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산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산선은 일본 시코쿠 지방을 운행하는 철도 노선으로, 다카마쓰역에서 우와지마역까지 연결된다. 사누키 철도에 의해 시작되어 산요 철도, 국유화를 거쳐 현재 JR 시코쿠가 운영하고 있다. 주요 운행 형태는 특급, 쾌속, 보통 열차로 나뉘며, 특급 열차는 '이시즈치', '시오카제', '우와카이' 등이 있다. 요산선은 1987년 일본국유철도 민영화 이후 JR 시코쿠가 운영하며, 다카마쓰역 - 사카이데역 구간은 쾌속 '마린 라이너'가 운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가와현의 철도 - 도산선
도산선은 시코쿠 여객철도가 운영하는 총 연장 198.7km의 단선 철도 노선으로, 가가와현 다도쓰역에서 고치현 구보카와역까지 이어지며 일부 구간만 전철화되었고 험준한 산지를 횡단하는 긴 터널들이 존재하며 1889년 개통 이후 확장과 개량을 거쳐 1951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 가가와현의 철도 - 혼시비산선
혼시비산선은 오카야마현 차야마치역과 가가와현 우타즈역을 잇는 31.0km 철도 노선으로, JR 서일본과 JR 시코쿠가 분담 운영하며 JR 화물이 전 구간을 운행, 세토 대교를 통해 혼슈와 시코쿠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에히메현의 철도 - 우치코선
우치코선은 시코쿠 여객철도 관할 하에 총 5.3km 길이로, 에히메 철도에 의해 개업 후 국유화와 개궤를 거쳐 요산 본선의 단축 루트로 편입되어 현재 요산선과 직통 운행하며 특급 "우와카이"와 보통 열차가 운행된다. - 에히메현의 철도 - 요도선
요도선은 JR 시코쿠가 운영하는 고치현 와카이역과 에히메현 기타우와지마역을 잇는 76.3km 길이의 철도 노선으로, '시만토 그린 라인'이라는 애칭을 가지며 시만토 강을 따라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는 관광 노선이지만, 재정 상황이 어려워 지역 사회가 유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시코쿠 여객철도의 철도 노선 - 도산선
도산선은 시코쿠 여객철도가 운영하는 총 연장 198.7km의 단선 철도 노선으로, 가가와현 다도쓰역에서 고치현 구보카와역까지 이어지며 일부 구간만 전철화되었고 험준한 산지를 횡단하는 긴 터널들이 존재하며 1889년 개통 이후 확장과 개량을 거쳐 1951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 시코쿠 여객철도의 철도 노선 - 무기선
무기선은 시코쿠 여객철도가 운영하는 도쿠시마현의 철도 노선으로, 단선 비전철화 구간이며 특급 및 보통 열차가 운행되고 일부 구간은 버스와 공동 경영하며, 일부 구간 이관 및 특급 열차 운행 종료 예정이다.
요산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노선 종류 | 간선 철도 |
노선 상태 | 운행 중 |
소재지 | 가가와현, 에히메현 |
기점 | 다카마쓰 역 |
종점 | 우와지마역 |
역 수 | 94개 |
노선 길이 | 297.6 km |
궤간 | 1,067 mm (협궤) |
전철화 구간 | 다카마쓰 - 이요시 (직류 1,500V) |
최고 속도 | 130 km/h |
운영 | JR 시코쿠 |
노선 기호 | Y (다카마쓰 역 - 마쓰야마 역 간) U (마쓰야마 역 - 우와지마 역 간 (신선)) S (무카이바라 역 - 이요오즈 역 간 (구선)) |
전보 약호 | 요사호세 |
노선색 | #fbaf18, #98a9d6 |
![]() | |
역사 | |
개통 | 1889년 5월 23일 |
전체 개통 | 1945년 6월 20일 |
운행 정보 | |
운영 주체 | 시코쿠 여객철도 (전 구간 제1종 철도사업자) 일본화물철도 (다카마쓰 역 - 마쓰야마 화물역 간 제2종 철도사업자) |
사용 차량 | 사용 차량 참조 |
기술 정보 | |
선로 구성 | 복선 (다카마쓰 역 - 다도쓰 역 간), 단선 (그 외 구간) |
최대 경사 | 33‰ (야와타하마 역 - 이요이와키 역 간, 시모우와 역 - 다테마 역 간, 이요요시다 역 - 다카미쓰 역 간) |
최소 곡선 반지름 | 200m |
별칭 | |
별칭 | 세토 대교선 (다카마쓰 역 - 우타즈 역 간) 사랑 있는 이요나다선 (이요 시 역 - 이요나가하마 역 - 이요오즈 역 간) |
관련 링크 | |
공식 웹사이트 | JR 시코쿠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요산선은 1889년 사누키 철도에 의해 최초 구간(마루가메-타도츠)이 개통된 이후, 여러 차례의 노선 연장, 개칭, 국유화, 민영화를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 1889년 5월 23일: 사누키 철도가 마루가메-타도츠(이후 하마타도츠)-고토히라 구간 개통.[40]
- 1897년 2월 21일: 다카마쓰-마루가메 구간 개통.[40]
- 1904년 12월 1일: 산요 철도가 사누키 철도 인수.[40]
- 1906년 12월 1일: 산요 철도 국유화.[40]
- 1909년 10월 12일: 국유 철도 노선 명칭 제정으로 다카마쓰-타도츠-고토히라 구간이 사누키선이 됨.[40]
- 1910년 7월 1일: 다카마쓰역이 다카마쓰 항 쪽으로 1km 이전.[40]
- 1913년 12월 20일: 타도츠-간온지 구간 개통, 타도츠역 이전, 기존 타도츠역은 화물역인 하마타도츠역이 됨.[40]
- 1914년 10월 18일: 우와지마 철도가 우와지마-치카나가 구간(현재의 요도선) 개통.
- 1915년 5월 7일: 임시역인 쓰시마노미야역 개업.
- 1916년 4월 1일: 간온지-가와노에역 구간 개통.[40]
- 1917년 9월 16일: 가와노에-이요미시마역 구간 개통.[40]
- 1918년 2월 14일: 에히메 철도가 나가하마 정(현재 이요나가하마역)-오즈(현재 이요오즈역) 구간(궤간 762mm) 개통.[40]
- 1919년 9월 1일: 이요미시마-이요도이역 구간 개통.[40]
- 1921년 6월 21일: 이요도이-이요사이조역 구간 개통.[40]
- 1923년:
- 5월 1일: 이요사이조-닌마이카와 구간 개통.[40]
- 10월 1일: 닌마이카와-이요미요시역 구간 개통, 사누키선에서 '''요산선'''으로 개칭.[40]
- 12월 21일: 이요미요시-이요사쿠라이역 구간 개통.[40]
- 1924년:
- 2월 11일: 이요사쿠라이-이마바리역 구간 개통.[40]
- 8월 10일: 다카마쓰 잔바시-다카마쓰역 구간 개통 (다카마쓰역 구내 취급).[40]
- 12월 1일: 이마바리-이요오이(현재 오니시역) 구간 개통.[40]
- 1925년 6월 21일: 이요오이-키쿠마역 구간 개통.[40]
- 1926년:
- 3월 28일: 키쿠마-이요호조역 구간 개통.[40]
- 7월 6일: 폭우로 아와이역 부근 터널 붕괴, 노선 변경.[40]
- 1927년 4월 3일: 이요호조-마쓰야마역 구간 개통.[40]
- 1928년 7월 16일: 가야역 이전.
- 1929년 7월 2일: 이시즈치야마역 개업.
- 1930년:
- 2월 27일: 마쓰야마-미나미군나카(현재 이요시역) 구간 개통.[40]
- 4월 1일: 다카마쓰-미나미군나카 구간, 타도츠-아와이케다역 구간을 요산선으로 개칭.[40]
- 1932년 12월 1일: 미나미군나카-이요카미나다역 구간 개통.[41]
- 1933년:
- 4월 1일: 이요칸가와역 개업.
- 8월 1일: 요산선에서 '''요산 본선'''으로 개칭, 에히메 철도 국유화 및 '''에히메선'''으로 개칭, 나가하마 정역은 이요나가하마역, 가야역은 이요시라타키역, 오즈역은 이요오즈역으로 개칭.
- 1935년:
- 6월 9일: 이요카미나다-시모나다역 구간 개통.[41]
- 10월 6일: 시모나다-이요나가하마 구간 개통, 에히메선 이요나가하마-이요오즈 구간 1067mm로 개궤 및 요산 본선 편입, 이요시라타키역-고로역 간 선로 및 야타키역 이전.[41]
- 11월 28일: 타도츠-아와이케다역 구간 도산선으로 분리.
- 1936년 9월 19일: 이요오즈-이요히라노역 구간 개통.[41]
- 1939년 2월 6일: 이요히라노-야와타하마역 구간 개통.[41]
- 1941년 7월 2일: 우와지마선 키타우와지마역-우노마치역 구간 개통.
- 1945년 6월 20일: 야와타하마-우노마치 구간 개통, 우와지마선 우와지마-우노마치 구간 편입, 요산선 전 구간 개통.
- 1949년 12월 27일: 화물 지선 사카데- 사카이데항역 구간 개업.[41]
- 1950년 4월 1일: 가미오이마쓰역을 이요이시즈치역으로 개칭.
- 1952년 1월 27일: 가사이역, 사누키후추역, 야소바역, 사누키시오야역, 다카세다이보 (현재 미노역) 개업.
- 1957년:
- 4월 1일: 미나미군추역을 이요시역으로 개칭.[41]
- 10월 1일: 히지다이역 개업.[41]
- 1959년:
- 9월 15일: 다카마쓰역 이전, 다카마쓰잔바시역은 다카마쓰역에 통합 폐지.[44]
- 10월 1일: 가미타카세역을 다카세역으로, 이요오이역을 오니시역으로 개칭.
- 1960년 3월 1일: 아카보시역, 나미가타역 개업.[41]
- 1961년:
- 4월 15일: 세키가와역, 이요요코타역 개업.[41]
- 6월 1일: 야나기하라, 이요히미역 개업.[41]
- 10월 20일: 니시오즈역, 하루카역 개업.[41]
- 1963년:
- 2월 1일: 다카노가와역, 다마노에역 개업, 이요시-다카노가와 간 미아키 신호장 개설.[45]
- 10월 1일: 무카이바라역 개업.[45]
- 1964년 10월 1일: 구시역 개업, 이치쓰보역 개업.[45]
- 1965년 9월 15일: 다카마쓰-가사이역 간 복선화.[46]
- 1966년:
- 4월 6일: 마루가메역-다도쓰 간 복선화.[47]
- 9월 28일: 가모가와역-사카이데역 간 복선화.[48]
- 1967년 9월 22일: 가사이-기나시역 간 복선화.[49][50]
- 1968년:
- 9월 25일: 하카오카역-고쿠분 간 복선화.[51]
- 9월 28일: 고쿠분-가모가와역 간 복선화.
- 1970년 3월 27일: 기나시역-하카오카역 간 복선화.[52]
- 1972년 3월 15일: 시코쿠 최초 특급 「시오카제」 운행 개시.[53]
- 1979년 7월 1일: 화물 지선 다도쓰-하마타도쓰 간 폐지.[53]
- 1984년 2월 1일: 마쓰야마-우와지마 간 화물 영업 폐지, 화물 지선 사카데-사카이데항역 간 폐지.
- 1985년 3월 14일: 다카마쓰-마쓰야마 간 CTC화.[54]
- 1986년:
- 3월 3일: 무카이바라-우치코 간, 신타니-이요오즈 간 개업,[55] 우치코선 우치코-신타니 간과 함께 단락 루트 완성, 특급·급행 열차 우치코 경유로 변경,[55] 미아키 신호장 폐지, 고로역-이요오즈 간 와카미야 신호소 개설, 마쓰야마-이요카미나다 간, 이요시라타키-우와지마 간, 무카이바라-우치코 간, 이요오즈-신타니 간 CTC화.[55]
- 11월 1일: 고요다이역, 토리노키역 개업, 다도쓰-마쓰야마 간 고속화 (최고 속도 95km/h).[56]
- 1987년:
- 3월 23일: 다카마쓰-사카데 간, 다도쓰-간온지 간 전철화,[57] 다카마쓰-마쓰야마 간 고속화 (최고 속도 110km/h).[57]
- 4월 1일: 국철 분할 민영화로 시코쿠 여객철도(JR 시코쿠)와 일본화물철도(JR 화물)가 노선 승계.
- 10월 2일: 사카이데-다도쓰 간 전철화,[58] 우타즈역 이전, 우타즈-마루가메 간 고가화, 사카이데-우타즈 간 중 사카이데 방향 1.4km 제외 구간 복선화.[58]
- 1988년:
- 4월 10일: 이요호조역-야와타하마 간 원맨 운전 개시.[59]
- 6월 1일: '''요산선'''으로 명칭 변경.[59]
- 1989년 3월 11일: 야와타하마-우와지마 간 원맨 운전 개시.
- 1990년:
- 10월 30일: 이마바리역 부근 고가화.[58]
- 11월 21일: 이요호조-이요시 간 전철화,[58] 아사나미역-이요호조 간 오우라 신호소 개설, 다카마쓰-우와지마 간 고속화 (최고 속도 120km/h, 일부 110km/h).
- 1991년:
- 3월 16일: 오우라 신호소 역으로 변경 및 오우라역 개업.[59]
- 11월 21일: 이요카미나다역-이요시라타키역 간 CTC화.[60]
- 1992년 7월 23일: 간온지-니이하마역 간, 이마바리-이요호조 간 전철화 및 원맨 운전 개시.[61][62]
- 1993년:
- 3월 18일: 니이하마-이마바리 간 전철화 및 원맨 운전 개시[63] (다카마쓰-이요시 간 전 구간 전철화[58]), 다카마쓰-마쓰야마 간 고속화 (최고 속도 130km/h).[58]
- 7월 21일: 사카이데-우타즈 간 완전 복선화.[65]
- 9월 21일: 우타즈-마루가메 간 복선화.[66]
- 10월 1일: 다도쓰-간온지 간 원맨 운전 개시.
- 1994년 12월 3일: 다카세다이보역을 미노역으로 개칭.
- 1997년 2월 26일: 사카이데역 고가화 완성.[58]
- 2000년 8월 16일: 다카마쓰 화물 터미널역 개업.[58]
- 2001년 5월 13일: 다카마쓰역 이전 및 신역사 완공.[67]
- 2006년 4월 1일: JR 화물, 이요요코타역-우치코 간, 신타니-우와지마 간 제2종 철도사업 폐지.
- 2010년 3월 13일: 다카마쓰-다도쓰 간 원맨 운전 개시, 전 구간 원맨 운전 완료.
- 2014년:
- 3월 15일: 이요시-이요오즈 (바다 쪽) 구간 애칭 '사랑이 있는 이요나다선'으로 변경.
- 7월 26일: 마쓰야마-이요오즈·야와타하마 간 (사랑이 있는 이요나다선 경유) 관광 열차 "이요나다 모노가타리" 운행 개시.[68]
- 2018년 7월: 서일본 호우로 인해 일부 구간 불통, 9월 13일 전 구간 복구.[69]
- 2020년:
- 3월 14일: 미나미이요역 및 마쓰야마 화물역 개업.[70][71][72]
- 7월 20일: 규슈 호우로 불통되었던 우치코-신타니-이요오즈 간 운행 재개.
- 10월 1일: JR 화물, 마쓰야마 화물역-이요요코타 간 제2종 철도사업 폐지.[73]
- 2024년 9월 29일: 마쓰야마역 부근 고가화.[79]

(2019년 1월 와카마 - 쓰시마노미야)
현재 이요시-우치코-우와지마 간 전철화, 이요사이조역-마쓰야마 간 단축선 건설, 마쓰야마역 이서(우치코선 경유 신선만) 특급 열차의 130km/h 운행, 이요시 이서 특급 열차 정차역 외 역의 승강장 높이 상향 등이 요구되고 있다.
2. 1. 초기 역사 (사누키 철도, 산요 철도 시대)
요산선의 첫 번째 구간인 타도츠에서 마루가메까지는 사누키 철도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1889년에 운행을 시작했다.[40] 마루가메 - 다카마쓰 구간은 1897년에 개통되었으며, 회사는 1906년에 국유화되었다.[40]이 노선은 1913년부터 타도츠에서 서쪽으로 구간별로 연장되어 1927년에 마쓰야마에 도달했다. 더 서쪽으로는 이요나가하마 - 이요오즈에서 사설 762mm 궤간 노선이 개통되었으며, 이 노선은 1933년에 국유화되었다. 마쓰야마에서 이요나가하마까지의 노선은 1927~35년 사이에 구간별로 연장되었으며, 이전 사설 노선은 1935년에 1067mm 궤간으로 개궤되었다. 더 서쪽으로의 연장은 1936~45년에 걸쳐 개통되었으며, 이때 우와지마(및 요도선)가 요산선에 연결되었다.
1933년 8월 1일에 노선 전체의 명칭이 요산 본선으로 변경되었다. 1987년 일본국유철도의 민영화에 따라 이 노선은 단순히 요산선으로 변경되었다.

- 1889년 (메이지 22년) 5월 23일: 사누키 철도에 의해 마루가메 - 타도쓰(후의 하마타도쓰) - 고토히라 구간이 개업.
- 1897년 (메이지 30년) 2월 21일: 다카마쓰 - 마루가메 구간이 개업.
- 1904년 (메이지 37년) 12월 1일: 산요 철도가 사누키 철도를 인수.
- 1906년 (메이지 39년) 12월 1일: 산요 철도를 국유화.
- 1909년 (메이지 42년) 10월 12일: 국유 철도 노선 명칭 제정. 다카마쓰 - 타도쓰 - 고토히라 구간을 '''사누키선'''으로 한다.
- 1910년 (메이지 43년) 7월 1일: 다카마쓰역이 다카마쓰 항 쪽으로 1km 이전.
- 1913년 (다이쇼 2년) 12월 20일: 타도쓰 - 간온지 구간이 개업. 타도쓰역 이전. 지금까지의 타도쓰역이 (화) 하마타도쓰가 되어, 화물 지선 타도쓰 - 하마타도쓰 구간이 개업.
- 1915년 (다이쇼 4년) 5월 7일: (임) 쓰시마노미야역 개업.
- 1916년 (다이쇼 5년) 4월 1일: 간온지 - 가와노에 구간이 개업.
- 1917년 (다이쇼 6년) 9월 16일: 가와노에 - 이요미시마 구간이 개업.
- 1919년 (다이쇼 8년) 9월 1일: 이요미시마 - 이요도이 구간이 개업.
- 1921년 (다이쇼 10년) 6월 21일: 이요도이 - 이요사이조 구간이 개업.
- 1923년 (다이쇼 12년)
- * 5월 1일: 이요사이조 - 닌마이카와 구간이 개업.
- * 10월 1일: 닌마이카와 - 이요미요시 구간이 개업. 사누키선에서 '''산요선'''으로 개칭.
- * 12월 21일: 이요미요시 - 이요사쿠라이 구간이 개업.
- 1924년 (다이쇼 13년)
- * 2월 11일: 이요사쿠라이 - 이마바리 구간이 개업.
- * 8월 10일: 다카마쓰 잔바시 - 다카마쓰 구간이 개업 (다카마쓰역 구내 취급).
- * 12월 1일: 이마바리 - 이요오이 (현재의 오니시역) 구간이 개업.
- 1925년 (다이쇼 14년) 6월 21일: 이요오이 - 기쿠마 구간이 개업.
- 1926년 (다이쇼 15년)
- * 3월 28일: 기쿠마 - 이요호조 구간이 개업.
- * 7월 6일: 장마 말기의 폭우로 건설 공사 중이던 제2 아와이 사카 터널이 붕괴. 아와이 - 호리에 구간은 해안을 따라 노선 변경을 피할 수 없었다.[40]
- 1927년 (쇼와 2년) 4월 3일: 이요호조 - 마쓰야마 구간이 개업.
- 1929년 (쇼와 4년) 7월 2일: 이시즈치야마 개업.
- 1930년 (쇼와 5년)
- * 2월 27일: 마쓰야마 - 미나미군나카 (현재의 이요시역) 구간이 개업.
- * 4월 1일: 다카마쓰 - 미나미군나카 구간, 타도쓰 - 아와이케다 구간을 '''요산선'''으로 개칭.
- 1932년 (쇼와 7년) 12월 1일: 미나미군나카 - 이요카미나다 구간이 개업.[41]
- 1933년 (쇼와 8년)
- * 4월 1일: 이요칸가와 개업.
- * 8월 1일: 요산선에서 '''요산 본선'''으로 개칭.
- 1935년 (쇼와 10년) 6월 9일: 이요카미나다 - 시모나다 구간이 개업.
- 1918년 (다이쇼 7년) 2월 14일: 에히메 철도의 나가하마 정(현재의 이요나가하마) - 오즈(현재의 이요오즈) 구간이 개업. 궤간 762mm.
- 1928년 (쇼와 3년) 7월 16일: 가야 이전.
- 1933년 (쇼와 8년) 10월 1일: 에히메 철도를 국유화하여 '''에히메선'''으로 한다. 나가하마 정역을 이요나가하마역, 가야역을 이요시라타키, 오즈역을 이요오즈역으로 개칭.
- 1935년 (쇼와 10년)
- * 10월 6일: 시모나다 - 이요나가하마 구간이 개업. 에히메선의 이요나가하마 - 이요오즈 구간을 1067mm로 개궤하여 요산 본선에 편입한다. 동시에 이요시라타키 - 고로 간의 선로와 야타키를 이전.
- * 11월 28일: 다도쓰 - 아와이케다 구간을 도산선으로 분리.
- 1936년 (쇼와 11년) 9월 19일: 이요오즈 - 이요히라노 구간이 개업.
- 1939년 (쇼와 14년) 2월 6일: 이요히라노 - 야와타하마 구간이 개업.
2. 2. 요산선 확장기
요산선의 첫 번째 구간인 타도츠에서 마루가메까지는 사누키 철도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1889년에 운행을 시작했다. 마루가메 - 다카마쓰 구간은 1897년에 개통되었으며, 회사는 1906년에 국유화되었다.[40]이 노선은 1913년부터 타도츠에서 서쪽으로 구간별로 연장되어 1927년에 마쓰야마에 도달했다. 더 서쪽으로는 이요나가하마 - 이요오즈에서 사설 762mm 궤간 노선이 개통되었으며, 이 노선은 1933년에 국유화되었다. 마쓰야마에서 이요나가하마까지의 노선은 1927~35년 사이에 구간별로 연장되었으며, 이전 사설 노선은 1935년에 1067mm 궤간으로 개궤되었다. 더 서쪽으로의 연장은 1936~45년에 걸쳐 개통되었으며, 이때 우와지마(및 요도 선)가 요산선에 연결되었다.[41]
1933년 8월 1일에 노선 전체의 명칭이 요산 본선으로 변경되었다. 1987년 일본국유철도의 민영화에 따라 이 노선은 단순히 요산선으로 변경되었다.[42]
다카마쓰 - 타도츠 구간은 1965-70년에 복선화되었으며, CTC 신호 시스템은 1985년에 다카마쓰 - 마쓰야마 구간에 도입되었다. 무카이바라 - 이요오즈 간의 '직통선'(6,012m 이누요시 터널 포함)은 1986년에 개통되었으며, 기존 우치코 지선의 일부를 통합하여 노선을 6.3km 단축했다.
다카마쓰 - 타도츠 구간은 1987년에 전철화되어, 이듬해 세토 대교 시스템이 개통되면서 다카마쓰 - 오카야마 간 직통 운행이 가능해졌다.
이요 호조 - 마쓰모토 - 이요시 구간은 1990년에, 타도츠 - 이마바리 구간은 1992년에, 이마바리 - 이요 호조 구간은 1993년에 전철화되어 마쓰야마 - 오카야마 간 직통 전기 열차 운행이 가능하게 되었다.
사누키 철도에 의해 개업한 다카마쓰역 - 다도쓰역 - 고토히라역 구간은 산요 철도에 의한 매수를 거쳐 1906년에 국유화되어 "사누키선"이 되었다. 그 후, 다도쓰역에서 가와노에역, 이요사이조역까지 순차적으로 연장 개업하여, 미부카와역까지 개업했을 때 "요산선"으로 개칭되었다. 그 후, "요산선", "요산 본선"으로 이름을 바꾸어 1945년에 다카마쓰역 - 우와지마역 구간이 전 구간 개통되었다.
이 중 이요나가하마역 - 이요오즈역 구간은 경편 철도였던 에히메선을 1067mm 궤간으로 개궤하여 편입한 것이며, 우와지마역 - 우노마치역 구간은 우와지마선을 편입한 것이다. 지선이었던 다도쓰 - 고토히라 구간은 후에 아와이케다역까지 연장되어 고치선과 연결되었을 때 도산선으로 분리되었다.
- 1889년 (메이지 22년) 5월 23일: 사누키 철도에 의해 마루가메역 - 타도츠역 (후의 하마타도츠) - 고토히라역 구간이 개업.
- 1897년 (메이지 30년) 2월 21일: 다카마쓰역 - 마루가메역 구간이 개업.
- 1904년 (메이지 37년) 12월 1일: 산요 철도가 사누키 철도를 인수.
- 1906년 (메이지 39년) 12월 1일: 산요 철도를 국유화.
- 1909년 (메이지 42년) 10월 12일: 국유 철도 노선 명칭 제정. 다카마쓰역 - 다도쓰역 - 고토히라역 구간을 '''사누키선'''으로 한다.
- 1910년 (메이지 43년) 7월 1일: 다카마쓰역이 다카마쓰항 쪽으로 1km 이전.
- 1913년 (다이쇼 2년) 12월 20일: 다도쓰역 - 간온지역 구간이 개업. 타도쓰역 이전. 지금까지의 타도쓰역이 (화) 하마타도츠역이 되어, 화물 지선 타도쓰역 - 하마타도츠역 구간이 개업.
- 1915년 (다이쇼 4년) 5월 7일: (임) 쓰시마노미야역 개업.
- 1916년 (다이쇼 5년) 4월 1일: 간온지역 - 가와노에역 구간이 개업.
- 1917년 (다이쇼 6년) 9월 16일: 가와노에역 - 이요미시마역 구간이 개업.
- 1919년 (다이쇼 8년) 9월 1일: 이요미시마역 - 이요도이역 구간이 개업.
- 1921년 (다이쇼 10년) 6월 21일: 이요도이역 - 이요사이조역 구간이 개업.
- 1923년 (다이쇼 12년)
- * 5월 1일: 이요사이조역 - 닌마이카와역 구간이 개업.
- * 10월 1일: 닌마이카와역 - 이요미요시역 구간이 개업. 사누키선에서 '''산요선'''으로 개칭.
- * 12월 21일: 이요미요시역 - 이요사쿠라이역 구간이 개업.
- 1924년 (다이쇼 13년)
- * 2월 11일: 이요사쿠라이역 - 이마바리역 구간이 개업.
- * 8월 10일: 다카마쓰 잔바시역 - 다카마쓰역 구간이 개업 (다카마쓰역 구내 취급).
- * 12월 1일: 이마바리역 - 이요오이역 (현재의 오니시역) 구간이 개업.
- 1925년 (다이쇼 14년) 6월 21일: 이요오이역 - 기쿠마역 구간이 개업.
- 1926년 (다이쇼 15년)
- * 3월 28일: 키쿠마역 - 이요호조역 구간이 개업.
- * 7월 6일: 장마 말기의 폭우로 건설 공사 중이던 제2 아와이 사카 터널이 붕괴. 아와이역 - 호리에역 구간은 해안을 따라 노선 변경을 피할 수 없었다.
- 1927년 (쇼와 2년) 4월 3일: 이요호조역 - 마쓰야마역 구간이 개업.
- 1929년 (쇼와 4년) 7월 2일: 이시즈치야마역 개업.
- 1930년 (쇼와 5년)
- * 2월 27일: 마쓰야마역 - 미나미군나카역 (현재의 이요시역) 구간이 개업.
- * 4월 1일: 다카마쓰역 - 미나미군나카역 구간, 타도쓰역 - 아와이케다역 구간을 '''요산선'''으로 개칭.
- 1932년 (쇼와 7년) 12월 1일: 미나미군나카역 - 이요가미나다역 구간이 개업.
- 1933년 (쇼와 8년)
- * 4월 1일: 이요칸가와역 개업.
- * 8월 1일: 요산선에서 '''요산 본선'''으로 개칭.
- 1935년 (쇼와 10년) 6월 9일: 이요카미나다역 - 시모나다역 구간이 개업.
- 1918년 (다이쇼 7년) 2월 14일: 에히메 철도의 나가하마 정역(현재의 이요나가하마역) - 오즈역(현재의 이요오즈역) 구간이 개업. 궤간 762mm.
- 1928년 (쇼와 3년) 7월 16일: 가야역 이전.
- 1933년 (쇼와 8년) 10월 1일: 에히메 철도를 국유화하여 '''에히메선'''으로 한다. 나가하마 정역을 이요나가하마역, 가야역을 이요시라타키역, 오즈역을 이요오즈역으로 개칭.
- 1935년 (쇼와 10년)
- * 10월 6일: 시모나다역 - 이요나가하마역 구간이 개업. 에히메선의 이요나가하마역 - 이요오즈역 구간을 1067mm로 개궤하여 요산 본선에 편입한다. 동시에 이요시라타키역 - 고로역 간의 선로와 야타키역을 이전.
- * 11월 28일: 다도쓰역 - 아와이케다역 구간을 도산선으로 분리.
- 1936년 (쇼와 11년) 9월 19일: 이요오즈역 - 이요히라노역 구간이 개업.
- 1939년 (쇼와 14년) 2월 6일: 이요히라노역 - 야와타하마역 구간이 개업.
- 1914년 (다이쇼 3년) 10월 18일: 우와지마 철도 우와지마역 - 치카나가역 구간이 개업. 현재의 요도선.
- 1933년 (쇼와 8년) 8월 1일: 우와지마 철도를 국유화하여 '''우와지마선'''으로 한다.
- 1941년 (쇼와 16년) 7월 2일: 우와지마선의 키타우와지마역 - 우노마치역 구간이 개업.
- 1945년 (쇼와 20년) 6월 20일: 야와타하마역 - 우노마치역 구간이 개업, 우와지마선의 우와지마역 - 우노마치역 구간을 편입하여 요산선이 전선 개통. 개통식에는 훗날 국철 총재가 되는 소고 신지가 참석.
2. 3. 전후 발전
- 관할・노선 거리 (영업 킬로미터):
- * 시코쿠 여객철도(제1종 철도 사업자): 총 연장 327km
- ** 다카마쓰 - 우와지마 간 297.6km
- ** 무카이바라 - 우치코 간 23.5km
- ** 신타니 - 이요오즈 간 5.9km (신타니 - 이요와카미야 신호소 간 3.5km)
- * 일본화물철도(제2종 철도 사업자):
- ** 다카마쓰 - 마쓰야마 화물역 간 200.3km
2020년 3월 14일 개정 시점에서 정기 화물 열차가 운행되는 곳은 다카마쓰 화물 터미널 - 마쓰야마 화물역 간
- 궤간: 1067mm
- 역 수: 97
- * 여객역: 95 (기점 종점역・임시역 포함)
- ** 요산선 소속의 여객역에 한정했을 경우, 우치코역과 신타니역 (둘 다 우치코선 소속[11])이 제외되어 93개 역이 된다.
- * 화물역: 2 (다카마쓰 화물 터미널, 마쓰야마 화물역)
- 복선 구간: 다카마쓰 - 다도쓰 간
- 전철화 구간: 다카마쓰 - 이요시 간 (직류 1500V)
- 폐색 방식[12]:
- * 자동 폐색식 (다카마쓰 - 무카이바라 - 우치코, 신타니 - 이요와카미야 신호소 - 우와지마)
- * 특수 자동 폐색식 (무카이바라 - 이요와카미야 신호소)
- 최고 속도:
- * 130km/h (다카마쓰 - 마쓰야마 간) [13]
- * 120km/h (마쓰야마 - 우치코 간, 이요이와키 - 우노마치 간) [13]
- * 110km/h (신타니 - 이요이와키 간, 우노마치 - 우와지마 간) [13]
- ** 우치코 - 신타니 간의 우치코선도 110km/h[13]
- * 85km/h (무카이바라 - 이요나가하마 - 이요와카미야 신호소 간)
- 최대 경사: 33‰ (야와타하마 - 이요이와키 간, 시모우와 - 다치마 간, 이요요시다 - 다카미쓰 간)
- 최소 곡선 반경: 200m
일본국유철도 민영화 이후, 다카마쓰 - 이요시 구간은 전철화 및 고속화가 진행되었다. 특히, 세토 대교 개통으로 혼슈와의 직통 운행이 가능해지면서, 특급 열차 운행 빈도가 증가하고 소요 시간이 단축되었다.
- 1987년:
- * 3월 23일: 다카마쓰 - 사카이데 간, 다도쓰 - 간온지 간 전철화[57], 다카마쓰 - 마쓰야마 간 고속화 (최고 속도 110km/h)[57]
- * 4월 1일: 국철 분할 민영화로 시코쿠 여객철도(JR 시코쿠)와 일본화물철도(JR 화물)가 노선을 승계.
- * 10월 2일: 사카이데 - 다도쓰 간 전철화[58], 우타즈 이전 및 고가화.
- 1988년:
- * 4월 10일: 이요호조 - 야와타하마 간 원맨 운전 개시.[59]
- * 6월 1일: 요산선으로 명칭 변경.
- 1989년 3월 11일: 야와타하마 - 우와지마 간 원맨 운전 개시.
- 1990년:
- * 10월 30일: 이마바리 부근 고가화.[58]
- * 11월 21일: 이요호조 - 이요시 간 전철화[58], 다카마쓰 - 우와지마 간 고속화 (최고 속도 120km/h, 일부 110km/h).
- 1991년:
- * 3월 16일: 오우라 개업.[59]
- * 11월 21일: 이요카미나다 - 이요시라타키 간 CTC화.[60]
- 1992년 7월 23일: 간온지 - 니이하마 간, 이마바리 - 이요호조 간 전철화 및 원맨 운전 개시.[61][62]
- 1993년:
- * 3월 18일: 니이하마 - 이마바리 간 전철화 및 원맨 운전 개시[61][62] (다카마쓰 - 이요시 간 전 구간 전철화[58]), 다카마쓰 - 마쓰야마 간 고속화 (최고 속도 130km/h).[58]
- * 7월 21일: 사카이데 - 우타즈 간 완전 복선화.[65]
- * 9월 21일: 우타즈 - 마루가메 간 복선화.[66]
- * 10월 1일: 다도쓰 - 간온지 간 원맨 운전 개시.
- 1994년 12월 3일: 다카세다이보역을 미노역으로 개칭.
- 1997년 2월 26일: 사카이데역 고가화 완성.[58]
- 2000년 8월 16일: 다카마쓰 화물 터미널 개업.[58]
- 2001년 5월 13일: 다카마쓰역 이전 및 신역사 완공.[67]
- 2006년 4월 1일: JR 화물, 이요요코타 - 우치코 간, 신타니 - 우와지마 간 제2종 철도사업 폐지.
- 2010년 3월 13일: 다카마쓰 - 다도쓰 간 원맨 운전 개시, 전 구간 원맨 운전 완료.
- 2014년 3월 15일: 이요시 - 이요오즈 (바다 쪽) 구간 애칭 '사랑이 있는 이요나다선'으로 변경.
- 2018년 7월: 서일본 호우로 인해 일부 구간 불통, 9월 13일 전 구간 복구.[69]
- 2020년:
- * 3월 14일: 미나미이요 및 마쓰야마 화물역 개업.[70][71][72]
- * 7월 20일: 규슈 호우로 불통되었던 우치코 - 신타니 - 이요오즈 간 운행 재개.
- * 10월 1일: JR 화물, 마쓰야마 화물역 - 이요요코타 간 제2종 철도사업 폐지.[73]
- 2024년 9월 29일: 마쓰야마역 부근 고가화.[79]
현재 이요시 - 우치코 - 우와지마 간 전철화, 이요사이조 - 마쓰야마 간 단축선 건설, 마쓰야마역 이서(우치코선 경유 신선만) 특급 열차의 130km/h 운행, 이요시 이서 특급 열차 정차역 외 역의 승강장 높이 상향 등이 요구되고 있다.
2. 4. 민영화 이후
1987년 4월 1일 국철 분할 민영화에 의해 시코쿠 여객철도(JR 시코쿠)로 승계되었다.[7] 일본화물철도(JR 화물)가 다카마쓰역 - 마쓰야마역 간을 제2종 철도사업자로 승계하였고,[7] 마쓰야마역 - 우치코역 간, 신타니역 - 우와지마역 간의 제2종 철도사업 개시 (마쓰야마역 - 우와지마역 간에서는 화물 운행 없음).- 1987년
- * 3월 23일: 다카마쓰역 - 사카이데역 간, 다도쓰역 - 간온지역 간이 전철화되었다.[57] 다카마쓰역 - 마쓰야마 간 최고 속도가 110km/h로 빨라졌다.[7]
- * 10월 2일: 사카이데역 - 다도쓰역 간이 전철화되고,[58] 우타즈역 이전, 우타즈역 - 마루가메역 간 고가화가 이루어졌다.[12] 사카이데역 - 우타즈역 간 중, 사카이데역 방향 1.4km를 제외한 구간이 복선화되었다.[12]
- ** 이 구간만 전철화 개업이 뒤로 밀린 것은, 우타즈역의 이전·고가화와 사카이데역 - 다도쓰역 간의 전철화를 동시에 진행하기 위해서이다.[57]
- 1988년
- * 4월 10일: 이요호조역 - 야와타하마역 간에서 원맨 운전이 시작되었다.[59]
- * 6월 1일: 노선 명칭 개정으로 '''요산선'''으로 이름이 바뀌었다.[7]
- 1989년 3월 11일: 야와타하마역 - 우와지마역 간에서 원맨 운전 개시.
- 1990년
- * 10월 30일: 이마바리역 부근 고가화.[58]
- * 11월 21일: 이요호조역 - 이요시역 간이 전철화되었다.[58] 아사나미역 - 이요호조역 간에 오우라 신호장이 설치되었다. 다카마쓰역 - 우와지마역 간 최고 속도가 120km/h (일부 110km/h)로 빨라졌다.
- 1991년
- * 3월 16일: 오우라 신호장이 역으로 변경되어 오우라역이 되었다.[7]
- * 11월 21일: 이요카미나다역 - 이요시라타키역 간 CTC화.[60]
- 1992년 7월 23일: 간온지역 - 니이하마역 간, 이마바리역 - 이요호조역 간이 전철화되고[61] 원맨 운전이 시작되었다.[62]
- 1993년
- * 3월 18일: 니이하마역 - 이마바리역 간이 전철화되고 원맨 운전이 시작되어,[63] (다카마쓰역 - 이요시역 간이 전 구간 전철화[58]) 다카마쓰역 - 마쓰야마역 간 최고 속도가 130km/h로 빨라졌다.[7]
- ** 사이조 마츠리의 다단지 등이 전차선에 걸리는 것이 우려되어, 이 구간만 전철화가 늦어졌다.[63][64]
- * 7월 21일: 사카이데역 고가화 공사에 따른 임시 선로 이설로 인해 사카이데역 - 우타즈역 간이 완전 복선화된다.[12][65]
- * 9월 21일: 우타즈역 - 마루가메역 간 복선화.[12][66]
- * 10월 1일: 다도쓰역 - 간온지역 간 원맨 운전 개시.
- 1994년 12월 3일: 다카세다이보역을 미노역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 1997년 2월 26일: 사카이데역 고가화 완성.[58]
- 2000년 8월 16일: 다카마쓰 화물 터미널역 개업.[7]
- 2001년 5월 13일: 다카마쓰역 이전. 신역 빌딩이 완성되어[7] 0.3km 단축.[67]
- 2006년 4월 1일: JR 화물에 의한 이요요코타역 - 우치코역 간·신타니역 - 우와지마역 간의 제2종 철도사업 폐지.
- 2008년 3월 15일: 다이어 개정으로 다카마쓰역 - 마쓰야마역 간에서 디젤 동차 보통 열차가 사라졌다.
- * 이로 인해 이 구간을 운행하는 쾌속·보통 열차는 "마린 라이너"의 5000계 5100형을 제외하고, 모두 3도어 차로 통일되었다(보통차 자유석에 한해 "마린 라이너"를 포함한 모든 쾌속·보통 열차가 3도어 차로 운행하게 되었다).
- 2010년 3월 13일: 다카마쓰역 - 다도쓰역 간에서 원맨 운전 개시. 이로 인해 전 구간에서 원맨 운전이 실시되었다.
- 2014년
- * 3월 15일: 이요시역 - 이요오즈역 (바다 쪽) 간의 선구 애칭이 "사랑이 있는 이요나다선"이 되었다.
- * 7월 26일: 마쓰야마역 - 이요오즈역·야와타하마역 간 (사랑이 있는 이요나다선 경유)에서 관광 열차 "이요나다 모노가타리"의 운행을 개시.[68]
- 2018년
- * 7월: 2018년 7월 호우로 인해 일부 구간 불통.
- * 9월 13일: 우노마치역 - 우와지마역 간에서 운행이 재개되어 전 구간 복구.[69]
- 2020년
- * 3월 14일: 기타이요역 - 이요요코타역 간에 미나미이요역, 기타이요역과 같은 마쓰야마역에서 5.9km 지점에 마쓰야마 화물역이 개업.[70][71][72]
- * 7월 4일: 2020년 7월 호우의 영향으로 우치코선 이소자키역 - 기타야마역 간에서 사면 붕괴가 발생, 우치코선을 포함한 우치코역 - 신타니역 - 이요오즈역 간이 불통이 되었다.
- * 7월 20일: 우치코역 - 신타니역 - 이요오즈 간이 운행 재개.
- * 10월 1일: JR 화물에 의한 마쓰야마 화물역 - 이요요코타역 간의 제2종 철도사업 폐지.[73] 코로나19(COVID-19)의 영향으로 인한 승객 감소로 인해, 이날부터 당분간 하행 막차의 마쓰야마 23시 26분일본어 발 이요시행 보통 열차가 운휴.[74][75]
- 2021년
- * 3월 13일: 다이어 개정으로, 운휴 중인 마쓰야마 23시 26분일본어 발 하행 이요시행 보통 열차가 폐지되어, 막차 시간이 앞당겨졌다.[76]
- * 6월 19일: 이요도이역 - 이요사이조역 간 개통 100주년 기념 사업 행사에서, 철도 취미 트레인이 니이하마역 - 이요사이조역 간에서 운행되었다.[77][78]
- 2024년 9월 29일: 마쓰야마역 부근을 고가로 전환.[79]
3. 운행 형태
요산선은 시코쿠의 주요 간선 노선으로, 다양한 종류의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쾌속 열차
- 선포트 난푸 릴레이: 다카마쓰와 이요사이조 구간을 연결한다.
- 마린 라이너: 세토 대교선을 경유하여 다카마쓰와 오카야마 구간을 연결한다.
보통 열차보통 열차는 주로 간온지역, 이요사이조역, 마쓰야마역을 기준으로 운행 계통이 나누어진다. 다카마쓰역에서 우와지마역까지 전 구간을 운행하는 보통 열차는 없지만, 최근에는 장거리 운행 열차가 늘어나는 추세다. 이요사이조역과 다카마쓰역 사이를 직통하는 쾌속 "선포트"와, 다카마쓰역과 마쓰야마역 사이를 운행하며 일부 구간에서 "선포트 남풍 릴레이"로 운행하는 열차가 상하행 각각 1편씩 있다.
세토 대교선을 경유하는 혼시 연락 열차인 쾌속 "마린 라이너"는 다카마쓰역과 사카이데역 구간을 운행하며, 도산선 직통 열차는 다카마쓰역과 다도쓰역 구간에서 고토히라역 발착으로 운행된다. 요산선 내에서는 다카마쓰역과 고토히라역·간온지역 구간(일부는 이요사이조역·마쓰야마역 발착)에 쾌속 "선포트"가 운행된다. "마린 라이너"와 "선포트"는 쾌속 등급이지만 정차역이 다르다. "마린 라이너"는 다카마쓰역과 사카이데역 사이에서 아침 일찍이나 심야를 제외하고는 중간 역에 정차하지 않는다. 이러한 운행 방식으로 인해 다카마쓰역과 사카이데역 사이에는 낮 시간대에 1시간에 3편의 쾌속 열차가 운행되며, 추가로 2편의 보통 열차와 특급 "이시즈치" 1편(특급 "시만토" 운행 시간에는 2편)이 운행되어 통과 열차가 많은 편이다. 1988년 9월 세토 대교선 개통 이후 오카야마역과 간온지역·도산선 고토히라역 구간을 직통하는 보통 열차도 운행되었으나, 2019년 3월 16일 다이어 개정으로 폐지되었다.[15]
에히메현 내 구간에서는 이요시역까지 낮 시간대에 1시간에 1~2편(이요사이조역 - 이마바리역 구간은 2시간 간격인 시간대도 있음) 운행된다. 이요시역과 야와타하마역 사이에서는 이요나가하마역 경유와 우치코역 경유 기동차 열차가 번갈아 운행되며, 1~2시간에 1편(이요나가하마역·우치코역 경유 모두 낮에 3시간 간격인 시간대도 있음) 운행된다. 야와타하마역과 우와지마역 사이는 운행 편수가 적어 하행 8편, 상행 7편만 운행되지만, 기타우와지마역과 우와지마역 사이에는 요도선 직통 열차가 추가되어 매시 1~2편 정도 운행된다.
마쓰야마역과 이요시역 구간은 1990년 전철화 이후 몇 년간 낮 시간대에는 대부분 7000계 전동차로 운행되었다. 그러나 이요시역 환승 문제와 전동차의 다도쓰역 - 마쓰야마역 구간 집중 운용으로 인해, 최근에는 전동차가 기동차 열차 운행 사이사이에 투입되는 형태로 변경되었다. 승객 수가 적은 열차 폐지가 진행되면서 2021년 3월 13일 다이어 개정 이후 마쓰야마역과 이요시역 구간의 전동차 열차는 하행 6편, 상행 5편으로 줄었다. 마쓰야마역을 지나 이요키타조역·이마바리역과 이요시역 구간을 직통하는 보통 열차도 감소 추세로, 2023년 3월 개정 시점에는 하행 3편, 상행 1편만 운행된다. 2002년 1월에는 이마바리 발 5시 마쓰야마행 시발 열차가 마쓰야마 발 우치코선 경유 이요오즈·야와타하마행으로 운용되기도 했다.[16]
과거 다카마쓰역과 마쓰야마역 사이 전철화 구간에서도 도산선(아와이케다역 발착) 직통이나 차량 입출고를 위해 영업 운행에서 기동차 열차가 운용되기도 했다.
야와타하마역과 우와지마역 구간에서는 키하32형이 33‰ 경사 구간 등판 시 미끄러짐으로 열차 운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키하54형을 연결(편성 후부 차량은 밀폐)하여 운행한다. 이 구간은 2020년 3월 14일 개정으로 막차 시간이 22시대에서 21시대로 앞당겨졌다.
요산선은 시코쿠 지방에서 유일하게 날짜를 넘겨 운행하는 보통 열차가 있는 노선이다.
고마쓰역 - 간온지역 간 낮 시간대 각 구간의 시간당 평균 운행 횟수는 아래 표와 같다.
종별\역명 | 마쓰야마 방면 | … | 간온지 | … | 타도츠 | … | 마루가메 | 우타즈 | 사카이데 | … | 다카마쓰 | 비고 | ||||||
---|---|---|---|---|---|---|---|---|---|---|---|---|---|---|---|---|---|---|
운행 횟수 | 특급 시오카제 | 1개 | 1개 | →오카야마 | ||||||||||||||
특급 이시즈치 | 1개 | |||||||||||||||||
특급 난푸 | 도산선 고치 방면← | 1개 | →오카야마 | |||||||||||||||
쾌속 마린 라이너 | 오카야마← | 2개 | ||||||||||||||||
쾌속 선포트 난푸 릴레이 | 일부 직통 | 1개 | 사카이데 이서 예외 없이 각 역 정차 | |||||||||||||||
보통 | 도산선 고토히라← | 1개 | ||||||||||||||||
0-1개 |
3. 1. 특급 열차
이 노선은 시코쿠의 가장 중요한 간선으로, 많은 특급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이시즈치
- 미드나잇 익스프레스 다카마츠
- 시오카제
- 우와카이
- 시만토
- 난푸
- 우즈시오
- 선라이즈 세토
- 미드나잇 익스프레스 마쓰야마
다카마쓰역 - 마쓰야마역 구간에는 특급 이시즈치가 운행되고, 다카마쓰역 - 이요사이조역 구간에는 특급 모닝 EXP 다카마쓰가 이요사이조역에서 다카마쓰역 방향으로 운행된다. 우타즈역 - 이요사이조역・마쓰야마역 구간에는 특급 시오카제가 운행된다. 마쓰야마역 - 우치코역 구간과 신타니역(통과) - 우와지마역 구간에는 특급 우와카이가 마쓰야마역 - 우와지마역 간을 운행한다. 다카마쓰역 - 다도쓰역 구간에는 특급 시만토가 다카마쓰역 - 고치역・나카무라역・스쿠모역 간을 운행하고, 우타즈역 - 다도쓰역 구간에는 특급 난푸가 오카야마역 - 고치역・나카무라역 간을 운행한다. 다카마쓰역 - 우타즈역 구간에는 특급 우즈시오가 도쿠시마역 - 오카야마역 간을 운행하며, 다카마쓰역 - 사카이데역 - 우타즈역(통과선) 구간에는 침대 특급 선라이즈 세토가 다카마쓰역 - 도쿄역 간을 운행한다. 이용객이 많을 때는 다카마쓰역에서 고토히라역까지 연장 운행되기도 한다. 니이하마역 - 마쓰야마역 구간에는 특급 모닝 EXP 마쓰야마가 니이하마역에서 마쓰야마역 방향으로 운행된다.
특급 "시오카제"는 도산선의 특급 "난푸"와 함께 1972년 3월 15일에 시코쿠 최초의 특급으로 운행을 시작하여[14], 2022년에 운행 개시 50주년을 맞이한다.

2014년 7월 26일부터는 시코쿠 최초의 본격적인 관광 열차인 "이요나다 모노가타리"가 마쓰야마역 - 이요오즈역·야와타하마역 구간(아이 아루 이요나다선 경유)에서 운행되고 있다. 2022년부터는 키하 185계 개조 2대 차량 3량 편성으로 마쓰야마역 - 이요오즈역 구간 1왕복, 마쓰야마역 - 야와타하마역 구간 1왕복이 토·일·공휴일에 운행된다. 차내에서는 에히메현산 식재료를 사용한 식사가 제공되며, 메뉴는 열차편마다 다르다.
현재 사용 차량
- 2000계 기동차 (마쓰야마역 - 우치코역, 신타니역 - 우와지마역): 특급 '우와카이'로 운용. 과거에는 '이시즈치', '시오카제', '시만토', '난푸', '우즈시오', '모닝 EXP 다카마쓰', '미드나잇 EXP 다카마쓰'로 다카마쓰역 - 우치코역, 신타니역 - 우와지마역에서도 운용.
- 2700계 기동차 (다카마쓰역 - 다도쓰역): 특급 '난푸', '시만토', '우즈시오'로 운용. 일부 차량은 도사쿠로시오 철도 소유.
- 8000계 전동차 (다카마쓰역 - 마쓰야마역): 특급 '이시즈치', '시오카제', '모닝 EXP 마쓰야마', '미드나잇 EXP 마쓰야마', '모닝 EXP 다카마쓰', '미드나잇 EXP 다카마쓰'로 운용. 마쓰야마 운전소와의 회송 열차로 마쓰야마역 - 미나미이요역 구간도 주행.
- 8600계 전동차 (다카마쓰역 - 마쓰야마역): 특급 '이시즈치', '시오카제'로 운용. 마쓰야마 운전소와의 회송 열차로 마쓰야마역 - 미나미이요역 구간도 주행.
- 285계 전동차 (다카마쓰역 - 사카이데역): 침대 특급 '선라이즈 세토'로 운용. JR 서일본, JR 도카이 소유. 부정기적으로 다카마쓰역 - 다도쓰역 (- 고토히라역)에서도 운용되는 경우가 있으며, 과거에는 다카마쓰역 - 마쓰야마역에서도 임시 연장 운행으로 운용된 적도 있음.
- 키하 185계 기동차 (마쓰야마역 - 야와타하마역): 관광 열차 '이요나다 이야기' (2대 차량)로 운용. 이전에는 특급 '시오카제', '이시즈치', '우와카이' 등으로 다카마쓰역 - 우치코역, 신타니역 - 우와지마역에서도 운용.
과거 사용 차량
- 381계 전동차 (다카마쓰역 - 사카이데역): 세토 대교 개통 후 1988년부터 1991년까지 임시 열차로 '야쿠모', '마린 야쿠모'로 사용. JR 서일본 소유.
- 키하 181계 기동차 (우치코선 경유도 포함, 다카마쓰역 - 우와지마역)
- 24계 25형 객차 (다카마쓰역 - 사카이데역): 침대 특급 '세토'로 1988년 4월 10일부터 1998년 7월 9일까지 운용. JR 서일본 소속 (견인기인 EF65형 전기 기관차는 JR 동일본 소속).
3. 2. 쾌속 열차
요산선에는 두 종류의 쾌속 열차가 운행된다. '선포트 난푸 릴레이' 쾌속 열차는 다카마쓰와 이요사이조 구간을 운행하며, 마린 라이너 쾌속 열차는 세토 대교선을 경유하여 다카마쓰와 오카야마 구간을 운행한다.열차명 | 운행 구간 | 비고 |
---|---|---|
선포트 난푸 릴레이 | 다카마쓰 ↔ 이요사이조 | |
마린 라이너 | 다카마쓰 ↔ 오카야마 | 세토 대교선 경유 |
각 역의 정차 정보는 아래 표와 같다.
역 번호 | 역명 | 쾌속 | |
---|---|---|---|
선포트 | 마린 라이너 | ||
Y00 | 다카마쓰역 | ● | ● |
Y01 | 고자이역 | | | | |
Y02 | 키나시역 | ▲ | ▲ |
Y03 | 타노오카역 | ● | ▲ |
Y04 | 고쿠분역 | ▲ | ▲ |
Y05 | 사누키후추역 | | | | |
Y06 | 카모가와역 | ▲ | ▲ |
Y07 | 야소바역 | | | | |
Y08 | 사카이데역 | ● | ● |
Y09 | 우타즈역 | ● | ‖ |
Y10 | 마루가메역 | ● | |
Y11 | 사누키시오야역 | ● | |
Y12 | 다도쓰역 | ● | |
Y13 | 카이간지역 | ● | |
Y14 | 와카메역 | ● | |
Y15 | 미노역 | ● | |
Y16 | 타카세역 | ● | |
Y17 | 히치다이역 | ● | |
Y18 | 모토야마역 | ● | |
Y19 | 간온지역 | ● | |
Y20 | 토요하마역 | ● | |
Y21 | 미노우라역 | ● | |
Y22 | 카와노에역 | ● | |
Y23 | 이요미시마역 | ● | |
Y24 | 이요사카가와역 | ● | |
Y25 | 아카호시역 | ● | |
Y26 | 이요도이역 | ● | |
Y27 | 세키가와역 | ● | |
Y28 | 타키하마역 | ● | |
Y29 | 니이하마역 | ● | |
Y30 | 나카하기역 | ● | |
Y31 | 이요사이조역 | ● | |
Y32 | 이시즈치야마역 | ● | |
Y33 | 이요히미역 | ● | |
Y34 | 이요고마쓰역 | ● | |
Y35 | 타마노에역 | ● | |
Y36 | 미부카와역 | ● | |
Y37 | 이요미요시역 | ● | |
Y38 | 이요사쿠라이역 | ● | |
Y39 | 이요토미타역 | ● | |
Y40 | 이마바리역 | ● | |
Y41 | 하토하마역 | ● | |
Y42 | 나미가타역 | ● | |
Y43 | 오니시역 | ● | |
Y44 | 이요카메오카역 | ● | |
Y45 | 키쿠마역 | ● | |
Y46 | 아사나미역 | ● | |
Y47 | 오우라역 | ● | |
Y48 | 이요호조역 | ● | |
Y49 | 야나기하라역 | ● | |
Y50 | 아와이역 | ● | |
Y51 | 고요다이역 | ● | |
Y52 | 호리에역 | ● | |
Y53 | 이요와케역 | ● | |
Y54 | 미쓰하마역 | ● | |
Y55 | 마쓰야마역 | ● |
3. 3. 보통 열차
보통 열차는 대체로 간온지역, 이요사이조역, 마쓰야마역에서 운행 계통이 나뉜다. 각 구간을 넘나들며 운행되는 열차도 있지만, 다카마쓰역 - 우와지마역 간 전 노선을 통과하여 운행되는 열차는 없다. 최근 몇 년 동안 장거리를 운행하는 보통 열차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요사이조역 - 다카마쓰역 간을 직통하는 쾌속 열차 "선포트"와, 다카마쓰역 - 마쓰야마역 간을 운행하며 일부 구간을 "선포트 남풍 릴레이"로 운행하는 열차가 상하행 각 1편씩 있다. 2020년 3월 개정 전까지는 각 역에 정차하는 다카마쓰 발 마쓰야마행이 아침에 존재했지만, 운행 구간이 단축되어 다도쓰 발 마쓰야마행이 되었다.세토 대교선 직통의 혼시 연락 열차로 다카마쓰역 - 사카이데역 간에 쾌속 "마린 라이너", 도산선 직통 열차로 다카마쓰역 - 다도쓰역 간에 고토히라역 발착 열차가 있으며, 요산선 내의 다카마쓰역 - 고토히라역·간온지역 간(일부는 이요사이조역·마쓰야마역 발착)에는 쾌속 "선포트"가 운행되고 있다. "마린 라이너"와 "선포트"는 같은 쾌속이라는 종류이면서 정차역이 다르며, 전자는 다카마쓰역 - 사카이데역 간은 아침 일찍·심야를 제외하고 중간 역에는 정차하지 않는다. 이러한 운행 형태 때문에, 다카마쓰역 - 사카이데역 간에는 낮 시간대에 1시간에 3편의 쾌속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게다가 2편의 보통 열차, 특급 "이시즈치" 1편(특급 "시만토" 운행 시간대에는 2편)이 운행되기 때문에, 통과 열차가 많다. 세토 대교선 개업 후인 1988년 9월부터 오카야마역 - 간온지역·도산선 고토히라역 간을 직통하는 보통 열차도 운행되었지만, 2019년 3월 16일의 다이어 개정으로 폐지되었다.[15]
에히메현 내 구간은 이요시역까지는 낮에 1시간 1~2편(이요사이조역 - 이마바리역 간은 2시간 정도 간격이 있는 시간대 있음), 이요시역 - 야와타하마역 간에서는 이요나가하마역 경유와 우치코역 경유의 기동차 열차가 거의 교대로 운행되고 있으며, 1~2시간에 1편 운행(이요나가하마역·우치코역 경유 모두 낮에 3시간 정도 간격이 있는 시간대 있음)이지만, 야와타하마역 - 우와지마역 간은 운행 편수가 적어 하행 8편, 상행 7편만 운행되고 있다(단, 기타우와지마역 - 우와지마역 간은 요도선 직통 열차가 추가되므로 매시 1~2편 정도 운행되고 있다). 마쓰야마역 - 이요시역 간은 1990년 전철화 후 몇 년 동안은 낮에는 대부분 7000계 전동차로 운행되었지만, 이요시역에서의 환승을 꺼린 것과 전동차는 다도쓰역 - 마쓰야마역 간에서 중점적으로 운용하는 사정으로 최근에는 전동차는 기동차 열차의 틈새를 메우는 형태로 운행하게 되었고, 승객 수가 적은 열차의 폐지가 진행된 것과 함께 2021년 3월 13일의 다이어 개정 후에는 마쓰야마역 - 이요시역 간의 전동차 열차는 하행 6편, 상행 5편이 되었다. 마쓰야마역을 넘어 이요키타조역·이마바리역 - 이요시역 간을 직통하는 보통 열차도 감소 추세에 있으며, 2023년 3월 개정 시점에서 하행은 3편, 상행은 1편이 되었다. 2002년 1월 시점에서는 이마바리 발 5시의 마쓰야마행 시발 열차가 그대로 마쓰야마 발 우치코선 경유 이요오즈·야와타하마행으로 운용되는 경우가 있었다.[16]
과거에는 다카마쓰역 - 마쓰야마역 간 전철화 구간에서도 도산선(아와이케다역 발착)과의 직통이나 입출고 관계상, 영업 운전에서의 기동차 열차 운용도 존재했다.
야와타하마역 - 우와지마역 간에서는 키하32형이 33‰ 구배의 등판에서 미끄러져 열차 운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는 대책으로, 키하54형을 연결(편성의 후부 차량은 밀폐)하여 운행하고 있다. 이 구간은 2020년 3월 14일 개정으로 최종 열차가 22시대에서 21시대로 앞당겨졌다.
이 노선은 시코쿠 지방에서는 유일하게 날짜를 넘기는 보통 열차가 운행되는 노선이다.
4. 사용 차량
요산선에서 사용되는 차량은 다음과 같다.
종류 | 차량 | 운행 구간 | 비고 |
---|---|---|---|
특급 열차용 | 2000계 기동차 | 마쓰야마역 - 우와지마역 | 특급 우와카이로 운용. 과거 다카마쓰역 - 우치코역 구간에서도 운용. |
2700계 기동차 | 다카마쓰역 - 다도쓰역 | 특급 난푸, 시만토, 우즈시오로 운용. 일부 도사쿠로시오 철도 소유. | |
8000계 전동차 | 다카마쓰역 - 마쓰야마역 | 특급 이시즈치, 시오카제 등으로 운용. 마쓰야마역 - 미나미이요역 구간 회송 열차 운행. | |
8600계 전동차 | 다카마쓰역 - 마쓰야마역 | 특급 이시즈치, 시오카제로 운용. 마쓰야마역 - 미나미이요역 구간 회송 열차 운행. | |
285계 전동차 | 다카마쓰역 - 사카이데역 | 침대 특급 선라이즈 세토로 운용. JR 서일본, JR 도카이 소유. 과거 다카마쓰역 - 마쓰야마역 임시 운행. | |
키하 185계 기동차 | 마쓰야마역 - 야와타하마역 | 관광 열차 이요나다 이야기로 운용. 과거 다카마쓰역 - 우치코역 구간에서도 운용. | |
보통 열차용 | 5000계 전동차 | 다카마쓰역 - 사카이데역 | 쾌속 "마린 라이너"로 운용. |
223계 5000번대 전동차 | 다카마쓰역 - 사카이데역 | 쾌속 "마린 라이너"로 운용. 서일본 여객철도(JR 서일본) 소유. | |
6000계 전동차 | 다카마쓰역 - 이요사이조역 | 간온지역 이서 지역은 1일 1왕복 운행. | |
7000계 전동차 | 다카마쓰역 - 이요시역 | 이요사이조역 - 마쓰야마역 간 보통 열차는 모두 7000계로 운행. | |
7200계 전동차 | 다카마쓰역 - 이요사이조역 | ||
키하185계 3100번대 기동차 | 마쓰야마역 - 우와지마역 | ||
키하32계 기동차 | 마쓰야마역 - 우와지마역 | ||
키하54계 기동차 | 마쓰야마역 - 우와지마역 |
- 7000계, 7200계, 키하185계 3100번대, 키하32, 54형에는 화장실이 없다. 따라서 이요사이조역 - 우와지마역 간 보통 열차는 모두 화장실이 없다. 이요시역 - 우와지마역 간 낮 시간대 열차는 모두 올 롱 시트 차량이다.


과거 운행 차량
- 113계 전동차: 2019년 운행 종료.
- 121계 전동차: 7200계로 개조.
- 키하40계 기동차: 일반 차량은 2016년까지, 관광열차 "이요나다 모노가타리"(초대)는 2021년까지 운행.
- 키하58계 기동차: 2008년 가을 운행 종료.
- 키하65계 기동차: 2008년 가을 운행 종료.
- 키하20계 기동차: 1990년 운용 종료.
- 50계 객차: 1990년 운용 종료.
- 381계 전동차: 1988년부터 1991년까지 임시 열차로 운용.
- 키하 181계 기동차
- 24계 25형 객차: 1988년부터 1998년까지 침대특급 '세토'로 운용.
- 111계 전동차: 2001년 3월 운행 종료.
- 211계 전동차: 1988년부터 2003년까지 쾌속 "마린 라이너" 증결 차량으로 운용.
- 213계 전동차: 1988년부터 2003년까지 쾌속 "마린 라이너"로 운용.
- 117계 전동차: 세토 대교 개통 직후, "임시 마린 라이너"로 사용.
- 115계 전동차: 2019년 3월 운행 종료.
- 115계 3000번대 전동차: 세토 대교 개통 직후, "임시 마린 라이너"로 사용.
- 165계, 167계 전동차: 세토 대교 개통 직후, 임시 쾌속으로 사용.
- 221계 전동차: 1989년경, "임시 마린 라이너"로 사용.
- DF50형 기관차: 1985년에 운행 종료.
4. 1. 특급 열차용
- 현재 사용 차량
- 2000계 기동차 (마쓰야마역 - 우치코역, 신타니역 - 우와지마역): 특급 '우와카이'로 운용. 과거 '이시즈치', '시오카제', '시만토', '난푸', '우즈시오', '모닝 EXP 다카마쓰', '미드나잇 EXP 다카마쓰'로 다카마쓰역 - 우치코역, 신타니역 - 우와지마역에서도 운용.
- 2700계 기동차 (다카마쓰역 - 다도쓰역): 특급 '난푸', '시만토', '우즈시오'로 운용. 일부 차량은 도사쿠로시오 철도 소유.
- 8000계 전동차 (다카마쓰역 - 마쓰야마역): 특급 '이시즈치', '시오카제', '모닝 EXP 마쓰야마', '미드나잇 EXP 마쓰야마', '모닝 EXP 다카마쓰', '미드나잇 EXP 다카마쓰'로 운용. 마쓰야마 운전소와의 회송 열차로 마쓰야마역 - 미나미이요역 구간도 주행.
- 8600계 전동차 (다카마쓰역 - 마쓰야마역): 특급 '이시즈치', '시오카제'로 운용. 마쓰야마 운전소와의 회송 열차로 마쓰야마역 - 미나미이요역 구간도 주행.
- 285계 전동차 (다카마쓰역 - 사카이데역): 침대 특급 '선라이즈 세토'로 운용. JR 서일본, JR 도카이 소유. 부정기적으로 다카마쓰역 - 다도쓰역 (- 고토히라역)에서도 운용되는 경우가 있으며, 과거 다카마쓰역 - 마쓰야마역에서도 임시 연장 운행으로 운용.
- 키하 185계 기동차 (마쓰야마역 - 야와타하마역): 관광 열차 '이요나다 이야기' (2대 차량)로 운용. 이전에는 특급 '시오카제', '이시즈치', '우와카이' 등으로 다카마쓰역 - 우치코역, 신타니역 - 우와지마역에서도 운용.
- 과거 사용 차량
- 381계 전동차 (다카마쓰역 - 사카이데역): 세토 대교 개통 후 1988년부터 1991년까지 임시 열차로 '야쿠모', '마린 야쿠모'로 사용. JR 서일본 소유.
- 키하 181계 기동차 (우치코선 경유도 포함, 다카마쓰역 - 우와지마역)
- 24계 25형 객차 (다카마쓰역 - 사카이데역): 침대 특급 '세토'로 1988년 4월 10일부터 1998년 7월 9일까지 운용. JR 서일본 소속 (견인기인 EF65형 전기 기관차는 JR 동일본 소속).
4. 2. 보통 열차용
현재 요산선에서 운행되는 보통 열차는 다음과 같다. 특별히 언급되지 않은 차량은 시코쿠 여객철도(JR 시코쿠) 소유이다. (과거 사용 차량 중 1987년까지 운행 종료된 것은 국철 소유 차량)- 5000계 전동차(다카마쓰역 - 사카이데역) - 쾌속 "마린 라이너"로 운용.
- 223계 5000번대 전동차(다카마쓰역 - 사카이데역) - 쾌속 "마린 라이너"로 운용. 2007년 6월 하순부터 2010년 1월 23일까지는 아미하 종합 차량소에서 임대된 사하 223형 2000번대도 포함되어 있었다. 서일본 여객철도(JR 서일본) 소유.
- 6000계 전동차(다카마쓰역 - 이요사이조역) - 간온지역 이서 지역은 1일 1왕복만 운행.
- 7000계 전동차(다카마쓰역 - 이요시역) - 시코쿠 섬 내의 전철화 구간 전부(우타즈역 - 고지마역 제외)에서 볼 수 있으며, 이요사이조역 - 마쓰야마역 간의 보통 열차는 전 열차가 본 계열로 운행.
- 7200계 전동차(다카마쓰역 - 이요사이조역)
- 키하185계 3100번대 기동차(마쓰야마역 - 우와지마역) - 2000년부터 2006년까지는, 화장실이 있는 3000번대도 사용했다.
- 키하32계 기동차(마쓰야마역 - 우와지마역)
- 키하54계 기동차(마쓰야마역 - 우와지마역)
7000계, 7200계, 키하185계 3100번대, 키하32, 54형에는 화장실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것들만으로 운용되는 이요사이조역 - 우와지마역 간의 보통 열차는 모두 화장실이 없다. 이요시역 - 우와지마역 간에는 낮 시간대의 열차는 모두 올 롱 시트 차량이다.
과거에 요산선에서 운행되었던 보통 열차는 다음과 같다.
- 111계 전동차(다카마쓰역 - 간온지역) - 2001년 3월에 운행 종료. 일본에서 마지막으로 남은 111계였다[37].
- 113계 전동차(다카마쓰역 - 간온지역 - 이요사이조역) - 2019년에 운행 종료. JR 서일본 소유의 차량이 115계 전동차 대신 오카야마역 - 고토히라역 간의 운용에서 사용된 시기가 있다.
- 121계 전동차(다카마쓰역 - 이요사이조역) - 7200계로 개조.
- 211계 전동차 슈퍼 샐룬 "유메지" (다카마쓰역 - 사카이데역, 우타즈역 - 다도쓰역) - 1988년부터 2003년까지 쾌속 "마린 라이너" 증결 차량으로 운용. 또한 2009년까지의 정초에는, 오카야마역 - 고토히라역 간에 "고토히라 초일출호", "고토히라 초참배호"로 운전되었다[38][39]. JR 서일본 소유.
- 213계 전동차(다카마쓰역 - 사카이데역) - 1988년부터 2003년까지 쾌속 "마린 라이너"로 운용되었다. "마린 라이너"의 운용에서 철수한 후에도, 223계, 5000계의 대행으로 "마린 라이너"에 들어간 적이 있으며, 2016년부터 관광 열차로 7000번대 "라 말 드 보아"가 운행되고 있다. JR 서일본 소유.
- 117계 전동차(다카마쓰역 - 사카이데역) - 세토 대교 개통 직후, "임시 마린 라이너"로 사용되었다. JR 서일본 소유.
- 115계 전동차(우타즈역 - 다도쓰역) - 2019년 3월에 운행 종료. 세토 대교 개통 직후, "임시 마린 라이너" · 임시 쾌속에서도 사용되었다. JR 서일본 소유.
- 115계 3000번대 전동차(다카마쓰역 - 사카이데역) - 세토 대교 개통 직후, "임시 마린 라이너"로 사용되었다. JR 서일본 소유.
- 165계, 167계 전동차(다카마쓰역 - 사카이데역) - 세토 대교 개통 직후, 다카마쓰역 - 오카야마역 간의 임시 쾌속으로 사용되었다. JR 서일본 소유.
- 221계 전동차(다카마쓰역 - 사카이데역) - 등장 직후인 1989년경, "임시 마린 라이너"로 사용되었다. JR 서일본 소유.
- DF50형 기관차 - 1985년에 운행 종료.
- 키하40계 기동차 - 일반 차량용은 2016년 3월 25일까지 사용되었으며, 마쓰야마 운전소에 동월까지 배치되어 있던 5량 중 4량이 도쿠시마 운전소로 전속, 1량은 폐차되었다. 관광 열차 "이요나다 모노가타리"용(초대 차량)은 2021년 12월 27일까지 마쓰야마역 - 야와타하마역 간에 사용되었다.
- 키하58계 기동차 - 2008년 가을에 운행 종료.
- 키하65계 기동차 - 2008년 가을에 운행 종료.
- 키하20계 기동차 - 1990년에 운용 종료.
- 50계 객차 - 1990년에 운용 종료.
각 연도의 평균 통과 인원 (명/일)은 다음과 같다.
5. 역 목록
다카마쓰코토히라 전기 철도 고토히라 선(다카마쓰 축항 역)
우타즈정
다도쓰정
U00
마사키정
S06
U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