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 (철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氣)는 동아시아 철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자연 현상, 인체의 생명력, 우주의 근본 원리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주나라 시대에는 제사 의식에 사용되었으며, 진나라 시대에는 통일된 본체론적 개념으로 발전했다. 한나라 시대에는 기일원론이 등장하여 우주 만물이 기를 바탕으로 생겨난다고 보았다.

중국 철학에서 기는 호흡, 생명력, 우주적인 음양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묵자, 맹자, 장자, 순자 등 다양한 철학자들에 의해 논의되었다. 한국 철학에서도 기는 만물의 근원, 인체의 생명 활동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한의학, 무술, 풍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현대에는 기의 개념이 과학적으로 증명되지 않아 논란이 있으며, 다양한 해석과 활용으로 인해 혼란이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의료 분야에서 기의 개념은 서양 의학과 조화되기 어렵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2. 역사적 배경

기(氣)는 동아시아 철학, 특히 중국 철학에서 발전한 핵심 개념이다. 초기에는 자연 현상이나 생명력과 관련된 막연한 의미로 사용되었으나, 점차 만물의 근원과 변화를 설명하는 중요한 철학적 개념으로 체계화되었다. 이러한 기 개념은 한국 철학을 비롯한 동아시아 여러 지역의 사상 체계에 깊은 영향을 미쳤으며, 각 문화권에서 독자적인 방식으로 이해되고 발전하였다.

2. 1. 중국 철학에서의 기 개념

주(周) 시대에는 기(氣)를 하나의 독자적인 철학 개념으로 명확히 정의한 기록을 찾기 어렵다. 기는 주로 제물을 바치는 의식과 관련된 맥락에서 사용되었으며, 이는 자연의 기운이나 만물의 근원적 작용을 하는 힘 정도의 의미로 이해되었다.

진(秦) 시대의 사상을 담은 문헌인 『관자』에서는 기를 보다 체계화하여 통일된 본체론적 개념으로 제시한다. 『관자』는 기가 만물 생성의 근원이자 생명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속성을 지닌다고 보았다. 또한 기는 물질적 특성을 가지면서도 매우 정미(精微)하며, 그 끊임없는 변화 자체가 만물을 생성하는 창조 능력이라고 설명했다. 이러한 기 개념은 선진(先秦) 시대 여러 제자백가들의 탐구를 통해 점차 구체화되었으며, 진한(秦漢) 시기에 이르면 원기(元氣)라는 개념이 등장하여 기를 만물의 궁극적인 시원이자 본원으로 여기는 사상이 확립되기 시작했다.

한(漢)대에 편찬된 『회남자』와 『여씨춘추』는 기를 중심으로 우주와 인간을 설명하는 이론을 더욱 발전시켰다. 이들 문헌에서는 인간을 포함한 우주 만물이 모두 기를 바탕으로 생겨난다고 보았다. 즉, 기는 자연과 인간을 연결하는 고리이며, 만물은 기를 통해 동질성을 지니고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은 자연과 인간의 합일을 추구하는 우주론으로 이어졌으며, 만물의 근원을 기 하나로 설명하는 기일원론(氣一元論)은 한대 사상의 중요한 기초가 되었다. 『회남자』는 더 나아가 도(道)에서 우주가, 우주에서 기가 생성되었으며, 맑고 가벼운 양(陽)의 기는 하늘을, 무겁고 탁한 음(陰)의 기는 땅을 형성하고, 음양의 조화를 통해 사계절과 만물이 생겨났다는 체계적인 우주 생성론을 제시하기도 했다.

한대의 대표적인 유교 학자 동중서(董仲舒)는 음양(陰陽)과 오행(五行) 사상을 기 개념과 결합하여 기일원론을 더욱 정교화했다. 그는 세계가 음양오행의 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오행은 단순히 다섯 가지 물질적 요소가 아니라 세계를 구성하는 다섯 가지 근본적인 힘 또는 속성이라고 보았다. 모든 사물은 음과 양의 양면성을 지니며, 이 둘의 조화가 이상적인 상태라고 설명했다. 동중서의 이러한 기 사상은 자연 현상과 인간 사회의 길흉화복이 서로 감응한다는 천인합일론(天人合一論)으로 발전하는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다른 주요 철학자들도 기에 대해 다양한 견해를 제시했다.

  • 논어』에서는 기가 '호흡'을 의미하기도 하며[21], 혈액과 기를 합친 혈기(血氣)는 젊음의 왕성한 기운이나 의욕 등을 나타내는 말로 사용되었다.
  • 묵자(墨子)는 기를 시체에서 나오는 유독한 증기나 동굴의 습기와 같이 부정적인 현상과 연관 짓기도 했으며, 적절한 영양 섭취를 통한 기의 보존과 하늘의 기(구름)를 통한 점술에 대해서도 언급했다.[22]
  • 맹자(孟子)는 기를 개인의 생명력이자 활동의 원동력으로 보았고, 의지력을 통해 기를 제어하고 도덕적 수양을 통해 우주로 확장될 수 있는 호연지기(浩然之氣)를 기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외부의 부정적 영향으로 기가 손상될 수도 있다고 보았다.[23]
  • 장자(莊子)는 바람을 땅의 기, 음양을 우주에서 가장 큰 기로 보았으며, "인간은 기가 모여 태어나고, 기가 흩어지면 죽는다"고 말하며 기가 만물을 연결하고 생사를 결정하는 근본 요소임을 강조했다.[24]
  • 순자(荀子)는 만물을 기의 유무와 생명, 지각(知覺), 의(義)의 소유 여부에 따라 단계적으로 구분했다. 그는 불과 물은 기만 있고, 풀과 나무는 생명이 있지만 지각이 없으며, 동물은 지각은 있지만 의가 없고, 오직 인간만이 기, 생명, 지각, 의를 모두 갖추었다고 설명했다. 또한 노년기의 신체 활력 쇠퇴를 기의 변화와 연관시키기도 했다.

2. 2. 한국 철학에서의 기 개념

기(氣)는 여러 의미를 가진 단어이다. 한어 대사전은 餼|xi중국어 발음에 대해 '현재의 음식이나 식량'으로 정의하지만, 氣|qì중국어 발음에 대해서는 23가지 의미를 나열한다.[13] 현대의 《ABC 중영 대사전》은 餼|xi중국어를 '곡물; 동물 사료; 음식을 선물하다'로 등재하고, 氣|qì중국어 항목에서는 명사에 대한 7개의 번역어, 결합 형태소에 대한 2개, 동사에 대한 3개의 번역어를 제시한다.

  • 명사: ① 공기; 가스 ② 냄새 ③ 정신; 활력; 사기 ④ 생명/물질 에너지 (중국 형이상학에서) ⑤ 어조; 분위기; 태도 ⑥ 분노 ⑦ 호흡
  • 결합 형태소: ① 날씨 天氣|tiānqì중국어 ② [언어학] 기식 送氣|sòngqì중국어
  • 동사: ① 분노 ② 화내다 ③ 괴롭히다; 모욕하다.[14]


기는 또한 이 제어할 수 있고 마법사와 오컬티스트가 활용할 수 있는 '자연의 힘'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지기도 했다.[10]

3. 다양한 관점

기는 영어Auraeng라틴어의 spirituslat, 그리스어의 Ψυχή|프시케grc(psychegrc), πνεῦμα|프뉴마grc(pneumagrc), 히브리어의 ruah|루아흐heb(성령), 혹은 산스크리트어의 prana|프라나san처럼 여러 문화권에서 찾아볼 수 있는 생명력이나 신성한 기운, 즉 '숨'과 관련된 개념에서 출발한다. 하지만 기가 독자적인 사상적 개념으로 발전한 것은 이러한 영적·생명적 숨결의 개념이 구름이나 수증기 같은 대기 현상과 구분되지 않고 동일한 것으로 파악되면서부터이다.

고대 동양에서는 구름은 대기가 뭉친 것이고, 바람은 대기가 움직이는 것이라고 보았다. 그리고 인간이 숨 쉬는 바로 그 대기가 몸 안에 들어와 순환하며 생명력을 불어넣는다고 생각했다. 즉, 작은 우주인 인간의 호흡과 거대한 우주인 자연의 기상 현상 사이에 '대기'라는 매개체를 통해 역동적인 연결고리를 찾고, 거기에 영적이고 생명적인 원리가 깃들어 있다고 본 것이 기 개념의 원형이다.

한편으로, 사람은 숨을 쉬어야 살아 있다는 단순한 경험적 사실로부터, 인간 내부를 채우고 생명력과 원기를 부여하며 살아가게 하는 근본적인 힘이 바로 '기'라는 생각이 생겨났다. 초기에는 이러한 기 개념에 정신적인 측면도 포함되어 있었으나, 후대에 정신적인 영역은 주로 이(理)라는 개념으로 다루어지면서, 기는 생명력이나 물질적인 힘으로서의 의미가 더 강조되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인간의 숨결은 외부의 대기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기는 날씨와 같은 자연의 움직임과도 관련되며 그 근본 원리로 여겨졌다. 눈에 보이는 대기와 관련된 기상 현상뿐만 아니라, 모든 자연 현상 역시 하나의 기가 움직이고 모였다 흩어지는 과정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기는 만물의 근원(아르케)으로서의 에테르와 유사한 성격을 띤다.

이처럼 기는 영적인 생명력이자 만물 변화의 원리라는 생각에서 출발하여, 점차 생명력을 부여하는 에너지일 뿐만 아니라 사물을 이루는 물질적 기초이자 우주에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매질로까지 그 의미가 확장되었다.

이러한 발전 과정 때문에 기는 한편으로는 영적·생명적·동적인 원리로서의 형이상학 측면을 가지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구체적이고 보편적인 물질(휠레)이자 매질로서 형이하학적 측면도 함께 지니는 이중성을 갖게 되었다. 즉, 기는 사물에 깃들어 그것을 움직이는 에너지적 원리인 동시에, 그 사물을 구성하는 보편적 물질이기도 한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기를 만물의 유일한 근원으로 보는 기일원론이라 할지라도 반드시 유물론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다[54][55][56][57][58][59][60].

3. 1. 언어학적 측면

문화적 핵심어인 '기'는 중국어와 한자음으로 분석할 수 있다. 가능한 어원으로는 "증기"에서 "분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의미를 가진 氣|중국어, 气|중국어, 気|중국어 등이 있으며, 영어 차용어로는 qi 또는 ch'i가 있다.

氣는 두 가지 중국어 발음으로 읽힌다. 일반적인 발음은 qì|치중국어 "공기; 생명 에너지"이며, 드물게 사용되는 고어는 xì|시중국어 "음식을 바치다" (나중에 餼|중국어로 구별됨)이다. 필립 J. 이반호와 브라이언 W. 반 노르덴은 qi라는 단어가 "가열된 제물에서 생기는 안개"를 지칭하는 용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11]

현대 중국어 방언에서 氣의 발음은 다음과 같다 (표준 IPA 표기):

  • 표준 중국어: qì|치중국어 /t͡ɕʰi˥˩/
  • 우어: qi /t͡ɕʰi˧˦/
  • 민난어: khì|키nan /kʰi˨˩/
  • 민동어: ké|케cdo /kʰɛi˨˩˧/
  • 광둥어: hei3|헤이yue /hei̯˧/
  • 객가어: hi|히hak /hi˥/


한자어 차용으로 氣의 발음은 다음과 같다:

氣의 중고 중국어 발음에 대한 재구성은 다음과 같다 (표준 IPA 표기):

  • /kʰe̯iH/ (베르나르드 칼그렌)
  • /kʰĭəiH/ (왕리)
  • /kʰiəiH/ (리룽)
  • /kʰɨjH/ (에드윈 풀리블랭크)
  • /kʰɨiH/ (정장상팡)


악셀 슈슬러가 재구성한 후한 시대의 氣 발음은 /kɨs/이다.[12]

氣의 상고 중국어 발음에 대한 재구성은 다음과 같다 (표준 IPA 표기):

qì|치중국어의 어원은 카리아어 kʰis|xcr "분노", 소라어 kissa|srb "큰 노력을 들여 움직이다", 크메르어 kʰɛs|km "노력하다; 분투하다", 걀롱어파 kʰɐs|jro "분노"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12]

동아시아 언어에서 '기'는 세 가지 주요 한자로 표기된다.

또한, 炁|중국어는 특히 도교 부적을 쓸 때 사용되는 흔하지 않은 이체자이다. 역사적으로 '기'는 한나라 (기원전 206년 ~ 서기 220년)까지 气|중국어로 표기되다가, 米|미중국어 "쌀" 부수가 추가된 氣|중국어로 대체되었다. 이는 "증기(쌀이 익을 때 올라오는)"를 나타내며, 존재와 우주의 변화무쌍한 본질에 대한 관점을 담고 있다.

가장 오래된 형태인 气|중국어상나라 (기원전 1600년 ~ 1046년경) 갑골문, 주나라 (기원전 1046년 ~ 256년) 청동기 명문 및 대전체, 진나라 (기원전 221년 ~ 206년) 소전체에서 세 개의 물결치는 수평선으로 나타난다. 이 초기 문자 气|중국어는 원래 문자가 없었던 qǐ|치중국어 "간청하다; 빌다; 묻다"를 표기하기 위한 가차 문자로도 사용되었다.

대부분의 한자는 의미를 나타내는 부수와 발음을 나타내는 음성 요소가 결합된 형성자이다. 예를 들어, dào|다오중국어 "; 길"는 "걷다" 부수 辶|중국어와 음성 요소인 shǒu|서우중국어 "머리"가 결합된 것이다. 현대 발음은 다르지만, 상고 중국어에서는 *lˤuʔ-s|중국어 道|중국어와 *l̥uʔ-s|중국어 首|중국어로 발음이 유사했다. 정자체 氣|중국어는 气|중국어가 부수이자 음성 요소이고, 米|미중국어 "쌀"이 의미적으로 "증기; 수증기"를 나타내는 특이한 구조를 가진다.

气|중국어 "공기/가스 부수"는 氤氲|인온중국어(''yīnyūn'') "짙은 안개/연기"와 같은 일부 고유 한자에만 사용되었지만, 기체 화학 원소에 대한 새로운 한자를 만드는 데 활용되었다. 예를 들어, 氟|불중국어(''fú'', 플루오린)와 氖|내중국어(''nǎi'', 네온)는 유럽 언어 발음을 기반으로 하며, 氫|경중국어(''qīng'', 수소)는 "가장 가벼운 원소"라는 의미를, 氯|록중국어(''lǜ'', 염소)는 "(녹황색) 기체"라는 의미를 반영한다.

氣|중국어는 다른 한자의 음성 요소로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마음 심 부수 忄|중국어 또는 心|중국어가 있는 愾|개중국어(''kài'', "미워하다"), 불 화 부수 火|중국어가 있는 熂|시중국어(''xì'', "잡초에 불을 지르다"), 밥 식 부수 食|중국어이 있는 餼|희중국어(''xì'', "음식을 제공하다") 등이 있다.

최초의 중국 문자 사전인 『설문해자』(서기 121년)는 气|중국어가 雲气|운기중국어 "구름 수증기"를 묘사하는 상형문자이며, 氣|중국어는 米|미중국어 "쌀"과 음성 요소 气|중국어를 결합하여 饋客芻米|궤객추미중국어 "손님에게 식량을 제공하다"를 의미한다고 설명한다(나중에 餼|희중국어(''xì'')로 명확해짐). 단옥재는 주석에서 气|중국어가 본래 구름의 기운을 의미했고, 氣|중국어는 추미(芻米, 꼴과 쌀)를 의미했으나 음이 통하여 사용되었으며, 다른 의미들은 구름의 기운이라는 의미에서 파생되었다고 보았다. 그러나 일부 고서에서는 氣|중국어를 "기식(氣息, 호흡)"의 의미로도 설명하므로, 호흡의 의미도 본래 의미 중 하나였을 가능성이 있다.

'기(Qi)'는 영어에 비교적 일찍 유입된 중국어 차용어이다. 19세기 초에는 교회 로마자 표기법으로 ''k'i''로 표기되었고, 19세기 중반에는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으로 ch'i(때로는 아포스트로피 없이 ''chi''로 잘못 표기됨)로, 20세기 중반에는 병음으로 qi로 표기되었다. ''옥스퍼드 영어 사전''은 qi의 발음을 qi|치영어로 제시하며, 어원은 중국어 qì|치중국어 "공기; 호흡"에서 유래했고, "일부 중국 철학자들이 상정한 물리적인 생명력; 물질적 원리"라고 정의한다. 최초 사용 예시는 1850년 ''k'í''[15], 1917년 ch'i[16], 1971년 qi[17] 순으로 나타난다.

qi라는 단어는 스크래블과 같은 단어 게임에서 Q 다음에 U가 오지 않는 단어로 자주 사용된다.[18]

3. 2. 물리학적 함의

물리학은 세계의 본질을 탐구하는 학문으로, 여러 현상 속 가장 기초적인 물질의 운동 형태를 다루며 그 법칙은 추상성과 보편성이 높다. 이는 세계, 인간, 사물, 현상의 가치와 궁극적 의미를 추구하는 철학과 맥락을 같이한다.

현대물리학의 양자장이론은 입자와 진공에 대한 기존 개념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 양자장 이론에 따르면, 입자와 주변 공간의 명확한 구분은 사라지고, 진공은 중요한 역학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물질적 대상은 독립적인 실체가 아니라 주변 환경과 불가분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그 성질은 다른 모든 것과의 상호작용 속에서만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우주의 근본적인 통일성은 미시 세계뿐 아니라 거시 세계에서도 나타난다.

신유학에서는 현대물리학의 장(field) 개념과 유사한 기(氣)의 개념을 발전시켰다. 기는 공간에 널리 퍼져 있으며, 감지하기 어렵고 묽은 형태이지만 견고한 물체로 응축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동양 철학에서 기는 비어 있고 형체가 없지만 모든 형상을 만들어낼 수 있는 근원으로 보았는데, 이러한 기의 개념에는 현대물리학의 장 개념과 통하는 면이 있다.

3. 3. 중의학(中醫學)에서의 기

한의학 및 중의학에서는 인체의 질병을 기운의 부조화로 이해한다. 즉, 질병은 인체를 구성하는 형(形)과 기(氣)에 부조화된 기운이 영향을 미치는 상태로 보고, 치료는 기를 직접 조절하는 침법이나 부조화된 기를 조절하는 약물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한의학(중의학 포함)을 '기의학'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우주 만물이 기라는 본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기의 특성을 파악하여 인체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한 특징이기 때문이다.

고대 중국인들은 기(氣|기중국어)를 "생명력"으로 보았다. 기는 모든 것에 스며들어 주변 환경과 상호 연결되며, 신체 안팎의 에너지 흐름을 통해 응집력 있는 기능적 단위를 형성한다고 믿었다. 후기 중국 철학에서는 기(氣)를 우주의 모든 것이 응축되어 만들어지고 결국 흩어지는 근본적인 '재료'로 여기기도 했다.[11]

''황제내경(黃帝內經)'' (기원전 2세기경)은 기가 인체 내에서 순환하는 통로인 경락(經絡)을 최초로 언급한 문헌으로 알려져 있다.[27][28] 중의학에서는 다양한 질병 증상이 경락을 통한 기의 흐름이 막히거나 불균형해지거나, 또는 ''장부'' 기관 내 기의 결핍 및 불균형 때문에 발생한다고 본다.[28] 따라서 본초학, 식이 요법, 신체 단련(기공, 태극권 등)[29], , ''추나'', 침술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기의 순환을 조절함으로써 질병을 치료하고자 한다.[28]

인체 내의 기는 그 근원, 역할,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명명된다.[31]

  • '''원기(元氣)''': 부모로부터 물려받아 신장에 저장되는 선천적인 기(선천의 정)이다. 생명 활동의 원동력이 되며, 음식물로부터 얻는 후천적인 기(후천의 정)에 의해 보충된다. 단전 부위에 모여 삼초를 통해 전신을 순환하며 장부와 조직에 활력을 준다. 원기가 왕성하면 활력이 넘치고 질병에 잘 걸리지 않지만, 쇠퇴하면 피로하고 질병에 취약해진다.
  • '''종기(宗氣)''': 폐에서 흡수한 공기(청기)와 음식물에서 얻은 기(곡기)가 결합하여 가슴(전중)에 모이는 기이다. 심장과 폐의 활동, 즉 심장 박동, 호흡, 발성 등을 주관한다. 종기가 부족하면 호흡 곤란, 목소리 약화, 맥박 이상 등이 나타날 수 있다.
  • '''영기(營氣)''': 음식물에서 얻어지는 기(수곡의 정기) 중 음(陰)적인 성질을 가진 기이다. 진액을 혈로 변화시키고 혈과 함께 혈관(맥) 속을 순환하며, 전신에 영양을 공급하고 각 기관의 활동을 지원한다.
  • '''위기(衛氣)''': 음식물에서 얻어지는 기(수곡의 한기) 중 양(陽)적인 성질을 가진 기이다. 혈관 밖을 빠르게 순환하며, 주로 체표에서 활동한다. 피부를 따뜻하게 하고(체온 유지), 외부 병원체(외사, 外邪)로부터 몸을 방어하며, 땀구멍을 조절(주리 개합)하는 역할을 한다. 낮에는 인체의 양(陽) 부위(체표)를 25번, 밤에는 인체의 음(陰) 부위(체내)를 25번 순환한다고 알려져 있다.
  • '''진기(眞氣) 또는 정기(正氣)''': 선천의 기(원기)와 후천의 기(종기, 영기, 위기 등)가 합쳐져 형성된 기로, 인체의 정상적인 생리 활동을 유지하는 근본적인 기운이다. 진기는 다음과 같은 주요 작용을 수행한다.

'''추동(推動) 작용''': 인체의 성장, 발육, 생리 활동, 신진대사를 촉진한다. 신과 관련이 깊다.
'''온후(溫煦) 작용''': 체온을 유지하고 장부와 조직을 따뜻하게 한다. 주로 위기, 원기, 신기와 관련된다.
'''방어(防御) 작용''': 체표에서 외부 병원체의 침입을 막는다. 주로 위기와 관련된다.[33]
'''고섭(固攝) 작용''': 혈액, 땀, 소변, 정액 등이 과도하게 배출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영기, 위기, 비기, 신기와 관련된다.
'''기화(氣化) 작용''': 정(精), 기(氣), 혈(血), 진액(津液) 등의 상호 전환 및 대사 과정을 주관한다. 영기, 위기, 종기, 비기, 폐기, 신기 등 여러 기와 장부의 복합적인 작용이다.

  • '''장기(臟氣)''': 오장에 머물며 각 장부의 기능 활동을 지탱하는 기이다. (예: 간기, 심기, 비기, 폐기, 신기)
  • '''경기(經氣)''': 경락 속을 순행하며 경락의 활동을 지탱하는 기이다.
  • '''위기(胃氣)''': 위(胃)를 작동시키는 기, 또는 위의 작용을 통해 얻어지는 후천의 기를 의미한다. 위기의 유무는 병의 예후 판단에 중요하며, 맥진 등 진단에서도 중요하게 여겨진다.


중의학의 주요 치료법은 다음과 같이 기와 관련된다.

  • '''한방''' (약선 포함): 생약 등을 사용하여 장기의 균형을 맞추고 경락의 흐름을 개선하여 체내 기의 순환을 원활하게 한다. 약물은 그 성질에 따라 냉(冷), 열(熱), 온(溫), 한(寒)의 네 가지 기운(사기, 四氣)을 가지며, 이를 통해 질병의 성질에 맞춰 치료한다.[32]
  • '''침술'''과 '''''': 경혈(침자리)을 자극하여 기의 흐름을 조절하고 장부 기능을 바로잡는다. 침술은 침을 사용하고, 뜸은 을 태워 경혈을 자극한다.
  • '''기공''': 특정 수련을 통해 경락 속 기의 흐름을 직접적으로 개선하고, 환자 스스로 기의 균형을 조절하는 능력을 키운다.

3. 4. 도가(道家)에서의 기

전국 시대 말기, 『장자』는 기(氣)가 모이고 흩어지는 것(集合과 離散)을 통해 만물의 생성과 소멸이라는 변화가 일어난다고 설명했다.[24] 장자는 "인간은 기의 축적으로 태어난다. 그것이 축적되면 생명이 있고, 그것이 사라지면 죽음이 있다... 세상의 모든 것을 연결하고 관통하는 하나의 기가 있다"고 말하며, 기가 생명 현상의 근본임을 강조했다.[24] 또한 우주적인 음양 이기(二氣)라는 서로 반대되는 성질을 가진 기에 의해 다양한 세계가 형성된다고 보았다.

도가 사상에서는 기 위에 만물의 근원적 실재인 (道)가 있다고 여겼다. 『노자』 42장에는 道生一 一生二 二生三 三生萬物 萬物負陰而抱陽 沖氣以爲和zho (도는 하나를 낳고, 하나는 둘을 낳고, 둘은 셋을 낳고, 셋은 만물을 낳는다. 만물은 음을 등지고 양을 안으며, 빈 기운으로 조화를 이룬다)라는 구절이 있는데, 이는 도와 기의 관계를 통해 우주가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우주론으로 이해된다. 즉, 근원인 도에서 기가 파생되어 만물이 구성된다는 것이다.

한편, 도가 사상은 인체 내부에 흐르는 기에 주목하여 양생(養生)의 방법으로 도인(導引)과 같은 수련법을 발전시켰다. 이는 몸 안의 기를 조절하여 건강을 증진하고 장수(長壽)를 추구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도가의 양생술은 후대에 영향을 미쳐 기공(氣功)의 형태로 이어지기도 했다. 일부 도교 종파에서는 기를 마법적인 힘과 연결시키기도 했다.[10]

3. 5. 유교(儒敎)에서의 기

유교에서 기(氣)는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우주와 인간을 이해하는 중요한 개념으로 발전했다.

공자논어에서 기를 '호흡'과 연관 지어 언급했다.[21] 특히 혈액을 의미하는 중국어 단어와 결합된 혈기(血氣, xuè–qì중국어)는 인간의 동기 부여 특성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 공자는 젊을 때의 성적 충동, 장년기의 다툼, 노년기의 탐욕을 경계해야 할 혈기의 발현으로 보았다.

맹자는 기를 개인의 생명력으로 보았다. 이 기는 인간 활동에 필수적이며, 잘 통합된 의지력으로 통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맹자는 도덕적 능력을 신중하게 수련하면 기를 증폭시켜 우주 전체로 확장할 수 있다고 보았으며, 반대로 외부의 부정적인 영향력에 의해 기가 손상될 수도 있다고 생각했다.[23]

순자는 기를 생명, 지각력, 그리고 옳고 그름을 아는 의(義)와 함께 인간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보았다. 그는 "불과 물은 기가 있지만 생명이 없고, 풀과 나무는 생명이 있지만 지각력이 없고, 닭과 짐승은 지각력이 있지만 의(義)가 없다. 인간은 기, 생명, 지각력 및 의(義)를 가지고 있다"고 설명하며 인간의 특수성을 강조했다. 또한 순자는 기를 노년기에 쇠퇴하는 신체의 활력과도 연관 지었다.

유교 학자 동중서는 기원전 150년경 춘추번로에서 기를 생명 유지와 장수의 비결로 설명하기도 했다. 그는 긴팔원숭이가 800년을 살 수 있는 이유를 숨쉬는 법, 즉 기를 다루는 데 능숙하기 때문이라고 보았다.[26] (猿似猴。大而黑。長前臂。所以壽八百。好引氣也。중국어)

후기 중국 철학, 특히 성리학(송학)에서는 기(氣)를 우주의 모든 것이 응축되어 만들어지고 결국 흩어지는 근본적인 '재료'로 간주했다.[11] 초기에는 기를 거친 부분(고체 형성), 가벼운 부분(액체 형성), 가장 얇은 부분(생명의 숨결)으로 나누어 이해하기도 했다.[20]

이처럼 유교 사상에서 기는 단순한 '숨'이나 '공기'를 넘어 생명력, 에너지, 만물의 근본 물질 등 복합적인 의미를 지니며 발전했다. 기는 영적·생명적·동적인 원리로서의 형이상학적 측면과 구체적이고 보편적인 물질적 기초로서의 형이하학적 측면을 동시에 갖는 이중적인 성격을 지닌다. 즉, 사물에 깃들어 움직이는 에너지인 동시에 그 사물을 구성하는 보편적 물질로 이해되었다.

3. 6. 무술(武術)에서의 기

기(氣)는 중국 무술, 베트남 무술, 한국 무술, 일본 무술 등 동아시아 여러 나라의 무술에서 중요한 교훈적인 개념으로 다루어진다. 무술 기공은 중국[51][52]을 비롯한 동아시아 문화권의 내공(內功) 및 외공(外功) 훈련 시스템의 특징적인 부분이다.

특히 기에 중점을 두는 "내공"(勁, 勁|jin중국어)을 강조하는 무술들이 유명한데, 여기에는 팔괘장, 형의권, 태극권, 남파 당랑권, 사권, 남파 용권, 합기도, 검도, 합기유술, 나한권, 육합파 등이 포함된다.

일부 무술에서는 기(氣) 또는 키(気|ki일본어)의 힘을 보여주는 시연을 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여러 사람이 들어도 들리지 않는 몸이나 강제로 굽히려 해도 굽혀지지 않는 팔과 같은 괴력 시범이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생체역학이나 물리학적 원리로 설명될 수 있다.[53]

무술 분야에서는 독자적인 "기"의 개념과 이론 체계를 발전시켜왔다. 일본 무도에서는 합기도가 기를 활용하는 대표적인 무술로 잘 알려져 있으며, 일본 무도와 중국 무술 사이에는 기에 대한 해석에 약간의 차이가 존재한다. 일부 유파나 문파에서는 기의 개념을 일반인에게 더 쉽게 전달하기 위해 종교적인 개념과 결합하여 설명하기도 한다.

또한, 원당(とおあて)이라 불리는 기술은 상대의 신체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기를 이용하여 상대를 쓰러뜨리는 기술로 알려져 있다. 이는 멀리 떨어진 상대에게 기를 방출하여 공격하는 방식으로, 원당을 사용해 상대의 자세를 무너뜨린 후 활과 같은 무기로 공격을 이어갔다는 기록도 있다.

무술에서 말하는 기는 구체적으로 몸의 "신근(伸筋, 펴는 근육)의 힘", "팽창하는 힘", "중심 이동의 힘" 등으로 설명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능력을 기르기 위해 다양한 단련법(중국 무술에서는 연공)을 수행한다. 이때, 흔히 생각하는 것처럼 굴근(屈筋, 굽히는 근육)에 힘을 강하게 주는 것은 오히려 기의 자연스러운 흐름과 "팽창하는 힘"을 방해하여 역효과를 낳는다고 본다. 올바른 신근의 사용은 힘을 준다는 느낌보다는 몸이 자연스럽게 "팽창하는" 느낌을 동반한다고 설명된다.

연공의 기본 단계에서는 중의학의 기혈(氣血) 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건강 증진을 목적으로 중국 무술을 시작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대표적인 예가 태극권인데, 중국 정부 주도로 보급된 24식 간화 태극권의 영향으로 인해 태극권이 단순한 건강 체조로 오해받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이는 태극권의 대중적인 이미지일 뿐, 본래 태극권을 포함한 대부분의 중국 무술 유파(내가권 참조)는 발경과 같은 고급 기술의 습득을 중요한 수련 목표로 삼는다. 이를 위해 겉보기에는 단조롭고 부드러워 보이는 동작 속에서도, 정확하고 힘든 자세를 유지하며 반복적인 연공을 꾸준히 해나가야 한다.

4. 기의 활용 분야

기(氣)의 개념은 동아시아의 전통 사상과 문화를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특히 중의학과 한의학에서는 인체의 생리 현상과 질병의 원인을 기의 흐름과 상태를 통해 설명하는 핵심 이론으로 자리 잡았다. 이들 의학 체계는 질병을 기의 부조화나 순환 장애로 파악하고, 침술, 한방(생약 등 약물 처방 포함), 기공 등 여러 방법을 사용하여 경락을 따라 흐르는 기의 흐름을 조절함으로써 장기의 기능을 정상화하고 건강을 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4. 1. 풍수(風水)

지기(地氣)가 어떻게 인사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가를 밝힌 기 감응적 인식체계이다. 풍수의 기본 논리는 일정한 경로를 따라 땅속에 돌아다니는 생기(生氣)를 사람이 접함으로써 복을 얻고 화를 피하자는 것이다.

4. 2. 한의학(韓醫學)

한의학에서는 인체의 질병을 기운(氣運)의 부조화로 본다. 이러한 부조화가 인체를 구성하는 형(形)과 기(氣)에 어떤 방식으로 영향을 주는지를 파악하여 치료에 접근한다. 치료 방법으로는 기(氣)를 직접 조절하는 침법(鍼法)과, 부조화된 기를 조절할 수 있는 특성(형기, 形氣)을 지닌 약물(藥物)을 사용하는 것이 핵심이다. 한의학을 '기의학(氣醫學)'이라고 부르는 까닭은 우주 만물이 기(氣)라는 본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기의 특성을 이해하여 인체를 조절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이다.

4. 3. 기공(氣功)

(氣)를 활용한 수련법 중 하나로, 조절된 호흡, 움직임, 인식을 통해 기를 배양하고 균형을 맞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건강 증진, 질병 예방, 심신 수련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중의학에서는 한방, 침술과 함께 기공을 주요 분야 중 하나로 분류한다. 중의학적 관점에서 기공은 막히기 쉬운 경락 속 기의 흐름을 직접적으로 열어 병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본다. 또한, 수련자 스스로 체내의 기 흐름을 조절하고 균형을 잡는 능력을 기르는 방법으로 여겨진다.

4. 4. 레이키(Reiki)

레이키대체의학의 한 형태로서, 에너지 치유라고도 불린다. 레이키 시술자는 '손바닥 치유' 또는 '손을 통한 치유' 기법을 사용하는데, 이를 통해 시술자의 손바닥에서 환자에게 "보편적 에너지"가 전달되어 정서적 또는 신체적 치유를 촉진한다고 주장한다.[45]

레이키는 사이비 과학으로 간주되며,[40] 학술 문헌이나 저널 기사에서 사이비 과학의 예시로 자주 언급된다. 이는 기(qi, "치") 개념에 기반을 두는데, 시술자들은 이를 보편적인 생명력이라고 설명하지만, 이러한 생명력의 존재를 뒷받침하는 실증적 증거는 없다.[41] 여러 임상 연구 결과, 레이키는 어떤 질병 치료에도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레이키 치료의 효과는 플라시보 효과와 구별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레이키 관련 연구들을 검토한 결과, 긍정적인 효과를 보고한 연구들은 대부분 방법론적 결함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주요 의료 및 연구 기관들도 레이키의 효과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미국 암 학회는 레이키가 기존의 암 치료를 대체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으며,[42] 영국 암 연구소[43]와 국립 보완 및 통합 건강 센터[44] 역시 동일한 입장을 표명했다.

레이키는 1922년 일본의 미카오 우스이에 의해 창시되었으며,[40] 이후 전 세계 여러 문화권으로 퍼져나가 각기 다른 방식으로 적용되었다.

신봉자들은 고통이 있는 부위에 손을 대거나 약간 떨어뜨려 놓은 상태에서, 주변 공간에 존재하는 보편적인 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문제가 있는 부위로 보내 정화함으로써 치유가 일어난다고 설명한다.[45] 그러나 미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레이키 시술에 대한 공식적인 규제는 없으며, 이를 관리하는 국제적인 중앙 기구도 존재하지 않는다.[46][47]

5. 현대적 의미와 문제점

기(氣)라는 단어는 해석이 매우 다양하여 의미에 혼란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기 개념을 정의할 때 특정 문화나 시대의 과학기술 수준, 종교적 관점 등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심지어 서양 자연과학 용어를 빌려 기를 설명하려는 시도는 오히려 기의 본래 의미를 왜곡하기도 한다.[54][55][56][57][58][59][60]

특히 금전 거래가 포함된 의료 분야에서 기와 관련된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서양 의학에는 '기'라는 개념이 없지만, 한의학이나 기공 요법 등에서는 기를 중요한 개념으로 다룬다. 그러나 현대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지적된다.


  • 개념의 모호성 및 통일성 부족: 분야마다 기를 편리하게 해석하여 통일된 개념 없이 모호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어, 한의학에서 말하는 기와 기공에서 말하는 기는 서로 다른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 과학적 검증의 어려움: 기가 응고되어 눈에 보이는 물질이라는 주장도 있지만, 기는 수치로 측정하거나 객관적으로 관찰하기 어려워 과학적으로 그 존재를 증명하기 어렵다.
  • 학술적 연구 부족: 기의 효과나 실재에 대해 과학적인 방법으로 분석한 학술 논문이 거의 없다.[62]
  • 비전문가의 시술 문제: 기 치료나 관련 지도를 의사나 침구사 등 정식 의료인이 아닌 사람이 행하는 경우가 많아 안전성 문제가 제기된다.

참조

[1] 웹사이트 Qi https://www.britanni[...] 2023-08-22
[2] harvnb Vapor
[3] harvnb Vital energy
[4] 학술지 Effects of reiki in clinical practice: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sed clinical trials 2008-06-01
[5] 웹사이트 Your Body's Alleged Energy Fields 2016-09-03
[6] 학술지 Full of Holes: the curious case of acupuncture 2005-07
[7] 뉴스 Reality Check: the energy fields of life http://www.csicop.or[...] Committee for Skeptical Inquiry 2007-12-25
[8] 뉴스 Traditional Medicine and Pseudoscience in China: A Report of the Second CSICOP Delegation (Part 2) http://www.csicop.or[...] CSICOP 2009-02-15
[9] 서적 A Cultural History of Medical Vitalism in Enlightenment Montpellier https://books.google[...] Ashgate
[10] 서적 Encyclopedia of Religious Rites, Rituals, and Festivals Routledge
[11] 서적 Readings in Classical Chinese Philosophy https://www.worldcat[...] Hackett Publishing Company
[12] 서적 ABC Etymological Dictionary of Old Chines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7-01-05
[13] 서적 An Alphabetical Index to the Hanyu Da Cidian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3
[14] 서적 ABC Chinese-English Dictionary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9
[15] 문서 Quoting [[Confucius]] that the ''[[Taiji (philosophy)|Taiji]]'' or "Great Extreme is the primordial substance (''k'í'') which, moving along, divided and made two ''k'í''; that which in itself has motion is the ''Yang'', and that which had rest .‥ is the ''Yin''."
[16] 문서 The essence of the ethical principle ''[[Li (Neo-Confucianism)|Li]]'' "is absolutely pure and good, but seeing that it is inseparable from the material element Ch'i.‥ it is from Man's birth to a greater or less extent impeded and tainted."
[17] 문서 "To the ancients the cornerstone of the theory of acupuncture, the concept whereby they explained its effects and action, was Qi, the energy of life."
[18] 웹사이트 The Power of Qi: A Scrabble Word That'll Center Your Game https://wordfinder.y[...] 2022-07-09
[19] 서적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Chinese Medicine: Systems of Correspondence https://archive.org/[...] M.I.T. Press 1974
[20] 문서 Definitions and brief historical notes on such concepts can be found in Wei Zhengtong's "Zhong Guo Zhexue Cidian", Da Lin Publishing Company, Taipei, 1977.
[21] 서적 The Analects of Confucius Floating Press 2010
[22] 서적 Mozi: Basic Writings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3
[23] 서적 Mencius Chinese University Press 2003
[24] 서적 The Complete Works of Zhuangzi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3
[25]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ncient China: From the Origins of Civilization to 221 BC.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ress 2017-03-11
[26] 서적 The Gibbon in China: An Essay in Chinese Animal Lore E.J. Brill 2015
[27] 서적 Huang ti nei ching su wên = The Yellow Emperor's Classic of Medicine Williams and Williams 1949
[28] 서적 Acupuncture Handbook Health Science Press 1983
[29] 서적 Wu Style Tai Chi Chuan Chien-ch'uan T'ai-chi Ch'uan Association
[30] 문서 李中梓, and 江潤祥. Huangdi Neijing : A Synopsis with Commentaries = 《内經知要》譯詁.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Press, 2010. pg. 390-93
[31] 웹사이트 What is Qi in Chinese medicine? https://www.orientma[...] 2018-04-29
[32] 문서 Yang, Shou-zhong (1998). The Divine Farmer's Materia Medica: A Translation of the Shen Nong Ben Cao Jing. pg. xii
[33] 문서 Hong-zhou Wu, et al. World Century Compendium To TCM - Volume 1: Fundamental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World Century Publishing Corporation, 2013. pg. 22
[34] 서적 Wisdom Healing (Zhineng) Qigong: Cultivating Wisdom and Energy for Health, Healing and Happiness Chi Center 2011
[35] 서적 An Introduction to Wisdom Healing Qigong Chi Center 2009
[36] 서적 Zhineng Qigong: The Science, Theory and Practice CreateSpace 2010
[37] 논문 Acupuncture https://doi.org/10.1[...] 1998-11-04
[38] 서적 Feng shui : how to create harmony and balance in your living and working environment = Fêng shui Raincoast Books 1998
[39] 웹사이트 Qimancy, Chinese Divination by Qi http://www.fengshuig[...] 1998-02-12
[40] 웹사이트 Reiki http://www.scienceba[...] 2011-10-19
[41] Science-Based Medicine Reiki: Fraudulent Misrepresentation https://www.scienceb[...] 2016-05-28
[42] 서적 American Cancer Society Complete Guide to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ancer Therapies American Cancer Society
[43] 웹사이트 Reiki http://www.cancerres[...] Cancer Research UK 2017-08-30
[44] 웹사이트 Reiki: What You Need To Know https://nccih.nih.go[...] National Center for Complementary and Integrative Health 2019-05-24
[45] 서적 Science and Pseudoscience in Clinical Psychology Guilford Press
[46] 간행물 Modalities for Massage and Bodywork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47] 서적 Reiki for Dummies John Wiley & Sons
[48] 서적 The Way of Qigong: The Art and Science of Chinese Energy Healin Ballantine Books 1999
[49] 서적 Qigong Empowerment: A Guide to Medical, Taoist, Buddhist, and Wushu Energy Cultivation Way of the Dragon Publishing 1997
[50] 서적 Qigong for Health and Martial Arts: Exercises and Meditation https://archive.org/[...] YMAA Publication Center 1998
[51] 서적 Lost T'ai-chi Classics from the Late Ch'ing Dynast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6
[52] 서적 Okinawan Karate: Teachers, Styles and Secret Techniques A & C Black 1989
[53] 웹사이트 Unraisable Body: The Physics of Martial Arts https://www.research[...] Sports Medicine Australia 2017-01-05
[54] 논문 "[http://caod.oriprobe.com/articles/4807704/Generalized_Quanta_Wave_with_Qi_on_Traditional_Chinese_Medecine.htm Generalized Quanta Wave with Qi on Traditional Chinese Medecine]" 2002
[55] 논문 Ration of Qi with Modern Essential o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Qi: Qi Set, Qi Element 2003
[56] 간행물 "五行阴阳的特征与新英译[New Translator with Characteristic of Wu xing Yin Yang]" 2000
[57] 간행물 "五行阴阳的特征与新英译[Fresh Translator of Zang Xiang Fractal five System]" 2000
[58] 간행물 "阴阳的科学本质及数理化建构" 1998
[59] 간행물 "中医分形集[TCM Fractal Sets]" 1999
[60] 간행물 "经络英文新释译与实质[Essence and New Translator of Channels]" 2000
[61] 서적 風水という名の環境学: 気の流れる大地 農山漁村文化協会
[62] 논문 "看護療法としての気功: その可能性を模索する" 日本看護技術学会 2008-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