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주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취주악은 관악기와 타악기를 중심으로 편성된 악기 앙상블을 의미하며,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시작되어 로마 시대를 거쳐 유럽에서 발전했다. 17세기에는 독일과 프랑스에서 예술 음악에 영향을 미쳤으며, 프랑스 혁명 이후 대규모 편성으로 변화했다. 미국에서는 존 필립 수자 밴드의 설립과 윌리엄 레벨리의 클라리넷 중심 편성을 통해 민간으로 확산되었고, 20세기에는 윈드 앙상블과 브라스 밴드 등 다양한 형태의 악단이 등장했다.
취주악은 군악대와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행진곡과 같은 웅장하고 과감한 성향의 음악을 연주하는 것이 특징이다. 오늘날에는 클래식, 팝, 재즈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용되며, 윈드 오케스트라, 팡파르 밴드 등 다양한 형태의 악단이 존재한다. 한국은 일본의 영향을 받아 취주악이 시작되었으며, 현재는 중고생 부활동에서 인기가 높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취주악 |
---|
2. 역사
인류의 역사가 시작된 이래 뼈, 뿔, 돌, 초목, 점토 등 다양한 소재를 사용한 관악기가 만들어졌다. 취주악은 세계 각지에서 고대 사회부터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지만, 현악기를 배제하고 관악기 위주로 편성하는 것은 군악대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대열로 서서 연주하고 큰 음량을 낼 수 있어 야외를 비롯해 어디서든 연주하기에 적합했기 때문이다.
2. 1. 원시·고대

인류의 역사가 시작된 이래 뼈, 뿔, 돌, 초목, 점토 등 다양한 소재를 사용한 관악기가 만들어졌다.[37][38] 독일에서는 35,000년 전의 오리냐크 문화에 속하는 상아와 구세계독수리 뼈로 만든 플루트가 발견되었다. 일본에서는 조몬 시대의 유적에서 흙피리가 다수 발견되었으며 북의 존재 가능성도 거론되었다. 기원전 2500년경의 고대 메소포타미아 수메르 부조 조각에는 타악기가 묘사되어 있어 타악기의 역사도 오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쐐기 문자 기록에는 당시 메소포타미아인들이 음계의 존재를 알고 있었음도 알 수 있다.[39]
고대 이집트 신왕국 시대 벽화에 나팔 취주가 묘사되어 있으며 파라오 투탕카멘의 무덤에선 직관형 나팔이 출토되었다. 또한 신왕국 시대 벽화에선 오늘날의 콘서트 플루트, 클라리넷, 트럼펫, 하프, 류트, 캐스터네츠, 시스트룸, 심벌즈, 북, 탬버린에 상당하는 악기가 그려져 있다. 이러한 관악기는 신호나 의식에서 음향 효과를 담당하며 군대에서도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고대 이스라엘 왕국의 다윗이나 솔로몬의 궁정에서는 이스라엘 음악이 번성해 북이나 심벌즈를 이용한 무도회가 열렸다. 이스라엘에서도 나팔, 뿔피리, 오보에 등의 악기를 즐겼다고 알려져 있다.[39]
고대 로마에서도 큰 행사나 중요한 의식 때 Tuba, Buccina, Cornu[40] 등 현재의 금관악기와 유사한 다양한 나팔을 군악대에서 사용했다. 로마 공화국 음악은 고대 그리스나 동방에 영향을 주었다고 하며[39]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저술한 『갈리아 전기』에도 카이사르가 전쟁 때 나팔을 불었다고 기록했다. 로마 제국도 관악기와 타악기로 편성된 군악대가 있었다.
2. 2. 중세·근세


중세 유럽은 기독교 음악의 영향으로 성악이 유행했지만, 세속 음악에선 리코더가 자주 이용되었다.[39] 11세기 이후 유럽에선 고음부터 저음까지 모두 갖춘 목관악기 파이프, 백파이프, 드럼으로 구성된 악단이 등장하기 시작했다.[39]
1095년 클레르몽 공의회 이후 유럽의 기독교 세계는 수차례에 걸쳐 이슬람 세계에 십자군을 파견했는데, 이 과정에서 터키인의 군악대와 만나게 되었다. 이것이 오늘날 취주악의 기원으로 알려져 있다. 큰 소리가 나는 주르나는 오늘날 오보에나 바순의 기원이 되었고, 긴 관을 가진 Boru는 트럼펫의 원형이 되었다. 말의 몸 양옆에 매달아 연주하던 냄비 모양의 북 Naqquara, Kuvruk, Zill도 각각 오늘날 팀파니, 큰북, 심벌즈가 되었다. 취주악은 세계 각지에서 고대 사회부터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지만, 현악기를 배제하고 관악기 위주로 편성하는 것은 군악대와 밀접한 연관을 가진다. 대열로 서서 연주하고 큰 음량을 낼 수 있어 야외를 비롯해 어디서든 연주하기에 적합하기에 관악기가 군악대에 잘 들어맞았던 것이다.
14세기 이후 유럽은 오스만 제국과 몇 번 교전했는데, 이때 오스만은 병사의 사기를 고무하면서 적을 위협하고 적의 전의를 깎기 위해 메흐테르를 조직했는데 이것이 군악대였다.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가 함락되고 발칸반도에 오스만이 진출하자 유럽은 큰 충격을 받았는데, 이 과정에서 메흐테르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여 군악대를 정비하게 되었다.
르네상스 시대 유럽의 군악대는 고대 그리스나 로마와 달리 북 치는 사람을 고용했는데, 이는 오스만의 영향이었다. 16세기 초 그림 중에는 신성 로마 제국의 막시밀리안 1세가 이끄는 기마 군악대의 위용이 묘사된 것이 있는데, 터키의 영향을 받은 악기와 황제를 시종하는 고적 기마대가 그려져 있었다. 1549년 Fourquevaux는 자신의 저서에서 3,000~6,000명의 보병에 대해 북 치는 사람 2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으며, 16세기 말 프랑스 성직자 Jehan Tabourot는 북 치는 사람은 야영의 철수, 행군, 철퇴, 돌격 고양, 방어 신호, 경보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했다고 말했다.
17세기 이후 유럽에서 군악대는 체계적으로 정비되어갔다. 잉글랜드 내전 당시 왕당파와 의회파 양측은 모두 프로파간다를 가사로 한 행진곡을 군악대가 합주했는데, 이는 음악 전쟁이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치열했다. 찰스 2세는 왕정복고 후에 오보에 밴드를 편성했으며,[39] 춤과 악기에 능했던 프랑스의 루이 14세도 터키의 메흐테르를 모범으로 삼아 오보에 밴드를 편성했다. 독일 역시 18세기 초부터 진행곡의 수요가 높아졌다.
이 군악대에서 발전한 것이 취주악인데, 일반 사람들로도 퍼져나갔다. 결혼식이나 장례식과 같은 의례, 축제나 연회 등에서 음악이 필요했는데, 축음기가 없던 시절이었기에 직접 연주를 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악곡 면에선 르네상스 음악 시기에 코르넷,[41] 트롬본 등의 관악기를 이용한 응답 가창 대위법 음악이 베네치아의 산마르코 대성당을 거점으로 연주되기 시작했다. 산마르코 대성당은 관악기 중심의 편성이 이루어진 주요 요인 중 하나로, 훗날 베네치아 악파가 형성되게 된다. 중심 인물 중 한 명이었던 조반니 가브리엘리의 작품은 오늘날에도 금관 앙상블에서 자주 연주되고 있다.
라이프치히와 같은 독일의 자치 도시에서는 교회나 왕실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시민 음악가가 등장했다. 16세기에는 길드에서 유래한 Stadtpfeifer라 불리는 음악가들이 활동했으며, 시청사의 탑에서 코르넷과 트롬본 등 관악기를 연주하여 시민들에게 음악을 제공했다. 17세기 요한 크리스토프 페첼은 이를 위한 작품도 남겼다. 다른 나라에서도 Alta, Pifferi, Waits 등으로 불리는 악단이 존재했다. 당시의 관악기를 중심으로 한 악곡은 식전 등 야외에서 주로 이용되었지만, 리코더 등 사용하는 악기에 따라 실내에서 즐길 수 있는 편성도 있었다.

18세기 유럽에선 현대 취주악 합주의 전형이라 할 수 있는 연주 형태가 생겨나기 시작했다. 궁정 악사가 군주 등을 위해 야외에서 연주하는 세레나데가 대표적인데, 이는 오보에, 클라리넷, 바순, 호른이 각각 2개씩으로 구성된 간단한 관악기 합주였다. 작곡가 요제프 하이든과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도 이런 종류의 편성을 위해 세레나데나 디베르티멘토를 많이 남겼다. 프로이센 왕국의 대표적인 계몽 군주 프리드리히 2세는 1763년에 팔중주 편성을 채용한 악대를 프로이센군 각 연대에 배속시켰다. 이것이 근대 군악대의 시초가 되었으며, 조지 3세와 루이 15세에 의해 영국군과 프랑스군에도 군악대가 정비되었다.[39]
18세기 말에는 각종 관악기의 발명과 개량이 진행되어 콘서트 플루트, 트럼펫, 트롬본 등이 추가되었고, 오스만 제국 군악대의 영향을 받아 심벌즈, 탬버린, 트라이앵글과 각종 북 종류가 도입되어 갈수록 규모가 커졌다. 1800년경에는 터키 행진곡과 같은 터키풍의 군악이 유럽에서 유행했는데, 모차르트나 루트비히 판 베토벤이 작곡한 터키 행진곡도 터키의 영향을 받았다. 독립 전쟁 이후 독립한 미국은 매사추세츠 밴드가 1783년 1월 최초로 연주회를 열었다.[42][39]
2. 3. 근대·현대

1789년 프랑스 혁명으로 부르봉가 궁정 악사들이 실직했으나, 공화국 정부는 혁명 정신 전파를 위해 야외에서 큰 소리를 낼 수 있는 국민군악대를 조직, 악사들을 모았다. 1790년 바스티유 습격 1주년 기념 가두 퍼레이드에는 300개 북과 350개 관악기로 구성된 악대가 동원되었다.[41] 이후 45명 편성 근위병 밴드가 결성되었고, 1792년 국립군악 아카데미가 설립되었다.[41] 1795년 국민공회는 파리 음악원을 개설, 프랑수아조제프 고세크 등 음악인들이 혁명 찬가와 군가를 만들었다.[42][43]
프랑스 제1제국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는 국민군악대에 피콜로, 트롬본 등을 추가했고, 7월 왕정 시기인 1845년에는 색소폰이 채용되었다. 1848년 12명으로 구성된 트럼펫대인 Garde de Paris가 편성, 현재 공화국 수비대 취주악단으로 발전했다.
산업 혁명 이후 18세기 말~19세기 유럽에서는 국가적 요구로 관악기 개발이 활발했다. 뵘식 플루트 등 목관악기와 금관악기가 크게 발달했다. 남독일과 오스트리아 중심 관악기 합주는 궁중 실내 음악으로 발전했는데, 이는 기술과 악기 진보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세레나데, 디베르티멘트도 독일 상류 계급 실내 음악 유행에 부응한 것이다.

프로이센 왕국 출신 빌헬름 비프레흐트는 밸브 시스템을 연구, 금관악기 연주 능력을 크게 향상시켰다. 벨기에 출신 악기 제작자 아돌프 삭스는 코르넷, 튜바, 플루겔호른, 유포니움, 바그너 튜바 등 다양한 악기를 개발했다.[42]
금관악기 발명은 한 손으로, 승마나 행진 중에도 연주 가능하게 하여 군악대 악기로 사용되기 시작했다.[41] 19세기 중엽 유럽 국가 대부분은 비슷한 편제를 갖게 되었고, 막말 일본이 프랑스, 네덜란드, 영국, 독일 등에서 군악 지도를 받을 때 국가 간 차이는 거의 없었다.[41]
군악대와 함께 발전한 취주악은 사기 고양, 장병 단결을 위해 웅장하고 과감한 성향이 필연적이었고, 이는 다른 음악과 다른 모습을 가지게 했다. 낭만주의 시대 19세기 중엽 유럽은 분쟁과 혁명으로 점철된 시대였다. 1848년 혁명, 리소르지멘토는 『라데츠키 행진곡』을, 미국 남북 전쟁은 『워싱턴 그레이스』를 탄생시켰다.[43]

현대 군대는 징병제, 군사 퍼레이드로 일반인에게 친숙해졌고, 군악대도 다수 금관악기 중심 화려한 음향을 추구했다.[43] 프랑스는 군악대 출신 파리 음악원 교수 등 예술성, 기술적 세련함 추구 전통을 간직하고 있다. 낭만주의 음악 거장 엑토르 베를리오즈도 군악대 연주용 작품을 남겼다. 복잡한 선율을 빠르게 연주 가능한 금관악기 등장으로 베를리오즈 외 리하르트 바그너, 주세페 베르디 곡도 애호되었고, 금관악기 사용 악곡이 많아졌다.[41]
독일, 프랑스 중심 관악 합주는 영국에 전해져 군악대를 충실하게 했고, 민간 브라스 밴드를 만들었다. 영국은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북아일랜드, 웨일스 등 각 컨트리 군악대가 있고, 각지 전승 민요가 더해져 지역색이 풍부하다. 19세기 이후 영국 민간에서는 노동계급 간 금관악기, 타악기 구성 악단인 브라스 밴드가 결성, 콘테스트를 거치며 편성이 획일화되었다.[43]
1996년 영국 영화 「브래스드 오프」로 유명해진 Grimethorpe Colliery Band 등은 청중 대상 음악보다는 즐길거리 부족 탄광 등에서 연주하며 즐기는 자족적 요소를 가졌다. 빅토리아 시대, 특히 19세기 말 영국 상류층은 건전한 오락을 노동자에게 부여하면 미덕을 기르고 자본주의 불만을 해소할 수 있다는 개혁적 사회주의 사상으로 취주악 활동을 지원했다.[41] 자본가도 악기 구입 자금 지원으로 아마추어 밴드 육성을 도왔다. 1840년대 아마추어 음악가용 악보 잡지가 간행되었고, 1860년대 밴드 간 연계가 긴밀해졌다. 콘테스트도 활발히 열려 19세기 말 전국 3만~4만 밴드가 있었다.[41]
브라스 밴드는 제국주의와 함께 세계 각지로 퍼졌고, 유럽 음악과 지역 음악 혼합이 자주 보였다. 토착 노래가 취주악으로 연주되거나, 전통 악기 서양 음계 연주 개량 작업도 이루어졌다. 네팔, 인도, 발칸 국가 결혼식, 필리핀, 수리남, 가나 장례식, 볼리비아, 멕시코 종교 의식 등 유럽 외 지역에서도 취주악이 자리잡고 밴드 시장이 발생했다. 그러나 취주악 전파는 식민지 권력 계몽 의향에서 벗어나기도 했다. 가나에서는 브라스 밴드가 풍기 문란 이유로 기독교 단죄, 당국 탄압으로 지하 활동을 하기도 했다.

영국식 브라스 밴드는 미국에도 영향을 미쳤다. 군악대 연주 제한, 민간 단체 위주 군 활동으로 패트릭 사스필드 길모어 보스턴 취주악단 시작, 학교 등 사설 취주악단 등장, 새로운 지도법 개발로 19세기 후반~20세기 취주악이 크게 융성했다.[42][43] 야외 연주 중심 취주악이 연주회장 대규모 편성으로 관현악 연주 효과를 보이면서, 취주악은 하나의 장르로 인정받았고, 존 필립 수자 등 취주악 전문 작곡가들이 배출되었다. 미국 해병대 군악대장 출신 수자는 1892년 퇴역 후 수자 취주악단을 결성, 전국 순회 연주를 했다. 이후 유럽, 세계 무대 연주 활동은 대중을 위한 것이었다.

미국에서는 대학 중심 80~100명 규모 심포닉 밴드, 소규모 콘서트 밴드, 윈드 오케스트라가 편성되었다.[42] 미시간 대학 윌리엄 레벨리는 1942년 '작은 목관악기 앙상블'을 만들어 현대 취주악 클라리넷 중심 편성 효시가 되었다. 현대 취주악에서 클라리넷은 오케스트라 바이올린 역할, 고음, 빠른 악절에 주로 사용된다.
1952년 프레데릭 페넬 창시 윈드 앙상블은 관악기 각 파트 1인 분담 원칙, 엄격한 개념, 독자적 약속, 근거를 가지며, 멤버 전원 높은 솔리스트 자질을 요구한다.
미국 영향은 세계로 퍼졌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군 편성 변화, 녹음·재생 장치 발전으로 군악대 사명 저하, 취주악 군악대 색이 옅어졌다. 취주악은 오케스트라 대비 트럼펫 멜로디 악기 활약, 색소폰, 유포니움 큰 활약이 특징이다. 초심자 쉬운 참가, 악기별 균등 편성, 연주 기회 보장으로 대중성이 뛰어나다.

1970년대 이후 대중음악에서 취주악, 브라스 밴드 재조명 움직임이 있었다.[41] 라이 쿠더, 더 밴드 등 옛 아메리카 음악 부흥 시도, 록에 브라스 밴드 접목, 뉴올리언스 흑인 커뮤니티 발생 더티 더즌 브라스 밴드(Dirty Dozen Brass Band)는 전통 재즈 밴드 분위기, 펑크, 솔 음악 등 다양한 요소 수용, 뉴올리언스 퍼레이드 습관 영향, 세컨드 라인(Second Line) 브라스 밴드 결성 계기가 되었다.[41] 시카고에서는 재즈 영역에서 아트 앙상블 오브 시카고가 다악기주의를 표방했다.[41]
현재 영국 해피 엔드·마이크 웨스트브룩, 네덜란드 빌럼 브뢰커르, 일본 BLACK BOTTOM BRASS BAND 등 다양한 스타일 금관 밴드가 존재한다.[41]
공산주의 정권 불가리아에서 결혼식, 출정식 연주 공간 활용 민간 브라스 밴드는 오스만 제국 유산으로 냉대받았으나, 1980년대 말 Ivo Papazov 노력으로 결혼식 밴드가 불가리아 각지에 나타났다.
군악대, 콘서트용 악단 외 클래식, 팝, 재즈 등 대중음악 장르 다양한 취주악단이 서양, 주변 지역에 병존하고 있다.[41] 취주악 오리지널 작품은 미국, 일본 작곡가 중심이나, 최근 유럽 작곡가 작품도 늘고 있다.
2. 4. 한국의 취주악
일본에서 취주악의 역사는 1869년에 사쓰마 번이 번사 중에서 선발하여 영국인 존 윌리엄 펜턴의 지도를 받아 사쓰마 밴드(사쓰마 번 군악대)를 결성하면서 시작되었다. 이는 사쓰마 번주 시마즈 히사미쓰가 군대의 서양화를 목표로 영국의 군악대를 본뜬 것이다. 이 밴드의 멤버들은 폐번치현 이후 육군과 해군에 창설된 군악대의 핵심이 되었다. 군악대의 소리가 처음으로 울려 퍼진 것은 1853년에 매튜 페리가 우라가에 왔을 때라고 한다.[1]당시 연주회는 군악대가 담당했으며, 이를 통해 많은 곡을 소개했다. 다이쇼 시대에는 학교 음악에도 취주악이 도입되었고, 백화점, 유원지 등에는 소년 음악대가 생겨났다. 또한 민간 취주악단이 조직되어 일반 시민에게 퍼져나갔다.
1939년에는 대일본취주악연맹(현재의 일반 사단법인 전일본취주악연맹)이 발족했다.[8][9] 1940년부터는 전일본취주악콩쿠르가 매년 개최되었고, 연주회도 많이 열리게 되었다.[8]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될 무렵부터 취주악은 전의 고양이나 국위 선양을 위해 이용되면서 성행했다.[8]
제2차 세계 대전 후에는 연주 기회를 잃었지만, 청소년 교육에서 음악이 갖는 의의가 재검토되면서 다시 학교에서 채택되었다. 새로운 학교 음악 교육이 창가 교육에서 기악 교육으로 옮겨지면서 취주악단의 수도 늘어나고 연주 기술도 향상되었다. 1961년 11월에는 프랑스의 가르드 레퓌블리케 취주악단이 처음으로 일본을 방문하여 연주회를 개최하여 당시 청중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1967년에는 공익 사단법인 일본 취주악 지도자 협회가 설립되었다.
현재는 중고생의 부활동 인기 순위 베스트 5에 들어갈 정도로[10], 아이들부터 관계를 갖는 것이 늘어나고 있다.
3. 악곡
엄밀한 편성은 정해져 있지 않다. 18세기 말 프랑수아조제프 고세크, 샤를 시몽 카텔이 몇 곡의 서곡을 만들었으며 19세기 말 엑토르 베를리오즈, 자코모 마이어베어, 리하르트 바그너, 카미유 생상스도 취주악곡을 만들었다.[5]
20세기에는 미국과 영국을 중심으로 많은 작품이 발표되었는데 구스타브 홀스트, 퍼시 그레인저, 레이프 본 윌리엄스, 플로랑 슈미트 등이 주요 작곡가들이다.[5]
대규모 관악 앙상블이나 오케스트라의 관·타악기 섹션을 상정하여 쓰여진 곡도 취주악곡으로 취급하는 경우가 있는데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세레나데,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의 관악기를 위한 교향곡, 조셉 슈원트너의 곡군, 크시슈토프 펜데레츠키의 피츠버그 서곡 등이 대표적이다.[5]
옛날에는 관현악곡이 자주 연주되었지만 지금은 취주악곡도 많이 연주되고 있다. 곡의 종류로는 교향곡, 교향시, 조곡, 서곡, 현대음악 등 다양하게 퍼져 있다. 행진곡도 자주 언급되는 취주악곡의 종류인데 미국의 존 필립 수자, 영국의 케네스 앨퍼드, 독일의 칼 타이케 등의 작품이 유명하다.[5]
작곡가 | 주요 작품 | |||||||||||||||||||||||||||||||||||||||||||||||||||||||||||||||||||||||||||||||||||||||||||||
---|---|---|---|---|---|---|---|---|---|---|---|---|---|---|---|---|---|---|---|---|---|---|---|---|---|---|---|---|---|---|---|---|---|---|---|---|---|---|---|---|---|---|---|---|---|---|---|---|---|---|---|---|---|---|---|---|---|---|---|---|---|---|---|---|---|---|---|---|---|---|---|---|---|---|---|---|---|---|---|---|---|---|---|---|---|---|---|---|---|---|---|---|---|---|
아담 고브 | 어웨이 데이, 메트로폴리스, 아드레날린 시티, 이디시 댄스 등 | |||||||||||||||||||||||||||||||||||||||||||||||||||||||||||||||||||||||||||||||||||||||||||||
아르튀르 오네게르 | 바스티유로의 행진 등 | |||||||||||||||||||||||||||||||||||||||||||||||||||||||||||||||||||||||||||||||||||||||||||||
Albert Häberling|알베르트 하베링de | 우스터 조곡 등 | |||||||||||||||||||||||||||||||||||||||||||||||||||||||||||||||||||||||||||||||||||||||||||||
알프레드 리드 | 아르메니안 댄스(파트 1・파트 2), 예루살렘 찬가, 오셀로, 법화경에서 세 개의 계시, 음악제의 프렐류드, 사스캐처원 산, 봄의 사냥개, 러시아 크리스마스 음악 등 | |||||||||||||||||||||||||||||||||||||||||||||||||||||||||||||||||||||||||||||||||||||||||||||
이다 고트코프스키 | 봄의 교향곡, 찬란한 교향곡, 숲의 노래, 불꽃의 시 등 | |||||||||||||||||||||||||||||||||||||||||||||||||||||||||||||||||||||||||||||||||||||||||||||
바츠라프 네리벨 | 교향적 단장, 페스티보, 세상의 종말을 향한 행진 등 | |||||||||||||||||||||||||||||||||||||||||||||||||||||||||||||||||||||||||||||||||||||||||||||
비토리오 잔니니 | 교향곡 제3번, 변주곡과 푸가 등 | |||||||||||||||||||||||||||||||||||||||||||||||||||||||||||||||||||||||||||||||||||||||||||||
윌리엄 슈먼 | 조지 워싱턴 브리지, 뉴잉글랜드 삼부작 등 | |||||||||||||||||||||||||||||||||||||||||||||||||||||||||||||||||||||||||||||||||||||||||||||
윌리엄 힐 | 세인트 앤서니 변주곡 등 | |||||||||||||||||||||||||||||||||||||||||||||||||||||||||||||||||||||||||||||||||||||||||||||
윌리엄 프란시스 맥베스 | 마스크, 뱃사람과 고래, 칸토 등 | |||||||||||||||||||||||||||||||||||||||||||||||||||||||||||||||||||||||||||||||||||||||||||||
빈센트 페르시케티 | 교향곡 제6번, 취주악을 위한 시편 등 | |||||||||||||||||||||||||||||||||||||||||||||||||||||||||||||||||||||||||||||||||||||||||||||
워렌 벤슨 | 낙엽, 무곡-추억 등 | |||||||||||||||||||||||||||||||||||||||||||||||||||||||||||||||||||||||||||||||||||||||||||||
에드워드 그렉슨 | 왕은 계승되어 가다, 검과 왕관, 페스티보 등 | |||||||||||||||||||||||||||||||||||||||||||||||||||||||||||||||||||||||||||||||||||||||||||||
Elliot del Borgo|엘리엇 델=보르고de | 심포닉 스케치, 고대의 노래와 춤 등 | |||||||||||||||||||||||||||||||||||||||||||||||||||||||||||||||||||||||||||||||||||||||||||||
에릭 휘태커 | 고스트 트레인, 라스베이거스를 먹어치우는 고질라, 클라우드버스트, October (Whitacre)|옥토버영어, Sleep (choral song)|슬립영어 등 | |||||||||||||||||||||||||||||||||||||||||||||||||||||||||||||||||||||||||||||||||||||||||||||
오토 M. 슈바르츠 | 노스트라다무스, 포 더 넥스트 사우전드, 몽블랑 등 | |||||||||||||||||||||||||||||||||||||||||||||||||||||||||||||||||||||||||||||||||||||||||||||
Carter Pann|카터 폰nl | 슬라롬 등 | |||||||||||||||||||||||||||||||||||||||||||||||||||||||||||||||||||||||||||||||||||||||||||||
카를 타이케 | 구우 등 | |||||||||||||||||||||||||||||||||||||||||||||||||||||||||||||||||||||||||||||||||||||||||||||
카를 프란카이자 | 히코리 힐, 종루로부터의 전망 등 | |||||||||||||||||||||||||||||||||||||||||||||||||||||||||||||||||||||||||||||||||||||||||||||
키스 플랙 | 이스라엘의 인사, 킬케니 광시곡, 파리로의 야간 비행 등 | |||||||||||||||||||||||||||||||||||||||||||||||||||||||||||||||||||||||||||||||||||||||||||||
구스타프 홀스트 | 취주악을 위한 제1조곡・제2조곡 등 | |||||||||||||||||||||||||||||||||||||||||||||||||||||||||||||||||||||||||||||||||||||||||||||
클리프턴 윌리엄스 | 팡파르와 알레그로, 교향 조곡, 심포닉 댄스 제3번 "피에스타" 등 | |||||||||||||||||||||||||||||||||||||||||||||||||||||||||||||||||||||||||||||||||||||||||||||
클로드 토마스 스미스 | 페스티벌 변주곡, 화려한 무곡, 루이 부르주아의 찬가에 의한 변주곡 등 | |||||||||||||||||||||||||||||||||||||||||||||||||||||||||||||||||||||||||||||||||||||||||||||
Samuel Hazo|사무엘 R. 헤이조영어 | 일본 민요에 의한 환상곡〜"모래산"의 주제에 의한, 라이드! 등 | |||||||||||||||||||||||||||||||||||||||||||||||||||||||||||||||||||||||||||||||||||||||||||||
시저 조반니니 | 코랄과 카프리치오 등 | |||||||||||||||||||||||||||||||||||||||||||||||||||||||||||||||||||||||||||||||||||||||||||||
제임스 카나우 | 환희의 날개, 환희("우리들의 신은 굳건한 요새"에 의한 환상곡), 론 스타 셀러브레이션 등 | |||||||||||||||||||||||||||||||||||||||||||||||||||||||||||||||||||||||||||||||||||||||||||||
제임스 스웨어린젠 | 센추리아, 광시곡 노베나, 인빅타 서곡, 로마네스크, 시게이트 서곡, 영광의 모든 것에 등 | |||||||||||||||||||||||||||||||||||||||||||||||||||||||||||||||||||||||||||||||||||||||||||||
제임스 번스 | 기도와 토카타, 파가니니의 주제에 의한 환상 변주곡, 애팔래치안 서곡, 알바마 서곡, 시적 간주곡, 교향곡 제2번, 제3번, 제5번 "피닉스", 교향곡 제9번 등 | |||||||||||||||||||||||||||||||||||||||||||||||||||||||||||||||||||||||||||||||||||||||||||||
짐 앤디 코디르 | 취주악을 위한 민화 등 | |||||||||||||||||||||||||||||||||||||||||||||||||||||||||||||||||||||||||||||||||||||||||||||
Jack Stamp|잭 스탬프영어 | 건배!, 클라우드스플리터 팡파르, 신시대에의 팡파르, 반다싱, 벨트 웨이 잼 등 | |||||||||||||||||||||||||||||||||||||||||||||||||||||||||||||||||||||||||||||||||||||||||||||
샤를 르루 | 육군 분열 행진곡 | |||||||||||||||||||||||||||||||||||||||||||||||||||||||||||||||||||||||||||||||||||||||||||||
조셉 올리바도티 | 장미의 사육제, 이시타의 개선 등 | |||||||||||||||||||||||||||||||||||||||||||||||||||||||||||||||||||||||||||||||||||||||||||||
조셉 슈반트너 | …그리고 어디에도 산의 모습은 없다, 암흑의 천년대, 황혼의 정적에서, 리코일〜윈드 앙상블을 위해〜 등 | |||||||||||||||||||||||||||||||||||||||||||||||||||||||||||||||||||||||||||||||||||||||||||||
Joseph T. Spaniola|조제프 T. 스파뇰라nl | 에스케이페이드 등 | |||||||||||||||||||||||||||||||||||||||||||||||||||||||||||||||||||||||||||||||||||||||||||||
존 반스 챈스 | 조선 민요의 주제에 의한 변주곡, 주문과 춤 등 | |||||||||||||||||||||||||||||||||||||||||||||||||||||||||||||||||||||||||||||||||||||||||||||
존 필립 수자 | 성조기여 영원하라, 워싱턴 포스트, 미중미 등 | |||||||||||||||||||||||||||||||||||||||||||||||||||||||||||||||||||||||||||||||||||||||||||||
존 매키 | 레드라인 탱고, 사스파릴라 등 | |||||||||||||||||||||||||||||||||||||||||||||||||||||||||||||||||||||||||||||||||||||||||||||
스티븐 메릴로 | 갓스피드!, 아메리카의 기사, 플라톤의 동굴로부터의 탈출 등 | |||||||||||||||||||||||||||||||||||||||||||||||||||||||||||||||||||||||||||||||||||||||||||||
스티븐 라이니키 | 세도나, 격류 속으로, 자유의 초상, 독수리가 춤추는 곳 등 | |||||||||||||||||||||||||||||||||||||||||||||||||||||||||||||||||||||||||||||||||||||||||||||
다리우스 미요 | 프랑스 조곡 등 | |||||||||||||||||||||||||||||||||||||||||||||||||||||||||||||||||||||||||||||||||||||||||||||
데이비드 R. 홀징거 | 스쿠틴 온 하드록, 대공에의 도전, 제례의 춤, "봄이 되어, 왕들이 싸움에 나설 즈음에…" 등 | |||||||||||||||||||||||||||||||||||||||||||||||||||||||||||||||||||||||||||||||||||||||||||||
데이비드 길링햄 | 교향시 "베트남의 회고", 위드 하트 앤 보이스, 에어로다이내믹스 등 | |||||||||||||||||||||||||||||||||||||||||||||||||||||||||||||||||||||||||||||||||||||||||||||
데이비드 보브로비츠 | 올드 마타도르, 차누카 셀레브레이션 등 | |||||||||||||||||||||||||||||||||||||||||||||||||||||||||||||||||||||||||||||||||||||||||||||
데이비드 마슬란카 | 교향곡 제3번, 인 메모리엄, 아이들의 정원의 꿈 등 | |||||||||||||||||||||||||||||||||||||||||||||||||||||||||||||||||||||||||||||||||||||||||||||
티모시 마 | 인투 디 에어!, 엔듀어런스, 솔・소라터 등 | |||||||||||||||||||||||||||||||||||||||||||||||||||||||||||||||||||||||||||||||||||||||||||||
데릭 부르주아 | 교향곡 제6번 "코츠월드 심포니"、윈드 블리츠, 심포니 포 윌리엄 등 | |||||||||||||||||||||||||||||||||||||||||||||||||||||||||||||||||||||||||||||||||||||||||||||
토마스 도스 | 시다스, 몬태나 팡파르, 매직 오버추어, 아우로라 등 | |||||||||||||||||||||||||||||||||||||||||||||||||||||||||||||||||||||||||||||||||||||||||||||
도널드 그랜섬 | 사우던 하모니, 환상적 변주곡, J. S. 댄스, 무악 등 | |||||||||||||||||||||||||||||||||||||||||||||||||||||||||||||||||||||||||||||||||||||||||||||
Nigel Clarke (composer)|나이젤 클라크영어 | 브레이킹 더 센추리, 가가린, 사무라이 등 | |||||||||||||||||||||||||||||||||||||||||||||||||||||||||||||||||||||||||||||||||||||||||||||
나이젤 헤스 | 이스트 코스트의 풍경, 글로벌 바리에이션 등 | |||||||||||||||||||||||||||||||||||||||||||||||||||||||||||||||||||||||||||||||||||||||||||||
노먼 데로-조이오 | 하이든의 주제에 의한 환상곡, 루브르로부터의 정경 등 | |||||||||||||||||||||||||||||||||||||||||||||||||||||||||||||||||||||||||||||||||||||||||||||
퍼시 그레인저 | 링컨셔 부케, 데리 지방의 아일랜드 민요, 콜로니얼 송, 검 서커스 마르치, 아이들의 행진곡 "언덕을 넘어 저편으로", 해변의 몰리 등 | |||||||||||||||||||||||||||||||||||||||||||||||||||||||||||||||||||||||||||||||||||||||||||||
Percy Fletcher|퍼시 플레처영어 | 행진곡 "스피릿 오브 페이지언트리" 등 | |||||||||||||||||||||||||||||||||||||||||||||||||||||||||||||||||||||||||||||||||||||||||||||
허버트 오언 리드 | 멕시코의 축제 등 | |||||||||||||||||||||||||||||||||||||||||||||||||||||||||||||||||||||||||||||||||||||||||||||
해롤드 월터스 | 자메이카 민요 조곡, 인스턴트 콘서트, 후테나니 등 | |||||||||||||||||||||||||||||||||||||||||||||||||||||||||||||||||||||||||||||||||||||||||||||
피터 그레이엄 | 해리슨의 꿈, 게일포스, 더 레드 머신, 교향곡 "몽타주" 등 | |||||||||||||||||||||||||||||||||||||||||||||||||||||||||||||||||||||||||||||||||||||||||||||
히다슈 프리예슈 | 취주악을 위한 교향곡 "세이브 더 시" 등 | |||||||||||||||||||||||||||||||||||||||||||||||||||||||||||||||||||||||||||||||||||||||||||||
Fisher Tull|피셔 털영어 | 전례 교향곡, 구름의 전설 등 | |||||||||||||||||||||||||||||||||||||||||||||||||||||||||||||||||||||||||||||||||||||||||||||
필립 윌비 | 파가니니 바리에이션, 가면 무도회, 춤추는 비둘기, 노던 라이트 등 | |||||||||||||||||||||||||||||||||||||||||||||||||||||||||||||||||||||||||||||||||||||||||||||
필립 스파크 | 주빌리 서곡, 오리엔트 급행, 댄스 무브먼트, 드래곤의 해, 우주의 음악 등 | |||||||||||||||||||||||||||||||||||||||||||||||||||||||||||||||||||||||||||||||||||||||||||||
페레르 페란 | 교향곡 제2번 "그리스도의 수난", 세레모니얼 등 | |||||||||||||||||||||||||||||||||||||||||||||||||||||||||||||||||||||||||||||||||||||||||||||
프랭크 에릭슨 | 서곡 축전, 밴드를 위한 토카타 등 | |||||||||||||||||||||||||||||||||||||||||||||||||||||||||||||||||||||||||||||||||||||||||||||
프랭크 티켈리 | 블루 쉐이즈, 교향곡 제2번, 생츄어리 등 | |||||||||||||||||||||||||||||||||||||||||||||||||||||||||||||||||||||||||||||||||||||||||||||
프란코 체자리니 | 비잔틴 모자이크화, 3개의 교향적 소묘 "푸른 수평선" 등 | |||||||||||||||||||||||||||||||||||||||||||||||||||||||||||||||||||||||||||||||||||||||||||||
플로랑 슈미트 | 디오니소스의 축제 등 | |||||||||||||||||||||||||||||||||||||||||||||||||||||||||||||||||||||||||||||||||||||||||||||
베르트 아펠몬트 | 노아의 방주, 걸리버 여행기, 예리코, 사가 캔디다, 교향곡 제1번 "길가메쉬" 등 | |||||||||||||||||||||||||||||||||||||||||||||||||||||||||||||||||||||||||||||||||||||||||||||
Paul Whear|폴 W. 호에어nl | 스톤헨지 교향곡, 엘시노어 성 서곡, 벨레로폰 서곡 등 | |||||||||||||||||||||||||||||||||||||||||||||||||||||||||||||||||||||||||||||||||||||||||||||
폴 크레스턴 | 프렐류드와 댄스, 자노니, 축전 서곡, 아나톨리아 등 | |||||||||||||||||||||||||||||||||||||||||||||||||||||||||||||||||||||||||||||||||||||||||||||
Mark Camphouse|마크 캠프하우스영어 | 로자를 위한 악장, 모두 진짜 이야기, 3개의 런던 소경, 밤을 지키는 친구 등 | |||||||||||||||||||||||||||||||||||||||||||||||||||||||||||||||||||||||||||||||||||||||||||||
마틴 엘러비 | 파리의 스케치, 드림스케이프스 등 | |||||||||||||||||||||||||||||||||||||||||||||||||||||||||||||||||||||||||||||||||||||||||||||
마이클 도어티 | 유 에프 오, 데시, 비자로 등 | |||||||||||||||||||||||||||||||||||||||||||||||||||||||||||||||||||||||||||||||||||||||||||||
말콤 아놀드 | 행진곡 "오버시즈" 등 | |||||||||||||||||||||||||||||||||||||||||||||||||||||||||||||||||||||||||||||||||||||||||||||
모턴 굴드 | 교향곡 제4번 "웨스트 포인트", 클라리넷과 취주악을 위한 데리베이션, 예리코, 산타페 사가 등 | |||||||||||||||||||||||||||||||||||||||||||||||||||||||||||||||||||||||||||||||||||||||||||||
얀 반=데르=로스트 | 신포니아 헝가리카, 교향시 "몽타니알의 시", 교향시 "스파르타쿠스", 푸스타〜4개의 집시 댄스, 캔터베리 코랄, 아르세날 등 | |||||||||||||||||||||||||||||||||||||||||||||||||||||||||||||||||||||||||||||||||||||||||||||
율리우스 푸치크 | 검투사의 입장, 플로렌티나 등 | |||||||||||||||||||||||||||||||||||||||||||||||||||||||||||||||||||||||||||||||||||||||||||||
요제프 바그너 | 쌍두 독수리의 깃발 아래 등 | |||||||||||||||||||||||||||||||||||||||||||||||||||||||||||||||||||||||||||||||||||||||||||||
요한 데 메이 | 교향곡 제1번 "반지의 제왕", 교향곡 제2번 "빅 애플", 교향곡 제3번 "플래닛 어스" 등 | |||||||||||||||||||||||||||||||||||||||||||||||||||||||||||||||||||||||||||||||||||||||||||||
Richard L. Saucedo|리처드 L. 소시도nl | 랜데부 위드 지 아더 사이드, 윈드스프린츠 등 | |||||||||||||||||||||||||||||||||||||||||||||||||||||||||||||||||||||||||||||||||||||||||||||
릴랜드 포스블러드 | 일렉트라, 오버튜라 등 | |||||||||||||||||||||||||||||||||||||||||||||||||||||||||||||||||||||||||||||||||||||||||||||
레이프 본 윌리엄스 | 영국 민요 조곡, 취주악을 위한 팡파르, 토카타 마르치알레 등 | |||||||||||||||||||||||||||||||||||||||||||||||||||||||||||||||||||||||||||||||||||||||||||||
렉스 미첼 | 대초원의 노래, 바다의 노래, 스타 플라이트 서곡, 서주와 판타지아, 축전 찬가 등 | |||||||||||||||||||||||||||||||||||||||||||||||||||||||||||||||||||||||||||||||||||||||||||||
로저 시시 | 갈릴레오의 달, 조곡 "벌레", 지오메트릭 댄스 등 | |||||||||||||||||||||||||||||||||||||||||||||||||||||||||||||||||||||||||||||||||||||||||||||
로버트 W. 스미스 | 뱃사람과 바다의 노래, 아프리카의 의식과 노래, 종교적 전례 등 | |||||||||||||||||||||||||||||||||||||||||||||||||||||||||||||||||||||||||||||||||||||||||||||
로버트 예거 | 심포니아 노빌리시마, 제2조곡, 제3조곡, 교향곡 제1번 등 | |||||||||||||||||||||||||||||||||||||||||||||||||||||||||||||||||||||||||||||||||||||||||||||
로버트 셸던 | 매너티 리릭 서곡, 남서부의 전설, 대공을 넘어, 댄스 셀레스티얼 등 | |||||||||||||||||||||||||||||||||||||||||||||||||||||||||||||||||||||||||||||||||||||||||||||
로버트 러셀 베넷 | 심포닉 송, 옛 아메리카 무곡에 의한 조곡 등 | |||||||||||||||||||||||||||||||||||||||||||||||||||||||||||||||||||||||||||||||||||||||||||||
롤프 루딘 | 드루이드〜어떤 신화적 기억〜, 엥가푸스의 꿈, 시 없는 시 등 | |||||||||||||||||||||||||||||||||||||||||||||||||||||||||||||||||||||||||||||||||||||||||||||
론 넬슨 | 로키 포인트 홀리데이, 파사칼리아, 에피파니 등 | |||||||||||||||||||||||||||||||||||||||||||||||||||||||||||||||||||||||||||||||||||||||||||||
아베 유이치 | 행진곡 "라메세스 2세", 취주악을 위한 퓨처리즘, 교향시 "누나", 여명의 스케치, 우리들을 둘러싼 바다~레이첼 카슨에게 헌정 등 | |||||||||||||||||||||||||||||||||||||||||||||||||||||||||||||||||||||||||||||||||||||||||||||
아마노 마사미치 | 레트로, 교향 조곡 제2번, 교향 조곡 제3번 "GR", 교향 조곡 제7번 "BR", 익스피에이션, 방사와 명상, 메타모르포세스, 사와치추이, 카프레티와 몬테키~"로미오와 줄리엣" 그 사랑과 죽음 등 | |||||||||||||||||||||||||||||||||||||||||||||||||||||||||||||||||||||||||||||||||||||||||||||
이이지마 토시나리 | 주악 V 심포니에타“Towards Spring”, 고목이 있는 풍경, 스파클링 다이아몬드 더스트 등 | |||||||||||||||||||||||||||||||||||||||||||||||||||||||||||||||||||||||||||||||||||||||||||||
이후쿠베 아키라 | 와다이코와 취주악을 위한 부레스크풍 론도 등 | |||||||||||||||||||||||||||||||||||||||||||||||||||||||||||||||||||||||||||||||||||||||||||||
이케가미 사토시 | 명상과 무용, 송문, 콘서트 마칭 '77 등 | |||||||||||||||||||||||||||||||||||||||||||||||||||||||||||||||||||||||||||||||||||||||||||||
이케베 신이치로 | 랜드스케이프~취주악을 위해, 태동의 시대~취주악을 위해, 아마데우스의 피아노가 들린다 등 | |||||||||||||||||||||||||||||||||||||||||||||||||||||||||||||||||||||||||||||||||||||||||||||
이시이 칸 | 광야를 가다, 합창과 브라스을 위한 악곡「위대한 아키타」등 | |||||||||||||||||||||||||||||||||||||||||||||||||||||||||||||||||||||||||||||||||||||||||||||
이토 야스히데 | 교향시 "구루리요자", 교향곡, 관악기를 위한 소나타, 취주악을 위한 서정적 "제", 취주악을 위한 "북해 변주곡", 취주악을 위한 프로그레스 등 | |||||||||||||||||||||||||||||||||||||||||||||||||||||||||||||||||||||||||||||||||||||||||||||
이즈카 마사키 | 불의 단장, Bye Bye Violet, 사랑의 제단, 돌즈 컬렉션 I~장난감 병정과, 사랑하는 나비 등 | |||||||||||||||||||||||||||||||||||||||||||||||||||||||||||||||||||||||||||||||||||||||||||||
이와이 나오히로 | 신코페이티드 마르치 "내일을 향해", 팝스 묘사곡 "메인 스트리트에서", 팝스 변주곡 "셈 노래", 팝스 마르치 "멋진 날들", 부흥을 향한 서곡 "꿈의 내일" 등 | |||||||||||||||||||||||||||||||||||||||||||||||||||||||||||||||||||||||||||||||||||||||||||||
우라타 겐지로 | 프렐류드, 마르치 오푸스・원, 세리오소, 메타모르포시스 등 | |||||||||||||||||||||||||||||||||||||||||||||||||||||||||||||||||||||||||||||||||||||||||||||
에하라 다이스케 | 약동하는 혼~취주악을 위해, 스케르찬도 등 | |||||||||||||||||||||||||||||||||||||||||||||||||||||||||||||||||||||||||||||||||||||||||||||
오오구리 유타카 | 오사카 민요에 의한 환상곡, 가면 환상, 취주악을 위한 "신화" 등 | |||||||||||||||||||||||||||||||||||||||||||||||||||||||||||||||||||||||||||||||||||||||||||||
오카무라 유노스케 | Lamento d'introduction et Scène de prière 등 | |||||||||||||||||||||||||||||||||||||||||||||||||||||||||||||||||||||||||||||||||||||||||||||
오다 미유코 | Dawn 등 | |||||||||||||||||||||||||||||||||||||||||||||||||||||||||||||||||||||||||||||||||||||||||||||
가미오카 요이치 | 행진곡 "사구의 새벽", 마르치 "조연", 멀리, 대지에게, 행진곡 "가을 하늘에", 북쪽의 해안선 등 | |||||||||||||||||||||||||||||||||||||||||||||||||||||||||||||||||||||||||||||||||||||||||||||
카네다 토시 | 취주악을 위한 "파사칼리아", 아아!, 취주악을 위한 발라드 I〜V, 취주악을 위한 "교향적 음두", 교향적 순간 등 | |||||||||||||||||||||||||||||||||||||||||||||||||||||||||||||||||||||||||||||||||||||||||||||
카오카 히로아키 | “천마의 길”~취주악을 위해 등 | |||||||||||||||||||||||||||||||||||||||||||||||||||||||||||||||||||||||||||||||||||||||||||||
카노 소헤이 | 취주악을 위한 스케르초 제2번 ≪여름≫ 등 | |||||||||||||||||||||||||||||||||||||||||||||||||||||||||||||||||||||||||||||||||||||||||||||
4. 악단
취주악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악단 또한 여러 종류가 있다.
4. 1. 취주악단취주악단은 나라마다 특징이 다르다. 프랑스와 이탈리아에서는 목관악기의 음색을 중시하고, 독일과 오스트리아는 금관악기를 많이 배치하여 무거운 음색 위주로 편성한다. 영국은 백파이프 중심의 편성에서 시작하여 군악대 등에서 일부 남아있고, 금관악기 중심의 영국식 브라스 밴드는 취주악의 한 형태로 정립되었다. 미국은 미국취주악지도자협회(ABA)에서 정한 편성 기준에 따라 색스혼 대신 플루겔호른을 사용한다. 일본은 군악대 창립 당시 육군은 프랑스, 해군은 영국 제도를 받아들여 악기 편성과 용어, 음색이 일정하지 않다가 일본취주악지도자협회 결성 후 표준 편성안이 만들어졌다.윈드 앙상블(Wind Ensemble)은 관현악의 관악기 섹션과 마찬가지로 각 악기마다 1파트당 1인 편성을 원칙으로 하며, 프레데릭 페넬이 처음 제창했다.[1] 좁은 의미의 취주악단은 관악기에 의한 두 자릿수 인원 규모로, 목관악기와 금관악기를 포함하며, 타악기와 콘트라베이스를 더한다. 첼로나 하프 등의 현악기, 첼레스타나 피아노 등의 특수 악기를 더하는 경우도 있지만, 바이올린이나 비올라 등은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많은 나라에서는 소방·경찰 등 공공 기관의 악단이나 군악대가 중심이지만, 일본과 미국에서는 학교 등의 아마추어도 많다. 미국의 프로페셔널 취주악단은 1800년대 후반부터 1900년대 초에 걸쳐 길모어와 수자가 활약했고, 오늘날에도 댈러스 윈즈나 위스콘신 윈드 오케스트라가 활동하고 있다. 네덜란드, 벨기에, 프랑스에는 마을의 취주악단이 많고, 이탈리아, 스페인에도 반다(banda)라고 불리는 취주악단이 있다. 넓은 의미의 취주악으로는 영국 등에서 영국식 브라스 밴드가 결성되어 있다. 프랑스나 독일 등에도 마을의 브라스 밴드가 존재한다. 조반니 가브리엘리에 의한 팡파레, 18세기 이전의 관악기 중심 악곡, 하모니 뮤직 등의 실내악적인 관악기 합주도 취주악의 일부를 이룬다. 취주악단의 편성은 엄격하게 정해져 있지 않다. 색소폰 속 금관악기를 중심으로 하는 브라스 밴드 형태로, 4성부 B♭관 솔로 코넷과 3성부 코넷을 중심으로, 고음역을 E♭관 소프라노 코넷으로 보충한다. 플루겔호른이 코넷 음색에 폭을 더하고, 테너 호른과 트롬본이 화성부를 담당한다. 유포니엄이 선율을 돕고, 베이스가 저음역을 받쳐주며, 타악기가 더해진다. 구세군은 세계 각지에 스태프 밴드라고 칭하는 브라스 밴드를 두고 독자적인 레퍼토리를 가지고 있다. 필립 스파크의 『우주의 음악』이나 피터 그레이엄의 『해리슨의 꿈』 등은 처음에는 영국식 브라스 밴드 편성을 위해 쓰였으나, 작곡가 자신이 관악 합주 편성으로 편곡하는 기법은 유럽 작곡가들에게서 많이 볼 수 있다. 금관악기, 색소폰, 타악기로 구성된 형태는 네덜란드, 벨기에를 중심으로 널리 퍼져 있다. 3성부 B 플루겔호른을 중심으로 고음역을 Es 플루겔호른이 보충하지만, 현재는 Es 트럼펫 또는 Es 코넷으로 대체한다. 색소폰은 1성부 소프라노, 2성부 알토, 1성부 테너, 1성부 바리톤으로 구성되며, 옵션으로 베이스 색소폰 등이 사용된다. 이 외에도 3성부 트럼펫, 4성부 프렌치 호른, 바리톤, 2성부 유포니움, Es 또는 F 튜바, B 또는 C 튜바, 그리고 타악기로 구성되는 편성이 일반적이다. 네덜란드에서는 판파레 오케스트(fanfareorkest), 판파레 밴드(fanfare Band)라는 명칭의 악단도 있으며, 일본 센조쿠가쿠엔 음악대학도 판파레 오케스트 명칭을 사용한다. 4. 2. 윈드 앙상블윈드 앙상블(Wind Ensemble)은 관현악의 관악기 섹션과 마찬가지로 각 악기는 1파트당 1인 편성을 원칙으로 하는 형태다. 프레데릭 페넬이 처음 제창한 개념이다. 영어로 wind ensemble은 취주악을 가리키기도 하지만, 페넬이 제창한 편성을 가리키는 것으로 구별된다.4. 3. 영국식 브라스 밴드색스혼 종류에 속하는 금관악기를 중심으로 한 브라스 밴드의 형태이다. 코넷을 중심으로 편성하며 플루겔호른, 테너 호른, 트롬본, 유포니움 등과 타악기가 추가된다. 금관악기 위주로 편성되기 때문에 아마추어가 입문하기 쉬운 측면이 있다. 필립 스파크의 『우주의 음악』처럼 일반적인 취주악 편성곡으로 알려진 것들 중에는 영국식 브라스 밴드의 편성곡으로 쓰여진 경우가 있다.4성부로 나뉜 B♭관 솔로 코넷과 3성부로 나뉜 코넷을 중심으로, 고음역을 E♭관 소프라노 코넷으로 보충한다. 플루겔호른이 코넷의 음색에 폭을 더하고, 테너 호른과 트롬본이 화성부를 담당한다. 유포니엄이 선율을 돕고, 베이스가 저음역을 받쳐준다. 여기에 타악기가 더해진다. 빛나는 울림을 가지고 있으며, 오르간을 연상시키는가 하면, 초절 기교도 있다. 금관악기 주체의 편성이기 때문에 지도가 비교적 용이하여, 아마추어가 접근하기 쉽다는 측면도 있다.[1] 구세군에서는 세계 각지에 스태프 밴드라고 칭하는 브라스 밴드를 두고 있으며, 독자적인 풍부한 레퍼토리를 가지고 있다.[1] 일반적인 관악 합주 편성에 익숙한 곡도, 처음에는 영국식 브라스 밴드 편성을 위해 쓰여진 경우가 있으며, 필립 스파크의 『우주의 음악』이나 피터 그레이엄의 『해리슨의 꿈』 등이 있다. 작곡가 자신이 영국식 브라스 밴드 편성에서 관악 합주 편성으로 편곡하는 기법은 유럽의 작곡가를 중심으로 많이 볼 수 있다.[1] 4. 4. 팡파르 밴드금관악기, 색소폰, 타악기로 구성된 형태이다. 네덜란드, 벨기에를 중심으로 널리 퍼져 있다. 3성부 B♭ 플루겔호른을 중심으로 고음역을 E♭ 플루겔호른이 보충하지만, 현재는 이 악기를 E♭ 트럼펫 또는 E♭ 코넷으로 대체한다. 색소폰은 1성부 소프라노, 2성부 알토, 1성부 테너, 1성부 바리톤으로 구성되지만, 옵션으로 베이스 색소폰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 외에도 3성부 트럼펫, 4성부 프렌치 호른, 바리톤, 2성부 유포니움, E♭ 또는 F 튜바, B♭ 또는 C 튜바, 그리고 타악기로 구성되는 편성이 일반적이다. 영국식 브라스 밴드와 소리가 비슷하지만, 색소폰과 플루겔호른의 풍부한 울림과 섬세한 움직임의 특징을 살린 작품이 많다. 네덜란드에서는 판파레 오케스트(fanfareorkest), 판파레 밴드(fanfare Band)라는 명칭의 악단도 존재하며, 일본에서도 센조쿠가쿠엔 음악대학이 네덜란드어에 기반한 판파레 오케스트의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4. 5. 포자우넨코어Posaunenchor|포자우넨코어de는 독일어에서 유래된 단어로, 문자 그대로 번역하면 "트롬본 합창단"을 의미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트롬본뿐만 아니라 다양한 금관악기를 포함하는 형태의 악단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4. 6. 하르모니무지크하모니무지크는 18세기 이전의 관악기를 중심으로 한 악곡으로, 실내악적인 관악기 합주를 의미한다. 이러한 음악은 종종 '관악'으로 구별되기도 한다.[3] 조반니 가브리엘리의 팡파레도 하모니무지크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5. 악기
취주악에서 사용되는 악기는 플랫 계열의 조성을 가진 이조 악기가 많지만, 특별히 정해진 편성은 없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악기는 다음과 같다.
6. 한국의 취주악
한국에서 취주악은 서양 음악의 도입과 함께 시작되었다. 대한제국 시기인 1900년, 프란츠 에케르트에 의해 대한제국 군악대가 창설되면서 본격적인 취주악 역사가 시작되었다. 이 군악대는 서양식 군사 훈련과 함께 서양 음악을 연주하며 한국 근대 음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6. 1. 한국 취주악의 역사1869년 사쓰마 번이 번사 중에서 선발한 영국인 존 윌리엄 펜턴의 지도로 사쓰마 밴드(사쓰마 번 군악대)를 결성하면서 일본에서 취주악 역사가 시작되었다. 사쓰마 번주 시마즈 히사미쓰는 군대의 서양화를 목표로 영국의 군악대를 본떴다. 폐번치현 이후, 사쓰마 밴드 멤버들은 육군·해군에 창설된 군악대의 중핵이 되었다. 1853년 매튜 페리가 우라가에 왔을 때 군악대의 소리가 처음으로 울려 퍼졌다고 한다.당시 군악대가 연주회를 통해 많은 곡을 소개했다. 다이쇼 시대에는 학교 음악에 취주악이 도입되었고, 백화점·유원지 등에 소년 음악대가 생겨났으며, 민간 취주악단도 조직되어 일반 시민에게 퍼져나갔다. 1939년 대일본취주악연맹(현재의 일반 사단법인 전일본취주악연맹)이 발족했다.[8][9] 1940년부터 전일본취주악콩쿠르가 매년 개최되었고, 연주회도 많이 열렸다.[8]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될 무렵부터 취주악은 전의 고양이나 국위 선양을 위해 이용되면서 성행했다.[8] 제2차 세계 대전 후, 연주 기회를 잃었지만, 청소년 교육에서 음악의 의의가 재검토되면서 학교에서 다시 채용되었다. 새로운 학교 음악 교육이 창가 교육에서 기악 교육으로 옮겨지면서 취주악단의 수도 늘고 연주 기술도 향상되었다. 1961년 11월, 프랑스의 가르드 레퓌블리케 취주악단이 처음으로 일본을 방문하여 연주회를 개최하여 당시 청중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1967년에는 공익 사단법인 일본 취주악 지도자 협회가 설립되었다. 현재는 중고생의 부활동 인기 순위 5위 안에 들어갈 정도로[10], 아이들부터 취주악과 관계를 갖는 것이 늘어나고 있다. 6. 2. 레퍼토리취주악 레퍼토리의 특징 중 하나는 편곡된 악곡이 여전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이다.클래식 음악의 편곡은 편곡의 품질이 높다. 악단과 공통점을 지닌 재즈의 편곡 역시 레퍼토리 확장에 기여했다. 대중음악의 편곡도 스탠다드 레퍼토리로 정착된 것이 많아 연주회에서 채택되는 기회도 많다. 뉴 사운즈 인 브라스는 J-POP 등의 음악을 편곡한 시리즈이다. 처음부터 취주악 편성을 위해 작곡된 연주회용 악곡도 많이 존재한다. 이들은 앞서 언급한 편곡 작품과의 대비에서 "오리지널(악곡)"이라고 불린다. 미국에서는 스쿨 밴드의 활동이 활발하여 스쿨 밴드용 악곡이 많이 제작되고 있으며, 일본에서도 자주 다루어진다. 그중에는 연주회에서 스탠다드 레퍼토리로 정착된 것도 많다. 현재는 일본의 회사도 팝 음악을 많이 편곡하고 있다. 최근 경향으로는 유럽 작품도 많이 소개되어 레퍼토리로 정착되고 있다. 또한 유럽 작품은 원래 브라스 밴드용으로 작곡되었으며, 작곡가 본인의 손으로 취주악 버전이 제작되어 중요한 레퍼토리로 정착된 곡도 있다. 6. 3. 콩쿠르일본에서는 아마추어 취주악 단체를 대상으로 한 여러 콩쿠르가 열리고 있다.
일본에서는 취주악 편성을 위한 곡을 공모하는 작곡상 및 작곡 콩쿠르도 여러 개 있다.
6. 4. 연주 단체도쿄 코세이 윈드 오케스트라, 오사카 시온 윈드 오케스트라, 시에나 윈드 오케스트라는 일본의 3대 프로 취주악단으로 알려져 있다.[16][17] 일본에는 자위대, 소방, 경찰 등 행정 조직에 소속된 취주악단(음악대)이 많이 있다. 자위대 음악대나 일부 소방·경찰 음악대는 음악대학 등에서 대원을 채용하며, 거의 연주 업무에 전념하는 사실상의 프로 악단이다.일본에서 학교 취주악부는 클럽 활동이나 부 활동으로 이루어지는 과외 활동의 한 형태이다. 일부 고등학교에서는 취주악국이나 취주악위원회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활동 내용은 각종 콩쿠르, 문화제 발표, 운동회에서의 행진 연주, 식전 연주 등 행사에서의 연주, 지역 음악제, 위문 연주, 정기 연주회 등이다. 일본에서 응원단 취주악부는 스포츠 응원의 악기 담당 요원이 많은 편이다. 중학교, 고등학교 등에서는 문화부로 설립된 취주악부가 학교 행사로 응원에 협력하는 경우가 많지만, 대학교 등에서는 응원 활동을 하기 위해 응원단 산하에 상설 단체로 설립된 취주악부가 응원을 하는 경우도 있다. 일본에서 기업 취주악단은 악기를 취미로 하는 사원 유지를 중심으로 한 클럽이 많다. 사내에서 직원에 의한 취주악 단체를 결성하려면 수십 명 단위의 인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회사 규모가 큰 기업이 많다. 일례로, 악기 제조사인 야마하에 의해 자사 제품의 선전과 야마하 경식 야구부의 응원단을 겸하는 야마하 취주악단 하마마츠가 있다. 일본에서는 일반적으로 학교나 기업 등 특정 조직에 의존하지 않고 "○○시민 취주악단"과 같은 명칭으로 시민 취주악단으로서 활동하는 동아리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악단 구성원은 사회인이 중심이 되는 경우가 많지만, 학생이 참가하는 예도 보인다. 활동 내용은 시민 취주악단의 활동 방침에 따라 다양하지만, 각종 연주회 개최, 전일본 취주악 콩쿠르 출전, 지역 음악제 참가, 위문 연주 등이다. 6. 5. 미디어 믹스
참조
[1]
문서
吉村 2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