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남아시아의 역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남아시아의 역사는 선사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기를 거치며 발전해 왔다. 이 지역은 호모 에렉투스의 거주지였으며, 호아빈 문화를 통해 신석기 시대의 특징을 보여주었다. 기원전 500년경에는 농업 왕국이 등장했고,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의 해상 무역 네트워크가 발달했다. 이후 힌두교와 불교가 전파되었고, 스리비자야, 크메르 제국, 마자파힛 등 다양한 왕국들이 번성했다. 13세기에는 이슬람교가 전파되었고, 유럽의 식민 지배가 시작되면서 변화를 겪었다. 20세기에는 일본의 침략과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탈식민화 과정을 거쳐 독립 국가들이 수립되었다. 현재 동남아시아는 경제 성장과 지역 통합을 이루며,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을 중심으로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아의 역사 - 연호
    연호는 군주의 권위와 통치권을 상징하며, 군주의 즉위와 함께 사용되는 칭호로, 고대 중국에서 시작되어 동아시아 국가들에 영향을 주었고, 현대에는 일본, 중화민국, 북한 등에서 사용된다.
  • 아시아의 역사 - 필리핀의 역사
    필리핀의 역사는 최소 70만 년 전 인류 거주 흔적부터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이주, 인도 문화 영향으로 형성된 왕국, 스페인과 미국의 식민 지배, 그리고 1946년 독립 후 민주주의 국가로서 발전과 여러 도전에 직면한 현대까지를 포괄한다.
  • 동남아시아의 역사 - 믈라유 왕국
    믈라유 왕국은 수마트라에 존재했던 고대 왕국으로, 다양한 어원에서 기원한 '멜라유' 또는 '말레이'라는 명칭으로 불렸으며, 스리비자야의 중심지로서 전성기를 누렸으나 마자파히트 왕국에 정복된 후 마지막 왕자가 말라카 술탄국을 건국했다.
  • 동남아시아의 역사 - 야마시타 도모유키
    일본 제국 육군 대장 야마시타 도모유키는 말레이 작전 지휘로 "말레이의 호랑이"라는 명성을 얻었으나, 종전 후 전쟁 범죄 혐의로 사형당했고, 그의 재판은 지휘 책임에 대한 논쟁과 '야마시타 기준'이라는 법적 선례를 남겼다.
동남아시아의 역사

2. 명칭

동남아시아를 지칭하는 고대 명칭은 다양하지만, 지리적으로 정확히 일치하는 것은 없다. 인도의 전통에서는 수바르나부미 또는 소반나품(황금의 땅)과 수바르나드비파(황금의 섬), 아라비아와 페르시아에서는 "바람 아래의 땅"[17], 중국에서는 난양(南洋, 남쪽 바다), 일본에서는 난요(南洋)라고 불렀다.[18] 알렉산드리아 출신 프톨레마이오스가 제작한 2세기 세계 지도에는 말레이 반도가 ''Chersonesus Aurea'' (Chersonesus Aurea|황금 반도영어)로 표기되어 있다.[19]

프톨레마이오스의 세계 지도에 나타난 아시아 상세도. 갠지스 만 좌측, 동남아시아 반도 중앙에 "Avrea Chersonesvs"로 표기, 중국해 우측에 "Sinae"(중국) 표기.


"동남아시아"라는 용어는 1839년 미국 목사 하워드 맬컴이 그의 저서 ''동남아시아 여행기''에서 처음 사용했다. 맬컴은 동남아시아의 정의에서 육지 지역만을 포함시키고 해양 지역은 제외했다.[20] 이 용어는 1941년부터 1945년까지 태평양 전쟁의 태평양 전선에서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 병력의 작전 구역(동남아시아 사령부, SEAC)을 지정하기 위해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21]

3. 선사 시대

동남아시아의 선사 시대는 크게 구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 청동기 시대로 구분된다.

=== 구석기 시대 ===

이 지역은 약 150만 년 전 중기 홍적세 시대부터 ''호모 에렉투스''가 거주했다.[22] 인도네시아, 중국 남부, 필리핀, 스리랑카, 캄보디아[23], 말레이시아[24] 등지에서 발견된 석기 및 화석을 통해 ''호모 에렉투스''의 이주 경로와 존재 시기를 추정할 수 있다. 자바 원인(''호모 에렉투스 에렉투스'')과 ''호모 플로레시엔시스''는 오랫동안 고립되어 종의 다양성을 보였다. 보르네오에서는 4만 년 전 동굴 벽화가 발견되었으며,[25] ''호모 플로레시엔시스''는 5만 년 전까지 생존하다 멸종했다.[26]

기원전 7만 년에서 5만 년 사이에는 ''인간''(호모 사피엔스) 집단이 이 지역에 도달했으며,[3][27][28] Tam Pa Ling 동굴 화석을 통해 ''호모 에렉투스''와의 융합 가능성도 제기된다.[29] 해수면 감소로 인해 서부 인도네시아 섬들은 순다랜드라는 하나의 육지로 연결되었다.



남술라웨시 Leang Panninge 동굴에서 발견된 홀로세 수렵 채집인은 남아시아 계통(파푸아인, 호주 원주민)과 동아시아 계통(동아시아인)의 조상을 모두 가지고 있었다. 이들은 동남아시아 본토에서 해양 동남아시아로 기원전 2만 5천 년경에 이주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오스트로네시아어족 확장보다 앞선 시기이다.[31]

동남아시아 본토에서 기원전 5만 년경 기저 동아시아인 조상이 기원하여 남북으로 확장되었다. 해양 동남아시아와 오세아니아로 유입된 동아시아 조상 유전자는 기원전 2만 5천 년경으로 추정된다. 신석기 시대 이전 남아시아 인구는 동남아시아 본토에서 기원한 동아시아 인구 확산으로 대체되었다. 동남아시아는 기원전 1만 5천 년에 이미 동아시아 관련 조상이 지배적이었으며, 이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오스트로네시아족 확장보다 앞선 시기였다.[3]

해안 이주 모델의 표현.


플라이스토세 빙하기 동안 해수면은 최대 120m 하락하여 순다랜드가 드러났고, 수렵 채집인들은 육로를 통해 섬 동남아시아에 접근했다. 동말레이시아 니아 동굴에는 4만 년 전 현대 인류 흔적이 있지만,[32] 초기 정착 기록은 짧다.[32] 찰스 하이엄은 현대 인류가 자바, 티모르 너머 해상 장벽을 건너 뉴기니 동부 이반 계곡에서 2000m 고도에서 고구마, 판다누스를 활용하고 석기를 제작하며 사냥했다고 주장한다.[33]

필리핀 타본 동굴에서는 약 5만 년 전 거주 흔적이 발견되었으며, 4만 7천 년 전 매장 항아리, 토기, 옥 장식품, 석기, 동물 뼈, 인류 화석이 발견되었다. 발굴된 인류 유해는 약 2만 4천 년 전의 것이다.[34]

호아빈 문화는 약 1만 년 전 베트남 호아빈현에서 시작되어 말레이시아, 수마트라, 태국,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 중국 남부 윈난성 등지에서 석기, 조약돌 유물, 문화적 연속성을 보이며, 지역 환경 조건과 자원에 따라 유물 품질과 특성에 차이를 보인다. 호아빈 문화는 동남아시아 최초의 의례적 매장을 보여준다.[35][36]

=== 신석기 시대 ===



신석기 시대는 동남아시아 본토와 동남아시아 섬 지역으로 여러 차례 이주가 일어난 시기이다. 남부 중국에서 오스트로네시아어 사용자, 오스트로아시아어 사용자, 크라다이어족, 흐몽-미엔어족 사용자들의 이주가 있었다.[38]



오스트로네시아 확산은 약 5,500년 전(기원전 3,500년) 경 타이완과 남부 중국 해안에서 시작된 대규모 이주 사건이다.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은 아웃리거 보트, 쌍동선을 발명하여 동남아시아 섬 지역, 미크로네시아, 멜라네시아, 폴리네시아, 마다가스카르, 코모로로 확산되었다. 이들은 동남아시아 섬 지역 저지대와 해안 지역을 장악하고, 토착 네그리토, 파푸아인들과 혼인하여 현대 동남아시아 섬 주민, 미크로네시아인, 폴리네시아인, 멜라네시아인, 말라가시인이 되었다.[40][41][42][43]

오스트로아시아어 이주에는 크메르족이 포함되며, 이들은 버마, 인도차이나, 말레이시아의 강 유역 범람원으로 이주했다.[44]

가능한 언어족 고향과 초기 쌀 이동 경로(기원전 3500~500년경).


동남아시아 본토와 도서 지역 군주국은 '농업 왕국'으로 특징지어졌으며,[46] 기원전 500년경 잉여 작물 재배와 천연자원 해안 무역으로 경제를 발전시켰다. 말레이-인도네시아 지역 해양 세력 국가들,[49] 이라와디강 계곡 퓨 시국, 홍강 삼각주 반랑 왕국, 하부 메콩강 주변 푸난은 이러한 특징을 공유했다.[6] 기원전 7세기 건국된 반랑은 동선 문화의 일부로서 홍방 왕조 아래 기원전 258년까지 존속했다.[47][48]

벼농사는 농업 공동체가 잉여 작물을 생산하여 지배 엘리트가 공공 건설 및 유지 프로젝트에 노동력을 동원하고 비용을 지불하는 데 사용되었다.[47][49]

기원전 2000년경 기장과 쌀 재배가 도입되었지만, 사냥과 채집은 특히 산악 내륙 지역에서 식량 공급의 중요한 부분이었다. 원주민 오스트랄로멜라네시아 정착민 부족 공동체는 현대까지 혼합 생계를 유지했다.[50] 동남아시아는 기원전 2000년부터 서기 1000년까지 해상 옥로에 참여했다.[51][52][53][54]

=== 청동기 시대 ===

동선 북.


동남아시아에서 구리, 청동 생산 초기 증거는 기원전 2000년경 태국 북동부 반 치앙, 베트남 북부 퐁 응우옌 문화에서 발견되었다.[55]

동선 문화는 청동 생산 전통을 확립하고 쟁기, 도끼, 낫, 화살촉, 창날 등 정교한 청동, 철제 물건을 제조했다.[56] 기원전 500년경 70kg 이상 대형 청동 북이 밀랍 주조 공정으로 제작되었다. 이 금속 가공 산업은 중국, 인도 영향과 독립적으로 개발되었으며, 조직적, 중앙집권적, 계층적 공동체, 대규모 인구 존재와 관련된다.[57]

Buni 찰흙 도자기.


기원전 1000년에서 서기 100년 사이, 사후인 문화베트남 남중부 해안을 따라 번성했다.[58] 부장품 포함 도자기 항아리 매장지가 발견되었으며, 테라코타 항아리, 요리용 냄비, 유리 제품, 귀걸이, 금속 물건 등이 강 근처와 해안에 묻혔다.[59]

Buni 문화는 서기 400년에서 서기 100년 사이 서 자바 북서부 해안에서 발굴된 매장 유물을 바탕으로 한 도자기 생산 중심지이다.[60] Buni 전통 물건과 유물은 조각, 기하학적 장식, 뛰어난 품질로 유명하며,[61] 사후인 문화와 유사성, 초기 ''인도 룰렛 도자기''를 나타낸다는 점은 연구 대상이다.[62]

3. 1. 구석기 시대

이 지역은 약 150만 년 전 중기 홍적세 시대부터 이미 ''호모 에렉투스''가 거주했다.[22] 인도네시아, 중국 남부, 필리핀, 스리랑카 그리고 최근에는 캄보디아[23]말레이시아[24]에서 발견된 석기 어셈블리지 및 화석 발견에 대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호모 에렉투스''의 이주 경로와 존재 시기가 기원전 12만 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심지어 180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고립된 유물도 발견되었다. 자바 원인(''호모 에렉투스 에렉투스'')과 ''호모 플로레시엔시스''는 종의 특성에 상당한 다양화를 가져올 만큼 오랫동안 지속된 지역적 존재와 고립을 증명한다. 4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동굴 벽화(현재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는 보르네오의 동굴에서 발견되었다.[25] ''호모 플로레시엔시스'' 역시 적어도 5만 년 전까지 이 지역에 살았으며, 이후 멸종되었다.[26]

동아시아인(동아시아 관련) 집단과 남아시아인(파푸아 관련) 집단의 조상인 별개의 ''인간''(호모 사피엔스) 집단이 기원전 7만 년에서 5만 년 사이에 이 지역에 도달했으며, 일부에서는 더 일찍 도달했다고 주장한다.[3][27][28] 이러한 이민자들은 Tam Pa Ling 동굴에서 발견된 화석이 시사하는 바와 같이, 어느 정도는 고대 인구인 ''호모 에렉투스''와 융합하고 번식했을 수 있다.[29] 이 시기의 대부분 동안 현재 서부 인도네시아의 섬들은 해수면 감소로 인해 순다랜드로 알려진 단일 육지로 합쳐졌다.

홀로세 시대의 수렵 채집인과 같이 해양 동남아시아의 고대 유적 중 하나인 남술라웨시의 Leang Panninge 동굴에서 발견된 수렵 채집인은 남아시아 계통(파푸아인 및 호주 원주민)과 동아시아 계통(동아시아인)의 조상을 모두 가지고 있었다. 이 수렵 채집인은 약 50%의 "기저 동아시아인" 조상을 가지고 있었으며 현대 동아시아인과 오세아니아의 파푸아인 사이에 위치했다. 이 개체에 대해 글을 쓴 저자들은 동아시아 관련 조상이 동남아시아 본토에서 해양 동남아시아로 이전에 추정했던 것보다 훨씬 일찍, 기원전 2만 5천 년경에 확장되었다고 결론지었다. 이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확장보다 훨씬 앞선 시기이다.[31]

특징적인 기저 동아시아인 (동아시아) 조상이 최근 동남아시아 본토에서 기원전 약 5만 년에 기원했으며, 여러 이주 파동을 통해 각각 남쪽과 북쪽으로 확장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해양 동남아시아오세아니아로 유입된 동아시아 조상의 유전자는 기원전 약 2만 5천 년(어쩌면 기원전 5만 년 초)으로 추정된다. 해양 동남아시아의 신석기 시대 이전의 남아시아 인구는 기원전 약 2만 5천 년경부터 동남아시아 본토에서 시작된 다양한 동아시아 인구의 확산으로 인해 광범위하게 대체되었다. 동남아시아는 이미 기원전 1만 5천 년에 동아시아 관련 조상이 지배했으며, 이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오스트로네시아족의 확장보다 앞선 시기였다.[3]

플라이스토세 빙하기 동안 현재 수준보다 최대 120m 아래로 떨어진 해수면은 순다랜드로 알려진 광대한 저지대를 드러냈고, 수렵 채집인들이 광범위한 육지 회랑을 통해 섬 동남아시아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게 했다. 동말레이시아의 니아 동굴에 현대 인류가 존재한 것은 4만 년 전현재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초기 정착 시대에 대한 고고학적 기록은 짧은 점유 단계만을 시사한다.[32] 하지만, 저자 찰스 하이엄은 빙하기에도 불구하고 현대 인류가 자바와 티모르 너머의 해상 장벽을 건널 수 있었고, 약 4만 5천 년 전에 뉴기니 동부의 이반 계곡에서 "해발 2000m에서 고구마, 판다누스를 활용하고, 4만 3천 년에서 4만 9천 년 사이에 석기를 제작하면서 사냥했다"고 주장한다.[33]

필리핀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거주지는 타본 동굴에 위치해 있으며, 약 5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곳에서 발견된 매장 항아리, 토기, 옥 장식품 및 기타 장신구, 석기, 동물 뼈 및 인류 화석은 4만 7천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발굴된 인류 유해는 약 2만 4천 년 된 것이다.[34]

초기 전통의 징후는 약 1만 년 전 베트남호아빈현에서 처음 묘사되고, 나중에 말레이시아의 테렝가누, 수마트라, 태국,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 중국 남부의 윈난성에서 문서화된 석기 및 조약돌 유물 산업 및 문화적 연속성으로 명명된 호아빈 문화에서 나타난다. 연구는 지역별 환경 조건과 지역 자원에 대한 근접성 및 접근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 유물의 품질과 특성에 상당한 변이가 있음을 강조한다. 호아빈 문화는 동남아시아에서 최초로 확인된 의례적 매장을 설명한다.[35][36]

3. 2. 신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는 동남아시아 본토와 동남아시아 섬 지역으로 여러 차례의 이주가 일어난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남부 중국에서 오스트로네시아어 사용자와 오스트로아시아어 사용자를 포함하여 크라다이어족과 흐몽-미엔어족 사용자들의 이주가 있었다.[38]

오스트로네시아 확산은 가장 큰 규모로 일어난 이주 사건으로, 약 5,500년 전(기원전 3,500년) 경 타이완과 남부 중국 해안에서 시작되었다.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은 항해용 아웃리거 보트와 쌍동선을 일찍 발명하여 동남아시아 섬 지역을 빠르게 식민지화했다. 이후 미크로네시아, 멜라네시아, 폴리네시아, 마다가스카르코모로로 확산되었다. 그들은 동남아시아 섬 지역의 저지대와 해안 지역을 장악했으며, 토착 네그리토파푸아인들과 다양한 정도로 혼인하여 현대의 동남아시아 섬 주민, 미크로네시아인, 폴리네시아인, 멜라네시아인말라가시인이 되었다.[40][41][42][43]

오스트로아시아어 이주에는 크메르족이 포함된다. 이들은 버마, 인도차이나, 말레이시아의 넓은 강 유역 범람원으로 이주했다.[44]

3. 3. 초기 농경 사회



동남아시아 본토와 도서 지역의 영토적 군주국은 '농업 왕국'으로 특징지어졌으며,[46] 기원전 500년경 잉여 작물 재배와 천연자원의 완만한 해안 무역을 기반으로 경제를 발전시켰다. 말레이-인도네시아 지역의 해양 세력 국가들[49]은 이라와디강 계곡의 퓨 시국, 홍강 삼각주의 반랑 왕국, 하부 메콩강 주변의 푸난과 같은 인도차이나 정치체와 이러한 특징을 공유했다.[6] 기원전 7세기에 건국된 반랑은 동선 문화의 일부로서, 정교한 청동기 시대 산업을 통해 밀집되고 조직적인 인구를 유지했으며, 홍방 왕조 아래 기원전 258년까지 존속되었다.[47][48]

이상적인 기후에서 집중적인 벼농사는 농업 공동체가 정기적인 작물 잉여를 생산하여 지배 엘리트가 운하 및 요새화와 같은 공공 건설 및 유지 프로젝트에 노동력을 동원하고 비용을 지불하는 데 사용되었다.[47][49]

기원전 2000년경 기장과 쌀 재배가 도입되었지만, 사냥과 채집은 특히 숲이 우거진 산악 내륙 지역에서 식량 공급의 중요한 부분으로 남아 있었다. 원주민 오스트랄로멜라네시아 정착민의 많은 부족 공동체는 현대까지 혼합된 생계를 유지했다.[50] 동남아시아의 많은 지역은 기원전 2000년부터 서기 1000년까지 3,000년 동안 주로 동남아시아에서 기능한 다양한 해상 무역 네트워크인 해상 옥로에 참여했다.[51][52][53][54]

3. 4. 청동기 시대



동남아시아에서 구리와 청동 생산의 가장 초기에 알려진 증거는 기원전 2000년경 태국 북동부의 반 치앙과 베트남 북부의 퐁 응우옌 문화에서 발견되었다.[55]

동선 문화는 청동 생산 전통을 확립했으며, 쟁기, 도끼, 자루 구멍이 있는 낫, 소켓이 있는 화살촉과 창날, 작고 장식된 품목과 같은 더욱 정교한 청동 및 철제 물건을 제조했다.[56] 기원전 500년경에는 70kg 이상의 무게가 나가는, 정교하게 장식된 대형 청동 북이 힘든 밀랍 주조 공정을 통해 제작되었다. 이러한 고도로 정교한 금속 가공 산업은 중국 또는 인도의 영향과는 독립적으로 개발되었다. 역사가들은 이러한 성과를 조직적이고, 중앙집권적이며, 계층적인 공동체와 대규모 인구의 존재와 관련짓는다.[57]

3. 5. 도자기 문화



기원전 1000년에서 서기 100년 사이, 사후인 문화베트남 남중부 해안을 따라 번성했다.[58] 부장품을 포함한 도자기 항아리 매장지가 영토 전체의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크고 얇은 벽의 테라코타 항아리, 장식되고 채색된 요리용 냄비, 유리 제품, 귀걸이, 금속 물건 등이 강 근처와 해안을 따라 묻혔다.[59]

Buni 문화는 서기 400년에서 서기 100년 사이에 서 자바 북서부 해안에서 발굴된 매장 유물을 바탕으로 잘 기록된 정교한 도자기 생산의 또 다른 초기 독립 중심지에 주어진 이름이다.[60] Buni 전통의 물건과 유물은 조각되고 기하학적인 장식의 독창성과 뛰어난 품질로 유명하다.[61] 사후인 문화와의 유사성과 동남아시아에서 기록된 가장 초기의 ''인도 룰렛 도자기''를 나타낸다는 사실은 지속적인 연구의 대상이다.[62]

4. 초기 역사 시대

동남아시아의 초기 역사 시대는 다양한 문화와 교역 네트워크가 형성되고 발전한 시기이다.

인도양 최초의 해상 무역 네트워크는 동남아시아의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이 시작하였다.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은 인도중국의 물질문화를 연결했으며, 향신료 무역의 인도양 부분을 구성했다.[63]

기원전 500년경부터 힌두교 신념이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확산되었다.[71] 초기 힌두 왕국은 수마트라와 자바에서 등장했으며, 푸난과 참파와 같은 본토 정치체가 뒤를 이었다.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초기에 확인된 무역은 중국의 상 왕조(기원전 1600년경 ~ 기원전 1046년)와 이루어졌으며, 이때 소라 고둥 화폐가 통화로 사용되었다. 기원전 2세기에서 서기 15세기 사이에는 해상 실크로드가 번성하여 중국, 동남아시아, 인도 아대륙, 아라비아 반도, 소말리아를 거쳐 이집트유럽까지 연결되었다.[81]

초기 서기 시대에 지방 통치자들은 힌두교를 도입하여 통치의 정당성을 강화했다. 거의 동시에 불교의 가르침이 전파되어 이후 몇 세기 동안 발전하여 일반 대중에게 더 많은 호응을 얻었다. 서기 5세기에서 13세기 사이에 불교는 동남아시아에서 번성했다.

4. 1. 오스트로네시아 해상 무역 네트워크

오스트로네시아인의 원사(proto-historic) 및 역사적 인도양 해상 무역 네트워크


인도양 최초의 진정한 해상 무역 네트워크는 동남아시아의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이 시작한 오스트로네시아 해상 무역 네트워크였다.[63] 기원전 1500년경부터 그들은 남인도스리랑카와 무역로를 개척하여 물질 문화(쌍동선, 아웃리거 보트, 꿰맨 판자 배, 빈랑)와 재배 작물(코코넛, 백단향, 바나나, 사탕수수)을 교환했다. 이 무역 네트워크는 인도와 중국의 물질 문화를 연결했으며, 향신료 무역의 인도양 부분을 구성했다. 특히 인도네시아인들은 동아프리카와 향신료(주로 계피와 카시아)를 거래했으며, 쌍동선과 아웃리거 보트를 사용하고 인도양편서풍을 이용하여 항해했다. 이 무역 네트워크는 아프리카와 아라비아 반도까지 확장되어 서기 500년경에는 마다가스카르에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이 정착하게 되었다. 이 무역 네트워크는 역사 시대에도 지속되었으며, 이후 해상 실크로드가 되었다.[63][64][65][66][67] 이 외에도 링링-오 및 해삼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동남아시아 내의 더 작은 무역로도 포함했다.

동부 오스트로네시아에는 다양한 전통적인 해상 무역 네트워크도 존재했다. 그중에는 멜라네시아의 고대 라피타 무역 네트워크,[68] 히리 무역 주기, 세픽 해안 교역 및 쿨라 링 파푸아뉴기니,[68] 마리아나 제도캐롤라인 제도(그리고 아마도 뉴기니 및 필리핀) 사이의 미크로네시아의 고대 무역 항해,[69] 그리고 폴리네시아의 광대한 섬 간 무역 네트워크가 있었다.[70]

4. 2. 인도화된 왕국

힌두교는 인도 아대륙의 중심지에서 아시아 전역, 특히 동남아시아로 확장되었으며, 서기 1세기경 동남아시아에 초기 힌두 정착지와 정치체가 건설되면서 시작되었다.


기원전 500년경, 아시아의 확장된 육지와 해상 무역은 사회 경제적, 문화적 자극을 유발하여 주로 힌두교 신념이 동남아시아의 지역적 우주론으로 확산되었다.[71] 철기 시대의 무역 확장은 또한 지역적 지정학적 재편성을 초래했다. 동남아시아는 이제 인도와 동아시아 해상 무역로의 합류점에 위치하게 되었으며, 이는 경제 및 문화 성장의 기반이 되었다. "인도화된 왕국"이라는 개념은 프랑스 학자 조지 쾨데스가 만든 용어로, 동남아시아의 공국들이 인도의 제도, 종교, 통치술, 행정, 문화, 금석문, 문자와 건축의 핵심적인 측면을 어떻게 통합했는지를 설명한다.[72][73]

시바 조각상, 참파 (현대 베트남)


초기 힌두 왕국은 수마트라와 자바에서 등장했으며, 푸난과 참파와 같은 본토 정치체가 뒤를 이었다. 인도 사회 문화 요소의 선택적인 채택은 중앙 집권 국가의 출현과 고도로 조직화된 사회의 발전을 자극했다. 지역 지도자들은 힌두교의 데바라자 개념을 사용하여 힌두교 숭배를 국교로 채택하여 신성한 통치를 강화하기 시작했다(중국의 천명 개념과는 대조적).[74][75][76]

이 지역 문명에 대한 인도의 영향의 정확한 성격, 과정 및 범위는 현재 학자들 사이에서 여전히 격렬하게 논쟁되고 있다. 그러한 논쟁 중 하나는 인도 상인, 브라만, 귀족 또는 동남아시아의 선원 상인들이 인도적 개념을 동남아시아로 가져오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했는지 여부이다. 또한 인도 전통의 영향의 깊이 또한 논쟁의 대상이다. 20세기 초 학자들이 동남아시아의 철저한 인도화를 강조한 반면, 최근 저자들은 인도의 영향이 훨씬 더 제한적이며, 소수의 엘리트 계층에만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했다.[77][78]

중국에서 인도까지의 해상 무역은 메콩 델타에서 참파와 푸난을 거쳐 해안을 따라 크라 지협으로 이동하여 좁은 지역을 가로질러 운반된 후 인도에서 분배하기 위해 환적되었다. 이 무역 연결은 푸난, 그 후계자인 첸라, 동해안의 랑카수카와 서해안의 케다의 말레이 국가의 발전을 촉진했다.

해양 동남아시아의 수많은 해안 공동체는 인도에서 힌두교와 불교의 문화적 및 종교적 요소를 채택하고 토착 왕조가 통치하는 복잡한 정치체를 개발했다. 인도네시아의 초기 힌두 왕국에는 4세기 동칼리만탄에서 일어난 쿠타이, 서자바의 타루마네가라, 중앙 자바의 칼링가가 포함된다.[79]

4. 3. 중국과의 초기 관계

식민지 이전 동반구의 주요 무역로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초기에 확인된 무역은 중국의 상 왕조(기원전 1600년경 ~ 기원전 1046년)와 이루어졌으며, 이때 소라 고둥 화폐가 통화로 사용되었다. 주 왕조(기원전 1050년 ~ 기원전 771년) 동안에는 상아, 코뿔소 뿔, 거북 껍질, 진주, 새 깃털과 같은 다양한 천연 제품들이 주나라 수도인 뤄양으로 흘러 들어갔다. 항구의 위치와 해운로에 대한 현재의 지식은 매우 제한적이지만, 이 교역의 대부분은 육상 경로를 통해 이루어졌고, "말레이인과 월 상인들이 운항하는 연안 선박"으로 운송된 것은 소량에 불과했던 것으로 추정된다.[121]

한나라(기원전 202년 ~ 서기 220년) 동안의 군사적 정복으로 중국 조공 체제가 발전하기 시작하면서 많은 외국 민족이 중국 제국 내로 포함되었다. 이 조공 체제는 상 왕조 시대부터 발전해 온 중국의 세계관에 기초했으며, 중국은 문화와 문명의 중심이자 절정, 즉 여러 겹의 점점 더 야만적인 민족들로 둘러싸인 "중국"(중국어: 中国, Zhōngguó)으로 간주되었다.[80] 동남아시아와의 접촉은 한나라 말기에 꾸준히 증가했다.[121]

기원전 2세기에서 서기 15세기 사이에 해상 실크로드가 번성하여 중국, 동남아시아, 인도 아대륙, 아라비아 반도, 소말리아를 거쳐 이집트유럽까지 연결되었다.[81] 최근 몇 세기 동안 중국과 관련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해상 실크로드는 주로 동남아시아의 오스트로네시아인 뱃사람과 페르시아인아랍인 상인들에 의해 아라비아해에서 설립되고 운영되었다.[83]

해상 실크로드는 스리랑카남인도와 오스트로네시아인의 초기 향료 무역 네트워크(기원전 1000년 ~ 기원전 600년 설립)와 남중국해필리핀에서 나온 ''링링오'' 유물의 산업 무역(기원전 500년경)에서 발전했다.[82][65] 해상 실크로드의 역사 대부분 동안, 오스트로네시아 해양 제국이 해상 실크로드의 흐름을 통제했으며, 특히 말라카 해협과 방카 해협, 말레이 반도, 메콩 삼각주 주변의 정치체들이 그러했다. 중국 기록은 이 왕국들을 이 지역의 동남아시아의 인도화 때문에 "인도"로 오인했다.[83] 10세기 이전에는 주로 동남아시아 상인들이 이 노선을 이용했지만, 타밀인과 페르시아인 상인들도 이 노선을 항해했다.[83] 이 경로는 초기에 힌두교불교가 동쪽으로 전파되는 데 영향을 미쳤다.[84]

중국은 이후 10세기의 송나라부터 자체 함대를 건설하여 식민 시대가 끝나고 청나라가 붕괴될 때까지 이 무역로에 직접 참여했다.[83]

4. 4. 불교의 전파

아시아 전역으로 불교의 확산


중앙 자바보로부두르 스투파 (9세기)


초기 서기 시대에 지방 통치자들은 힌두교를 도입하여 통치의 정당성을 크게 강화했다. 역사학자들은 힌두교의 종교적 확산 과정이 지방 족장들의 주도로 이루어졌다고 주장한다. 거의 동시에 동남아시아에 도착한 불교의 가르침은 이후 몇 세기 동안 발전하여 일반 대중에게 더 많은 호응을 얻었다. 기원전 3세기에 불교도인 인도의 아소카 황제는 훈련된 승려와 선교사를 해외로 파견하는 선교 활동을 시작했는데, 여기에는 방대한 분량의 문헌, 구전 전통, 불교 도상학예술이 포함되었다. 선교사들은 불교의 가르침을 사용하여 실존적 질문에 대한 지침을 제공했으며, 개인의 노력과 행동을 강조했다.[85][86][87]

미얀마 바간의 쉐즈곤 황금 파고다 (12세기)


서기 5세기에서 13세기 사이에 불교는 동남아시아에서 번성했다. 8세기까지 수마트라에 기반을 둔 불교 스리비자야 왕국은 중앙 해양 동남아시아의 주요 무역 강국으로 부상했다. 같은 시기에 자바샤일렌드라 왕조는 방대한 보로부두르 사원에서 가장 강력하게 표현되는 불교 미술을 광범위하게 장려했다.[88] 캄보디아크메르 제국이 설립된 후, 11세기에 본토 동남아시아의 최초의 불교 왕들이 등장했다.[89] 대승 불교는 원래의 상좌부 불교가 이 지역에 도달하기 수세기 전에 인도에서 인기를 잃었기 때문에 동남아시아에서 먼저 자리를 잡았다. 그러나 순수한 형태의 상좌부 불교의 가르침은 3세기부터 스리랑카에서 보존되었다. 스리랑카에서 온 순례자와 방랑 승려들은 미얀마의 바간 제국, 북부 태국수코타이 왕국라오스, 캄보디아 암흑기 동안의 하부 메콩강 유역, 그리고 더 나아가 베트남과 해양 동남아시아에 상좌부 불교를 소개했다.[90]

5. 중세 시대

해양 동남아시아에서 스리비자야 왕국은 5세기경 지배적인 세력으로 발전했다. 수도 팔렘방은 주요 항구가 되었고, 인도와 중국 사이의 향료 무역로의 ''중계 무역 항구'' 역할을 했다. 스리비자야는 바즈라야나 불교 학문과 영향력의 중심지였다.[91] 6세기경 말레이족 상인들이 스리비자야로 항해하기 시작했고, 상품은 수마트라 항구에서 직접 운송되었다. 10월에서 12월 사이의 북동 계절풍과 7월에서 9월 사이의 남서 계절풍은 항해선이 인도양에서 남중국해로 직접 이동하는 것을 막았고, 무역로가 스리비자야를 통과하도록 강요했다. 그러나 10세기 해양 기술의 발전으로 중국과 인도 상인들이 자국 간에 화물을 직접 운송할 수 있게 되면서 왕국의 부와 영향력은 쇠퇴하기 시작했다. 이는 타밀라캄, 남인도촐라 왕조가 스리비자야에 일련의 파괴적인 공격을 가하는 데 도움을 주었고, 팔렘방의 인도-중국 무역로에서의 ''중계 무역 항구'' 지위를 효과적으로 종식시켰다. 스리비자야 왕국의 영향력은 약 13세기경에 쇠퇴하면서 수마트라는 이후 두 세기 동안 말라유 왕국, 판나이, 다르마스라야 왕국을 포함한 다양한 불교 왕국들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텔라가 바투 비문은 의례적인 충성 의식에 사용된 스리비자야 비문(7세기)


수마트라 남동쪽에서는 타루마나가라 멸망 후 힌두교 순다 왕국이 서 자바를 지배했고, 중앙 자바와 동 자바는 마타람 왕국(716–929), 케디리 왕국(1052–1222), 싱가사리(1222–1292), 마자파힛(1293–1500경)을 포함한 수많은 경쟁적인 농업 왕국들이 지배했다. 8세기 후반과 9세기 초에 마타람 왕국을 통치했던 샤일렌드라 왕조는 세우보로부두르 불교 사원을 포함하여 중앙 자바에 수많은 대규모 기념물을 건설했다. 1365년에 완성된 고 자바어 시 ''나가라크레타가마''에 따르면, 마자파힛 제국의 봉신국들은 오늘날 인도네시아 대부분 지역으로 퍼져 동남아시아에서 존재했던 가장 큰 제국일 가능성이 있지만, 이 지역에 대한 지배의 진정한 성격은 불분명하다.[92][93] 이 제국은 16세기 초 자바, 말레이 반도, 수마트라 해안에 이슬람 국가가 등장하면서 쇠퇴했다.

마자파힛의 수도 트로울란에 있는 바장 라투 파두락사 문(14세기)


필리핀에서, 900년경의 라구나 구리판 비문은 이 섬에서 알려진 가장 오래된 연대기 기록 문서이다.[94] 이 비문은 현재 마닐라 지역의 일부인 톤도의 타갈로그족 도시 국가에 살았던 ''마기노오''(왕족)로부터 받은 채무에 관한 것이다. 이 문서에는 자바마타람 왕국을 포함하여 이 지역의 여러 동시대 국가들이 언급되어 있다.

필리핀의 라구나 구리판 비문 (900년경)


크메르 제국은 9세기 초부터 15세기까지 동남아시아 본토의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이 기간 동안 수도 앙코르의 구조물에서 예시된 크메르 건축이 개발되었다. 오늘날 베트남에 위치한 다이 비엣 왕국과 참파 왕국은 이 지역에서 크메르 제국의 경쟁자였다. 몬족드바라바티 왕국은 또 다른 주요 지역 세력이었고, 6세기경 기록에 처음 등장했다. 그러나 10세기경에 드바라바티는 크메르의 영향력 아래에 놓이게 되었다. 인접한 지역에서 타이족 부족들이 12세기경 오늘날 태국 중부의 차오프라야강 계곡을 정복하고 13세기에 수코타이 왕국을, 14세기에 아유타야 왕국을 세웠다.[95][96]

앙코르 와트, 크메르 제국 (12세기)


16세기 중반까지 버마의 제1 투웅구 제국은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크고, 강력하고, 부유한 제국 중 하나였다.[97][98] 최전성기에는 동남아시아 본토의 지배적인 세력이었고, "마니푸르에서 캄보디아의 변경까지, 아라칸의 국경에서 윈난까지" 종주권을 행사했다.[99] 제국에는 몬족샨족이 포함되었고, 란나 왕국, 라오스 왕국, 아유타야 왕국의 영토를 병합했다.[100][101] 초기 유럽 기록은 투웅구 제국의 하부를 3~4개의 훌륭한 항구가 있었고, 다양한 상품의 상당한 무역을 용이하게 했다고 묘사한다.[102] 이 제국은 말라카 항구에 쌀과 기타 식료품, 그리고 루비, 사파이어, 사향, 락, 벤조인, 금과 같은 사치품을 공급했다. 그 대가로 제국의 하부는 중국 제품과 인도네시아 향신료를 항구를 통해 수입했다. 또한 서아시아와 인도의 상인들은 버마 사치품과 동부 상품과 대량의 인도 직물을 교환했다. 16세기 포르투갈의 등장은 상업적, 군사적으로 제국의 입지를 더욱 강화했다.[103]

칸바조사디 궁전, 제1 투웅구 제국 (16세기)

6. 이슬람의 확산

8세기 이슬람교 성립 이후, 아라비아 이슬람 상인들이 동남아시아 해양 지역에 나타났으나, 13세기까지 동남아시아 본토에서 큰 역할을 하지는 못했다.[104][105][106]

이슬람 전파 경로는 아라비아에서 인도를 거치는 경로와 남중국해를 통한 경로가 있다. 인도 경로는 인도에 거주하지 않은 아라비아 상인/학자들이 직접 전파하거나, 해안 인도와 스리랑카에 정착한 아랍 상인들이 전파했다. 인도(구자라트) 출신 무슬림 상인과 남아시아 출신 개종자들이 주요 역할을 했다.[107][108]

남중국해 경로는 10세기 이전 아라비아-중국 간 활발한 무역(벨리퉁 난파선 참조)[109][110], 몽골의 중국 정복과 원나라 (1271–1368) 시기 무슬림 유입[111], 참파 (베트남) 쿠피체 묘비[112][113][114], 자바 데마크 술탄국 창시자의 중국-자바 혈통[115][116], 후이족 항해사 정화모스크 건축 영향[104] 등이 근거로 제시된다.

쿠두스 사원 미나렛. 마자파힛식 붉은 벽돌 탑과 무굴 제국식 건물이 혼합된 양식이다.


동남아시아 이슬람은 힌두교, 불교, 애니미즘 요소를 포함한 혼합주의적 방식으로 발전했다. 해상 실크로드와 남중국해 교차점에 위치한 군주국들은 문화 교류를 통해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고, 문화/제도 채택은 창의적이고 선택적인 과정이었다.[118] 북아프리카, 이베리아반도, 중동, 인도 등과 달리, 동남아시아 이슬람은 영토 정복이 아닌 무역로를 통해 확산되었다.

수피교를 비롯한 무슬림 평신도 선교사, 학자, 신비주의자들의 평화로운 포교 활동이 다양하게 기록되었다. 자바는 "왈리 상가"를 통해 이슬람을 수용했고, 수마트라에는 13세기 최초의 이슬람 왕국 사무드라 파사이 술탄국이 세워졌다.

말라카 해협을 통제하던 불교 스리비자야 제국의 개종은 해협을 이슬람 수역으로 전환시켰다. 스리비자야 멸망 후 무슬림 무역 중심지가 건설되었고, 15~16세기 말라카 술탄국은 현대 말레이시아의 최초 정치 실체로 여겨진다.[119]

이슬람의 움마 앞 평등, 정기적 기도를 통한 개인적 종교 노력은 운명론보다 매력적이었고,[120] 순종과 복종을 가르쳐 사회 구조의 급격한 변화를 막았다.[121]

1540년 포르투갈의 말레이인 그림, 말라카 술탄국은 이슬람 신앙 전파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슬람의 배타성과 완결성 개념은 중국의 천명, 천자 개념과 양립하기 어려웠다. 중국 중심의 동아시아 조공 시스템은 무슬림 말레이인, 인도네시아인과 통합되며 외교 관계에서 실용적 접근을 요구했다.[121]

6. 1. 중국의 보물선 원정

말라카에 있는 명나라 제독 정화의 조각상.


14세기 말, 명나라는 남쪽의 윈난성을 정복했지만, 몽골족의 원나라가 멸망한 후 실크로드에 대한 통제력을 잃었다. 영락제는 고대 황제 조공 시스템을 공고히 하고, 더 강력한 외교 및 군사적 존재감을 확립하며, 중국의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인도양 해상 항로에 집중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1405년에서 1433년 사이에 동남아시아, 인도, 페르시아 만, 그리고 동아프리카까지 여러 차례 항해를 수행한 거대한 무역 및 대표 함대를 건조하도록 명령했다. 정화의 지휘 아래, 당시 전례 없는 크기, 웅장함, 기술적 진보를 갖춘 수백 척의 해군 선박과 대규모 군사 병력, 대사, 상인, 예술가 및 학자들이 주요 동남아시아 제후국을 여러 차례 방문했다. 개별 함대는 해적과 여러 차례 충돌했으며 때때로 다양한 왕족 경쟁자를 지원했다. 그러나 베이징 궁정의 친확장론자들은 1450년대 이후 영향력을 잃었고, 원정은 중단되었다. 조공 시스템에서 의례적인 행사와 사절단의 빈약한 여행만으로는 이 지역에서 확고하고 지속적인 중국의 상업적, 정치적 영향력을 발전시키기에 충분하지 않았으며, 특히 고도로 경쟁적인 세계 무역이 임박한 상황에서는 더욱 그러했다. 명나라성화제 시대에 유대하, 나중에 병부상서가 된 그는 명나라 보물선 원정의 기록을 숨기거나 불태웠다.[122][123]

7. 근대

16세기부터 포르투갈인들이 동남아시아에 도착하면서 본격적인 교역과 기독교 선교가 시작되었다.[124][125] 1511년 포르투갈은 말라카 술탄국을 정복하며 해상 동남아시아 무역로의 거점을 확보했다.[126] 이후 네덜란드스페인이 이 지역의 주요 유럽 세력으로 부상했다. 19세기 중반 이후 신제국주의 시대에 거의 모든 동남아시아 영토가 식민 지배를 받게 되었으며, 태국은 유일하게 외세의 지배를 피했지만 서구 열강의 정치적 영향력은 강하게 받았다. 식민 통치는 동남아시아에 큰 영향을 미쳤는데, 식민 열강은 자원과 시장을 통해 이익을 얻었지만 이 지역의 발전에도 기여했다. 상업적 농업, 광업, 수출 중심 경제가 발전했고, 기독교 전파는 사회 변화를 가져왔으며, 영국령 인도와 중국으로부터의 대규모 이민으로 인구 구성이 변화했다.

7. 1. 유럽의 식민 지배

16세기부터 포르투갈인들이 동남아시아에 도착하면서 본격적인 교역과 기독교 선교가 시작되었다.[124][125] 포르투갈은 1511년 말라카 술탄국을 정복하며 해상 동남아시아 무역로의 거점을 확보했다.[126] 이후 네덜란드스페인이 이 지역의 주요 유럽 세력으로 부상했다. 1599년 스페인은 필리핀을 식민지화했고, 1619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순다 켈라파를 점령하고 바타비아로 개명했다. 1641년 네덜란드는 말라카를 포르투갈로부터 빼앗았다.[126]

조시아 차일드가 이끄는 영국 동인도 회사는 초기에는 이 지역에 큰 관심이 없었다. 영국은 벵골만 지역에 집중했다. 1786년 프랜시스 라이트 대위가 페낭 섬 북동쪽에 조지 타운 정착지를 건설하면서 말레이 반도로의 영국 확장이 시작되었다.[128][129] 영국은 나폴레옹 전쟁 동안 네덜란드령 동인도를, 7년 전쟁 중에는 스페인령 마닐라를 일시 점령하기도 했다. 1819년 스탬퍼드 래플스는 싱가포르를 주요 무역 기지로 건설했다. 1824년 영국-네덜란드 조약으로 양국의 동남아시아 내 이익이 명확해졌다.

1850년대 말부터 유럽의 식민지화는 더욱 가속화되었다. 신제국주의 시대에 거의 모든 동남아시아 영토가 식민 지배를 받았다. 네덜란드와 영국 동인도 회사는 본국 정부에 의해 해산되고, 식민지는 정부의 직접 통치를 받았다. 태국은 유일하게 외세의 지배를 피했지만, 서구 열강의 정치적 영향력은 강하게 받았다. 19세기 말부터 1910년경까지 몬톤 개혁으로 서구화된 정부 형태가 도입되었다.[133]

1913년까지 영국은 버마, 말라야, 북보르네오를, 프랑스는 인도차이나를, 네덜란드는 네덜란드령 동인도를, 포르투갈은 포르투갈령 티모르를 지배했다. 필리핀에서는 1872년 카비테 반란이 필리핀 혁명 (1896–1898)으로 이어졌다. 1898년 스페인-미국 전쟁 이후 필리핀 혁명가들은 필리핀 독립 선언을 하고 제1 필리핀 공화국을 수립했다. 1898년 파리 조약으로 미국은 필리핀을 획득했으나, 제1공화국을 인정하지 않아 필리핀-미국 전쟁이 발발했고, 제1공화국은 패배했다.

식민 통치는 동남아시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식민 열강은 자원과 시장을 통해 이익을 얻었지만, 이 지역의 발전에도 기여했다. 상업적 농업, 광업, 수출 중심 경제가 발전했고, 기독교 전파는 사회 변화를 가져왔다. 영국령 인도와 중국으로부터의 대규모 이민으로 인구 구성이 변화했다.

8. 20세기 동남아시아

20세기 초, 일본 제국프랑스령 인도차이나를 침공하는 등 동남아시아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려 했다. 1941년에는 태국이 프랑코-태국 전쟁을 일으켰고, 이는 일본의 중재로 종결되었다.[136] 같은 해 12월, 일본은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며 태국을 침공했다. 이후 일본은 캄보디아, 말라야, 필리핀 등을 점령하며 동남아시아 대부분 지역을 지배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독립을 쟁취하고 새로운 국가를 건설하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등은 높은 경제 성장을 이루며 지역 강국으로 부상했다. 베트남 역시 최근 경제 호황을 누리고 있다.

1967년에는 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필리핀이 주도하여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을 창설했다. ASEAN은 회원국 간의 협력을 강화하고 ASEAN 자유 무역 지역을 통해 무역을 증진하는 등 지역 통합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동아시아 정상회의를 통해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통합에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8. 1. 일본의 침략과 점령

1942년 1월 마닐라에 진입하는 일본 제국군


1940년 9월, 프랑스 붕괴 이후, 일본 제국은 비시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를 침공했으나, 1945년 3월 9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 일본의 쿠데타로 실패로 끝났다. 1941년 1월 5일, 태국은 프랑코-태국 전쟁을 시작했고, 이는 1941년 5월 9일 도쿄에서 체결된 일본이 강요한 조약으로 끝났다.[136] 1941년 12월 7/8일, 일본의 제2차 세계 대전 참전은 태국 침공으로 시작되었는데, 태국은 일본과의 정치적, 군사적 동맹 때문에 명목상 독립을 유지한 유일한 침략국이었다. 1942년 5월 10일, 태국의 북서부 파야프 육군은 버마 전역 중 버마를 침공했다. 1941년부터 전쟁이 끝날 때까지 일본은 캄보디아, 말라야, 필리핀을 점령했고, 이는 독립 운동으로 이어졌다. 필리핀의 일본 점령은 제2 필리핀 공화국을 결성하게 했고, 이는 1945년 8월 17일 도쿄에서 공식적으로 해산되었다. 같은 날, 1942년 3월부터 네덜란드령 동인도의 일본 점령이 끝나면서 인도네시아 독립 선언이 낭독되었다.

8. 2. 전후 탈식민화

동남아시아의 현대 정치 지도


자카르타에 있는 ASEAN 회원국 국기


현대 동남아시아는 대부분 국가에서 높은 경제 성장과 더욱 긴밀한 지역 통합으로 특징지어진다.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은 전통적으로 높은 성장을 경험했으며 이 지역의 더 발전된 국가로 일반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최근에는 베트남도 경제 호황을 겪고 있다. 그러나 미얀마, 캄보디아, 라오스와 새롭게 독립한 동티모르는 여전히 경제적으로 뒤쳐져 있다.

1967년 8월 8일, 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필리핀에 의해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이 창설되었다. 1999년 캄보디아가 연합에 가입한 이후, 동티모르는 최종 가입을 위한 계획이 진행 중이지만, ASEAN에 속하지 않은 유일한 동남아시아 국가이다. 이 연합은 동남아시아 공동체 간의 협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ASEAN 자유 무역 지역은 ASEAN 회원국 간의 더 큰 무역을 장려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ASEAN은 또한 동아시아 정상회의를 통해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더 큰 통합에서 선두 주자 역할을 해왔다.

9. 참고 문헌

(출력 결과 없음)

참조

[1] 서적 Hindu-Buddhist Architecture in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BRILL
[2] 서적 The Sociology of Southeast Asia: Transformations in a Developing Region https://books.google[...] NIAS Press
[3] 간행물 Multiple migrations to the Philippines during the last 50,000 years 2021-03-30
[4] 간행물 Genome of a middle Holocene hunter-gatherer from Wallacea 2021-08
[5] 서적 A History of Early Southeast Asia: Maritime Trade and Societal Development, 100-1500
[6] 간행물 Trade and Exchange Networks in Iron Age Cambodia: Preliminary Results from a Compositional Analysis of Glass Beads https://journals.lib[...] 2010
[7] 웹사이트 Chinese trade http://www.britishmu[...] Britishmuseum.org 2017-01-11
[8] 웹사이트 Culture, Regionalism and Southeast Asian Identity http://www.amitavach[...] Amitavacharya.com 2017-01-08
[9] 웹사이트 Geographies of knowing, geographies of ignorance: jumping scale in Southeast Asia 2002 – Willem van Schendel Asia Studies in Amsterdam https://pure.uva.nl/[...] University of Amsterdam 2017-02-08
[10] 서적 The Eastern Origins of Western Civilisa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Global Religions Oxford University Press 2009-09-01
[12] 간행물 Islam in Southeast Asia https://www.academia[...]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7-22
[13] 웹사이트 BUDDHISM AND SOCIETY IN SOUTHEAST ASIAN HISTORY https://history.wisc[...]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2017-07-22
[14] 웹사이트 Colonialism and Nationalism in Southeast Asia http://www.seasite.n[...] Center for Southeast Asian Studies,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2018-03-09
[15] 웹사이트 S-E Asia's identity long in existence http://www.hartford-[...] Hartford-hwp com 2017-01-08
[16] 웹사이트 SOVEREIGNTY AND THE STATE IN ASIA: THE CHALLENGES OF THE EMERGING INTERNATIONAL ORDER http://home.u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2018-01-13
[17] 웹사이트 Revisiting the "Lands Below the Winds" http://www.library.u[...] Library.ucla.edu 2017-02-08
[18] 서적 History of Ancient India (portraits of a Nation), 1/e https://books.google[...] Sterling Publishers Pvt. Ltd
[19] 간행물 Gold in early Southeast Asia http://archeoscience[...] 2018-03-09
[20] 서적 Indonesia, Malaysia & Singapore Handbook Trade & Trade & Travel Publications 1996
[21] 웹사이트 SOUTHEAST ASIA a Historical Encyclopedia, from Angkor Wat to East Timor 2004 http://www.univpgri-[...] Library of Congress 2017-02-08
[22] 서적 First Islanders: Prehistory and Human Migration in Island Southeast Asia Wiley-Blackwell 2017-04-10
[23] 웹사이트 Results of New Research at La-ang Spean Prehistoric Site http://www.d.dccam.o[...] dccam org 2017-01-02
[24] 뉴스 Malaysian scientists find stone tools 'oldest in Southeast Asia' http://www.google.co[...] 2017-01-02
[25] 뉴스 What the world’s oldest figurative drawing reveals about human migration https://arstechnica.[...] 2018-11-09
[26] 간행물 Further evidence for small-bodied hominins from the Late Pleistocene of Flores, Indonesia 2005-10-13
[27] 간행물 A Working Model of the Deep Relationships of Diverse Modern Human Genetic Lineages Outside of Africa 2017-04
[28] 웹사이트 Oldest bones from modern humans in Asia discovered http://www.cbsnews.c[...] CBSNews 2016-08-21
[29] 간행물 Early Modern Humans and Morphological Variation in Southeast Asia: Fossil Evidence from Tam Pa Ling, Laos 2015-04-07
[30] 간행물 Genome of a middle Holocene hunter-gatherer from Wallacea 2021-08
[31] 간행물 Genome of a middle Holocene hunter-gatherer from Wallacea 2021-08
[32] 간행물 The 'human revolution' in lowland tropical Southeast Asia: the antiquity and behavior of anatomically modern humans at Niah Cave (Sarawak, Borneo) 2007-03
[33] 웹사이트 Hunter-Gatherers in Southeast Asia: From Prehistory to the Present http://digitalcommon[...] 2017-01-02
[34] 웹사이트 The Tabon Cave Complex and all of Lipuun –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https://whc.unesco.o[...] 2017-02-22
[35] 간행물 Multiple Optima in Hoabinhian flaked stone artifact palaeoeconomics and palaeoecology at two archaeological sites in Northwest Thailand 2013
[36] 논문 The oldest Hoabinhian technocomplex in Asia (43.5 ka) at Xiaodong rockshelter, Yunnan Province, southwest China https://www.research[...] 2015-12-01
[37] 서적 New Perspectives in Southeast Asian and Pacific Prehistory ANU Press
[38]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Southeast Asia, Volume One, Part On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 서적 eLS American Cancer Society 2013
[40] 웹사이트 THE AUSTRONESIAN SETTLEMENT OF MAINLAND SOUTHEAST ASIA http://sealang.net/s[...] Sealang 2017-01-02
[41] 논문 Reconstructing Austronesian population history in Island Southeast Asia 2014-08-19
[42] 웹사이트 Austronesian Southeast Asia: An outline of contemporary issues http://www.omnivoyag[...] Omnivoyage 2017-01-02
[43] 웹사이트 Origins of Ethnolinguistic Identity in Southeast Asia http://www.rogerblen[...] Roger Blench 2017-01-02
[44] 서적 Dynamics of Human Diversity Pacific Linguistics 2011
[45] 논문 The Checkered Prehistory of Rice Movement Southwards as a Domesticated Cereal—from the Yangzi to the Equator https://core.ac.uk/d[...] 2011-12-09
[46] 서적 Perfect Order: Recognizing Complexity in Bali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47] 웹사이트 Pre-Angkorian Settlement Trends in Cambodia's Mekong Delta and the Lower Mekong http://www.anthropol[...] Anthropology.hawaii.edu 2017-02-11
[48] 웹사이트 Early Mainland Southeast Asian Landscapes in the First Millennium http://anthropology.[...] Anthropology.hawaii.edu 2017-02-12
[49] 서적 The Social Evolution of Indonesia: The Asiatic Mode of Production and Its Legacy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50] 논문 Holocene landscape intervention and plant food production strategies in island and mainland Southeast Asia 2014-11-00
[51] 간행물 Recent advances in the Iron Age archaeology of Taiwan 2000
[52] 뉴스 Notes from central Taiwan: Our brother to the south. Taiwan’s relations with the Philippines date back millenia, so it’s a mystery that it’s not the jewel in the crown of the New Southbound Policy Taiwan Times 2021
[53] 뉴스 Birthplace of Austronesians is Taiwan, capital was Taitung: Scholar Taiwan News 2017
[54] 문서 Taiwan Jade in the Philippines: 3,000 Years of Trade and Long-distance Interaction Semantic Scholar 2011
[55] 논문 The Origins of the Bronze Age of Southeast Asia https://www.research[...] 2017-02-11
[56] 웹사이트 How and When the Bronze Age Reached South East Asia http://www.newhistor[...] New Historian 2015-10-01
[57] 백과사전 history of Southeast Asia https://www.britanni[...] 2017-02-11
[58] 문서 Rethinking Cultural Resource Management in Southeast Asia 2011
[59] 서적 Excavations at Gò Cầm, Quảng Nam, 2000–3: Linyi and the Emergence of the Cham Kingdoms https://www.academia[...] Academia.edu 2017-02-12
[60] 서적 The Sunda Kingdoms of West Java, From Tarumanagara to Pakuan Pajajaran with Royal Center of Bogor, Over 1000 Years of Propsperity and Glory Yayasan cipta Loka Caraka
[61] 서적 Early Interactions Between South and Southeast Asia: Reflections on Cross-cultural Exchange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62] 서적 The Archaeology of Batujaya (West Java, Indonesia):an Interim Report, in Uncovering Southeast Asia's past https://books.google[...] NUS Press 2006-01-00
[63] 서적 Early Exchange between Africa and the Wider Indian Ocean World Palgrave Macmillan
[64] 논문 Outrigger Ages http://www.jps.auckl[...] 2020-02-25
[65] 서적 Archaeology and Language III: Artefacts languages, and texts Routledge
[66] 서적 Wangka: Austronesian Canoe Origins Texas A&M University Press 1981
[67] 논문 Fruits and arboriculture in the Indo-Pacific region https://journals.lib[...] 2004
[68] 서적 Genes, Language, & Culture History in the Southwest Pacific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69] 서적 Ancient Chamorro Society https://books.google[...] Bess Press 1992
[70] 논문 Stone tool reveals lengthy Polynesian voyage https://www.nature.c[...] 2007-09-27
[71] 서적 Maritime Trade and State Development in Early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72] 웹사이트 Asia's French Connection : George Coedes and the Coedes Collection http://www.nla.gov.a[...]
[73] 웹사이트 Southeast Asia: Imagining the region http://www.amitavach[...] Amitav Acharya 2018-01-13
[74] 서적 Societies, Networks, and Transitions, Volume I: To 1500: A Global History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75] 웹사이트 The Mon-Dvaravati Tradition of Early North-Central Thailand http://www.metmuseum[...]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9-12-15
[76] 간행물 Urban Morphology of Commercial Port Cities and Shophouses in Southeast Asia
[77] 웹사이트 Hinduism in Southeast Asia http://www.oxfordbib[...] oxford press 2013-05-28
[78] 웹사이트 Hinduism and Buddhism in Southeast Asia by Monica Sar on Prezi https://prezi.com/ju[...] 2017-02-20
[79] 웹사이트 THEORIES OF INDIANIZATION Exemplified by Selected Case Studies from Indonesia (Insular Southeast Asia) http://www.oeaw.ac.a[...] Österreichische Akademie der Wissenschaften 2018-01-14
[80] 서적 The Middle Kingdom: A Survey of the Geography, Government, Literature, Social Life, Arts and History of the Chinese Empire and Its Inhabitants https://books.google[...] Routledge
[81] 웹사이트 Maritime Silk Road https://www.southeas[...] 2020-02-25
[82] 서적 Lost Kingdoms of Early Southeast Asia: Hindu-Buddhist Sculpture 5th to 8th century https://www.research[...] Yale University Press
[83] 간행물 The Maritime Silk Road: History of an Idea https://www.iseas.ed[...] 2016
[84] 간행물 Maritime Southeast Asia Between South Asia and China to the Sixteenth Century 2014-02-03
[85] 웹사이트 The Buddhist World of Southeast Asia http://www.ahandfulo[...] Suny Press 2017-02-20
[86] 간행물 Beyond the Weberian Trails: An Essay on the Anthropology of Southeast Asian Buddhism 2009-03-01
[87] 웹사이트 EXPANSION OF BUDDHISM INTO SOUTHEAST ASIA https://en.unesco.or[...] Unesco 2017-01-02
[88] 서적 Mysteries of Borobudur Discover Indonesia https://books.google[...] Tuttle Publishing 2013-02-22
[89]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Asian Civilizations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90] 웹사이트 The Buddhist World: Buddhism in Southeast Asia: Burma, Thailand, Cambodia, Laos, Vietnam, Indonesia. https://www.buddhane[...] 2018-01-14
[91] 웹사이트 Śrīvijaya towards Chaiya ー The History of Srivijaya http://www7.plala.or[...] NTT Plala Inc 2018-03-10
[92] 서적 Deśawarṇana (Nāgarakṛtāgama) by Mpu Prapañca KITLV Press 1995
[93] 웹사이트 Was Majapahit Really an Empire https://www.newmanda[...] 2020-01-09
[94] 간행물 The Laguna Copperplate Inscription: Tenth-Century Luzon, Java, and the Malay World https://shs.hal.scie[...] 2022
[95] 간행물 Siamese Attacks On Angkor Before 1430
[96] 웹사이트 A Short History of South East Asia Chapter 3. The Repercussions of the Mongol Conquest of China ...The result was a mass movement of Thai peoples southwards... http://faculty.washi[...] Stanford University 2018-03-11
[97] 서적 Burmese Administrative Cycles: Anarchy and Conquest, c. 1580-1760 https://play.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07-14
[98] 서적 Lieberman 2003
[99] 문서 Lieberman 2003: 151–152
[100] 웹사이트 THAI-BURMESE WARFARE DURING THE SIXTEENTH CENTURY AND THE GROWTH OF THE FIRST TOUNGOO EMPIRE http://www.siamese-h[...]
[101] 웹사이트 Min-gyi-nyo, the Shan Invasions of Ava (1524-27), and the Beginnings of Expansionary Warfare in Toungoo Burma: 1486-1539 https://www.soas.ac.[...]
[102] 서적 Burmese Administrative Cycles: Anarchy and Conquest, c.1580-1760 https://drive.google[...]
[103] 서적 Burmese Administrative Cycles: Anarchy and Conquest, c. 1580-1760 https://drive.google[...]
[104] 웹사이트 The Architecture of the Early Mosques and Shrines of Java: Influences of the Arab Merchants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https://www.research[...] 2017-02-04
[105] 백과사전 Islam: Islam in Southeast Asia – Dictionary definition of Islam: Islam in Southeast Asia http://www.encyclope[...] 2017-01-30
[106] 웹사이트 Islam, The Spread of Islam To Southeast Asia http://history-world[...] History-world.org 2017-01-30
[107] 서적 A History of Islam in the Malay-Indonesian World: between Acculturation and Rigor https://www.academia[...] Academia.edu 2017-02-04
[108]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Southeast Asia – The Arrival of Islam in Southeast Asia https://asiasociety.[...] Asia Society 2018-01-13
[109] 웹사이트 Made in China – National Geographic Magazine http://ngm.nationalg[...] 2017-02-04
[110] 웹사이트 Press Room http://www.asia.si.e[...] Asia.si.edu 2017-02-04
[111] 웹사이트 An Earlier Age of Commerce in Southeast Asia : 900–1300 C.E. http://www.helsinki.[...] Helsinki.fi 2017-02-04
[112] 웹사이트 Gravestone – Collections – Antiquities Museum http://antiquities.b[...] Antiquities.bibalex.org 2017-02-04
[113] 웹사이트 Signatures on gravestones: two XII century Iranian tombstones https://squarekufic.[...] squarekufic 2017-02-04
[114] 서적 Cheng Ho and Islam in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115] 간행물 Cheng Ho and the History of Chinese Muslims in Java https://www.academia[...] 2017-02-04
[116] 서적 Cheng Ho and Islam in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117] 웹사이트 International research update 62 http://ec.europa.eu/[...] Ec.europa.eu 2017-02-04
[118] 간행물 Ghazwul fikri or Arabisation? Indonesian Muslim responses to globalisation https://www.academia[...] Academia.edu 2014-01
[119] 보고서 Southeast Asia: A political and economic introduction – Commons Library briefing – UK Parliament http://researchbrief[...] Researchbriefings.parliament.uk 2017-02-04
[120] 간행물 Fatalism in India: A Comparison between Hindus and Muslims 1966-07
[121] 웹사이트 A Short History of China and Southeast Asia.pdf – A Short History of Asia http://docs8.minhate[...] Docs8.minhateca.com 2017-02-04
[122] 웹사이트 The Ming Voyages http://afe.easia.col[...] Columbia University 2018-03-25
[123] 웹사이트 Zheng He – Chinese Admiral in the Indian Ocean https://www.khanacad[...] Khan Academy 2018-03-25
[124] 웹사이트 The Travels of Marco Polo, the Venetian – Book III http://public-librar[...] Public Library UK 2018-03-25
[125] 백과사전 Niccolò dei Conti https://www.britanni[...] 2018-03-25
[126] 문서
[127] 문서
[128] 서적 Journal of an Embassy from the Governor–general of India to the Courts of Siam and Cochin China H. Colburn and R. Bentley 2014-02-10
[129] 문서
[130] 서적 The old shipmasters of Salem G.P. Putnam's Sons 1905
[131] 서적 Embassy to the Eastern Courts of Cochin-China, Siam, and Muscat: In the U.S. Sloop-of-War Peacock During the Years 1832–34 https://books.google[...] Harper & Brothers
[132] 웹사이트 1b. Harris Treaty of 1856 http://www.mnh.si.ed[...]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2014-02-09
[133] 간행물 The 1901–1902 Holy Man's Rebellion http://www.siamese-h[...] Siam Heritage Trust 2013-04-02
[134] 간행물 The 1820 Land Concession to the Portuguese http://www.siamese-h[...] Siam Society 2014-02-06
[135] 간행물 A Very Small Part of World Affairs http://www.siamese-h[...] Siam Society 2013-09-07
[136] 뉴스 Vichy versus Asia: The Franco-Siamese War of 1941 http://www.ww2f.com/[...]
[137] 웹사이트 Some reflections on Southeast Asia and its position in academia http://projectsouthe[...] Project Southeast Asia 2018-01-14
[138] 문서
[139] 문서
[140] 서적 Hindu-Buddhist Architecture in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BRILL
[141] 서적 The Sociology of Southeast Asia: Transformations in a Developing Region https://books.google[...] NIAS Press
[142] 저널 Multiple migrations to the Philippines during the last 50,000 years 2021-03-30
[143] 저널 Genome of a middle Holocene hunter-gatherer from Wallacea 2021-08
[144] 서적 A History of Early Southeast Asia: Maritime Trade and Societal Development, 100-1500
[145] 저널 Trade and Exchange Networks in Iron Age Cambodia: Preliminary Results from a Compositional Analysis of Glass Beads https://journals.lib[...] 2010
[146] 웹인용 Chinese trade http://www.britishmu[...] Britishmuseum.org 2017-01-11
[147] 웹인용 Culture, Regionalism and Southeast Asian Identity http://www.amitavach[...] Amitavacharya.com 2017-01-08
[148] 웹인용 Geographies of knowing, geographies of ignorance: jumping scale in Southeast Asia 2002 – Willem van Schendel Asia Studies in Amsterdam https://pure.uva.nl/[...] University of Amsterdam 2017-02-08
[149] 서적 The Eastern Origins of Western Civilisa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0] 서적 Islamic Societies in Southeast Asia Oxford University Press 2009-09-01
[151] 보고서 Oxford University Press
[152] 웹인용 BUDDHISM AND SOCIETY IN SOUTHEAST ASIAN HISTORY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2017-07-22
[153] 웹인용 Colonialism and Nationalism in Southeast Asia http://www.seasite.n[...] Center for Southeast Asian Studies,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2018-03-09
[154] 웹인용 S-E Asia's identity long in existence http://www.hartford-[...] Hartford-hwp com 2017-01-08
[155] 웹인용 SOVEREIGNTY AND THE STATE IN ASIA: THE CHALLENGES OF THE EMERGING INTERNATIONAL ORDER http://home.u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2018-0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