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범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범선은 바람의 힘을 이용하여 항해하는 선박으로, 선박의 역사와 함께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15세기 대항해시대에 사각 돛을 단 여러 돛대를 가진 배가 일반화되었으며, 18세기와 19세기에 전열함과 상선이 등장하며 범선 시대가 정점에 달했다. 19세기에는 증기선과 공존하다가 연료 효율이 높은 증기선의 등장으로 쇠퇴하였지만, 20세기까지 상업용으로 운항되기도 하였다. 범선은 돛의 배치, 돛대의 수,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며, 선체, 돛대, 삭구, 돛의 구조와 작동 원리를 통해 바람의 힘을 이용하여 추진력을 얻는다. 현대에는 세일링 스포츠, 훈련선, 크루즈 여객선 등으로 활용되며, 친환경 운송 수단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범선 - 흑선
    흑선은 16세기 남만 무역 시대부터 19세기 페리 제독 내항까지 일본에 온 서양 선박을 지칭하는 용어로, 초기에는 검게 칠해진 포르투갈 무역선을, 이후에는 페리 제독의 증기선 함대를 가리키며 쇄국 시대를 종식시키고 일본 개항의 계기가 되었다.
  • 범선 - 클리퍼
    클리퍼는 속도를 중시하여 설계된 19세기 범선으로, 화물 적재 능력보다 속도를 우선시했으며, 차나 아편 등을 운송하는 데 사용되다가 수에즈 운하 개통과 증기선의 등장으로 쇠퇴했다.
  • 기술에 관한 - 잉크
    잉크는 글쓰기나 그림 그리기에 사용되는 색을 내는 액체 또는 반죽 형태의 물질로, 고대 이집트와 중국에서 발명된 후 인쇄술 발달과 함께 다양한 필기구 및 인쇄 기술에 활용되고 있으며, 성분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고 친환경 잉크도 개발되고 있다.
  • 기술에 관한 -
    책은 문자, 그림 등을 기록하고 전달하기 위해 여러 장의 종이를 묶어 만든 매체로, 고대 점토판, 파피루스부터 현대 전자책까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지식과 문화를 전달하고 보존하는 역할을 한다.
범선
지도 정보
개요
유형선박
동력바람
추진
관련 용어범선
역사
기원기원전 3000년경
발전기원전 1500년경: 고대 이집트에서 돛 사용
기원전 900년경: 페니키아에서 지중해 항해
기원후 1200년경: 폴리네시아에서 대양 항해
구조 및 유형
선체선체
주요 유형풀 리그드 쉽
바크
바르퀸틴
스쿠너
돛의 형태사각형 돛
가로 돛
세로 돛
항해
추진바람을 이용한 추진력
항해술항해 기술
문화적 의미
상징탐험
모험
교역
문학 및 예술다양한 문학 및 예술 작품에 등장
참고 자료
서적The Story of the Sea
Lost Kingdoms of Early Southeast Asia: Hindu-Buddhist Sculpture 5th to 8th century
추가 정보OED: ship
참고세일보트 (sailboat)
추가 이미지 및 파일
풀 리그드 쉽
바크
바르퀸틴
스쿠너
설명3개 돛대의 예시, 각 돛대에서 사각 돛에서 전부 앞뒤 돛으로 진행

2. 역사

범선은 인류 역사에서 오랫동안 중요한 이동 및 교역, 그리고 해상 전투의 수단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그 역사는 고대 문명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지역과 시대의 필요에 따라 범선은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변화해왔다.

초기 범선은 고대 이집트의 나일 강과 지중해 연안, 그리고 오스트로네시아 민족의 태평양인도양 항해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은 카타마란, 아웃리거, 크랩 클로 세일 등을 발명하여 기원전 3000년에서 1500년 사이에 광대한 해양 지역으로 확산했으며,[8][9] 이들의 대형 무역선은 한나라 시대 중국 기록에도 ''쿤룬 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10] 지중해에서는 이집트, 미노아 문명, 페니키아, 고대 그리스, 고대 로마 등이 사각 돛을 단 배를 발전시켰고, 때로는 노를 함께 사용하며 해상 활동을 벌였다.[22][23]

중세 시대에는 각 지역에서 독특한 범선들이 발달했다. 북유럽에서는 바이킹이 사각 돛과 노를 사용하는 롱쉽과 크나르를 이용해 광범위한 지역을 항해했으며,[24][25] 이후 코그선 등이 등장했다. 인도양에서는 아랍인과 인도인들이 삼각돛을 특징으로 하는 도우선을 이용하여 활발한 해상 무역 네트워크를 구축했다.[29] 동아시아에서는 중국의 정선이 발달했는데, 송나라 시기부터 건조되기 시작하여[15] 원나라 시대 군함의 기초가 되었고 명나라 시대에는 정화의 대규모 원정 함대에 사용되기도 했다.[14][18] 고려 역시 독자적인 조선술을 발전시켜 북송과의 교류 등에 사용될 대형 범선을 건조했다는 기록이 있다.

15세기부터 시작된 대항해시대는 범선 기술의 중요한 전환기였다. 나침반과 같은 항해 도구의 발전과 함께,[30] 카라크선과 카라벨선처럼 원양 항해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새로운 범선들이 등장했다.[31] 이 배들은 앞마스트와 중앙마스트에 사각 돛, 뒷마스트에 삼각돛을 조합하여 다양한 바람 조건에 대응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바스쿠 다 가마, 페르디난드 마젤란 등 유럽 탐험가들의 장거리 항해가 가능해졌다.[33][34][35]

18세기와 19세기는 범선이 기술적으로 정점에 달했던 시기로, 흔히 '범선 시대'라고 불린다. 이 시기에는 강력한 화력을 갖춘 대형 군함인 전열함이 해전의 주력이 되었고,[39] 상선 분야에서는 빠른 속도를 자랑하는 클리퍼가 등장하여 장거리 무역, 특히 무역 등에서 활약했다. 범선의 크기는 더욱 커지고 돛의 수도 늘어났으며, 철제 와이어나 철제 마스트, 윈치 등이 도입되어 건조 기술과 운용 효율성도 향상되었다.

그러나 19세기 중반 이후 증기선 기술이 발전하면서 범선은 점차 경쟁력을 잃기 시작했다. 특히 연료 효율이 개선된 복합식 및 삼중 팽창식 증기 기관의 등장은 증기선이 바람에 구애받지 않고 정기적인 운항을 가능하게 하여[6][7] 1880년대 이후 대부분의 무역 노선에서 범선을 대체하게 만들었다. 1869년 수에즈 운하 개통은 범선 시대의 종말을 더욱 앞당겼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철이나 강철로 건조된 대형 철선 범선들은 20세기 초까지 곡물, 구아노 등 대량 화물 운송에 계속 사용되었으며,[48] 일부 상업용 범선은 1960년경까지 운항되었다.[6]

현대에 이르러 범선은 상업적 운송 수단으로서의 역할은 거의 상실했지만, 해군 사관생도나 상선 사관을 위한 훈련선, 요트와 같은 레저 및 스포츠용, 그리고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친환경 선박 기술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그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2. 1. 고대

피지의 항해용 아웃리거 보트(피지 초기 정착 참조)와 크랩 클로 세일, 전형적인 오스트로네시아 선박의 예시 (아웃리거와 횡단식 돛 포함)


하트셉수트(기원전 1479년경 - 기원전 1458년)의 범선


돛과 노, 그리고 조타 노를 가진 로마의 배


그리스의 갤리선


인류가 언제부터 범선을 발명했는지는 명확하지 않으나, 이집트 나일 계곡 유적에는 약 8000년 전 것으로 추정되는 돛단배 벽화가 남아 있다.

초기 항해용 범선은 오스트로네시아 민족에 의해 사용되었다. 이들은 기원전 3000년에서 1500년 사이에 카타마란, 아웃리거, 그리고 크랩 클로 세일을 발명하여 오스트로네시아 팽창을 이루었다. 타이완을 출발하여 해상 동남아시아의 섬들을 식민지화하고, 더 나아가 미크로네시아, 멜라네시아, 폴리네시아, 그리고 마다가스카르까지 항해했다. 오스트로네시아 돛대는 돛의 상단과 하단 가장자리를 지탱하는 스파(spar)가 있다는 점에서 서양식 돛대와 차이가 있었다.[8][9] 기원전 2500년경부터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은 태평양과 인도양으로 이주하기 시작했으며, 기원전 1000년경에는 폴리네시아인들이 사모아, 통가 등에 도착했다. 당시 사용된 배의 직접적인 증거는 없지만, 바람이 약한 시기를 골라 바람을 거슬러 항해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미크로네시아인과 폴리네시아인들은 천체 관측, 생물상 관찰, 파도 관찰 등을 이용한 독자적인 항해 기술(스타 내비게이션)을 발전시켜 때로는 수천 킬로미터에 달하는 대항해를 하였다. 오세아니아에서는 역삼각형 돛(크랩 클로 세일)을 사용한 세일링 카누(아웃리거 카누, 더블 카누)가 활발히 건조되어 사람과 물건의 교류에 사용되었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기원전 3000년경 이전부터 나일 강과 지중해 연안에서 범선을 사용했다. 초기에는 여러 명의 노 젓는 사람에 의존하는 배에 단일 사각돛을 지탱하기 위해 이족 마스트(bipod mast)를 사용했다.[22] 이후 마스트는 단일 기둥 형태로 바뀌었고, 노는 점차 조타용으로 사용되었다. 기원전 3000년경부터 이집트인들은 외양 항해를 시작하여 크레타 섬과 페니키아에 배를 보내 레바논 삼나무 등을 수입했다. 기원전 2700년경 사후라 왕의 무덤에는 두 개의 마스트와 조타용 노를 갖춘 배의 부조가 남아 있으며, 사후라 왕은 8척의 함대를 이끌고 페니키아에서 포로들을 데려왔다고 전해진다. 기원전 1세기 전후의 이집트에서는 두 개의 마스트를 가진 범선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지중해 지역에서는 기원전 2200년경 에게해에서 번성한 미노아 문명이 범선을 이용하여 탈라소크라시(해상 제국)를 구축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세계 최초의 사례일 수 있다.[23] 미노아 문명은 무역선을 보호하기 위해 전투 전문 군함으로 구성된 세계 최초의 해군을 창설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후 페니키아인, 그리스인, 그리고 로마인들은 기원전 1000년부터 서기 400년 사이에 사각돛으로 추진되는 배를 개발했다. 이 배들은 때때로 노를 함께 사용했으며, 방향 제어를 위해 조타 노를 사용했다. 그리스인들은 갤리선을 주로 군함으로 사용했는데, 이 배는 선두에 작은 돛, 중앙에 큰 돛을 달고 순항 시에는 돛을, 전투 시에는 돛을 접고 노를 저어 항해했다. 날렵하고 빠른 갤리선은 “긴 배”로 불리며 연락이나 중요 인물 수송에 쓰였고, 물자 수송에는 속도는 느리지만 튼튼하고 용적이 큰 “둥근 배”라는 상선을 사용했다. 로마인들도 이러한 배들을 이용했으며, 돛대를 두 개 갖춘 배나 암포라를 1만 개 운반할 수 있는 대형선("만선(一万船)")도 만들었다.

한나라(기원전 206년 ~ 서기 220년) 시기 중국 학자들은 최대 4개의 돛을 가진 대형 오스트로네시아 무역선을 ''쿤룬 보''(崑崙舶, "쿤룬 사람들의 배")라고 기록했다. 중국 불교 순례자들은 남인도와 스리랑카로 가는 항해에 이 배를 이용했다.[10]

기원전 북유럽의 범선에 관해서는 율리우스 카이사르기원전 56년에 남긴 기록이 있다. 그는 브리튼인들이 짐승의 가죽이나 얇게 무두질한 가죽으로 만든 돛을 갖춘 목조선을 사용했다고 언급했다.[91]

2. 2. 중세

바이킹의 롱십 구성


전통적인 몰디브 바글라선으로, 앞뒤 돛대 배열의 라틴 돛을 사용한다.


중세 유럽에서는 8세기 덴마크부터 바이킹들이 클링커 건조 방식의 롱쉽을 만들어 사용했다. 롱쉽은 필요에 따라 단일 사각돛과 노를 함께 사용하여 추진력을 얻었으며[24], 깊은 용골과 탈착식 가로돛을 갖춘 선수와 선미의 모양이 같은 선미선수 동형선 형태였다. 바이킹은 이 배를 타고 잉글랜드를 공격하고 정복했으며, 지중해, 카스피해, 심지어 북아메리카까지 항해했다. 선박 매장 무덤에서 발견된 일부 롱십은 노의 수가 15쌍으로 비교적 적어, 실제 전투용 롱십은 북유럽 사가의 기록처럼 더 많은 노를 갖춘 크고 투박한 형태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바이킹은 화물 운송용으로 크나르라는 범선도 사용했는데, 이는 롱십보다 흘수가 깊고 폭이 넓었으며, 노는 적고 돛대는 고정되어 주로 돛의 힘으로 발트 해와 북해를 항해했다.[25] 돛의 바람을 받는 쪽 가장자리는 베이타스라는 막대로 보강하여 바람을 안고 항해하는 능력을 높였다.[26]

바이킹 시대 이후에도 북유럽에서는 하나의 돛대를 가진 선미선수 동형선이 계속 사용되었다. 11세기 노르만인의 잉글랜드 침공을 묘사한 바이외 태피스트리에는 바이킹 선박과 유사한 형태의 배가 등장하지만, 기병 전술에 맞춰 말을 수송하는 등의 변화가 나타난다. 롱십의 또 다른 후예로는 스코틀랜드의 웨스트 하이랜드 갤리선이 있으며, 이는 측면 노 대신 선미에 조타 노를 달고 15세기까지 사용되었다.

12세기경에는 바우스프릿과 선미 를 갖춘 새로운 형태의 북유럽 선박이 등장했다. 바우스프릿은 풍상 항해 능력을 향상시켰고, 선미 키는 기존의 측면 조타 노를 대체했다. 13~14세기에는 이러한 형태의 대형 선박인 코그선이 한자 동맹의 표준 선박으로 자리 잡았다. 코그선은 기본적으로 클링커 방식으로 만들어졌지만 선체 상부는 카르벨 방식(평판붙임)을 사용했으며, 전시에는 선수루와 선미루를 설치하여 전투용으로 개조되기도 했다. 이러한 구조물은 점차 커지고 상시화되어 상선의 거주 공간으로도 활용되었다. 이 외에도 훌크선이라 불리는 완전히 클링커 방식으로 제작된 대형 선박도 있었다.

한편, 인도양에서는 1200년부터 1500년 사이에 인도아프리카 간의 해상 무역이 활발해졌다. 이 시기 주로 사용된 배는 도우선으로, 삼각돛을 사용하여 역풍에서도 항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도우선의 적재 용량은 이 기간 동안 100톤에서 400톤까지 증가했으며, 못을 사용하지 않고 티크 판자를 코코넛 섬유로 꿰매어 만드는 방식으로 건조되었다. 또한 틸러로 조종하는 중앙 키가 도입되었다.[29] 아랍인들은 이슬람 공동체와 신용 제도를 바탕으로 동아프리카에서 중국에 이르는 광범위한 해상 무역 네트워크를 구축했으며, 독자적인 해도와 항해술을 발전시켜 야간 항해도 가능하게 했다. 『천일야화』의 "선원 신드바드" 이야기는 10세기경 아랍 선원들의 활동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교류를 통해 인도화된 아랍인이나 아랍화된 인도인 선원들이 나타나기도 했다. 오늘날에도 잔지바르, 파키스탄, 몰디브 등지에서는 삼각돛을 단 전통적인 도우선("도니" 또는 "다우")을 볼 수 있다.

고려 시대에는 조선술이 크게 발달하여 견고하고 큰 범선들을 건조했다. 북송 시대에 고려로 파견된 사신을 위해 건조된 배는 길이가 약 110m, 적재량이 1100톤 이상에 달하는 거대한 규모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일반적인 무역선 역시 275톤급부터 600~900톤급의 만곡선(万斛船)까지 다양했으며, 속도를 중시한 전투선도 운용되었다. 이러한 고려의 범선들은 중국, 일본과의 무역뿐만 아니라, 몽골 원나라의 일본 원정에도 동원되었다.[14][17] 베네치아의 여행가 마르코 폴로는 원나라의 남방 무역용 범선이 4개의 돛대와 약 60명의 승무원을 태우고, 용골과 격벽 구조를 갖추어 안전성을 높였으며, 나침반을 이용해 원양 항해를 했다고 기록했다.

2. 3. 대항해시대

최초의 세계 일주 항해를 완료한 페르디난드 마젤란(Ferdinand Magellan)의 카라크선 ''비토리아''(Victoria)의 복제선


15세기부터 시작된 대항해시대에는 항해 기술과 선박 설계에 중요한 발전이 있었다. 특히 자기 나침반의 도입과 새로운 형태의 범선 등장은 원양 항해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 요소였다.

나침반은 고대부터 사용된 태양과 별을 이용한 항해술에 더해져 항해의 정확성을 높였다. 중국에서 발명되어 11세기에 항해에 사용되기 시작했고, 인도양의 아랍 상인들을 통해 전파되었다. 유럽에는 12세기 후반 또는 13세기 초에 전래된 것으로 보인다.[30] 인도양에서 항해에 나침반이 사용된 기록은 1232년에 처음 나타난다.[13] 유럽인들은 바늘이 회전축 위에서 도는 건식 나침반을 사용했으며, 나침반에 방위를 표시한 나침반 카드 역시 유럽에서 고안되었다.[13]

15세기 초, 유럽에서 가장 뛰어난 대양 항해 선박은 카라크선이었다. 카벨 방식으로 건조되어 선체가 튼튼했고, 크기가 커서 거친 바다에서도 안정적이었다. 대량의 화물과 긴 항해에 필요한 보급품을 실을 수 있었으며, 앞마스트와 중앙마스트에는 사각돛을, 뒷마스트에는 삼각돛(라틴 세일)을 달아 다양한 바람 조건에 대응했다. 높고 둥근 선미와 큰 선미 캐슬, 함교, 선수에는 활대를 갖춘 구조였다. 카라크선은 이후 등장하는 갤리온선의 전신으로, 선박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설계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이후 선박들이 더욱 전문화되기는 했지만, 대항해시대 동안 기본적인 설계는 유지되었다.[31]

삼각돛을 채용하여 바람을 거슬러 올라가는 데 능했던 카라벨선(1460년)


이 시기 범선들은 바람을 향해 약 70° 각도까지만 항해할 수 있었고, 바람을 안고 나아가는 풍상 항해는 지그재그로 어렵게 이루어졌다. 이 때문에 폭풍우 속에서 해안이나 모래톱에 좌초될 위험이 컸다.[32]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범선들은 바스쿠 다 가마(Vasco da Gama)가 아프리카를 돌아 인도에 도달하고,[33] 크리스토퍼 콜럼버스(Christopher Columbus)가 아메리카 대륙에 도착하며,[34] 페르디난드 마젤란(Ferdinand Magellan)이 최초의 세계 일주를 완수하는 등[35] 역사적인 항해를 가능하게 했다.

유럽에서 대항해시대가 열리기 이전, 동아시아에서도 발달된 조선 기술을 바탕으로 한 해상 활동이 활발했다. 북송 시대에는 고려로 파견되는 사신을 위해 길이 약 110m, 적재량 1100ton 이상의 거대한 배를 건조했다는 기록이 있다. 일반 무역선도 적재량 275ton 정도의 큰 배부터, 만곡선(万斛船)이라 불리는 600ton에서 900ton에 이르는 다양한 크기의 범선이 사용되었다. 원나라 시대의 여행가 마르코 폴로(Marco Polo)는 『동방견문록』에서 당시 중국 남방 무역선의 특징을 상세히 묘사했다. 4개의 돛대를 가졌고, 약 60명의 승무원이 탑승했으며, 용골 구조로 선체 강도를 높이고, 격벽 구조를 채택하여 침수 시에도 쉽게 침몰하지 않도록 설계되었다고 기록했다. 또한 나침반을 사용하여 정확한 원양 항해가 가능했다고 전했다. 명나라정화1405년부터 1433년까지 7차례에 걸쳐 대규모 함대를 이끌고 동남아시아, 인도, 아라비아 반도, 아프리카 동해안까지 항해했다. 이 항해에는 길이가 137m에 달하는 거대한 '보선'이 포함되었다고 전해진다.

15세기 유럽에서는 포르투갈의 엔리케 항해왕자(Infante D. Henrique)가 아프리카 탐험과 인도 항로 개척을 목표로 선원 양성과 범선 개량에 힘썼다. 특히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이후, 기존의 육상 교역로가 오스만 제국에 의해 통제되면서 이슬람 상인들이 높은 관세를 부과하자, 유럽 국가들은 도자기, 향신료, 비단 등을 직접 확보하기 위해 새로운 해상 루트 개척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섰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이전의 1개 돛대 범선에서 발전하여 3개의 돛대를 가진 카라벨선이 등장했다. 카라벨선은 3개의 마스트에 주로 삼각돛(라틴 세일)을 사용하여 바람을 거슬러 올라가는 능력이 뛰어났고, 이는 범선의 활동 범위를 획기적으로 넓혔다.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의 첫 항해에 동행했던 니냐호와 핀타호가 바로 카라벨선이었다. 카라벨선과 거의 동시에 개발된 카라크선은 더 많은 화물을 싣고 먼 거리를 항해할 수 있어 대서양인도양을 건너는 장거리 무역에 적합했다. 이러한 선박들의 발전은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도착(1492년), 바스쿠 다 가마의 희망봉 경유 인도 항로 개척(1498년), 마젤란의 세계 일주(1519년-1522년)와 같은 위대한 항해들을 뒷받침했다.

스페인 무적함대


16세기에 들어서면서 주력 범선은 카라벨선과 카라크선에서 갤리온선으로 점차 대체되었다. 갤리온선은 해적의 위협에 대응하고 해상 전투 능력을 높이기 위해 많은 수의 대포를 탑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군함 역시 기존의 갤리선에서 갤리온선으로 바뀌었다. 갤리온선은 선미루가 높고, 용골 길이가 선폭의 3배까지 길어져 속도와 안정성을 개선한 것이 특징이다. 상선으로도 사용되었지만, 강력한 무장을 갖출 수 있어 주로 군함으로 활약했다. 대항해시대 초기에는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해상 패권을 장악했지만, 1588년 칼레 해전에서 프랜시스 드레이크가 이끄는 영국 함대가 스페인의 무적함대를 격파하면서 상황이 변하기 시작했다. 이 전투는 스페인이 대서양 제해권을 상실하고 영국이 새로운 해상 강국으로 부상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대항해시대 주요 범선'''
선박명활동 시기국가종류비고
보선15세기명나라정크선정화의 대항해 함대 기함으로 추정되는 거대 범선. 길이 약 137m, 너비 약 56m.
산타 마리아호15세기스페인나오 (카라크선)1492년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의 첫 항해 기함. 이스파니올라섬에서 좌초.
니냐호, 핀타호15세기스페인카라벨선콜럼버스의 첫 항해에 참여한 척후선. 삼각돛을 주로 사용.
비토리아호16세기스페인카라크선페르디난드 마젤란 함대의 유일한 생존 선박으로 최초의 세계 일주 달성.
골든 하인드호16세기 후반영국갤리온선프랜시스 드레이크의 세계 일주 기함.


2. 4. 근대

18세기와 19세기는 범선 기술이 정점에 달했던 시기로, 흔히 '범선 시대'로 불린다. 이 시기에는 대형 군함과 빠른 상선이 등장하며 해상 활동의 양상을 크게 바꾸었다.

1798년 프랑스와 영국의 군함 간 해전. 전열함들이 전열을 이루어 포격전을 벌이는 모습이다.


군함 분야에서는 대포 성능이 향상되고 재장전 속도가 빨라지면서, 여러 층의 갑판에 수십 문의 대포를 탑재한 대형 범선 군함이 주력으로 자리 잡았다. 17세기 중반부터는 3층 갑판에 대포를 실은 군함이 등장했으며, 해전 전술도 개별 함선의 전투보다는 함대가 전열을 이루어 화력을 집중하는 방식으로 발전했다. 이러한 전술 변화에 따라, 기존의 갤리온선은 여러 층의 포열 갑판을 갖춘 전열함으로 발전했다. 전열함은 함대의 주력으로서 적 함대와 정면으로 맞서 싸우도록 설계되었다.[39] 18세기에는 전열함보다 작고 빠른 프리깃과 슬루프함이 등장하여, 호송, 정찰, 봉쇄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했다.[40] 이 시기 해전의 대표적인 예로는 1805년트라팔가르 해전이 있다. 또한 18세기 초에는 조타봉 대신 조타륜이 도입되어 더 효율적인 조종이 가능해졌다.

19세기 후반 미국의 클리퍼 선박. 빠른 속도를 위해 길고 날렵한 선체를 가졌다.


커티삭. 현존하는 유일한 티 클리퍼이다.


상선 분야에서는 19세기에 클리퍼라는 고속 범선이 등장하여 원양 무역을 주도했다. 특히 중국에서 영국까지 를 운반하는 '티 레이스(Tea Race)'는 유명했으며, 커티삭과 같은 클리퍼들이 속도 경쟁을 벌였다. 클리퍼는 빠른 속도를 위해 일반 상선보다 길고 날렵한 선체를 가졌는데, 이는 증기기관을 이용한 예인선이 보급되어 항구 입출항 시 예인이 가능해졌기에 가능했다.

19세기는 범선 건조 기술이 크게 발전한 시기이기도 하다. 더 강한 로프 제작법이 고안되었고, 1850년대에는 철제 와이어가 도입되어 삭구 설계의 자유도가 높아졌다. 1827년에는 최초로 철제 마스트를 사용한 군함(HMS 페어턴호)이 건조되었으며, 1850년에는 철제 늑골에 나무 외판을 댄 목철선이 등장했다. 또한, 증기선과의 경쟁 속에서 인건비를 줄이기 위해 더 적은 인원으로 돛을 조작할 수 있도록 돛의 구성과 축삭법이 개량되었고, 1890년대에는 윈치가 도입되어 노동력을 절감했다.

5개의 돛대를 가진 프로이센(Preussen)호는 건조된 가장 큰 범선 중 하나였다.


그러나 19세기 중반 이후, 연료 효율이 개선된 복합식 및 삼중 팽창식 증기 기관이 등장하면서 범선은 점차 경쟁력을 잃어갔다. 초기 증기선은 연료 효율이 낮아 시속 8노트 정도의 속도밖에 내지 못했지만[49], 기술 발달로 성능이 향상되면서 1880년대에는 대부분의 무역에서 증기선이 우위를 점하게 되었다. 특히 1869년 수에즈 운하 개통은 범선에게 큰 타격을 주었다. 바람이 거의 없는 수에즈 운하는 증기선만 통과할 수 있었기 때문에, 아시아-유럽 항로에서 범선은 설 자리를 잃었다. 많은 클리퍼들이 오스트레일리아의 양모 수송 등으로 전환되었지만 결국 사라졌다.

철선 범선은 범선 시대 말기인 19세기 후반에 등장한 최종 진화 형태였다.[48] 이들은 주로 1870년대부터 1900년대까지 건조되었으며, 철이나 강철로 만들어진 선체에 3개에서 5개의 돛대를 달고 목재, 구아노, 곡물, 광석 등 대량 화물을 장거리 운송하는 데 사용되었다. 후기 모델들은 강철 선체를 가졌으며, 1875년에 도입된 4개의 돛대를 가진 철선은 증기선과의 경쟁에서 범선의 수명을 연장하는 데 기여했다.[50] 가장 큰 예 중 하나는 5개의 돛대를 가진 프로이센호로, 7800ton의 화물을 실을 수 있었다.[51] 이러한 대형 범선들은 증기 기관을 보조 동력으로 사용하여 윈치, 호이스트, 펌프 등을 작동시켜 적은 인원으로도 운항이 가능했다. 예를 들어 프로이센호는 48명의 승무원으로 운항되었다.[52]

하지만 증기선 기술이 계속 발전하면서, 바람에 의존해야 하는 범선은 점차 경쟁에서 밀려났다. 20세기 초까지도 일부 범선은 합계곶을 경유하는 오스트레일리아-유럽 항로 등에서 경쟁력을 유지했지만, 제1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많은 수가 손실되었고 상업적 운항은 점차 중단되었다. 1957년 독일 연습선 파미르(Pamir)호의 침몰 사고와 이듬해 칠레 오메가(Omega)호의 침몰 이후 대형 상업 범선 시대는 사실상 막을 내렸다.[6][7]

2. 5. 현대

20세기 들어 증기선과 내연기관 선박이 발전하면서 상업용 범선은 점차 설 자리를 잃어갔다. 복합식, 삼중 팽창식 증기 기관의 효율 향상으로 1880년대부터 증기선이 대부분의 무역에서 경쟁 우위를 점했고, 상업용 범선은 20세기까지 명맥을 유지했으나 1960년경 마지막 운항을 끝으로 자취를 감추었다.[6][7] 특히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일 U보트의 무차별 공격과 전후 경제 상황 변화는 상업 범선의 종말을 앞당겼다. 핀란드의 선주 구스타프 에릭손이 운영하던 대형 범선 선단도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대부분의 선박을 잃고 1947년 그의 사망과 함께 사라졌다. 마지막까지 운항하던 상업용 대형 범선은 1957년 파미르(Pamir)호와 1958년 오메가(Omega)호가 침몰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그러나 범선 기술 자체는 계속 발전했다. 1960년대 독일에서는 선원들이 돛대에 오를 필요 없이 중앙에서 모든 돛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다이나릭(DynaRig)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이는 상선의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대안으로 연구되었으며, 요트 말타 팔콘과 블랙펄 등에 적용되었다.[52][54] 또한 석유 파동 시기에는 연료 절약을 위해 항공 역학을 응용한 하이테크 상용 범선 건조가 검토되어 신애덕마루 등 소수가 실제로 운항되기도 했으나, 높은 초기 투자 및 유지 비용, 적재량 감소 문제로 널리 보급되지는 못했다.[92]

21세기에 들어 기후 변화에 대한 우려와 연료비 절감 필요성이 커지면서 풍력 에너지를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다시 활발해지고 있다. 대형 화물선의 연료 소비를 줄이기 위해 돛이나 연(kite)을 보조 동력으로 사용하는 기범선하이브리드 선박 연구가 진행 중이다. 2007년 이후 컴퓨터로 제어되는 대형 연을 장착한 탱커가 운항을 시작했으며, 연료 소비를 최대 15~30%까지 줄이는 효과를 보였다. 2008년에는 프랑스의 해운업체 CTMV가 와인 상업 수송에 범선을 다시 투입하여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연료비를 절감하는 시도를 했다. 2009년에는 도쿄 대학과 해운회사가 고정익 돛을 이용한 에너지 절약 범선 연구인 「윈드챌린저 계획」을 시작했으며,[93] 이 계획은 상선 미쓰이와 오시마 조선소로 이어져 2022년 10월, 고정익 돛을 장착한 석탄 운반선 「마츠카제마루」가 운항을 시작했다. 이 선박은 오스트레일리아 등과 일본 간 실제 운항에서 평균 5~8%, 최대 17%의 연료 절감 효과를 확인했다.[95] 2023년까지 약 30척의 선박이 풍력 보조 장치를 사용하고 있으며, 그 수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55][56] 2024년 ''이코노미스트''지는 이러한 기술이 시험 단계를 넘어 산업계 채택 단계로 나아가고 있다고 보도했다.[57] FRP 등 경량 소재로 만든 돛이나, 원통을 회전시켜 마그누스 효과로 양력을 얻는 회전 돛선 등 새로운 방식의 돛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88]

현대적인 범선 크루즈선 로열 클리퍼(2009년)


아메리카스컵에 출전하는 현대 레이싱 요트(2010년)


상업 운송 수단으로서의 역할은 크게 줄었지만, 현대에도 범선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분야는 훈련선이다. 기선이 주류가 된 21세기에도 여러 나라의 해군 사관학교나 해기교육기관에서는 항해 및 조선 기술 훈련을 위해 범선을 운용하고 있다. 일본의 항해훈련소(현 해기교육기관) 소속 일본마루와 해왕마루가 대표적이며, 미국 연안 경비대는 독일로부터 전후 배상으로 받은 바크선 이글(Eagle)을 사관학교 훈련선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세일링 문화가 발달하여, 레저 및 스포츠용으로 범선이 꾸준히 이용되고 있다. 과거의 중소형 상선이나 어업용 범선을 개조하여 레저용으로 사용하기도 하며, 아메리카스컵이나 디 오션 레이스와 같은 국제적인 요트 대회가 열린다. 이들 대회에 참가하는 범선은 최신 유체역학 지식과 탄소 섬유 등 첨단 소재를 활용하여 제작된다. 스타 클리퍼사와 같은 회사는 로열 클리퍼와 같은 대형 범선 크루즈 여객선을 운항하며 관광 산업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전통문화 계승 차원에서 범선을 활용하기도 한다. 홋카이도 노쓰케만에서는 털게 서식지인 잘피를 보호하기 위해 엔진을 끄고 돛만으로 조업하는 전통 어업 방식인 우타세아미 어업이 이어지고 있으며, 이는 지역 관광 자원으로도 활용된다.[96]

한편, 범선 시대에 정립된 항해 규칙 중 일부는 현대 국제법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우현선 우선의 원칙」이다.

다음은 현대에 운용되거나 역사적으로 의미 있는 훈련용 범선 및 특수 목적 범선의 일부 목록이다.

함명진수 연도국가선종비고
초대 대성환1904년일본바크도쿄고등상선학교 연습선. 1945년 침몰.
운응환1909년일본바크도쿄수산대학 연습선. 현존 최고(最古) 국산 강철선. 도쿄해양대학에 보존. 국가등록유형문화재.
스타츠라트 렘쿨1914년독일→노르웨이바크제1차 세계대전 배상함. 노르웨이에서 연습선으로 운용 중.
세도프1921년독일→소련러시아바크3,432 총톤급. 제2차 세계대전 배상함. 러시아에서 어업 종사자 양성용으로 운용 중. 2020년 북극해 항로 항해 성공.[98]
진덕환1924년일본바켄틴고베고등상선학교 연습선. 1945년 공습으로 대파 후 기선으로 개조. 1995년 한신·아와지 대지진 피해로 해체.
일본마루 (초대)1930년일본바크문부성 항해 연습선. 1984년 은퇴. 요코하마 미나토미라이 21에 전시 중.
해왕마루 (초대)1930년일본바크문부성 항해 연습선. 1989년 은퇴. 도야마 신항 해왕환 파크에 전시 중.
아메리고 베스푸치1931년이탈리아이탈리아 해군 훈련함.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범선으로 불림.[99][100]
호쿨레아1975년하와이항해 카누전통 항해 기술 연구용 이중 선체 카누. 폴리네시아 항해에 사용됨.
신애덕마루1980년일본-세계 최초의 에너지 절약 항해 상선.
쿠아우테목1981년멕시코바크멕시코 해군 항해 연습선.[102]
해성1987년폴란드→일본브리건틴일본 NPO 운영 트레이닝십. 2003년 미국에 매각.
미라이에1992년일본스쿠너오사카시 소유 트레이닝십 (구 아코가레). 일본 범선 최초 세계 일주 달성.
샤바브 오만 2호2014년오만오만 해군 범선 훈련함.[103]
비마 수치함2017년인도네시아바크인도네시아 해군 범선 훈련함. 디지털 장비 탑재.[104]
시 클라우드 스피릿2021년독일독일 시 클라우드 크루즈 소속 범선 크루즈 여객선.[105][106]


3. 종류

범선은 그 구조와 용도, 발달 과정에 따라 매우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 주요 분류 기준으로는 돛의 형태와 배치 방식(돛의 형태), 돛대의 수(돛대의 수), 주된 사용 목적(용도), 그리고 건조되고 사용된 지역적 특성(지역적 특성) 등이 있다.

돛의 형태는 크게 바람을 뒤에서 받는 데 유리한 가로돛(사각돛)과 바람을 거슬러 올라가는 데 유리한 세로돛(삼각돛 등)으로 나뉜다. 이 돛들을 어떻게 조합하고 배치하는지에 따라 스쿠너, 브리그, 바크 등 다양한 돛의 배치(sail plan)가 결정된다. 돛대의 수는 배의 크기와 성능에 영향을 미치며, 1개의 돛대를 가진 작은 슬루프나 커터부터 3개 이상의 돛대를 가진 전장범선(Full-rigged ship)이나 바크까지 다양하다.

용도에 따라서는 화물 운송을 위한 상선, 전투를 위한 군함, 어업을 위한 어선, 유람이나 경기를 위한 요트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상선 중에서는 19세기 빠른 속도를 자랑했던 클리퍼가 유명하며, 군함으로는 대항해시대의 갤리온이나 나폴레옹 전쟁 시기 전열함, 프리깃 등이 대표적이다.

지역별로는 오스트로네시아의 아웃리거 보트나 카타마란, 중국의 정크선, 아랍의 다우, 북유럽 바이킹의 롱십 등 각기 독특한 형태와 구조를 가진 범선들이 발달했다. 고대 지중해의 갤리나 대항해시대를 연 캐러벨, 캐랙 등도 특정 시대와 지역을 대표하는 범선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범선의 종류와 특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섹션들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3. 1. 돛의 형태에 따른 분류

프리게이트 범선과 그 돛의 배치도


범선의 분류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흔히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돛의 배치'''에 따라 분류하는 방법이 있다.

「돛의 배치」(帆装)는 선박공학에서 범선의 장비 구성 요소로, 돛대의 조합을 체계화한 것이다. 대부분 다음 세 가지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 약한 바람에서의 항해 성능: 바람의 대부분은 아주 약한 바람이므로, 약한 바람에서도 항해할 수 있어야 한다.
  • 바람에 따른 대응력: 변화하는 바람에 대응하기 위해 바람의 세기에 따라 돛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 폭풍에 대한 적응력: 폭풍과 같은 매우 강한 바람 속에서도 배를 보호하기 위한 돛 관리가 가능해야 한다.


돛에는 '''가로돛'''과 '''세로돛'''의 두 종류가 있다.

  • 가로돛(사각돛): 돛대가 가로로 설치되고 돛이 사각형인 형태로, 순풍을 잡는 효율이 높아 계절풍을 이용하여 장거리 이동에 적합하다.[89] 북유럽을 중심으로 발달한 북방선 계통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 세로돛(삼각돛): 돛대가 세로로 설치되고 돛이 삼각형인 형태로, 순풍을 이용하는 효율은 가로돛보다 떨어지지만, 바람을 더 잘 가를 수 있어 역풍이나 맞바람에도 항해할 수 있으며 조종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90] 지중해페르시아만을 중심으로 발달한 남방선 계통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문서에서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현재는 FRP 등으로 만든 경량 돛이나 원통을 회전시켜 마그누스 효과로 양력을 발생시키는 회전 돛선 등의 새로운 방식이 개발되고 있으며, 선체 자체를 돛으로 활용하는 연구도 있다.[88]

다음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돛의 배치와 그와 유사한 특징적인 돛의 배치이다. 일반적인 돛의 배치는 돛대의 개수와 거기에 달린 돛의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림명칭돛의 종류주석
--썬피쉬라틴 세일
--캣보트가프 세일
--건터가프 세일과 집
--슬루프건터보다 가프 세일이 크고, 나뉘어져 있는 점이 다르다.
전투용은 함포의 수에 따라 분류된다(슬루프#전투용 슬루프 참조).
--커터슬루프와 마스트의 위치가 다르다(커터(선박)#범선 커터 참조).
--프로아클럽크로우 세일



그림명칭전주(前檣)의 주돛후주(後檣)의 주돛주석
브리그가로돛전투용은 함포의 수에 따라 분류된다(슬루프#전투용 슬루프 참조).
스노우브리그형에 더해 "스노우 마스트"라고 불리는 작은 세로돛을 선미에 갖는다.
브리간틴가로돛세로돛후방 마스트의 돛 종류는 묻지 않지만, 브리그와 구별하여 세로돛인 경우가 많다.
헤르마프로디트 브리그
(스쿠너 브리그)
브리그형 가로돛, 스쿠너형 세로돛을 가진다.
브리간틴과 동일시되는 경우가 많다.
--스쿠너세로돛마스트가 3개 이상인 경우에도, 모두 세로돛이라면 스쿠너라고 불린다.
탑세일 스쿠너스쿠너 중 앞 마스트 상부에 가로돛을 가진 것.
조작이 비교적 용이하기 때문에 훈련선에 이 형태가 많다.
--투탑세일 스쿠너
(잭애스 브리그)
스쿠너 중, 양쪽 마스트 상부에 가로돛을 가진 것.
--케치상기 돛대 장비에 비해 소형의 미즌 마스트를 가진다.
미즌 마스트의 높이와 목적으로 구별된다(케치#유사한 돛대 장비 참조).
--요울



그림명칭전주(前檣)의 주돛중주(中檣)의 주돛후주(後檣)의 주돛주석
--십 (Ship)
(전장범선)
가로돛전열함과 클리퍼도 포함된다.
--바크가로돛세로돛
--잭애스 바크가로돛가로돛과 세로돛 반반세로돛돛의 비율이 바크와 바켄틴의 중간.
마스트가 홀수인 경우, 중앙 마스트의 돛이 가로돛과 세로돛 반반이 된다.
--바켄틴
(스쿠너 바크)
가로돛세로돛
--스쿠너세로돛



이미지명칭지역특징
--정크선중국정크 돛을 가짐.
--제벡선아라비아 인근 지중해가장 앞쪽 마스트만 가로돛, 나머지는 세로돛을 가짐.
초기에는 2개의 마스트, 후기에는 3개의 마스트.
브리간틴이나 바켄틴은 세로돛이 가프세일, 제벡선은 라틴세일.
--펠루카아라비아 인근 지중해제벡선과 유사한 돛대 배열이지만, 모든 마스트에 라틴세일을 가짐.



북방선의 가로돛 기술과 남방선의 세로돛 기술이 융합하여 15세기에 「표준형 전장범선」이 탄생했고, 19세기클리퍼에 이르렀다.

3. 2. 돛대의 수에 따른 분류

전투용은 함포의 수에 따라 분류된다(슬루프#전투용 슬루프 참조).]] || 커터 || 슬루프와 마스트의 위치가 다르다(커터(선박)#범선 커터 참조). 슬루프보다 돛대가 약간 뒤쪽에 위치한다.]] || 프로아 (Proa) || 클럽크로우 세일 || 태평양 지역에서 사용되는 아웃리거 카누의 일종이다.



=== 2개 돛대 ===

돛대가 두 개인 범선은 다양한 돛의 조합을 가지며, 크기와 용도도 다양하다.

그림명칭앞 돛대(전주)의 주돛뒤 돛대(후주)의 주돛주석
]] || 브리그 || rowspan=2 colspan=2 | 가로돛 || 두 돛대 모두 가로돛을 단다. 전투용은 함포의 수로 분류되기도 한다(슬루프#전투용 슬루프 참조).
]] || 스노우 || 브리그와 유사하나, 뒤 돛대 뒤에 "스노우 마스트"라는 작은 세로돛용 돛대를 추가로 갖는다.
]] || 브리간틴 || rowspan=2 | 가로돛 || rowspan=2 | 세로돛 || 앞 돛대에는 가로돛, 뒤 돛대에는 세로돛을 단다. 뒤 돛대의 세로돛 종류는 다양하다.
]] || 헤르마프로디트 브리그
(스쿠너 브리그) || 브리그형 가로돛과 스쿠너형 세로돛을 가진다.
브리간틴과 동일시되는 경우가 많다.
]] || 스쿠너 || rowspan=3 colspan=2 | 세로돛 || 두 돛대 모두 세로돛을 단다. 돛대가 3개 이상인 경우에도 모두 세로돛이면 스쿠너라고 불린다.
]] || 탑세일 스쿠너 || 스쿠너 중 앞 돛대 상부에 가로돛(탑세일)을 가진 형태이다.
조작이 비교적 용이하여 훈련선으로 많이 사용된다.
]] || 투탑세일 스쿠너
(잭애스 브리그) || 스쿠너 중, 양쪽 돛대 상부에 가로돛을 가진 형태이다.
]] || 케치 || rowspan=2 | 두 돛대 모두 세로돛을 달지만, 뒤쪽의 미즌 마스트가 앞쪽 메인 마스트보다 작고, 배의 타륜 앞에 위치한다.
미즌 마스트의 높이와 위치로 요울과 구별된다(케치#유사한 돛대 장비 참조).
]] || 요울 || 케치와 유사하나, 미즌 마스트가 더 작고 타륜 뒤쪽에 위치한다.



=== 3개 돛대 ===

돛대가 세 개인 범선은 대형 선박에서 주로 볼 수 있으며, 돛의 구성에 따라 나뉜다.

그림명칭앞 돛대(전주)의 주돛중간 돛대(중주)의 주돛뒤 돛대(후주)의 주돛주석
]] || 십 (Ship)
(전장범선) || colspan=3 | 가로돛 || 세 돛대 모두 가로돛을 단 형태로, 전열함이나 클리퍼 등이 대표적이다.
]] || 바크 || colspan=2 | 가로돛 || 세로돛 || 앞 돛대와 중간 돛대에는 가로돛, 가장 뒤 돛대(미즌 마스트)에는 세로돛을 단다.
]] || 잭애스 바크 || 가로돛 || 가로돛과 세로돛 혼합 || 세로돛 || 돛의 비율이 바크와 바켄틴의 중간 형태이다.
돛대가 홀수인 경우, 중앙 돛대의 돛이 가로돛과 세로돛이 혼합된 형태가 될 수 있다.
]] || 바켄틴
(스쿠너 바크) || 가로돛 || colspan=2 | 세로돛 || 가장 앞 돛대에만 가로돛을 달고, 나머지 돛대에는 세로돛을 단다.
]] || 스쿠너 || colspan=3 | 세로돛 || 돛대가 3개 이상이라도 모든 돛대에 세로돛을 달면 스쿠너로 분류된다.



=== 4개 이상 돛대 ===

범선 중에는 4개 이상의 돛대를 가진 경우도 있다. 3개 돛대 분류에 속하는 바크, 바켄틴, 스쿠너 등은 돛대 수를 늘려 4개 이상으로 건조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5개의 돛대를 모두 가로돛으로 장비한 프리우센(Preussen)호는 역사상 가장 큰 범선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36] 이처럼 돛대의 수가 많아질수록 각 돛대의 명칭과 돛의 구성은 더욱 복잡해진다.

3. 3. 용도에 따른 분류

범선은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상선(商船)'''은 주로 화물 운송을 목적으로 하는 범선이다. 대표적인 예로 클리퍼가 있다. '클리퍼'라는 용어는 19세기 초반부터 사용되었으며, 빠른 속도를 위해 특별히 설계된 범선을 지칭한다.[7] 초기 볼티모어 클리퍼는 1812년 전쟁 당시 봉쇄 돌파나 사략선으로 이용되었고, 이후 아편 밀수나 불법 노예 수송에도 사용되었다. 1848년 캘리포니아 골드러시 이후에는 미국 동부에서 샌프란시스코까지 금을 운반하기 위해 더 큰 클리퍼선들이 건조되었다.[41] 동인도 회사의 독점권이 사라진 1834년 이후에는 영국과 중국 간의 무역을 위해 '티 클리퍼'가 건조되었다. 이들은 수에즈 운하 개통(1869년)과 증기선의 발달 이전까지 장거리 항로의 주역이었다.[42] 커티삭과 서모파일 같은 티 클리퍼들은 신차(新茶)를 가장 먼저 영국에 운송하기 위해 속도 경쟁을 벌이기도 했다. 이 외에도 오스트레일리아 이민자 수송 등 빠른 항해가 필요한 다양한 무역에 클리퍼가 사용되었다. 클리퍼는 일반적으로 특정 무역 환경에 맞춰 설계되었는데, 예를 들어 캘리포니아 무역 클리퍼는 혼곶의 거친 바다를 견뎌야 했고, 차 클리퍼는 중국 해의 약한 바람에 맞춰 설계되었다.

1850년 이후 일부 연안 무역에서 선호된 스쿠너. 적은 선원으로도 운용이 가능했다.


스쿠너는 1850년대 이후 일부 연안 무역에서 선호되었는데, 비교적 적은 수의 선원으로도 돛을 다룰 수 있었기 때문이다. 다나는 상선 브리그 '필그림'호의 경우 일반 선원 6~8명, 전문 승무원 4명, 장교 3명으로 구성되었다고 기록했다.[69] 그는 비슷한 크기의 다른 나라 선박에는 승무원이 최대 30명까지 있을 수 있다고 비교했다.[70] 이 외에도 바크, 바크엔틴, 중국의 정크선 등 다양한 형태의 상선이 존재했다. 19세기 후반 클리퍼 시대가 저문 뒤에는 유럽에서 적재량을 중시한 강철제 대형 범선들이 건조되어, 합계곶을 도는 오스트레일리아 항로나 칠레초석 수송 등에 활약했다.

'''군함(軍艦)'''은 전투를 목적으로 하는 범선이다. 14세기에 대포가 등장했지만, 해상에서 널리 쓰이기 시작한 것은 빠르게 재장전하여 같은 전투에서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된 이후이다. 많은 대포를 실으려면 배의 크기가 커져야 했고, 이는 노를 이용한 추진을 어렵게 만들어 군함은 점차 돛에 의존하게 되었다. 본격적인 범선 군함은 16세기에 등장했다.[37] 17세기 중반에는 군함들이 3층의 갑판에 점점 더 많은 대포를 탑재하게 되었고, 해전 전술은 각 함선의 화력을 전열에 집중시키는 방향으로 발전했다. 이는 적 함대와 교전하기 위해 함대가 조직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의미한다. 초기 군함 형태인 카라크는 하나의 대포 갑판을 가졌지만, 이후 최대 두 개의 완전한 대포 갑판을 가진 갤리온선으로 발전했고,[38] 이는 다시 전열함으로 발전했다. 전열함은 이름 그대로 전열을 이루어 적함과 근접하여 측면 사격을 주고받도록 설계되었다.[39] 18세기에는 전열에 서기에는 작지만 빠른 프리깃함과 슬루프함이 등장하여, 무역 호송, 적 함선 정찰, 적 해안 봉쇄 등의 임무를 수행했다.[40]

'''어선(漁船)'''은 어업 활동을 목적으로 하는 범선이다. 펠루카와 같이 지중해 등 특정 지역에서 사용된 소형 범선들이 어업에 이용되기도 했다.

'''훈련선(訓練船)'''은 선원이나 해군 사관생도의 항해 훈련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범선이다. 탑세일 스쿠너와 같이 비교적 조작이 용이한 형태의 범선이 훈련선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요트(Yacht)'''는 주로 레저나 스포츠, 경주 등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범선을 말한다. 현대에는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요트가 존재한다.

3. 4. 지역별 특색을 가진 범선

범선은 지역의 자연환경, 교역의 필요성, 조선 기술의 발달 등에 따라 각기 다른 특색을 지니며 발전해왔다.

=== 오스트로네시아 ===

8세기 자바보로부두르에서 발견된 부조. 아웃리거와 횡단식 탄자 세일이 그려진 보로부두르 선박을 보여준다.


초기 항해용 범선은 오스트로네시아 민족에 의해 사용되었다. 카타마란, 아웃리거, 그리고 크랩 클로 세일의 발명은 기원전 3000년에서 1500년 사이의 오스트로네시아 팽창을 가능하게 했다. 이들은 타이완에서 출발하여 해상 동남아시아의 섬들을 거쳐 미크로네시아, 멜라네시아, 폴리네시아, 그리고 마다가스카르까지 항해했다. 오스트로네시아 돛대는 돛의 상단과 하단 가장자리를 지탱하는 활대(spar)가 있는 점이 서구식 돛대와 달랐다.[8][9]

한나라(기원전 206년 ~ 서기 220년) 시기에는 최대 4개의 돛을 가진 대형 오스트로네시아 무역선이 '쿤룬 보'(崑崙舶, ''K'un-lun po'')로 기록되었으며, 중국 불교 순례자들이 남인도와 스리랑카로 가는 데 이용하기도 했다.[10] 8세기 자바보로부두르 사원 부조에서는 다양한 탄자 세일 구성을 가진 대형 자바식 아웃리거 선박(보로부두르 선박)을 확인할 수 있다.[11][12] 오세아니아 지역에서는 역삼각형 돛(크랩 클로 세일)을 사용한 프로아나 단동선(아웃리거 카누), 쌍동선(더블 카누) 같은 "세일링 카누"가 활발히 건조되어 사람과 물건의 교류에 사용되었다.

=== 중국 ===

중앙에 장착된 키가 있는 중국 정선 ''Keying'', 1848년경


10세기에 이르러 송나라는 오스트로네시아 선박의 영향을 받아 최초의 중국 항해용 정선을 건조하기 시작했다.[15] 특히 정크식 돛대는 중국 연안 무역선의 특징이 되었다.[13][14][15] 중국의 정선은 티크 나무를 못과 말뚝으로 조립하고, 방수 격벽과 중앙에 장착된 틸러를 갖추었다.[16] 이는 원나라 시대 군함 개발의 기초가 되었으며,[14][17] 명나라 시대에는 정화가 이끈 대규모 원정대의 보물선과 같이 장거리 무역 및 외교 활동에 사용되었다.[18][19] 문헌에 따르면 정화의 가장 큰 배인 "보물선"은 길이가 약 121.92m, 너비가 약 45.72m였다고 하나,[20] 현대 연구에 따르면 길이가 70m를 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21]

=== 지중해 ===

지중해 지역의 범선 역사는 기원전 3000년 이전 고대 이집트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이집트인들은 단일 사각돛을 단 배를 사용했으며, 주로 여러 명의 노 젓는 사람들에게 의존했다.[22] 미노아 문명의 크레타는 기원전 1800년경 범선을 이용한 세계 최초의 해상 제국이었을 수 있다.[23] 기원전 1000년부터 서기 400년 사이에는 페니키아, 그리스, 로마에서 사각돛을 주로 사용하고 노를 보조적으로 이용하는 배를 개발했으며, 방향 전환에는 조타 노를 사용했다.

고대부터 신항로 개척 시대 초기까지 지중해에서는 갤리가 전투선으로 주로 운용되었다. 13~14세기에는 '둥근 배'라는 의미의 라운드 십이 지중해 항해용으로 이용되었다. 14~15세기에는 3개의 돛대에 라틴 세일(삼각돛)을 갖춘 캐러벨이 등장하여 역풍 항해가 용이해졌다. 아라비아 인근 지중해에서는 제벡선(앞 돛대는 가로돛, 나머지는 라틴 세일)과 펠루카(모든 돛대가 라틴 세일)와 같은 범선도 사용되었다.

=== 아랍 ===

도니(몰디브, 2006년)


아랍인들은 삼각돛(라틴 세일)을 특징으로 하는 도니 또는 다우라는 범선을 이용하여 인도양을 중심으로 동아프리카에서 중국에 이르는 광대한 해상 무역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이들은 독자적인 해도와 항해술을 발전시켜 야간 항해도 가능하게 했다. 이러한 아랍 특유의 범선은 오늘날에도 잔지바르, 파키스탄, 몰디브 등지에서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 북유럽 ===

8세기경부터 바이킹들은 단일 사각돛과 노를 함께 사용하는 클링커 방식의 롱십을 건조하여 유럽 각지로 진출했다.[24] 화물 운송에는 주로 돛을 이용하고 롱십보다 폭이 넓은 크나르를 사용했다.[25] 바이킹 시대 이후에도 롱십의 영향을 받은 배들이 사용되었는데, 스코틀랜드에서는 15세기까지 측면 노 대신 선미 노를 가진 웨스트 하이랜드 갤리선이 사용되었다.

12세기 이후 바우스프릿과 가 도입되면서 북유럽 선박의 항해 성능이 향상되었다. 13~14세기에는 한자 동맹의 표준 선박으로 코그가 널리 쓰였다. 코그는 북해에서 많이 사용되었으며, 전시에는 선수루와 선미루를 설치하여 군함으로 쉽게 전환할 수 있었다. 북유럽에는 코그 외에도 전체를 클링커 방식으로 제작한 후크선이라는 대형 선박도 있었다.[42]

=== 대항해시대 이후 유럽 범선 ===

15세기 이후 유럽에서는 다양한 범선들이 개발되어 전 세계로 활동 범위를 넓혔다.

4. 구조 및 작동 원리

범선은 바람의 힘을 이용하여 항해하는 배이다. 기본적인 구조는 물에 뜨는 선체, 돛을 지지하는 돛대, 바람을 받는 , 그리고 돛대와 돛을 지탱하고 조절하는 삭구(rigging)로 이루어진다. 각 부분은 범선의 크기, 용도, 운용되는 해역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방식으로 제작된다.

돛은 바람을 받아 배를 움직이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역사적으로 이 두 가지 돛의 기술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융합되어, 15세기 이후 다양한 돛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복합적인 형태의 범선들이 등장하고 발전했다. 효율적인 돛의 배치는 단순히 바람을 잘 받는 것뿐만 아니라, 약한 바람에서의 항해 능력, 변화하는 바람 세기에 대한 대응력, 그리고 폭풍과 같은 악천후 속에서의 안전성까지 고려하여 설계된다.

범선의 작동 원리는 기본적으로 돛이 바람을 받아 생기는 힘, 즉 양력항력을 이용하여 선체를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것이다. 바람의 방향과 세기에 맞춰 돛의 각도와 펼치는 면적을 조절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항해한다.

4. 1. 선체

범선 시대에 배의 선체는 선박의 구조적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갯지렁이(선충류)와 배의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따개비와 다양한 해조류의 끊임없는 공격을 받았다.[43] 기원전부터 다양한 코팅이 이러한 영향에 대응하기 위해 선체에 적용되었는데, 여기에는 피치, 왁스, 타르, 오일, 황 및 비소가 포함된다.[44] 18세기 중반, 동판 피복이 이러한 선저 오염에 대한 방어책으로 개발되었다.[45] 금속 선체 고정 장치의 갈바닉 부식 문제를 해결한 후, 선체 고정 장치 대신 부식되도록 설계된 갈바닉 양극(희생 양극)이 개발되었다.[46] 이러한 관행은 18세기 후반부터 군함에, 19세기 초부터 상선에 널리 퍼졌으며, 철 및 강철 선체가 등장할 때까지 지속되었다.[46]

1781년 설계도에서 볼 수 있는 선체 형태선, 세로 및 단면


범선의 선체 형태는 비교적 짧고 뭉툭한 모양에서 선수가 길고 날렵한 모양으로 발전했다.[36] 19세기가 되면 나무 조각을 핀으로 고정하여 만든 반 모형을 참고하여 배를 건조했다. 각 층은 용골에서 시작하여 선체의 갈비뼈(늑골)에 이르기까지 선체 구조를 설계하기 위해 실제 선박 크기로 확대할 수 있었다. 갈비뼈(늑골)는 풋톡(futtock)이라고 하는 곡선 요소들을 이어 붙여 만들었고, 외판을 설치할 때까지 제자리에 고정했다. 일반적으로 외판은 마닐라삼이나 삼으로 만든 타르가 스며든 실로 틈을 메워 방수 처리했다.[58] 19세기 중반부터는 처음에는 선체 구조에, 나중에는 방수 외피에 철이 사용되었다.[59] 이처럼 전통적으로 선체는 나무로 만들어졌으나, 점차 철이나 강철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4. 2. 돛대와 삭구



모든 범선은 선체, 삭구, 돛대를 가지며, 돛대는 바람을 이용하여 배를 추진하는 을 지탱한다. 각 범선은 선박의 목적과 선원의 능력에 맞춰 조정된 고유한 세일 플랜(sail plan)을 가진다. 돛대는 상설삭구(standing rigging)에 의해 지지되고, 돛은 활주삭구(running rigging)에 의해 조정된다.

돛대는 돛을 지지하는 기둥이다. 19세기 중반까지 모든 선박의 돛대는 주로 침엽수 나무 줄기로 만들어졌다. 초기에는 하나의 통나무로 돛대를 만들었으나(폴 돛대, pole mast)[61], 16세기부터 선박이 대형화되면서 단일 나무로는 필요한 높이와 두께를 감당하기 어려워졌다. 이 때문에 더 큰 선박에서는 여러 개의 목재 조각을 결합하여 돛대를 만들었으며, 이를 '만든 돛대'(made mast)라고 불렀다.[60] 필요한 높이를 확보하기 위해 돛대는 최대 네 개의 구역으로 나뉘어 세워졌다. 갑판에서 위로 올라가면서 순서대로 아래쪽 돛대(lower mast), 윗돛대(topmast), 돛대 상단(topgallant mast), 로열 돛대(royal mast)로 불린다.[60] 19세기 후반부터는 이나 강철로 돛대를 만들기 시작했다.[36]

가로돛을 사용하는 배의 주요 돛대는 선수에서 선미 방향(앞에서 뒤)으로 다음과 같은 표준 이름이 붙여진다.

삭구(rigging)는 돛대를 지지하고 돛을 조종하는 데 사용되는 밧줄과 로프 시스템을 말한다. 크게 상설삭구와 활주삭구로 나뉜다.

'''상설삭구'''(Standing rigging)는 돛대를 제자리에 단단히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19세기 중반 이전에는 주로 삼베 섬유로 만들어졌으나, 이후 철선을 거쳐 19세기 말에는 강철선으로 대체되었다.[65] 상설삭구는 주로 다음과 같은 요소로 구성된다.

스테이와 슈라우드의 장력은 데이드아이(deadeye)라는 나무 또는 금속제의 둥근 블록과 랜야드(lanyard)라는 가는 로프를 이용하여 조절했다. 두 개의 데이드아이 사이를 랜야드로 여러 번 감아 당겨서 팽팽하게 만들었다.[65]

'''활주삭구'''(Running rigging)는 돛을 올리고 내리거나, 돛의 방향과 형태를 조절하여 바람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로프들이다.

4. 3. 돛



right

돛은 바람의 힘을 이용하여 배를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핵심 장치이다. 모든 범선은 선체, 삭구, 그리고 돛을 지탱하는 돛대를 갖추고 있다. 돛대는 상설삭구로 고정되고, 돛 자체는 활주삭구를 이용해 방향이나 각도를 조절한다.

각 범선은 그 목적과 선원의 능력에 맞춰 고유한 '''돛 설계도'''(세일 플랜)를 가진다. 이 설계도에 따라 사각돛 또는 삼각돛을 중심으로 단일 돛대나 여러 돛대에 다양한 방식으로 돛을 조합하여 설치한다.[64]

돛은 범선에 부착되는 방식에 따라 크게 나눌 수 있다.

돛의 부착 방식에 따른 분류
부착 방식주요 돛 종류
지브, 스테이세일 (선수 쪽 돛대나 다른 돛대를 지지하는 와이어 케이블 등에 부착)
가프 리그 사각돛, 버뮤다 리그 삼각형 돛
사각돛, 러그 리그, 정크 리그, 스프릿세일, 라틴 돛, 크랩 클로 돛 등



돛의 형태에 따라서는 크게 '''가로돛'''과 '''세로돛'''으로 나뉜다.



역사적으로 이 두 계통의 기술이 융합되어 15세기 무렵에는 다양한 돛을 조합한 표준적인 범선 형태가 등장했고, 19세기 클리퍼 시대에 이르러 정점을 찍었다.

효율적인 돛의 배치는 다음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19세기에는 돛 기술에도 많은 발전이 있었다. 더 강한 로프 제작법이 개발되었고, 1850년대에는 철제 와이어가 도입되어 삭구 설계의 자유도가 높아졌다. 돛대의 재질도 나무에서 철로 바뀌면서 무게를 줄이고 강도를 높였다. 또한, 적은 인원으로도 돛을 조작할 수 있도록 윈치와 같은 기계 장치가 도입되기도 했다.

현대에는 FRP 등 가벼운 신소재로 돛을 만들거나, 원통을 회전시켜 마그누스 효과로 추진력을 얻는 회전 돛선과 같은 새로운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선체 자체를 돛처럼 활용하려는 연구도 진행 중이다.[88]

범선을 조종하는 사람을 세일러(sailor|세일러eng)라고 부르며, 이는 선원, 수병 등을 의미한다.

4. 4. 작동 원리

범선은 기본적으로 바람의 힘을 이용하여 움직인다. 에 바람을 받아 생기는 힘으로 선체를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것이다. 범선은 선체, 돛대, 돛, 그리고 이들을 지탱하고 조절하는 삭구(리그, rigging)로 구성된다. 삭구는 크게 두 종류로 나뉜다.

사각 돛의 각 부분과 돛을 조절하는 줄(활주삭구).


돛을 조작하는 데 사용되는 주요 활주삭구는 다음과 같다.

바람의 힘으로 돛이 팽팽해져 흔들리고 기울어진 바다 위의 범선


범선을 조종하는 핵심은 바람의 힘을 최대한 활용하면서도 배가 위험해지지 않도록 돛을 관리하는 것이다. 항해 방향과 바람의 방향에 맞춰 돛의 각도와 펼치는 면적을 조절해야 한다. 강한 바람이 불 때는 돛의 수를 줄이거나, 각 돛의 면적을 줄이는 리핑(reefing)을 한다. 리핑은 돛의 일부를 접어서 묶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74]

범선은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으로 직접 나아갈 수 없다. 바람을 안고 항해할 때는 바람 방향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며 나아가야 한다. 사각 돛을 단 배는 바람 방향의 약 60°~70° 각도로 항해할 수 있으며,[75] 세로돛을 단 배는 보통 45°보다 더 바람 쪽으로 붙여 항해할 수 있다.[76] 따라서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으로 가기 위해서는 지그재그 형태로 항로를 바꾸며 나아가야 하는데, 이 과정을 태킹(tacking)이라고 한다. 태킹은 배의 선수(뱃머리)가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을 통과하여 바람을 받는 쪽을 바꾸는 기동이다.

바람을 거슬러 항해(태킹)할 때의 사각 돛 범선과 스쿠너의 항로 비교.


사각 돛을 단 배가 태킹을 할 때는 모든 돛이 잠시 바람을 정면으로 받게 되므로 전진 속도가 줄어든다. 이때 브레이스와 시트를 신속하게 조작하여 야드와 돛의 각도를 새로운 방향에 맞게 바꿔주어야 한다.[77] 강한 바람 속에서 사각 돛선의 태킹은 돛대나 삭구에 무리를 줄 수 있어 위험할 수 있으며, 속도가 너무 느리면(10kn 미만) 배가 전진 동력을 잃고 통제 불능 상태에 빠질 수도 있다(''스테이에 걸림'').[75] 이런 경우, 또는 바람이 약할 때는 선미(배꼬리)를 바람 쪽으로 돌려 240°가량 크게 선회하여 방향을 바꾸는 웨어링(wear ship)을 하기도 한다.[78][79]

반면, 세로돛을 단 배는 태킹이 비교적 용이하다. 돛이 돛대나 스테이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자동으로 바람을 받는 방향이 바뀌는 경우가 많다. 지브는 시트를 반대편으로 옮겨주어야 하고, 메인세일은 트래블러를 따라 저절로 반대편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많다.[80]

돛의 종류에 따라서도 작동 방식에 차이가 있다.

5. 한국의 범선

(내용 없음)

6. 현대의 범선

21세기에 들어 기후 변화에 대한 우려와 연료 비용 절감의 필요성이 커지면서, 대형 화물선의 연료 소비를 줄이기 위한 대안으로 풍력 활용 방안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2023년 기준으로 약 30척의 선박이 돛이나 연을 보조 동력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 수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55][56] 이러한 기술은 시험 단계를 넘어 산업계에서 점차 채택되는 추세이다.[57]

right

삼동선 형태의 레이스 범선(2009년)


과거 석유 파동 시기에도 연료 절약을 목적으로 기범선(機帆船, 엔진과 돛을 함께 사용하는 배) 연구가 진행되어, 1980년대 신애덕丸이나 1세대 포테이토丸 같은 선박이 실제로 운항되기도 했다.[92] 하지만 초기 투자 비용, 유지 보수의 어려움, 적재량 감소 등의 문제로 인해 널리 보급되지는 못했다.

최근에는 기술 발달로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컴퓨터 제어를 통해 돛이나 연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최소한의 인원으로 운항하면서 연료 소비를 15~30%까지 줄이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또한, 도쿄대학과 해운 회사가 시작한 '윈드챌린저 계획'은 탄소 섬유 등으로 만든 단단한 날개 모양의 돛(고정익 돛)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2022년 이 기술을 적용한 석탄 운반선 '마츠카제마루(松風丸)'가 운항을 시작했다.[93][94] 시험 운항 결과, 하루 최대 17%, 평균 5~8%의 연료 절감 효과가 확인되었다.[95] 이 외에도 FRP(섬유 강화 플라스틱) 소재의 경량 돛, 원통을 회전시켜 마그누스 효과로 추진력을 얻는 회전 돛선 등 새로운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88]

이러한 기술 발전에 힘입어 상업적 운송에 범선을 다시 활용하려는 시도도 나타나고 있다. 2008년 프랑스의 한 해운회사는 오래된 범선을 이용해 와인을 운송하기 시작했는데, 속도는 8노트 정도이지만 환경 친화적이라는 점을 내세우며 연료비를 절감하고 있다. 또한, 스타 클리퍼(Star Clipper) 사는 과거 유명했던 범선 '프로이센호'를 모델로 한 대형 크루즈 여객선 '로열 클리퍼(Royal Clipper)'를 포함한 여러 척의 범선 크루즈를 운영하고 있다.

실용적인 목적 외에도 범선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현대에도 운용되거나 역사적 가치를 지닌 주요 범선(훈련선 중심)은 다음과 같다.

선박명건조 연도국가/소속종류비고
운응환1909년일본 (도쿄해양대학)바크선현존하는 일본 최고(最古)의 강철 범선. 국가등록유형문화재.
스타츠라트 렘쿨1914년노르웨이바크선독일 건조, 배상함으로 영국 거쳐 노르웨이 인수. 현재도 연습선으로 운용 중. 2022-2023년 세계 일주 항해.[97]
세도프1921년러시아바크선독일 건조, 배상함으로 소련 인수. 세계 최대급 훈련 범선 중 하나. 2020년 북극해 항로 항해 성공.[98]
진덕환1924년일본 (고베대학 해사과학부 전신)바켄틴고베고등상선학교 연습선. 1962년 은퇴, 1995년 한신·아와지 대지진으로 해체.
일본마루 (초대)1930년일본바크선문부성 항해 연습선. 1984년 은퇴 후 요코하마 미나토미라이 21에 전시.
해왕마루 (초대)1930년일본바크선문부성 항해 연습선. 1989년 은퇴 후 도야마 신항 해왕환 파크에 전시.
아메리고 베스푸치1931년이탈리아 (이탈리아 해군)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범선으로 불림. 현재도 훈련함으로 운용 중.[99][100][101]
이글(Eagle)1936년 (독일 건조)미국 연안 경비대바크선독일 해군 훈련함 호르스트 베셀이었으나, 2차 대전 후 미국이 배상함으로 인수하여 운용 중.
호클레아1975년미국 (하와이)항해 카누폴리네시아 전통 항해술 복원을 위해 건조된 이중 선체 카누.
신애덕丸1980년일본기범선세계 최초의 에너지 절약 항해 상선.
쿠아우테목1981년멕시코 (멕시코 해군)바크선멕시코 해군사관학교 훈련선.[102]
일본마루 (2대)1984년일본 (해기교육기관)바크선초대 일본마루의 후계선. 현재 운용 중.
해성1987년폴란드 (건조) -> 일본 -> 미국브리건틴과거 일본 NPO가 운영했던 훈련선. 현재는 미국 소유.
해왕마루 (2대)1989년일본 (해기교육기관)바크선초대 해왕마루의 후계선. 현재 운용 중.
미라이에1992년일본 (오사카시 -> 일반재단법인)탑슬 스쿠너아코가레. 일본 범선 최초 세계 일주 달성.
샤바브 오만 2호2014년오만 (오만 해군)오만 해군 훈련함.[103]
비마 수치함2017년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해군)바크선인도네시아 해군 훈련함. 디지털 장비 탑재.[104]
시 클라우드 스피릿2021년독일 (시 클라우드 크루즈)현대적인 시설을 갖춘 범선 크루즈 여객선.[105][106]


7. 기타



범선을 분류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흔히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는 돛의 배치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다.

'돛의 배치'(帆装|한소일본어)는 선박공학에서 범선의 장비 구성 요소로, 돛대의 조합을 체계화한 것을 말한다. 대부분 다음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구성된다.



돛에는 크게 가로돛세로돛 두 종류가 있다. 가로돛은 순풍을 받아 항해하는 효율이 높아 계절풍을 이용한 장거리 이동에 유리하다. 반면 세로돛은 순풍을 이용하는 효율은 가로돛보다 낮지만, 바람을 가르며 나아가는 능력, 즉 맞바람에 가까운 바람을 이용해서도 항해할 수 있으며 조종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현재는 FRP(섬유 강화 플라스틱) 등으로 만든 가벼운 돛이나, 원통을 회전시켜 마그누스 효과로 양력을 얻는 회전 돛선과 같은 새로운 방식의 돛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선체 자체를 돛처럼 활용하는 연구도 진행 중이다.[88]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돛의 배치와 그와 유사한 특징적인 돛의 배치는 돛대의 수와 그곳에 설치된 돛의 종류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참조

[1] 서적 The Story of the Sea https://books.google[...] Cassell and Company 2017-07-25
[2] 서적 Square Riggers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Transportation Trails 1994-01-01
[3]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Prehistoric Oceania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1-01
[4] 서적 Lost Kingdoms of Early Southeast Asia: Hindu-Buddhist Sculpture 5th to 8th century Yale University Press
[5] 사전 ship
[6] 서적 The Advent of Steam - The Merchant Steamship before 1900 Conway Maritime Press Ltd 1993-01-01
[7] 서적 Sail's Last Century : the Merchant Sailing Ship 1830-1930 Conway Maritime Press 1993-01-01
[8] 학술지 Outrigger Ages http://www.jps.auckl[...] 1974-01-01
[9] 서적 Archaeology and Language III: Artefacts languages, and texts Routledge
[10] 학술지 Kunlun and Kunlun Slaves as Buddhists in the Eyes of the Tang Chinese http://web.usm.my/ka[...] 2015-01-01
[11] 뉴스 A strange kind of dream come true https://www.telegrap[...] 2004-03-17
[12] 서적 The Outriggers of Indonesian Canoes https://archive.org/[...] London, Royal Anthropological Institute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1920-01-01
[13] 서적 The Sea and Civilization: A Maritime History of the World Random House, LLC
[14] 서적 The Junks and Sampans of the Yangtze, A Study in Chinese Nautical Research, Volume I: Introduction; and Craft of the Estuary and Shanghai Area Order of the Inspector General of Customs
[15] 서적 Training Manual for the UNESCO Foundation Course on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Underwater Cultural Heritage in Asia and the Pacific https://www.academia[...] UNESCO Bangkok, Asia and Pacific Regional Bureau for Education 2012-01-01
[16] 서적 A History of Early Southeast Asia: Maritime Trade and Societal Development, 100–1500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10-12-28
[17] 서적 Majapahit Peradaban Maritim Suluh Nuswantara Bakti
[18] 학술지 The Zheng He Voyages: A Reassessment 2005-01-01
[19]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The Chinese Junk https://theculturetr[...] 2016-10-16
[20] 학술지 Zheng He: an investigation into the plausibility of 450-ft treasure ships 2005-01-01
[21] 뉴스 郑和大号宝船到底有多大? (How big was Zheng He's large treasure ship?) http://epaper.tyrbw.[...] 2022-07-12
[22] 웹사이트 From River to Sea: Evidence for Ancient Egyptian Seafaring Ships https://brewminate.c[...] 2021-06-24
[23] 웹사이트 First Minoan Shipwreck https://archive.arch[...] Archaeological Institute of America
[24] 서적 The Vikings 2016-10-06
[25] 서적 Routledge Revivals: Trade, Travel and Exploration in the Middle Ages (2000):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7-07-05
[26] 서적 The Medieval Soldier https://books.google[...] Pen and Sword 2010-01-01
[27] 웹사이트 Ancient Indian Ship https://www.worldhis[...]
[28] 웹사이트 Ajanta: Boat from right wall of Cave II. https://www.bl.uk/on[...]
[29] 서적 The Earth and Its Peoples: A Global History, Brief Edition, Volume I: To 1550: A Global History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08-01-01
[30] 서적 The Genius That Was China: East and West in the Making of the Modern World https://archive.org/[...] The Overlook Press
[31] 서적 The History of Shipwrecks Lyons Press
[32] 서적 To Harness the Wind: A Short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Sails https://books.google[...] Naval Institute Press 2003-01-01
[33] 서적 Foundations of the Portuguese Empire, 1415–1850 https://books.google[...]
[34] 서적 Mutiny and Its Bounty: Leadership Lessons from the Age of Discovery https://yalebooks.ya[...] Yale University Press 2013-01-01
[35] 서적 Over the edge of the world : Magellan's terrifying circumnavigation of the globe https://archive.org/[...] Morrow 2003-01-01
[36]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Sailing Ship https://books.google[...] Courier Corporation 2019-06-20
[37] 서적 How Britannia came to Rule the Waves https://books.google[...] BoD – Books on Demand 2019-06-20
[38] 서적 Archaeology and the Social History of Ship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06-20
[39] 서적 Nelson's Navy: The Ships, Men and Organisation 1793–1815 https://books.google[...] Conway 2012
[40] 서적 French Warships in the Age of Sail 1626–1786 https://books.google[...] Pen & Sword Books Limited 2019-06-20
[41] 서적 British and American Clippers: A Comparison of their Design, Construction and Performance Conway Maritime Press Limited 1993
[42] 서적 The Tea Clippers, Their History and Development 1833-1875 Conway Maritime Press Limited 1983
[43] 서적 1972
[44] 서적 Smart composite coatings and membranes : transport, structural, environmental and energy applications Elsevier
[45] 학술지 On copper and other sheathing https://books.google[...] 2019-06-29
[46] 서적 Ships' Fastenings: From Sewn Boat to Steamship https://books.google[...] Texas A&M University Press 2019-06-29
[47] 웹사이트 The introduction of copper sheathing into the Royal Navy, 1779–1786 https://web.archive.[...] 2017-12-28
[48] 서적 Chapman Great Sailing Ship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Hearst Books 2019-06-20
[49] 서적 Men and Ships Around Cape Horn, 1616–1939 https://books.google[...] Barker 2019-06-20
[50] 서적 Gone – a chronicle of the seafarers & fabulous clipper ships of R & J Craig of Glasgow : Craig's "Counties" Brown, Son & Ferguson 2009
[51] 서적 Container Ships and Oil Tankers https://books.google[...] Gareth Stevens 2019-06-20
[52] 웹사이트 Sailing at the touch of a button https://www.lowtechm[...] 2019-06-20
[53] 서적 Sailing Ships and Their Story :the Story of Their Development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Present Day https://archive.org/[...] Lippincott 1915
[54] 웹사이트 Black Pearl https://www.boatinte[...] Boat International Media Ltd 2018-10-11
[55] 뉴스 In Shipping, a Push to Slash Emissions by Harnessing the Wind https://www.nytimes.[...] 2023-10-09
[56] 뉴스 New technology uses good old-fashioned wind to power giant cargo vessels https://www.npr.org/[...] 2023-10-09
[57] 뉴스 A new age of sail begins https://www.economis[...] 2024-05-21
[58] 웹사이트 Designing and Building a Wooden Ship https://penobscotmar[...] 2019-06-22
[59] 서적 The Clipper Ship Era: An Epitome of Famous American and British Clipper Ships, Their Owners, Builders, Commanders, and Crews, 1843–1869 https://archive.org/[...] G.P. Putnam's Sons 1912
[60] 서적 The Price of Admiralty https://archive.org/[...] Viking 1989
[61] 서적 A Treatise on Masting Ships and Mast Making: Explaining Their Principles and Practical Operations, the Mode of Forming and Combining Made-masts, Etc. https://books.google[...] Whittaker 2019-06-22
[62] 서적 Seamanship in the Age of Sail Naval Institute Press 1992
[63] 서적 Mer : la Mer Dans la Nature, la Mer et l'Homme Librairie Larousse 1913
[64] 서적 Sailing Boats from Around the World: The Classic 1906 Treatise https://books.google[...] Courier Corporation 2019-06-22
[65] 서적 Historic Ship Models https://books.google[...] Sterling Publishing Company, Inc. 2019-06-22
[66] 서적 Handbook of Offshore Cruising: The Dream and Reality of Modern Ocean Cruising https://books.google[...] Sheridan House, Inc. 2019-06-22
[67] 웹사이트 Seamanship – Oxford Reference https://www.oxfordre[...] 2019-06-24
[68] 웹사이트 Workshop Hints: Ship's Bells http://www.bhi.co.uk[...] 2011-06-12
[69] 서적 Two Years Before the Mast: A Personal Narrative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2019-06-23
[70] 서적 The Vital Spark: The British Coastal Trade, 1700–1930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9-06-23
[71] 서적 White-jacket; Or, The World in the Man-of-war https://books.google[...] Harper 2019-06-23
[72] 서적 The ship of the line Conway Maritime Press 1983
[73] 웹사이트 Square sail handling – Ocean Navigator – May/June 2014 http://www.oceannavi[...] 2019-06-23
[74] 서적 The Language of Sailing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06-24
[75] 웹사이트 Tall ship sail handling – Ocean Navigator – January/February 2003 http://www.oceannavi[...] 2019-06-23
[76] 서적 Royce's Sailing Illustrated https://books.google[...] ProStar Publications 2019-06-24
[77] 서적 The Art of Rigging: Containing an Explanation of Terms and Phrases and the Progressive Method of Rigging Expressly Adapted for Sailing Ships https://archive.org/[...] Courier Corporation 1990
[78] 서적 My Hand on the Tiller https://books.google[...] AuthorHouse 2019-06-24
[79] 서적 HMS Victory Pocket Manual 1805: Admiral Nelson's Flagship At Trafalgar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9-07-03
[80] 서적 Sailing Fundamentals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19-06-24
[81] 논문 The Lateen Sail in World History https://web.archive.[...] 2017-06-16
[82] 서적 An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https://books.google[...] Courier Corporation 2019-06-24
[83] 서적 Time and Navigation: The Untold Story of Getting from Here to There https://books.google[...] Smithsonian Institution 2019-06-24
[84] 백과사전 Sextant
[85] 서적 Merchant Marine officers' handbook Cornell Maritime Press 1965
[86] 서적 Ocean Life in the Old Sailing Ship Days: From Forecastle to Quarter-deck https://archive.org/[...] Little, Brown, & Co 1912
[87] 서적 Seamanship in the Age of Sail: an account of the shiphandling of the sailing man-of-war 1600-1860, based on contemporary sources Conway Maritime Press 1984
[88] 웹사이트 船舶の省エネ装置|PBCF|商船三井テクノトレード株式会社 https://www.pbcf.jp/[...] 2021-12-25
[89] 웹사이트 横帆とは https://kotobank.jp/[...]
[90] 웹사이트 縦帆とは https://kotobank.jp/[...]
[91] 서적 가리아 전기
[92] 서적 전자범선 제트윈드 하야카와 문고
[93] 웹사이트 ウィンドチャレンジャー計画HP http://wind.k.u-toky[...] 2014-01-29
[94] 간행물 외내상선 뉴스 “윈드챌린저” 탑재 석탄선 건조 개시 해인사 2021-03
[95] 뉴스 거대한 “돛”의 성능은 예상대로! 1항해당 연료 절감 효과는? https://trafficnews.[...] 乗りものニュース 2024-06-06
[96] 웹사이트 북해 시마에비 어업 Q&A|별해정 관광협회 http://betsukai-kank[...] 2021-06
[97] 간행물 노르웨이 최대 최고령 현역 범선 “스타츠로드 렘클루” 첫 방일!! 해인사 2022-12
[98] 간행물 외내상선 뉴스 러시아 범선 “세도프” 북극해 루트를 주파 해인사 2021-03
[99] 잡지 이탈리아 해군 범선 「아메리고 베스푸치호」에 승선하는 디자인 여행 https://www.axismag.[...] アクシス 2024-12-27
[100] 뉴스 이탈리아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범선」도… 속속 일본에 입항한 해외의 「해군 범선」, 그 장엄한 광경 https://gendai.media[...] 講談社 2024-12-29
[101] 잡지 AMERIGO VESPUCCI 이탈리아 해군 현역 최고령의 범선 「아메리고 베스푸치호」 https://perfectboat.[...] 2024-12-27
[102] 웹사이트 멕시코 해군 「쿠아우테목호」가 도쿄로 https://trafficnews.[...] 乗り物ニュース 2019-01-05
[103] 간행물 해외함정 뉴스 오만의 항해 연습함이 네덜란드에서 완성 해인사 2014-12
[104] 간행물 사진:동야일지 “인도네시아 항해 연습함 「비마 수치」 방일!!” 해인사 2019-11
[105] 간행물 외내상선 뉴스 항해 크루즈선 「씨 클라우드 스피릿」 준공 해인사 2021-08
[106] 웹사이트 新帆走クルーズ船「シー・クラウド・スピリット」デビュー! https://www.ships-ne[...] 株式会社海人社 2021-10-22
[107] 서적 日本の歷史11 太平記の時代 講談社 2001
[108] 서적 正しい家紋帖 金園社 199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