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의 지방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지방도는 도청 소재지, 시청 또는 군청 소재지 간을 연결하거나 비행장, 항만, 철도역 등 주요 시설을 연결하는 도로를 의미한다. 지방의 간선도로망을 형성하며, 해당 지역의 도지사 또는 특별자치도지사가 관리한다. 노선 번호는 노란색 바탕에 청색 숫자로 표기되며, 각 도의 고유 번호와 노선 방향에 따라 3~4자리 숫자로 구성된다. 2006년 지방도 노선번호 체계가 개선되면서 현재의 체계가 확립되었으며, 매년 국토교통부에서 발행하는 도로현황조서를 통해 모든 노선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지방도 - 다도로
    다도로는 전라북도에서 시작해 나주시 다도면을 지나 화순군 도암면을 잇는 도로로, 세남로에서 시작하여 도천로, 운치도암로, 천태로와 연결된다.
  • 대한민국의 지방도 - 지방도 제309호선
    지방도 제309호선은 평택시, 화성시, 수원시, 의왕시, 과천시를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지방도로, 2005년 신규 지정되었으며, 서수원 ~ 의왕 간 고속화도로 구간 확장 등의 변화가 있었고, 포승읍, 향남읍, 정남면, 봉담읍, 매송면, 권선구, 부곡동, 고천동, 오전동, 청계동, 문원동, 과천동 등을 경유한다.
  • 도로 - 녹사평대로
    녹사평대로는 반포대교 북단에서 시작하여 남산3호터널을 지나 소공로와 연결되며, 이태원 관광특구 등 상권과 남산으로의 접근성을 가지는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도로이다.
  • 도로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부산민주공원
    부산민주공원은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공원 내에 위치하며 부마민주항쟁 20주년 기념으로 1999년에 개관한 공원으로, (사)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가 부산광역시로부터 위탁받아 운영하며, 부산광역시 조례에 따라 관리된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한강공원
    한강공원은 서울과 경기도에 걸쳐 조성된 대규모 공원 시스템으로, 1982년부터 1986년까지의 한강종합개발계획을 통해 조성되었으며, 한강르네상스 사업을 통해 문화, 예술, 레저 공간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행사와 활동을 제공하며 생태계 보전에도 기여한다.
대한민국의 지방도
지도
지방도 (대한민국)
개요
관할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
도로 등급국도 다음의 등급
관리 주체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 , 특별자치도
지정 목적지방의 간선 도로망 형성
종류
일반 지방도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 도, 특별자치도 관할
시도 지정 지방도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 관할
지정 및 관리
지정 주체국토교통부 장관 (지방자치단체 요청)
관리 주체특별시장, 광역시장, 특별자치시장, 도지사, 특별자치도지사
번호 체계
일반 지방도세 자리 숫자 (예: 300번)
시도 지정 지방도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의 고유 번호 체계 따름
중복 번호같은 번호의 지방도가 여러 지역에 존재 가능
특징
도로망국도와 함께 전국 도로망 구성
지역 연결시, 군 내 및 인접 지역 연결
도로 상태일부 구간은 확장 및 포장 필요
시설 개선도로 시설 확충 및 개선 노력 지속
역사
과거군도 등 하위 도로에서 승격
현재지역 교통망의 중요한 축 담당
향후지속적인 개선 및 관리 필요

2. 지방도의 요건 및 역할

도청소재지로부터 청 또는 청 소재지에 이르는 도로나 시청 또는 군청 소재지 상호 간을 연결하는 도로는 지방도에 해당한다. 또한, 도 또는 특별자치도내의 비행장, 항만, 역 또는 이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지역을 상호 연결하거나, 이들 시설에서 고속국도, 국도, 또는 다른 지방도를 연결하는 도로도 지방도에 포함된다. 이외에도 지방의 개발을 위하여 특히 중요한 도로도 지방도에 해당될수 있다.

지방도의 관리권은 해당 지역의 행정청인 '도지사'나 '특별자치도지사'가 맡는다. 지방도는 《도로법》에 따라 지방의 간선도로망을 형성한다.

3. 지방도의 노선 번호 부여 체계

대한민국의 지방도는 노선 번호를 표기할 때 노란색 바탕 사각형에 청색 숫자로 표기한다. 지방도 번호는 3~4자리 수로 구성되며, 앞 1~2자리 숫자는 각 도의 고유 번호를 나타낸다. 경기도는 300번대, 강원특별자치도는 400번대, 충청북도는 500번대, 충청남도는 600번대, 전북특별자치도는 700번대, 전라남도는 800번대, 경상북도는 900번대, 경상남도는 1000번대, 제주특별자치도는 1100번대 식으로 부여된다.[4][5]

뒷자리 번호 두 자리는 도 단위 행정구역 내에서 노선의 방향성에 따라 부여되는데, 남북 방향은 홀수, 동서 방향은 짝수 번호를 사용해 서쪽에서 동쪽으로, 남쪽에서 북쪽으로 부여한다. 01~50은 관할지역 내부만을 연결하는 노선에, 51~99는 인접 도 등 타 지역에 연결되는 노선에 사용한다. 만약 한 노선의 지방도가 두 개의 도를 연결하는 경우 노선 시점부에 해당하는 도의 고유번호를 사용하며, 타 지역의 지방도와 직결되거나 접속될 경우 앞부분의 도 단위 지역번호를 제외하고 뒤 두 자리 번호를 동일하게 부여하고 있다.[4][5]

과거에는 각 도마다 지방도 번호 부여 체계가 일관성이 없어, 각 지방도가 서로 직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 경계에서 서로 다른 지방도 번호로 바뀌어 운전자 및 이용객에게 혼선을 줬다. 또한 단거리 지방도가 많아 노선 수가 지나치게 많다는 지적에 따라 2006년 12월 건설교통부(현 국토교통부)는 지방도 노선번호 체계를 개선하였다. 이에 따라 지금과 같은 노선 번호 부여 체계가 확립되었으며 약 20km 미만인 노선에 대해서는 통·폐합이 이루어졌다. 이 때 제주특별자치도 내 국도는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 제251조 제3항 '''종전의 제주도에 지정된 일반국도를 해제하고, 도지사는 그 해제된 일반국도를 지방도로 인정한다'''는 내용에 따라 기존 국도를 지방도로 변경하되, 제주 지역에서 당시 사용하지 않던 번호인 1130~40번대 번호를 사용하여 지방도로 새로 지정하였다.[6]

4. 지방도 노선 목록 (2018년 기준)

지방도 노선은 고속도로나 국도, 국가지원지방도와 달리 법령으로 노선을 지정하여 관리하지 않았고 각 관할 도청에서 고시 및 공고를 통해 관리했으며, 이 또한 신설 및 폐지 공고가 누락된 경우도 많기 때문에 상위 3개 도로와 달리 모든 목록 확인은 매년 국토교통부에서 발행하는 《도로현황조서》를 기준으로 한다.

실제 지방도 시점 및 종점은 해당 지방도가 속한 시·군마다 상이한 경우도 있으며, 그 안내 내용이 도로현황조서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 경기도 (300호대) ==

=== 1996년 개편 이전 ===

경기도의 많은 지방도는 1996년과 2005년에 대대적으로 변경되었다.[3]

번호이름기점종점
301강화 ~ 일주선경기도 강화군 송해면 솔정리경기도 강화군 강화읍 월곳리
302매향 ~ 송전선경기도 화성군 우정면 매향리경기도 용인군 남사면 송전리
304용인 ~ 백암선경기도 용인군 용인읍 김량장리경기도 용인군 외사면 백암리
305인천 ~ 양촌선경기도 김포군 검단면 왕길리경기도 김포군 양촌면 도사리
306송산 ~ 오산선경기도 화성군 송산면 고포리경기도 오산시 세교동
307부평 ~ 적성선경기도 김포군 김포읍 풍무리경기도 파주군 법원읍 법원리
308성남 ~ 양평선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시흥동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양근리
309서신 ~ 송산선경기도 화성군 서신면 궁평리경기도 화성군 송산면 고정리
310북한산성 ~ 문산선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삼송동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문산리
312의왕 ~ 과천선경기도 의왕시 고천동경기도 과천시 문원동
313진천 ~ 안성선경기도 안성군 금광면 내우리경기도 안성군 금광면 상중리
314축석 ~ 광릉선경기도 포천군 소흘면 무림리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광양리
315행주대교 ~ 자유다리선경기도 파주군 문산읍 마정리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외동
316문산 ~ 가산선경기도 파주군 문산읍 문산리경기도 포천군 가산면 마산리
317봉담 ~ 신의선경기도 화성군 봉담면 덕우리경기도 화성군 남양면 신외리
318일죽 ~ 생극선경기도 안성군 일죽면 가리경기도 이천군 율면 산성리
321석정 ~ 호곡선경기도 평택군 포승면 석정리경기도 화성군 우정면 호곡리
322파평 ~ 청산선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자작리경기도 연천군 청산면 백의리
323문산 ~ 백학선경기도 파주군 파평면 장파리경기도 파주군 파평면 금파리
324백학 ~ 연천선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상리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자작리
325내촌 ~ 관인선경기도 포천군 내촌면 음현리경기도 포천군 관인면 탄동리
326신계 ~ 연천선경기도 연천군 중면 마거리경기도 연천군 신서면 도신리
328대신 ~ 단월선경기도 여주군 대신면 장풍리경기도 양평군 단월면 석산리
329매곡 ~ 양평선경기도 이천군 호법면 매곡리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양근리
330오산 ~ 관리선경기도 오산시 청학동경기도 화성군 향남면 관리
331삼성 ~ 용문선경기도 안성군 일죽면 화봉리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신점리
332조암 ~ 발안선경기도 화성군 팔탄면 해창리경기도 화성군 우정면 조암리
335앙성 ~ 흥천선경기도 여주군 점동면 장안리경기도 여주군 흥천면 문장리
336송교 ~ 매화선경기도 화성군 서신면 송교리경기도 화성군 서신면 매화리
338자안 ~ 봉담선경기도 화성군 비봉면 자안리경기도 화성군 봉담면 왕림리
339서운 ~ 동평선경기도 안성군 서운면 산평리경기도 안성군 보개면 동평리
340청북 ~ 원곡선경기도 평택군 청북면 현곡리경기도 안성군 원곡면 외가천리
341방초 ~ 대포선경기도 안성군 일죽면 방초리경기도 이천군 대월면 대포리
342안양 ~ 판교선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동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343갈천 ~ 상하선경기도 화성군 향남면 갈천리경기도 용인군 기흥읍 상하리
344초성 ~ 신평선경기도 연천군 청산면 초성리경기도 포천군 신북면 기지리
345포승 ~ 우정선경기도 평택군 포승면 내기리경기도 화성군 우정면 석천리
346오류 ~ 김포선경기도 김포군 검단면 오류리경기도 김포군 김포읍 북변리
348온수 ~ 덕포선경기도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경기도 강화군 화도면 덕포리
349신도 ~ 백학선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지축동경기도 연천군 백학면 노곡리
350마지 ~ 소흘선경기도 파주군 적성면 마지리경기도 포천군 소흘면 이동교리
351논곡 ~ 광명선경기도 시흥시 논곡동경기도 광명시 광명동
352온수 ~ 전호선경기도 김포군 대곶면 대명리경기도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362하남 ~ 상면선경기도 하남시 천현동경기도 가평군 하면 현리
363양평 ~ 가평선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양수리경기도 가평군 북면 적목리
364공도 ~ 양성선경기도 안성군 공도면 승두리경기도 안성군 양성면 동향리
365능서 ~ 금사선경기도 여주군 능서면 왕대리경기도 여주군 금사면 상품리
368광적 ~ 전곡선경기도 양주군 광적면 가납리경기도 파주군 적성면 적암리
383무극 ~ 용문선경기도 이천군 율면 석산리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광탄리
385낙생 ~ 서울선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여수동
387진천 ~ 오산선경기도 안성군 금광면 옥정리경기도 오산시 오산동
389광주 ~ 대왕선경기도 광주군 광주읍 경안리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시흥동
390서울 ~ 금곡선경기도 남양주시 퇴계원면 퇴계원리경기도 남양주시 미금면 금곡리
391미금 ~ 진건선경기도 남양주시 지금동경기도 남양주시 진건면 진관리
392성환 ~ 고당선경기도 안성군 미양면 신계리경기도 용인군 원삼면 고당리
393오산 ~ 서울선경기도 오산시 오산동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상적동
394청평 ~ 횡성선경기도 가평군 외서면 청평리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위곡리
396용문 ~ 원주선경기도 양평군 청운면 갈운리경기도 양평군 양동면 삼산리
397안양 ~ 오류선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동경기도 광명시
398서울 ~ 일산선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화전동경기도 고양시 일산구 일산동
399원곡 ~ 양촌선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심곡동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고강동



=== 2005년 개편 이전 ===

경기도의 많은 지방도는 1996년과 2005년에 대대적으로 변경되었다.[3]

번호이름기점종점비고
301석천 ~ 시화선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화산리경기도 안산시 대부동
304양감 ~ 송탄선경기도 화성시 양감면 요당리경기도 평택시 칠원동
305인천 ~ 하성선경기도 김포시 양촌면 대포리경기도 김포시 하성면 가금리
306대부 ~ 안양선경기도 안산시 대부동경기도 안양시 박달동
307풍무 ~ 사우선경기도 김포시 풍무동경기도 김포시 사우동
308성남 ~ 중부선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광지원리
309서신 ~ 안산선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궁평리경기도 안산시 초지동
310삼송 ~ 장남선경기도 고양시 신도읍 삼송리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원당리
312팽성 ~ 과천선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객사리경기도 과천시 선암동
313진천 ~ 안성선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금암리경기도 안성시 안성읍 옥천리
314정남 ~ 양성선경기도 화성시 정남면 수면리경기도 안성시 양성면 장서리
315벽제 ~ 법원선경기도 고양시 벽제면 벽제리경기도 파주시 법원읍 갈곡리
316연천 ~ 백운선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
317제부 ~ 공세선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제부리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공세동
318일죽 ~ 생극선
일죽 ~ 음성선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송천리
319능서 ~ 청운선경기도 여주군 능서면 번도리경기도 양평군 청운면 갈운리
321팽성 ~ 안산선경기도 평택시 현덕면 도대리경기도 화성시 장안면 독정리
322군내 ~ 청산선
광덕 ~ 맹대선
경기도 파주시 군내면 읍내리강원도 화천군 사내면 광덕리
323남면 ~ 백학선경기도 양주시 남면 상수리경기도 연천군 백학면 백력리
324파평 ~ 연천선경기도 파주시 파평면 금파리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장좌리
325내촌 ~ 철원선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
326천리 ~ 장호원선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천리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 송산리
327영통 ~ 내촌선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경기도 의왕시 청계동
328강천 ~ 단월선
문막 ~ 단월선
경기도 여주군 강천면 도전리강원도 원주시 문막읍 반계리
329삼죽 ~ 도척선경기도 안성시 삼죽면 덕산리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노곡리
330팽성 ~ 봉무선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석근리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봉명리
331일죽 ~ 용문선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화봉리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신정리
332조암 ~ 팔탄선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조암리경기도 화성시 팔탄면 구장리
333평택 ~ 자연농원선경기도 평택시 세교동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전대리
334광적 ~ 포천선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덕도리경기도 포천시 포천읍 선단리
335점동 ~ 흥천선
앙성 ~ 흥천선
경기도 여주군 점동면 삼합리충청북도 충주시 앙성면 단암리
337초월 ~ 강하선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산이리경기도 양평군 강하면 운심리
338남양 ~ 기흥선경기도 화성시 남양면 북양리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고매동
339하면 ~ 관인선경기도 가평군 하면 하판리경기도 포천시 관인면 탄동리
340이하 ~ 원곡선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이화리경기도 안성시 원곡면 외가천리
341경강 ~ 사내선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개곡리강원도 화천군 사내면 사창리
343정남 ~ 상하선경기도 화성시 정남면 괘랑리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구성면 상하리
344초성 ~ 신팔선경기도 연천군 청산면 초성리경기도 포천시 화현면 지현리
345장호원 ~ 도척선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 오남리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노곡리
347주내 ~ 신북선경기도 양주시 주내면 광사리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덕둔리
349구파발 ~ 장흥선경기도 고양시 효자동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석현리
350적성 ~ 소흘선경기도 파주시 법원읍 웅담리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이동교리
351병산 ~ 설악선경기도 양평군 강상면 병산리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엄소리
352대곶 ~ 고촌선경기도 김포시 대곶면 대명리경기도 김포시 양촌면 누산리
362화도 ~ 적목선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창현리경기도 가평군 북면 적목리
363덕소 ~ 북면선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도곡리경기도 가평군 외서면 호명리
365능서 ~ 산북선경기도 여주군 능서면 왕대리경기도 여주군 산북면 상품리
368통일동산 ~ 미산선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성동리경기도 연천군 미산면 삼화리
383율면 ~ 대월선경기도 이천시 율면 석산리경기도 이천시 대월면 대포리
387진천 ~ 고삼선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옥정리경기도 안성시 보개면 동평리
389성남 ~ 퇴촌선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도수리
390퇴계원 ~ 미금선경기도 남양주시 퇴계원면 퇴계원리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
391미금 ~ 진건선경기도 남양주시 지금동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배양리



== 강원특별자치도 (400호대) ==

강원특별자치도에는 총 27개의 지방도가 있다. 아래 표는 강원특별자치도를 경유하는 400호대 지방도에 대한 목록이다.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85%; text-align: center;"

|-

! 표지

! 노선
번호

! 명칭

! 시점

! 종점

! 길이

! 비고

|-

|

| 403

! 홍천 ~ 양구선

|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서면 모곡리

|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양구읍 상리

| 98.465km

|

|-

|

| 404

! 문막 ~ 운계선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문막읍 포진리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귀래면 운계리

| 14.157km

|

|-

|

| 406

! 공근 ~ 화촌선

|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공근면 학담리

| 강원특별자치도

4. 1. 경기도 (300호대)

경기도의 지방도는 1996년, 2005년에 대개편되었다. 현재 경기도의 지방도는 모두 2005년 이후에 새로 지정된 것이다.[7]

== 1996년 개편 이전 ==

경기도의 많은 지방도는 1996년과 2005년에 대대적으로 변경되었다.[3]

번호이름기점종점
301강화 ~ 일주선경기도 강화군 송해면 솔정리경기도 강화군 강화읍 월곳리
302매향 ~ 송전선경기도 화성군 우정면 매향리경기도 용인군 남사면 송전리
304용인 ~ 백암선경기도 용인군 용인읍 김량장리경기도 용인군 외사면 백암리
305인천 ~ 양촌선경기도 김포군 검단면 왕길리경기도 김포군 양촌면 도사리
306송산 ~ 오산선경기도 화성군 송산면 고포리경기도 오산시 세교동
307부평 ~ 적성선경기도 김포군 김포읍 풍무리경기도 파주군 법원읍 법원리
308성남 ~ 양평선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시흥동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양근리
309서신 ~ 송산선경기도 화성군 서신면 궁평리경기도 화성군 송산면 고정리
310북한산성 ~ 문산선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삼송동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문산리
312의왕 ~ 과천선경기도 의왕시 고천동경기도 과천시 문원동
313진천 ~ 안성선경기도 안성군 금광면 내우리경기도 안성군 금광면 상중리
314축석 ~ 광릉선경기도 포천군 소흘면 무림리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광양리
315행주대교 ~ 자유다리선경기도 파주군 문산읍 마정리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외동
316문산 ~ 가산선경기도 파주군 문산읍 문산리경기도 포천군 가산면 마산리
317봉담 ~ 신의선경기도 화성군 봉담면 덕우리경기도 화성군 남양면 신외리
318일죽 ~ 생극선경기도 안성군 일죽면 가리경기도 이천군 율면 산성리
321석정 ~ 호곡선경기도 평택군 포승면 석정리경기도 화성군 우정면 호곡리
322파평 ~ 청산선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자작리경기도 연천군 청산면 백의리
323문산 ~ 백학선경기도 파주군 파평면 장파리경기도 파주군 파평면 금파리
324백학 ~ 연천선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상리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자작리
325내촌 ~ 관인선경기도 포천군 내촌면 음현리경기도 포천군 관인면 탄동리
326신계 ~ 연천선경기도 연천군 중면 마거리경기도 연천군 신서면 도신리
328대신 ~ 단월선경기도 여주군 대신면 장풍리경기도 양평군 단월면 석산리
329매곡 ~ 양평선경기도 이천군 호법면 매곡리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양근리
330오산 ~ 관리선경기도 오산시 청학동경기도 화성군 향남면 관리
331삼성 ~ 용문선경기도 안성군 일죽면 화봉리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신점리
332조암 ~ 발안선경기도 화성군 팔탄면 해창리경기도 화성군 우정면 조암리
335앙성 ~ 흥천선경기도 여주군 점동면 장안리경기도 여주군 흥천면 문장리
336송교 ~ 매화선경기도 화성군 서신면 송교리경기도 화성군 서신면 매화리
338자안 ~ 봉담선경기도 화성군 비봉면 자안리경기도 화성군 봉담면 왕림리
339서운 ~ 동평선경기도 안성군 서운면 산평리경기도 안성군 보개면 동평리
340청북 ~ 원곡선경기도 평택군 청북면 현곡리경기도 안성군 원곡면 외가천리
341방초 ~ 대포선경기도 안성군 일죽면 방초리경기도 이천군 대월면 대포리
342안양 ~ 판교선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동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343갈천 ~ 상하선경기도 화성군 향남면 갈천리경기도 용인군 기흥읍 상하리
344초성 ~ 신평선경기도 연천군 청산면 초성리경기도 포천군 신북면 기지리
345포승 ~ 우정선경기도 평택군 포승면 내기리경기도 화성군 우정면 석천리
346오류 ~ 김포선경기도 김포군 검단면 오류리경기도 김포군 김포읍 북변리
348온수 ~ 덕포선경기도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경기도 강화군 화도면 덕포리
349신도 ~ 백학선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지축동경기도 연천군 백학면 노곡리
350마지 ~ 소흘선경기도 파주군 적성면 마지리경기도 포천군 소흘면 이동교리
351논곡 ~ 광명선경기도 시흥시 논곡동경기도 광명시 광명동
352온수 ~ 전호선경기도 김포군 대곶면 대명리경기도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362하남 ~ 상면선경기도 하남시 천현동경기도 가평군 하면 현리
363양평 ~ 가평선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양수리경기도 가평군 북면 적목리
364공도 ~ 양성선경기도 안성군 공도면 승두리경기도 안성군 양성면 동향리
365능서 ~ 금사선경기도 여주군 능서면 왕대리경기도 여주군 금사면 상품리
368광적 ~ 전곡선경기도 양주군 광적면 가납리경기도 파주군 적성면 적암리
383무극 ~ 용문선경기도 이천군 율면 석산리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광탄리
385낙생 ~ 서울선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여수동
387진천 ~ 오산선경기도 안성군 금광면 옥정리경기도 오산시 오산동
389광주 ~ 대왕선경기도 광주군 광주읍 경안리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시흥동
390서울 ~ 금곡선경기도 남양주시 퇴계원면 퇴계원리경기도 남양주시 미금면 금곡리
391미금 ~ 진건선경기도 남양주시 지금동경기도 남양주시 진건면 진관리
392성환 ~ 고당선경기도 안성군 미양면 신계리경기도 용인군 원삼면 고당리
393오산 ~ 서울선경기도 오산시 오산동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상적동
394청평 ~ 횡성선경기도 가평군 외서면 청평리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위곡리
396용문 ~ 원주선경기도 양평군 청운면 갈운리경기도 양평군 양동면 삼산리
397안양 ~ 오류선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동경기도 광명시
398서울 ~ 일산선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화전동경기도 고양시 일산구 일산동
399원곡 ~ 양촌선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심곡동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고강동



== 2005년 개편 이전 ==

경기도의 많은 지방도는 1996년과 2005년에 대대적으로 변경되었다.[3]

번호이름기점종점비고
301석천 ~ 시화선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화산리경기도 안산시 대부동
304양감 ~ 송탄선경기도 화성시 양감면 요당리경기도 평택시 칠원동
305인천 ~ 하성선경기도 김포시 양촌면 대포리경기도 김포시 하성면 가금리
306대부 ~ 안양선경기도 안산시 대부동경기도 안양시 박달동
307풍무 ~ 사우선경기도 김포시 풍무동경기도 김포시 사우동
308성남 ~ 중부선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광지원리
309서신 ~ 안산선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궁평리경기도 안산시 초지동
310삼송 ~ 장남선경기도 고양시 신도읍 삼송리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원당리
312팽성 ~ 과천선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객사리경기도 과천시 선암동
313진천 ~ 안성선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금암리경기도 안성시 안성읍 옥천리
314정남 ~ 양성선경기도 화성시 정남면 수면리경기도 안성시 양성면 장서리
315벽제 ~ 법원선경기도 고양시 벽제면 벽제리경기도 파주시 법원읍 갈곡리
316연천 ~ 백운선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
317제부 ~ 공세선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제부리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공세동
318일죽 ~ 생극선
일죽 ~ 음성선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송천리
319능서 ~ 청운선경기도 여주군 능서면 번도리경기도 양평군 청운면 갈운리
321팽성 ~ 안산선경기도 평택시 현덕면 도대리경기도 화성시 장안면 독정리
322군내 ~ 청산선
광덕 ~ 맹대선
경기도 파주시 군내면 읍내리강원도 화천군 사내면 광덕리
323남면 ~ 백학선경기도 양주시 남면 상수리경기도 연천군 백학면 백력리
324파평 ~ 연천선경기도 파주시 파평면 금파리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장좌리
325내촌 ~ 철원선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
326천리 ~ 장호원선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천리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 송산리
327영통 ~ 내촌선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경기도 의왕시 청계동
328강천 ~ 단월선
문막 ~ 단월선
경기도 여주군 강천면 도전리강원도 원주시 문막읍 반계리
329삼죽 ~ 도척선경기도 안성시 삼죽면 덕산리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노곡리
330팽성 ~ 봉무선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석근리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봉명리
331일죽 ~ 용문선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화봉리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신정리
332조암 ~ 팔탄선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조암리경기도 화성시 팔탄면 구장리
333평택 ~ 자연농원선경기도 평택시 세교동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전대리
334광적 ~ 포천선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덕도리경기도 포천시 포천읍 선단리
335점동 ~ 흥천선
앙성 ~ 흥천선
경기도 여주군 점동면 삼합리충청북도 충주시 앙성면 단암리
337초월 ~ 강하선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산이리경기도 양평군 강하면 운심리
338남양 ~ 기흥선경기도 화성시 남양면 북양리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고매동
339하면 ~ 관인선경기도 가평군 하면 하판리경기도 포천시 관인면 탄동리
340이하 ~ 원곡선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이화리경기도 안성시 원곡면 외가천리
341경강 ~ 사내선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개곡리강원도 화천군 사내면 사창리
343정남 ~ 상하선경기도 화성시 정남면 괘랑리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구성면 상하리
344초성 ~ 신팔선경기도 연천군 청산면 초성리경기도 포천시 화현면 지현리
345장호원 ~ 도척선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 오남리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노곡리
347주내 ~ 신북선경기도 양주시 주내면 광사리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덕둔리
349구파발 ~ 장흥선경기도 고양시 효자동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석현리
350적성 ~ 소흘선경기도 파주시 법원읍 웅담리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이동교리
351병산 ~ 설악선경기도 양평군 강상면 병산리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엄소리
352대곶 ~ 고촌선경기도 김포시 대곶면 대명리경기도 김포시 양촌면 누산리
362화도 ~ 적목선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창현리경기도 가평군 북면 적목리
363덕소 ~ 북면선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도곡리경기도 가평군 외서면 호명리
365능서 ~ 산북선경기도 여주군 능서면 왕대리경기도 여주군 산북면 상품리
368통일동산 ~ 미산선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성동리경기도 연천군 미산면 삼화리
383율면 ~ 대월선경기도 이천시 율면 석산리경기도 이천시 대월면 대포리
387진천 ~ 고삼선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옥정리경기도 안성시 보개면 동평리
389성남 ~ 퇴촌선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도수리
390퇴계원 ~ 미금선경기도 남양주시 퇴계원면 퇴계원리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
391미금 ~ 진건선경기도 남양주시 지금동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배양리


4. 1. 1. 1996년 개편 이전

경기도의 많은 지방도는 1996년과 2005년에 대대적으로 변경되었다.[3]

번호이름기점종점
301호선우정 ~ 정왕선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화산리경기도 시흥시 정왕동
302호선이화 ~ 금광선
덕산 ~ 오산선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이화리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신계리
305호선서신 ~ 초지선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상안리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
306호선양감 ~ 율면선
일죽 ~ 음성선
경기도 화성시 양감면 요당리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어음리
309호선포승 ~ 과천선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도곡리경기도 과천시 주암동
310호선금의 ~ 봉명선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화수리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봉명리
311호선갈곶 ~ 영덕선경기도 오산시 부산동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313호선팽성 ~ 사사선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송화리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
314호선정남 ~ 안성선경기도 화성시 정남면 고지리경기도 안성시 양성면 장서리
315호선팽성 ~ 구성선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개사리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하동
317호선평택 ~ 기흥선경기도 평택시 세교동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공세동
318호선서신 ~ 장호원선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송화리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 서읍리
321호선공도 ~ 오포선경기도 안성시 공도읍 만정리경기도 광주시 오포읍 추자리
322호선대부 ~ 안녕선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동경기도 화성시 안녕동
325호선금광 ~ 퇴촌선
진천 ~ 안성선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석현리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광동리
329호선일죽 ~ 대월선
무극 ~ 용문선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내송리경기도 이천시 대포동
330호선고잔 ~ 목감선
(제3경인고속화도로)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경기도 시흥시 목감동
333호선율면 ~ 강하선
청천 ~ 율면선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덕평리경기도 양평군 강하면 왕창리
334호선학의 ~ 금곡선경기도 의왕시 학의동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
337호선장호원 ~ 모현선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 장호원리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매산리
338호선성남 ~ 퇴촌선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관음리
341호선가남 ~ 단월선경기도 여주시 가남읍 삼군리경기도 양평군 단월면 향소리
342호선성남 ~ 양동선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경기도 양평군 양동면 금왕리
345호선점동 ~ 단월선경기도 여주시 점동면 초리경기도 양평군 단월면 석산리
349호선강천 ~ 청운선
문막 ~ 단월선
강원도 원주시 문막읍 방예리경기도 양평군 청운면 가룬리
352호선와부 ~ 옥천선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양수리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신복리
355호선양촌 ~ 하성선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대포리경기도 김포시 하성면 마근포리
356호선월곶 ~ 동산선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포내리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구산동
357호선덕양 ~ 교하선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덕은동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갈현리
358호선김포 ~ 관산선경기도 김포시 대곶면 초원지리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관산동
359호선일산 ~ 문산선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선유리
360호선통일동산 ~ 가산선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성동리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마산리
363호선화전 ~ 탄현선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현동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낙하리
364호선문산 ~ 가평선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당동리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승안리
367호선벽제 ~ 장남선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벽제동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판부리
368호선청산 ~ 적목선경기도 연천군 청산면 조성리경기도 가평군 북면 적목리
371호선오금 ~ 중면선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오금동경기도 연천군 중면 적거리
372호선군내 ~ 백운선
광덕 ~ 맹대선
경기도 파주시 군내면 방목리강원도 화천군 사내면 광덕리
375호선광적 ~ 미산선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가납리경기도 연천군 미산면 마전리
376호선중면 ~ 관인선경기도 연천군 중면 적거리경기도 포천시 관인면 사정리
379호선주내 ~ 신북선경기도 양주시 삼숭동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덕둔리
383호선지금 ~ 진접선경기도 남양주시 지금동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연평리
387호선화도 ~ 관인선
내촌 ~ 철원선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창현리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
391호선양서 ~ 화악선
경강 ~ 사내선
경기도 양평군 서종면 문호리강원도 화천군 사내면 사창리


4. 1. 2. 2005년 개편 이전

경기도의 많은 지방도는 1996년과 2005년에 대대적으로 변경되었다.[3]

번호이름한국어기점종점비고
지방도 301호선우정 ~ 정왕선우정 ~ 정왕선화성시 우정읍 화산리시흥시 정왕동
지방도 302호선이화 ~ 금광선
덕산 ~ 오산선
이화 ~ 금광선
덕산 ~ 오산선
화성시 우정읍 이화리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신계리
지방도 305호선서신 ~ 초지선서신 ~ 초지선화성시 서신면 상안리안산시 단원구 성곡동
지방도 306호선양감 ~ 율면선
일죽 ~ 음성선
양감 ~ 율면선
일죽 ~ 음성선
화성시 양감면 요당리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어음리
지방도 309호선포승 ~ 과천선포승 ~ 과천선평택시 포승읍 도곡리과천시 주암동
지방도 310호선금의 ~ 봉명선금의 ~ 봉명선화성시 우정읍 화수리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봉명리
지방도 311호선갈곶 ~ 영덕선갈곶 ~ 영덕선오산시 부산동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지방도 313호선팽성 ~ 사사선팽성 ~ 사사선평택시 팽성읍 송화리안산시 상록구 사사동
지방도 314호선정남 ~ 안성선정남 ~ 안성선화성시 정남면 고지리안성시 양성면 장서리
지방도 315호선팽성 ~ 구성선팽성 ~ 구성선평택시 팽성읍 개사리용인시 기흥구 상하동
지방도 317호선평택 ~ 기흥선평택 ~ 기흥선평택시 세교동용인시 기흥구 공세동
지방도 318호선서신 ~ 장호원선서신 ~ 장호원선화성시 서신면 송화리이천시 장호원읍 서읍리
지방도 321호선공도 ~ 오포선공도 ~ 오포선안성시 공도읍 만정리광주시 오포읍 추자리
지방도 322호선대부 ~ 안녕선대부 ~ 안녕선안산시 단원구 대부동동화성시 안녕동
지방도 325호선금광 ~ 퇴촌선
진천 ~ 안성선
금광 ~ 퇴촌선
진천 ~ 안성선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석현리광주시 퇴촌면 광동리
지방도 329호선일죽 ~ 대월선
무극 ~ 용문선
일죽 ~ 대월선
무극 ~ 용문선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내송리이천시 대포동
지방도 330호선고잔 ~ 목감선
(제3경인고속화도로)
고잔 ~ 목감선시흥시 정왕동시흥시 목감동유료도로
지방도 333호선율면 ~ 강하선
청천 ~ 율면선
율면 ~ 강하선
청천 ~ 율면선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덕평리양평군 강하면 왕창리
지방도 334호선학의 ~ 금곡선학의 ~ 금곡선의왕시 학의동성남시 분당구 금곡동
지방도 337호선장호원 ~ 모현선장호원 ~ 모현선이천시 장호원읍 장호원리용인시 처인구 모현면 매산리2007년 11월 12일 연장
지방도 338호선성남 ~ 퇴촌선성남 ~ 퇴촌선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광주시 퇴촌면 관음리
지방도 341호선가남 ~ 단월선가남 ~ 단월선여주시 가남읍 삼군리양평군 단월면 향소리
지방도 342호선성남 ~ 양동선성남 ~ 양동선성남시 수정구 복정동양평군 양동면 금왕리
지방도 345호선점동 ~ 단월선점동 ~ 단월선여주시 점동면 초리양평군 단월면 석산리
지방도 349호선강천 ~ 청운선
문막 ~ 단월선
강천 ~ 청운선
문막 ~ 단월선
강원도 원주시 문막읍 방예리양평군 청운면 가룬리
지방도 352호선와부 ~ 옥천선와부 ~ 옥천선양평군 양서면 양수리양평군 옥천면 신복리
지방도 355호선양촌 ~ 하성선양촌 ~ 하성선김포시 양촌읍 대포리김포시 하성면 마근포리
지방도 356호선월곶 ~ 동산선월곶 ~ 동산선김포시 월곶면 포내리고양시 일산서구 구산동
지방도 357호선덕양 ~ 교하선덕양 ~ 교하선고양시 덕양구 덕은동파주시 탄현면 갈현리
지방도 358호선김포 ~ 관산선김포 ~ 관산선김포시 대곶면 초원지리고양시 덕양구 관산동
지방도 359호선일산 ~ 문산선일산 ~ 문산선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파주시 문산읍 선유리
지방도 360호선통일동산 ~ 가산선통일동산 ~ 가산선파주시 탄현면 성동리포천시 가산면 마산리
지방도 363호선화전 ~ 탄현선화전 ~ 탄현선고양시 덕양구 현동파주시 탄현면 낙하리
지방도 364호선문산 ~ 가평선문산 ~ 가평선파주시 문산읍 당동리가평군 가평읍 승안리
지방도 367호선벽제 ~ 장남선벽제 ~ 장남선고양시 덕양구 벽제동연천군 장남면 판부리
지방도 368호선청산 ~ 적목선청산 ~ 적목선연천군 청산면 조성리가평군 북면 적목리
지방도 371호선오금 ~ 중면선오금 ~ 중면선고양시 덕양구 오금동연천군 중면 적거리
지방도 372호선군내 ~ 백운선
광덕 ~ 맹대선
군내 ~ 백운선
광덕 ~ 맹대선
파주시 군내면 방목리강원도 화천군 사내면 광덕리
지방도 375호선광적 ~ 미산선광적 ~ 미산선양주시 광적면 가납리연천군 미산면 마전리
지방도 376호선중면 ~ 관인선중면 ~ 관인선연천군 중면 적거리포천시 관인면 사정리
지방도 379호선주내 ~ 신북선주내 ~ 신북선양주시 삼숭동포천시 신북면 덕둔리
지방도 383호선지금 ~ 진접선지금 ~ 진접선남양주시 지금동남양주시 진접읍 연평리2009년 1월 단축
지방도 387호선화도 ~ 관인선
내촌 ~ 철원선
화도 ~ 관인선
내촌 ~ 철원선
남양주시 화도읍 창현리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
지방도 391호선양서 ~ 화악선
경강 ~ 사내선
양서 ~ 화악선
경강 ~ 사내선
양평군 서종면 문호리강원도 화천군 사내면 사창리


4. 2. 강원특별자치도 (400호대)

번호명칭시점종점길이비고403홍천 ~ 양구선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서면 모곡리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양구읍 상리98.465km404문막 ~ 운계선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문막읍 포진리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귀래면 운계리14.157km406공근 ~ 화촌선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공근면 학담리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화촌면 군업리37.823km407용산 ~ 화천선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신북읍 용산리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화천읍 하리21.4km408상걸 ~ 봉평선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두촌면 자은리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용평면 백옥포리72.53km409흥업 ~ 서원선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호저면 만종리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서원면 유현리25.308km410하진부 ~ 고단선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신기리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왕산면 고단리45.6km411신림 ~ 둔내선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신림면 황둔리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둔내면 현천리39.436km414고한 ~ 황지선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고한읍 고한리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혈동21.8km415영월 ~ 강릉선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북면 문곡리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연곡면 행정리111.79km2017년 1월 6일 노선 통합[13]416신리 ~ 월천선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도계읍 신리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원덕읍 월천리31.204km418현리 ~ 하광정선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기린면 현리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현북면 하광정리68.293km420동면 ~ 방림선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영귀미면 좌운리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방림면 계촌리53.64km421노일 ~ 임계선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신동읍 예미리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하장면 토산리49.618km424내면 ~ 덕산선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내면 자운리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근덕면 교가리174.614km426서화 ~ 죽왕선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서화면 서화리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죽왕면 삼포리41.5km427황지 ~ 근덕선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도계읍 구사리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근덕면 동막리37.8km442횡성 ~ 안흥선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횡성읍 추동리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우천면 우항리6.165km444홍천 ~ 상남선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홍천읍 갈마곡리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상남면 상남리46.461km446신남 ~ 진부선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남면 신남리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내면 광원리54.374km451철정 ~ 현리선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두촌면 철정리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상남면 상남리32.448km453원통 ~ 임당선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북면 원통리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동면 임당리47.423km456진부 ~ 강릉선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간평리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성산면 구산리30.376km460화천 ~ 양구선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화천읍 대이리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양구읍 도사리60.45km461상서 ~ 간동선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상서면 다목리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간동면 간척리54.483km463사내 ~ 이천선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사내면 광덕리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철원읍 가단리53.05km464춘천 ~ 철원선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갈말읍 지경리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철원읍 월하리22.519km494청평 ~ 횡성선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서면 모곡리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공근면 상창봉리42.556km


4. 3. 충청북도 (500호대)

충청북도에는 500호대 지방도가 다수 존재한다. 지방도 제501호선영동군 학산면 황산리에서 옥천군 옥천읍 금구리까지 이어지며, 총 길이는 33.56km이다.[15] 지방도 제502호선보은군 회남면 거교리에서 탄부면 하장리까지 45.552km 구간이다.[15] 지방도 제504호선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동평리에서 오송읍 오송리까지 4.7km를 연결하며, 2017년 7월 7일 신설되었다.[15] 지방도 제505호선영동군 용화면 용화리에서 보은군 속리산면 중판리까지 94.7km이며, 2017년 7월 7일 연장되었다.[15]

지방도 제507호선청주시 흥덕구 강내면 저산리에서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창리까지 31.17km 구간이다.[15] 이 도로는 2010년 9월 지방도 제508호선과 통합되었다가 2013년 7월 26일 분리되었고, 2017년 7월 7일 노선이 연장되었다.[32][14][15] 지방도 제508호선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오송리에서 제천시 한수면 탄지리까지 112.5km이며, 2017년 7월 7일 연장되었다.[15] 지방도 제509호선보은군 회남면 남대문리에서 청주시 상당구 가덕면 병암리까지 32.17km이다.[15]

지방도 제511호선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미원리에서 진천군 초평면 진암리까지 29.5km이며, 2017년 7월 7일 노선이 변경되었다.[15] 지방도 제512호선청주시 상당구 문화동에서 청주시 상당구 낭성면 관정리까지 16.4km이다.[15] 지방도 제513호선진천군 초평면 중석리에서 음성군 금왕읍 호산리까지 31.7km이며, 2017년 7월 7일 노선이 변경되었다.[15] 지방도 제514호선옥천군 이원면 원동리에서 대구광역시 군위군 효령면 마시리까지 87.7km이다.[15]

지방도 제516호선진천군 초평면 용정리에서 괴산군 불정면 목도리까지 42.45km이다.[15] 지방도 제517호선괴산군 청천면 송면리에서 괴산군 장연면 추점리까지 36.2km이며, 경상북도 문경시를 경유한다.[15] 지방도 제519호선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남면 토교리에서 충청북도 단양군 어상천면 석교리까지 23.22km이다.[15] 지방도 제522호선제천시 동현동에서 단양군 영춘면 하리까지 35.4km이다.[15]

지방도 제525호선괴산군 감물면 갈읍리에서 음성군 감곡면 원당리까지 58.7km이다.[15] 지방도 제531호선충주시 살미면 신매리에서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부론면 법천리까지 78.6km이다.[15] 지방도 제532호선충주시 동량면 대전리에서 단양군 어상천면 연곡리까지 88.3km이며, 2017년 7월 7일 노선이 변경되었다.[15] 지방도 제533호선괴산군 청천면 화양리에서 음성군 대소면 태생리까지 67.9km이며, 2017년 7월 7일 신설되었다.[15]

지방도 제540호선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용두리에서 증평군 증평읍 창동리까지 29.59km이다.[15] 지방도 제571호선보은군 회남면 법수리에서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운암리까지 30.9km이다.[15] 지방도 제575호선옥천군 청성면 묘금리에서 괴산군 청천면 청천리까지 79.9km이다.[15] 지방도 제592호선청주시 청원구 내수읍 구성리에서 괴산군 청안면 부흥리까지 14.31km이다.[15] 지방도 제595호선단양군 영춘면 하리에서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김삿갓면 진별리까지 24.3km이다.[15] 지방도 제599호선음성군 소이면 대장리에서 충주시 소태면 덕은리까지 40.16km이다.[15]

4. 4. 충청남도 (600호대)

충청남도의 지방도는 600호대 번호를 부여받는다.

4. 5. 전북특별자치도 (700호대)

전북특별자치도에는 700호대 지방도가 다수 존재한다.

4. 6. 전라남도 (800호대)

전라남도 구간 지방도는 1996년에 대개편되어 현재에 이른다.

표지노선
번호
명칭시점종점길이비고
801고군 ~ 나산선전라남도 진도군 고군면 지막리전라남도 함평군 나산면 나산리99.44km
803임회 ~ 화원선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연동리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 매월리98.2km
805장산 ~ 영광선전라남도 신안군 장산면 오음리전라남도 영광군 영광읍 단주리140.5km
806산이 ~ 송지선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용당리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송호리73.56km
808손불 ~ 영광선전라남도 함평군 손불면 대전리전라남도 영광군 영광읍 남천리33.3km
811몽탄 ~ 손불선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성암리전라남도 함평군 손불면 월천리38.5km
815일로 ~ 함평선전라남도 무안군 일로읍 월암리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 대덕리37.3km
816영광 ~ 장성선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대산면 지석리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대산면 지석리0.985km지방도 제734호선의 일부
817유치 ~ 화순선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늑용리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세량리41.76km
818문평 ~ 춘양선전라남도 나주시 문평면 안곡리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 석정리74.79km
819안양 ~ 금정선전라남도 장흥군 안양면 수문리전라남도 영암군 금정면 용흥리114.65km
820삼향 ~ 장평선전라남도 무안군 삼향읍 임성리전라남도 장흥군 장평면 봉림리70.5km
821삼호 ~ 공산선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동호리전라남도 나주시 공산면 금곡리50.9km
822남평 ~ 동복선전라남도 나주시 대호동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독상리47.1km
825임자 ~ 나산선전라남도 신안군 임자면 도찬리전라남도 함평군 나산면 용두리181.01km
827북일 ~ 관산선전라남도 해남군 북일면 흥촌리전라남도 장흥군 관산읍 옥당리40.6km
830고금 ~ 두원선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성전리전라남도 고흥군 두원면 운대리107.4km
835장흥 ~ 영암선전라남도 장흥군 장흥읍 충열리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학송리23.5km
836장평 ~ 보성선전라남도 장흥군 장평면 용강리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용문리107.4km
838손불 ~ 나산선전라남도 함평군 손불면 대전리전라남도 함평군 나산면 이문리28.09km
839웅치 ~ 이양선전라남도 보성군 웅치면 강산리전라남도 화순군 청풍면 신리25.8km
840광양 ~ 입면선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목성리전라남도 곡성군 입면 창정리99.5km
842군서 ~ 홍농선전라남도 영광군 군서면 남죽리전라남도 영광군 홍농읍 계마리27.0km
843점암 ~ 이양선전라남도 고흥군 점암면 강산리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옥리85.3km
845회천 ~ 북내선전라남도 보성군 회천면 영천리전라남도 보성군 복내면 봉천리38.5km
851풍양 ~ 득량선전라남도 고흥군 풍양면 풍남리전라남도 보성군 득량면 오봉리41.3km
855도화 ~ 점암선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지죽리전라남도 고흥군 점암면 연봉리41.9km
857벌교 ~ 황전선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봉림리전라남도 순천시 황전면 괴목리45.35km
861옥곡 ~ 산내선
옥곡 ~ 산동선
전라남도 광양시 옥곡면 신금리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산내면 덕동리101.65km
863남면 ~ 다압선전라남도 여수시 남면 연도리전라남도 광양시 다압면 신원리137.91km
865광양 ~ 토지선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초남리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내동리51.41km
887북면 ~ 담양선전라남도 화순군 북면 원리전라남도 담양군 무정면 서흥리53.1km
893삼계 ~ 고창선전라남도 장성군 삼계면 덕산리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성송면 판정리13.1km
895회천 ~ 벌교선전라남도 보성군 회천면 회령리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추동리57.0km
897송광 ~ 복흥선
송광 ~ 월산선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복흥면 농암리92.0km
898대전 ~ 고창선
대전 ~ 북일선
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 대치리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고창읍 월산리34.093km





}}}}






4. 6. 1. 1996년 개편 이전

4. 7. 경상북도 (900호대)

번호명칭시점종점길이비고901금수 ~ 김천선경상북도 성주군 금수강산면 영천리경상북도 김천시 양천동20.762km현재 지방도 제903호선의 일부903아포 ~ 상주선경상북도 김천시 아포읍 국사리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41.73km현재 지방도 제916호선의 일부904김천 ~ 가산선경상북도 김천시 지좌동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석우리41.134km현재 지방도 제514호선(구 지방도 제906호선)의 일부905위천 ~ 김천선경상북도 고령군 성산면 득성리경상북도 김천시 남면 부상리46.17km현재 지방도 제905호선의 일부906포항 ~ 양포선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청림동경상북도 포항시 지행면 양포리21.314km현재 지방도 제929호선의 일부907적중 ~ 해평선경상남도 합천군 적중면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양천동84.892km[19]지방도 제90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국도 제67호선으로 분할908왜관 ~ 죽전선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왜관리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죽전리83.356km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
지방도 제908호선으로 분할910김천 ~ 안계선경상북도 김천시 용호동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 낙정리55.144km국도 제59호선, 국도 제33호선,
국도 제25호선, 지방도 제912호선에 분할911청도 ~ 대구선경상북도 청도군 각남면 예리리경상북도 달성군 가창면 용계리22.3km현재 국가지원지방도 제30호선의 일부912의성 ~ 구룡포선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경상북도 달성군 가창면 용계리161.269km지방도 제91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0호선, 지방도 제929호선에 분할913가은 ~ 장연선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왕능리충청북도 괴산군 장연면 추점리46.76km[20]현재 지방도 제922호선의 일부914의성 ~ 청송선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완장리56.13km현재 지방도 제914호선의 일부915평은 ~ 풍기선경상북도 영주시 평은면 오운리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성내리58.447km지방도 제915호선, 지방도 제931호선으로 분할916상주 ~ 풍산선경상북도 상주시 냉림동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안교리52.07km현재 지방도 제916호선의 일부917금성 ~ 예천선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대리리경상북도 예천군 호명면 월포리58.13km현재 지방도 제927호선의 일부918봉화 ~ 강구선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포저리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 강구리143.526km지방도 제91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0호선으로 분할919안동 ~ 현동선경상북도 안동시 서부동경상북도 봉화군 소천면 현동리66.612km현재 지방도 제933호선의 일부920모동 ~ 현서선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신천리경상북도 청송군 현서면 화목리105.624km현재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의 일부921언양 ~ 영천선경상남도 울산시 울주구 언양면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고지리59.7km[21]현재 지방도 제921호선의 일부923영천 ~ 영덕선경상북도 영천시 동부동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신양리81.26km현재 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의 일부924영양 ~ 평해선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칠성리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 평해리35.3km현재 국도 제88호선의 일부925경주 ~ 청하선경상북도 경주시 구정동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청하면 서정리42.58km지방도 제904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으로 분할926울릉일주선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도동리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도동리34.84km현재 국가지원지방도 제90호선의 일부927영천 ~ 포항선경상북도 김천시 고경면 덕정리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연일읍 괴정리41.554km현재 지방도 제904호선, 지방도 제927호선의 일부928청송 ~ 영덕선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청운리경상북도 영덕군 달산면 대지리37.4km현재 지방도 제914호선의 일부929양북 ~ 오천선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대본리경상북도 영일군 오천면 세계리34.3km현재 지방도 제929호선의 일부973예천 ~ 단양선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노하리경상북도 예천군 효자면 용두리23.885km현재 지방도 제927호선의 일부975낙동 ~ 단양선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낙동리경상북도 문경시 동로면 적성리77.635km현재 국도 제59호선의 일부977김천 ~ 마성선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덕천리경상북도 문경시 마성면 모곡리102.219km[22]지방도 제90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32호선, 지방도 제901호선으로 분할985언양 ~ 우보선경상남도 울산시 울주구 언양면대구광역시 군위군 우보면 이화리117.895km[23]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 지방도 제919호선으로 분할987밀양 ~ 경산선경상남도 밀양시 상동면 옥산리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선화리56.46km[24]현재 국도 제58호선, 지방도 제919호선의 일부992중평 ~ 점촌선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입석리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구향리40.718km현재 국가지원지방도 제32호선의 일부997거창 ~ 김천선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상림리경상북도 김천시 지좌동69.881km[25]현재 국도 제59호선의 일부998영월 ~ 현동선강원도 영월군 하동면 진별리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소로리53.26km현재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의 일부999임동 ~ 부석선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중평리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소천리97.56km현재 지방도 제935호선의 일부


4. 7. 1. 1996년 개편 이전

경상북도에서는 900년대 번호를 부여받았다.

4. 8. 경상남도 (1000호대)

번호명칭시점종점길이비고1001하이 ~ 고제선경상남도 고성군 하이면 덕호리경상남도 거창군 고제면 개명리170.14km1002금남 ~ 구산선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노량리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심리103.3km1003대방 ~ 악양선경상남도 사천시 대방동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68.9km1004사봉 ~ 내서선경상남도 진주시 사봉면 무촌리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중리37.89km1005서포 ~ 단성선경상남도 사천시 서포면 비토리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창촌리47.0km1006명석 ~ 차황선경상남도 진주시 명석면 우수리경상남도 산청군 차황면 신기리39.5km1007마암 ~ 상봉선경상남도 고성군 마암면 화산리경상남도 진주시 상봉동68.9km1008부림 ~ 하남선경상남도 의령군 부림면 경산리경상남도 밀양시 하남읍 양동리40.268km1009거류 ~ 초전선경상남도 고성군 거류면 신용리경상남도 진주시 초전동52.7km1010하이 ~ 동해선경상남도 고성군 하이면 덕호리경상남도 고성군 동해면 양촌리77.6km1011가야 ~ 대양선
부림 ~ 고령선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말산리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 안림리65.6km[26]1013초전 ~ 가례선경상남도 진주시 초전동경상남도 의령군 가례면 양성리29.206km1014화개 ~ 수곡선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용강리경상남도 진주시 수곡면 대천리39.8km1016선구 ~ 영현선경상남도 사천시 선구동경상남도 고성군 영현면 대법리29.6km1018사등 ~ 장목선경상남도 거제시 사등면 덕호리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면 유호리106.8km1020용호 ~ 봉황선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용호동경상남도 김해시 봉황동25.4km1021미수 ~ 남지선경상남도 통영시 미수동경상남도 창녕군 남지읍 고곡리174.664km1022남지 ~ 교동선경상남도 창녕군 남지읍 칠현리경상남도 양산시 교동84.19km1023간전 ~ 함양선
화개 ~ 함양선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탑리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구룡리53.3km1024설천 ~ 창선선경상남도 남해군 설천면 덕신리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 수산리127.5km1026산청 ~ 대양선경상남도 산청군 산청읍 지리경상남도 합천군 대양면 정양리48.2km1028원동 ~ 웅상선경상남도 양산시 원동면 선리경상남도 양산시 용당동38.2km1029진전 ~ 정곡선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양촌리경상남도 의령군 정곡면 죽전리39.41km1030완암 ~ 생곡선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완암동경상남도 김해시 장유동17.7km1034유림 ~ 성산선경상남도 함양군 유림면 서주리경상남도 창녕군 성산면 방리128.01km1036가야 ~ 고령선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매안리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 고곡리16.3km[27]1037개천 ~ 궁유선경상남도 고성군 개천면 가천리경상남도 의령군 궁류면 압곡리45.9km1040대곡 ~ 칠북선경상남도 진주시 대곡면 월아리경상남도 함안군 칠북면 화천리85.547km1041칠원 ~ 가회선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구성리경상남도 합천군 가회면 도탄리60.222km1042진영 ~ 봉황선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설창리경상남도 김해시 봉황동21.4km1047악양 ~ 시천선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정동리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외공리32.6km1049축동 ~ 명석선경상남도 사천시 축동면 탑리경상남도 진주시 명석면 외율리32.1km1051어곡 ~ 단장선경상남도 양산시 어곡동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범도리24.3km1077동면 ~ 상동선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여락리경상남도 밀양시 상동면 고정리83.42km1080이방 ~ 내이선경상남도 창녕군 이방면 안리경상남도 밀양시 내이동63.7km1084함양 ~ 율곡선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삼산리경상남도 합천군 율곡면 와리83.55km1089신등 ~ 부항선경상남도 산청군 신등면 단계리경상북도 김천시 부항면 월곡리105.4km[28]1099봉산 ~ 대덕선
남상 ~ 대덕선경상남도 거창군 남상면 전척리경상북도 김천시 대덕면 대리49.28km


4. 8. 1. 1996년 개편 이전

wikitext

표기번호이름한국어시점종점길이참고
하이~고제선 (Hai–Goje Line)하이 ~ 고제선고성군 하이면 덕호리거창군 고제면 개명리170.14 km
금남~구산선 (Geunman–Gusan Line)금남 ~ 구산선하동군 하동읍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148.43 km
대방~악양선 (Daebang–Akyang Line)대방 ~ 악양선사천시 동서동하동군 악양면 평사리68.9 km
사봉~내서선 (Sabong–Naeseo Line)사봉 ~ 내서선진주시 사봉면 무촌리창원시 내서읍 중리37.89 km
서포~단성선 (Seopo–Danseong Line)서포 ~ 단성선사천시 서포면 비토리산청군 단성면 창촌리47 km
명석~차황선 (Myeongseok–Chahwang Line)명석 ~ 차황선진주시 명석면 우수리산청군 차황면 신기리39.5 km
마암~상봉선 (Maam–Sangbong Line)마암 ~ 상봉선고성군 마암면 화산리진주시 상봉동68.9 km
부림~하남선 (Burim–Hanan Line)부림 ~ 하남선의령군 부림면 경산리밀양시 하남읍 양동리40.268 km
거류~초전선 (Georyu–Chojeon Line)거류 ~ 초전선고성군 거류면 신용리진주시 초전동52.7 km
하이~동해선 (Hai–Donghae Line)하이 ~ 동해선고성군 하이면 덕호리고성군 동해면 양촌리77.6 km
가야~대양선
부림~고령선 (Gaya–Daeyang Line
Burim–Goryeong Line)
가야 ~ 대양선
부림 ~ 고령선
함안군 가야읍 말산리고령군 쌍림면 안림리, 경상북도65.6 km
초전~가례선 (Chojeon–Garye Line)초전 ~ 가례선진주시 초전동의령군 가례면 양성리29.206 km
화개~수곡선 (Hwagae–Sugok Line)화개 ~ 수곡선하동군 화개면 용강리진주시 수곡면 대천리39.8 km
성주~영현선 (Seongu–Yeonghyeon Line)성주 ~ 영현선사천시 성주동고성군 영현면 대법리29.6 km
사등~장목선 (Sadeung–Jangmok Line)사등 ~ 장목선거제시 사등면 덕호리거제시 장목면 유호리106.8 km
용호~봉황선 (Yongho–Bonghwang Line)용호 ~ 봉황선창원시 성산구 용호동김해시 봉황동25.4 km
미수~남지선 (Misu–Namji Line)미수 ~ 남지선통영시 미수동창녕군 남지읍 고곡리174.664 km
남지~교동선 (Namji–Gyodong Line)남지 ~ 교동선창녕군 남지읍 칠현리양산시 교동84.19 km
신등~부항선 (Shindeung–Buhang Line)신등 ~ 부항선산청군 신등면 단장리김천시 부항면 월곡리, 경상북도83.7 km
반산~대덕선
남상~대덕선 (Bansan–Daedeok Line
Namsang–Daedeok Line)
반산 ~ 대덕선
남상 ~ 대덕선
거창군 남상면 전척리김천시 대덕면, 경상북도49.28 km


4. 9. 제주특별자치도 (1100호대)

(평대 ~ 봉개선)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평대리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봉개동27.31960년 2월 22일 지정1114추자로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추자면 대서리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추자면 예초리5.91965년 12월 27일 지정1115제2산록도로
(용수 ~ 상효선)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용수리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상효동43.91981년 6월 17일 지정1116한창로
(창천 ~ 한림선)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창천리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한림리14.31979년 4월 26일 지정1117제1산록도로
(곽지 ~ 월평선)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곽지리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월평동20.81979년 4월 26일 지정1118남조로
(남원 ~ 조천선)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 남원리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조천리29.831995년 10월 5일 지정1119서성로
(서귀포 ~ 성산선)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 하례리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성산리33.91995년 10월 5일 지정1120대한로
(대정 ~ 한림선)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하모리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한림리18.01995년 10월 5일 지정1121제안로
(안덕 ~ 제주선)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대서리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노형동41.72003년 4월 7일 지정1122제성로
(제주 ~ 성산선)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선흘리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온평리28.22003년 4월 7일 지정11315·16도로
(천지 ~ 삼도일선)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토평동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일도1동40.562007년 1월 26일 지정, 구 국도 11호선1132제1우회도로
(일주도로)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일도1동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일도1동176.072007년 1월 26일 지정, 구 국도 12호선1135평화로
(보성 ~ 광령선)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보성리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리29.02007년 1월 26일 지정, 구 국도 95호선1136제2우회도로
(중산간도로)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라2동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라2동172.282007년 1월 26일 지정, 구 국도 16호선11391100도로
(오라 ~ 중문선)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중문동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노형동35.12007년 1월 26일 지정, 구 국도 99호선


5. 폐지된 지방도

번호명칭시점종점길이비고303석천 ~ 시화선경기도 화성시 우정면경기도 시흥시 정왕동50.0km2005년 3월 28일 폐지307풍무 ~ 사우선경기도 김포시 풍무동경기도 김포시 사우동2.9km2005년 3월 28일 폐지308성남 ~ 중부선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광지원리14.7km2005년 3월 28일 폐지
지방도 제342호선으로 재지정312팽성 ~ 과천선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객사리경기도 과천시 선암동61.61km2005년 3월 28일 폐지
지방도 제309호선으로 재지정319능서 ~ 청운선경기도 여주군 능서면 번도리경기도 양평군 청운면 갈운리37.2km2005년 3월 28일 폐지320진접 ~ 대성선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장현리경기도 가평군 외서면 대성리26.1km2005년 3월 28일 폐지324파평 ~ 연천선경기도 파주시 파평면 금파리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장좌리7.7km2005년 3월 28일 폐지328문막 ~ 단월선강원도 원주시 문막읍 반계리강원도 원주시 문막읍 반계리3.593km2009년부터 지방도 제349호선과 통합335앙성 ~ 온천선충청북도 충주시 앙성면 단암리충청북도 충주시 앙성면 단암리1.0km2010년 9월부터 지방도 제531호선과 통합[32]348온수 ~ 덕포선경기도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경기도 강화군 화도면 덕포리25.8km1996년 5월 7일 폐지390퇴계원 ~ 미금선경기도 남양주시 퇴계원면 퇴계원리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7.0km2005년 3월 28일 폐지397안양 ~ 오류선경기도 안양시 만안구경기도 광명시14.2km1996년 11월 18일 폐지[9]402백운 ~ 운학선충청북도 제천시 백운면 평동리충청북도 제천시 백운면 운학리13.2km2010년 9월 지방도 제597호선과 통합[32]412사북 ~ 도계선강원도 정선군 화암면 백전리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마교리24.9km2012년부터 지방도 제424호선과 통합413문곡 ~ 창리선강원도 영월군 북면 문곡리강원도 평창군 미탄면 창리16.4km2009년부터 지방도 제415호선과 통합462내물치 ~ 속초선강원도 속초시 대포동 (내물치)강원도 속초시 설악동11.594km1993년 폐지510오창 ~ 살미선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가좌리충청북도 충주시 살미면 공이리84.595km2017년 7월 7일 지방도 제508호선과 통합[15]515청천 ~ 율면선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도원리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호산리85.98km2010년 9월부터 지방도 제333호선과 통합[32]520감곡 ~ 충주선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원당리충청북도 충주시 칠금동7.7km2010년 9월부터 지방도 제525호선과 통합[32]534덕산 ~ 올산선충청북도 제천시 덕산면 성암리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올산리27.88km2017년 7월 7일 폐지[15]581무주 ~ 영동선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충청북도 영동군 양강면 묵정리18.8km2017년 7월 7일 지방도 제505호선과 통합[15]583무극 ~ 용문선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금석리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대사리15.4km2010년 9월부터 지방도 제329호선과 통합[32]587덕산 ~ 오산선충청북도 진천군 덕산면 합목리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신계리15.0km2010년 9월부터 지방도 제302호선과 통합[32]591현도 ~ 조치원선충청북도 청원군 현도면 하석리충청북도 청원군 강외면 중봉리28.18km2010년 9월부터 지방도 제604호선과 통합[32]594동면 ~ 청주선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강내면 사곡리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남주동17.4km2010년 9월부터 지방도 제512호선과 통합[32]596천안 ~ 청주선충청북도 청원군 오창읍 두릉리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가경동18.9km2010년 9월부터 지방도 제693호선과 통합[32]597백운 ~ 영월선충청북도 괴산군 장연면 추점리강원도 원주시 신림면 용암리47.82km2017년 7월 7일 지방도 제508호선과 통합[15]614광천 ~ 이인선충청남도 홍성군 광천읍 광천리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 달산리67.1km2003년 2월 20일 폐지[33]627공주 ~ 전동선충청남도 공주시 신관동충청남도 연기군 전동면 송성리31.9km2012년 7월 1일 폐지[34]731장안 ~ 남일선전라북도 무주군 부남면 장안리전라북도 무주군 부남면 대유리13.0km1996년부터 지방도 제635호선과 통합810목포 ~ 삼호선전라남도 목포시 대의동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용당리12.1km2007년 1월 5일 지방도 제806호선과 통합[35]814성전 ~ 병영선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월평리전라남도 강진군 병영면 성남리11.6km2007년 1월 5일 지방도 제830호선과 통합[35]816영광 ~ 장성선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지석리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 지석리0.985km2007년 1월 5일 지방도 제734호선과 통합[35]829군동 ~ 성전선전라남도 강진군 군동면 호계리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월남리15.2km2007년 1월 5일 지방도 제827호선과 통합[35]831나주 ~ 노안선전라남도 나주시 대호동전라남도 나주시 노안면 양천리7.7km2007년 1월 5일 지방도 제822호선과 통합[35]837칠량 ~ 관산선전라남도 강진군 칠량면 영동리전라남도 장흥군 관산읍 옥당리15.7km2007년 1월 5일 지방도 제827호선과 통합[35]844임자 ~ 영광선전라남도 신안군 임자면 광산리전라남도 영광군 영광읍 단주리79.95km2003년 3월 27일 폐지[36]906매곡 ~ 쌍림선충청북도 영동군 매곡면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72.8km2009년부터 지방도 제514호선과 통합907부림 ~ 고령선경상남도 의령군 부림면 신반리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 평지리25.0km2007년부터 지방도 제1011호선과 통폐합926울릉도 일주도로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44.2km2008년 11월 17일 국가지원지방도 제90호선으로 승격932부남 ~ 남정선경상북도 청송군 부남면 구천리경상북도 영덕군 남정면 장사리32.4km2003년 2월 20일 폐지998영월 ~ 현동선강원도 영월군 하동면 진별리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소로리53.26km1995년부터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에 편입1017마천 ~ 산내선경상남도 진해시 대장동경상남도 밀양시 산내면 송백리95.8km2003년부터 국도 제58호선에 편입1019송덕 ~ 덕하해안선경상남도 양산시 기장읍경상남도 울산시 울주구 청량면27.884km1996년부터 폐지, 일부는 국도 제31호선에 편입1025범서 ~ 두서선경상남도 울산시 남구 무거동경상남도 울산시 울주구 두서면28.8km1998년부터 폐지1027서부 ~ 범서선경상남도 울산시 동구 서부동경상남도 울산시 울주구 범서면35.2km1998년 폐지1045중동 ~ 부곡선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북동경상남도 창녕군 부곡면 온정리26.2km2003년부터 국도 제79호선에 편입1093적포 ~ 현풍선경상남도 합천군 청덕면 적포리경상남도 창녕군 이방면10.943km1989년 폐지



노선 수비고
지방도 19호선2001년 8월 25일 국도 19호선으로 통합
지방도 27호선2001년 8월 25일 국도 27호선으로 통합
지방도 31호선2008년 11월 17일 폐지
지방도 33호선2001년 8월 25일 국도 59호선으로 통합
지방도 40호선2001년 8월 25일 지방도 96호선으로 통합
지방도 44호선2001년 8월 25일 지방도 98호선으로 통합
지방도 59호선2001년 8월 25일 국도 59호선으로 통합
지방도 95호선2001년 8월 25일 국도 95호선으로 승격
현재 지방도 1135호선


6. 국가지원지방도

국가지원지방도(국지도/國支道한국어)는 지방도 중에서 국가가 노선 지정 및 관리를 지원하는 도로이다. 국도의 계획 확장 노선이나 국도 승격 후보 노선이 대부분이며, 두 자릿수 번호를 가진다.[1][2]

표지판노선 번호노선명한국어 노선명시점종점지정일연장비고
국지도 13호선신지~완도선신지 ~ 완도선전라남도 완도군 신지면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1996년 7월 19일8.4 km
국지도 15호선외나로도~영광선외나로도 ~ 영광선전라남도 고흥군 봉래면전라남도 영광군 홍농읍 (한빛원전)1996년 7월 19일261.6 km
국지도 20호선포항~영덕선포항 ~ 영덕선경상북도 포항시 남구경상북도 영덕군 축산면2001년 8월 25일67.6 km
국지도 22호선여수~순천선여수 ~ 순천선전라남도 여수시 화양면전라남도 순천시1996년 7월 19일43.4 km
국지도 23호선천안~서울선천안 ~ 서울선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천안 나들목)서울특별시 마포구 (가양대교)1996년 7월 19일105.0 km
국지도 28호선영주~동해선영주 ~ 동해선경상북도 영주시 봉현면강원도 동해시2008년 11월 17일135.4 km
국지도 30호선사천~대구선사천 ~ 대구선경상남도 사천시 사천읍대구광역시 서구1996년 7월 19일142.4 km
국지도 32호선대전~문경선대전 ~ 문경선대전광역시 유성구경상북도 문경시1996년 7월 19일116.8 km
국지도 37호선남원~거창선남원 ~ 거창선전라북도 남원시 인월면경상남도 거창군 마리면2001년 8월 25일75.4 km
국지도 39호선양주~동두천선양주 ~ 동두천선경기도 양주시 장흥면경기도 동두천시1996년 7월 19일29.6 km
국지도 49호선해남~원주선해남 ~ 원주선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강원도 원주시1996년 7월 19일464.3 km
국지도 55호선해남~금산선해남 ~ 금산선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2001년 8월 25일269.0 km
국지도 56호선김포~인제선김포 ~ 인제선경기도 김포시 월곶면강원도 인제군 북면1996년 7월 19일230.6 km
국지도 57호선대전~안양선대전 ~ 안양선대전광역시 서구경기도 안양시 동안구1996년 7월 19일147.4 km
국지도 58호선나주~부산선나주 ~ 부산선전라남도 나주시 금천면부산광역시 강서구1996년 7월 19일251.1 km
국지도 60호선무안~부산선무안 ~ 부산선전라남도 무안군 현경면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1996년 7월 19일316.5 km
국지도 67호선통영~칠곡선통영 ~ 칠곡선경상남도 통영시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1996년 7월 19일214.0 km
국지도 68호선서천~경주선서천 ~ 경주선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경상북도 경주시1996년 7월 19일386.7 km
국지도 69호선부산~울진선부산 ~ 울진선부산광역시 강서구경상북도 울진군 매화면1996년 7월 19일250.7 km
국지도 70호선청양~춘천선청양 ~ 춘천선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강원도 춘천시 서면1996년 7월 19일332.0 km
국지도 78호선김포~포천선김포 ~ 포천선경기도 김포시 월곶면경기도 포천시 이동면2001년 8월 25일164.2 km
국지도 79호선창녕~안동선창녕 ~ 안동선경상남도 창녕군 유어면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2001년 8월 25일183.8 km
국지도 82호선평택~평창선평택 ~ 평창선경기도 평택시 포승읍강원도 평창군 평창읍1996년 7월 19일250.3 km
국지도 84호선강화~원주선강화 ~ 원주선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강원도 원주시 부론면1996년 7월 19일143.8 km
국지도 86호선남양주~춘천선남양주 ~ 춘천선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강원도 춘천시 동산면1996년 7월 19일71.3 km2001년 8월 25일 단축
국지도 88호선하남~영양선하남 ~ 영양선경기도 하남시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1996년 7월 19일269.5 km
국지도 90호선울릉도 순환선울릉도 순환선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2008년 11월 17일44.2 km
국지도 96호선태안~청원선태안 ~ 청원선충청남도 태안군 남면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오창 나들목)2001년 8월 25일176.1 km
국지도 97호선서귀포~제주선서귀포 ~ 제주선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1996년 7월 19일35.3 km구 국지도 1113호선
국지도 98호선수도권 순환선수도권 순환선경기도 수원시 팔달구경기도 수원시 팔달구2001년 8월 25일264.0 km


6. 1. 경기도 (300호대)

6. 2. 강원도

6. 3. 충청북도

6. 4. 충청남도

6. 5. 전라북도

6. 6. 전라남도

6. 7. 경상북도

6. 8. 경상남도

6. 9. 제주특별자치도

7. 갤러리



(현 지방도 68호선)

참조

[1] 기타
[2] 기타
[3] 공고 경기도공고 제2005-175호 https://web.archive.[...] 2005-03-28
[4] 뉴스 도로 노선번호 이렇게 붙인다 https://news.naver.c[...] 대전일보 2006-08-29
[5] 웹인용 국토해양부 '행복누리' 공식 블로그 - 한국의 도로번호는 어떻게 만들었나? http://korealand.tis[...] 2014-06-02
[6] 간행물 지방도 노선번호 체계 개선 방안 건설교통부 도로정책팀 2006-12
[7] 공고 경기도공고 제2005-175호 https://www.gg.go.kr[...] 2005-03-28
[8] 기타
[9] 공고 경기도공고 제1996-373호 http://www.gg.go.kr/[...] 1996-11-18
[10] 공고 경기도공고 제2005-174호 https://www.gg.go.kr[...] 2005-03-28
[11] 공고 경기도공고 제1997-1호 http://www.gg.go.kr/[...] 1997-01-06
[12] 공고 경기도공고 제2002-69호 http://www.gg.go.kr/[...] 2002-02-14
[13] 공고 강원도고시 제2017-1호 http://www.provin.ga[...] 2017-01-06
[14] 공고 충청북도공고 제2013-698호 http://cblib.cb21.ne[...] 2013-07-26
[15] 공고 충청북도고시 제2017-188호 http://210.104.148.5[...] 2017-07-07
[16] 공고 충청남도 고시 제2015-258호 http://www.chungnam.[...] 2015-09-10
[17] 기타
[18] 기타
[19] 기타
[20] 기타
[21] 기타
[22] 기타
[23] 기타
[24] 기타
[25] 기타
[26] 기타
[27] 기타
[28] 기타
[29] 기타
[30] 기타
[31] 기타
[32] 공고 충청북도공고 제2010-672호 http://www.cb21.net/[...] 2010-09-03
[33] 공고 충청남도공고 제2003-55호 http://210.95.181.39[...] 2003-02-20
[34] 공고 충청남도공고 제2012-873호 http://www.chungnam.[...] 2012-07-01
[35] 간행물 지방도 노선번호 체계개선 결과 알림 건설교통부 도로정책팀 2007-01-05
[36] 간행물 전라남도 공고 제2003-111호 2003-03-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