠시마)
츠키시마1: 에도의 거리 (후쿠시마)2: 여행 전날 (타니모토)
토요스1: 톤톤톤 (시오츠카)[149]2: (사용 중지 중)[150]
타츠미1: 스킵 차량 (후쿠시마)2: 헐레벌떡 금지 (타니모토)
신키바1: (하차 전용이므로 없음)2: 내일은 분명 (시오츠카)[149]
(차내 멜로디)미래 전철 (후쿠시마)rapid (타니모토)

7. 연장 계획

도쿄 메트로는 2022년 1월 28일도요스역에서 분기하여 도쿄 메트로 도자이선도요초역과 도에이 신주쿠선 및 도쿄 메트로 한조몬선의 스미요시역을 연결하는 구간의 연장 계획을 국토교통대신에게 신청했다.[109] 같은 해 3월 28일에 제1종 철도 사업 허가를 받았다.[110][111] 2024년 11월 5일에 착공하여,[113] 2030년대 중반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109]

이 지선은 고토구의 재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에다가와역(가칭)과 센고쿠역(가칭) 등 2개의 역이 추가되어 센고쿠와 도요 지역을 운행하게 된다.[14][15][16] 예상 건설 비용은 2.69조이다.[14] 또한, 가치도키역에서 계획된 도쿄 린카이 지하철선에서 분기하여 도요스역의 미래 도요즈미선(유라쿠초선 지선) 승강장과 연결하는 계획도 있으며, 이 지선은 2030년대 중반에 운행될 예정이다.

No.역 (잠정)일본어역간 거리 (km)환승소재지
도요스역豊洲0유라쿠초선 (이케부쿠로, 신키바 방면; 일부 열차 직통 운행)고토구
에다가와역(가칭)枝川style="text-align: right;" |
도요초역東陽町1.6도자이선
센고쿠역(가칭)千石0.9
스미요시역住吉0.9한조몬선



1980년대 초부터는 도요스역에서 출발하여 조반선의 카메아리역을 경유하여 북쪽으로 지바현 북서부의 노다시로 향하는 지선 계획이 있었다.[17]

참조

[1] 보고서 Tokyo Metro station ridership in 2010 http://www.train-med[...] Train Media (sourced from Tokyo Metro) 2018-07-23
[2] 서적 鉄道要覧 株式会社電気車研究会・鉄道図書刊行会
[3] 간행물 Commute http://archive.metro[...] Metropolis 2009-06-12
[4] 웹사이트 3月6日(土)有楽町線・副都心線のダイヤ改正 http://www.tokyometr[...] 2010-02-03
[5] 문서 Wakoshi is shared by both Tobu and Tokyo Metro; Tobu manages the station.
[6] 문서 The S-Train service runs between Toyosu and Tokorozawa on the Seibu Ikebukuro Line on weekday mornings and evenings.
[7] 문서 Kotake-mukaihara is shared by both Seibu Railway and Tokyo Metro; Tokyo Metro manages the station.
[8] 문서 The S-Train service stops at Ikebukuro on weekends and national holidays, when it runs between Seibu-Chichibu on the Seibu Chichibu Line and Motomachi-Chukagai on the Minatomirai Line via the Fukutoshin Line. Passengers cannot board the S-Train service at Ikebukuro.
[9] 잡지 東京地下鉄07系 転籍計画の概要 Koyusha Co., Ltd. 2009-02
[10] 웹사이트 埼玉県和光市と東京のウォーターフロントを結ぶ有楽町線の計画から全線開通まで https://metroarchive[...] 2024-06-03
[11] 웹사이트 「営団地下鉄」から「東京メトロ」へ https://www.tokyomet[...] 2004-01-27
[12] 웹사이트 東急5050系4000番台が東武東上線・地下鉄有楽町線で営業運転開始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12-09-11
[13] 웹사이트 有楽町線小竹向原駅~新木場駅間でワンマン運転を開始します https://www.tokyomet[...] 2022-07-20
[14] 뉴스 Tokyo Metro eyes extending 2 subway lines to ease congestion https://www.asahi.co[...] 2021-09-21
[15] 웹사이트 有楽町線延伸(豊洲・住吉間)及び南北線延伸(品川・白金高輪間)の鉄道事業許可を申請しました。 https://www.tokyomet[...] 2022-01-28
[16] 웹사이트 東京メトロ「豊住線」のルート詳細を公表…途中駅は仮称・枝川、東陽町、千石 2030年代半ば開業 https://response.jp/[...] 2022-08-05
[17] 웹사이트 新たなネットワークを担う地下鉄整備の実現に向けて http://www.city.koto[...] 2010
[18] 웹사이트 東京都統計年鑑(平成31年・令和元年)/運輸 https://www.toukei.m[...] 東京都 2021-07-31
[19] 뉴스 営団地下鉄有楽町線が全通 交通新聞社 1988-06-08
[20] 문서 東京地下鉄道有楽町線建設史、pp.939 - 940。
[21] 문서 東京地下鉄道有楽町線建設史、p.49。
[22] 웹사이트 東京メトロ オープンデータ 開発者サイト https://developer.to[...] 東京地下鉄 2021-06-04
[23] 문서 東京地下鉄道有楽町線建設史、pp.432 - 433間「別図 有楽町線線路平面図及び縦断面図」。
[24] 문서 東京地下鉄道有楽町線建設史、pp.539 - 540。
[25] 문서 東京地下鉄道有楽町線建設史、pp.429・526・645 - 648。
[26] 문서 直通運転先のトンネル区間も含めると、南北線と東急目黒線の目黒駅前後 - 赤羽岩淵駅間21.3 km余りと埼玉高速鉄道線赤羽岩淵駅 - 浦和美園駅前後間の14.6 km足らずの計約35 kmが最長となる。
[27] 문서 東京地下鉄道有楽町線建設史、pp.772・832・833。
[28] 문서 東京地下鉄道日比谷線建設史、pp.117 - 123・203 - 204。
[29] 문서 現在の新富町駅東側付近。
[30] 문서 東京地下鉄道有楽町線建設史、pp.16 - 24。
[31] 문서 交通協力会『交通技術』1968年7月号「東京周辺地下高速鉄道網の整備計画」pp.6 - 11。
[32] 문서 東京地下鉄道有楽町線建設史、p.1266。
[33] 문서 東京地下鉄道有楽町線建設史、pp.93 - 101。
[34] 문서 東京地下鉄道有楽町線建設史、pp.423 - 425。
[35] 문서 東京地下鉄道有楽町線建設史、pp.36 - 46。
[36] 서적 東京地下鉄道有楽町線建設史
[37] 서적 東京地下鉄道有楽町線建設史
[38] 서적 東京地下鉄道有楽町線建設史
[39] 웹사이트 東京都市計画都市高速鉄道の変更(東京都決定) https://www.toshisei[...] 東京都都市整備局 2024-06-13
[40] 문서 西落合
[41] 서적 大江戸線放射部建設史 東京都交通局 2003-03
[42] 서적 東京地下鉄道有楽町線建設史
[43] 서적 東京地下鉄道有楽町線建設史
[44] 서적 東京地下鉄道有楽町線建設史
[45] 서적 東京地下鉄道有楽町線建設史
[46] 서적 東京地下鉄道有楽町線建設史
[47] 문서 平和台駅 - 練馬区立開進第一小学校付近で有楽町線と競合する地上道路
[48] 문서 練馬区立開進第一小学校付近 - 要町駅間で有楽町線と競合する地上道路
[49] 문서 要町駅 - 池袋駅付近で有楽町線と競合する地上道路
[50] 서적 東京地下鉄道有楽町線建設史
[51] 서적 東京地下鉄道有楽町線建設史
[52] 서적 東京地下鉄道有楽町線建設史
[53] 웹사이트 令和3年度 地下鉄事業の現況 http://www.jametro.o[...] 一般社団法人日本地下鉄協会 2021-10-17
[54] 간행물 輸送と運転 近年の動向 電気車研究会 2016-12-10
[55] 서적 帝都高速度交通営団史
[56] 문서 レールアンドテック出版『鉄道車両と技術』No.177記事「ATOの技術」参照
[57] 서적 東京地下鉄道有楽町線建設史
[58] 서적 東京地下鉄道有楽町線建設史
[59] 간행물 営団地下鉄有楽町線と7000系 電気車研究会 1974-04-01
[60] 간행물 東京で8番目に開通した地下鉄8号線 営団地下鉄 有楽町線 交友社 1975-01-01
[61] 서적 東京地下鉄道有楽町線建設史
[62] 서적 東京地下鉄道有楽町線建設史
[63] 서적 パンフレットで読み解く 東京メトロ 建設と開業の歴史 実業之日本社 2014-03-28
[64] 웹사이트 標準タイプ防振まくらぎ装置 https://www.tokyo-fa[...] 東京ファブリック工業 2021-09-18
[65] 서적 東京都交通局80年史 東京都交通局 1992-03
[66] 문서 これは第4号線として免許取得した区間を第8号線とするため、経過地や軌間を変更するためである
[67] 서적 東京地下鉄道有楽町線建設史
[68] 서적 東京地下鉄道有楽町線建設史
[69] 뉴스 池袋 - 銀座間は20分 30日開業の地下鉄有楽町線 朝日新聞社 1974-10-03
[70] 서적 東京地下鉄道有楽町線建設史
[71] 서적 帝都高速度交通営団史
[72] 서적 東京地下鉄道有楽町線建設史
[73] 간행물 『鉄道ファン』通巻第521号
[74] 뉴스 来月1日から 西武、営団と相互乗入 交通協力会 1983-09-22
[75] 서적 帝都高速度交通営団史
[76] 서적 東京地下鉄道有楽町線建設史
[77] 서적 帝都高速度交通営団史
[78] 서적 東京地下鉄道有楽町線建設史
[79] 서적 帝都高速度交通営団史
[80] 서적 帝都高速度交通営団史
[81] 간행물 『鉄道ファン』通巻第521号
[82] 보도자료 人にやさしい、より便利な地下鉄を目指して 有楽町線のダイヤ改正を行います。西武池袋線と相互直通運転を実施いたします。 http://www.tokyometr[...] 営団地下鉄 2020-11-09
[83] 보도자료 「営団地下鉄」から「東京メトロ」へ https://www.tokyomet[...] 営団地下鉄 2020-05-14
[84] 보도자료 有楽町線 営団成増、営団赤塚の駅名を「地下鉄成増」「地下鉄赤塚」に変更いたします。平成16年4月1日 http://www.tokyometr[...] 営団地下鉄 2020-05-02
[85] 보도자료 平成17年10月31日(月) 有楽町線で女性専用車両を導入します http://www.tokyometr[...] 東京地下鉄 2020-11-09
[86] 보도자료 東京メトロ 有楽町線に新しい顔が登場! 「10000系」新型車両を投入します。 http://www.tokyometr[...] 東京地下鉄 2020-11-09
[87] 논문 東京地下鉄 現有車両プロフィール2016 電気車研究会 2016-12-10
[88] 서적 トラベルMOOK 新しい東京メトロの世界 交通新聞社 2021-05-17
[89] 서적 東京地下鉄道副都心線建設史
[90] 논문 小田急電鉄 列車運転の変遷とその興味 電気車研究会 2020-08-10
[91] 보도자료 平成20年6月14日(土)副都心線開業 副都心線・有楽町線のダイヤが決定! 和光市~渋谷間が最短25分(急行)で結ばれ、ますます便利に http://www.tokyometr[...] 東京地下鉄 2021-01-29
[92] 보도자료 平成20年11月29日(土) 東京メトロ有楽町線・副都心線のダイヤ改正 東武東上線、西武有楽町・池袋線は一部列車に変更 http://www.tokyometr[...] 東京地下鉄/東武鉄道/西武鉄道 2020-11-09
[93] 보도자료 準急を各駅停車に、休日の急行が明治神宮前に停車! 3月6日(土)有楽町線・副都心線のダイヤ改正 ー明治神宮前駅に「原宿」をあわせてご案内開始しますー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20-11-09
[94] 웹사이트 平成22年度(第7期)事業計画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21-01-30
[95] 웹사이트 有楽町線の発車メロディを制作しました http://www.switching[...] 2011-04-06
[96] 보도자료 有楽町線・副都心線小竹向原駅〜池袋駅間の信号トラブルについて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21-01-29
[97] 보도자료 平成24年11月4日(日)有楽町線千川駅線路工事のため 有楽町線和光市駅〜池袋駅間を終日運休します 〜運休区間では副都心線のご利用をお願いします〜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21-01-31
[98] 보도자료 ますます拡大! 東京メトロのトンネル内携帯電話利用可能エリア 平成25年2月7日(木)より有楽町線の一部の駅間でも初めて携帯電話の利用が可能に! 東西線 中野駅〜九段下駅間 千代田線 二重橋前駅〜霞ケ関駅間 有楽町線 江戸川橋駅〜新木場駅間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21-01-31
[99] 보도자료 平成25年2月21日(木)より 東京メトロのトンネル内携帯電話利用可能エリア拡大 有楽町線 要町駅〜江戸川橋駅間 副都心線 要町駅〜雑司が谷駅間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21-01-31
[100] 보도자료 平成25年3月21日(木)正午より、東京メトロの全線で携帯電話が利用可能に!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NTTドコモ/KDDI/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イー・アクセス 2021-01-31
[101] 보도자료 千川駅、豊洲駅、辰巳駅に設置し、有楽町線全駅にホームドアの設置が完了します! 全179駅中84駅にホームドアの設置が完了しホーム上の安全性が向上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20-03-07
[102] 보도자료 有楽町線全駅でホームドア稼働開始! 2月8日(土)から有楽町線千川駅のホームドアが稼働します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20-03-07
[103] 보도자료 有楽町線・副都心線和光市〜小竹向原駅間で、ワンマン運転を実施します。2015年3月28日(土)から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20-03-09
[104] 보도자료 有楽町線小竹向原駅〜千川駅間連絡線設置工事完成! 2016年2月14日(日)始発より運用開始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20-03-07
[105] 보도자료 3月17日(土)から新たな乗換駅の設定を開始します 人形町駅(東京メトロ・都営交通)⇔水天宮前駅、築地駅⇔新富町駅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20-03-07
[106] 간행물 東京メトロ線でのお乗換えがさらに便利になります! 新たな乗換駅の設定(虎ノ門駅⇔虎ノ門ヒルズ駅、銀座駅⇔銀座一丁目駅)改札外乗換時間を30分から60分に拡大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20-05-14
[107] 간행물 有楽町線・副都心線新型車両17000系いよいよデビュー! 2021年2月21日(日)より運行開始します!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21-02-21
[108] 뉴스 東京メトロ17000系、運行開始 床面は6センチ低く https://www.asahi.co[...] 2021-02-21
[109] 간행물 〜より便利で持続可能な社会を目指して〜 有楽町線延伸(豊洲・住吉間)及び南北線延伸(品川・白金高輪間)の鉄道事業許可を申請しました。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22-01-28
[110] 간행물 東京地下鉄株式会社「有楽町・南北線の延伸」に係る鉄道事業許可について 〜有楽町線・南北線の延伸により、国際競争力の強化の拠点である臨海副都心やリニア中央新幹線の始発駅となる品川駅とのアクセス利便性が向上します〜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鉄道局都市鉄道政策課 2022-03-28
[111] 간행물 〜より便利で持続可能な社会を目指して〜 有楽町線延伸(豊洲・住吉間)及び南北線延伸(品川・白金高輪間)の鉄道事業許可を受けました〈所要時間短縮により、交通利便性・速達性が向上〉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22-03-28
[112] 간행물 有楽町線小竹向原駅{{~}}新木場駅間でワンマン運転を開始します 2022年8月6日(土)から開始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22-07-20
[113] 간행물 新たな未来へ向けた第一歩! 有楽町線延伸(豊洲・住吉間)及び南北線延伸(品川・白金高輪間)新線プロジェクトが本日ついに始動します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24-11-05
[114] 문서
[115] 문서
[116] 문서
[117] 문서
[118] 간행물 2022年3月東京メトロ全線ダイヤ改正のお知らせ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21-12-17
[119] 간행물 2022年3月12日(土) ダイヤ改正を実施します 〜生活様式の変化を踏まえ、ご利用状況に応じたダイヤに変更〜 https://www.seiburai[...] 西武鉄道 2021-12-17
[120] 간행물 2023年3月ダイヤ改正のお知らせ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24-01-23
[121] 간행물 有料座席指定列車の愛称・詳細が決定! 2017年3月25日(土)から「S-TRAIN」運行開始! https://www.tokyomet[...] 西武鉄道/東京地下鉄/東京急行電鉄/横浜高速鉄道 2017-01-10
[122] 문서
[123] 문서
[124] 문서
[125] 간행물 平成21年3月14日(土)「特急ロマンスカー」運転時刻一部変更について 利便性の向上を図ります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09-01-14
[126] 간행물 2012年3月17日(土)ダイヤ改正を実施します。「メトロはこね」を毎日運転、朝方と夕夜間のロマンスカーを増発 http://www.odakyu.jp[...] 小田急電鉄 2011-12-16
[127] 웹사이트 東京メトロ有楽町線要町駅及び千川駅の準急通過の廃止を求める要望書 http://www.city.tosh[...] 豊島区議会 2022-04-09
[128] 문서
[129] 간행물 有楽町線・副都心線に新型車両17000系を導入します 2020年度営業運転開始予定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19-11-11
[130] 간행물 ありがとう! 7000系東京メトロスタンプラリー実施&オリジナル24時間券を発売します! 4つのスタンプを集めると先着2,000名様に「7000系缶バッチ」をプレゼント!! 7000系オリジナル24時間券は2022年5月25日(水)から発売開始!!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22-05-19
[131] 문서
[132] 논문 東武車両のリニューアル工事 電気車研究会 2018-08-10
[133] 논문 東武鉄道 現有車両プロフィール2018 電気車研究会 2018-08-10
[134] 웹사이트 東急5050系4000番台が東武東上線・地下鉄有楽町線で営業運転開始 http://railf.jp/news[...] 交友社 2020-11-27
[135] 문서
[136] 문서
[137] 문서
[138] 문서
[139] 웹사이트 最混雑区間における混雑率(令和5年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4-08-02
[140] 웹사이트 東京地下鉄 平成19年度1日平均乗降人員・通過人員 https://www.train-me[...] 関東交通広告協議会 2021-01-30
[141] 간행물 都市交通年報
[142] 서적 営団地下鉄五十年史
[143] 문서
[144] 문서
[145] 웹사이트 東京メトロ 駅発車メロディー & 駅ホーム自動放送 シリーズ[東京メトロ有楽町線 駅発車メロディー & 駅ホーム自動放送:TECD-21634] / TEICHIKU ENTERTAINMENT https://www.teichiku[...] 2019-07-26
[146] 웹사이트 個人でのソーシャルメディアでの音源使用について http://www.switching[...] スイッチ 2020-09-03
[147] 문서
[148] 문서
[149] 문서
[150] 문서
[151] 문서
[152] 문서
[153] 서적 東京地下鉄道有楽町線建設史
[154] 웹사이트 有楽町線豊洲駅「埋められた2・3番線」どうなる? 復活後は「別の路線」の可能性も https://trafficnews.[...] 2021-08-04
[155] 뉴스 ホーム南側に立坑/8号線延伸で住吉駅 営業線と近接施工/東京都ら検討 2021-07-07
[156] 웹사이트 定例記者会見 平成19年7月4日分 > 2 地下鉄8号線(豊洲~住吉間)等の整備について https://www.city.kot[...] 江東区政策経営部広報広聴課報道係 2022-04-09
[157] 웹사이트 新たなネットワークを担う地下鉄整備の実現に向けて (仮称)江東区地下鉄8号線建設基金を創設 みんなの力でのばそう地下鉄! https://www.city.kot[...] 江東区 2020-11-21
[158] 웹사이트 江東区長「だまし討ちだ」 地下鉄延伸で東京都を厳しく批判 https://s.mxtv.jp/mx[...] 東京メトロポリタンテレビジョン 2019-06-21
[159] 웹사이트 有価証券報告書 http://www.tokyometr[...] 東京地下鉄 2020-11-21
[160] 뉴스 東京・江東区、有楽町線延伸「上下分離」方式で 計画案、三セクが整備し運営はメトロ 2011-07-11
[161] 웹사이트 東京圏における今後の地下鉄ネットワークのあり方等について(答申)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交通政策審議会 2021-07-15
[162] 뉴스 東京メトロの延伸・新線、国と都が建設費支援へ 2021-07-08
[163] 뉴스 有楽町線延伸と都心部・品川地下鉄構想/早期事業化を答申/事業主体 東京メトロが適切/交政審 2021-07-16
[164] 웹사이트 地下鉄有楽町線など延伸 “東京メトロ主体で” 審議会答申 https://www3.nhk.or.[...] 日本放送協会 2021-07-15
[165] 웹사이트 東京メトロ 有楽町線と南北線 延伸へ 2030年代半ば開業を想定 https://www3.nhk.or.[...] 日本放送協会 2022-01-08
[166] 뉴스 東京メトロ延伸へ出発進行 有楽町線・南北線で2030年代開業目指す 政府が調査費 2021-12-25
[167] 문서
[168] 뉴스 地下4階にホーム整備/乗換通路は片押し施工想定/東京都らが8号線延伸で東陽町駅検討 2021-04-05
[169] 웹사이트 いただいたご質問の要旨とそれに対する回答 https://www.toshisei[...] 東京都都市整備局 2022-10-28
[170] 웹사이트 東京メトロ「品川地下鉄」「有楽町線延伸」運転間隔は最短5分 事業基本計画など判明 https://news.railway[...] 2022-05-07
[171] 간행물 Commute http://archive.metro[...] Metropolis 2009-06-12
[172] 웹사이트 3月6日(土)有楽町線・副都心線のダイヤ改正 http://www.tokyometr[...] 2010-0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