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티닐에스트라다이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티닐에스트라다이올(EE)은 다양한 의학적 용도로 사용되는 합성 에스트로겐으로, 주로 복합 경구 피임약의 피임 성분으로 사용된다. 이 외에도 무월경, 월경 증상, 여드름 치료, 갱년기 호르몬 요법, 트랜스젠더 여성의 여성화 호르몬 요법, 성선 기능 저하증 치료, 골다공증 예방, 전립선암 및 유방암 완화 치료, 성범죄자 성욕 감소 등에 사용될 수 있다. EE는 혈전증, 유방암, 수유 중인 여성, 간 질환 등의 특정 조건에서는 사용이 금지된다. EE는 다양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며, 특히 혈전증, 심혈관 질환, 간 손상, 자궁암 등의 장기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EE는 CYP3A4 등 효소에 의해 대사되며, 다른 약물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효과가 감소하거나 증가할 수 있다. EE는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강력한 작용제이며, 항성선 자극 효과를 통해 피임 효과를 나타내고, 항안드로겐 작용을 통해 안드로겐 의존성 질환 치료에 사용된다. EE는 에스트라디올보다 간 단백질 합성에 더 강력한 영향을 미치며, 혈전 형성 및 심혈관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EE는 경구 투여 시 생체 이용률이 높고, 간에서 대사되며, 제거 반감기가 7~36시간이다. EE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약물이며, 다양한 상표명으로 판매되고 있다. 폐수 내 EE는 수생 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에티닐에스트라다이올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에티닐에스트라디올 구조
에티닐에스트라디올 구조
에티닐에스트라디올 분자 모형
에티닐에스트라디올 분자 모형
상품명다수
약물닷컴에티닐에스트라디올
덜라인플러스a604032
ATC 코드G03CA01
L02AA03 (보조)
승인 상태허가됨
합법적 상태처방전 필요
투여 경로입으로 (정제)
경피 (패치)
질내 (고리)
약물 분류에스트로젠
약리학
생체 이용률38–48%
단백질 결합97–98% (알부민에 결합; 에 결합하지 않음)
대사 (주로 CYP3A4)
대사 물질에티닐에스트라디올 황산염
기타
배출 반감기7–36 시간
배설대변: 62%
소변: 38%
식별자
CAS 등록번호57-63-6
PubChem5991
IUPHAR 리간드7071
DrugBankDB00977
ChemSpider5770
UNII423D2T571U
KEGGD00554
ChEBI4903
ChEMBL691
속성
IUPAC 명명법(8R,9S,13S,14S,17R)-17-ethynyl-13-methyl-7,8,9,11,12,14,15,16-octahydro-6H-cyclopenta[a]phenanthrene-3,17-diol
분자식C20H24O2
SMILESOc1cc4c(cc1)[C@H]3CC[C@]2([C@@H](CC[C@]2(C#C)O)[C@@H]3CC4)C
표준 InChI1S/C20H24O2/c1-3-20(22)11-9-18-17-6-4-13-12-14(21)5-7-15(13)16(17)8-10-19(18,20)2/h1,5,7,12,16-18,21-22H,4,6,8-11H2,2H3/t16-,17-,18+,19+,20+/m1/s1
표준 InChIKeyBFPYWIDHMRZLRN-SLHNCBLASA-N
녹는점182–184°C
기타
다른 이름에티닐에스트라디올
에티닐 에스트라디올
에티닐 오에스트라디올
EE
EE2
17α-에티닐에스트라디올
17α-에티닐에스트라-1,3,5(10)-트리엔-3,17β-디올
NSC-10973

2. 의학적 용도

에티닐에스트라다이올(EE)은 다양한 의학적 용도로 사용된다.

EE는 고용량(0.15~3.0mg/일)으로 전립선암이나 폐경기 후 유방암 치료에, 저용량(0.02~0.05mg/일)으로 월경곤란증이나 피임 등에 사용된다.

EE 또는 단독 에스트로겐은 자궁 내막암의 위험 증가로 인해 자궁이 있는 여성에게는 금기이며, 프로게스토겐을 에스트로겐과 함께 투여하면 이러한 위험을 완화할 수 있다.[20]

2. 1. 피임

에티닐에스트라다이올(EE)은 복합 경구 피임약(COC)의 주성분으로, 피임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는 흔히 피임약으로 불리며, 성관계 후 임신을 예방한다. EE는 피임약 제형으로 임신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무월경, 월경 중 증상, 여드름 치료에도 사용될 수 있다.

2. 2. 갱년기 호르몬 요법

에티닐에스트라디올(EE)은 갱년기 호르몬 요법으로 사용된다.[14] 갱년기 여성에서 호르몬 대체 요법(HRT)을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열성 홍조, 야간 발한, 홍조와 같은 혈관 운동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서이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에스트로겐 대체 요법은 위약에 비해 이러한 증상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15] 질 건조(성관계 시 통증을 유발할 수 있음), 질 가려움증, 우울한 기분과 같은 다른 흔한 갱년기 증상도 HRT로 완화될 수 있다.

2. 3. 성선 기능 저하증 및 기타 용도

에티닐에스트라다이올(EE)은 여성의 성선 기능 저하증 치료와 골다공증 예방에 사용될 수 있다.[8][17] 남성의 전립선암과 여성의 유방암에 대한 완화 치료 목적으로도 사용되어 왔다.[8][17] 성범죄자성욕을 감소시키는 데에도 사용된 바 있다.[18][19]

EE는 트랜스젠더 여성을 위한 여성화 호르몬 요법의 구성 성분으로 사용되기도 했지만,[16] 현재는 이러한 목적으로는 잘 사용되지 않으며 권장되지도 않는다. 에스트라디올이 EE를 대체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16]

EE 또는 단독 에스트로겐은 자궁 내막암의 위험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자궁이 있는 여성에게는 금기이다. 하지만, 프로게스토겐을 에스트로겐과 함께 투여하면 이러한 위험을 완화할 수 있다.[20]

2. 4. 사용 가능한 형태

에티닐에스트라다이올(EE)은 프로게스틴과 함께 다양한 복합 경구 피임약(COC)으로 시판된다.[21] 또한, 프로게스틴과 함께 경피 투여 피임 패치 및 피임 질내 고리 형태로도 시판된다.[169] 갱년기 호르몬 요법에 사용되는 경구 정제에는 매우 낮은 용량(2.5 및 5 μg)의 EE와 프로게스틴을 함유한 단일 제제(상품명 FemHRT)가 있다.[169][14]

EE는 이전에 Estinyl 및 Lynoral과 같은 상품명으로 0.002, 0.01, 0.02, 0.025, 0.05, 0.1, 0.5 및 1.0 mg (2, 10, 20, 25, 50, 100, 500 및 1000 μg) 정제 형태로 단독으로 시판되었으나,[38][22][23][24][25] 현재는 대부분 단종되었다.

복합 경구 피임약(COC)의 EE 함량은 수년에 걸쳐 감소했다.[8] 과거에는 COC가 최대 100 μg/일의 고용량 EE를 함유했었다.[26] 50 μg 이상의 EE 용량은 고용량, 30 및 35 μg EE 용량은 저용량, 10~25 μg EE 용량은 매우 저용량으로 간주된다.[27] 오늘날 COC는 일반적으로 10~50 μg EE를 함유한다.[27] EE의 고용량은 정맥 혈전 색전증(VTE) 및 심혈관 문제의 높은 위험으로 인해 중단되었다.[26]

3. 금기 사항

에티닐에스트라디올(EE)은 특정 상황에서 부작용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이 금지된다. 특히 심혈관 질환 위험이 높은 경우 주의해야 한다.

고용량 경구 투여 시, EE 및 디에틸스틸베스트롤과 같은 합성 에스트로겐은 정맥 혈전 색전증(VTE), 심근 경색, 뇌졸중 등 심각한 심혈관 합병증 발생 위험을 높인다.[17][58][59] 디에틸스틸베스트롤은 전립선암 치료에 사용 시 최대 35%의 심혈관 독성 및 사망 위험, 15%의 VTE 발생률과 관련이 있다.[58][59] EE는 디에틸스틸베스트롤보다 심혈관 합병증 위험이 다소 낮지만, 여전히 주의가 필요하다.[8]

폴리에스트라디올 인산염 및 경피 투여 에스트라디올과 같은 비경구 에스트로겐은 심혈관 사망률 또는 혈전색전증 위험을 증가시키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EE 및 디에틸스틸베스트롤보다 안전한 대안으로 간주된다.[60][61][62] EE의 경구 투여형이지만 비경구 주사와 유사한 작용을 하는 장기 지속형 프로드럭인 에티닐에스트라디올 설포네이트(EES)도 심혈관 안전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8]

이러한 이유로 EE 및 디에틸스틸베스트롤과 같은 합성 에스트로겐은 폐경기 호르몬 요법에 더 이상 사용되지 않으며, 전립선암 치료에서도 비경구 제형으로 대체되고 있다.[8][59]

드로스피레논 복합제 단독 사용 시에도 혈전증으로 인한 치명적인 경과를 겪을 수 있다는 경고가 있다.

3. 1. 일반적인 금기 사항

동맥 또는 정맥 혈전증(혈전) 병력 또는 위험 요인이 있는 경우, 현재 유방암이 있는 여성(치료 목적 제외), 수유 중이며 산후 21일 미만인 여성, 담즙 정체성 간독성 병력이 있는 여성은 에티닐에스트라다이올(EE) 사용을 피해야 한다.[28][29][30][66]

다음은 구체적인 금기 사항이다.[28]

  • 심부 정맥 혈전증(DVT) 또는 폐색전증(PE) 병력이 있으며 항응고제를 투여받지 않는 경우
  • 급성 DVT/PE
  • 주요 수술로 인한 장기간의 부동
  • 혈관 질환을 동반한 진행된 당뇨병
  • 조짐 편두통
  • 고혈압 ≥160/100
  • 혈관 질환
  • 현재 및 허혈성 심장 질환 병력
  • 죽상 동맥 경화성 심혈관 질환의 여러 위험 요인 (예: 고령, 흡연, 당뇨병, 고혈압, 낮은 HDL, 높은 LDL 또는 높은 트리글리세리드 수치)
  • 만 35세 이상이고 하루 15개비 이상 흡연
  • 뇌혈관 사고 병력
  • 항인지질 항체가 양성(또는 불명)인 전신 루푸스 홍반
  • 합병된 판막성 심장 질환


산후 21일 이상인 수유 중인 여성의 EE 사용은 제공자와 상의하여 EE 사용의 장점, 단점 및 대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해야 한다.[31]

3. 2. 복합제 관련 금기 사항

에티닐에스트라디올(EE) 복합제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이 금지된다.[197][198][199][200][201][202][203][204]

금기 사항
제제 성분에 과민성 소인이 있는 여성
유방암, 자궁내막암 등 에스트로겐 의존성 악성 종양, 자궁경부암 및 그 의심이 있는 환자
진단이 확정되지 않은 이상 성기 출혈이 있는 환자
혈전성 정맥염, 폐색전증, 뇌혈관 질환, 관상동맥 질환 또는 그 병력이 있는 환자
35세 이상으로 하루 15개비 이상 흡연하는 사람
전조 (섬휘암점, 별 모양 섬광 등)를 동반하는 편두통 환자
폐고혈압 또는 심방세동을 합병하는 심장판막증 환자, 아급성 세균성 심내막염 병력이 있는 심장판막증 환자
당뇨병성 신증, 당뇨병성 망막증 등 혈관 병변을 동반하는 당뇨병 환자
혈전성 소인이 있는 여성
항인지질 항체 증후군 환자
수술 전 4주 이내, 수술 후 2주 이내, 산후 4주 이내 및 장기간 안정 상태의 환자
중대한 간 장애가 있는 환자
간 종양이 있는 환자
지질대사 이상이 있는 환자
고혈압이 있는 환자 (경미한 고혈압 환자 제외)
이경화증 환자 또는 이전 임신 중에 악화된 이경화증 병력이 있는 환자
임신 중에 황달, 지속성 소양증 또는 임신 포진 병력이 있는 환자
임산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
수유부
골 성장이 종료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
겸상 적혈구 빈혈이 있는 환자
두빈 존슨 증후군, 로터 증후군 환자
옴비타스비르·파리타프레비르·리토나비르 등의 특정 약물을 투여 중인 환자
중대한 신장애 또는 급성 신장애가 있는 환자



에티닐에스트라디올은 동맥 또는 정맥 혈전증(혈전)의 병력이 있거나 취약성이 있는 개인에게는 정맥 혈전 색전증 (VTE), 심근 경색 및 허혈성 뇌졸중과 같은 심혈관 문제의 위험이 증가하므로 피해야 한다.[28]

4. 부작용

에티닐에스트라디올(EE)의 부작용은 용량 및 투여 경로에 따라 다를 수 있다.[35] 일반적인 부작용으로는 유방 압통, 두통, 체액 저류(부종), 메스꺼움, 어지럼증, 체중 증가 등이 있으며, 이는 다른 에스트로겐의 부작용과 동일하다.[147][66]

경구 피임약의 에스트로겐 성분은 유방 압통 및 유방 비대를 유발할 수 있다.[38] 남성의 경우, EE는 여성형 유방증 (유방 발달), 전반적인 여성화, 성선 기능 저하증, 불임, 성 기능 장애 (예: 성욕 감소 및 발기 부전) 등의 부작용을 추가로 일으킬 수 있다.[36] 고용량(200 μg/day) 경구 EE를 3개월 이상 복용한 남성의 경우, 여성형 유방증은 98%, 성욕 감소는 42~73%에서 발생했다.[36]

주요 부작용은 다음과 같다:[198][199][200][201][202][203][204]

4. 1. 일반적인 부작용

에티닐에스트라디올(EE)의 부작용은 투여량과 투여 경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35] 일반적인 부작용으로는 유방 압통, 두통, 체액 저류(부종), 메스꺼움, 어지럼증, 체중 증가 등이 있다.[147][66] 경구 피임약의 에스트로겐 성분(대부분 EE)은 유방 압통 및 유방 비대를 유발할 수 있다.[38] 남성의 경우, EE는 여성형 유방증 (유방 발달), 전반적인 여성화, 성선 기능 저하증, 불임, 성 기능 장애 (예: 성욕 감소 및 발기 부전)과 같은 추가적인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36] 200 μg/day 경구 EE를 3개월 이상 고용량 에스트로겐 치료를 받은 남성의 경우, 여성형 유방증은 98%, 성욕 감소는 42~73%에서 발생했다.[36]

4. 2. 장기적인 영향

에티닐에스트라디올(EE) 함유 피임약은 다양한 질병의 위험성에 영향을 주는데, 유익한 효과와 부작용이 모두 나타난다.

Ethinylestradiol영어 함유 피임약의 유익한 효과와 부작용[37][38]
유익한 효과부작용
질병질병
철 결핍성 빈혈0.58심혈관 질환 (전체)1.5
월경과다0.52심근 경색증 (심장 마비) (전체)3.3
불규칙한 월경0.65심근 경색증 (비흡연자)1.0
월경 간 출혈0.72심근 경색증 (가벼운 흡연자)3.5
월경통0.37심근 경색증 (헤비 흡연자)20
골반 염증성 질환 (발생률)0.50뇌혈관 질환 (전체)1.4
골반 염증성 질환 (입원)0.22뇌혈전증 (뇌졸중)2.5
트리코모나스 질염0.56거미막하 출혈 (헤비 흡연자)10
양성 유방 질환0.69폐색전증3.0
섬유낭성 유방 질환0.66심부 정맥 혈전증2.5
양성 유방 섬유선종0.35담낭 질환3.0
류마티스 관절염0.49양성 간 종양50
자궁내막암0.40–0.50간세포 암종3.0
난소암 (발생률)0.37–0.64결절홍반3.0
난소암 (사망)0.20가려움증 (소양증)2.0
난포 낭종 (고용량 COCs)0.24광과민성 습진4.0
여드름0.44자극성 습진2.0
낮은 골밀도 (후년에)0.35a피부염 (습진)2.0
자궁외 임신0.19멜라닌 과다 침착증 (기미)1.5
자궁 경부염 (6년 사용 시)3.0
클라미디아 감염2.5
각주: a = 승산비.



EE 단일제는 항암제로 사용되는 반면, 복합제는 만성 질환 치료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사용되므로 금기 사항에 차이가 있다.[197][198][199][200][201][202][203][204]

EE는 정맥 혈전 색전증, 심근 경색(심장 마비), 뇌졸중과 같은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7][39][40] 특히 고용량 경구 복용 시 이러한 위험이 더 커진다.[17][58][59]

EE는 17α-알킬화된 안드로겐/아나볼릭 스테로이드와 유사하게 담즙 정체성 간독성을 유발할 수 있다.[63][64]

초기 경구 피임약에 사용된 고용량 EE는 자궁내막암 위험을 증가시켰으나, 현대의 저용량 복합 경구 피임약에서는 이러한 위험이 감소하였다.[73][74]

4. 2. 1. 혈전

정맥 혈전 색전증(VTE)은 혈전정맥에 생기는 질환으로, 심부 정맥 혈전증(DVT)과 폐색전증(PE)을 포함한다.[7][39][40] 에스트로겐은 에서 응고 인자 합성을 증가시켜 VTE 위험을 높인다.[7][39][40] 에티닐에스트라디올(EE)은 천연 에스트라디올보다 혈전 형성 및 VTE 위험이 더 높은데, 이는 두 화합물의 화학 구조 차이와 대사 비활성화에 대한 감수성 차이 때문으로 추정된다.[7]

2012년 메타 분석에 따르면, VTE 절대 위험은 비사용 시 10,000명당 2명, EE와 레보노르게스트렐 함유 피임약 사용 시 10,000명당 8명, EE와 3세대 또는 4세대 프로게스틴(데소게스트렐 또는 드로스피레논 등) 함유 피임약 사용 시 10,000명당 10~15명으로 추정된다.[41] 비교를 위해, VTE 절대 위험은 비사용 시 10,000명당 1~5명, 임신 시 10,000명당 5~20명, 산후 기간에는 10,000명당 40~65명이다.[41] 현대 복합 경구 피임약(COC)은 비사용 시보다 약 2~4배 높은 VTE 위험과 관련이 있다.[41] EE 투여 경로는 VTE 위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데, EE/프로게스틴 함유 피임 질 고리와 피임 패치는 COC와 동일하거나 더 높은 VTE 위험을 갖기 때문이다.[41][42] 임신은 VTE 위험을 약 4.3배 증가시킨다.[41] EE 함유 피임약으로 인해 미국에서 매년 최소 300~400명의 건강한 젊은 여성이 VTE로 사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43]

현대 COC는 10~35 μg EE를 함유하며, 보통 20, 30, 35 μg이다.[41][93] 1960년대 처음 도입된 COC 초기 제형은 100~150 μg EE를 함유했다.[44][34][93] 그러나 EE가 VTE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으며, 이 위험이 용량 의존적이라는 것이 밝혀졌다.[93] 이에 따라 EE 용량이 크게 감소했으며, 현재는 항상 50 μg 미만이다.[45][46][47] 이 낮은 용량은 피임 효과를 잃지 않으면서 VTE 위험을 상당히 감소시켰다.[93] Gerstman et al.(1991)은 50 μg 이상 EE 함유 COC가 50 μg 미만 COC보다 VTE 위험이 1.7배 높았고, 50 μg EE 함유 COC는 1.5배 높았다고 밝혔다.[32] 2014년 코크란 리뷰는 레보노르게스트렐 함유 50 μg EE COC가 레보노르게스트렐 함유 30 μg 또는 20 μg EE COC보다 각각 2.1~2.3배 높은 위험을 갖는다고 밝혔다.[41] 20 μg EE 함유 COC는 30 또는 40 μg EE 함유 COC보다 심혈관 사건 위험이 상당히 낮다.[48] 그러나 출혈 패턴의 문제적 변화로 인해 10~20 μg EE 용량에서 COC 중단이 더 흔하다.[49]

혈전증이 있는 여성은 EE 함유 피임법 사용 시 혈전증이 없는 여성보다 VTE 위험이 현저히 높다.[41][42] 이 경우, VTE 위험은 상태에 따라 비사용 시보다 5~50배 증가할 수 있다.[41][42]

성 호르몬 결합 글로불린(SHBG) 수치는 간의 에스트로겐 노출을 나타내며, 에스트로겐 요법에서 응고 및 VTE 위험의 대리 지표가 될 수 있지만, 이 주제에는 논란이 있다.[50][51][52] 다양한 프로게스틴 함유 피임약의 SHBG 수치는 레보노르게스트렐 1.5~2배, 데소게스트렐 및 게스토덴 2.5~4배, 드로스피레논 및 디에노게스트 3.5~4배, 시프로테론 아세테이트 4~5배 증가한다.[50] 피임 질 고리와 피임 패치는 각각 SHBG 수치를 2.5배 및 3.5배 증가시킨다.[50] 고용량 에티닐에스트라디올(>50 μg) 함유 피임약은 SHBG 수치를 5~10배 증가시키는데, 이는 임신 중 증가와 유사하다.[53] 반면, 에스트라디올 사용 시, 특히 비경구 사용 시 SHBG 수치 증가는 훨씬 낮다.[54][55][56][143][57] 고용량 비경구 폴리에스트라디올 인산염 요법은 SHBG 수치를 약 1.5배 증가시킨다.[143] 드로스피레논 복합제 단독 사용 시에만 혈전증으로 치명적인 경과를 겪을 수 있다는 경고가 기재되어 있다.

4. 2. 2. 심혈관 질환

에티닐에스트라디올(EE)은 에서 단백질 합성에 영향을 주어 응고 인자 생성을 증가시킨다. 이로 인해 정맥 혈전 색전증(VTE), 심근 경색(심장 마비), 뇌졸중 등 심혈관 질환 위험이 높아진다.[7][39][40] 특히, 고용량으로 경구 복용할 때 이러한 위험이 더 커진다.[17][58][59]

다음은 경구 피임약의 에티닐에스트라디올 함량에 따른 정맥 혈전 색전증(VTE) 발생 위험을 나타낸 표이다.[32][33][34]

경구 피임약의 에티닐에스트라디올 투여량과 정맥 혈전 색전증(VTE) 위험
에티닐에스트라디올 투여량VTE 사례 수여성-년VTE 발생률조정된 상대위험도a
저용량(50 μg 미만)53127,000여성 10,000명당 4.2건1.0
중간 용량(50 μg)6998,000여성 10,000명당 7.0건1.5
고용량(50 μg 초과)2020,000여성 10,000명당 10.0건1.7
전체142245,000여성 10,000명당 5.8건
주석: a = 저용량 사용 대비 (미사용 대비 아님). 참고: 노르에티스테론 또는 레보노르게스트렐과 같은 1세대 프로게스틴이 포함된 경구 피임약.



EE는 천연 에스트라디올보다 혈전 생성 및 VTE 위험이 더 높은데, 이는 에서의 대사 과정 차이 때문이다.[7] 1960년대 처음 출시된 경구 피임약에는 EE가 100~150 μg 함유되었으나, VTE 위험 증가가 밝혀지면서 현재는 50 μg 미만으로 감소되었다.[44][34][93]

전립선암 치료에 사용된 남성의 경우, 디에틸스틸베스트롤은 최대 35%의 심혈관 독성 및 사망 위험과 15%의 VTE 발생률을 보였다.[58][59] EE는 디에틸스틸베스트롤보다 심혈관 합병증 위험이 다소 낮지만, 여전히 단백질 합성에 불균형적인 영향을 미쳐 심혈관 독성을 유발할 수 있다.[8][7][59]

이러한 이유로, EE와 같은 합성 에스트로겐은 폐경기 호르몬 요법에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으며, 전립선암 치료에서도 폴리에스트라디올 인산염 및 경피 투여 에스트라디올과 같은 비경구 제형으로 대체되고 있다.[8][59]

4. 2. 3. 간 손상

에티닐에스트라다이올(EE)은 17α-알킬화된 안드로겐/아나볼릭 스테로이드 및 17α-에티닐화된 19-노르테스토스테론 프로게스틴과 유사하게 담즙 정체성 간독성과 관련이 있다.[63][64] 담즙 정체는 가려움증과 황달로 나타날 수 있다.[68] EE의 글루쿠론산 대사체는 ABCB11 (BSEP) 및 MRP2 (ABCC2) 단백질에 영향을 미쳐 담즙 흐름 및 담즙산 배설의 변화를 통해 담즙 정체를 유발하는 것으로 보인다.[65]

에스트라디올 글루쿠론산 대사체를 통해 매우 높은 농도의 에스트라디올도 담즙 정체와 관련이 있는데, 예를 들어 임신성 담즙 정체가 있다.[64] 그러나 담즙 정체성 간독성의 발생률과 심각성은 에스트라디올보다 EE에서 훨씬 더 큰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EE의 반응성 C17α 에티닐 치환 및 간 대사에 대한 현저히 감소된 민감성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66][67]

저용량 EE 함유 피임약을 복용하는 여성의 약 1%에서 비정상적인 간 기능 검사 (LFT)가 발견되지만, 50 μg/day 이상 함유 피임약을 복용하는 여성은 이 수치가 10% 이상으로 증가한다.[67][68] 50 μg/day EE 함유 피임약의 경우,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 (ALT) 수치는 50%, 헤마토크릿은 19%, 백혈구는 50% 증가하는 반면, 감마-글루타밀전이효소 (GGT)는 30% 감소한다. 그러나 값은 일반적으로 정상 범위 내에 머문다.[67] 비정상적인 LFT 외에도, 50 μg/day EE 피임약을 복용하는 여성의 절반에서 부분적인 간 기능 및 간 형태의 병리학적 변화가 관찰될 수 있다.[67]

EE 함유 피임약은 드문 양성 간 종양 위험이 25~50배 증가하고, 간세포암종 위험이 3~6배 증가하는 것과 관련이 있으며,[68][69][70] 다른 간 합병증의 위험도 더 크다.[71][72] 한때, EE 함유 피임약은 약물 관련 및 조직학적으로 확인된 모든 간 손상의 84%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67] 그러나 이러한 위험은 현재 35 μg/day 이하 함유하는 현대식 저용량 EE 함유 피임약으로 감소했다.[68][70]

4. 2. 4. 자궁암

초기 경구 피임약(COC)에 사용된 고용량의 에티닐에스트라다이올(EE)은 디메티스테론과 같은 프로게스토젠을 함유한 특정 제제에서 자궁내막암 위험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73] EE와 같은 단독 에스트로겐은 자궁내막에서 발암 효과를 가지며 프로게스토젠은 이러한 효과를 예방한다. 그러나 디메티스테론은 상대적으로 약한 프로게스토젠이어서 EE의 자궁내막 발암 효과를 적절하게 상쇄할 수 없었고, 그 결과 자궁내막암 위험이 증가했다.[73] 이후 디메티스테론을 함유한 COC는 단종되었고(더 강력한 프로게스토젠이 사용됨), COC의 EE 용량이 극적으로 감소하여 위험이 없어졌다.[73] 결과적으로, 현대 COC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자궁내막암 위험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74]

4. 3. 과다 복용

EE는 급성 과다 복용 시 비교적 안전하다.[197]

5. 상호 작용

EE는 CYP3A4, CYP2C9 등 특정 시토크롬 P450 효소에 의해 대사된다.[77] 따라서 페니토인, 프리미돈, 에토석시미드, 페노바르비탈, 카바마제핀과 같은 항경련제, 플루코나졸과 같은 아졸 항진균제, 리팜핀(리파마이신)과 같은 리파마이신 항생제효소 유도제는 EE의 순환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66] 반면, 트롤레안도마이신처럼 CYP3A4 및 기타 시토크롬 P450 효소를 억제하는 물질은 EE의 순환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66]

파라세타몰(아세트아미노펜)은 EE의 황산화를 경쟁적 억제하여, 1,000mg 사전 투여 시 여성의 EE AUC 수치를 22% 증가시키고 에티닐에스트라디올 설페이트의 AUC 수치를 감소시킨다.[66] 아스코르브산(비타민 C)과 EE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지만, 상호 작용의 유의성은 의심스럽다.[66]

흡연은 특정 시토크롬 P450 효소를 유도하여 에스트라디올의 2-수산화를 증가시키지만, EE와는 약동학적 상호 작용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66] 이는 에스트라디올과 EE가 서로 다른 시토크롬 P450 효소에 의해 대사됨을 시사한다.[66] 그러나 흡연은 EE 및 다른 에스트로겐과 마찬가지로 심혈관 합병증 위험을 증가시킨다.[66]

EE는 CYP1A2, CYP2B6, CYP2C9, CYP2C19, CYP3A4 등 여러 시토크롬 P450 효소를 억제하며, CYP2A6의 효소 유도제일 가능성이 있다.[78] 따라서 부프로피온, 카페인, 메페니토인, 미다졸람, 니코틴, 니페디핀, 오메프라졸, 프로프라놀롤, 프로구아닐, 셀레길린, 테오필린, 티자니딘 등 다른 약물의 대사 및 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78][66] 특히 EE는 CYP2B6 및 CYP2C19의 기질인 셀레길린의 수치를 크게 증가시킨다.[78] EE는 글루쿠론산화를 유도하고 황산화를 변화시켜, 클로피브레이트, 라모트리진, 로라제팜, 옥사제팜, 프로프라놀롤 등 글루쿠론산화되는 약물의 청소율을 증가시키고 농도를 감소시킨다.[78]

EE와 함께 사용되는 게스토덴, 데소게스트렐, 에토노게스트렐 등의 프로게스틴 또한 시토크롬 P450 효소를 억제하여 약물 상호 작용에 기여할 수 있다.[78] 이 프로게스틴들은 EE 자체의 대사를 억제하여 농도를 증가시키기도 한다.[66]

6. 약리학

에티닐에스트라다이올(EE)은 에스트로겐 수용체를 활성화하는 에스트로겐이며, 에스트라디올과 유사하게 G 단백질 연결 에스트로겐 수용체(GPER)에도 작용한다.[81][82][83][84] 에스트로겐은 ERα 활성화를 통해 항성선 자극 효과를 나타내며,[85] EE는 프로게스틴과 함께 작용하여 황체 형성 호르몬(LH)과 난포 자극 호르몬(FSH)의 급증을 억제하고 난포 형성을 억제하며 배란을 막아 임신 가능성을 낮추는 피임 효과를 가진다.[86][87]

EE는 핵 내 잔류 시간(약 24시간)이 긴 에스트로겐이다.[33] 경구 투여 시 초회 통과 대사에 대한 저항성이 커서 미세 에스트라디올 등 천연 에스트로겐보다 훨씬 강력하지만, 정맥 주사로 투여할 경우에는 EE와 천연 에스트로겐의 효능이 유사하다.[93][88][89][90]

에스트로겐 수용체 리간드의 ERα 및 ERβ에 대한 친화도
리간드기타 명칭상대적 결합 친화도 (RBA, %)a절대적 결합 친화도 (Ki, nM)a작용
ERαERβERαERβ
에스트라디올E2; 17β-에스트라디올1001000.04–0.240.10–2.08에스트로겐
에티닐에스트라디올EE; 17α-에티닐-17β-E268.8–4802.0–1440.02–0.050.29–0.81에스트로겐



EE는 여성과 남성 모두에게 강력한 기능성 항안드로겐 작용을 나타낸다.[212] 이는 간에서 성호르몬 결합 글로불린(SHBG) 생산을 촉진하여 혈중 테스토스테론 유리 농도를 낮추고, 뇌하수체에서 LH 분비를 억제하여 생식선 테스토스테론 생성을 낮추는 두 가지 기전으로 작용한다.[212][213][214][215] 경구 피임약에 포함된 EE는 여성의 SHBG 수치를 2~4배, 유리 테스토스테론 농도를 40~80% 낮추며,[214] 고용량 EE는 SHBG 수치를 5~10배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217] 남성의 경우, 20μg/일 EE 투여 시 SHBG 수치가 150% 상승하고 총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50% 상승했다.[213]

EE는 항생식선 자극 호르몬 작용을 통해 남성의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약 95%까지 억제할 수 있다.[219][220][221] 트랜스젠더 여성의 호르몬 요법에는 50~100μg/일의 EE가 필요하지만, 고용량은 심부정맥 혈전증 위험을 높인다.[222] 전립선암 치료에는 150μg/일~1000μg/일(0.15mg/일~1mg/일)의 EE가 사용된다.[188][223] EE는 저용량(15μg/일)에서도 남성의 LH 및 테스토스테론 수치 억제에 효과적이다.[222][188]

EE는 부신 안드로겐 생산을 억제하며, 100μg/일 투여 시 부신성 안드로겐 수치가 27~48% 억제된다.[188][233][234] 또한 간 단백질 합성에 영향을 미쳐 성호르몬 결합 글로불린(SHBG), 코르티코스테로이드 결합 글로불린(CBG), 티록신 결합 글로불린(TBG) 수치를 상승시킨다.[187][188] 5μg/일 EE는 일부 간 단백질에 영향을 미치며, 20μg/day 이상에서는 영향이 점차 작아진다.[188]

EE 5μg/일 투여 시 폐경기 여성의 SHBG 레벨은 100%, 20μg/일 투여 시 200% 상승하며, 안드로겐은 EE의 SHBG 상승 효과에 대항한다.[188] 10μg/일 EE는 CBG 레벨을 50%, 20μg/일 EE는 100% 증가시키고, 5μg/일 투여 시 TBG 레벨을 40%, 20μg/일 투여 시 60% 증가시킨다.[188]

300px


에티닐에스트라다이올(EE)의 경구 생체 이용률은 평균 45%이며, 개인차가 크다.[147][2] EE는 장과 에서 대사되어 에티닐에스트라디올 글루쿠론산염과 에티닐에스트라디올 황산염(EE 황산염)으로 변환된다.[7][2] EE는 CYP3A4에 의해 2-히드록시-EE로 변환되며, 에티닐화는 거의 비가역적이다.[147][7] EE의 제거 반감기는 다양하게 보고되었으며, EE는 시토크롬 P450 효소를 억제한다.[6][147][7] EE는 대변에서 62%, 소변에서 38% 제거된다.[147]

EE는 에스트라디올에 비해 간 단백질 합성에 더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7] EE는 17α-에티닐기 때문에 17β-HSD에 의한 산화가 방지되어 간과 자궁에서 더 강력한 에스트로겐 활성을 갖는다.[7][139][140]

에스트라디올과 에티닐에스트라디올 비교
매개변수에스트라디올에티닐에스트라디올
ER 친화도1 × 1010 M-12–5 × 1011 M-1
핵 보유6–8 시간24 시간
제거 반감기90분7시간
17β-HSD의 기질?아니오
SHBG 결합?아니오
상대적 경구 간 효능1~500–1,500
상대적 경구 뇌하수체 효능1200
출처:[143]


6. 1. 약력학

EE는 에스트라디올 및 접합 에스트로겐 (프레마린)과 같은 천연 에스트로겐, 디에틸스틸베스트롤과 같은 합성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에스트로겐이다. EE는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두 이소형인 ERα와 ERβ에 결합하여 활성화한다.[8] 한 연구에 따르면 EE는 ERα 및 ERβ에 대해 각각 에스트라디올의 233% 및 38%의 친화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79] 또 다른 연구에서는 EE가 ERα 및 ERβ에 대해 에스트라디올의 194% 및 151%의 친화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80] EE는 또한 에스트라디올과 유사하게 G 단백질 연결 에스트로겐 수용체 (GPER) (친화도 미상)의 강력한 작용제, 즉 막 에스트로겐 수용체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81][82][83][84] 에스트로겐은 ERα 활성화를 통해 항성선 자극 효과를 나타낸다.[85] EE는 피임제로 작용하여 프로게스틴과 함께 작용하여 항성선 자극 효과를 통해 황체 형성 호르몬 (LH)과 난포 자극 호르몬 (FSH)의 중간 주기 급증을 억제하여 난포 형성을 억제하고 배란을 방지하여 임신 가능성을 막는다.[86][87]

EE는 작용시간이 긴 에스트로겐으로 핵 내 잔류 시간이 약 24시간이다.[33]

경구 투여 시 EE는 미세 에스트라디올 및 접합 에스트로겐과 같은 천연 에스트로겐보다 체중 기준으로 약 100배 더 강력하며, 이는 초회 통과 대사에 대한 저항성이 훨씬 크기 때문이다.[88][89][90] 특히 전신 에스트로겐 효능 측면에서 미세 에스트라디올과 유사한 효능을 가진 에스트로피페이트 (피페라진 에스트론 설페이트)보다 80~200배 강력하다.[91][92] 반면, EE와 천연 에스트로겐은 초회 통과 대사를 거치지 않기 때문에 정맥 주사로 투여할 경우 효능이 유사하다.[93] 전구약물인 메스트라놀과 비교하여 EE는 경구 투여 시 체중 기준으로 약 1.7배 더 강력하다.[89]

에스트로겐 수용체 리간드의 ERα 및 ERβ에 대한 친화도
리간드기타 명칭상대적 결합 친화도 (RBA, %)a절대적 결합 친화도 (Ki, nM)a작용
ERαERβERαERβ
에스트라디올E2; 17β-에스트라디올1001000.04–0.240.10–2.08에스트로겐
에스트론E1; 17-케토에스트라디올0.7–601.36–520.3–1.010.35–9.24에스트로겐
에스트리올E3; 16α-OH-17β-E24.03–5614.0–44.60.35–1.40.63–0.7에스트로겐
에스테트롤E4; 15α,16α-Di-OH-17β-E24.03.04.919에스트로겐
에티닐에스트라디올EE; 17α-에티닐-17β-E268.8–4802.0–1440.02–0.050.29–0.81에스트로겐
메스트라놀EE 3-메틸 에테르?2.5??에스트로겐



EE는 여성과 남성 모두에게 강력한 기능성 항안드로겐 작용을 나타낸다.[212] EE의 항안드로겐 작용은 1) 에서 성호르몬 결합 글로불린(SHBG)의 생산을 촉진하여 혈중 테스토스테론의 유리 농도와 생리 활성 농도를 낮추고, 2) 뇌하수체로부터 황체 형성 호르몬(LH)의 분비를 억제하여 생식선에서 테스토스테론의 생성을 낮추는 것이다.[212][213][214][215] EE를 포함하는 경구 피임약은 항안드로겐 작용에 의해 여드름이나 다모증과 같은 안드로겐 의존성 질환의 치료에 유용하다.[212][216]

EE를 포함하는 경구 피임약은 여성의 순환 SHBG 수치를 2~4배 증가시키고, 유리 테스토스테론 농도를 40~80% 낮춘다.[214] 고용량의 EE를 포함하는 경구 피임약은 여성의 SHBG 수치를 5~10배까지 증가시킨다.[217] 이는 임신 중에 일어나는 SHBG 수치의 5~10배 증가와 유사하다.[217] SHBG 수치가 현저하게 증가하기 때문에, EE를 포함하는 경구 피임약 치료 중에는 유리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매우 낮아진다.[185] 남성의 경우, 비교적 저용량인 20μg/일의 EE를 5주간 투여했을 때, 순환 SHBG 수치가 150% 상승하고 이에 따른 유리 테스토스테론 수치의 감소로 순환 총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50% 상승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안드로겐에 의한 시상하부-뇌하수체-생식선 축에 대한 음성 피드백 감소로 인한 생식선 테스토스테론 생산의 상향 조절).[213] EE에 의한 간 SHBG 생산 촉진 작용은 에스트라디올 등 다른 에스트로겐에 비해 훨씬 강력하며, 이는 EE가 간에서의 비활성화에 대한 저항성이 높기 때문에 간에서의 작용이 불균형하기 때문이다.[187][185][218]

에스트로겐은 항생식선 자극 호르몬 작용을 가진 물질이며, 뇌하수체로부터 LH 및 FSH의 분비를 억제하여, 나아가 생식선의 테스토스테론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219][220] EE를 포함하는 고용량 에스트로겐 요법은 남성의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약 95%, 즉 거세/여성의 범위까지 억제할 수 있다.[219][220][221] 수술 전 트랜스젠더 여성의 트랜스젠더 호르몬 요법에 필요한 EE 투여량은 50μg/일~100μg/일이다.[222] 이 고용량은 특히 40세 이상에서는 심부정맥 혈전증(VTE)의 발생률이 높기 때문에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한다.[222] 남성의 전립선암 치료에 사용되는 EE 투여량은 150μg/일~1000μg/일(0.15mg/일~1mg/일)이다.[188][223] EE 투여량 50μg을 1일 2회(총 100μg/일) 투여하면, 남성의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3mg/일의 디에틸스틸베스트롤 경구 투여와 동등하게 억제할 수 있다.[224] 이는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거세역까지 안정적으로 억제하기 위해 필요한 디에틸스틸베스트롤의 최소 투여량이다. 여성에서 EE의 배란 억제량은 프로게스틴과 병용하지 않는 단독 투여 시 100μg/일이다.[225][226] 그러나 20μg/일의 투여량으로 약 75~90%, 50μg/일의 투여량으로 약 97~98%의 배란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227][228][229][230] 또한, 다른 시험에서는 50μg/일의 EE 용량으로 25.2%에서 배란이 발생했다.[231]

EE는 저용량에서도 항생식선 자극 호르몬 작용이 현저하다.[222] 15μg/일의 EE라는 "매우 낮은" 투여량은 남성의 LH 및 테스토스테론 수치 억제에 필요한 "경계선"의 양으로 여겨지며, 30μg/일의 EE 투여량으로 남성의 LH 및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확실히" 억제되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188] 그러나 다른 임상시험에서는 20μg/일의 EE로 남성의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50% 상승했고(전술), 32μg/일 및 42μg/일의 EE 투여량으로 남성의 FSH 수치가 억제되었지만, LH 수치에는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188] 남성의 경우, 에티닐에스트라디올 50μg과 노르게스트렐 0.5mg의 복합 경구 피임약을 9일간 연일 투여했을 때, 더 강력한 테스토스테론 수치 억제가 인정되었다.[188] 그러나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억제하는 성분으로는 프로게스틴이 더 중요하다는 것이 밝혀졌다.[188] 즉, 경구 피임약의 프로게스틴 성분은 여성의 배란을 억제하는 주요 역할을 담당한다고 생각된다.[188] 20μg/일의 EE와 10mg/일의 메틸테스토스테론의 조합은 남성의 FSH 분비를 정자 형성을 중지할 정도로 억제하는 데 충분하다.[188]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폐경기 여성에서 50μg/일의 EE가 LH 및 FSH 수치를 모두 약 70% 억제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232]

EE는 항생식선 자극 호르몬 작용 외에도 고농도에서는 부신에 의한 안드로겐 생산을 현저하게 억제한다.[188][233][234] 어떤 연구에서는 트랜스젠더 여성에게 100μg/일의 고용량 EE를 투여했을 때, 순환 혈액 중의 부신성 안드로겐 수치가 27~48% 억제되었다고 한다.[188][233][234] 이 사실로부터 에스트로겐에 의한 안드로겐 수치 억제의 증강에 EE가 기여한다고 생각된다.[188][233][234]

EE는 소량으로도 투여 경로에 관계없이 간에서의 단백질 합성에 현저한 영향을 미친다.[187][188] 이러한 효과는 에스트로겐 활성에 의해 발생한다.[187][188] EE는 투여량에 따라 성호르몬 결합 글로불린(SHBG), 코르티코스테로이드 결합 글로불린(CBG), 티록신 결합 글로불린(TBG)의 혈중 농도를 상승시키고, 기타 광범위한 간 단백질에도 영향을 미친다.[187][188] EE는 1μg/일의 저용량으로도 트리글리세리드 수치에 영향을 미치며, 2.5μg/일의 저용량으로 LDLHDL 콜레스테롤 수치에 영향을 미친다.[235] EE는 5μg/일의 저용량으로 일부 간 단백질에 영향을 미친다.[188] 20μg/day 이상의 투여량에서는 간의 단백질 합성에 대한 EE의 영향 증가분이 연속적으로 작아진다.[188]

EE를 5μg/일 투여했을 때, 폐경기 여성의 SHBG 레벨은 100% 상승하며, 20μg/일 투여했을 때는 200% 상승한다.[188] 안드로겐은 간에서의 SHBG 생성을 감소시키므로, EE의 SHBG 상승 효과에 대항하는 것으로 밝혀졌다.[188] 이 점은 경구 피임약에 사용되는 많은 프로게스틴이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약한 안드로겐 활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특히 관련성이 높다.[188] 20μg/일의 EE와 비교적 안드로겐 활성이 높은 프로게스틴인 0.25mg/일의 레보노르게스트렐의 조합은 SHBG 값을 50% 감소시키고, 30μg/일의 EE와 0.25mg/일의 레보노르게스트렐은 SHBG 값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30μg/일의 EE와 0.15mg/일의 레보노르게스트렐은 SHBG 값을 30% 상승시키고, EE와 레보노르게스트렐을 포함하는 삼상성 경구 피임약은 SHBG 값을 100~150% 상승시켰다.[188] 또한, 30μg/일의 EE와 레보노르게스트렐보다 안드로겐 작용이 비교적 약한 프로게스틴인 150μg/일의 데소게스트렐의 조합은 SHBG 값을 200% 상승시키고, 35μg/일의 EE와 강력한 항안드로겐 작용을 가진 프로게스틴인 2mg/일의 시프로테론 아세테이트의 조합은 SHBG 값을 400% 상승시켰다.[188] 이처럼 경구 피임약에 포함된 프로게스틴의 종류와 양은 SHBG 값에 대한 EE의 효과를 강력하게 조절한다.[188]

10μg/일의 EE는 CBG 레벨을 50% 증가시키고, 20μg/일의 EE는 100%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88] 프로게스테론 유도체인 프로게스틴은 CBG 값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19-노르테스토스테론 유도체와 같은 안드로겐성 프로게스틴은 CBG 값에 약한 영향만 미친다.[188] 경구 피임약은 CBG 레벨을 100~150% 증가시킬 수 있다.[188] EE는 5μg/일 투여 시 TBG 레벨을 40% 증가시키고, 20μg/일 투여 시 60%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188] 프로게스테론 유도체인 프로게스틴은 TBG 값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안드로겐 활성을 가진 프로게스틴은 TBG 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188] 중등도의 안드로겐 활성을 가진 프로게스틴인 노르에티스테론 1mg/일과 30μg/일의 EE의 조합은 TBG 값을 50~70% 증가시키고, 30μg/일의 EE와 150μg/일의 데소게스트렐의 조합은 TBG 값을 100%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188]

6. 2. 약동학

에티닐에스트라다이올(EE)의 경구 투여 생체 이용률은 평균 45%이며, 20%에서 74%까지 다양한데, 이는 개인 간 차이가 크기 때문이다.[147][2] EE의 경구 생체 이용률은 미분화 에스트라디올(5%)보다 훨씬 높다.[6][147]

350px


폐경기 여성에게 2 mg 노르에티스테론 아세테이트와 함께 20 μg의 EE를 한 번 투여하면, 약 1.5시간 안에 EE 농도가 평균 50 pg/mL로 최고치에 도달한다.[7] 첫 투여 후, EE의 평균 수치는 정상 상태 농도에 도달할 때까지 약 50% 증가하며, 정상 상태는 매일 투여 1주일 후에 나타난다.[7][144][8] 2 mg 미분화 에스트라디올 또는 에스트라디올 발레레이트로 얻은 에스트라디올의 평균 최고 수치는 첫 투여 후 40 pg/mL, 3주 투여 후 80 pg/mL이다.[7] 이는 에스트라디올에 비해 EE의 경구 효능이 약 100배 증가한 것과 일치한다.[88][7] 50 μg/일의 EE 투여량은 약 100~2,000 pg/mL의 넓은 범위의 순환 EE 수치를 보인다.[146][145] 고지방 식단과 함께 EE를 복용하면 최고 농도가 감소한다.[144][7]

정맥 주사로 50 μg 단일 투여 후의 EE 수치는 경구 투여로 50 mg 단일 투여 후의 EE 수치보다 몇 배 더 높다.[146]

EE의 약동학에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EE는 남성보다 여성에서 더 큰 경구 효능을 가질 수 있다.[8] 한 연구에서 여성과 남성에게 60 μg/일의 EE와 0.25 mg/일의 레보노르게스트렐을 함께 투여했을 때, EE의 최고 수치는 각각 495 pg/mL 및 251 pg/mL, 곡선 하 면적은 6.216 pg/mL/시간 및 2.850 pg/mL/시간, 제거 반감기는 16.5 시간 및 10.2 시간이었다.[8]

EE의 혈장 단백질 결합은 97~98%이며, 거의 대부분 알부민에 결합한다.[3][7][147][148] EE는 SHBG에 높은 친화도로 결합하지 않는다.[149]

장과 에서 첫 번째 통과 대사율이 높기 때문에, 경구 투여된 EE의 1%만이 EE 자체로 순환계에 나타난다.[7] 첫 번째 통과 대사 동안, EE는 글루쿠론산화와 황산화를 거쳐 에티닐에스트라디올 글루쿠론산염과 에티닐에스트라디올 황산염(EE 황산염)으로 변환되며, 순환계 내 EE 황산염의 수치는 EE보다 6~22배 높다.[7][2] EE는 C17α 에티닐기에 의한 입체 장애 때문에 17β-HSD에 의해 대사되거나 비활성화되지 않으며, 에스트라디올로 대사되지도 않는다.[140][7][150]

EE는 주로 CYP3A4에 의해 촉매되는 2-수산화를 통해 2-히드록시-EE로 변환된다.[147] C4, C6α, C16β 위치에서 수산화 반응도 보고되었지만, 대사에 기여하는 정도는 미미하다.[147] 2- 및 4-메톡시-EE는 2- 및 4-히드록시-EE의 카테콜 O-메틸트랜스퍼라제에 의한 변환을 통해 생성된다.[7] EE의 에티닐화는 거의 비가역적이므로, EE는 에스트라디올 에스테르와 달리 에스트라디올로 대사되지 않는다.[7]

EE의 제거 반감기는 다양하게 보고되었는데, 한 검토에서는 13.1~27.0시간,[6] 다른 검토에서는 10~20시간으로 보고했다.[147] 그러나 7시간[140]에서 36시간[5]까지 다른 출처에서도 보고되었다.

EE 수치는 최고점에 도달한 후 급격히 감소하는데, 이는 EE 황산염 저장고가 작기 때문으로 생각된다.[7][2] 장간 순환은 EE의 약동학에 관여하지만, 그 정도는 덜하다.[7][151] 경구 EE 투여 후 10~14시간에 EE 수치의 이차적인 최고점이 종종 관찰될 수 있다.[151]

EE는 시토크롬 P450 효소를 비가역적 억제하며, 이는 EE의 효능이 에스트라디올에 비해 증가하는 데 역할을 할 수 있다.[7] EE는 간 대사에 뚜렷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며, 이는 에스트라디올과 같은 천연 에스트로겐이 선호될 수 있는 이유 중 하나이다.[148] EE 함유 COC를 1년 동안 사용한 후 EE 수치가 2배 축적되는 것이 관찰되었다.[151]

EE는 대변에서 62%, 소변에서 38%가 제거된다.[147]

6. 3. 에스트라디올과의 차이점

에티닐에스트라디올(EE)은 에스트라디올에 비해 간 단백질 합성에 더 강력하고 불균형적인 영향을 미친다.[7] 자궁은 모두 17β-수산화스테로이드 탈수소효소(17β-HSD)를 발현하는데, 이 효소는 에스트라디올을 비활성화하고, 훨씬 덜 강력한 에스트로겐인 에스트론으로 전환시켜 에스트라디올의 효능을 억제한다.[7] 에스트라디올과 달리 EE는 17α-에티닐기 때문에 17β-HSD에 의한 산화가 방지되어, 이러한 조직에서 비활성화되지 않고 더 강력한 에스트로겐 활성을 갖는다.[7][139][140]

자궁 내막에서 EE는 17β-HSD에 의한 비활성화가 없기 때문에 에스트라디올보다 상대적으로 더 활성이 높다. 따라서 질 출혈 및 반점 발생률이 유의하게 낮아진다.[7] 이는 복합 에스트로겐 및 프로게스토겐 요법(예: 경구 피임약 또는 갱년기 호르몬 대체 요법)의 경우에 특히 해당되는데, 프로게스토겐이 자궁 내막에서 17β-HSD 발현을 유도하기 때문이다.[7] EE로 인한 질 출혈 및 반점 감소는 간 단백질 합성에 대한 부작용 및 정맥 혈전색전증(VTE) 발생률 증가에도 불구하고 EE가 에스트라디올 대신 경구 피임약에 사용되는 주요 이유 중 하나이다.[1]

EE는 투여 경로(경구, 경피, 질)에 관계없이 간 단백질 합성 및 VTE 위험에 불균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경구 경로를 사용해도 EE의 간 작용이 비례적으로 감소하지 않음을 의미한다.[139][8] 그러나 간 단백질 합성에 대한 EE의 효능은 비경구 투여 시 감소한다.[8] 10 μg/일 질 EE 용량은 간 SHBG 생산 자극과 같은 간 단백질 합성에 대한 영향 측면에서 50 μg 경구 EE와 동등한 것으로 나타났다.[8] 따라서 경구 EE보다 체중당 간 단백질 합성에 미치는 영향이 5배 낮다.[8] 경피 에스트라디올은 일반적인 갱년기 용량에서 간 단백질 합성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7]

에스트라디올과 에티닐에스트라디올 비교
매개변수에스트라디올에티닐에스트라디올
ER 친화도1 × 1010 M-12–5 × 1011 M-1
핵 보유6–8 시간24 시간
제거 반감기90분7시간
17β-HSD의 기질?아니오
SHBG 결합?아니오
상대적 경구 간 효능1~500–1,500
상대적 경구 뇌하수체 효능1200
출처:[143]


7. 화학

EE는 17α-에티닐에스트라다이올 또는 17α-에티닐에스트라-1,3,5(10)-트리엔-3,17β-디올이라고도 하며, 합성 에스트란 스테로이드의 일종으로 에스트라디올의 C17α 위치에 에티닐기가 치환된 화학 유도체이다.[164][166] 에스트라디올을 17α-에티닐화하여 EE를 생성하는 것은, 테스토스테론을 17α-에티닐화하여 에티스테론(17α-에티닐테스토스테론) 및 노르에티스테론(17α-에티닐-19-노르테스토스테론)과 같은 프로게스틴을 만들거나, 17α-알킬화된 안드로겐 및 아나볼릭 스테로이드인 메틸테스토스테론(17α-메틸테스토스테론)을 만드는 것과 유사하다.

8. 역사

EE는 1938년 베를린의 쉐링 AG 소속 한스 헤를로프 인호펜과 발터 호흘베그가 최초로 합성한 경구 활성 합성 에스트로겐이다.[152][153][154][155][156] 1943년 6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았으며, 쉐링에서 Estinyl이라는 브랜드명으로 판매되었다.[157] FDA는 2004년 6월 4일, 쉐링의 요청에 따라 Estinyl의 승인을 철회했다.[158]

EE는 근육 주사용으로는 도입된 적이 없다.[159]

EE는 1964년 메스트라놀을 대체하여 복합 경구 피임제(COCs)에 처음 사용되었으며, 그 직후 COCs에서 메스트라놀을 대체했다.[160] 초기 COCs에는 EE 40~100μg/일 또는 메스트라놀 50~150μg/일이 함유되어 있었다.[161][162]

9. 사회와 문화

에티닐에스트라다이올(EE)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판매되며,[163][166] 주로 프로게스틴과 함께 복합 제제 형태로 판매된다.[163] EE와 다른 호르몬을 함께 사용하는 복합 제제는 미국에서 흔히 사용되는 약물이다.[12]

9. 1. 일반명

''에티닐에스트라디올''은 이 약물의 영어 일반명(INN|국제 일반명영어, USAN|미국 채택명영어, BAN|영국 승인명영어, JAN|일본 승인명영어)이다.[163][164][165][166] ''에티닐에스트라디올'', ''에티닐로에스트라디올'', ''에티닐로에스트라디올''(모두 발음은 동일)로 표기되기도 하며, 후자는 한때 BAN|영국 승인명영어이었으나 변경되었다.[163][164][166] ''에티닐 에스트라디올''(및 그 변형)로 쓰이기도 하며, 이것이 USP|미국 약전영어 명칭이다.[163][166] 프랑스어 일반명 및 DCF|공통 프랑스어 명칭프랑스어은 ''에티닐에스트라디올'', 스페인어는 ''에티닐에스트라디올'', 이탈리아어 및 DCIT|공통 이탈리아어 명칭it은 ''에티닐에스트라디올로'', 라틴어는 ''에티닐에스트라디올룸''이다.[163][166]

이 약물의 이름은 의학 문헌에서 ''EE'' 또는 ''EE2''로 줄여 쓴다.

9. 2. 브랜드명

에티닐에스트라다이올(EE)은 단독 경구 약물로는 과거 ''Esteed'', ''Estinyl'', ''Feminone'', ''Lynoral'', ''Menolyn'', ''Novestrol'', ''Palonyl'', ''Spanestrin'', ''Ylestrol'' 등의 상품명으로 판매되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또는 전부 단종되었다.[167][168][166] 프로게스틴과의 복합 경구 피임약으로는 전 세계에서 매우 다양한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다.[163] 또한, 미국에서는 노렐게스트로민과 복합하여 피임 패치인 ''Ortho Evra'' 및 ''Xulane''으로, 에토노게스트렐과 복합하여 피임 질 내 링인 ''NuvaRing''으로, 노르에티스테론 아세테이트와 복합하여 폐경기 증상 치료를 위한 경구 호르몬 대체 요법제인 ''FemHRT''로 판매되고 있다.[169]

9. 3. 사용 현황

에티닐에스트라다이올(EE)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판매되고 있다.[163][166] 주로 프로게스틴과 함께 복합 제제 형태로 판매된다.[163]

EE와 다른 호르몬을 함께 사용하는 복합 제제는 미국에서 흔히 사용되는 약물이다.[12]

다음은 2022년 미국에서 EE를 포함하는 복합 제제의 처방 현황을 나타낸 표이다.[12]

} 건 || [13]

|-

| 노르게스테이트 || 99 || 건 || [170]

|-

| 레보노르게스트렐 || 128 || 건 || [171]

|-

| 드로스피레논 || 142 || 건 || [172]

|-

| 데소게스트렐 || 161 || 건 || [173]

|-

| 에토노게스트렐 || 194 || 건 || [174]

|-

| 노르게스트렐 || 264 || 건 || [175]

|-

| 드로스피레논 및 레보메폴산 || 285 || 500,000 건 || [176]

|-

| 에티노디올 || 294 || 400,000 건 || [177]

|}

10. 생태학적 영향

폐수에는 에티닐에스트라다이올(EE)을 포함하여 다양한 에스트로겐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폐수 처리 절차에 의해 완전히 분해되지 않는다.[75] 인공 에스트로겐이 담수 생태계로 유입되면 물고기양서류 개체군에 영향을 미친다. 7년 이상 EE에 만성적으로 노출된 결과, 캐나다 온타리오의 한 실험 호수 지역에서 쇠민물돔 개체군이 붕괴되었다.[75] EE는 암컷 물고기의 난자 형성을 변화시키고 수컷 물고기를 여성화하여 난황 형성 단백질인 비텔로게닌과 초기 단계의 난자를 생산하게 했다.[75] 양서류의 경우, EE에 노출되면 부화 성공률이 감소하고 생식선 발달이 변경될 수 있다.[76] 호르몬에 노출되면 개구리의 성염색체유전자암호화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생식선 발달이 변경될 수 있다.[76] 방울개구리에 대한 연구에서, EE에 실험적으로 노출된 개구리에서 노출되지 않은 개구리보다 더 많은 간성 올챙이가 발견되었고, 푸른개구리는 훨씬 낮은 부화 성공률을 보였다.[76]

참조

[1] 논문 An overview of the development of combined oral contraceptives containing estradiol: focus on estradiol valerate/dienogest 2012-05
[2] 논문 Bioavailability of orally administered sex steroids used in oral contraception and hormone replacement therapy 1996-08
[3] 서적 Drug Facts and Comparisons 2005: Pocket Version https://books.google[...] Facts and Comparisons
[4] 서적 USP DI 2003: Drug Information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https://books.google[...] Thomson Micromedex 2003-01-01
[5] 서적 Translational Toxicology: Defining a New Therapeutic Discipline https://books.google[...] Humana Press 2016-03-23
[6] 논문 Pharmacokinetics of ethinyl estradiol and mestranol 1990-12
[7] 논문 Pharmacology of estrogens and progestogens: influence of different routes of administration 2005-08
[8] 서적 Estrogens and Antiestrogens II: Pharmacology and Clinical Application of Estrogens and Antiestrogen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12-06
[9] 서적 Analogue-based Drug Discover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6
[10] 논문 Oral contraception 2015-05
[11] 서적 Contracep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12-06
[12] 웹사이트 The Top 300 of 2022 https://clincalc.com[...] 2024-08-30
[13] 웹사이트 Ethinyl Estradiol; Norethindrone Drug Usage Statistics, United States, 2013 - 2022 https://clincalc.com[...] 2024-08-30
[14] 논문 Effects of low-dose norethindrone acetate plus ethinyl estradiol (0.5 mg/2.5 microg) in women with postmenopausal symptoms: updated analysis of thre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2006-06
[15] 논문 The British Menopause Society & Women's Health Concern 2016 recommendations on hormone replacement therapy in menopausal women 2016-12
[16] 논문 Hormone therapy for transgender patients 2016-12
[17] 논문 The use of high-dose estrogens for the treatment of breast cancer 2017-01
[18] 논문 The World Federation of Societies of Biological Psychiatry (WFSBP) guidelines for the biological treatment of paraphilias 2010-06
[19] 논문 The control of deviant sexual behaviour by drugs. I. Behavioural changes following oestrogens and anti-androgens 1974-09
[20] 웹사이트 Menopausal Hormone Therapy and Cancer Risk https://www.cancer.o[...] American Cancer Society 2015-02-13
[21] 서적 Combined Estrogen-progestogen Contraceptives and Combined Estrogen-progestogen Menopausal Therapy https://books.google[...] World Health Organization
[22] 서적 Approved Drug Products with Therapeutic Evaluations https://books.google[...] DIANE Publishing 1995
[23] 서적 Approved Prescription Drug Products with Therapeutic Equivalence Evaluations https://books.google[...]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Public Health Servic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Bureau of Drugs 1980
[24] 서적 European Drug Index: European Drug Registrations, Fourth Edition https://books.google[...] CRC Press 1998-06-19
[25] 서적 Manual of Adult and Paediatric Medical Oncology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12-06
[26] 서적 Comprehensive Hypertension E-Book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07-06-28
[27] 서적 Koda-Kimble and Young's Applied Therapeutics: The Clinical Use of Drugs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2-02-01
[28] 간행물 U.S. Selected Practice Recommendations for Contraceptive Use, 2016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07-29
[29] 간행물 U.S. Selected Practice Recommendations for Contraceptive Use, 2016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07-29
[30] 간행물 U.S. Medical Eligibility Criteria for Contraceptive Use, 2016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07-29
[31] 간행물 U.S. Medical Eligibility Criteria for Contraceptive Use, 2016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07-29
[32] 논문 Oral contraceptive estrogen dose and the risk of deep venous thromboembolic disease 1991-01
[33] 서적 Gynäkologische Endokrinologie und Fortpflanzungsmedizin: Band 1: Gynäkologische Endokrinologie Springer-Verlag 2013-04-17
[34] 논문 Trends in the content and use of oral contraceptives in the United States, 1964-88 1991-01
[35] 논문 20 μg versus >20 μg estrogen combined oral contraceptives for contraception 2013-08
[36] 서적 Hormones and Atherosclerosis: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Held in Brighton, Utah, March 11-14, 1958 https://books.google[...] Elsevier Science 2013-10-22
[37] 서적 Estrogens and Antiestrogens II: Pharmacology and Clinical Application of Estrogens and Antiestrogen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12-06
[38] 서적 Principles and Practice of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39] 서적 Principles of Gender-Specific Medicine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09-10-29
[40] 서적 Pulmonary Embolism https://books.google[...] Wiley 2016-04-05
[41] 논문 Combined hormonal contraception and the risk of venous thromboembolism: a guideline 2017-01
[42] 논문 Hormonal contraceptives and venous thromboembolism: an epidemiological update 2013-02
[43] 논문 Systematic Review of Hormonal Contraception and Risk of Venous Thrombosis 2018-11
[44] 논문 Use of Hormone Replacement in Females with Endocrine Disorders 2017
[45] 서적 Principles and Practice of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46] 서적 Oral Contraceptives and Breast Cancer https://books.google[...] National Academies 1991-01-01
[47] 서적 Multigenerational Reproductive Toxicology Study of Ethinyl Estradiol (CAS No. 57636) in SpragueDawley Rats (Feed Studies) https://books.google[...] DIANE Publishing
[48] 논문 Hormonal contraception and thrombosis 2016-11
[49] 논문 20 μg versus >20 μg estrogen combined oral contraceptives for contraception 2013-08
[50] 논문 Can changes in sex hormone binding globulin predict the risk of venous thromboembolism with combined oral contraceptive pills? 2002-06
[51] 논문 Sex hormone-binding globulin as a marker for the thrombotic risk of hormonal contraceptives 2012-06
[52] 논문 Sex hormone-binding globulin: not a surrogate marker for venous thromboembolism in women using oral contraceptives 2008-09
[53] 서적 Male Hypogonadism: Basic, Clinical and Therapeutic Principles https://books.google[...] Humana Press 2017-04-25
[54] 논문 Clinical opinion: the biologic and pharmacologic principles of estrogen therapy for symptomatic menopause 2006-03
[55] 논문 Are all estrogens created equal? A review of oral vs. transdermal therapy 2012-02
[56] 논문 Single drug polyestradiol phosphate therapy in prostatic cancer
[57] 논문 Estrogen induction of liver proteins and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comparison between estradiol valerate and ethinyl estradiol 1986
[58] 논문 Diethylstilboestrol for the treatment of prostate cancer: past, present and future 2014-02
[59] 논문 Androgen Deprivation Therapy and the Re-emergence of Parenteral Estrogen in Prostate Cancer 2014
[60] 논문 Androgen Deprivation Therapy and the Re-emergence of Parenteral Estrogen in Prostate Cancer 2014
[61] 서적 Holland-Frei Cancer Medicine 8 https://books.google[...] PMPH-USA
[62] 논문 Estradiol for the mitigation of adverse effects of androgen deprivation therapy 2017-08
[63] 서적 Molecular Pathogenesis of Cholestasi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64] 서적 Diseases of the Gallbladder and Bile Ducts: Diagnosis and Treatment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8-04-15
[65] 서적 Endogenous Toxins: Diet, Genetics, Disease and Treatment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66] 서적 Meyler's Side Effects of Endocrine and Metabolic Drugs https://books.google[...] Elsevier 2009-02-21
[67] 논문 "[Ovulation inhibitors: the significance of estrogen dose]" 1990-12
[68] 서적 Estrogens and Antiestrogens II Springer Berlin Heidelberg 1999
[69] 서적 Hepatic Adenoma https://www.ncbi.nlm[...] StatPearls 2022-01
[70] 논문 Sex hormones and risk of liver tumor 2006-11
[71] 학술지 Hepatic complications of oral contraceptive pills and estrogen on MRI: Controversies and update - Adenoma and beyond 2019-07
[72] 학술지 Hepatic vascular involvement related to pregnancy, oral contraceptives, and estrogen replacement therapy 2008-08
[73] 서적 Pathology of the Female Genital Tract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11-11
[74] 서적 Endometrial Cancer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12-06
[75] 학술지 Collapse of a fish population after exposure to a synthetic estrogen 2007-05
[76] 학술지 Effects of the synthetic estrogen ethinylestradiol on early life stages of mink frogs and green frogs in the wild and in situ 2005-08
[77] 학술지 The involvement of CYP3A4 and CYP2C9 in the metabolism of 17 alpha-ethinylestradiol 2004-11
[78] 학술지 Pharmacokinetic drug interactions involving 17alpha-ethinylestradiol: a new look at an old drug 2007
[79] 학술지 Evaluation of ligand selectivity using reporter cell lines stably expressing estrogen receptor alpha or beta 2006-05
[80] 학술지 Exploration of dimensions of estrogen potency: parsing ligand binding and coactivator binding affinities 2011-04
[81] 학술지 International Union of Basic and Clinical Pharmacology. XCVII. G Protein-Coupled Estrogen Receptor and Its Pharmacologic Modulators 2015-07
[82] 학술지 GPR30, but not estrogen receptor-alpha, is crucial in the treatment of 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by oral ethinyl estradiol 2010-04
[83] 학술지 The G-protein-coupled estrogen receptor GPER in health and disease 2011-08
[84] 학술지 Estrogen biology: new insights into GPER function and clinical opportunities 2014-05
[85] 학술지 Delayed puberty and estrogen resistance in a woman with estrogen receptor α variant 2013-07
[86] 서적 Modern Pharmacology with Clinical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87] 서적 Polycystic Ovary Syndrome https://books.google[...] Anshan
[88] 서적 Gynecology: a practical approach https://books.google[...] Williams & Wilkins
[89] 서적 The Handbook of Contraception: A Guide for Practical Management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7-11-07
[90] 서적 Sexual Behavior: Problems and Management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11-21
[91] 서적 Cancer Chemotherapy and Biotherapy: Principles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Lippincott-Raven Publishers
[92] 학술지 Comparison of pharmacodynamic properties of various estrogen formulations 1982-11
[93] 서적 Clinical Reproductive Medicine and Surgery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94] 학술지 Clinical use of oestrogens and progestogens 1990-09
[95] 학술지 '[Estrogen thearpy in practice. 3. Estrogen preparations and combination preparations]' 1977-06
[96] 서적 Östrogene in Diagnostik und Therapie https://books.google[...] Springer-Verlag 2013-03-12
[97] 서적 Praktische Hormontherapie in der Gynäkologie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12-01-01
[98] 서적 Lehrbuch der Gynäkologie https://books.google[...] Springer-Verlag 2013-04-17
[99] 서적 Ovarian Function and its Disorders: Diagnosis and Therapy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981
[100] 서적 Praktische Gynäkologie: für Studierende und Ärzte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1968
[101] 학술지 The female climacteric syndrome: significance, problems, treatment 1976-01
[102] 학술지 The Female Climacteric Syndrome: Significance, Problems, Treatment
[103] 서적 Hormonelle Therapie für die Frau
[104] 학술지 Hormonal Therapy of Prostatic Cancer 1980-04
[105] 학술지 Hormonal Treatment of Transgender Women with Oral Estradiol 2018
[106] 논문 Natural and synthetic oestrogenic substances; their relative effectiveness when administered orally
[107] 논문 The effectiveness of natural and synthetic oestrogenic substances in women 1951
[108] 논문 Ueber blutungen in der menopause: Speziell der klinischen bedeutung eines endometriums mit zeichen hormonaler beeinflussung: Part I
[109] 서적 Klinische Pharmakologie: Arzneitherapie https://books.google[...] Springer-Verlag 2013-03-11
[110] 서적 Ovulation: Stimulation, Suppression, and Detection https://books.google[...] Lippincott
[111] 서적 Chemical and Biological Aspects of Steroid Conjugation
[112] 논문 Suppression of ovulation by trip-anisyl chloroethylene (TACE) https://journals.lww[...] 1956-10
[113] 논문 Plasma testosterone: an accurate monitor of hormone treatment in prostatic cancer 1973-12
[114] 논문 Hirsutism, What to do? https://www.research[...]
[115] 서적 Testosterone: Action, Deficiency, Substitu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7-26
[116] 논문 Preclinical characterization of a novel diphenyl benzamide selective ERα agonist for hormone therapy in prostate cancer 2012-03
[117] 논문 Hormonal contraceptives for acne management 2008-01
[118] 논문 The effect of combined oral contraception on testosterone levels in healthy wome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null 2014
[119] 논문 The effect of hormonal contraceptive therapy on clinical laboratory parameters: a literature review null 2024-01
[120] 서적 Male Hypogonadism: Basic, Clinical and Therapeutic Principles https://books.google[...] Humana Press 2017-04-25
[121] 논문 Nomegestrol acetate/estradiol: in oral contraception 2012-10
[122] 논문 Treatment of advanced prostatic cancer with parenteral cyproterone acetate: a phase III randomised trial 1980-06
[123] 논문 Clinical pharmacology of polyestradiol phosphate
[124] 논문 Suppression of plasma androgen levels with a combination therapy of depot-estrogen (Turisteron) and Dexamethasone in patients with prostatic cancer
[125] 서적 Endocrinology - E-Book: Adult and Pediatric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0-05-18
[126] 서적 Textbook of Prostate Cancer: Pathology, Diagnosis and Treatment: Pathology, Diagnosis and Treatment https://books.google[...] CRC Press 1999-03-01
[127] 논문 Hormonal Therapy of Prostatic Cancer 1980-04
[128] 논문 Oral contraceptives: therapeutics versus adverse reactions, with an outlook for the future I 1973-02
[129] 서적 Klinische Pharmakologie: Arzneitherapie https://books.google[...] Springer-Verlag 2013-03-11
[130] 서적 Reviews of Physiology Biochemistry and Experimental Pharmacology, Volume 67
[131] 논문 Pharmacodynamics of combined estrogen-progestin oral contraceptives 3. Inhibition of ovulation 2018-11
[132] 서적 Ovulation: Stimulation, Suppression, and Detection https://books.google[...] Lippincott
[133] 서적 Chemical and Biological Aspects of Steroid Conjugation
[134] 논문 Comparative studies of the ethynyl estrogens used in oral contraceptives. II. Antiovulatory potency 1975-07
[135] 논문 Comparison of pharmacodynamic properties of various estrogen formulations 1982-11
[136] 서적 Adrenal Disorder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1-04-20
[137] 논문 Effects of gonadal androgens and oestrogens on adrenal androgen levels 1995-10
[138] 논문 "[Oral combined contraception: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ethinyl-estradiol and estradiol?]" 2012-02
[139] 서적 Treatment of the Postmenopausal Woman: Basic and Clinical Aspects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07-06-05
[140] 서적 The Climacteric in Perspective
[141] 서적 Contraceptio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1-02-10
[142] 논문 Metabolic effects of contraceptive steroids 2011-06
[143] 논문 Estrogen therapy and liver function--metabolic effects of oral and parenteral administration
[144] 논문 The effect of food on the bioavailability of norethindrone and ethinyl estradiol from norethindrone acetate/ethinyl estradiol tablets intended for continuous hormone replacement therapy 2003-01
[145] 서적 Migrain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46] 논문 Clinical pharmacokinetics of oral contraceptive steroids 1983
[147] 논문 Ethinyl estradiol and 17β-estradiol in combined oral contraceptives: pharmacokinetics, pharmacodynamics and risk assessment 2013-06
[148] 서적 The Climacteric in Perspective: Proceedings of the Fourth International Congress on the Menopause, held at Lake Buena Vista, Florida, October 28–November 2, 1984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12-06
[149] 논문 Transport of steroid hormones: interaction of 70 drugs with testosterone-binding globulin and corticosteroid-binding globulin in human plasma 1981-07
[150] 논문 Sex hormone replacement therapy for individuals with Turner syndrome 2019-03
[151] 논문 Pharmaco- and toxicokinetics of selected exogenous and endogenous estrogens: a review of the data and identification of knowledge gaps 2014-09
[152] 논문 Neue per os-wirksame weibliche Keimdrüsenhormon-Derivate: 17-Aethinyl-oestradiol und Pregnen-in-on-3-ol-17 (New female glandular derivatives active per os: 17α-ethynyl-estradiol and pregnen-in-on-3-ol-17)
[153] 서적 The Hormone Quest Random House
[154] 논문 The contraceptive progestagens 1970-12
[155] 서적 Drug discovery: a history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156] 논문 Chemical birth of the pill. 1992 2006-01
[157] 웹사이트 Approval history: Estinyl (ethinyl estradiol) NDA 005292 http://www.accessdat[...]
[158] 논문 Schering Corp. et al.; Withdrawal of Approval of 92 New Drug Applications and 49 Abbreviated New Drug Applications. Notice http://edocket.acces[...] 2004-05-05
[159] 논문 A survey of estrogens 1956-09
[160] 서적 Hormonal Regulation of the Menstrual Cycle: The Evolution of Concept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11-11
[161] 서적 Gynecology
[162] 서적 Die Gestagene
[163] 웹사이트 Ethinylestradiol - Drugs.com https://www.drugs.co[...]
[164] 서적 The Dictionary of Drugs: Chemical Data: Chemical Data, Structures and Bibliographie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4-11-14
[165] 서적 Concise Dictionary of Pharmacological Agents: Properties and Synonym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12-06
[166] 서적 Index Nominum 2000: International Drug Director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00-01
[167] 서적 AMA drug evaluations https://books.google[...] Publishing Sciences Group 1977-02-01
[168] 서적 American Hospital Formulary Service: A Two-volume Collection of Drug Monographs and Other Information https://books.google[...] American Society of Hospital Pharmacists
[169] 웹사이트 Drugs@FDA: FDA Approved Drug Products http://www.accessdat[...]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16-12-22
[170] 웹사이트 Ethinyl Estradiol; Norgestimate Drug Usage Statistics, United States, 2013 - 2022 https://clincalc.com[...] 2024-08-30
[171] 웹사이트 Ethinyl Estradiol; Levonorgestrel Drug Usage Statistics, United States, 2013 - 2022 https://clincalc.com[...] 2024-08-30
[172] 웹사이트 Drospirenone; Ethinyl Estradiol Drug Usage Statistics, United States, 2013 - 2022 https://clincalc.com[...] 2024-08-30
[173] 웹사이트 Desogestrel; Ethinyl Estradiol Drug Usage Statistics, United States, 2013 - 2022 https://clincalc.com[...] 2024-08-30
[174] 웹사이트 Ethinyl Estradiol ; Etonogestrel Drug Usage Statistics, United States, 2013 - 2022 https://clincalc.com[...] 2024-08-30
[175] 웹사이트 Ethinyl Estradiol ; Norgestrel Drug Usage Statistics, United States, 2013 - 2022 https://clincalc.com[...] 2024-08-30
[176] 웹사이트 Drospirenone; Ethinyl Estradiol; Levomefolate Drug Usage Statistics, United States, 2013 - 2022 https://clincalc.com[...] 2024-08-30
[177] 웹사이트 Ethinyl Estradiol; Ethynodiol Drug Usage Statistics, United States, 2013 - 2022 https://clincalc.com[...] 2024-08-30
[178] 서적 The Dictionary of Drugs: Chemical Data: Chemical Data, Structures and Bibliographie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4-11-14
[179] 논문 An overview of the development of combined oral contraceptives containing estradiol: focus on estradiol valerate/dienogest
[180] 논문 Bioavailability of orally administered sex steroids used in oral contraception and hormone replacement therapy 1996-08
[181] 서적 Drug Facts and Comparisons 2005: Pocket Version https://books.google[...] Facts and Comparisons
[182] 서적 USP DI 2003: Drug Information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https://books.google[...] Thomson Micromedex 2003-01-01
[183] 서적 Translational Toxicology: Defining a New Therapeutic Discipline https://books.google[...] Humana Press 2016-03-23
[184] 논문 Pharmacokinetics of ethinyl estradiol and mestranol
[185] 논문 Ethinyl estradiol and 17β-estradiol in combined oral contraceptives: pharmacokinetics, pharmacodynamics and risk assessment
[186] 서적 The Climacteric in Perspective
[187] 논문 Pharmacology of estrogens and progestogens: influence of different routes of administration http://hormonebalanc[...]
[188] 서적 Estrogens and Antiestrogens II: Pharmacology and Clinical Application of Estrogens and Antiestrogen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12-06
[189] 웹사이트 Drugs@FDA: FDA Approved Drug Products http://www.accessdat[...] United Stat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6-12-22
[190] 서적 Analogue-based Drug Discover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6
[191] 서적 Hormonal Regulation of the Menstrual Cycle: The Evolution of Concept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11-11
[192] 논문 Oral contraception
[193] 서적 Contracep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12-06
[194] 논문 The British Menopause Society & Women's Health Concern 2016 recommendations on hormone replacement therapy in menopausal women 2016
[195] 논문 The use of high-dose estrogens for the treatment of breast cancer 2017-01
[196] 웹사이트 Menopausal Hormone Therapy and Cancer Risk https://www.cancer.o[...] American Cancer Society 2015-02-13
[197] 문서 抗癌剤は致命的疾患からの延命を目的とするので、ある程度のリスクは許容されるが、QOL向上を目的とする場合は、小さなリスクでも許容され難い。
[198] 웹사이트 ヤーズフレックス配合錠 添付文書 https://www.info.pmd[...] 2021-09-14
[199] 웹사이트 プロセキソール錠0.5mg 添付文書 https://www.info.pmd[...] 2021-09-14
[200] 웹사이트 アンジュ21錠/アンジュ28錠 添付文書 https://www.info.pmd[...] 2021-09-14
[201] 웹사이트 ジェミーナ配合錠 添付文書 https://www.info.pmd[...] 2021-09-14
[202] 웹사이트 プラノバール配合錠 添付文書 https://www.info.pmd[...] 2021-09-14
[203] 웹사이트 マーベロン21/マーベロン28 添付文書 https://www.info.pmd[...] 2021-09-14
[204] 웹사이트 ルナベル配合錠LD/ルナベル配合錠ULD 添付文書 https://www.info.pmd[...] 2021-09-14
[205] 문서 ノルエチステロン合剤のみ
[206] 논문 20 µg versus 20 µg estrogen combined oral contraceptives for contraception. 2013-08-01
[207] 논문 Ethinyl estradiol and 17β-estradiol in combined oral contraceptives: pharmacokinetics, pharmacodynamics and risk assessment
[208] 서적 Meyler's Side Effects of Endocrine and Metabolic Drugs https://books.google[...] Elsevier 2009-02-21
[209] 서적 Principles and Practice of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10] 서적 Hormones and Atherosclerosis: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Held in Brighton, Utah, March 11-14, 1958 https://books.google[...] Elsevier Science 2013-10-22
[211] 논문 Plasma testosterone: an accurate monitor of hormone treatment in prostatic cancer 1973-12
[212] 논문 Hirsutism, What to do? https://www.research[...]
[213] 서적 Testosterone: Action, Deficiency, Substitu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7-26
[214] 서적 Combined Estrogen-progestogen Contraceptives and Combined Estrogen-progestogen Menopausal Therapy https://books.google[...] World Health Organization
[215] 논문 Preclinical characterization of a novel diphenyl benzamide selective ERα agonist for hormone therapy in prostate cancer
[216] 논문 Hormonal contraceptives for acne management
[217] 서적 Male Hypogonadism: Basic, Clinical and Therapeutic Principles https://books.google[...] Humana Press 2017-04-25
[218] 논문 Nomegestrol acetate/estradiol: in oral contraception
[219] 논문 Treatment of advanced prostatic cancer with parenteral cyproterone acetate: a phase III randomised trial
[220] 논문 Clinical pharmacology of polyestradiol phosphate
[221] 논문 Suppression of plasma androgen levels with a combination therapy of depot-estrogen (Turisteron) and Dexamethasone in patients with prostatic cancer
[222] 서적 Endocrinology - E-Book: Adult and Pediatric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0-05-18
[223] 서적 Textbook of Prostate Cancer: Pathology, Diagnosis and Treatment: Pathology, Diagnosis and Treatment https://books.google[...] CRC Press 1999-03-01
[224] 논문 Hormonal Therapy of Prostatic Cancer 1980-04
[225] 논문 Oral contraceptives: therapeutics versus adverse reactions, with an outlook for the future I 1973-02
[226] 서적 Klinische Pharmakologie: Arzneitherapie https://books.google[...] Springer-Verlag 2013-03-11
[227] 서적 Reviews of Physiology Biochemistry and Experimental Pharmacology, Volume 67
[228] 논문 Pharmacodynamics of combined estrogen-progestin oral contraceptives 3. Inhibition of ovulation
[229] 서적 Ovulation: Stimulation, Suppression, and Detection https://books.google[...] Lippincott
[230] 서적 Chemical and Biological Aspects of Steroid Conjugation
[231] 논문 Comparative studies of the ethynyl estrogens used in oral contraceptives. II. Antiovulatory potency 1975-07
[232] 논문 Comparison of pharmacodynamic properties of various estrogen formulations 1982-11
[233] 서적 Adrenal Disorder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1-04-20
[234] 논문 Effects of gonadal androgens and oestrogens on adrenal androgen levels 1995-10
[235] 논문 Contraception orale estro-progestative: quelle différence entre éthinylestradiol et estradiol? 2012-02
[236] 논문 The involvement of CYP3A4 and CYP2C9 in the metabolism of 17 alpha-ethinylestradiol 2004-11
[237] 논문 Pharmacokinetic drug interactions involving 17alpha-ethinylestradiol: a new look at an old drug 2007
[238] 논문 Collapse of a fish population after exposure to a synthetic estrogen 2007-05-22
[239] 논문 Effects of the synthetic estrogen ethinylestradiol on early life stages of mink frogs and green frogs in the wild and in situ 2005
[240] 논문 An overview of the development of combined oral contraceptives containing estradiol: focus on estradiol valerate/dienogest 2012-05
[241] 논문 Bioavailability of orally administered sex steroids used in oral contraception and hormone replacement therapy 1996-08
[242] 서적 Drug Facts and Comparisons 2005: Pocket Version https://books.google[...] Facts and Comparisons
[243] 서적 USP DI 2003: Drug Information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https://books.google[...] Thomson Micromedex 2003-01-01
[244] 서적 Translational Toxicology: Defining a New Therapeutic Discipline https://books.google[...] Humana Press 2016-03-23
[245] 논문 Pharmacokinetics of ethinyl estradiol and mestranol 1990-12
[246] 논문 Ethinyl estradiol and 17β-estradiol in combined oral contraceptives: pharmacokinetics, pharmacodynamics and risk assessment 2013-06
[247] 서적 The Climacteric in Perspective
[248] 논문 Pharmacology of estrogens and progestogens: influence of different routes of administration 2005-08
[249] 서적 Estrogens and Antiestrogens II: Pharmacology and Clinical Application of Estrogens and Antiestrogen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12-06
[250] 웹인용 Drugs@FDA: FDA Approved Drug Products http://www.accessdat[...] United Stat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6-1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2022년 에티닐에스트라디올을 포함하는 복합 제제
다른 성분순위총 처방 건수추가 출처
노르에티스테론 또는 노르에티스테론 아세테이트80{{cvt|8|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