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401호 ~ 제500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401호 ~ 제500호)는 정치, 사회, 경제, 산업, 문화, 스포츠, 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지정된 문화재 목록을 포괄한다. 여기에는 독립운동 관련 유물(백범 김구 관련 유물, 독립신문, 광복군 관련 자료 등), 대한민국 정부 수립 및 6.25 전쟁 관련 유물(대한민국 육군기, 백두산함 돛대, 휴전협정 조인식 책상 등), 경제 및 산업 관련 유물(신진 퍼블리카, 옹기가마, 엄복동 자전거 등), 철도 및 통신 관련 유물(증기기관차, 전화기, 전신기 등), 문화 관련 유물(김소월 시집, 안중식 그림, 찬양가, 영화 등), 스포츠 관련 유물(올림픽 유물, 아시안컵 우승컵, 전국체육대회 우승기 등), 건축물(구 신아일보 별관, 구 공주읍사무소, 최규하 가옥 등), 6.25 전쟁 관련 시설(설마리전투비, 유엔군 화장장 시설, 육군 및 해병대 훈련 시설) 등이 포함되어 있다.

2. 정치 및 사회

대한민국의 근현대사 속 중요한 정치적, 사회적 사건 및 인물과 관련된 국가등록문화재를 다룬다. 이 시기의 문화재들은 일제강점기독립운동부터 해방 이후의 정부 수립, 한국전쟁 등 격동의 시기를 거쳐온 대한민국의 역사를 생생하게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들이다.

독립운동 관련 유물에서는 백범 김구 선생과 같은 독립운동가들의 유품, 비밀리에 제작된 독립신문, 한국광복군의 군복 등을 통해 일제의 압제에 맞서 싸운 선열들의 숭고한 희생과 독립 의지를 엿볼 수 있다.

해방 이후 정부 수립 및 한국전쟁 관련 유물에서는 한국전쟁 당시 사용되었던 교량, 전투 기념비, 군사 시설 및 장비 등을 통해 전쟁의 참상과 극복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유물들은 분단과 전쟁이라는 비극적인 역사를 기억하고 평화의 소중함을 되새기게 한다.

이처럼 정치·사회 분야의 국가등록문화재는 단순한 과거의 기록을 넘어, 현재 우리가 누리는 자유와 민주주의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보여주는 살아있는 역사 교과서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2. 1. 독립운동 관련 유물

일제강점기 조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애국지사들의 유물과 관련된 국가등록문화재는 다음과 같다.

  • '''국가등록문화재 제439호 백범 김구 혈의 일괄''': 백범 김구 선생이 1949년 6월 26일 경교장에서 안두희의 총탄에 맞아 서거할 당시 입고 있던 피 묻은 옷이다. 조국의 독립과 통일을 위해 일생을 바친 김구 선생의 마지막 순간을 증언하는 중요한 유물로, 2009년 6월 26일 등록되었다. 현재 서울 용산구 효창동 백범김구기념관에 소장되어 있다.
  • '''국가등록문화재 제440호 백범 김구 인장''': 백범 김구 선생이 사용했던 인장들이다. '金九之印'(김구지인), '金九'(김구), '寬和, 金九之印, 白凡'(관화, 김구지인, 백범) 등 여러 종류가 있으며, 각각 충청남도 천안시 독립기념관과 서울 백범김구기념관에 나뉘어 보관되고 있다. 김구 선생의 활동과 사상을 엿볼 수 있는 자료로, 2009년 6월 26일 등록되었다.
  • '''국가등록문화재 제441호 백범 김구 회중시계''': 백범 김구 선생이 생전에 사용했던 회중시계이다. 윤봉길 의사가 훙커우 공원 의거 당시 사용했던 시계와 맞바꾼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김구 선생이 늘 몸에 지니고 다녔다고 전해진다. 2009년 6월 26일 등록되었으며, 서울 백범김구기념관에 소장되어 있다.
  • '''국가등록문화재 제442호 백범 김구 유묵''': 백범 김구 선생이 남긴 글씨들이다. '韓美親善平等互助'(한미친선평등호조), '愼其獨'(신기독), '思無邪'(사무사) 등 다양한 내용의 유묵이 있으며, 김구 선생의 사상과 신념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2009년 6월 26일 등록되었으며, 서울 백범김구기념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 '''국가등록문화재 제458호 진관사 소장 독립신문류''':
    진관사 소장 독립신문류 중 독립신문 제30호
    서울 은평구 진관사에서 발견된 독립신문일제강점기 항일운동 관련 자료들이다. 3.1 운동 직후 발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독립신문과 함께 신대한신문, 자유신종보, 조선독립신문 등이 포함되어 있다. 당시 독립운동가들이 비밀리에 제작하고 배포했던 자료들로, 일제의 탄압 속에서도 꺾이지 않았던 독립 의지를 보여준다. 2010년 2월 25일 등록되었다. 함께 발견된 태극기는 2021년 10월 25일 서울 진관사 태극기라는 명칭으로 보물로 지정되면서 등록문화재에서는 해제되었다.
  • '''국가등록문화재 제460호 한국광복군 군복''': 한국광복군이 착용했던 군복이다. 중국에서 활동하던 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조국 독립을 위해 싸웠던 광복군의 모습을 보여주는 유물이다. 2010년 6월 25일 등록되었으며, 서울 노원구 육군사관학교 내 육군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국가등록문화재 제474호 광복군가집 제1집''': 한국광복군이 부르던 군가들을 모아 놓은 노래집이다. 1940년대 중국 충칭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광복군의 사기를 높이고 독립 의지를 다지는 데 사용되었다. 당시 광복군의 생활과 정신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2011년 8월 24일 등록되었다. 부산광역시 서구의 한종수가 소장하고 있다.
  • '''국가등록문화재 제465호 의병장 김도현 칼''': 구한말 경상북도 지역에서 활동했던 의병장 김도현이 사용했던 칼이다. 칼날에는 '北斗七星'(북두칠성)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어, 의병 활동 당시의 결의를 엿볼 수 있다. 2010년 6월 25일 등록되었으며, 충청남도 천안시 독립기념관에 소장되어 있다.
  • '''국가등록문화재 제468호 명신여학교 태극기·현판·완문''': 명신여학교(현 숙명여자고등학교)에서 사용했던 태극기, 현판, 완문이다. 명신여학교는 1906년 순헌황귀비 엄씨가 설립한 여성 교육기관으로, 일제강점기에도 민족 교육을 위해 힘썼다. 이 유물들은 근대 여성 교육의 역사와 민족 정신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2010년 8월 24일 등록되었으며, 서울 강남구 숙명여자고등학교에서 관리하고 있다.
  • '''국가등록문화재 제482호 배설 만사집''': 대한매일신보를 창간하여 항일 언론 활동을 펼쳤던 영국인 기자 배설(Ernest T. Bethell)의 죽음을 애도하며 지은 글들을 모은 책이다. 박은식, 신채호 등 당대 지식인들이 참여하여 그의 업적을 기리고 죽음을 슬퍼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한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외국인 언론인의 삶과 그에 대한 한국인들의 존경심을 보여준다. 2011년 12월 15일 등록되었으며, 서울 종로구 동아일보 신문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국가등록문화재 제483호 배설 유품''': 배설이 생전에 사용했던 유품들이다. 대한매일신보 관련 자료, 개인 서신, 사진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그의 언론 활동과 개인적인 삶의 흔적을 엿볼 수 있다. 2011년 12월 15일 등록되었으며, 서울 종로구 동아일보 신문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2. 2. 해방 이후 정부 수립 및 한국전쟁 관련 유물

(漆谷 倭館鐵橋)경북 칠곡군 왜관읍 석적로 39, 외 (석전리)2008년 10월 1일문화재청407호
파주 영국군 설마리전투비
파주 영국군 설마리전투비
(坡州 英國軍 雪馬里戰鬪碑)경기 파주시 적성면 마지리 산2-22008년 10월 1일문화재청408호연천 유엔군 화장장 시설
(漣川 유엔軍 火葬場 施設)경기 연천군 미산면 동이리 610, 산77-22008년 10월 1일문화재청409호
제주 구 육군제1훈련소 지휘소
제주 구 육군제1훈련소 지휘소
(濟州 舊 陸軍第一訓練所 指揮所)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상모리 3370 외2008년 10월 1일문화재청410호제주 구 해병훈련시설
(濟州 舊 海兵訓練施設)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상모리 3306 외2008년 10월 1일문화재청411호
국산 1호 항공기 부활
국산 1호 항공기 부활
(國産 一號 航空機 ‘復活’)충북 청원군 남일면 쌍수리 1362008년 10월 1일문화재청415호
미카형 증기기관차 129호
미카형 증기기관차 129호(미카3-129호)
(미카型 蒸氣機關車 129號)대전 유성구 현충원로 251 국립대전현충원2008년 10월 17일문화재청461호대한민국 육군기
(大韓民國 陸軍旗)서울 노원구 공릉동 산230-30 육군박물관2010년 6월 25일문화재청462호대한민국 최초 항공기(L-4 연락기)
(大韓民國 最初 航空機(L-4 連絡機))충북 청원군 남일면 쌍수리 136 공군박물관2010년 6월 25일문화재청463호
백두산함 돛대
백두산함 돛대
(白頭山艦 돛대)경남 창원시 안곡동 46 해군사관학교 박물관2010년 6월 25일문화재청464호휴전협정 조인시 사용 책상
(休戰協定 調印時 使用 冊床)서울 용산구2010년 6월 25일문화재청


3. 경제 및 산업

대한민국의 근현대 경제 및 산업 발달 과정을 보여주는 다양한 유물들이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이 유물들은 당시의 기술 수준, 생산 방식, 사회 생활의 변화 등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주요 분야로는 교통망의 근간을 이룬 철도, 정보 전달 방식의 혁신을 가져온 통신, 그리고 자동차 산업의 시작과 전통 산업의 명맥을 보여주는 다양한 산업 유물들이 포함된다.

3. 1. 철도 관련 유물

wikitext

번호사진명칭소재지관리자(단체)지정일
414호
미카형 증기기관차 304호
미카형 증기기관차 304호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연동 270-5 (삼무공원)2008년 10월 17일
415호미카형 증기기관차 129호대전광역시 유성구 현충원로 251 국립대전현충원한국철도공사2008년 10월 17일
416호디젤전기기관차 2001호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 1210 (부산철도차량관리단)2008년 10월 17일
417호
파시형 증기기관차 23호
파시형 증기기관차 23호경기도 의왕시 월암동 374-1 (철도박물관)2008년 10월 17일
418호
협궤 증기기관차 13호
협궤 증기기관차 13호경기도 의왕시 월암동 374-1 (철도박물관)2008년 10월 17일
419호
대통령 전용 객차
대통령 전용 객차경기도 의왕시 월암동 374-1 (철도박물관)2008년 10월 17일
420호
주한 유엔군사령관 전용 객차
주한 유엔군사령관 전용 객차경기도 의왕시 월암동 374-1 (철도박물관)2008년 10월 17일
421호
협궤무개화차
협궤무개화차경기도 의왕시 월암동 374-1 (철도박물관)2008년 10월 17일
422호
협궤유개화차
협궤유개화차경기도 의왕시 월암동 374-1 (철도박물관)2008년 10월 17일
423호
대한제국기 철도 통표
대한제국기 철도 통표경기도 의왕시 월암동 374-1 (철도박물관)2008년 10월 17일
424호
대한제국기 경인철도 레일
대한제국기 경인철도 레일경기도 의왕시 월암동 374-1 (철도박물관)2008년 10월 17일
425호
쌍신폐색기
쌍신폐색기경기도 의왕시 월암동 374-1 (철도박물관)2008년 10월 17일


3. 2. 통신 관련 유물

2009년 4월 22일 지정된 한국 근현대 통신 기술 발전을 보여주는 주요 유물들은 다음과 같다.

3. 3. 기타 산업 관련 유물

신진 퍼블리카


신진 퍼블리카대한민국 자동차 산업의 초창기 모습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1963년 신진공업사가 일본 토요타와 기술 제휴를 통해 생산한 모델로, 국내에서 조립 생산된 초기 자동차 중 하나이다. 2008년 8월 12일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401호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경기도 여주시 대신면에 소재하고 있다.

김제 부거리 옹기가마


김제 부거리 옹기가마대한민국의 전통적인 옹기 제작 기술과 그 역사를 보여주는 유적이다. 전통 방식 그대로 흙을 이용하여 만들어졌으며, 여러 개의 칸으로 이루어진 오름가마(등요) 형태를 잘 간직하고 있다. 2008년 8월 27일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403호로 지정되었으며,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 옹기가마길에 위치한다.

엄복동 선수가 실제 사용했던 자전거이다. 이 자전거는 대한민국 초기 자전거 문화와 일제강점기 당시 자전거 경주를 통해 민족의 자긍심을 높였던 스포츠 영웅 엄복동을 상징하는 유물이다. 2010년 8월 24일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466호로 지정되었으며, 개인이 소장하고 있다 (소재지: 서울 강동구).

4. 문화

제401호부터 제500호까지의 국가등록문화재 중 '문화' 분야는 한국 근현대사의 다양한 면모를 보여주는 유산들을 포함한다. 이 분야는 다시 언론, 문학, 예술, 영화, 의료, 종교, 생활 등의 세부 영역으로 나뉜다. 특히, 일제 강점기 당시 동아일보, 조선일보와 같은 언론사들이 주도한 문맹 퇴치 운동의 일환으로 제작된 '''일제강점기 문자보급교재'''(제484호)는 민족 교육과 계몽 운동의 중요한 역할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각 하위 분야별로 등록된 문화재들은 당시의 사회상과 문화적 특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4. 1. 언론

서울 구 신아일보 별관


'''서울 구 신아일보 별관'''은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길 33 (정동)에 위치하며, 2008년 8월 27일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402호로 지정되었다. 이 건물은 과거 신아일보의 별관으로 사용되었으며, 한국 언론 역사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중요한 장소로 여겨진다.

'''진관사 소장 독립신문류'''는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에 위치한 진관사에서 발견된 독립신문 등의 자료이다. 2010년 2월 25일 국가등록문화재 제458호로 지정되었다. 이는 일제 강점기 당시의 독립운동 및 언론 활동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는다. 함께 발견된 태극기는 그 가치를 인정받아 2021년 10월 25일 대한민국의 보물로 별도 지정되면서 등록문화재에서는 해제되었다.

'''배설 만사집'''은 대한매일신보를 창간하여 항일 언론 활동을 펼친 어니스트 토머스 베델(Ernest Thomas Bethell, 배설)의 장례식에서 사용된 만사들을 모은 자료이다. 2011년 12월 15일 국가등록문화재 제482호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동아일보 신문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는 베델의 업적을 기리고 당시 사회상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배설 유품'''은 어니스트 토머스 베델이 생전에 사용했던 물품들로, 2011년 12월 15일 국가등록문화재 제483호로 지정되었다. 만사집과 마찬가지로 동아일보 신문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으며, 베델의 삶과 대한매일신보를 통한 항일 활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유물이다.

'''일제강점기 문자보급교재'''는 일제 강점기 당시 문맹 퇴치 운동의 일환으로 제작 및 보급된 한글 교재들이다. 동아일보조선일보 등 언론사가 주도한 브나로드 운동과 문자보급운동을 통해 널리 사용되었다. 이 교재들은 2011년 12월 15일 국가등록문화재 제484호로 지정되었으며, 당시 민족 교육과 계몽 운동의 중요한 역할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현재 동아일보 신문박물관(제484-1호)과 조선일보 사료관(제484-2호)에 각각 소장되어 있다.

4. 2. 문학

김소월 시인의 시집 《진달래꽃》은 한국 현대시를 대표하는 작품 중 하나로, 한국인의 정서를 잘 표현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 시집의 초판본 중 4건이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번호명칭소재지관리자(단체)지정일
470-1호김소월 시집 진달래꽃서울 금천구 금하로 816 (시흥동,벽산5단지아파트)윤길수2011년 2월 25일
470-2호김소월 시집 진달래꽃서울 중구 서소문로11길 19, 배재학당 역사박물관 (정동)배재학당 역사박물관2011년 2월 25일
470-3호김소월 시집 진달래꽃서울 송파구 올림픽로4길 15,(잠실동,아시아선수촌아파트)이기문2011년 2월 25일
470-4호김소월 시집 진달래꽃서울 성북구 성북로 49 운석빌딩화봉문고2011년 2월 25일


4. 3. 예술

한국 대중음악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빅타레코드의 음반 제작용 금속 원반이다. 1930~40년대 한국 대중가요 음반 제작 과정과 기술을 보여주는 희귀한 자료로, 당시 유행했던 음악과 문화를 연구하는 데 가치가 높다. 소재지는 서울 종로구이며, 2011년 10월 17일 지정되었다.

4. 4. 영화


:* 소재지: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400 (한국영상자료원)

:* 관리자: 한국영상자료원

:* 지정일: 2012년 2월 16일

:* 내용: 한국 초기 영화의 대표작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4. 5. 의료

wikitext

번호명칭소재지관리자(단체)지정일
제445호알렌의 진단서서울 서대문구 연세로 50, 동은의학박물관 (신촌동).2009년 10월 12일
제446호알렌의 검안경서울 서대문구 연세로 50, 동은의학박물관 (신촌동)국립중앙박물관2009년 10월 12일
제447호제중원 1차년도 보고서서울 서대문구 연세로 50, 학술정보원 (신촌동,연세대학교).2009년 10월 12일
제448호에비슨의 수술장면 유리건판 필름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국립중앙박물관2009년 10월 12일
제449호대한의원 개원 칙서서울 종로구 연건동 28 (서울대학교병원 의학박물관).2009년 10월 12일
제450호분쉬의 외과도구서울 서대문구 연세로 50, 동은의학박물관 (신촌동).2009년 10월 12일
제495호러들로 흉판서울 서대문구 성산로 250연세대학교 동은의학박물관2012년 6월 19일


4. 6. 종교

4. 7. 생활

한국 근대 왕실 및 상류층의 생활상을 보여주는 공예품들이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유제화형촛대

5. 스포츠

(내용 없음)

5. 1. 올림픽 관련 유물

(단체)지정일참조489호제11회 베를린올림픽 마라톤 우승 유물
()
(Prizes for the Marathon Winner at the 1936 Berlin Olympics영어)
(손기정 관련)서울 중구 손기정로 101손기정 기념재단2012년 4월 18일 지정[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79,04890000,11]490호제14회 런던올림픽 후원권
()
(Ticket for Sponsoring the Korean National Team Participating in the 1948 London Olympics영어)서울 노원구 화랑로 727 한국체육박물관대한체육회2012년 4월 18일 지정[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79,04900000,11]491-1호이원순 유물
()
(Artifacts Used by Yi Won-sun영어)서울 노원구 화랑로 727 한국체육박물관대한체육회2012년 4월 18일 지정[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79,04910100,11]491-2호이원순 유물
()
(Artifacts Used by Yi Won-sun영어)충남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삼방로 95 독립기념관독립기념관2012년 4월 18일 지정[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79,04910200,34]492호제14회 런던올림픽 참가 페넌트
()
(Pennant Used by the Korean National Team Participating in the 1948 London Olympics영어)서울 노원구 화랑로 727 한국체육박물관대한체육회2012년 4월 18일 지정[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79,04920000,11]


5. 2. 기타 스포츠 관련 유물

6. 건축물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401호부터 제500호까지 지정된 문화재 중에는 한국 근현대사의 다양한 모습을 담고 있는 건축물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이 시기에 등록된 건축물들은 관공서, 학교와 같은 공공시설부터 개인 주거 공간, 산업 시설, 종교 시설에 이르기까지 그 종류가 다양하다.

이 건축물들은 각기 다른 시대적 배경과 사회적 맥락 속에서 건립되어, 당시의 건축 기술, 생활 양식, 사회 구조 등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예를 들어, 지방 행정의 중심 역할을 했던 옛 읍사무소나 군청 건물, 근대 교육의 장이었던 학교 건물 등은 공공 건축의 변천 과정을 보여준다. 또한, 화가나 전직 대통령 등이 거주했던 가옥들은 특정 인물의 삶과 연결된 역사적 공간으로서 의미를 지니며, 일제강점기에 세워진 사택이나 합숙소, 망루, 교도소 시설 등은 당시의 사회상과 아픈 역사를 증언하는 장소이기도 하다. 이 외에도 병원, 철교, 사찰 건물, 정자 등 다양한 용도의 건축물들이 문화재로 등록되어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6. 1. 관공서 건물

(舊 公州邑事務所)충청남도 공주시 우체국길 8 (반죽동)공주시장2009년 10월 12일제444호구 광양군청
(舊 光陽郡廳)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매천로 829 (읍내리)광양시장2009년 10월 12일


6. 2. 교육 시설

인천 제물포고등학교 강당

2008년 10월 27일 지정된 국가등록문화재 제427호이다. 한국 근대 교육 시설의 건축 양식을 잘 보여주는 건물로 평가받는다.
2012년 6월 19일 지정된 국가등록문화재 제496호이다. 학교법인 송설당교육재단에서 관리하고 있다. 여성 교육자로서 근대 교육 발전에 기여한 최송설당을 기리기 위해 제작되었으며, 교육자의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6. 3. 주거 시설

=== 용인 장욱진 가옥 ===

화가 장욱진(張旭鎭)이 1986년부터 거주하며 작품 활동을 했던 곳이다. 경기도 용인시 마북동에 위치하며, 한옥과 양옥이 결합된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장욱진 화가의 생활 공간이자 예술 세계를 엿볼 수 있는 장소로, 2008년 9월 17일 국가등록문화재 제404호로 지정되었다. 현재 (재)장욱진미술문화재단에서 관리하고 있다.

=== 서울 신당동 박정희 가옥 ===

박정희 전 대통령이 5·16 군사 정변을 계획했던 시기인 1958년 5월부터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관사로 이주한 1961년 8월까지 가족과 함께 거주했던 집이다. 서울특별시 중구 신당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당시의 생활 모습을 엿볼 수 있는 공간으로 보존되고 있다. 2008년 10월 10일 국가등록문화재 제412호로 지정되었다.

=== 서울 서교동 최규하 가옥 ===

서울 서교동 최규하 가옥


최규하 전 대통령이 국무총리 시절이던 1973년부터 2006년 서거할 때까지 30여 년간 거주했던 가옥이다.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교동에 위치하며, 1970년대 당시의 생활상을 보여주는 유물들이 잘 보존되어 있다. 2008년 10월 10일 국가등록문화재 제413호로 지정되었으며, 서울특별시에서 관리하고 있다.

=== 동해 구 삼척개발 사택과 합숙소 ===

일제강점기 말기인 1940년대 초, 삼척개발주식회사가 직원 및 노동자들의 주거를 위해 건립한 시설이다. 강원도 동해시 용정동에 위치하며, 사택 3동과 합숙소 1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당시 북평 지역 산업 개발에 동원된 노동자들의 생활 환경과 주거 양식을 보여주는 역사적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2010년 2월 19일 국가등록문화재 제456호로 지정되었다.

6. 4. 기타


칠곡 왜관철교

청송 소류정

7. 6.25 전쟁 관련 시설

6.25 전쟁의 비극적인 역사와 관련된 다양한 시설들이 그 아픔과 교훈을 간직한 채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이들 시설은 전쟁의 참상을 증언하고 희생된 이들을 기리는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여기에는 격전지에서 희생된 장병들을 추모하는 기념비, 전쟁 중 임시로 운영되었던 유엔군 관련 시설, 그리고 전쟁 수행을 위해 후방에 설치되었던 대한민국 국군의 훈련 시설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문화재들은 6.25 전쟁의 기억을 보존하고 후세에 평화의 가치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7. 1. 기념 시설

6.25 전쟁 당시 임진강 전투의 일부인 설마리 전투에서 중공군에 맞서 싸우다 희생된 영국군 글로스터셔 연대 장병들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된 비석이다.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마지리 산2-2에 위치하며, 2008년 10월 1일 지정되었다. 영국군의 용맹과 희생을 기리는 상징적인 기념물이다.

7. 2. 군사 시설

United Nations (UN) Forces Cremation Facility, Yeoncheoneng경기 연천군 미산면 동이리 610, 산77-22008년 10월 1일409호제주 구 육군제1훈련소 지휘소
Former Command Center of the 1st Army Training Camp, Jejueng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상모리 3370 외2008년 10월 1일410호제주 구 해병훈련시설
Former Marine Corps Training Camp, Jejueng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상모리 3306 외2008년 10월 1일



연천 유엔군 화장장 시설은 한국 전쟁 당시 전사한 유엔군 장병들을 위해 건립된 화장 시설로, 전쟁의 비극적인 역사를 간직한 중요한 장소이다.

제주 구 육군제1훈련소 지휘소와 제주 구 해병훈련시설은 한국 전쟁 발발 직후 대한민국 육군대한민국 해병대의 신병 양성을 위해 제주도에 설치된 훈련 시설의 일부이다. 이 건물들은 당시 제주도가 중요한 군사 훈련 기지 역할을 했음을 보여주는 역사적 증거물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