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의 행정 구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행정 구역
- 2.1. 자치구 목록
 - 2.2. 행정동
- 2.2.1. [[종로구]]
 - 2.2.2. [[중구 (서울특별시)|중구]]
 - 2.2.3. [[용산구]]
 - 2.2.4. [[성동구]]
 - 2.2.5. [[광진구]]
 - 2.2.6. [[동대문구]]
 - 2.2.7. [[중랑구]]
 - 2.2.8. [[성북구]]
 - 2.2.9. [[강북구]]
 - 2.2.10. [[도봉구]]
 - 2.2.11. [[노원구]]
 - 2.2.12. [[은평구]]
 - 2.2.13. [[서대문구]]
 - 2.2.14. [[마포구]]
 - 2.2.15. [[양천구]]
 - 2.2.16. [[강서구]]
 - 2.2.17. [[구로구]]
 - 2.2.18. [[금천구]]
 - 2.2.19. [[영등포구]]
 - 2.2.20. [[동작구]]
 - 2.2.21. [[관악구]]
 - 2.2.22. [[서초구]]
 - 2.2.23. [[강남구]]
 - 2.2.24. [[송파구]]
 - 2.2.25. [[강동구]]
 
 
 - 3. 주요 시설 및 관광 명소
- 3.1. [[종로구]]
 - 3.2. [[중구 (서울특별시)|중구]]
 - 3.3. [[용산구]]
 - 3.4. [[성동구]]
 - 3.5. [[광진구]]
 - 3.6. [[동대문구]]
 - 3.7. [[중랑구]]
 - 3.8. [[성북구]]
 - 3.9. [[강북구]]
 - 3.10. [[도봉구]]
 - 3.11. [[노원구]]
 - 3.12. [[은평구]]
 - 3.13. [[서대문구]]
 - 3.14. [[마포구]]
 - 3.15. [[양천구]]
 - 3.16. [[강서구]]
 - 3.17. [[구로구]]
 - 3.18. [[금천구]]
 - 3.19. [[영등포구]]
 - 3.20. [[동작구]]
 - 3.21. [[관악구]]
 - 3.22. [[서초구]]
 - 3.23. [[강남구]]
 - 3.24. [[송파구]]
 - 3.25. [[강동구]]
 
 - 참조
 
1. 개요
서울특별시의 행정 구역은 25개의 자치구로 구성되어 있다. 각 자치구는 여러 개의 행정동으로 나뉘며, 인구, 면적, 세대수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표가 제시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서울특별시 전체의 행정 구역, 인구, 면적, 인구 밀도에 대한 정보와 각 구의 주요 시설 및 관광 명소에 대한 설명이 포함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도 (행정 구역)
도는 여러 국가에서 행정 구역 단위로 사용되며, 중국에서는 시대에 따라 행정구역의 지위가 변화했고, 한반도에서는 조선의 8도 체제가 남북한의 도 체계의 기반이 되었으며, 일본에서는 홋카이도에서만 '도' 명칭을 사용하고, 이탈리아와 스페인 등 다른 국가에서도 각기 다른 의미로 사용된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법정동
법정동은 행정 기능이 아닌 전통적 지역 구분 단위로, 주소 및 지적 분야에서 활용되며, '○○동' 또는 일제강점기 유래 가로명으로 명명되고, 동행정복지센터가 관할한다. - 대한민국의 시도별 행정 구역 - 강원특별자치도의 행정 구역
강원특별자치도의 행정 구역은 18개의 시·군으로 구성되며, 미수복 지역을 제외한 인구와 면적 정보를 표로 제공하고, 과거 행정 구역 변동이 있었다. - 대한민국의 시도별 행정 구역 - 충청북도의 행정 구역
충청북도는 대한민국의 중앙 내륙 지방에 위치하며 청주시, 충주시, 제천시를 주요 도시로 두고 3개의 시와 8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 전체 면적의 약 67%가 산지로 이루어져 있고 남한강, 금강, 미호강 등의 하천이 흐른다. - 꼬리표 지도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MICE 산업, 금융, 서비스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하며, 세계적인 무역항인 부산항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 유적과 관광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 꼬리표 지도 -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동아시아에 위치한 한반도 남부에 위치한 국가로, 삼국시대를 계승하여 1897년 대한제국 선포 이후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으로 국호가 확정되었으며, 약 5천만 명의 인구와 약 10만 km²의 면적으로 대통령 중심의 대통령제를 채택하고 있다. 
| 서울특별시의 행정 구역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국가 | 대한민국 | 
| 수도 | 서울 | 
| 광역 자치 단체 | 서울특별시 | 
| 하위 행정 구역 | 구 | 
| 자치구 수 | 25개 | 
| 면적 | 605.21 km² | 
| 행정 구역 | |
| 강남구 | 개포동 논현동 대치동 도곡동 삼성동 세곡동 수서동 신사동 압구정동 역삼동 율현동 일원동 청담동  | 
| 강동구 | 강일동 고덕동 길동 둔촌동 명일동 상일동 성내동 암사동 천호동  | 
| 강북구 | 미아동 번동 수유동  | 
| 강서구 | 가양동 개화동 공항동 과해동 내발산동 등촌동 마곡동 방화동 염창동 오곡동 오쇠동 외발산동 화곡동  | 
| 관악구 | 낙성대동 남현동 미성동 보라매동 서림동 서원동 성현동 신림동 신사동 은천동 인헌동 조원동 중앙동  | 
| 광진구 | 광장동 구의동 군자동 능동 자양동 중곡동 화양동  | 
| 구로구 | 가리봉동 개봉동 고척동 구로동 궁동 수궁동 신도림동 오류동  | 
| 금천구 | 가산동 독산동 시흥동  | 
| 노원구 | 공릉동 상계동 월계동 중계동 하계동  | 
| 도봉구 | 도봉동 방학동 쌍문동 창동  | 
| 동대문구 | 답십리동 신설동 용두동 이문동 장안동 전농동 제기동 청량리동 회기동  | 
| 동작구 | 노량진동 대방동 본동 사당동 상도동 신대방동 흑석동  | 
| 마포구 | 공덕동 구수동 노고산동 대흥동 도화동 망원동 상수동 상암동 서교동 성산동 신공덕동 아현동 연남동 염리동 용강동 중동 창전동 토정동 하중동 합정동  | 
| 서대문구 | 남가좌동 냉천동 대신동 미근동 북가좌동 북아현동 신촌동 연희동 영천동 옥천동 창천동 천연동 충정로3가  | 
| 서초구 | 반포동 방배동 서초동 신원동 양재동 염곡동 우면동 원지동  | 
| 성동구 | 금호동1가 금호동2가 금호동3가 금호동4가 도선동 마장동 사근동 상왕십리동 성수동1가 성수동2가 송정동 옥수동 용답동 응봉동 하왕십리동  | 
| 성북구 | 길음동 돈암동 동선동 보문동 삼선동 상월곡동 석관동 성북동 안암동 장위동 정릉동 종암동 하월곡동  | 
| 송파구 | 가락동 거여동 마천동 문정동 방이동 삼전동 석촌동 송파동 신천동 오금동 장지동 풍납동  | 
| 양천구 | 목동 신월동 신정동  | 
| 영등포구 | 당산동 대림동 도림동 문래동 신길동 양평동 여의도동 영등포동  | 
| 용산구 | 갈월동 남영동 도원동 동빙고동 보광동 산천동 서계동 서빙고동 신계동 용문동 이촌동 이태원동 주성동 청파동 한강로1가 한강로2가 한강로3가 한남동 효창동  | 
| 은평구 | 갈현동 구산동 녹번동 대조동 불광동 수색동 신사동 역촌동 응암동 증산동 진관동  | 
| 종로구 | 가회동 견지동 경운동 계동 공평동 관수동 관철동 관훈동 교남동 구기동 낙원동 내수동 누상동 누하동 당주동 도렴동 돈의동 묘동 무악동 봉익동 부암동 사간동 사직동 삼각동 서린동 세종로 소격동 송현동 수송동 숭인동 신교동 신문로1가 신문로2가 안국동 연건동 예지동 옥인동 와룡동 운니동 원남동 이화동 익선동 인사동 적선동 재동 종로1가 종로2가 종로3가 종로4가 종로5가 종로6가 중학동 창성동 창신동 청운동 체부동 충신동 통의동 팔판동 평동 필운동 혜화동 효자동  | 
| 중구 | 광희동 남대문로1가 남대문로2가 남대문로3가 남대문로4가 남대문로5가 남산동1가 남산동2가 남산동3가 남창동 다동 만리동1가 만리동2가 명동1가 명동2가 무교동 무학동 방산동 봉래동1가 봉래동2가 북창동 산림동 삼각동 서소문동 소공동 수표동 신당동 오장동 예관동 을지로1가 을지로2가 을지로3가 을지로4가 을지로5가 을지로6가 을지로7가 의주로1가 인현동1가 인현동2가 입정동 장교동 저동1가 저동2가 정동 주교동 중림동 초동 충무로1가 충무로2가 충무로3가 충무로4가 충무로5가 태평로1가 태평로2가 필동1가 필동2가 필동3가 황학동  | 
| 중랑구 | 망우동 면목동 묵동 상봉동 신내동 중화동  | 
2. 행정 구역
서울특별시에는 25개의 자치구가 있다.[1][2][3] 각 자치구는 고유한 행정 기능을 수행한다.
| 자치구 | 한자 | 세대 | 인구 | 면적 (km2) | 
|---|---|---|---|---|
| 종로구 | 鐘路區 | 73,554 | 153,531 | 23.91km2 | 
| 중구 | 中區 | 61,075 | 125,941 | 9.96km2 | 
| 용산구 | 龍山區 | 108,552 | 229,545 | 21.87km2 | 
| 성동구 | 城東區 | 136,000 | 308,519 | 16.85km2 | 
| 광진구 | 廣津區 | 161,293 | 355,352 | 17.06km2 | 
| 동대문구 | 東大門區 | 161,336 | 349,917 | 14.2km2 | 
| 중랑구 | 中浪區 | 179,758 | 405,118 | 18.5km2 | 
| 성북구 | 城北區 | 186,542 | 439,292 | 24.56km2 | 
| 강북구 | 江北區 | 143,134 | 321,757 | 23.61km2 | 
| 도봉구 | 道峰區 | 137,657 | 341,638 | 20.7km2 | 
| 노원구 | 蘆原區 | 217,528 | 548,371 | 35.44km2 | 
| 은평구 | 恩平區 | 203,528 | 484,021 | 29.69km2 | 
| 서대문구 | 西大門區 | 137,666 | 310,821 | 17.6km2 | 
| 마포구 | 麻浦區 | 170,955 | 374,579 | 23.88km2 | 
| 양천구 | 陽川區 | 176,284 | 466,723 | 17.4km2 | 
| 강서구 | 江西區 | 256,746 | 599,501 | 41.43km2 | 
| 구로구 | 九老區 | 171,827 | 406,888 | 20.12km2 | 
| 금천구 | 衿川區 | 106,464 | 233,145 | 13km2 | 
| 영등포구 | 永登浦區 | 169,466 | 368,733 | 24.57km2 | 
| 동작구 | 銅雀區 | 174,872 | 395,095 | 16.35km2 | 
| 관악구 | 冠岳區 | 260,090 | 503,900 | 29.57km2 | 
| 서초구 | 瑞草區 | 174,126 | 439,030 | 47km2 | 
| 강남구 | 江南區 | 228,853 | 545,809 | 39.51km2 | 
| 송파구 | 松坡區 | 268,802 | 667,144 | 33.88km2 | 
| 강동구 | 江東區 | 177,579 | 432,168 | 24.58km2 | 
| 서울특별시 | 서울特別市 | 4,243,687 | 9,806,538 | 605.25km2 | 
2. 1. 자치구 목록
2014년 서울시 통계청 추산에 따른 자치구별 인구, 면적, 인구밀도는 다음과 같다.[1][2][3]| 자치구 | 인구 | 면적(km2) | 인구밀도(명/km2) | 
|---|---|---|---|
| 종로구 | 165,344 | 23.91km2 | 6,915 | 
| 중구 | 136,227 | 9.96km2 | 13,677 | 
| 용산구 | 249,914 | 21.87km2 | 11,427 | 
| 성동구 | 303,891 | 16.86km2 | 17,968 | 
| 광진구 | 377,375 | 17.06km2 | 22,120 | 
| 동대문구 | 376,319 | 14.21km2 | 26,483 | 
| 중랑구 | 423,411 | 18.5km2 | 22,887 | 
| 성북구 | 475,961 | 24.58km2 | 19,364 | 
| 강북구 | 338,410 | 23.6km2 | 14,339 | 
| 도봉구 | 355,712 | 20.7km2 | 17,184 | 
| 노원구 | 586,056 | 35.44km2 | 16,536 | 
| 은평구 | 503,243 | 29.7km2 | 16,944 | 
| 서대문구 | 320,861 | 17.61km2 | 18,220 | 
| 마포구 | 395,830 | 23.84km2 | 16,604 | 
| 양천구 | 490,708 | 17.4km2 | 28,202 | 
| 강서구 | 591,653 | 41.43km2 | 14,281 | 
| 구로구 | 457,131 | 20.12km2 | 22,720 | 
| 금천구 | 258,030 | 13.02km2 | 19,818 | 
| 영등포구 | 421,436 | 24.53km2 | 17,180 | 
| 동작구 | 419,261 | 16.35km2 | 25,643 | 
| 관악구 | 531,960 | 29.57km2 | 17,990 | 
| 서초구 | 454,288 | 47km2 | 9,666 | 
| 강남구 | 583,446 | 39.5km2 | 14,771 | 
| 송파구 | 671,794 | 33.88km2 | 19,829 | 
| 강동구 | 481,332 | 24.59km2 | 19,574 | 
| 서울특별시 | 10,369,593 | 605.21km2 | 17,134 | 
2. 2. 행정동
서울특별시의 각 자치구는 여러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행정동은 주민의 수, 면적, 교통 등을 고려하여 설정되며, 주민센터를 통해 행정 서비스를 제공한다. 2014년 서울시 통계청 추산에 따르면, 서울특별시의 행정 구역별 인구, 면적, 인구밀도는 다음과 같다.[1][2][3]| 구분 | 인구 | 면적 | 인구밀도 | 
|---|---|---|---|
| 종로구 | 165,344 | 23.91km2 | 6915/km2 | 
| 중구 | 136,227 | 9.96km2 | 13677km2 | 
| 용산구 | 249,914 | 21.87km2 | 11427km2 | 
| 성동구 | 303,891 | 16.86km2 | 19364km2 | 
| 광진구 | 377,375 | 17.06km2 | 22120km2 | 
| 동대문구 | 376,319 | 14.21km2 | 26483/km2 | 
| 중랑구 | 423,411 | 18.5km2 | 22887km2 | 
| 성북구 | 475,961 | 24.58km2 | 19364km2 | 
| 강북구 | 338,410 | 23.6km2 | 14339/km2 | 
| 도봉구 | 355,712 | 20.7km2 | 17184/km2 | 
| 노원구 | 586,056 | 35.44km2 | 16536km2 | 
| 은평구 | 503,243 | 29.7km2 | 16944/km2 | 
| 서대문구 | 320,861 | 17.61km2 | 18220km2 | 
| 마포구 | 395,830 | 23.84km2 | 16604km2 | 
| 양천구 | 490,708 | 17.4km2 | 28202km2 | 
| 강서구 | 591,653 | 41.43km2 | 14281km2 | 
| 구로구 | 457,131 | 20.12km2 | 22720km2 | 
| 금천구 | 258,030 | 13.02km2 | 19818km2 | 
| 영등포구 | 421,436 | 24.53km2 | 17180km2 | 
| 동작구 | 419,261 | 16.35km2 | 25643/km2 | 
| 관악구 | 531,960 | 29.57km2 | 17990km2 | 
| 서초구 | 454,288 | 47km2 | 9666km2 | 
| 강남구 | 583,446 | 39.5km2 | 14771km2 | 
| 송파구 | 671,794 | 33.88km2 | 19829km2 | 
| 서울특별시 | 10,369,593 | 605.21km2 | 17134/km2 | 
2. 2. 1. [[종로구]]
종로구는 서울특별시의 중앙에 위치한 구로, 다음과 같은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1]종로구에는 경복궁, 광화문광장, 국립민속박물관, 낙산공원, 동묘공원, 북촌한옥마을, 조계사, 창덕궁, 청계천, 청와대, 종묘, 흥인지문 등 다양한 관광지가 있다.[2]
2. 2. 2. [[중구 (서울특별시)|중구]]
소공동, 회현동, 명동, 필동, 장충동, 광희동, 을지로동, 신당동, 다산동, 약수동, 청구동, 신당5동, 동화동, 황학동, 중림동[1]2. 2. 3. [[용산구]]

2. 2. 4. [[성동구]]
왕십리도선동, 왕십리2동, 마장동, 사근동, 행당1동, 행당2동, 응봉동, 금호1가동, 금호2·3가동, 금호4가동, 옥수동, 성수1가1동, 성수1가2동, 성수2가1동, 성수2가3동, 송정동, 용답동[1]2. 2. 5. [[광진구]]
| 행정동 | 주요 시설 및 관광지 | 
|---|---|
| 중곡1동, 중곡2동, 중곡3동, 중곡4동 | |
| 능동 | |
| 구의1동, 구의2동, 구의3동 | |
| 광장동 | |
| 자양1동, 자양2동, 자양3동, 자양4동 | |
| 화양동 | |
| 군자동 | 테크노마트, 아차산공원, 서울어린이대공원, 동서울터미널, 뚝섬유원지 | 

2. 2. 6. [[동대문구]]
동대문구는 서울특별시의 행정 구역 중 하나로, 다음과 같은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1]2. 2. 7. [[중랑구]]
서울특별시 중랑구는 다음과 같은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1]중랑구의 주요 관광지로는 용마랜드, 나들이공원 등이 있다.
2. 2. 8. [[성북구]]
성북구는 서울특별시의 행정 구역 중 하나이다.[1] 성북구에는 다음과 같은 행정동이 있다.고려대학교가 성북구에 있다.[2]
2. 2. 9. [[강북구]]
강북구에는 미아동, 번동, 수유동, 우이동이 있다. 행정동으로는 삼양동, 미아동, 송중동, 송천동, 삼각산동, 번1동, 번2동, 번3동, 수유1동, 수유2동, 수유3동, 우이동, 인수동이 있다.| 주요 관광지 | 
|---|
| 꿈의숲 | 
| 북한산국립공원 | 
2. 2. 10. [[도봉구]]
도봉구는 서울특별시 북동부에 있는 자치구이다. 1973년 성북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다.[1] 도봉구의 행정동은 다음과 같다.[1]2. 2. 11. [[노원구]]
2. 2. 12. [[은평구]]
은평구의 행정동은 다음과 같다.
2. 2. 13. [[서대문구]]
서대문구는 충현동, 천연동, 북아현동, 신촌동, 연희동, 홍제1동, 홍제2동, 홍제3동, 홍은1동, 홍은2동, 남가좌1동, 남가좌2동, 북가좌1동, 북가좌2동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1]2. 2. 14. [[마포구]]
마포구는 서울특별시의 행정 구역 중 하나로, 다음과 같은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2. 2. 15. [[양천구]]
양천구에는 다음과 같은 행정동이 있다.[1]- 목동
 - * 목1동
 - * 목2동
 - * 목3동
 - * 목4동
 - * 목5동
 - 신월동
 - * 신월1동
 - * 신월2동
 - * 신월3동
 - * 신월4동
 - * 신월5동
 - * 신월6동
 - * 신월7동
 - 신정동
 - * 신정1동
 - * 신정2동
 - * 신정3동
 - * 신정4동
 - * 신정6동
 - * 신정7동
 
2. 2. 16. [[강서구]]

강서구의 행정동은 다음과 같다.[1]
- 염창동
 - 등촌동
 - * 등촌1동
 - * 등촌2동
 - * 등촌3동
 - 화곡동
 - * 화곡본동
 - * 화곡1동
 - * 화곡2동
 - * 화곡3동
 - * 화곡4동
 - * 화곡6동
 - * 화곡8동
 - 우장산동
 - 가양동
 - * 가양1동
 - * 가양2동
 - * 가양3동
 - 발산1동
 - 공항동
 - 방화동
 - * 방화1동
 - * 방화2동
 - * 방화3동
 
2. 2. 17. [[구로구]]
- 고척스카이돔
 - 푸른수목원
 
2. 2. 18. [[금천구]]
금천구는 가산동, 독산1동, 독산2동, 독산3동, 독산4동, 시흥1동, 시흥2동, 시흥3동, 시흥4동, 시흥5동으로 구성되어 있다.[1]
2. 2. 19. [[영등포구]]
영등포구는 1943년 4월 1일 일제에 의해 설치된 구이다.[1] 영등포구의 행정동은 다음과 같다.2. 2. 20. [[동작구]]
노량진동에는 노량진1동, 노량진2동이 있다. 상도동에는 상도1동, 상도2동, 상도3동, 상도4동이 있다. 그 외에 흑석동, 사당동(사당1동, 사당2동, 사당3동, 사당4동, 사당5동), 대방동, 신대방동(신대방1동, 신대방2동)이 있다.2. 2. 21. [[관악구]]
관악구의 행정동은 다음과 같다.[1]2. 2. 22. [[서초구]]
서초구는 1988년 1월 1일 강남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으며, 서울특별시의 남부에 위치하고 있다.[1] 서초구에는 다음과 같은 행정동이 있다.[1]서초구는 방배동, 반포동, 잠원동, 내곡동, 서초동, 신원동, 우면동, 원지동, 양재동, 염곡동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1]
서초구에는 삼성타운, 양재시민의숲, 예술의전당,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세빛섬 등이 있다.[1]
2. 2. 23. [[강남구]]
신사동, 압구정동, 청담동, 논현1동, 논현2동, 삼성1동, 삼성2동, 대치1동, 대치2동, 대치4동, 역삼1동, 역삼2동, 도곡1동, 도곡2동, 개포1동, 개포2동, 개포4동, 일원본동, 일원1동, 일원2동, 수서동, 세곡동2. 2. 24. [[송파구]]
송파구는 다음과 같은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1]
송파구의 행정동은 다음과 같다.
| 행정동 | 
|---|
| 풍납1동 | 
| 풍납2동 | 
| 거여1동 | 
| 거여2동 | 
| 마천1동 | 
| 마천2동 | 
| 방이1동 | 
| 방이2동 | 
| 오륜동 | 
| 오금동 | 
| 송파1동 | 
| 송파2동 | 
| 석촌동 | 
| 삼전동 | 
| 가락본동 | 
| 가락1동 | 
| 가락2동 | 
| 문정1동 | 
| 문정2동 | 
| 장지동 | 
| 위례동 | 
| 잠실본동 | 
| 잠실2동 | 
| 잠실3동 | 
| 잠실4동 | 
| 잠실6동 | 
| 잠실7동 | 
2. 2. 25. [[강동구]]

강동구는 강일동, 상일1동, 상일2동, 명일1동, 명일2동, 고덕1동, 고덕2동, 암사1동, 암사2동, 암사3동, 천호1동, 천호2동, 천호3동, 성내1동, 성내2동, 성내3동, 길동, 둔촌1동, 둔촌2동으로 구성되어 있다.[1]
서울특별시의 각 구별 주요 시설 및 관광 명소는 다음과 같다.
3. 주요 시설 및 관광 명소
구 주요 시설 및 관광 명소 강남구 코엑스몰, 테헤란로, 강남역, 봉은사, 가로수길, 양재천, 도산공원, 국기원[2] 강동구 새마을공원, 천호동공원, 둔촌동습지, 길동생태공원[1] 강북구 꿈의숲, 북한산국립공원[1] 강서구 김포국제공항, 허준박물관, 매화공원[1] 관악구 서울대학교, 규장각, 관음사, 낙성대, 관악산, 호림박물관[1] 광진구 테크노마트, 아차산공원, 서울어린이대공원, 동서울터미널, 뚝섬유원지[1] 구로구 고척스카이돔, 푸른수목원, 신도림역[2] 금천구 안양천 노원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도봉구 도봉산[1] 동대문구 동대문디자인플라자, 청량리역, 경동시장, 홍릉수목원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노량진수산시장, 보라매공원, 사육신공원[1] 마포구 디지털미디어시티, 서울월드컵경기장, 홍대, 경의선숲길공원 서대문구 봉원사, 서대문형무소역사관, 동니문,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신촌, 독립공원[1] 서초구 삼성타운, 양재시민의숲, 예술의전당,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세빛섬 성동구 응봉산, 서울숲, 왕십리역[2] 성북구 고려대학교 송파구 올림픽공원, 방이동습지, 롯데월드, 롯데월드타워, 석촌호수, 서울종합운동장, 가락시장, 탄천, 위례성 양천구 목동운동장, 하이페리온, SBS 본사, CBS 본사 영등포구 밤섬, 여의도, 여의도공원, 국회의사당, 선유도, 63빌딩, 파이낸스센터 용산구 이태원, 전쟁기념관, 국립중앙박물관, 용산전자상가, 용산기지, 용산공원, 용산역 은평구 봉산공원, 구파발폭포[1] 중구 서울시청, 서울역, 덕수궁, 동대문디자인플라자, 남대문, 명동, 황학정공원, N서울타워, 서울시립미술관 종로구 청와대, 흥인지문, 동묘(동묘공원), 광화문광장, 조계사, 낙산공원, 경복궁, 창덕궁, 청계천, 종묘, 국립민속박물관, 북촌한옥마을 중랑구 용마랜드, 나들이공원[1] 
3. 1. [[종로구]]
종로구는 서울특별시의 중앙에 위치한 자치구이다. 조선 시대부터 600년 이상 서울의 중심지 역할을 해왔으며, 역사적인 명소와 현대적인 시설이 공존하는 곳이다.
종로구의 주요 시설은 다음과 같다.
| 시설 | 설명 | 
|---|---|
| 청와대 | 과거 대한민국의 대통령 집무실 및 관저로 사용되었던 곳이다. | 
| 흥인지문 | 조선시대 서울 도성의 동쪽 문으로, 흔히 동대문이라고도 불린다. | 
| 동묘(동묘공원) | 조선시대 무신 관우를 모시는 사당이다. | 
| 광화문광장 | 경복궁 앞에 위치한 대규모 광장이다. | 
| 조계사 | 대한불교 조계종의 총본산이다. | 
| 낙산공원 | 서울 도심에 위치한 공원으로, 아름다운 야경을 볼 수 있다. | 
| 경복궁 | 조선시대 정궁으로, 한국의 대표적인 궁궐 중 하나이다. | 
| 창덕궁 | 조선시대 궁궐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 청계천 | 서울 도심을 흐르는 하천으로, 복원 사업을 통해 시민들의 휴식 공간으로 조성되었다. | 
| 종묘 | 조선시대 역대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신 사당으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 국립민속박물관 | 한국 전통 생활 문화를 보존하고 전시하는 박물관이다. | 
| 북촌한옥마을 | 전통 한옥이 밀집된 지역으로, 서울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 중 하나이다. | 
3. 2. [[중구 (서울특별시)|중구]]
| 행정동 | 주요 시설 | 
|---|---|
| 소공동, 회현동, 명동, 필동, 장충동, 광희동, 을지로동, 신당동, 다산동, 약수동, 청구동, 신당5동, 동화동, 황학동, 중림동 | 서울시청, 서울역, 덕수궁, 동대문디자인플라자, 남대문, 명동, 황학정공원, N서울타워, 서울시립미술관 | 
3. 3. [[용산구]]
3. 4. [[성동구]]
성동구는 다음과 같은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2]주요 시설로는 응봉산, 서울숲, 왕십리역이 있다.[2]

3. 5. [[광진구]]
광진구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시설이 있다.[1]
광진구의 행정동은 다음과 같다.[2]
3. 6. [[동대문구]]
동대문구는 서울특별시의 동북부에 있는 자치구이다. 동대문디자인플라자, 청량리역, 경동시장, 홍릉수목원 등이 주요 시설로 꼽힌다.
동대문구의 행정동은 다음과 같다.
- 용신동
 - 제기동
 - 전농1동
 - 전농2동
 - 답십리1동
 - 답십리2동
 - 장안1동
 - 장안2동
 - 청량리동
 - 회기동
 - 휘경1동
 - 휘경2동
 - 이문1동
 - 이문2동
 
3. 7. [[중랑구]]
중랑구는 서울특별시의 행정 구역 중 하나이다. 중화동, 망우동, 묵동, 면목동, 상봉동, 신내동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시설로는 용마랜드와 나들이공원이 있다.[1]3. 8. [[성북구]]
성북구에는 고려대학교가 있다.3. 9. [[강북구]]
강북구는 미아동, 번동, 수유동, 우이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시설로는 꿈의숲, 북한산국립공원이 있다.[1]
3. 10. [[도봉구]]
도봉구는 도봉동, 방학동, 쌍문동, 창동의 4개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시설로는 도봉산이 있다.[1]| 법정동 | 주요 시설 | 
|---|---|

3. 11. [[노원구]]
노원구는 서울특별시의 행정 구역 중 하나로, 공릉동, 하계동, 중계동, 상계동, 월계동을 포함한다.주요 시설은 다음과 같다.
3. 12. [[은평구]]
은평구는 서울특별시 북서부에 있는 자치구이다.
은평구의 주요 시설은 다음과 같다.
| 시설 | 
|---|
| 봉산공원 | 
| 구파발폭포 | 
3. 13. [[서대문구]]
서대문구는 1943년 4월 1일 경성부 구역소 설치에 따라 설치되었다.[1] 봉원사, 서대문형무소역사관, 동니문,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신촌, 독립공원 등이 주요 시설이다.서대문구의 행정동은 다음과 같다.

3. 14. [[마포구]]

마포구에는 디지털미디어시티, 서울월드컵경기장, 홍대, 경의선숲길공원 등 다양한 시설이 있다.
마포구의 행정동은 다음과 같다.
3. 15. [[양천구]]
양천구에는 목동, 신정동, 신월동이 있다.
주요 시설로는 목동운동장, 하이페리온, SBS 본사, CBS 본사가 있다.
3. 16. [[강서구]]
'''강서구'''는 다음과 같은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강서구의 주요 시설은 다음과 같다.[1]
3. 17. [[구로구]]
구로구는 서울특별시의 남서부에 위치한 구이다.
3. 18. [[금천구]]
| 행정동 | 
|---|
안양천이 금천구를 지나간다.
3. 19. [[영등포구]]

영등포구는 서울특별시의 남서부에 위치한 자치구이다. 여의도, 밤섬, 선유도 등의 섬이 있으며, 주요 시설로는 여의도공원, 국회의사당, 63빌딩, 파이낸스센터 등이 있다.
영등포구의 행정동은 다음과 같다.
3. 20. [[동작구]]
동작구는 본동, 대방동, 동작동, 흑석동, 노량진동, 사당동, 상도동, 신대방동으로 구성되어 있다.주요 시설은 다음과 같다.

3. 21. [[관악구]]
관악구는 봉천동, 남현동, 신림동으로 구성되어 있다.[1]관악구의 주요 시설은 다음과 같다.

3. 22. [[서초구]]
서초구의 주요 시설은 다음과 같다.
3. 23. [[강남구]]

강남구는 서울특별시의 행정 구역 중 하나이다. 압구정동, 청담동, 대치동, 도곡동, 개포동, 일원동, 자곡동, 논현동, 삼성동, 세곡동, 신사동, 수서동, 역삼동, 율현동 등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시설로는 코엑스몰, 테헤란로, 강남역, 봉은사, 가로수길, 양재천, 도산공원, 국기원 등이 있다.[2]
3. 24. [[송파구]]
송파구에는 방이동, 가락동, 거여동, 잠실동, 장지동, 마천동, 문정동, 오금동, 풍납동, 삼전동, 석촌동, 신천동, 송파동 등의 행정동이 있다.송파구의 주요 시설은 다음과 같다.
3. 25. [[강동구]]
- 행정동
 
:* 강일동 · 상일1동 · 상일2동 · 명일1동 · 명일2동 · 고덕1동 · 고덕2동 · 암사1동 · 암사2동 · 암사3동 · 천호1동 · 천호2동 · 천호3동 · 성내1동 · 성내2동 · 성내3동 · 길동 · 둔촌1동 · 둔촌2동
- 주요 시설
 
:* 새마을공원
:* 천호동공원
:* 둔촌동습지
:* 길동생태공원
참조
[1] 
웹사이트
 
Area and Number of Administrative Units
 
http://stat.seoul.go[...] 
2015-10-13
 
[2] 
웹사이트
 
Administrative areas
 
http://stat.seoul.go[...] 
2015-10-13
 
[3] 
웹사이트
 
Seoul Metropolitan City
 
http://www.citypopul[...] 
2015-10-13
 
[4] 
웹사이트
 
자치구별 동 현황
 
http://www.seoul.go.[...] 
서울특별시
 
2017-08-13
 
[5] 
텍스트
 
[6] 
텍스트
 
[7] 
텍스트
 
[8] 
텍스트
 
[9] 
텍스트
 
[10] 
텍스트
 
[11] 
텍스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