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는 1921년 왕십리와 뚝섬을 연결하는 노선 운행을 시작으로, 1949년 17개 버스 회사가 273대의 버스를 운영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2004년 이명박 시장의 버스 체계 개편을 거쳐 현재 간선, 지선, 순환, 광역, 심야, 맞춤버스 등 6가지 종류로 운영되며, 준공영제를 통해 관리된다. 2020년 3월 기준 총 375개 노선, 7,399대의 버스가 운행되고 있으며, 하루 평균 약 500만 명이 이용한다. 서울시는 저상버스 도입과 천연가스버스 보급 등을 통해 대기 오염을 줄이고, 2012년부터 2016년까지 대중교통 계획을 발표하여 교통 체계를 개선해나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특별시의 버스 교통 - 서울남부버스터미널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위치한 서울남부버스터미널은 1972년 용산에서 시작하여 1990년 현재 위치로 이전했으며, 엔티산업에서 운영하고, 수도권, 충청권, 영남권, 호남권, 강원권 등 다양한 지역으로 운행하는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터미널이다.
  • 서울특별시의 버스 교통 - 동서울종합터미널
    동서울종합터미널은 서울 광진구에 위치한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시외·고속버스터미널 중 하나로, 전국 각지로 향하는 다양한 노선을 운영하며, 지하철 강변역과 연결되고 공항 리무진 버스도 운행하지만, 현대화 사업 후 상가가 퇴거하여 홈페이지나 앱으로 최신 정보를 확인해야 한다.
  • 교통에 관한 - 고속철도
    고속철도는 시속 200km 이상으로 운행되는 철도 시스템으로, 국가별 기술과 운영 방식의 차이가 있으며 경제 성장과 국토 개발에 기여하지만 환경 문제와 사회적 비용에 대한 논의가 있는 교통 시스템이다.
  • 교통에 관한 - 대중교통
    대중교통은 다수를 위한 유료 교통수단으로, 수상 교통과 역마차에서 시작하여 트램, 철도, 버스, 지하철, 항공 등으로 발전해 왔으며, 스마트 모빌리티 기술 발전과 과제 해결을 동시에 마주하고 있다.
  • 서울특별시에 관한 - 박원순
    박원순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사회운동가, 정치인으로, 인권변호사, 시민운동가, 사회적 기업 운동가로 활동하다가 무소속으로 서울특별시장에 당선되어 대한민국 최초의 3선 서울특별시장이 되었으나, 성추행 혐의로 고소당한 후 사망했다.
  • 서울특별시에 관한 - 노원구
    노원구는 서울특별시 북동부에 위치한 자치구로, 주변 도시와 접하며 갈대밭 또는 여관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불리고, 수락산, 불암산 등의 자연환경과 여러 전철 노선 및 교육기관이 위치해 있다.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정보
서울 버스 (차례대로) 광역버스, 지선버스, 간선버스, 순환버스
서울 버스 (차례대로) 광역버스, 지선버스, 간선버스, 순환버스
지역서울특별시
구분시내버스
관리 기관서울특별시 도시교통본부
차적지서울특별시
운행 지역서울특별시 경기도 (과천시, 고양시, 광명시, 구리시, 군포시, 남양주시, 부천시, 성남시, 수원시, 안양시, 의왕시, 의정부시, 파주시, 하남시) 일원
노선 수374개
인가 대수7,399대
지불 수단현금, 교통카드(승차권, 토큰)
선불 카드마이비, 레일플러스, 한페이, 캐시비, 탑패스, 원패스, 티머니, 하나로
후불 카드국민, 농협, 롯데, BC, 삼성, 수협, 신한, 씨티, 제주, 하나카드, 현대
사이트서울특별시 교통정보센터
버스정보시스템 (BIS)

2. 역사

1949년 8월, 17개의 버스 회사가 서울시로부터 면허를 받아 273대의 버스를 운영하게 되면서 본격적인 버스 운행이 시작되었다.[9] 서울시의 시내버스는 합승택시, 합승버스, 좌석버스 등의 형태로 운행되었고, 현재의 버스 체계는 2004년 이명박 시장의 역점사업으로 완성되었다.

2. 1. 개요

1921년 왕십리뚝섬을 연결하는 버스 노선이 개통하면서 서울에서 처음으로 버스 운행을 시작했다.[9]

1949년 8월, 17개의 버스 회사가 서울시로부터 면허를 받아 273대의 버스를 운영하게 되면서 본격적인 버스 운행이 시작되었다. 해방 이후 북에서 내려온 사람들과 해외에서 귀환한 이들이 몰려들면서 서울특별시로의 인구 집중이 가속화되자, 1949년1963년 두 차례에 걸쳐 서울의 행정 구역을 확장하여 무분별한 인구 집중을 막고 인구를 교외로 분산하고자 하였다.[10][11][12][13]

이러한 폭발적인 인구 증가로 인해 서울 도심을 중심으로 하는 교통난이 심화되었다. 1966년 서울시는 도심의 교통난을 완화하기 위해 전차를 철거하는 대신 버스를 운영하는 방안을 발표하였다. 전차를 철거하고 이를 대체할 시영버스를 운행하며, 이후 수익성 있는 일부 노선을 민간 운수업자에 불하하는 방안이었다.[14][15]

서울시의 시내버스는 합승택시, 합승버스, 좌석버스 등의 형태로 운행되었고, 현재의 버스 체계는 2004년 이명박 시장의 역점사업으로 완성된 것이다.

서울시는 2009년 n월 버스 운행 60주년(1949년)을 맞아 새벽 첫차를 이용하는 시민에게 빵 및 음료수 2개 등 선물을 나눠주고, 101번과 150번 버스 등 11개의 노선에서 유니폼을 입은 도우미가 승·하차를 안내하는 '추억의 버스 안내양' 행사를 가졌다.[16]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운행 중인 옛 서울시내버스 차량

2. 2. 연보

1912년 일본인들이 서울에 처음으로 정기 버스를 운행하는 자동차 운수사업을 시작하였다. 1921년 왕십리뚝섬을 연결하는 버스 노선이 개통되면서 서울에서 처음으로 버스 운행을 시작했다.[9]

1928년 4월 22일 20인승 '경성 부영버스' 10대가 운행하기 시작하였다. 1949년 8월 16일 서울승합 등 17개 회사가 서울특별시로부터 사업면허를 받아 273대를 운행하기 시작하였다.[17] 시내버스 노선 계획 및 인가가 이루어졌다.[18]

해방 이후 북에서 내려온 사람들과 해외에서 귀환한 이들이 몰려들면서 서울특별시로의 인구 집중이 가속화되자, 무분별한 인구 집중을 막고 인구를 교외로 분산하기 위해 1949년하고 1963년 두 차례에 걸쳐 서울의 행정 구역을 확장하였다.[10][11][12][13]

이러한 폭발적인 인구 증가로 인해 서울 도심을 중심으로 하는 교통난이 심화되었다. 1956년에는 20개 회사가 서울시내버스 노선을 운영하였고, 합승택시의 신규노선 운행 인가가 이루어졌다.[19] 1959년에는 시내버스, 합승택시 2대가 노선을 운행하였다.[20]

1961년 8월 1일 시내버스노선번호 개편이 이루어졌고, 매월 회사 윤번제가 실시되었다. 1964년 12월 10일에는 시내버스, 합승택시의 노선번호 개편이 이루어졌다. 1965년 11월 16일에는 급행버스의 신규노선 운행 인가가 이루어졌다.

1966년 5월 1일 시내버스, 합승버스, 급행버스 2개의 노선번호 개편이 이루어졌다. 같은 해, 서울시는 도심의 교통난을 완화하기 위해 전차를 철거하는 대신 버스를 운영하는 방안을 발표하였다. 전차를 철거하는 대신 이를 대체할 시영버스를 운행하고, 이후 수익성 있는 일부 노선을 민간 운수업자에 불하할 것을 골자로 하는 방안이었다.[14][15] 1967년 3월 13일 시영버스 50대 운행을 개시하였다.[21]

1969년 일본산 엔진과 보디를 들여와 외장을 자체 제작해 대한민국의 최초로 자동차를 수출한 회사를 설립하였다. 1970년 4월 1일에는 노선번호 개편이 이루어졌다. (민영 버스 : 1~160번 단위, 시영 버스 : 200번 단위) 1977년 10월 1일 토큰제가 실시되었다. 1982년 8월 10일 시민자율버스제도 시행.[22][23] 1984년 11월 1일 버스요금 선불제도 시행. 이후 버스안내양 제도는 점진적으로 폐지되기 시작하였다.[24]

1996년 7월 1일 버스 카드제가 실시되었다. 1999년 10월 1일 토큰제가 폐지되고 버스카드가 토큰제를 대체하였다. 2004년 7월 1일 버스 개편이 이루어졌고, 거리 비례제를 요금으로 바뀌었다.

2007년 7월 1일 서울시 지선버스, 간선버스, 순환버스 2개와 경기도 도시형버스, 마을버스 2개를 간으로 환승하는 수도권 대중교통 통합요금제를 실시하게 되었다. 2009년 10월 10일 수도권 대중교통 통합요금제가 인천시내버스를 적용받게 되었다.[25] 같은 해, 서울시는 버스 운행 60주년(1949년)을 맞아 새벽 첫차를 이용하는 시민에게 빵 및 음료수 2개 등 선물을 나눠주고 101번과 150번 버스 등 11개의 노선에서 유니폼을 입은 도우미가 승·하차를 안내하는 '추억의 버스 안내양' 행사를 가졌다.[16]

2018년 1월 15일 서울형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의 일환으로 출퇴근시간(첫차~09시, 18시(6시)~21시(9시))에 한해 전면 무료 운행을 실시하게 되었다. 2024년 11월 25일 새벽시간때에 자율주행하는 버스 노선이 도입되었다.[26]

3. 현황

서울특별시의 시내 버스 내 USB 휴대폰 충전 포트


서울특별시는 2003년부터 저상버스를 도입하여 현재 751대가 운행 중이며, 2012년까지 전체 시내버스의 절반(광역버스 제외)을 저상버스로 교체할 계획이었다.[28] 버스 도착 시간 불규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1년까지 모든 버스 정류소에 안내 단말기를 설치하고,[29] 대기 오염 예방을 위해 2010년까지 모든 버스를 천연가스버스로 교체하겠다고 밝혔다.[30]

2012년부터 2016년까지의 대중교통 계획에는 저상버스 도입 확대, 환승 직결 버스 노선 신설, 경기도인천광역시와 서울특별시를 오가는 광역버스(좌석형 급행간선버스) 도입, 3도어 저상버스 도입 등이 포함되었다.[31][32] 이러한 버스는 주로 중앙버스전용차로와 도시고속화도로를 운행하여 속도 경쟁력을 높일 것으로 예상되었다. 시외곽을 오가는 간선버스가 좌석형 급행간선버스로 전환될 후보 노선으로 언급되었다.

운행 시간대에 따라 승객 수요가 한쪽 방향으로 치우치는 노선의 경우, 수요가 적은 방향의 정류장을 지나치는 단방향 무정차 버스가 2012년에 광역버스 노선에 도입되어 9401번, 9408번, 9707번, 9714번에서 운행되고 있다.[33]

2019년 11월 20일부터 일부 서울특별시 버스에 공용 와이파이가 설치되었다.[34]

버스 공용 와이파이 안내문

3. 1. 개요

현재의 서울시내버스는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으로 큰 틀이 확정되었다.

2020년 3월 기준으로 순환버스 5개, 간선버스 128개, 지선버스 211개, 광역버스 10개 노선, 심야버스 9개 노선, 맞춤버스 12개 노선으로 총 375개 노선, 7,399대 버스가 모두 준공영제로 운영되고 있다.

서울시내버스 하루 평균 이용객은 약 500만 명으로 대중교통 중 수도권 전철 다음으로 많다.[27]

서울시는 2003년부터 저상버스를 도입, 현재 751대가 운행중이며, 2012년까지 전체 시내버스 중 광역버스를 제외한 절반을 저상버스로 바꿀 계획에 있다.[28] 이외에도 버스 도착 시간이 불규칙하다는 지적에 따라 서울특별시는 2011년까지 모든 버스 정류소에 안내 단말기를 설치하고[29] 대기 오염 예방을 위하여 2010년까지 천연가스버스로 모두 바꾸겠다고 밝혔다.[30]

서울특별시2012년부터 2016년까지 대중교통계획을 발표했다. 계획안은 저상버스 도입 확대와 환승 직결 버스 노선 신설, 경기도, 인천광역시서울특별시를 오가는 광역버스와 같은 좌석형 급행간선버스의 도입, 3도어 저상버스의 도입 등이다.[31][32] 주로 중앙버스전용차로와 도시고속화도로를 운행해 속도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후보 노선의 경우 시외곽을 오가는 간선버스가 후보 대상으로 좌석형 급행간선버스로 전환된다.

이 밖에도 운행 시간대에 따라 방향별 승객 수요가 편중되는 노선의 경우 승객 수요가 상대적으로 적은 한 방면의 정류장을 지나치는 단방향 무정차 버스를 2012년광역버스 노선에 한해 도입하면서 현재는 9401번, 9408번, 9707번, 9714번에 운행하고 있다.[33]

2019년 11월 20일부터 일부 서울특별시 버스에서도 공용와이파이가 설치되었다.[34]

3. 2. 종류

현재 서울시내버스는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으로 큰 틀이 확정되어, 간선, 지선, 순환, 광역, 맞춤, 심야버스의 여섯 종류로 나뉘어 운영되고 있다. 공항버스도 운행하고 있다.

  • 간선버스(Blue Bus영어) : 서울의 주요 업무지구를 연계하며, 도시형버스에 해당한다. 파란색은 서울의 스카이라인과 한강을 나타내며 안전과 자유를 상징한다.[2]
  • 지선버스(Green Bus영어) : 각 주거 지역과 교통 결절점을 운행하며 지하철을 연계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도시형버스에 해당하며, 순환버스나 마을버스에 해당하는 요금을 징수하는 경우도 있다. 이 분류에는 특정한 시간 동안 운행하는 맞춤버스를 일부 포함한다. 녹색은 도시를 둘러싼 산을 나타낸다.[2]
  • 순환버스(Yellow Bus영어) : 지역 내를 순환하며 운행하는 역할을 한다. 마을버스와 유사하지만, 요금의 차이가 있다. 상업 지구, 관광 지역 및 쇼핑 지역 근처의 정류장에 정차하며, 간선/지선 버스, 지하철역 및 주요 철도역과의 연계도 제공한다. 노란색은 역동적이고 친근한 이미지를 위해 선택되었다.[2] 순환 버스 노선은 점차 중단되었으며, 마지막으로 남은 노선은 남산 순환 버스 3개 노선이다.
  • 광역버스(Red Bus영어) : 수도권 업무지구와 주변 위성 도시들을 연계하며, (직행)좌석버스에 해당된다. 빨간색은 속도의 에너지를 나타낸다.[2]
  • 마을버스 (Local Bus영어) : 지역 지하철역 및 기타 대형 노선에 연결되는 짧은 보조 노선이다. 마을 버스는 다른 네 가지 버스 유형보다 짧고 다른 스타일을 가지고 있다.


470번 노선의 이베코 시티클래스(18m)


2020년 3월 기준으로 순환버스 5개, 간선버스 128개, 지선버스 211개, 광역버스 10개 노선, 심야버스 9개 노선, 맞춤버스 12개 노선으로 총 375개 노선, 7,399대의 버스가 모두 준공영제로 운영되고 있다. 서울시내버스 하루 평균 이용객은 약 500만 명으로 대중교통 중 수도권 전철 다음으로 많다.[27]

대한민국 시내버스의 대부분은 현대, 대우 및 에디슨모터스에서 제작된 국산 모델이다. 버스의 길이는 9m, 10.6m에서 11m이다. 버스는 압축 천연 가스, 전기 배터리, 또는 이 둘의 조합을 사용한다. 과거에는 경유 버스도 운행되었으며, 2004년부터 2014년까지 간선 버스 노선에 12m 길이의 대우 버스와 18m 길이의 이베코 굴절 버스가 운행되었다.

3. 3. 노선 번호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으로 현재 서울시내버스의 노선 번호 체계가 확립되었다. 노선 번호는 버스 종류와 출발 및 도착 지역에 따라 정해진다.

종별첫째 자리둘째 자리셋째 자리넷째 자리
순환버스운행 지역일련 번호(1~)(없음)
간선버스출발 지역도착 지역일련 번호(0~)(없음)
지선버스출발 지역도착 지역일련 번호(11~)
광역버스9출발 지역일련 번호(00~)
맞춤버스8출발 지역도착 지역일련 번호(0~)
공항버스6(0~7)일련 번호(00~)
심야버스N출발 지역도착 지역(없음)



간선버스, 지선버스, 광역버스 권역 부여에는 몇 가지 예외가 있다.[35]

3. 3. 1. 주요 권역



다음 목록은 지역별 노선 번호 체계를 보여준다. 이 체계는 노선 개요의 인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만들어졌다.[3]

260px

3. 4. 요금 및 환승 제도



서울시내버스는 경기시내버스, 인천시내버스, 수도권 전철과 함께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적용받는다. 기본 요금은 10km까지 적용되며, 서울 광역버스, 경기도 일반좌석/직행좌석버스, 인천 좌석/광역버스를 1회 이상 이용하면 30km까지 기본 요금이 적용된다. 이후에는 5km마다 100원(성인 기준)의 추가 요금이 부과된다. 최대 요금은 각 교통수단 이용 시 최대 요금의 합이다. 현금 이용 시에는 거리 산정이 불가능하여 환승 혜택을 받을 수 없다. 단, 50km 초과 환승 시에는 8km마다 100원씩 추가된다.[27]

환승 할인을 받으려면 하차 시 단말기에 카드를 찍어야 한다. 단독 승차 시에는 기본 요금만 부과되므로 하차 시 카드를 찍을 필요는 없지만, 혼동을 막기 위해 카드를 대고 내리는 것이 좋다. 같은 노선에서는 환승 할인이 불가능하지만, 타 업체 공동 운행 노선이나 A/B 구분이 다른 버스(예: 110A번과 110B번, 702A번과 702B번)는 다른 노선으로 간주되어 환승 할인이 가능하다. 차고지 사정 등으로 인해 특별히 조정되는 경우도 있다. 다인승 탑승 및 환승 할인은 시내버스에서만 가능하며, 동일 인원이 동일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경우에만 인정된다. 하차 시 잔액이 부족하면 다음 승차 시 해당 교통수단 기본 요금의 2배가 부과된다.

3. 4. 1. 요금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으로 현재의 요금 체계가 확정되었다. 서울시내버스 하루 평균 이용객은 약 500만 명으로, 대중교통 중 수도권 전철 다음으로 많다.[27]

3. 4. 2. 환승 제도

서울시내버스는 경기시내버스, 인천시내버스, 수도권 전철과 함께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적용받는다. 기본 요금은 10km까지 적용되며, 서울 광역버스, 경기도 일반좌석/직행좌석버스, 인천 좌석/광역버스를 1회 이상 이용하면 30km까지 기본 요금이 적용된다. 이후에는 5km마다 100원(성인 기준)의 추가 요금이 부과된다. 최대 요금은 각 교통수단 이용 시 최대 요금의 합이다. 현금 이용 시에는 거리 산정이 불가능하여 환승 혜택을 받을 수 없다. 단, 50km 초과 환승 시에는 8km마다 100원씩 추가된다.[27]

환승 할인을 받으려면 하차 시 단말기에 카드를 찍어야 한다. 단독 승차 시에는 기본 요금만 부과되므로 하차 시 카드를 찍을 필요는 없지만, 혼동을 막기 위해 카드를 대고 내리는 것이 좋다.

같은 노선에서는 환승 할인이 불가능하지만, 타 업체 공동 운행 노선이나 A/B 구분이 다른 버스(예: 110A번과 110B번, 702A번과 702B번)는 다른 노선으로 간주되어 환승 할인이 가능하다. 차고지 사정 등으로 인해 특별히 조정되는 경우도 있다.

시내버스에서는 다인승 탑승 및 환승 할인이 가능하며, 동일 인원이 동일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경우에만 인정된다. 하차 시 잔액이 부족하면 다음 승차 시 해당 교통수단 기본 요금의 2배가 부과된다.

3. 5. 버스안내시스템 및 차량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으로 현재의 서울시내버스 체계가 확립되었다. 서울시는 2003년부터 저상버스를 도입했으며, 2011년까지 모든 버스 정류소에 안내 단말기를 설치했다.[29] 대기 오염 예방을 위해 2010년까지 모든 버스를 천연가스버스로 교체했다.[30]

  • '''버스안내시스템''': 2004년 서울특별시는 모든 서울특별시 소속 버스에 버스 관리 시스템 단말기를 설치했다. 이 단말기는 위성으로 버스 사령실과 연결되어 각 버스의 위치, 운행 속도 등을 전송한다. 이 정보를 이용해 노선별 버스 위치, 정류장별 도착 예정 버스 정보 등을 [http://bus.go.kr/ 서울특별시 버스안내시스템]이나 1577-0287 ARS 서비스로 확인할 수 있다.
  • '''차량''': 현대자동차, 대우버스, 에디슨모터스의 차량이 주로 이용되며, 많은 노선에서 저상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일부 노선에는 하이브리드 차량 및 전기버스가 도입되었으며, 전기버스는 현대자동차, 에디슨모터스 외에도 다양한 회사의 차량이 운행되고 있다.
  • '''차량 출고 규정''': 서울시내버스는 천연가스버스, 전기, 수소버스만 출고하도록 의무화되어 있다. 예외적으로 마을버스 노선의 소형버스, 대진여객 성북05번, 금창운수 중랑01번의 승합차는 제외된다. 신차 출고시 지선/간선형 노선은 입석형 차량을 출고해야 하며, 광역버스에서 형간 전환 또는 감차 후 타 노선 증차 시에는 좌석형 차량이 예외적으로 허용된다. KD운송그룹 소속 대원여객, 대원교통은 사고 방지 및 인명피해 방지를 위해 저상버스를 제외하고 2x1 배열 좌석형 차량을 옵션으로 출고할 수 있다. 2019년부터는 광역버스나 일부 저상버스 도입이 불가능한[38] 지선, 간선버스를 제외하고 모든 노선에 저상버스를 출고하도록 의무화되었다. 전기버스 운용 회사는 최소 2개 이상 회사의 차량을 운용해야 한다. 광역버스는 2018년부터 신차 출고시 대형 고급형 좌석버스를 의무화하고 옵션은 업체 재량으로 선택한다.


대한민국 시내버스의 대부분은 현대, 대우 및 에디슨모터스에서 제작된 국산 모델이다. 버스의 길이는 9m, 10.6m 또는 11m이다. 버스는 압축 천연 가스, 전기 배터리, 또는 이 둘의 조합을 사용한다. 과거에는 경유 버스도 운행되었으며, 2004년부터 2014년까지 간선 버스 노선에 12m 길이의 대우 버스와 18m 길이의 이베코 굴절 버스가 운행되었다.

2019년 11월 20일부터 일부 서울특별시 버스에 공용 와이파이가 설치되었다.[34]

3. 6. 노선 운행 규정

서울특별시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당시 업체당 운영할 수 있는 노선 형태를 규정하였다. 일반 시내버스 업체는 마을버스 노선을 제외한 지선·간선·순환·광역버스 노선 모두를 운영할 수 있도록 하였고, 예외적으로 선진운수, 대진여객, 범일운수만 마을버스를 운영할 수 있도록 승인받았다.[39] 전환 시내버스 업체는 간선버스를 운영할 수 없도록 규정하였는데, 이 때문에 풍양운수를 인수·합병한 오케이버스가 간선버스 602번 문제로 정규 시내버스로 법인 승격된 사례가 있다.

3. 7. [[공항버스]]

공항버스는 서울의 주요 지역과 김포국제공항인천국제공항을 빠르게 운행하고 있다. 공항버스는 준공영제 대상이 아니고, 운임 체계가 별도로 만들어져 있으며, 공항버스와 택시 간(다만, 모두 서울특별시 차적이어야 한다)의 환승 할인, 영종도 관광지 연계 버스 환승 할인 이외의 환승 할인은 불가능하다. 공항버스는 현재 21개 노선이 운행되고 있으며, 요금은 최대 15000KRW으로 노선마다 다르고, 공항리무진주식회사와 서울공항리무진주식회사에서 운영한다. 또한 코엑스로부터 운행하는 한국도심공항 운영의 직행 리무진이 있으며 대한항공 KAL리무진에서 운행하는 서울 시내 주요 호텔에서 인천국제공항 간 직행 리무진이 있다.

3. 8. 타 지역 노선과의 공동 운행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이전에는 서울시내버스와 경기시내버스 (남양주시, 일산신도시, 분당신도시 등) 간에 공동 운행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업체 간 과당 경쟁 완화가 주 목적이었지만, 최근에는 시내버스 총량제로 인해 증차가 불가능하게 되어 불가피하게 공동 운행하는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개편 이전에도 수익성 악화와 양 사간 운행 질서 방해 등으로 잦은 마찰을 빚어 공동 운행 참여 업체 중 일부가 운행을 포기하는 경우 (고양 1008번, 921번, 1000번 등)가 있었다. 개편 이후에는 면허 이관(성남 9407번 등), 노선 변경(서울 9503→542번), 운행 휴지(파주 8880번 등) 등의 이유로 이 형태를 유지하는 노선들의 수는 점차 줄어들어 2020년 기준으로 하나도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

공동 운행하는 노선들 간의 운행 경로가 항상 같은 것은 아니었다. 경기도 용인시 죽전동압구정동갤러리아백화점을 오가던 광주시 면허의 9414번 직행좌석버스의 경우 형식상으로는 서울 면허와 공동 운행하였지만 서울 면허의 9414번 (오리역 출발)과 경기 면허의 9414번 (죽전동 출발)의 기점이 달랐다. 이후 서울 9414번은 폐지되었고 경기 9414번도 삼성역으로 단축되어 운행 중이다. 경기도 군포시와 신사역을 오가던 안양 면허의 3030번과 서울 면허의 9503번은 공동 운행 노선이었으나 차고지 등의 이유로 3030번은 군포공영차고지, 9503번은 군포화물터미널이 기점으로 노선에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9503번은 이후 노선 변경 및 형간 전환으로 542번이 되어 더 이상 3030번과 공동 배차하지 않는다. 이 외에도 행정적인 편의를 위해 임시로 공동 운행을 해 온 경우도 존재한다. 경동시장과 양수리, 운길산역을 오가는 남양주 167번의 경우, 기존에 운행해오던 서울 면허의 2228번 노선을 폐선하는 과정에서 행정적인 편의와 승객 불편 최소화를 위해 3개월여 간 임시로 공동 운행하였다. 마찬가지로 숭례문금촌역을 오가는 파주 9709번의 경우, 기존에 운행해오던 서울 면허의 9709번 노선을 폐선하는 과정에서 행정적인 편의와 승객 불편 최소화를 위해 3개월여 간 임시로 공동 운행하였다.

4. 운수 업체

2024년 12월 2일 기준이다.[40]

5. 노선 목록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으로 현재의 서울시내버스 체계가 확정되었다. 2020년 3월 기준으로 총 375개 노선, 7,399대의 버스가 준공영제로 운영되고 있다. 노선별로는 순환버스 5개, 간선버스 128개, 지선버스 211개, 광역버스 10개, 심야버스 9개, 맞춤버스 12개가 있다. 서울시내버스 하루 평균 이용객은 약 500만 명으로, 수도권 전철 다음으로 많다.[27]

2012년에는 서울특별시경기도, 인천광역시를 잇는 광역버스와 같은 좌석형 급행간선버스, 3도어 저상버스 도입 등의 대중교통계획을 발표했다.[31][32]

2012년 광역버스 노선에 한해 승객 수요가 상대적으로 적은 방향의 정류장을 지나치는 단방향 무정차 버스를 도입하여, 현재 9401번, 9408번, 9707번, 9714번에서 운행하고 있다.[33]

6. 다른 시, 군 운수업체 및 노선


7. 통계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으로 현재의 서울시내버스의 큰 틀이 확정되었다. 2020년 3월 기준으로 순환버스 5개, 간선버스 128개, 지선버스 211개, 광역버스 10개 노선, 심야버스 9개 노선, 맞춤버스 12개 노선으로 총 375개 노선, 7,399대의 버스가 모두 준공영제로 운영되고 있다.

서울시내버스 하루 평균 이용객은 약 500만 명으로 대중교통 중 수도권 전철 다음으로 많다.[27]

다음은 서울시내버스의 수송 분담률 및 수송 인원을 나타낸 표이다.[52] 전체적으로 수송 인원 및 수송 비율이 감소하는 것은 지하철 또는 자가용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졌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2006년에는 일 평균 4,550,962명을 수송하였으며, 이를 전체 인가 대수로 나누면 한 대의 버스가 평균 675명을 실어나른 것이 된다.

연도수송분담률 (%)수송 인원 (명)
1990년43.306,949,522
1995년36.705,280,470
2000년28.304,281,310
2005년26.204,468,505
2006년27.504,550,962


8. 차고지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를 담당하는 공영 차고지는 2013년 10월 27일 기준으로 다음과 같다. 이 외 차고지는 각 운수업체에서 직접 운영한다.



서울시계 외에서도 노선을 운영하는 운수 업체도 있다. 이에 따라서 해당 운수업체가 운영하는 차고지 소재지를 서술한다.


9. 대중문화 속 서울시내버스

대한민국의 애니메이션 유아 텔레비전 시리즈 꼬마버스 타요[4] Hulu, 넷플릭스 및 전 세계 여러 방송국에서 방영되며, 서울의 버스 시스템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4명의 주요 등장인물은 각기 다른 색상(유형)의 버스이며, 주인공 타요는 파란색/간선 버스이다.[4]

참조

[1] 웹사이트 Reforming Public Transportation in Seoul https://seoulsolutio[...] 2024-09-09
[2] 웹사이트 서울 시내버스 체계 및 이용방법 http://traffic.seoul[...] 2018-05-19
[3] 웹사이트 Seoul Transportation http://www.lifeinkor[...] 2012-10-06
[4] 웹사이트 Enhypen is remaking theme to 'Tayo the Little Bus' https://koreajoongan[...] 2023-08-20
[5] 웹사이트 New Netflix Shows and Movies in June 2023 https://www.tvguide.[...] 2023-08-20
[6] 문서 T형과 MT형 사용가능, M형 사용불가.
[7] 문서 T형 사용가능, M형 사용불가.
[8] 뉴스 “오라이… 탕탕” 서울 시내버스 환갑 맞았어요 http://www.seoul.co.[...] 서울신문
[9] 뉴스 纛島와 往十里 間 자동차 운뎐 개시 동아====일보 2022-10-31
[10] 저널 都市計劃基本資料調査書 서울특별시 도시계획위원회 1962
[11] 저널 서울都市計劃 서울특별시 1965
[12] 저널 서울특별시 區행정변천고-행정구역 및 직제변천을 중심으로- 1988
[13] 저널 1960년대 서울시 확장기 도시계획 서울연구원 2013
[14] 뉴스 電車 단계적 撤去 金市長談 대신 市營"버스" 5百臺 운행 동아일보 1966-05-10
[15] 뉴스 市營버스 3百臺 올해 안으로 마련 경향신문 1966-05-10
[16] 뉴스 추억의 '버스 안내양' 外 https://news.naver.c[...] MBC
[17] 뉴스 60년대 엘리트 직업, 70년대엔 시위대도 길 터줘 http://news.joins.co[...] 중앙일보
[18] 서적 서울교통사 2000
[19] 서적 서울교통사 2000
[20] 서적 서울교통사 2000
[21] 뉴스 동아일보 1967-03-13
[22] 뉴스 60주년 맞은 서울 시내버스 http://www.allthatne[...] 올댓뉴스
[23] 뉴스 매일경제 1982-08-11
[24] 뉴스 동아일보 1984-11-01
[25] 뉴스 수도권 대중교통할인 인천까지 확대 https://news.naver.c[...] 조선일보 2009-10-20
[26] 뉴스 도봉산~영등포 '새벽동행 자율주행버스' A160, 26일부터 달린다 https://www.news1.kr[...] 뉴스1 2024-11-26
[27] 웹인용 2014년 11월 시내버스 인가 및 운영현황 (xls) https://web.archive.[...] 2015-01-20
[28] 뉴스 서울 저상버스 비중 50%로 늘린다 https://web.archive.[...] 아시아경제 2009-10-19
[29] 뉴스 서울시내 전 버스중앙정류소에 '안내단말기'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9-10-20
[30] 뉴스 서울 시내버스 모두 천연가스車로 https://news.naver.c[...] 세계일보 2009-10-20
[31] URL 독일 ‘만’ 저상버스 서울시내 누비나 http://www.sangyongc[...]
[32] URL https://www.dropbox.[...]
[33] 뉴스 서울시내도 좌석형 간선급행 버스 달린다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4-06-03
[34] URL 뛰뛰빵빵~ 달리는 서울버스, 무료 와이파이로 빵빵! http://mediahub.seou[...] 서울특별시 홈페이지
[35] 문서 간선버스 202번, 270번, 401번, 402번, 461번, 470번, 502번, 540번 등
[36] 웹사이트 교통 요금 안내 https://news.seoul.g[...] 서울특별시청 교통정책과 2023-08-13
[37] 문서
[38] 문서
[39] 문서
[40] 뉴스 2017년 9월 시내버스 인가현황 http://news.seoul.go[...] 서울교통정보과 2017-11-07
[41] 문서
[42] 문서
[43] 문서
[44] 문서
[45] 문서
[46] 문서
[47] 문서
[48] 문서
[49] 문서
[50] 문서
[51] 문서
[52] 웹사이트 서울특별시버스운송사업조합 http://www.sbus.or.k[...]
[53] 문서
[54] 문서
[55] 문서
[56] 문서
[57] 문서
[58] 문서
[59] 문서
[60] 문서
[61] 문서
[62] 문서
[63] 문서
[64] 문서
[65] 문서
[66] 문서
[67] 문서
[68] 문서
[69] 문서
[70] 문서
[71] 문서 대화동에 영업소 보유
[72] 문서 면허지는 서대문구 남가좌동 295-5. 덕양구 덕은동 본사 외에는 일산동구 설문동에 영업소 보유
[73] 문서 파주시 교하동에 영업소 보유
[74] 문서 노원구 공릉동 27-11 소재. 남양주시 별내동에 차고지 보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