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십육국춘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십육국춘추》는 북위 시대 최홍이 편찬한 역사서로, 오호 십육국 시대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다. 원본은 소실되었으나, 명나라 시대에 도교손과 항림에 의해 여러 역사서를 참고하여 수정·보완된 판본이 전해진다. 이 책은 16개 국가의 역사를 기전체 형식으로 다루며, 각 국가별 군주의 치세와 주요 사건, 인물들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다. 현재 전해지는 판본은 사고전서본, 한위총서본, 광아서국총서본 등이 있으며, 전조, 후조, 전연, 전진, 후연, 후진, 남연, 하, 전량, 성한, 후량, 서진, 남량, 서량, 북량, 북연 등 16개국의 역사를 담고 있다. 이 책은 십육국 시대 연구에 중요한 사료로 활용되며, 고구려, 백제 등 한국사와의 관계를 연구하는 데에도 참고 자료가 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세기 역사책 - 송서
    송서는 유송의 역사를 기록한 역사서로, 심약에 의해 100권으로 완성되었으며 유송 시대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를 포괄적으로 다루고 주변국인 고구려, 백제, 왜국 등에 대한 기록도 포함되어 있어 동아시아 국제 관계 연구에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는다.
  • 6세기 역사책 - 위서 (역사서)
    《위서》는 남북조시대 북위의 역사를 다룬 역사서로, 고구려, 백제 등 한국사 관련 기록을 포함하고 있어 한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지만, 편찬 주체의 정치적 입장에 따른 역사 해석의 편향성 및 북송 시대 일부 내용 보충 등의 문제점이 제기된다.
  • 명수 16 - 연운십육주
    연운십육주는 당나라 시대에 설치된 16개의 주로, 중국 중부 농업 평원과 북쪽 유목민 초원 지대를 나누는 산맥을 따라 위치하며 만리장성이 있던 곳으로, 요나라의 지배를 거쳐 명나라 때 한족 영토로 회복되었다.
  • 명수 16 - 십육섭
    십육섭은 어떠한 내용도 존재하지 않는 빈 페이지이다.
  • 오호 십육국 시대 - 모용부
    모용부는 3세기부터 5세기 초 화북 지역에서 활동한 선비족의 한 부족으로, 요서 지역에서 유목과 농경을 병행하며 세력을 키워 여러 국가를 건국하고 토욕혼을 건국하기도 했으나, 5세기 초 북위의 화북 통일 과정에서 쇠퇴하였다.
  • 오호 십육국 시대 - 정령 (민족)
    정령은 기원전 3세기부터 5세기경 바이칼호 서쪽에서 남시베리아에 걸쳐 거주한 유목 민족으로, 흉노와 돌궐의 지배를 받으며 여러 집단으로 나뉘어 이동했고, 일부는 중국 북부에 정착하여 적위를 건국했으며, 이후 고차 또는 철륵으로도 불리며 튀르크족 형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십육국춘추 - [서적]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제목 (원어)十六國春秋
저자최홍
국가북위
언어한문
주제십육국 시대의 역사
출판 시기6세기 초

2. 원본 및 수정본

북위 시대 최홍이 편찬한 십육국춘추의 원본은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1] 최홍의 원본은 사마광이 『자치통감』을 편찬할 때 인용한 북송 초기에는 20여 권을 제외하고 이미 사라졌다.

북위최홍이 찬술한 원본은 북송 시대에 산실되어 현대까지 전해지지 않는다.[1] 원본의 전 100권은 사마광이 『자치통감』을 편찬할 때 인용한 북송 초기에는 20여 권을 제외하고 산실되었다. 현행 사고전서에 수록된 100권본은 대에 『북사』나 『진서』 「재기」등의 여러 책에서 輯佚(집실)한 것으로, 원본과는 다르다.

또한, 『한위총서』 중에도 「십육국춘추」 16권이 수재되어 있지만, 이쪽의 전래도 불명이며, 북위의 최홍이 저술한 원본과는 다르다. 이쪽은 사고전서에서는 「십육국춘추」로 되어있다.[2] 그 외에 『광아서국총서』 중에는 의 탕구가 찬술한 「십육국춘추찬록교본」 10권, 「십육국춘추집보」 100권이 있다. 이쪽은 『진서』나 각종 유서에 인용된 실전된 문헌을 집집한 것으로, 그 전거도 명기되어 있다. 또한, 그곳에는 동찬자(同撰者)에 의한 「삼십국춘추집본」도 수재되어 있다.

###부제목록비고
권1전조록
(前趙錄)
광문제 유연(光文帝 劉淵), 소무제 유총(昭武帝 劉聰), 말제 유요(末帝 劉曜)
권2후조록
(後趙錄)
명제 석륵(明帝 石勒), 해양왕 석홍(海陽王 石弘), 무제 석호(武帝 石虎), 무도천왕 염민/석민(武悼天王 冉閔/石閔)
권3전연록
(前燕錄)
무선제 모용외(武宣帝 慕容廆), 문명제 모용황(文明帝 慕容皝), 경소제 모용준(景昭帝 慕容儁), 유제 모용위(幽帝 慕容暐)
권4전진록
(前秦錄)
혜무제 부홍(惠武帝 苻洪), 경명제 부건(景明帝 苻健), 월여왕 부생(越厲王 苻生),
선소제 부견(宣昭帝 苻堅), 애평제 부비(哀平帝 苻丕), 고제 부등(高帝 苻登)
권5후진록
(後秦錄)
경원제 요익중(景元帝 姚弋仲), 위무왕 요양(魏武王 姚襄), 무소제 요장(武昭帝 姚萇),
문환제 요흥(文桓帝 姚興), 말제 요홍(末帝 姚泓)
권6촉록
(蜀錄)
경제 이특(景帝 李特), 진문왕 이류(秦文王 李流), 무제 이웅(武帝 李雄), 애제 이반(哀帝 李班),
공도유공 이기(邛都幽公 李期), 소문제 이수(昭文帝 李壽), 후주 이세(後主 李勢)
권7전량록
(前凉錄)
무왕 장궤(武王 張軌), 명왕 장식/장실(明王 張寔/張實), 성왕 장무(成王 張茂), 문왕 장준(文王 張駿), 환왕 장중화(桓王 張重華),
애공 장요령/장영요(哀公 張耀靈/張靈耀), 위왕 장조(威王 張祚), 충왕 장현정(沖王 張玄靚), 도공 장천석(悼公 張天錫)
권8서량록
(西凉錄)
무소왕 이고(武昭王 李暠), 후주 이흠(後主 李歆)
권9북량록
(北凉錄)
무선왕 저거몽손(武宣王 沮渠蒙遜), 애왕 저거목건/저거무건(哀王 沮渠牧犍/沮渠茂虔)
권10후량록
(後凉錄)
의무제 여광(懿武帝 呂光), 영제 여찬(靈帝 呂簒), 말제 여륭(末帝 呂隆)
권11후연록
(後燕錄)
무성제 모용수(武成帝 慕容垂), 혜민제 모용보(惠愍帝 慕容寶), 소무제 모용성(昭武帝 慕容盛),
소문제 모용희(昭文皇 慕容熙), 혜의제 고운/모용운(惠懿帝 高雲/慕容雲)
권12남량록
(南凉錄)
무왕 독발오고(武王 禿髮烏孤), 강왕 독발리록고(康王 禿髮利鹿孤), 경왕 독발녹단(景王 禿髮傉檀)
권13남연록
(南燕錄)
헌무제 모용덕(獻武帝 慕容德), 말제 모용초(末帝 慕容超)
권14서진록
(西秦錄)
선열왕 걸복국인(宣烈王 乞伏國仁), 무원왕 걸복건귀(武元王 乞伏乾歸), 문소왕 걸복치반(文昭王 乞伏熾磐), 후주 걸복모말(後主 乞伏暮末)
권15북연록
(北燕錄)
문성제 풍발(文成帝 馮跋), 소성제 풍홍(昭成帝 馮弘)
권16하록
(夏錄)
무열제 혁련발발(武烈帝 赫連勃勃), 진왕 혁련창(秦王 赫連昌), 말제 혁련정(末帝 赫連定)

2. 1. 최홍의 원본 (실전)

북위 시대 최홍이 편찬한 십육국춘추의 원본은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원본은 16국의 역사를 각 국가별로 기록한 기전체 형식으로 추정된다.

최홍의 원본은 전조 (광문제 유연],

2. 2. 도교손/항림 수정본

명나라 시대 도교손(道㫾孫)과 항림(杭林)은 여러 역사서를 참고하여 《
십육국춘추》를 수정하고 보완하였다. 수정본은 원본의 체제를 유지하면서 내용을 보충하고, 일부 국가의 순서를 조정하였다. 수정본은 100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조, 후조, 전연, 전진, 후연, 후진, 남연, , 전량, 성한, 후량, 서진, 남량, 서량, 북량, 북연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

수정 시 참고한 서적은 《진서》(晉書), 《위서》(魏書), 《북사》(北史), 《자치통감》(資治通鑑), 《책부원귀》(册府元龜), 《예문류취》(藝文類聚), 《태평어람》(太平御覽) 등이다.

전조 10권, 후조 12권, 전연 10권, 전진 10권, 후연 10권, 후진 10권, 남연 3권, 4권, 전량 6권, 촉(성한) 5권, 서진 3권, 남량 3권, 서량 3권, 북량 4권, 북연 3권을 합쳐 총 100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명권수절목
전조10유연유화 (1권)・유총 상중하 (3권)・유요 상중하 (3권)・유선 외 (1권)・왕미 외 (1권)
후조12석륵 상중하 (3권)・석홍 (1권)・석호 상중하 (3권)・석세석준석감 (1권)・염민 (1권)・석생 외 (1권)・불도징 외 (1권)・장빈 외 (1권)
전연10모용외 (1권)・모용황 상하 (2권)・모용준 상하 (2권)・모용위 상하 (2권)・모용토욕혼・모용한・모용인모용각 외 (1권)・배의 외 (1권)・이산 외 (1권)
전진10부홍 (1권)・부건 (1권)・부생 (1권)・부견 상중하 (3권)・부비 (1권)・부등 (1권)・부웅・부정・부황미・부법・부융 (1권)・여파루・왕맹・석도안 외 (1권)
후연10모용수 상중하 (3권)・모용보 (1권)・모용성 (1권)・모용희 (1권)・모용운 (1권)・모용영 외 (1권)
후진10요익중 (1권)・요상 (1권)・요장 (1권)・요흥 상중하 (3권)・요홍 (1권)・구마라집 외 (1권)
남연3모용덕 (1권)・모용초 (1권)・모용종 등 20인 (1권)
4혁련발발 (1권)・혁련창 (1권)・혁련정 (1권)・호의주 등 8인 (1권)
전량6장궤 (1권)・장식장무 (1권)・장준 (1권)・장중화장요령・장조 (1권)・장현량・장천석 (1권)
5이특 (1권)・이류・이웅 (1권)・이반・이기・이수이세 (1권)
후량4여광 (1권)・여소여찬 (1권)・여륭 (1권)
서진6걸복국인걸복건귀 (1권)・걸복모말 (1권)
남량3탁발오고・탁발이록고 (1권)・탁발녹단 (1권)・탁발문지 등 11인 (1권)
서량3이고 (1권)・이흠 (1권)・이순 등 8인 (1권)
북량4저거몽손 (1권)・저거목건 (1권)
북연3풍발 (1권)・풍홍 (1권)・풍소불 등 14인 (1권)


2. 2. 1. 판본

십육국춘추》는 여러 판본이 전해진다. 주요 판본으로는 사고전서본(四庫全書本), 한위총서본(漢魏叢書本), 광아서국총서본(廣雅書局叢書本) 등이 있다. 각 판본은 내용 구성과 분량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특히, 《십육국춘추》는 진서, 위서, 북사, 자치통감, 책부원귀, 예문류취, 태평어람 등을 참고하여 수정되었다.

3. 주요 내용 (국가별)

wikitext

권수권명절목
권1전조유연·유총·유요
권2후조석륵·석홍·석호·석민
권3전연모용외·모용황·모용준·모용위
권4전진부홍·부건·부생·부견·부비·부등
권5후진요익중·요상·요장·요흥·요홍
권6성한이특·이류·이웅·이기·이수·이세
권7전량장궤·장식·장무·장준·장중화·장좌·장현량·장천석
권8서량이고·이흠
권9북량저거몽손·저거목건
권10후량여광·여찬·여륭
권11후연모용수·모용보·모용성·모용희·고운
권12남량갈발오고·갈발이록고·갈발욕단
권13남연모용덕·모용초
권14서진걸복국인·걸복건귀·걸복치반·걸복모말
권15북연풍발·풍홍
권16혁련발발·혁련창·혁련정


3. 1. 전조 (前趙)

전조(前趙)는 흉노유연이 건국한 국가로, 오호십육국 시대 최초의 국가이다. 광문제(유연), 폐제(유화), 소무제(유총), 은제(유찬), 말제(유요) 등의 군주가 재위에 있었다.

십육국춘추는 전조의 역사를 다루는 부분으로, 총 10권 중 7권(1권~7권)을 할애하여 전조의 흥망성쇠를 상세히 기록하고 있다.

  • 권1: 광문제 유연, 폐제 유화
  • 권2, 권3, 권4: 소무제 유총
  • 권4: 은제 유찬
  • 권5, 권6, 권7: 말제 유요
  • 권8: 유선(劉宣), 유성(劉盛), 유익(劉翼), 유연황후 단씨(劉淵皇后 單氏), 무원황후 호연씨(武元皇后 呼延氏), 무덕황후 유씨(武徳皇后 劉氏), 헌문황후 양씨(獻文皇后 羊氏), 헌열황후 유씨(獻烈皇后 劉氏), 유요황후 유방(劉曜皇后 劉芳)
  • 권9: 왕미(王彌), 유령(劉靈), 장숭(張嵩), 유은(劉殷), 왕연(王延), 진원달(陳元達), 왕광(王廣), 복허(卜珝), 조염(趙染), 범륭(范隆), 최유(崔遊), 위충(韋忠), 동경도(董景道), 왕육(王育), 유민원(劉敏元), 두육(杜育)
  • 권10: 곽사(郭汜), 이경년(李景年), 왕연년(王延年), 왕준(王雋), 교지명(喬智明), 교희(喬晞), 진안(陳安), 장식(張寔), 복숭(卜崇), 호연 식(呼延寔), 노빙(魯憑), 최악(崔岳), 전숭(田崧), 유자원(遊子逺), 부호(傅虎), 대산(臺産), 협부인(陜婦人)

3. 2. 후조 (後趙)

갈족 석륵이 건국한 국가로, 강력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화북 지역을 통일하였다. 석륵은 319년 국호를 조(趙)라 칭하고 황제에 즉위하였으며, 329년 전조를 멸망시키고 화북을 통일하였다. 석륵 사후 조카 석홍이 즉위하였으나, 곧 석호에게 살해되었다. 석호는 잔혹한 폭정을 펼쳤으며, 그의 사후 후조는 급격히 쇠퇴하여 350년 무도천왕 염민(冉閔)에게 멸망하였다.

《십육국춘추》에는 후조의 역대 군주인 명제 석륵, 해양왕 석홍, 무제 석호, 초왕 석세, 팽성왕 석준, 의양왕 석감, 무도천왕 염민/석민 등의 기록이 권11부터 권22까지에 걸쳐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특히, 불도징, 단도개, 도진 등 종교인과 장빈, 곽경, 급상 등 신하들에 대한 기록도 포함되어 있다.

3. 3. 전연 (前燕)

전연(前燕)은 선비족 모용외가 건국한 국가로, 요동 지역을 중심으로 성장하였다. 무선제 모용외, 문명제 모용황, 경소제 모용준, 유제 모용위를 거치며 성장하였다. 전연은 고구려와 빈번하게 충돌하였으며, 결국 전진에게 멸망당했다.

《십육국춘추》에는 전연에 대한 내용이 10권에 걸쳐 수록되어 있다.

###목록비고
권23전연1무선제 모용외(武宣帝 慕容廆)
권24전연2문명제 모용황(文明帝 慕容皝) 上
권25전연3문명제 모용황(文明帝 慕容皝) 下
권26전연4경소제 모용준(景昭帝 慕容儁) 上
권27전연5경소제 모용준(景昭帝 慕容儁) 下
권28전연6유제 모용위(幽帝 慕容暐) 上
권29전연7유제 모용위(幽帝 慕容暐) 下
권30전연8토욕혼(吐谷渾), 모용한(慕容翰), 모용인(慕容仁), 모용각(慕容恪), 문명황후 단씨(文明皇后 段氏), 경소황후 가족혼씨(景昭皇后 可足渾氏)
권31전연9배의(裴嶷), 유수(游邃), 고첨(高瞻), 유찬(劉瓚), 양유(陽裕), 양무(陽騖), 봉혁(封奕), 송해(宋該), 한항(韓恒),
선우량(鮮于亮), 고후(髙詡), 을일(乙逸), 국은(鞠殷), 장홍(張鴻), 후청(侯靑), 한재(韓宰), 장포(張怖), 성공도(成公都)
권32전연10이산(李産), 황홍(黃泓), 가견(賈堅), 모예근(慕輿根), 이홍(李洪), 열관(悅綰), 황보진(皇甫眞),
양침(梁琛), 공손봉(公孫鳳), 공손영(公孫永), 왕환(王歡), 실라등(悉羅騰), 안굴(安屈), 유락(劉洛)


3. 4. 전진 (前秦)

전진(前秦)은 저족 혜무제 부홍이 건국한 국가이다. 경명제 부건을 거쳐 선소제 부견 시기에 화북을 통일하고 전성기를 맞이하였다. 그러나 383년 비수대전에서 동진에게 패배한 후 급격히 쇠퇴하였다.

십육국춘추》에는 전진의 역대 군주인 혜무제 부홍, 경명제 부건, 월여왕 부생, 선소제 부견, 애평제 부비, 고제 부등의 기록과, 부씨 일족 및 여러 신하들의 기록이 33권에서 42권까지 총 10권에 걸쳐 수록되어 있다.

3. 5. 후연 (後燕)

후연(後燕)은 전연(前燕)의 부흥을 내걸고 무성제 모용수가 건국한 국가이다. 전연의 뒤를 이어 요동(遼東) 지역을 차지했다. 후연은 고구려 광개토대왕과 충돌하였으며, 북위에게 멸망당했다.

《십육국춘추》에는 후연에 대한 기록이 10권에 걸쳐 수록되어 있다.

내용
권43무성제 모용수(武成帝 慕容垂) 上
권44무성제 모용수(武成帝 慕容垂) 中
권45무성제 모용수(武成帝 慕容垂) 下
권46혜민제 모용보(惠愍帝 慕容寶)
권47소무제 모용성(昭武帝 慕容盛)
권48소문제 모용희(昭文皇 慕容熙)
권49혜의제 고운/모용운(惠懿帝 高雲/慕容雲)
권50모용영(慕容永), 모용령(慕容令), 모용린(慕容麟), 모용농(慕容農), 모용륭(慕容隆), 모용봉(慕容鳳), 모용온(慕容溫), 모용해(慕容楷), 모용소(慕容紹), 모용회(慕容會), 모용의(慕容懿)
권51성소황후 단씨(成昭皇后 段氏), 성애황후 단씨(成哀皇后 段氏), 혜덕황후 단씨(惠德皇后 段氏), 성비 난씨(盛妃 蘭氏), 헌유황후 정씨(獻幽皇后 丁氏), 민황후 부씨(愍皇后 苻氏), 황후 부씨(皇后 苻氏)
권52광조(光祚), 조추(趙秋), 휴수(眭邃), 고전(高展), 고호(高湖), 최음(崔蔭), 최영(崔逞), 최모(崔模), 최의(崔懿), 봉의(封懿), 봉개(封愷), 봉형(封衡), 송은(宋隠), 조사(趙思), 이계(李系), 이선(李先), 굴준(屈遵), 가이(賈彞), 장포(張蒲), 여숭(餘崇), 평시(平視), 정활(鄭豁), 여현(呂顯), 우문활발(宇文活撥), 곡곤(谷衮), 역소(酈紹), 노언(盧偃), 노안(盧晏), 구관(仇欵), 위랑(韋閬), 조숭(晁崇), 단건(段乾), 공손표(公孫表), 유생(劉生), 방심(房諶), 왕헌(王憲), 장진(張珍), 양결(楊結), 허무(許茂), 왕고(王高), 진인(陳刃), 노부구(盧副鳩), 방감(房堪)


3. 6. 후진 (後秦)

후진(後秦)은 강족(羌族) 출신 요장(姚萇)이 건국한 국가로, 관중(關中) 지역을 중심으로 성장하였다. 요장전진(前秦)의 부견(苻堅)이 비수대전(淝水大戰)에서 패배한 틈을 타 자립하여 후진을 건국했다. 후진은 동진(東晉), 북위(北魏) 등과 대립하였으며, 요흥(姚興) 대에는 전성기를 누렸으나, 결국 동진의 유유(劉裕)에게 멸망당했다.

《십육국춘추》에는 후진에 대한 내용이 권53부터 권62까지 10권에 걸쳐 기록되어 있다.

  • 권53: 경원제 요익중(景元帝 姚弋仲)
  • 권54: 위무왕 요양(魏武王 姚襄)
  • 권55: 무소제 요장(武昭帝 姚萇)
  • 권56: 문환제 요흥(文桓帝 姚興) 上
  • 권57: 문환제 요흥(文桓帝 姚興) 中
  • 권58: 문환제 요흥(文桓帝 姚興) 下
  • 권59: 말제 요홍(末帝 姚泓)
  • 권60: 요숭(姚嵩), 요서(姚緒), 요석덕(姚碩徳), 요소(姚紹), 요현(姚顯), 요충(姚冲), 요상(姚詳), 요옹(姚邕), 요화도(姚和都), 요황미(姚黄眉), 요황(姚晃), 황태후 사씨(皇太后 虵氏), 황후 장씨(皇后 張氏), 황후 제씨(皇后 齊氏)
  • 권61: 길성선(吉成詵), 윤위(尹緯), 조천(趙遷), 설변(薛辯), 호변(胡辨), 색노요(索盧曜), 왕해(王奚), 적백기(狄伯竒), 양국아(梁國兒), 왕만총(王滿聰), 사마휴지(司馬休之), 한연지(韓延之), 색릉(索稜), 구화(苟和), 손찬(孫讚), 서중(徐衆)
  • 권62: 구마라십(鳩摩羅什), 도항(道恒), 승조(僧肇), 도융(道融), 불타야사(佛陀耶舍), 담무성(曇無成), 도략(道䂮), 승예(僧叡), 각현(覺賢), 법명(法明), 불약다라(弗若多羅), 법우(法羽), 법지(法智), 사문하승(沙門賀僧)

3. 7. 남연 (南燕)

남연은 후연에서 분리되어 헌무제 모용덕이 건국한 국가로, 산둥반도를 중심으로 성장하였다. 398년 모용덕은 황제를 칭하고 연나라를 건국하였고, 400년에는 광고로 천도하여 발전의 기반을 닦았다. 그러나 409년 동진의 유유가 이끄는 토벌군에 의해 410년 멸망하였다.

십육국춘추》에는 남연의 역사가 3권에 걸쳐 기록되어 있다. 권63은 헌무제 모용덕, 권64는 말제 모용초의 치세를 다루고 있으며, 권65에는 모용종(慕容鍾), 봉부(封孚) 등 남연의 주요 인물들이 기록되어 있다.

3. 8. 하 (夏)

흉노족 혁련발발이 건국한 국가로, 오르도스 지역을 중심으로 성장하였다. 북위에게 멸망당했다.

《십육국춘추》에는 하(夏)나라에 대한 내용이 4권에 걸쳐 수록되어 있다.

colspan="2"|목록비고
권66하1무열제 혁련발발
권67하2진왕 혁련창
권68하3말제 혁련정
권69하4호의주(胡義周), 왕매덕(王買德), 조일(趙逸), 위현(韋玄), 장연(張淵), 호연(胡淵), 비준(費峻), 한기(韓耆)


3. 9. 전량 (前凉)

304년 한족장궤가 건국한 국가로, 서북 지역을 중심으로 성장하였다. 전량은 전진에게 멸망당했다.

전량의 역대 군주와 관련된 내용은 십육국춘추 6권으로 구성된 내용 중 권70에서 권75까지에서 찾을수 있다.

  • 권70: 무왕 장궤
  • 권71: 명왕 장식/장실, 성왕 장무
  • 권72: 문왕 장준
  • 권73: 환왕 장중화, 애공 장요령/장영요, 위왕 장조
  • 권74: 충왕 장현정, 도공 장천석
  • 권75: 장숙(張肅), 장관(張瓘), 영훈태후 엄씨(永訓太后 嚴氏), 영수태후 마씨(永壽太后 馬氏), 장천석 첩 염씨(閻氏), 장천석 첩 설씨(薛氏),
    송배(宋配), 송혼(宋混), 송징(宋澄), 송구(宋矩), 송섬(宋纖), 사원(汜瑗), 사승(汜勝), 사위(汜褘), 사소(汜昭), 신반(辛攀), 신빙(辛憑),
    신리(辛理), 강경(江瓊), 왕횡(王横), 장세도(張世度), 색부(索孚), 색습(索襲), 색승(索丞), 색포(索苞), 색담(索紞), 색수(索綏), 색충(索充),
    음담(隂澹), 장자(張諮), 장빈(張斌), 장식(張植), 이감(李弇), 상거(常據), 마급(馬岌), 장충(張冲), 동손(童巽), 차제(車濟), 사애(謝艾),
    장기(張頎), 곽하(郭荷), 기가(祁嘉), 장존(張存)


또한, 십육국춘추의 내용중 권7에서 전량의 군주들에 대한 내용을 찾을수 있다.

3. 10. 성한 (成漢)

'''성한'''(成漢)은 저족 이특이 건국한 국가로, 사천 지역을 중심으로 성장하였다. 동진에게 멸망당했다.

십육국춘추》에는 성한의 역사가 권6과 권76~80에 기록되어 있다.

3. 11. 후량 (後凉)

후량(後凉)은 저족 출신 여광이 건국한 국가이다. 전진이 멸망한 후 서북 지역에서 할거하였으며, 후진에게 멸망당했다.

『십육국춘추』에는 4권이 수록되어 있다.

###목록비고
권81후량1의무제 여광
권82후량2은왕 여소, 영제 여찬
권83후량3말제 여륭
권84후량4여위(呂緯), 여훈(呂訓), 왕태후 석씨(王太后 石氏), 목후 양씨(穆后 楊氏), 미인 장씨(美人 張氏), 여헌 처 부씨(呂憲 妻 符氏),
곽향(郭黁), 두진(杜進), 장자(張資), 임사(任射), 두구(竇苟), 후근(侯瑾), 제종(齊從), 송흠(宋歆), 종섭(宗燮)


3. 12. 서진 (西秦)

선비족 걸복국인이 건국한 국가로, 서북 지역에서 할거하였다. 후진, 등과 대립하였으며, 에게 멸망당했다.

《십육국춘추》에는 서진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목록비고
권85서진1선열왕 걸복국인, 무원왕 걸복건귀
권86서진2문소왕 걸복치반, 후주 걸복모말
권87서진3걸복익주(乞伏益州), 걸복담달(乞伏曇逹),
무원왕후 변씨(武元王后 邊氏), 문소왕후 독발씨(文昭王后 禿髮氏), 좌부인 독발씨(左夫人 秃髮氏),
하휘(叚暉), 상원(常垣), 적온(翟瑥), 초유(焦遺), 신진(辛進)



《십육국춘추》에서는 서진이 14권에 해당한다.

3. 13. 남량 (南凉)

남량(南凉)은 선비족 독발오고가 건국한 국가로, 서북 지역에서 할거하였다. 무왕 독발오고, 강왕 독발리록고가 통치하였다. 이후 경왕 독발녹단이 통치하였다. 서진에게 멸망당했다.

3. 14. 서량 (西凉)

무소왕 이고가 건국한 서량은 서북 지역에서 할거한 한족 국가이다. 서량은 이흠 대에 이르러 북량에게 멸망당했다.

십육국춘추》에는 서량에 대한 내용이 3권에 걸쳐 수록되어 있다. 91권에는 무소왕 이고, 92권에는 후주 이흠, 93권에는 이순(李恂), 이번(李翻), 이고 처 윤씨(李暠 妻 尹氏), 송요(宋繇), 유병(劉昞), 당요(唐繇), 신연(辛淵), 음중달(隂仲逹)에 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3. 15. 북량 (北凉)

북량(北凉)은 흉노족 저거몽손이 건국한 국가이다. 4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무선왕 저거몽손(武宣王 沮渠蒙遜)과 애왕 저거목건/저거무건(哀王 沮渠牧犍/沮渠茂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북량은 서북 지역을 통일하였으나, 후에 북위에게 멸망당했다.

3. 16. 북연 (北燕)

북연(北燕, 407년 ~ 436년)은 한족 출신 풍발(馮跋)이 후연의 부흥을 내걸고 요동(遼東) 지역에서 할거한 국가이다. 문성제 풍발소성제 풍홍 2대에 걸쳐 존속하였으며, 북위에게 멸망당했다.

4. 십육국 시대와 한국사와의 관계

4. 1. 고구려와의 관계

4. 2. 백제와의 관계

5. 평가 및 의의

참조

[1] 서적 欽定四庫全書 台湾商務印書館 1983
[2] 서적 四庫全書総目提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