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집트의 역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집트의 역사는 선사 시대부터 로마 통치, 이슬람 정복, 중세 독립국 시대를 거쳐 오스만 제국, 그리고 근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기를 거치며 발전해 왔다. 선사 시대에는 나일강 유역에서 신석기 문화가 발달했고, 고대 이집트 문명이 등장하여 파라오 통치하에 번성했다. 헬레니즘 시대에는 프톨레마이오스 왕조가 이집트를 지배했고, 이후 로마 제국의 속주가 되어 번영을 누렸다. 이슬람 정복 이후에는 여러 왕조가 등장하며 중세 시대를 거쳤고, 오스만 제국 통치 시기를 겪은 후 무함마드 알리 왕조가 수립되었다. 19세기에는 영국 보호령이 되었고, 20세기에는 이집트 공화국이 수립되어 나세르 정권과 사다트 정권을 거치며, 2011년 이집트 혁명 이후 압델 파타 엘시시 대통령이 집권하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집트의 역사 - 아랍 연합 공화국
    아랍 연합 공화국은 1958년 이집트와 시리아의 합의로 수립되어 카이로를 수도로 하였으나, 이집트의 일방적인 정책으로 시리아가 반발하여 1961년 해체되었고, 이후 이집트는 1971년까지 국호를 유지했다.
  • 이집트의 역사 - 알렉산드리아
    알렉산드리아는 기원전 331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건설한 이집트 북부 지중해 연안의 도시로, 헬레니즘 시대에는 중심지로서 번영을 누렸으며 현재는 이집트의 주요 도시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집트의 역사
개요
기자의 피라미드
기자의 피라미드
위치아프리카 북동부
수도카이로
공용어아랍어
역사
선사 시대기원전 6000년경 ~ 기원전 3100년경
초기 왕조 시대기원전 3100년경 ~ 기원전 2686년경
고왕국 시대기원전 2686년경 ~ 기원전 2181년경
제1중간기기원전 2181년경 ~ 기원전 2055년경
중왕국 시대기원전 2055년경 ~ 기원전 1650년경
제2중간기기원전 1650년경 ~ 기원전 1550년경
신왕국 시대기원전 1550년경 ~ 기원전 1069년경
제3중간기기원전 1069년경 ~ 기원전 664년경
말기 왕조 시대기원전 664년경 ~ 기원전 332년경
아케메네스 왕조 시대기원전 525년경 ~ 기원전 332년경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대기원전 332년경 ~ 기원전 30년경
로마 시대기원전 30년경 ~ 서기 641년
사산 왕조 페르시아 시대621년 ~ 629년
이슬람 시대641년 ~ 1517년
오스만 제국 시대1517년 ~ 1867년
프랑스 점령1798년 ~ 1801년
무함마드 알리 왕조 시대1805년 ~ 1882년
케디브 시대1867년 ~ 1914년
영국 점령 시대1882년 ~ 1953년
술탄국 시대1914년 ~ 1922년
왕국 시대1922년 ~ 1953년
공화국 시대1953년 ~ 현재
2011년 이집트 혁명2011년

2. 선사시대(~3100 BC)

선사시대 이집트의 유물. 왼쪽 위부터 바다리 문화 조각상, 나카다 2기 항아리, 바트 여신상. 왼쪽 아래부터 섬록암 화분, 상아 칼, 화장용 석판


플라이스토세 말, 홀로세 초에 사막화가 시작되자 서쪽 대지에 살던 사람들이 나일강 유역으로 이주해 왔다. 이들은 수렵 채집과 어로를 하며 살았으나, 기원전 1만 년경 곡물을 빻는 문화를 가진 농업 부족에게 대체되었다. 기원전 6천 년경 아프리카 습윤기가 끝나고 사하라 사막이 형성되면서, 이 지역 부족들은 나일강 변에 정착하여 농업 경제 체제를 갖추고 중앙집권 사회를 이루었다.[716]

이집트 선사시대의 대표적인 흔적은 나일강 하안단구오아시스를 따라 발견되는 암각화다.

2. 1. 신석기 시대

기원전 6000년경 나일강 유역에 신석기 시대 문화가 뿌리내렸다.[4] 신석기 시대에는 상 이집트와 하 이집트에서 여러 선왕조 문화가 독립적으로 발전했다. 바다리 문화와 그 뒤를 이은 나카다 계열은 일반적으로 왕조 이집트의 전신으로 여겨진다. 가장 오래된 하 이집트 유적지인 메림데는 바다리 문화보다 약 700년 앞선다. 동시대 하 이집트 공동체는 남쪽의 동족들과 2천 년 이상 공존하면서 문화적으로는 뚜렷하게 유지되었지만, 무역을 통해 빈번한 접촉을 유지했다.[5] 이집트 상형 문자 비문의 가장 초기의 증거는 기원전 32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나카다 III 도자기에서 선왕조 시대에 나타났다.[5]

3. 고대 이집트(3100~332 BC)

플라이스토세에 서방 대지 위에 살던 사람들이 홀로세가 되어 사막화가 시작되자 나일강 하곡에 내려와 살게 되었다. 토지 생산성이 높은 나일 하곡 지방에서 이집트 문명이 개화하고, 유사시대에 들어와 30개의 왕조가 흥망했다. 기원전 321년에는 알렉산드로스 3세의 침략이 있었고, 그 후 그리스인, 러시아인의 침입이 있었다. 7세기에는 아랍인이 침입하는 등 외침의 역사는 오랫동안 계속되었다.[715]

메네스 왕이 통일 왕국을 건설하고 그 이후 3천 년 동안 이어진 왕조들의 흥망성쇠를 다루며, 종교, 미술, 언어, 관습 등 독특한 문화의 발전 과정을 볼 수 있다.

기원전 50000년에서 기원전 30000년경, 후기 구석기 시대현생 인류는 나일 강변과 주변 호수, 오아시스를 이동하면서 대형 동물을 쫓아 원시적인 수렵 채집 생활을 했다.[100][103] 후기 구석기 시대는 석기 기술에 의한 석기 제작 기술 도입으로 특징지어진다.[104] 1만 년 단위에서는 나일 강 유역·북아프리카의 기후가 크게 변동했으며, 후기 구석기 시대에는 현재와 마찬가지로 건조하여 광대한 사막이 펼쳐져 있었다.[104] 이 때문에 후기 구석기 시대 유적은 나일 강변 땅에 집중되어 있다.[104] 2003년 현재, 가장 오래된 후기 구석기 시대 유적은 기원전 31000년경으로 보이는 이집트 중부 나일 강 서안의 나즐렛 카테르 유적이다.[103]

기원전 19000년경, 상 이집트 남부에서 수단 북부에 걸쳐 다양한 석기 문화가 집중적으로 출현했다.[103] 쿠바니야 문화(할판 문화), 세빌 문화, 카단 문화 등이 그것이다.[103] 사람들은 메기·조개류에 대표되는 나일 강의 풍부한 어업 자원과 물새, 식물에 의지하여 꽤 안정된 생활을 영위했다.[105] 이 후기 구석기 시대 이집트에서는 아프리카 고유의 곡물 재배가 이루어졌다는 설도 있었지만, 연구 결과 현재는 부정되고 있다.[105]

기원전 12000년경, 아프리카 북동부는 "제4 습윤기" 시기에 들어갔다. 적도 아프리카의 몬순을 동반하는 강우대가 남하하여 수단 북부에서 이집트 남부에 이르는 지역에 연간 200mm 정도의 강우가 나타났다.[106] 제4 습윤기의 이집트는 강수량이 풍부하다고 할 수는 없었지만, 사막 지대 경관은 일변하여, 타마리스크와 아카시아, 대추야자가 번성하고, 토끼, 가젤, 오릭스 등이 서식하게 되었다.[106][107]

이 시대는 고고학적으로 "종말기 구석기 시대(Terminal Palaeolithic)" 또는 "속 구석기 시대(Epipalaeolithic)"로 분류된다.[106] 녹화가 진행되면서 사람들의 생활권은 나일 강 양안 지대에서 떨어진 지역까지 확대되었고, 서쪽 옛 사막 지대에 거주 흔적이 남게 되었다.[106] 이러한 거주 흔적은 이집트 남부의 납타 플라야 유적과 이집트 북부의 시와 오아시스, 파이윰 등에 대표된다.[106] 사람들의 거주는 특히, 하계 강수가 웅덩이를 만드는 저지대나 샘물이 있는 오아시스 근처에 집중되었다.[108] 납타 플라야 유적과 그 주변에서는 소형 석인, 첨각기를 포함하는 석기골각기, 타조 알로 만들어진 비즈 등이 발견되었다.[107] 나일 강 유역에서는 나일 강 중류(현: 수단 중부)에 특히 다수의 거주 흔적이 확인되었으며, "카르툼 중석기"(Khartoum Mesolithic) 문화가 퍼져 있었다.[109] 현 이집트 지역에서는 남부 나일 강 제2 급류 부근에 아르킨 문화 (Arkinian)와 샤마르크 문화 (Shamarkian)가 퍼져 있었다. 이들 나일 강변 유적에서는 어류와 조개류 등, 나일 강 수산 자원에 현저하게 의존하는 생활을 영위했다는 것을 발견된 유물에서 알 수 있다.[108]

수량이 증가한 나일 강 수산 자원은, 아직 농경을 알지 못하는 종말기 구석기 시대 생활 문화에서도 어느 정도 정착 생활을 가능하게 했다.[108] 이 무렵 이집트에서는 마제석기와 토기 사용이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110] 2003년 시점에서 확인된 세계 최고(最古) 토기는 일본 조몬 토기 등을 포함하는 동아시아의 그것이지만, 이집트에서의 토기 사용은 이에 이은 세계에서 가장 초기의 것이며, 종말기 구석기 시대 이른 단계부터 확인되고 있다.[111] 다만 토기 사용은 국지적이며, 또한 발견 예는 단편적이고 용도는 분명하지 않다.[111] 종말기 구석기 시대 후반에는 아프리카 북동부 전역에 토기 사용이 퍼졌지만, 그래도 여전히 토기가 전혀 출토되지 않는 이 시기 유적이 다수 있다.[112] 기원전 8천년기에는 서아시아에서 종류 재배가, 기원전 7천년기에는 염소 가축화가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113] 이집트에서도 이와 동시기에, 또는 약간 늦게 농경과 목축이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14] 이집트의 농경과 목축이 서아시아에서 도입된 것인지, 독자적으로 시작된 것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다만, 가축화는 이집트(수단) 지역에서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114] 확인 가능한 이집트 최고(最古) 곡물 재배 흔적은 기원전 5000년경으로 연대가 측정되는 파이윰 출토 엠머밀이다.[113] 이것은 이미 신석기 시대 유적이지만, 더 오래된 시대에 납타 플라야 유적에서 재배가 이루어졌을 가능성도 논의되고 있다.[115] 또한, 아프리카 고유 곡물인 수수가 재배되었을 가능성도 있다.[116]

마제석기 사용, 토기 도입, 농경·목축 시작은 신석기 시대를 정의하는 요소로 여겨지며, 이들의 도입이 신석기 시대 시작으로 간주되고 있지만, 모두 동시에, 같은 장소에서 도입된 것은 아니며, 신석기 시대와 구석기 시대 경계는 명확하지 않다. 고고학자 타카미야 이즈미는 개설서에서, 설명상 기원전 6천년기 이후를 신석기 시대로 위치시키고 있다.[110]

3. 1. 초기왕조와 고왕국

기원전 3150년경 메네스 왕이 상하 이집트를 통일하면서 통일 왕국이 세워졌다. 이후 3천 년 동안 여러 왕조가 번갈아 가며 이집트를 다스렸다. 이 시기에 이집트 문화는 크게 발전하여 종교, 미술, 언어 등에서 독자적인 문화를 구축했다.

스핑크스대피라미드. 고왕국 시대에 만들어졌다.


통일 이집트 초기 두 왕조는 고왕국 발전의 기반이 되었다. 고왕국 시대에는 피라미드가 많이 건설되었는데, 이집트 제3왕조의 조세르 피라미드와 이집트 제4왕조기자에 세워진 피라미드들이 대표적이다.

3. 2. 제1중간기, 중왕국, 제2중간기

제1중간기는 약 150년간 정치적 격변기였다.[719] 그러나 나일강의 강력한 범람과 정부의 안정으로 기원전 2040년경 중왕국 시대에 국가의 번영이 다시 시작되었고, 파라오 아메넴헤트 3세의 치세 동안 절정에 달했다. 제2중간기는 이집트에 최초의 외국 통치 왕조인 셈어족 힉소스의 등장을 알렸다. 힉소스 이주민들은[6][7] 기원전 1650년경에 하이집트의 대부분을 점령하고 아바리스에 새로운 수도를 세웠다. 그들은 아흐모세 1세가 이끄는 상이집트 군대에 의해 쫓겨났으며, 그는 제18왕조를 세우고 수도를 멤피스에서 테베로 이전했다.

3. 3. 신왕국, 제3중간기, 말기왕조

이집트 신왕국은 아흐모세 1세가 세운 이집트 제18왕조와 함께 시작되었다. 이 시기 이집트는 강력한 힘을 바탕으로 남쪽 누비아의 톰보스에서 동쪽 레반트 지역까지 영토를 확장했다. 하트셉수트, 투트모세 3세, 아크나톤네페르티티, 투탕카멘, 람세스 2세 등 유명한 파라오들이 이 시기에 통치했다. 이 시기에 아톤을 중심으로 한 최초의 일신숭배 사상이 나타났지만, 다른 신들의 존재를 인정했기 때문에 단일신교로 보지는 않는다. 히타이트와 국경을 맞대고 교류했지만, 바다 민족의 침략과 테베의 아문 대사제단 등의 내부 문제로 상, 하 이집트의 결속이 약해졌다. 하 이집트는 리비아계, 상 이집트는 쿠시 왕국의 침략과 정치적 영향을 받았다. 아시리아가 이집트를 지배하기도 했지만, 이집트는 곧 독립을 되찾았다.[720]

기원전 15세기의 신왕국


신왕국(기원전 1550년~1070년경)은 이집트가 국제적인 강대국으로 성장하여 최대 확장기에는 시리아에서 상 누비아에 이르는 제국으로 발전한 시기이다. 하트셉수트, 투트모세 3세, 아크나톤과 그의 아내 네페르티티, 투탕카멘, 람세스 2세 등 유명한 파라오들이 이 시기에 등장했다. 역사상 최초로 기록된 일신교 사상은 아테니즘으로 나타났지만, 일부 학자들은 아테니즘을 일신교가 아닌 일신 숭배의 한 형태로 보기도 한다. 다른 국가들과의 잦은 교류는 신왕국에 새로운 사상을 가져왔다. 이후 이집트는 고대 리비아인, 누비아인, 아시리아인에게 지배와 침략을 당했지만, 결국 이집트인들이 그들을 몰아내고 통치권을 되찾았다.[8]

3. 4. 아케메네스 제국 점령기

아케메네스 왕조 군대의 이집트 병사, 크세르크세스 1세 무덤 부조.


기원전 6세기에 아케메네스 제국이 이집트를 정복했다.[721] 기원전 525년부터 기원전 402년까지 이집트 제27왕조 전체는 페투바스티스 3세와 프삼메티코스 4세를 제외하고는 페르시아가 통치했으며, 아케메네스 왕들은 파라오 칭호를 받았다.[9] 아미르타이오스의 반란 성공으로 첫 번째 아케메네스 통치가 끝나고, 이집트는 토착 통치자 아래에서 마지막 독립 시대를 맞이했다. 이집트 제30왕조는 파라오 시대의 마지막 토착 지배 왕조였다.[9] 마지막 토착 파라오인 네크타네보 2세가 패전한 후, 기원전 343년에 페르시아에게 다시 정복되었다.[721]

이집트 제31왕조는 두 번째 이집트 사트라피라고도 하며, 기원전 343년부터 기원전 332년까지 아케메네스 제국의 짧은 통치 기간이었다.[10] 독립 기간 동안 세 토착 왕조(이집트 제28왕조, 이집트 제29왕조, 이집트 제30왕조)가 통치한 후,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기원전 358–338년)는 나일 계곡을 잠시 재정복하여 두 번째 시기(기원전 343–332년)를 만들었으며, 이를 이집트 제31왕조라고 하고, 페르시아계 파라오의 또 다른 시기를 시작했다.[11]

4. 헬레니즘 통치기

알렉산드로스 3세(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이집트 정복 이후 이집트는 헬레니즘 세계의 일부가 되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그의 휘하 장군들 사이에 벌어진 디아도코이 전쟁 결과, 이집트는 알렉산드로스의 부하였던 프톨레마이오스 1세 소테르가 차지하게 되었다.

4. 1. 프톨레마이오스 왕국

알렉산드로스 3세(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이집트 정복 이후, 그의 부하였던 프톨레마이오스 1세 소테르가 기원전 305년 이집트의 파라오로 즉위하면서 프톨레마이오스 왕국이 성립되었다.[725][726]

프톨레마이오스 이집트. 녹색 지역은 35년 후 셀레우코스 제국에 의해 상실되었다.


프톨레마이오스 왕국은 동쪽으로는 남부 시리아에서 서쪽으로는 키레네까지, 남쪽으로는 누비아 국경까지 뻗어 있는 강력한 헬레니즘 국가였다. 알렉산드리아는 수도가 되었으며 그리스 문화와 무역의 중심지가 되었다. 이집트 원주민을 통치하기 위해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통치자들은 스스로 파라오의 후계자를 자처했다. 후기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는 이집트 전통을 받아들여 이집트 양식과 복장으로 공공 기념물에 자신들을 묘사하고 이집트 종교 생활에 참여했다.[13][14] 그러나 이집트인들은 헬레니즘 문화의 영향 속에서도 전통적인 이집트식 복식과 종교 및 삶의 방식을 그대로 영위했다.[725][726]

그리스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여왕 클레오파트라와 그녀의 아들 카이사리온. 율리우스 카이사르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로 덴데라 사원 단지에 묘사되어 있다.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마지막 통치자는 클레오파트라 7세 필로파토르(클레오파트라)였다. 그녀는 아우구스투스가 알렉산드리아를 점령하고 그녀의 용병들이 도망친 후, 그녀의 연인 마르쿠스 안토니우스가 그녀의 품에서 자해로 죽자 자살했다.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는 원치 않는 정권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 토착 이집트인들의 반란에 직면했으며, 왕국의 쇠퇴와 로마의 병합으로 이어진 대외 전쟁과 내전을 겪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헬레니즘 문화는 이슬람 정복 이후에도 이집트에서 번성했다. 토착 이집트/콥트 문화 또한 계속 존재했다(콥트어는 적어도 10세기까지 이집트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언어였다).

5. 로마 통치기

로마의 옥타비아누스는 악티움 해전에서 승리한 후 이집트를 로마 제국에 병합했다. 이로써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는 막을 내리고 이집트는 로마의 속주가 되었다.

5. 1. 로마 속주

이집트는 로마 제국의 곡창지대가 되어 제국 전체에 곡물, 아마, 파피루스, 유리 및 기타 공예품들을 공급하였다.[727] 알렉산드리아는 로마의 지배 하에서도 교역의 중심지로 계속 남아있었으며, 일부 기록에 의하면 로마에서 가장 중요한 도시였다고도 전해진다. 이집트는 인도나 에티오피아와 국제적 교역의 중개지 역할을 수행했다.[727]

과학 기술 부분에 있어서도 이집트는 제국을 이끌었다.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 히파티아, 헤론은 점성술, 수학, 공학 등 모든 분야에서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문화적으로도 알렉산드리아는 로마에 비견되는 위상을 차지했다.[728]

5. 2. 아이깁투스 교구

카이로에 위치한 공중교회. 3세기나 4세기에 처음 건립되었으며 콥트 정교회에서 가장 유명한 교회 중 하나이다.


예수에서 시작된 초기 기독교복음은 이집트에까지 전파되었다. 전승에 의하면 복음사가 마르코가 이집트에 복음을 전했다고 한다.[729]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와 시리아의 안티오크는 수십년만에 기독교의 중심지로 성장하였다.[730] 신약성경이 이집트어로 번역된 것도 이 때였다. 고대 후기 또는 비잔틴 시대로 넘어가는 분수령인 디오클레티아누스 통치기에 매우 많은 수의 기독교인들이 이집트에서 박해를 받았다. 그러다가 451년에 열린 칼케돈 공의회에서 알렉산드리아 콥트 정교회가 설립되어 지금까지 남아있다.[731]

6. 사산 제국 통치기

사산 제국은 619년부터 629년까지 10년간 이집트를 지배했다. 이 시기 이집트는 리비아의 일부로 취급되었다.[732] 사산 왕조 이집트(중세 페르시아어: ''Agiptus'')는 이 시기 사산 제국이 이집트와 리비아 일부 지역을 통치했던 짧은 기간을 가리킨다.[20]

이후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이라클리오스와 연대한 샤흐르바라즈가 봉기하여 이집트는 자유를 되찾았다.[732] 샤흐르바라즈는 사산 왕조의 반란자였으며, 헤라클리우스와 동맹을 맺고 이집트의 통제권을 회복했다.[20]

7. 이슬람 초기

639년부터 642년까지 아랍 이슬람 제국이 이집트를 정복하면서 비잔티움 제국은 큰 타격을 입었다.[715] 비잔티움 제국은 이집트에 식량과 사치품을 의존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집트 상실은 제국의 쇠퇴로 이어졌다.[715]

아랍인들은 이집트에 수니파 이슬람을 전파했고, 이는 이집트에 정착해 있던 기독교 전통, 토착 신앙 및 관습과 융합하여 다양한 수피즘 종단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733] 이러한 초기 종교 의례들은 콥트 교회에도 일부 남아있다.[734]

8. 중세시대 독립국의 지위

중세 파티마 시대 카이로의 알아즈하르 모스크


이슬람 칼리파국이 임명한 이집트 통치자들은 카이로를 수도로 삼았고, 이는 파티마 칼리파국에서도 이어졌다. 쿠르드족 아이유브 술탄국이 멸망한 후 1250년부터 맘루크(튀르크족체르케스인)의 통치를 받았다. 13세기 말에는 홍해, 인도, 말레이 제도, 동인도 제도와 교역했다.[735] 그리스와 콥트계 언어와 문화는 아랍 문화 속에서 점차 사라져갔다.

14세기 중반, 흑사병으로 이집트 인구의 약 40%가 사망했다.[736] 포르투갈이 다우 전투에서 맘루크 제국을 꺾고 인도양의 주도권을 가져갔다.[737] 1517년, 약해진 맘루크 제국은 오스만-맘루크 전쟁으로 오스만 제국에게 이집트 통치권을 빼앗겼다.

9. 오스만 제국 통치기

15세기 이후 오스만 제국은 이집트를 침공하여 이집트의 체제를 붕괴시켰다. 이집트는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기 위해 시민 사회와 경제 제도를 희생하면서까지 방위군을 소집해야 했다.[738] 약화된 경제는 흑사병과 겹쳐 국력을 크게 떨어뜨렸다.[738] 1687년부터 1731년까지 6번의 기근을 겪었고,[739] 1784년의 기근은 인구의 약 1/6을 앗아갔다.[740]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는 1798년에 이집트-시리아 원정을 시작했다. 이 원정 중 로제타석이 발견되면서 이집트학이 탄생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나일 해전에서 프랑스 해군이 패배하면서 나폴레옹과 프랑스군은 이집트 지배력을 잃고 철수했다.

10. 무함마드 알리 왕조

오스만 제국맘루크 세력, 그리고 영국군이 프랑스군을 축출한 후, 이집트는 권력 다툼으로 혼란에 빠졌다. 이 과정에서 알바니아 용병대 지휘관 무함마드 알리가 1805년 권력을 장악하고 이스탄불술탄에게서 부왕 작위를 받았다.[741] 이는 명목상 술탄의 신하였지만, 실제로는 오스만 제국의 이집트 통치권 포기를 의미했다. 무함마드 알리는 왕조를 세워 1952년 혁명까지 이집트를 통치했으나, 1882년 이후로는 사실상 영국의 식민지 상태였다.[741]

무함마드 알리는 군사력 강화에 힘써 북부 수단(1820-1824), 시리아(1833), 아라비아 반도와 아나톨리아 일부를 점령했다. 그러나 1841년 유럽 열강은 그가 오스만 제국을 전복할 것을 우려하여 정복지 대부분을 반환하도록 압박했다. 무함마드 알리는 수단을 유지했고, 이집트 통치권은 그의 후손에게 세습되었다.[27]

무함마드 알리는 이집트 근대화를 추진했다. 서양에 학생들을 유학 보내고 훈련단을 초청하여 군사 기술을 도입했다. 산업을 육성하고 관개 및 수송용 운하 시스템을 건설했으며, 공무원 제도를 개혁했다.[27] 수에즈 운하 건설도 이러한 계획의 일부였다.[742]

1820년 장섬유 면화가 도입되면서 이집트산 면화는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고, 농업은 환금 작물 단작 형태로 변화했다. 이는 토지 소유 집중, 외국인 유입, 생산의 국제 시장 편입 등 사회적 변화를 초래했다.[27]

11. 대영제국 보호령

1863년에 이스마일 파샤가 즉위하였다. 이스마일과 그의 선왕 사이드 파샤는 야심이 높은 인물이었으며, 프랑스와 함께 수에즈 운하를 건설하는 등 이집트 개발을 위해 많은 사업을 펼쳤다. 그러나 개발에 막대한 비용을 소모하면서 이집트는 유럽 은행에 감당할 수 없는 빚을 지게 되었고, 과도한 세금 부과는 시민들의 불만을 야기했다. 1875년, 이스마일은 수에즈 운하 지분의 44%를 영국에 매각했다. 이로써 영국과 프랑스는 막대한 금권을 바탕으로 이집트 내각을 뒤에서 조종할 힘을 얻게 되었다.[743]

이스마일 내각과 유럽의 간섭에 대한 불만은 1879년에 아흐메드 우라비가 민족 운동을 일으키는 계기가 되었다. 우라비는 1882년에 민족주의 내각의 수뇌가 되었다. 그러나 자신들의 지배력이 줄어들 것을 경계한 영국과 프랑스는 알렉산드리아에 함포를 퍼붓고 텔 엘 케비르 전투에서 이집트군을 격파한 뒤[744] 내각을 해산시키고 이스마일의 아들인 테우피크 파샤를 앉혔다. 이로써 이집트는 사실상 영국의 보호국 신세가 되었으며,[745][746] 1914년에는 공식적으로 영국의 보호령이 되었다.

이집트는 1882년 9월 텔 엘 케비르 전투에서 패배함으로써 영국의 보호령이 되었다. 이로써 이집트의 통치자를 부르는 칭호도 변화를 겪었다. 칭호는 이미 1867년에 '파샤'에서 '케디브'로 바뀐 바가 있었다. 그러나 영국의 보호국이 된 이집트는 통치자를 '술탄'이라고 부르는 술탄국이 되었다. 영국은 튜픽의 후임자인 아바스 2세를 퇴위시키고 그의 사촌인 후세인 카멜을 술탄으로 앉혔다.[747]

1906년에는 영국군인들이 이집트 농부들을 처형하는 딘샤와이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 사건으로 인해 수많은 이집트인들이 민족주의 운동에 참여하게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민족주의 운동의 대표적인 세력인 자글룰 파샤와 와프드당이 보호국 국회에서 여당이 되었다. 그러나 영국 정부는 자글룰과 그 가족들을 몰타로 강제 추방시켰다. 이는 1919년 이집트 혁명이 일어나는 계기가 되었다. 그 결과 영국은 1922년 2월 22일, 이집트의 독립을 선언한다.[748]

1919년 카이로에서 시위하는 민족주의자들


새로운 정부인 이집트 왕국은 1923년에 의원내각제를 채택하고 헌법을 제정하였다. 1924년에는 자글룰이 초대 총리로 선출되었다. 1936년에는 수에즈 운하를 보호하기 위한 최소한의 군대를 제외한 영국군을 이집트에서 철수시킨다는 내용인 영국-이집트 조약을 맺는다. 그러나 영국의 영향력은 청산되지 못하고 계속 남아있게 되었다. 이후 왕실이 국회를 해산하는 등 독재 야욕을 점점 내비치자 군부는 자유장교단의 주도로 1952년 이집트 혁명을 일으켰다. 파루크 1세는 5개월된 아들인 푸아드 2세에게 왕위를 넘겨주었다. 영국군은 1954년에야 완전히 철수한다.[749]

12. 이집트 공화국

1953년 6월 18일, 무하마드 나기브 장군을 초대 대통령으로 하여 이집트 공화국이 출범했다.[715] 그러나 나기브는 1952년 이집트 혁명을 주도한 가말 압델 나세르에 의해 1954년 강제로 사임되고 가택 연금 상태에 놓였다.[715]

이후 이집트는 가말 압델 나세르, 안와르 사다트, 호스니 무바라크 대통령을 거치며 여러 차례의 중동 전쟁과 정치적 격변을 겪었다. 특히 1979년 캠프데이비드 협정을 통해 메나헴 베긴, 지미 카터, 안와르 사다트 세 정상이 평화 조약을 체결하면서 이집트와 이스라엘 간의 관계가 개선되었다.

캠프데이비드 협정에 조인 후 메나헴 베긴, 지미 카터, 안와르 사다트.


무바라크는 30년 가까이 장기 집권하다가 2011년 이집트 혁명으로 인해 사임했다. 이후 압델 파타 엘시시 대통령이 취임하여 현재까지 이집트를 이끌고 있다.

12. 1. 나세르 정권

1952년 이집트 혁명으로 왕정이 폐지되고 공화정이 수립된 후, 가말 압델 나세르가 대통령에 취임했다.[715] 나세르는 수에즈 운하 국유화, 영국군 철수, 토지개혁 등을 단행했다.[715] 1956년 6월, 나세르는 대통령이 되었고, 같은 달 13일 영국은 수에즈 운하에서 완전히 철수했다.[715] 나세르는 7월 26일 수에즈 운하를 국유화하여 제2차 중동 전쟁(수에즈 위기)을 촉발시켰다.[715]

1958년 이집트와 시리아아랍 연합 공화국을 수립하여 나세르의 아랍권 통합 구상의 첫 단계를 밟았으나, 3년 반 후 시리아가 분리 독립하면서 연합은 해체되었다.[715] 예멘 왕국도 아랍 합중국의 일원으로 참여했으나 곧 분리되었다.[715]

1967년 제3차 중동 전쟁에서 이스라엘에게 패배하여 시나이반도가자 지구를 점령당했다.[715] 3년 후인 1970년, 나세르가 사망하고 안와르 사다트가 대통령직을 승계했다.[715]

228x228px

12. 2. 사다트 정권

안와르 사다트냉전이 한창이던 1972년에 소련 출신 정치고문들을 추방하면서 자유 진영에 가담하고자 했다. 또한 종교계 등의 반대를 무릅쓰고 인피타흐라고 하는 경제 개방 정책을 시도했다.[750]

1973년, 이집트는 시리아와 함께 시나이반도골란고원을 기습하면서 욤키푸르 전쟁을 일으켰다. 사다트는 시나이반도를 포위하고서 외교 협상으로 이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다시 받아왔다. 그러나 이 기습은 미국과 소련 양측의 개입을 불러왔고, 이에 따라 UN이 제시한 휴전안에 따라 양측은 휴전했다. 비록 전쟁은 군사적 교착 상태로 끝났지만, 사다트는 이스라엘과의 평화에 대한 대가로 시나이를 되찾는 정치적 수완을 보였다.[750]

사다트는 1977년에 이스라엘을 방문하고, 이후 1979년에는 이스라엘이 시나이에서 완전히 손을 뗀다는 조건으로 이집트–이스라엘 평화 조약을 맺는다. 이러한 사다트의 행보는 아랍권에서 엄청난 논란을 불러일으켰고 이집트가 아랍 연맹에서 탈퇴하는 결과를 가져왔지만, 이집트인 대부분은 이러한 사다트의 결정을 지지했다.[751]

사다트 정권은 1981년 10월 6일에 욤키푸르 전쟁 8주년 전승 기념 행사에서 사다트가 암살되면서 끝이 난다. 이후 호스니 무바라크가 대통령직을 계승한다.

12. 3. 테러

198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이집트에서는 테러가 끊이지 않았다. 테러의 대상은 콥트인, 외국인 관광객, 정부 인사 등 다양했다.[752] 학자들은 1967년에 처형된 사이드 쿠틉이 이러한 테러에 사상적 기반을 제공했다고 평가한다.[753][754]

1990년대에는 이슬람주의 집단인 알자마아 알이슬라미야가 테러에 가담하여 주요 작가와 지식인들을 살해하고, 외국인 관광객에게도 피해를 입혔다. 이로 인해 이집트 경제의 큰 부분을 차지하던 관광산업이[755] 막대한 피해를 입어 정부에 큰 타격을 주었지만, 과격한 행동으로 인해 지지자들도 이탈하는 등 역효과도 있었다.[756]

1992년부터 1997년까지 테러 희생자는 1,200명이 넘었다.[40] 여기에는 대테러 경찰서장, 국회의장, 수십 명의 유럽 관광객과 이집트인, 100명 이상의 이집트 경찰이 포함되었다.[41] 상 이집트 지역에서는 외국인 여행이 매우 위험해졌다.[42] 1997년 11월 17일에는 룩소르 근처에서 관광객을 포함한 62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공격자들은 사람들을 하트셉수트 장제전에 가두었다. 이 기간 동안 알자마아 알이슬라미야는 이란과 수단 정부, 알 카에다의 지원을 받았다. 당시 이집트 정부는 미국으로부터 지원을 받았다.[43]

12. 4. 무바라크 정권 이후

2000년대 호스니 무바라크 대통령은 아들 가말 무바라크에게 대통령직을 물려주려 했다.[698] 무바라크는 런던의 투자 은행에서 일하던 가말을 2000년에 국민민주당 지도부 서기국 위원으로 임명했고, 이즈 철강의 경영자 아흐마드 이즈가 가말의 측근이 되어 당 운영을 총괄했다.[698] 이들은 시장 경제화를 추진했고, 2007년 헌법 개정으로 나세르 시대부터의 사회주의적 이념이 사라지고 헌법에서 "사회주의"라는 용어가 모두 삭제되었다.[700] 그러나 이집트 국민들은 사회주의적 이념을 널리 공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헌법 개정에 비판적이었다.[700]

2011년 9월 대통령 선거에서 가말에게 권력이 승계될 예정이었으나, 2011년 1월부터 시작된 정변으로 무산되었다.[700] 2010년 말, 아랍 국가들에서 대규모 민중 운동에 의한 정변이 연쇄적으로 발생했는데, 이를 '''아랍의 봄'''이라고 부른다. 2010년 말 튀니지에서 시작된 재스민 혁명으로 자인 알 아비디인 벤 알리 대통령이 실각했고, 이 혼란은 이집트에도 전파되었다.

중동조사회의 가나야 미사는 이집트의 "아랍의 봄"이 2000년대 후반의 항의 운동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설명한다.[701] 2008년 마할라 쿠브라에서 시작된 노동자들의 파업을 계기로 각지에서 노동 분쟁이 확산되었다.[701] 노동 운동에 연대하는 젊은이 그룹(청년 세력[702])이 국가의 부패와 정치적 자유 억압에 반대하며 총파업을 호소했고, 민주화를 요구하는 젊은 단체 "4월 6일 운동"이 결성되었다.[701] 2009년에는 세무국 직원이 독자적인 노동조합을 조직했고,[701] 경찰의 고문으로 사망한 청년 칼리드 사이드를 추모하며 "우리 모두 칼리드 사이드"라는 항의 그룹도 만들어졌다. 이러한 항의 운동을 통해 국가 통제에 대한 비판이 공개적으로 제기되었고,[703] 인터넷SNS (페이스북 등)를 통해 항의 운동이 조직화되고 확산되었다.[703]

2010년 말 튀니지의 정권 붕괴 소식과 청년의 분신 자살, 항의 활동이 전해지자, 2011년 이집트에서도 1월 25일 "경찰의 날"에 항의 운동이 시작되었다.[703] 무명의 젊은이가 SNS를 통해 항의 운동을 호소했고, 이는 빠르게 확산되었다. 처음에는 작은 규모의 집회로 예상되었지만, 카이로 각지에서 수백 명 규모의 데모가 진행되는 모습이 위성 방송과 SNS로 확산되면서 기존의 항의 그룹과 다른 사람들도 참여하여 전국적인 항의 운동으로 확대되었다.[704] 야당 세력과 무슬림 형제단이 지지층을 동원하여 총파업을 시작하면서 이집트의 정치·경제는 마비되었다.[704]

1월 25일 항의 활동이 시작되자 무바라크는 처음에는 경찰에게 진압을 명령했지만, 경찰력으로 대처할 수 없는 상황이 되자 군에 출동을 명령했다. 그러나 군은 진압 행동을 하지 않았고, 1월 31일 군 대변인은 군이 민중에게 무력을 사용하지 않겠다고 밝혔다.[705] 2월 1일 무바라크는 차기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지 않고 아들에게 대통령직을 물려주지 않겠다고 선언했다.[705] 2011년 2월 11일, 무바라크는 대통령직에서 사임했고, 이 과정에서 846명이 사망하고 6,400명 이상이 중경상을 입었다(이집트 혁명 (2011년)).[704] 군의 행동은 쿠데타로 간주되지만, 군이 왜, 그리고 언제 무바라크를 버렸는지는 명확하지 않다.[706]

무바라크 정권 붕괴 후, 군 최고 평의회(SCAF)가 이집트를 잠정 통치했지만, 젊은이 그룹은 조기 민주화를 요구하며 항의 운동을 계속했다.[707] 이후 무슬림 형제단이 정치 참여를 요구했고, 무함마드 무르시를 대통령으로 하는 정권이 탄생했지만, 이슬람주의 정책과 이슬람 과격파와의 관계로 인해 잦은 충돌이 발생했다.[708] 반 무르시파 젊은이 그룹은 무르시의 사임을 요구하는 "타마르드 운동"을 결성했고, 2013년 6월 30일 타마르드 운동의 항의 시위가 카이로 시내를 가득 채우자 군이 쿠데타를 일으켜 무르시는 사임했다(2013년 이집트 쿠데타).[708]

군의 영향력 아래 있는 잠정 정권은 무슬림 형제단을 탄압했고, 타마르드 운동은 이를 지지했다. 그러나 타마르드 운동 내부에서 분열이 시작되었고, "4월 6일 운동" 등 다른 젊은이 그룹과의 대립도 발생했다.[708] 결국 타마르드 운동은 와해되었고, 아들리 만수르 잠정 대통령을 거쳐 2014년 압델 파타 엘시시가 대통령이 되면서 "4월 6일 운동"도 탄압받아 비합법화되었다.[708] 정권 측을 지지한 젊은이 그룹은 대체로 다시 체제에 편입되어 독자적인 정치 세력을 형성하지 못했다.[708]

이집트에서 아랍의 봄의 파급과 혁명의 원인 및 결과에 대한 평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빈곤, 빈부 격차, 사회적 불공정, 서구 국가들의 동향, 인터넷 등 새로운 미디어의 보급, 인구 동태 등 다양한 요인이 거론되고 있다. 아랍의 봄은 튀니지에서는 민주화, 시리아에서는 내전 등 각 국가에 다른 영향을 주었지만, 이집트에서는 엘시시 대통령이 다시 권위주의적 체제를 구축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714] 혁명과 쿠데타에 참여한 많은 파벌이 명확한 정치 조직을 만들지 못했고, 혼란으로 인해 경제가 악화되고 생활이 어려워지면서 항의 운동에 대한 국민적 지지가 약해진 것이 이집트에서 아랍의 봄의 결과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708] 2019년 11월 현재, 이집트에서는 엘시시 정권이 지속되고 있다.

12. 4. 1. 시민 소요 (2011-14)

2003년, 무바라크 정권에 반대하고 민주적 개혁과 더 큰 시민 자유를 확립하기 위해 ''케파야''( "이집트 변화 운동")가 출범했다.

호스니 무바라크의 사임을 발표하는 오마르 술레이만의 발표 후 타흐리르 광장에서의 축하 행사


2011년 1월 25일, 무바라크 정부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가 시작되었다. 시위의 목표는 무바라크의 권력 제거였다. 이는 매우 많은 사람들의 지지를 받으며 지속적인 대규모 시위로 구성된 시민 저항의 집중적인 형태로 나타났다. 1월 29일까지, 통금 명령이 무시되고 군대가 통금령 시행에 대해 반 중립적 입장을 취하면서 무바라크 정부가 통제력을 상실하고 있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2011년 2월 11일, 무바라크는 사임하고 카이로를 떠났다. 부통령 오마르 술레이만은 무바라크가 사임했으며 이집트 군대가 단기적으로 국가를 통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44][45] 이 소식에 타흐리르 광장에서 환호하는 축하 행사가 벌어졌다.[46] 무바라크는 사임하거나 떠나지 않겠다고 맹세한 녹음된 연설 방송 전이나 직후, 전날 밤 샤름 엘 셰이크로 카이로를 떠났을 수도 있다.[47]

2011년 2월 13일, 이집트 고위 군사 지휘부는 이집트 헌법과 의회가 모두 해산되었다고 발표했다. 의회 선거는 9월에 실시될 예정이었다.[48]

헌법 국민투표가 2011년 3월 19일에 실시되었다.[49] 2011년 11월 28일, 이집트는 무바라크 정권이 몰락한 이후 첫 번째 의회 선거를 치렀다. 투표율은 높았고 폭력 사태는 보고되지 않았지만, 일부 정당의 구성원들은 투표소에서 팸플릿과 현수막을 배포하여 선거 운동 금지령을 위반했다.[50] 그러나 부정 행위에 대한 불만이 있었다.[51]

2000년대 무바라크의 또 다른 관심사는 아들 가말 무바라크로의 대통령직 승계였다.[698] 무바라크는 런던의 투자 은행에 근무하던 가말을 2000년에 돌연 국민민주당 지도부 서기국 위원으로 임명했다.[698] 유력한 실업가였던 아흐마드 이즈 (이즈 철강의 경영자)가 가말의 측근이 되어 당 운영을 총괄하게 되었다.[698] 그들에 의해 더욱 시장 경제화가 추진되었다. 이를 상징하는 것이 2007년 헌법 개정으로, 이미 형해화되었던 나세르 이래의 사회주의적 이념이 배제되었고, 헌법 중 "사회주의"라는 용어가 모두 삭제되었다.[700] 그러나 이러한 사회주의적 이념은 이집트 국민들 사이에서 널리 공유되고 있었기 때문에 헌법 개정에는 비판적인 여론이 강했다.[700]

2011년 9월 대통령 선거에서 가말의 대통령직 "세습"이 거의 준비된 상태였지만, 이는 2011년 1월부터 시작된 정변에 의해 뒤집어졌다.[700] 2010년 말, 아랍 국가에서는 대규모 민중 운동에 의한 정변이 연쇄적으로 발생했다. 이 일련의 사건은 '''아랍의 봄'''이라고 불린다. 시초가 된 것은 2010년 말 튀니지에서 시작된 재스민 혁명으로, 장기 집권을 유지하던 벤 알리 대통령이 실각했다. 튀니지에서 발생한 혼란은 곧 이집트에도 전파되었다.

중동조사회의 가나야 미사의 해설에 따르면, 이집트의 "아랍의 봄"은 2000년대 후반의 항의 운동의 연장선상에 있다.[701] 2008년에는 하이집트의 공업 도시 마할라 쿠브라에서 임금 인상 및 노동 조건 개선을 요구하며 파업을 시작한 것을 계기로, 각지에 노동 분쟁이 확산되었다.[701] 이 가운데 노동 운동에 연대를 표명하는 젊은이 그룹(청년 세력[702])이 국가의 부패와 정치적 자유 억압에 반대한다고 외치며 총파업을 호소했고, 이를 계기로 민주화를 요구하는 젊은 단체 "4월 6일 운동"이 결성되었다.[701] 또한 2009년에는 세무국 직원이 관제 노동조합으로부터 분리하여 독자적인 노동조합을 조직했고,[701] 경찰에 의한 칼리드 사이드라는 청년에 대한 고문 사건을 계기로, "우리 모두 칼리드 사이드"라는 항의 그룹도 형성되었다. 이러한 항의 운동을 통해 국가 통제에 대해 공공연히 이의를 제기하고 비판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갔다.[703] 이러한 상황을 조장한 것은 인터넷의 보급이며, 항의 운동의 조직화는 페이스북SNS를 통해 확산되었다.[703]

2010년 말 튀니지의 정권 붕괴와 이를 계기로 한 청년의 분신 자살과 항의 활동이 전해지자, 이듬해 2011년 이집트에서도 "경찰의 날"인 1월 25일에 항의 운동이 일어났다.[703] 이 호소는 무명의 젊은이가 SNS를 통해 급속도로 퍼뜨렸다. 처음에는 이집트에서의 항의 운동은 중소 규모의 집회에 지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카이로 각지에서 수백 명 규모의 데모가 진행되는 모습이 위성 방송과 SNS로 확산되면서 기존의 항의 그룹 및 기타 사람들도 참여하여 순식간에 전국적인 항의 운동으로 확대되었다.[704] 이윽고 야당 세력이 가세함과 동시에 무슬림 형제단이 지지층을 동원하여 총파업을 시작하면서 이집트 정치·경제는 마비 상태에 빠졌다.[704] 사태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 것은 군대였다. 1월 25일에 항의 활동이 시작되었을 때, 처음 무바라크는 경찰에게 진압을 명령했다. 하지만 경찰의 통제력으로는 대처 불가능한 사태임이 판명되자 군에 출동을 명령했다. 하지만 군은 진압 행동을 취하지 않고, 1월 31일에는 군 대변인이 군은 민중에게 무력 행사를 하지 않겠다고 말했다.[705] 2월 1일에는 무바라크가 차기 대통령 선거에 불출마하고 아들 가말로의 대통령직 승계를 포기하겠다고 선언했다.[705] 그리고 2011년 2월 11일, 무바라크가 대통령에서 사임할 것이 발표되었다. 그 전까지 846명의 사망자와 6,400명 이상의 중경상을 기록했다(이집트 혁명)[704] 이 기간 동안 군의 행동은 쿠데타에 해당되는 것으로 간주되지만, 군이 왜, 그리고 어떤 단계에서 무바라크를 버렸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706]

무바라크 체제의 타도를 위해 일제히 행동했던 각 파는 이후 분쟁, 약화, 영향력 저하 속에서 대부분 흩어져 사라졌다. 무바라크 정권 붕괴 후, 군 최고 평의회(SCAF)가 이집트를 잠정 통치하게 되었지만, 젊은이 그룹은 잠정 통치의 조기 종료와 민주화 이행을 요구하며 항의 운동을 지속했다.[707] 이후 무슬림 형제단이 군 최고 평의회에 정치 참여를 요구했고, 무슬림 형제단원인 무함마드 무르시를 대통령으로 하는 정권이 발족했지만, 무슬림 형제단의 이슬람주의적 정책과 이슬람 과격파와의 관계에 비판이 일면서 잦은 충돌이 발생했다.[708] 반 무르시파의 젊은이 그룹은 무르시의 사임을 요구하는 "타마르드 운동(반란 운동)"을 결성했다. 2013년 6월 30일, 타마르드 운동의 항의 시위가 카이로 시내를 가득 채웠고, 군이 이를 지지하여 쿠데타를 일으킨 것으로 인해 무르시는 사임하게 되었다(2013년 이집트 쿠데타)[708] 그러나 군의 영향력 아래 있는 잠정 정권이 무슬림 형제단의 철저한 탄압을 시작하고, 타마르드 운동이 이를 지지하는 방향으로 향하자, 타마르드 운동 내에서 내부 분열이 시작되었고, 이를 비판하는 "4월 6일 운동" 등 다른 젊은이 그룹과의 대립도 시작되었다.[708] 결국 타마르드 운동은 공중 분해되었고, 잠정 대통령 아들리 만수르를 거쳐 2014년에 압델 파타 엘시시가 대통령이 되자 "4월 6일 운동"도 탄압되어 비합법화되었다.[708] 한편, 정권 측을 지지하는 길을 선택한 젊은이 그룹은 대체로 다시금 체제에 편입되는 형태로, 독자적인 정치 세력을 형성하는 데 이르지 못했다.[708]

이집트에서 아랍의 봄의 파급과 혁명의 발발에 대해 그 원인 및 결과에 대한 평가는 정해져 있지 않다. 이집트 혁명의 원인으로 빈곤, 빈부 격차, 사회적 불공정, 서구 국가들의 동향, 인터넷 등 새로운 미디어의 보급, 인구 동태 등 다양한 요인이 연구자들과 저널리즘에 의해 거론되고 있다. 아랍의 봄은 튀니지에서는 민주화, 시리아에서는 내전 등 각 국가에 서로 다른 영향을 주고 있지만, 이집트에서는 일련의 혼란을 거쳐 대통령이 된 엘시시가 다시 나세르 이래의 권위주의적 체제를 구축했다고 평가받고 있다.[714] 혁명과 쿠데타에 참여한 많은 파벌이 명확한 정치 조직 형성에 실패한 데다, 이 혼란이 경제를 혼란시키고 생활을 압박했기 때문에 항의 운동에 대한 국민적 지지가 시들해진 것이 이집트에서의 아랍의 봄의 귀결을 가져왔다고도 생각할 수 있다.[708] 2019년 11월 현재, 이집트에서는 엘시시 정권이 지속되고 있다.

12. 5. 엘시시 대통령 재임

선거에서 엘시시는 96.1%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2014년 6월 8일, 압델 파타 엘시시는 공식적으로 이집트의 새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2018년 4월, 엘시시는 실질적인 반대 없이 선거에서 압도적인 지지로 재선되었다. 2019년 4월, 이집트 의회는 대통령 임기를 4년에서 6년으로 연장했으며, 압델 파타 엘시시 대통령은 2024년 차기 선거에서 세 번째 임기에 출마할 수 있게 되었다.

엘시시 정권 하에서 이집트는 권위주의로 회귀했다고 평가받는다. 새로운 헌법 개혁이 시행되어 군의 역할이 강화되고 정치적 반대가 제한되었다. 헌법 개정안은 2019년 4월 국민투표에서 통과되었다.

2020년 12월, 국회의원 선거 최종 결과는 엘시시 대통령을 강력하게 지지하는 무스타크발 완트(국가의 미래)당이 압도적인 다수의 의석을 차지했음을 확인했다. 이 당은 새로운 선거 규칙 덕분에 다수를 더욱 늘렸다.

13. 각주









참조

[1] 간행물 The Administration of Sasanian Egypt: New Masters and Byzantine Continuity https://grbs.library[...] Greek, Roman, and Byzantine Studies 2011
[2] 웹사이트 French Invasion of Egypt, 1798-1801 http://www.historyof[...] History of War 2019-07-05
[3] 서적 The Prehistory of Egypt: From the First Egyptians to the First Kings Blackwell Publishers
[4] 웹사이트 The Nile Valley 6000–4000 BC Neolithic http://www.worldtime[...] The British Museum 2008-08-21
[5] 서적 The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Ancient Egypt Oxford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Rulers of Ancient Egypt's Enigmatic Hyksos Dynasty Were Immigrants, Not Invaders http://www.sci-news.[...] 2020-07-16
[7] 학술지 Who were the Hyksos? Challenging traditional narratives using strontium isotope (87Sr/86Sr) analysis of human remains from ancient Egypt
[8] 웹사이트 The Kushite Conquest of Egypt http://www.ancientsu[...] Ancientsudan.org 2010-08-25
[9] 웹사이트 EGYPT i. Persians in Egypt in the Achaemenid period http://www.iranicaon[...] Encyclopaedia Iranica 2019-07-05
[10] 웹사이트 Thirty First Dynasty of Egypt http://www.crystalin[...] 2019-01-09
[11] 웹사이트 Late Period of Ancient Egypt http://www.crystalin[...] 2019-01-09
[12] 학술지 Egyptian mummy DNA, at last https://www.science.[...]
[13] 서적 Egypt after the Pharaohs 332 BC – AD 642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4] 서적 Portraits of the Ptolemies: Greek kings as Egyptian pharaohs University of Texas Press
[15]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Roman Egyp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6] 서적 The Story of Christian Theology: Twenty Centuries of Tradition & Reform https://books.google[...] InterVarsity Press
[17] 웹사이트 Egypt http://berkleycenter[...] Berkley Center for Religion, Peace, and World Affairs 2011-12-14
[18] 서적 Christianity: the One, the Many: What Christianity Might Have Been https://books.google[...] Xlibris Corporation
[19] 서적 Coptic Egypt: History and Guide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1997
[20] 웹사이트 EGYPT iv. Relations in the Sasanian period http://www.iranicaon[...] Encyclopaedia Iranica 2019-07-05
[21] 서적 Egyptology: The Missing Millennium UCL Press
[22] 서적 Before European Hegemony: The World System A.D. 1250–1350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3] 웹사이트 Egypt – Major Cities http://countrystudie[...]
[24] 서적 The Ottoman Empire, 1700–1922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뉴스 Icelandic Volcano Caused Historic Famine In Egypt, Study Shows https://www.scienced[...] ScienceDaily 2006-11-22
[26] 간행물 Modernisation, Reaction and Muhammad Ali's 'Empire' https://www.jstor.or[...] Middle Eastern Studies
[27] 서적 Nasser of the Arabs
[28] 서적 Nasser of the Arabs
[29] 서적 Egypt: Politics and Society 1945–1981 George Allen & Unwin
[30]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Egypt Scarecrow
[31] 간행물 From Liberalism to Imperialism: The Case of Egypt 1875-1887. https://www.jstor.or[...] Historical Journal
[32] 서적 Egypt, A Short History
[33] 서적 Egypt, A Short History
[34] 웹사이트 Egypt https://www.cia.gov/[...] 2011-02-02
[35] 서적 Passion for Islam: Shaping the Modern Middle East: the Egyptian Experience Scribner
[36] 서적 Passion for Islam: Shaping the Modern Middle East: the Egyptian Experience Scribner 2002
[37] 서적 Muslim Extremism in Egyp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6
[38] 웹사이트 ... concerns over tourism's future http://weekly.ahram.[...] Ahram Online 2005
[39] 서적 Jihad 2002
[40] 서적 The Looming Tower 2006
[41] 웹사이트 Timeline of modern Egypt http://gemsofislamis[...] Gemsofislamism.tripod.com 2011-02-12
[42] 서적 From the Holy Mountain 1996
[43] 웹사이트 The al-Gama'a al-Islamiyya insurgency http://www.ucdp.uu.s[...] Uppsala University 2013-05-03
[44] 뉴스 Mubarak Steps Down, Ceding Power to Military https://www.nytimes.[...] 2010-02-11
[45] 뉴스 Egypt crisis: President Hosni Mubarak resigns as leader https://www.bbc.co.u[...] BBC 2010-02-11
[46] 뉴스 Mubarak Resigns As Egypt's President, Armed Forces To Take Control http://www.huffingto[...] Huffington Post 2011-02-11
[47] 뉴스 Mubarak Flees Cairo for Sharm el-Sheikh https://www.cbsnews.[...] 2011-02-11
[48] 뉴스 Egyptian Parliament dissolved, constitution suspended https://www.bbc.co.u[...] BBC 2011-02-13
[49] 웹사이트 The Egyptian constitutional referendum of March 2011 a new beginning https://www.aph.gov.[...]
[50] 뉴스 Egypt's Historic Day Proceeds Peacefully, Turnout High For Elections https://www.npr.org/[...] NPR 2011-11-28
[51] 웹사이트 Don't Ignore Electoral Fraud in Egypt http://www.danielpip[...] 2012-01-24
[52] 뉴스 Muslim Brotherhood's Mohammed Morsi wins Egypt's presidential race https://www.theguard[...] 2012-06-24
[53] 뉴스 Mohamed Morsi sworn in as Egypt's president https://www.aljazeer[...]
[54] 뉴스 Egypt's president calls back dissolved parliament http://www.cnn.com/2[...] CNN 2012-07-09
[55] 뉴스 Court overrules Egypt's president on parliament http://www.cnn.com/2[...] CNN 2012-07-10
[56] 뉴스 Egypt unveils new cabinet, Tantawi keeps defence post 2012-08-03
[57] 뉴스 Egypt's President Mursi assumes sweeping powers https://www.bbc.co.u[...] 2012-11-22
[58] 뉴스 Rallies for, against Egypt president's new powers http://hosted.ap.org[...] 2012-11-23
[59] 뉴스 Egypt's President Morsi takes sweeping new powers https://www.washingt[...] 2012-11-22
[60] 뉴스 Violence breaks out across Egypt as protesters decry Mohammed Morsi's constitutional 'coup' https://www.telegrap[...] 2012-11-23
[61] 뉴스 Egypt Sees Largest Clash Since Revolution https://www.wsj.com/[...] 2012-12-06
[62] 뉴스 Morsi refuses to cancel Egypt's vote on constitution http://www.latimes.c[...] 2012-12-06
[63] 뉴스 Egyptian voters back new constitution in referendum https://www.bbc.com/[...] 2012-12-25
[64] 뉴스 Mohamed Morsi signs Egypt's new constitution into law https://www.theguard[...] 2012-12-26
[65] 뉴스 Egypt army commander suspends constitution https://www.reuters.[...] 2013-07-03
[66] 뉴스 Egypt's Morsi overthrown https://www.aljazeer[...]
[67] 뉴스 Egypt's interim president sworn in - Thursday 4 July https://www.theguard[...] 2013-07-04
[68] 뉴스 Egypt's new constitution gets 98% 'yes' vote https://www.theguard[...] 2014-01-18
[69] 웹사이트 Soud s islamisty v Egyptě: Na popraviště půjde více než 500 Mursího stoupenců http://zpravy.ihned.[...] IHNED.cz 2014-03-24
[70] 뉴스 Egypt sentences 683 to death in latest mass trial of dissidents https://www.washingt[...] 2015-04-28
[71] 뉴스 Egypt and Saudi Arabia discuss maneuvers as Yemen battles rage https://www.reuters.[...] Reuters 2015-04-14
[72] 웹사이트 El-Sisi wins Egypt's presidential race with 96.91% http://english.ahram[...] Ahram Online 2014-06-03
[73] 뉴스 Egypt's Sisi sworn in as president https://www.theguard[...] 2014-06-08
[74] 웹사이트 Egypt's War against the Gaza Tunnels https://www.israelde[...] 2018-02-04
[75] 뉴스 Egypt's Sisi wins 97 percent in election with no real opposition https://www.reuters.[...] 2018-04-02
[76] 뉴스 Egypt parliament extends presidential term to six years https://www.aa.com.t[...]
[77] 뉴스 Egypt's Return to Authoritarianism https://moderndiplom[...] 2021-03-31
[78] 뉴스 Sisi wins snap Egyptian referendum amid vote-buying claims https://www.theguard[...] 2019-04-23
[79] 뉴스 Pro-Sisi party wins majority in Egypt's parliamentary polls https://www.reuters.[...] 2020-12-14
[80] 간행물 Situation Report EEPA HORN No. 31 - 20 December https://www.eepa.be/[...] Europe External Programme with Africa
[81] 문서 加藤 2008
[82] 문서 加藤 2008
[83] 문서 加藤 2008
[84] 문서 ナイル讃歌
[85] 문서 ナイル讃歌
[86] 문서 屋形 1998
[87] 문서 屋形 1998
[88] 문서 屋形 1998
[89] 문서 加藤 2008
[90] 문서 屋形 1998
[91] 문서 加藤 2008
[92] 문서 古代エジプト百科事典
[93] 문서 近藤 1997
[94] 문서 加藤 2008
[95] 문서 加藤 2008
[96] 문서 屋形 1998
[97] 문서 加藤 2008
[98] 문서 加藤 2008
[99] 문서 加藤 2008
[100] 문서 古谷野 1998
[101] 문서 ヘロドトス
[102] 문서 ヘロドトス
[103] 문서 高宮 2003
[104] 문서 高宮 2003
[105] 문서 高宮 2003
[106] 서적 高宮 2003, p. 25
[107] 서적 近藤 1997, p. 34
[108] 서적 高宮 2003, p. 26
[109] 서적 近藤 1997, pp. 37-39
[110] 서적 高宮 2003, p.29
[111] 서적 高宮 2003, p. 30
[112] 서적 高宮 2003, p. 31
[113] 서적 高宮 2003, p. 32
[114] 서적 高宮 2003, pp. 32-38
[115] 서적 高宮 2003, p.33
[116] 서적 高宮 2003, p. 34
[117] 서적 高宮 2003, p.39
[118] 서적 近藤 1997, p. 43
[119] 서적 高宮 2003, p. 41
[120] 서적 大城 2009, p. 17
[121] 서적 高宮 2003, p. 51
[122] 서적 高宮 2003, p. 52
[123] 서적 高宮 2003, p. 57
[124] 서적 近藤 1997, p. 41
[125] 서적 高宮 2003, p. 62
[126] 서적 高宮 2003, p. 40
[127] 서적 近藤 1997, p. 43
[128] 서적 高宮 2003, p. 43
[129] 서적 高宮 2003, p. 48
[130] 서적 高宮 2003, p. 55
[131] 서적 高宮 2003, p. 58
[132] 서적 高宮 2003, p. 62
[133] 서적 高宮 2003, pp. 62-63
[134] 서적 高宮 2003, p. 64
[135] 서적 大城 2009, p. 23
[136] 서적 高宮 2003, pp. 64-65
[137] 서적 クレイトン 1999
[138] 서적 スペンサー 2009
[139] 서적 山花 2010
[140] 서적 ドドソン, ヒルトン 2012
[141] 인용 クレイトン 1999
[142] 인용 ドドソン, ヒルトン 2012
[143] 인용 山花 2010
[144] 인용 高宮 2003
[145] 인용 大城 2009
[146] 인용 高宮 2003
[147] 인용 大城 2009
[148] 인용 高宮 2003
[149] 인용 高宮 2003
[150] 인용 近藤 2003
[151] 인용 高宮 2006
[152] 인용 馬場 2017
[153] 인용 大城 2009
[154] 인용 馬場 2017
[155] 인용 クレイトン 1999
[156] 인용 クレイトン 1999
[157] 인용 大城 2009
[158] 인용 大城 2009
[159] 인용 大城 2009
[160] 인용 大城 2009
[161] 인용 フィネガン 1983
[162] 인용 高宮 2003
[163] 인용 大城 2009
[164] 인용 近藤 1997
[165] 인용 近藤 1997
[166] 인용 フィネガン 1983
[167] 인용 古代エジプト百科事典
[168] 인용 馬場 2017
[169] 인용 高宮 2006
[170] 인용 馬場 2017
[171] 인용 古谷野 2003
[172] 인용 馬場 2017
[173] 인용 高宮 2006
[174] 인용 フィネガン 1983
[175] 인용 古代エジプト百科事典
[176] 서적 ドドソン, ヒルトン 2012
[177] 서적 高宮 2006
[178] 서적 畑守 1998
[179] 서적 屋形 1998
[180] 서적 屋形 1998
[181] 서적 高宮 2006
[182] 서적 屋形 1998
[183] 서적 畑守 1998
[184] 서적 フィネガン 1983
[185] 서적 屋形 1998
[186] 서적 畑守 1998
[187] 서적 屋形 1998
[188] 서적 馬場 2017
[189] 서적 フィネガン 1983
[190] 서적 高宮 2006
[191] 서적 羽生 2016
[192] 서적 大沼 2013
[193] 서적 屋形 1998
[194] 서적 屋形 1998
[195] 서적 屋形 1998
[196] 서적 馬場 2017
[197] 서적 スペンサー 2009
[198] 서적 馬場 2017
[199] 서적 フィネガン 1983
[200] 백과사전 古代エジプト百科事典
[201] 서적 屋形 1998
[202] 서적 フィネガン 1983
[203] 서적 屋形 1998
[204] 서적 近藤 1997
[205] 서적 フィネガン 1983
[206] 서적 屋形 1998
[207] 서적 近藤 1997
[208] 서적 馬場 2017
[209] 서적 近藤 1997
[210] 서적 屋形 1998
[211] 서적 屋形 1998
[212] 서적 近藤 1997
[213] 문서
[214] 서적 近藤 1997
[215] 서적 屋形 1998
[216] 서적 近藤 1997
[217] 서적 馬場 2017
[218] 서적 馬場 2017
[219] 서적 セーテルベルク 1973
[220] 서적 ドドソン, ヒルトン 2012
[221] 서적 馬場 2017
[222] 서적 馬場 2017
[223] 서적 屋形 1998
[224] 서적 屋形 1998
[225] 서적 屋形 1998
[226] 서적 屋形 1998
[227] 서적 屋形 1998
[228] 서적 クレイトン 1999
[229] 서적 クレイトン 1999
[230] 서적 屋形 1998
[231] 서적 クレイトン 1999
[232] 서적 クレイトン 1999
[233] 서적 屋形 1998
[234] 서적 山花 2010
[235] 서적 屋形 1998
[236] 서적 山花 2010
[237] 서적 前田ら 2000
[238] 서적 クレイトン 1999
[239] 서적 フィネガン 1983
[240] 서적 山花 2010
[241] 서적 クレイトン 1999
[242] 서적 クレイトン 1999
[243] 서적 屋形 1998
[244] 서적 近藤 1997
[245] 서적 周藤 2005
[246] 문헌 クライン 2018, pp. 161-212
[247] 문헌 屋形 1998, p. 513
[248] 문헌 屋形 1998, pp. 514-515
[249] 문헌 小川 1997, p. 48
[250] 문헌 津本・小野塚 2017, pp. 61-63
[251] 문헌 クレイトン 1999, p. 207
[252] 문헌 屋形 1998, p. 522
[253] 문헌 屋形 1998, p. 526
[254] 문헌 山花 2010, p. 113
[255] 문헌 スペンサー 2009, p. 55
[256] 문헌 クレイトン 1999, p. 225
[257] 문헌 馬場 2017, p. 170
[258] 문헌 山花 2010, p. 122
[259] 문헌 クレイトン 1999, p. 236
[260] 문헌 山花 2010, p. 124
[261] 문헌 山花 2010, p. 125
[262] 문헌 山花 2010, p. 126
[263] 문헌 フィネガン 1983, p. 374
[264] 문헌 山花 2010, p. 127
[265] 문헌 山花 2010, p. 128
[266] 문헌 屋形 1998, p. 349
[267] 문헌 屋形 1998, p. 359
[268] 문헌 屋形 1998, p. 365
[269] 문헌 山花 2010, p. 135
[270] 문헌 クレイトン 1999, p. 251
[271] 문헌 山花 2010, p. 138
[272] 문헌 山花 2010, p. 140
[273] 문헌 山花 2010, p. 142
[274] 문헌 クレイトン 1999, p. 254
[275] 문헌 小川 1997, p. 126
[276] 문헌 フィネガン 1983, p. 386
[277] 문헌 山花 2010, pp. 142-143
[278] 문헌 クレイトン 1999, pp. 258-262
[279] 문헌 松本 1998, pp.18 , 42 , 98 , 138 , 278
[280] 문헌 森谷 2000, p. 7
[281] 서적 桜井 1997
[282] 서적 森谷 2000
[283] 서적 山花 2010
[284] 서적 桜井 1997
[285] 서적 ウォールバンク 1988
[286] 서적 シャムー 2011
[287] 서적 ウォールバンク 1988
[288] 서적 山花 2010
[289] 서적 周藤 2014
[290] 서적 山花 2010
[291] 서적 古代エジプト百科事典
[292] 서적 山花 2010
[293] 서적 シャムー 2011
[294] 서적 ワインバーグ 2016
[295] 서적 ワインバーグ 2016
[296] 서적 ワインバーグ 2016
[297] 서적 山花 2010
[298] 서적 波部 2014
[299] 서적 山花 2010
[300] 서적 シャムー 2011
[301] 서적 クレイトン 1999
[302] 서적 シャムー 2011
[303] 서적 シャムー 2011
[304] 서적 山花 2010
[305] 서적 シャムー 2011
[306] 서적 山花 2010
[307] 서적 クレイトン 1999
[308] 서적 シャムー 2011
[309] 서적 山花 2010
[310] 서적 クレイトン 1999
[311] 서적 タキトゥス
[312] 서적 高橋 2015
[313] 서적 高橋 2010
[314] 서적 新保 2016
[315] 서적 新保 2016
[316] 서적 新保 2016
[317] 서적 新保 2016
[318] 서적 拓殖 1982
[319] 서적 拓殖 1982
[320] 서적 新保 2016
[321] 서적 拓殖 1982
[322] 서적 ロイ 2019
[323] 서적 山崎 1997
[324] 서적 中村 1998
[325] 서적 中村 1998
[326] 서적 拓殖 1982
[327] 서적 ガーンジィ 1998
[328] 서적 ガーンジィ 1998
[329] 서적 ガーンジィ 1998
[330] 서적 ガーンジィ 1998
[331] 서적 松本 2009
[332] 서적 荒井 1982
[333] 서적 戸田 2017
[334] 서적 荒井 1982
[335] 서적 戸田 2017
[336] 서적 三代川 2017
[337] 서적 松本 2009
[338] 서적 戸田 2017
[339] 서적 戸田 2017
[340] 서적 三代川 2017
[341] 서적 三代川 2017
[342] 서적 馬場 2017
[343] 서적 ショー 2014
[344] 서적 屋形 1998
[345] 서적 ショー 2014
[346] 문서 ファラオの名を囲む枠
[347] 서적 ショー 2014
[348] 서적 ウィルキンソン 2002
[349] 서적 井上 2015
[350] 서적 南雲 2016
[351] 서적 尚樹 1999
[352] 서적 戸田 2017
[353] 서적 尚樹 1999
[354] 서적 ウィルケン 2016
[355] 서적 金子 1983
[356] 서적 ウィルケン 2016
[357] 서적 尚樹 1999
[358] 서적 ウィルケン 2016
[359] 서적 ウィルケン 2016
[360] 서적 尚樹 1999
[361] 서적 ウィルケン 2016
[362] 서적 ウィルケン 2016
[363] 서적 ウィルケン 2016
[364] 서적 戸田 2017
[365] 서적 杉村 1981
[366] 서적 杉村 1981
[367] 서적 尚樹 1999
[368] 서적 Pourshariati 2008
[369] 서적 杉村 1981
[370] 서적 尚樹 1999
[371] 서적 杉村 1981
[372] 서적 尚樹 1999
[373] 서적 尚樹 1999
[374] 서적 尚樹 1999
[375] 서적 Pourshariati 2008
[376] 서적 Pourshariati 2008
[377] 서적 尚樹 1999
[378] 서적 Pourshariati 2008
[379] 서적 尚樹 1999
[380] 서적 イブン・アブド・アル=ハカム『エジプト征服』
[381] 서적 佐藤 1997
[382] 서적 佐藤 1997
[383] 서적 佐藤 1997
[384] 서적 佐藤 1997
[385] 서적 佐藤 1997
[386] 서적 佐藤 1997
[387] 서적 杉村 1981
[388] 서적 ヒッティ 1982
[389] 서적 佐藤 1997
[390] 서적 ヒッティ 1982
[391] 서적 ヒッティ 1982
[392] 서적 ヒッティ 1982
[393] 서적 辻 2016
[394] 서적 貝原 2017
[395] 서적 ヒッティ 1982
[396] 서적 ヒッティ 1982
[397] 서적 杉村 1981
[398] 서적 Encyclopedia Britanica
[399] 서적 ヒッティ 1982
[400] 서적 ヒッティ 1982
[401] 서적 ヒッティ 1982
[402] 서적 佐藤 1997
[403] 서적 ヒッティ 1982
[404] 서적 佐藤 1997
[405] 서적 佐藤 1997
[406] 서적 佐藤 1997
[407] 서적 佐藤 1997
[408] 서적 横内 2005
[409] 서적 佐藤 1997
[410] 서적 Encyclopedia Britanica
[411] 서적 太田 2003a
[412] 서적 横内 2005
[413] 서적 ヒッティ 1982
[414] 서적 横内 2005
[415] 서적 横内 2005
[416] 서적 太田 2003a
[417] 서적 森本 1975
[418] 서적 辻 2016
[419] 서적 太田 2003b
[420] 서적 太田 2003b
[421] 서적 太田 2003b
[422] 서적 太田 2003b
[423] 서적 太田 2003b
[424] 서적 イブン・ハルドゥーン『歴史序説』第3章§17
[425] 문서 ここでいう「白人」という用語は現代的な意味でのいわゆるヨーロッパ人の人種集団を指す白人という用語とは異なる。この「白人奴隷兵士」の出自は中央アジアのテュルク人(トルコ人)、モンゴル人や東欧のスラヴ人、ギリシア人らが含まれた。
[426] 서적 清水 2005
[427] 문서 マムルーク、グラーム、アトラーク、それらと関わるマワーリーなど、イスラーム世界の奴隷軍人に関わる用語の厳密な定義、分類、用語法の問題は極めて複雑であるため、本項では白人奴隷軍人を便宜上全てマムルークと呼称する。この問題に関する詳細な整理・解説は関連する記事及び、佐藤 1991, 清水 2005を参照されたい。
[428] 서적 清水 2005
[429] 서적 佐藤 1991
[430] 서적 佐藤 1991
[431] 서적 ヒッティ 1983
[432] 간행물 Encyclopedia Britanica
[433] 서적 ヒッティ 1983
[434] 서적 ヒッティ 1983
[435] 서적 清水 2005
[436] 서적 ヒッティ 1983
[437] 서적 ヒッティ 1983
[438] 서적 私市 2002
[439] 서적 佐藤 1997
[440] 서적 私市 2002
[441] 서적 私市 2002
[442] 서적 三浦 2002
[443] 간행물 Encyclopedia Britanica
[444] 서적 太田 2003a
[445] 서적 三浦 2002
[446] 서적 佐藤 1997
[447] 서적 佐藤 1997
[448] 서적 ヒッティ 1983
[449] 서적 三浦 2002
[450] 서적 菟原
[451] 서적 ヒッティ 1983
[452] 서적 ヒッティ 1983
[453] 서적 三浦 2002
[454] 서적 三浦 2002
[455] 서적 ヒッティ 1983
[456] 서적 ヒッティ 1983, p. 551
[457] 웹사이트 コトバンク, 「アズハル大学」の項目より
[458] 서적 ヒッティ 1983, pp. 552-554
[459] 서적 三浦 2002, p. 275
[460] 서적 ヒッティ 1983, p. 540
[461] 서적 菟原 1982, p. 327
[462] 서적 ヒッティ 1983, p. 254
[463] 서적 ヒッティ 1983, p. 255
[464] 서적 ヒッティ 1983, p. 257
[465] 서적 ヒッティ 1983, p. 541
[466] 서적 三浦 2002, p. 297
[467] 서적 三浦 2002, p. 290
[468] 서적 三浦 2002, p. 291
[469] 서적 三浦 2002, p. 294
[470] 서적 三浦 2002, pp. 291-293
[471] 서적 ヒッティ 1983, p. 263
[472] 서적 三浦 2002, p. 297
[473] 서적 松田 2015, p. 8
[474] 서적 三浦 2002, p. 298
[475] 서적 ヒッティ 1983, p. 543
[476] 서적 松田 2015, p. 15
[477] 서적 松田 2015, p. 16
[478] 서적 松田 2015, p. 13
[479] 서적 三浦 2002, p. 299
[480] 서적 ヒッティ 1983, p. 583
[481] 서적 松田 2015, p. 9
[482] 서적 松田 2015, p. 10
[483] 서적 佐藤 1986, pp. 96-103
[484] 서적 佐藤 1986, p. 89
[485] 서적 松田 2015, pp. 20-31
[486] 서적 松田 2015, pp. 31-33
[487] 서적 松田 2015, p. 47
[488] 서적 松田 2015, p. 50
[489] 서적 ヒッティ 1983, p. 586
[490] 서적 ヒッティ 1983, p. 587
[491] 서적 ヒッティ 1983, p. 590
[492] 서적 三浦 2002, p. 300
[493] 서적 三浦 2002, p. 301
[494] 서적 ヒッティ 1983, p. 594
[495] 서적 ヒッティ 1983, p. 596
[496] 서적 佐藤 1991, p. 106
[497] 서적 佐藤 1991, p. 104
[498] 서적 ヒッティ 1983, p. 637
[499] 서적 佐藤 1991, p. 107
[500] 서적 佐藤 1991, p. 108
[501] 서적 ヒッティ 1983, p. 597
[502] 서적 佐藤 1991, p. 109
[503] 서적 佐藤 1991, p. 110
[504] 서적 清水 1999, p. 223
[505] 서적 佐藤 1991, pp. 113-121
[506] 서적 清水 1999, p. 224
[507] 서적 三浦 2002, p. 315
[508] 서적 佐藤 1991, p. 122
[509] 서적 佐藤 1991, p. 139
[510] 서적 三浦 2002, p. 312
[511] 서적 佐藤 1991, p. 140
[512] 서적 三浦 2002, p. 310
[513] 서적 佐藤 1986, pp. 223-248
[514] 서적 三浦 2002, p. 321
[515] 서적 ヒッティ 1983, p. 642
[516] 서적 五十嵐 2011, pp. 13-16
[517] 서적 三浦 2002, p. 323
[518] 서적 五十嵐 2011, p. 22
[519] 서적 五十嵐 2011, pp. 26-27
[520] 서적 五十嵐 2011, pp. 28-35
[521] 서적 五十嵐 2011, p. 96
[522] 서적 五十嵐 2011, pp. 101-104
[523] 서적 三浦 2002, p. 324
[524] 서적 ヒッティ 1983, p. 981
[525] 서적 五十嵐 2011, pp. 104-109
[526] 서적 五十嵐 2011, p. 125
[527] 서적 三浦 1989, pp. 13-15
[528] 서적 五十嵐 2011, pp. 125-130
[529] 서적 三浦 2002, p. 327
[530] 서적 三浦 2002, p. 326
[531] 서적 三浦 2002, p. 327
[532] 서적 Encyclopedia Britanica, §The Ottomans (1517–1798)
[533] 서적 Hathaway 2003, p. 397
[534] 서적 Encyclopedia Britanica, §The Ottomans (1517–1798)
[535] 서적 長谷部、私市 2002, p. 330
[536] 서적 長谷部 2017, p. 11
[537] 서적 熊倉 2019, p. 239
[538] 서적 熊倉 2019, p. 190
[539] 서적 Holt 1969, p. 51
[540] 서적 Holt 1969, p. 74
[541] 서적 Holt 1969, p. 75
[542] 서적 長谷部 2017, p. 10
[543] 서적 長谷部、私市 2002, p. 337
[544] 서적 Holt 1969, pp. 81-82
[545] 서적 長谷部、私市 2002, p. 340
[546] 서적 長谷部、私市 2002, p. 341
[547] 서적 長谷部、私市 2002, p. 347
[548] 서적 長谷部、私市 2002, p. 348
[549] 서적 加藤 2013, p. 22
[550] 서적 加藤 2013, p. 23
[551] 서적 長谷部、私市 2002, p. 348
[552] 서적 長谷部、私市 2002, p. 349
[553] 서적 長谷部、私市 2002, p. 350
[554] 서적 ヒッティ 1983, p. 728
[555] 서적 松浦 1996, p. 399
[556] 서적 山口 2006, pp. 24-25
[557] 서적 山口 2006, p. 29
[558] 서적 山口 2006, p. 34
[559] 서적 山口 2006, p. 38
[560] 서적 山口 2006, pp. 39-41
[561] 서적 加藤 2002
[562] 서적 山口 2006
[563] 서적 山内 1984
[564] 서적 山口 2006
[565] 서적 村田 2005
[566] 서적 山口 2006
[567] 서적 山口 2006
[568] 서적 山口 2006
[569] 서적 山内 1984
[570] 서적 山口 2006
[571] 서적 山口 2006
[572] 서적 山内 1984
[573] 서적 山口 2006
[574] 서적 山口 2006
[575] 서적 山口 2006
[576] 서적 山内 1984
[577] 서적 山口 2006
[578] 서적 山内 1984
[579] 서적 山口 2006
[580] 서적 山内 1984
[581] 서적 山内 1984
[582] 서적 山口 2006
[583] 서적 山口 2006
[584] 서적 山内 1984
[585] 서적 山内 1984
[586] 서적 山口 2006
[587] 서적 山口 2006
[588] 서적 山口 2006
[589] 서적 山口 2006
[590] 서적 山口 2006
[591] 서적 山口 2006
[592] 서적 山口 2006
[593] 서적 山口 2006
[594] 서적 長谷部、私市 2002
[595] 서적 山口 2006
[596] 서적 山口 2006, p. 186
[597] 서적 山口 2006, p. 215
[598] 서적 長谷部、私市 2002, p. 409
[599] 서적 山口 2006, p. 215
[600] 서적 長谷部、私市 2002, p. 409
[601] 서적 山口 2006, pp. 220_222
[602] 서적 山口 2006, p. 224
[603] 서적 山口 2006, p. 229
[604] 서적 山口 2006, p. 242
[605] 서적 山口 2006, p. 244
[606] 서적 加藤 2002, pp. 410-411
[607] 서적 山口 2006, p. 246
[608] 서적 山口 2006, p. 250
[609] 서적 山口 2006, p. 251
[610] 서적 山口 2006, p. 253
[611] 서적 山口 2006, p. 255
[612] 서적 山口 2006, p. 256
[613] 서적 山口 2006, p. 260
[614] 서적 山口 2006, p. 261
[615] 서적 山口 2006, p. 263
[616] 서적 山口 2006, p. 265
[617] 서적 長沢 2002, p. 462
[618] 서적 山口 2006, p. 269
[619] 서적 山口 2006, p. 270
[620] 서적 山口 2006, p. 272
[621] 서적 山口 2006, p. 271
[622] 서적 山口 2006, p. 281
[623] 서적 山口 2006, p. 278
[624] 서적 山口 2006, p. 279
[625] 서적 山口 2006, p. 280
[626] 서적 山口 2006, p. 291
[627] 서적 長沢 2002, p. 476
[628] 서적 長沢 2002, p. 477
[629] 서적 山口 2006, p. 296
[630] 서적 山口 2006, p. 297
[631] 서적 山口 2006, p. 299
[632] 서적 山口 2006, p. 304
[633] 서적 山口 2006, p. 305
[634] 서적 長沢 2002, p. 496
[635] 서적 山口 2006, p. 306
[636] 서적 山口 2006, p. 307
[637] 서적 山口 2006, p. 310
[638] 서적 山口 2006, p. 311
[639] 서적 山口 2006, pp. 312-313
[640] 서적 池田 2016, p. 31
[641] 서적 山口 2006, p. 316
[642] 서적 池田 2016, p. 30
[643] 서적 山口 2006, p. 315
[644] 서적 池田 2016, p. 34
[645] 서적 池田 2016, pp. 37-38
[646] 서적 山口 2006, p. 317
[647] 서적 池田 2016, p. 41
[648] 서적 山口 2006, p. 319
[649] 서적 池田 2016, p. 42
[650] 서적 池田 2016, p. 43
[651] 서적 池田 2016, p. 44
[652] 서적 池田 2016, p. 45
[653] 서적 山口 2006, p. 320
[654] 서적 山口 2006, p. 321
[655] 서적 山口 2006, p. 322
[656] 서적 池田 2016, p. 48
[657] 서적 池田 2016, p. 49
[658] 서적 山口 2006, p. 323
[659] 서적 池田 2016, p. 50
[660] 서적 山口 2006, p. 324
[661] 서적 山口 2006, p. 325
[662] 서적 池田 2016, p. 67
[663] 서적 鈴木 2012, p. 22
[664] 서적 鈴木 2012, p. 23
[665] 서적 オーウェン 2015, p. 112
[666] 인용
[667] 인용
[668] 인용
[669] 인용
[670] 인용
[671] 인용
[672] 인용
[673] 인용
[674] 인용
[675] 인용
[676] 인용
[677] 인용
[678] 인용
[679] 인용
[680] 인용
[681] 인용
[682] 인용
[683] 인용
[684] 인용
[685] 인용
[686] 인용
[687] 인용
[688] 인용
[689] 인용
[690] 인용
[691] 인용
[692] 인용
[693] 인용
[694] 인용
[695] 인용
[696] 인용
[697] 인용
[698] 인용
[699] 인용
[700] 인용
[701] 문서 金谷 2018
[702] 문서 この種の若者グループをどのように呼称するかは定まった用語がない。「青年勢力」「若者グループ」「若年層」などの用語で説明される。
[703] 문서 金谷 2018
[704] 문서 金谷 2018
[705] 문서 鈴木 2012
[706] 문서 鈴木 2012
[707] 문서 金谷 2018
[708] 문서 金谷 2018
[709] 문서 加藤、岩崎 2013
[710] 문서 山口 2006
[711] 문서 加藤、岩崎 2013
[712] 문서 加藤、岩崎 2013
[713] 문서 加藤、岩崎 2013
[714] 문서 金谷 2018
[715] 간행물 이집트의 역사 https://ko.wikisourc[...]
[716] 문서 The Prehistory of Egypt: From the First Egyptians to the First Kings Blackwell Publishers
[717] 웹인용 The Nile Valley 6000–4000 BC Neolithic https://web.archive.[...] The British Museum 2008-08-21
[718] 문서 The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Ancient Egypt Oxford University Press
[719] 웹인용 The Fall of the Egyptian Old Kingdom https://www.bbc.co.u[...] BBC 2011-02-17
[720] 웹인용 The Kushite Conquest of Egypt http://www.ancientsu[...] Ancientsudan.org 2010-08-25
[721] 웹인용 EGYPT i. Persians in Egypt in the Achaemenid period http://www.iranicaon[...] Encyclopaedia Iranica 2019-07-05
[722] 웹인용 Thirty First Dynasty of Egypt http://www.crystalin[...] 2019-01-09
[723] 웹인용 Late Period of Ancient Egypt http://www.crystalin[...] 2019-01-09
[724] 저널 Egyptian mummy DNA, at last http://www.sciencema[...]
[725] 서적 Egypt after the Pharaohs 332 BC – AD 642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26] 서적 Portraits of the Ptolemies: Greek kings as Egyptian pharaohs University of Texas Press
[727]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Roman Egyp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728] 서적 The Story of Christian Theology: Twenty Centuries of Tradition & Reform https://books.google[...] InterVarsity Press
[729] 웹인용 Egypt https://web.archive.[...] Berkley Center for Religion, Peace, and World Affairs 2011-12-14
[730] 서적 Christianity: the One, the Many: What Christianity Might Have Been https://books.google[...]
[731] 문서 Coptic Egypt: History and Guide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732] 웹인용 EGYPT iv. Relations in the Sasanian period http://www.iranicaon[...] Encyclopaedia Iranica 2019-07-05
[733] 웹인용 Egypt https://web.archive.[...] Berkley Center for Religion, Peace, and World Affairs 2011-12-14
[734] 문서 Egyptology: The Missing Millennium UCL Press
[735] 서적 Before European Hegemony: The World System A.D. 1250–1350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736] 웹사이트 Egypt – Major Cities http://countrystudie[...]
[737] 웹인용 포르투갈, 맘루크 해군을 격파하고 인도양을 지배하다 https://terms.naver.[...] 2021-01-01
[738] 서적 Before European Hegemony: The World System A.D. 1250–1350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739] 서적 The Ottoman Empire, 1700–1922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740] 뉴스 Icelandic Volcano Caused Historic Famine In Egypt, Study Shows https://www.scienced[...] ScienceDaily 2006-11-22
[741] 논문 Modernisation, Reaction and Muhammad Ali's 'Empire' https://www.jstor.or[...]
[742] 서적 Nasser of the Arabs
[743] 서적 Nasser of the Arabs
[744] 서적 Egypt: Politics and Society 1945–1981 George Allen & Unwin
[745]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Egypt Scarecrow
[746] 논문 From Liberalism to Imperialism: The Case of Egypt 1875-1887. https://www.jstor.or[...]
[747] 서적 Egypt, A Short History
[748] 문서 Jankowski, op cit
[749] 웹인용 Egypt https://www.cia.gov/[...] 2011-02-02
[750] 웹인용 The 1973 Arab-Israeli War: Arab Policies, Strategies, and Campaigns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2009-04-20
[751] 문서
[752] 서적 Passion for Islam: Shaping the Modern Middle East: the Egyptian Experience Scribner
[753] 서적 Passion for Islam: Shaping the Modern Middle East: the Egyptian Experience Scribner
[754] 서적 Muslim Extremism in Egyp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55] 웹사이트 concerns over tourism's future http://weekly.ahram.[...] 2007-09-27
[756] 서적 Jiha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