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향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향권은 역사적으로 강대국이 종속국을 거느리고 종주권을 행사하는 것을 의미하며, 제국주의 시대에는 식민지 건설과 연결되었다.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는 중국이 열강의 세력권으로 분할되었고, 이후 냉전 시대에는 미국과 소련이 세계를 양분하여 각자의 영향권을 형성했다. 냉전 이후 러시아, 유럽 연합, 미국 등은 각자의 방식으로 영향력을 행사하려 했으며, 기업 용어에서는 사업체, 조직, 단체가 다른 주체에 미치는 힘과 영향력을 의미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향권 - 알카소바스 조약
알카소바스 조약은 1479년 포르투갈과 카스티야 왕국 간 전쟁을 종식시키며, 카스티야 왕위 계승 분쟁 해결, 카나리아 제도 지배권 및 특정 해역에 대한 독점적 권한을 규정했으나, 향후 영토 분쟁의 씨앗이 되었고 토르데시야스 조약의 계기가 되었다. - 영향권 - 서방권
서방권은 냉전 시대 공산주의 세력에 대항하기 위해 결성된 국가들의 연합으로, NATO를 중심으로 군사적, 경제적, 정치적 협력을 강화해 왔으며, 냉전 종식 후 중·동유럽 국가들의 NATO 가입으로 세력을 확장하고, 미국은 MNNA 제도를 통해 안보 이익에 부합하는 국가들과 군사 협력을 강화하는 한편,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미국의 패권주의에 반발하는 움직임, 중동 지역에서는 서방과의 복잡한 협력 및 갈등 양상을 보이고 있다. - 지정학 - 종횡가
종횡가는 전국 시대에 외교와 정치 전략을 통해 국가 간의 관계를 조율하고 권력을 쟁취하려 한 사상가 집단이다. - 지정학 - 완충국
완충국은 둘 이상의 강대국 사이에서 충돌을 완화하는 역할을 하는 국가 또는 지역을 의미하며, 역사적으로 아프가니스탄, 조선 등이, 냉전 시대에는 오스트리아 등이 완충국 역할을 수행했다. - 정치학 이론 - 경제고통지수
경제고통지수는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율의 합으로 계산되어 국민들이 체감하는 경제적 어려움을 수치화한 지표이며, 직관적인 이해를 돕지만 경제의 복잡성을 완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고, 다양한 변형된 지표들이 존재하며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 정치학 이론 - 놀란 차트
놀란 차트는 개인의 자유와 경제적 자유를 기준으로 정치적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표로, 자유지상주의, 좌파, 우파, 국가주의, 중도주의 다섯 영역으로 구분되어 정치적 입장을 다차원적으로 파악하는 데 사용되지만, 사회 정책과 경제 정책의 분리 가능성에 대한 비판도 있다.
| 영향권 | |
|---|---|
| 영향권 | |
| 개념 | 특정 국가나 단체가 다른 국가나 지역에 대해 행사하는 정치, 경제, 문화, 군사적인 영향력의 범위 |
| 특징 | 영향권 내의 국가는 주권을 유지하지만, 영향력을 행사하는 국가의 외교 정책이나 경제 정책에 간섭을 받음 영향권은 명시적인 조약이나 협정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고, 암묵적인 합의나 세력 관계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음 |
| 관련 용어 | 세력권 후원국 위성 국가 괴뢰 국가 종속국 속국 |
| 역사적 사례 | |
| 냉전 시대 | 미국의 영향권: 서유럽, 라틴 아메리카, 동남아시아 등 소련의 영향권: 동유럽, 중앙아시아, 쿠바, 베트남 등 |
| 제국주의 시대 | 영국의 영향권: 인도,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등 프랑스의 영향권: 서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 일본의 영향권: 만주, 한반도 등 |
| 현대적 의미 | |
| 경제적 영향력 | 특정 국가의 다국적 기업이 다른 국가의 시장을 장악하거나, 특정 국가의 통화가 다른 국가의 환율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경우 |
| 문화적 영향력 | 특정 국가의 문화 콘텐츠가 다른 국가에서 큰 인기를 얻거나, 특정 국가의 언어가 다른 국가에서 널리 사용되는 경우 |
| 정치적 영향력 | 특정 국가가 다른 국가의 선거에 개입하거나, 특정 국가가 다른 국가의 정치 체제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
2. 역사적 배경
영향권(影響圈, Sphere of influenceeng)은 특정 국가나 조직이 다른 영토에 대해 문화적, 경제적, 군사적, 또는 정치적으로 배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공간적 지역이나 개념을 의미한다. 영향력을 행사하는 강대국과 영향을 받는 종속국 사이에는 공식적인 조약이나 협정이 존재할 수도 있지만, 소프트 파워 등을 통해 비공식적인 관계가 형성되기도 한다. 역사적으로 강대국들은 종속적인 조공국을 거느리며 이들로부터 종주권을 인정받는 방식으로 영향력을 행사해왔다.
국제 정치사에서 '영향권'이라는 용어는 특히 19세기 말 아프리카 분할 과정에서 서구 열강이 장래의 선점을 위해 특정 지역에 대한 권리를 유보하거나, 청나라 말기 열강들이 중국에 대한 이권 경쟁 속에서 특정 지역에 대한 우선적 또는 배타적 권리를 확보했을 때 사용된 바 있다.[42] 이러한 영향권 설정은 때때로 상위 세력의 독점 강화를 초래하여 분쟁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영향권 관계가 더욱 심화될 경우, 영향권 내 국가는 상위 국가의 괴뢰 국가가 되거나 사실상의 식민지로 전락하기도 한다.
하나의 국가가 두 개 이상의 강대국 영향권 사이에 놓이는 경우도 있는데, 제국주의 시대 영국과 러시아 제국 사이에 놓였던 이란 (카자르 왕조)이나 영국과 프랑스 사이에 놓였던 태국 (라타나코신 왕조)이 대표적인 예시다. 이들 국가는 강대국 사이의 완충국 역할을 수행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4개 점령지구로 분할되었던 독일 역시 이후 미국 중심의 NATO와 소련 중심의 바르샤바 조약 기구라는 서로 다른 영향권으로 나뉘었다.
정치적, 군사적 영향력 외에도, 특정 문화권이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영향력을 행사하는 경우도 있다. 영어권, 아랍 세계, 중화 문화권, 프랑코포니 등은 과거의 정치적 지배 관계가 해소된 이후에도 지속되는 문화적 영향권의 예시로 볼 수 있다. 미국의 먼로 독트린은 아메리카 대륙을 자국의 영향권으로 설정하려는 대표적인 정책 사례로 꼽힌다.[1][2][3]
2. 1. 고대 ~ 근대
과거 수세기 동안 많은 강대국은 종속적인 조공국을 거느렸고, 이들 토착 왕조는 종주권을 강대국에 귀속시키기도 했다. 국제 정치에서 '세력권'(Sphere of influence)이란 한 국가가 정치·경제·군사 면에서 배타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타국 영토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의미한다. 특히 국제 정치사에서는 아프리카 분할 시기 서구 열강이 장래의 선점을 예상하여 영토권을 유보한 지역이나, 청나라 말기 열강이 중국에 대한 이권 획득 경쟁 속에서 우선적 또는 배타적인 권리를 확보한 특정 지역을 가리키는 엄밀한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42] 영향력을 갖는 측과 영향을 받는 측 사이에는 조약이나 협정 등 공식적인 외교 관계가 있는 경우도 있지만, 소프트 파워 등을 통해 비공식적인 영향 관계가 형성되기도 한다. 세력권 내 상위 국가의 독점 강화는 종종 분쟁의 원인이 되어왔다. 세력권 관계가 심화되면 해당 국가는 상위 국가의 괴뢰 국가나 사실상의 식민지가 되기도 한다.


제국주의 시대 열강들은 세계 각지에 영향권을 설정했다. 예를 들어 시암(태국)에서는 대영 제국과 프랑스 제3공화국이 1904년 협정을 통해 영향권을 나누었다. 영국은 메남강(차오프라야강) 유역 서쪽과 태국만 서쪽, 프랑스는 메남강 유역 동쪽의 영향력을 서로 인정했으며, 양측 모두 시암 영토를 병합할 의사는 없다고 밝혔다.[5] 페르시아(이란)에서는 1907년 영-러 협약을 통해 러시아 제국이 북부 대부분, 영국이 남동부 지역을 영향권으로 분할했다.[6][7][58][59] 이란과 태국처럼 두 강대국 사이에 끼인 국가는 완충국 역할을 하기도 했다.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반의 중국은 열강의 세력권 다툼이 극명하게 드러난 사례이다. 영국, 프랑스, 독일, 러시아, 일본 등은 군사력을 동원해 청나라에 불평등 조약을 강요하고 장기간의 조차 계약을 맺어 중국 영토 대부분을 자국의 세력권으로 삼았다.[43] 1897년 독일 빌헬름 2세는 교주만을 조차하고 산둥성의 광산 및 철도 이권을 확보하며 세력권 경쟁에 뛰어들었다.[44] 러시아는 기존의 외몽골 및 신장에서의 특권에 더하여[45] 동북 3성(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에서 독일과 유사한 경제 특권을 얻었다. 프랑스는 윈난성, 광시성, 광둥성을, 일본은 푸젠성을, 영국은 장강 유역과 티베트를 각각 세력권으로 삼았다.[46] 이탈리아 역시 저장성 확보를 시도했으나 청 정부에 의해 저지되었다.[47] 이러한 세력권은 청과의 불할양 협정 및 철도 부설권 등을 기반으로 했으나, 완전한 영토 지배는 아니었다.[48]
열강들은 세력권 내에서 법정, 경찰 설치, 자체 상법 시행, 도로 및 철도 건설, 군함 배치 등을 통해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청의 지방 정부는 이에 저항했다.[52] 특히 러시아는 점령 지역에서 법과 학교 제도를 시행하고 자원 특권을 독점했으며, 청의 동의 없이 행정 기구를 설립하기도 했다.[50][51] 당시 영국의 보수당 의원이었던 윈스턴 처칠은 1902년 연설에서 중국 분할과 아리아 인종의 우월성을 주장하는 등 제국주의적 인식을 드러내기도 했다.[49]
1899년 미국 국무장관 존 헤이는 열강의 세력권 확대로 중국 시장 접근이 어려워질 것을 우려하여, 중국의 영토 및 주권 존중과 조약항에서의 자유로운 교역 보장을 요구하는 문호 개방 정책을 제안했다.[53] 그러나 이는 열강의 이권 추구를 막지 못했으며[54], 미국 스스로도 1917년 일본의 만주 세력권을 인정하는 이시이-랜싱 협정을 맺는 모순을 보이기도 했다.[55] 1910년에는 영국, 프랑스, 독일, 미국, 러시아, 일본이 은행 연합을 결성하여 중국의 재정을 공동 관리하며 이익을 독점했고, 위안스카이의 중화민국 정부는 재정적으로 열강에 종속되었다.[56][57] 중국에서의 열강 세력권 구조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해체되었다.
한편, 아메리카 대륙에서는 초대 미국 재무 장관 알렉산더 해밀턴이 『페더럴리스트』에서 유럽 세력을 몰아내고 미국 중심의 질서를 구축하는 구상을 제시했다.[61][62] 이는 제5대 대통령 제임스 먼로의 먼로 독트린으로 구체화되어, 아메리카 대륙을 미국의 세력권으로 선언하고 유럽의 간섭을 배제하는 미국의 기본 외교 정책이 되었다.[63] 이후 미국이 강대국으로 부상하면서 이러한 입장에 도전하는 국가는 거의 없었다.
2. 2. 신 제국주의 시대 (19세기 후반 ~ 20세기 초)
신 제국주의 시대에 영향권이라는 용어는 특히 아프리카 분할 과정에서 서구 열강이 장래의 선점을 위해 영토권을 유보한 지역이나, 중국과 같이 열강의 이권 경쟁 속에서 특정 국가가 우선적 또는 배타적 권리를 확보한 지역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42] 이 시기 열강들은 조약이나 협정을 통해, 혹은 비공식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며 다른 국가나 지역을 자국의 영향권 아래 두려 했다.
시암(태국)의 경우, 대영 제국과 프랑스 제3공화국은 1904년 협정을 통해 영향권을 분할했다. 영국은 메남강(차오프라야강) 유역 서쪽과 태국만 서쪽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프랑스는 메남강 유역 동쪽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서로 인정했다. 양측은 시암 영토를 병합할 의도는 없다고 명시했다.[5][60]
1907년 영-러 협약에서는 영국과 러시아 제국이 페르시아(이란)를 각자의 영향권으로 나누었다. 이 협약으로 러시아는 이란 북부 대부분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인정받았고, 영국은 남동부 지역을 자국의 영향권으로 확보했다.[6][7][58][59]
한편,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초까지 중국은 영국, 프랑스, 독일, 러시아, 일본 등 여러 열강에 의해 각자의 '세력권'으로 분할되는 굴욕의 세기를 겪었다. 열강들은 청나라 정부에 불평등 조약이나 장기 임대 계약 등을 강요하며 광대한 지역에 대한 특별한 권한을 확보했다.[8][43] 이는 중국의 반식민지 상태를 심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중국 내 세력권 분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서를 참조하라.)
2. 2. 1. 중국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초까지 중국은 서구 열강과 일본에 의해 반식민지 상태에 놓였으며, 이 시기를 중국에서는 '굴욕의 세기'라고 부른다. 영국, 프랑스, 독일, 러시아, 일본 등은 청나라 정부에 불평등 조약과 장기 임대 계약을 강요하여 중국 영토의 광대한 지역에 대한 특별한 권한, 즉 '세력권'을 확보했다.[8][43] 미국은 당시 미국-스페인 전쟁에 집중하느라 초기에는 이러한 경쟁에 참여하지 못했다.열강들의 세력권 분할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 1895년 초, 프랑스가 중국 남서부에 세력권을 주장했다.[9]
- 1897년 12월, 독일 황제 빌헬름 2세가 중국 영토 점령 의사를 밝히면서 열강 간의 세력권 분할 경쟁이 본격화되었다.[44]
| 열강 | 주요 세력권 범위 | 비고 |
|---|---|---|
| 독일 | 산둥성 | 개발 대출, 광업, 철도 소유 독점권 확보[10][44] (교주만 조차지) |
| 러시아 | 만리장성 북쪽 영토 (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 등) | 독일과 유사한 경제 특권 확보.[11] 기존 몽골 및 신장 지역 무역 면세 혜택 유지.[12][45] |
| 프랑스 | 윈난성, 광시성, 광둥성 대부분 | [15][46] |
| 일본 | 푸젠성 | [15][46] |
| 영국 | 양쯔강 유역 전체 (인접 성 및 허난성, 저장성 포함)[11][15], 광둥성 및 광시성 일부[13], 티베트 일부[14] | 라싸 조약 등 관련[46] |
이탈리아도 저장성에 대한 세력권 확보를 시도했으나 청 정부에 의해 거부되었다.[15][47] 이러한 세력권은 특정 지역을 제3국에 넘기지 않기로 약속하는 불할양 협정이나 철도 부설권 등을 기반으로 했으며, 열강이 완전한 주권을 행사하는 임대지나 조차지와는 구별되었다.[48]
세력권 내에서 강대국들은 자국의 법원, 우체국, 상업 기관, 철도, 군함 등을 운영하며 영향력을 행사했다. 특히 러시아는 자국 세력권을 군사적으로 점령하고, 러시아식 법과 학교를 강요했으며, 광업 및 벌목 특권을 독점하고 자국민을 이주시키는 등 노골적인 통치를 시행했다. 심지어 청나라의 동의 없이 여러 도시에 자체적인 행정 기구를 설립하기도 했다.[16][17][50][51] 1902년 영국의 윈스턴 처칠은 "우리는 중국인을 손에 넣고 통제해야 할 것", "나는 완전한 중국 분할을 확신한다", "아리아 인종은 승리할 운명에 있다"와 같은 제국주의적 발언을 하기도 했다.[49]
하지만 이러한 외세의 침투 속에서도 청나라의 지방 정부는 열강의 추가적인 침해를 제한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저항했다.[18][52]
1899년 9월 6일, 미국 국무장관 존 헤이는 다른 열강들이 중국 내에서 막대한 세력권을 확보하는 것을 경계하고, 중국 시장에 대한 접근성을 잃을 것을 우려하여 문호 개방 정책을 제안했다. 그는 주요 열강(프랑스, 독일, 영국, 이탈리아, 일본, 러시아)에게 중국의 영토 및 행정적 통합을 유지하고, 각자의 세력권 내 조약 항구의 자유로운 이용을 보장할 것을 요구하는 서한을 보냈다.[19][53] 이후 1900년대 조약들에서 이 정책이 언급되기는 했지만, 철도, 광산, 대출, 무역항 등 각종 이권을 둘러싼 열강들의 경쟁은 계속되었다.[20][54] 미국 스스로도 1917년 이시이-랜싱 협정을 통해 일본의 중국 내 특수 이익(세력권)을 인정하는 모순적인 행보를 보였다.[21][55]
1910년, 영국, 프랑스, 독일, 미국, 그리고 나중에는 러시아와 일본까지 참여하여 문호 개방 정책의 원칙을 무시하고 은행 컨소시엄을 결성했다. 각국 정부가 지원하는 은행 그룹으로 구성된 이 컨소시엄은 중국에 대한 모든 외국 대출을 독점함으로써 열강에게 막대한 정치적 영향력을 부여하고 상호 경쟁을 줄이는 역할을 했다. 이 기구는 중국 세입의 대부분을 통제했으며, 이를 통해 당시 중국 군벌 위안스카이의 통치를 재정적으로 뒷받침하며 중국에 대한 외세의 통제력을 강화했다.[22][23][56][57] 컨소시엄은 혁명적 격변기 동안 중국 재정에 대한 외국의 통제를 용이하게 만들었다.[24]
이러한 열강의 세력권 체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종식되었다.
2. 3. 제1차 세계 대전과 그 이후
(내용 없음 - 주어진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 내용을 뒷받침할 정보가 없습니다.)2. 4. 제2차 세계 대전 (1939-1945)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향권 개념은 주요 강대국들의 전략과 갈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39년 나치 독일과 소련은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의 비밀 의정서를 통해 북유럽과 동유럽을 양국의 영향권으로 분할했다. 이 비밀 의정서는 1945년 독일 패배 이후에야 공개되었다.[25][64]
- 북쪽의 핀란드, 에스토니아, 라트비아는 소련의 영향권으로 지정되었다.[25][64]
- 폴란드는 "정치적 재편" 시 분할될 예정이었으며, 나레프, 비스툴라, 산 강 동쪽 지역은 소련이, 서쪽 지역은 독일이 점령하기로 했다.[25][64]
- 리투아니아는 처음에는 동프로이센과 인접하여 독일 영향권에 속했으나, 1939년 9월 두 번째 비밀 의정서에 따라 소련에 할당되었다.[26][65]
조약은 또한 당시 루마니아 왕국의 일부였던 베사라비아가 몰도바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합병되어 모스크바 통제 하의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될 것을 규정했다.[25][64] 그러나 1940년 6월 28일 소련의 부코비나 침공은 추축국과 합의된 소련의 영향권을 넘어선 것으로,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을 위반한 행위였다.[27][66] 소련은 오랫동안 비밀 의정서의 존재를 부인했으나, 소련의 해체 이후 러시아 연방 정부가 그 존재와 진위성을 인정했다.[28][67]
한편, 태평양 전쟁에서 대일본 제국은 광범위한 영향권을 구축했다. 일본 정부는 한국, 베트남, 타이완 및 중국 본토 일부를 직접 통치했으며, "대동아 공영권"이라는 이름 아래 아시아 및 태평양의 여러 국가와 섬들을 사실상의 영향권 하에 두었다. 이는 태평양 지도에 일본 중심의 거대한 영역으로 그려질 수 있었다.
1941년 독일의 소련 침공 이후, 연합국 진영에 합류한 소련과 서방 연합국(주로 미국, 영국)은 각자의 영향권을 갖는다는 암묵적인 가정 아래 협력하며 작전을 수행했다.[29] 그러나 나치 점령지가 축소되고 연합국이 여러 국가를 해방시키면서, 이러한 영향권 설정은 점차 문제점을 드러냈다.[29]
전시 영향권은 명확한 정의가 없었기에, 지배적인 연합국이 단순히 군사 작전 영역에서 결정권을 갖는 것인지, 아니면 해당 지역의 정치, 사회, 경제적 미래까지 결정할 권한을 갖는지 불분명했다. 이러한 비공식적이고 모호한 체제는 전쟁 후반기와 종전 이후 큰 갈등의 원인이 되었다. 특히 해방된 지역과 패전국 독일의 관리 및 미래 발전을 놓고 소련과 서방 연합국 간의 입장 차이가 극명하게 드러나면서 냉전의 씨앗이 되었다.[29][68]
3. 냉전 시대 (1947-1991)

냉전 기간 동안 세계는 미국과 소련이라는 두 초강대국을 중심으로 양분되어 각자의 영향권을 형성했다.
소련의 영향권은 발트 3국, 중앙 유럽, 동유럽의 일부 국가, 쿠바, 라오스, 베트남, 북한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또한, 중소 분쟁 이전까지는 중국과 티토-스탈린 분열 이전까지는 유고슬라비아도 소련의 영향권 아래 있었던 것으로 간주되었다.[30]
한편, 미국은 서유럽, 오세아니아, 일본, 남베트남 및 대한민국 등지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여겨졌다.[30]
그러나 이러한 영향권 내에서 각국의 행동이 완전히 통제된 것은 아니었다. 예를 들어, 프랑스와 영국은 수에즈 위기 당시 이스라엘과 함께 독자적으로 수에즈 운하를 침공하는 결정을 내렸다. 비록 미국과 소련의 공동 압력으로 철수했지만, 이는 강대국의 영향권 내에서도 독자적인 행동이 가능했음을 보여준다. 이후 프랑스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의 군사 기구에서 탈퇴하기도 했다. 쿠바 역시 소련의 주요 동맹국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때때로 소련의 의사와는 다른 독자적인 행보를 보였다. 중국과의 일시적인 동맹 관계 수립, 독자적인 경제 재편 시도, 소련의 사전 승인 없이 아프리카와 아메리카 대륙의 반군 지원 등이 그 예이다.
냉전의 종식과 함께 동구권이 붕괴되면서 소련의 영향력은 크게 약화되었고, 1991년 소련의 해체로 소련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게 되면서 그 영향권은 사실상 사라졌다.
4. 냉전 이후 (1990년대~현재)
소련 붕괴 이후, 동유럽, 코카서스, 중앙아시아의 신생 독립국들(발트 3국 제외)은 여전히 러시아 연방의 영향권 아래 있는 것으로 간주되기도 한다.[69]
냉전 종식 후 영향권 개념을 해소하려는 노력도 있었다. 1997년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와 러시아는 "안전하고 안정적이며, 모든 국가의 주권을 제한하는 분할이나 세력권과는 무관한 유럽을 만들어내는 것"을 목표로 하는 기본 문서에 합의했다.[70]
그러나 21세기에 들어서도 영향권을 둘러싼 갈등은 지속되었다. 2008년 남오세티야 전쟁 이후, 바츨라프 하벨을 비롯한 동유럽 지도자들은 러시아가 영향권 유지를 명분으로 헬싱키 선언 및 파리 헌장의 핵심 원칙을 위반했다고 비판하는 공개 서한을 발표했다.[72] 또한 유럽 연합(EU)의 동방 파트너십 프로그램을 두고 2009년 러시아는 EU의 영향권 확장 시도라고 주장했으나, 스웨덴 외무장관 칼 빌트는 해당 국가들의 자발적 참여임을 강조하며 이를 반박했다.[71]
4. 1. 러시아

소련 붕괴 이후 1991년에 독립한 독립 국가 연합(CIS) 국가들은 러시아 연방의 영향권 안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이는 1994년 9월 보리스 옐친 당시 러시아 대통령의 발언에서도 나타난다.[31] 카네기 유럽의 울리히 스펙은 소련 붕괴 후 서방 국가들이 발트 3국을 제외한 구소련 국가들을 암묵적으로 러시아의 영향권으로 취급했다고 지적했다.[32]
1997년,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와 러시아는 ''상호 관계, 협력 및 안보에 관한 기본 협정''에 서명했다. 이 협정은 "어떤 국가의 주권도 제한하는 분계선이나 영향권 없이 유럽에 공동의 안보와 안정 공간을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명시했다.[33][70]
그러나 2008년 8월 31일,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당시 러시아 대통령은 러시아 국경 지역뿐만 아니라 다른 국가들에 대한 "특권적 영향권"을 포함하는 5가지 외교 정책 원칙을 발표하며 기존의 합의와 다른 방향을 제시했다.[34]
같은 해 발생한 러시아-조지아 전쟁 이후, 바츨라프 하벨을 비롯한 동유럽의 전직 지도자들은 러시아가 자국의 영향권을 지키기 위해 헬싱키 최종 의정서와 파리 헌장의 핵심 원칙을 침해했다고 비판하는 공개 서한을 발표했다.[72]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 이후, NATO는 러시아가 1997년 기본 협정을 위반하고 영향권을 다시 만들려 한다고 비판했다. NATO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일부를 점령하고 국경에 군대를 집결시킨 점, 그리고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이 "우크라이나는 어떤 블록에도 속할 수 없다"고 발언한 것을 근거로 들었다.[35][73] 같은 해 11월,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러시아의 행동을 "국제법을 무시하는 영향권에 대한 낡은 사고방식"이라 비판하며 이것이 "유럽 전체의 평화 질서를 위협한다"고 지적했다.[36][74] 2017년 1월에는 테레사 메이 영국 총리가 레이건 대통령과 대처 총리가 동유럽에 가져온 자유를 푸틴 대통령이 자신의 영향권이라 주장하며 훼손하려 한다고 비판했다.[37][75]
4. 2. 유럽 연합 (EU)
2009년, 러시아는 유럽 연합(EU)이 동방 파트너십을 통해 주변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려 한다고 주장했다.[38] 러시아는 이를 EU의 영향권 확장 시도로 간주했다.
그러나 같은 해 3월, 당시 스웨덴 외무부 장관이었던 칼 빌트는 이러한 주장을 반박했다. 그는 "동방 파트너십은 영향권에 관한 것이 아니며, 중요한 차이점은 이들 국가가 스스로 참여를 선택했다는 점"이라고 강조했다.[38]
4. 3. 미국
미국 초대 미국 재무부 장관 알렉산더 해밀턴은 북아메리카에서 미국의 영향력을 확립하고자 했다.[1][61] 해밀턴은 『연방주의자 논집』 (The Federalist Papers)에서 미국이 세계 강대국으로 부상하여 유럽 열강을 아메리카 대륙에서 몰아내고, 아메리카 국가들 사이에서 지역적 우위를 확보하려는 야심을 드러냈다. 그러나 당시 신세계의 대부분은 여전히 유럽 국가들의 식민지 상태였다.[2][62]이러한 구상은 제5대 대통령 제임스 먼로 시기에 미국의 공식 정책인 '먼로 독트린'으로 구체화되었다. 이 독트린은 신세계, 즉 아메리카 대륙을 유럽의 간섭과 침략에서 벗어난 미국의 영향권으로 설정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미국이 강력한 국가로 성장하면서, 다른 나라가 미국의 영향력에 도전하는 경우는 드물었다.[3][63] 대표적인 예외로는 소련이 쿠바에 미사일을 배치하며 아메리카 대륙의 정세에 개입하려 했던 쿠바 미사일 위기가 있다.
먼로 독트린은 현대에도 미국의 외교 정책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18년, 당시 미국 국무장관이었던 렉스 틸러슨은 먼로 독트린을 언급하며, 중국과 같은 다른 국가들보다 미국이 아메리카 대륙 국가들에게 우선적인 무역 파트너임을 강조했다.[4]
5. 현대적 의미와 적용
영향권이라는 개념은 국제 정치뿐만 아니라 기업, 조직, 단체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될 수 있다. 기업 간의 관계에서도 영향력의 크고 작음이 존재하지만, 이 섹션에서는 주로 국제 정치에서의 의미와 적용을 다룬다.
국제 정치에서 세력권(영향권)은 한 국가가 다른 국가의 영토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해 정치·경제·군사적으로 배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역사적으로는 서구 열강이 아프리카를 분할하면서 장래의 선점을 위해 영토권을 유보한 지역이나, 열강이 청나라에 대한 이권 경쟁 속에서 우선적 또는 배타적인 권리를 확보한 특정 지역을 지칭하는 데 엄밀하게 사용되었다.[42]
영향력 관계는 조약이나 협정처럼 공식적인 외교 관계를 통해 형성되기도 하지만, 소프트 파워 등을 통해 비공식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공식적인 동맹 관계라고 해서 반드시 한쪽이 다른 쪽을 영향권 아래 두는 것은 아니다. 역사적으로 볼 때, 특정 세력이 영향권 내에서 독점력을 강화하려 할수록 분쟁의 소지가 커지는 경향이 있었다.
영향권 관계가 심화되면, 영향권 아래 놓인 국가는 상위 국가의 괴뢰 국가가 되거나 사실상의 식민지로 전락하기도 한다. 영향권 개념은 초강대국, 열강, 미들 파워와 같은 국제 관계 행위자들의 위상을 설명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사용된다.
때로는 한 국가가 두 개 이상의 강대국 영향권 사이에 놓이는 경우도 있다. 식민주의 시대에 영국과 러시아 제국 사이에 끼인 이란 (카자르 왕조)이나 영국과 프랑스 사이에 놓인 태국 (차크리 왕조)은 두 강대국 사이의 완충국 역할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4개의 군정 지구로 분할되었다가 동서로 나뉜 독일 역시 대표적인 사례이다. 서독은 미국 중심의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 동독은 소련 중심의 바르샤바 조약 기구에 속하게 되었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의 중국은 열강의 영향권 다툼을 명확히 보여주는 역사적 사례이다. 당시 영국, 프랑스, 독일, 러시아, 그리고 이후 일본은 군사력을 앞세워 불평등 조약을 강요하고 조차지 계약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중국 영토 대부분을 각자의 영향권 아래 두었다.[43] 예를 들어 독일은 교주만 조차지를 확보하고 산둥성의 경제적 이권을 차지했으며[44], 러시아는 만주와 몽골, 신장 지역에서[45], 프랑스는 남부 지역에서, 일본은 푸젠성에서, 영국은 장강 유역과 티베트에서 각각 영향력을 행사했다.[46] 이러한 열강의 침탈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종결되었다. 미국은 문호 개방 정책을 주장하며 중국 시장에서의 자국 이익을 보호하려 했으나[53], 열강의 이권 추구는 계속되었고 미국 스스로도 이시이-랜싱 협정을 통해 일본의 영향권을 인정하는 모순을 보이기도 했다.[55]
현대에는 명시적인 정치·군사적 영향권 외에도 광범위한 문화적 영향권 개념이 존재한다. 언어, 종교, 역사적 경험 등을 공유하는 지역들을 묶어 부르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예시들이 있다.
- 앵글로스피어: 영어 사용 문화권
- 아랍권: 아랍어 사용 및 이슬람교 문화권
- 유로스피어: 유럽 연합 중심의 정치·경제·문화적 영향권
- 프랑코포니: 프랑스어 사용 문화권
- 게르만 문화권: 독일어 등 게르만어파 언어 사용 문화권
- 인도 문화권 (대인도): 인도의 언어 및 문화적 영향을 받은 지역
- 라틴 유럽 / 라틴 아메리카: 로망스어군 언어 및 가톨릭 문화 기반 지역
- 루소포니아: 러시아어 사용 문화권
- 튀르크권: 튀르크족 및 튀르크어족 언어 사용 문화권
- 한자 문화권: 역사적으로 한자 및 중국 문화의 영향을 받은 지역
- 슬라브 문화권: 슬라브족 및 슬라브어파 언어 사용 문화권
- 히스파노스피어: 스페인어 사용 문화권
- 말레이 세계: 말레이인 및 말레이어 사용 문화권
이러한 문화적 영향권들은 과거 정치적으로 통일되었거나 특정 세력의 영향 아래 있었던 역사적 배경을 가지는 경우가 많지만, 현재는 정치적 통합체로서의 의미는 대부분 약화되었다.
5. 1. 기업의 영향력
기업의 영향권은 다른 사업체, 조직, 단체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힘을 의미한다. 영향력은 규모, 시장 점유율, 브랜드 인지도 등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나며, 일반적으로 규모가 큰 기업이 더 큰 영향력을 갖는다.예를 들어, 마이크로소프트는 운영 체제 시장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소프트웨어 개발사들은 자사 제품의 성공을 위해 마이크로소프트 운영 체제와의 호환성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또한 소매업체는 최대 이익을 위해 고객 접근성이 좋은 곳에 매장을 열어야 하는데, 이는 고객 유치가 중요한 쇼핑센터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기업의 영향력을 측정하는 통일된 기준은 없지만, 특정 상업 시설에 대해 소비자가 얼마나 멀리서 오는지, 얼마나 머무는지, 얼마나 자주 방문하는지 등을 통해 영향력의 크기를 가늠할 수 있다.
특히 기업은 자신들의 활동을 감시하고 규제하는 정부 기관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기도 한다. 미국의 도금 시대에는 기업들이 정부 규제를 피하기 위해 막대한 자금을 로비에 사용하면서 부패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었다.[39] 비교적 최근인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도 월 스트리트의 금융 기업들은 선거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20억달러라는 기록적인 금액을 지출했다.[40][41] 이는 기업의 경제적 힘이 정치적 영향력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6. 비판적 시각
영향권 개념은 한 국가가 다른 국가의 영토 전체 또는 일부에 대해 정치·경제·군사적으로 배타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의미하며[42], 이는 본질적으로 강대국의 이익 관철 과정에서 약소국의 주권과 자율성을 침해할 수 있다는 비판적 시각을 내포한다. 역사적으로 서구 열강이 아프리카 분할 과정에서 미래의 선점을 목적으로 타국의 영토권을 유보하거나[42], 중국을 둘러싼 이권 경쟁 속에서 특정 지역에 대한 우선적 또는 배타적 권리를 확보한 사례[42] 등은 이러한 영향력 행사가 일방적이고 강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영향력 관계는 조약이나 협정과 같은 공식적 외교 관계를 통해 형성되기도 하지만, 소프트 파워 등을 통한 비공식적 방식으로도 나타날 수 있다.[42] 그러나 공식적인 동맹 관계가 반드시 한쪽이 다른 쪽을 영향권 아래 두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42] 역사적으로 상위 세력이 영향권 내에서의 독점적 지위를 강화하려 할수록, 이는 오히려 분쟁의 소지를 키워 갈등을 격화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42]
영향권 내 상하 관계가 극단적으로 심화될 경우, 영향력 아래 놓인 국가는 상위 국가의 의도대로 움직이는 괴뢰 국가로 전락하거나 사실상의 식민지 상태에 놓일 위험이 있다.[42] 이는 초강대국이나 열강이 상대적으로 힘이 약한 국가들을 대상으로 자국의 영향력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심각한 문제점이다.[42]
때로는 약소국이 두 강대국의 영향권 사이에 위치하여 의도치 않게 완충국 역할을 수행하거나(이란, 태국의 사례), 강대국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국가가 분할되는 비극(제2차 세계 대전 후 독일 분단 사례)을 겪기도 한다.[42] 이러한 역사적 사례들은 영향권 개념이 강대국 중심의 국제 질서 속에서 약소국의 운명을 좌우하는 기제로 작동하며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7. 결론
영향권은 국제 정치에서 한 국가가 정치, 경제, 군사적으로 배타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다른 나라의 영토 일부 또는 전부를 의미한다. 역사적으로는 서구 열강이 아프리카 분할 과정에서 장래의 선점을 위해 영토권을 유보한 지역이나, 중국을 둘러싼 열강의 이권 경쟁 속에서 특정 국가가 우선적 또는 배타적 권리를 확보한 지역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42]
영향 관계는 조약이나 협정과 같은 공식적 외교 관계를 통해 형성되기도 하지만, 소프트 파워 등에 의한 비공식적 관계로 나타나기도 한다. 반드시 공식적인 동맹 관계가 일방적인 영향력 행사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며, 역사적으로 상위 세력이 세력권 내 독점을 강화하려 할수록 분쟁의 가능성이 커지는 경향이 있었다.
영향권 내 상하 관계가 극단적으로 심화될 경우, 영향받는 국가는 상위 국가의 괴뢰 국가가 되거나 심지어 사실상의 식민지로 전락할 수도 있다. 영향권 개념은 초강대국, 열강, 미들 파워와 같은 국가들의 국제 관계상 위상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도구로 사용된다.
하나의 국가가 두 개 이상의 강대국 영향권 사이에 놓이는 경우도 존재한다. 식민주의 시대에 영국과 러시아 사이에 놓였던 이란(가자르 왕조)이나 영국과 프랑스 사이에 있던 태국(라타나코신 왕조)은 두 강대국 사이에서 완충국 역할을 수행했다. 또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4개의 군정 지구로 분할되어 동서로 나뉜 독일의 사례처럼, 한 국가가 분단되어 각각 다른 영향권(북대서양 조약 기구와 바르샤바 조약 기구)에 편입되기도 했다.
이처럼 영향권은 국제 정치의 복잡한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이며, 비단 국제 정치뿐만 아니라 쇼핑 센터와 같은 소매업의 지리적 독점 범위(상권)를 설명하는 등 다른 분야에서도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Monroe Doctrine, 1823
https://history.sta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16-03-26
[2]
논문
The Origins of the Monroe Doctrine
1924-02
[3]
서적
New Encyclopædia Britannica
Encyclopædia Britannica
[4]
웹사이트
Tillerson Praises Monroe Doctrine, Warns Latin America of 'Imperial' Chinese Ambitions
https://foreignpolic[...]
The Slate Group
2018-10-04
[5]
간행물
Declaration between the United Kingdom and France concerning Siam, Madagascar, and the New Hebrides
Governments of Great Britain and the French Republic
[6]
문서
British Documents on the Origins of the War 1898–1914, Volume IV, The Anglo-Russian Rapprochement 1903-7
https://archive.org/[...]
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
1929
[7]
웹사이트
Yale Law School: "Agreement concerning Persia" (in English)
http://avalon.law.ya[...]
2018-10-04
[8]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11 Late Ch'ing 1800–1911 Part 2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11 Late Ch'ing 1800-1911 Part 2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서적
Democracy and Socialism in Republican China: The Politics of Zhang Junmai (Carsun Chang), 1906–1941
Rowman & Littlefield
1997
[11]
서적
The Rise Of Russia In Asia
Read Books Ltd
2013
[12]
서적
Imperial Rivals: China, Russia, and Their Disputed Frontier
https://archive.org/[...]
M.E. Sharpe
2018-02-22
[13]
서적
Recollections of the Revolution of 1911: A Great Democratic Revolution of China
https://books.google[...]
The Minerva Group, Inc.
2020-11-21
[14]
웹사이트
Convention Between Great Britain and Tibet (1904)
http://www.tibetjust[...]
2018-10-04
[15]
서적
Encyclopedia of World History, Ackerman-Schroeder-Terry-Hwa Lo, 2008: Encyclopedia of World History Volume 7 of Encyclopedia of World History
Fact on File Publishing, Inc Bukupedia
2008
[16]
서적
The Development of the North Manchuria Frontier, 1900–1931
McMaster University
2003
[17]
서적
Taming China's Wilderness: Immigration, Settlement and the Shaping of the Heilongjiang Frontier, 1900–1931
Routledge
2016
[18]
논문
What was the 'Sphere of Influence'? A Study of Chinese Resistance to the Russian Empire in North Manchuria, 1900–1917
2006-Fall
[19]
웹사이트
Secretary of State John Hay and the Open Door in China, 1899–1900
https://history.stat[...]
Office of the Historian, US Department of State
2014-01-17
[20]
웹사이트
Trans-Pacific relations: America, Europe, and Asia in the twentieth century
https://www.questia.[...]
2020-01-07
[21]
서적
Stillwell and the American Experience in China 1911–1945
Grove Press
[22]
서적
Modern China's Foreign Policy
https://books.google[...]
U of Minnesota Press
2020-11-21
[23]
서적
Anglo-American Relations in the 1920s: The Struggle for Supremac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20-11-21
[24]
논문
Financing Imperialism: British and American Bankers as Vectors of Imperial Expansion in China, 1908–1920
1982
[25]
웹사이트
Text of the Nazi-Soviet Non-Aggression Pact
http://www.fordham.e[...]
2014-11-14
[26]
서적
Historical Injustice and Democratic Transition in Eastern Asia and Northern Europe
Routledge
2002
[27]
서적
The Secret File of Joseph Stalin: A Hidden Life
[28]
서적
Remembering Katyn
John Wiley & Sons
[29]
서적
Europe at War 1939–1945: No Simple Victory
Penguin
2008-08-26
[30]
웹사이트
Yes, the US Has Its Own "Sphere of Influence." And It's Huge. {{!}} Mises Institute
https://mises.org/mi[...]
2024-07-27
[31]
뉴스
Yeltsin Claims Russian Sphere of Influence
https://www.washingt[...]
2022-11-16
[32]
뉴스
The EU Must Prepare for a Cold Peace With Russia
http://carnegieeurop[...]
2015-05-22
[33]
웹사이트
Founding Act on Mutual Relations, Cooperation and Security between NATO and the Russian Federation signed in Paris, France
http://www.nato.int/[...]
NATO
2016-01-11
[34]
뉴스
Russia Claims Its Sphere of Influence in the World
https://www.nytimes.[...]
2021-08-31
[35]
웹사이트
Russia's accusations – setting the record straight, Fact Sheet – April 2014
http://www.nato.int/[...]
NATO
2016-01-11
[36]
뉴스
Merkel: Russia cannot veto EU expansion
https://euobserver.c[...]
2014-11-17
[37]
뉴스
FULL TEXT: Theresa May's speech to the Republican 'Congress of Tomorrow' conference
http://www.businessi[...]
Business Insider
2017-01-26
[38]
뉴스
EU expanding its 'sphere of influence,' Russia says
https://euobserver.c[...]
2009-03-21
[39]
서적
America: A Narrative History
W. W. Norton
[40]
뉴스
Wall Street spends record $2bn on US election lobbying
https://www.ft.com/c[...]
2017-03-08
[41]
뉴스
Wall Street Spent $2 Billion Trying to Influence the 2016 Election
https://fortune.com/[...]
2020-06-13
[42]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勢力圏(国際政治)」
https://kotobank.jp/[...]
[43]
웹사이트
Spheres of Influence in China
http://historyworlds[...]
[44]
서적
Democracy and Socialism in Republican China: The Politics of Zhang Junmai (Carsun Chang), 1906-1941
Rowman & Littlefield
1997
[45]
서적
Imperial Rivals: China, Russia, and Their Disputed Frontier
https://books.google[...]
M.E. Sharpe
2018-02-22
[46]
웹사이트
Convention Between Great Britain and Tibet (1904)
http://www.tibetjust[...]
[47]
서적
Encyclopedia of World History, Ackerman-Schroeder-Terry-Hwa Lo, 2008: Encyclopedia of World History Volume 7 of Encyclopedia of World History
Fact on File Publishing, Inc Bukupedia
2008
[48]
문서
不割譲宣言により利益範囲(a sphere of interest)が基礎づけられ、他の列強の介入(投資など)に対して優先的選択権の要求として承認される基礎づけとなった。
[49]
웹사이트
Speech and interview at the University of Michigan, 1902.
http://www.winstonch[...]
[50]
서적
Taming China's Wilderness: Immigration, Settlement and the Shaping of the Heilongjiang Frontier, 1900-1931
Routledge
2016
[51]
서적
The Development of the North Manchuria Frontier, 1900-1931
McMaster University
2003
[52]
간행물
Patrick Fuliang Shan, “What was the ‘Sphere of Influence’? A Study of Chinese Resistance to the Russian Empire in North Manchuria, 1900-1917,” The Chinese Historical Review, (Fall 2006, vol. 13, no. 2), pp.271-291.
[53]
웹사이트
Secretary of State John Hay and the Open Door in China, 1899–1900
https://history.stat[...]
Office of the Historian, US Department of State
2014-01-17
[54]
간행물
Sugita, Yoneyuki, "The Rise of an American Principle in China: A Reinterpretation of the First Open Door Notes toward China" in [[Richard J. Jensen]], Jon Thares Davidann, and Yoneyuki Sugita, eds. Trans-Pacific relations: America, Europe, and Asia in the twentieth century (Greenwood, 2003) pp 3–20
https://www.questia.[...]
[55]
서적
Stillwell and the American Experience in China 1911-1945
Grove Press
[56]
서적
Modern China's Foreign Policy
https://books.google[...]
U of Minnesota Press
1953
[57]
서적
Anglo-American Relations in the 1920s: The Struggle for Supremacy
https://books.google[...]
Springer
1991
[58]
문서
British Documents on the Origins of the War 1898-1914, Volume IV, The Anglo-Russian Rapprochement 1903-7. Edited by G.P. Gooch and H Temperley. Her Majesty's Stationary Office, London 1929. p618-621.
https://archive.org/[...]
[59]
웹사이트
Yale Law School: "Agreement concerning Persia" (in English)
http://avalon.law.ya[...]
[60]
웹사이트
Declaration between the United Kingdom and France concerning Siam, Madagascar, and the New Hebrides
Governments of Great Britain and the French Republic
[61]
웹사이트
Monroe Doctrine, 1823
https://history.sta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16-03-26
[62]
간행물
The Origins of the Monroe Doctrine
1924-02
[63]
서적
New Encyclopædia Britannica
Encyclopædia Britannica
[64]
웹사이트
Text of the Nazi-Soviet Non-Aggression Pact
http://www.fordham.e[...]
[65]
서적
Historical Injustice and Democratic Transition in Eastern Asia and Northern Europe: Ghosts at the Table of Democracy
RoutledgeCurzon
[66]
서적
The Secret File of Joseph Stalin: A Hidden Life
2001
[67]
서적
Remembering Katyn
John Wiley & Sons
[68]
서적
Europe at War 1939–1945: No Simple Victory
Penguin Books
2006
[69]
뉴스
The EU Must Prepare for a Cold Peace With Russia
http://carnegieeurop[...]
2014-12-09
[70]
웹사이트
Founding Act on Mutual Relations, Cooperation and Security between NATO and the Russian Federation signed in Paris, France
http://www.nato.int/[...]
NATO
2019-04-06
[71]
뉴스
EU expanding its 'sphere of influence,' Russia says
https://euobserver.c[...]
2009-03-21
[72]
웹사이트
An Open Letter to the Obama Administration from Central and Eastern Europe
http://wyborcza.pl/1[...]
2009-07-15
[73]
웹사이트
Russia’s accusations - setting the record straight, Fact Sheet - April 2014
http://www.nato.int/[...]
NATO
2014-05-12
[74]
뉴스
Merkel: Russia cannot veto EU expansion
https://euobserver.c[...]
2014-11-17
[75]
뉴스
FULL TEXT: Theresa May's speech to the Republican 'Congress of Tomorrow' conference
Business Insider
2017-01-26
[76]
웹사이트
An Open Letter to the Obama Administration from Central and Eastern Europe
http://wyborcza.pl/1[...]
2009-07-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