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원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가원수는 한 국가를 대표하는 최고 지위의 인물로, 헌법에 따라 다양한 권한과 역할을 수행한다. 국가원수는 군주, 대통령, 국가주석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정치 체제에 따라 권한과 역할이 다르다. 군주제 국가에서는 세습을 통해, 공화제 국가에서는 선거를 통해 국가원수가 선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국가원수는 외교, 군사, 입법, 사법 등 국가 전반에 걸쳐 영향력을 행사하며, 국민 통합과 정체성을 상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가원수 - 포데스타
포데스타는 중세 및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 도시 국가의 최고위 행정관을 지칭하는 용어로, 행정, 사법, 군사 등 다양한 권한을 행사했으며, 도시 내부 갈등 중재를 위해 외부 출신 인사가 임명되기도 했다. - 국가원수 - 총독
총독은 역사적으로 특정 지역이나 식민지를 통치하는 직책을 의미하며, 시대와 국가에 따라 역할과 권한이 달랐고, 현재는 영연방 왕국 등에서 유지되고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국가원수 | |
---|---|
국가 원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개념 | |
정의 | 국가를 대표하는 공적인 인물, 국가의 상징 |
역할 | 외교 관계, 국가 행사, 법률 서명 등의 공식적 기능 수행 |
분류 | 군주, 대통령, 최고 지도자 등 |
권한 | 헌법과 법률에 의해 규정 |
역사적 의미 | 고대 로마 시대의 프린켑스와 유사 |
한국어 명칭 | 국가원수, 원수 |
일본어 명칭 | 元首(げんしゅ) |
역할 및 기능 | |
외교적 역할 | 외교 관계 수립 및 유지, 조약 체결 |
상징적 역할 | 국가의 통일과 정체성 상징 |
입법적 역할 | 법률 공포, 거부권 행사 (일부 국가) |
사법적 역할 | 사면권 행사 (일부 국가) |
군사적 역할 | 국군 최고 통수권자 (일부 국가) |
권력 구조에 따른 분류 | |
군주제 국가 | 입헌군주제: 군주가 상징적 역할 수행 절대군주제: 군주가 실질적인 권력 행사 |
공화제 국가 | 대통령제: 대통령이 국가원수이자 행정부 수반 의원내각제: 대통령 또는 군주가 상징적 역할 수행, 총리가 실질적 권력 행사 반대통령제: 대통령과 총리가 권력 분담 |
기타 정보 | |
국가원수의 중요성 | 국가의 안정과 대표성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 |
국가원수의 책임 | 국민 전체의 이익을 위해 행동해야 하는 책임 |
국가원수 관련 참고자료 | 현재 국가원수 및 정부수반 목록 |
2. 국가원수의 분류
군주국에서는 군주가, 공화제 국가에서는 대통령(총통)이 국가원수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사회주의 국가의 경우 과거 소련과 같이 공산권 국가가 해체되기 이전에는 의회 의장이 국가원수인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현재는 중화인민공화국(중국), 쿠바와 같이 국가주석이 국가원수인 경우가 대부분이다.[4][5][6][7]
국가원수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군주국의 국가원수
- 절대군주제 국가의 국가원수
- 입헌군주제 국가의 국가원수
- 공화제 국가의 국가원수
- 대통령제 국가의 국가원수
- 반대통령제 국가의 국가원수
- 의원내각제 국가의 국가원수
- 사회주의 국가의 국가원수
- 전제 국가, 군사 국가, 독재 정치 국가의 국가원수
- 특수한 정체를 채택하는 국가의 국가원수
대한민국의 경우 대한민국의 대통령은 국가원수이며, 외국에 대하여 국가를 대표한다(대한민국 헌법 제66조 제1항).
2. 1. 군주제 국가의 국가원수
군주국에서는 세습 군주가 국가원수이다. 군주제는 절대군주제와 입헌군주제로 나눌 수 있다.- '''절대군주제'''는 군주가 국가의 모든 권력을 가지는 체제이다.
- '''입헌군주제'''는 헌법에 따라 군주의 권력이 제한되는 체제이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행정권은 명목상으로라도 국가원수에게 위임된다. 대통령제에서는 국가원수가 실제 사실상 최고경영자이다. 의원내각제에서는 국가원수가 행정권을 행사하지만, 실제로는 장관 내각의 자문에 따라 행사한다. 이로 인해 "폐하의 정부"나 "각하의 정부"와 같은 용어가 생겨났다. 국가원수가 명목상 최고경영자인 의원내각제의 예로는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리아, 캐나다, 덴마크, 인도, 이탈리아, 노르웨이, 스페인, 영국이 있다.
- 1953년 덴마크 헌법 제12조: "본 헌법에 규정된 제한 사항을 준수하여 국왕은 왕국의 모든 사무에 대한 최고 권한을 가지며, 장관을 통해 그러한 최고 권한을 행사한다."[37]
- 1900년 오스트레일리아 연방 헌법 제2장 제61조: "연방의 행정권은 여왕에게 위임되며, 여왕의 대표자인 총독에 의해 행사되며, 본 헌법과 연방법의 집행 및 유지를 포함한다."[38]
하지만 국가원수가 명목상 최고경영자조차 아닌 경우도 있는데, 체코, 아일랜드, 이스라엘, 일본, 스웨덴이 대표적이다. 이들 국가에서는 헌법에 따라 최고 행정권이 내각에 명시적으로 위임되어 있다.[29][67]
일본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 점령기에 이전의 군국주의적이고 준절대 군주제 시스템을 자유민주주의 의회 제도로 대체하였다. 일본 천황은 헌법에서 "국가와 국민 통합의 상징"(1조)으로 정의되며, 전 세계적으로 일본의 국가 원수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 천황은 총리를 임명하지만, 헌법 6조에 따라 "국회가 지정한 후보자"를 임명해야 하며, 임명을 거부할 권한이 없다. 그는 통치와 관련된 독자적인 재량권이 없는 의례적인 상징적 인물이다.[11][29][12]
스웨덴은 1974년 정부 조직법 통과 이후 스웨덴 군주제가 이전 1809년 정부 조직법에서 가졌던 표준 의회 제도 국가 원수의 기능 중 상당수를 더 이상 수행하지 않는다.
2. 1. 1. 절대군주제 국가의 국가원수
황제나 국왕과 같은 군주는 강대한 정치적 권한을 가지며, 대부분 세습된다. 헌법이 없거나(절대군주제 국가), 헌법이 있어도 군주의 대권이 헌법을 초월하는 경우(전제군주제 국가)가 있다. 이러한 국가의 군주는 부유하여 국가로부터 연봉을 받지 않는 경우가 많아, 정부나 의회가 연봉 지급을 중단하여 군주의 권한을 제한할 수 없다. 또한, 선전과 교육을 통해 군주 통치의 정당성이 확보된다.[105]리히텐슈타인의 공(후작)은 형식적으로는 입헌군주제[106][107] 군주이지만, 실제로는 강대한 권한을 쥐고 있어 절대군주제 또는 전제군주제의 전형으로 일컬어진다.
아라비아 반도의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를 구성하는 7에미리트, 오만, 카타르, 쿠웨이트 등의 술탄은 절대군주제 군주의 전형이다. 군주 밑에 행정 실무를 담당하는 총리가 있기도 하지만, 군주가 총리를 겸임하거나 군주 일족(황태자 등)이 총리가 되는 경우가 많아, 사실상 총리의 권한이 군주 대권에 포함된다.
아랍에미리트의 국가원수는 대통령이다. 이는 국가 최고 의사결정 기관인 '''연방최고평의회(FSC)'''에서 상호 선출하므로 형식상 군주는 아니다. 그러나 연방최고평의회는 절대군주제를 채택하는 7개 에미리트의 수장으로 구성되며, 실제로는 대통령은 아부다비 지도자, 부통령 겸 총리는 두바이 지도자가 세습하는 것이 관례이다. 아부다비는 연방 최대 국가이자 중심 국가이기 때문에[108], 아부다비 지도자가 겸임하는 연방 대통령은 사실상 절대군주제 국가 군주에 필적하는 강대한 권한을 행사한다.
2. 1. 2. 입헌군주제 국가의 국가원수
의원내각제 입헌군주국에서 국가원수인 군주는 보통 선출되지 않지만, 국민의 묵시적 승인을 통해 정당성을 얻는다. 예를 들어, 잉글랜드 의회는 메리 2세와 윌리엄 3세를 공동 군주로 임명했고, 에드워드 8세의 퇴위에는 그가 군주였던 6개 독립 왕국의 승인이 필요했다. 스페인 헌법과 같이 서면 헌법을 가진 군주국에서는 헌법 개정을 통해 군주의 지위를 폐지할 수 있다.[9]
실제로 의원내각제 내에서 국가원수의 지위는 다양하다. 오래된 헌법일수록 국가원수가 더 큰 권한을 행사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사르데냐 왕국의 1848년 헌법과 이후 이탈리아 왕국의 ''알베르티노 헌법''에서는 국왕이 임명한 정부에 대한 의회의 승인이 법적으로 요구되지는 않았다.[9]
모호한 헌법이나 국가 비상사태로 인해 국가원수가 더 큰 권한을 행사하는 경우도 있다. 레오폴드 3세 국왕은 1940년 정부의 의사에 반하여 독일군에 항복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그는 퇴위했다. 1990년 보두앵 국왕이 낙태 허용 법안에 서명을 거부하자, 내각은 그가 일시적으로 "통치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하고 법을 공포했다.[9][10]
2. 2. 공화제 국가의 국가원수
군주국에서는 군주가, 공화제 국가에서는 대통령(총통)이 국가원수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공화제 국가의 국가원수는 그 권한과 역할에 따라 대통령제, 반대통령제, 의원내각제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 대통령제: 국가원수인 대통령이 동시에 정부 수반이며 모든 행정권을 가진다. (예: 미국, 인도네시아, 대한민국)
- 반대통령제: 국가원수가 정부 수반 또는 내각과 핵심 행정권을 공유한다. (예: 러시아, 프랑스, 스리랑카)
- 의원내각제:
- ''표준 모델'': 이론적으로 국가원수가 핵심 행정권을 가지고 있지만, 그러한 권력은 정부 수반의 구속력 있는 자문에 따라 행사된다. (예: 영국, 인도, 독일)
- ''비행정 모델'': 국가원수는 행정권이 없거나 매우 제한적이며 주로 의례적이고 상징적인 역할을 한다. (예: 스웨덴, 일본, 이스라엘)
사회주의 국가의 경우 과거 소련과 같이 공산권 국가가 해체되기 이전에는 의회 의장이 국가원수인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현재는 중화인민공화국(중국), 쿠바와 같이 국가주석이 국가원수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대한민국의 경우 대한민국의 대통령은 국가원수이며, 외국에 대하여 국가를 대표한다(대한민국 헌법 제66조 제1항).[4][5][6][7]
2. 2. 1. 대통령제 국가의 국가원수
대통령제 국가에서 국가원수는 '대통령'이라는 직함을 가지지 않을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국민의 선거로 선출되며 행정부 수반으로서 강력한 권한을 가진다.[112] 대통령은 의회와 독립된 지위에서 임기를 보장받으며, 장관 임명 및 해임 권한을 가진다.[112]
대통령제는 아메리카 대륙의 헌법에서 두드러진 특징인데, 아르헨티나, 브라질, 콜롬비아, 엘살바도르, 멕시코, 베네수엘라 등이 그렇다. 이는 미국의 강력한 영향력 때문이며, 미국 헌법이 19세기 초 라틴 아메리카 독립 전쟁의 영감과 모델이 되었기 때문이다.
대통령제 하에서 대통령은 의회의 법안에 대한 거부권을 가지지만, 법안 제출권은 없는 경우가 일반적이다.[112] 장관은 일반적으로 국회의원과 겸직할 수 없다. 의회에서 여당이 다수파인 경우 대통령은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지만, 야당이 다수파가 된 경우에는 어려운 국정 운영을 할 수밖에 없다.
대통령이 행정을 총괄하고 총리를 두지 않는 경우로 미국과 필리핀 등이 있다. 대통령과 별도로 총리가 있으며, 총리가 대통령의 보좌역으로서 행정 실무를 담당하는 경우로 대한민국과 중화민국(타이완)이 있다. 대한민국의 국무총리는 국회의원일 필요가 없으며, 대통령을 보좌하고 그 명령을 받아 행정 각 부를 총괄하며 국무회의의 부의장을 역임한다.
예외적으로 아랍에미리트는 각 수장국의 수장으로부터 선출하는 독자적인 대통령 제도를 도입하고 있다.
2. 2. 2. 반대통령제 국가의 국가원수
의회에서 선출하는 총리와 내각, 그리고 국민이 직접 선거로 선출하는 대통령(국가원수)이 공존하는 체제이다.[113] 행정권의 주체는 대통령과 총리(내각)에 있는 경우가 많으며, 내각의 수반인 총리는 의회의 승인을 얻어 대통령에 의해 임명된다. 대통령은 의회와 독립된 존재이며, 임기 중에는 지위와 신분이 보장되고, 총리의 임명 및 해임권을 통해 실질적으로 법안 제출권을 행사한다. 이처럼 내각은 의회에 책임을 지며, 의원 내각제의 틀이 도입되어 있지만, 동시에 대통령에게도 책임을 진다. 대통령은 의회 해산권이나 법안 거부권, 대통령령 발포 등 의원내각제에 비해 더 강력한 권한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의회에서 대통령 측 세력이 다수를 차지하면 대통령은 내각을 자유롭게 구성하고, 내정에서도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지만, 반대 세력이 다수파를 차지한 경우에는 반대 세력의 당수에게 조각을 명령해야 하며, 외교·국방은 대통령, 내정은 반대 세력의 총리가 분담하게 된다. 프랑스에서는 이러한 상태를 코아비타시옹이라고 부른다.
프랑스와 러시아의 대통령, 중화민국의 총통이 반대통령제로 분류된다.[114]
2. 2. 3. 의원내각제 국가의 국가원수
의원내각제를 채택하는 공화국의 대통령은 국가원수로서 국정의 실권을 가지지 않는다. 행정은 의회에서 지명하는 총리가 담당하며, 대통령은 헌법상 내각의 자문과 승인에 기반한 총리를 비롯한 관료의 임면, 외국 원수·외교관의 접수와 같은 의례적인 기능을 수행한다.[1]대통령은 직접 선거로 선출되기도 하고, 의회의 투표에 의해 공적이 있는 원로 정치가가 선출되기도 한다. 오스트리아의 연방 대통령처럼 법률상으로는 강력한 권한이 부여된 경우도 있지만, 그러한 권한은 장기간 행사되지 않아 실제로는 유명무실한 경우가 일반적이다.[1]
이러한 유형의 국가원수에는 인도, 이탈리아, 아일랜드, 아이슬란드, 그리스의 대통령, 독일의 연방 대통령, 오스트리아의 연방 대통령 등이 있다.[1]
스위스에서는 합의체인 연방참사회(내각)가 국가원수이자 정부 수반이지만, 7명의 각료 중 1명이 순번제로 1년 임기의 연방 대통령을 맡아 다른 나라의 국가원수가 수행하는 의례적인 기능을 수행한다.[1]
과거 잉글랜드 공화국에서도 보호청이 설치될 때까지 합의체인 국무원(Council of State)이 국가원수로 여겨졌다. 국무원 의장은 단순히 의장을 의미하는 Lord President of the Council이라고 불렸다.[1]
2. 2. 4. 사회주의 국가의 국가원수
사회주의 국가에서는 국가주석이나 최고인민회의 상무위원회 위원장 등이 국가원수 역할을 하지만, 실질적인 권한은 공산당 당수(서기장, 총서기 등)에게 있는 경우가 많다.[115] 국가주석 자체는 의례적인 존재이며, 원로 간부를 예우하기 위한 명예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지만, 마오쩌둥·류샤오치 시기의 중화인민공화국 주석, 김일성 시기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주석, 미하일 고르바초프 시기의 소비에트 연방 대통령처럼 국가원수의 직권에 실질적인 권한이 부여되는 경우도 있었다.베트남에서는 최고 지도자인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과 국가원수인 베트남 사회주의공화국 주석이 분리되는 것이 관례화되어 있지만,[116] 헌법상 군의 통수권을 가진 국가주석이 비상시에 중요한 권한을 행사하는 경우도 있다.[117]
中华人民共和国|중화인민공화국중국어 헌법에는 국가원수를 직접 규정하는 조항은 없지만, 제81조에서 국가를 대표한다고 명시된 국가주석이 외교 관례상 국가원수와 동일한 대우를 받고 있다.
라오스의 경우, 헌법 제65조에 국가주석이 라오스 인민민주공화국의 국가원수이며, 국내외에서 다민족으로 이루어진 라오스 국민의 대표자라고 명시되어 있다.
북한의 국가원수 규정은 복잡하며, 명목상 국가원수와 실제 최고 권력자가 일치하지 않는 시기가 있었다. 북한의 국가원수 변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시기 | 명목상 국가원수 | 실제 최고 권력자 및 직책 |
---|---|---|
1948년~1972년 | 최고인민회의 상무위원회 위원장 | 김일성 (총리) |
1972년~1994년 | 김일성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주석) | 김일성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주석) |
1994년~1998년 | 주석 공석 (김일성 사후) | 김정일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총비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위원장,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 |
1998년~2009년 | 최고인민회의 상무위원회 위원장 | 김정일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총비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위원장,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119] |
2009년~2011년 | 최고인민회의 상무위원회 위원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위원장 | 김정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위원장) |
2011년~2012년 |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김정일 사후) |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
2012년~2016년 |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
2016년~2019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위원장 | 김정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위원장) |
2019년~현재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위원장 | 김정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위원장) |
1998년 헌법 개정으로 김일성은 "영원한 주석"으로 명기되었고, 주석직은 폐지되었다. 2009년 개정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 서문에서도 김일성은 "영원한 주석"으로 명시되어 있다. 2011년 김정일 사망 이후 2012년 최고인민회의에서 김정일은 "영원한 국방위원장"으로 추대되었다.
쿠바에서는 2019년까지 국가평의회 의장이 국가원수였으며, 단순한 의례적 지위를 넘어 강대한 권한을 가졌다. 1976년 제정된 헌법에서는 국가평의회 의장이 각료평의회 의장을 겸임하여 국가원수와 행정권 수장의 권능이 통합되어 있었다.[120] 2018년 라울 카스트로가 국가평의회 의장을 사임한 이후에는 대통령제가 도입되어, 국가원수는 대통령으로 정해졌다.
2. 3. 전제 국가, 군사 국가, 독재 정치 국가의 국가원수
전제 국가, 군사 국가, 독재 정치 국가에서는 국가원수가 강력한 정치적 권한을 가지며, 민주적인 선거 없이 권력을 장악하는 경우가 많다.[20][21][11][22][23] 이러한 국가에서는 종종 군부, 종교 단체, 부족, 외부 세력 등이 권력을 장악하고, 그 대표자가 국가원수에 취임한다. 형식적으로 의회가 존재하더라도 국가원수나 특정 집단의 추인 기관에 불과하며, 민주적이고 공정한 선거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군사 국가에서는 군부 출신 대통령이 국가원수가 되거나, 군사 정권이 수립한 평의회 의장이 국가원수 역할을 하는 경우가 있다.
- 1988년 9월부터 2011년 2월까지 미얀마의 국가원수는 국가평화발전평의회 의장(소 마웅, 탄 슈웨)이었다. 2011년 2월 대통령제로 전환된 후에도 탄 슈웨가 국가원수로 여겨졌으나, 2011년 3월 국가평화발전평의회가 해산되면서 정치적 영향력을 잃었다. 이후 미얀마는 민주화 노선을 받아들여 2016년 3월 30일 국민민주연맹이 선출한 틴 조가 대통령에 취임하여 54년 만에 문민 대통령이 탄생했다.
- 모리타니에서는 2008년 군사 쿠데타로 대통령이 실각하고, 군사 정권의 고등 국가 평의회 의장(무함마드 울드 압델 아지즈)이 국가원수가 되었다. 2009년 대통령 선거가 실시되어 형식적으로는 민정 이양이 완료되었으나, 새 대통령은 전 고등 국가 평의회 의장 무함마드 울드 압델 아지즈였다.
과거 나치 독일에서는 1934년 8월 2일 "국가원수에 관한 법률"에 의해 대통령과 총리의 직무가 통합되어, 아돌프 히틀러(Der Führer und Reichskanzler Adolf Hitlerde) 개인에게 대통령 권한이 위임되었다. 이는 지도자 원리에 기반한 것으로, 히틀러는 법률이나 명령 없이 발언 모두가 "법"이 되는 존재(총통)가 되었다.
나치 독일의 지배하에 있던 크로아티아 독립국(1941년 - 1945년)에서는 건국 당시 국가원수는 국왕(토미슬라브 2세)이었으나, 이 지위는 형식적이었고, 국가 최고 지도자는 포그라브니크(총통으로 번역됨) 칭호를 사용하는 안테 파벨리치였다. 1943년 이탈리아 패전과 함께 토미슬라브 2세가 퇴위하면서 파벨리치는 명실상부한 국가원수가 되었다.
2. 4. 특수한 정체를 채택하는 국가의 국가원수
이란은 이슬람 공화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국가원수에 해당하는 것은 이슬람 성직자인 '''최고지도자'''이다. 이와는 별도로 직접 선거로 선출되는 대통령이 존재하지만 행정권의 수장일 뿐이며, 최고지도자에게 해임될 수 있는 규정이 있다. 다만, 대외적으로는 이란 대통령도 국가원수에 준하는 존재로 취급되고 있다. 일본 외무성은 최고지도자와 대통령이 "국가원수"로서의 권한을 분담하고 있다고 한다.[121]바티칸 시국의 국가원수는 교황이다. 교황은 바티칸이라는 독립국의 국가원수인 동시에 전 세계 로마 가톨릭교회의 통치자이며, 예수 그리스도의 대리인으로 여겨진다. 교황의 선출은 로마 가톨릭교회의 고위 성직자인 추기경들의 상호 선출(콘클라베)이므로, 대통령제와 같은 국가원수 공선제로 볼 수도 있다. 다만, 교황은 임기가 정해져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본인의 의사에 반하는 퇴위가 인정되지 않아 사실상 종신직이다.[122] 또한 교황의 지위에는 특별한 권위(교황청)가 인정된다. 그러한 점에서 바티칸 시국의 국가원수로서의 교황의 지위는 대통령제의 대통령과 동등하다고는 할 수 없고, 오히려 선거군주제 하의 군주에 가깝다.
3. 국가원수의 역할
국가원수는 국가를 대표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 국가 상징: 국가원수는 국가의 살아있는 국가 상징이 된다.[24][25]
- 외국 대표: 대한민국 헌법 제66조 제1항에 따라 외국에 대해 국가를 대표한다.[33] 국빈 방문과 같은 중요한 외국 손님을 맞이하고, 국가 연주, 의장대 사열, 공식 선물 교환, 공식 관저에서 열리는 국빈 만찬 등의 행사를 주관한다.[47][48][49]
- 국내 행사: 예술 및 스포츠 행사, 박람회, 국경일 기념 행사, 헌정 행사, 군사 퍼레이드, 전쟁 추모식, 장례식 등 다양한 행사에 참석한다. 또한, 리본 절단식, 기공식, 선박 명명 및 진수식 등 상징적인 행위도 수행한다.
- 올림픽 개막 선언: 올림픽 헌장에 따라 하계 올림픽과 동계 올림픽 개막식에서 개막 선언을 한다.[26]
군주국에서는 군주가, 의원내각제 또는 대통령제에서는 대통령이 국가원수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사회주의 국가의 경우 과거 소련처럼 공산권 국가가 해체되기 이전에는 의회 의장이 국가원수인 경우가 많았고, 현재는 중화인민공화국, 쿠바와 같이 국가주석이 국가원수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원래 국가원수 제도는 고대 로마에서 시작되었으며, 최초의 국가원수는 아우구스투스였다. 이는 광대한 영토를 효과적으로 다스리기 위한 목적이었으며, 주로 제정 국가에서 채택되었다.
국가원수는 대권(Royal prerogative) 또는 국가원수의 재량권(Reserve power)을 독점하며, 의회도 국가원수의 대권을 법률로 제한할 수 없다.
국가원수는 입법권, 행정권, 사법권을 가진다. 법률은 의회가 1차적으로 심의·의결하지만, 최종적으로 국가원수가 거부권, 서명권, 공포권을 가지며 국가원수의 명의로 제정, 시행된다. 행정권에는 군통수권, 수사통수권 등 다양한 세부 권한이 있으며, 장관이 1차적으로 행정권을 행사하지만 최종적으로 국가원수가 모든 행정권을 가진다. 사법권은 법원이 1차적으로 심리·판결하지만, 최종적으로 국가원수가 사면권을 통해 판결을 무효화할 수 있다.[1]

3. 1. 상징적 역할
국가원수는 한 국가를 대표하고 국민 통합의 상징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징성은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난다.많은 국가에서 국가원수의 공식 초상화는 정부 청사, 법원, 공공 건물 등에 걸려 국민들에게 정부와의 연결고리를 상기시킨다. 이러한 관행은 중세 시대부터 이어져 내려온 것이다.[24][25] 이 외에도 동전, 우표, 지폐 등에 국가원수의 모습이나 이름이 새겨지기도 하고, 공공장소, 거리, 기념물, 학교 등의 이름에 국가원수의 이름이 사용되기도 한다.
몇몇 국가의 헌법 조항은 국가원수의 상징적 역할을 명시하고 있다.
국가 | 헌법 조항 | 내용 |
---|---|---|
일본 | 일본 헌법 제1조 | "천황은 국가와 국민 통합의 상징이며, 주권이 있는 국민의 의지로부터 그의 지위를 얻습니다." [29] |
이탈리아 | 이탈리아 헌법 제II편 제87조 | "대통령은 국가원수이며 국가 통합을 대표합니다." [30] |
이라크 | 2005년 이라크 헌법 제67조 | "대통령은 국가원수이며 국가 통합의 상징이며 국가의 주권을 대표합니다. 그는 헌법의 규정에 따라 헌법 준수 및 이라크의 독립, 주권, 통일 및 영토 안전을 보장해야 합니다." [31] |
대한민국 | 대한민국 헌법 제66조 제1항 및 제2항 | "대통령은 국가원수가 되며 외국에 대해 국가를 대표한다. 대통령은 국가의 독립, 영토보전 및 통일, 그리고 헌법을 수호할 책임과 의무를 가진다."[33] |
3. 2. 행정적 역할
국가원수는 행정부의 수반으로서 법률을 제정하고 행정 업무를 수행한다. 대통령제 국가에서는 국가원수가 실질적인 행정 권한을 가지지만, 의원내각제에서는 내각의 자문을 받아 권한을 행사한다.원래 국가원수 제도는 고대 로마에서 시작되었으며, 최초의 국가원수는 아우구스투스였다. 이는 광대한 영토를 효과적으로 다스리기 위한 목적이었으며, 주로 제정 국가에서 채택되었다.
국가원수는 입법권, 행정권, 사법권을 가진다. 법률은 의회가 1차적으로 심의·의결하지만, 최종적으로 국가원수가 거부권, 서명권, 공포권을 가지며 국가원수의 명의로 제정, 시행된다. 행정권에는 군통수권, 수사통수권 등 다양한 세부 권한이 있으며, 장관이 1차적으로 행정권을 행사하지만 최종적으로 국가원수가 모든 행정권을 가진다. 사법권은 법원이 1차적으로 심리·판결하지만, 최종적으로 국가원수가 사면권을 통해 판결을 무효화할 수 있다.
의원내각제에서 국가원수는 명목상의 최고경영자 역할을 하며, 행정부를 이끌지만 제한된 행정권을 갖는다. 그러나 실제로는 대개 내각(정부)의 지시에 따라 권한을 행사하며, 입법부에 책임이 있는 정부수반이 의장을 맡는다.
입헌군주국에서 비선출 국가원수의 정당성은 일반적으로 선출된 대표자들을 통한 국민의 묵시적 승인에서 비롯된다. 잉글랜드 의회는 자체 권한으로 새로운 국왕과 여왕(공동 군주 메리 2세와 윌리엄 3세)을 임명했고, 에드워드 8세의 퇴위에는 그가 군주였던 6개의 독립 왕국의 승인이 필요했다.
의원내각제를 채택한 공화국(예: 인도, 독일,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이스라엘)에서는 국가원수의 직함은 일반적으로 대통령이며, 이들의 주요 기능은 주로 의례적이고 상징적이다.
사르데냐 왕국의 1848년 헌법과 이후 이탈리아 왕국의 ''알베르티노 헌법''에서는 국왕이 임명한 정부에 대한 의회의 승인은 관례였지만 법적으로 요구되지는 않았다.
모호한 헌법 또는 전례 없는 국가 비상 사태로 인해 평소보다 더 큰 권한을 행사하는 의원내각제 국가원수의 예로는, 레오폴드 3세 국왕이 1940년 정부의 의사에 반하여 침략한 독일군에 항복하기로 결정한 사건이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벨기에는 국민투표를 통해 그가 군주로서의 권한과 의무를 재개하도록 허용했지만, 지속되는 논란으로 인해 그는 결국 퇴위했다. 1990년 벨기에 헌법 위기는 벨기에의 보두앵이 낙태를 허용하는 법안에 서명을 거부했을 때 발생했는데, 이는 내각이 그가 24시간 동안 "통치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되는 동안 법을 공포할 권한을 장악함으로써 해결되었다.[9][10]
일본국 헌법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 점령하에 작성되었으며, 일본 천황은 "국가와 국민 통합의 상징"(1조)으로 정의되며, 전 세계적으로 일본의 국가 원수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 천황은 공식적으로 총리를 임명하지만, 헌법 6조는 그에게 임명을 거부할 권한 없이 "국회가 지정한 후보자"를 임명하도록 요구하고 있다.[11][29][12]
스웨덴에서 1974년 정부 조직법이 통과된 이후로 스웨덴 군주제는 이전의 1809년 정부 조직법에서와 같이 이전에 가지고 있던 표준 의회 제도 국가 원수의 기능 중 상당수를 더 이상 수행하지 않는다.
반대로, 아일랜드 대통령이 아일랜드 정부와 접촉하는 유일한 방법은 타오이세흐(정부 수반)가 대통령에게 하는 공식적인 브리핑 세션을 통해서이다. 그러나 대통령은 법안을 아일랜드 대법원에 회부하여 위헌성을 검증하는 등 제한적인 비상 권한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대통령의 재량에 따라 사용된다.[43]
가장 극단적인 비집행적 공화국 국가 원수는 이스라엘 대통령으로, 어떤 비상 권한도 가지고 있지 않다.[14]
일부 의원내각제 국가들(예: 남아프리카 공화국, 보츠와나, 키리바시)은 국가원수와 정부수반의 역할을 (대통령제처럼) 통합했지만, 대통령이라고 불리는 최고 집행 책임자는 의회의 신임에 의존하여 통치한다(의원내각제처럼).

반대통령제는 대통령제와 의원내각제의 특징을 결합한 제도로, 특히 대통령-의회형 하위 유형에서는 정부가 대통령과 입법부 모두에게 책임을 져야 한다. 프랑스 헌법 제5공화국은 대통령이 임명하지만, 총리는 국민의회의 지지를 얻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만약 대통령이 특정 정치 성향에 속하고 야당이 입법부를 장악하고 있다면, 대통령은 일반적으로 야당 인사를 총리로 임명해야 하는데, 이를 공존이라고 한다.
바이마르 헌법은 국민이 직접 선출하는 대통령에게 이론적으로는 압도적인 집행권을 부여했지만, 이 권한은 비상 상황에만 행사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1932년까지 권력이 크게 이동하여 독일 대통령인 파울 폰 힌덴부르크는, 퇴임하는 총리가 국회의 신임을 얻었지만 새 총리는 그렇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총리를 해임하고 자신의 사람을 임명할 수 있었다. 이후 힌덴부르크 대통령은 국회와 상의하지 않고 아돌프 히틀러를 총리로 임명했다.
일부 헌법이나 기본법은 이론적으로나 실제적으로 모두 행정부 수반인 국가원수를 규정하고 있으며, 입법부와는 별도로 독립적으로 운영된다. 이러한 체제를 "대통령제"라고 하며 때로는 "황제 모델"이라고도 한다.
대통령제는 아메리카 대륙의 헌법에서 두드러진 특징인데, 아르헨티나, 브라질, 콜롬비아, 엘살바도르, 멕시코, 베네수엘라 등의 헌법이 그렇습니다.
북한과 같이 제도적 변동성으로 이어질 수도 있는데, 여기서는 당 지도자 김일성의 대통령직 이후 몇 년 동안 그 직책이 공석이었다. 고인이 된 대통령에게는 "영원한 대통령"이라는 사후 칭호가 수여되었다.
중국에서는 현행 헌법에 따라 중국 주석은 권력이 제한적인 대부분 의례적인 직책이다.[16][17] 그러나 1993년 이후 관례적으로 주석직은 중국 공산당 총서기[18] 즉, 일당 체제의 최고 지도자가 동시에 맡고 있다.[19]

2003년 리히텐슈타인의 헌법 개정으로 국가 원수인 재위 공작은 법률에 대한 거부권과 정부 수반 및 내각을 해임할 수 있는 권한을 포함한 헌법상의 권한을 부여받았습니다.[20]
남아프리카 공화국에는 또 다른 복잡한 문제가 있습니다. 대통령은 사실상 국민의회(입법부)에 의해 선출되므로 원칙적으로 의원내각제의 정부 수반과 유사하지만, 또한 국가 원수로 인정됩니다.[21]
오마르 토리호스와 마누엘 노리에가의 군사 독재 시대 동안 파나마는 명목상 대통령 공화국이었습니다. 그러나 선출된 민간 대통령들은 실질적인 정치적 권력을 파나마 방위군 사령관이 행사하는 데 대해 실질적으로 명목상의 인물이었습니다.
역사적으로 국제 연맹(1920~1946)과 국제 연합(1945) 설립 당시 인도의 국가 원수는 총독을 통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치한 영국 군주였습니다.
3. 2. 1. 고위 공직자 임명
국가원수는 정부의 주요 관리 대부분 또는 전부를 임명하는 권한을 갖는다. 여기에는 정부 수반 및 기타 각료, 주요 사법 인물, 공무원, 외교관, 군 장교 등이 포함된다.[42]의원내각제 국가에서는 정부 수반이 입법부의 동의를 얻어 임명되고, 다른 인물들은 정부 수반의 자문에 따라 임명된다. 예를 들어, 아일랜드에서는 대통령이 다일 에이린의 지명에 따라 타오이세흐를 임명한다.[43] 벨기에에서는 국왕이 장관을 임명하고 해임하며, 연방정부는 특정 조건 하에 국왕에게 사임을 제안한다.[44]
대통령제 국가에서는 대통령의 단독 재량으로 임명이 이루어지지만, 입법부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 경우가 많다. 미국에서는 상원이 고위 행정부 및 사법부 임명을 승인해야 한다.[42] 브라질에서는 대통령이 국무장관, 군 사령관, 브라질 연방 대법원 판사 등을 임명하고 해임할 권한을 갖는다.[41]
대한민국은 준대통령제 공화국으로, 국무총리는 대통령이 국회의 동의를 얻어 임명한다.[33]
스웨덴의 경우, 리크스다그 의장이 스웨덴 리크스다그의 투표 후 총리를 공식적으로 임명하고, 총리는 자신의 단독 재량으로 각료를 임명하고 해임한다.[67]
국가원수는 또한 직책 보유자를 해임할 수 있는 권한도 가지고 있다. 프랑스에서는 대통령이 총리에게 정부의 사퇴를 요청할 수 있다.[69]
일본에서는 1882년(메이지 15년) 군인 칙유에서 통수권은 천황에게 있으며 충절은 국가와 국권에 헌신하는 것으로 규정했다. 전후, 이 충성 선서는 자위대법 시행 규칙(39-42조)에 의해 규정되었으나,[129] 국가, 일본국 헌법, 법령 및 국민의 부탁에 선서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천황이나 내각총리대신에 대한 선서의 형태는 채택하지 않았다.[130] 한편 자위대법 제7조에 의해, 내각총리대신은 내각을 대표하여 자위대의 최고 지휘 감독권을 갖는다.
3. 2. 2. 외교적 역할
대한민국 대통령은 국가원수로서 외국에 대하여 국가를 대표한다(대한민국 헌법 제66조 제1항).[33] 국가원수는 외교 관계에 관한 비엔나 협약에 따라 파견국의 외교 사절단(대사 또는 교황 사절)의 수장으로부터 신임장을 받고, 자국의 대사(또는 고등판무관이나 교황 사절과 같이 드물게 등장하는 동등한 외교 사절단장)를 공식적으로 승인하며, 공식적인 신임장(그리고 임기 종료 시에는 소환장)을 다른 국가원수에게 보낸다.[47][48][49] 이러한 승인 없이는 외교 사절단장은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고 최고 외교 지위를 받을 수 없다.[48]
국가원수는 종종 국가를 대표하여 국제 조약에서 고위 계약 당사자로 지정되며, 직접 조약에 서명하거나 장관(정부 구성원 또는 외교관)이 자신의 이름으로 조약에 서명하게 한다.[51] 필요한 경우 이후 비준은 입법부에 달려 있다.[51]
몇몇 국가의 헌법 조항은 국가 원수의 외교적 역할에 대해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 '''리히텐슈타인 공국 헌법 제8조'''[20]
> 1) 통치 대공은 정부의 필요한 참여를 침해하지 않고 모든 대외 관계에서 국가를 대표한다.
> 2) 국가의 영토를 양도하거나, 국가 재산을 양도하거나, 국가의 주권 또는 특권에 영향을 미치거나, 공국이나 그 시민들에게 새로운 부담을 부과하거나, 리히텐슈타인 시민의 권리를 제한하는 의무를 부과하는 조약은 법적 효력을 얻기 위해 리히텐슈타인 국회의 동의가 필요하다.
- '''독일 연방 공화국 기본법 제59조 (1)'''[62]
> 연방 대통령은 연방의 국제 관계에서 연방을 대표한다. 그는 연방을 대표하여 외국과 조약을 체결한다. 그는 사절을 인정하고 받는다.
- '''프랑스 헌법 제2편 제14조'''[69]
> 프랑스 대통령은 외국에 대사와 특명 전권 대사를 인정한다. 외국 대사와 특명 전권 대사는 그에게 신임을 받는다.
- '''러시아 헌법 제4장 제86조 제4항'''[35]
> 러시아 연방 대통령:
> * 가) 러시아 연방의 외교 정책을 지휘한다.
> * 나) 러시아 연방의 국제 조약을 협상하고 서명한다.
> * 다) 비준서에 서명한다.
> * 라) 자신의 직책에 신임장과 소환장을 받는다.
-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제81조 제2항'''[54]
> 중화인민공화국 주석은 중화인민공화국을 대표하여 외국 외교 대표를 접견하고,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해외에 전권 대표를 임명하고 소환하며, 외국과 체결한 조약과 중요한 협정을 비준하고 폐지한다.
올림픽헌장에서는 근대 올림픽의 개회 선언은 개최국의 국가원수가 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다.[133]
3. 2. 3. 군사적 역할
국가원수는 그 국가의 군대의 최고사령관으로 명시되며, 모든 군 지휘 계통에서 최고 직책을 맡는다.[60][61][35][42][69][66]입헌군주제 또는 비집행부 대통령제에서 국가원수는 법적으로는 군대에 대한 최고 권한을 가지고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성문법 또는 불문율에 따라 책임 장관의 자문에 따라서만 권한을 행사한다. 즉, 군사 작전에 대한 사실상의 최종 의사 결정은 다른 곳에서 이루어진다. 국가원수는 실제 권한과 관계없이 국가 군대와 관련된 의전 의무를 수행하며, 이러한 목적으로 군복을 입고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군사 독재 또는 쿠데타로 인해 발생한 정부에서는 모든 권한이 군사력의 적용에서 비롯되므로 최고사령관의 지위가 명확하다. 때로는 전쟁으로 인해 발생한 권력 공백이 알베르 1세 국왕이 제1차 세계 대전 중에 그랬던 것처럼 국가원수가 정상적인 헌법적 역할을 넘어서면서 메워진다.
의회제도를 가진 일부 국가에서는 국가원수 이외의 관리에게 최고사령관 권한을 부여한다.
- 독일에서는 기본법이 평시에는 국방부 장관에게(제65a조), 방위상태가 선포되면 연방총리에게(제115b조) 이 권한을 부여한다.[62]
- 이스라엘에서는 해당 기본법이 이스라엘 방위군에 대한 최고 권한이 집단적 기관인 이스라엘 정부에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정부의 권한은 정부를 대신하여 국방부 장관이 행사하며, 장관에게 종속적인 참모총장은 군 내에서 최고 지휘권을 갖는다.[63]
공산주의 국가의 군대는 공산당의 절대적인 통제하에 있다.
- 중국에서 최고사령관은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이지 중국 주석이 아니다. 그러나 실제로 이 직책들은 같은 사람이 맡고 있으며, 그는 중국 공산당 총서기이기도 하다.
3. 3. 입법적 역할
국가원수는 입법부의 연례 회의를 개회하고, 의회에서 통과된 의안에 서명하여 법률로 제정하는 역할을 한다. 대부분의 의회 제도에서 국가원수는 법안에 대한 서명을 거부할 수 없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재량권을 가지기도 한다.[64][20][65][35][42][41][66] 예를 들어, 스웨덴에서는 국가 원수가 의회 개회 선언을 하고,[64] 리히텐슈타인에서는 법률이 재가를 받아야 효력을 얻는다.[20] 이스라엘 대통령은 법률에 서명하며,[65] 러시아 대통령은 법률안 제출, 서명 및 공포, 연방의회 연설 등의 권한을 갖는다.[35] 미국과 브라질 대통령은 법률안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다.[42][41] 카타르 국왕은 법률안 승인을 거부할 수 있지만, 의회에서 3분의 2 이상의 찬성으로 재의결하면 법률을 비준하고 공포해야 한다.[66]또한, 국가원수는 국가 입법부를 소집하고 해산할 권한을 갖는 경우가 있다. 의원내각제에서는 보통 정부수반의 자문에 따라 행사되지만, 일부 의원내각제나 대통령제에서는 국가원수가 독자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43][69][35]
3. 4. 사법적 역할
국가원수는 사법권을 독점하며, 법원이 1차적으로 심리권과 판결권을 갖지만, 최종적으로 국가원수가 사면권을 독점하여, 국가원수의 의사에 반하는 판결을 무효화시킨다.[1]3. 5. 기타 권한
국가원수는 훈장 수여, 작위 수여, 비상 권한 발동 등 다양한 권한을 가진다.- 훈장 및 작위 수여:
- 벨기에 헌법 113조에 따르면, 국왕은 귀족 작위를 수여할 수 있지만, 특권 부여는 불가하다.[44]
- 노르웨이 헌법 23조에 따르면, 국왕은 훈장을 수여할 수 있지만, 직책 이외의 계급이나 칭호는 부여하지 않는다. 훈장은 시민의 의무를 면제하거나 국가 고위직에 대한 우선권을 주지 않는다.[61]
- 이탈리아 헌법 87조 8항에 따르면, 대통령은 공화국의 명예 훈장을 수여한다.[30]
- 비상 권한:
- 프랑스 헌법 16조에 따르면, 국가 비상사태 시 대통령은 총리, 상하원 의장, 헌법위원회와 협의 후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의회는 자동 소집되며, 국민의회는 비상 권력 행사 중 해산될 수 없다.[69]
- 카타르 헌법 69조 및 70조는 국왕에게 계엄령 선포 및 법률 효력을 가진 법령 발부 권한을 부여한다. 단, 계엄령은 알슈라 협의회의 승인을 받아야 연장 가능하며, 법령은 협의회에 제출되어 거부될 수 있다.[66]
- 사면권:
- 덴마크 헌법 24조에 따르면, 국왕은 사면과 특사를 할 수 있다. 단, 탄핵재판소에서 유죄 판결을 받은 장관은 의회 동의가 필요하다.[37]
- 독일 기본법 60조 2항에 따르면, 대통령은 연방을 대신하여 개별 범죄자에 대한 사면권을 행사한다.[62]
- 프랑스 헌법 17조에 따르면, 대통령은 개별 사면권을 가진다.[69]
- 미국 헌법 제2조 2항은 대통령에게 탄핵 사건을 제외한 범죄에 대한 형 집행 유예 및 사면 권한을 부여한다.[42]
- 나우루 헌법 80조에 따르면, 대통령은 사면, 형 집행 유예, 형벌 대체, 형벌 및 벌금 면제 권한을 가진다.[23]
4. 국가원수의 지위 획득
국가원수의 지위는 다양한 방법으로 획득된다. 고대 로마에서 시작된 최초의 국가원수 형태는 아우구스투스 카이사르가 시초이며, 이는 넓은 영토를 효과적으로 다스리기 위한 목적이었다. 주로 제정 국가에서 나타나는 형태이다.
국가원수는 보통 나라의 3권(입법, 행정, 사법)을 행사하며, 전제군주(황제 등)가 이러한 권한을 행사하는 경우가 많았다. 군사 최고 지휘권도 보유하며, 군대에 대한 권력은 절대적인 특성을 지닌다. 그러나 현대에는 입헌군주제, 내각제, 공화제를 채택하는 국가가 많아 이러한 형태는 드물다.
4. 1. 허구 또는 명령에 의한 획득
권력은 힘에서 비롯될 수 있지만, 공식적인 정통성은 종종 확립되는데, 비록 허구적인 연속성 주장(예: 이전 왕조로부터의 위조된 혈통 주장)에 불과하더라도 그렇다.[84] 의도적인 행위에 의해 주권이 부여된 경우도 있는데, 심지어 계승 서열을 동반하는 경우(왕조 분열의 경우와 같이)도 있다.[84] 이러한 주권 부여는 일반적으로 민족주의 반란 후에 부여되는 자결권과 마찬가지로 강제적인 경우가 많다.[84] 헬레니즘 시대 페르가몬의 마지막 아탈로스 왕조 왕이 재앙적인 정복을 피하기 위해 자신의 영토를 로마에 유언으로 남긴 것이 그 예이다.[84]4. 2. 신의 임명에 의한 획득
이전 출력은 주어진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 제목에 맞는 내용이 없다는 점을 올바르게 지적했습니다. 따라서 내용을 추가하거나 수정할 수 없습니다. 이전 출력과 동일하게 유지합니다.```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신의 임명에 의한 획득'이라는 섹션 제목에 부합하는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 대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4. 3. 사회 계약에 의한 획득
사회계약 개념은 국가—전체 국민 또는 유권자—가 환호 또는 선거를 통해 권한을 위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1]4. 4. 헌법에 의한 획득
각 국가의 헌법은 국가원수의 자격을 규정하며, 새로운 정부 형태를 수립하는 과정에서 국가원수가 선임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이탈리아 헌법의 제1조 과도 조항에는 헌법 발효와 동시에 Capo provvisorio dello Stato|임시 국가 원수it가 자동으로 이탈리아 대통령이 된다고 명시되어 있다.[84] 이러한 방식의 극단적인 예로 세이셸이 있는데, 1976년 독립 헌법 제31조는 제임스 만참이 독립 직전 식민지 세이셸의 총리였다는 사실이 아니라, 이름으로 첫 번째 세이셸 대통령이 된다고 명시하고 있다.[84]4. 5. 세습적 계승에 의한 획득
군주제에서 국가원수는 일반적으로 세습을 통해 결정된다. 입헌 군주제에서는 통치자의 권한 행사에 제한이 있으며, 출생 이외의 다른 방법으로 계승자를 선택하는 것을 금지하는 경우가 많다.[85] 세습 군주제에서 군주직은 법령이나 관습에 따른 왕위 계승 순위에 따라, 일반적으로 역사적인 왕조 또는 혈통을 통해 기원을 추적하는 하나의 왕가 내에서 계승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왕위 계승자가 군주가 되기 오래 전에 알려져 원활한 계승을 보장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유럽 역사에서 불확실한 계승은 종종 왕위 계승 전쟁으로 이어졌다.장자 상속 제도는 군주의 장자가 왕위 계승 순위에서 첫 번째가 되는 제도로, 세습 군주제에서 가장 일반적인 제도이다. 계승 순위는 일반적으로 성별에 관한 규칙의 영향을 받는다. 역사적으로 "장자 계승" 또는 "부계 계승"이 선호되었는데, 이는 군주 또는 가장의 아들들 사이의 출생 순위에 따른 상속으로, 아들과 그들의 남성 후손이 형제와 그들의 남성 후손보다 먼저 상속받고, 여성과 여성을 통한 후손은 계승에서 완전히 배제되는 것을 의미한다.[85] 여성을 왕조 계승에서 완전히 배제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살리카 법의 적용으로 불린다. 장자 상속의 또 다른 변형은 소위 반살리카 법 또는 "부계·모계 장자 상속"으로, 여성이 특정 입법자의 남성 계보에 있는 모든 남성 후손이 사망한 경우에만 계승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이었다.[86][87]
장자 상속 제도가 유럽 법과 전통에 확립되기 전에는, 왕들은 종종 그들의 계승자(일반적으로 장남)를 자신의 생애 동안 왕위에 즉위시킴으로써 계승을 확보했으며, 따라서 한때 섭정 – 상왕과 소왕 – 두 명의 왕이 있었다. 영국의 젊은 왕 헨리와 프랑스의 초기 직계 카페 왕가가 그 예이다.
그러나 때때로 장자 상속 제도는 여성 계보를 통해 작용할 수 있다. 어떤 제도에서는 공통 조상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남성 계보가 소멸된 경우에만 여성이 군주로 통치할 수 있다. 1980년 스웨덴은 1810년 왕위 계승법을 개정하여 성별에 관계없이 장자가 왕위를 계승하는 완전 계통 장자 상속 제도를 선포한 최초의 군주국이 되었다.[88] 이후 다른 유럽 군주국들(네덜란드(1983년), 노르웨이(1990년), 벨기에(1991년))도 이와 같은 개혁을 따랐다. 유사한 개혁이 2011년에 영국과 다른 영연방 왕국에 대해 제안되었고, 영향을 받는 모든 국가의 승인을 받은 후 2015년에 발효되었다. 때로는 종교가 영향을 미치는데, 1701년 정착법에 따라 모든 로마 가톨릭교도와 로마 가톨릭교도와 결혼한 모든 사람은 영국 군주가 될 자격이 없으며 계승 순위에서 제외된다.
다른 세습 계승 제도로는 탄스트리가 있는데, 이는 반선거 제도이며 공로와 장자 계승에 무게를 둔다. 사우디아라비아와 같은 일부 군주국에서는 왕위 계승이 일반적으로 먼저 군주의 다음 장남에게, 그 후에야 군주의 자녀에게 이어진다(장자 계승).
4. 6. 선거에 의한 획득
일반적으로 공화국에서 선거는 헌법에 따라 국가원수를 선출하는 방법이다. 국민이 직접 투표하거나, 의회 의원 또는 특별 선거인단이 간접적으로 투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은 선거인단을 통해 간접 선거를 한다. 아랍에미리트와 말레이시아처럼 연방 국가에서는 구성 군주국 국가원수들이 자신들 중에서 연방 국가원수를 선출하기도 한다. 바티칸 시국의 국가원수인 교황은 80세 미만의 추기경들이 교황 선거를 통해 선출한다.[89]5. 국가원수의 지위 상실
국가원수는 사망, 헌법상 임기 만료, 퇴위 또는 사임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지위를 상실할 수 있다. 퇴위는 일방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는 경우도 있는데, 영국의 에드워드 8세의 경우처럼 의회의 승인을 받아야만 효력이 발생한다. 헌법 개정으로 직책이 폐지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재직자는 임기를 마칠 수 있도록 허용될 수 있다. 국가 자체가 소멸하면 국가원수의 지위도 존재하지 않게 된다.
국가원수는 일반적으로 광범위한 불가침성을 누리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최고 입법부 또는 사법부가 예외적인 사유로 국가원수의 권한을 박탈할 수 있는 탄핵 또는 유사한 헌법 절차를 허용한다. 이는 일반적인 범죄, 정치적 죄 또는 국가원수가 군주에게 필수적인 기존 종교와 같은 조항을 위반하는 행위일 수 있다. 유사한 절차에 따라 원래의 권한이 무효로 선언될 수도 있다.
6. 전직 국가원수
전직 국가원수는 퇴임 후에도 개인적인 영향력을 유지하거나, 특정 칭호와 권한을 계속 보유할 수 있다. 미국의 전직 대통령들은 비록 공식적인 직권은 없지만, 국내외 정치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경우가 있다. 벨기에의 레오폴드 3세처럼 퇴위 후에도 왕실 가족을 유지하는 경우도 있다.[94][95][96]
나폴레옹의 경우, 엘바 섬에서 제한적이나마 군주로서의 지위를 유지했으나, 백일천하 이후 빈 회의를 통해 모든 특권을 박탈당하고 세인트헬레나 섬으로 유배되었다.
폐위된 군주가 예우 칭호를 계속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콘스탄티노스 2세는 그리스 왕위에서 물러난 후에도 유럽 왕실 행사에서 여전히 왕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았다.[94][95][96] 그러나 헬레닉 공화국은 전직 왕족의 칭호 사용을 반대하며, 시민권 취득을 제한하기도 했다. 콘스탄티노스 2세는 이 문제로 유럽 인권 재판소에 소송을 제기했으나 패소했다.[97][98]
다른 국가에서는 폐위된 군주가 이전 칭호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관대하며, 외교 여권을 통한 국제 여행을 허용하기도 한다.
이탈리아 헌법은 전직 대통령에게 '이탈리아 공화국 명예 대통령' 칭호를 부여하고, 종신 상원의원 자격, 면책 특권, 항공편 이용, 공식 거주지 등의 특권을 보장한다.
전직 국가원수는 기념비, 기념관, 초상 등을 통해 그들의 업적과 역사적 의미를 기리기도 한다. 예를 들어, 독일 베를린에는 통일 독일의 초대 황제 카이저 빌헬름 1세를 기리는 카이저 빌헬름 1세 국립 기념비가 세워졌었다.[90] 런던 버킹엄 궁전 앞에는 빅토리아 기념비가, 인도 콜카타에는 빅토리아 기념비가 세워져 빅토리아 여왕의 통치를 기념하고 있다.[91] 미국의 러시모어 산 국립 기념물은 미국의 영토 확장을 상징하는 조각상 군으로, "민주주의의 성지"로 불리기도 한다.[92][93]
7. 다수 국가의 공동 국가원수
복합 군주국에서는 한 사람이 여러 국가의 군주를 동시에 맡는 경우가 흔했다. 영연방 왕국들은 현재 찰스 3세를 국왕으로 공유한다. 영국을 제외한 왕국에서는 총독이 군주를 대리하여 거의 모든 왕실 특권을 행사한다.[76] 총독은 일반적으로 관련 총리의 자문에 따라 임명되지만, 때로는 관련 의회의 투표 결과에 따라 임명되기도 한다. 파푸아뉴기니와 솔로몬 제도가 그러한 경우이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총독과 주지사들이 국왕의 "대표자"로 정의되기 때문에 현 국왕이 일반적으로 국가 원수로 간주된다.[76] 그러나 총독이 거의 모든 국가적 왕실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정치 및 언론 논의에서 때때로 국가 원수로 언급되기도 했다. 뉴질랜드,[28] 파푸아뉴기니,[77] 투발루[78]는 명시적으로 군주를 국가 원수로 명명한다(하지만 투발루 헌법은 "국가 원수에 대한 법률의 언급은 총독에 대한 언급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79]고 명시한다).
총독은 국가 및 공식 방문에서 종종 국가 원수로 취급되며, 국제 연합에서는 군주 외에 국가 원수의 지위를 부여받는다.[11]
헌법 관례를 벗어난 총독의 예로는 1926년 캐나다 총독이 의회 해산과 총선을 요청하는 정부 수반의 공식적인 자문을 거부한 사건과, 1975년 오스트레일리아 헌법 위기 때 총독이 예상치 못하게 총리를 해임한 사건이 있다.
현재 찰스 3세의 부왕 대표자로 총독을 두고 구성된 영연방 왕국은 앤티가 바부다, 바하마, 벨리즈, 그레나다, 자메이카, 뉴질랜드, 세인트 키츠 네비스, 세인트루시아,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이다.
8. 종교적 국가원수
고대부터 여러 왕조나 통치자들은 왕권신수설처럼 신의 권위에 의한 통치권을 주장해왔다.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교황은 교황령의 최고 통치자이자 국가 원수였으며, 이탈리아 통일 이후 바티칸 시국의 국가 원수로 남아 있다. 또한, 우르젤 주교는 '''직권에 의하여''' 안도라의 두 공후 중 한 명이다. 잉글랜드 교회에서는 재위 중인 군주가 신앙 수호자라는 칭호를 가지고 잉글랜드 교회의 최고 통치자로서 역할을 하지만, 이것은 순전히 상징적인 역할이다.[134]
이슬람 초기에는 칼리파들이 무함마드의 영적이자 현세적인 절대적인 계승자였다. 그 이후 다양한 정치적 이슬람 지도자들이 자신을 '칼리파'라고 칭하며 왕조의 국가 원수 역할을 수행했다. 역사적으로, ''이맘국''으로 알려진 일부 신정 이슬람 국가들은 오만, 예멘, 사우디아라비아와 같이 이맘이 국가 원수로 이끌었다.[134]
이란 이슬람 공화국에서는 현재 알리 하메네이가 국가 원수로서 최고 지도자 역할을 하고 있다. 시아파 이슬람의 니자리파를 이끄는 아가 칸은 한때 영국 인도의 왕국에 속했으며, 오늘날까지도 계속되고 있다.[134]
힌두교에서는 특정 왕조들이 국가의 수호신에 대한 "종복"이라는 칭호를 채택했는데, 이는 부재중인 신왕 아래의 총독과 같은 의미로, 수호신(여신)의 이름으로 통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트라반코르의 마하라자인 파드마나바 다사(비슈누의 종복)의 경우가 그러하다.[134]
5대 달라이 라마 시대부터 2011년 14대 달라이 라마의 정치적 은퇴까지, 달라이 라마들은 티베트의 정치적, 영적 지도자("신왕")를 겸임했다.[134]
칭기즈칸 제국 왕조의 옛 고향이었던 몽골은 1585년부터 다양한 방식을 사용하는 또 다른 티베트 불교 신권 정치 국가였다. 1924년 공산주의 몽골 인민 공화국의 수립으로 이러한 정권은 대체되었다.[134]
신정 정치 하에서는, 신성한 지위가 신법 아래 현세적 권위로 해석되었다. 이는 국가의 권위 위에 최고의 신권을 부여하여 사제 계급에게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단을 제공하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134]
현재의 사례는 다음과 같다.[134]
- 로마 교황 - 바티칸 시국 국가원수와 가톨릭 교회의 수장을 겸임
- 영국 국왕 - 영국 국왕과 잉글랜드 국교회의 지상에서 유일무상의 수장을 겸임
- 덴마크 국왕 - 덴마크 국교회(루터파) 수장
- 노르웨이 국왕 - 노르웨이 국교회(루터파) 수장
과거의 사례(근대 이후)는 다음과 같다.[134]
- 중국의 황제는 천명을 받들어 천자로서 하늘을 제사 지내는 제정의 총괄자였다.
- 오스만 제국의 술탄은 이슬람의 수장인 칼리프의 칭호를 가지고 있었으며, 오스만 제국의 붕괴 후에는 헤자즈 왕이 칼리프를 자칭했다.
- 몬테네그로에서는 중세 이래 체티녜의 주교가 "주교 공"으로서 지배하고 있었으며, 16세기 이후 페트로비치-네고시 가문이 그 지위를 유지했다.
- 네팔 왕국의 군주는 힌두교의 신 비슈누의 화신으로 여겨졌다.
- 티베트에서는 1959년까지 달라이 라마가 국가원수와 티베트 불교의 법왕을 겸임했다. 1959년에 발족한 티베트 망명 정부에서도 달라이 라마는 국가원수와 티베트 불교의 최고 지도자를 겸임했다. 그러나 2011년 5월 28일 망명 티베트인 헌장이 개정되면서 달라이 라마는 정치적 권한을 '''망명 정부 주석 대신'''에게 위임했고, 동 대신이 티베트 망명 정부의 국가원수가 되었다. 달라이 라마는 "티베트와 티베트인의 '''수호자'''이자 '''상징'''"이 되었다.
- 일본의 천황은 메이지 시대부터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까지 국가 신도(신사 신도)의 정점에 서서 현인신으로 불렸다. 현재 황실 신도는 신사 신도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며, 천황은 신사 본청의 장이 아니다. 다만, 현재에도 전통적으로 황실은 대전제 등을 비롯한 많은 신도의 제사를 집행하고, 이세 신궁과 칙제사에 정기적으로 칙사를 파견하고 있다.
9. 복수의 국가원수 또는 집단 국가원수
때때로 여러 사람이 동등하게 국가원수가 되거나, 법인이 국가원수의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어떤 경우에는 임기가 진행됨에 따라 집단 구성원 간에 우선순위가 순환하기도 한다. 여러 왕실 제도 중 두 명의 통치자가 있는 이원정치는, 군주제에서 여러 통치자의 예외적인 시기를 경험하는 섭정과는 구별된다. 집단 공화제의 예로는 명목상의 삼두정치, 1790년대의 프랑스 디렉토리, 각 구성원이 1년 동안 순차적으로 대통령으로서 활동하는 7명의 스위스 연방평의회, 세 국가 출신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대통령단, 이탈리아 중세 공화국들의 전통을 유지하는 두 명의 섭정이 있는 산마리노가 있다. 이탈리아 중세 공화국들은 항상 짝수의 집정관을 두었다.
로마 공화정에는 집정관이라는 명칭의 국가원수 두 명이 있었으며, 두 사람 모두 임기 중 한 달씩 번갈아 권한을 행사했다. 마찬가지로 고대 이탈리아 공화국들에도 짝수의 최고 관리가 있었다. 아테네 공화정에는 아르콘이라는 명칭의 최고 관리 9명이 있었다. 카르타고에는 왕 또는 수페테스(판사)라는 명칭의 최고 관리 두 명이 있었다. 고대 스파르타에는 두 개의 왕조에 속한 두 명의 세습 왕이 있었다.
소비에트 연방에서는 1938년부터 1989년까지 최고회의 의장단이, 그 이전에는 1922년부터 1938년까지 중앙집행위원회(CEC)가 소비에트 대회의 집단 국가원수 역할을 했다.[82]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비에트 연방의 모델은 그 영향권에 속한 거의 모든 국가에서 채택되었다. 이 기간 동안 체코슬로바키아는 단독 국가원수 형태의 대통령직을 유지한 유일한 국가였으며, 처음에는 서구식 헌법(그리고 따라서 서구식 대통령직)을 가졌던 폴란드와 헝가리는 소비에트 영향을 받은 새로운 헌법을 채택하면서 의장단 모델로 전환했고, 소비에트 점령 이전에 군주제였던 루마니아는 1974년 독재자 니콜라에 차우셰스쿠에 의해 집단 국가원수에서 단일 대통령직으로 전환한 유일한 국가였다.[83]
집단 국가원수의 현대적 예로는 수단 주권평의회가 있는데, 이는 수단의 임시 통치 기구이다. 주권평의회는 11명의 장관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오마르 알 바시르 대통령의 몰락 이후 수단의 모든 정부 기능을 행사해 왔다. 결정은 합의 또는 특별 다수결 투표(8명)로 이루어진다.
1928년에 설립된 중화민국 국민정부는 약 40명의 패널을 집단 국가원수로 두었다. 그 해부터 임시 헌법이 중국국민당을 유일한 정부 당으로 만들었고, 국민정부는 그 당의 중앙집행위원회의 지시에 묶였다.
10. 국가원수의 정당성
국가원수의 지위는 여러 방식으로, 그리고 여러 정당성 근거를 가지고 확립될 수 있다.
11. 국가원수 관련 기타 내용
대일본제국헌법에서는 천황을 국가원수로 규정했지만, 일본국헌법을 비롯한 현행 일본 법률에는 국가원수에 대한 규정이 없다.[125][126][127] 내각법제국은 천황을 국가원수라고 부를 수 있는지는 정의에 따라 다르다고 하고 있다. 헌법학계에서는 논의가 있으며, 다수설은 내각 또는 내각총리대신 국가원수설이며, 국가원수 부재설 등도 있다. 외교 관례상으로는 천황은 국가원수와 동등한 대우를 받고 있다.[128]
국가원수의 관례로는 "군인은 누구에게 충성을 맹세하는가" 또는 "자국에서 개최된 올림픽 개막식의 개막 선언은 누가 하는가" 등이 있다. 국가원수와 정부수반 및 외무대신에 대해서는 관례에 따라 상대국에 의한 외교관 수락이 없더라도 외교적 특권이 인정된다. 여권이나 비자의 취급도 달라, 예를 들어 일본에서는 황후를 제외한 황족이 외교 시에 사용하는 여권은 외교 여권이며, 천황과 황후는 여권이 필요 없다. 공식 방문 시에는 수용(수락)국에 보호 의무가 발생한다.
고대 로마 시대부터 군대는 로마 제국(로마법에 의해 인정된 지휘권)에 대한 충성 맹세를 행하는 것이 정군 관계의 기본으로 여겨져 왔다. 일본에서는 1882년(메이지 15년) 군인 칙유에서 통수권은 천황에게 있으며 충절은 국가와 국권에 헌신하는 것으로 규정했다. 전후, 이 충성 선서는 자위대법 시행 규칙(39-42조)에 의해 규정되었으나,[129] 국가, 일본국 헌법, 법령 및 국민의 부탁에 선서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천황이나 내각총리대신에 대한 선서의 형태는 채택하지 않았다.[130] 한편, 자위대법 제7조에 의해, 내각총리대신은 내각을 대표하여 자위대의 최고 지휘 감독권을 갖는다고 한다. 참고로, 복무 선서는 국가 공무원 일반직(국가공무원법 제97조[131]), 지방 공무원 일반직(지방공무원법 제31조[132])에서도 요구된다.
올림픽헌장에서는 근대 올림픽의 개회 선언은 개최국의 국가원수가 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다.[133] 일본에서 개최된 근대 올림픽(1964년 도쿄, 1972년 삿포로, 1998년 나가노, 2021년 도쿄)에서는 모두 천황이 개회 선언을 했다.[128] 개인으로서의 국가원수가 없다고 여겨지는 스위스에서는 두 차례의 올림픽(1928년 생모리츠, 1948년 생모리츠)에서 모두 그 해의 연방 대통령이 개회 선언을 했다. 1980년 소비에트 연방에서 개최된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에서는 최고회의 의장단 의장 레오니드 브레즈네프가 개회 선언을 했다. 영연방에서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엘리자베스 2세가 캐나다 여왕으로서 개회 선언을 했다. 헌장이 제정되기 전에는 각료나 유력자가, 국가원수가 참석할 수 없는 경우에는 국가원수에 준하는 인물(왕배나 부통령 등)이 개회 선언을 한 적이 있다.
국가원수가 종교 지도자를 겸임하는 현재의 사례는 다음과 같다.
- 로마 교황 - 바티칸 시국 국가원수와 가톨릭 교회의 수장을 겸임
- 영국 국왕 - 영국 국왕과 잉글랜드 국교회의 지상에서 유일무상의 수장을 겸임
- 덴마크 국왕 - 덴마크 국교회(루터파) 수장
- 노르웨이 국왕 - 노르웨이 국교회(루터파) 수장
국가원수가 종교 지도자를 겸임했던 과거의 사례(근대 이후)는 다음과 같다.
- 중국의 황제는 천명을 받들어 천자로서 하늘을 제사 지내는 제정의 총괄자였다.
- 오스만 제국의 술탄은 이슬람의 수장인 칼리프의 칭호를 가지고 있었으며, 오스만 제국의 붕괴 후에는 헤자즈 왕이 칼리프를 자칭했다.
- 몬테네그로에서는 중세 이래 체티녜의 주교가 "주교 공"으로서 지배하고 있었으며, 16세기 이후 페트로비치-네고시 가문이 그 지위를 유지했다.
- 네팔 왕국의 군주는 힌두교의 신 비슈누의 화신으로 여겨졌다.
- 티베트에서는 1959년까지 달라이 라마가 국가원수와 티베트 불교의 법왕을 겸임했다. 1959년에 발족한 티베트 망명 정부에서도 달라이 라마는 국가원수와 티베트 불교의 최고 지도자를 겸임했다. 그러나 2011년 5월 28일 망명 티베트인 헌장이 개정되면서 달라이 라마는 정치적 권한을 '''망명 정부 주석 대신'''에게 위임했고, 동 대신이 티베트 망명 정부의 국가원수가 되었다. 달라이 라마는 "티베트와 티베트인의 '''수호자'''이자 '''상징'''"이 되었다.
- 일본의 천황은 메이지 시대부터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까지 국가 신도(신사 신도)의 정점에 서서 현인신으로 불렸다. 현재 황실 신도는 신사 신도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며, 천황은 신사 본청의 장이 아니다.[134] 다만, 현재에도 전통적으로 황실은 대전제 등을 비롯한 많은 신도의 제사를 집행하고, 이세 신궁과 칙제사에 정기적으로 칙사를 파견하고 있다.
12. 참고 문헌
- 현직 국가 및 정부 수반 목록
- 외교적 서열에 따른 국가 원수 목록
- 재위 기간이 가장 긴 현직 군주 목록
- 연도별 국가 지도자 목록
- 국가 원수 기록
- '''세계 지도자들'''
참조
[1]
서적
The head of state being an embodiment of the State itself or representative of its international persona.
[2]
서적
[3]
서적
European Politics
https://books.google[...]
Routledge
[4]
웹사이트
Whose Europe? National Models and the Constitution of the European Union
http://denning.law.o[...]
2014-12-23
[5]
학술지
The Managerial Constitution: The Convergence of Constitutional and Corporate Governance Models
https://digitalcommo[...]
[6]
서적
Freedom of speech: importing European and US constitutional models in transitional democracies
http://www.brownsbfs[...]
Routledge
2014-12-23
[7]
학술지
Postcolonial Collages: Distributions of Power and Constitutional Models, With Special Reference to South Africa
2003-03-01
[8]
서적
[9]
뉴스
Belgian King, Unable to Sign Abortion Law, Takes Day Off
https://www.nytimes.[...]
1990-04-05
[10]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Belgium
http://home.scarlet.[...]
2014-12-10
[11]
웹사이트
HEADS OF STATE, HEADS OF GOVERNMENT, MINISTERS FOR FOREIGN AFFAIRS
https://www.un.int/p[...]
Protocol and Liaison Service, United Nations
2016-04-15
[12]
웹사이트
Japan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12-11-11
[13]
웹사이트
Duties of the Monarch
http://www.kungahuse[...]
2012-11-01
[14]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Israel
https://knesset.gov.[...]
[15]
이미지
Lansdowne portrait
[16]
뉴스
Ending Term Limits for China's Xi Is a Big Deal. Here's Why. - Is the presidency powerful in China?
https://www.nytimes.[...]
2018-03-10
[17]
웹사이트
EXECUTIVE: THE PRESIDENT OF THE CHINESE REPUBLIC
http://www.kkhsou.in[...]
Krishna Kanta Handique State Open University
[18]
뉴스
A simple guide to the Chinese government
https://multimedia.s[...]
[19]
뉴스
China sets stage for Xi to stay in office indefinitely
https://www.reuters.[...]
2018-02-25
[20]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Principality of Liechtenstein (LR 101)
http://www.icla.up.a[...]
2014-08-03
[21]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South Africa, 1996
http://www.justice.g[...]
Department of Justice and Constitutional Development
2014-08-03
[22]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Botswana
http://www.botswanae[...]
Embassy of the Republic of Botswana in Washington DC
2012-11-11
[23]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NAURU
http://www.naurugov.[...]
Parliament of Nauru
2012-11-11
[24]
웹사이트
The Crown in Canada
http://www.pch.gc.ca[...]
Department of Canadian Heritage
2014-08-31
[25]
웹사이트
The Queen's role in Canada
http://www.royal.gov[...]
Royal Household
2012-11-02
[26]
웹사이트
Olympic Charter: in force as of 2 August 2016
https://stillmed.oly[...]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2016-09-13
[27]
웹사이트
SPANISH CONSTITUTION
http://www.senado.es[...]
Senate of Spain
2012-11-02
[28]
웹사이트
Constitution Act 1986
http://www.legislati[...]
New Zealand Parliamentary Counsel Office
2013-08-28
[29]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Japan
http://www.kantei.go[...]
Office of the Prime Minister
2012-11-02
[30]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Italian Republic
http://www.senato.it[...]
Senate of the Republic
2012-11-02
[31]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Iraq
http://www.iraqinati[...]
2014-08-03
[32]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PORTUGUESE REPUBLIC: SEVENTH REVISION (2005)
http://www.tribunalc[...]
Portuguese Constitutional Court
2012-11-02
[33]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http://english.ccour[...]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2012-11-02
[34]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Lithuania
http://www3.lrs.lt/h[...]
Seimas
2012-11-02
[35]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ussian Federation
http://www.governmen[...]
Government of the Russian Federation
2012-11-02
[36]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ARGENTINE NATION
http://www.senado.go[...]
2012-11-16
[37]
웹사이트
My Constitutional Act with explanations, 9th edition
http://www.thedanish[...]
The Communications Section
2012-11-11
[38]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as in force on 1 June 2003 together with proclamation declaring the establishment of the Commonwealth, letters patent relating to the Office of Governor-General, Statute of Westminster Adoption Act 1942, Australia Act 1986.
http://www.comlaw.go[...]
Government of Australia
2012-11-11
[39]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http://www.hellenicp[...]
Publications Department
2012-11-11
[40]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India, Part V
http://lawmin.nic.in[...]
2012-11-11
[41]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Federative Republic of Brazil: 3rd Edition
https://web.archive.[...]
2012-11-13
[42]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https://www.archives[...]
2012-11-11
[43]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Ireland
http://www.irishstat[...]
2014-08-03
[44]
웹사이트
The Belgian Constitution
http://www.dekamer.b[...]
Legal Department
2012-11-11
[45]
서적
Robertson
[46]
서적
Roberts
[47]
서적
Roberts
[48]
웹사이트
Vienna Convention on Diplomatic Relations 1961
http://legal.un.org/[...]
United Nations
2012-10-15
[49]
서적
Roberts
[50]
웹사이트
Vienna Convention on Diplomatic Relations
https://treaties.un.[...]
United Nations
2017-06-27
[51]
서적
Roberts
[52]
간행물
Treaty of Lisbon (OJ C 306)
http://eur-lex.europ[...]
EUR-Lex
2007-12-17
[53]
웹사이트
Treaty on European Union (92/C 191/01)
http://eur-lex.europ[...]
EUR-Lex
2012-11-11
[54]
웹사이트
Constitution
http://english.gov.c[...]
2012-11-02
[55]
서적
Treaty-making and Australia: globalization versus sovereignty?
https://books.google[...]
Federation Press
[56]
서적
Law, policy and international justice: essays in honour of Maxwell Cohen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Press
2011-01-16
[57]
간행물
Canadian Practice in International Law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2011-01-16
[58]
웹사이트
Letters Patent Constituting the Office of Governor General of Canada
http://www.solon.org[...]
King's Printer for Canada
2009-05-29
[59]
웹사이트
The Governor General - the evolution of Canada's oldest public institution
http://archive.gg.ca[...]
Queen's Printer for Canada
2011-01-16
[60]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Act, 1867
http://www.solon.org[...]
2007-11-29
[61]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as laid down on 17 May 1814 by the Constituent Assembly at Eidsvoll and subsequently amended.
http://www.stortinge[...]
Information Service
2012-11-11
[62]
웹사이트
Basic Law for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https://www.btg-best[...]
2012-11-11
[63]
웹사이트
Basic Law of Israel: The Military
https://www.knesset.[...]
2011-11-11
[64]
웹사이트
The Riksdag Act
http://www.riksdagen[...]
2012-11-16
[65]
웹사이트
Basic Law of Israel: The President of the State
https://www.knesset.[...]
2012-11-11
[66]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State of Qatar
http://english.mofa.[...]
2012-11-17
[67]
웹사이트
The Instrument of Government
http://www.riksdagen[...]
2012-11-02
[68]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Czech Republic
http://www.hrad.cz/e[...]
2012-11-11
[69]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October 4, 1958
http://www.assemblee[...]
2012-11-11
[70]
뉴스
PLO body elects Abbas 'President of Palestine'
http://www.khaleejti[...]
2008-11-24
[71]
book
[72]
book
[73]
book
[74]
book
[75]
book
[76]
법률
Constitution, s 2; Australia Act 1986 (Cth and UK), s 7
[77]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Independent State of Papua New Guinea
http://www.wipo.int/[...]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1975-01-01
[78]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uvalu
http://www.paclii.or[...]
Pacific Islands Legal Information Institute
1978-01-01
[79]
논문
1978-01-01
[80]
웹사이트
Kerr's Statement Of Reasons
http://whitlamdismis[...]
2014-12-17
[81]
서적
Matters for Judgment
Macmillan
1978-01-01
[82]
서적
Ideology, Politics, and Government in the Soviet Union: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978-01-01
[83]
서적
The distinctiveness of Soviet law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2017-12-20
[84]
웹사이트
Seychelles Independence Constitution 1976 - Citizenship Rights in Africa Initiative
http://citizenshipri[...]
2022-07-24
[85]
간행물
Tronföljd
https://runeberg.org[...]
Nordisk familjebok
1920-01-01
[86]
간행물
Tronföljd
https://runeberg.org[...]
Nordisk familjebok
1920-01-01
[87]
간행물
Kvinnlig tronföljd
Statens offentliga utredningar
1977-01-01
[88]
웹사이트
Swedish Act of Succession (English Translation as of 2012)
http://www.riksdagen[...]
Riksdag
2013-08-28
[89]
book
1983-01-01
[90]
웹사이트
Deutsches Historisches Museum Berlin - Reinhold Begas - Monuments for the German Empire - Exhibition
http://www.dhm.de/ar[...]
2015-02-09
[91]
웹사이트
Frampton's Jubilee Monument for Queen Victoria
http://www.victorian[...]
2015-05-09
[92]
웹사이트
Mount Rushmore National Memorial
http://www.travelsd.[...]
2015-02-07
[93]
웹사이트
Mount Rushmore
http://www.history.c[...]
2015-02-07
[94]
웹사이트
Guests at the wedding ceremony: Wedding between Crown Princess Victoria and Mr Daniel Westling on Saturday 19 June 2010, 3.30 p.m., at Stockholm Cathedral
http://www.kungahuse[...]
Royal Court of Sweden
2012-11-12
[95]
웹사이트
Selected Guest List for the Wedding Service at Westminster Abbey
http://www.officialr[...]
The Royal Household
2012-11-12
[96]
웹사이트
Selected guest list for the wedding service at Cathédrale Notre-Dame de Luxembourg on October 20, 2012 at 11:00 a.m.
http://www.monarchie[...]
Government of Luxembourg
2012-11-12
[97]
웹사이트
THE FORMER KING CONSTANTINOS OF GREECE AND 8 MEMBERS OF HIS FAMILY v. GREECE
http://hudoc.echr.co[...]
European Commission of Human Rights
2012-11-12
[98]
웹사이트
CASE OF THE FORMER KING OF GREECE AND OTHERS v. GREECE
http://hudoc.echr.co[...]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2012-11-12
[99]
웹사이트
国家元首の英訳
https://eow.alc.co.j[...]
알크
2023-12-19
[100]
웹사이트
元首(げんしゅ)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DIGITALIO
2023-12-19
[101]
서적
憲法(第三版)
青林書院
1995-01-01
[102]
웹사이트
元首概念の再検討―その比較憲法的考察(法政治研究第9号)
https://www.jstage.j[...]
関西法政治研究会
2023-03-01
[103]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104]
웹사이트
元首(げんしゅ)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3-12-30
[105]
일반
리히텐슈타인 가문의 정치적 권한
[106]
웹사이트
リヒテンシュタイン公国
https://www.mofa.go.[...]
2023-12-05
[107]
웹사이트
リヒテンシュタイン(国)(りひてんしゅたいん)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3-12-05
[108]
위키
[109]
웹사이트
各国憲法集(11) スウェーデン憲法【第2版】
https://dl.ndl.go.jp[...]
2023-12-02
[110]
서적
象徴君主制憲法の現代的展開--象徴的国家元首論の観点から見た日本とスウェーデンとの比較考察
憲法研究(38)
2006
[111]
서적
イギリスにおける象徴君主制の成立
社会思想史研究1991 北樹出版
[112]
위키
[113]
웹사이트
半大統領制(ハンダイトウリョウセイ)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3-12-05
[114]
웹사이트
半大統領制(ハンダイトウリョウセイ)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3-11-30
[115]
위키
[116]
위키
[117]
위키
[118]
위키
[119]
위키
[120]
위키
[121]
웹사이트
外務省 各国元首一覧
https://www.mofa.go.[...]
[122]
위키
[123]
웹사이트
満州国|日本大百科全書・世界大百科事典|ジャパンナレッジ
https://japanknowled[...]
2023-11-07
[124]
논문
日本と「満州国」の立憲制 - 一九三四~一九三七年
https://nagoya.repo.[...]
2007-04-25
[125]
회의록
[126]
웹사이트
第118回国会参議院予算委員会会議録第6号
https://kokkai.ndl.g[...]
2022-07-17
[127]
회의록
[128]
웹사이트
天皇陛下がバッハ会長と競技場に入場、行進する選手団に拍手送る : 東京オリンピック2020速報 : オリンピック・パラリンピック
https://www.yomiuri.[...]
2021-07-23
[129]
법령
[130]
법령
[131]
법령
[132]
법령
[133]
웹사이트
オリンピック憲章第5章56
https://www.joc.or.j[...]
[134]
위키
[135]
논문
관련 논문
https://dl.nanet.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