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 639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ISO 639는 언어의 이름을 나타내기 위한 표준으로, 다양한 세부 표준으로 구성되어 있다. 1967년 ISO/R 639로 처음 제정되었으며, 현재 ISO 639-1, ISO 639-2, ISO 639-3, ISO 639-4, ISO 639-5로 구성되어 있다. 각 표준은 고유한 코드 체계를 가지며, 언어의 식별과 분류에 사용된다. ISO 639 코드는 서지 정보, 컴퓨터 시스템의 로케일 데이터, 위키백과 다국어판 URL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ISO 639 - ISO 639-3
ISO 639-3는 ISO 639-1과 ISO 639-2를 확장하여 전 세계 7,916개 이상의 언어를 3자리 알파벳 코드로 분류하는 언어 코드 체계로, 현대어, 역사적 변종, 고대어, 인공어 등 광범위한 언어를 포괄하며, 기계 판독 가능한 데이터 파일을 제공하여 다른 ISO 639 코드와의 매핑을 지원한다. - ISO 639 - ISO 639-1
ISO 639-1은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제정한 언어 이름에 대한 두 문자 부호의 첫 번째 표준으로, 전 세계 주요 언어들을 대상으로 184개의 언어 코드를 등록하여 언어 식별 및 분류에 기여한다. - 목차 - 장르만 코미디
JTBC에서 2020년 7월부터 11월까지 방송된 코미디 프로그램인 장르만 코미디는 웹툰, 드라마, 음악 등 다양한 장르와의 협업과 여러 코너 및 게스트 출연, 그리고 김준호, 유세윤, 안영미 등 코미디언들의 활약을 통해 시청자들에게 다채로운 웃음을 선사했다. - 목차 - 유니버설 뮤직 그룹
유니버설 뮤직 그룹은 1995년 MCA 인수를 시작으로 폴리그램 합병 등을 거쳐 현재 네덜란드에 본사를 둔 세계적인 음반사이자 음악 출판 회사로, 유명 레이블을 다수 보유하고 틱톡과의 음원 사용 계약 관련 이슈를 겪었다. - 국제화와 지역화 - 언어 현지화
언어 현지화는 특정 지역의 문화, 언어, 법률 등을 고려하여 제품이나 서비스를 적응시키는 포괄적인 과정으로, 세계화 전략의 핵심 단계인 국제화 이후에 수행되며, 다양한 기술과 방법으로 이루어져 시장에서의 성공적인 출시와 성장에 필수적이다. - 국제화와 지역화 - ISO 3166
ISO 3166은 국가, 속령, 특별 지역 및 그 하위 구분에 대한 코드를 정의하는 국제 표준으로, ISO 3166-1, ISO 3166-2, ISO 3166-3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ISO 3166/MA에 의해 관리 및 업데이트된다.
| ISO 639 |
|---|
2. ISO 639의 역사 및 발전
ISO의 초기 언어 코딩 시스템은 1967년 제정된 ISO/R 639 "언어, 국가 및 당국의 기호"(Symbols for languages, countries and authorities영어)에서 시작되었다. 이 표준은 주로 ISO 회원 기관의 언어, 국가, 표준화 기관을 나타내는 어휘를 규제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당시 언어 기호는 대문자 라틴 문자 한두 글자의 가변 길이 식별자로 구성되었으며, 예를 들어 영어는 E 또는 En, 스페인어는 S, Sp 또는 Es, 인도네시아어는 In과 같았다. 또한 UDC(Universal Decimal Classification) 숫자 보조 기호를 사용하여 언어를 나타낼 수도 있었다(1993년 이전 버전).
| 이름(영어) | 1자 | 2자 | UDC | (1988) | (현재 세트 1) |
|---|---|---|---|---|---|
| 아프리칸스어 | — | Af | =393.6 | af | af |
| 아랍어 | — | Ar | =927 | ar | ar |
| 불가리아어 | — | Bg | =867 | bg | bg |
| 중국어 | C | Ch | =951 | zh | zh |
| 체코어 | — | Cs | =850 | cs | cs |
| 독일어 | D | De | =30 | de | de |
| 덴마크어 | — | Da | =398 | da | da |
| 영어 | E | En | =20 | en | en |
| 에스페란토 | — | Eo | =089.2 | eo | eo |
| 스페인어 | S | Es Sp | =60 | es | es |
| 프랑스어 | F | Fr | =40 | fr | fr |
| 핀란드어 | — | Fi | =945.41 | fi | fi |
| 그리스어 | G | Gr | =75 | el | el |
| 히브리어 | — | He | =924 | iw | he |
| 힌디어 | — | Hi | =914.3 | hi | hi |
| 헝가리어 | — | Hu | =945.11 | hu | hu |
| 이탈리아어 | I | It | =50 | it | it |
| 인터링구아 | — | Ia | =089.7 | ia | ia |
| 인터링게 | — | Ie | =089.6 | ie | ie |
| 인도네시아어 | — | In | =992.21 | in | id |
| 일본어 | J | Ja | =956 | ja | ja |
| 한국어 | — | Ko | =957 | ko | ko |
| 라틴어 | L | La | =71 | la | la |
| 네덜란드어 | — | Nl | =393.1 | nl | nl |
| 노르웨이어 | — | No | =396 | no | no |
| 폴란드어 | — | Pl | =84 | pl | pl |
| 포르투갈어 | — | Pt | =690 | pt | pt |
| 러시아어 | R | Ru | =82 | ru | ru |
| 루마니아어 | — | Ro | =590 | ro | ro |
| 산스크리트어 | — | Sa | =912.3 | sa | sa |
| 세르보크로아티아어 | — | Sh | =861/862 | sh | — |
| 슬로바키아어 | — | Sk | =854 | sk | sk |
| 슬로베니아어 | — | Sn | =863 | sl | sl |
| 스웨덴어 | — | Sv | =397 | sv | sv |
| 터키어 | — | Tr | =943.5 | tr | tr |
| 우크라이나어 | — | Uk | =83 | uk | uk |
| 우르두어 | — | Ur | =914.31 | ur | ur |
1974년 국가 코드가 ISO 3166으로 분리된 후, 1988년에는 "언어 이름의 표기를 위한 코드"(Codes for the representation of names of languages영어)라는 제목의 ISO 639:1988 표준 첫 번째 판이 게시되었다. 이 표준은 소문자 라틴 문자로 된 균일한 두 글자 식별자 프레임워크를 도입했으며, 형식과 어휘 면에서 현재 ISO 639 세트 1과 거의 동일하다.
이후 이 표준은 빠르게 확장되는 컴퓨터 산업의 기본 기술로 채택되었고(RFC 1766), 더 많은 언어를 표현할 수 있는 세 글자 코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는 언어에 대한 MARC 코드를 기반으로 하는 ISO 639-2:1998의 제정으로 이어졌다. 기존의 두 글자 코드 시스템은 2001년에 ISO 639-1로 재정의되었다.
더 넓은 응용 분야를 위해 언어에 대한 포괄적인 지원이 모색되면서, 개별 언어와 언어 그룹을 다루는 ISO 639-2 네임스페이스의 별도 상위 집합이 각각 ISO 639-3 (2007년 제정) 및 ISO 639-5 (2008년 제정)로 설정되었다. 또한 네 글자 식별자를 사용하여 더 세분화된 언어 변이형을 코딩하려는 시도로 ISO 639-6 (2009년 제정)이 있었으나, 2014년에 폐지되었고 다른 프레임워크인 ISO 21636으로 재구성될 예정이다.
ISO 639는 1998년부터 2023년까지 여러 부분(Part영어)으로 나뉘어 각 담당 기관에 의해 업데이트되어 왔으나, 2023년 ISO 639:2023 Code for individual languages and language groups영어가 게시되면서 이전 표준들(구 ISO 639-1부터 ISO 639-5까지)의 본문이 조화 및 재통합되었다. 이 과정에서 각 '부'(Part영어)에 속했던 코드들은 동일 규격 내의 '집합'(Set영어)으로 재편성되었으며, 모든 세트를 감독하고 뉴스레터를 발행하는 공동 유지 관리 기관이 설립되었다. [https://www.iso.org/committee/48124.html?t=VLMvDIOnzlNh6XnuSiBeTQfcl5zTJeO5Iq3La17-pq4-IvCIsy_BZZiFEYEcpwpz&view=documents]
과거에 존재했던 판과 부분들은 다음과 같다.
- ISO/R 639:1967
- ISO 639:1988 (개정 규격)
- ISO 639-1:2002 Codes for the representation of names of languages -- Part 1: Alpha-2 code영어 (언어 이름 코드 - 제1부: 2자 코드) (2002년 제정)
- ISO 639-2:1998 Codes for the representation of names of languages -- Part 2: Alpha-3 code영어 (언어 이름 코드 - 제2부: 3자 코드) (1998년 제정)
- ISO 639-3:2007 Codes for the representation of names of languages -- Part 3: Alpha-3 code for comprehensive coverage of languages영어 (포괄적인 3자 언어 코드) (2007년 제정)
- ISO 639-4:2010 Codes for the representation of names of languages -- Part 4: Implementation guidelines and general principles for language coding영어 (구현을 위한 가이드라인) (2010년 제정)
- ISO 639-5:2008 Codes for the representation of names of languages -- Part 5: Alpha-3 code for language families and groups영어 (언어 그룹을 나타내기 위한 3자 코드) (2008년 제정)
- ISO 639-6:2009 Codes for the representation of names of languages -- Part 6: Alpha-4 representation for comprehensive coverage of language variation영어 (언어 변종을 위한 4자 코드) (2009년 제정, 2014년 폐지)
ISO 639-2에서 규정한 3자 코드에는 서지용(Bibliographic영어) "B 코드"와 용어학용(Terminology영어) "T 코드"의 두 종류가 있다. 22개의 언어는 이 두 코드 체계에서 서로 다른 식별자를 가지지만, 그 외 언어들은 동일한 코드를 사용한다.
3. ISO 639의 세부 표준
ISO 639 표준은 언어 이름을 나타내는 코드를 정의하며, 여러 세부 표준으로 구성되어 각각 다른 범위와 목적을 가진다. 초기에는 ISO/R 639:1967로 시작하여 언어, 국가 등을 나타내는 가변 길이 코드를 사용했으나, 1988년 ISO 639:1988에서 현재의 ISO 639-1과 유사한 2자리 소문자 코드로 표준화되었다. 이후 컴퓨터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더 많은 언어를 포괄하기 위해 MARC 표준에 기반한 3자리 코드 체계인 ISO 639-2가 1998년에 제정되었고, 기존 2자리 코드는 2002년에 ISO 639-1로 재정의되었다. 더 나아가 모든 언어를 포괄하려는 목표로 ISO 639-3이, 언어족 및 그룹을 위한 ISO 639-5가 제정되었으며, 언어 코드 사용 지침을 담은 ISO 639-4도 만들어졌다. 언어 변종을 위한 4자리 코드 ISO 639-6도 있었으나 2014년에 폐지되었다.
1998년부터 2023년까지 각 표준은 '부분'(Part영어)으로 나뉘어 관리되었으나, 2023년 ISO 639:2023 Code for individual languages and language groups영어가 제정되면서 기존의 ISO 639-1부터 ISO 639-5까지가 하나의 표준으로 재통합되었다. 이 과정에서 각 '부분'에 속했던 코드들은 동일 규격 내의 '집합'(Set영어)으로 재편성되었다.
각 세부 표준(집합)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ISO 639 세부 표준 (2023년 통합 기준)'''
| 표준 (집합) | 명칭 (Codes for the representation of names of languages – ...영어) | 코드 형식 | 관리 기관 | 최초 제정 | 최신 (통합) | 주요 특징/목적 |
|---|---|---|---|---|---|---|
| ISO 639-1 (세트 1) | Part 1: Alpha-2 code영어 | 2자리 | 인포텀 | 1967/2002 | 2023 | 주요 언어 대상, 2자리 알파벳 코드. |
| ISO 639-2 (세트 2) | Part 2: Alpha-3 code영어 | 3자리 | 미국 의회도서관 | 1998 | 2023 | 서지 및 용어 목적의 3자리 알파벳 코드 (B/T 코드 구분 존재). ISO 639-1보다 포괄 범위 넓음. |
| ISO 639-3 (세트 3) | Part 3: Alpha-3 code for comprehensive coverage of languages영어 | 3자리 | SIL International | 2007 | 2023 | 알려진 모든 언어(고대, 사멸, 인공 언어 포함)를 포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3자리 알파벳 코드. |
| ISO 639-4 | Part 4: Implementation guidelines and general principles for language coding영어 | (코드 없음) | ISO/TC 37/SC 2 | 2010 | 2023 | 언어 코드 목록이 아닌, ISO 639 코드의 구현 및 사용에 대한 지침 제공. |
| ISO 639-5 (세트 5) | Part 5: Alpha-3 code for language families and groups영어 | 3자리 | 미국 의회도서관 | 2008 | 2023 | 개별 언어가 아닌 언어족 및 언어 그룹을 위한 3자리 알파벳 코드. |
| ISO 639-6 (폐지) | Part 6: Alpha-4 representation for comprehensive coverage of language variants영어 | 4자리 | Geolang | 2009 | (폐지) | 언어 내의 다양한 변종(방언 등)을 나타내기 위한 4자리 알파벳 코드였으나, 2014년 폐지됨.[8] |
각 표준(집합)은 지정된 유지 관리 기관(Registration Authority|RA영어)에 의해 관리되며, 이 기관들은 필요에 따라 코드를 추가하거나 상태를 변경하는 역할을 한다. 2023년 통합 표준 제정과 함께 공동 유지 관리 기관(Joint Maintenance Agency영어)이 설립되어 모든 세트를 감독하고 뉴스레터를 발행하는 등 표준의 일관된 관리를 지원한다.
3. 1. ISO 639-1 (세트 1)
ISO 639-1은 ISO 639 표준의 일부로, 언어 이름을 나타내기 위해 ISO 기본 라틴 문자 두 글자를 사용하는 코드 체계이다. 흔히 'Alpha-2 코드'라고도 불린다.[16][17] 이 체계는 주로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언어들을 대상으로 한다.ISO 639-1의 직접적인 전신은 1988년에 제정된 ISO 639:1988 표준이다. 이 표준은 소문자 라틴 문자 두 글자로 된 식별자 체계를 도입했으며, 이는 현재의 ISO 639-1과 형식 및 내용 면에서 거의 동일하다. 이후 더 많은 언어를 포괄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세 글자 코드 체계인 ISO 639-2가 개발되었고, 기존의 두 글자 시스템은 2001년에 ISO 639-1로 재정의되어 2002년에 'ISO 639-1:2002'라는 명칭으로 공식 제정되었다.
2023년에는 ISO 639의 여러 부분이 'ISO 639:2023'이라는 단일 표준으로 통합되었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ISO 639-1은 새로운 표준 내에서 '세트 1'(Set 1|세트 1영어)로 재편성되었다.
세트 1에는 일부 고대 언어와 인공어도 포함된다. 대표적인 고대 언어로는 아베스타어(
ae), 고대 교회 슬라브어(cu), 라틴어(la), 팔리어(pi), 산스크리트어(sa)가 있으며, 인공어로는 에스페란토(eo), 인터링구아(ia), 인터링구에(ie), 이도(io), 볼라퓌크(vo) 등이 있다. 반면, 사멸 언어나 역사 언어는 세트 1에 포함되지 않는다.3. 2. ISO 639-2 (세트 2)
ISO 639-2는 1998년에 처음 제정된 언어 이름 표기 코드로, 3자리 알파벳 코드(Alpha-3)를 사용한다. 이는 ISO 639-1의 2자리 코드 체계가 포괄하지 못하는 더 많은 언어를 담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언어에 대한 MARC 표준 코드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ISO 639-2는 서지 목록 등에서 사용되는 'B 코드'(Bibliographic code|서지 코드eng)와 용어학 분야에서 사용되는 'T 코드'(Terminology code|용어 코드eng) 두 종류의 3자 코드를 정의한다. 대부분 언어의 B 코드와 T 코드는 동일하지만, 22개의 언어는 서로 다른 코드를 가진다.[4][5]
2023년 7월 12일 기준으로, ISO 639-2에는 482개의 개별 언어 코드와 20개의 서지 전용(B-only) 코드가 등록되어 있다. 또한, 코드화되지 않은 언어를 위한 `mis`, 여러 언어를 나타내는 `mul`, 미확정 언어를 위한 `und`, 언어 내용이 없음을 나타내는 `zxx` 등 4개의 특수 목적 코드가 포함되어 있다. 이 외에도 로컬 환경에서 특정 목적을 위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qaa`부터 `qtz`까지 520개의 코드가 예약되어 있다.[4][5]
ISO 639-2 코드 목록의 등록 및 관리는 미국 의회도서관이 담당한다.
2023년, ISO 639:2023 표준이 제정되면서 기존의 여러 ISO 639 표준들이 통합되었다. 이에 따라 ISO 639-2는 이 새로운 통합 표준 내의 '세트 2'(Set 2|세트 2eng)로 재편성되었다.
3. 3. ISO 639-3 (세트 3)
ISO 639-3은 언어 이름 표기를 위한 국제 표준 ISO 639의 세 번째 부분(Part 3)으로, 2007년에 처음 제정되었다. 공식 명칭은 Codes for the representation of names of languages -- Part 3: Alpha-3 code for comprehensive coverage of languageseng이며, 3자리 알파벳 코드(Alpha-3)를 사용하여 지구상의 현존하는 모든 언어를 포괄적으로 다루는 것을 목표로 한다.[6] 이 표준의 등록 및 유지 관리 기관은 SIL 인터내셔널(SIL International)이다.ISO 639-3은 기존의 ISO 639-1 (2자리 코드)과 ISO 639-2 (3자리 코드)보다 더 많은 언어를 식별해야 할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개발되었다. 특히 문헌 기록이 적거나 잘 알려지지 않은 언어까지 포함하여 가능한 한 모든 언어에 고유한 코드를 부여하고자 했다. ISO 639-2와 마찬가지로 3자리 코드를 사용하지만, ISO 639-2가 주로 주요 언어와 서지 정보 관리에 중점을 둔 반면, ISO 639-3은 개별 언어 자체의 식별에 초점을 맞춘다.
2023년 7월 12일 기준으로, ISO 639-3에는 7,916개의 개별 언어 코드가 등록되어 있다. 이 외에도 코드화되지 않은 언어를 위한 'mis', 여러 언어를 나타내는 'mul', 미확정 언어를 위한 'und', 언어 내용이 없는 경우를 위한 'zxx' 등 4개의 특수 목적 코드가 있으며, 특정 응용 프로그램 내에서 로컬 사용을 위해 예약된 520개의 코드 범위('qaa'부터 'qtz'까지)가 존재한다.[6] 이는 약 6천에서 7천 개로 추정되는 전 세계의 언어[18] 각각에 고유 코드를 할당하기에 충분한 규모이다. 다만, ISO 639-2에서 정의된 일부 특수 코드 및 예약된 범위는 ISO 639-3에서 언어를 나타내는 데 사용할 수 없다.
2023년, ISO 639:2023 표준이 발표되면서 기존의 여러 부분으로 나뉘어 있던 ISO 639 표준들이 하나의 통합된 규격으로 재편성되었다. 이에 따라 ISO 639-3은 이 통합 표준 내에서 세트 3(Set 3)으로 분류되어 관리되고 있다.
3. 4. ISO 639-4
ISO 639-4는 언어 이름 표기 코드(ISO 639)의 네 번째 부분으로, 정식 명칭은 Codes for the representation of names of languages -- Part 4: Implementation guidelines and general principles for language coding영어 (언어 이름 코드 - 제4부: 언어 코딩을 위한 구현 지침과 일반 원칙)이다. 2010년 7월 16일에 제정되었다.이 표준은 다른 부분들과 달리 특정 언어 코드 목록을 포함하지 않는다. 대신, ISO 639의 다른 부분들에서 정의된 언어 코드를 어떻게 사용하고 구현할지에 대한 지침과 일반 원칙을 제공한다. 관리 기관은 ISO/TC 37 기술 위원회 산하의 SC 2 분과위원회이다.
2023년에 제정된 ISO 639:2023 표준에 따라, 기존의 ISO 639-1, ISO 639-2, ISO 639-3, ISO 639-5와 함께 ISO 639-4의 내용도 통합되어 단일 표준으로 재구성되었다.
3. 5. ISO 639-5 (세트 5)
ISO 639-5는 언어족(language families)과 언어 그룹(language groups)을 나타내는 세 글자(ISO 기본 라틴 문자 기반) 코드를 정의한다. 이 표준은 2008년 5월 15일에 Codes for the representation of names of languages -- Part 5: Alpha-3 code for language families and groupseng라는 명칭으로 처음 제정되었다.2023년 개정된 ISO 639:2023 표준에 통합되면서, 기존의 'Part 5'에 해당하던 코드들은 '세트 5(Set 5)'로 재편성되었다. 세트 2, 세트 3과 함께 세 글자 코드를 사용하는 세트 중 하나이다.
관리 및 등록 기관은 미국 의회도서관이며, 2023년 7월 12일 기준으로 총 115개의 코드가 등록되어 있다. 이 숫자는 36개의 나머지 그룹 코드와 ISO 639-2에서 가져온 29개의 일반 그룹 코드를 포함한다.[7]
3. 6. ISO 639-6 (폐지)
ISO 639-6은 2009년에 제정된 표준으로, 언어의 다양한 변종(language variation|랭귀지 배리에이션영어)을 포괄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4자리 알파벳 코드, 즉 "Alpha-4" 코드를 사용했다. 이 코드는 ISO 기본 라틴 문자 4개를 조합하여 만들었으며, 이론적으로 최대 264개(456,976개)의 언어 및 방언을 구별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표준은 2014년에 공식적으로 폐지(철회)되었다. ISO 639-6에서 시도되었던 상세한 언어 변종 코딩 방식은 다른 프레임워크인 ISO 21636으로 재구성될 예정이다.4. ISO 639 코드의 특징 및 상호 관계
ISO 639의 서로 다른 세트는 함께 작동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한 세트에서 특정 의미를 가진 코드가 다른 세트에서는 다른 의미를 갖지 않는다.[15] ISO 639는 1998년부터 2023년까지 여러 부분(Part)으로 나뉘어 있었으나, ISO 639:2023에 의해 구 ISO 639-1부터 ISO 639-5까지가 재통합되어 각 '부'에 속했던 코드들은 동일 규격 내의 '집합'(Set)으로 재편성되었다.
ISO 639 표준은 다음과 같은 범위를 다룬다:
- 개별 언어
- 매크로 언어 (세트 3)
- 언어 집합 (세트 1, 세트 2, 세트 5). 언어 집합은 세트 2와 세트 5에서 다루어지며, 일부는 세트 2에 이미 존재했고 나머지는 세트 5에서 추가되었다. 세트 2와의 호환성을 위해 정의된 '나머지 그룹'(세트 2에 이미 코딩된 언어 및 컬렉션을 제외한 그룹)과 '정규 그룹'(다른 그룹을 포함할 수 없는 그룹)이 있으며, 세트 5에서는 '가족' 개념이 추가되어 다른 컬렉션을 포함할 수 있다(나머지 그룹 제외).
- 방언: 과거 ISO 639-6에서 다루려 했으나 해당 표준은 폐기되었다.
- 특수 상황 (세트 2, 세트 3)
- 지역 사용을 위해 예약된 코드 (세트 2, 세트 3)
개별 언어는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 생존 언어 (세트 2, 세트 3)[10]
- 사멸 언어 (세트 2, 세트 3) (세트 3 기준 599개[11], 이 중 5개는 세트 2에도 포함:
chb,chg,cop,lui,sam) - 고대 언어 (세트 1, 세트 2, 세트 3) (세트 3 기준 124개[12], 이 중 19개는 세트 2에도 포함, 5개(
ave,chu,lat,pli,san)는 세트 1에도 코드(ae,cu,la,pi,sa) 존재) - 역사 언어 (세트 2, 세트 3) (세트 3 기준 89개[13], 이 중 16개는 세트 2에도 포함)
- 인공어 (세트 1, 세트 2, 세트 3) (세트 3 기준 23개[14], 이 중 9개는 세트 2에도 포함:
afh,epo,ido,ile,ina,jbo,tlh,vol,zbl; 5개(epo,ina,ile,ido,vol)는 세트 1에도 코드(eo,ia,ie,io,vo) 존재)
세트 2에서는 일부 언어(초기 22개, 현재 20개[15])에 대해 두 개의 서로 다른 세 글자 코드를 할당했는데, 이는 서지용(Bibliographic, B 코드)과 용어용(Terminology, T 코드)이다.[15] B 코드는 역사적 이유로 포함되었는데, 널리 사용되던 서지 시스템이 언어의 영어 이름을 기반으로 한 코드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반면 T 코드는 언어의 고유한 이름을 기반으로 하며, 해당 언어의 세트 1 코드와 유사하게 만들어졌다. 예를 들어, 독일어(세트 1:
de)는 세트 2에 두 개의 코드, 즉 ger(B 코드)와 deu(T 코드)를 가지지만, 영어는 eng라는 단일 코드만 있다.[15] 세트 3에서는 T 코드만 사용된다.세트 3에서는 매크로 언어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이는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고 종종 혼동되거나 혼용되기도 하는 여러 개별 언어들을 묶는 그룹이다. 일부 매크로 언어는 특정 개별 언어를 기반으로 표준 형식을 가지기도 한다 (예: 중국어 매크로 언어는 표준 중국어를 포함). 세트 3에는 62개의 매크로 언어 코드가 있으며, 이들은 세트 1이나 세트 2에 코드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아랍어는 세트 1(
ar), 세트 2/3(ara)에 모두 코드가 있지만, 발루치어는 세트 2/3(bal)에만 코드가 있다.언어 코드는 여러 세트에 걸쳐 존재할 수 있으며, 그 관계는 다양하다.
- 어떤 언어는 세트 1, 2, 3 모두에 코드가 있다 (예: 영어
en/eng). - 어떤 언어는 세트 2와 3에만 코드가 있다 (예: 아스투리아스어
ast). - 어떤 언어는 세트 3에만 코드가 있다 (예:
aaa- Ghotuo language). - 세트 2의 B/T 코드 존재 여부, 세트 3에서의 매크로 언어 분류 여부 등이 관계를 복잡하게 만든다. 예를 들어 페르시아어는 세트 1(
fa), 세트 2(B 코드per, T 코드fas), 세트 3(매크로 언어fas)에 모두 코드가 있다. - 언어 집합(Collective code)의 경우, 세트 2와 세트 5에서 다르게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는 세트 2와 5 모두에
aus코드가 있지만, 세트 5에만 추가된 언어 그룹(예:sqj- 알바니아 언어군)도 있다. - 과거 비하리어는 세트 1 코드
bh를 가졌으나, 세 개의 개별 비하리어(bho,mai,mag)가 고유한 세트 2 코드를 받으면서 2021년에 폐지되었다.[9] 현재 비하리어 그룹은 세트 2와 5에bih코드로 존재한다.
세트 2와 3에는 다음과 같은 특수한 목적을 위한 코드들도 포함된다:
mis: 개별 언어 코드가 아직 할당되지 않은 경우 사용 ("uncoded languages")mul: 다중 언어 콘텐츠 ("multiple languages")und: 미결정 언어 ("undetermined language")zxx: 언어 내용 없음, 해당 없음 ("no linguistic content; not applicable")qaa부터qtz: 로컬 사용을 위해 예약된 범위 ("reserved for local use")
5. ISO 639 코드의 활용
ISO 639의 여러 부분에서 정의된 언어 코드는 서지 정보 목적으로 사용되며, 컴퓨팅 및 인터넷 환경에서 로케일 데이터의 핵심 요소로 기능한다. 이 코드는 위키백과의 여러 언어판 URL과 같이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ISO 639 코드가 활용되는 주요 시스템 및 관련 목록은 다음과 같다.
- IETF 언어 태그 (HTML에서 사용됨)
- 국제 SIL#SIL 코드 (ISO 639-3)
- 글로토로그
- 에스놀로그
- :en:Lists of languages
- 위키백과 언어 목록#위키백과 언어 코드 목록
6. ISO 639 코드 목록 (한국어)
언어의 한국어 명칭에 따라 가나다순으로 정리되어 있다.
| Alpha-3 | Alpha-2 | 한국어 명칭 | 영어 명칭 | 프랑스어 명칭 |
|---|---|---|---|---|
| gaa | 가어 | Ga | ga | |
| gay | 가요어 | Gayo | gayo | |
| lug | lg | 간다어 | Ganda | ganda |
| glg | gl | 갈리시아어; 갈레고어 | Galician | galicien |
| gem | 게르만어파 (기타) | Germanic languages | langues germaniques | |
| gez | 그으즈어 | Geez | guèze | |
| gla | gd | 게일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 Gaelic; Scottish Gaeli | gaélique; gaélique écossais |
| got | 고트어 | Gothic | gothique | |
| gon | 곤드어 | Gondi | gond | |
| grn | gn | 과라니어 | Guarani | guarani |
| guj | gu | 구자라트어 | Gujarati | goudjrati |
| grb | 그레보어 | Grebo | grebo | |
| grc | 그리스어 (고대) (1453년 이전) | Ancient Greek | grec ancien | |
| gre/ell | el | 그리스어 (현대) (1453년 이후) | Modern Greek | grec moderne |
| kal | kl | 그린란드어; 칼랄리수트 | Greenlandic; Kalaallisut | groenlandais |
| gba | 그바야어 | Gbaya | gbaya | |
| gwi | 그위친어 | Gwich'in | ||
| mis | 기타 언어 | Miscellaneous languages | langues diverses |
| Alpha-3 | Alpha-2 | 한국어 명칭 | 영어 명칭 | 프랑스어 명칭 |
|---|---|---|---|---|
| nav | nv | 나바호어 | Navajo; Navaho | navaho |
| nah | 나우와틀어; 나와틀어 | Nahuatl | nahuatl | |
| nau | na | 나우루어 | Nauru | nauruan |
| ssa | 나일사하라어족 (기타) | Nilo-Saharan languages | langues nilo-sahariennes | |
| nap | 나폴리어 | Neopolitan | napolitain | |
| sai | 남아메리카 인디언 제어 (기타) | South American Indian languages | langues indiennes d'Amérique du Sud | |
| dut/nld | nl | 네덜란드어; 플라망어 | Dutch; Flemish | néerlandais; flamand |
| dum | 네덜란드어 (중세) (1050년-1350년경) | Middle Dutch | néerlandais moyen | |
| new | 네와르어; 네팔바사 | Newari; Nepal Bhasa | newari; nepal bhasa | |
| nwc | 네와르어 (고전) | Classical Newari; Old Newari | newari classique | |
| nep | ne | 네팔어 | Nepali | népalais |
| nog | 노가이어 | Nogai | nogaï; nogay | |
| non | 노르드어 (고대) | Old Norse | vieux norrois | |
| nor | no | 노르웨이어 | Norwegian | norvégien |
| nno | nn | 노르웨이어 (뉘노르스크); 신노르웨이어 | Norwegian Nynorsk | norvégien nynorsk |
| nob | nb | 노르웨이어 (보크몰); 덴마크-노르웨이어 | Norwegian Bokmål | norvégien bokmål |
| nub | 누비아어군 | Nubian languages | langues nubiennes | |
| nya | ny | 니안자어; 체와어; 치체와 | Chichewa; Chewa; Nyanja | chichewa; chewa; nyanja |
| nym | 니암웨지어 | Nyamwezi | nyamwezi | |
| nyo | 니오로어 | Nyoro | nyoro | |
| niu | 니우에어 | Niuean | niué | |
| nic | 니제르코르도판어족 (기타) | Niger-Kordofanian languages | langues nigéro-congolaises |
| Alpha-3 | Alpha-2 | 한국어 명칭 | 영어 명칭 | 프랑스어 명칭 |
|---|---|---|---|---|
| dar | 다르과어 | Dargwa | dargwa | |
| day | 다야크어 | Dayak | dayak | |
| mul | 다중 언어 | Multiple languages | multilingue | |
| dak | 다코타어 | Dakota | dakota | |
| dan | da | 덴마크어 | Danish | danois |
| del | 델라웨어어 | Delaware | delaware | |
| doi | 도그라어 | Dogri | dogri | |
| dgr | 도그리브어 | Dogrib | dogrib | |
| ger/deu | de | 독일어 | German | allemand |
| goh | 독일어 (고대 고지) (750년-1050년경) | Old High German | vieux haut allemand | |
| gmh | 독일어 (중세 고지) (1050년-1500년경) | Middle High German | moyen haut allemand | |
| dua | 두알라어 | Duala | douala | |
| dyu | 듈라어 | Dyula | dioula | |
| dra | 드라비다어족 (기타) | Dravidian languages | langues dravidiennes | |
| div | dv | 디베히어 | Divehi language | Divehi |
| din | 딩카어 | Dinka language | Dinka |
| Alpha-3 | Alpha-2 | 한국어 명칭 | 영어 명칭 | 프랑스어 명칭 |
|---|---|---|---|---|
| lad | 라디노어; 유대스페인어 | Ladino | judéo-espagnol | |
| rar | 라로통가어 | Rarotongan | rarotonga | |
| lao | lo | 라오어 | Lao | lao |
| raj | 라자스탄어 | Rajasthani | rajasthani | |
| lav | lv | 라트비아어 | Latvian | letton |
| lat | la | 라틴어 | Latin | latin |
| rap | 라파누이어 | Rapanui | rapanui | |
| lah | 란다어 | Lahnda | lahnda | |
| lam | 람바어 | Lamba | lamba | |
| rus | ru | 러시아어 | Russian | russe |
| lez | 레즈긴어 | Lezghian | lezghien | |
| roh | rm | 로만슈어; 레토로망어; 라이티아 로망스어 | Rhaeto-Romance | rhéto-roman |
| roa | 로망스어군 (기타) | Romance languages | langues romanes | |
| jbo | 로지반 | Lojban | lojban | |
| loz | 로지어 | Lozi | lozi | |
| qaa-qtz | 로컬 사용 예약 | Reserved for local use | réservée à l'usage local | |
| rom | 롬어; 로마니어; 집시어 | Romany | tsigane | |
| rum/ron | ro | 루마니아어 | Romanian | roumain |
| lua | 루바룰루아어 | Luba-Lulua | luba-lulua | |
| lub | lu | 루바카탕가어 | Luba-Katanga | luba-katanga |
| lus | 루샤이어 | Lushai | lushai | |
| rue | 루신어 | Rusyn | Rusyn | |
| luo | 루오어 (케냐와 탄자니아) | Luo (Kenya and Tanzania) | luo (Kenya et Tanzanie) | |
| lui | 루이세뇨어 | Luiseno | luiseno | |
| ltz | lb | 룩셈부르크어 | Luxembourgish; Letzeburgesch | luxembourgeois |
| lun | 룬다어 | Lunda | lunda | |
| run | rn | 룬디어 | Rundi | rundi |
| smj | 룰레 사미어 | Lule Sami | sami de Lule | |
| kin | rw | 르완다어; 키냐르완다어 | Kinyarwanda | rwanda |
| lit | lt | 리투아니아어 | Lithuanian | lituanien |
| lim | li | 림뷔르흐어 | Limburgan; Limburger; Limburgish | limbourgeois |
| lin | ln | 링갈라어 | Lingala | lingala |
| Alpha-3 | Alpha-2 | 한국어 명칭 | 영어 명칭 | 프랑스어 명칭 |
|---|---|---|---|---|
| mag | 마가드어; 마가히어 | Magahi | magahi | |
| mno | 마노보어군 | Manobo languages | langues manobo | |
| mni | 마니푸르어; 마니푸리어 | Manipuri | manipuri | |
| mlg | mg | 마다가스카르어 | Malagasy | malgache |
| mad | 마두라어 | Madurese | madourais | |
| mar | mr | 마라티어 | Marathi | marathe |
| mwr | 마르와르어 | Marwari | marvari | |
| chm | 마리어 | Mari | mari | |
| mas | 마사이어 | Masai | massaï | |
| mah | mh | 마셜어 | Marshallese | marshall |
| myn | 마야어족 | Mayan languages | langues maya | |
| mao/mri | mi | 마오리어 | Maori | maori |
| mai | 마이틸라어; 마이틸리어 | Maithili | maithili | |
| mak | 마카사르어 | Makasar | makassar | |
| mac/mkd | mk | 마케도니아어 | Macedonian | macédonien |
| mdr | 만다르어 | Mandar | mandar | |
| man | 만데어; 만딩고어 | Mandingo | mandingue | |
| mnc | 만주어 | Manchu | mandchou | |
| mal | ml | 말라얄람어 | Malayalam | malayalam |
| may/msa | ms | 말레이어 | Malay | malais |
| glv | gv | 맨어; 맹크스어 | Manx | manx; mannois |
| men | 멘데어 | Mende | mendé | |
| mos | 모시어 | Mossi | moré | |
| mdf | 모크샤어 | Moksha | moksa | |
| moh | 모호크어 | Mohawk | mohawk | |
| mkh | 몬크메르어파 (기타) | Mon-Khmer languages | langues môn-khmer | |
| cnr | 몬테네그로어 | Montenegrin | Monténégrin | |
| mol | mo | 몰도바어 | Moldavian; Moldovan | moldave |
| mlt | mt | 몰타어 | Maltese | maltais |
| lol | 몽고어 | Mongo | mongo | |
| mon | mn | 몽골어 | Mongolian | mongol |
| hmn | 몽어 | Hmong | hmong | |
| mus | 무스코지어; 크리크어 | Creek | muskogee | |
| mun | 문다어파 | Munda languages | langues mounda | |
| min | 미낭카바우어 | Minangkabau | minangkabau | |
| mwl | 미란다어 | Mirandese | mirandais | |
| mic | 미크맥어 | Mi'kmaq; Micmac | mi'kmaq; micmac | |
| und | 미확인 언어 | Undetermined | indéterminée |
| Alpha-3 | Alpha-2 | 한국어 명칭 | 영어 명칭 | 프랑스어 명칭 |
|---|---|---|---|---|
| bai | 바밀레케어계 | Bamileke languages | langues bamilékés | |
| bas | 바사어 | Basa | basa | |
| bak | ba | 바슈키르어 | Bashkir | bachkir |
| baq/eus | eu | 바스크어 | Basque | basque |
| vai | 바이어 | Vai | vaï | |
| bar | 바바리아어 | Bavarian | ||
| bad | 반다어 | Banda | banda | |
| bnt | 반투어군 (기타) | Bantu languages | langues bantoues | |
| bal | 발루치어 | Baluchi | baloutchi | |
| ban | 발리어 | Balinese | balinais | |
| bat | 발트어파 (기타) | Baltic languages | langues baltiques | |
| bam | bm | 밤바라어 | Bambara | bambara |
| bur/mya | my | 버마어 | Burmese | birman |
| ber | 베르베르어파 (기타) | Berber languages | langues berbères | |
| bej | 베자어 | Beja | bedja | |
| vie | vi | 베트남어 | Vietnamese | vietnamien |
| ven | ve | 벤다어 | Venda | venda |
| bel | be | 벨라루스어 | Belarusian | biélorusse |
| bem | 벰바어 | Bemba | bemba | |
| ben | bn | 벵골어 | Bengali | bengali |
| bos | bs | 보스니아어 | Bosnian | bosniaque |
| bho | 보지푸르어; 보지푸리어 | Bhojpuri | bhojpuri | |
| vot | 보트어 | Votic | vote | |
| vol | vo | 볼라퓌크 | Volapük | volapük |
| bug | 부기어 | Buginese | bugi | |
| bua | 부리아트어 | Buriat | bouriate | |
| nai | 북아메리카 인디언 제어 | North American Indian languages | langues indiennes d'Amérique du Nord | |
| bul | bg | 불가리아어 | Bulgarian | bulgare |
| bra | 브라지어 | Braj | braj | |
| bre | br | 브르타뉴어 | Breton | breton |
| bla | 식시카어 | Siksika | blackfoot | |
| byn | 블린어 | Blin; Bilin | blin; bilen | |
| bin | 비니어 | Bini | bini | |
| bis | bi | 비슐라마어 | Bislama | Bichlamar |
| bik | 비콜어 | Bikol | bikol | |
| bih | bh | 비하르어 | Bihari | bihari |
| Alpha-3 | Alpha-2 | 한국어 명칭 | 영어 명칭 | 프랑스어 명칭 |
|---|---|---|---|---|
| srd | sc | 사르데냐어 | Sardinian | sarde |
| sam | 사마리아 아람어 | Samaritan Aramaic | samaritain | |
| smo | sm | 사모아어 | Samoan | samoan |
| sma | 사미어 (남) | Southern Sami | sami du Sud | |
| smj | 사미어 (룰레) | Lule Sami | sami de Lule | |
| sme | se | 사미어 (북) | Northern Sami | sami du Nord |
| sms | 사미어 (스콜트) | Skolt Sami | sami skolt | |
| smn | 사미어 (이나리) | Inari Sami | sami d'Inari | |
| smi | 사미어계 (기타) | Sami languages | langues sami | |
| sas | 사사크어 | Sasak | sasak | |
| zap | 사포텍어 | Zapotec | zapotèque | |
| sad | 산다웨어 | Sandawe | sandawe | |
| san | sa | 산스크리트어 | Sanskrit | sanskrit |
| sat | 산탈어 | Santali | santal | |
| sag | sg | 상고어 | Sango | sango |
| sal | 살리시어족 | Salishan languages | langues salish | |
| chy | 샤이엔어 | Cheyenne | cheyenne | |
| shn | 샨어 | Shan | chan | |
| srr | 세레르어 | Serer | sérère | |
| scc/srp | sr | 세르비아어 | Serbian | serbe |
| ceb | 세부어; 세부아노어 | Cebuano | cebuano | |
| sel | 셀쿠프어 | Selkup | selkoupe | |
| sem | 셈어파 (기타) | Semitic languages | langues sémitiques | |
| sog | 소그드어 | Sogdian | sogdien | |
| hsb | 소르비아어 (고지) | Upper Sorbian | haut-sorabe | |
| dsb | 소르비아어 (저지) | Lower Sorbian | bas-sorabe | |
| wen | 소르비아어계 | Sorbian languages | langues sorabes | |
| som | so | 소말리어 | Somali | somali |
| sot | st | 소토어 (남) | Southern Sotho | sotho du Sud |
| nso | 소토어 (북) | Pedi; Sepedi; Northern Sotho | pedi; sepedi; sotho du Nord | |
| son | 송가이어 | Songhai | songhai | |
| sna | sn | 쇼나어 | Shona | shona |
| sux | 수메르어 | Sumerian | sumérien | |
| sus | 수수어 | Susu | soussou | |
| sio | 수어족 | Siouan languages | langues sioux | |
| suk | 수쿠마어 | Sukuma | sukuma | |
| sgn | 수화, 각종 | Sign languages | langues des signes | |
| sun | su | 순다어 | Sundanese | soundanais |
| ssw | ss | 스와티어 | Swati | swati |
| swa | sw | 스와힐리어; 키스와힐리어 | Swahili | swahili |
| swe | sv | 스웨덴어 | Swedish | suédois |
| sco | 스코트어 | Scots | écossais | |
| spa | es | 스페인어; 에스파냐어; 카스티야어 | Spanish; Castilian | espagnol; castillan |
| chu | cu | 슬라브어 (고대 교회); 고대 슬라브어; 교회 슬라브어; 고대 불가리아어 | Church Slavic; Old Slavonic; Church Slavonic; Old Bulgarian; Old Church Slavonic | slavon d'église; vieux slave; slavon liturgique; vieux bulgare |
| sla | 슬라브어파 (기타) | Slavic languages | langues slaves | |
| den | 슬레이비어 (아타파스카) | Slave (Athapascan) | esclave (athapascan) | |
| slo/slk | sk | 슬로바키아어 | Slovak | slovaque |
| slv | sl | 슬로베니아어 | Slovenian | slovène |
| sit | 시노티베트어족 (기타) | Sino-Tibetan languages | langues sino-tibétaines | |
| sid | 시다모어 | Sidamo | sidamo | |
| syr | 시리아어 | Syriac | syriaque | |
| scn | 시칠리아어 | Sicilian | sicilien | |
| snd | sd | 신드어 | Sindhi | sindhi |
| sin | si | 싱할라어 | Sinhala; Sinhalese | singhalais |
| iii | ii | 쓰촨 이어 | Sichuan Yi | yi de Sichuan |
{| class="wikitable"
|- style="background-color: #a0d0ff;"
!Alpha-3!!Alpha-2!!한국어 명칭!!영어 명칭!!프랑스어 명칭
|-
|ada|| ||아당메어||Adangme||adangme
|-
|ady|| ||아디게어||Adyghe; Adygei||adyghé
|-
|arg||an||아라곤어||Aragonese||aragonais
|-
|arw|| ||아라와크어||Arawak||arawak
|-
|arn|| ||아라우칸어||Araucanian||araucan
|-
|arp|| ||아라파호어||Arapaho||arapaho
|-
|arc|| ||아람어||Aramaic||araméen
|-
|ara||ar||아랍어||Arabic||arabe
|-
|arm/hye||hy||아르메니아어||Armenian||arménien
|-
|ava||av||아바르어||Avar||avar
|-
|ave||ae||아베스타어||Avestan||avestique
|-
|aah|| ||아라페시어, 아부||Arapesh, Abu'||
|-
|asm||as||아삼어||Assamese||assamais
|-
|ast|| ||아스투리아스어; 바블리어||Asturian; Bable||asturien; bable
|-
|awa|| ||아와드어||Awadhi||awadhi
|-
|ain|| ||아이누어||Ainu||aïnou
|-
|aym||ay||아이마라어||Aymara||aymara
|-
|ice/isl||is||아이슬란드어||Icelandic||islandais
|-
|hat||ht||아이티 크리올어||Haitian; Haitian Creole||haïtien; créole haïtien
|-
|gle||ga||아일랜드어||Irish||irlandais
|-
|sga|| ||고대 아일랜드어 (900년 이전)||Old Irish||irlandais ancien
|-
|mga|| ||중세 아일랜드어 (900년-1200년경)||Middle Irish||irlandais moyen
|-
|aze||az||아제르바이잔어; 아제리어||Azeri; Azerbaijani||azéri
|-
|ace|| ||아체어||Achinese||aceh
|-
|ach|| ||아촐리어||Acoli||acoli
|-
|akk|| ||아카드어||Akkadian||akkadien
|-
|aka||ak||아칸어||Akan||akan
|-
|ath|| ||아타파스카어군||Athapascan languages||langues athapascanes
|-
|aar||aa||아파르어||Afar||afar
|-
|apa|| ||아파치 제어||Apache languages||apache
|-
|afa|| ||아프리카아시아어족; 함셈어족 (기타)||Afro-Asiatic languages||langues afro-asiatiques
|-
|afr||af||아프리칸스어||Afrikaans||afrikaans
|-
|afh|| ||아프리힐리어||Afrihili||afrihili
|-
|xaa|| ||안달루시아 아랍어||عربية أندلسية||عربية أندلسية
|-
|alg|| ||알공킨어파||Algonquian languages||langues algon
7. 기타 언어 코드
- IETF 언어 태그 (HTML에서 사용됨)
- SIL 코드 (ISO 639-3)
- 글로토로그
- 에스놀로그
- 언어 목록
- 위키백과 언어 목록#위키백과 언어 코드 목록
참조
[1]
웹사이트
ISO/R 639:1967
http://www.iso.org/i[...]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1988-03-01
[2]
웹사이트
ISO 639:1988
http://www.iso.org/i[...]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12-08-05
[3]
웹사이트
ISO 639:2023
https://www.iso.org/[...]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23-11-15
[4]
웹사이트
Codes arranged alphabetically by alpha-3/ISO 639-2 Code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13-07-25
[5]
웹사이트
ISO-639-2 Codes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19-01-10
[6]
웹사이트
ISO 639-3 Code Set (UTF-8)
https://iso639-3.sil[...]
SIL International
2023-07-12
[7]
웹사이트
ISO 639-5 codes ordered by Identifier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18-12-12
[8]
웹사이트
ISO 639-6:2009
http://www.iso.org/i[...]
ISO
[9]
웹사이트
Change to Part 1 Language Code
https://iso639-3.sil[...]
2021-06-14
[10]
웹사이트
ISO 639 code tables: macrolanguages
https://iso639-3.sil[...]
2012-08-05
[11]
웹사이트
ISO 639 code tables: extinct
https://iso639-3.sil[...]
2012-08-05
[12]
웹사이트
ISO 639 code tables: ancient
https://iso639-3.sil[...]
2019-01-10
[13]
웹사이트
ISO 639 code tables: historical
https://iso639-3.sil[...]
2012-08-05
[14]
웹사이트
ISO 639 code tables: constructed
https://iso639-3.sil[...]
2022-02-07
[15]
웹사이트
ISO 639-2 –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14-05-05
[16]
웹사이트
Codes for the representation of names of languages -- Part 2: Alpha-3 code
https://www.iso.org/[...]
ISO
1998-10-01
[17]
웹사이트
Codes for the representation of names of languages -- Part 1: Alpha-2 code
https://www.iso.org/[...]
ISO
2002-07-01
[18]
웹사이트
Statistical Summaries
http://www.ethnologu[...]
Ethnologue
2012-08-05
[19]
웹사이트
ISO 639:2023
https://www.iso.org/[...]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23-11-15
[20]
논문
Rongga(ISO 639-3: ror)、バリ語(ISO 639-3: ban)、インドネシア語(ISO 639-3: ind)の付番の考察。
2010
[21]
웹사이트
ISO 639-6:2009
http://www.iso.org/i[...]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15-1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