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 파리 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 파리 대학교는 12~13세기에 설립된 유럽의 가장 오래된 대학교 중 하나로, 프랑스 혁명 이후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다. 1970년에는 13개의 독립된 대학교로 분할되었으며, 2010년대 이후 일부 대학이 통합되면서 소르본 대학교, 파리 대학교, 파리 사클레 대학교 등으로 재편되었다. 이 대학은 11명의 프랑스 대통령, 3명의 교황을 포함한 수많은 정치, 사회, 과학, 예술 분야의 저명 인사를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세기 설립 - 앙코르 톰
    캄보디아 시엠레아프에 위치한 앙코르 톰은 자야바르만 7세가 건설한 크메르 제국의 수도이자 9km² 면적의 거대한 성곽 도시로, 바이욘 사원을 중심으로 다양한 유적과 다섯 개의 웅장한 성문, 힌두교와 불교 요소가 혼합된 건축 양식, 그리고 '크메르의 미소'로 알려진 관세음보살 얼굴 조각상이 특징이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 12세기 설립 - 아이유브 술탄국
    아이유브 술탄국은 살라흐 앗 딘이 이집트를 정복하고 세운 수니파 무슬림 왕조로, 쿠르드족 출신의 아이유브 가문이 다스렸으며, 십자군 전쟁 당시 예루살렘을 탈환한 살라딘의 활약으로 유명하다.
  • 필리프 2세 - 알비 십자군
    알비 십자군은 1209년부터 1229년까지 남부 프랑스 랑그도크에서 카타리파 이단을 막기 위해 교황이 선포한 종교 전쟁으로, 정치적·경제적 이해관계와 잔혹한 군사 작전, 그리고 종교재판을 통해 집단 학살 논쟁을 야기하며 역사적 의미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 필리프 2세 - 제4차 라테란 공의회
    제4차 라테란 공의회는 1215년 교황 인노첸시오 3세가 소집한 로마 가톨릭 공의회로, 정통 신앙 보호, 십자군 지원, 성직 임명권 개입 배제, 이단 척결, 새로운 십자군 편성을 목표로 71개 교령을 발표하며 중세 교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소수자 차별 강화 비판도 있다.
  • 파리 대학교 - 소르본
    소르본은 1253년 로베르 드 소르본에 의해 설립되어 중세 파리 대학교의 주요 대학이었으며, 프랑스 혁명 기간 동안 폐쇄되었다가 1970년 파리 대학교 분할 이후 여러 대학들이 소르본 명칭을 사용하며 운영을 이어오고 있다.
  • 파리 대학교 - 고등연구실습원
    고등연구실습원은 1868년 프랑스에 설립되어 연구를 통한 학문 훈련을 장려하는 것을 목표로 현재는 지구 및 생명 과학, 역사 및 문헌학, 종교학의 3개 분과를 중심으로 운영되며 석박사 학위 과정 제공 및 연구 활동을 통해 학문 발전에 기여하는 고등 교육 기관이다.
신 파리 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개요
파리 대학교 문장
문장
라틴어 명칭Universitas magistrorum et scholarium Parisiensis
표어Hic et ubique terrarum (라틴어)
표어 (한국어)이 곳과 지상의 어디에서나
표어 (영어)Here and anywhere on Earth
표어 (프랑스어)Ici et partout sur la terre
설립기원: 파리의 성당 학교에서 중세 시대에 시작됨
설립일1045년–1150년
폐교1793년
재건학부 재건: 1806년
대학교 재건1896년
분할1970년
유형조합, 이후 공립 대학
위치파리
국가프랑스
캠퍼스도시
역사
연혁1150년경 - 1793년, 1896년 - 1970년, 2018년 - 현재
위치카르티에 라탱, 파리 시내 및 일드프랑스 지역
기타
프랑스어 명칭Université de Paris
프랑스어 명칭 (음역)소르본
관련 웹사이트파리 1대학 역사

2. 역사

파리 대학교의 본부인 소르본


경제대학과 법학대학


파리 대학교는 12세기 중반에 기원하며, 1970년에 13개의 독립된 대학으로 재편되었다.

1257년 성 루이의 궁정 사제였던 로베르 드 소르본이 가난한 신학부 학생들을 위해 소르본 칼리지(Collège de Sorbonne)를 설립한 이후, 파리 대학교는 "소르본(Sorbonne)"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현재 13개 대학 중 제1, 제3, 제4 대학이 소르본의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프랑스의 고등 교육 행정 구획에서 소르본에 본부를 둔 파리 교육구(l'académie de Paris)에 포함되어 있으며, 파리 교육구장은 일 드 프랑스 권역 교육구장을 겸임하고 있다.[33] 분할 전 파리 대학교 총장 중에는 잔 다르크의 이단 심문에 관여한 피에르 코숑이 있기도 했다.

교육 과정은 3단계로 나뉘며, 제1과정(3년)과 제2과정(2년, 의학 계열은 4년)의 전반부(1~2년)는 한국의 교양·전문 과정에 해당하고, 제2과정의 후반부와 제3과정(3년)은 대학원에 해당한다.

파리 대학교는 볼로냐 대학교, 옥스브리지 등과 함께 12~13세기에 설립된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중세 대학교 중 하나로, 그 기원은 1150년-117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 창설 초기에는 신학, 법학, 의학의 3개 상위 학부 아래에 학예부(리버럴 아츠)가 설치되었다.[34]
  • 1211년 인노첸시오 3세에 의해 대학교(스투디움 게네랄레)로 인정받았다.
  • 1257년 로베르 드 소르본이 소르본 학료(Collège de Sorbonne)를 설립했다.
  • 1259년 교황 알렉산데르 4세의 허가를 얻어 소르본은 신학부, 나아가 파리 대학교 자체의 대명사가 되었다.
  • 중세 시대에는 가톨릭 대학교였으나, 1499년 루이 12세 시대에 특권이 박탈되었다.
  • 1793년 프랑스 혁명 이후 프랑스 전국 대학이 중단되고, 그랑제콜이 설치되었다.
  • 1808년 나폴레옹의 제1 제정 시대에 제국 대학교(Université de France)령에 의해 전국이 16개 대학구로 분할되었고, 파리 대학구에는 5개 학부(신학, 법학, 의학, 이학, 문학)가 설치되었다.[34]
  • 1896년 신제 파리 대학교가 발족되었다.
  • 1970년 고등 교육 기본법(포르 법, fr)에 따라 현재의 대학 제도가 성립되었다. 학부는 폐지되고 유니테(unité, 유닛)로 재편되었으며, 파리 대학교는 13개의 독립된 대학교로 개편되었다.
  • 1984년 고등 교육법이 제정되어 대학의 연구 진흥, 고용 정책, 사회적·문화적 불평등 완화를 강조하고, 그랑제콜을 이 법의 적용 대상에 포함시켰다.
  • 2008년 파리 제9 대학교(도피네)가 이탈하여 PSL 연구 대학교(Université PSL)를 창설했다.
  • 2018년 파리 제4 대학교와 파리 제6 대학교가 통합하여 소르본 대학교(Sorbonne Université)를 창설했다.
  • 2019년 파리 제5 대학교와 파리 제7 대학교가 통합하여 파리 대학교(Université de Paris)를 창설했다.
  • 2020년 파리 제11 대학교(파리 남)가 파리 사클레 대학교(Université Paris Saclay)를 창설했다.


제1 대학은 2006년 초기 고용 계약 도입과 2007년 니콜라 사르코지 대통령의 개혁 방침에 반대하는 바리케이드파업이 일어나는 등, 21세기에도 학생 운동의 거점으로 여겨진다. 2024년 소르본 대학교에서 팔레스타인 연대 행동이 있었다.

2. 1. 중세

1150년, 미래의 파리 대학교는 파리 대성당 부속 학교의 부속 기관으로 운영되는 학생-교사 단체였다. 이에 대한 최초의 역사적 언급은 매튜 파리가 자신의 스승(세인트앨번스 대성당의 수도원장)의 연구와 1170년경 그곳에서 "선출된 석사들의 단체"에 가입한 것에 대해 언급한 내용에서 찾아볼 수 있다.[7] 미래의 교황 인노첸시오 3세인 로타리오 데이 콘티 디 세니가 1182년 21세의 나이로 그곳에서 학업을 마쳤다는 사실도 알려져 있다. 최초의 칼리지는 1180년 조세라는 영국인이 설립하고 18명의 가난한 학자들을 위해 기부한 콜레주 데 디스-위트였다.

이 단체는 1200년 필리프-오귀스트 국왕의 칙령으로 공식적으로 "''Universitas''"로 인정받았다. 이 칙령에서 그는 미래의 학생들에게 허용된 여러 편의 사항 중, 단체가 노트르담 대성당 학교의 장로들이 관리하는 교회법에 따라 운영될 수 있도록 허용했으며, 과정을 이수한 모든 사람들에게 졸업장을 수여할 것을 보장했다.[8]

이 대학교는 학부가 4개였다: 예술, 의학, 법학, 신학. 예술 학부는 순위가 가장 낮았지만, 학생들이 상위 학부에 입학하려면 그곳에서 졸업해야 했기 때문에 규모가 가장 컸다. 학생들은 언어 또는 지역 출신에 따라 프랑스, 노르망디, 피카르디, 잉글랜드의 4개 ''nationes''로 나뉘었다. 마지막 nation은 ''알레마니아'' (독일) nation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각 nation에 대한 모집은 이름이 암시하는 것보다 더 광범위했다. 즉, 영국-독일 nation에는 스칸디나비아와 동유럽 출신 학생들이 포함되었다.

파리 대학교의 학부 및 nation 시스템은 (볼로냐 대학교의 시스템과 함께) 이후 모든 중세 대학교의 모델이 되었다. 교회의 통치하에 학생들은 교회 보호하에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예복을 입고 머리 꼭대기를 삭발했다. 학생들은 교회의 규칙과 법을 따랐으며 국왕의 법이나 법원의 적용을 받지 않았다. 이는 파리 시에 문제를 야기했는데, 학생들이 난동을 부렸고 시의 공무원은 정의를 위해 교회 법원에 호소해야 했다. 학생들은 종종 매우 어렸는데, 13세 또는 14세에 입학하여 6년에서 12년 동안 머물렀다.

파리에는 '궁정 학교' 또는 '왕궁 학교', '노트르담 학교', 생트-주느비에브 수도원 학교의 세 학교가 특히 유명했다. 후자의 두 학교는 오래되었지만, 왕실의 쇠퇴로 인해 쇠퇴하기 전까지는 궁정 학교에 가려져 있었다.

생트-주느비에브 학교의 첫 번째 유명 교수는 10세기에 활동한 위볼드였다. 그는 리에주에서의 교육에 만족하지 않고 파리에서 학업을 이어갔으며, 생트-주느비에브의 장에 들어가거나 제휴하여 가르침을 통해 많은 학생들을 끌어모았다. 11세기 노트르담 학교의 뛰어난 교수들로는 샤르트르의 풀베르의 제자인 람베르, 파리의 드로고, 독일의 마네골드, 라옹의 안셀름 등이 있었다. 이 두 학교는 모든 국가에서 학자들을 끌어모았고, 크라쿠프의 성 스타니슬라우스, 잘츠부르크의 게브하르트 대주교, 시토의 세 번째 수도원장인 성 스테판, 퐁트브로 수도원의 창립자인 로베르 다르브리셀 등 많은 저명한 인물들을 배출했다. 노트르담 학교와 생트-주느비에브 학교의 명성을 더한 세 명의 다른 인물은 샹포의 기욤, 아벨라르, 롬바르드의 페트루스였다.

인문 교육은 문법, 수사학, 변증법, 산술, 기하학, 음악, 천문학 (트리비움 및 쿼드리비움)으로 구성되었다. 고등 교육에는 교의 및 도덕신학이 포함되었으며, 그 근원은 성경과 교부들이었다. 이는 교회법 연구로 완성되었다. 생-빅토르 학교는 노트르담 학교와 생트-주느비에브 학교에 대항하기 위해 일어섰다. 이 학교는 샹포의 기욤이 생-빅토르 수도원으로 물러났을 때 설립되었다. 가장 유명한 교수는 생-빅토르의 휴와 생-빅토르의 리차드이다.

파리 학교에서는 다른 곳과 마찬가지로 연구 계획이 확장되었다. 볼로냐의 교회법 요약집인 데크레툼 그라티아니la는 신학과의 분열을 가져왔다. 지금까지 교회의 규율은 소위 신학에서 분리되지 않았고, 같은 교수가 함께 연구했다. 그러나 이 방대한 컬렉션은 특별한 과정을 필요로 했으며, 이는 로마법이 가르쳐진 볼로냐에서 처음으로 시작되었다. 프랑스에서는 먼저 오를레앙이, 그 다음 파리가 교회법 강좌를 개설했다. 12세기 말까지 제라르 라 푸셀, 앙제의 마티외, 파리의 안셀름의 교령집이 데크레툼 그라티아니에 추가되었다. 그러나 민법은 파리에서 포함되지 않았다. 12세기에는 의학이 파리에서 공개적으로 가르쳐지기 시작했다. 파리에서 최초로 기록된 의학 교수는 ' quadrivium을 가르친 뛰어난 물리학자'인 휴고였다.

교수는 측정 가능한 지식을 갖추어야 했으며, 대학에서 임명되었다. 지원자는 시험을 통해 평가를 받아야 했다. 성공한 경우, 학교의 수장이며 '스콜라스티쿠스', '카피스콜', '총장'으로 알려진 시험관이 가르칠 사람을 임명했다. 이를 강사 면허 또는 가르칠 권한이라고 불렀다. 강사 면허는 자유롭게 부여되어야 했다. 이 면허 없이는 아무도 가르칠 수 없었고, 반면에 시험관은 지원자가 자격이 있을 때 이를 거부할 수 없었다.

생-빅토르 학교는 수도원에 의해 자체적으로 강사 면허를 수여했고, 노트르담 학교는 교구에, 생트-주느비에브 학교는 수도원이나 장에 의존했다. 교구와 수도원 또는 장은 각 관할 구역에서 총장을 통해 교수 임명을 부여했다. 노트르담, 생트-주느비에브, 생-빅토르 외에도 "섬"과 "산"에 여러 학교가 있었다. 장-밥티스트 루이 크레비에는 "가르칠 권리가 있는 사람은 주요 학교 근처가 아닌 곳에서 원하는 곳에 학교를 열 수 있었다."라고 말했다. 아담 드 파르보 폰테라는 영국 출신은 " 프티 퐁 근처"에 학교를 유지했고, 파리 출신인 또 다른 아담은 " 그랑 퐁에서 가르쳤는데, 이는 퐁-오-샹쥬라고 불린다" (''파리 대학교 역사,'' I, 272).

수도 학교의 학생 수는 끊임없이 증가하여 숙소가 부족했다. 프랑스 학생들은 왕족, 귀족의 아들, 그리고 상류층을 포함했다. 파리의 강좌는 학업을 완료하는 데 매우 필요한 것으로 여겨져 많은 외국인들이 몰려들었다. 교황 첼레스티노 2세, 아드리아노 4세, 인노첸시오 3세가 파리에서 공부했고, 알렉산데르 3세는 조카들을 그곳으로 보냈다. 주목할 만한 독일 및 영국 학생으로는 프라이징의 오토, 마인츠 대주교 추기경 콘라드, 캔터베리의 토마스 베켓, 솔즈베리의 존이 있었으며, 생트-주느비에브는 사실상 덴마크의 신학교가 되었다. 당시의 연대기 작가들은 파리를 문학의 도시로 칭송하며, 아테네, 알렉산드리아, 로마 및 다른 도시보다 높이 평가했다. "그 시대에 파리에서는 철학과 모든 학문 분야가 번성했고, 일곱 개의 예술은 아테네, 이집트, 로마 또는 세계 다른 곳에서 결코 존경받지 못한 만큼 존경받고 연구되었다." ("필리페-오귀스트의 행위"). 시인들은 그 시에 대학교를 찬양하며, 그것을 세상에서 가장 위대하고 고귀하며 가치 있는 모든 것에 비유했다.

가난한 학생들이 공부할 수 있도록 예루살렘에서 돌아온 기사인 런던의 조세가 18명의 학생들을 위해 콜레주 데 디스-위트를 설립하여 숙소를 제공하고 매달 12페니 또는 데나리우스를 지급했다.[9]

대학교가 발전하면서 더욱 제도화되었다. 먼저, 교수들은 협회를 구성했는데, 매튜 파리에 따르면 잉글랜드 세인트 알반스 수도원의 스물한 번째 수도원장인 존 오브 셀스가 강좌를 수강한 후 파리의 교육 기관의 회원으로 받아들여졌기 때문이다 (''비타 요안니스 I, XXI, 아바트. S. 알반''). 마스터뿐만 아니라 학생들도 국적에 따라 나뉘었다. 알반은 잉글랜드의 헨리 2세가 캔터베리의 성 토마스와의 문제로 인해 다양한 지방에서 선택된 파리 교수들로 구성된 재판소에 자신의 사건을 제출하고 싶어했다고 기록했다 (Hist. major, 헨리 2세, 1169년 말까지). 이는 나중에 대학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국가"에 따른 분열의 시작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첼레스티노 3세는 교수와 학생 모두 민간 법원이 아닌 교회 법원의 관할을 받는 특권을 갖도록 판결했다.

노트르담, 생트-주느비에브, 생-빅토르의 세 학교는 마스터와 학생들을 포함하는 ''Universitas scholarium''의 삼중 요람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따라서 ''대학교''라는 이름이 붙었다. 헨리 데니플과 몇몇 다른 사람들은 이 영예가 노트르담 학교에만 해당한다고 주장하지만, 그 이유는 설득력이 없어 보인다. 그는 생-빅토르를 제외하는데, 이는 생-빅토르 수도원장과 수도사들의 요청에 따라 그레고리 9세가 1237년에 중단된 신학 교육을 재개하도록 승인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학교는 1208년경에 대략적으로 설립되었으며, 인노첸시오 3세의 칙서에 의해 입증된다. 결과적으로, 생-빅토르 학교는 그 형성에 기여했을 가능성이 높다. 둘째, 데니플은 자유 학문의 교육이 중단되지 않았기 때문에 생트-주느비에브 학교를 제외한다. 이는 논쟁의 여지가 있으며, 그 기간 동안 신학이 가르쳐졌다. 생트-주느비에브의 총장은 예술 학위를 계속 수여했는데, 이는 그의 수도원이 대학교 조직에 참여하지 않았다면 중단했을 일이다.

1200년, 필리프 2세 국왕은 "파리 학자들의 안전을 위한" 칙령을 발표하여 학생들이 교회 관할권에만 복종하도록 했다. 행정관 및 기타 관리들은 학생을 어떤 범죄로도 체포할 수 없으며, 교회 당국에 인도하는 경우에만 예외로 했다. 국왕의 관리들은 교회 당국의 명령 없이는 어떠한 구성원에게도 개입할 수 없었습니다. 그의 조치는 학생들이 도시 외곽의 술집에서 관리들과 폭력적인 사건을 일으킨 후에 이루어졌습니다.

1215년, 교황 사절인 로베르 드 쿠르송은 교수가 될 수 있는 자격을 규정하는 새로운 규칙을 발표했습니다. 예술을 가르치려면 후보자는 최소 21세 이상이어야 하고, 최소 6년 동안 이 예술을 공부했으며, 최소 2년 동안 교수로 임명되어야 했습니다. 신학 교수가 되려면 후보자는 30세 이상이어야 하며, 8년 동안 신학을 공부해야 하며, 마지막 3년은 석사 학위를 준비하기 위한 특별 강의 과정에 전념해야 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석사의 지도하에 현지 학교에서 이루어져야 했습니다. 파리에서는 특정 석사들과 함께 공부해야만 학자로 인정받았습니다. 마지막으로 도덕적 순수성은 독서만큼 중요했습니다. 라이선스는 관례에 따라 맹세나 조건 없이 무료로 부여되었습니다. 석사 및 학생들은 심각한 문제에서 정의를 얻을 수 없을 때 자신들의 권리를 방어하기 위해 맹세로 뭉칠 수 있었습니다. 법학이나 의학에 대한 언급은 없는데, 이는 아마도 이러한 학문들이 덜 두드러졌기 때문일 것입니다.

1229년, 여왕의 정의 거부로 인해 수업이 중단되었습니다. 교황은 대학을 칭찬하는 내용으로 시작하는 교황 칙서를 통해 개입했습니다. 그레고리 9세는 "과학의 어머니, 파리는 또 다른 카리아스-세페르, 즉 문자의 도시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르 망과 샹스의 주교, 그리고 샬롱의 대주교에게 프랑스 법원과 협상하여 대학을 복원하도록 위임했지만, 1230년 말까지 아무것도 이루지 못했습니다. 그레고리 9세는 1231년 파리의 석사와 학자들에게 칙서를 보냈습니다. 그는 분쟁을 해결했을 뿐만 아니라, 학교의 규율, 교육 방법, 논문 방어, 교수의 복장, 석사 및 학생들의 장례식에 관한 규정을 제정할 수 있는 권한을 대학에 부여했습니다(로베르 드 쿠르송의 규정을 확장). 가장 중요한 것은, 교황은 정의가 거부될 경우 대학이 완전한 만족을 얻을 때까지 수업을 중단할 권리를 대학에 부여했습니다.

교황은 피에르 르 망주르에게 교수 자격증을 부여하는 데 대한 적절한 수수료를 징수하도록 권한을 부여했습니다. 또한, 처음으로 학자들은 교육을 위해 등록금을 지불해야 했습니다. 매주 2수, 공동 기금에 예치해야 했습니다.

2. 2. 근대

1257년 프랑스의 신학자이자 성 루이의 궁정 사제였던 로베르 드 소르본이 신학부의 가난한 학생들을 위해 소르본 칼리지(Collège de Sorbonne)를 설립한 이후, 파리 대학교는 "소르본 (Sorbonne)"이라고 불리지만, 대학이 반드시 소르본의 사상에 기반한 것은 아니다.[33]

15세기에 기욤 데스투트빌 추기경은 대학교를 개혁하여, 인식된 폐단을 바로잡고 다양한 수정을 도입했다. 1600년 왕실 정부는 세 개의 고등 학부에 대해 개혁을 단행했는데, 이는 혁신이라기보다는 오래된 규칙 준수를 촉구하는 것이었다. 인문학부의 경우 1600년의 개혁은 그리스어, 프랑스 시인 및 웅변가, 그리고 헤시오도스, 플라톤, 데모스테네스, 키케로, 베르길리우스, 살루스티우스와 같은 고전 인물들에 대한 연구를 도입했다. 파리에서는 민법 교육 금지가 제대로 지켜진 적이 없었지만, 1679년 루이 14세는 교령집 학부에서 민법 교육을 공식적으로 허가했다. 이에 따라 "법학부"가 "교령집 학부"를 대체했다. 그동안 대학들은 많이 늘어났고, 추기경 르 모인과 나바르 대학은 14세기에 설립되었다. 백년 전쟁은 이러한 시설에 치명적이었지만, 대학교는 손해를 복구하기 시작했다.

파리 대학교는 교육 외에도 동서 분열 동안 교회에서, 이단과 분열을 다루는 공의회에서, 그리고 국가적 위기 동안 국가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잉글랜드의 지배 하에, 잔 다르크의 재판에서 역할을 했다.[33]

자신의 권리와 특권을 자랑스럽게 여긴 파리 대학교는 이를 유지하기 위해 강력하게 싸웠다. 이는 학문적 및 종교적 근거에서 탁발 수도회에 대한 오랜 투쟁으로 이어졌다. 또한, 가르침에 대한 몫을 말과 행동으로 주장한 예수회에 대한 짧은 갈등으로도 이어졌다. 대학교는 때와 필요에 따라 행정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권리를 광범위하게 사용했다. 어떤 경우에는 신학부의 비난을 공개적으로 지지하고, 고행자의 경우처럼 자체 이름으로 비난을 선언했다.

파리 대학교의 애국심은 두 번의 경우에 나타났다. 존 2세 왕의 포로 기간 동안, 파리가 파벌에 넘겨졌을 때, 대학교는 평화를 회복하려 노력했다. 루이 14세 치하에서, 스페인군이 솜 강을 건너 수도를 위협했을 때, 대학교는 왕에게 200명의 병력을 제공했고, 군대에서 복무 증명서를 제시하는 학자들에게 석사 학위를 무료로 제공했다.

2. 3. 68혁명과 그 이후

1968년 5월 혁명(68혁명)의 여파로 1970년 고등 교육 기본법(포르 법, fr)에 따라 기존의 파리 대학교는 13개의 독립된 대학으로 재편되었다. 이 과정에서 학부는 폐지되고, 응용 수학, 영미 문학 등 전문적인 연구·교육 단위인 유니테(unité, 유닛)로 대체되었다. 파리 제3 대학교(신 소르본, Sorbonne Nouvelle)는 이 법에 기초하여 1970년에 설립된 신제 대학 중 하나이다. 유니테는 한 대학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대학에 중복되어 설치되었다.[34]

1984년에는 고등 교육법이 제정되어 1968년 법의 정신을 계승하면서도 대학의 연구 진흥, 고용 정책(직업화), 사회적·문화적 불평등 완화를 강조하였다. 또한, 기존에 대학과 별개로 운영되던 그랑제콜과 같은 고등 전문 대학을 이 법의 적용 대상에 포함시켰다.

2008년에는 파리 제9 대학교(도피네)가 이탈하여 다른 대학들과 함께 PSL 연구 대학교(Université PSL)를 창설했다. 2018년 1월 1일에는 파리 제4 대학교와 파리 제6 대학교가 통합하여 소르본 대학교(Sorbonne Université)를 창설했으며, 2019년에는 파리 제5 대학교와 파리 제7 대학교가 통합하여 파리 대학교(Université de Paris)를 창설했다. 2020년 1월에는 파리 제11 대학교(파리 남)가 다른 대학들과 파리 사클레 대학교(Université Paris Saclay)를 창설했다.

2006년 초기 고용 계약 도입과 2007년 니콜라 사르코지 대통령의 개혁 방침에 반대하여 바리케이드파업이 일어나는 등, 21세기에도 학생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으며, 제1 대학은 그 거점으로 여겨진다. 2024년에는 소르본 대학교 (2018년에 제4 대학과 제6 대학이 분리 통합하여 신설)에서 팔레스타인 연대를 위한 행동이 있었다.

2. 4. 현대

1970년, 1968년 고등 교육 기본법(포르 법, fr)에 따라 현재의 대학 제도가 성립되었다. 학부는 폐지되고 응용 수학, 영미 문학 등의 전문적인 연구·교육 단위인 유니테(unité, 유닛)로 재편되었고, 파리 대학교도 1 대학구 1 대학제에서 20개 전후의 유니테로 구성된 13개의 독립된 대학교로 개편되었다.[34] 파리 제3 대학교(신 소르본, Sorbonne Nouvelle)는 이 고등 교육 기본법에 기초하여 1970년에 신제 대학 중 하나로 설립된 대학이다. 유니테는 1개 대학에 하나만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대학에 중복되어 있다.

1984년 고등 교육법이 제정되었다. 이 법은 1968년 법의 정신을 추진하는 동시에, 대학의 사명으로서 연구 진흥, 고용 정책 (직업화), 사회적·문화적 불평등 완화를 강조하고 있다. 또한, 지금까지 대학과는 별도의 체계를 이루고, 실학을 배우는 고등 전문 대학(그랑제콜) 등을 이 법의 적용 대상에 포함하고 있다.

2008년 파리 제9 대학교(도피네)가 이탈하여 다른 대학과 PSL 연구 대학교(Université PSL)를 창설했다.

2018년 1월 1일 파리 제4 대학교와 파리 제6 대학교가 통합하여 소르본 대학교(Sorbonne Université)를 창설했다.

2019년 파리 제5 대학교와 파리 제7 대학교가 이탈·통합하여 파리 대학교(Université de Paris)를 창설했다.

2020년 1월 파리 제11 대학교(파리 남)가 다른 대학과 파리 사클레 대학교(Université Paris Saclay)를 창설했다.

제1 대학은 2006년 초기 고용 계약 도입이나, 2007년 대통령 니콜라 사르코지의 개혁 방침에 반대하는 바리케이드파업이 일어나는 등, 21세기에 들어서도 학생 운동이 활발하고 그 거점으로 여겨지는 대학이다. 2024년 소르본 대학교 (2018년 제4 대학과 제6 대학 분리 통합하여 신설)에서 팔레스타인 연대를 위한 행동이 있었다.

3. 파리 대학교의 분할과 재통합

프랑스 5월 혁명 이후 1971년 1월 1일 파리 대학교는 13개의 대학교로 분할되었다.[37] 각 대학은 고유의 전문 분야를 가지고 있었으며, 학생 수는 총 336,000명에 달했다.

1970년 고등 교육 기본법(포르 법, Loi Faure프랑스어)에 따라 학부는 폐지되고, 전문적인 연구·교육 단위인 유니테(unité, 유닛)로 재편되었다.

2000년대 후반부터 이들 대학은 고등교육, 연구 연합체(Pôles de Recherche et d'Enseignement Supérieur프랑스어)로 재구성되기 시작했다.[37]

3. 1. 1970년 분할된 13개 대학

프랑스 5월 혁명 이후, 1971년 1월 1일 파리 대학교는 13개의 대학으로 분할되었다. 각 대학의 주요 학문 분야는 다음과 같다.

대학명주요 학문 분야
파리 제1대학교 (팡테옹 소르본)법학, 경제학, 인문사회과학
파리 제2대학교 (팡테옹 아사스)법학, 경제학, 정치학
파리 제3대학교 (소르본 누벨)문예학, 커뮤니케이션학, 문화경영학, 영화학
파리 제4대학교 (파리 소르본)문예학, 언어학, 음악사학
파리 제5대학교 (파리 데카르트 대학)의학, 치의학, 약학, 심리학, 사회과학
파리 제6대학교 (피에르에마리퀴리 대학)이학, 공학, 의학
파리 제7대학교 (파리 디드로)역사학, 이학, 의학, 동양어
파리 제8대학교 (벵센)철학, 예술학, 정신분석학, 심리학
파리 제9대학교 (파리-도핀)경제학, 관리학, 법학
파리 제10대학교 (낭테르)법학, 정치학, 경제학, 역사학, 지리학, 문예학, 심리학, 교육학
파리 제11대학교이학, 공학, 의학, 법학
파리 제12대학교의학, 법학, 경제학
파리 제13대학교법학, 경제학, 문예학, 의학



이후 몇몇 대학들은 통합되거나 다른 연합체에 소속되기도 하였다.


  • 파리 제4대학교와 파리 제6대학교는 2018년에 통합하여 소르본 대학교가 되었다.
  • 파리 제5대학교와 파리 제7대학교는 2019년에 통합하여 파리 대학교가 되었다.
  • 파리 제9대학교는 PSL 연구 대학교에 통합되었다.
  • 파리 제11대학교는 파리-사클레 대학교에 통합되었다.

3. 2. 2010년대 이후의 재통합

1970년 1968년 고등 교육 기본법(포르 법, Loi Faure프랑스어)에 따라 파리 대학교는 13개의 독립된 대학교로 개편되었다.[37] 2000년대 후반부터 이들 대학은 고등교육, 연구 연합체(Pôles de Recherche et d'Enseignement Supérieur프랑스어)로 재구성되기 시작했다.

2008년에는 파리 제9 대학교(도피네)가 이탈하여 다른 대학과 PSL 연구 대학교(Université PSL)를 창설했다. 2018년 1월 1일에는 파리 제4 대학교와 파리 제6 대학교가 통합하여 소르본 대학교(Sorbonne Université)를 창설했고,[37] 2019년에는 파리 제5 대학교와 파리 제7 대학교가 통합하여 파리 대학교(Université de Paris)를 창설했다.[37] 2020년 1월에는 파리 제11 대학교(파리 남)가 다른 대학과 파리 사클레 대학교(Université Paris Saclay)를 창설했다.[37]

4. 저명한 동문

신 파리 대학교의 저명한 동문으로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 인물들이 있다.

파리 대학교 또는 그 후신 13개 대학 출신 노벨상 수상자는 다음과 같다.[18][30]

수상자분야수상 연도
알베르 페르 (박사)물리학2007
알프레드 카스틀러 (이학 박사)물리학1966
가브리엘 리프만 (이학 박사)물리학1908
장 페랭 (이학 박사)물리학1926
루이 네엘 (이학 석사)물리학1970
루이 드 브로이 (이학 박사)물리학1929
마리 퀴리 (이학 박사)물리학, 화학1903, 1911
피에르 퀴리 (이학 박사)물리학1903
피에르 질 드 젠 (이학 박사)물리학1991
세르주 아로슈 (박사, 이학 박사)물리학2012
프레데리크 졸리오-퀴리 (이학 박사)화학1935
게르하르트 에르틀 (참석자)화학2007
앙리 무아상 (이학 박사)화학1906
이렌 졸리오-퀴리 (이학 박사)화학1935
야코부스 헨리쿠스 반트호프 (참석자)화학2007
앙드레 프레데릭 쿠르낭 (의학 박사)생리학·의학1956
앙드레 르보프 (의학 박사, 이학 박사)생리학·의학1965
베르트 사크만 (참석자)생리학·의학1991
샤를 니콜 (의학 박사)생리학·의학1928
샤를 리셰 (의학 박사, 이학 박사)생리학·의학1913
프랑수아 자코브 (의학 박사)생리학·의학1965
프랑수아즈 바르-시누시 (박사)생리학·의학2008
자크 모노 (이학 박사)생리학·의학1965
장 도세 (의학 박사)생리학·의학1980
뤼크 몽타니에 (의학 박사)생리학·의학2008
제라르 드브뢰 (이학 박사)경제학1983
모리스 알레 (공학 박사)경제학1988
장 티롤 (박사)경제학2014
알베르트 슈바이처 (박사)평화1952
샤를 알베르 고바 (참석자)평화1902
페르디낭 뷔isson (문학 박사)평화1927
레옹 부르주아 (법학 박사)평화1920
루이 르노 (법학자) (법학 박사)평화1907
르네 카생 (법학 박사)평화1968
요르고스 세페리스 (법학 학사)문학1963
앙리 베르그송 (문학 학사)문학1927
장-폴 사르트르 (문학 학사)문학1964
파트리크 모디아노 (참석자)문학2014
로맹 롤랑 (문학 박사)문학1915
T.S. 엘리엇 (참석자)문학1979

4. 1. 학자 및 사상가

알프레드 카스틀러


파리 대학교 또는 그 후신인 13개 대학과 관련된 노벨상 수상자는 다음과 같다.

수상자분야수상 연도
조지 스무트 (교수)물리학2006년
가브리엘 리프만 (교수)물리학1908년
장 페랭 (교수)물리학1926년
루이 드 브로이 (교수)물리학1929년
마리 퀴리[18] (교수)물리학, 화학1903년, 1911년
알프레드 카스틀러 (연구원)물리학1966년
앙리 모아상 (교수)화학1906년
이렌 졸리오 퀴리 (교수)화학1935년
페터 데바이[31] (객원 강사)화학1936년
샤를 리셰 (교수)생리학·의학1913년
쥘 보르데 (연구원)생리학·의학1919년
로저 기유맹 (연구원)생리학·의학1977년
장 도세 (교수)생리학·의학1980년
루이 르노 (법학자) (교수)평화1907년
T.S. 엘리엇[32] (방문객)문학1948년

4. 2. 정치인 및 지도자

4. 3. 과학자

4. 4. 예술가 및 작가

토마스 아퀴나스


드니 디드로

  • 카를로스 알바라도-라로, 작가
  • 장-피에르 티올레, 프랑스 작가
  • 에디스 필립스, 미국 작가 및 교육자
  • 압델케비르 카티비, 모로코 문학 평론가, 소설가, 철학자, 극작가, 시인
  • 무하마드 샤히둘라, 벵골어 언어학자, 교육자, 사회 개혁가
  • 라파엘 아르마토에, 가나 의사, 정치인, 시인, 작가

참조

[1] 서적 Records of The Tercentenary Festival of Dublin University Hodges, Figgis & Co. 1894
[2] 문서 The Rise of Universities Henry Holt and Company 1923
[3] 웹사이트 Sorbonne facts https://www.parisdig[...] Paris Digest 2018
[4] 서적 The School of The French Revolution : A Documentary History of the College of Louis-le-Grand and its Director, Jean-François Champagne, 1762–1814 Princeton Legacy Library
[5] 웹사이트 Histoire de l'université https://www.pantheon[...] 2024-01-16
[6] 웹사이트 La Chancellerie des universités de Paris a 50 ans. https://www.ac-paris[...] 2024-10-17
[7] 웹사이트 §1. The University of Paris. X. English Scholars of Paris and Franciscans of Oxford. Vol. 1. From the Beginnings to the Cycles of Romance. The Cambridge History of English and American Literature: An Encyclopedia in Eighteen Volumes. 1907–1921 https://www.bartleby[...] 2020-03-23
[8] 웹사이트 Sorbonne University – the University of Paris https://www.sorbonne[...] 2016-06-18
[9] 서적 Warriors of the Cloisters: The Central Asian Origins of Science in the Medieval World.. https://princeton.u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0] 웹사이트 Miscellanea Scotica: Memoirs of the ancient alliance between France and Scotland. Account of the Earl of Glencairn's expedition into the Highlands of Scotland, in the years 1653-4, written by Graham of Deuchrie. Life and death of King James the Fifth of Scotland. Buchanan's inquiry into the genealogy and present state of ancient Scottish surnames; with the history of the family of Buchanan. Monro's (High Dean of the Isles) genealogies of the clans of the isles https://books.google[...] sold 2018-01-21
[11] 웹사이트 Historical Tales of the Wars of Scotland, and of the Border Raids, Forays, and Conflicts https://books.google[...] Fullarton 2018-01-21
[12] 문서 « Picard » et « Picardie », espace linguistique et structures sociopolitiques http://www.u-picardi[...] 2008-12-17
[13] 서적 Cultural transfers in dispute: representations in Asia, Europe, and the Arab world since the Middle Ages Campus 2011
[14] 문서 La Sorbonne au service des Humanités: 750 ans de création et de transmission du savoir Presses Universitaires de Paris-Sorbonne 2007
[15] 서적 Student Revolt, City, and Society in Europe: From the Middle Ages to the Present Routledge 2021-02-05
[16] 서적 The university in ruins Harvard University Press 1996
[17] 서적 Postructuralism, philosophy, pedagogy Kluwer academic 2004
[18] 서적 Mai - juin 68 Ed. de l'Atelier 2008
[19] 서적 Mai 68 raconté à ceux qui ne l'ont pas vécu Seuil 2008
[20] 서적 1968: year of media decision Transaction Publishers 2001
[21] 문서 Berstein
[22] 법률 no 68-978 Berstein 1968-11-12
[23] 문서 Conac
[24] 뉴스 " Sorbonne Université " : Pierre-et-Marie-Curie et Paris-Sorbonne en route vers la fusion https://www.lemonde.[...] 2020-12-09
[25] 웹사이트 Les universités Descartes et Diderot fusionnent au sein de "l'Université de Paris" https://etudiant.lef[...] 2019-03-21
[26] 웹사이트 ACADÉMIE DE PARIS https://www.educatio[...] 2024-02-28
[27] 서적 The Biographical Dictionary of Women in Science: L-Z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8] 웹사이트 NOUS BAYROU • Jean Peyrelevade sur son soutien à Hollande :... http://nousbayrou.tu[...] 2020-03-23
[29] 웹사이트 M. Michel Sapin : Assemblée Nationale http://www.assemblee[...] 2016-11-13
[30] 웹사이트 Marie Curie – Facts https://www.nobelpri[...] 2016-11-10
[31] 서적 Great solid state physicists of the 20th century World Scientific 2003
[32] 웹사이트 T. S. (Thomas Stearns) Eliot: An Inventory of His Collection in the Manuscript Collection at the Harry Ransom Humanities Research Center http://norman.hrc.ut[...] 2016-11-06
[33] 뉴스 Organisation, Mission - Rectorat et Chancellerie des Universités de Paris http://www.sorbonne.[...] 2018-10-22
[34] 문서 중세부터 1793년까지의 구제 파리 대학
[35] 문서 파리 5구 판테온 광장과 파리 6구 아사스 거리에 교사가 있기 때문에 명명
[36] 문서 파리 대학교의 부속교 (나이시 [[학료]], [[칼리지]])는 [[프랑스 혁명]]기까지 현재의 [[리세 루이 르 그랑]]이나, 1999년까지 존속한 콜레주 상트 바르브 ([[:fr:Collège Sainte-Barbe (Paris)|fr]]) 도 포함해 수십 있었지만, 동 캐틀 나시옹교는 철학자나 [[계몽사상가]] 등이 자란 [[얀센주의]]계의 학교로 [[쥘 마자랭]]이 설립에 관여한 학교. 콜레주 드 마자랭이라고도 칭함.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에 의해 현재까지 [[프랑스 학사원]]이 교사를 이용. 또한, 다른 동교 출신자는 상기 [[앙투안 라부아지에]](동교에서 파리 대학교로)나 [[장 르 롱 달랑베르]](동교에서 파리 대학교에서 문학이나 법학 등을 배움) 등이 있다.
[37] 문서 현재 어떠한 법적 지위도 갖고 있지 않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