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표준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표준어는 사회 구성원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널리 사용되는 언어의 규범을 의미한다. 이는 특정 방언이나 문화가 우월하다는 것을 뜻하지 않으며, 사회적 통합을 위해 문화의 중심지로 여겨지는 지역의 언어 패턴을 따르거나, 기존 방언의 특징을 선택하여 규범을 정하는 방식으로 발전한다. 표준어는 문법, 사전, 정서법 등을 통해 고정되며, 역사적, 사회적 맥락 속에서 국가 통합의 도구로 활용되기도 한다. 각 언어별로 표준어는 존재하며, 프랑스어, 독일어, 영어 등은 언어 기관에 의해 공식적으로 관리되거나 비공식적으로 형성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표준어 - 필리핀어
    필리핀어는 타갈로그어를 기반으로 발전하여 다른 필리핀 언어들의 요소를 수용하며 진화하는 필리핀의 국어이자 공용어로서, 필리핀어 위원회에서 발전과 표준화를 담당하고 있으며, 법원에서도 사용이 장려되지만 타갈로그어와의 관계 및 다른 언어들과의 통합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 표준어 - 인도네시아어
    인도네시아어는 해협 말레이어를 기반으로 발전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20세기 초 네덜란드 식민지배 하에서 보급이 추진되어 1928년 인도네시아의 국어로 채택되었으며, 독립 후 정부의 지원으로 국가 통합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고, 2억 명 이상의 화자를 보유하며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
  • 사회언어학 - 지칭어
    지칭어는 특정 대상을 명확히 지칭하는 용어로, 한국어에서는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며, 프로젝트 관리에서는 참조 조건의 의미로 프로젝트 목표와 범위를 정의하는 데 사용된다.
  • 사회언어학 - 피진
    피진은 서로 다른 언어 사용자 간 의사소통을 위해 만들어진 단순화된 언어로, 문법과 어휘가 제한적이며 모어 화자가 없지만, 널리 사용될 경우 크리올어로 발전하기도 한다.
표준어
지도 정보
언어학
유형언어 변종, 언어 레지스터
정의실질적으로 성문화된 문법과 용법을 가진 언어 변종
특정 공동체에서 광범위한 의사소통에 사용되는 언어 변종
특징공식적인 상황에서 사용되는 언어
문법과 발음이 표준화되어 있음
교육, 정부, 미디어 등에서 사용됨
사회적 위신이 높음
관련 개념방언
사회 방언
언어 순화
국어
사회언어학적 관점
사회적 역할특정 언어 공동체의 구성원을 통합하는 역할
공식적인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사용
사회적 위신을 나타내는 지표
표준화 과정특정 방언 또는 언어 변종을 선택하여 규범화
문법, 발음, 어휘 등을 표준화
교육 및 미디어를 통해 확산
표준어의 변화사회 변화에 따라 표준어도 변화
새로운 어휘와 표현이 표준어에 반영
표준 발음과 문법도 변화 가능
다른 언어의 표준어 개념
독일어Schriftsprache (문어)
역사적 관점
표준어 형성 시기근대 국가 형성 시기와 관련
민족주의 운동과 함께 발전
인쇄술 발달과 함께 확산
추가 정보
한국어 표준어대한민국 표준어

2. 언어학적 표준화

표준어는 사회에서 구어와 문어 의사소통에 널리 사용되는 관습들의 목록을 나타낸다. 이는 사회적으로 이상적인 방언이나 문화적으로 우월한 언어 형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4] 이러한 관습들은 관련된 방언들로부터 발전하는데, 보통 사회적 행위(민족적, 문화적 통합)를 통해 문화의 중심으로 여겨지는 곳과 관련된 담화 패턴을 격상시키거나, 드물게는 현대 히브리어의 경우처럼 기존 방언들에서 선택된 언어적 특징들로 표준어의 규범을 의도적으로 정의함으로써 발전한다.

표준어는 일반적으로 문법과 규범적인 사전에 명시된 비교적 고정된 정서법으로 이어진다. 사용자들은 문학, 법률 또는 종교 텍스트에서 발췌한 예시들을 찾을 수도 있다. 문법과 사전이 국가에 의해 만들어지든 사적 시민들(예: ''웹스터 사전'')에 의해 만들어지든, 일부 사용자들은 이러한 언어 부호화를 언어의 구어와 문어 형태를 수정하기 위한 권위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부호화의 효과는 표준화된 변종에서 시차적 변화의 속도를 늦추고 더 많은 언어적 발전(''아우스바우'')의 기초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송 및 공식적인 의사소통 관행에서 표준어는 일반적으로 구어와 문어를 위한 정규화 기준으로 기능한다. 교육적 맥락에서, 표준어는 비원어민 학습자에게 가르치는 언어 버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표준어는 사회적 위신과 비표준 방언보다 더 큰 기능적 중요성을 얻는다. 비표준 방언은 표준 방언에 의존하거나 타율적이다. 표준 용법은 전문 전문 용어의 경우처럼 언어적 권위로 기능하며, 구어 형태의 표준화는 부호화된 표준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역사적으로 표준어는 두 가지 방식으로 생겨난다. (i) 표준 영어의 경우, 언어 표준화는 공식적인 정부 개입 없이 비공식적이고 단편적으로 발생한다. (ii) 프랑스어와 스페인어의 경우, 언어 표준화는 프랑스 아카데미 및 에스파냐 왕립 아카데미와 같이 ''Le bon français''와 ''El buen español''을 제작하는 규범적인 언어 기관에 의해 공식적으로 이루어진다.

표준어는 두 가지 방식으로 개념화될 수 있다. (i) 주어진 사회경제적 계층의 사회언어로서 또는 (ii) 방언의 규범적 부호화, 이상화된 추상화로서. 따라서 언어의 완전한 표준화는 비실용적이다. 표준화된 방언은 실제 존재로서 완전히 기능할 수 없지만, 사람들이 실제로 언어를 말하고 쓰는 방식인 ''우수스'' 과정에서 다양한 정도로 준수되는 일련의 언어 규범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표준으로 확인된 언어 변종은 특히 구어 형태에서 균일하지도 완전히 안정되지도 않는다. 이러한 관점에서 언어학자 수잔 로메인은 표준어가 정치학자 베네딕트 앤더슨이 설명한 ''국가''와 ''민족주의''의 상상의 공동체와 개념적으로 비교될 수 있다고 말한다. 이는 언어 표준화가 사회의 역사와 사회학의 결과이며, 따라서 보편적인 현상이 아니라는 것을 나타낸다. 약 7,000개의 현대 구어 중 대부분은 부호화된 표준 방언을 가지고 있지 않다.

정치적으로, 국민 국가의 형성에서 표준어를 식별하고 육성하는 것은 새로운 국민 국가를 구성하는 사회적, 경제적 집단 간에 공유된 문화를 확립하려는 노력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방언의 연속체에서 파생된 서로 다른 국가 표준은 (타율적인 속어 방언과 함께) 별개의 언어로 간주될 수 있다. 스칸디나비아의 북게르만어(덴마크어, 노르웨이어, 스웨덴어)와 같이 그들 사이에 상호 이해 가능한 변종이 있더라도 말이다. 또한 정치적 실천에서 정부 또는 이웃 국가는 표준어의 문화적 지위를 부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정치적 간섭에 대응하여 언어학자들은 사회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방언의 요소로부터 표준어를 개발한다.

예를 들어, 1814년 노르웨이가 덴마크로부터 독립했을 때 유일한 문어는 덴마크어였다. 시골 지역과 지방 도시에서는 서로 다른 노르웨이 방언이 사용되었지만, 고등 교육을 받은 사람들과 상류층 도시 사람들은 "노르웨이식 발음의 덴마크어"를 사용했다. 수도 오슬로(크리스티아니아)와 다른 주요 도시의 부르주아 언어를 기반으로, 특히 1907년과 1917년에 여러 차례의 정서법 개혁이 이루어져 1929년 복말('책의 언어')로 이름이 바뀐 공식 표준 리크스말이 만들어졌다. 언어학자 이바르 아센(1813~1896)은 도시와 상류층의 다노-노르웨이어가 덴마크어와 너무 유사하다고 생각하여 서노르웨이 방언을 기반으로 한 표준어인 란드스말('시골 언어')을 개발했다. 1885년 스토르팅(의회)은 두 형태를 모두 공식적이고 동등한 것으로 선언했다. 1929년에 공식적으로 뉴노르스크(신노르웨이어)로 이름이 바뀌었다.

마찬가지로 유고슬라비아(1945~1992)에서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1963~1991)이 북쪽의 세르비아와 동쪽의 불가리아에 의해 구분된 방언 연속체에서 국가 언어를 개발했을 때, 그들의 표준 마케도니아어는 공화국의 서쪽에서 사용되는 속어를 기반으로 했는데, 이 방언들은 그 지역에서 이전에 사용되었던 언어 규범인 표준 불가리아어와 가장 언어적으로 다른 방언들이었다. 발칸 반도의 마케도니아어는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의 표준어로 기능하지만, 정치적, 문화적 이유로 불가리아인들은 마케도니아어를 불가리아어 방언으로 간주한다.[4]

3. 표준어의 특징

표준어는 사회에서 널리 사용되는 말로, 공공장소나 공식적인 자리에서 자주 쓰인다.[4] 표준어는 민족을 하나로 묶고, 국가적인 통합을 이루려는 바람에서 만들어진다. 표준어는 보통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4]


  • 널리 통용되는 사전이 있어서 표준적인 철자어휘를 알 수 있다.
  • 사람들이 널리 인정하는 문법이 있다.
  • 표준 발음이 정해져 있어서, 교양 있는 사람들이 쓰는 말투의 기준이 된다.
  • 프랑스 아카데미나 에스파냐 왕립 아카데미처럼 표준어 사용의 기준을 정하는 공공기관이 있기도 하다.
  • 공용어처럼 법적으로 표준어의 지위가 정해져 있기도 하다.
  • 법원, 국회, 학교 등 공적인 곳에서 표준어를 사용한다.
  • 표준어로 쓰인 문학 작품들이 정전으로 인정받는다.
  • 표준어를 사용하면 편리하게 대화할 수 있다.[9]
  • 공동체 내에서 표준어를 사용하는 것을 사람들이 좋아하고 받아들인다.[9]
  • 많은 사람들이 표준어를 사용한다.[9]
  • 방송이나 뉴스에서도 표준어를 사용한다.


언어표준어규범·표준화 기관비표준 방언
아랍어다중 중심지 표준 아랍어코란, 여러 아랍어 아카데미암미야
알바니아어표준 알바니아어티라나 알바니아 연구소, 프리슈티나 알바니아 연구소게그 알바니아어
아프리칸스어표준 아프리칸스어아프리칸스어#방언
바스크어표준 바스크어에우스칼츠아이냐
불가리아어표준 불가리아어불가리아어 연구소
네덜란드어표준 네덜란드어네덜란드어 연합
덴마크어
카탈루냐어표준 카탈루냐어, 표준 발렌시아어,카탈루냐어 방언
중국어(광동어를 기반으로 한 구어)다중 중심지 표준 광동어광저우의 표준 광동어(광동어), 홍콩마카오의 표준 광동어(홍콩어)]공무원사무국(홍콩), 행정 공직국(마카오)
중국어 (관화를 기반으로 한 구어)표준 중국어
표준어(중화인민공화국), 국어(중화민국/타이완)
국가언어문자공작위원회(중국) , (중화민국/타이완), (싱가포르), 관화(베이징, 타이완 화어, 싱가포르, , , )
페르시아어다중 중심지 표준 페르시아어(표준 이란 페르시아어(테헤란 방언 기반), 표준 다리어(아프간 페르시아어), 표준 타지크어)페르시아어#역사
프랑스어다중 중심지 표준 프랑스어(아프리카 표준 프랑스어, 벨기에 표준 프랑스어, , 캐나다 표준 프랑스어, , , 스위스 표준 프랑스어, (벨기에, 캐나다, 스위스를 제외한 대부분의 표준 프랑스어 방언은 모두 프랑스 표준 프랑스어를 기반으로 함.) 〕프랑스 아카데미, ,
독일어다중 중심지 표준 독일어(오스트리아 표준 독일어, 표준 독일어, ), 고지 독일어, 저지 독일어
아일랜드어, ,
이탈리아어표준 이탈리아어아카데미아 데이린쿠아, 이탈로-달마티아어, 갈로-이탈리아어, 사르데냐어
한국어·조선어다중 중심지 표준 한국어·조선어(대한민국의 표준어 및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문화어)국립국어원, 사회과학원 언어연구소한국어·조선어 방언
현대 그리스어표준 현대 그리스어1976년, 콘스탄티노스 카라마니리스 정권하에 공용어화
힌두스타니어(힌디어·우르두어)다중 중심지 표준 힌두스타니어(힌디어우르두어),
마케도니아어
말레이어다중 중심지 표준 말레이어(말레이시아, 브루나이, 싱가포르의 국어로서. 인도네시아의 지역 언어로서.), 말레이시아어, 인도네시아어(Bahasa Indonesia yang Baik dan Benar)(말레이시아 및 브루나이 말레이어에 대해), (인도네시아어),
노르웨이어니노슈크, 부크몰(Språkrådet)
폴란드어표준 폴란드어
포르투갈어다중 중심지 표준 포르투갈어(브라질 표준 포르투갈어 및 유럽 표준 포르투갈어), 브라질 문학 아카데미
루마니아어표준(문어) 루마니아어루마니아의 (루마니아)(요르그 요르단–알렉산드루 로세티 언어학 연구소를 통해) 및 몰도바의 몰도바 과학 아카데미
세르비아-크로아티아어다중 중심지 표준 세르비아-크로아티아어(보스니아 표준 세르비아-크로아티아어, 크로아티아 표준 세르비아-크로아티아어, 몬테네그로 표준 세르비아-크로아티아어, 세르비아 표준 세르비아-크로아티아어), 자그레브 대학교, 몬테네그로 대학교,

4. 표준어의 역사

역사적으로 국가는 국내의 다른 언어 사용자 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국가와 국민의 통합을 위해 주된 방언이나 주요 언어를 기반으로 국어를 만들어 왔다. 많은 경우 방언 및 소수 언어의 쇠퇴를 염두에 두었다. 특히 프랑스의 절대왕정 시대에 시행된 프랑스어의 표준어 정책이 두드러진다.

5. 각 언어별 표준어

루이 13세 치세인 1635년 2월 10일, 수상 리슐리외에 의해 프랑스 아카데미가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 프랑스 아카데미는 프랑스어를 규칙적이고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정화하고 통일하는 것을 초기 목표로 삼았다. 이를 위해 프랑스 아카데미 사전 편찬과 같은 중요한 임무를 수행했다. 자세한 내용은 프랑스의 언어 정책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이탈리아 반도는 근대까지 통일 국가가 없었기 때문에 다양한 방언과 지방 언어가 존재했다. 르네상스 시대 피렌체가 이탈리아 반도의 문예 중심지였기 때문에, 피렌체 지식 계층이 사용하던 토스카나어가 관례적으로 표준어에 준하는 지위를 가졌다. 통일 국가 성립 후 로마가 수도가 되었지만, 로마 방언은 표준어가 되지 않았다. 이탈리아 방송 협회(RAI)에 의해 표준어가 정의되고 보급되었다.

스페인어스페인 본국뿐 아니라 중남미 여러 국가와 미국 등에서도 널리 사용되어 표준어 정의가 간단하지 않다. 특정 국가 내에서는 수도의 방언(스페인은 마드리드, 멕시코멕시코시티, 콜롬비아보고타, 아르헨티나부에노스아이레스)이 표준어로 여겨지는 경향이 있다. 스페인 왕립 아카데미아(Real Academia Española)는 스페인어 권위의 사전을 편찬하지만, 프랑스어에서 파리의 프랑스어처럼 스페인어권 전체에서 규범적인 지위를 가진 표준어는 존재하지 않는다. 미국에서 제작되어 중남미 여러 국가를 대상으로 방송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나 영화 더빙 등에서는 특정 국가에서만 사용되는 단어를 피하고 중립적인 표현을 사용하는 경향이 강하다. 방언 간의 차이는 비교적 작아서, 보통은 의사소통을 방해할 정도는 아니다.

포르투갈어포르투갈(이베리아 포르투갈어)과 브라질(브라질 포르투갈어)의 두 가지 변종이 표준어로 자리 잡고 있으며, 발음과 어휘 면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다. 유럽 내에서는 포르투갈이 EU 회원국이어서 이베리아 포르투갈어가 표준어로 여겨지는 경향이 강하며, 1970년대까지 포르투갈의 식민지였던 아프리카 여러 국가에서도 이베리아 포르투갈어가 표준어로 취급된다. 하지만 남미 여러 국가와 일본에서는 브라질의 압도적인 영향력으로 브라질 포르투갈어가 표준어로 여겨진다. 포르투갈어권에서는 브라질 이외의 지역에서도 대중매체나 음악 등을 통해 브라질 포르투갈어에 친숙해질 기회가 많은 반면, 특히 브라질에서는 이베리아 포르투갈어에 접할 기회가 적어 이베리아 포르투갈어를 알아듣는 데 어려움을 겪는 사람도 적지 않다.

노르웨이어는 북크몰과 뉘노르스크 두 가지가 표준어이다. 북크몰은 노르웨이덴마크 지배하에 있던 시대에 형성된 것으로, 덴마크어 문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다. 뉘노르스크는 덴마크로부터 독립 후, 덴마크어의 영향을 받기 이전의 노르웨이어로 회귀하려는 시도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노르웨이어의 여러 방언이 인공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현재 공문서나 방송에서는 북크몰과 뉘노르스크 모두 사용되지만, 실제로 뉘노르스크가 표준어로 사용되는 경우는 적고, 외국인을 위한 노르웨이어 교재에서도 일반적으로 북크몰이 사용된다.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표준어가 존재한다.

5. 1. 중국어

중국어는 수백 가지의 방언으로 구성되며, 이들 중 상당수는 서로 소통이 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표준 중국어, , 월, 객가, 등 7~10개의 주요 그룹으로 분류된다.

20세기 이전에는 대부분의 중국인들이 자신의 지역 방언만 사용했다. 2천 년 동안 공식적인 글쓰기는 고전 중국어로 이루어졌는데, 이는 고전을 모델로 하였고 당대의 어떤 구어와도 거리가 멀었다. 실용적인 조치로, 후기 제국 왕조의 관리들은 관화(문자 그대로 "관리들의 말")로 알려진, 표준 중국어 방언을 기반으로 한 공용어를 사용하여 제국의 행정을 수행했다.

20세기 초, 많은 중국 지식인들은 국가가 표준화된 언어를 필요로 한다고 주장했다. 1920년대까지 문어체 중국어는 구어체 중국어로 대체되었는데, 이는 표준 중국어 방언을 기반으로 했다. 1930년대에는 표준 중국어가 채택되었는데, 그 발음은 베이징 방언을 기반으로 하지만 어휘는 다른 표준 중국어 방언에서도 가져왔고, 문법은 구어체 중국어를 기반으로 했다.

표준 중국어중화인민공화국(그곳에서는 普通话|푸통화중국어, "일반적인 말"이라고 부릅니다)의 공식 구어이며, 중화민국이 통치하는 타이완의 사실상 공식 언어(國語|궈위중국어, "국어"로)이며, 싱가포르의 공식 언어 중 하나입니다(華語|화위중국어, "중국어"로). 표준 중국어는 현재 공공 생활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른 어떤 중국어 방언보다 훨씬 더 널리 연구되고 있다.

명나라 시대에는 관화 방언(북방 방언)의 일종인 난징 관화가 관리들 사이에서 표준어로 사용되었으며, 서구에서는 "관리의 말"이라는 뜻으로 "만다린"이라고 불렸다. 청나라가 되어 수도가 난징에서 베이징으로 옮겨지면서 표준어도 난징 관화에서 베이징 관화로 바뀌었다. 중화민국이 성립되자 베이징 관화와 근대 백화를 기반으로 "국어"가 정해졌다. "국어"는 중화인민공화국에서도 "표준어"라는 이름으로 계승되어 간체자 도입 등을 거쳐 의무 교육과 미디어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표준어는 베이징의 발음 등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표준어를 "베이징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지만, 표준어와 베이징 시민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베이징어는 완전히 같지 않다.

대만의 경우, 원래 대만의 다수를 차지하는 한족(본성인)은 대만어중국어 방언(객가어 등)을 모어로 하는 사람이 많았고, 대만 원주민 사이에서는 다양한 소수 언어가 사용되었다. 일본 통치 시대의 대만에서는 일본어공용어가 되어 민족 간 공통어로 기능했지만, 전후에 중화민국이 대만에 상륙하면서 베이징어를 기반으로 하는 "국어"를 표준어로 삼았다. 현재는 표준어인 중국어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1980년대까지는 학교에서 대만어 사용을 금지하거나 미디어에서 대만어 사용을 제한하기도 했다. 이러한 국가 정책의 영향으로 대만어를 구사할 수 있는 대만 사람, 특히 젊은 세대는 줄어들고 있다.

5. 2. 영어 (영국)

영국에서 표준 언어는 중세 잉글랜드와 웨일스의 채널리 법정 언어를 기반으로 한 영국 영어이다.[18] 17세기 후반과 18세기 초, 표준 영어는 상류층의 언어적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19] 사회적으로, 표준어 구어체의 억양은 화자가 양질의 교육을 받았고, 따라서 높은 사회적 지위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냈다.[20] 잉글랜드와 웨일스에서 표준 영어는 일반적으로 Received Pronunciation과 관련이 있지만, 다른 억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21] BBC 아나운서가 사용하는 영어가 "영국의 표준 영어"로 설명되기도 한다.[22]

5. 3. 한국어·조선어

대한민국에서는 수도 서울 방언을 기반으로 국립국어원에 의해 표준어가 정해져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수도 평양 방언을 기반으로 한 문화어를 표준어로 정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문화어 또한 서울 방언이 토대가 되고 있다.

5. 4. 일본어

일본어에서는 근세 이전에는 헤이안 시대 교토의 귀족어를 기반으로 하는 문어체가 표준적인 서기 언어로 널리 통용되었고, 구어에 대해서도 에도말이 성숙해지는 에도 시대 후기까지는 교토말이 중앙어였으며, 교토를 중심으로 신어가 일본 각지에 전파되었다고 여겨진다.[10] (방언 주변론과 아호·바카 분포도도 참조). 교토 방언이 한때 중앙어였던 흔적은 현대 공통어에도 남아 있으며, 예를 들어, 옛스러운 문체로 "나는 알고 있소이다"와 같은 근세 간사이 방언풍의 표현이 사용되는 것(노인어 참조)[11], "남아 '''있'''습니다", "춥'''습니다'''", "없'''습니다'''"와 같은 문어·경어 표현, "무서운", "글피", "장마(つゆ)" 등의 어휘가 그 예이다.

메이지 유신 후, 표준어는 쉽게 정해지지 않았다. 표준어의 안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었다.[12]

구분내용
고어 안고어=미야비말을 기준으로 함 (천황이 사용하는 말이기도 함)
현대어 안서쪽 교토, 가모가와강가의 말을 기준으로 함
동쪽 교토의 말을 기준으로 함
일본 전국의 말을 조사하여, 인구적으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말을 기준으로 함



메이지 중기부터 쇼와 전기까지, 주로 도쿄 야마노테의 교양층이 사용하는 말(야마노테말)을 기반으로 표준어를 정비하려는 시도가 추진되었다.[13][14] 천황 및 교토의 말을 기반으로 하는 안도 유력했지만, 메이지 초기의 도쿄 야마노테는 지방 출신의 젊은 관료들의 주거지였고, 천황보다 사회적·정치적 힘에서 우세했다.[12] 여기에 문단의 언문일치 운동이 큰 영향을 주어, "표준어"라고 불리는 언어의 기초가 쌓였다. 참고로, "표준어"라는 용어는 오카쿠라 유사부로에 의한 ''Standard Language''의 일본어 번역이다.

메이지 유신 후 수십 년이 지난 1903년, 최초의 국정 교과서 『尋常小学読本』이 간행되면서 "도쿄 야마노테의 교육받은 중산층 가정의 말"이 표준어가 되었다. 1925년에 라디오 방송이 시작되면서 방언 기피가 강해졌다.[12]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국가적 행위로서의 표준어 정책은 시행되지 않게 되었고, 각지의 방언을 재검토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거나, 국가가 특정 일본어를 표준으로 규정하는 것에 부정적인 생각이 생겨났다.[15] 그러한 가운데, 주일 미군이 사용한 "Common Language"를 바탕으로 " (전국) 공통어"라는 용어가 등장했고[16], NHK 등 일부에서는 "표준어"가 "공통어"로 바뀌게 되었다.

현재 일본에는 표준어를 규정하는 법률이나 공적 기관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표준어"라고 했을 경우, 일본의 수도인 도쿄 방언에서 특정 지역·계층에 치우치는 요소(도쿄의 서민 지역에서 볼 수 있는 시와 히의 교체 등)를 제외한 것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5. 5. 기타 언어

6. 표준어와 방언의 관계

표준어는 사회에서 널리 사용되는 말의 규칙들을 모아 놓은 것이다. 하지만 이것이 특정 방언보다 더 낫거나 "정확하다"는 뜻은 아니다.[4] 모든 방언은 그 자체로 완전한 언어 체계이다. 표준어는 보통 사회적으로 중요한 지역(수도나 문화 중심지 등)에서 쓰이는 방언을 바탕으로 만들어지거나, 현대 히브리어처럼 여러 방언에서 좋은 점을 골라 의도적으로 만들어지기도 한다.[9]

표준어는 문법책이나 사전에 잘 정리되어 있어서, 사람들이 글을 쓰거나 말할 때 기준으로 삼을 수 있다. 학교에서 외국인에게 언어를 가르칠 때도 표준어를 사용한다.[9] 이렇게 표준어는 사회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다른 방언보다 더 많이 사용되면서 권위를 얻게 된다.

역사적으로 표준어는 두 가지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표준 영어처럼 정부의 개입 없이 자연스럽게 만들어지기도 하고, 프랑스어(프랑스 아카데미)나 스페인어(에스파냐 왕립 아카데미)처럼 정부 기관이 주도하여 만들기도 한다.

하지만 표준어는 실제 사람들이 쓰는 말을 완벽하게 반영하지는 못한다. 왜냐하면 표준어는 사람들이 실제로 사용하는 다양한 말하기 방식(''우수스'') 중에서 지켜야 할 규칙들을 뽑아 놓은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표준어는 완전히 통일되어 있지도 않고, 시간이 지나면서 조금씩 변하기도 한다.[4]

정치적으로는, 새로운 나라가 만들어질 때 국민들을 하나로 묶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방언 연속체에서 나온 서로 다른 표준어는 (다른 지역 방언과 함께) 서로 다른 언어로 여겨질 수도 있다. 북게르만어의 덴마크어, 노르웨이어, 스웨덴어처럼 서로 말이 통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1814년 노르웨이가 덴마크에서 독립했을 때, 글말은 덴마크어밖에 없었다. 시골과 지방 도시에서는 노르웨이 방언을 썼지만, 교육받은 사람들은 "노르웨이식 덴마크어"를 썼다. 수도 오슬로 등의 부유층 말을 바탕으로 여러 번의 개정을 거쳐 복말('책의 언어')이라는 표준어가 만들어졌다. 하지만 언어학자 이바르 아센은 이 말이 덴마크어와 너무 비슷하다고 생각해서, 서부 노르웨이 방언을 바탕으로 란드스말('시골 언어')이라는 새로운 표준어를 만들었다. 1885년 의회는 두 가지 모두 공식 언어로 인정했고, 란드스말은 나중에 뉴노르스크(신노르웨이어)로 이름이 바뀌었다.

유고슬라비아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에서도 비슷한 일이 있었다. 북쪽의 세르비아, 동쪽의 불가리아와 구별되는 국가 언어를 만들기 위해, 서쪽 지역에서 쓰던 방언을 바탕으로 표준 마케도니아어를 만들었다. 하지만 정치적, 문화적 이유로 불가리아 사람들은 마케도니아어를 불가리아어의 방언으로 생각한다.

이처럼 표준어는 공공장소나 공식적인 자리에서 자주 사용될 수 있으면 만들어질 수 있다. 표준어를 만드는 것은 국가, 민족, 문화를 하나로 묶고, 사회를 통합하려는 노력에서 비롯된다.

표준어의 일반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특징
널리 인정받는 사전 (표준화된 철자어휘)
널리 인정받는 문법
표준 발음 (교양 있는 말투)
용법의 기준을 정하는 공공기관 (예: 프랑스 아카데미와 에스파냐 왕립 아카데미)
법적 지위 (공용어)
사실상의 공적 사용 (법정, 의회, 학교)
문학정전
편리한 회화[9]
공동체 내 인기와 수용[9]
인구[9]
방송 및 뉴스 미디어에서의 사용



역사적으로는 국가가 성립될 때, 나라 안의 사람들이 서로 쉽게 소통하고, 국가와 국민을 하나로 통합하기 위해 주요 방언이나 언어를 바탕으로 '''국어'''를 만들어 왔다. 이 과정에서 많은 방언과 소수 언어가 사라지기도 했다. 특히 프랑스의 절대왕정 시대에 프랑스어를 표준어로 만들기 위해 프랑스어의 표준어 정책을 펼친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참조

[1] 서적 Sociolinguistics: An Introduction to Language and Society Penguin Books
[2] 웹사이트 BRASÍLIA, SUA GENTE, SEUS SOTAQUES: DIFUSÃO CANDANGA E FOCALIZAÇÃO BRASILIENSE NA CAPITAL FEDERAL http://icts.unb.br/j[...] 2024-09-15
[3] 웹사이트 Unicode Locale Data Markup Language (LDML) https://unicode.org/[...] 2023-12-13
[4] 서적 Language: Its Structure and Use Thomson Wadsworth
[5] 서적 Lengua y Nacionalismo http://www.euphoniae[...] Euphonía Ediciones
[6] 웹사이트 Italian language http://www.language-[...]
[7] 참고자료 Clyne 1992
[8] 서적 Sociolinguistics: An International Handbook of the Science of Language and Society II Mouton de Gruyter
[9] 서적 The standard language of Kurdish Naqd-hall
[10] 서적 日本語講座第六巻 日本語の歴史 大修館書店
[11] 서적 ヴァーチャル日本語 役割語の謎
[12] 학술지 言語不通の列島から単一言語発言への軌跡 https://cir.nii.ac.j[...] 2009-01-08
[13] 웹사이트 役割語の探求 http://www.let.osaka[...] 大阪大学 2009-09-29
[14] 학술지 明治後期以降における国語教育への上田万年の影響 http://www.sed.tohok[...] 東北大学 2009-09-29
[15] 서적 標準語の成立事情 PHP研究所
[16] 웹사이트 標準語の成立事情 https://r25.jp/magaz[...] PHP研究所 2009-09-29
[17] 학술지 若者言葉を“科学”する http://www.athome-ac[...] アットホーム 2009-09-29
[18] 참고자료 Smith 1996
[19] 참고자료 Blake 1996
[20] 참고자료 Baugh and Cable, 2002
[21] 참고자료 Smith, 1996
[22] 웹사이트 BBC Englishの意味・使い方・読み方 {{!}} Weblio英和辞書 https://ejje.weblio.[...] 2020-09-07
[23] 서적 英語の冒険 アーティストハウス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