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릴 열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릴 열도는 캄차카반도와 홋카이도 사이의 열도로, 러시아 사할린주에 속한다. 섬들은 화산 활동이 활발한 지각 불안정대에 위치하며, 다양한 해양 생물과 광물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쿠릴 열도는 명칭, 지리, 기후, 식생, 지형, 생태, 역사, 행정 구역, 주민, 경제, 군사 등 다양한 측면에서 특징을 보인다. 러시아가 실효 지배하고 있으나, 일본은 이투루프섬, 쿠나시르섬, 시코탄섬, 하보마이 군도를 북방 영토로 지칭하며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루 - 순다 열도
순다 열도는 말레이 제도에 위치하며 대순다 열도와 소순다 열도로 나뉘고, 순다 대륙붕 위에 위치하여 화산 활동과 지진이 잦으며, 브루나이, 동티모르,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5개국에 걸쳐 있는 섬들이다. - 지루 - 알류샨 열도
알류샨 열도는 알래스카 반도에서 서쪽으로 뻗어 있는 섬들로, 환태평양 조산대에 위치하며 화산 활동과 지진이 활발하고 해양성 기후를 보이며, 수산업과 미군 주둔이 경제의 기반을 이루고 알류트족이 원주민으로 거주한다. - 사할린주 - 시코탄섬
시코탄섬은 쿠릴 열도에 위치한 섬으로, 러시아와 일본 간 영유권 분쟁 지역이며, 어업이 주요 산업이다. - 사할린주 - 하보마이 군도
하보마이 군도는 홋카이도 네무로반도 근처의 섬들로, 일본은 북방 영토라 주장하며 반환을 요구하지만 현재 러시아가 실효 지배하고 있다. - 오호츠크해 - 오호츠크해 기단
오호츠크해 기단은 세력이 강해지거나 위치가 변동될 때 야마세라는 북동풍을 발생시켜 일본 태평양 연안 지역에 저온 현상과 냉해를 유발하고 벼농사에 큰 영향을 미친다. - 오호츠크해 - 마가단
마가단은 러시아 극동 지역의 도시이자 마가단 주의 주도로, 콜리마 광산 개발의 중심지였으며 스탈린 시대 유형수들의 주요 중계 지점이었고, 현재는 금광업과 어업이 주요 산업인 항구 도시이자 R504 콜리마 고속도로의 종착점이다.
쿠릴 열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쿠릴 열도 |
러시아어 표기 | 쿠릴스키예 오스트로바 |
일본어 표기 | 치시마 열도 |
일본어 (다른 표기) | 쿠릴 렛토 |
문화어 표기 | 꾸릴 렬도 |
위치 | 태평양 |
좌표 | 북위 47.0도, 동경 152.1도 |
총 섬 개수 | 56개 |
총 면적 | 10,503.2 제곱킬로미터 |
총 길이 | 1,150 킬로미터 |
최고점 | 알라이드 산 |
최고점 높이 | 2,339 미터 |
행정 구역 | |
국가 | 러시아 |
러시아 연방 주체 | 사할린 주 |
러시아 행정 구역 | 세베로쿠릴스키 군 쿠릴스키 군 유즈노쿠릴스키 군 |
국가 (부분적 주장) | 일본 (가장 남쪽 섬) |
일본 행정 구역 | 홋카이도 |
일본 하위 행정 구역 | 네무로 지청 |
인구 | |
인구 (2021년 기준) | 21,501명 |
민족 구성 | 대다수 러시아인 |
기타 정보 | |
길이 (마일) | 1300 km (808 mi) |
면적 (제곱마일) | 4,055 sq mi |
2. 명칭
쿠릴이라는 이름은 섬의 원주민인 아이누의 자칭인 '쿠르'(쿠르|kurain, '사람'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6] 이는 아이누가 전통적으로 거주해 온 다른 섬들의 이름, 예를 들어 사할린의 '쿠이'(Kuyi) 또는 '쿠예'(Kuye), 홋카이도의 '카이'(Kai)와도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일본어로 쿠릴 열도는 千島列島|지시마 렛토일본어('천 섬 열도'라는 뜻)로 알려져 있으며, クリル列島|구리루 렛토일본어('쿠릴 열도'라는 뜻)라고도 불린다. 18세기에 러시아인들이 이 섬들에 도착했을 때, 화산으로 인해 섬 위로 계속해서 연기와 증기가 피어오르는 것을 보고 러시아어 '쿠리트'(курить|쿠리트ru, '피우다'라는 뜻)에서 유래한 잘못된 어원으로 연결하기도 했다.
쿠릴 열도는 일본 홋카이도 북동쪽에서 러시아 캄차카 반도 남단까지 약 1300km에 걸쳐 활 모양으로 늘어선 56개의 섬과 여러 작은 바위섬으로 이루어진 화산 열도이다.[32] 오호츠크해와 북태평양을 가르는 경계선 역할을 한다. 현재 모든 섬은 러시아 연방이 실효 지배하고 있으며, 사할린주에 속해 있다.[32]
쿠릴 열도는 일본 홋카이도에서 러시아 캄차카반도까지 이어지는 20개 이상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북쪽, 중부, 남쪽 쿠릴로 나뉘며, 소쿠릴 열도와 대쿠릴 열도로 나뉘기도 한다. 열도는 오호츠크해와 태평양의 경계를 이룬다.
현재 모든 섬은 러시아 연방 정부가 실효 지배하고 있으며, 극동 연방관구 사할린주에 속한다.[32] 특히 남부의 4개 섬(이투루프섬, 쿠나시르섬, 시코탄섬, 하보마이 군도)을 둘러싸고 러시아와 일본 간의 영토 분쟁이 있다.
일본에서는 이들 4개의 섬을 「'''북방영토'''」[83], 「북방 4개 섬」[84], 「남쿠릴」[86] 등으로 부른다.
러시아에서는 이들 4개의 섬을 「남쿠릴 열도 (Южные Курильские острова|유즈니예 쿠릴스키예 오스트로바ru)」라고 부른다.[87][88] 또한 에토로후섬과 시무슈르섬의 2개 섬을 「소쿠릴 열도」라고도 부른다.[87]
3. 지리
열도의 총 면적은 10355.61km2이다.[34] 지리적으로 환태평양 조산대의 일부로, 태평양판과 오호츠크판의 섭입 활동으로 형성되어 화산과 지진이 잦다. 열도 동쪽에는 깊은 쿠릴 해구가 있다. 주요 봉우리로는 북쪽 아틀라소프섬의 알라이드 화산(해발 2339m)과 남쪽 쿠나시르섬의 차차산(해발 1819m)이 있다.
기후는 전반적으로 혹독하여 겨울은 길고 추우며 여름은 짧고 안개가 잦다. 이러한 기후 영향으로 북부에는 툰드라, 남부에는 침엽수림이 발달하는 등 식생 차이가 나타난다. 해안은 바닷말, 어류, 해달 등의 서식지이며, 내륙에는 강, 초원, 분화구 호수, 이탄지 등 다양한 지형이 존재한다. 토양은 화산재와 바닷새 구아노의 영향으로 비옥한 편이나, 산사태가 잦고 화산 활동으로 지형 변화가 심하다.
주요 자원으로는 황철광, 유황 등이 있으며, 주변 해역은 어업 자원이 풍부하다. 주민은 러시아인, 우크라이나인, 벨라루스인, 타타르인, 사할린 한인 등 다양한 민족 약 3만여 명이 거주하며, 대부분 어업에 종사한다. 과거 남부 섬들에 거주하던 일본인들은 제2차 세계 대전 후 일본으로 송환되었다. 쿠릴 열도는 전략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경제적 가치 또한 높은 지역이다.
3. 1. 화산 및 지진 활동
쿠릴 열도는 태평양을 둘러싼 환태평양 조산대(Ring of Fire)의 일부를 이루는 화산 열도이다. 이 섬들은 태평양판이 오호츠크판 아래로 섭입하면서 형성된 성층화산의 정상 부분에 해당한다.[7] 이러한 판의 활동으로 인해 열도 동쪽 약 200km 해상에는 쿠릴 해구가 형성되어 있다.
열도에는 약 100개의 화산이 있으며, 그중 약 40개는 활화산으로 분류된다. 또한 많은 온천과 분기공이 존재하여 지열 활동이 활발함을 보여준다. 대표적인 화산 활동으로는 2019년 6월 열도 중앙부에 위치한 라이코케 섬의 화산 분화를 들 수 있는데, 당시 분출물이 13000m 상공까지 치솟았다.
지진 활동 역시 매우 활발하여, 과거 여러 차례 큰 규모의 지진이 발생했다.
일부에서는 쿠릴 열도의 성층화산 정상이 홋카이도 본섬과 충돌하여 현재의 시레토코 반도를 형성했다는 지질학적 해석도 제기된다.
3. 2. 기후
쿠릴 열도의 기후는 일반적으로 혹독하여, 길고 춥고 폭풍우가 잦은 겨울과 짧고 안개가 짙기로 유명한 여름이 특징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약 101.60cm에서 약 127.00cm (약 1,016mm에서 1,270mm)에 달하며, 일부 자료에서는 760mm에서 1,000mm 사이로 보기도 한다. 내리는 비와 눈의 상당 부분은 눈 형태이다.
대부분 섬의 쾨펜 기후 구분은 아한대 기후(Dfc)에 해당하지만, 남쪽의 쿠나시르 섬은 습윤 대륙성 기후(Dfb)의 특성을 보인다. 쿠릴 열도의 기후는 유라시아 대륙 내부의 만주나 시베리아 같은 대륙성 기후보다는 알래스카 남서부의 아극지방 해양성 기후와 훨씬 유사한데, 이는 강수량이 많고 영구 동토층이 전혀 없다는 점에서 드러난다.
여름은 비교적 온화하여 기온이 10°C를 넘는 달이 1개월에서 3개월 정도 지속된다. 겨울은 춥고 눈이 많이 내리며 바람이 매우 강하게 분다. 겨울철 평균 기온은 보통 -3°C 이하이지만, -10°C 아래로 내려가는 경우는 드물다. 여름에도 일부 높은 산에는 눈이 남아 있는 경우가 있다.
3. 3. 식생
온대와 아한대에 걸쳐 있는 열도 내에서는 식생이 다르다. 북부에서는 툰드라ツンドラ|툰드라일본어와 같은 식생이 나타나고, 남부에서는 깊은 침엽수針葉樹|신요주일본어 숲이 보인다. 이 식생 분포의 경계는 에토로후섬択捉島|에토로후토일본어와 우루프섬得撫島|우루푸토일본어 사이이며, 이는 미야베 킹고宮部金吾|미야베 긴고일본어가 주장한 분포 경계선分布境界線|분푸쿄카이센일본어(미야베선)에 해당한다.
3. 4. 지형
쿠릴 열도는 태평양판이 오호츠크판 아래로 섭입하면서 형성된 환태평양 조산대의 일부로, 지각 활동이 매우 활발한 지역이다. 이 열도는 기본적으로 해저 성층화산의 정상부가 드러난 형태로, 약 100개의 화산이 있으며 그중 약 40개가 활화산이다.[7] 또한 많은 온천과 분기공이 분포한다. 열도 동쪽 약 200km 지점에는 섭입 활동으로 인해 형성된 깊은 쿠릴 해구가 있다.
지진 활동 역시 활발하여, 1963년에는 규모 8.5의 대지진이 발생했으며, 2006년 11월 15일에도 규모 8.3의 강진이 발생하여 최대 약 1.52m 높이의 쓰나미가 미국 캘리포니아 해안까지 도달하기도 했다.[7] 열도 중앙부의 라이코케섬에 있는 활화산은 2019년 6월에 분화하여 화산재가 13000m 상공까지 치솟기도 했다.
섬들의 기후는 전반적으로 혹독하다. 겨울은 길고 춥고 폭풍우가 잦으며, 여름은 짧고 안개가 매우 짙다. 연평균 강수량은 약 101.60cm에서 약 127.00cm에 달하며, 상당 부분이 눈으로 내린다. 대부분 지역의 쾨펜 기후 구분상 아한대 기후(''Dfc'')에 속하지만, 남부의 쿠나시르섬은 습윤 대륙성 기후(''Dfb'')를 보인다. 쿠릴 열도의 기후는 만주나 시베리아 내륙의 대륙성 기후보다는 알래스카 남서부의 아극 해양성 기후와 더 유사하여 강수량이 많고 영구 동토는 없다. 여름은 온화하여 10°C 이상인 달이 1~3개월 정도이며, 겨울은 춥고 눈이 많으며 바람이 강하지만 기온이 -3°C 이하로 내려가도 보통 -10°C 이상을 유지한다.
이러한 기후대의 다양성으로 인해 식생 분포도 북쪽의 툰드라에서 남쪽 섬들의 빽빽한 가문비나무와 낙엽송 숲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가장 남쪽 섬들에만 넓은 숲이 분포하며, 북쪽 섬들은 나무가 없거나 드물다.
섬들의 지형은 매우 다채롭다. 해안에는 바닷말, 어류, 해달 등이 서식하며, 모래 해변과 암석 해안, 높은 절벽 등이 번갈아 나타난다. 내륙에는 넓은 강과 자갈이 많은 빠른 개울, 숲, 초원, 고산 툰드라, 분화구 호수, 이탄지 등이 펼쳐져 있다. 토양은 주기적인 화산재 유입과 일부 지역의 바닷새 구아노 퇴적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비옥하다. 그러나 가파르고 불안정한 경사면이 많아 산사태에 취약하며, 새로운 화산 활동은 기존 지형을 완전히 삭박시키기도 한다.
열도에서 가장 높은 지점은 북쪽 끝 아틀라소프섬에 있는 알라이드 화산(Вулкан Алаид|불칸 알라이트ru)으로, 해발 2339m이다. 이 화산은 거의 완벽한 원뿔 형태로, 과거 일본에서는 하이쿠나 목판화 등에서 후지산만큼이나 아름다운 산으로 칭송받았다. 남쪽 끝 쿠나시르섬에 있는 차차산(일본어: 爺爺岳 차차다케[*]) 역시 해발 1819m의 높은 봉우리이다.
쿠릴 열도의 총 면적은 에토로푸섬과 쿠나시르섬을 포함하여 10355.61km2이다. 이는 일본의 도도부현 중 기후현과 비슷한 크기이다.[34]
4. 생태
쿠릴 열도는 판의 활동으로 말미암은 열도로, 100여 개의 화산 중 35개가 활화산이며 지진 활동이 활발하다. 열도 동쪽 200km 지점에는 쿠릴 해구가 위치한다. 이러한 지질학적 특성은 쿠릴 열도의 독특한 생태 환경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해양 생태계는 매우 풍부하여 북태평양에서 가장 생산성이 높은 지역 중 하나로 꼽힌다. 이는 태평양 대륙붕 가장자리에 위치한 지리적 이점과 함께, 오호츠크해 내부의 아무르 강이 운반하는 영양분을 포함한 오호츠크 환류, 그리고 캄차카 반도 동쪽 해안을 따라 흐르는 영양염이 풍부한 해류가 쿠로시오 해류와 만나기 때문이다. 이 해류들은 쿠릴 열도 주변에서 다시 섞이며 풍부한 어장을 형성한다. 해안가는 바닷말, 다양한 바닷물고기와 해달의 중요한 서식지이며, 특히 대부분 섬의 앞바다는 거대한 다시마 숲으로 둘러싸여 오징어 등 연체동물과 이를 먹이로 삼는 어류, 그리고 다양한 해조류 등 수많은 생물의 삶의 터전이 되고 있다.
육상 생태계는 주로 남쪽의 홋카이도 본섬과 사할린섬, 북쪽의 캄차카 반도 등 주변 지역에서 유래한 종들로 구성되어 있다. 종 다양성은 비교적 높지만, 섬이라는 지리적 특성상 고유종은 적다. 면적이 작고 고립된 섬이 많아 대형 육상 포유류는 제한적으로 서식한다. 1880년대 모피 거래를 위해 인위적으로 도입된 붉은여우와 북극여우가 있으며, 이 시기에 함께 들어온 설치류도 상당수 서식한다.[69][70] 한편, 열도 남북의 큰 섬들에는 불곰, 붉은여우, 족제비 등이 토착종으로 서식하며, 남부의 큰 섬에서는 일본사슴도 발견된다. 매, 흰턱멧새, 흰꼬리되새 등의 조류도 숲에 서식한다.[69][70] 또한, 쿠릴 아일랜드 밥테일이라는 짧은 꼬리를 가진 돌연변이 고양이가 이 지역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71]
쿠릴 열도에는 황철광, 유황 등의 광물 자원도 분포한다.
4. 1. 해양 생태
쿠릴 열도는 태평양 대륙붕 가장자리와 오호츠크 해의 해류, 그리고 남쪽으로 흐르는 쿠로시오 해류가 만나는 지점에 위치한다. 이러한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쿠릴 열도 주변 해역은 북태평양에서 가장 생산성이 높은 곳 중 하나로, 다양하고 풍부한 해양 생물이 서식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오호츠크 해 내부의 아무르 강이 운반하는 영양분을 포함한 오호츠크 환류와 캄차카 반도 동쪽 해안을 따라 흐르는 영양이 풍부한 해류가 쿠릴 열도 북부에서 합류하며, 이는 다시 쿠릴 열도에서 흘러나와 쿠로시오 해류와 재합류하여 풍부한 어장을 형성한다.'''무척추동물'''
대부분의 섬 주변에는 광대한 켈프(다시마) 숲이 펼쳐져 있다. 이 켈프 숲은 성게, 다양한 연체동물, 오징어 및 수많은 다른 무척추동물과 그 포식자들에게 중요한 서식지를 제공한다. 특히 많은 종류의 오징어는 열도에 서식하는 작은 해양 포유류와 조류의 주요 먹이가 된다.
'''어류'''
쿠릴 열도 주변의 외해에는 명태(폴락), 태평양 대구, 여러 종의 넙치류(가자미류)가 서식하며, 이들은 중요한 상업적 어종이다. 과거 메이지 시대 전후부터 일본 어민들의 주요 활동 무대였으며, 1980년대까지는 이동성 일본 정어리가 여름철에 매우 풍부하게 잡혔으나, 이후 급감하여 1993년 이후로는 거의 어획되지 않아 지역 어업에 타격을 주었다. 또한 연어류가 쿠릴 열도의 큰 섬들에서 산란하며 주변 해역에서 포획된다.
'''바다표범류'''
바다표범류는 식량, 가죽, 뼈 등을 얻기 위해 쿠릴 열도 원주민(아이누 등)에게 중요한 수렵 대상이었다. 쿠릴 열도 내 인류 정착지의 분포는 역사적으로 바다표범류의 서식 범위와 연관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19세기와 20세기 초에는 모피를 얻기 위한 상업적 포획이 성행하여 북방물개( キタオットセイ|키타오토세이일본어 ) 등이 남획되었고, 라이코케 섬과 같은 일부 번식지는 멸절되기도 했다. 반면, 참물범과 스텔러바다사자( トド|토도일본어 )의 상업적 포획은 상대적으로 미미했으며, 1960년대 이후 추가 포획이 거의 없어 이들의 개체수는 비교적 건강하게 유지되거나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과거 쿠릴 열도에서도 서식했던 강치( ニホンアシカ|니혼아시카일본어 )는 어업에 피해를 준다는 이유로 구제 대상이 되어 20세기 초에 거의 자취를 감추고 멸종된 것으로 여겨진다.[66] 한때 쿠릴 열도 해안에 드물게 나타났던 일본강치 역시 현재 멸종되었다.
'''해달'''
해달( ラッコ|랏코일본어 )은 19세기에 가치가 높은 모피 때문에 심하게 남획되었다.[8][66] 이는 러시아가 쿠릴 열도로 세력을 확장하며 일본의 이익과 충돌하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해달의 수는 급격히 감소했으나, 20세기 중반 이후 사냥이 거의 금지되면서 쿠릴 열도 내 서식지가 점차 회복되고 있다.
'''고래류'''
쿠릴 열도 주변 해역에는 다양한 고래류가 서식한다. 특히 큰고래( ナガスクジラ|나가스크지라일본어 ), 밍크고래( ミンククジラ|밍크쿠지라일본어 ), 향유고래( マッコウクジラ|맛코쿠지라일본어 ), 큰부리고래( ツチクジラ|츠치쿠지라일본어 ), 베라르디우스고래( アカボウクジラ|아카보쿠지라일본어 ), 쇠돌고래( イシイルカ|이시이루카일본어 ), 범고래( シャチ|샤치일본어 ) 등이 많이 관찰되고 있다. 또한 멸종 위기에 처한 북태평양참고래( セミクジラ|세미쿠지라일본어 )[67]와 2019년 신종으로 보고된 베라르디우스 미니무스( クロツチクジラ|쿠로츠치쿠지라일본어 )[68]의 목격 사례도 비교적 최근까지 보고되고 있다.
'''해양 조류'''
쿠릴 열도는 수백만 마리의 해양 조류에게 중요한 서식지이다. 북극슴새, 뿔논병아리, 바다오리, 슴새, 바다제비, 갈매기, 가마우지 등이 대표적이다. 육상 포식자가 없는 작은 섬들에서는 여름철에 절벽 틈새나 바위 아래 등 가능한 모든 공간에서 새들이 번식한다. 남쿠릴의 쿠나시르 섬과 소쿠릴 열도, 그리고 북쿠릴의 우루프 섬에서 파라무시르 섬에 이르는 여러 섬들은 다양한 멸종위기 조류 종, 특히 물새, 해양 조류, 도요류의 중요한 서식지로서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에 의해 국제조류보호지역(IBA)으로 지정되었다.[9]
4. 2. 육상 생태
쿠릴 열도의 육상 생태계는 남쪽의 홋카이도 본섬과 사할린섬, 북쪽의 캄차카 반도 등에서 온 아시아 대륙 분류군과 북쪽의 캄차카 분류군이 지배적이다.[69][70] 종 다양성은 높지만, 종 수준에서의 고유종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다.WWF는 쿠릴 열도를 두 개의 생물지리구로 나눈다. 남부 쿠릴 열도는 사할린 남서부와 함께 사할린-쿠릴 혼합림 생물지리구를 구성하며, 북부 섬들은 캄차카 반도와 코만도르스키 제도까지 확장되는 캄차카-쿠릴 초원 및 드문 숲 생물지리구의 일부이다.
일반적으로 중앙 섬들의 크기가 작고 고립되어 있어 주요 육상 포유류는 거의 정착하지 못했다. 1880년대 모피 거래를 위해 붉은여우와 북극여우가 도입되었다.[69][70] 육상 포유류 생물량의 대부분은 역사적으로 많이 도입된 설치류가 차지한다. 가장 남쪽과 북쪽에 있는 큰 섬들에는 불곰, 붉은여우, 족제비 등이 토착종으로 서식하며, 이 중 불곰은 부분적으로 흰색이나 은색 털을 가진 개체도 발견된다.[69][70] 더 남쪽 섬에서는 일본사슴을 포함한 일부 사슴 종이 발견된다. 한때 표범도 이 섬들에 서식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쿠릴 밥테일이라는 짧은 꼬리를 가진 돌연변이 고양이가 쿠릴 열도에서 유래했으며, 러시아의 고양이 종 등록 단체로부터 인정을 받았다.[71] 이 고양이는 길들여져 인근 러시아로 수출되어 사육되면서 인기 있는 집고양이가 되었다.
육상 조류 중에는 까마귀, 점박이매, 일부 솔새, 개개비 등이 흔하며, 숲에는 매, 흰턱멧새, 흰꼬리되새 등도 서식한다.[69][70]
5. 역사
쿠릴 열도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민족과 국가의 영향 아래 놓여 있었다. 초기에는 아이누, 니브흐인, 윌타인 등 여러 선주민이 거주했으며, 특히 아이누는 북부의 치시마 아이누와 남부의 도토 아이누로 나뉘어 생활했다.
17세기 이후 네덜란드, 러시아, 일본 등 외부 세력이 쿠릴 열도에 진출하기 시작했다. 러시아는 18세기 초부터 캄차카 반도를 거점으로 북부 쿠릴 열도에 대한 탐험과 점령을 시도하며 남하 정책을 추진했고, 일본 역시 에도 시대 마쓰마에 번을 통해 남부 쿠릴 열도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려 했다. 이 과정에서 양국 간의 긴장이 고조되기도 했다.
1855년 러일 화친 조약을 통해 양국은 처음으로 국경을 획정하여 에토로후섬과 우루프섬 사이를 경계로 삼았다. 이후 1875년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에서 일본은 사할린섬에 대한 권리를 포기하는 대신, 우루프섬 이북의 쿠릴 열도 전체를 러시아로부터 할양받아 쿠릴 열도 전역을 영토로 삼게 되었다. 일본의 지배 하에서 쿠릴 열도의 아이누족은 동화 정책과 강제 이주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일본의 쿠릴 열도 지배는 제2차 세계 대전으로 끝나게 된다. 전쟁 말기인 1945년 8월, 소련-일본 중립 조약이 유효했음에도 불구하고 소련은 일본에 선전포고하고 쿠릴 열도 전체를 군사적으로 점령했다. 이 과정에서 북단 슘슈섬에서는 일본군과 소련군 사이에 격렬한 전투가 벌어지기도 했다.
전후 처리 과정에서 쿠릴 열도의 영유권 문제는 복잡한 양상을 띠게 되었다. 1951년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에서 일본은 쿠릴 열도에 대한 모든 권리를 포기했지만, 이 조약에 소련은 서명하지 않았고, 일본이 포기한 영토의 최종 귀속 주체도 명시되지 않았다. 이로 인해 현재까지 러시아(소련의 권리 계승)와 일본 사이에는 평화조약이 체결되지 않은 상태이다.
현재 쿠릴 열도 전체는 러시아가 실효 지배하고 있으며, 행정구역상 사할린주에 속한다.[32] 그러나 일본은 남부 4개 섬(에토로후섬, 쿠나시르섬, 시코탄섬, 하보마이 군도)을 자국 고유 영토인 '북방 영토(北方領土)'라고 주장하며 러시아에 반환을 요구하고 있다. 이 지역은 석유, 금, 황 등 해저 자원이 풍부한 것으로 확인되어 경제적 중요성도 부각되고 있다.[106] 러시아는 제2차 세계 대전의 결과에 따라 쿠릴 열도 전체가 합법적으로 자국 영토가 되었다는 입장을 고수하며, 군사 시설을 강화하는 등[107] 실효 지배를 공고히 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러시아와의 정상회담 등을 통해 반환 협상을 시도하고 있으나 별다른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다.[108][109][110]
5. 1. 초기 역사
쿠릴이라는 이름은 섬의 원주민인 아이누의 자칭인 '쿠르'(kur, '사람'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6] 이는 아이누가 전통적으로 거주해 온 다른 섬들의 이름, 예를 들어 사할린의 '쿠이'(Kuyi) 또는 '쿠예'(Kuye), 홋카이도의 '카이'(Kai)와도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일본어로 쿠릴 열도는 치시마 열도(千島列島, Chishima Rettō, '천 섬 열도'라는 뜻)로 알려져 있으며, 쿠릴 열도(クリル列島, Kuriru Rettō)라고도 불린다. 18세기에 러시아인들이 이 섬들에 도착했을 때, 화산으로 인해 섬 위로 계속해서 연기와 증기가 피어오르는 것을 보고 러시아어 '쿠리트'(kurit′), курить ('피우다'라는 뜻)에서 유래했다고 생각했으나 이는 잘못된 어원이다.


아이누 사람들은 초기부터 쿠릴 열도에 거주했지만, 17세기 이전의 기록은 거의 없다. 가마쿠라 시대부터 무로마치 시대에 걸쳐 홋카이도 태평양 연안에서 쿠릴 지역까지 히노모토(日ノ本)라 불리는 에조(아이누) 사람들이 있었고, 안도 씨가 에조 사테시쿠(蝦夷探題職)와 에조 간레이(蝦夷管領)를 맡았다는 기록("수와 다이묘진 에코토바")이 있다. 에조가시마(蝦夷ヶ島, 홋카이도)에 혼란이 일어나자 쓰가루(津輕)에서 군대를 파병했다고도 한다. 이 시기 안도 수이군(安東水軍)이라 자칭하는 세력은 주산미나토(十三湊)를 근거지로 하여 간토 고멘센(関東御免船)을 운영하며, 에조 사회에 일본 제품을 공급하고 북방 산물을 대량으로 구입하여 일본 전역으로 운송했다("13개의 거리"). 이후 일본의 봉건 영주인 마쓰마에 씨는 안도 씨로부터 독립했다. 일본 행정부는 에도 시대(1603-1868) 동안 마쓰마에 씨의 영유권 주장을 통해 처음으로 명목상 쿠릴 열도를 지배하게 되었다.[10] 1644년 도쿠가와 막부가 제작한 일본 지도인 쇼호 구니에즈(正保国絵図)에는 홋카이도의 시레토코 반도와 노삿푸 곶 북동쪽에 크고 작은 39개의 섬이 표시되어 있다.
한편, 유럽인들의 탐험도 시작되었다.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소속의 마르텐 게리츠 프리즈(Maarten Gerritsz Vries)가 이끄는 네덜란드 원정대는 1643년에 이 섬들을 탐험했다. 러시아의 페도트 알렉세예비치 포포프(Fedot Alekseyevich Popov)는 약 1649년경 이 지역을 항해한 것으로 추정된다.[11] 1711년에는 러시아 코사크들이 슘슈섬에 상륙했다.[12]
미국 포경선들은 1847년부터 1892년까지 이 섬들 근해에서 북태평양긴수염고래를 포획했다.[13] 그중 세 척의 배가 이 섬들에서 난파되었다. 두 척은 1855년 우루프섬에서,[14][15] 한 척은 1856년 마칸루시섬에서 난파되었다.[16] 1892년 9월 쿠나시르섬 북쪽에서 러시아의 범선이 미국 매사추세츠주 뉴베드퍼드 소속의 바크선 "케이프 혼 피전(Cape Horn Pigeon)"을 나포하여 블라디보스토크로 호송했고, 거기서 거의 2주 동안 억류되었다.[17]
열도에는 옛날부터 주로 아이누 등이 거주했지만, 열도 내에서도 두 집단으로 나뉘어 있었다.[72] 북동쪽의 슘슈섬(占守島)부터 시무시르섬(新知島)까지는 치시마 아이누가 사는 지역이었고, 반면 남서쪽의 부로톤섬(武魯頓島) 이남은 메나시쿨(도토 아이누)이 사는 지역이었다. 중간 지점이었던 우루프섬(得撫島)에서는 치시마 아이누와 도토 아이누 사이의 침묵 교역이 이루어졌다.
근대 이후 일본과 러시아는 경쟁적으로 쿠릴 열도에 대한 진출을 진행했고,[73] 일본인(和人)과 러시아인이 점차 섬들에 이주했다.
무로마치 시대(15세기)까지 아이누가 진출했으며, 주로 메나시쿨 지역의 북방 영토와 네무로 군 이남, 치시마 아이누 지역의 신치 군의 라쇼와 섬이나 쇼무 군의 호로멘(파람시르) 섬, 슘슈섬 등에 거주하고 있었다.
=== 치시마 아이누의 영역 ===
에도 시대에는 츤뿌카 제도라고 불렸으며, 쇼무 군(占守郡) 및 신치 군(新知郡)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러일 화친 조약과 사할린·쿠릴 교환 조약 등에서 정의되는 쿠릴 열도에 포함된다. 러시아 제국의 침입(남하 정책) 이전에는 치시마 아이누가 원주민으로 거주하고 있었다.
- 1643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소속의 지리학자 마르틴 게를리츠엔 프리스가 상륙하여 우루프섬에서 치시마 아이누와 교류했다.
- 1711년: 러시아의 코사크들이 캄차카 반도에서 쇼무 군의 슘슈섬에 침공하여 치시마 아이누와 전투를 벌였다.[12]
- 1713년: 러시아인 다닐라 야코블레비치 안치페로프와 이반 페트로비치 코지레프스키가 쇼무 군의 파라무시르섬에 상륙하여 격렬하게 저항하는 치시마 아이누를 무력으로 제압하고 점령했다. 이후 가혹한 모피 세금이 부과되었다.
- 1745년(엔쿄 2년) 5월: 다케우치 도쿠베에(竹内徳兵衛) 등 다카마루(多賀丸) 표류민 11명이 쇼무 군의 온네코탄섬에 표착했다.
- 1766년(메이와 3년): 헝가리인 모리츠 베뇨브스키가 러시아 제국의 쿠릴 열도 남하( '''남하 정책''' )를 경고하면서, 점차 막부와 학자들 사이에서 "북방" 국방의 중요성이 제기되었다.
- 1804년(분카 원년) 음력 7월 18일: 쓰기에몬(継右衛門) 등 케이쇼마루(慶祥丸) 표류민 6명이 쇼무 군 파라무시르섬 동포에 표착했다.
- 1872년(메이지 5년): 쇼무 군 시코탄섬의 화산이 분화하여 사냥 중이던 치시마 아이누 13명이 사망했다.
- 1872년(메이지 5년) 이후: 영국 등의 배가 들어와 해달과 바다표범 사냥을 시작했다.
- 1875년(메이지 8년): 사할린·쿠릴 교환 조약에 의해 사할린 전역과 쿠릴 열도(우루프섬 이북)가 교환되어 일본 영토가 되었다.
- 1884년(메이지 17년): 영국인 H.J. 스노우가 쿠릴 열도 측량을 실시하여 지도를 제작했다. 같은 해, 일본 관리는 생활 물자 보급의 어려움과 국방상 문제를 이유로 치시마 아이누를 설득하여 당시 무인도였던 시코탄섬으로 강제 이주시켰다(『千島巡航日記』). 그러나 익숙하지 않은 생활과 풍토 때문에 치시마 아이누의 인구는 급격히 감소했다.
- 1893년(메이지 26년): 치시마 호효의회(千島報效義会) 회원들이 쇼무 군의 슘슈섬, 파라무시르섬, 시코탄섬에서 월동을 시도했으나, 파라무시르섬 1명, 시코탄섬 9명 전원이 사망하는 비극을 겪었다.
- 1922년(다이쇼 11년)부터 1936년(쇼와 11년)까지: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에 의해 요새화가 금지되었다.
- 1875년(메이지 8년)부터 일본 영토였지만, 특별한 방비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 1940년(쇼와 15년): 일본 육군에 의해 쇼무 군의 파라무시르섬에 북쿠릴 임시 요새가 건설되었고, 일본 해군도 파라무시르섬, 신치 군의 마투아섬에 차례로 비행장을 정비해 나갔다.
- 1941년(쇼와 16년) 6월 이후: 육군은 쇼무 군에 전개하는 병력을 1개 연대 규모로 증강하고, 신치 군에도 부대를 배치했다. 해군은 제5함대를 새롭게 편성하여 쿠릴 열도에서 오가사와라 제도까지 일본 본토 동쪽 해역의 경비를 담당하게 했다.
=== 도토 아이누의 영역 ===
우루프 군(得撫郡)과 북방 영토(쿠나시르섬, 에토로후섬)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우루프 군은 러일 화친 조약과 사할린·쿠릴 교환 조약 등에서 정의되는 쿠릴 열도에 포함되고, 에토로후섬 이남은 북방 영토(북방 4개 섬)로 구분된다. 일본 사회에는 무로마치 시대부터 해달 가죽의 산지로 알려졌으며, 에도 시대에는 마쓰마에 번 영토나 막부 직할령이 되어, 혼슈 이남과 유사하게 향촌 제도가 시행되었다. 아이누 유력자는 옴샤(ウイマム)에서 역아이누(役蝦夷)로 임명되어 마을 행정을 담당하기도 했다.
- 1643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소속의 지리학자 마르틴 게를리츠엔 프리스가 상륙하여 측량도를 만들었다.
- 1661년: 에토로후섬에 이세국의 시치로베에(七郎兵衛)의 배가 표류했다. 아이누들의 도움으로 쿠나시르섬을 거쳐 에조(홋카이도)로 건너가 1662년(간분 원년) 에도로 돌아왔다.
- 1700년(겐로쿠 13년): 마쓰마에 번은 쿠릴 열도를 포함한 에조 지방의 지명을 적은 마쓰마에 섬 향장을 작성하여 에도 막부에 제출했다. 이 향장에는 홋카이도 본섬에서 캄차카 반도까지 기재되어 있다.[78]
- 1715년(쇼토쿠 5년): 막부에 대해 마쓰마에 번주는 「홋카이도, 사할린, 쿠릴 열도, 캄차카 반도」가 마쓰마에 번 영토라고 보고했다.
- 1731년(교호 16년): 쿠나시르·에토로푸의 수장들이 마쓰마에 번주를 방문하여 헌상품을 증정했다(성하 거래, 우이마무라고도 함).
- 1754년(호레키 4년): 마쓰마에 번은 쿠나시르·에토로푸·우루프의 3개 섬을 판도로 하는 쿠나시르 장소(場所)를 열었다(장소 도급 제도 참조).
- 1766년(메이와 3년): 러시아인이 처음으로 우루프섬 이남에 도착했다. 우루프섬에서는 이반 쵸르누이(Ivan Chornyi)가 이끄는 일단이 일시적으로 거주하며 다수의 아이누 여성을 착취하고 현지 아이누를 혹사하여 해달 사냥을 시켰다. 수년 후 철수했다.
- 1770년대: 러시아인이 통상을 요구하며 우루프섬이나 에토로후섬, 쿠나시르섬 등에 나타났고, 더 나아가 1778년(안에이 7년)에는 홋카이도 키리타푸까지 항해했다.
- 1772년(메이와 9년): 우루프 군에서 도토 아이누와 우루프섬으로 도망친 치시마 아이누가 봉기하여 러시아인 21명을 살해하고 캄차카 반도로 추방했다.
- 1786년(덴메이 6년): 막부가 모가미 도쿠나이를 파견하여 쿠나시르 장소의 에토로후섬과 우루프섬 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에토로후섬에는 귀국하지 못한 러시아인 3명이 체류하고 있었으며, 아이누 중 러시아 정교를 믿는 사람이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1791년(간세이 3년) 체류 러시아인은 에토로후섬에서 귀국했다. 같은 해, 모가미 도쿠나이는 다시 에토로후섬과 우루프섬을 방문했다.
- 1789년(간세이 원년): 노동 환경과 상거래에 불만을 품은 쿠나시르 장소의 아이누가 봉기했다(쿠나시르·메나시 전투). 후에 난의 평정에 힘쓴 아이누 지도자들을 소재로 한 이슈레츠조가 그려졌다.
- 1798년(간세이 10년): 막부에 의한 북방 탐험이 대규모로 실시되어 곤도 주조가 에토로후섬에 「대일본 에토로후(大日本恵登呂府)」라는 표주를 세웠다.
- 1799년(간세이 11년): 막부가 쿠릴 열도를 포함한 동에조 지방을 막부 직할령으로 삼았다. 고다유 가헤에가 에토로푸 항로(기타마에부네)를 개척했다.
- 1801년(교와 원년): 도미야마 모토주로와 후카야마 우헤이다를 우루프섬에 파견하여 일본 영토임을 나타내는 「천장지구 대일본 속도(天長地久大日本属島)」라는 표주를 세웠다. 이 무렵, 에조치 경영을 강화하던 일본과 러시아 사이에서 쿠릴 방면의 국경 설정 문제가 대두되었다. 우루프섬에는 이미 17명의 러시아인이 거주하고 있었기에, 막부는 표주를 세우는 동시에 퇴거를 요구했다.
- 1805년: 체류 러시아인들이 우루프섬에서 귀국했다.
- 1806년(분카 3년):
- 이 해 이후, 막부 관리들이 난부 번, 쓰가루 번의 보병, 통역, 반인(番人), 아이누들과 함께 매년 우루프섬 경비를 실시했다.
- '''분카 로코''': 러시아인 니콜라이 흐보스토프가 사할린이나 에토로후섬 등을 습격·약탈했다.
- 1811년(분카 8년): 쿠나시르섬에서 러시아 함선을 나포하고 바실리 골로브닌을 붙잡아 마쓰마에에서 구금했다( '''골로브닌 사건''' ).
- 1854년(가에이 7년): 쿠릴 열도, 전 사할린 섬, 캄차카 반도까지 명기한 「개정 에조 전도」가 제작되었다(가요 토요시마 다케루 작).
- 1855년(안세이 원년): 러일 화친 조약이 체결되어 에토로후섬 이남이 일본 영토로 설정되었고, 우루프 군을 상실했다. 사할린 국경은 정하지 않고 미루었다.
- 1875년(메이지 8년): 사할린·쿠릴 교환 조약에 의해 우루프 군이 일본 영토로 복귀했다.
- 1940년(쇼와 15년): 일본 해군은 에토로후섬에 차례로 비행장을 정비해 나갔다.
- 1941년(쇼와 16년) 6월의 독소 전쟁 개전 이후, 육해군 모두 실질적인 부대 배치를 시작한다. 육군은 에토로후섬 등에도 부대를 배치했다. 해군은 제5함대를 새롭게 편성하여 쿠릴 열도에서 오가사와라 제도까지 일본 본토 동쪽 해역의 경비를 담당하게 했다.
- 11월, 에토로후섬 단관만에 해군의 항공모함 6척을 포함해 군함 30척으로 이루어진 기동 부대가 비밀리에 집결하여 진주만 공격을 위해 하와이를 향해 출항했다.
5. 2. 일본과 러시아의 진출
쿠릴 열도에는 원래 아이누를 비롯한 여러 선주민이 거주하고 있었다.[72] 이들은 크게 북동부의 치시마 아이누와 남서부의 도토 아이누로 나뉘었으며, 우루프섬에서는 두 집단 간의 침묵 교역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가마쿠라 시대부터 무로마치 시대에 걸쳐 홋카이도 태평양 연안에서 쿠릴 지역까지 아이누계 주민인 히노모토인이 있었으며, 안도씨가 이 지역을 관리했다는 기록이 있다("수와 다이묘진 에코토바").
17세기에 들어서면서 외부 세력의 진출이 시작되었다. 1643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소속의 마르틴 게를리츠엔 프리스가 이끄는 원정대가 쿠릴 열도를 탐험하고 우루프섬에서 아이누와 교류했다. 1649년경에는 러시아인 페도트 알렉세예비치 포포프가 이 지역을 항해한 것으로 추정된다.[11]
18세기에는 러시아 제국의 본격적인 남하가 시작되었다. 1711년 러시아 코사크들이 최북단의 슘슈섬에 침공하여 아이누와 전투를 벌였고,[12] 1713년에는 다닐라 안치페로프와 이반 코지레프스키가 우루루섬에 상륙하여 저항하는 아이누를 무력으로 제압하고 점령, 가혹한 모피세를 부과했다. 러시아인들은 점차 남쪽으로 영향력을 확대하려 했고, 1766년에는 헝가리 출신 모험가 모리츠 베뇨브스키가 러시아의 남하 정책에 대해 일본 에도 막부에 경고하기도 했다. 러시아는 1770년대에 에토로후섬, 쿠나시르섬 등 남부 쿠릴 열도와 홋카이도의 키리타푸까지 항해하며 통상을 요구했다. 그러나 1772년 우루프섬에서 아이누들이 봉기하여 러시아인 21명을 살해하고 추방하는 사건도 발생했다.
일본 에도 막부 역시 쿠릴 열도에 대한 관심을 높여갔다. 1700년 마쓰마에 번은 쿠릴 열도를 포함한 에조치(홋카이도 및 주변 지역) 지도를 막부에 제출했고,[78] 1715년에는 쿠릴 열도 등이 마쓰마에 번의 영지임을 보고했다. 1754년 마쓰마에 번은 쿠나시르, 에토로푸 등 남부 섬들을 관할하는 쿠나시르 장소를 설치했다. 러시아의 남하에 대응하여 막부는 1786년 모가미 도쿠나이를 파견하여 에토로푸섬과 우루프섬을 조사하게 했고, 1798년에는 콘도 주조가 에토로푸섬에 '대일본 에토로후(大日本恵登呂府)'라는 표주를 세워 일본 영토임을 선언했다. 1799년 막부는 동에조치(쿠릴 열도 포함)를 직할령으로 삼았고, 1801년에는 도야마 모토쥬로 등을 우루프섬에 파견하여 '천장지구 대일본 속도(天長地久大日本属島)' 표주를 세우고 러시아인들의 퇴거를 요구했다.
19세기 초에는 양국 간의 긴장이 고조되었다. 1806년 러시아 해군 장교 니콜라이 흐보스토프가 사할린과 에토로푸섬 등을 습격하는 분카 로코가 발생하자, 막부는 난부 번과 쓰가루 번 병력을 동원하여 경비를 강화했다. 1811년에는 일본 측이 쿠나시르섬에 상륙한 러시아 함장 바실리 골롭닌 일행을 나포하여 구금하는 골롭닌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한편, 19세기 중반부터는 미국의 포경선들이 쿠릴 열도 근해에서 북태평양참고래를 포획하기 시작했으며, 1847년부터 1892년까지 활동했다.[13] 이 과정에서 몇 척의 미국 포경선이 우루프섬(1855년 2척)[14][15]과 마칸루시섬(1856년 1척)[16]에서 난파되기도 했다. 1892년에는 쿠나시르섬 북쪽에서 러시아 범선이 미국 포경선을 나포하여 블라디보스토크로 압송하는 사건도 있었다.[17]
1855년 일본과 러시아는 러일 화친 조약을 체결하여 에토로푸섬을 기준으로 남쪽은 일본령, 우루프섬을 기준으로 북쪽은 러시아령으로 국경을 정했다. 1875년에는 사할린·쿠릴 교환 조약을 통해 일본이 사할린섬 전체에 대한 권리를 포기하는 대가로 우루프섬 이북의 쿠릴 열도 전체를 넘겨받아, 쿠릴 열도 전역이 일본 영토가 되었다. 이 조약으로 쿠릴 열도의 아이누족은 3년 내에 일본 또는 러시아 국적을 선택하도록 강요받았으며, 러시아 국적을 선택할 경우 러시아 영토로 이주해야 했다.[74]
일본의 통치가 확립된 이후, 19세기 말부터 일본 정부는 쿠릴 열도의 아이누족에 대한 강제 동화 정책을 추진했다.[18][19] 아이누족에게는 자동적으로 일본 국적이 부여되었고, 일본식 이름 사용 강요, 전통적인 종교 의식 및 문신 금지 등의 조치가 취해졌다.[19] 교육 역시 일본어로 진행되었다. 또한 1884년 일본 정부는 물자 보급과 국방상의 이유를 들어 북부 쿠릴의 아이누족을 시코탄섬으로 강제 이주 시켰으나, 낯선 환경과 풍토로 인해 이들의 인구는 급감했다. 많은 일본인들이 아이누족의 터전이었던 쿠릴 열도로 이주하면서 원주민 아이누족의 입지는 더욱 좁아졌다.
5. 3. 제2차 세계 대전
1875년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으로 쿠릴 열도 전체가 일본 영토가 된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전까지 일본의 지배 하에 있었다.
1941년, 야마모토 이소로쿠 제독은 이투루프섬(남쿠릴 열도)의 히토카푸만에서 진주만 공격을 위한 일본 제국 해군 부대의 집결을 명령했다. 이곳은 인구 밀도가 낮고 외국인이 거의 없으며 안개가 짙어 비밀 유지에 유리했기 때문에 선택되었다. 부대는 11월 26일 하와이로 이동했다.
태평양 전쟁이 진행되면서 쿠릴 열도는 미군과의 접경 지역이 되었다. 1943년 아투섬 전투에서 일본 수비대가 전멸하고 키스카섬 철수 작전으로 키스카섬 수비대가 철수한 후, 쿠릴 열도는 대미 방어의 최전선이 되었다. 일본은 기존 부대에 키스카섬 철수 부대와 일본 본토 증원 부대를 합쳐 육군 북치시마 수비대를 사단 규모로 증강하고, 슘슈섬, 파라무시르섬, 북방 4개 섬에도 병력을 증강했다. 해군은 제5함대를 지원하기 위해 제12항공함대를 창설하고, 제5함대와 제12항공함대를 통괄 지휘하는 북동방면 함대를 편성했다.
1943년 7월 10일, 미군은 알류샨 열도의 암치트카 알렉세이 비행장에서 이륙한 B-25 미첼 폭격기 8대로 슘슈섬과 파라무시르섬의 일본 기지를 처음 폭격했다. 9월 11일에는 제11공군 소속 B-24 리버레이터 8대와 B-25 12대가 다시 공습을 감행했으나, 강화된 일본 방어로 인해 B-24 3대와 B-25 7대에 탑승한 74명의 승무원이 돌아오지 못했다(전사 22명, 포로 1명, 캄차카 억류 51명). 이후에도 미 제11공군은 북쿠릴 열도에 대한 폭격 작전을 계속했으며, 1944년 2월 5일에는 B-24 6대와 P-38 라이트닝 16대가 동원되었다. 일본 측 기록에 따르면 마투아섬의 군사 시설도 1943년과 1944년 사이에 미군의 공습을 받았다.
미국은 일본의 주의를 북쪽으로 돌리기 위해 "웨들록 작전"이라는 기만 작전을 수행했다.[22] 이 작전에는 미 육군 항공대와 해군 폭격기의 공습, 해군 함포 사격 및 잠수함 작전이 포함되었다. 이에 일본은 미국이 알래스카에서 침공할 가능성에 대비하여 1943년 8,000명이던 북쿠릴 열도 주둔군을 1944년 41,000명으로 증강하고, 쿠릴 열도와 홋카이도 지역에 400대 이상의 항공기를 유지했다. 미국은 1943년 가을 알류샨 열도를 통한 일본 북부 침공 계획을 잠시 고려했으나 위험하고 비실용적이라는 이유로 기각했다.
1944년 일본 육군은 쿠릴 방면 방어를 위해 제27군 사령부를 에토로후섬에 신설하고, 전차 제11연대를 포함한 병력을 증강했다. 우루프섬과 파라무시르섬에는 제91사단, 온네코탄섬에는 해상기동 제3여단, 슘슈군 지역에는 제42사단, 에토로후섬에는 해상기동 제4여단과 독립혼성 제43여단, 쿠나시르섬에는 독립혼성 제69여단이 편성되었다. 해군 제5함대는 남방 작전 참가 후 전속되어 북동방면 함대는 해산되었지만, 제12항공함대는 종전까지 쿠릴 열도와 사할린 방면 경계 임무를 수행했다.
1945년에 들어서면서 일본 본토 결전 준비를 위해 2개의 해상기동여단, 육군 항공 부대, 해군 부대의 대부분이 일본 본토로 이동했다. 이 과정에서 많은 부대가 미군의 공습, 잠수함 공격, 함포 사격 등으로 피해를 입었다.
1945년 2월 얄타 협정[23]에서 연합국은 소련이 태평양 전쟁에 참전하는 대가로 남사할린과 쿠릴 열도를 소련에 넘겨주기로 약속했다.
1945년 8월 14일, 일본 정부는 포츠담 선언 수락을 결정하고 무조건 항복했다. 그러나 바로 다음 날인 8월 15일, 소련 극동군 사령관 알렉산드르 바실레프스키는 쿠릴 열도 점령 명령을 내렸다.[79] 당시 쿠릴 열도에는 북방 영토 지역에만 17,291명의 일본 민간인이 거주하고 있었다.[75] 일본군 병력은 종전 시점 기준으로 슘슈섬과 파라무시르섬에 제91사단, 마투아섬에 독립혼성 제41연대, 토쿠나시섬에 독립혼성 제129여단, 북방 4개 섬(에토로후섬, 쿠나시르섬, 시코탄섬, 하보마이 군도)에 제89사단이 배치되어 있었다.
8월 18일, 소련군은 캄차카 반도의 로파트카 곶에서 포격을 개시하고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에서 출격한 소련 제2극동전선군이 슘슈섬에 상륙, 일본군 제5방면군 제91사단과 교전을 시작했다(쿠릴 열도 상륙 작전). 8월 21일에 정전 협정이 이루어졌지만, 나흘간의 전투로 소련 측 1,567명, 일본 측 1,018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소련 측 자료 기준. 일본 측 자료에는 소련군 약 3,000명, 일본군 약 600~700명의 사상자로 기록되어 있다). 스탈린은 당초 슘슈섬을 하루 만에 점령하고 홋카이도 동부( 루모이-쿠시로 선 동쪽)까지 점령할 계획이었으나, 슘슈섬에서의 예상치 못한 저항과 홋카이도 점령에 대한 트루먼 미국 대통령의 반대로 홋카이도 침공은 실행되지 못했다.

슘슈섬의 일본군은 8월 23~24일에 무장 해제되었다. 소련군은 북쿠릴 열도를 계속 점령하여 8월 26일 마투아섬, 8월 28일부터 31일까지 토쿠나시섬을 점령했다. 에토로후섬 이남의 남쿠릴 열도(북방 4개 섬) 점령은 사할린 제압을 마친 소련 제1극동전선군을 투입하여 8월 28일부터 시작되었다. 8월 29일 에토로후섬, 9월 1일 쿠나시르섬과 시코탄섬에 상륙했으며, 9월 2일 일본이 공식적으로 항복 문서에 서명한 이후에도 점령 작전은 계속되어 9월 4일에 두 섬의 점령을 완료했다. 9월 5일 하보마이 군도를 마지막으로 점령하면서 쿠릴 열도 전체가 소련의 통제 하에 들어갔다.
점령 후 쿠릴 열도 주둔 일본군은 무장 해제되어 스탈린의 지시로 시베리아의 수용소로 보내졌다(시베리아 억류). 소련은 점령지에 러시아인들을 이주시키고 일본인 주민들의 재산을 몰수했다. 아이누를 포함한 쿠릴 열도의 일본 민간인 약 17,000명은 1946년까지 거의 모두 일본 본토로 추방되거나 송환되었다. 다만, 조선적 주민들은 일본 귀환이 허용되지 않았고, 이들과 결혼했거나 잔류를 희망한 일부 일본인들은 사할린섬으로 이송되어 사할린 거주 조선인이 되었다.
한편, 1945년 8월 24일부터 9월 4일까지 미 육군 항공대 제11공군은 B-24 폭격기 2대를 동원해 북쿠릴 열도 상공에서 정찰 임무를 수행하며 소련군의 점령 상황을 촬영하려 했으나, 소련 전투기의 요격을 받고 쫓겨났다.
5. 4. 전후: 러시아 실효 지배와 영토 분쟁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쿠릴 열도 남부 지역은 러시아와 일본 간의 영토 분쟁 지역이 되었으며, 현재는 러시아가 실효적으로 지배하고 있다. 일본은 이 지역, 특히 남부 4개 섬(이투루프, 쿠나시르, 시코탄, 하보마이 군도)에 대해 '북방 영토(北方領土)'라 부르며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이 지역은 석유, 금, 황 등 풍부한 해저 자원이 확인되어 경제적 중요성도 부각되고 있다.[106]원래 이 지역에는 아이누, 니브흐인, 윌타인 등 여러 선주민이 거주했으나, 18세기에 러시아인과 일본인이 들어오기 시작했다. 1875년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으로 일본은 사할린섬 전체를 러시아에 넘기는 대신 쿠릴 열도 전체를 할양받았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소련-일본 중립 조약에도 불구하고 소련은 1945년 8월 일본에 선전포고하고 쿠릴 열도를 침공하여 점령했다.
=== 소련의 점령 과정 ===
- '''북부 쿠릴 점령:''' 1945년 8월 14일, 일본 정부가 포츠담 선언 수락으로 무조건 항복 의사를 밝혔으나, 소련 극동군 사령관 알렉산드르 바실레프스키는 쿠릴 열도 점령 명령을 내렸다.[79] 8월 18일, 소련군은 캄차카반도 로파트카 곶에서 포격을 시작하며 최북단 슘슈섬에 상륙, 일본군 제5방면군 제91사단과 격전을 벌였다. 8월 21일 정전이 이루어졌으나, 나흘간의 전투로 양측에 상당한 사상자가 발생했다(소련 측 1,567명, 일본 측 1,018명 사상 - 소련 측 자료). 슘슈섬 점령 지연으로 스탈린이 계획했던 홋카이도 동부 점령은 실행되지 못했다. 소련군은 8월 말까지 우루프섬까지 북부 및 중부 쿠릴 열도를 점령했다.
- '''남부 쿠릴(북방 4개 섬) 점령:''' 사할린 점령을 마친 소련 제1극동군은 8월 29일 이투룹섬을 시작으로 9월 1일 쿠나시르섬과 시코탄섬에 상륙했으며, 일본의 공식 항복일인 9월 2일 이후에도 작전을 계속하여 9월 5일 하보마이 군도까지 점령하며 쿠릴 열도 전체를 장악했다.
- '''전후 처리:''' 점령 후 쿠릴 열도와 홋카이도 간 교통이 차단되었고, 주둔 일본군은 무장 해제 후 시베리아로 강제 연행되었다. 소련은 러시아인들을 이주시키고 일본 주민들의 재산을 몰수했다. 아이누를 포함한 일본계 주민들은 1947년까지 대부분 일본 본토로 송환되었으나, 조선 국적자 및 그들과 결혼한 일부 일본인은 잔류하여 이후 사할린으로 이주되었다.


=== 러시아의 실효 지배 ===
소련 붕괴 후 러시아 연방이 쿠릴 열도 전체를 계승하여 현재까지 실효 지배하고 있다.[32] 행정구역상으로는 사할린주 소속의 세베로쿠릴스크군, 쿠릴스크군, 유즈노쿠릴스크군으로 나뉜다. 현재 상주 인구가 있는 섬은 북방 4개 섬(이투룹섬, 쿠나시르섬, 시코탄섬)과 북부의 파라무시르섬 정도이며, 나머지 섬들은 대부분 무인도이거나 러시아군 기지, 등대 시설 등이 있다.
2010년 러시아 인구 조사 기준 쿠릴 열도 전체 인구는 18,735명이었다. 북방 4개 섬(남쿠릴 열도)의 인구는 2018년 조사 기준 18,010명으로 집계되었다.[75]
지명 | 인구(1945년)[75] | 인구(2016년)[75] | 인구(2018년)[75] |
---|---|---|---|
이투룹섬 | 3,608 명 | 5,937 명 | 6,049 명 |
쿠나시르섬 | 7,364 명 | 7,817 명 | 8,531 명 |
시코탄섬 | 1,038 명 | 2,917 명 | 3,070 명 |
하보마이 군도 | 5,281 명 | 0 명 | 0 명[77] |
합계 | 17,291 명 | 16,668 명 | 18,010 명 |
러시아는 쿠릴 열도에 대한 지배를 공고히 하고 있다. 2012년 10월에는 당시 국방장관 아나톨리 세르듀코프가 쿠릴 열도의 군사 시설 강화를 발표했으며,[107] 2017년 2월에는 이름 없던 5개의 쿠릴 섬에 데레뱐코 섬, 그네치코 섬, 그로미코 섬, 파르후트디노프 섬, 슈체티니나 섬 등의 이름을 부여하기도 했다.[24]
=== 영토 분쟁 ===
1951년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에서 일본은 쿠릴 열도에 대한 모든 권리, 권원 및 청구권을 포기한다고 명시했다. 그러나 이 조약은 쿠릴 열도의 최종적인 귀속 국가를 명시하지 않았고, 당시 소련은 이 조약에 서명하지 않았다.[97][98] 이로 인해 일본과 러시아 사이에는 현재까지 평화조약이 체결되지 않았으며, 양국 간 국경은 국제법상 미확정 상태로 남아 있다.
분쟁의 핵심은 샌프란시스코 조약에서 일본이 포기한 '쿠릴 열도'의 범위와 북방 4개 섬의 법적 지위에 대한 해석 차이이다.
- '''일본의 주장:''' 일본 정부는 북방 4개 섬(이투룹섬, 쿠나시르섬, 시코탄섬, 하보마이 군도)은 역사적으로 일본 고유 영토이며, 1855년 러일 화친 조약으로 평화적으로 확정된 홋카이도의 부속 도서이므로 샌프란시스코 조약에서 포기한 '쿠릴 열도'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82] 초기에는 이투루프와 쿠나시르를 쿠릴 열도에 포함된다고 설명했으나,[86][91][92] 1956년 입장을 변경하여[94] 4개 섬 모두 쿠릴 열도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주장하며[95] 러시아에 반환을 요구하고 있다.[82][96] 또한, 북방 4개 섬 이외의 쿠릴 열도(우루프섬 이북)에 대해서는 샌프란시스코 조약에 소련이 불참했고 귀속처가 정해지지 않았으므로 국제법상 귀속 미정 지역이라고 주장한다.[33] 다만, 이 지역에 대한 적극적인 반환 요구는 하지 않고 있다. 2005년 당시 총리 고이즈미 준이치로는 해당 섬들에 대해 일본이 영유권을 포기했고 러시아 외 다른 국가도 영유권을 주장하지 않으므로 일본 정부가 이의를 제기할 입장이 아니라고 발언한 바 있다.[99]
- '''러시아의 주장:''' 러시아(구 소련)는 얄타 회담의 합의와 제2차 세계 대전의 결과에 따라 쿠릴 열도 전체(북방 4개 섬 포함)를 합법적으로 영유하게 되었으며, 이는 이미 국내법으로 편입되었다고 주장한다.[32][87] 러시아는 북방 4개 섬을 '남쿠릴 열도'로 칭하며 쿠릴 열도의 일부로 간주한다. 영어권 등 국제적으로도 4개 섬을 쿠릴 열도의 일부로 보는 시각이 일반적이다.[89][90]
일본 정부는 러시아와 정상회담 등을 통해 북방 4개 섬 반환을 추진하고 있으나, 러시아는 강경한 입장을 유지하며 별다른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108][109][110]
=== 일본 내 정당별 입장 ===
- '''일본 공산당:''' 사할린·쿠릴 교환 조약으로 평화적으로 일본 영토가 된 모든 쿠릴 열도는 카이로 선언 등에서 언급된 '폭력과 탐욕에 의해 약취한 지역'에 해당하지 않으며, 대서양 헌장의 영토 불확대 원칙에도 어긋나지 않으므로, 북방 4개 섬을 포함한 쿠릴 열도 전체가 일본에 반환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100][101] (과거에는 입장이 여러 차례 바뀌기도 했다.[102])
- '''구 일본 사회당 (현 사민당):''' 과거 야당 제1당 시절, 쿠릴 열도 전체뿐만 아니라 남사할린까지 일본 영토라고 주장한 바 있다.[103][104][105]
6. 행정 구역 및 구성 섬
쿠릴 열도는 일본 홋카이도에서 러시아 캄차카반도까지 이어지는 20개 이상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오호츠크해와 태평양의 경계를 이룬다. 현재 모든 섬은 러시아 연방 정부가 실효 지배하고 있으며[32], 행정적으로는 러시아 사할린주에 속하며 세 개의 군(라욘)으로 나뉜다.
쿠릴 열도는 크게 북쿠릴 열도, 중쿠릴 열도, 남쿠릴 열도로 나뉜다. 이 중 남쿠릴 열도에 속하는 이투루프섬(일본명: 에토로후섬), 쿠나시르섬(일본명: 구나시리섬), 시코탄섬과 하보마이 군도는 일본이 북방 영토라 부르며 영유권을 주장하는 지역으로, 쿠릴 열도 분쟁의 대상이다. 일본 정부는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에서 쿠릴 열도의 최종 귀속이 명시되지 않았고 소련이 이 조약에 서명하지 않았다는 점 등을 근거로, 북방 영토와 남사할린을 제외한 나머지 쿠릴 열도 역시 국제법상 지위가 미정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한편, 러시아 정부는 2017년 2월 8일, 사할린주 내 이름 없던 5개의 쿠릴 열도 섬에 데레뱐코 섬(쿠즈마 데레뱐코 명칭), 그네치코 섬(알렉세이 그네치코 명칭), 그로미코 섬(안드레이 그로미코 명칭), 파르후트디노프 섬(이고르 파르후트디노프 명칭), 슈체티니나 섬(안나 슈체티니나 명칭)이라는 이름을 공식적으로 부여하였다.[24] 이는 러시아의 실효 지배를 강화하는 조치로 해석될 수 있다.
6. 1. 주요 섬 목록 (북쪽에서 남쪽)
다음 표는 북쪽에서 남쪽으로 주요 섬에 대한 정보를 나열한 것이다.
섬 | 러시아어 명칭 | 일본어 명칭 | 다른 명칭 | 섬 그룹 | 행정 중심지 / 상륙 지점 | 기타 정착지 | 면적 (km²) | 인구 |
---|---|---|---|---|---|---|---|---|
세베로쿠릴스크 군 | 북쿠릴 | 북쿠릴 | 세베로쿠릴스크 | 셰리코보, 포드고르니, 바이코보 | 3504km2 | 2,560 | ||
슘슈섬 | Шумшуrus | 占守島|슈무슈토jpn | 슘슈(Shumushu) | 북쿠릴 | 바이코보 | 388km2 | 20 | |
아틀라소프섬 | Атласоваrus | 阿頼度島|아라이도토jpn | 오야코바(Oyakoba), 아라이도(Araido) | 북쿠릴 | 알라이드 만(Alaidskaya Bay) | 150km2 | 0 | |
파라무시르섬 | Парамуширrus | 幌筵島|파라무시르토jpn | 파라무시르(Paramushiru), 호로무시로(Horomushiro) | 북쿠릴 | 세베로쿠릴스크 | 셰리코보, 포드고르니 | 2053km2 | 2,540 |
안치페로바섬 | Анцифероваrus | 志林規島|시린키토jpn | 시린키(Shirinki) | 북쿠릴 | 안치페로프 해변(Antsiferov beach) | 테르쿠트 곶(Cape Terkut) | 7km2 | 0 |
마칸루시섬 | Маканрушиrus | 磨勘留島|마칸루토jpn | 마칸루(Makanru) | 북쿠릴 | 자카트(Zakat) | 50km2 | 0 | |
아우오스섬(아보스섬) | Авосьrus | 帆掛岩|호카케이와jpn | 호카케(Hokake), 하이노코(Hainoko) | 북쿠릴 | 0.1km2 | 0 | ||
오네코탄섬 | Онекотанrus | 温禰古丹島|온네코탄토jpn | 온와코탄(Onwakotan) | 북쿠릴 | 머슬(Mussel) | 쿠로이시, 네모, 셰스타코프 | 425km2 | 0 |
하림코탄섬 | Харимкотанrus | 春牟古丹島|하리무코탄토jpn 春牟古丹島|하루무코탄토jpn | 하리무코탄(Harimukotan), 하루무코탄(Harumukotan) | 북쿠릴 | 수나즈마(Sunazhma) | 세베르긴 만(Severgin Bay) | 70km2 | 0 |
예카르마섬 | Экармаrus | 越渇磨島|에카르마토jpn | 에카르마(Ekaruma) | 북쿠릴 | 크루글리(Kruglyy) | 30km2 | 0 | |
치링코탄섬 | Чиринкотанrus | 知林古丹島|치린코탄토jpn | 북쿠릴 | 프티치 곶(Cape Ptichy) | 6km2 | 0 | ||
시아시코탄섬 | Шиашкотанrus | 捨子古丹島|샤스코탄토jpn | 샤수코탄(Shasukotan) | 북쿠릴 | 마카로프카(Makarovka) | 122km2 | 0 | |
로브스키섬(로부슈키 암초) | Ловушкиrus | 牟知列岩|무시루레츠간jpn | 무시루(Mushiru) | 북쿠릴 | 1.5km2 | 0 | ||
라이코케섬 | Райкокеrus | 雷公計島|라이코케토jpn | 중쿠릴 | 라이코케(Raikoke) | 4.6km2 | 0 | ||
마투아섬 | Матуаrus | 松輪島|마츠와토jpn | 마츠와(Matsuwa) | 중쿠릴 | 사리체보(Sarychevo) | 52km2 | 0 | |
라스슈아섬 | Расшуаrus | 羅処和島|라쇼와토jpn | 라쇼와(Rashowa), 라수츠아(Rasutsua) | 중쿠릴 | 아치스 포인트(Arches Point) | 67km2 | 0 | |
스레드네고섬 | Среднегоrus | 摺手岩|스리데이와jpn | 스리데(Suride) | 중쿠릴 | 정보 없음 | 0 | ||
우시시르섬 | Ушиширrus | 宇志知島|우시시르토jpn | 우시시루(Ushishiru) | 중쿠릴 | 크라테르냐(Kraternya) | 뤼폰키차(Ryponkicha) | 5km2 | 0 |
케토이섬 | Кетойrus | 計吐夷島|케토이토jpn | 케토이(Ketoi) | 중쿠릴 | 스토로제바(Storozheva) | 73km2 | 0 | |
쿠릴스크 군 | 중쿠릴 | 중쿠릴 | 쿠릴스크 | 레이도보, 키토비, 뤼바키, 고리야치예 클류치, 카삿카, 부레베스트니크 공항, 슈미-고로도크, 고르니 | 5138km2 | 6,606 | ||
시무시르섬 | Симуширrus | 新知島|시무시르토jpn | 시무시루(Shimushiru), 신시루(Shinshiru) | 중쿠릴 | 크라테르니(Kraternyy) | 스레드냐 만(Srednaya bay) | 360km2 | 0 |
브로우토나섬 | Броутонаrus | 武魯頓島|부로톤토jpn | 부로톤(Buroton), 마칸루루(Makanruru) | 중쿠릴 | 네도스투프니(Nedostupnyy) | 7km2 | 0 | |
초르니예브라티야섬 (치르포이섬) | Чирпойrus | 知理保以島|치리호이토jpn | 치리호이(Chirihoi), 치에루포이(Chierupoi) | 중쿠릴 | 페스차나야 만(Peschanaya Bay) | 21km2 | 0 | |
브라트치르포예프섬 | Брат Чирпоевrus | 知理保以南島|치리호이난지마jpn | 치리호이난(Chirihoinan) | 중쿠릴 | 가로브니코바(Garovnikova) | 세메노바(Semenova) | 16km2 | 0 |
우루프섬 | Урупrus | 得撫島|우룹푸토jpn | 우룹푸(Uruppu) | 중쿠릴 | 카스트리쿰 곶(Mys Kastrikum) | 반데를린드 곶(Mys Van-der-Lind) | 1450km2 | 0 |
기타 (중쿠릴) | 중쿠릴 | 4.4km2 | 0 | |||||
이투루프섬 | Итурупrus | 択捉島|에토로후토jpn | 에토로후(Etorofu), 이에토루푸(Ietorupu) | 남쿠릴 (영토 분쟁 지역) | 쿠릴스크 | 레이도보, 키토비, 뤼바키, 고리야치예 클류치, 카삿카, 부레베스트니크 공항, 슈미-고로도크, 고르니 | 3280km2 | 6,602 |
유즈노쿠릴스크 군 | 남쿠릴 (영토 분쟁 지역) | 남쿠릴 (영토 분쟁 지역) | 유즈노쿠릴스크 | 말로쿠릴스코예, 루드나야, 라군노예, 오트라다, 고리야치 플랴즈, 알리게르, 멘델레예보, 두보보예, 폴리노, 골로브니노 | 1860.8km2 | 10,268 | ||
쿠나시르섬 | Кунаширrus | 国後島|쿠나시리토jpn | 쿠나시리(Kunashiri) | 남쿠릴 (영토 분쟁 지역) | 유즈노쿠릴스크 | 루드나야, 라군노예, 오트라다, 고리야치 플랴즈, 알리게르, 멘델레예보, 두보보예, 폴리노, 골로브니노 | 1499km2 | 7,800 |
시코탄섬 | Шикотанrus | 色丹島|시코탄토jpn | 남쿠릴 (영토 분쟁 지역) | 말로쿠릴스코예 | 둠노바, 오트라드나야, 크라보자보츠코예 (구 아나마), 즈베즈드나야, 볼로시나, 크라이 스베타 | 255km2 | 2,440 | |
기타 (남쿠릴) | 남쿠릴 (영토 분쟁 지역) | 아이바조프스코보(Ayvazovskovo) | 9.1km2 | 0 | ||||
하보마이 군도 | Хабомаиrus | 歯舞群島|하보마이 군토jpn | 하보마이(Habomai) | 남쿠릴 (영토 분쟁 지역) | 조르키(Zorkiy) | 젤레니섬, 폴론스코고 | 97.7km2 | 28 |
폴론스코고섬 | Полонскогоrus | 多楽島|타라쿠토jpn | 타라쿠(Taraku) | 남쿠릴 (영토 분쟁 지역) | 모리야코프 만 기지(Moriakov Bay station) | 11.57km2 | 2 | |
오스콜키섬 | Осколкиrus | 海馬島|카이바토jpn | 토도(Todo), 카이바(Kaiba) | 남쿠릴 (영토 분쟁 지역) | 정보 없음 | 0 | ||
젤레니섬 | Зелёныйrus | 志発島|시보츠토jpn | 시보츠(Shibotsu) | 남쿠릴 (영토 분쟁 지역) | 글루슈네프스키 기지(Glushnevskyi station) | 58.72km2 | 3 | |
하르카르섬 | Харкарrus | 春苅島|하루카루토jpn | 하루카루(Harukaru), 듄미나(Dyomina) | 남쿠릴 (영토 분쟁 지역) | 하루카(Haruka) | 0.8km2 | 0 | |
유리섬 | Юрийrus | 勇留島|유리토jpn | 유리(Yuri) | 남쿠릴 (영토 분쟁 지역) | 칼레르나야(Kalernaya) | 10.32km2 | 0 | |
아누치나섬 | Анучинаrus | 秋勇留島|아키유리토jpn | 아키유리(Akiyuri) | 남쿠릴 (영토 분쟁 지역) | 볼쇼예 만(Bolshoye Bay) | 2.35km2 | 0 | |
탄필레바섬 | Танфильевrus | 水晶島|스이쇼지마jpn | 수이쇼(Suishō) | 남쿠릴 (영토 분쟁 지역) | 조르키(Zorkiy) | 탄필리예프카 만(Tanfilyevka Bay), 볼로트노예(Bolotnoye) | 12.92km2 | 23 |
스토로제보이섬 | Сторожевойrus | 萌茂尻島|모에모시리토jpn | 모에모시리(Moemoshiri) | 남쿠릴 (영토 분쟁 지역) | 0.07km2 | 0 | ||
리포보이섬 | Рифовыйrus | オドケ島|오도케지마jpn | 오도케(Odoke) | 남쿠릴 (영토 분쟁 지역) | 정보 없음 | 0 | ||
시그날니섬 | Сигнальныйrus | 貝殻島|카이가라지마jpn | 카이가라(Kaigara) | 남쿠릴 (영토 분쟁 지역) | 0.02km2 | 0 | ||
기타 (하보마이) | 남쿠릴 (영토 분쟁 지역) | 오파스나야, 우디비텔나야 | 1km2 | 0 | ||||
합계: | 10503.2km2 | 19,434 |
7. 주민
근대 이전 쿠릴 열도에는 주로 아이누 등이 거주하고 있었다.[72] 원주민은 크게 쿠릴 아이누(千島アイヌ)와 도토 아이누(메나시클)로 나뉘었는데, 북동쪽의 슘슈섬부터 시무시르섬까지는 쿠릴 아이누가, 남서쪽의 부로톤섬 이남은 도토 아이누가 거주하는 지역이었다. 중간 지점인 우루프섬에서는 두 아이누 집단 간의 침묵 교역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근대 이후 일본과 러시아는 경쟁적으로 쿠릴 열도에 대한 침략을 진행했고,[73] 일본인과 러시아인이 점차 섬들에 이주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소련이 섬 전체를 점령하면서 남부 북방 영토에 살던 일본인은 대부분 일본으로 송환되었고, 1945년부터 현재까지 러시아(소련 → 러시아 연방)가 통치하고 있으며, 러시아 국민이 거주하고 있다.[32]
현재 쿠릴 열도의 주민은 러시아인, 우크라이나인, 벨라루스인, 타타르인, 바시키르인, 모르도바인, 아르메니아인, 한민족(사할린 한인), 캄차달인, 윌타인, 니브흐인, 오로치인, 아이누 등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다. 러시아 정교회가 주요 종교이다. 2013년 기준으로 약 19,400명이 거주했으며, 이 중 16,700명은 분쟁 중인 남쪽 4개 섬(북방 영토)에, 2,600명은 북쪽의 파라무시르섬에 거주했다. 그 사이의 섬들은 대부분 무인도이다. 이투룹섬은 주민의 60% 이상이 우크라이나계이다.[5]
2010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쿠릴 열도 전체 인구는 18,735명이었다. 현재는 에토로후섬, 쿠나시르섬, 시코탄섬, 파라무시르섬 4개 섬에만 상주 인구가 있으며, 다른 섬들은 민간인이 거주하지 않는 무인도이다. 다만, 러시아군이나 등대 관계자들이 일부 섬에 체류하고 있다. 각 섬의 인구는 다음과 같았다.
- 파라무시르섬(세베로쿠릴스크 군) 2,381명 (세베로쿠릴스크 2,381명)
- 에토로후섬(쿠릴 군) 6,064명 (군내 크리리스크 1,666명)
- 쿠나시르섬 및 시코탄섬(유즈노쿠릴스크 군) 10,290명 (군내 유즈노쿠릴스크 6,617명)[76]
주민의 대다수는 어업에 종사하며, 어업 공장 노동자, 부두 노동자 등으로 일한다. 일부 마을에는 러시아군이 상주하고 있으며, 경찰, 의료진, 교사 등 사회 분야 종사자들도 거주한다. 섬에서의 건설 공사는 러시아 본토와 다른 구 소련 국가 출신의 이주 노동자들을 유치하고 있다.
아래는 북방 영토(남쿠릴 열도)의 인구 변화를 나타낸 표이다. 하보마이 군도는 1945년 이후 민간인 거주자가 없다.
지명 | 인구 (1945년)[75] | 인구 (2016년)[75] | 인구 (2018년)[75] |
---|---|---|---|
에토로후섬 | 3,608 명 | 5,937 명 | 6,049 명 |
쿠나시르섬 | 7,364 명 | 7,817 명 | 8,531 명 |
시코탄섬 | 1,038 명 | 2,917 명 | 3,070 명 |
하보마이 군도 | 5,281 명 | 0 명 | 0 명[77] |
합계 | 17,291 명 | 16,668 명 | 18,010 명 |
8. 경제
어업이 주요 산업이며, 주민 대다수가 어업에 종사한다. 쿠릴 열도는 풍부한 어족 자원 외에도 황철광, 유황, 금, 석유 등 다양한 지하 자원과 다금속 광석이 매장되어 있어 전략적, 경제적 가치가 높다. 특히 확인된 해저 자원은 경제적 중요성을 더하고 있으며, 석유 탐사가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는 기대가 있다.[106][25]
러시아는 쿠릴 열도 개발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2014년에는 이투룹 섬 중앙부 키토비 만에 부두와 방파제가 건설되었고, 섬에서 가장 큰 마을인 쿠릴스크 인근에서 유즈노-쿠릴스크 멘델레예보 공항으로 이어지는 새로운 도로도 개설되었다.[26] 어업, 건설, 부동산 등에 사업 기반을 둔 현지 최대 기업인 기드로스트로이는 2006년 이투룹 섬에 최첨단 컨베이어 시스템을 갖춘 두 번째 어류 가공 공장을 건설했다.[27] 또한 증가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활화산인 바란스키 산에 위치한 국영 지열 발전소의 시설 개선 작업도 진행 중이다.[27]
2022년, 러시아 정부는 쿠릴 열도를 특별 경제 구역으로 지정했다. 이에 따라 향후 20년간 법인세 면제, 부가가치세 및 관세 감면 등 파격적인 세제 혜택이 적용된다.[28][29] 이는 러시아 극동 지역 개발을 위한 러시아 정부 계획의 중요한 부분이다.[30]
9. 군사
쿠릴 열도 남부는 현재 러시아가 실효적으로 지배하고 있으나, 일본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분쟁 지역이다(쿠릴 열도 분쟁 참조). 이 지역은 석유, 금, 황 등 해저 자원이 풍부하여 경제적 중요성뿐만 아니라 군사적 요충지로도 주목받고 있다.[106]
러시아는 이 지역의 군사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왔다. 2012년 10월 22일, 당시 러시아 국방장관 아나톨리 세르듀코프는 캄차카반도를 방문하여 향후 2년간 쿠릴 열도의 군사 시설을 강화할 계획임을 밝혔다.[107]
쿠릴 열도에 주둔하는 러시아군의 핵심 부대는 사할린주 쿠릴스크군 고리야치예 클류치에 사령부를 둔 제18기관총포병사단이다. 국경수비대 병력 또한 열도에 주둔하고 있다. 2011년 2월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당시 대통령이 쿠릴 열도 방어력 증강을 지시한 이후, 2015년에는 토르 미사일 시스템, 부크 미사일 시스템 등 지대공 미사일과 바스티온 해안 방어 미사일 시스템, 카모프 Ka-52 전투 헬리콥터, 킬로급 잠수함 1척 등이 추가로 배치되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시작된 후, 제18기관총포병사단 소속 일부 병력이 우크라이나 동부 전선으로 재배치되었다는 보도가 있었다.[31]
참조
[1]
웹사이트
Kuril Islands
https://www.britanni[...]
2023-04-14
[2]
웹아카이브
Курильские острова
https://web.archive.[...]
2013-04-24
[3]
웹사이트
SAKHALIN.RU: Sakhalin and the Kuriles. Geography
http://www.sakhalin.[...]
[4]
뉴스
Kuril Islands: factfile
https://www.telegrap[...]
2010-11-01
[5]
웹사이트
Japan's Russian Dilemma
http://www.project-s[...]
2014-03-31
[6]
웹사이트
Глава 26. Коренное население: айны
http://www.kuriles-h[...]
[7]
웹사이트
Central Kuril Island Tsunami in Crescent City, California
https://www.usc.edu/[...]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Tsunami Research Center
2006-11-16
[8]
논문
Distribution of North Pacific
[9]
웹사이트
Kuril islands (between Urup and Paramushir)
http://datazone.bird[...]
BirdLife International
2021
[10]
서적
The Kuril Islands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11]
서적
The Kuril Islands: Russo-Japanese Frontier in the Pacific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12]
서적
A Brief History of Sakhalin and the Kurils
https://books.google[...]
Sakhalin Book Publishing House
[13]
간행물
Whaling Logs
Old Dartmouth Historical Society (ODHS), Nicholson Whaling Collection (NWC), Kendall Whaling Museum (KWM)
1847-05-29, 1847-06-13, 1847-06-24, 1848-08-12, 1848-09-06, 1849-05-08, 1849-05-30, 1857-10-06, 1868-10-05, 1868-10-18, 1892-08-23, 1892-09-10
[14]
간행물
Whaling Log
Nantucket Historical Association
1855-05-31
[15]
서적
History of the American Whale Fishery from Its Earliest Inception to the year 1876
Castle
[16]
간행물
The Friend
Honolulu
1856-12-11
[17]
간행물
Whaling Log
Kendall Whaling Museum (KWM)
1892-09-10, 1892-09-19, 1892-10-01
[18]
서적
Indigenous Minorities and Education: Australian and Japanese Perspectives on their Indigenous Peoples, the Ainu, Aborigines and Torres Strait Islanders
Sanyusha Publishing Co., Ltd.
[19]
서적
Encyclopedia of Modern Asia
Charles Scribner's Sons
[20]
서적
Race, Resistance, and the Ainu of Japan
Routledge
[21]
서적
New Directions in the Study of Meiji Japan
Brill Publishers
[22]
서적
Ghosts of the ETO: American Tactical Deception Units in the European Theater, 1944–1945
https://books.google[...]
Casemate
[23]
웹사이트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Diplomatic Papers, Conferences at Malta and Yalta, 1945 - Office of the Historian
https://history.stat[...]
[24]
웹사이트
Распоряжение Правительств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от 08.02.2017 № 223-р
http://publication.p[...]
Publication.pravo.gov.ru
2017-02-08
[25]
서적
Sakhalin Oblast
Europa Publications
2003
[26]
웹사이트
Profile on Yuzhno-Kurilsk Mendeleyevo Airport
http://centreforavia[...]
[27]
웹사이트
Islands disputed with Japan feel Russia's boom
http://www.chinapost[...]
[28]
웹사이트
Федеральный закон от 18.03.2023 № 84-ФЗ ∙ Официальное опубликование правовых актов
http://publication.p[...]
[29]
뉴스
Law on preferential regime in Kuril Islands to be effective in 2 months — Deputy PM
https://tass.com/eco[...]
2022-02-02
[30]
웹사이트
President Putin's Speech at the 2023 Far Eastern Economic Forum: Analysis
https://www.russia-b[...]
2023-09-13
[31]
웹사이트
Russia Sends Pacific Island 'Machine Gun Artillery Division' To Ukraine
https://www.forbes.c[...]
[32]
웹사이트
МУНИЦИПАЛЬНЫЕ ОБРАЗОВАНИЯ(サハリンと千島列島|市町村)
https://sakhalin.gov[...]
Правительство Сахалинской области(サハリン州政府)
[33]
웹사이트
北方領土問題|国際的取決め
https://www8.cao.go.[...]
内閣府
[34]
웹사이트
令和3年 全国都道府県市区町村別面積調 (4月1日時点)
https://www.gsi.go.j[...]
국토교통성, 국토지리원
[35]
웹사이트
СЕВЕРО-КУРИЛЬСКИЙ ГОРОДСКОЙ ОКРУГ(北クリル市)
https://sakhalin.gov[...]
Правительство Сахалинской области(サハリン州政府)
[36]
웹사이트
КУРИЛЬСКИЙ ГОРОДСКОЙ ОКРУГ(クリル市)
https://sakhalin.gov[...]
Правительство Сахалинской области(サハリン州政府)
2021-08-18
[37]
일반텍스트
[38]
일반텍스트
[39]
일반텍스트
[40]
일반텍스트
[41]
일반텍스트
[42]
일반텍스트
[43]
일반텍스트
[44]
일반텍스트
[45]
일반텍스트
[46]
일반텍스트
[47]
일반텍스트
[48]
일반텍스트
[49]
일반텍스트
[50]
일반텍스트
[51]
웹사이트
МУНИЦИПАЛЬНОЕ ОБРАЗОВАНИЕ "КУРИЛЬСКИЙ ГОРОДСКОЙ ОКРУГ"(自治体"クリル市")
https://sakhalin.gov[...]
Правительство Сахалинской области(サハリン州政府)
2021-08-17
[52]
웹사이트
МУНИЦИПАЛЬНОЕ ОБРАЗОВАНИЕ "ЮЖНО-КУРИЛЬСКИЙ ГОРОДСКОЙ ОКРУГ"(自治体 "南クリル市")
https://sakhalin.gov[...]
Правительство Сахалинской области(サハリン州政府)
2021-08-17
[53]
일반텍스트
[54]
일반텍스트
[55]
웹사이트
International Kuril Island Project(IKIP、国際千島調査、英文)
http://www.washingto[...]
University of Washington Fish Collection or the respective authors
2009-07-24
[56]
일반텍스트
[57]
웹사이트
Global Volcanism Program
http://www.volcano.s[...]
米国立自然史博物館(英文)
2009-07-13
[58]
일반텍스트
[59]
웹사이트
International Kuril Island Project(IKIP、国際千島調査、英文)
http://www.washingto[...]
University of Washington Fish Collection or the respective authors
2009-07-24
[60]
일반텍스트
[61]
웹사이트
International Kuril Island Project(IKIP、国際千島調査、英文)
http://www.washingto[...]
University of Washington Fish Collection or the respective authors
2009-07-24
[62]
일반텍스트
[63]
웹사이트
Global Volcanism Program
http://www.volcano.s[...]
米国立自然史博物館(英文)
2009-07-27
[64]
웹사이트
Global Volcanism Program
http://www.volcano.s[...]
米国立自然史博物館(英文)
2009-07-13
[65]
서적
北千島の自然誌
丸善
1995
[66]
웹사이트
Ⅲ. 鰭脚類及びラッコ
https://www.biodic.g[...]
1998-03
[67]
논문
Opportunistic sightings of the endangered North Pacific right whales (''Eubalaena japonica'') in Russian waters in 2003–2014
2015
[68]
웹사이트
First confirmed observations of living Sato's beaked whales Berardius minimus
https://onlinelibrar[...]
2022-05-13
[69]
웹사이트
Why do brown bears on the Kuril Islands have an odd silver tint?
https://www.rbth.com[...]
2018
[70]
논문
The white-colored brown bears of the Southern Kurils
2011
[71]
서적
新猫種大図鑑
(publisher 정보 없음)
2006-05-20
[72]
뉴스
謎の北方海洋民族の生活いきいき アイヌ文化に大きな影響
https://style.nikkei[...]
2021-08-15
[73]
웹사이트
アイヌ差別表現問題~日本人は他民族を侵略・加害していない、という観念が背景に~(古谷経衡) - 個人
https://news.yahoo.c[...]
Yahoo! JAPAN
2021-08-14
[74]
웹사이트
先住民族の近現代史 ~日露の狭間で翻弄された人々~
https://www.jacar.go[...]
国立公文書館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021-08-14
[75]
웹사이트
北方領土の位置・面積・人口
https://www.hoppou.g[...]
独立行政法人 北方領土問題対策協会
2021-08-15
[76]
웹사이트
Численность насел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по городам, поселкам городского типа и районам на 1 января 2010 года
http://www.gks.ru/bg[...]
[77]
웹페이지
(제목 없음)
[78]
웹사이트
樺太の歴史1590 - 1791
https://web.archive.[...]
[79]
백과사전
千島列島
https://kotobank.jp/[...]
平凡社
[80]
간행물
北海道総合振興局及び振興局の設置に関する条例
http://www.pref.hokk[...]
北海道
[81]
법률
財務省組織規則(平成十三年財務省令第一号)
https://laws.e-gov.g[...]
e-Gov法令検索. 総務省行政管理局
2020-01-06
[82]
웹사이트
北方領土問題の経緯(領土問題の発生まで)
https://www.mofa.go.[...]
外務省
2021-08-14
[83]
웹사이트
北方領土問題とは?
https://www.mofa.go.[...]
外務省
2021-08-15
[84]
웹사이트
北方領土の姿|北方四島の概況
https://www8.cao.go.[...]
内閣府
2021-08-17
[85]
법률
内閣府設置法第四条第一項第十三号に規定する北方地域の範囲を定める政令
[86]
회의록
第007回国会 外務委員会 第7号
https://kokkai.ndl.g[...]
[87]
웹사이트
露日関係の発展
https://tokyo.mid.ru[...]
在日ロシア連邦大使館
2021-08-16
[88]
웹사이트
ГЕОГРАФИЧЕСКОЕ ПОЛОЖЕНИЕ И КЛИМАТИЧЕСКИЕ УСЛОВИЯ(サハリン地域について|地理的位置と気象条件)
https://sakhalin.gov[...]
Правительство Сахалинской области(サハリン州政府)
2021-08-15
[89]
웹사이트
Kuril Islands {{!}} islands, Russia
https://www.britanni[...]
2021-08-14
[90]
뉴스
Russia expands military construction plans on Kuril islands
https://www.reuters.[...]
2021-08-14
[91]
회의록
平和条約及び日米安全保障条約特別委員会 第11号
https://kokkai.ndl.g[...]
[92]
회의록
第012回国会 平和条約及び日米安全保障条約特別委員会 第4号
https://kokkai.ndl.g[...]
[93]
연설
サンフランシスコ平和会議における吉田全権の発言
1951-09-08
[94]
회의록
1956年2月11日第24回国会 衆議院外務委員会における森下外務政務次官答弁
http://www.hoppou.go[...]
[95]
간행물
「北方領土返還要求に関する政府の公式見解」昭和31年2月11日第24回国会衆議院外務委員会
https://www8.cao.go.[...]
[96]
웹사이트
北方領土問題に関するQ&A
https://www.mofa.go.[...]
外務省
2021-08-14
[97]
웹사이트
サンフランシスコ平和条約
https://www2.nhk.or.[...]
NHK
2021-08-14
[98]
웹사이트
ソ連は調印を拒否 日本が主権回復した「サンフランシスコ平和条約」の裏側
https://news.yahoo.c[...]
Yahoo! JAPAN
2021-08-14
[99]
웹사이트
衆議院議員鈴木宗男君提出 南樺太、千島列島の国際法的地位などに関する質問に対する答弁書
https://www.shugiin.[...]
衆議院
2021-08-18
[100]
웹사이트
日ロ領土問題と平和条約交渉について│千島(日露)│日本共産党の政策│日本共産党中央委員会
https://www.jcp.or.j[...]
2021-08-18
[101]
신문기사
日ロ領土問題と平和条約交渉について
https://www.jcp.or.j[...]
2001-04-13
[102]
신문기사
(제목 없음)
[103]
학술지
日本社会党の外交方針
https://doi.org/10.1[...]
日本国際政治学会
1957-08
[104]
웹사이트
国会会議録検索システム
https://kokkai.ndl.g[...]
2024-02-16
[105]
웹사이트
国会会議録検索システム
https://kokkai.ndl.g[...]
2024-02-16
[106]
웹인용
동아시아는 지금 영토 분쟁 중
https://www.chosun.c[...]
조선일보
2024-06-07
[107]
뉴스
러시아, 쿠릴열도 군사력 강화에 2500억 원 투입
https://news.naver.c[...]
[108]
웹인용
(인터뷰) 쿠릴 열도 분쟁에 대한 러-일 평화회담 재개와 전망
https://www.emerics.[...]
㈜플랜아이
2024-06-07
[109]
웹인용
[글로벌24 현장] 러-일, ‘쿠릴 열도’ 놓고 동상이몽
https://news.kbs.co.[...]
2024-06-07
[110]
웹인용
[우크라 침공] 러시아·일본, 남쿠릴열도 영유권 신경전
https://www.yna.co.k[...]
김호준
2024-06-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