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울특별시의 교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특별시의 교통은 항공, 철도, 도로, 버스, 택시 등 다양한 교통 수단을 포함하며, 서울시와 수도권의 광범위한 교통망을 연결한다. 서울에는 김포국제공항과 인천국제공항 두 개의 공항이 있으며, 인천국제공항은 주요 국제선 노선을 담당하고 김포국제공항은 국내선 및 일부 국제선 노선을 운항한다. 철도 교통은 서울역, 용산역, 청량리역 등 주요 기차역을 중심으로 KTX, SRT, 일반 열차 및 광역 전철이 운행되며, 수도권 전철은 서울 지하철과 연계되어 수도권 전역을 연결한다. 서울의 도로는 조선시대부터 형성된 도로망을 기반으로 방사상 도로와 순환 도로가 구축되어 있으며, 교통 체증을 완화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버스는 서울의 주요 대중교통 수단으로, 간선, 지선, 광역, 순환 버스 등 다양한 노선이 운영된다. 택시는 일반, 모범, 국제 택시로 구분되며, T-money와 같은 교통카드를 통해 대중교통 요금을 결제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교통 - 서울시티투어버스
    서울시티투어버스는 서울의 주요 관광지를 순환하며 도심 순환, 청계·고궁, 서울파노라마 등 다양한 테마 코스와 야간 코스를 제공하는 시티투어 버스 서비스로, 2층 버스와 트롤리 버스를 포함한 다양한 버스들이 운행된다.
  • 대한민국의 교통 - 가평군의 농어촌버스
    가평군의 농어촌버스는 가평군을 중심으로 운행하는 시내버스 체계로, 가평교통이 주요 운행 업체이며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적용받고, 각 지역을 연결하는 노선망과 서울 방면 노선, 직행좌석 및 간선급행버스 노선도 포함한다.
  • 서울특별시의 교통 - 남산1호터널
    남산1호터널은 서울특별시 중구와 용산구를 잇는 터널로, 1970년 개통되어 유사시 시민 대피를 위한 목적으로 건설되었으며, 민간 자본으로 건설 후 서울특별시에서 인수, 확장되었고 현재는 혼잡 통행료를 징수하며 특정 조건에 따라 요금 감면 혜택을 제공한다.
  • 서울특별시의 교통 - 김포국제공항
    김포국제공항은 서울 강서구에 위치한 국제공항으로, 과거 대한민국의 관문이었으나 현재는 국내선과 단거리 국제선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한국공항공사가 운영한다.
  • 서울특별시에 관한 - 박원순
    박원순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사회운동가, 정치인으로, 인권변호사, 시민운동가, 사회적 기업 운동가로 활동하다가 무소속으로 서울특별시장에 당선되어 대한민국 최초의 3선 서울특별시장이 되었으나, 성추행 혐의로 고소당한 후 사망했다.
  • 서울특별시에 관한 - 노원구
    노원구는 서울특별시 북동부에 위치한 자치구로, 주변 도시와 접하며 갈대밭 또는 여관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불리고, 수락산, 불암산 등의 자연환경과 여러 전철 노선 및 교육기관이 위치해 있다.
서울특별시의 교통
지도
개요
국가대한민국
특별시서울특별시
철도
운영 기관한국철도공사
서울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
경기철도
김포골드라인운영
네오트랜스
신분당선주식회사
광역철도수도권 전철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도시 철도서울 지하철
철도 총 연장1,041.8 킬로미터 (2023년)
도로
고속도로경부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강변북로
올림픽대로
내부순환로
동부간선도로
북부간선도로
서부간선도로
국회대로
자동차 등록 대수397만 6,000대 (2022년 12월 31일 기준)
버스
운영 기관서울특별시청
대진여객
서울운수
북부운수
동아운수
태릉교통
한성여객
보성운수
정릉교통
유성운수
진화운수
삼화상운
흥안운수
제일여객
신성교통
도원교통
우신운수
신길운수
영신여객
김포교통
선진운수
세풍운수
범일운수
현대교통
남성교통
송파상운
한남여객운수
서울매일버스
공항리무진
KD운송그룹
버스 종류간선버스
지선버스
광역버스
심야버스
마을버스
투어버스
공항 리무진
총 버스 대수7,383대 (2021년 12월 31일 기준)
항공
공항김포국제공항
해운
항만서울항
기타
BRT중앙버스전용차로
교통 카드
교통 카드티머니
캐시비

2. 항공

서울특별시에는 2개의 공항이 있다. 김포국제공항은 원래 김포시에 있었으나 1963년 서울시에 편입되었으며, 한국 전쟁 중 건설된 이래 서울의 유일한 공항이었다. 전쟁 전후로 서울과 그 주변에 여러 공항이 건설되었다. 가장 유명한 곳은 한때 한국의 세계 관문 역할을 했던 여의도에 있었다.

수도권에 있어서 대부분의 국제 항공 노선은 인천에 있는 인천국제공항에서 뜨고 내린다. 강서구에 있는 김포국제공항은 20세기에는 일본·미국·유럽·중동의 주요 도시와 연결되었던 대한민국의 문호이었으나 그 자리를 인천국제공항에 넘겨 주고, 현재는 김해국제공항, 광주공항, 포항경주공항, 사천공항, 울산공항, 무안국제공항, 여수공항, 제주국제공항 등과 연결되는 국내선 항공로의 기점이고, 일본 도쿄의 하네다공항과 중국 상하이의 홍차오공항, 걸프스트림세스나미국, 중국의 베이징 서우두 국제공항, 일본 오사카간사이 국제공항, 일본 나고야의 주부 국제공항과 북한의 고려항공은 순안비행장 등으로 가는 국제선 여객기를 이용할 수 있다. 그 외의 국제선 노선은 인천국제공항을 이용한다.

2001년 3월 인천영종도인천국제공항이 개항하면서 김포공항의 역할이 크게 바뀌었다. 현재 인천국제공항은 거의 모든 국제선 항공편을 담당하고 있다. 인천국제공항 개항 이후 김포공항은 국내선만 운항하기 시작했으나, 현재는 도쿄(하네다 공항), 오사카(간사이 국제공항), 베이징(수도 국제공항), 상하이(상하이 훙차오 공항), 타이페이(타이페이 쑹산 공항) 등 동아시아 주요 도시로 제한적인 노선을 운항하기 시작했다.

한편, 인천국제공항은 홍콩 국제공항, 싱가포르 창이 공항과 더불어 동아시아의 주요 교통 중심지가 되었다. 2001년 개항 이후 2008년에 제3활주로 및 연결 통로 연장, 2018년에 제2터미널을 개장했으며, 현재 추가 확장이 진행 중이다. 인천국제공항은 Skytrax와 국제공항협의회에서 세계 최고의 공항으로 자주 선정되었다.[3]

인천국제공항과 김포국제공항은 고속도로와 도시철도로 서울 및 전국과 연결되어 있다. 인천국제공항철도 (또는 AREX, A'REX로 표기) 역은 메인 터미널 건물 옆의 교통 센터에 위치해 있으며, 김포공항과 서울로 도시철도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도 공항에서 운행된다. 김포국제공항의 경우, AREX 노선 외에도 서울 지하철과 연결되어 있으며, 김포공항역서울 지하철 5호선, 서울 지하철 9호선, 김포 골드라인, 서해선에서 서비스를 제공한다.

2. 1. 인천국제공항

인천국제공항은 2001년 3월 29일 인천광역시 중구 영종도에 개항하여 대한민국의 관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9] 대부분의 국제선 항공편을 처리하며, 홍콩 국제공항, 싱가포르 창이 공항과 함께 동아시아의 주요 교통 중심지로 성장하였다. 2008년 제3활주로 및 연결 통로를 연장하고, 2018년 제2여객터미널을 개장하는 등 지속적인 확장을 통해 동아시아 교통 허브로서의 위상을 강화하고 있다.[3] Skytrax와 국제공항협의회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공항으로 자주 선정되었다.[3]

인천국제공항에서 서울 도심까지는 약 1시간이 소요되며, 인천국제공항철도 (AREX),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등을 이용해 서울 및 전국과 연결된다. 강남구 코엑스에는 한국도심공항에서 운영하는 공항버스 터미널이 있다.

2. 2. 김포국제공항

강서구에 있는 김포국제공항은 20세기에는 일본, 미국, 유럽, 중동의 주요 도시와 연결되었던 대한민국의 관문이었으나, 인천국제공항 개항 이후 현재는 김해국제공항, 광주공항 등 국내선과 일본 도쿄의 하네다공항, 중국 상하이의 홍차오공항등 일부 국제선 여객기를 운항하고 있다.[9] 김포국제공항은 원래 김포시에 있었으나 1963년 서울시에 편입되었으며, 한국 전쟁 중 건설된 이래 서울의 유일한 공항이었다.[3]

3. 철도

경부선중앙선 철도의 시발점인 서울역에서는 경부선 열차를, 용산역에서는 호남·전라·장항선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청량리역에서는 경춘·중앙·영동·태백선 열차를 탈 수 있다. 2007년에는 공항철도가 개통되어 인천국제공항김포국제공항을 연결하였고, 2010년에는 서울역까지 연장되어 서울의 중심부와 공항을 연결하였다.

서울역 승강장


KTX


대한민국의 수도인 서울은 대부분의 주요 도시 간 철도 및 고속 철도 서비스가 종착하는 곳이다. 여기에는 시속 300km의 KTX와 SRT 고속철도, 그리고 일반 철도 노선의 ITX 서비스가 포함된다.

주요 철도역으로는 서울역, 용산역, 영등포역, 청량리역, 수서역 등이 있다. 서울역은 중구에 위치하며 부산, 대구, 창원, 포항, 강릉, 동해 방면 일반 철도 및 고속철도 서비스를 제공한다. 용산구에 있는 용산역에서는 익산, 광주, 목포, 전주, 여수 방면 일반 철도 및 고속철도 서비스(KTX/ITX/무궁화호)와 춘천행 ITX-청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영등포구의 영등포역에서는 부산, 목포, 여수 등 방면 일반 철도 서비스와 수원 경유 부산행 고속철도 서비스를, 동대문구청량리역에서는 강릉, 동해, 원주, 안동, 부전, 춘천 방면 일반 철도 및 개량 고속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강남구에 위치한 수서역은 목포, 여수, 부산, 창원, 포항행 SRT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외에도 옥수역 및 왕십리역에서는 춘천행 ITX-청춘 서비스를, 상봉역에서는 일부 ITX-청춘 서비스와 강릉, 동해, 안동행 일부 KTX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판교역과 광명역은 서울시 내에 위치하지 않지만, 각각 충주행 KTX 서비스와 서울역, 용산역에 정차하는 대부분의 고속철도 서비스를 제공한다.

보수 정권에서 추진된 KTX, SRT 등 고속철도는 지역 간 이동 시간을 단축하여 국가 균형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진보 진영에서는 KTX 요금 인하, SRT와의 통합 등 공공성 강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3. 1. 주요 철도 노선

경부선중앙선 철도의 시발점인 서울역에서는 경부선 열차를, 용산역에서는 호남·전라·장항선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청량리역에서는 경춘·중앙·영동·태백선 열차를 탈 수 있다. 2007년에는 공항철도가 개통되어 인천국제공항김포국제공항을 연결하였고, 2010년에는 서울역까지 연장되어 서울의 중심부와 공항을 연결하였다.

대한민국의 수도인 서울은 대부분의 주요 도시 간 철도 및 고속 철도 서비스가 종착하는 곳이다. 여기에는 시속 300km의 KTX와 SRT 고속철도, 그리고 일반 철도 노선의 ITX 서비스가 포함된다.

주요 철도역으로는 서울역, 용산역, 영등포역, 청량리역, 수서역 등이 있다. 서울역은 중구에 위치하며 부산, 대구, 창원, 포항, 강릉, 동해 방면 일반 철도 및 고속철도 서비스를 제공한다. 용산구에 있는 용산역에서는 익산, 광주, 목포, 전주, 여수 방면 일반 철도 및 고속철도 서비스(KTX/ITX/무궁화호)와 춘천행 ITX-청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영등포구의 영등포역에서는 부산, 목포, 여수 등 방면 일반 철도 서비스와 수원 경유 부산행 고속철도 서비스를, 동대문구청량리역에서는 강릉, 동해, 원주, 안동, 부전, 춘천 방면 일반 철도 및 개량 고속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강남구에 위치한 수서역은 목포, 여수, 부산, 창원, 포항행 SRT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외에도 옥수역 및 왕십리역에서는 춘천행 ITX-청춘 서비스를, 상봉역에서는 일부 ITX-청춘 서비스와 강릉, 동해, 안동행 일부 KTX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판교역과 광명역은 서울시 내에 위치하지 않지만, 각각 충주행 KTX 서비스와 서울역, 용산역에 정차하는 대부분의 고속철도 서비스를 제공한다.

보수 정권에서 추진된 KTX, SRT 등 고속철도는 지역 간 이동 시간을 단축하여 국가 균형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진보 진영에서는 KTX 요금 인하, SRT와의 통합 등 공공성 강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3. 2.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GTX)

4. 도로

조선시대의 가로는 서울 도심 중앙을 지나는 종로 거리와 종로 거리에서 광화문, 돈화문, 남대문 쪽으로 갈라지는 정자형(丁字型) 대로가 주요한 도로였다.[9] 그러나 대부분의 넓고 좋은 가로는 구릉이나 개울을 자연경계로 하여 정하였기 때문에 불규칙한 형태였다. 즉 자연발생적으로 생긴 불규칙한 가로망이 현재까지 많이 남아 있는 것이다.[9] 그러나 기존 시가지의 재개발과 함께 무교로·종로 1가와 같이 개수(改修)하고 확장하여 가로의 모습은 많이 달라졌다. 1966년부터는 시가지의 대폭적인 재개발로 건물의 고층화와 함께 도로의 입체화가 진전되었다.[9] 또한 강남지역과 강북지역을 연결하면서, 서울의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해서 동호대로가 개통되어 남·북간의 교통체증을 크게 덜어주고 있다.[9] 서울의 가로망은 일반적으로 지역에 따라 다양하다. 도심부에는 조선시대부터 사용해 온 주요 간선도로를 중심으로 동서방향의 율곡로, 종로, 청계로, 을지로, 퇴계로와 남북방향의 의주로, 세종대로, 남대문로 등이 있다.[9] 또한 서울이 거대도시화하여 감에 따라 도심부와 주변 지역, 도심부와 위성도시를 연결하는 19개의 방사상도로와 도심지에서 반지름 2km·5km·10km 거리의 부도심과 도심간, 또는 부도심간의 유기적인 연결을 위한 여러 개의 순환도로가 기본 도로망이 되었다.[9] 주변 지역인 영동·화곡·불광·면목·구로·개봉 지구에는 직교상 가로망이 분포되어 있다. 서울특별시2000년 이후에도 점증할 교통난 해소를 위해 내부순환로 및 외부순환도로의 지속적 확충에 노력하고 있다.[9] 특히 북부간선도로 등 도시고속도로 건설, 과학적인 교통체계 개선과 기존도로의 유지·보수에도 유의하고 있다.[9] 이상과 같이 여러 갈래로 분포되어 있는 서울의 도로 총연장은 2000년말 현재 도로 총길이 8,600km, 도로율 25%이다.[9] 경부고속도로용인서울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등이 남쪽으로 이어져 있으며 시 외곽에는 서울특별시 외곽을 순환하는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가 있고,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보다 바깥쪽을 순환하는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가 공사중이다.[9] 도시 내부에는 남부순환로, 올림픽대로, 강변북로, 내부순환로, 동부간선도로, 서부간선도로 등 고속화 도로가 건설되어 있다.[9]

많은 시민들이 주변 지대의 주택지에 생활하고 있으므로 도심지로 들어가기 위한 통근·통학시간인 러시아워에는 교통이 매우 혼잡하다.[9] 이 시간에 1일 교통량의 60%와 대부분의 교통인구가 이동되고 있기 때문이다.[9] 서울은 인구의 과다집중으로 교통인구는 해마다 늘어나 교통 사정도 계속 악화돼 서울시는 이러한 교통난의 해소를 위해 제3호 터널의 건설, 영등포구에 있는 입체교차로, 남대문, 시청앞, 세종대로, 소공로, 종로 등지에 지하도를 개설하고 버스 통행이 가장 많은 시간대인 오전 7시∼10시 사이와 오후 5시∼9시 사이에 버스전용차선제를 실시하고는 있으나 아직 근본적인 해결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9]

4. 1. 역사적 도로망

조선시대 서울의 주요 도로는 서울 도심 중앙을 지나는 종로 거리와 광화문, 돈화문, 남대문으로 이어지는 정자형(丁字型) 대로였다.[9] 그러나 대부분의 도로는 구릉이나 개울 등 자연 지형에 따라 형성되었기 때문에 불규칙한 형태였으며, 이러한 자연 발생적인 도로망은 현재까지도 많이 남아있다.[9]

1966년부터 시가지 재개발로 건물의 고층화와 함께 도로의 입체화가 진전되었다.[9] 동호대로 개통으로 강남·북 지역이 연결되어 남북 간 교통 체증이 완화되었다.[9] 서울의 가로망은 지역에 따라 다양한데, 도심부에는 동서 방향의 율곡로, 종로, 청계로, 을지로, 퇴계로와 남북 방향의 의주로, 세종대로, 남대문로 등이 있다.[9]

서울의 거대도시화에 따라 도심부와 주변 지역, 위성도시를 연결하는 19개의 방사상 도로와 여러 개의 순환도로가 기본 도로망이 되었다.[9] 주변 지역에는 직교상 가로망이 분포되어 있다.[9] 서울특별시2000년 이후에도 교통난 해소를 위해 내부순환로 및 외부순환도로를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도시고속도로 건설과 교통 체계 개선, 기존 도로 유지·보수에 힘쓰고 있다.[9] 2000년 말 기준 서울의 도로 총 길이는 8,600km, 도로율은 25%이다.[9]

경부고속도로, 용인서울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등이 남쪽으로 이어져 있으며, 시 외곽에는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공사중)가 있다.[9] 도시 내부에는 남부순환로, 올림픽대로, 강변북로, 내부순환로, 동부간선도로, 서부간선도로 등 고속화 도로가 건설되어 있다.[9]

러시아워 시간에는 교통량이 집중되어 교통 혼잡이 심하다.[9] 서울시는 교통난 해소를 위해 제3호 터널 건설, 입체교차로, 지하도 개설, 버스전용차선제 등을 실시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9]

4. 2. 현대적 도로망

서울 도심부에는 조선시대부터 사용해 온 주요 간선도로를 중심으로 동서방향의 율곡로, 종로, 청계로, 을지로, 퇴계로와 남북방향의 의주로, 세종대로, 남대문로 등이 있다.[9] 도심부와 주변 지역, 도심부와 위성도시를 연결하는 19개의 방사상도로와 여러 개의 순환도로가 기본 도로망을 구성한다.[9] 주변 지역인 영동·화곡·불광·면목·구로·개봉 지구에는 직교상 가로망이 분포되어 있다.[9]

경부고속도로, 용인서울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등이 남쪽으로 이어져 있으며, 시 외곽에는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가 있고, 그 바깥쪽으로는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가 공사 중이다.[9] 도시 내부에는 남부순환로, 올림픽대로, 강변북로, 내부순환로, 동부간선도로, 서부간선도로 등 고속화 도로가 건설되어 있다.[9]

1966년부터 시가지의 대폭적인 재개발로 건물의 고층화와 함께 도로의 입체화가 진전되었다.[9] 서울특별시2000년 이후에도 교통난 해소를 위해 내부순환로 및 외부순환도로의 지속적 확충에 노력하고 있다.[9] 그러나 보수 정권 시절 건설된 일부 도시고속도로는 교통 체증 완화에 기여했으나, 환경 문제와 도시 미관 저해 문제를 야기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4. 3. 교통 체증 문제

서울은 인구 밀도가 높아 출퇴근 시간(러시아워)에 교통 체증이 심각하다.[9] 많은 시민들이 주변 지역에 거주하며 도심으로 통근·통학하기 때문에 이 시간대에 교통량의 60%가 집중되어 교통 혼잡이 발생한다.[9]

조선시대 서울의 주요 도로는 서울 도심 중앙을 지나는 종로광화문, 돈화문, 남대문으로 이어지는 정자형(丁字型) 대로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도로는 구릉이나 개울 등 자연 지형에 따라 불규칙하게 형성되었고, 이러한 불규칙한 도로망은 현재까지 남아있다. 1966년 이후 시가지 재개발로 건물이 고층화되고 도로의 입체화가 진행되었으며, 동호대로 개통으로 강남·북 지역 간 교통 체증이 완화되었다.

서울의 가로망은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보인다. 도심부에는 율곡로, 종로, 청계로, 을지로, 퇴계로 등 동서 방향 도로와 의주로, 세종대로, 남대문로 등 남북 방향 도로가 있다. 또한, 도심부와 주변 지역, 위성도시를 연결하는 19개의 방사상 도로와 여러 개의 순환도로가 주요 도로망을 형성한다. 영동, 화곡, 불광, 면목, 구로, 개봉 지구에는 직교상 가로망이 분포한다.

서울특별시는 교통난 해소를 위해 내부순환로 및 외부순환도로 확충, 북부간선도로 등 도시고속도로 건설, 교통 체계 개선, 도로 유지·보수에 힘쓰고 있다. 2000년 말 기준 서울의 도로 총 길이는 8,600km, 도로율은 25%이다. 경부고속도로, 용인서울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등이 남쪽으로 이어지며,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가 서울 외곽을 순환한다. 도시 내부에는 남부순환로, 올림픽대로, 강변북로, 내부순환로, 동부간선도로, 서부간선도로 등 고속화 도로가 건설되어 있다.

서울시는 교통난 해소를 위해 제3호 터널 건설, 영등포구 입체교차로, 남대문, 시청 앞, 세종대로, 소공로, 종로 등지에 지하도 개설, 버스전용차선제 등을 시행하고 있다.[9] 진보 진영에서는 대중교통 중심의 교통 정책, 자전거 도로 확충, 차량 공유 서비스 활성화 등 친환경적인 교통 정책을 강조한다.

5. 버스

wikitext

서울시내버스 571번


서울 대중교통망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는 서울특별시의 버스는 서울특별시 도시교통본부에서 관리하고 각 운수 회사에서 운행하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4] 버스의 서비스 빈도가 높은 곳은 도시반지름 5km 이내의 도심지와 기차와 버스를 갈아타는 서울역, 청량리역, 영등포역 부근, 그리고 서울고속버스터미널과 남부터미널 부근이다.[4]

서울 시내버스는 다음과 같은 네 종류가 있다.

  • 빨강, 서울과 외곽 지역을 연결하는 "광역" 버스.
  • 파랑, 간선 교통을 보조하는 "간선" 버스.
  • 초록, 특정 지역을 광범위하게 운행하는 "지선" 버스.
  • 노랑, 특정 지역을 순환하는 "순환" 버스.


진보 진영에서는 시내버스 준공영제, 저상버스 도입 확대, 심야버스 운영 등 대중교통 서비스 개선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5. 1. 시내버스



서울 대중교통망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는 서울특별시의 버스는 서울특별시 도시교통본부에서 관리하고 각 운수 회사에서 운행하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4] 버스의 서비스 빈도가 높은 곳은 도시반지름 5km 이내의 도심지와 기차와 버스를 갈아타는 서울역, 청량리역, 영등포역 부근, 그리고 서울고속버스터미널과 남부터미널 부근이다.[4]

서울 시내버스는 다음과 같은 네 종류가 있다.

  • 빨강, 서울과 외곽 지역을 연결하는 "광역" 버스.
  • 파랑, 간선 교통을 보조하는 "간선" 버스.
  • 초록, 특정 지역을 광범위하게 운행하는 "지선" 버스.
  • 노랑, 특정 지역을 순환하는 "순환" 버스.


진보 진영에서는 시내버스 준공영제, 저상버스 도입 확대, 심야버스 운영 등 대중교통 서비스 개선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5. 2. 시외버스 터미널

서울에는 대한민국 전역의 도시들을 연결하는 대규모 시외버스 터미널이 많이 있다. 주요 버스 터미널은 다음과 같다.

과거에는 상봉터미널(중랑구), 동마장터미널(동대문구), 서울 서부 버스 터미널(은평구), 용산터미널(용산구) 등이 있었으나, 승객 감소 또는 재정적 어려움으로 폐쇄되거나 다른 터미널로 통합되었다.

6. 도시철도 (지하철)

서울의 지하철 내부


서울 지하철 1호선부터 9호선까지 9개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9] 2호선은 서울의 순환선이며, 그 외 노선은 서울의 각 지역을 연결하고 있다. 서울 지하철은 높은 접근성, 편리한 환승 시스템, 저렴한 요금으로 시민들의 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하루 800만 명 이상이 이용하는 세계적으로 혼잡한 지하철 시스템 중 하나이지만, 효율성과 편리성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2]

1974년 청량리와 서울역 사이의 서울 지하철 1호선 개통을 시작으로, 1984년 서울 도심과 강남 지역을 순환하는 서울 지하철 2호선이 개통되었고, 1985년에는 서울 지하철 3호선서울 지하철 4호선이 개통되었다.[9] 1996년에는 5호선(방화~상일동, 강동~마천), 7호선(장암~건대입구), 8호선(암사~모란) 등이 개통되었으며, 2009년 7월 24일에는 9호선이 개통되었다.[9]

6. 1. 노선 현황

서울 지하철 1호선부터 9호선까지 9개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9] 2호선은 서울의 순환선이며, 그 외 노선은 서울의 각 지역을 연결하고 있다. 서울 지하철은 높은 접근성, 편리한 환승 시스템, 저렴한 요금으로 시민들의 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하루 800만 명 이상이 이용하는 세계적으로 혼잡한 지하철 시스템 중 하나이지만, 효율성과 편리성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2]

1974년 청량리와 서울역 사이의 서울 지하철 1호선 개통을 시작으로, 1984년 서울 도심과 강남 지역을 순환하는 서울 지하철 2호선이 개통되었고, 1985년에는 서울 지하철 3호선서울 지하철 4호선이 개통되었다.[9] 1996년에는 5호선(방화~상일동, 강동~마천), 7호선(장암~건대입구), 8호선(암사~모란) 등이 개통되었으며, 2009년 7월 24일에는 9호선이 개통되었다.[9]

7. 수도권 전철

1974년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인 서울 지하철 1호선(서울역청량리역)이 개통된 후 철도청 관할 구간인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을 복선 전철화하여 1호선과 직결 운행을 시작한 것이 '''수도권 전철'''의 시초이다. 서울 지하철 3호선서울 지하철 4호선이 개통된 1988년에는 안산선이 개통되어 수도권 전철의 일원이 되었다. 1990년대서울특별시 주변에 신도시들이 개발되어 교통 문제 해결을 위해 서울–신도시간 광역 철도가 필요하게 되었고 이 사업의 일환으로 일산선, 과천선, 분당선이 개통되었다. 당시에는 경의선 복선 전철화 공사와 성남선(현 서울 지하철 8호선)도 추진되었으나 잠정 중단되었다. 2000년에는 서울 지하철 전 구간이 수도권 전철에 편입되면서 경부선, 경인선, 경원선1호선으로, 일산선3호선으로, 과천선안산선4호선으로 편입되었다. 2005년에는 경부선 병점–천안 구간과 경원선 의정부–동두천간 복선 전철화 완공으로 1호선의 운행 구간이 되었고, 같은 해에 중앙선 청량리–덕소가 복선 전철화되어 역시 통근형 전동차가 운행하게 되었다. 2008년 12월에는 장항선 천안–신창 구간이 복선 전철화되었고, 중앙선 복선 전철화 구간이 용문역까지 연장되었다. 2009년 7월 1일에는 경의선 복선 전철화 디지털미디어시티-문산이 개통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서울 지하철과 무료 환승이 가능하며 수도권 대중교통 통합요금제 시행에 따라 서울시·경기도 내 시내버스와도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

7. 1. 노선 및 운영

1974년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인 서울 지하철 1호선(서울역청량리역)이 개통된 후 철도청 관할 구간인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을 복선 전철화하여 1호선과 직결 운행을 시작한 것이 수도권 전철의 시초이다. 서울 지하철 3호선서울 지하철 4호선이 개통된 1988년에는 안산선이 개통되어 수도권 전철의 일원이 되었다. 1990년대에 서울특별시 주변에 신도시들이 개발되어 교통 문제 해결을 위해 서울–신도시간 광역 철도가 필요하게 되었고 이 사업의 일환으로 일산선, 과천선, 분당선이 개통되었다. 2000년에는 서울 지하철 전 구간이 수도권 전철에 편입되면서 경부선, 경인선, 경원선1호선으로, 일산선3호선으로, 과천선안산선4호선으로 편입되었다. 2005년에는 경부선 병점–천안 구간과 경원선 의정부–동두천간 복선 전철화 완공으로 1호선의 운행 구간이 되었고, 같은 해에 중앙선 청량리–덕소가 복선 전철화되어 역시 통근형 전동차가 운행하게 되었다. 2008년 12월에는 장항선 천안–신창 구간이 복선 전철화되었고, 중앙선 복선 전철화 구간이 용문역까지 연장되었다. 2009년 7월 1일에는 경의선 복선 전철화 디지털미디어시티-문산이 개통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서울 지하철과 무료 환승이 가능하며 수도권 대중교통 통합요금제 시행에 따라 서울시·경기도 내 시내버스와도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

8. 택시

서울 택시


서울에는 일반 택시와 모범 택시 두 종류가 운행되고 있다.[5] 일반 택시는 처음 2km까지 기본 요금이 3,800원이며, 이후 132m당 100원(1km당 약 758원)씩 추가된다. 시속 15km 미만 주행 시에는 31초당 100원이 추가된다. 자정부터 오전 4시까지는 20%의 심야 할증 요금이 적용된다. 일반 택시는 주로 흰색, 은색, 노란색이다.[5]

모범 택시는 처음 3km까지 기본 요금이 6,500원이며, 이후 151m당 200원(1km당 약 1,325원)씩 추가된다. 시속 15km 미만 주행 시에는 36초당 200원이 추가된다. "모범 택시"라는 이름은 택시 서비스가 모범이 되어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모범 택시는 심야 할증 요금이 없다.[5]

국제 택시는 일반 택시나 모범 택시보다 요금이 20% 더 비싸지만, 영어 등 외국어 서비스가 제공된다.[5]

서울특별시는 일반 택시의 색상을 서울 오렌지색으로 변경하는 정책을 추진하여, 2016년까지 도색을 완료할 계획이었으나, 현재는 다양한 색상의 택시가 운행되고 있다. 이는 서울시의 택시 디자인 정책 변화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5]

8. 1. 택시 종류 및 요금

서울에는 일반 택시와 모범 택시 두 종류가 있다.[5]

일반 택시는 처음 2km까지 기본 요금이 3,800원이며, 이후 132m당 100원(1km당 약 758원)씩 추가된다. 시속 15km 미만 주행 시에는 31초당 100원이 추가된다. 자정부터 오전 4시까지는 20%의 심야 할증 요금이 적용된다. 일반 택시는 주로 흰색, 은색, 노란색이다.[5]

모범 택시는 처음 3km까지 기본 요금이 6,500원이며, 이후 151m당 200원(1km당 약 1,325원)씩 추가된다. 시속 15km 미만 주행 시에는 36초당 200원이 추가된다. 모범 택시는 심야 할증 요금이 없다.[5]

국제 택시는 일반 택시나 모범 택시보다 요금이 20% 더 비싸지만, 영어 등 외국어 서비스가 제공된다.[5]

서울특별시는 일반 택시의 색상을 서울 오렌지색으로 변경하는 정책을 추진하여 2016년까지 도색을 완료할 예정이었다.[5]

9. 결제 시스템

티머니 교통카드는 서울 시내 대중교통(버스 및 지하철)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결제 수단이다.[6] 티머니 카드는 각 지하철역의 자동판매기에서 2,500원에 구매할 수 있으며, 서울 시내 대부분의 주요 편의점에서도 구매할 수 있다. 카드에 돈을 충전한 후, 버스나 지하철역에 출입할 때 센서에 카드를 접촉하면 해당 요금이 카드 잔액에서 차감된다. 많은 택시에서도 티머니 카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가능한 택시에는 종종 티머니 로고가 표시되어 있다.[6]

외국인 관광객은 4,000원에 구매할 수 있는 코리아 투어 카드(KOREA TOUR CARD)를 이용할 수 있다. 이 카드는 티머니 카드와 매우 유사하게 작동하며, 많은 인기 관광 명소에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6]

서울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교통 카드가 필수는 아니며, 현금이나 신용 카드로 각 교통 수단의 개별 티켓을 구매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매번 여행할 때마다 새로운 티켓을 구매해야 한다. 또한 교통 카드를 사용하면 운임 할인을 받을 수 있으며, 서울 지하철 및/또는 버스 간에 최대 4번까지 추가 요금 없이 환승할 수 있다.[7]

9. 1. 티머니

티머니 교통카드는 서울 시내 대중교통(버스 및 지하철)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결제 수단이다.[6] 티머니 카드는 각 지하철역의 자동판매기에서 2,500원에 구매할 수 있으며, 서울 시내 대부분의 주요 편의점에서도 구매할 수 있다. 카드에 돈을 충전한 후, 버스나 지하철역에 출입할 때 센서에 카드를 접촉하면 해당 요금이 카드 잔액에서 차감된다. 많은 택시에서도 티머니 카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가능한 택시에는 종종 티머니 로고가 표시되어 있다.[6]

외국인 관광객은 4,000원에 구매할 수 있는 코리아 투어 카드(KOREA TOUR CARD)를 이용할 수 있다. 이 카드는 티머니 카드와 매우 유사하게 작동하며, 많은 인기 관광 명소에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6]

서울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교통 카드가 필수는 아니며, 현금이나 신용 카드로 각 교통 수단의 개별 티켓을 구매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매번 여행할 때마다 새로운 티켓을 구매해야 한다. 또한 교통 카드를 사용하면 운임 할인을 받을 수 있으며, 서울 지하철 및/또는 버스 간에 최대 4번까지 추가 요금 없이 환승할 수 있다.[7]

9. 2. 기타 결제 수단

티머니 교통카드 외에도 다양한 결제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외국인 관광객은 4,000원에 코리아 투어 카드(KOREA TOUR CARD)를 구매할 수 있는데, 이 카드는 티머니 카드와 유사하게 작동하며, 여러 관광 명소에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6]

교통 카드는 필수가 아니며, 현금이나 신용 카드로 개별 티켓을 구매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매번 새로운 티켓을 구매해야 하고 환승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없다.[7]

외국인 방문객은 코레일에서 코레일 패스(Korea Rail Pass)를 구매하여 일정 기간 동안 기차를 무제한 이용할 수 있다.[8]

참조

[1] 논문 A Reliability Check of Walkability Indices in Seoul, Korea 2020-01-01
[2] 웹사이트 I rode Seoul's famous subway system for a week to see if it's really the best in the world, and saw why New York will never catch up https://www.business[...] 2020-12-12
[3] 웹사이트 World's Top 10 Airports 2020 https://www.worldair[...]
[4] 웹사이트 Getting About:Bus http://english.seou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2-10-06
[5] 뉴스 서울 고유택시 색깔 꽃담황토색 http://www.ytn.co.kr[...] YTN News
[6] 웹사이트 Official Site of Korea Tourism Org.: Tmoney&Cashbee : Transportation Card - Visitkorea https://english.visi[...] 2020-12-12
[7] 논문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 Evaluations Utilizing Seoul Transportation Card Data 2015-01-01
[8] 웹사이트 Official Site of Korea Tourism Org.: Transportations : Trains https://english.visi[...] 2020-12-12
[9] 서적 서울의 교통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