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는 1950년 5월 30일에 치러졌으며, 총 210석의 국회의원을 선출했다. 선거 결과, 무소속 후보가 126석으로 가장 많은 의석을 차지했고, 민주국민당과 대한국민당이 각각 24석을 얻었다. 높은 경쟁률과 무소속의 압승은 이승만 정부에 대한 유권자들의 불신임을 보여주는 결과였으며, 이후 부산 정치 파동과 발췌 개헌으로 이어지는 배경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0년 5월 - 하이난섬 상륙 전역
하이난섬 상륙 전역은 1950년 중국 공산당이 하이난섬을 점령하여 중화인민공화국의 통일을 완성하고 국제 정세에 영향을 미친 군사 작전이다. - 1950년 5월 - 쉬망 선언
쉬망 선언은 1950년 로베르 쉬망이 제안한 공동 성명으로, 프랑스와 독일의 석탄 및 철강 생산을 공동 관리하여 유럽 통합의 기반을 마련하고 유럽을 정치적 실체로 탄생시켜 회원국 간 전쟁을 불가능하게 만들고자 했으며,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 창설의 계기가 되어 유럽 연합의 전신이 되었다. -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지역은 1950년에 19개 선거구에서 진행되었으며, 무소속 후보가 다수 당선되고 대한국민당과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소속 후보도 일부 당선되었다. -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는 1950년 5월 30일에 치러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상북도 지역의 선거 결과를 다루며, 34개 선거구에서 국회의원을 선출, 무소속 후보들이 다수 당선되었고 각 선거구별 당선자 및 득표 결과 정보를 포함합니다.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이전 선거 | 1948년 |
다음 선거 | 1954년 |
투표율 | 91.91% |
선출 의석수 | 210석 |
과반 의석수 | 106석 |
선거일 | 1950년 5월 30일 |
첫 번째 선거 | 예 |
정당별 결과 | |
정당 1 | 민주국민당 |
대표 1 | 신익희, 김성수 |
득표율 1 | 9.79% |
의석수 1 | 24석 |
정당 2 | 대한국민당 |
대표 2 | 윤치영 |
득표율 2 | 9.69% |
의석수 2 | 24석 |
정당 3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대표 3 | 이승만 |
득표율 3 | 6.77% |
의석수 3 | 14석 |
정당 4 | 대한청년단 |
득표율 4 | 3.26% |
의석수 4 | 10석 |
정당 5 | 한국노동조합총연맹 |
득표율 5 | 1.69% |
의석수 5 | 10석 |
정당 6 | 사회당 |
득표율 6 | 1.28% |
의석수 6 | 2석 |
정당 7 | 일민구락부 |
득표율 7 | 1.02% |
의석수 7 | 3석 |
정당 8 | 민족자주연맹 |
득표율 8 | 0.48% |
의석수 8 | 1석 |
기타 정당 | 기타 정당 |
대표 9 | – |
득표율 9 | 2.18% |
의석수 9 | 3석 |
무소속 | 무소속 |
대표 10 | – |
득표율 10 | 62.93% |
의석수 10 | 126석 |
국회의장 | |
선거 전 의장 | 신익희 |
선거 전 소속 정당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선거 후 의장 | 신익희 |
선거 후 소속 정당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2. 경과
총선 직전 국회의 세력 분포는 민주국민당 69석, 대한국민당 66석, 일민구락부 35석, 무소속 27명 등으로 여권이 상대적으로 우세하였다.[6]
이번 총선거는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대한민국 정부가 주관하여 치러진 최초의 선거였다. 이전의 제1대 총선거는 미군정(미국 군정청) 하에서 치러졌다.
일본 통치 시대에 일본에 협력한 ‘민족반역자’에 대한 공소시효가 만료됨에 따라, 그들에게도 선거권과 피선거권이 주어졌다. 또한, 남한만의 단독 선거와 단독 정부에 반대하여 지난 제1대 총선거를 보이콧했던 남북협상파 및 중간파가 이번 총선거에 참여함으로써 후보자 수는 2,000명을 넘어 치열한 선거전이 펼쳐졌다.
2. 1. 배경
이승만은 1950년 초, 예정된 총선에서 패배를 예상하고 총선을 12월로 연기하려 했으며, 적자예산 편성을 시도했다. 1950년 4월 초, 미국 국무장관 딘 애치슨이 이에 대해 엄중 경고했다.[7] 결국 이승만은 예정대로 선거를 치를 수밖에 없었다.[8][9]1948년 5월에 실시된 제1대 총선거에서 선출된 초대 국회의원들의 임기(2년)가 1950년 5월 31일에 만료됨에 따라, 제2대 국회의원을 선출하기 위한 제2대 총선거는 1950년 4월 12일에 공포된 선거법에 따라 같은 해 5월 30일에 실시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이승만 대통령은 의원내각제(책임내각제)를 포함한 헌법 개정을 지지하는 세력이 다수를 차지할 가능성에 위기감을 느껴, 선거 운동으로 인해 긴급한 예산안 등 산적한 중요 의안 심의 시 국회의원 출석률이 저하될 것이라는 명분을 내세워 11월 말까지 선거를 연기한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국제연합(UN)의 임시 한국위원단이 선거 연기에 반대하는 통고를 하고, 미국의 딘 애치슨 국무장관이 "선거를 연기할 경우, 군사 경제 원조를 재검토해야 한다"는 내용의 각서를 보내는 등 국내외에서 강력한 반대가 있었기 때문에, 선거는 예정대로 5월 30일에 실시되었다.
일본 통치 시대에 일본에 협력한 ‘민족반역자’에 대한 공소시효가 만료됨에 따라, 그들에게도 선거권과 피선거권이 주어졌다. 또한, 남한만의 단독 선거와 단독 정부에 반대하고 지난 제1대 총선거를 보이콧했던 남북협상파 및 중간파가 이번 총선거에 참여하였다.
2. 2. 입후보
의원정수 210명에 대하여 무려 2,209명이 출마하여 평균 10.5 대 1로 역대 선거 중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이러한 과열 경쟁은 제헌 국회 총선에 불참하였던 남북 협상파와 중간 계열의 참여, 그리고 대한민국 수립 후 2년간 조성된 정치적 과열 현상 때문이었다.[5]정당별로는 39개 정당·사회단체가 참가했는데, 여당 격인 대한국민당 소속이 165명으로 가장 많았고, 야당인 민주국민당 소속이 154명이었다. 10명 이내의 후보를 낸 정당·사회단체는 30개였고, 이 중 1명의 후보자를 낸 정당·사회단체는 18개로 정당 및 사회단체의 난립 현상을 보였다. 무소속은 전체 입후보자의 68.5%인 1,513명으로 제헌 국회의원 선거의 417명보다 무려 1,096명이나 증가하였다.[5]
이번 총선거는 대한민국 정부가 주관한 최초의 선거였다. 이는 이전의 제1대 총선거가 미군정 하에서 치러진 것과 대조적이다.
일본 통치 시대에 일본에 협력한 ‘민족반역자’에 대한 공소시효가 만료됨에 따라, 그들에게도 선거권과 피선거권이 주어졌다. 또한, 남한만의 단독 선거와 단독 정부에 반대하고 지난 제1대 총선거를 보이콧했던 남북협상파 및 중간파가 이번 총선거에 참여함으로써 후보자 수는 2,000명을 넘어 치열한 선거전이 펼쳐졌다.[5]
3. 선거 정보
- '''대통령''': 이승만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의석 정수''': 210석
- '''선거 제도''': 소선거구제
- '''투표일''': 1950년 5월 30일
- '''투표율''': 91.9%[3]
제1대 총선거(1948년 5월 실시)에서 선출된 초대 국회의원들의 임기(2년)가 1950년 5월 31일에 만료됨에 따라, 제2대 국회의원을 선출하기 위한 제2대 총선거는 1950년 4월 12일에 공포된 선거법에 따라 같은 해 5월 30일에 실시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이승만 대통령은 의원내각제(책임내각제)를 포함한 헌법 개정을 지지하는 세력이 다수를 차지할 가능성에 위기감을 느껴, 선거 운동으로 인해 긴급한 예산안 등 산적한 중요 의안 심의 시 국회의원 출석률이 저하될 것이라는 명분을 내세워 11월 말까지 선거를 연기한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국제연합(UN)의 임시 한국위원단이 선거 연기에 반대하는 통고를 하고, 미국의 딘 애치슨(Dean Acheson) 국무장관이 "선거를 연기할 경우, 군사 경제 원조를 재검토해야 한다"는 내용의 각서를 보내는 등 국내외에서 강력한 반대가 있었기 때문에, 선거는 예정대로 5월 30일에 실시되었다.
일본 통치 시대에 일본에 협력한 ‘민족반역자’에 대한 공소시효가 만료됨에 따라, 그들에게도 선거권과 피선거권이 주어졌다. 또한, 남한만의 단독 선거와 단독 정부에 반대하고, 지난 제1대 총선거를 보이콧했던 남북협상파 및 중간파가 이번 총선거에 참여함으로써 후보자 수는 2,000명을 넘어 치열한 선거전이 펼쳐졌다.
4. 선거 결과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는 여당 계열의 대한국민당, 국민회, 대한청년단 등이 과반수 확보에 실패하고, 무소속 의원이 전체 의석의 60%를 차지하는 결과를 낳았다.[5] 무소속 의원 대부분은 이승만 정부에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으며, 이는 이승만 정부에 대한 불신임으로 해석되었다.
정당별로는 대한국민당과 민주국민당이 각각 24석, 대한독립촉성국민회가 14석, 대한청년단이 10석, 대한노동총연맹과 일민구락부가 각각 3석, 사회당이 2석, 민족자주연맹, 대한부인회, 중앙불교위원회, 대한여자국민당이 각각 1석을 차지하였다.
특히, 제헌 국회의원 중 재선에 성공한 의원은 31명(15.5%)에 불과하여 역대 선거 중 가장 낮은 재선율을 기록했다. 이는 제헌 국회의원의 임기가 2년으로 짧았던 점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선거 결과는 이승만 대통령으로 하여금 직선제 개헌을 추진하게 만들었으며, 결국 부산정치파동과 발췌개헌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제2대 국회는 6월 19일 개원식을 거행하고 제8차 본회의를 마칠 무렵 한국 전쟁이 발발하여 대전, 대구, 부산으로 피난해야 했다. 그리고 임시 수도가 된 부산에서 '부산 정치 파동'이 발생하게 되었다.
4. 1. 정당별 득표율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의석수 | 의석 점유율 |
---|---|---|---|---|
무소속 | 4,397,287 | 62.9% | 126 | 60.0% |
대한민국민당 | 677,173 | 9.7% | 24 | 11.4% |
민주국민당 | 683,910 | 9.7% | 24 | 11.4% |
국민회 | 473,153 | 6.9% | 14 | 6.7% |
대한청년단 | 227,537 | 3.3% | 10 | 4.8% |
대한노동총연맹 | 117,939 | 1.7% | 3 | 1.4% |
사회당 | 89,413 | 1.3% | 2 | 1.0% |
일민구락부 | 71,239 | 1.0% | 3 | 1.4% |
기타 정당[4] | 75,280 | 3.6% | 4 | 2.0% |
기타 | 174,109 | 2.5% | 0 | 0.0% |
합계 | 6,987,040 | 210 | ||
1950년 5월 30일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의 투표율은 91.9%였다.[3] 무소속 후보가 62.9%의 득표율로 126석을 차지하여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대한민국민당과 민주국민당은 각각 9.7%의 득표율로 24석씩을 얻었으며, 국민회는 6.9%의 득표율로 14석, 대한청년단은 3.3%의 득표율로 10석을 차지하였다. 대한노동총연맹은 1.7%의 득표율로 3석, 사회당은 1.3%의 득표율로 2석, 일민구락부는 1.0%의 득표율로 3석을 얻었다. 기타 정당들은 3.6%의 득표율로 4석을 차지하였다.
:출처: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대한민국선거사』(1964년), 397쪽의 별표 4 「정당·단체별 당선 비율 및 득표 비율 비교 상황」.
4. 2. 지역별 결과
지역 | 총 의석 수 | 당선 의석 수 | |||||||||
---|---|---|---|---|---|---|---|---|---|---|---|
민주국민당 | 대한국민당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대한청년단 | 대한노동총연맹 | 사회당 | 일민구락부 | 민족자주연맹 | 기타 | 무소속 | ||
style="background:" | | style="background:" | | style="background:" | | style="background:" | | style="background:" | | style="background:" | | style="background:" | | style="background:" | | style="background:#FFFFFF" | | style="background:" | | ||
서울특별시 | 16 | 2 | 2 | 1 | 0 | 1 | 1 | 0 | 1 | 2 | 6 |
경기도 | 30 | 4 | 4 | 0 | 0 | 0 | 1 | 1 | 0 | 0 | 20 |
강원도 | 12 | 3 | 0 | 2 | 1 | 0 | 0 | 0 | 0 | 0 | 6 |
충청북도 | 12 | 2 | 3 | 0 | 0 | 0 | 0 | 0 | 0 | 0 | 7 |
충청남도 | 19 | 1 | 3 | 3 | 0 | 0 | 0 | 1 | 0 | 0 | 11 |
전라북도 | 22 | 3 | 2 | 0 | 0 | 1 | 0 | 0 | 0 | 2 | 14 |
전라남도 | 30 | 9 | 2 | 3 | 3 | 1 | 0 | 0 | 0 | 0 | 12 |
경상북도 | 34 | 2 | 3 | 1 | 4 | 0 | 0 | 1 | 0 | 2 | 21 |
경상남도 | 32 | 2 | 0 | 2 | 2 | 0 | 0 | 0 | 0 | 0 | 26 |
제주도 | 3 | 0 | 0 | 1 | 0 | 0 | 0 | 0 | 0 | 0 | 2 |
합계 | 210 | 28 | 19 | 13 | 10 | 3 | 2 | 1 | 6 | 125 | |
출처: [http://info.nec.go.kr/ 중앙선거관리위원회] |
{| class="wikitable"
|+ 제2대 국회의원 선거 지역별 결과
|-
! width="90" | 시·도
! colspan="4" | 선거구 / 당선자
|-
! rowspan="12" | 서울특별시
! style="text-align:left;" width="150" | 종로구 갑
! style="text-align:left;" width="150" | 종로구 을
! style="text-align:left;" width="150" | 중구 갑
! style="text-align:left;" width="150" | 중구 을
|-
| 박순천 (대한부인회)
| 오화영 (무소속)
| 원세훈 (민족자주연맹)
| 정일형 (무소속)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용산구 갑
! style="text-align:left;" | 용산구 을
! style="text-align:left;" | 성동구 갑
! style="text-align:left;" | 성동구 을
|-
| 황성수 (무소속)
| 남송학 (대한국민당)
| 지청천 (민주국민당)
| 임흥순 (민주국민당)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동대문구
! style="text-align:left;" | 성북구
! style="text-align:left;" | 서대문구 갑
! style="text-align:left;" | 서대문구 을
|-
| 장연송 (무소속)
| 조소앙 (사회당)
| 김용우 (무소속)
| 윤기섭 (무소속)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마포구 갑
! style="text-align:left;" | 마포구 을
! style="text-align:left;" | 영등포구 갑
! style="text-align:left;" | 영등포구 을
|-
| 오성환 (대한국민당)
| 이종현 (무소속)
| 조광섭 (대한노동총연맹)
| 류홍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 height="6" colspan="4" |
|-
! rowspan="24" | 경기도
! style="text-align:left;" | 인천시 갑
! style="text-align:left;" | 인천시 을
! style="text-align:left;" | 인천시 병
! style="text-align:left;" | 개성시
|-
| 이용설 (무소속)
| 곽상훈 (무소속)
| 조봉암 (대한국민당)
| 김동성 (무소속)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수원시
! style="text-align:left;" | 고양군
! style="text-align:left;" | 광주군
! style="text-align:left;" | 양주군 갑
|-
| 홍길선 (민주국민당)
| 최국현 (민주국민당)
| 신익희 (민주국민당)
| 조시원 (사회당)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양주군 을
! style="text-align:left;" | 포천군
! style="text-align:left;" | 가평군
! style="text-align:left;" | 양평군
|-
| 이진수 (민주국민당)
| 윤성순 (무소속)
| 홍익표 (무소속)
| 여운홍 (무소속)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여주군
! style="text-align:left;" | 이천군
! style="text-align:left;" | 용인군
! style="text-align:left;" | 안성군
|-
| 김의준 (무소속)
| 이종성 (무소속)
| 류기수 (무소속)
| 이교선 (무소속)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평택군
! style="text-align:left;" | 화성군 갑
! style="text-align:left;" | 화성군 을
! style="text-align:left;" | 시흥군
|-
| 안재홍 (무소속)
| 김인태 (무소속)
| 김웅진 (대한국민당)
| 이재형 (대한국민당)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부천군
! style="text-align:left;" | 김포군
! style="text-align:left;" | 강화군
! style="text-align:left;" | 파주군
|-
| 박제환 (무소속)
| 이교승 (무소속)
| 윤재근 (무소속)
| 이동환 (무소속)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장단군
! style="text-align:left;" | 개풍군
! style="text-align:left;" | 연백군 갑
! style="text-align:left;" | 연백군 을
|-
| 백상규 (무소속)
| 신광균 (일민구락부)
| 김경배 (대한국민당)
| 김태희 (무소속)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옹진군 갑
! style="text-align:left;" | 옹진군 을
| rowspan="2" colspan="2" |
|-
| 서범석 (무소속)
| 오의관 (무소속)
|-
| height="6" colspan="4" |
|-
! rowspan="9" | 강원도
! style="text-align:left;" | 춘천시
! style="text-align:left;" | 춘성군
! style="text-align:left;" | 원주군
! style="text-align:left;" | 강릉군 갑
|-
| 홍창섭 (무소속)
| 박승하 (무소속)
| 윤길중 (무소속)
| 박세동 (민주국민당)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강릉군 을
! style="text-align:left;" | 홍천군
! style="text-align:left;" | 횡성군
! style="text-align:left;" | 영월군
|-
| 최헌길 (민주국민당)
| 이재학 (민주국민당)
| 안상한 (무소속)
| 태완선 (무소속)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평창군
! style="text-align:left;" | 정선군
! style="text-align:left;" | 삼척군
! style="text-align:left;" | 울진군
|-
| 이종욱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이종영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임용순 (대한청년단)
| 김광준 (무소속)
|-
| height="6" colspan="4" |
|-
! rowspan="9" | 충청북도
! style="text-align:left;" | 청주시
! style="text-align:left;" | 청원군 갑
! style="text-align:left;" | 청원군 을
! style="text-align:left;" | 보은군
|-
| 민영복 (무소속)
| 이도영 (무소속)
| 곽의영 (무소속)
| 최면수 (대한국민당)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옥천군
! style="text-align:left;" | 영동군
! style="text-align:left;" | 진천군
! style="text-align:left;" | 괴산군
|-
| 신각휴 (민주국민당)
| 성득환 (민주국민당)
| 이충환 (무소속)
| 연병호 (대한국민당)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음성군
! style="text-align:left;" | 충주군
! style="text-align:left;" | 제천군
! style="text-align:left;" | 단양군
|-
| 이학림 (무소속)
| 조대연 (무소속)
| 한필수 (무소속)
| 조종승 (대한국민당)
|-
| height="6" colspan="4" |
|-
! rowspan="15" | 충청남도
! style="text-align:left;" | 대전시
! style="text-align:left;" | 대덕군
! style="text-align:left;" | 연기군
! style="text-align:left;" | 공주군 갑
|-
| 김종열 (무소속)
| 김종회 (무소속)
| 이긍종 (무소속)
| 박충식 (민주국민당)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공주군 을
! style="text-align:left;" | 논산군 갑
! style="text-align:left;" | 논산군 을
! style="text-align:left;" | 부여군 갑
|-
| 김명동 (대한국민당)
| 김헌식 (무소속)
| 윤담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이석기 (무소속)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부여군 을
! style="text-align:left;" | 서천군
! style="text-align:left;" | 보령군
! style="text-align:left;" | 청양군
|-
| 이종순 (무소속)
| 구덕환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김영선 (무소속)
| 이상철 (무소속)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홍성군
! style="text-align:left;" | 예산군
! style="text-align:left;" | 서산군 갑
! style="text-align:left;" | 서산군 을
|-
| 유승준 (무소속)
| 박철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이종린 (일민구락부)
| 안만복 (무소속)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당진군
! style="text-align:left;" | 아산군
! style="text-align:left;" | 천안군
| rowspan="2" colspan="1" |
|-
| 구을회 (무소속)
| 이규갑 (대한국민당)
| 김용화 (대한국민당)
|-
| height="6" colspan="4" |
|-
! rowspan="18" | 전라북도
! style="text-align:left;" | 전주시
! style="text-align:left;" | 군산시
! style="text-align:left;" | 이리시
! style="text-align:left;" | 완주군 갑
|-
| 박정근 (무소속)
| 변광호 (민주국민당)
| 이춘기 (무소속)
| 박양재 (무소속)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완주군 을
! style="text-align:left;" | 진안군
! style="text-align:left;" | 금산군
! style="text-align:left;" | 무주군
|-
| 박영래 (무소속)
| 김준희 (대한국민당)
| 임영신 (대한여자국민당)
| 김상현 (무소속)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장수군
! style="text-align:left;" | 임실군
! style="text-align:left;" | 남원군
! style="text-align:left;" | 순창군
|-
| 김우성 (무소속)
| 엄병학 (대한국민당)
| 조정훈 (무소속)
| 김정두 (무소속)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정읍군 갑
! style="text-align:left;" | 정읍군 을
! style="text-align:left;" | 고창군 갑
! style="text-align:left;" | 고창군 을
|-
| 신석빈 (무소속)
| 김택술 (대한노동총연맹)
| 김수학 (무소속)
| 신용욱 (무소속)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부안군
! style="text-align:left;" | 김제군 갑
! style="text-align:left;" | 김제군 을
! style="text-align:left;" | 옥구군
|-
| 최병주 (무소속)
| 송방용 (무소속)
| 최윤호 (무소속)
| 지연해 (무소속)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익산군 갑
! style="text-align:left;" | 익산군 을
| rowspan="2" colspan="2" |
|-
| 소선규 (민주국민당)
| 윤택중 (민주국민당)
|-
| height="6" colspan="4" |
|-
! rowspan="24" | 전라남도
! style="text-align:left;" | 광주시
! style="text-align:left;" | 목포시
! style="text-align:left;" | 여수시
! style="text-align:left;" | 순천시
|-
| 박철웅 (무소속)
| 임기봉 (대한노동총연맹)
| 정재완 (무소속)
| 김양수 (민주국민당)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광산군 갑
! style="text-align:left;" | 광산군 을
! style="text-align:left;" | 담양군
! style="text-align:left;" | 곡성군
|-
| 정순조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정인식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김홍용 (무소속)
| 조순 (대한청년단)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구례군
! style="text-align:left;" | 광양군
! style="text-align:left;" | 여천군
! style="text-align:left;" | 승주군
|-
| 이판열 (민주국민당)
| 엄상섭 (무소속)
| 황병규 (대한국민당)
| 김정기 (무소속)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고흥군 갑
! style="text-align:left;" | 고흥군 을
! style="text-align:left;" | 보성군
! style="text-align:left;" | 화순군
|-
| 박팔봉 (무소속)
| 서민호 (무소속)
| 김낙오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박민기 (무소속)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장흥군
! style="text-align:left;" | 강진군
! style="text-align:left;" | 해남군 갑
! style="text-align:left;" | 해남군 을
|-
| 고영완 (민주국민당)
| 양병일 (민주국민당)
| 윤영선 (민주국민당)
| 박기배 (무소속)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영암군
! style="text-align:left;" | 무안군 갑
! style="text-align:left;" | 무안군 을
! style="text-align:left;" | 나주군 갑
|-
| 류인곤 (대한국민당)
| 김용무 (민주국민당)
| 장홍염 (민주국민당)
| 김종순 (무소속)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나주군 을
! style="text-align:left;" | 함평군
! style="text-align:left;" | 영광군
! style="text-align:left;" | 장성군
|-
| 서상덕 (대한청년단)
| 서상국 (민주국민당)
| 정헌조 (대한청년단)
| 변진갑 (무소속)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완도군
! style="text-align:left;" | 진도군
| rowspan="2" colspan="2" |
|-
| 정남국 (민주국민당)
| 조병문 (무소속)
|-
| height="6" colspan="4" |
|-
! rowspan="27" | 경상북도
! style="text-align:left;" | 대구시 갑
! style="text-align:left;" | 대구시 을
! style="text-align:left;" | 대구시 병
! style="text-align:left;" | 포항시
|-
| 조경규 (무소속)
| 박성하 (중앙불교위원회)
| 이갑성 (무소속)
| 김판석 (대한청년단)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김천시
! style="text-align:left;" | 달성군
! style="text-align:left;" | 군위군
! style="text-align:left;" | 의성군 갑
|-
| 우문 (대한국민당)
| 권오훈 (무소속)
| 박만원 (무소속)
| 박영출 (대한국민당)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의성군 을
! style="text-align:left;" | 안동군 갑
! style="text-align:left;" | 안동군 을
! style="text-align:left;" | 청송군
|-
| 권병노 (무소속)
| 김시현 (민주국민당)
| 김익기 (무소속)
| 김봉조 (무소속)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영양군
! style="text-align:left;" | 영덕군
! style="text-align:left;" | 영일군 갑
! style="text-align:left;" | 영일군 을
|-
| 조헌영 (무소속)
| 한국원 (무소속)
| 최원수 (무소속)
| 김익노 (무소속)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경주군 갑
! style="text-align:left;" | 경주군 을
! style="text-align:left;" | 영천군 갑
! style="text-align:left;" | 영천군 을
|-
| 안용대 (무소속)
| 이협우 (대한청년단)
| 권중돈 (무소속)
| 조규설 (무소속)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경산군
! style="text-align:left;" | 청도군
! style="text-align:left;" | 고령군
! style="text-align:left;" | 성주군
|-
| 방만수 (무소속)
| 김준태 (무소속)
| 곽태진 (민주국민당)
| 배상연 (무소속)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칠곡군
! style="text-align:left;" | 금릉군
! style="text-align:left;" | 선산군
! style="text-align:left;" | 상주군 갑
|-
| 장택상 (무소속)
| 여영복 (무소속)
| 육홍균 (대한국민당)
| 박성우 (무소속)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상주군 을
! style="text-align:left;" | 문경군
! style="text-align:left;" | 예천군
! style="text-align:left;" | 영주군
|-
| 백남식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양재하 (무소속)
| 이호근 (대한청년단)
| 김정식 (대한청년단)
|-
| height="6" colspan="4" |
|-
! style="text-align:left;" | 봉화군
! style="text-align:left;" | 울릉군
| rowspan="2" colspan="2" |
|-
| 정문흠 (무소속)
| 서이환 (일민구락부)
|-
| height="6" colspan="4" |
|-
! rowspan="24" | 경상남도
! style="text-align:left;" | 부산시 갑
! style="text-align:left;" | 부산시 을
! style="text-align:left;" | 부산시 병
! style="text-align:left;" | 부산시 정
|-
| 김지태 (무소속)
| 장건상 (무소속)
| 김칠성 (무소속)
| 정기원 (무소속)
|-
| height="
4. 3. 당선자
5. 분석 및 평가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는 여러 가지 중요한 분석 및 평가를 내릴 수 있다. 우선, 이 선거는 이승만 정부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임을 명확히 보여주었다. 여당 계열의 대한국민당, 국민회, 대한청년단 등은 57석을 얻는 데 그쳐 과반수 확보에 실패한 반면, 무소속 의원이 전체 의석의 60%인 126석을 차지했다.[5] 무소속 의원 대부분은 이승만 정부에 반대하는 입장이었기 때문에, 이는 곧 정부에 대한 불신임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이승만 대통령이 직선제 개헌을 추진하게 된 배경이 되었다. 간선제 하에서는 국회에서 불리한 위치에 놓일 수밖에 없었던 이승만은, 국민들의 직접 투표를 통해 대통령에 선출되는 직선제를 통해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고자 했다. 이는 결국 부산정치파동과 발췌개헌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또한, 제2대 총선은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 비해 재선율이 매우 낮았다 (15.5%, 31명).[6] 이는 제헌 국회의원의 임기가 2년으로 짧았던 탓도 있지만, 그만큼 국민들이 새로운 정치 세력을 원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정당별 득표율을 살펴보면, 민주국민당과 대한국민당이 각각 9.8%, 9.7%로 비슷한 수준이었고, 대한독립촉성국민회가 6.8%, 대한청년단이 3.3%를 얻었다. 무소속은 62.9%의 압도적인 득표율을 기록했다. 당선자 수에서는 무소속이 126명으로 가장 많았고, 민주국민당과 대한국민당이 각각 24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의석수 | 의석 점유율 |
---|---|---|---|---|
무소속 | 4,397,287 | 62.9 | 126 | 60.0 |
대한국민당 | 677,173 | 9.7 | 24 | 11.4 |
민주국민당 | 683,910 | 9.7 | 24 | 11.4 |
국민회 | 473,153 | 6.9 | 14 | 6.7 |
대한청년단 | 227,537 | 3.3 | 10 | 4.8 |
대한노동총연맹 | 117,939 | 1.7 | 3 | 1.4 |
사회당 | 89,413 | 1.3 | 2 | 1.0 |
일민구락부 | 71,239 | 1.0 | 3 | 1.4 |
기타 정당[4] | 75,280 | 3.6 | 4 | 2.0 |
기타 | 174,109 | 2.5 | 0 | 0.0 |
합계 | 6,987,040 | 210 |
이 선거는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처음으로 대한민국 정부가 주관한 선거였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제1대 총선은 미군정 하에서 치러졌지만, 제2대 총선은 온전히 대한민국의 힘으로 치러진 것이다.
일본 통치 시대에 일본에 협력했던 '민족반역자'들에게도 선거권과 피선거권이 주어졌고, 제1대 총선을 보이콧했던 남북협상파와 중간파도 참여하면서, 후보자 수가 2,000명을 넘는 치열한 경쟁이 벌어졌다. 이는 민주주의와 민족 통합을 향한 국민들의 열망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는 이승만 정부에 대한 불신임, 민주주의와 민족 통합을 향한 국민들의 열망, 그리고 이후 부산정치파동과 발췌개헌으로 이어지는 정치적 격변의 전조를 보여준 중요한 선거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6. 기타
1952년 2월 5일에 실시된 보궐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조
[1]
서적
Elections in Asia: A data handbook, Volume II
2001
[2]
문서
중앙청의 국회 의장 사용
[3]
웹사이트
Clairreport260호「韓国の国会と第17代総選挙結果分析について」第1章
http://www.clair.or.[...]
[4]
문서
民族자주연맹 등의 의석
[5]
문서
이승만 대통령과 여당
[6]
뉴스
총선거 오월 십일에 단행, 구법 적용도 불사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50-02-26
[7]
서적
한국외교정책의 이상과 현실:이승만외교와 미국정책의 반성
법문사
2000
[8]
서적
한국현대사산책 〈1950년대편 1권〉
인물과사상사
2004
[9]
뉴스
光復十年의 발자취(19) : 六 · 二五事變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55-08-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