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지된 군주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군주제 폐지는 고대 아테네와 로마 공화정의 수립을 시작으로, 중세 유럽의 도시 국가들, 17세기 잉글랜드의 청교도 혁명, 18세기 미국 독립 혁명과 프랑스 혁명을 거치며 다양한 형태로 진행되었다. 1, 2차 세계 대전 이후 식민지 독립 운동과 함께 많은 국가에서 군주제가 폐지되었으며, 20세기 후반에는 이란 혁명으로 이슬람 공화국이 등장했다. 현재에도 일부 국가에서는 군주제 폐지 또는 공화정 전환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화주의 - 여의도연구원
여의도연구원은 역대 이사장과 원장 목록을 제공하며, 이 목록은 여의도연구소와 여의도연구원의 역대 직책자들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 공화주의 - 삼균주의
조소앙이 제창한 삼균주의는 개인, 민족, 국가 간 완전한 평등을 추구하며 정치, 경제, 교육의 균등을 통해 이상 사회를 건설하고자 하는 독립운동 이념으로, 손중산의 삼민주의, 서양 철학, 기독교적 평등주의의 영향을 받아 대한민국 임시정부 건국강령의 기반이 되었다. - 군주제 - 재가 (입헌군주제)
재가란 입헌군주제 국가에서 군주 또는 대리인이 의회 통과 법안에 서명하여 법률로 성립시키는 행위로, 현대에는 형식적 절차이지만 법률 제정 과정에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 군주제 - 전제군주제
전제군주제는 군주가 최고의 권력을 독점하여 국민의 참여 없이 통치하는 정치 체제로, 중세 후기 봉건제 발전 과정에서 등장하여 왕권신수설로 정당화되었으나, 계몽주의 시대 이후 쇠퇴하여 현대에는 일부 국가에서만 유지되고 있다.
폐지된 군주제 | |
---|---|
개요 | |
주제 | 군주제 폐지 요구 또는 운동 |
목표 | 공화국 수립 |
관련 이념 | 공화주의 |
특징 | |
주요 주장 | 군주제는 민주적이지 않고 불공정함 |
관련 주장 | 세습 특권에 반대 국왕의 정치적 영향력 제한 또는 철폐 요구 국가 원수를 선출직으로 대체 평등, 민주주의, 법치주의 가치 옹호 |
목표 달성 방법 | 평화적인 정치 운동 국민 투표 혁명 |
역사적 맥락 | |
배경 | 계몽주의 사상 확산 프랑스 혁명 등 시민 혁명 영향 민주주의 발달 국수주의 대두 |
각국의 군주제 폐지론 | |
유럽 | 영국 아일랜드 네덜란드 스페인 |
아시아 | 일본 |
오세아니아 |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
아메리카 | 캐나다 바베이도스 자메이카 |
같이 보기 | |
관련 주제 | 군주제 공화국 공화주의 민주주의 자유주의 평등주의 |
2. 군주제 폐지의 역사
군주제 폐지는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어 왔다. 고대에는 아테네가 왕정을 폐지하고 민주정을 채택했으며, 고대 로마는 왕을 추방하고 공화정을 수립했다.[5]
중세에는 베네치아 공화국, 피렌체 공화국 등 도시 국가들이 공화정을 채택했다. 대항해 시대에는 구미 열강의 식민지 획득 경쟁으로 잉카 제국, 무굴 제국 등 현지 군주제가 소멸되거나 종주국의 군주제에 편입되었다.
17세기 이후 계몽사상과 자유주의, 민주주의, 평등주의, 민족주의의 보급으로 국가 통합의 중심이 군주에서 국가로 전환되었다. 청교도 혁명으로 왕정이 폐지되기도 하였던 영국에서는 명예 혁명으로 왕권 제한이 제도화되었고 (마그나 카르타, 입헌 군주제), 미국 독립 혁명으로 대통령 중심의 공화국(미국)이, 프랑스 혁명으로 왕정이 폐지된 공화국(프랑스 제5공화국)이 탄생했다.
20세기에는 두 차례의 세계 대전과 식민지 독립 운동으로 많은 국가에서 군주제가 폐지되었다. 1912년 중화민국, 1917년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이 성립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후 독일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오스만 제국 등이 붕괴되어 공화국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에는 추축국 측 이탈리아 왕국, 루마니아 왕국, 헝가리 왕국, 불가리아 왕국 등이 붕괴되어 공화국이 되었다.
1922년 아일랜드, 1947년 인도가 영국 제국에서 독립하여 공화국이 되었다. 1950년대 이후 아랍 민족주의의 영향으로 이집트, 리비아, 튀니지 등에서 쿠데타로 왕정이 폐지되었고, 1978년 이란 혁명으로 이슬람 공화국이 성립되었다.
20세기 이후 군주제가 폐지된 국가들은 다음과 같다(단순 군주/왕조 교체 제외).
연도 | 국가·지역 | 비고 |
---|---|---|
1901 | 덴디 왕국(Dendi Kingdom) | 프랑스에 점령, 프랑스령 서아프리카 일부. |
1902 | 아샨티 왕국 | 영국에 점령, 영령 골드 코스트 일부. |
1905 | 오요 왕국 | 마지막 군주 사망, 영국 남부 나이지리아 보호령 일부. |
1909 | 무와리 술탄국 | 프랑스 병합, 술탄제 폐지. |
1910 | 포르투갈 왕국 | 공화 혁명으로 국왕 폐위. |
1910 | 대한제국 | 일본에 의한 한일 병합으로 군주 폐지, 1945년까지 일본 통치. |
1910 | 안고셰 술탄국 | 포르투갈에 점령, 병합. |
1911 | Nri 왕국 | 영국에 점령, 남부 나이지리아 보호령 일부. |
1911 | 카산제 왕국 | 포르투갈에 의해 포르투갈령 서아프리카에 병합. |
1912 | 대청 제국 | 신해 혁명으로 황제 퇴위, 중화민국 성립. |
1912 | 은주와니 술탄국 | 프랑스에 병합. |
1914 | 콩고 왕국 | 벨기에와 포르투갈 식민지로 분할 통치, 소멸. |
1915 | 술루 왕국 | 미국 통치 하, 술탄 세속적 권리 포기. |
1916 | 다르푸르 술탄국 | 제1차 세계 대전 중 오스만 제국과 동맹, 술탄 살해, 영-이집트 수단에 병합. |
1916 | 중화 제국 | 위안스카이 단명 정권, 호국 전쟁으로 퇴위. |
1917 | 대청 제국 | 장쉰 복벽으로 황제 즉위, 돤치루이 "토역군" 조직, 황제 퇴위. |
1917 | 러시아 제국 | 러시아 혁명으로 로마노프 왕조 멸망, 러시아 임시 정부 거쳐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성립. |
1917 | 핀란드 대공국 | 핀란드 독립 선언으로 러시아와 동군 연합에서 공화제로 이행. |
1918 | 몬테네그로 왕국 | 제1차 세계 대전 국왕 망명, 포드고리차 의회 폐위, 세르비아 왕국 통합, 유고슬라비아 왕국 일부. |
1918 | 독일 제국 | 제1차 세계 대전 패배, 독일 혁명으로 황제 폐위, 바이마르 공화국 성립. |
1918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제1차 세계 대전, 여러 민족 독립·황제 망명, 합스부르크 제국 붕괴, 오스트리아 공화국, 헝가리 공화국 등 성립. |
1918 | 핀란드 왕국 | 러시아 혁명 후 독립 선언, 단명 왕국, 핀란드 내전(핀란드 사회주의 노동자 공화국) 거쳐 핀란드 공화국 성립. |
1918 | 리투아니아 왕국 | 제1차 세계 대전 말기 독립 선언, 단명 왕국, 헌법 개정, 리투아니아 공화국 성립. |
1918 | 폴란드 왕국[35] | 제1차 세계 대전 중 러시아 제국 일부 준비, 정식 발족 X, 폴란드 제2공화국 성립. |
1918 | 헝가리 왕국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구성, 제1차 세계 대전, 헝가리 혁명, 헝가리 제1공화국, 헝가리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 성립. |
1918 | 세르비아 왕국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붕괴 후, 세르비아인·크로아티아인·슬로베니아인 왕국 이행. |
1918 | 우크라이나국 | 제1차 세계 대전 중 구 러시아 제국령 내 성립, 단명 국가, 헤트만제 폐지,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이행. |
1920 | 부하라 칸국 | 러시아 제국 보호국, 적군 공격, 왕 망명, 부하라 인민 소비에트 공화국 성립. |
1920 | 히바 칸국 | 적군, 투르크멘인 공격, 퇴위, 호라즘 인민 소비에트 공화국 성립. |
1920 | 시리아 아랍 왕국 | 오스만 제국 독립, 단명 왕국, 프랑스 점령, 프랑스 위임 통치령 시리아 됨. |
1922 | 오스만 제국 | 제1차 세계 대전 패전, 터키 혁명으로 제정 폐지, 터키 공화국 등 성립. |
1923 | 위툴랜드 | 영국, 술탄제 폐지, 영국령 케냐 식민지 병합. |
1924 | 그리스 왕국 | 국민 투표 왕정 폐지, 그리스 제2공화국 성립(1935년 왕정 부활, 1975년 왕정 폐지). |
1924 | 대 몽골국 | 황제(칸) 사망 후, 군주제 폐지, 몽골 인민 공화국 성립. |
1925 | 알바니아 공국 | 제1차 세계 대전 분열 후, 알바니아 공화국 이행(1928년 군주제 부활, 1946년 군주제 폐지). |
1925 | 호람샤흐르 수장국 | 이란에 의해 폐지. |
1927 | 오룽구 왕국 | 프랑스에 의해 폐지. |
1931 | 스페인 왕국(왕정 복고) | 1874년 왕정 부활 후 퇴위·망명, 스페인 제2공화국 성립, 프랑코 독재 정권 거쳐 1975년 왕정 복고. |
1932 | 짐마 왕국 | 에티오피아 추방, 에티오피아 병합. |
1939 | 알바니아 왕국 | 이탈리아의 알바니아 침공 망명, 이탈리아 왕국 보호령. |
1943 | 알바니아 왕국(1939년 - 1943년) | 이탈리아 왕국 보호령, 이탈리아의 항복 퇴위, 독일 점령 하. |
1943 | 크로아티아 독립국 | 이탈리아·독일 항복, 붕괴, 망명,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주의 공화국 성립. |
1944 | 아이슬란드 왕국 | 덴마크와 동군 연합, 제2차 세계 대전 중 아이슬란드 침공, 아이슬란드 공화국 덴마크 분리 독립. |
1944 | 몬테네그로 왕국(1941년 - 1944년) | 제2차 세계 대전 중 이탈리아 통치 하 몬테네그로 독립국, 파르티잔 왕정 폐지, 공화제 이행. |
1945 | 유고슬라비아 왕국 |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침공, 국왕 망명, 종전 후 폐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성립. |
1945 | 대만주 제국 | 황제 폐위 후, 중화민국 병합. |
1945 | 베트남 제국 | 일본의 항복 후, 베트남 8월 혁명 군주제(응우옌 왕조) 폐지, 베트남 민주 공화국 이행. |
1946 | 헝가리 왕국[35] | 소련 점령 후, 국민 의회 의결 폐지, 헝가리 제2공화국 거쳐 헝가리 인민 공화국 이행. |
1946 | 이탈리아 왕국 | 국민 투표 결과, 왕정 폐지, 이탈리아 공화국 이행. |
1946 | 불가리아 왕국 | 국민 투표 결과, 왕정 폐지,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이행. |
1946 | 사라왁 왕국 | 일본 점령, 일본 항복 후, 왕위 사퇴, 영국 직할 식민지, 말라야 연방 참가. |
1947 | 루마니아 왕국 | 제2차 세계 대전 패배, 소련 압력, 왕정 폐지, 루마니아 인민 공화국 거쳐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이행. |
1949 | 에이레 | 실질적 원수 대통령, 의례적 군주 국왕 가진 공화국, 완전 공화제 이행. |
1950 | 인도 연방 | 입헌 군주제 영연방 왕국, 공화제 인도 공화국 이행. |
1950 | 마이소르 왕국 | 인도-파키스탄 분리 독립 시기 귀속처 인도, 인도 공화국 병합. |
1951 | 티베트 | 티베트 침공, 중화인민공화국 병합. |
1953 | 이집트 왕국 | 이집트 혁명 다음 해, 공화제 이행. |
1954 | 베트남국 | 제네바 협정 후, 17도선 이북 베트남 민주 공화국 성립. |
1954 | 베트남국(남베트남) | 국민 투표 국가 원수 폐위, 베트남 공화국 이행. |
1956 | 파키스탄 | 헌법 제정, 영연방 왕국에서 공화제 파키스탄 이슬람 공화국 이행. |
1957 | 튀니지 왕국 | 왕정 폐지, 튀니지 공화국 이행. |
1958 | 이라크 왕국 | 7월 14일 혁명 왕정 폐지, 이라크 공화국 이행. |
1960 | 가나 | 국민 투표, 영연방 왕국 공화제 가나 공화국 이행. |
1961 | 남아프리카 연방 | 국민 투표, 영연방 왕국 공화제 남아프리카 공화국 이행. |
1961 | 르완다 왕국 | 쿠데타 후 국민 투표 왕정 폐지, 공화제 르완다 이행. |
1962 | 탕가니카 | 영연방 왕국 공화제 이행, 잔지바르와 탄자니아 연합 공화국 이행. |
1962 | 예멘 왕국 | 쿠데타 왕정 폐지, 예멘 아랍 공화국 이행. |
1963 | 나이지리아 | 1960년 영연방 왕국 독립 후, 헌법 제정, 공화제 나이지리아 연방 공화국 이행. |
1963 | 우간다 | 1962년 영연방 왕국 독립 후, 1963년 공화제 우간다 공화국 이행. |
1964 | 케냐 | 1963년 영연방 왕국 독립 후, 1964년 공화제 케냐 공화국 이행. |
1964 | 잔지바르 | 잔지바르 혁명 왕정 타도, 잔지바르 인민 공화국 이행, 탕가니카와 탄자니아 연합 공화국 이행. |
1966 | 부룬디 왕국 | 1962년 벨기에 독립 후, 1966년 쿠데타 왕정 폐지, 부룬디 공화국 이행. |
1966 | 말라위 | 1964년 영연방 왕국 독립 후, 1966년 헌법, 공화제 말라위 공화국 이행. |
1967 | 여러 국가(하단 표 참고) | 새로 성립한 예멘 인민 민주 공화국의 일부가 됨. |
1968 | 몰디브 술탄국 | 1965년 독립 후, 1968년 국민 투표 폐위 결정, 공화제 몰디브 공화국 이행. |
1969 | 리비아 왕국 | 1969년 무아마르 알 카다피 쿠데타, 왕정 폐지, 잠정 헌법, 리비아 아랍 공화국 이행. |
1970 | 로디지아 | 국민 투표, 헌법 개정, 영연방 왕국(영국 불인정) 공화제 로디지아 이행. |
국가 |
---|
파들리 수장국 |
콰이티 왕국 |
상야파 |
하야파 |
무플라히 수장국 |
아우달리 술탄국 |
베이한 수장국 |
다티나 수장국 |
다라 수장국 |
Wahidi Sultanate of Balhaf in Hadhramaut |
셰이크덤 오브 샤이프 |
알라위 수장국 |
아크라비 수장국 |
Wahidi Sultanate of Haban in Hadhramaut |
쿠타이비 수장국 |
하드라미 수장국 |
마우사타 수장국 |
부시 수장국 |
다비 수장국 |
하우샤비 술탄국 |
하드라마우트의 카시리 왕국 |
마흐라 수장국 |
라헤쥬 수장국 |
하 아우라키 술탄국 |
상 아우라키 술탄국 |
상 아우라키 수장국 |
21세기에는 네팔 왕국이 2008년, 바베이도스가 2021년에 공화국으로 전환되었다.[21][22][23]
2. 1. 고대
아테네 민주주의가 수립되기 전, 도시 국가 아테네는 군주에 의해 통치되었다. 이 시기에 대한 기록은 대부분 신화적이거나 반(半)역사적이다. 아테네의 군주제는 기원전 1068년경 폐지되었고, 종신직 집정관으로 대체되었으며, 이들의 권한은 여러 해에 걸쳐 축소되었다.[5]고대 그리스의 아테네에서는 왕정이 타도되어 귀족정(과두정)을 거쳐 민회를 중심으로 한 민주정(민주제)이 행해졌다. 이때의 "다수파 지배"를 의미하는 "데모크라시"에서 "민주주의"라는 용어가 생겨났다. 고대 로마에서는 왕정이 타도되어 로마 공화정을 칭했다. 후대의 소위 로마 제국도 형식상으로는 공화정이다.
로마 공화국은 기원전 509년, 로마의 일곱 번째 왕인 루키우스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가 로마의 관습과 원로원을 무시하고 로마를 통치하기 위해 폭력을 사용한 후 폐위되면서 설립되었다.[6]
2. 2. 중세
중세 유럽에서는 베네치아 공화국, 피렌체 공화국, 제노바 공화국 등 도시 국가나 자유 도시들이 군주제를 폐지하고 공화정을 채택했다.[5]2. 3. 16-17세기
1649년 올리버 크롬웰의 지도 아래 잉글랜드의 찰스 1세는 대역죄로 재판을 받고 유죄 판결을 받아 처형되었다. 이는 잉글랜드 내전의 종결을 의미하며, 그 결과 잉글랜드 의회가 잉글랜드 군주제를 전복하고 잉글랜드 공화정 시대를 시작했다. (이는 세 왕국 전쟁으로 알려져 있다).[7][8] 1660년에는 제한적인 군주제가 부활했지만, 독립적인 의회에 의해 조정되었다.1688년 잉글랜드 왕국에서 일어난 명예 혁명은 권리 장전 1689 및 왕위 계승법 1701과 같은 법률에 의해 제한된 입헌 군주제를 더욱 발전시켰다. 동시에 스코틀랜드 왕국에서는 의회가 권리 청원 1689을 제정하여 스코틀랜드 군주제에 유사한 제한을 두었다.
2. 4. 18세기

현재 미국에서 조직적인 반군주주의는 1765년 식민지 주민들이 보이콧과 세무 관리 비난을 통해 인지세에 저항하면서 시작된 점진적인 혁명에서 비롯되었다.[9] 대영 제국 의회의 권위에 종속되어 있었지만(군주제는 1660년부터 제한 군주제였음), 북미 시민들은 북미 대표를 위한 의석을 제공하지 않는 의회와 점점 더 충돌했다. 1776년 미국 독립 선언과 함께 반군주주의 선전은 폭력적인 시위로 이어져 군주제의 상징을 체계적으로 제거했다. 예를 들어, 뉴욕 시에 있던 조지 3세의 기마상이 전복되었다. 왕당파는 특히 당파적 공격의 영향을 받아 수만 명이 영국령 캐나다로 떠났다.[10] 남은 재산은 새로 제정된 법률을 통해 13개의 새롭게 창설된 주에 의해 몰수되었다.[11] 영국 군주제를 묘사한 식민지 시대의 유물은 미국에서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그러나 모든 감정이 반군주주의와 동일시된 것은 아니었다. 군주제가 정치의 수장이라는 정상성은 여전히 남아 있었고, 일부 미국인들은 대통령직을 군주적인 용어, 즉 공화국의 시저로 보았는데, 이것은 새로운 공화국에서 초창기의 논쟁거리였다.[12]
미국의 독립은 군주국인 영국으로부터 식민지인 미국이 독립하여 공화제를 채택, 이후 대통령 중심의 민주주의 제도의 모델이 되었다. 프랑스 혁명에서는 군주가 처형되어 프랑스 제1 공화국이 성립하고 국민 국가가 형성되었다.
2. 5. 19세기
멕시코는 1821년에 멕시코 제국으로 독립했으나, 1823년에 황제 아구스틴 1세가 실각하면서 공화제로 이행했다. 이후 프랑스의 멕시코 출병으로 1864년에 막시밀리아노 1세가 황제가 되었으나, 1867년에 베니토 후아레스 대통령에 의해 처형되면서 멕시코 제국은 멸망했다.[14]1889년 브라질에서는 군부 쿠데타로 브라질 제국이 붕괴되고 브라질 합중국이 수립되었다.[14]
하와이 왕국은 1893년 쿠데타로 릴리우오칼라니 여왕이 폐위되고 공화국이 수립된 후, 미국에 합병되었다.
2. 6. 20세기
20세기에는 두 차례의 세계 대전과 아시아 및 아프리카 등지에서 일어난 식민지 독립 운동의 영향으로 많은 국가에서 군주제가 폐지되고 다수의 공화국이 탄생했다.1912년 아시아 최초의 공화국인 중화민국이 성립되었고,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제정이 폐지되어 세계 최초의 사회주의 공화국인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이 성립되었다(후에 소비에트 연방을 구성→현재의 러시아 연방).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패전국인 동맹국 측 독일 제국(→바이마르 공화국→나치 독일→동독, 서독→독일 연방 공화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오스트리아 제1공화국→오스트리아 제2공화국, →헝가리 인민 공화국→헝가리 왕국[35]), 오스만 제국(→터키 공화국) 등이 붕괴되어 공화국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추축국 측 이탈리아 왕국(→이탈리아 공화국), 루마니아 왕국(→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루마니아), 헝가리 왕국[35] (→헝가리 제2공화국→헝가리 제3공화국), 불가리아 왕국(→불가리아 인민 공화국→불가리아 공화국) 등이 붕괴되어 공화국이 되었다.
1922년 아일랜드, 1947년 인도가 영국 제국에서 독립하여 공화국이 되었다. 1950년대 이후, 아랍 민족주의의 영향으로 이집트, 리비아, 튀니지 등에서 쿠데타로 왕정이 폐지되어 공화국이 되었다. 1978년 이란 혁명으로 왕정이 폐지되고 이슬람 공화국이 성립되었다.
20세기 이후 군주제가 폐지된 국가들은 다음과 같다. 단순한 군주 교체나 왕조 교체는 포함되지 않지만, 군주국 자체가 소멸하거나 군주국에서 분리 독립하여 공화국이 된 경우는 포함된다.
연도 | 국가·지역 | 비고 |
---|---|---|
1901 | 덴디 왕국(Dendi Kingdom) | 프랑스에 점령되어 프랑스령 서아프리카의 일부가 됨. |
1902 | 아샨티 왕국 | 영국에 점령되어 영령 골드 코스트의 일부가 됨. |
1905 | 오요 왕국 | 마지막 군주 사망, 영국의 남부 나이지리아 보호령 일부가 됨. |
1909 | 무와리 술탄국 | 프랑스에 병합, 술탄제 폐지. |
1910 | 포르투갈 왕국 | 공화 혁명으로 국왕 폐위. |
1910 | 대한제국 | 일본에 의한 한일 병합으로 군주 폐지, 1945년까지 일본 통치. |
1910 | 안고셰 술탄국 | 포르투갈에 점령, 병합. |
1911 | Nri 왕국 | 영국에 점령, 남부 나이지리아 보호령 일부가 됨. |
1911 | 카산제 왕국 | 포르투갈에 의해 포르투갈령 서아프리카에 병합. |
1912 | 대청 제국 | 신해 혁명으로 황제 퇴위, 중화민국 성립. |
1912 | 은주와니 술탄국 | 프랑스에 병합. |
1914 | 콩고 왕국 | 벨기에와 포르투갈 식민지로 분할 통치, 소멸. |
1915 | 술루 왕국 | 미국 통치 하, 술탄 세속적 권리 포기. |
1916 | 다르푸르 술탄국 | 제1차 세계 대전 중 오스만 제국과 동맹, 술탄 살해, 영-이집트 수단에 병합. |
1916 | 중화 제국 | 위안스카이 단명 정권, 호국 전쟁으로 퇴위. |
1917 | 대청 제국 | 장쉰 복벽으로 황제 즉위, 돤치루이 "토역군" 조직, 황제 퇴위. |
1917 | 러시아 제국 | 러시아 혁명으로 로마노프 왕조 멸망, 러시아 임시 정부 거쳐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성립. |
1917 | 핀란드 대공국 | 핀란드 독립 선언으로 러시아와 동군 연합에서 공화제로 이행. |
1918 | 몬테네그로 왕국 | 제1차 세계 대전 국왕 망명, 포드고리차 의회 폐위, 세르비아 왕국 통합, 유고슬라비아 왕국 일부. |
1918 | 독일 제국 | 제1차 세계 대전 패배, 독일 혁명으로 황제 폐위, 바이마르 공화국 성립. |
1918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제1차 세계 대전, 여러 민족 독립·황제 망명, 합스부르크 제국 붕괴, 오스트리아 공화국, 헝가리 공화국 등 성립. |
1918 | 핀란드 왕국 | 러시아 혁명 후 독립 선언, 단명 왕국, 핀란드 내전(핀란드 사회주의 노동자 공화국) 거쳐 핀란드 공화국 성립. |
1918 | 리투아니아 왕국 | 제1차 세계 대전 말기 독립 선언, 단명 왕국, 헌법 개정, 리투아니아 공화국 성립. |
1918 | 폴란드 왕국[35] | 제1차 세계 대전 중 러시아 제국 일부 준비, 정식 발족 X, 폴란드 제2공화국 성립. |
1918 | 헝가리 왕국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구성, 제1차 세계 대전, 헝가리 혁명, 헝가리 제1공화국, 헝가리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 성립. |
1918 | 세르비아 왕국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붕괴 후, 세르비아인·크로아티아인·슬로베니아인 왕국 이행. |
1918 | 우크라이나국 | 제1차 세계 대전 중 구 러시아 제국령 내 성립, 단명 국가, 헤트만제 폐지,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이행. |
1920 | 부하라 칸국 | 러시아 제국 보호국, 적군 공격, 왕 망명, 부하라 인민 소비에트 공화국 성립. |
1920 | 히바 칸국 | 적군, 투르크멘인 공격, 퇴위, 호라즘 인민 소비에트 공화국 성립. |
1920 | 시리아 아랍 왕국 | 오스만 제국 독립, 단명 왕국, 프랑스 점령, 프랑스 위임 통치령 시리아 됨. |
1922 | 오스만 제국 | 제1차 세계 대전 패전, 터키 혁명으로 제정 폐지, 터키 공화국 등 성립. |
1923 | 위툴랜드 | 영국, 술탄제 폐지, 영국령 케냐 식민지 병합. |
1924 | 그리스 왕국 | 국민 투표 왕정 폐지, 그리스 제2공화국 성립(1935년 왕정 부활, 1975년 왕정 폐지). |
1924 | 대 몽골국 | 황제(칸) 사망 후, 군주제 폐지, 몽골 인민 공화국 성립. |
1925 | 알바니아 공국 | 제1차 세계 대전 분열 후, 알바니아 공화국 이행(1928년 군주제 부활, 1946년 군주제 폐지). |
1925 | 호람샤흐르 수장국 | 이란에 의해 폐지. |
1927 | 오룽구 왕국 | 프랑스에 의해 폐지. |
1931 | 스페인 왕국(왕정 복고) | 1874년 왕정 부활 후 퇴위·망명, 스페인 제2공화국 성립, 프랑코 독재 정권 거쳐 1975년 왕정 복고. |
1932 | 짐마 왕국 | 에티오피아 추방, 에티오피아 병합. |
1939 | 알바니아 왕국 | 이탈리아의 알바니아 침공 망명, 이탈리아 왕국 보호령. |
1943 | 알바니아 왕국(1939년 - 1943년) | 이탈리아 왕국 보호령, 이탈리아의 항복 퇴위, 독일 점령 하. |
1943 | 크로아티아 독립국 | 이탈리아·독일 항복, 붕괴, 망명,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주의 공화국 성립. |
1944 | 아이슬란드 왕국 | 덴마크와 동군 연합, 제2차 세계 대전 중 아이슬란드 침공, 아이슬란드 공화국 덴마크 분리 독립. |
1944 | 몬테네그로 왕국(1941년 - 1944년) | 제2차 세계 대전 중 이탈리아 통치 하 몬테네그로 독립국, 파르티잔 왕정 폐지, 공화제 이행. |
1945 | 유고슬라비아 왕국 |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침공, 국왕 망명, 종전 후 폐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성립. |
1945 | 대만주 제국 | 황제 폐위 후, 중화민국 병합. |
1945 | 베트남 제국 | 일본의 항복 후, 베트남 8월 혁명 군주제(응우옌 왕조) 폐지, 베트남 민주 공화국 이행. |
1946 | 헝가리 왕국[35] | 소련 점령 후, 국민 의회 의결 폐지, 헝가리 제2공화국 거쳐 헝가리 인민 공화국 이행. |
1946 | 이탈리아 왕국 | 국민 투표 결과, 왕정 폐지, 이탈리아 공화국 이행. |
1946 | 불가리아 왕국 | 국민 투표 결과, 왕정 폐지,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이행. |
1946 | 사라왁 왕국 | 일본 점령, 일본 항복 후, 왕위 사퇴, 영국 직할 식민지, 말라야 연방 참가. |
1947 | 루마니아 왕국 | 제2차 세계 대전 패배, 소련 압력, 왕정 폐지, 루마니아 인민 공화국 거쳐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이행. |
1949 | 에이레 | 실질적 원수 대통령, 의례적 군주 국왕 가진 공화국, 완전 공화제 이행. |
1950 | 인도 연방 | 입헌 군주제 영연방 왕국, 공화제 인도 공화국 이행. |
1950 | 마이소르 왕국 | 인도-파키스탄 분리 독립 시기 귀속처 인도, 인도 공화국 병합. |
1951 | 티베트 | 티베트 침공, 중화인민공화국 병합. |
1953 | 이집트 왕국 | 이집트 혁명 다음 해, 공화제 이행. |
1954 | 베트남국 | 제네바 협정 후, 17도선 이북 베트남 민주 공화국 성립. |
1954 | 베트남국(남베트남) | 국민 투표 국가 원수 폐위, 베트남 공화국 이행. |
1956 | 파키스탄 | 헌법 제정, 영연방 왕국에서 공화제 파키스탄 이슬람 공화국 이행. |
1957 | 튀니지 왕국 | 왕정 폐지, 튀니지 공화국 이행. |
1958 | 이라크 왕국 | 7월 14일 혁명 왕정 폐지, 이라크 공화국 이행. |
1960 | 가나 | 국민 투표, 영연방 왕국 공화제 가나 공화국 이행. |
1961 | 남아프리카 연방 | 국민 투표, 영연방 왕국 공화제 남아프리카 공화국 이행. |
1961 | 르완다 왕국 | 쿠데타 후 국민 투표 왕정 폐지, 공화제 르완다 이행. |
1962 | 탕가니카 | 영연방 왕국 공화제 이행, 잔지바르와 탄자니아 연합 공화국 이행. |
1962 | 예멘 왕국 | 쿠데타 왕정 폐지, 예멘 아랍 공화국 이행. |
1963 | 나이지리아 | 1960년 영연방 왕국 독립 후, 헌법 제정, 공화제 나이지리아 연방 공화국 이행. |
1963 | 우간다 | 1962년 영연방 왕국 독립 후, 1963년 공화제 우간다 공화국 이행. |
1964 | 케냐 | 1963년 영연방 왕국 독립 후, 1964년 공화제 케냐 공화국 이행. |
1964 | 잔지바르 | 잔지바르 혁명 왕정 타도, 잔지바르 인민 공화국 이행, 탕가니카와 탄자니아 연합 공화국 이행. |
1966 | 부룬디 왕국 | 1962년 벨기에 독립 후, 1966년 쿠데타 왕정 폐지, 부룬디 공화국 이행. |
1966 | 말라위 | 1964년 영연방 왕국 독립 후, 1966년 헌법, 공화제 말라위 공화국 이행. |
1967 | 여러 국가(하단 표 참고) | 새로 성립한 예멘 인민 민주 공화국의 일부가 됨. |
1968 | 몰디브 술탄국 | 1965년 독립 후, 1968년 국민 투표 폐위 결정, 공화제 몰디브 공화국 이행. |
1969 | 리비아 왕국 | 1969년 무아마르 알 카다피 쿠데타, 왕정 폐지, 잠정 헌법, 리비아 아랍 공화국 이행. |
1970 | 로디지아 | 국민 투표, 헌법 개정, 영연방 왕국(영국 불인정) 공화제 로디지아 이행. |
국가 |
---|
파들리 수장국 |
콰이티 왕국 |
상야파 |
하야파 |
무플라히 수장국 |
아우달리 술탄국 |
베이한 수장국 |
다티나 수장국 |
다라 수장국 |
Wahidi Sultanate of Balhaf in Hadhramaut |
셰이크덤 오브 샤이프 |
알라위 수장국 |
아크라비 수장국 |
Wahidi Sultanate of Haban in Hadhramaut |
쿠타이비 수장국 |
하드라미 수장국 |
마우사타 수장국 |
부시 수장국 |
다비 수장국 |
하우샤비 술탄국 |
하드라마우트의 카시리 왕국 |
마흐라 수장국 |
라헤쥬 수장국 |
하 아우라키 술탄국 |
상 아우라키 술탄국 |
상 아우라키 수장국 |
2. 6. 1. 아시아
- 大韓帝國|대한제국중국어은 1910년 일본 제국에 강제 병합되었다.[35] 1919년 고종 황제가 승하한 이후 공화주의 담론이 일반화되었으며, 대한민국 임시정부 또한 공화제를 채택했다. 1945년 일제의 패망 후 대한민국 임시정부 지지 세력과 북측의 공산주의자 모두 공화정 건국을 지지하면서 대한민국이 수립되었고, 일부 공산주의자들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수립하며 군주제가 폐지되었다.
- 淸|청나라중국어는 1912년 신해혁명으로 멸망했다.
- 오스만 제국은 1922년 튀르키예 혁명으로 멸망하고 튀르키예 공화국이 수립되었으며, 칼리파 제도는 1924년에 폐지되었다.
- 滿洲國|만주국중국어은 1945년 패전으로 멸망했다.
- 남베트남한국어 (응우옌 왕조)은 1945년 일본 제국의 패망 후 8월 혁명으로 멸망하고 베트남 민주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 라오스 왕국은 1975년 공산 정권 수립으로 멸망했다.
- 이란은 1979년 이란 혁명으로 팔라비 왕조가 붕괴하고 이슬람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2. 6. 2. 유럽
러시아 제국은 러시아 혁명으로 멸망하고 소비에트 연방이 수립되었다.[5] 독일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제1차 세계 대전 패전으로 멸망하고 공화국이 수립되었다.국가 | 멸망 시기 | 비고 |
---|---|---|
독일 제국 | 1918년 | 패전 |
프로이센 왕국 | 1918년 | 패전 |
바이에른 왕국 | 1918년 | 패전 |
작센 왕국 | 1918년 | 패전 |
뷔르템베르크 왕국 | 1918년 | 패전 |
바덴 대공국 | 1918년 | 패전 |
헤센 대공국 | 1918년 | 패전 |
올덴부르크 대공국 | 1918년 | 패전 |
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국 | 1918년 | 패전 |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대공국 | 1918년 | 패전 |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국 | 1918년 | 패전 |
안할트 공국 | 1918년 | 패전 |
브라운슈바이크 공국 | 1918년 | 패전 |
작센알텐부르크 공국 | 1918년 | 패전 |
작센마이닝겐 공국 | 1918년 | 패전 |
작센코부르크고타 공국 | 1918년 | 패전 |
리페 후국 | 1918년 | 패전 |
샤움부르크리페 후국 | 1918년 | 패전 |
발데크피르몬트 후국 | 1918년 | 패전 |
로이스그라이 후국 | 1918년 | 패전 |
로이스게라 후국 | 1918년 | 패전 |
슈바르츠부르크존더샤우 후국 | 1918년 | 패전 |
슈바르츠부르크루돌슈타트 후국 | 1918년 | 패전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1918년 | 패전 |
이탈리아 왕국, 루마니아 왕국, 불가리아 왕국은 제2차 세계 대전 패전으로 멸망하고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그리스 왕국은 여러 차례 폐지와 복고를 거쳐 국민 투표로 최종 폐지되었다. 포르투갈 왕국은 혁명으로 폐지되었다.
2. 6. 3. 아프리카
1952년 혁명으로 파루크 국왕이 퇴위하고, 어린 아들 푸아드 2세에게 왕위를 물려주면서 이집트 왕국은 1953년에 폐지되었다.[35] 튀니지 왕국은 왕실 혈통의 단절 이후 1957년에 공화국을 선언했다.[35] 리비아 왕국의 이드리스 1세는 1969년 무아마르 알 카다피가 주도한 군사 쿠데타로 전복되었다.[35]에티오피아 제국은 하일레 셀라시에 1세 황제가 1974년 에티오피아 혁명의 결과로 폐위되면서 멸망했다.[35]
2. 6. 4. 영연방 국가
Commonwealth realm영어 국가들은 영국 군주를 국가 원수로 하는 개인 연합 형태의 주권 국가였다. 이들 중 상당수는 독립 이후 공화국으로 전환되었다.인도, 가나, 나이지리아, 케냐, 우간다, 가이아나, 말라위 등은 독립 직후 영연방에 잔류하면서 군주제를 폐지하였다. 파키스탄, 남아프리카 공화국, 감비아, 시에라리온, 몰타, 트리니다드 토바고, 모리셔스 등은 독립 후 시간이 지나 군주제를 폐지했다.
일련의 쿠데타 이후 1987년에 군주제가 폐지된 피지를 제외하고, 군주제를 폐지한 대부분의 왕국은 왕관에 대한 언급을 삭제하기 위해 새로운 헌법을 선포하거나 개정했다.
영연방 내에서 공화국이 된 가장 최근의 국가는 2021년의 바베이도스였다.[35]
2. 7. 21세기
네팔 왕국은 2008년 제1차 네팔 제헌 의회에 의해 공화국으로 전환되었다.[21][22] 바베이도스는 군주제를 폐지하고 공화국이 되었으며, 이는 의회의 헌법 개정에 따른 것으로 2021년 11월 30일에 이루어졌다.[23]3. 군주제 복고 및 폐지 논의
브라질에서는 1990년대에 군주제 부활 움직임이 있었으나 1993년 브라질 국민투표 결과 부결되었다.[53] 알바니아에서는 1997년에 군주제 부활 여부를 묻는 국민투표가 실시되었으나 1:2로 부결되었다.[53] 알바니아는 군주제에 대한 국민투표를 실시한 유일한 공산주의 국가였으며, 1997년 알바니아 군주제 국민투표에서 3분의 2 이상의 반대로 부결되었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1999년에 군주제 폐지 여부를 묻는 국민투표가 실시되었으나 캔버라시를 제외한 모든 시에서 반대하였다.[5] 1999년 국민투표에서 오스트레일리아 유권자들은 의회에서 임명하는 대통령이 있는 공화국으로 입헌 군주제를 대체하려는 제안을 거부했으며, 오스트레일리아 수도 준주만 찬성하였다. 여론 조사가 일관되게 공화국 지지 다수를 보여주었지만, 국민투표 결과는 제시된 모델을 지지하는 공화주의자와 직접 선출된 대통령을 지지하는 사람들 간의 분열 때문으로 여겨진다.
구 동구권의 일부 발칸 국가에서 군주제를 복원하려는 시도는 실패하였다. 전 루마니아 국왕 미하이 1세와 세르비아의 알렉산다르 왕세자는 귀국하여 어느 정도 인기를 얻고 정치와 거리를 둔 역할을 수행했지만, 왕좌 복귀에는 실패했다. 그러나 불가리아에서는 1946년 왕위에서 폐위된 시메온 2세가 2001년부터 2005년까지 총리를 역임했다.
4. 결론
군주제를 폐지한 제도는 공화제이며, 그 나라는 공화국이라고 불린다. 고대에는 아테네가 왕정을 폐지하고 민주정을 채택했고, 고대 로마도 왕을 추방하고 공화정을 선택했다(로마 공화정).[5]
중세에는 도시 국가들이 공화정을 채택했다. 대항해 시대에는 열강들이 식민지 획득 경쟁을 벌이면서 잉카 제국, 무굴 제국 등 현지 군주제는 대부분 소멸되거나 종주국의 군주제에 편입되었다.
17세기 이후 계몽사상, 자유주의, 민주주의, 평등주의, 민족주의가 보급되면서 국가 통합의 중심이 군주에서 국가로 전환되었다. 영국에서는 청교도 혁명으로 왕정이 폐지되고, 명예 혁명으로 왕정이 부활했지만 왕권이 제한되었다(입헌 군주제). 미국 독립 혁명으로 미국이, 프랑스 혁명으로 프랑스 제5공화국이 탄생했다.
20세기에는 두 차례의 세계 대전과 식민지 독립 운동으로 많은 국가에서 군주제가 폐지되었다. 1912년 중화민국,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러시아 연방이 성립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 제국(→독일 연방 공화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오스트리아 제2공화국, 헝가리 제3공화국[35]), 오스만 제국(→터키 공화국) 등이 붕괴되어 공화국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탈리아 왕국(→이탈리아 공화국), 루마니아 왕국(→루마니아), 헝가리 왕국[35](→헝가리 제3공화국), 불가리아 왕국(→불가리아 공화국) 등이 붕괴되어 공화국이 되었다.
1922년 아일랜드, 1947년 인도가 영국 제국에서 독립하여 공화국이 되었다. 1950년대 이후 이집트, 리비아, 튀니지 등에서 쿠데타로 왕정이 폐지되었다. 1978년 이란 혁명으로 왕정이 폐지되어 이슬람 공화국이 성립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We need to abolish the monarchy – because it's not fair on anyone, including the royals
https://www.independ[...]
2020-01-12
[2]
웹사이트
'Essentially, the monarchy is corrupt' – will republicanism survive Harry and Meghan?
https://www.theguard[...]
2020-01-12
[3]
웹사이트
Royal families: The countries that feel the strongest about abolishing their monarchies
https://qz.com/12810[...]
QZ
2020-01-12
[4]
웹사이트
Does the monarchy have a future?
https://www.dhakatri[...]
Dhaka Tribune
2020-01-12
[5]
문서
Aristotle, ''Constitution of Athens, 3''
[6]
문서
Matyszak 2003, p. 41.-42.
[7]
웹사이트
The Restoration of a Limited Monarchy in England: Definition & History – Video & Lesson Transcript
https://study.com/ac[...]
2022-11-16
[8]
서적
Politics in the Reign of Charles II
Oxford: Basil Blackwell
[9]
웹사이트
Stamp Act crisis and significance
http://www.stamp-act[...]
2022-11-16
[10]
서적
Liberty's Exiles: American Loyalists in the Revolutionary World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11]
웹사이트
Dispossessing Loyalists and Redistributing Property in Revolutionary New York
https://www.nypl.org[...]
2022-11-16
[12]
서적
George Washington's Journey: The President Forges a New Nation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17-02-24
[13]
서적
The End of Kings: A History of Republics and Republican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4]
문서
Compare the 1871 election results with those of [[1898 French legislative election|the end of the century]], in which monarchist candidates barely attained any seats.
[15]
웹사이트
Tufele; Young v.
https://new.asbar.or[...]
2021-03-11
[16]
서적
Fighting for the Republic
Hardie Grant Books
[17]
서적
Two Weeks in Lilliput: Bear Baiting and Backbiting at the Constitutional Convention
Penguin
[18]
간행물
Australia: The Politics of Becoming a Republic
2000-07
[19]
뉴스
Ten years after the referendum, we are no closer to a republic
http://www.theaustra[...]
2009-11-06
[20]
웹사이트
Título X. De la reforma constitucional – Constitución Española
http://www.congreso.[...]
[21]
웹사이트
Why did Nepalese people abolish monarchy?
https://www.thedaily[...]
2008-06-13
[22]
웹사이트
Nepal to Abolish Monarchy
https://www.npr.org/[...]
2007-12-24
[23]
뉴스
Barbados ditches Britain's Queen Elizabeth to become a republic
https://www.reuters.[...]
2022-11-30
[24]
웹사이트
Pakatan's new Malaysia flag: Not a copycat? Turning Malaysia to a Republic?
https://aeshahadlina[...]
2023-07-04
[25]
뉴스
Cambodian election protests grip Phnom Penh
https://www.theguard[...]
2023-07-04
[26]
웹사이트
UAE to try 94 nationals on alleged coup d'etat plans: official - People's Daily Online
http://en.people.cn/[...]
2023-07-04
[27]
뉴스
King's Coronation: 21 people arrested face no further action, Met says
https://www.bbc.co.u[...]
2023-10-11
[28]
뉴스
Met Police arrest anti-monarchy protesters
https://www.bbc.co.u[...]
2023-10-11
[29]
웹사이트
FACT CHECKER: Museveni on Ankole Kingdom
https://www.monitor.[...]
2024-09-03
[30]
웹사이트
Ankole monarchists blame Museveni for sabotage
https://www.monitor.[...]
2024-09-03
[31]
웹사이트
Resolution No. 26 of 1969
https://parliament.g[...]
Parliament of the Co-operative Republic of Guyana
2021-10-01
[32]
웹사이트
Samoa's Head of State could be appointed for life
https://www.rnz.co.n[...]
Radio New Zealand
2024-09-02
[33]
웹사이트
Nepal votes to abolish monarchy
http://news.bbc.co.u[...]
2011-07-21
[34]
웹사이트
Nepali deputy PM asks district "king" to step down
http://news.xinhuane[...]
2022-11-16
[35]
문서
名目上は王国であったが、国王は終始空位であった。
[36]
웹사이트
カリブの島国バルバドス、君主制廃止 英は影響力残す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1-12-01
[37]
뉴스
変わる王室、女王の70年 2日前まで笑顔で公務 エリザベス英女王死去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2-09
[38]
간행물
共和制移行論議 - オーストラリアのモデル(齋藤憲司)
https://www.ndl.go.j[...]
[39]
뉴스
英連邦アンティグア・バーブーダ、共和制への移行問う国民投票を検討 - BBC
https://www.bbc.com/[...]
[40]
뉴스
英連邦、王室離反の動き 共和制移行の加盟国も―「代替わり」で絆にほころび
https://web.archive.[...]
時事通信
2022-06
[41]
뉴스
ジャマイカ新首相、共和制への移行表明
https://www.nikkei.c[...]
日経電子版
2021-12-02
[42]
뉴스
ジャマイカ訪問中のウィリアム王子、奴隷制度に遺憾の意を表す
https://www.daily.co[...]
2022-03
[43]
뉴스
エリザベス女王死去で揺らぐ「君主制」、英連邦で「共和制」論議が活発化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44]
논문
スウェーデン君主制憲法における王位継承制度——選挙君主制か、世襲君主制か
https://cir.nii.ac.j[...]
九州産業大学商学会
[45]
뉴스
王制への支持回復に期待感 スウェーデン王女の結婚
https://web.archive.[...]
全国新聞ネット
2010-06-11
[46]
논문
統合の最後の砦——ベルギーの王制
https://cir.nii.ac.j[...]
駒澤大学法学部
[47]
뉴스
ベルギー新国王を迎える政治的時限爆弾
https://www.afpbb.co[...]
2013-07-22
[48]
뉴스
タイ集会禁止、王室批判に強硬策 反体制派は16日もデモ - 日本経済新聞
https://www.nikkei.c[...]
[49]
뉴스
「バンコクの春」、タイ王室改革掲げる政党が第1党-前途多難も
https://www.bloomber[...]
ブルームバーグ
2023-10-05
[50]
문서
日本共産党綱領 - 2004年
https://www.jcp.or.j[...]
[51]
문서
ブルネイ・ダルサラーム国(Brunei Darussalam) 基礎データ - 外務省
https://www.mofa.go.[...]
[52]
문서
マレーシアにおける君主制 ―正当性をめぐる闘い
https://kyotoreview.[...]
[53]
뉴스
브라질에 왕정복고 논란
http://srchdb1.chosu[...]
조선일보
1993-04-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