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00대 민족문화상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00대 민족문화상징은 문화체육관광부가 한국의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문화 유전자를 찾기 위해 개발한 100가지 상징이다. 한국의 전통 문화를 현대적으로 계승하고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며, 한민족의 긍정적 이미지를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정 기준은 한민족의 에토스, 산업화 가능성, 세계화 기여도, 남북한 공통 상징, 국제 분쟁 관련 상징 등을 고려하여 6대 분야로 나누어 선정되었다. 분야별로 민족 상징, 강역 및 자연 상징, 역사 상징, 사회 및 생활 상징, 신앙 및 사고 상징, 언어 및 예술 상징 등 다양한 상징들이 포함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수 100 - FTSE 100 지수
    FTSE 100 지수는 런던 증권거래소 시가총액 상위 100개 기업으로 구성된 주가지수로, FTSE 러셀이 관리하며 시가총액 가중 방식으로 계산되고 1984년부터 운영되고 있다.
  • 명수 100 - 제자백가
    춘추전국시대에 등장한 다양한 사상가와 학파들을 일컫는 제자백가는 유가, 묵가, 도가, 법가 등 여러 학파를 이루어 사회 질서, 정치, 윤리에 대한 독자적인 주장을 펼치며 중국 사상과 문화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학번역원
    한국문학번역원은 한국 문학의 세계화를 위해 번역 및 출판 지원, 국제 교류, 번역 교육, 정보 서비스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기관이다.
  •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은 다양한 전시를 제공하며, 총 31만 점 이상의 소장품을 보유하고 있으며, 선사시대부터 현대까지의 한국사 및 아시아 문화재를 전시하고 있으며, 최첨단 시설을 갖춘 박물관입니다.
  • 대한민국의 정부 기관에 관한 - 정진석 (정치인)
    정진석은 1960년 충청남도 공주 출생으로 한국일보 기자 출신이며, 16, 17, 18, 20, 21대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이명박 정부에서 대통령 정무수석비서관을 지냈으며, 20대 국회에서 새누리당 원내대표와 국회 부의장을 역임했다.
  • 대한민국의 정부 기관에 관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100대 민족문화상징
개요
명칭100대 민족문화상징
목적한국 문화 대표 상징 선정
주최한국국제교류재단
발표일2006년
상징 목록
건축 및 유적고인돌
불국사
석굴암
첨성대
종묘
창덕궁
수원 화성
해인사 장경판전
경복궁
남한산성
백제역사유적지구
전통 예술탈춤
판소리
강강술래
농악
종묘제례악
정악
가곡
매사냥
택견
줄타기
한산모시짜기
아리랑
김장 문화
공예 및 의복한복
김치
옹기
한지
한글
태극기

나전칠기
매듭
보자기
족보
자연 및 풍경백두산
제주도
금강산
독도
한라산
태백산맥
소백산맥
지리산
음식 문화불고기
비빔밥

김치
막걸리
인삼
젓갈

간장
신앙 및 사상태극
음양오행
천부경
무궁화
장승
솟대
해태
생활 풍습제사
혼례
돌잔치
설날
추석
단오
정월 대보름
인물세종대왕
이순신
유관순
안중근
김구
논개
퇴계 이황
신사임당
장보고
기타훈민정음
동해
고려청자
조선백자
화투
자전거
온돌
다듬이


팽이치기
윷놀이
널뛰기
그네뛰기
씨름
연날리기
팽이

2. 선정 배경 및 목적

문화체육관광부가 한국의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한민족의 문화 유전자를 찾기 위하여 100가지 상징을 개발하였는데, 이것이 100대 민족문화상징이다.[11][12] 문화체육관광부의 설명에 따르면 100대 민족문화상징은 한국의 전통 문화에 대한 현대적인 계승, 한국의 전통 문화에 기반한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11][12] 또한 한민족의 문화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제고하고 홍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11][12][4][5]

3. 선정 기준 및 절차

문화체육관광부는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한국의 민족 문화를 대표할 수 있는 100대 민족문화상징을 6대 분야(민족 상징, 강역 및 자연 상징, 역사 상징, 사회 및 생활 상징, 신앙 및 사고 상징, 언어 및 예술 상징)로 나누어 선정했다. 100대 민족문화상징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12][5]


  • 한민족의 에토스(민족적·사회적 성격과 관습)를 형성하는 문화적 원형질로서 상징성을 가져야 한다.
  • 문화 콘텐츠로서 산업화가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 유네스코 세계유산과 같이 한국 문화의 세계화에 기여도가 높은 것이어야 한다.
  • 통일 문화를 형성하기 위한 차원에서 남북한에 공통적으로 중요한 상징도 포함되어야 한다.
  • 국제 분쟁과 관련된 상징 선정을 우선시한다.

4. 분야별 상징 목록


4. 1. 민족 상징

태극기
무궁화


태극기는 대한민국의 국기이며 태극기 자체가 문화적 상징 직관물이다.[13][14][6][7] 무궁화는 대한민국의 국화이며 근역(槿域)이라는 용어에 역사적 함의를 담고 있다.[13][14][6][7]

4. 2. 강역 및 자연 상징

독도


'''강역 및 자연 상징'''은 100대 민족문화상징 가운데 하나로, 강역, 경관, 동식물, 과학 기술 분야에서 19개가 선정되었다.

강역 상징으로는 독도, 백두대간, 백두산, 금강산, 동해, 대동여지도가 선정되었다. 독도는 일본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한국의 섬으로, 한반도 해양 강역의 상징이다.[13][14] 백두대간은 한반도의 생태적 척추이며, 백두산은 한민족의 성산이다.[13][14] 금강산은 한반도에서 가장 아름다운 산으로 여겨졌으며, 동해는 세계 지도에서 일본해로 표기되는 경우가 많아 동해라는 명칭을 알려야 할 필요성이 있다.[13][14] 김정호가 제작한 대동여지도는 한반도를 정확하게 그려낸 지도로 평가받는다.[13][14]

경관 상징으로는 황토, 갯벌, 풍수가 선정되었다. 황토는 흙에 대한 한국인의 정서가 압축되어 있고, 갯벌은 세계 5대 갯벌 중 하나이다.[13][14] 풍수는 한국의 전통적인 환경 사상이다.[13][14]

동식물 상징으로는 소나무, 진돗개, 호랑이, 한우가 선정되었다. 소나무는 한국을 대표하는 나무이며, 진돗개는 한국의 토종개이다.[13][14] 호랑이는 한민족을 대표하는 동물로 여겨졌고, 한우는 농가 재산 목록 1호로 여겨졌다.[13][14]

과학 기술 상징으로는 천상열차분야지도, 거북선, 측우기, 자격루와 앙부일구, 수원 화성, 대한민국의 정보 통신(IT)이 선정되었다. 천상열차분야지도는 동양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천문도이며, 거북선은 해양 강국이었던 조선의 이미지를 표현한다.[13][14] 측우기는 세계 최초로 개발된 강우량 측정 기구이다.[13][14] 자격루와 앙부일구는 조선 세종 시대에 발명된 물시계와 해시계이다.[13][14] 정약용에 의해 설계된 수원 화성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13][14] 대한민국은 정보 통신 강국으로 평가받고 있다.[13][14]

4. 3. 역사 상징

100대 민족문화상징 가운데 역사 상징은 선사 시대, 도읍, 인물, 사찰, 현대사를 포함한다.[13][14]

4. 4. 사회 및 생활 상징

39번 오일장은 조선 시대부터 오늘날까지 이어져 온 한국의 전통 시장이다.[13][14] 40번 해녀는 제주도의 바다 속에서 어떠한 장치도 착용하지 않고 잠수복을 입은 채로 해산물을 채취하는 여자를 가리키며, 한국의 잠수 문화, 제주도 여자들의 강인함, 제주도의 독특한 문화를 상징한다.[13][14]

41번 강릉 단오제는 한국의 4대 명절 가운데 하나인 단오에 열리는 행사로 유네스코 인류 구전 및 무형 유산 걸작으로 선정되었다.[13][14] 42번 영산줄다리기는 성 주변을 동쪽과 서쪽으로 나눠서 싸우는 민속 놀이이다.[13][14] 43번 솟대는 마을의 풍요와 안녕을 기원하고 수호신 역할을 하기 위하여 마을 입구에 설치한 장대이며, 장승은 마을 간의 경계를 표시하는 이정표, 귀신을 쫓는 수호신 역할을 하기 위하여 마을 입구에 설치한 기둥으로, 이들은 마을 신앙을 상징한다.[13][14] 44번 두레는 한국의 농촌에서 서로 도와가며 살아가던 공동체 문화를 상징한다.[13][14] 45번 정자나무는 한여름의 더위를 피하기 위해 휴식하는 공간, 마을의 평화와 안녕을 염원하는 공간, 자신의 소원을 비는 공간, 마을의 중대한 사안에 관한 회의를 진행하는 공간으로 여겨졌다.[13][14] 46번 돌하르방은 제주도를 상징하는 석조물이다.[13][14]

47번 한복은 한국 고유의 전통 의상이다.[13][14] 48번 색동은 넓고 다양한 한국의 색채 문화를 상징한다.[13][14] 49번 다듬이질 소리는 한국을 상징하는 여러 소리들 가운데 하나로 여겨진다.[13][14]

50번 김치는 세계적으로 잘 알려진 한국의 대표적인 발효 음식이다.[13][14] 51번 은 한국의 쌀 문화를 상징하며, 서양의 빵에 필적한다.[13][14] 52번 전주비빔밥은 다양한 영양가를 가지며 세계화가 가능한 음식으로 여겨진다.[13][14] 53번 고추장은 매운 맛을 내는 한국의 장류 문화를 상징한다.[13][14] 54번 된장청국장은 식물성 단백질 문화의 최고봉이자 발효 식품의 대표 주자이다.[13][14] 55번 삼계탕은 한국의 대표적인 여름철 보양 음식이다.[13][14] 56번 옹기는 한국의 그릇 문화를 상징한다.[13][14] 57번 불고기는 세계적으로 잘 알려진 한국의 대표적인 고기 요리이다.[13][14] 58번 소주막걸리는 한국인들이 즐겨 마시는 술이자 한국의 서민 문화를 상징한다.[13][14] 59번 냉면은 한국의 대표적인 찬국수 요리이며 시원하고 새콤달콤한 맛이 특징이다.[13][14] 60번 짜장면은 원래 중국에서 유래되었으나 한국에서 독창적인 음식으로 발전하여 대표적인 외식 메뉴이자 세계화가 가능한 음식으로 여겨진다.[13][14]

61번 한옥은 한민족의 전통적인 주거 양식이다.[13][14] 62번 온돌은 방 바닥을 따뜻하게 하는 한국 특유의 난방 문화를 상징한다.[13][14] 63번 제주도 돌담은 자연과 인간이 만든 아름다움을 자랑하며, 화산섬인 제주도 특유의 돌 문화를 상징한다.[13][14] 64번 초가는 한국의 살림집 문화의 최고봉으로 여겨진다.[13][14]

65번 동의보감은 조선의 의학자 허준이 집필한 한의학의 대표 서적이다.[13][14] 66번 인삼은 고려 시대에 아라비아반도의 상인들이 인삼 무역을 하면서 한국을 외국에 '코리아'로 알렸으며, 세계에서 건강의 상징으로 여겨진다.[13][14] 67번 태권도는 한국의 전통 무술이며, 하계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스포츠이다.[13][14] 68번 씨름은 삼국 시대부터 이어져 온 한국의 대표적인 민속 놀이 가운데 하나이다.[13][14] 69번 은 한국의 전통적인 활인 국궁, 국제 스포츠계에서 명성이 높은 대한민국의 양궁을 통해 한국의 활 문화를 대표한다.[13][14] 70번 윷놀이는 옛부터 누구나 즐길 수 있는 한국의 전통 오락이다.[13][14]

71번 서당은 삼국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향촌에서 기초 교육을 담당하던 기관으로, 한국인의 교육열을 상징한다.[13][14] 72번 한석봉과 어머니에 관한 일화는 중국의 맹모삼천지교와 맞먹는 한국의 전통적인 교육관을 상징한다.[13][14]

4. 5. 신앙 및 사고 상징

선(禪)은 한국 불교에서 활용되는 명상 문화이자 대표적인 수행 방식이다.[13][14] 한국의 선불교는 미륵 신앙과 함께 한국 불교의 중요한 축을 이룬다. 미륵은 불교에서 다음 세상의 부처가 될 것이라고 여겨지는 보살로, 미래와 희망의 상징으로 여겨졌다.[13][14]

유교 문화에서는 (孝)가 근본적인 덕행으로 강조되며,[13][14] 선비는 학식과 예의, 의리와 원칙을 중시하고 관직과 재물에 대한 욕망을 거부하는 이상적인 인간상으로 여겨졌다.[13][14] 종묘종묘 제례는 조선 왕조의 역대 국왕과 왕후의 신주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유교적 의례로, 유네스코 세계유산 및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13][14]

한국의 무속 신앙에서는 굿을 통해 인간의 길흉화복을 빌고,[13][14] 성황당(서낭당)은 마을을 수호하는 서낭신을 모시는 장소로 여겨졌다.[13][14] 도깨비는 악귀를 쫓아내는 상상의 존재,[13][14] 금줄은 신성한 공간과 일상 공간을 구별하고 부정한 것의 침입을 막는 역할을 한다.[13][14]

4. 6. 언어 및 예술 상징

조선 세종 시대에 창제된 《훈민정음》은 한국의 글자인 한글의 원형이다.[13][14] 닥나무 등의 나무 껍질로 만든 한국의 전통 종이인 한지는 천 년이 넘는 보존 능력을 갖고 있다.[13][14]조선왕조실록》은 조선 태조부터 철종에 이르기까지 25대에 걸친 역사를 담은 역사서이다.[13][14] 《팔만대장경》은 고려가 몽골의 침공을 불교의 힘으로 막아내기 위하여 제작한 불교 경전이다.[13][14] 고려 시대에 제작된 《직지심체요절》은 현존하는 금속 활자 인쇄본이다.[13][14]

고구려의 고분 벽화는 고구려 시대의 생활, 문화 수준을 표현하고 있다.[13][14]
고구려 고분 벽화
반가사유상은 삼국 시대에 제작된 대표적인 불상이다.[13][14] 일명 '백제의 미소'라고 부르는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은 백제인의 예술과 미적 감각을 표현하고 있으며 한국 불교 미술사의 대표작으로 여겨진다.[13][14] 고려청자는 한국의 화려한 미적 감각을 표현한 문화유산이다.[13][14] 한국의 백자는 조선 시대에 전성기를 이루었다.[13][14] 고려 말기부터 조선 전기인 16세기 사이에 제작된 분청사기는 한국 특유의 도자 문화이다.[13][14] 막사발은 원래 서민들 사이에서 생활용품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만든 그릇이지만, 16세기 임진왜란을 계기로 조선의 도공들이 일본으로 건너가면서 저평가되었기 때문에 재평가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13][14]

풍물놀이는 농촌에서 함께 노동을 하는 농민들의 애환을 달래주는 음악과 춤이다.[13][14] 탈춤은 탈을 쓰고 벌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가면극이며 한국인의 또다른 얼굴로 여겨진다.[13][14] 판소리는 서사적인 양식을 띤 한국의 전통 음악 양식이자 일종의 솔로 오페라이다.[13][14] 아리랑은 한국을 대표하는 민요이자 한민족 사이에서 널리 불려진 노래이다.[13][14] 거문고는 옛부터 모든 악기의 으뜸을 뜻하는 '백악지장'(百樂之丈)이라고 불렀으며 한국의 전통 악기 가운데 가장 넓은 3옥타브에 가까운 음역을 갖고 있다.[13][14] 한국의 전통적인 관악기인 대금은 전통 음악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맑고 고운 음색이 특징이다.[13][14] 성춘향과 이몽룡의 사랑을 주제로 한 한국의 고전 소설인 《춘향전》은 한국의 대표적인 고전 문학 작품이다.[13][14]

5. 활용 및 과제

참조

[1] 웹사이트 KF뉴스레터-『100 Cultural Symbols of Korea』 출판 https://www.koreana.[...] 2023-08-23
[2] 웹사이트 KF뉴스레터-New Publication: ‘100 Cultural Symbols of Korea’ https://www.koreana.[...] 2023-08-23
[3] 뉴스 태극기 한글 고인돌…한국대표 상징 떴다 https://www.hani.co.[...] 2022-08-21
[4] 웹사이트 문화상징개요 - 소개 - 100대 민족문화상징 http://img.yonhapnew[...] 2022-08-21
[5] 웹사이트 문화상징개요 - 소개 - 100대 민족문화상징 https://www.kculture[...] 2022-08-21
[6] 웹사이트 선정현황 - 소개 - 100대 민족문화상징 https://www.kculture[...] 2022-08-21
[7] 웹사이트 100대 민족문화상징 활용 방안 https://mcst.go.kr/s[...] 2022-08-21
[8] 웹인용 KF뉴스레터-『100 Cultural Symbols of Korea』 출판 https://www.koreana.[...] 2023-08-23
[9] 웹인용 KF뉴스레터-New Publication: ‘100 Cultural Symbols of Korea’ https://www.koreana.[...] 2023-08-23
[10] 뉴스인용 태극기 한글 고인돌…한국대표 상징 떴다 https://www.hani.co.[...] 2022-08-21
[11] 웹인용 문화상징개요 - 소개 - 100대 민족문화상징 http://img.yonhapnew[...] 2022-08-21
[12] 웹인용 문화상징개요 - 소개 - 100대 민족문화상징 https://www.kculture[...] 2022-08-21
[13] 웹인용 선정현황 - 소개 - 100대 민족문화상징 https://www.kculture[...] 2022-08-21
[14] 웹인용 100대 민족문화상징 활용 방안 https://mcst.go.kr/s[...] 2022-08-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