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의 이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리스를 지칭하는 명칭은 언어와 역사적 맥락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유럽 언어는 라틴어 "Graecia"에서 유래된 명칭을 사용하며, 중동 및 동방 언어에서는 "yun" 또는 "ywn" 어근에서 파생된 명칭이 일반적이다. 그리스어는 "Hellas"와 그 파생어를 사용하며, 조지아어에서는 "지혜"를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된 명칭을 사용한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스스로를 "헬레네스"라고 불렀으며, 이는 헬렌이라는 신화적 인물에서 유래되었다. 현대 그리스의 공식 명칭은 시대에 따라 "그리스 임시 행정부", "헬레닉 국가", "그리스 왕국", "헬레닉 공화국" 등으로 변화해 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 - 그리스인의 성명
그리스인의 성명은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다양한 시대와 분야에서 활동한 철학자, 역사가, 극작가, 정치인, 군인, 영웅, 신화 속 인물,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들을 포괄한다. - 그리스 - 그리스의 지리
그리스의 지리는 발칸 반도 남부에 위치하며 산악 지형과 지중해 해안선을 특징으로 하고, 다양한 자연 자원을 보유하고 있지만 자연 재해와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 국명 - 국호
국호는 국가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상징으로, 한반도에서는 부여,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등이, 대한민국의 경우 민주공화국으로서의 정체성과 대한제국의 정통성을 계승하는 의미를, 일본의 경우 야마토에서 유래한 일본과 대일본제국 등의 국호가 존재한다. - 국명 - 인민공화국
인민공화국은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지도 이념으로 하는 국가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회주의 국가와 유사하게 사용되지만, 특정 국가에서는 통치 수단으로 이용되거나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 국명 어원학 - 캘리포니아섬
캘리포니아섬은 소설에서 비롯되어 초기 탐험가들이 바하 캘리포니아 반도를 섬으로 오인하게 만들고 17세기 지도에 섬으로 묘사되기도 했으나, 이후 탐험가들의 노력으로 반도임이 밝혀진 전설적인 섬이다. - 국명 어원학 - 인민공화국
인민공화국은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지도 이념으로 하는 국가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회주의 국가와 유사하게 사용되지만, 특정 국가에서는 통치 수단으로 이용되거나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그리스의 이름 | |
---|---|
명칭 | |
공식 명칭 | 헬라스 공화국 |
로마자 표기 | Ellás, Elláda |
통칭 | 그리스 |
역사 | |
역사 개요 | 그리스의 역사 참고 |
선사 시대 | 신석기 시대의 그리스 |
에게 문명 | 키클라데스 문명 (3300-2000 BC) 미노스 문명 (3650-1170 BC) 미케네 문명 (1600-1100 BC) |
암흑기 | 그리스 암흑기(1100-750 BC / 1200-800 BC) |
고대 그리스 | 스파르타 (900-195 BC) 마케도니아 (808-167 BC) |
고졸기 | 그리스 고졸기(800/750/650-480 BC) |
폴리스 | 폴리스의 성립과 성장(750-500) |
식민지 건설 | 그리스의 식민지(750-500) |
고전기 | 그리스 고전기(510-323 BC) |
아테나이 | 아테나이(510-338 BC) |
주요 전쟁 | 그리스-페르시아 전쟁(499-450 BC) 펠로폰네소스 전쟁(431-404 BC) |
주요 전투 | 레욱트라 전투(371) |
테바이 | 테바이의 패권(371-362/338) |
카이로네이아 | 카이로네이아 전투(338) |
헬레니즘 | 헬레니즘 제국(323-146 BC) |
로마 시대 | 로마 제국(146 BC-330 AD) |
중세 | 비잔티움 제국(395-1453) 니케아 제국(1204-1261) 후기 비잔티움 제국(1261~1453) 스타토 다 마르 오스만령 그리스 |
근현대 | 그리스 독립 전쟁(1821-1832) 그리스 제1공화국(1822-1832) |
근대 그리스 | 근대 그리스(1832 AD-현재) |
그리스 왕국 | 그리스 왕국(1832-1924, 1935-41, 1944-74) |
8월 4일 체제 | 8월 4일 체제(1936-1941) |
그리스 제2공화국 | 그리스 제2공화국(1924-1935) |
추축국 점령기 | 추축국 점령기(1941-1944/1945) |
내전 | 그리스 내전(1946-1949) |
군사 정권 | 그리스 군사정권(1967-1974) |
현대 | 그리스 제3공화국(1974-현재) |
2. 그리스를 부르는 다양한 명칭
로마인들이 라틴어로 그리스와 그리스인을 칭하던 이름은 "그라이키아(Graecia)"와 "그라이쿠스(Graecus)"인데, 대부분의 유럽어와 이들 언어에서 명칭을 빌려온 언어의 그리스 표기는 라틴어 명칭에서 유래하였다.
언어 | 표기 |
---|---|
카탈루냐어 | Grècia |
크로아티아어 | Grčka |
영어 | Greece |
프랑스어 | Grèce |
이탈리아어 | Grecia |
독일어 | Griechenland |
에스파냐어 | Grecia |
포르투갈어 | Grécia |
네덜란드어 | Griekenland |
서프리슬란트어 | Grikelân |
아프리칸스어 | Griekeland |
폴란드어 | Grecja |
덴마크어 | Grækenland |
몰타어 | Greċja |
스웨덴어 | Grekland |
아이슬란드어 | Grikkland |
핀란드어 | Kreikka |
에스토니아어 | Kreeka |
알바니아어 | Greqia |
루마니아어 | Grecia |
헝가리어 | Görögország |
슬로바키아어 | Grécko |
슬로베니아어 | Grčija |
라트비아어 | Grieķija |
리투아니아어 | Graikija |
필리핀어 | Gresya |
콘월어 | Pow Grek |
웨일스어 | Groeg |
아일랜드어 | An Ghréig |
러시아어 | Греция (Gretsia) |
보스니아어 | Grčka |
우크라이나어 | Греція (Hretsiia) |
세르비아어 | Грчка / Grčka |
마케도니아어 | Грција / Grcija |
체코어 | Řecko |
불가리아어 | Гърция (Gǎrcija) |
일본어 | ギリシャ (기리샤) |
바스크어 | Grezia |
한국어 | 그리스 |
중동이나 동방 언어에서는 "yun" 또는 "ywn" 어근이 흔하다. 이 말은 소아시아의 그리스 지명인 이오니아에서 나온 말이다.[20]
언어 | 표기 |
---|---|
아랍어 | يونان|Yūnānar |
아람어 | ܝܘܢ|Yawānarc or יון|Yawonarc |
아르메니아어 | Հունաստան|Hounastanhy |
아제르바이잔어 | Yunanıstan |
힌두어 | यूनान|Yūnānhi |
성서 히브리어 | יָוָן|Yāwānhe |
현대 히브리어 | יוון|Yavanhe |
KJV 성경 히브리어 | Javan |
인도네시아어 | Yunani |
쿠르드어 | Yewnanistan |
라즈어 | Yonaneti-Xorumona(ხორუმონა) |
네팔어 | यूनान|Yūnānne |
페르시아어 | یونان|Yūnānfa |
산스크리트어 | Yavana |
타지크어 | " Юнон" |
튀르키예어 | Yunanistan |
"hl" 어근은 그리스를 비롯한 세계 일부 나라에서 쓰인다.
언어 | 표기 | |||||||||||||||||||||||||||||||||||||||||||||||||||||||||||||||||||||||||||||||||||||||||||||||||||||||||||||||||||||||||||||||||||||||||||||||||||||||||||||||||||||||||||||||||||||||||||||
---|---|---|---|---|---|---|---|---|---|---|---|---|---|---|---|---|---|---|---|---|---|---|---|---|---|---|---|---|---|---|---|---|---|---|---|---|---|---|---|---|---|---|---|---|---|---|---|---|---|---|---|---|---|---|---|---|---|---|---|---|---|---|---|---|---|---|---|---|---|---|---|---|---|---|---|---|---|---|---|---|---|---|---|---|---|---|---|---|---|---|---|---|---|---|---|---|---|---|---|---|---|---|---|---|---|---|---|---|---|---|---|---|---|---|---|---|---|---|---|---|---|---|---|---|---|---|---|---|---|---|---|---|---|---|---|---|---|---|---|---|---|---|---|---|---|---|---|---|---|---|---|---|---|---|---|---|---|---|---|---|---|---|---|---|---|---|---|---|---|---|---|---|---|---|---|---|---|---|---|---|---|---|---|---|---|---|---|---|---|---|
그리스어 | Hellas 또는 Hellada | |||||||||||||||||||||||||||||||||||||||||||||||||||||||||||||||||||||||||||||||||||||||||||||||||||||||||||||||||||||||||||||||||||||||||||||||||||||||||||||||||||||||||||||||||||||||||||||
복조 정서법 | {{lang|grc|Ἑλλάς|} | } 또는 Ἑλλάδα|grc
언어 | 표기 |
---|---|
그리스어 (다성 문자) | Ἑλλάς, Ἑλλάδαgrc (Hellas, Hellada) |
그리스어 (단성 문자) | Ελλάς, Ελλάδαel (Ellas, Ellada) |
아로마니아어 | Elladhã |
알바니아어 | Elladhë[10] (시적, 고어, 방언) |
중국어 (번체자) | 希臘중국어 |
중국어 (간체자) | 希腊중국어 |
베트남어 | Hy Lạp |
하와이어 | Helena |
헝가리어 | Hellász (드물게 사용, 주로 시적) |
영어 | Hellas (드물게 사용, 시적) |
노르웨이어 (뉘노르스크와 부크몰) | Hellas |
이탈리아 | Elladeit (드물게 사용) |
한국어 | 희랍 (RR: huirap) (드물게 사용) |
포르투갈어 | Hélade (드물게 사용) |
세르비아어(키릴 문자) | Хелада (Helada; 고어, 시적) |
러시아어 | Эллада (Ellada; 시적, 고대 그리스) |
스페인어 | Hélada, Hélade (드물게 사용) |
불가리아어 | Елада (latinized: Elada) |
폴란드어 | Hellada (시적) |
루마니아어 | Elada (고어) |
2. 1. 1. "헬레네스" 용례의 확산
일개 부족 이름이 아닌 넓은 의미로 '헬레네스'가 쓰인 첫 사례는 근린 동맹의 경기에서 승리하여 헤라클레스에 봉헌한 에켐브로투스의 비문에 등장한다.[23] 이 표현은 기원전 8세기에 고대 올림피아 경기에서 도입되어 기원전 5세기에 완전히 굳어진 것으로 보인다. 그리스-페르시아 전쟁 이후 델포이의 한 비문에서는 페르시아에 승리한 것을 축하하고, 파우사니아스를 두고 헬레네스를 이끄는 장군으로 찬미하는 내용이 있다.[24] 엘레우시스 비의 등 종교 축제나 (고대 올림피아 경기를 비롯한) 범그리스 경기는 범그리스의 통일이란 인식을 촉진시켰다.2. 1. 2. 북부 부족 사회와 헬라스
데우칼리온과 퓌라의 아들 헬렌은 뉨프 오르세이스에게서 세 아들 아이올로스, 도로스, 쿠토스를 얻었으며, 이들은 각자 헬라스의 주요 부족인 아이올리아인, 도리아 인, 아카이아 인, 이오니아 인을 창건하였다고 전해진다.트로이아 전쟁 시대에 에페이로스인들(몰로소이인, 테스프로티아인, 카오니아인)은 헬라스 사람(헬레네스)으로 여겨지지 않았다. 당시 '헬라스 사람'은 아킬레우스를 비롯한 테살리아의 소부족에 국한되었기 때문이다. 헬라스라는 이름이 올륌포스 산 남쪽의 모든 사람에게 적용된 뒤에도 북쪽에 기원을 두고 사는 사람들은 제외되었다. 이들 북쪽 사람들이 그리스-페르시아 전쟁에 참여하지 않았던 점도 한 원인이었다.[25] 그리스-페르시아 전쟁은 모든 헬라스 사람의 중요한 과업으로 여겨졌으며, 페르시아 전쟁 이후에는 올림피아 경기에서 헬라스 각 부족의 대표들이 인정받았으며, 다른 헬라스 사람과 함께 겨루었다.[26] 이 시대에 북쪽 사람들이 계속 개별 민족, 또는 부족 연합으로 여겨졌으며 남쪽의 민주정 혹은 과두정적인 폴리스 체제와 달리 고졸기의 왕정 체제였다는 점도 이들을 "오랑캐"로 보는 시각에 영향을 주었다.[27]
투퀴디데스는 아카르나니아인, 아이톨리아인[28], 에페이로스인[29], 상부 마케도니아인[30]을 '오랑캐'라고 불렀는데, 이들 부족들의 그리스어 방언이 상당히 다르고 옛날식이라 투퀴디데스같은 아티케 그리스어를 쓰는 남쪽 사람이 듣기에 이해하기 어렵고 조야하게 들려 "오랑캐의 말을 하는(barbarophone)"으로 여겨졌다는 의미이다.[31] 비슷하게 아테네의 웅변가 데모스테네스는 자신의 세 번째 ''필리포스 탄핵''에서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2세를 오랑캐보다 나쁘다고 칭하였는데, 이는 마케도니아인의 낯선 문화가 그리스 수준에 맞지 않는다는 뜻이지 그들의 태생을 문제삼은 것은 아니었다.
2. 1. 3. 헬라스 사람과 오랑캐
그리스 부족들은 자신들이 이웃 이민족과는 다른 언어를 쓰고 있음을 이내 알게 되었고, 그리하여 이들에 대해 "교양 없는", "문명이 아닌", "외국말을 쓰는"이라는 뜻으로 "오랑캐"(βάρβαρος)라고 칭하였다. '바르바로스(오랑캐)'란 낱말은 원래 의성어로 그리스 사람이 듣기에 외국 사람이 말하는 것이 "bar-bar"하고 더듬는 것처럼 들렸기 때문일 것이다.[32] 이 말은 이집트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인데,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다른 말을 하는 사람은 모두 오랑캐로 칭한다"[33]라고 한다. 세월이 흘러 슬라브인은 독일인에게 "말 없는"이란 뜻의 ''nemec''라는 이름을 붙였는데, 그들 자신은 "언어가 있는 사람"을 뜻하는 ''slověnski''라고 칭하였다.[34] 아리스토파네스의 ''새''를 보면, 그는 새에게 말하는 법을 가르치지만 자신은 문맹인 감독자를 두고 "오랑캐"라고 부른다.[35] 이 낱말은 결국 경멸적인 의미로 쓰여, 문화가 다른 외국인 전체를 가리키는 말로 확대되었으며, 결국 일반적으로 "문맹" 또는 "교양 없는"이란 의미를 띄게 되었다. 그리하여 "글자를 모르는 사람도 오랑캐이다."[36]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뉘시오스에 따르면 헬라스 사람은 오랑캐와 네 가지 면에서 다른데, 그것은 정제된 언어, 교육, 종교, 법 준수라고 하였다.[37] 그리스어 교육은 귀족 자제의 필수 조건이 되었다. 파울로스는 복음을 모든 사람에게 설교하는 것을 자신의 의무로 여겼는데, "헬라스인이건 오랑캐건 지혜로운 자도 있고 어리석은 자도 있다."라고 말하였다.[38]
헬라스 사람과 오랑캐의 차별은 기원전 4세기까지 이어졌다. 에우리피데스는 헬라스 사람이 오랑캐를 지배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는데, 전자는 자유가 예정되어 있지만, 후자는 속박이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39] 아리스토텔레스는 "오랑캐와 노예의 본성은 같다"고 결론지었다.[40] 스토아 학파의 가르침으로 인종 차별이 퇴색되었는데, 이들은 본성과 관습을 구분하고, 모든 사람이 신 앞에서 같은 자격을 가지며, 따라서 본성에 따라 서로가 불평등할 수 없다고 가르쳤다. 때맞춰 이소크라테스는 ''헬레네''란 말을 인종이 아닌 지적 특성을 가리키는 말로 썼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으로 그리스 문화가 아시아로 수입되어 이 지역의 사회와 교육을 변화시키면서 동방에서 그리스의 영향력이 공고해졌다. 이소크라테스는 자신의 연설 '송덕문'(''Panegyricus'')에서 "이제 아테네는 사상과 표현면에서 여타 인류에 뒤쳐지게 되었으며, 그 제자들이 세계의 교사가 되었다. 아테네는 '헬라스'란 이름을 더 이상 인종이 아닌 지성으로 구분케 하였으며, '헬레네'의 이름은 혈통이 아니라 교육 여부를 가리키게 되었다."[41] 헬레니즘 문명은 고전 그리스 문명을 세계적인 규모로 혁신하였으며, 모두에게 열렸다. 비슷하게 "헬라스 사람"이란 말도 그리스 민족을 가리키는 것에서 그리스의 관습에 따라 삶을 영위하는 모든 사람을 가리키게 되었다.
2. 2. 그라이코이 (Γραικοί, Graeci)
현대 영어에서 쓰는 'Greek'은 라틴어 '그라이쿠스'(Græcus)에서 온 말이다. 그라이쿠스는 원래 그라이코이(Γραικοί)의 시조 이름인 그라이코스(Γραικός)에서 나왔는데, 그라이코스는 기원전 8세기경 이탈리아로 이주한 사람으로, 서구 세계에서 그 이름이 헬라스 사람을 칭하는 말이 되었다.[42] 호메로스는 ''일리아스''의 선박의 목록에서 보이오티아 군대에 대해 언급하면서, 처음으로 그라이아(Γραῖα)라는 지명을 기록하였으며,[42] 파우사니아스는 고대 도시 타나그라가 '그라이아'로 불린 적이 있었다고 말했다.[43] 고대 이탈리아 네아폴리스 서쪽에 있고, 로마 시 남쪽에 있던 도시 쿠마이는 퀴마 사람과 칼키스 사람과 더불어 그라이아 사람이 건설한 도시인데, 고대 로마 사람들이 그라이아 사람과 접촉한 것 때문에 헬라스어를 쓰는 모든 부족을 '그리스 사람(Græci)'으로 칭하게 된 것 같다.'그리스' 명칭에 대해 언급한 가장 오래된 자료를 남긴 아리스토텔레스는 홍수가 일어나 중부 에페이로스를 휩쓸었는데, 그 땅에 살던 사람들이 예전에 '그리스 사람(γραικοί)으로 불렸으며, 나중에는 '헬라스 사람'(Έλληνες)이란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44] 헤시오도스는 그라이코스가 데우칼리온 집안 사람이며, 그 이름은 도도네의 사제에게 붙은 직함인 '게라니오스'(γηραιός, "늙은")과 관련이 있다고 한다.
로마인들은 '그리스인'이라는 말에 경멸적인 뉘앙스를 담기도 하였는데, 호라티우스는 "정복당한 그리스가 거친 정복자이자 문명화된 농민 라틴 사람을 정복하였다."(''Graecia capta ferum victorem cepit et artes intulit agresti Latio'')라고 썼으며, "난 다나오스 사람(그리스인)이 선물을 들고 있어도 두렵다"(''Timeo Danaos et dona ferentes'')라는 표현을 만들기도 하였다. 키케로는 '오만하고 작은 그리스놈'이란 뜻의 "그라이쿨리(Graeculi)"라는 멸칭을 만들었다.
윌리엄 스미스는 그의 ''그리스 및 로마 지리학 사전''에서 외국인들이 종종 그들의 고유한 이름(내부 명칭)과 다른 이름(외부 명칭)으로 사람들을 지칭한다고 언급한다.[5]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기상학''에서 ''Graeci'' (Γραικοίel)라는 이름을 최초로 기록하여 사용했다. 그는 도도나와 아켈로스 강 주변 지역에는 셀리족이 거주했으며, 한때 ''Graeci''라고 불렸지만 그의 시대에는 ''Hellenes''라고 불렸다고 썼다.[6]
헤시오도스는 그의 ''여인들의 목록''에서 그라에쿠스는 판도라와 제우스의 아들이며, 헬레니즘 관습을 따르는 사람들에게 자신의 이름을 부여했다고 말한다. 그의 형제 라티누스는 라틴족에게 자신의 이름을 부여했다.[7]
비잔티움의 스테파누스는 그의 ''에트니카''에서 테살루스의 아들인 그라에쿠스가 헬레네스에 대한 ''Graeci''라는 이름의 기원이라고 말한다.[8][9]
2. 3. 이오니아 (Ίωνες, Ionians)
소아시아에 주로 거주했던 이오니아인들은 아시아 세계와 가장 많이 접촉했고, 그들의 민족명칭은 그리스 동쪽의 문명국들에게 모든 헬레네스들을 지칭하는 데 널리 사용되었다.''유난''(یونانfa)이라는 이름은 아케메네스 제국(기원전 550-333년) 시대의 고대 페르시아어를 거쳐 유래했다. 이는 이오니아 그리스인(Ἰάονες|, iāonesgrc)을 지칭하는 고대 페르시아어 ''야우나''에서 파생된 것으로, 이들은 소아시아 서해안에 거주하며 페르시아인과 처음 접촉한 그리스인들이었다.[2][3] 이 용어는 결국 모든 그리스인에게 적용되었다.[4]
고대 중국은 중앙 아시아의 헬레니즘 그레코-박트리아 왕국을 ''다샤''(토하라, 또는 박트리아)로 지칭했고, 페르가나 계곡 주변의 다양한 도시 국가 연맹을 "위대한 이오니아인"을 의미하는 ''다위안''으로 지칭했다. 중국과의 접촉은 기원전 139년 전한 외교관 장건이 대월지와 반흉노 동맹을 모색하기 위한 임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처음 이루어졌다. 장건의 페르가나 말에 대한 보고는 한 무제가 무역을 위한 추가 사절단을 파견하는 결과를 낳았지만, 알렉산드리아 에스카테의 사절단과 통치자 간의 마찰로 인해 중국과 페르가나 연맹 간의 천마 전쟁이 발발했고, 결국 중국의 승리로 서역 도호부가 설치되었다.
2. 3. 1. 각 언어별 표기
로마인들이 라틴어로 그리스와 그리스인을 칭하던 이름은 "그라이키아(Graecia)"와 "그라이쿠스(Graecus)"인데, 대부분의 유럽어와 이들 언어에서 명칭을 빌려온 언어의 그리스 표기는 라틴어 명칭에서 유래하였다.언어 | 표기 |
---|---|
카탈루냐어 | Grècia |
크로아티아어 | Grčka |
영어 | Greece |
프랑스어 | Grèce |
이탈리아어 | Grecia |
독일어 | Griechenland |
에스파냐어 | Grecia |
포르투갈어 | Grécia |
네덜란드어 | Griekenland |
서프리슬란트어 | Grikelân |
아프리칸스어 | Griekeland |
폴란드어 | Grecja |
덴마크어 | Grækenland |
몰타어 | Greċja |
스웨덴어 | Grekland |
아이슬란드어 | Grikkland |
핀란드어 | Kreikka |
에스토니아어 | Kreeka |
알바니아어 | Greqia |
루마니아어 | Grecia |
헝가리어 | Görögország |
슬로바키아어 | Grécko |
슬로베니아어 | Grčija |
라트비아어 | Grieķija |
리투아니아어 | Graikija |
필리핀어 | Gresya |
콘월어 | Pow Grek |
웨일스어 | Groeg |
아일랜드어 | An Ghréig |
러시아어 | Греция (Gretsia) |
보스니아어 | Grčka |
우크라이나어 | Греція (Hretsiia) |
세르비아어 | Грчка / Grčka |
마케도니아어 | Грција / Grcija |
체코어 | Řecko |
불가리아어 | Гърция (Gǎrcija) |
일본어 | ギリシャ (기리샤) |
바스크어 | Grezia |
한국어 | 그리스 |
중동이나 동방 언어에서는 "yun" or "ywn" 어근이 흔하다. 이 말은 소아시아의 그리스 지명인 이오니아에서 나온 말이다.[20]
언어 | 표기 |
---|---|
아랍어 | يونان|Yūnānar |
아람어 | ܝܘܢ|Yawānarc or יון|Yawonarc |
아르메니아어 | Հունաստան|Hounastanhy |
아제르바이잔어 | Yunanıstan |
힌두어 | यूनान|Yūnānhi |
성서 히브리어 | יָוָן|Yāwānhe |
현대 히브리어 | יוון|Yavanhe |
KJV 성경 히브리어 | Javan |
인도네시아어 | Yunani |
쿠르드어 | Yewnanistan |
라즈어 | Yonaneti-Xorumona(ხორუმონა) |
네팔어 | यूनान|Yūnānne |
페르시아어 | یونان|Yūnānfa |
산스크리트어 | Yavana |
타지크어 | " Юнон" |
튀르키예어 | Yunanistan |
세 번째로 "hl" 어근이 있는데, 그리스를 비롯한 세계 일부 나라에서 쓰인다.
언어 | 표기 | |||||||||||||||||||||||||||
---|---|---|---|---|---|---|---|---|---|---|---|---|---|---|---|---|---|---|---|---|---|---|---|---|---|---|---|---|
그리스어 | Hellas 또는 Hellada | |||||||||||||||||||||||||||
복조 정서법 | {{lang|grc|Ἑλλάς|} | } 또는 Ἑλλάδα|grc
기간 | 명칭 | 설명 |
---|---|---|
1821년 ~ 1828년 | 그리스 임시 행정부 (Προσωρινή Διοίκησις τῆς Ἑλλάδος) | 런던 의정서에서 그리스 자치가 국제적으로 인정되기 전 임시 정부에서 사용. |
1828년 ~ 1832년 | 헬레닉 국가 (Ἑλληνική Πολιτεία) | 이오안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 총독 재임 기간 동안 사용. 이전 시기와 함께 "제1 헬레닉 공화국"으로 묶이기도 함. |
1832년 ~ 1924년 | 그리스 왕국 (Βασίλειον τῆς Ἑλλάδος) | 1832년 런던 회의에서 그리스가 군주국으로 선포된 후 채택. 1924년 5월 15일까지 유지.[14] |
1924년 3월 15일 ~ 5월 28일 | 헬레닉 국가 (Ἑλληνική Πολιτεία) | 제2 헬레닉 공화국의 초기 명칭. |
1924년 ~ 1935년 | 헬레닉 공화국 (Ἑλληνική Δημοκρατία) | 역사적으로 제2 헬레닉 공화국으로 알려져 있으며, 1924년 5월 24일 (5월 28일 발효)[15]부터 게오르기오스 콘딜리스의 1935년 10월 10일 쿠데타와 군주제 복원까지 사용. |
1935년 ~ 1973년 | 그리스 왕국 (Βασίλειον τῆς Ἑλλάδος) | 1935년 군주제 복원부터 대령 정권 군사 정권에 의한 1973년 6월 1일 폐지까지. 1941년 ~ 1944년 사이에는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망명 그리스 정부가 사용. |
1941년 ~ 1944년 | 헬레닉 국가 (Ἑλληνική Πολιτεία) | 추축국의 그리스 점령 동안 추축국 점령 하의 그리스의 협력 정부에서 사용. |
1973년 ~ 현재 | 헬레닉 공화국 (Ελληνική Δημοκρατία) | 군사 정권에 의한 군주제 폐지부터 현재까지. 그러나 현재의 제3 헬레닉 공화국은 메타폴리테프시와 민주주의 통치의 복귀 이후인 1974년에 시작된 것으로 간주. |
참조
[1]
문서
Catalogue of Women, fr. 9 and 10(a)
[2]
서적
Explorations in Ottoman Prehisto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3]
서적
Ancient Persia: A Concise History of the Achaemenid Empire, 550–330 BC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4]
간행물
Macedonians and Greeks
Oxford Press
[5]
문서
[6]
문서
Meteorology
https://web.archive.[...]
[7]
문서
Catalogue of Women
http://mcllibrary.or[...]
[8]
문서
Ethnica
https://books.google[...]
[9]
문서
[10]
간행물
RRETH “FJALORIT SHQIP – ANGLISHT”(“OXFORD ALBANIAN – ENGLISH DICTIONARY”) TË LEONARD NEWMARK-UT
http://www.ashak.org[...]
[11]
웹사이트
Yavan in the House of Shem: Greeks and Jews, 332–63 BC
http://www.wsu.edu/~[...]
Washington State University
1999-06-06
[12]
백과사전
Yunan, Yunani
https://nla.gov.au/n[...]
Salavopoulos & Kinderlis
1932
[13]
서적
Imagining History at the Crossroads: Persia, Byzantium, and the Architects of the Written Georgian Past
[14]
뉴스
Government Gazette
Government Gazette (Greece)
1924-03-15
[15]
뉴스
Government Gazette
Government Gazette (Greece)
1924
[16]
웹인용
Websters thesaurus
http://www.websters-[...]
2006-10-14
[17]
서적
Ashgate Publishing, Ltd.
[18]
서적
[19]
문서
[20]
웹인용
http://www.wsu.edu/~[...]
[21]
문서
Art and Identity in Thirteenth-century Byzantium
[22]
문서
Iliad
[23]
문서
Description of Greece
[24]
문서
Histories
[25]
문서
The Histories
[26]
문서
[27]
서적
A History of Greece to 322BC
Oxford University Press
[28]
문서
History
[29]
문서
History
[30]
문서
History
[31]
문서
Hellenicity: Between Ethnicity and Cultur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2]
사전
barbarous
Oxford English Dictionary
[33]
문서
History
[34]
문서
Histories
[35]
문서
The Birds
[36]
서적
The Clouds
[37]
서적
Roman Archaeology
[38]
서적
Epistle to the Romans
[39]
서적
Iphigeneia at Aulis
[40]
서적
Republic
[41]
서적
Panegyricus
[42]
서적
Iliad
[43]
서적
Boeotics and Phocaeic
[44]
서적
Meteorologic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