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상숭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상 숭배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용어로, 이미지나 우상을 숭배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와 같은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에서는 우상 숭배를 금지하며, 십계명과 꾸란 등에서 이를 명시하고 있다. 반면,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등에서는 우상이나 이미지를 숭배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종교적 신념과 수행의 중요한 부분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차이는 종교적 관용과 불관용, 그리고 각 종교의 독특한 세계관과 관련되어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종교 윤리 - 겸손
    겸손은 자만하지 않고 다른 사람을 존중하는 마음가짐을 뜻하며, 종교, 철학, 리더십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가치로 여겨진다.
  • 종교 윤리 - 진실
    진실은 학문이 탐구하는 대상이며, 검증 가능한 객관적 사실에 기반하여 사실들의 상관관계에서 원리를 발견해야 학문적 진실에 도달한다.
  • 유대-기독교 주제 - 윤리학
    윤리학은 도덕적 행위와 가치를 철학적으로 연구하는 분야로, 고대부터 다양한 사상이 발전해 왔으며, 규범 윤리학, 응용 윤리학, 가치론 등 다양한 분야로 나뉜다.
  • 유대-기독교 주제 - 유대교
    유대교는 야훼를 유일신으로 섬기며 토라를 중심으로 율법과 계명을 지키는 종교로, 바리새파에서 발전하여 기독교와 이슬람교에 영향을 주었고, 현대에는 율법 해석에 따라 여러 분파로 나뉜다.
  • 교회법 - 최기식
    최기식은 1980년대 초 광주민중항쟁 관련 수배자와 부산 미국문화원 방화 사건 범인을 숨겨준 혐의로 구속되어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나, 1983년 광복절 특사로 석방된 대한민국의 천주교 신부이다.
  • 교회법 - 사도좌 공석
    사도좌 공석은 교황의 사망이나 사임으로 성좌가 공석이 된 기간으로, 추기경단이 바티칸을 통치하며 새 교황 선출을 준비하고, 이 기간 동안 성좌 문장 변경, 특별 우표 발행 등 여러 특징이 나타난다.
우상숭배
일반 정보
다양한 종교적 형상들
다양한 문화권에서 숭배의 대상으로 여겨지는 형상들 (시계 방향으로: 힌두교시바, 기독교예수, 고대 이집트의 호루스, 불교불상)
정의신이 아닌 것을 신으로 숭배하는 행위
관련 개념다신교
애니미즘
토테미즘
물신숭배
종교적 관점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강력하게 금지됨
죄악으로 간주됨
기독교십계명에 명시적으로 금지됨
유대교십계명의 첫 번째 계명 위반
이슬람교가장 큰 죄악 중 하나로 간주됨
바하이 신앙영적인 진보를 가로막는 장애물로 여겨짐
철학적 관점
의미물질적 대상에 대한 과도한 숭배
추상적인 개념에 대한 맹목적인 추종
예시
명예
권력
사상
사회적 영향
기능사회 통합
문화적 정체성 강화
부작용광신주의
종교적 갈등
사회적 불평등 심화
역사적 사례
고대 이집트동물 숭배, 태양 숭배
고대 그리스올림포스 신 숭배
로마 제국황제 숭배
현대 사회
새로운 형태의 우상유명인 숭배
소비 지상주의
기술 숭배
비판적 시각인간 소외 심화
가치관 혼란 초래
사회적 양극화 심화

2. 어원 및 명칭

'우상'이라는 단어는 일반적으로 목재, 금속 등 구체적인 물질로 만들어진 형상 중 숭배의 대상을 본떠 만든 것을 가리킨다.[227] '우상 숭배'라는 용어 자체는 이러한 상(像)을 숭배하는 행위를 금지하거나 비판하는 입장에서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특정 종교, 특히 아브라함 계통 종교의 관점에서 다른 신앙 형태를 비판적으로 지칭할 때 두드러진다. '우상교'라는 표현 역시 비슷한 맥락에서 사용된다.[228]

숭배의 대상이 되는 상은 해당 신앙 내에서는 신상(神像)이나 불상(佛像) 등으로 불린다. 그러나 우상 숭배를 비판하는 입장에서는 이원론이나 다신교 등 다른 사상 체계까지도 우상 숭배의 범주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나아가, 일부 종교 분파에서는 유형적인 상뿐만 아니라 특정 상징물이나 행위까지 우상 숭배로 간주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일부 개신교에서는 십자가에 기도하는 행위를, 여호와의 증인에서는 장례식이나 묘지, 유골 숭배 등을 우상 숭배로 여기기도 한다. 이처럼 목걸이, 부적, 특정 인물이나 장소 등 다양한 대상이 신앙의 대상이 될 경우 우상 숭배로 비판받을 수 있다.

2. 1. 어원

모세가 금송아지 숭배에 대한 대응으로 십계명이 새겨진 최초의 두 개의 돌판을 깨뜨리는 모습; 율리우스 슈노르 폰 카롤스펠트의 목판화, 1860년.


'우상 숭배'라는 용어는 고대 그리스어 단어 εἰδωλολατρία|에이돌롤라트리아grc에서 유래했다. 이는 두 단어, 즉 εἴδωλον|에이돌론grc("이미지/우상")과 λατρεία|라트레이아grc("숭배")의 합성어이다.[19] 따라서 εἰδωλολατρία|에이돌롤라트리아grc는 "우상 숭배"를 의미하며, 라틴어에서는 처음에는 ''idololatria'', 이후 속 라틴어에서는 ''idolatria''로 나타났다. 여기서 12세기 고대 프랑스어로는 ''idolatrie''로 변형되었고, 13세기 중반 영어에서는 "idolatry"로 처음 등장했다.[20][21]

그리스어 단어 εἰδωλολατρία|에이돌롤라트리아grc는 차용 번역으로 보이며, 이는 히브리어 구절 עבודת אלילים|아보다트 엘릴림he("우상 숭배")을 번역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히브리어 구절은 랍비 문학에서 확인된다(예: bChul., 13b, Bar.). 그러나 그리스어 용어 자체는 칠십인역, 필로, 요세푸스, 또는 다른 헬레니즘 유대교 문헌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초기 랍비 문헌에서 사용된 원래 용어는 ''oved avodah zarah'' (''AAZ'', 이상한 섬김 또는 "이교도")이며, ''avodat kochavim umazalot''(''AKUM'', 행성과 별자리 숭배)는 초기 원고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22] 후기 유대인들은 עֲבוֹדָה זָרָה|아보다 자라he, 즉 "외국 숭배"를 의미하는 용어를 사용했다.[23]

우상 숭배는 역사적 문헌에서 우상주의,[24] 영상 숭배[25] 또는 우상 숭배라고도 불렸다.[26]

2. 2. 명칭



"우상 숭배"라는 용어는 고대 그리스어 단어 eidololatria|에이돌롤라트리아grc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이미지/우상"을 뜻하는 eidolon|에이돌론grc과 "숭배"를 뜻하는 latreia|라트레이아grc(λατρεία, latris|라트리스grc와 관련됨) 두 단어를 합친 말이다.[19] 따라서 eidololatriagrc는 "우상 숭배"를 의미하며, 라틴어에서는 처음에는 ''idololatria'', 이후 속라틴어에서는 ''idolatria''로 나타났다. 이것이 12세기 고대 프랑스어에서는 ''idolatrie''가 되었고, 13세기 중반 영어에서는 "idolatry"로 처음 나타났다.[20][21]

이 그리스어 단어는 차용 번역으로 보이며, 히브리어 구절 avodat elilim|아보다트 엘릴림heb(עבודת אלילים)을 번역한 것으로 보인다. 이 히브리어 구절은 랍비 문학에서 나타난다(예: bChul., 13b, Bar.). 그러나 그리스어 용어 자체는 칠십인역, 필로, 요세푸스, 또는 다른 헬레니즘 유대교 문헌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초기 랍비 문헌에서 사용된 원래 용어는 oved avodah zarah|오베드 아보다 자라heb(''AAZ'', 이상한 섬김 또는 "이교도")이며, avodat kochavim umazalot|아보다트 코카빔 우마잘로트heb(''AKUM'', 행성과 별자리 숭배)는 초기 원고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22] 후기 유대인들은 "외국 숭배"를 의미하는 avodah zarah|아보다 자라heb(עֲבוֹדָה זָרָה)라는 용어를 사용했다.[23]

우상 숭배는 역사적 문헌에서 우상주의,[24] 영상 숭배[25] 또는 우상 숭배라고도 불렸다.[26]

3. 역사

'우상'(偶像)이라는 단어는 인형, 제물, 인간을 닮은 물건 등 여러 의미를 지니지만, 종교적 맥락에서는 주로 목재, 금속 등 구체적인 물질로 만들어 숭배 대상으로 삼는 형상을 가리킨다.[227] '우상 숭배'라는 용어 자체는 이러한 상을 숭배하는 것을 금지하거나 비판하는 특정 종교적 입장에서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228] 숭배의 대상이 되는 상은 해당 신앙 내에서는 보통 신상이나 불상 등으로 불린다.

인류가 만든 가장 오래된 형상 중 하나로 구석기 시대 후기(약 35,000~40,000년 전)의 비너스 조각상이 있으며,[27] 이후 신석기 시대의 키클라데스 조각상, 기원전 3천년기 인더스 문명 유적지에서 발견된 나마스테 자세의 우상 등 다양한 형태의 형상들이 세계 곳곳에서 발견되었다.[28][29] 그러나 기록의 부재로 이것들이 종교적 숭배 대상이었는지, 아니면 장난감과 같은 다른 용도였는지는 불분명하다.[34][30][31][32]

역사적으로 우상 숭배에 대한 명확한 기록은 고대 이집트 문명과 고대 그리스 문명에서 나타난다.[33] 기원전 2천년경에는 동물의 형상이나 인간과 동물이 결합된 형태, 그리고 인간의 형상(의인화)을 한 숭배 대상들이 등장했다.[34] 고대 이집트에서는 동물 형상이, 인도유럽 문화권에서는 의인화된 형상이 더 흔하게 나타났으며,[33][35] 가나안 지역에서는 황금 송아지 숭배가 있었다.[39]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는 다신교적 우상 숭배가 널리 퍼졌으며,[40][41] 플라톤이나 아리스토텔레스 같은 철학자들은 이미지의 본질과 역할에 대해 논하기도 했다.[42][43]

이러한 형상 숭배 관습은 이후 등장한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에서 강한 비판과 반대에 부딪혔다. 이들 종교는 유일신 신앙을 바탕으로 형상을 만들어 숭배하는 행위를 엄격히 금지했으며, 이는 역사적으로 성상 파괴 운동과 같은 사건으로 이어지기도 했다.[44][45][46] 각 종교 및 문화권에서 우상 숭배를 어떻게 이해하고 다루어왔는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문단들에서 살펴볼 수 있다.

3. 1. 선사 시대 및 고대 문명

선사 시대의 초기 조각상인 비너스 조각상은 구석기 시대 후기(35,000~40,000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27] 에게 해 섬의 고고학적 증거는 기원전 4~3천년기 신석기 시대의 키클라데스 조각상, 기원전 3천년기 인더스 문명 유적지에서 발견된 나마스테 자세의 우상, 그리고 전 세계에서 발견되는 훨씬 오래된 암각화 등이 인간이 정교한 이미지를 제작하기 시작했음을 보여준다.[28][29] 그러나 이러한 유물들에 대한 역사적 기록이 부족하여, 이 조각상들이 종교적 신념과 어떤 관련이 있었는지, 아니면 장난감과 같은 다른 용도로 사용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34][30][31][32]

우상을 확인하는 가장 오래된 역사적 기록은 고대 이집트 문명에서 나타나며, 이후 그리스 문명과도 관련이 있다.[33] 기원전 2천년경에는 크게 두 가지 형태의 숭배상이 나타났는데, 하나는 동물의 형상 또는 동물과 인간이 합쳐진 모습(동물 형상)이고, 다른 하나는 인간의 형상(의인 형상)이다.[34] 동물 형상은 고대 이집트의 영향을 받은 신앙에서 더 흔하게 발견되었으며, 의인 형상은 인도유럽 문화권에서 더 자주 나타났다.[33][35] 숭배 대상에는 자연물, 유용한 동물 또는 두려운 동물의 상징도 포함될 수 있다. 프랑스, 아일랜드에서 우크라이나를 거쳐 중앙아시아, 남아시아에 이르기까지 발견된 기원전 4,000년에서 2,500년 사이의 비석들은 고대의 의인 형상에 동물 형상의 모티프가 포함되었음을 시사한다.[35] 북유럽과 인도 아대륙에서는 소(소, 황소) 모티프나 조각상이 흔했으며,[36][37] 아일랜드에서는 돼지가 상징적인 이미지로 사용되었다.[38]

고대 이집트 종교는 다신교였으며, 동물 형상이거나 동물의 일부를 포함하는 큰 우상을 숭배했다. 반면, 고대 그리스 문명은 신성한 존재를 표현할 때 이상적인 비율의 인간 형태를 선호했다.[33] 서아시아의 가나안인들은 황금 송아지를 그들의 신들 중 하나로 숭배했다.[39]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철학과 관습에는 다신교적 우상 숭배가 스며들어 있었다.[40][41] 당시 철학자들은 이미지가 무엇이며 그 사용이 적절한지에 대해 논쟁했다. 플라톤은 이미지가 인간 경험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았다.[42]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미지가 "마음의 내면 세계와 물질적 현실의 외부 세계를 연결하는" 적절한 정신적 매개체이며, 감각과 이성 사이의 중간 역할을 한다고 생각했다. 즉, 우상은 유용한 심리적 도구로서 감각 데이터와 내면의 감정을 반영하며, 생각의 시작점이나 종착점이 아니라 인간 내면 여정의 중개자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42][43] 그리스와 로마의 우상 숭배에 대한 강한 반대는 초기 기독교와 후기 이슬람에서 나타났으며, 이는 현대까지 남아있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 조각상들이 광범위하게 파괴되고 훼손된 모습에서 확인할 수 있다.[44][45][46]

3. 2. 아브라함계 종교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로 분류되는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는 공통적으로 유일신 신앙을 바탕으로 우상 숭배를 엄격히 금지한다. 우상이란 일반적으로 목재, 금속 등 물질로 만들어 숭배 대상으로 삼는 형상을 의미하지만,[227] 넓게는 신 외에 다른 어떤 것을 신격화하거나 절대적인 가치를 부여하는 행위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우상 숭배"라는 용어 자체는 이러한 행위를 금지하거나 비판하는 입장에서 부정적인 의미를 내포한다.

이들 종교는 각자의 경전에서 우상 숭배 금지를 명확히 하고 있다. 유대교기독교구약성경십계명을 통해 다른 신을 섬기거나 신의 형상을 만드는 행위를 금지하며,[251][60] 이슬람교는 꾸란에서 유일신 알라 외에 다른 대상을 숭배하거나 신과 동등하게 여기는 행위인 시르크(شركar)를 가장 큰 죄로 규정하고 엄격히 금지한다.[98][249]

이러한 교리는 신을 눈에 보이는 형상으로 표현하는 것을 경계하고, 보이지 않는 유일신에 대한 순수한 신앙을 강조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각 종교 내에서도 성상(聖像)이나 상징물의 사용, 특정 인물이나 장소에 대한 존경 표현 등을 둘러싸고 다양한 해석과 논쟁이 존재해왔다. 예를 들어 기독교 내에서는 성상 파괴 운동이 일어나기도 했으며, 종파 간 입장 차이가 존재한다. 유대교에서도 실제 종교 관행에서는 이미지 사용이 존재했음이 밝혀지기도 했고,[59] 이슬람교 내에서도 분파별로 시르크의 범위나 종교적 형상에 대한 입장에 차이가 있다.

각 종교에서 우상 숭배를 어떻게 정의하고 금지하며, 관련하여 어떤 역사적, 신학적 논의가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 유대교에서의 우상 숭배
  • 기독교에서의 우상 숭배
  • 이슬람교에서의 우상 숭배

3. 2. 1. 유대교



유대교는 어떤 형태의 우상 숭배도 금지한다.[48] 이는 유일신을 숭배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때조차 허용되지 않으며, 금송아지 사건이 대표적인 예이다. 십계명의 두 번째 계명은 "너는 너를 위하여 새긴 우상을 만들지 말라"고 명시하며, 어떤 형상이든 이방 신을 숭배하는 것을 금지한다.[48][49] 구약성경 출애굽기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너는 너를 위하여 새긴 우상을 만들지 말고 위로 하늘에 있는 것이나 아래로 땅에 있는 것이나 땅 아래 물 속에 있는 것의 어떤 형상도 만들지 말며 그것들에게 절하지 말며 그것들을 섬기지 말라
(출애굽기 20장 4절부터 5절(개역개정))


이스라엘 백성이 금송아지를 숭배했을 때는 극형으로 처벌되었다.[229]

랍비 사아디아 가온, 랍비 바히야 이븐 파쿠다, 랍비 예후다 하레비 등 많은 유대교 학자들이 우상 숭배 문제를 깊이 다루었다. 특히 랍비 모셰 벤 마이몬(마이모니데스)의 해석이 자주 인용된다.[49] 마이모니데스는 우상 숭배 자체가 근본적인 죄라기보다는, 신이 육체를 가질 수 있다고 믿음으로써 신의 전지성을 부정하는 것이 더 심각한 문제라고 보았다. 유대교 신앙에서 신의 유일한 형상은 살아 있고 생각하는 인간이며, 신은 눈에 보이는 형상이 없으므로 형상을 만들거나 숭배하는 것은 불합리하다. 따라서 인간은 보이지 않는 신만을 숭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49][50]

히브리 성경의 우상 숭배 금지 계명은 고대 아카드, 메소포타미아, 이집트의 종교적 관습과 신들을 겨냥한 것이었다.[51][52] 히브리 성경은 신에게 형상이나 형태가 없으며, 어떤 것과도 비교할 수 없고, 어디에나 존재하며, 우상과 같은 물리적 형태로 표현될 수 없다고 명시한다.[53] 시편에서는 우상의 무익함을 다음과 같이 지적한다.

저희의 우상은 은과 금이요 사람이 손으로 만든 것이라 입이 있어도 말하지 못하며 눈이 있어도 보지 못하며 귀가 있어도 듣지 못하며 코가 있어도 맡지 못하며 손이 있어도 만지지 못하며 발이 있어도 걷지 못하며 목구멍으로 소리도 못하느니라 우상을 만드는 자와 그것을 의지하는 자가 다 그와 같으리로다
(시편 115장 4절부터 8절(개역개정))


이사야서에서도 는 자신의 영광을 우상에게 주지 않겠다고 선언한다.[231][232] 요시야 왕은 유다와 예루살렘을 정화하기 위해 우상을 파괴하는 종교 개혁을 단행하기도 했다.[230]

그러나 역사적으로 유대교 내에서 이미지 사용 문제는 복잡한 양상을 띤다. 성서 학자들은 주로 문헌 증거에 의존하여 유대교의 우상 숭배 역사를 구성해왔지만, 최근 학계에서는 이러한 접근 방식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59] 종교학 교수 나오미 야노비츠는 성서의 논쟁이 실제 이스라엘 종교 관행과 이미지 사용의 현실을 왜곡했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 고고학 유적지에서 발견되는 직접적인 물질적 증거들은 유대교의 종교 관행이 성서 기록보다 훨씬 복잡했음을 시사한다. 제1성전 시대, 제2성전 시대, 후기 고대(서기 2~8세기)에 걸쳐 유대교 내에서 이미지와 숭배 조각상이 존재했다는 증거들이 발견되었다.[59][54] 물론, 이러한 증거가 단순히 고대 이스라엘의 특정 계층이나 일탈적인 관행을 보여주는 것일 뿐, 우상 숭배를 금지하는 주류 종교의 입장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라는 반론도 있다.[55]

유대교 종교 관행의 역사에는 상아, 테라코타, 파이앙스 등으로 만들어진 우상, 작은 조각상, 봉인 등이 포함된다.[59][56] 이러한 물질적 증거가 늘어나면서, 유대교가 우상 숭배와 성상 파괴 사이를 오갔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하지만 유물과 문헌의 연대 측정을 통해 볼 때, 상반되는 두 신학 및 전례 관행이 공존했을 가능성도 있다. 야노비츠는 유대교 문헌에 나타나는 일신교적 우상 숭배 거부가 실제 역사를 단순화한 추상적인 구성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59] 예를 들어, 그룹이나 "피를 상징하는 포도주"에 대한 텍스트 묘사와 함께 이미지, 조각상 등의 물질적 증거는 상징주의, 종교적 이미지 제작, 아이콘 등이 유대교의 일부였음을 시사한다.[59][57][58] 모든 종교에는 신성을 나타내는 상징물이 있으며, 유대교 역시 메노라와 같은 거룩한 물건과 상징을 가지고 있었다.[59] 이러한 엄격한 우상 숭배 금지 때문에 19세기까지 유대인 화가나 조각가 같은 시각 예술가가 거의 배출되지 않았다는 시각도 있다.

3. 2. 2. 기독교

기독교의 우상숭배에 대한 관점은 십계명의 첫 번째 계명에 기초한다.[60][251]

> 너는 나 외에 다른 신들을 네게 두지 말라.[60]

이 명령은 탈출기 20:3, 마태복음 4:10, 루카 복음서 4:8 등 성경 여러 곳에서 강조된다.[60] 예를 들어 레위기에서는 다음과 같이 명시하고 있다.

> 너희는 너희를 위하여 우상을 만들지 말며 조각한 형상도 세우지 말며 너희 땅에 기념비를 세우고 숭배하지 말라. 나는 주 너희의 하나님이다. 너희는 나의 안식일을 지키며 나의 성소를 존경하라.[61]

이러한 우상숭배 금지 명령은 역사적으로 성상 파괴 운동과 같은 사건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성 베네딕토가 이교도 우상을 파괴하는 모습, 후안 리지 (1600–1681) 작품


기독교 내에서 우상 숭배에 대한 입장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가톨릭과 동방 정교회는 종교적 이미지, 즉 성상(聖像)의 사용을 허용하는 반면,[62] 다수의 개신교 교회는 종교적 이미지 사용을 상당히 제한한다. 다만 많은 개신교 신자들도 십자가 이미지를 중요한 상징으로 사용한다.[63][64]

가톨릭과 정교회는 전통적으로 성상 사용을 옹호해 왔다. 성상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성상을 통해 경배하는 것이 우상 숭배인지에 대한 논쟁은 수세기 동안, 특히 7세기부터 종교 개혁이 일어난 16세기까지 지속되었다.[65] 이들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 성모 마리아, 사도들의 성상, 스테인드글라스 그림, 지역 성인들, 그리고 다른 기독교 상징들의 사용을 지지해왔다. 또한 가톨릭 미사, 성상 앞에서 촛불을 켜는 행위, 크리스마스 장식과 축하, 종교적 의미가 있는 조각상과 함께하는 축제나 기념 행렬 같은 관행도 옹호한다.[65][66][67]

성 다마스쿠스의 요한은 8세기에 비잔틴 성상 파괴 운동에 맞서 성상 사용을 강력히 변호했다. 이 운동은 황제 레오 3세의 지지를 받아 시작되었고, 그의 후계자인 콘스탄티누스 5세에 의해 우마이야 칼리파조와의 전쟁 중에 계속되었다.[68] 다마스쿠스의 요한은 "나는 보이지 않는 하느님의 형상을 감히 그리려고 하는데, 보이지 않는 모습이 아니라, 우리를 위해 살과 피를 통해 보이게 된 모습으로 그린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미지가 "경이로움, 존경, 불명예, 선, 악을 기억하기 위한 표현"이며, 책 또한 다른 형태의 기록된 이미지라고 덧붙였다.[69][70] 그는 예수의 성육신 교리를 근거로 이미지의 종교적 사용을 정당화했다.[71] 즉, 요한복음 1장 14절의 "말씀이 육신이 되었다"는 구절처럼, 보이지 않는 하느님이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스스로를 보이게 하셨으므로, 영적인 것을 물질적인 형태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해졌다는 것이다.[72][73]

교황 비오 5세가 십자가 앞에서 기도하는 모습, 아우구스트 크라우스의 그림


이미지 사용에 대한 옹호는 구약과 신약 해석에도 기반한다. 초기 기독교 미술과 기록에서도 종교적 이미지 사용의 증거를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순교자들의 무덤과 조각상에 대한 공경은 초기 기독교 공동체에서 흔한 일이었다. 397년, 성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는 그의 저서 고백록 6.2.2에서 어머니가 순교자들의 무덤에 제물을 바치고 성인들을 기리기 위해 경당을 지었다고 기록했다.[74]

7세기의 교황 그레고리오 1세는 이미지가 "문맹자들을 위한 성경과 같고, 사람들을 경건함과 덕행으로 이끈다"고 말했다.[76] 가톨릭의 옹호는 성상에 대한 존경 행위가 숭배(latria, 하느님께만 드리는 예배)와 공경(dulia, 성인이나 성물에 대한 존경) 사이에 차이가 있음을 강조한다. 성상에 보이는 공경은 하느님을 숭배하는 것과는 다르며, "이미지에 주어진 존경은 그 원형으로 전달된다"고 주장한다. 즉, 그리스도의 이미지를 공경하는 것은 이미지 자체(물질)를 숭배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를 통해 그 원형인 그리스도께 향하는 것이라는 설명이다.[75][76][77]

가톨릭교회 교리서에 따르면:

> 이미지에 대한 기독교의 공경은 우상을 금지하는 첫 번째 계명에 위배되지 않는다. 실제로, "이미지에 바쳐지는 존경은 그 원형으로 전달"되며, "이미지를 공경하는 자는 그 안에 묘사된 사람을 공경하는 것"이다. 성상에 바쳐지는 존경은 "존경스러운 공경"이며, 하느님께만 드려야 하는 숭배와는 다르다.

> 종교적 숭배는 그 자체로 이미지에 향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사물로 간주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를 성육신하신 하느님께로 이끄는 독특한 측면으로서 향한다. 이미지로 향하는 움직임은 이미지 자체에서 끝나지 않고, 그 이미지의 원형으로 향한다.[78]

또한 교리서는 우상 숭배가 단순히 이교 숭배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하느님이 아닌 것을 신격화하는 것"으로, 권력, 쾌락, 인종, 조상, 국가, 돈 등 하느님 대신 피조물을 숭배하는 모든 행위가 우상 숭배가 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79] 예수, 성모 마리아, 기독교 성인들의 이미지를 만들고 그들에게 기도하는 것은 가톨릭 신자들 사이에서 널리 행해지고 있다.[80]

반면, 개신교 종교 개혁 시기에는 가톨릭의 이러한 관행이 강하게 비판받았다. 우상 숭배 논쟁은 가톨릭과 개신교 사이의 중요한 차이점 중 하나였다.[91] 많은 개신교 신학자들은 가톨릭의 이미지 사용 및 관련 관행을 "모든 종교적 오류보다 더 큰 하나의 오류"로 간주하며, 성모 마리아 숭배, 가톨릭 미사, 성인 호칭 기도, 교황에 대한 존경 등을 우상 숭배의 예로 들었다.[91] 이러한 비판은 성공회부터 칼뱅주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개신교 그룹에서 제기되었다.[91][92]

제단에 기독교 성경과 십자가가 있는 루터교 개신교 교회


그러나 개신교가 모든 기독교 상징을 거부한 것은 아니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숭배의 대상이 될 수 있는 맥락에서의 이미지 사용을 피했지만, 십자가는 중요한 상징으로 유지했다.[63][64] 역사학자 카를로스 에이레에 따르면, 가톨릭과 개신교 모두 아이콘(상징)을 가지고 있었지만 그 의미는 달랐으며, "어떤 사람의 헌신은 다른 사람에게는 우상 숭배"로 비춰졌다.[93] 이는 기독교 내부 논쟁뿐 아니라, 가톨릭 군대가 아메리카 식민지에서 원주민들의 우상을 파괴하고 십자가와 성인들의 이미지로 대체했을 때도 마찬가지였다.[93]

개신교는 가톨릭을 우상 숭배, 이미지 숭배, 심지어 이교주의라고 비난하는 경우가 많았다. 일부 청교도 그룹처럼 조각상, 그림, 심지어 십자가까지 포함한 모든 형태의 종교적 대상을 거부하기도 했다.[94] 왈도파 역시 종교 재판관들에게 우상 숭배 혐의로 고발당한 바 있다.[95]

십자가에 못 박힌 그리스도의 형상(십자고상)은 가톨릭, 동방 정교회, 성공회, 루터교 교회에서 사용되는 반면, 많은 개신교 그룹은 형상 없는 단순한 십자가를 사용한다. 유대교에서는 전통적으로 십자가 형태의 그리스도 아이콘에 대한 존경을 우상 숭배로 간주해왔으나,[96] 일부 유대교 학자들은 기독교가 유대교 신앙에 뿌리를 두고 있어 진정한 의미의 우상 숭배는 아니라고 보기도 한다.[97]

구약성경은 우상 숭배를 엄격히 금지한다. 십계명은 하느님이 직접 모세에게 주신 돌판에 새겨진 계명으로, 우상 제작과 숭배를 금지한다.

> 너는 너를 위하여 새긴 우상을 만들지 말고 위로 하늘에 있는 것이나 아래로 땅에 있는 것이나 땅 아래 물 속에 있는 것의 어떤 형상도 만들지 말며 그것들에게 절하지 말며 그것들을 섬기지 말라 (출애굽기 20장 4절부터 5절)

이스라엘 백성이 금송아지를 숭배했을 때는 가혹한 처벌을 받았다.[229] 시편 기자는 우상이 사람이 만든 것으로 말하거나 보거나 듣거나 만질 수 없는 무력한 존재라고 비판하며, 우상을 만들고 의지하는 자들도 그와 같다고 경고한다.

> 저희의 우상은 은과 금이요 사람이 손으로 만든 것이라 입이 있어도 말하지 못하며 눈이 있어도 보지 못하며 귀가 있어도 듣지 못하며 코가 있어도 맡지 못하며 손이 있어도 만지지 못하며 발이 있어도 걷지 못하며 목구멍으로 소리도 못하느니라 우상을 만드는 자와 그것을 의지하는 자가 다 그와 같으리로다 (시편 115장 4절부터 8절)

요시야 왕은 유다와 예루살렘에서 우상을 파괴하며 종교 개혁을 단행했다.[230] 이사야서에서도 주님은 자신의 영광을 우상에게 주지 않겠다고 선언한다.[231][232] 유대교에서는 이러한 금지 조항을 엄격히 지켜, 19세기까지 유대인 예술가가 드물었다.

신약성경에서 "우상 숭배"로 번역되는 그리스어 εἰδωλολατρία|에이돌로라트리아el는 주로 기독교 문헌에 나타나며,[233] 갈라디아서 5:19-21, 고린도전서 10:14, 골로새서 3:5-6, 베드로전서 4:3 등에서 육체의 일, 피해야 할 죄악, 탐심과 동일시되며, 이런 일을 행하는 자는 하나님의 나라를 유업으로 받지 못한다고 경고한다.

> 육체의 일은 분명하니 곧 음행, 더러움, 호색, 우상 숭배, 마술, 원수 맺는 것, 다툼, 시기, 분냄, 당 짓는 것, 분열함, 이단, 투기, 술 취함, 방탕함, 또 그와 같은 것들이라 전에 너희에게 경고한 것 같이 지금도 경고하노니 이런 일을 하는 자들은 하나님의 나라를 유업으로 받지 못할 것이요 (갈라디아서 5장 19절에서 21절)

> 그러므로 나의 사랑하는 자들아 우상 숭배하는 일을 피하라 (고린도전서 10장 14절)

> 그러므로 땅에 있는 지체를 죽이라 곧 음란과 부정과 사욕과 악한 정욕과 탐심이니 탐심은 우상 숭배니라 이것들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진노가 임하느니라 (골로새서 3장 5절, 6절)

십계명 기념비


초대 교회 지도자 폴리카르포스는 로마 황제 숭배를 거부하여 순교한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는 요한의 묵시록 2장 10절의 "죽도록 충성하라"는 말씀을 따라 우상 숭배를 거부하고 화형과 칼에 찔려 순교했다.[234][235]

동방 정교회에서는 나무나 금속으로 만든 형상을 숭배하는 것 외에도 "탐욕", "탐식", "오만과 명예욕" 등도 우상 숭배로 간주한다.[248] 빌립보서 3장 19절은 "그들의 신은 그들의 배"라고 지적하며 세속적인 욕망에 빠지는 것을 경계한다.

> 그들의 마침은 멸망이요, 그들의 신은 그들의 배요, 그들의 영광은 그들의 부끄러움이며, 그들의 생각은 땅의 일에 있습니다. (빌립보서 3장 19절)

한국 기독교 역사에서도 우상 숭배 문제는 중요한 쟁점이었다. 특히 일제 강점기 신사참배 강요는 큰 시련이었다. 1932년 조치 대학 학생들이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거부한 조치대생 야스쿠니 신사 참배 거부 사건은 큰 파장을 일으켰다. 당시 일각에서는 기독교가 일본의 국체와 맞지 않는 사교이며 반국가적이라는 비난이 쏟아졌다. 이러한 압력 속에서 당시 가톨릭 지도부는 교회를 보호하기 위해 "조국에 대한 신자의 의무"라는 지침을 발표하며 신사 참배를 사실상 용인했는데, 이는 후에 신앙적 원칙보다 조직 방어를 우선시했다는 비판과 함께 자기반성의 대상이 되었다.[236][237][238]

개신교 내에서도 입장이 갈렸다. 일본 기독교단과 같은 에큐메니컬 성향의 교단 일부는 신사 참배나 궁성 요배 등에 비교적 관대한 태도를 보이기도 했으나, 미노 미션이나 나카타 주지 감독 하의 홀리네스 교단, 그리고 해방 이후의 복음주의 진영 등은 이를 명백한 우상 숭배로 규정하고 강력히 반대하며 거부했다.[239][240][241][242][243][244]

일본 기독교 개혁파 교회의 도키와 다카오키는 일본 기독교단 결성식에서의 궁성 요배를 "우상 숭배이며, 하나님에 대하여 죽을 죄"라고 비판했다. 이 교단은 1951년 대회에서 "모든 신도 신사는 우상이며, 우리는 그것을 예배하는 것을 거절한다. 가미다나, 불단 기타 어떠한 종교적 사물에 대해서도 머리를 숙여 예를 표하지 않는다."고 결의했다.[245]

일부에서는 당시 한국 교회가 신사 참배 문제에 명확히 대처하지 못한 원인으로 구약성경 지식 부족(채프먼 교수 지적), 자유주의 신학과 고등 비평으로 인한 신앙 약화, 우에무라 신학의 간이 신조주의적 한계 등을 지적하기도 한다.[246][247][245]

1959년 일본 선교 백주년 기념 성서 신앙 운동 대회에서는 복음주의 교회를 중심으로 지난 역사 속 우상 숭배의 죄를 하나님 앞에서 회개하고 고백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들은 "우리는 지난 백 년 동안, 그리스도인으로서, 개인 생활적으로도, 또한 국민 생활적으로도, 일체의 우상 숭배를 폐기해야 할 성경의 명령에 응하는 데 있어서, 부족한 점이 많았던 것을 하나님의 앞에서 반성하고, 통절한 회개를 고백한다"고 밝혔다.

3. 2. 3. 이슬람교

이슬람 자료에서, ''시르크''(شرك|시르크ar)는 "우상 숭배"를 지칭할 수 있지만,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의미는 "신에게 파트너를 연관시키는 것"을 나타낸다.[98] ''쿠프르''(k-f-r)의 개념 역시 (다른 형태의 불신과 함께) 우상 숭배를 포함할 수 있다.[99][100] ''시르크''를 행하는 자는 이슬람 경전에서 ''무쉬리크''(복수형 ''무쉬리쿤'', مشركون|무쉬리쿤ar)라고 불린다.[101] 꾸란은 우상 숭배를 금지하며,[101] ''쿠프르''와 ''시르크''를 500번 이상 언급하며 강력하게 금지한다.[98][99][102]

이슬람교에서 시르크는 알라가 용서하지 않는 유일한 죄로 간주된다(꾸란 4장 116절).[249] 만약 시르크를 저지른 사람이 회개하지 않고 죽는다면, 알라는 시르크를 제외한 다른 모든 죄는 용서할 수 있다고 본다. 알라의 형상을 만들어 숭배하는 것조차 “타우히드(신 유일성)에 반하는 용서받을 수 없는 죄”이다.[249][250] 따라서 무슬림들은 세계 어디에 있든 성지 메카 방향을 향해 예배한다.

이슬람의 우상 숭배 개념은 다신교를 넘어, 일부 기독교인과 유대교인을 ''무쉬리쿤''(우상 숭배자) 및 ''카피룬''(불신자)으로 간주하기도 한다.[103][104] 예를 들어, 꾸란 5장 72절은 "알라는 마리아의 아들 메시아이다"라고 말하는 자들은 불신에 빠졌다고 언급하며, 알라에게 다른 것을 연관시키는 자는 천국에 들어가지 못할 것이라고 경고한다.

시아파 고전 신학은 시르크 개념에서 다소 차이를 보인다. 12 이맘파 신학자들은 신의 속성이 신의 본질과 분리된 독립적 실체가 아니며, 이를 분리하는 것은 다신교적이라고 본다. 신은 육체적 형태가 없다고 믿는다.[105] 이론적으로 타우히드(신 유일성)는 모든 현실이 신에게서 비롯됨을 아는 것이고, 시르크는 어떤 것을 신과 독립된 목적으로 간주하는 것이다.[106] 따라서 대부분의 시아파는 종교적 상징, 미술 작품, 그리고 왈리, 라스울, 이맘에 대한 존경심 표현에 큰 문제를 두지 않는다.

반면, 특히 살라피-와하비와 같은 엄격한 보수적 해석에서는 시르크의 개념이 확장되어, 유일신 외의 대상을 신격화하는 행위 전반을 포함한다. 여기에는 생명체의 형상 사용, 무덤 위에 구조물 건설, 신과 파트너를 연관시키는 것, 다른 존재에게 신의 특성을 부여하는 것 등이 포함될 수 있다. 19세기 와하비즘은 우상 숭배를 사형으로 처벌해야 한다고 보았는데, 이는 이전 이슬람에서는 드문 관행이었다.[107][108] 이는 유물과 성인 숭배, 사당 순례가 있었던 고전 수니파 사상과 대조된다. 현대 살라피즘에 영향을 준 중세 신학자 이븐 타이미야는 이러한 관행을 부정하다가 동시대 신학자들에게 이단으로 여겨져 투옥되기도 했다.

''시예르-이 네비''에서 "카바의 무함마드". 무함마드는 얼굴을 가린 채로 묘사되어 있다. 약 1595년.


이슬람 전승에 따르면, 이스마엘 사후 그의 후손들과 잠잠 오아시스 주변에 정착한 지역 부족들은 점차 다신교와 우상 숭배로 돌아섰다. 여러 우상들이 메카카바 안에 놓여 다양한 자연 현상과 부족 신들을 상징했다. 순례 시 나체로 도는 등의 의식도 행해졌다.[109] 캐런 암스트롱은 카바가 공식적으로 나바테아 신 후발에게 봉헌되었고 1년의 날짜를 나타내는 360개의 우상을 포함하고 있었다고 주장한다.[111] 그러나 무함마드 시대에 이르러 카바는 최고신 알라의 성소로 숭배받는 것으로 보이며, 알라는 우상으로 표현되지 않았다.[110] 1년에 한 번, 아라비아 반도 전역의 부족들이 메카로 모여 ''하즈''를 수행했는데, 이는 알라가 유일신교도들이 숭배하는 동일한 신이라는 광범위한 신념이 있었음을 나타낸다.[111]

무함마드를 그린 그림 역시, 무함마드 개인에 대한 숭배를 배제하기 위해 얼굴 부분을 가리거나 공백으로 두는 경우가 많다.

3. 3. 인도 종교

인도 종교에서 무르티(산스크리트어) 또는 비그라하(산스크리트어)라고 불리는 형상 숭배가 언제 시작되었는지 정확한 시점은 학계의 의견이 분분하다.[114]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인더스 문명(기원전 2500년 - 1500년경) 시기에 이미 초기 형태의 형상이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파슈파티 봉인의 인물이나 춤추는 소녀 청동상 등이 그 예시로 거론되지만, 이것이 직접적인 숭배 대상이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114] 일각에서는 인더스 문명이 상징과 기호를 주로 사용했을 뿐, 형상 숭배는 하지 않았다고 보기도 한다.[114]

힌두교의 기원으로 여겨지는 베다 시대(기원전 1500년 - 500년경)의 역사적 베다 종교는 주로 불을 이용한 제사(호마)와 신들에 대한 찬가에 집중했기에 형상 숭배가 중심은 아니었다.[116][115] 그러나 샤타파타 브라흐마나나 아이타레야 브라흐마나 같은 일부 베다 경전에는 의식용 점토 또는 나무 형상 사용 기록이 나타나, 형상 숭배가 존재했음을 시사한다. 다만 널리 퍼진 형태는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114] 고대 인도 경전들은 존재의 본질, 명상, 브라만이나 슈냐타 같은 절대 실재에 대해 논하면서도 형상 사용은 거의 언급하지 않는다.[116][115] 막스 뮐러, 얀 곤다 등 여러 인도학자들은 고대 인도 종교 초기에는 신을 나타내는 형상이나 아이콘 사용 증거가 없다고 지적한다.[116][117]

형상 숭배는 후기 베다 시대(기원전 500년경 - 서기 300년)에 이르러 불교, 자이나교, 시바교, 바이슈나바교, 샥티교 등 다양한 종교 운동이 등장하면서 점차 두드러진 특징으로 자리 잡았다.[114] 이 시기부터 문헌과 고고학적 증거를 통해 형상 숭배가 확산되었음을 알 수 있다. 라마야나마하바라타 같은 서사시, 불교 경전 등에서도 형상 제작 및 숭배에 대한 언급이 나타나며,[114] 다양한 신과 성인의 모습을 담은 조각상들이 제작되기 시작했다.[114] 형상 사용은 이후 인도 종교 내에서 점진적으로 발전했으며,[116][117] 특히 서기 1세기경 불교에서 부처의 형상이 만들어지기 시작하면서 본격화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처럼 인도에서는 고대부터 다양한 종교들이 각자의 신학적 해석과 역사적 배경 속에서 형상 숭배에 대해 서로 다른 관점과 실천 방식을 발전시켜 왔다.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는 다양한 형태의 형상 숭배 전통을 가지고 있는 반면, 시크교는 원칙적으로 형상 숭배를 부정하는 등 각 종교별 구체적인 양상은 차이를 보인다.

3. 3. 1. 힌두교

힌두교에서 신상(아이콘, 이미지, 조각상)은 ''무르티'' 또는 ''프라티마''라고 불린다.[7][132] 바이슈나바교, 샤이바교, 샥티교, 스마르타교와 같은 주요 힌두교 전통은 ''무르티''(우상)의 사용을 선호한다. 이러한 전통들은 인간화 또는 비인간화된 아이콘을 통해 영성에 시간과 집중을 쏟는 것이 더 쉽다고 본다.

고대 인도 종교의 가장 오래된 형태는 우상을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힌두교로 이어지는 베다 문헌(기원전 1200년~기원전 200년 추정)은[116] 광범위하지만, 역사적 베다 종교 시기(기원전 500년까지)에는 우상 사용 증거가 거의 없다.[116][115] 베다 문헌에는 많은 신과 여신, 그리고 호마(불 제의)가 언급되지만, 형상이나 숭배에 대한 언급은 없다.[116][115] 인도학자들은 고대 인도 종교에서 "신을 나타내는 아이콘이나 형상에 대한 증거가 없다"고 지적한다.[116][117] 우상 사용은 이후 인도 종교에서 발전했는데,[116][117] 아마도 불교에서 처음 시작되었을 수 있으며, 서기 1세기경에 부처의 큰 형상이 나타났다. 후기 베다 시대(기원전 500년경 - 서기 300년)에 다양한 문헌 및 고고학적 증거를 통해 힌두교에서 무르티 숭배가 두드러진 특징으로 부상했다.[114] 예를 들어, 라마야나마하바라타에는 라마가 시바 링가를 숭배하거나 크리슈나비슈누의 이미지를 설치하는 등 무르티 숭배에 대한 언급이 있다.[114]

힌두교 경전인 ''바가바드 기타''의 12.5절에서는, 드러나지 않은 절대자(추상적인 무형의 브라만)를 숙고하고 이해하기는 극소수에게만 가능하며, 인간의 본성상 감각, 감정, 마음을 통해 신의 나타난 표현의 자질, 덕, 측면에 집중하는 것이 훨씬 더 쉽다고 설명한다.[133][134]

인도 종교 연구자인 지네안 포울러 교수에 따르면, 힌두교의 ''무르티''는 신 자체가 아니라 "신의 이미지"이며, 따라서 상징이자 표현이다.[7] 포울러는 ''무르티''가 무형의 절대자가 형태를 갖추어 나타난 것(현현)이라고 말한다.[7] 따라서 ''무르티''를 단순히 미신적인 우상으로 번역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마치 한 사람의 사진이 실제 그 사람이 아닌 것처럼, ''무르티''는 힌두교에서 이미지이지만 실제는 아니며, 두 경우 모두 이미지는 보는 사람에게 정서적이고 실제적인 가치가 있는 무언가를 떠올리게 한다.[7] 어떤 사람이 ''무르티''를 숭배할 때, 그것은 신의 본질이나 영의 현현으로 여겨지며, 숭배자의 영적인 생각과 필요가 그것을 통해 명상되지만, 힌두교에서 브라만이라고 불리는 궁극적 실재에 대한 생각은 그것에 국한되지 않는다.[7]

신과의 깊고 개인적인 사랑의 유대를 키우는 데 중점을 둔 헌신적인(''바크티 운동'') 수행은 하나 이상의 무르티를 사용하여 표현되고 촉진되며, 개인 또는 공동체 찬가, 자파 또는 노래(''바잔'', ''키르탄'', 또는 ''아라티'')를 포함한다. 특히 주요 사원에서의 경건 행위는 ''무르티''를 존경받는 손님의 현현으로 대하는 것을 기초로 하며,[9] 일상적인 일과에는 아침에 ''무르티''를 깨우고, "씻기고, 옷을 입히고, 화환을 걸어주는" 일이 포함될 수 있다.[135][136]

바이슈나바교에서 ''무르티''를 위한 사원 건립은 헌신의 행위로 여겨지지만, 무르티가 아닌 상징성도 흔하며, 여기에는 향기로운 툴시 식물이나 ''샬리그램''이 비슈누의 영성을 상징하는 무형의 상징으로 사용된다.[135] 힌두교의 샤이바교 전통에서 시바는 남성적 우상으로, 또는 반 남성 반 여성의 아르다나리슈바라 형태로, 무형의 링가-요니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무르티''와 관련된 숭배 의식은 사랑하는 손님을 위한 고대 문화 관행에 해당하며, ''무르티''는 환영받고, 보살핌을 받으며, 퇴장해 달라는 요청을 받는다.[137][138]

크리스토퍼 존 풀러는 힌두교의 이미지를 신과 동일시할 수 없으며, 숭배의 대상은 이미지 안에 있는 신성한 힘이며, 이미지는 숭배의 대상 자체가 아니라고 말하며, 힌두교인들은 모든 것이 신성한 에너지를 담고 있기 때문에 숭배할 가치가 있다고 믿는다.[139] 우상은 무작위적이거나 미신적인 물건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라, 이미지의 스타일, 비율, 색상, 이미지가 가지고 있는 물건의 특성, 그들의 ''무드라'' 및 신과 관련된 전설을 설정하는 내장된 상징성과 도상 규칙으로 설계되었다.[139][140][141] ''바스투수트라 우파니샤드''는 ''무르티'' 예술의 목표는 숭배자가 궁극의 최고 원리(브라만)를 묵상하도록 영감을 주는 것이라고 말한다.[141] 이 텍스트는 다음과 같이 덧붙인다:

: 이미지를 묵상하면 즐거움이 자라고, 즐거움에서 믿음이 자라며, 믿음에서 굳건한 헌신이 자라나, 그러한 헌신을 통해 모크샤로 가는 왕도인 더 높은 이해(''파라비디아'')가 생겨난다. 이미지의 지침이 없으면 숭배자의 마음이 잘못된 상상을 할 수 있다. 이미지는 잘못된 상상을 없앤다. (... ) 그것은 모든 창조된 것의 본질을 분별하는 힘을 가진 ''리쉬''(현자)의 마음 속에 나타난다. 그들은 그들의 다른 성격, 신성하고 악마적인 힘, 창조적이고 파괴적인 힘을 영원한 상호 작용으로 본다. 이 영원한 갈등 속에서 우주적인 힘의 거대한 드라마인 리쉬의 이러한 비전은 ''스타파카''(실핀, 무르티, 사원 예술가)가 그들의 작품의 주제를 그렸다.[142]

식민 시대 동안 창립된 아리아 사마지 및 사티야 마히마 다르마와 같은 일부 힌두교 운동은 우상 숭배를 거부한다.[143][144][145]

3. 3. 2. 불교

에릭 레인더스에 따르면, 불교 역사를 통틀어 성상(聖像, icon)과 우상 숭배는 필수적인 부분이었다.[119] 한국에서 베트남, 태국에서 티베트, 중앙아시아에서 남아시아에 이르기까지 불교 신자들은 오랫동안 사찰과 우상, 제단과 말라, 유물에서 부적, 이미지에서 의례적 도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것을 만들어냈다.[119][120][121] 부처의 이미지나 유물은 모든 불교 전통에서 발견되며, 티베트 불교와 같이 신과 여신이 등장하는 경우도 있다.[119][122]

박티(팔리어로는 ''Bhatti'')는 상좌부 불교에서 흔한 관행으로, 체티야(탑)와 특히 부처의 이미지에 공양과 단체 기도를 올린다.[123][124] 카렐 베르너는 박티가 상좌부 불교에서 중요한 관행이었음을 언급하며, "깊은 헌신 또는 ''박티 / 바티''가 불교에 존재했으며 초창기에 시작되었다는 데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말한다.[125]

불교 연구 교수인 피터 하비에 따르면, 부처 우상과 우상 숭배는 불교 실크로드 상인들과 함께 인도 아대륙 북서부(현재 파키스탄아프가니스탄)와 중앙아시아로 확산되었다.[128] 4세기에서 9세기까지 다양한 인도 왕조의 힌두교 통치자들은 불교와 힌두교를 모두 후원하여, 부처 우상이 있는 아잔타 석굴엘로라 석굴과 같은 불교 성상과 석굴 사원을 건설했다.[126][127][129] 하비는 10세기부터 무슬림 튀르크인들이 남아시아 북서부 지역을 습격하여 우상 숭배에 대한 종교적 혐오감 때문에 불교 우상을 파괴했다고 지적한다. 우상 파괴는 불교와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이 시대의 인도 이슬람 문헌에서는 모든 우상을 ''부처''라고 불렀다.[128] 게리 말란드라는 17세기까지 석굴 사원에서의 우상 훼손이 "힌두교와 불교 사당의 생생하고 의인화된 이미지"에 대한 불쾌감으로 계속되었다고 말한다.[129][130]

동아시아동남아시아에서는 성상과 성스러운 물건을 사용하여 불교 사원에서 예배를 드리는 것이 역사적으로 이루어졌다.[131] 예를 들어 일본 불교에서는 ''부쓰구''(仏具, 성스러운 물건)가 부처에 대한 예배(''구요'', 供養)에 필수적이었으며, 이러한 우상 숭배는 자신의 불성을 깨닫는 과정의 일부로 여겨졌다. 이 과정은 명상 이상으로, 전통적으로 불교 성직자들이 돕는 헌신적인 의식(''붓도'', 仏道)을 포함했다.[131] 이러한 관행은 한국중국에서도 발견된다.[121][131]

3. 3. 3. 자이나교

고마테스와라 바후발리 조각상 (자이나교)


자이나교의 여러 종파에서는 헌신적인 우상 숭배가 고대부터 널리 행해져 왔다. 학식이 풍부한 티르탕카라(''지나'')와 인간 ''구루''를 공물, 노래, 아라티 기도와 함께 숭배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146] 자이나교는 다른 주요 인도 종교들처럼 "모든 지식은 필연적으로 이미지를 통해 전달된다"는 믿음을 바탕으로 영적인 수행을 해왔다. 즉, 인간은 "이름, 이미지, 표현"을 통해 알아야 할 것을 발견하고 배우며 알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우상 숭배는 디감바라파와 스베탐바라파와 같은 자이나교의 주요 종파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148]

자이나교의 우상과 이미지에 대한 가장 오래된 고고학적 증거는 마투라 지역에서 발견되었으며, 이는 서기 1천년 전반기로 거슬러 올라간다.[147] 역사적으로 자이나교 승려들이 우상을 제작하고 봉헌했으며, 평신도들이 자이나교의 우상과 사원에 참여하는 것은 일반적인 관습이었다.[148]

그러나 모든 자이나교 종파가 우상 숭배를 했던 것은 아니다. 이슬람 통치 하에 성상 파괴가 행해지던 시기인 15세기에서 17세기 사이에 등장한 론카 종파는 전통적인 영성을 이어갔지만, 자이나교 예술, 이미지, 우상은 사용하지 않았다.[149]

3. 3. 4. 시크교

시크교는 일신교 인도 종교이며, 시크교 사원에는 신을 위한 우상과 성상이 없다.[150][151] 그러나 시크교는 신에 대한 헌신을 강력하게 장려한다.[152][153] 일부 학자들은 시크교를 인도 전통의 바크티 분파라고 부른다.[154][155]

시크교에서는 "니르구니 바크티"가 강조되는데, 이는 구나 (특성 또는 형태)가 없는 신에 대한 헌신을 의미한다.[155][156][157] 그러나 시크교의 경전은 또한 아디 그란트 287절에 명시된 바와 같이, 무형 (''니르구니'')과 형태 (''사구니'')를 가진 신의 표현을 받아들인다.[158][159] 시크교는 신처럼 형상이나 조각상을 숭배하는 것을 비난하지만,[160] 역사적으로 인도 이슬람 통치자들의 성상 파괴 정책과 힌두 사원 파괴 행위에 반대해 왔다.[161]

시크교는 경전을 보관하며, 구루 그란트 사히브를 시크교의 마지막 구루로 숭배한다.[162] 이는 시크교의 ''구르드와라'' (사원)에 설치되어 있으며, 많은 시크교 신자들은 구르드와라에 들어갈 때 그것 앞에서 허리를 굽히거나 엎드린다. 구루 그란트 사히브는 매일 아침 의례적으로 설치되고, 많은 ''구르드와라''에서 밤에는 잠자리에 들게 된다.[169][170][171]

다삼 그란트에서 구루 고빈드 싱은 그의 자파르나마 95행에서 "나는 우상 파괴자다"라고 썼다.[172]

3. 4. 중국 및 동아시아 전통

'우상'이라는 단어는 인형, 제물, 인간을 닮은 물건 등 여러 의미를 지니지만, 종교적 맥락에서는 주로 목재, , 금속 등 구체적인 물질로 만들어 숭배 대상으로 삼는 형상을 가리킨다.[227] '우상 숭배'라는 용어 자체는 특정 종교, 특히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에서 이러한 형상 숭배를 금지하거나 비판하는 입장에서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숭배의 대상이 되는 상은 해당 신앙 내에서는 신상이나 불상 등으로 불린다. 일부 종교적 관점에서는 이원론이나 다신교 신앙 자체를 우상 숭배로 간주하기도 하며, 특정 교파(예: 개신교 일부, 여호와의 증인)에서는 십자가에 대한 기도, 부적이나 특정 신체 부위 숭배, 심지어 장례식, , 유골 관련 의례까지 우상 숭배로 여기기도 한다.

동아시아 지역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숭배 대상과 관련 논의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일본의 산주산겐도와 같은 불교 사찰에는 후진이나 라이진과 같은 신토의 가미(신) 이미지가 함께 모셔져 있기도 하다.

일제 강점기 일본에서는 신사 참배 강요와 관련된 종교적 갈등이 있었다. 1932년 조치 대학의 일부 가톨릭 학생들이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거부한 조치대생 야스쿠니 신사 참배 거부 사건이 대표적이다. 이 사건으로 가톨릭 교회는 일본의 국체와 양립할 수 없는 사교라는 비난에 직면했고, 신자들은 매국노, 외국인 교사/선교사는 스파이라는 공격을 받았다. 결국 당시 가톨릭 지도부는 신앙보다 교회 조직 보호를 우선하여 "조국에 대한 신자의 의무"라는 지침을 발표하며 신사 참배를 사실상 용인했다. 이러한 과거의 결정은 오늘날 우상 숭배에 대한 타협이자 종교 탄압에 대한 동조였다는 비판적 성찰의 대상이 되고 있다.[236][237][238]

개신교 내에서도 신사 참배에 대한 입장은 갈렸다. 일본 기독교단 등 에큐메니즘 성향의 교파들은 비교적 관용적인 태도를 보이며 신사 참배, 궁성 요배, 국민 의례 등을 수용하기도 했다. 그러나 미노 미션이나 나카타 주지 감독 하의 홀리네스, 그리고 전후의 복음주의 진영 등은 이러한 행위가 성경에 위배되는 명백한 우상 숭배라며 강력히 거부하고 금지했다.[239][240][241][242][243][244] 일본 기독교 개혁파 교회의 도키와 다카오키는 일본 기독교단 결성식에서의 궁성 요배를 "우상 숭배이며 하나님에 대한 죽을 죄"라고 비판했으며, 개혁파 교회는 1951년 대회에서 신사, 가미다나, 불단 등 어떤 종교적 대상에도 경의를 표하지 않겠다고 결의했다.[245] 일부에서는 당시 일본 교회가 신사 참배 문제에 명확히 대처하지 못한 이유로 구약 성경 지식 부족[246][247], 자유주의 신학과 고등 비평으로 인한 신앙 약화, 간이 신조주의적 경향[245] 등을 지적하기도 한다. 1959년 일본 선교 백주년 기념 성서 신앙 운동 대회에서 복음주의 교회들은 과거 우상 숭배에 타협했던 죄를 공식적으로 회개하고 고백했다.

한편, 현대 동아시아에서는 북한의 사례가 주목받는다. 김일성은 북한 주민들 사이에서 자신에 대한 개인 숭배를 강력하게 제도화했는데, 이는 현대 국가가 통치자를 신격화한 거의 유일한 사례로 평가된다.[173][174][175] 많은 주민들이 그의 동상과 초상화 앞에서 정기적으로 절을 하는 등, 주체사상에 기반한 북한의 통치 체제는 종종 우상 숭배의 한 형태로 간주된다.[176][177][178]

3. 5. 기타 지역의 전통 종교

아프리카 대륙에는 수많은 민족 집단이 존재하며, 이들의 다양한 종교적 개념은 아프리카 전통 종교(ATR)로 통칭되기도 한다. 이 종교들은 일반적으로 지역마다 다른 이름으로 불리는 최고신, 조상과 연결된 영적인 세계, 그리고 점을 통해 얻는 신비로운 힘에 대한 믿음을 공유한다.[179] 우상과 그 숭배는 이러한 아프리카 전통 종교의 세 가지 요소 모두와 관련되어 왔다.[180]

J.O. 아월랄루에 따르면, 기독교나 이슬람으로 개종시키려던 외부인들은 아프리카의 상징물들을 단순히 거짓 신을 형상화한 우상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실제 아프리카의 여러 전통에서 나무, 쇠, 돌 등으로 만들어진 대상들은 "숭배되는 영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상징"으로서의 의미를 지닌다.[181] 즉, 물질적인 상징물 자체는 파괴될 수 있지만, 그것이 나타내는 영적인 개념은 아프리카 전통 신앙인들의 마음속에 변함없이 남아 있다는 것이다.[181] 종교학자 실베스터 존슨 역시 이러한 견해에 동의하며, 식민지 시대에 아프리카에 도착한 선교사들이 현지 언어나 신학을 이해하지 못한 채, 자신들의 문화적 배경(특히 유럽의 성상 파괴 논쟁)을 아프리카의 종교적 이미지와 의례에 투영하여 이를 "우상 숭배의 전형"으로 잘못 해석했다고 지적한다.[182]

이슬람교가 전파되고 이후 기독교 식민주의가 확산되면서, 아프리카 전통 종교는 오랜 기간 종교적 불관용과 폭력에 시달렸다. 외부 종교 세력은 아프리카의 종교적 상징물 사용을 야만성의 증거로 규정하고, 이를 종교적으로 정당화된 전쟁의 명분으로 삼았다. 우상을 파괴하고, 이를 숭배하는 사람들을 노예로 삼는 행위는 아프리카 전통 종교인에 대한 비하적인 인식을 강화하고 폭력을 정당화하는 수단이 되었다.[183][184][185] 이러한 우상 숭배자에 대한 폭력은 중세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지속되었다.[186][187][188] 마이클 웨인 콜과 레베카 조라치 등 학자들은 이러한 우상 숭배 혐의가 아프리카 원주민을 악마화하고 비인간화하여, 그들을 노예로 삼고 착취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데 기여했다고 분석한다.[189][190]



아메리카 원주민의 전통 종교에서도 조각상, 이미지, 사원 등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201][192][193] 특히 잉카, 마야, 아즈텍 문명은 우상과 종교 예술을 포함한 정교한 종교 체계를 발전시켰다.[193] 예를 들어, 잉카 문화는 창조신인 ''Viracocha''(또는 ''Pachacutec'')와 태양신 ''Inti'', 바다와 물의 여신 ''Mama Cocha'' 등을 숭배했다.[194][195][196]



마야 문화에서는 ''Kukulkan''이 최고 창조신이자 환생, 물, 다산, 바람의 신으로 숭배받았다.[199] 마야인들은 봄 춘분 때 태양의 위치에 맞춰 ''Kukulkan''을 기리는 계단식 피라미드 사원을 건설하기도 했다.[198] 마야 유적에서는 비의 신 ''Xib Chac''과 땅, 직조, 임신과 관련된 여신 ''Ixchel'' 등 다른 신들의 형상도 발견된다.[198] 아즈텍 문화에서는 ''Kulkulkan''과 유사한 신으로 ''Quetzalcoatl''을 숭배했다.[199]

스페인식민지 시대가 시작되면서 아메리카 대륙에 들어온 가톨릭 선교사들은 토착 종교의 우상 숭배를 용납하지 않았다. 그들은 예수와 마리아의 성화상으로 토착 신앙의 상징물들을 대체하고자 했다.[93][200][201] 예를 들어, 아즈텍인들은 자신들의 종교와 역사를 기록으로 남겼지만, 스페인 식민주의자들은 우상 숭배를 근절하고 가톨릭으로 개종시키려는 목적으로 이러한 기록들을 상당수 파괴했다. 그러나 아즈텍 원주민들은 십자가 아래에 자신들의 우상을 숨겨두고 함께 숭배하는 등 혼합주의적인 방식으로 전통 신앙과 의례를 이어나갔다.[202]

잉카인들 역시 스페인 식민 지배 하에서 강요된 가톨릭 신앙 속에서 혼합주의를 통해 자신들의 전통 신앙을 유지했다. 그들은 기독교의 신과 가르침을 받아들이면서도 기존의 신앙 체계와 관습을 그 안에 융합시켰다.[203][204][205] 태양신 ''Inti''는 기독교의 신과 동일시되기도 했지만, 잉카 신들을 중심으로 한 안데스 지역의 전통 의식은 계속 유지되어 현대까지 이어지고 있다.[205][206]

폴리네시아인들은 태평양 전역에 걸쳐 다양한 다신교 신학을 발전시켰다. 이들은 나무로 우상을 만들어 숭배 의식에 사용했다.[207][208] 런던 선교 협회 소속의 존 윌리엄스와 같은 기독교 선교사들은 이러한 행위를 폴리네시아인들이 거짓 신을 숭배하는 우상 숭배로 규정했다. 이들 선교사들은 본국에 보내는 보고서에서 실제적인 개종자의 수보다는 "이교 우상 숭배의 타도"를 강조하며 자신들의 활동 성과를 부각하는 경향을 보였다.[209][210]

4. 종교적 관용과 불관용

우상이나 형상에 대한 평가는 주관적인 해석의 문제에 가깝다.[59] 어떤 종교의 상징은 "참되고 신성한 것"으로 여겨지는 반면, 다른 종교의 상징은 "거짓되고 미신적인 것"으로 비난받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객관적인 진실이라기보다는 각자의 관점에 따른 해석일 수 있다.[59]

일부 현대 학자들, 예를 들어 레지나 슈워츠는 우상 숭배에 대한 비판과 그에 따른 우상 파괴 행위가 실제로는 종교적 불관용의 한 형태라고 주장한다.[224][225] 이들은 우상을 단순히 '거짓 신'으로 규정하고 파괴하는 행위가 다른 신앙 체계에 대한 존중 부족에서 비롯된다고 본다.

스코틀랜드 계몽주의 철학자 데이비드 흄은 그의 저서 ''자연 종교에 관한 대화''(1779)에서 다신교에서의 다양한 신들과 우상 숭배가 오히려 종교 다원주의와 관용의 기반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226] 여러 신과 다양한 신성의 표현을 인정하는 것은 다른 믿음에 대한 수용적인 태도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 흄은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에서 나타나는 일신교는 배타적인 경향이 있으며, 때로는 표현의 자유를 제한하고 강제 개종 등을 통해 자신들의 신앙을 강요하려는 모습을 보인다고 지적했다.[226]

참조

[1] 논문 American Idol(atry): A Religious Profanation
[2] 서적 Iconoclasm and Iconoclash, Chapter 6. Idolatry and the Mirror: Iconoclasm As A Prerequisite For Inter-Human Relations BRILL Academic
[3] 서적 L'imaginaire du démoniaque dans la Septante: Une analyse comparée de la notion de "démon" dans la Septante et dans la Bible Hébraïque Brill Publishers
[4] 논문 Smashing Idols: A Paradoxical Semiotics https://iris.unito.i[...]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1-07-28
[5] 서적 Merriam-Webster's Encyclopedia of World Religions https://archive.org/[...] Merriam-Webster
[6] 백과사전 The Brill Dictionary of Religion Brill Publishers
[7] 서적 Hinduism: Beliefs and Practices Sussex Academic Press
[8] 서적 A Survey of Hinduism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9] 서적 Gale Encyclopedia of Religion Thomson Gale
[10] 서적 Love Divine: Studies in Bhakti and Devotional Mysticism Routledge
[10] 서적 Jains in the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11] 서적 Idolatry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12] 백과사전 Polytheism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20-11-10
[13] 웹사이트 Aniconism https://www.britanni[...]
[14] 서적 Iconoclasm from Antiquity to Modernity https://books.google[...] Ashgate
[15] 서적 Iconoclasm and Iconoclash: Struggle for Religious Identity https://books.google[...] BRILL Academic
[16] 서적 Al-Hind the Making of the Indo-Islamic World https://books.google[...] BRILL Academic
[17] 서적 The Legend of Sergius Bahira: Eastern Christian Apologetics and Apocalyptic in Response to Islam https://books.google[...] BRILL Academic
[18] 서적 Conservative Islam: A Cultural Anthropolog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19] 서적 The Concise Oxford Dictionary of World Religions Oxford University Press
[20] 웹사이트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21] 서적 An American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https://books.google[...] BL Hamlen
[22] 서적 Jewish Identity in Early Rabbinic Writings https://archive.org/[...] BRILL 2013-10-18
[23] 백과사전
[24] 웹사이트 idolism https://www.merriam-[...]
[24] 서적 African Religion Defined: A Systematic Study of Ancestor Worship among the Aka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5] 웹사이트 iconolatry https://www.merriam-[...]
[25] 서적 Dictionary of philosophical terms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6] 서적 Steward of God's Covenant: Selected Writings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27] 간행물 The Cave Art Debate http://www.smithsoni[...] 2012-03
[28] 서적 Interpreting Ancient Figurines: Context, Comparison, and Prehistoric Ar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 웹사이트 Seated Male in Namaskar pose http://nationalmuseu[...]
[29] 서적 Indus Script Cipher: Hieroglyphs of Indian Linguistic Area Motilal Banarsidass
[30] 논문 A Prehistoric Figurine from Mycenae https://www.jstor.or[...]
[31] 논문 DIE RELIGIÖSE BEDEUTUNG DER KYKLADENIDOLE https://www.jstor.or[...]
[32] 서적 Who Holds the Moral High Ground? https://books.google[...] Societas Imprint Academic
[33] 서적 Moses and Multiculturalis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4] 서적 Idols of the People: Miniature Images of Clay in the Ancient Near Eas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5] 서적 Encyclopedia of Indo-European Cul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36] 서적 The Mythical Zoo: An Encyclopedia of Animals in World Myth, Legend, and Literature https://books.google[...] ABC-CLIO
[37] 서적 Encyclopedia of Indo-European Cul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38] 서적 Irish Druids and Old Irish Religions https://archive.org/[...] Griffith, Farran
[39] 서적 Moses and Multiculturalis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0] 서적 A Companion to the Archaeology of Religion in the Ancient World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41] 서적 The Philosophical Life https://books.google[...]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42]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Jung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3] 서적 New Idols of the Cave: On the Limits of Anti-realism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44] 서적 Ancient Greek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Wiley
[45] 서적 The Church in the Shadow of the Mosque: Christians and Muslims in the World of Islam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46] 논문 Islam, iconoclasm, and the declaration of doctrine
[47] 웹사이트 UBA: Rosenthaliana 1768 http://cf.uba.uva.nl[...] 2012-04-26
[48] 서적 Proceedings of the Academy for Jewish Philosoph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49] 서적 Leo Strauss and Judaism: Jerusalem and Athens Critically Revisited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50] 서적 Arthur Green: Hasidism for Tomorrow https://books.google[...] BRILL Academic
[51] 서적 Wiles of Women/The Wiles of Men, The: Joseph and Potiphar's Wife in Ancient Near Eastern, Jewish, and Islamic Folklore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52] 서적 Heavenly Torah: As Refracted Through the Generation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53] 서적 Making Europe: People, Politics, and Culture, Volume I: To 1790 https://books.google[...] Cengage
[54] 서적 Archaeology and World Relig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55] 서적 God versus Gods: Judaism in the Age of Idolatry https://books.google[...] Mosaica Press
[56] 간행물 Judean pillar figurines: a study http://hdl.handle.ne[...] Towson University 2011
[57] 서적 The Sense of Sight in Rabbinic Cultu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08-29
[58] 서적 Judaism in Practice: From the Middle Ages Through the Early Modern Period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59] 논문 Good Jews Don't: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Constructions of Idolatry http://escholarship.[...]
[60] 서적 What the Bible Really Tells Us: The Essential Guide to Biblical Literac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61] 서적 The Shaw's Revised King James Holy Bible https://books.google[...] Trafford Publishing
[62] 서적 Encyclopedia of Catholicism https://books.google[...] Infobase
[63] 서적 Idolatry and Representation: The Philosophy of Franz Rosenzweig Reconsidered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64] 서적 Gothic Arches, Latin Crosses: Anti-Catholicism and American Church Designs in the Nine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65] 서적 Idolatry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66] 서적 The Practice of Idolatry https://books.google[...] Taylor & Taylor
[67] 서적 America's Rome: Catholic and contemporary Rome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68] 서적 Byzantine Iconoclasm During the Reign of Leo III: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 Oriental Sources https://books.google[...] Corpus scriptorum Christianorum Orientalium: Subsidia
[69] 서적 St. John Damascene on Holy Images: (pros Tous Diaballontas Tas Agias Eikonas) https://books.google[...] T. Baker
[70] 서적 A New History of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Abingdon
[71] 서적 I Am with You Always: A Study of the History and Meaning of Personal Devotion to Jesus Christ for Catholic, Orthodox, and Protestant Christians https://books.google[...] Ignatius
[72] 서적 St. John the Divine: The Deified Evangelist in Medieval Art and Theolog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3] 서적 The Future of Protestant Worship: Beyond the Worship Wars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74] 서적 Mores Catholici : Or Ages of Faith https://books.google[...] Catholic Society
[75] 서적 History of Art: The Western Tradition https://books.google[...] Prentice Hall
[76] 서적 The Religious Paintings of Hendrick Ter Brugghen: Reinventing Christian Painting After the Reformation in Utrecht https://books.google[...] Ashgate
[77] 서적 Images in Catholicism ...idolatry?: Discourse on the First Commandment With Biblical Citations https://books.google[...] St. Paul Press
[78] 서적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 Paragraph # 2132 http://www.scborrome[...] 2021-05-26
[79] 서적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Geoffrey Chapman
[80] 서적 The Queen of Heaven: Màmma Schiavona (the Black Mother), the Madonna of the Pignasecea: a Delineation of the Great Idolatry https://books.google[...]
[81] 서적 Medieval Conduc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82] 서적 The Incarnate Word: The Collected Works of Bernard Lonergan, Volume 8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83] 서적 England warned and counselled; 4 lectures on popery and tractarianism https://archive.org/[...] James Nisbet
[84] 서적 Walsingham and the English Imagination https://books.google[...] Ashgate
[85] 서적 The Holy Orthodox Church: Or, The Ritual, Services and Sacraments of the Eastern Apostolic (Greek-Russian) Church https://books.google[...] American Review of Eastern Orthodoxy
[86] 서적 Functions of Literature https://books.google[...] Niemeyer
[87] 서적 Images of the Divine: The Theology of Icons at the Seventh Ecumenical Council https://books.google[...] Brill Academic
[88] 서적 Satanic Christianity and the Creation of the Seventh Day https://books.google[...] Dorrance
[89] 간행물 Islam, Judeo-Christianity and Byzantine Iconoclasm
[90] 서적 Jesus in History, Thought, and Culture: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91] 서적 Catholic and Reformed: The Roman and Protestant Churches in English Protestant Though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2] 서적 The Politics of Iconoclasm: Religion, Violence and the Culture of Image-Breaking in Christianity and Islam https://books.google[...] Tauris
[93] 서적 War Against the Idols: The Reformation of Worship from Erasmus to Calvi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4] 서적 Puritanism in north-west England: a regional study of the diocese of Chester to 1642 https://archive.org/[...] Manchester University Press
[95] 서적 The Witches' Sabbath: An Exploration of History, Folklore & Modern Practice https://books.google[...] Llewellyn Worldwide, Limited 2023-03-14
[96] 서적 Idolatry and Representation: The Philosophy of Franz Rosenzweig Reconsidered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97] 웹사이트 Introduction - Masechet Avodah Zarah http://www.ou.org/ou[...] 2013-05-31
[98] 웹사이트 Shirk
[99] 논문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Kufr in the Qur'ān
[100] 서적 Encyclopedia of Islam https://books.google[...] Infobase
[101] 서적 The Idea of Idolatry and the Emergence of Islam: From Polemic to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2] 서적 Jihad: The Origin of Holy War in Islam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03] 서적 A History of Christian-Muslim Relation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104] 서적 The Qur'an: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105] 문서
[106] 서적 Fundamentals of Islamic thought: God, man, and the universe Mizan Press 1985
[107] 서적 Force and Fanaticism: Wahhabism in Saudi Arabia and Beyon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08] 서적 The Idea of Idolatry and the Emergence of Islam: From Polemic to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9] 서적 Ibn Ishaq's Sirat Rasul Allah – The Life of Muhammad Translated by A. Guillaum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55
[110] 웹사이트 Allah – Oxford Islamic Studies Online http://www.oxfordisl[...] 2018-08-25
[111] 서적 Islam: A Short History Random House Publishing 2002
[112] 서적 Ibn Ishaq's Sirat Rasul Allah – The Life of Muhammad Translated by A. Guillaume. ''The text reads "O God, do not be afraid", the second footnote reads "The feminine form indicates the Ka'ba itself is addressed"''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55
[113] 서적 Arabia and Ethiopia. In The Oxford Handbook of Late Antiquity https://books.google[...] OUP USA
[114] 뉴스 Why India Is A Land Of Murti And Vigraha And Not Idols And Idolators As Perceived By The West https://www.oneindia[...] 2023-09-27
[115] 서적 Homa Variations: The Study of Ritual Change Across the Longue Duré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16] 서적 Hindu Iconoclasts: Rammohun Roy, Dayananda Sarasvati, and Nineteenth-Century Polemics against Idolatry https://books.google[...] Wilfrid Laurier University Press
[117] 서적 The Ravenous Hyenas and the Wounded Sun: Myth and Ritual in Ancient India Cornell University Press
[118] 서적 Problems and Perspectives in Religious Discourse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19] 서적 Anthropology and Aesthetics, Volume 48: Autumn 2005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20] 논문 Tathāgatagarbha Thought: A Basis of Buddhist Devotionalism in East Asia https://www.jstor.or[...]
[121] 논문 Devotionalism Reclaimed: Re-mapping Sacred Geography in Contemporary Korean Buddhism https://www.jstor.or[...]
[122] 논문 Lay and Monastic Forms of Pure Land Devotionalism: Typology and History https://www.jstor.or[...]
[123] 서적 Buddhism in the Modern World: Adaptations of an Ancient Tra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24] 서적 The Bloomsbury Companion to Hindu Studies Bloomsbury
[125] 서적 Love Divine: Studies in Bhakti and Devotional Mysticism Routledge
[126] 서적 Beyond Enlightenment: Buddhism, Religion, Modernity https://books.google[...] Routledge
[127] 서적 Ajanta: History and Development Volume 5: Cave by Cave https://books.google[...] Brill Academic
[128] 서적 An Introduction to Buddhism: Teachings, History and Practic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9] 서적 Unfolding A Mandala: The Buddhist Cave Temples at Ellora https://archive.org/[...]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30] 서적 Asia and Oceania: International Dictionary of Historic Plac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131] 서적 Buddhism and Iconoclasm in East Asia: A History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132] 백과사전 pratima (Hinduism) https://www.britanni[...] 2011-08-21
[133] 서적 Integral Psychology: Yoga, Growth, and Opening the Heart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34] 웹사이트 Bhagavad-Gita: Chapter 12, Verse 5 http://www.bhagavad-[...]
[135] 서적 Hinduism: A Beginner's Guide, 2nd Edition OneWorld Publications
[136] 서적 The Camphor Flame: Popular Hinduism and Society in India Princeton University Press
[137] 서적 The Archaeology of Hindu Ritual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8] 간행물 "Indische Wörter und Sitten," in Kleine Schriften Wiesbaden
[139] 서적 The Camphor Flame: Popular Hinduism and Society in India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40] 학위논문 A summary of the Mānsāra, a treatise on architecture and cognate subjects BRILL
[141] 서적 Vāstusūtra Upaniṣad Motilal Banarsidass
[142] 서적 Vāstusūtra Upaniṣad Motilal Banarsidass
[143] 서적 The Arya Samaj Movement in South Africa Motilal Banarsidass
[144] 서적 Swami Dayānanda Sarasvatī Sumit Publications
[145] 간행물 Mahima Dharma, Bhima Bhoi and Biswanathbaba http://orissagov.nic[...]
[146] 서적 Jains in the World : Religious Values and Ideology in India Oxford University Press
[147] 서적 The Jains, 2nd Edi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148] 서적 Framing the Jina: Narratives of Icons and Idols in Jain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49] 서적 Cultural and Religious Heritage of India: Jainism https://books.google[...] Mittal
[150] 서적 Sikhism and Christianity: A Comparative Study (Themes in Comparative Religion) Palgrave Macmillan
[151]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Global Religions Oxford University Press
[152] 서적 Japji: The Path of Devotional Meditation
[153] 서적 The Encyclopedia of Sikhism Hemkunt Press
[154] 서적 A Popular Dictionary of Sikhism: Sikh Religion and Philosophy Routledge
[155] 서적 Bhakti Religion in North India: Community Identity and Political Ac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56] 서적 in The Oxford Handbook of Sikh Studies Oxford University Press
[157] 서적 Time and religion-making in modern Sikhism, in ''Time, History and the Religious Imaginary in South Asia'' Routledge
[158] 서적 Comparative Religious And Philosophies : Anthropomorphism And Divinity Atlantic
[159] 서적 Sikhism and Christianity: A Comparative Study https://books.google[...] Springer
[160] 서적 Sikhism and Christianity: A Comparative Study https://books.google[...] Springer
[161] 서적 The Mughal Empi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2] 서적 Sikhism, Atlas of World Faiths
[163] 서적 The Grace of Playing: Pedagogies for Leaning into God's New Creation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164] 서적 Encyclopedia of Occultism & Parapsychology: A-L https://books.google[...] Gale
[165] 서적 La Nativité et le temps de Noël: XVIIe-XXe siècle https://books.google[...] Publ. de l'Université de Provence
[166] 논문 Creating Selves: An Interdisciplinary Exploration of Self and Creativity in African American Religion https://scholarship.[...] Rice University
[167] 논문 Review: La Nativité et le temps de Noël, XVIIe-XXe siècle
[168] 서적 Ambiguous Gender in Early Modern Spain and Portugal: Inquisitors, Doctors and the Transgression of Gender Norms https://books.google[...] BRILL Academic
[169] 서적 The Sikhs: Their Religious Beliefs and Practices Sussex Academic Press
[170] 서적 Religion, War, and Ethics: A Sourcebook of Textual Tradi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1] 서적 The Growth of Religious Diversity: Traditions https://books.google[...] Routledge
[172] 웹사이트 Shabad the Lord is One and His Word is True.. ਵਾਹਿਗੁਰੂ ਜੀ ਕੀ ਫ਼ਤਹ ॥ - SikhiToTheMax https://www.sikhitot[...]
[173] 서적 Prospect Theory and Foreign Policy Analysis in the Asia Pacific: Rational Leaders and Risky Behavior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3-02-12
[174] 서적 The Sun Tyrant: A Nightmare Called North Korea https://books.google[...] Biteback Publishing 2023-02-13
[175] 서적 Vantage Point https://books.google[...] Naewoe Press 2023-02-13
[176] 서적 Rogue Regime: Kim Jong Il and the Looming Threat of North Kore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3-02-17
[177] 서적 North Korean Human Rights: Activists and Network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02-17
[178] 서적 North Korea, Undermining the Truce https://books.google[...] Institute for the Study of Conflict 2023-02-17
[179] 서적 African Traditional Religion in Biblic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East African Publishers
[180] 서적 African Traditional Religion in Biblic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East African Publishers
[181] 서적 What is African Traditional Religion?
[182] 서적 African American Religions, 1500–2000: Colonialism, Democracy, and Freedom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3] 간행물 Theology, Ethnography, and the Historicization of Idolatry
[184] 간행물 Religious Movements and Politics in Sub-Saharan Africa
[185] 서적 Islam and Tribal Art in West Afric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6] 간행물 Jihād fī Sabīl Allāh—its Doctrinal Basis in Islam and some Aspects of its Evolution in Nineteenth-Century West Africa
[187] 서적 Jihad: The Origin of Holy War in Islam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88] 서적 Holy War, Holy Peac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89] 서적 The Idol in the Age of Art: Objects, Devotions and the Early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Ashgate
[190] 서적 The Encyclopedia of Caribbean Religion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1] 서적 Mythology: Myths, Legends and Fantasies https://books.google[...] Struik Publishers
[192] 서적 Conflict in the Early Americas: An Encyclopedia of the Spanish Empire's Aztec, Incan, and Mayan Conquests https://books.google[...] ABC-CLIO
[193] 서적 The Idol in the Age of Art: Objects, Devotions and the Early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Ashgate
[194] 서적 Ancient Inc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5] 서적 Gods, Goddesses, and Mythology https://archive.org/[...] Marshall Cavendish
[196] 서적 Incan Mythology and Other Myths of the Andes https://books.google[...] The Rosen Publishing Group
[197] 서적 The Aztec Image in Western Thought https://books.google[...] Rutgers University Press
[198] 서적 Gods, Goddesses, and Mythology https://archive.org/[...] Marshall Cavendish
[199] 서적 Gods, Goddesses, and Mythology https://archive.org/[...] Marshall Cavendish
[200] 서적 The Encyclopedia of Caribbean Religion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13-04-30
[201] 서적 Practicing Catholic: Ritual, Body, and Contestation in Catholic Faith https://books.google[...] Springer
[202] 서적 Handbook to Life in the Aztec Worl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3] 서적 Religion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ABC-CLIO
[204] 서적 A History of Christianity in Asia, Africa, and Latin America, 1450-1990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05] 서적 Ethnoarchaeology of Andean South America: Contributions to Archaeological Method and Theory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6]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Archaeolog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7] 서적 Religion and Social Organization in Central Polynes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8] 서적 Religion and Social Organization in Central Polynes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9] 서적 Pacific Encounters: Art & Divinity in Polynesia, 1760–186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10] 서적 Abolition of Idolatry in Polynesia https://books.google[...] Society for the Advancement of Civilization
[211] 백과사전 Idol-Worship https://www.jewishen[...] Kopelman Foundation 2021-04-18
[212] 백과사전 Idol, Idolatry Brill Publishers
[213] 서적 The "God of Israel" in History and Tradition Brill Publishers
[214] 서적 Dictionary of Deities and Demons in the Bible Brill Publishers
[215] 서적 Eerdmans Dictionary of the Bible Wm. B. Eerdmans
[216]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Ancient Mediterranean Relig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7] 서적 Eerdmans Dictionary of the Bible Wm. B. Eerdmans
[218] 서적 The Origins of Biblical Monotheism: Israel's Polytheistic Background and the Ugaritic Texts Oxford University Press
[219] 서적 The Triumph of Elohim: From Yahwisms to Judaisms Peeters Publishers
[220] 백과사전 Polytheism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20-11-10
[221] 서적 Introduction to the Bible Yale University Press
[222] 서적 The Glory of God in the Face of Jesus Christ: Deification of Jesus in Early Christian Discourse Brill Publishers
[223] 서적 Celtic Wicca: Ancient Wisdom for the 21st Century https://books.google[...] Kensington Publishing Corporation 2023-02-28
[224] 서적 Loving Justice, Living Shakespear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25] 서적 Idol Anxiety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26] 서적 Monotheism and Violence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27] 서적 広辞苑 岩波書店
[228] 서적 日本国語大辞典 小学館
[229] 성경 出エジプト記(口語訳)#32:27-28
[230] 성경 歴代志下(口語訳)#34:1-7
[231] 성경 イザヤ書(口語訳)#42:8
[232] 성경 イザヤ書(文語訳)#42:8
[233] 서적 ガラテヤの諸教会への手紙
[234] 웹사이트 The Martyrdom of Polycarp: The contemporary account of his death in the letter to the Smyrnaeans. http://www.newadvent[...]
[235] 서적 ヨハネが受けたキリストの啓示(黙示録) 羊群社
[236] 서적 カトリック教会の戦争責任 サンパウロ
[237] 간행물 ひびき-非暴力による平和への道 カリタス・ジャパン 2006
[238] 서적 それでも主の民として いのちのことば社
[239] 문서 神社参拝拒否事件記録 美濃ミッション
[240] 서적 日本プロテスタント教会史 聖恵授産所出版
[241] 서적 教会成長シンポジウム 新生運動
[242] 서적 今も生きておられる神 プレイズ出版
[243] 서적 信仰生活の手引き いのちのことば社
[244] 서적 千代に至る祝福 CLC出版
[245] 서적 天皇制とキリスト教 燦葉出版社
[246] 서적 中央神学校の回想-日本プロテスタント史の一資料として 中央神学校史編集委員会
[247] 서적 日本における福音派の歴史 いのちのことば社
[248] 문서 通俗正教教話
[249] 문서 アッラーフは精神だけの存在なので、いつ、どこであってもその場にいる
[250] 웹사이트 Forgiveness for Shirk - Islamweb - Fatwas https://www.islamweb[...] 2021-01-31
[251] 서적 What the Bible Really Tells Us: The Essential Guide to Biblical Literac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