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괴뢰정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괴뢰 정권은 형식적으로 독립 국가의 형태를 갖추고 있지만, 실제로는 외부 세력의 의사에 따라 움직이는 정권을 의미한다. 이는 특정 강대국의 지배를 위장하거나 완화하기 위해 수립되며, 식민지 지배, 침략, 점령 등을 은폐하는 수단으로 활용된다. 역사적으로 만주국, 비시 프랑스, 북키프로스 등이 괴뢰 정권으로 간주되어 왔으며, 냉전 시대에는 소련의 위성국들이 이에 해당했다. 현재도 북키프로스, 트란스니스트리아, 압하지야, 남오세티야 등이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괴뢰 정권의 평가는 가치 판단이 수반되며, 특정 정권의 정통성을 부정하거나, 내란에 외세가 개입된 경우 서로를 비난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립 - 독립기념일
    독립기념일은 한 국가가 다른 국가로부터 정치적 독립을 쟁취한 것을 기념하는 날로, 이 문서는 전 세계 국가들의 독립 연도, 날짜, 이전 지배 국가 등의 정보를 대륙별 표로 정리하여 제공하며, 일부 국가의 역사적 배경 설명과 독립기념일이 없는 국가 목록도 포함한다.
  • 독립 - 종주권
    종주권은 한 국가가 다른 국가의 통치권을 일부 위임받는 관계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으며, 대외 주권 행사, 조공, 책봉-조공 시스템 등을 통해 관계가 형성되었고, 서구 열강의 식민주의 확산으로 붕괴되었다.
  • 주권 - 탈식민지화
    탈식민지화는 식민지 지배로부터의 해방과 독립을 쟁취하는 과정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1960년 결의안을 통해 식민지화된 국가들에게 자결권을 부여하였다.
  • 주권 - 독립기념일
    독립기념일은 한 국가가 다른 국가로부터 정치적 독립을 쟁취한 것을 기념하는 날로, 이 문서는 전 세계 국가들의 독립 연도, 날짜, 이전 지배 국가 등의 정보를 대륙별 표로 정리하여 제공하며, 일부 국가의 역사적 배경 설명과 독립기념일이 없는 국가 목록도 포함한다.
  • 정부형태 - 군주제
    군주제는 한 명의 군주가 국가 원수로서 통치하는 정치 체제로, 세습이나 선거를 통해 즉위하며 다양한 형태로 역사적으로 존재해 왔고, 현대에는 일부 국가에서 전통으로서 유지되고 있다.
  • 정부형태 - 연방제
    연방제는 중앙 정부와 지방 정부가 권력을 분담하는 정치 체제이며, 지역 이익과 국가 이익의 조화, 다양한 민족 집단의 이익 조정 등 복잡한 과제를 수반하며, 단일 국가, 연합, 제국 등 다른 국가 형태와 구별된다.
괴뢰정권
개요
꼭두각시 인형극
괴뢰 정부의 지도자가 조종을 받는 인형극의 꼭두각시처럼 묘사된 모습 (1864년).
정의다른 국가에 의해 통제되는 국가
특징
명칭명목상 주권 국가
실질외세의 효과적인 통제 하에 놓임
역사적 맥락
형성 배경전쟁, 정치적 압력, 경제적 종속 등 다양한 요인
목적점령국의 이익을 보호
정치적 영향력 확대
자원 착취
사례만주국
비시 프랑스
나치 독일 점령지의 국가들
국제법적 관점
합법성국제법상 논란의 여지가 있음
인정 여부국제 사회에서 정당한 정부로 인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비판적 시각
주권 침해국가의 자주적인 결정권을 무시하고 외부 세력의 영향력 아래 둠
민족 자결권 침해해당 지역 주민의 의사를 반영하지 않고 수립되는 경우가 많음
불안정 초래주변 국가와의 관계 악화 및 지역 분쟁의 원인이 되기도 함

2. 정의

'꼭두각시'를 의미하는 '괴뢰'는 타국에 의해 군사적으로 점령된 지역에 형식적인 권한만 가진 정부를 세우는 경우를 가리키는 말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외부 세력의 지배를 받는 정권을 포괄적으로 지칭하거나, 상대 정권의 정통성을 부정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따라서 특정 정권이 괴뢰정권인지 판단하는 것은 가치 판단을 수반하며, 종속국, 위성국가 등 유사한 개념과의 구분도 모호하다. 특히 내란에 외세가 개입하여 만들어진 여러 정권들은 서로를 외부 세력의 괴뢰정권이라고 비난하는 경우가 많다.

괴뢰국은 국기, 국가, 헌법 등 "겉으로 보이는 권위의 상징"을 부여받지만,[4] 실제로는 괴뢰 정부를 만들고 후원하며 통제하는 다른 국가의 부속물이다.[5] 국제법은 군사 점령된 괴뢰국을 정당한 것으로 인정하지 않는다.[6]

괴뢰국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괴뢰 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다.


  • "주인" 국가의 군사적 패배 (1945년 유럽아시아에서와 같이)
  • 주인 국가로의 흡수 (초기 소련에서와 같이)
  • 독립 획득


"괴뢰 정부"라는 용어는 국가 또는 정부를 줄에 묶여 조종당하는 꼭두각시에 비유하는 은유이다.[7] 1884년 이집트 헤디브국을 지칭하면서 처음 사용되었다.[8]

중세 시대에는 왕이 하위 귀족에게 통치를 위임하는 봉건 국가가 존재했다.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 이후, 베스트팔렌 체제 하에서 주권이 토지를 소유한 귀족보다는 토지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더 밀접하게 연결되면서 국가라는 개념이 생겨났다.

종주권은 이와 유사한 초기 개념으로, 한 국가가 다른 국가의 대외 관계를 통제하는 것이다. "괴뢰"라는 단어는 "꼭두각시"를 의미하며, 나아가 배후 조종자에게 이용되는 자를 가리킨다.[88][89]

형식적으로는 독립 국가이지만, 정부가 자국민의 이익이 아닌 특정 강대국의 의사에 따라 행동하는 경우, 그 정권을 괴뢰 정권, 괴뢰 국가라고 부른다.[90][91] 괴뢰 정권은 실제 지배자의 꼭두각시이며, 타국의 뜻대로 조종당하는 정권이다.[92] 형식적으로는 독립했지만 실질적으로는 식민지와 같은 지위에 있는 반식민지나 점령 하에 있는 국가에, 식민지 지배나 침략, 점령을 위장하기 위해 수립된다.[92] 지배국 또는 점령국의 의사는 협력자에게 정권을 만들게 하여 괴뢰 정권을 통해 간접적으로 표현되므로, 식민지적 지배나 침략은 종종 위장되거나 완화되며, 독립성의 외관을 유지함으로써 국제 여론이나 지역 주민 감정에 대해 위장 효과를 가진다.[90][91]

예시로는 만주 사변 후의 만주국, 기동방공자치정부, 몽골 연합 자치 정부, 왕징웨이의 난징 국민 정부,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제국이 점령한 버마, 인도네시아, 필리핀동남아시아 각지의 정부들이 있다.[91][92] 또한,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점령지 비시에 세운 프랑스비시 프랑스, 노르웨이비드쿤 크비슬링 정권 등이 있다.[92]

3. 특징

꼭두각시를 의미하는 '괴뢰'라는 단어는, 좁게는 타국이 군사적으로 점령한 지역에 형식적인 권한만 가진 정부를 세우는 경우를 가리킨다. 그러나 실제로는 더 넓은 의미로, 외부 세력의 지배를 받는 정권을 지칭하거나, 상대 정권이 그러한 상황이라고 주장하며 정통성을 부정할 때 사용되는 표현이기도 하다. 따라서 특정 정권이 괴뢰정권인지 평가할 때는 가치 판단이 따르는 것이 불가피하다. 특히 내란에 외세가 개입하여 여러 정권이 존재하는 경우, 서로 상대 정권을 배후 세력의 괴뢰 정권이라고 비난하는 경우가 많다. 역사 속 정권에 대해서도, 여전히 괴뢰정권이라는 명칭이 적절한지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기도 한다. 종속국, 위성국가 등 유사한 개념과의 구분도 모호하다.

괴뢰국은 이름, 국기, 국가, 헌법, 법전, 모토 등 "겉으로 보이는 권위의 상징"을 부여받지만,[4] 실제로는 괴뢰 정부를 만들고,[5] 지원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통제하는 다른 국가의 부속물이다. 국제법은 군사 점령된 괴뢰국을 정당한 것으로 인정하지 않는다.[6]

괴뢰국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괴뢰 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다.


  • "주인" 국가의 군사적 패배 (1945년 유럽아시아에서와 같이)
  • 주인 국가로의 흡수 (초기 소련에서와 같이)
  • 독립 획득


이 용어는 국가 또는 정부를 줄에 묶여 조종당하는 꼭두각시에 비유하는 은유이다.[7] "괴뢰 정부"라는 용어는 1884년 이집트 헤디브국을 지칭하면서 처음 사용되었다.[8]

형식적으로는 독립 국가이지만, 실제로는 다른 특정 강대국의 의사에 따라 행동하는 정부를 일반적으로 괴뢰 정권, 괴뢰 국가라고 부른다.[90][91] 즉, 괴뢰 정권은 실제 지배자의 꼭두각시(괴뢰)이며, 타국의 뜻대로 조종당하는 정권이다.[92] 형식적으로는 독립했지만 실질적으로는 식민지와 같은 지위에 있는 반식민지나 점령 하에 있는 국가에, 식민지 지배나 침략, 점령을 위장하기 위해 수립된다.[92] 지배국 또는 점령국의 의사는, 그 지역 주민 중 협력자에게 정권을 만들게 하여 괴뢰 정권을 통해 간접적으로 표현되므로, 식민지적 지배나 침략은 종종 위장되거나 겉보기에 완화되며, 독립성의 외관을 유지함으로써 국제 여론이나 그 지역 주민 감정에 대해 위장 효과를 가진다.[90][91]

중세 시대에는 왕이 하위 계급의 귀족에게 국가 통치를 위임하는 것을 기반으로 한 봉건 국가가 존재했다.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 이후, 베스트팔렌 체제 하에서 주권이 토지를 소유한 귀족보다는 토지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더 밀접하게 연결되면서 국가라는 개념이 생겨났다.

이와 유사한 초기 개념으로는 종주권이 있는데, 이는 한 국가가 다른 국가의 대외 관계를 통제하는 것이다.

4. 역사적 사례

영국령 인도 제국 지도, 노란색은 번왕국


1896년, 영국은 잔지바르에 괴뢰 정권을 수립했다.[96]

중국사에서는 책봉이라고 불리는, 타국의 왕을 황제 등의 상위자가 승인하는 체제가 행해졌으나, 대부분 명목적인 것이었고 실질적인 지배권을 가졌던 예는 적다.

;러시아

  • 압하스 공화국 - 조지아 영토
  • 남오세티야 공화국 - 조지아 영토
  • 트란스니스트리아 몰도바 공화국 - 몰도바 영토
  • 도네츠크 인민 공화국 - 우크라이나 영토
  • 루간스크 인민 공화국 - 우크라이나 영토
  • 크림 공화국 - 우크라이나 영토, 성립 다음 날 러시아에 병합


;아르메니아

;기타

4. 1. 고대 및 중세

신라가 한반도 남부를 통일한 후 고구려 유민들을 달래기 위해 보덕국을 괴뢰 국가로 만들었다.[1] 요나라발해를 멸망시킨 후, 발해 유민들의 저항을 무마하려고 동란국을 괴뢰 국가로 만들었다.[2] 남북조 시대서위후량을 괴뢰 국가로 세웠다.[3]

고대 및 중세 시대의 괴뢰 정권
정권명존속 기간내용
보덕국670년 - 684년신라고구려 유민을 옹립한 괴뢰 정권.[4]


4. 2. 프랑스 혁명 및 나폴레옹 시대

프랑스 혁명 전쟁(1792-1802) 시기, 프랑스 제1공화국은 주변 군주제 국가들과 충돌하며 프랑스 혁명 전쟁에 돌입했고, 점령지인 이탈리아, 네덜란드 등에 공화제 정권들을 세웠는데, 이를 자매 공화국이라 한다. 이들은 현지 공화주의자들의 협력을 얻었으나 프랑스의 군사적 영향력에 의존하였고, 대부분 현지 왕정이 복귀하며 무너졌다. 이탈리아의 치살피나 공화국, 리구리아 공화국, 로마 공화국, 네덜란드의 바타비아 공화국, 스위스의 헬베티아 공화국 등이 있었다.

나폴레옹 전쟁(1803-1815) 시기, 나폴레옹이 이끄는 프랑스 제1제국은 유럽의 넓은 지역을 점령하고 현지에 여러 위성국가들을 세웠다. 이들은 나폴레옹의 패전과 함께 무너졌으나 이후 유럽 여러 지역의 민족 국가 수립에 영향을 끼쳤다. 대표적으로 독일의 라인 동맹, 이탈리아 왕국, 바르샤바 공국 등이 있었다.

프랑스 제1제국과 1812년의 위성 국가


바타비아 공화국은 프랑스 혁명의 보호 아래 네덜란드에 수립되었다. 프랑스 제1공화국은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초에 이탈리아에 자매 공화국을 확산시켰다. 동유럽에서 나폴레옹의 프랑스 제1제국바르샤바 공국이라는 폴란드 괴뢰 국가를 세웠다.

4. 3. 제1차 세계 대전

독일 제국제1차 세계 대전 동안, 특히 러시아 내전으로 중앙 권력이 약화된 러시아 제국의 영토 중 러시아인이 아닌 민족이 사는 지역에 현지 민족주의자들의 협력으로 친독일 국가들을 수립했다. 이들 중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조지아는 볼셰비키의 재침공으로 다시 소련의 일부가 되었으나 나머지는 독립한 주권 국가로 이어졌다.

동맹국 군대는 1915년 러시아 제국의 콩그레스 폴란드를 점령했고, 1916년 독일 제국오스트리아-헝가리는 점령지를 더 쉽게 이용하고 폴란드인들을 러시아에 대항하여 동원하기 위해 폴란드 군주국을 세웠다(폴란드 군단 참조).[10] 1918년 이 국가는 독립하여 새롭게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제2 폴란드 공화국의 중추를 형성했다.

러시아의 패배와 1918년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의 영토 할양 이후, 독일은 리투아니아 왕국을 세웠다.[10] 그러나 독일의 패배와 함께 독립 공화국이 되었다.

1915년, 독일군은 러시아의 쿠를란트 현을 점령했고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은 동부 전선의 전쟁을 종식시켰다. 이에 따라 현지 민족인 발트 독일인들은 ''오베르 오스트'' 지역에서 독일 왕실 산하의 공국을 세웠으며, 군사적 목적을 위해 민간 행정의 일반적인 복귀가 이루어졌다.[10] 이 국가는 곧 발트 연합 공국과 리보니아 및 에스토니아의 러시아 제국 점령지를 합병하여 다민족 국가인 발트 연합 공국을 형성했다.

남서 코카서스 임시 국민 정부와 서트라키 임시 정부는 오스만 제국이 이 지역의 영토를 잃은 후 트라키아와 코카서스의 튀르키예 소수 민족에 의해 설립된 임시 공화국이었다.[10] 둘 다 조직 구조와 조직자 측면에서 오스만 정보 기관인 테쉬킬라트-이 마흐수사의 산물이었다.[10]

도네츠크-크리보이로크 공화국(1918)은 러시아 소비에트 공화국의 원격 통제를 받던 국가로,[11] 요시프 스탈린의 절친한 친구인 표도르 세르게예프에 의해 설립되었다.[12] 그러나 이 공화국은 블라디미르 레닌에게 미움을 받았다. 공화국의 수도는 곧 독일군에 의해 다시 점령되었고, 소련 붉은 군대가 이 영토에 대한 통제권을 되찾은 후 레닌의 요청에 따라 국가는 해체되었다.

중앙 리투아니아 공화국(1920–1922)은 1922년 폴란드 제2공화국에 종속되어 완전히 병합되었다.

회의 왕국(폴란드 왕국) (1815년 - 1915년)은 국왕은 러시아 제국 황제가 겸임했다. 독자적인 헌법, 의회, 군대 등을 갖추었으나, 11월 봉기 (1830년)와 1월 봉기 (1863년)의 실패로 자치권이 폐지되었다.

4. 4.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여러 국가들이 특정 강대국의 영향력 아래 놓이면서 사실상 '괴뢰 정권'으로 분류될 수 있는 상황에 놓였다. 이러한 괴뢰 정권들은 크게 일본 제국, 나치 독일이탈리아, 그리고 연합국 세력에 의해 수립되었다.

2020년 추축국의 점령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의 독일 점령 유럽

4. 4. 1. 일본 제국

일본 제국중일 전쟁 이전에 만주국과 몽강국을 세웠고, 중일 전쟁 중에는 일시적 통치를 위해 여러 괴뢰 정부들을 수립하였다.[99]

명칭존속 기간설명
만주국1932년 ~ 1945년일본 제국 관동군이 주도하여 건국하였으며, 청나라의 마지막 황제 푸이를 내세워 정통성을 주장했다.[99] 사실상 일본의 식민지였으며, 2키 3스케 중 한 명인 도조 히데키는 후에 총리가 되었다.
지둥방공자치정부1935년 ~ 1938년허베이성에서 1930년대 후반 완충국 목적으로 존재했던 일본 제국의 괴뢰국이다.
몽강연합자치정부1936년 ~ 1945년데므치그돈로브에 의해 1936년 5월 12일 몽골군 정부로 수립되었고, 1937년 10월 몽골연맹자치정부, 1939년 9월 1일 몽강연합자치정부(몽강국)로 개칭되었다. 데므치그돈로브는 일본에 협력하던 인물로, 몽강국은 만주국의 영향 아래 있던 사실상의 일본 괴뢰국이었다.
상하이시 다다오 정부1937년 ~ 1938년제2차 상하이 사변으로 인해 건국되어 8개월간 존재했던 일본의 괴뢰 정부
중화민국 임시 정부1937년 ~ 1940년중일 전쟁 기간 임시 정부로 탄생한 일본 제국의 괴뢰 정권이다.
중화민국 유신정부1938년 ~ 1940년중일 전쟁 중 존재하던 일본의 괴뢰국 형태의 중국 임시정부이다.
왕징웨이 정권1940년 ~ 1945년왕징웨이가 일본군의 지원을 받아 난징시에 설립한 국민당 정부이다.



일본군이 동남아시아, 남아시아 지역까지 점령하면서 세워진 괴뢰국들은 다음과 같다.

명칭존속 기간설명
버마국1942년 ~ 1945년일본 제국이 버마 지역에 세운 괴뢰 정권
필리핀 제2공화국1943년 ~ 1945년호세 라우렐을 대통령으로 하여 필리핀에 세워진 괴뢰 정권
자유 인도 임시 정부1943년 ~ 1945년수바스 찬드라 보스가 일본 군부의 지원을 받아 수립한 정부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일본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총독부를 폐지하고 괴뢰국들을 세웠다. 이들은 일본 패전 후 무너졌다.

명칭존속 기간설명
베트남 제국1945년 3월 ~ 8월바오 다이 국왕이 일본군에 협력하여 세운 국가
캄보디아 왕국1945년 3월 ~ 8월노로돔 시아누크 국왕이 1945년 3월 12일에 독립을 선언했으나, 일본 항복 후 다시 프랑스 보호령이 되었다.
라오스 왕국1945년 4월 ~ 8월일본 점령 이후 시사방봉 국왕이 독립 선언한 국가


4. 4. 2. 나치 독일 및 파시스트 이탈리아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독일이탈리아의 지배를 받던 여러 유럽 정부들은 "괴뢰 정권"으로 묘사되어 왔다. 점령된 유럽에서 공식적인 통제 수단은 매우 다양했다.

  • 슬로바키아 공화국 (1939-1945): 독일이 체코슬로바키아의 체코 지역을 점령한 이후 슬로바키아 인민당요제프 티소를 시켜 슬로바키아 지역에 세우게 한 괴뢰국.[18] 보헤미아 모라바 보호령은 사실상 완전히 점령되어 있던 지역으로서, 독립적인 괴뢰국으로는 여겨지지 않는다. 슬로바키아 공화국은 성직자 파시스트 민족주의 운동으로 로마 가톨릭교회와 관련이 있었으며, 몬시뇰 요제프 티소가 명목상 독립적인 슬로바키아의 대통령이 되었다.
  • 비시 프랑스 (1940-1942): 나치 독일이 프랑스 점령 후 필리프 페탱에 프랑스 남부에 대한 일부 통치권을 위임하여 세운 괴뢰 정권이다. 자유 프랑스와 대립하였다. 필리프 페탱의 비시 프랑스 정권은 1940년부터 1942년까지 제한적인 자율성을 가졌으며, 독일에 크게 의존했다. 비시 정부는 프랑스의 많은 식민지와 프랑스의 비점령 지역을 통제했으며 국제적인 승인을 받았다. 1942년, 독일은 안톤 작전을 통해 비시 정부가 관할하던 프랑스 지역을 점령하고 피에르 라발 아래 새로운 지도부를 설치하여 비시 프랑스의 국제적 정통성을 크게 훼손했다.
  • 알바니아 왕국 (1939-1943) : 이탈리아 왕국이 알바니아를 점령해 세운 괴뢰국.[19] 이탈리아는 1939년 알바니아를 침공하여 알바니아 국왕 조그 1세의 통치를 종식시켰다. 이탈리아 국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알바니아 국왕이라는 칭호를 추가했고 조그는 망명했다.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국왕과 알바니아 총리 겸 국가 원수인 셰프케트 베이 벨라치가 이탈리아 보호령을 통치했다. 벨라치는 1941년 12월 3일 무스타파 메를리카 크루야로 교체되었다.
  • 크로아티아 독립국 (1941-1945): 추축국이던 나치 독일, 이탈리아 왕국, 헝가리 왕국이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지역에 세운 괴뢰 국가. 크로아티아 독립국(''Nezavisna Država Hrvatska'' 또는 NDH)은 독일과 이탈리아의 괴뢰 정권이었다. 서류상으로는 NDH는 사보이 가문의 아이모네 공작 토미슬라브 2세가 왕으로 있는 왕국이었지만, 토미슬라브 2세는 크로아티아에서 실질적인 권한을 행사하지 못하는 허수아비였고, 안테 파벨리치가 어느 정도 독립적인 지도자('포글라브니크')였지만, 로마와 베를린에 복종했다.
  • 그리스국 (1941-1944): 게오르기오스 초라코글루, 콘스탄티노스 로고테토풀로스, 요안니스 랄리스가 이끈 헬레닉 국가는 추축국의 그리스 점령 기간 동안 "협력" 괴뢰 정부였다. 독일, 이탈리아, 불가리아 왕국은 이 정권 기간 동안 그리스의 여러 지역을 점령했다.
  • 세르비아 구국정부 (1941-1944): 세르비아 지역에 2번째로 세워진 괴뢰정부. 몬테네그로 지역은 이탈리아 왕국의 완전한 보호령으로 있었다. 밀란 네디치 장군이 이끌었으며, 때로는 네디치의 세르비아로 알려진 이 정부는 세르비아 군사령관 관할 지역에서 활동한 독일의 괴뢰 정권이었다.
  • 로코트 자치국 (1941-1943): 제2차 대전 중 나치 독일이 러시아 일부 지역에 세웠던 괴뢰 정부. 콘스탄틴 보스코보이니크와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가 이끈 로코트 공화국은 나치 점령 하의 러시아 내 준자치 지역으로, 협력 행정부가 통치했다. 이 공화국은 오룔 주와 쿠르스크 주의 여러 라이온 지역을 포함했다. 이는 카민스키 여단으로 알려진 러시아 해방 인민군 (''Russkaya Osvoboditelnaya Narodnaya Armiya'' 또는 RONA)과 직접 연관되어 있었다.
  • 벨라루스 중앙 라다 (1943-1944): 제2차 대전 중 나치 독일이 벨라루스에 세운 괴뢰 국가.
  • 노르웨이 크비슬링 정부 (1942-1945): 나치 독일의 노르웨이 점령은 독일 국가판무관(Reichskommissar) 요제프 테어보벤이 모든 권한을 갖게 되면서 시작되었으며, 그는 이를 ''Reichskommissariat Norwegen''을 통해 행사했다. 친독일 파시스트인 노르웨이인 비드쿤 퀴슬링은 독일 침공 중인 1940년 4월 9일에 노르웨이 정부에 대한 쿠데타를 시도했지만, 독일은 1942년 2월 1일까지 다른 자국 정부를 이끌도록 그를 임명하지 않았다.
  • 이탈리아 사회공화국 (1943-1945): 무솔리니의 파시스트당이 실각하고 이탈리아 정부가 연합국 점령 하의 남부 지역으로 옮겨가자 독일이 이탈리아 북부를 점령하고 망명한 무솔리니를 세워 통치하게 한 정권. 살로 공화국이라고도 불린다. 피에트로 바돌리오 장군과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국왕은 이탈리아를 추축국에서 탈퇴시키고 정부를 이미 연합국의 통제를 받던 이탈리아 남부로 이동시켰다. 이에 대응하여 독일군은 이탈리아 북부를 점령하고 베니토 무솔리니를 "국가 원수"이자 "외무부 장관"으로 하는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Repubblica Sociale Italiana'' 또는 RSI)을 건국했다. RSI 정부는 독립 국가의 외형을 갖추었지만, 경제적으로나 정치적으로 독일에 완전히 의존했다.
  • 알바니아 왕국 (1943-1944): 이탈리아 왕국이 추축국에서 이탈하자 나치 독일이 이탈리아의 괴뢰국이였던 알바니아를 점령해서 세운 괴뢰 국가. 독일은 1943년 이탈리아가 전쟁에서 물러났을 때 알바니아를 점령했고, 이브라힘 베이 비차쿠, 메흐디 베이 프라셰리, 레제프 베이 미트로비차가 나치 치하에서 연달아 총리가 되었다.
  •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1944-1945): 나치 독일이 1944년 헝가리를 점령한 뒤 화살십자당의 당수이던 살러시 페렌츠를 지도자로 하여 세운 괴뢰국. 친 나치 정권인 총리 페렌츠 셜러시가 이끄는 친독일, 반유대주의 파시스트 화살십자당은 독일의 괴뢰 정권이었다. 셜러시는 아돌프 히틀러가 판저파우스트 작전을 개시하고 헝가리 섭정 호르티 미클로시 제독을 제거하여 가택 연금한 후 독일군에 의해 설치되었다. 호르티는 셜러시에게 양위하도록 강요받았다. 셜러시는 부다페스트 공방전 이후에도 끝까지 저항했고, 헝가리는 완전히 함락되었다.
  • 모나코 (1942–1944) – 1943년, 이탈리아군은 모나코를 침공하여 점령하고 파시스트 행정부를 세웠다.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베니토 무솔리니가 이탈리아에서 축출된 후, 독일군이 모나코를 점령하고 유대인들을 추방하기 시작했다. 그들 중에는 모나코의 ''오페라 발레'' 창립자인 르네 블룸이 있었는데, 그는 나치 절멸 수용소에서 사망했다.

4. 4. 3. 연합국


  • -- 이라크 왕국 (1941-1947): 1941년 4월 라시드 알리의 친나치 쿠데타 이후 영국이 침공하여 군부를 몰아내고 통치에 개입했다. 1942년 이라크는 영국의 요구에 따라 추축국에 선전포고했다.[20] 이라크는 인도로 가는 길목에 위치하여 영국에게 중요했고, 전략적 석유 매장량을 제공했다. 그러나 전쟁 초기 영국의 약세로 이라크는 앵글로-이라크 동맹에서 물러섰다. 1941년 4월 1일, 친독일 쿠데타로 하심 왕가가 전복되었다. 라시드 알리 정권은 추축국과 협상을 시작했고, 독일과 이탈리아로부터 군사 원조를 받았다. 1941년 4월 중순, 제10 인도 보병 사단의 여단이 바스라에 상륙했고(사빈 작전), RAF 하바니아의 영국군은 이라크군에 포위되었다. 5월 2일, 영국군은 영-이라크 전쟁을 시작했다. 5월 말, 팔루자가 함락되고 바그다드가 포위되면서 친독일 정부는 붕괴되었다. 파이살 2세 국왕의 하심 왕가가 복원되었고, 1942년 1월 추축국에 전쟁을 선포했다. 영국 및 영연방군은 1947년 10월 26일까지 이라크에 주둔했다.[20]
  • -- 이란 팔라비 왕조 (1941-1943): 이란이 독일에 접근하자 영국과 소련은 영소 이란 침공을 감행하여 레자 샤 팔라비를 몰아내고 연합국이 통치에 개입했다. 이란 내 독일인 노동자들은 영국과 소련이 이란의 중립성에 의문을 갖게 했다. 1941년 8월 영소 이란 침공(카운터넌스 작전)이 시작되었고, 다음 달 레자 샤 팔라비는 왕위를 아들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에게 물려주고 망명했다. 1942년 1월까지 영국과 소련은 전쟁 종료 6개월 후 이란 점령을 종료하기로 합의했다.

4. 5. 탈식민화

탈식민지화 과정에서 경제와 정치가 외국의 지속적인 지배를 허용하는 형식적으로 독립된 국가인 신식민주의가 창출되기도 한다. 이러한 신식민지는 일반적으로 괴뢰 국가로 간주되지 않는다.

네덜란드인도네시아 독립 전쟁을 진압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구 네덜란드령 동인도에 여러 괴뢰 정권을 수립했다.

국가설명
-- 동인도
-- 동 자바
-- 동 수마트라
-- 마두라
-- 파수단
-- 남 수마트라
-- 반자르
방카 섬
빌리톤
중앙 자바
동 칼리만탄
-- 그레이트 데이악
동남 보르네오 연방
-- 서 칼리만탄



1960년 벨기에령 콩고콩고-레오폴드빌로 독립한 후, 벨기에는 이익 보호를 위해 단명한 분리주의 국가인 카탕가국 (1960–1963)을 지원했다.[29]

인도네시아는 1975년 12월 동티모르 침공 이후 동티모르 임시 정부를 수립했다.[30][31][32]

1970년대와 1980년대 동안,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부는 "홈랜드"라고 불렀던 4개의 민족 반투스탄을 분리하여 명목상의 주권을 부여했다. 이들 중 일부는 극도로 게리맨더링되었다. 대부분의 코사족시스케이트란스케이에, 츠와나족은 보푸타츠와나에, 벤다족은 벤다에 거주했다.[33]

이들 국가의 주요 목적은 코사족, 츠와나족, 벤다족으로부터 남아프리카 시민권을 박탈하여 그들의 민주적 권리를 부정할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었다. 4개의 반투스탄은 모두 1994년 4월 27일 새로운 헌법에 따라 민주적인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재편입되었다.

남아프리카 당국은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반에 오덴달 위원회에 따라 남서 아프리카 (현재의 나미비아)에 10개의 반투스탄을 설립했으며, 당시 남아프리카는 불법 점령 상태였다. 이 중 3개는 자치를 부여받았다. 이들 반투스탄은 1980년에 별도의 민족 기반 정부로 대체되었다.

4. 6. 소련 위성국

소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동유럽에서 독일군을 몰아내면서 여러 국가에 공산주의 정권을 세우도록 지원했다. 이 국가들은 소련의 위성 국가로 불리며, 소련의 정치, 경제, 군사적 영향력 아래 있었다.

핀란드 민주 공화국 (1939–1940) 지도. 녹색은 소련이 핀란드 민주 공화국에 양도할 계획이었던 지역, 적색은 소련에 양도된 지역.

  • 투바 인민 공화국 (1921–1944): 지역 민족주의 혁명으로 중국에서 독립했지만, 1920년대 소련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1944년 소련에 흡수되었다.
  • 핀란드 민주 공화국 (1939–1940): 겨울 전쟁 동안 소련이 점령한 핀란드 일부 지역에 세워진 단명한 공화국으로, "테리요키 정부"라고도 불렸다. 소련은 이 공화국을 통해 핀란드 전체를 통치하려 했다.[21][22]
  •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1940): 1940년 6월 소련에 점령된 후 7월에 소비에트 권력을 선포했고, 8월에 소련에 불법적으로 병합되었다.[23][25]
  •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1940): 1940년 6월 소련에 점령된 후 7월에 소비에트 권력을 선포했고, 8월에 소련에 불법적으로 병합되었다.[23][25]
  • 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1940): 1940년 6월 소련에 점령된 후 7월에 소비에트 권력을 선포했고, 8월에 소련에 불법적으로 병합되었다.[23][24][2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은 동유럽에 다음과 같은 공산주의 정권을 세웠다.

  • 폴란드 인민 공화국 (1947–1989): 폴란드 민족해방위원회, 폴란드 공화국 임시 정부, 국민 통합 임시 정부 등의 전시 정부를 통해 권력을 장악했다.
  •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1947–1968): 페트루 그로자 총리 아래의 전쟁 중 국민 전선(FND) 정부가 권력을 잡았으며, 루마니아 공산당(PCR)이 주도했다. 1968년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에 불참하고 서방 세계와 관계를 개선하면서 소련의 통제에서 벗어났다.
  •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1948–1990): 전쟁 중 친공산주의 정부였던 국민 전선이 권력을 잡았다.
  •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1946–1990): 키몬 게오르기예프가 이끄는 전쟁 중 친공산주의 조국 전선 정부가 권력을 잡았다.
  • 헝가리 인민 공화국 (1949–1989): 벨라 미클로시 총리의 전쟁 중 정부가 권력을 잡았다.
  • 아제르바이잔 인민 정부 (1940–1946):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란령 아제르바이잔에 세워진 단명 국가였다.[26]
  • 마하바드 공화국 (1946–1947): 공식 명칭은 쿠르디스탄 공화국으로, 이란령 쿠르디스탄에 세워졌으며 이란 내 쿠르드족 자치를 추구했다. 1947년 3월 지도자들이 마하바드에서 처형되면서 멸망했다.
  •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1978–1991)


유고슬라비아는 공산주의 국가였지만, 1948년 티토-스탈린 분열 이후 소련과 관계가 악화되었다. 니키타 흐루쇼프의 탈스탈린화 시기에 관계가 회복되기도 했지만, 유고슬라비아는 독자적인 노선을 걸으며 비동맹 운동의 창립 멤버가 되었다.

소련은 1961년 중국-소련 분열 이전까지 중화인민공화국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몽골, 북한, 북베트남, 통일된 베트남, 쿠바 등도 한때 소련의 경제, 군사, 과학 기술에 크게 의존했다. 1991년 소련의 붕괴 이후, 대부분의 이전 위성 국가들은 민주화되었다. 중국, 쿠바, 라오스, 베트남은 여전히 일당 공산주의 국가로 남아있다.

1992년 최고인민회의는 북한 헌법에서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삭제하고 ''주체사상''으로 대체했다.[27] 2009년에는 공산주의에 대한 언급도 삭제되었다.[28]

4. 7. 냉전 이후



;러시아

;아르메니아

;기타

4. 8. 현존


  • 북키프로스(1983-)는 튀르키예의 개입으로 키프로스 섬 북부에 세워진 자칭 독립국이다. 국제사회는 키프로스 공화국을 유일한 합법 정부로 규정하고 북키프로스를 튀르키예의 괴뢰정부로 간주하고 있다.[46][47] 튀르키예군이 주둔하며 국제적으로 고립되어 있어 튀르키예의 원조와 개입에 의존한다. 다만 일부 전문가들은 독립적인 선거와 임명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괴뢰국으로는 보기 어렵다고 주장한다.
  • 트란스니스트리아 (1991-)는 국제적으로 몰도바의 영토로 인정되는 지역에 러시아의 지원으로 세워진 정권으로 현재도 러시아군이 주둔하고 있다. 정치 경제적으로도 러시아에 종속적이나 독자적인 정부, 의회, 통화 등이 있다는 점에서 괴뢰국인지의 여부는 논쟁적이다.
  • 압하지야, 남오세티야 (1992-)는 국제적으로 조지아의 영토로 인정되는 소수민족 지역에 러시아군의 개입으로 세워진 미승인국이다. 경제적으로 러시아에 거의 전적으로 의존하며 통화도 루블화를 쓴다. 시민 다수가 러시아 여권을 가지고 있다. 남오세티야의 경우 사람과 물자의 이동이 모두 러시아를 통해야 한다. 러시아군이 주둔하며 국경 경비를 러시아가 담당한다.[52]
  • 와방와족 반군에 의해 수립된 미얀마의 사실상 독립 지역으로, 일부 전문가들에 의해 중화인민공화국과 연관된 괴뢰정부로 여겨지고 있다.[100][101]
  • 아르차흐는 아르메니아인들이 다수 거주했던 자칭 독립국으로, 국제적으로는 아제르바이잔의 영토로 인정받았다. 러시아 평화유지군이 아르메니아로 통행을 허용하는 라친 회랑을 통제했으며, 아르차흐는 이에 크게 의존했다.[42][43]
  • 도네츠크 인민 공화국(DPR)과 루한스크 인민 공화국(LPR)은 유로마이단 시위의 여파로 우크라이나 동부에서 자칭 공화국으로 선포되었으며, 러시아의 괴뢰 국가로 널리 여겨진다.[53][54] 러시아는 2022년 9월 30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DPR과 LPR을 병합했다.

2013년 압하스 대통령 알렉산드르 안크바브와 트란스니스트리아 대통령 예브게니 셰프추크. 압하스와 트란스니스트리아는 모두 러시아의 괴뢰 국가로 묘사되어 왔다.

5. 논란이 있는 사례

'괴뢰'는 꼭두각시를 의미하는 한자어로, 타국의 군사적 점령 지역에 세워진 형식적인 권한만 가진 정부를 뜻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외부 세력의 지배를 받는 정권을 가리키거나, 상대 정권의 정통성을 부정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따라서 어떤 정권이 괴뢰정권인지 평가할 때는 가치 판단이 따를 수밖에 없다. 특히 내란에 외세가 개입하여 여러 정권이 존재하는 경우, 서로 상대 정권을 외부 세력의 괴뢰 정권이라고 비난하는 경우가 많다. 역사 속 정권에 대해서도 괴뢰정권 여부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으며, 종속국, 위성국가 등 유사한 개념과의 구분도 모호하다.

예멘의 영토 통제 지도

  • 예멘 – 일부에서는 후티 정부를 이란의 지원을 받는 괴뢰 정권으로 간주한다.[61][62]
  • 예멘 – 알리미 정부는 때때로 사우디 아라비아의 지원을 받는 괴뢰 정권으로 여겨진다.[63]
  • 예멘 – 남부 과도 위원회는 때때로 아랍 에미리트 연합국의 지원을 받는 괴뢰 국가로 간주된다.[64][65]
  • 북키프로스 – 유럽 인권 재판소에 따르면, 키프로스의 키프로스 공화국은 키프로스에서 유일한 합법 정부이며, 북키프로스는 터키의 통제하에 있는 괴뢰 국가로 간주된다.[66][67] 북키프로스의 고립, 터키 군 주둔, 터키 지원에 대한 의존은 터키가 북키프로스의 의사 결정 과정에 대해 높은 수준의 통제력을 행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 일부 전문가들은 북키프로스가 터키의 실질적인 괴뢰 국가로 운영된다고 주장한다.[68][69][70] 그러나 다른 전문가들은 북키프로스에서 치러지는 선거와 임명의 독립적인 성격을 지적하고 터키계 키프로스 정부와 터키 정부 간의 분쟁을 언급하며 "괴뢰 국가"는 북키프로스에 대한 정확한 묘사가 아니라고 결론 내렸다.[71][72]
  • 시리아 임시 정부 – 2013년에 설립되었으며, 시리아 북부의 터키 점령 이전에는 터키에 더욱 의존하게 되었다. 시리아 국민군이 "터키 지원"[73][74] 또는 "터키가 자금 지원"[75]을 하거나 "용병"과 같다고 묘사되면서 괴뢰 정부로 비난받았다.[76] 시리아 국민군은 제2차 리비아 내전에서 GNA를 지원하고, 터키 정부에 의해 아제르바이잔의 제2차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을 지원하는 데 사용되었다고 보고되었다.[75][76]
  • 벨라루스는 러시아와 러시아-벨라루스 연합국가를 형성하고 있다. 2020-2021년 벨라루스 시위가 러시아의 지원으로 진압되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벨라루스에서 시작된 이후, 2022년부터 러시아의 괴뢰 정권 또는 사실상 러시아의 통제를 받는 국가로 묘사되어 왔다.[77][78][79][80] 벨라루스 야권과 우크라이나 국회인 최고 라다는 이의를 제기하며, 벨라루스를 러시아의 군사 점령 하에 있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81][82]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현재 국가 정부를 구성하는 탈레반을 포함한 많은 이들이 전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을 미국의 괴뢰 정권으로 간주했다.[84]

참조

[1] 서적 Identity and Continuity of States in Public International Law https://books.google[...] Library Droz
[2] 서적 Constructing the Nation-state: International Organization and Prescriptive Action https://archive.org/[...]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17-09-13
[3] 웹사이트 The Strangling of Persia: A Story of European Diplomacy and Oriental Intrigue http://www.magepubli[...]
[4] 웹사이트 Puppet government https://www.merriam-[...]
[5] 서적 Statehood and the Law of Self-Determination https://books.google[...] Kluwer Law International 2017-09-13
[6] 서적 Axis Rule in Occupied Europe: Laws of Occupation, Analysis of Government, Proposals for Redress https://books.google[...] The Lawbook Exchange, Ltd. 2019-06-30
[7] 서적 Ultra Hush-hush https://archive.org/[...] Annick Press
[8] 웹사이트 puppet (n.) http://www.etymonlin[...] 2014-06-01
[9] 학술지 The Adaptation of the Napoleonic Political Structure in the Duchy of Warsaw (1807–1813) https://www.jstor.or[...] 1989
[10] 학술지 İki Hükümet Bir Teşkilat: Garbî Trakya Hükümet-i Muvakkatesi'nden Cenub-î Garbî Kafkas Hükümeti Muvakkate- î Milliyesi'ne http://www.historyst[...] historystudies.net 2014-02
[11] 웹사이트 Casus Belli: Did Lenin Create Modern Ukraine? https://huri.harvard[...] Harvard Ukrainian Research Institute 2022-02-27
[12] 웹사이트 USSR's first AEROWAGON - and the dark story behind it (PHOTOS + VIDEO) https://www.rbth.com[...] RBTH 2021-08-03
[13] 서적 Rays of The Rising Sun, Armed Forces of Japan’s Asian Allies 1931–45, Volume I: China & Manchuria Helion & Co. Ltd.
[14] 서적 Rays of The Rising Sun, Armed Forces of Japan’s Asian Allies 1931–45, Volume I: China & Manchuria Helion & Co. Ltd.
[15] 서적 Rays of The Rising Sun, Armed Forces of Japan’s Asian Allies 1931–45, Volume I: China & Manchuria Helion & Co. Ltd.
[16] 서적 Rays of The Rising Sun, Armed Forces of Japan’s Asian Allies 1931–45, Volume I: China & Manchuria Helion & Co. Ltd.
[17] 서적 Bosnia and Herzegovina: a polity on the brink Routledge
[18] 웹사이트 Sephardi Jewry: A History of the Judeo-Spanish Community, 14th–20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19] 웹사이트 The Balkanization of the West: The Confluence of Postmodernism and Postcommunism https://books.google[...]
[20] 서적 تاريخ العراق (الحديث والمعاصر) Dar Al-Nafaes
[21] 서적 The Winter War: Finland Against Russia, 1939–1940, Volume 312 Stanford University Press
[22] 서적 A Frozen Hell: The Russo-Finnish Winter War of 1939–1940 Algonquin Books
[23] 서적 The Baltic States: Estonia, Latvia and Lithuania (Postcommunist States and Nations)
[24] 서적 Estonia: Identity and Independence: Translated into English (On the Boundary of Two Worlds: Identity, Freedom, and Moral Imagination in the Baltics)
[25] 서적 Illegal Annexation and State Continuity: The Case of the Incorporation of the Baltic States by the USSR Brill
[26] 백과사전 Reza Shah Pahlavi: Shah of Iran: Policies as Shah http://www.britannic[...] Britannica.com 2017-11-25
[27] 학술지 The Constitution of North Korea: Its Changes and Implications http://ir.lawnet.for[...]
[28] 뉴스 북 개정 헌법 '선군사상' 첫 명기 https://www.rfa.org/[...] 2009-09-23
[29] 서적 The New Mercenaries: The History of the Hired Soldier from the Congo to the Seychelles Paragon House Publishers
[30] 웹사이트 Declaration of Independence http://timor-leste.g[...]
[31] 뉴스 East Timor: Indonesia's invasion and the long road to independence https://www.theguard[...] 2019-08-29
[32] 뉴스 A Piece Of The Story Of East Timor's Independence From Portugal Then Indonesia Was "annexed" https://web.archive.[...] VOI 2019-11-28
[33] 웹사이트 Trump's Plan for Palestine Looks a Lot Like Apartheid https://foreignpolic[...] 2020-02-27
[34] 서적 Freedom on Fire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35] 웹사이트 Iraqis rise up against 16 years of 'made in the USA' corruption https://www.opendemo[...]
[36] 뉴스 Iraq's New S.O.B. 2004-07-00
[37] 뉴스 Dance of the Marionettes https://www.nytimes.[...] 2024-01-16
[38] 뉴스 The Struggle for Iraq: Northern Region; Kurdish Region in Northern Iraq Will Get to Keep Special Status https://www.nytimes.[...] 2004-01-05
[39] 서적 The Shock Doctrine
[40] 웹사이트 iraqcoalition.org/~Status_of_Coalition_Rev_with_Annex_A.pdf http://www.iraqcoali[...] 2024-01-16
[41] 웹사이트 iraqcoalition.org/~Tax_Strategy_of_2004_with_Annex_and_Ex_Note.pdf http://www.iraqcoali[...] 2024-01-16
[42] 웹사이트 The Nagorno-Karabakh Conflict and the Exercise of 'Self-Defense' to Recover Occupied Land https://www.justsecu[...] 2020-11-10
[43] 웹사이트 Putin Finally Reveals His Solution to the Artsakh Conflict https://armenianweek[...] 2020-11-02
[44] 뉴스 Through reclusive Wa, a China's reach extends into Suu Kyi's Myanmar https://www.reuters.[...] Reuters 2021-02-20
[45] 뉴스 Why Myanmar's Wa always get what they want https://asiatimes.co[...] 2021-02-20
[46] 웹사이트 Georgia and Russia: The occupation too many have forgotten http://www.thecommen[...] thecommentator.com 2017-09-13
[47] 서적 Conflict Resolution and Status: The Case of Georgia and Abkhazia (1989–2008) https://books.google[...] VUBPRESS Brussels University Press 2017-09-13
[48] 뉴스 No Clear Frontrunner as Abkhazia Goes to Poll http://www.themoscow[...] 2011-08-26
[49] 뉴스 BBC News – Regions and territories: Abkhazia https://www.bbc.co.u[...] BBC 2012-01-19
[50] 뉴스 Russian Troops in Abkhazia to Get Air-Conditioned APCs http://en.ria.ru/mil[...] 2013-04-19
[51] 뉴스 Abkhazia: The 'country' living in a Soviet time warp https://www.bbc.com/[...] BBC 2018-05-31
[52] 뉴스 Russia insists it has no imperial ambitions for ex-Soviet neighbours https://www.irishtim[...] 2021-06-26
[53] 웹사이트 Russian Analytical Digest No 214: The Armed Conflict in Eastern Ukraine https://css.ethz.ch/[...]
[54] 서적 The Legal Status of the Donetsk and Luhansk "Peoples' Republics" https://link.springe[...]
[55] 뉴스 Is Transnistria the ghost of Crimea's future? http://www.csmonitor[...] 2015-10-25
[56] 서적 Yearbook of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Volume 18, 2015
[57] 웹사이트 Neopatrimonialism and Regime Endurance in Transnistria https://vtechworks.l[...]
[58] 간행물 The European Unions position and practice with regard to unilateral and extraterritorial sanctions https://www.elgaronl[...] 2021-08-17
[59] 웹사이트 Who Governs the Palestinians? https://www.cfr.org/[...] 2024-07-30
[60] 웹사이트 Fending for Themselves: The Palestinians and the Palestinian Authority https://arabcenterdc[...] 2024-11-07
[61] 뉴스 No, Yemen's Houthis actually aren't Iranian puppets https://www.washingt[...] 2021-01-31
[62] 뉴스 Yemen president calls Houthis 'Iran's puppet' https://www.reuters.[...] 2021-01-16
[63] 뉴스 ANALYSIS: Saudi Arabia plays puppet master as Yemen slowly breaks apart https://www.middleea[...] 2018-02-02
[64] 웹사이트 UAE extends military reach in Yemen and Somalia https://uk.reuters.c[...] 2018-05-11
[65] 뉴스 Yemen on the brink: how the UAE is profiting from the chaos of civil war https://www.theguard[...] 2018-12-21
[66] 서적 Unlawful Territorial Situations in International Law: Reconciling Effectiveness, Legality And Legitimacy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2006
[67] 서적 Yearbook of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2015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6
[68] 서적 Sovereign statehood: The basis of international society. https://books.google[...] Taylor and Francis
[69] 서적 State sovereignty: concept, phenomenon and ramifications. https://books.google[...] Macmillan
[70] 서적 Public International Law. https://books.google[...] Taylor and Francis
[71] 서적 De Facto States: The Quest for Sovereignt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4
[72] 서적 The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of Northern Cyprus Eothen Press 1993
[73] 웹사이트 Die kleine Türkei in Nordsyrien https://www.nzz.ch/i[...] 2019-03-13
[74] 웹사이트 Syria rebels launch major offensive in north-west and gain territory https://www.bbc.com/[...] 2024-11-29
[75] 웹사이트 Exclusive: 2,000 Syrian fighters deployed to Libya to support government https://www.theguard[...] 2020-01-15
[76] 웹사이트 Syrische Söldner im Bergkarabach-Konflikt: Erdogans Schattenkrieger https://www.spiegel.[...] 2020-10-05
[77] 웹사이트 Russia must stop being an empire if it is wishes to prosper as a nation https://www.atlantic[...] 2022-12-06
[78] 웹사이트 Judy Asks: Is Belarus's Sovereignty Over? https://carnegieeuro[...] 2022-02-24
[79] 뉴스 Ukrainian forces are bracing for the possibility of another Russian invasion via Belarus: 'We have to be ready' https://www.business[...] 2022-12-14
[80] 뉴스 What Does Putin Really Want? https://www.politico[...] 2022-02-25
[81] 뉴스 With the world looking away, Russia quietly took control over Belarus https://kyivindepend[...] 2023-01-04
[82] 뉴스 Russia is occupying Belarus, opposition leader says https://www.politico[...] 2023-05-15
[83] 웹사이트 Afghanistan 2001–2021: U.S. Policy Lessons Learned https://carnegieendo[...] 2021-11-17
[84] 잡지 Hamid Karzai: Revenge of the Puppet https://www.rollings[...] 2010-04-28
[85] 웹사이트 Yahoo Dictionary>JapanKnowledge>大辞泉>傀儡政権 http://dic.yahoo.co.[...] 2019-06-00
[86] 웹사이트 Exite>三省堂>大辞林>傀儡政権 http://www.excite.co[...] 2021-06-00
[87] 웹사이트 Yahoo>小学館>日本大百科全書>傀儡政権 http://100.yahoo.co.[...] 2013-12-00
[88] 웹사이트 Yahoo Dictionary>JapanKnowledge>大辞泉>傀儡 http://dic.yahoo.co.[...] 2019-06-00
[89] 웹사이트 Exite>三省堂>大辞林>傀儡 http://www.excite.co[...] 2021-06-00
[90] 웹사이트 世界大百科事典第2版「傀儡政権」 https://kotobank.jp/[...]
[91]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傀儡政権」 https://kotobank.jp/[...]
[92] 웹사이트 日本大百科全書「傀儡政権」(土生長穂) https://kotobank.jp/[...]
[93] 웹사이트 満州国(マンシュウコク)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DIGITALIO 2021-09-15
[94] 학술지 インド及びパキスタンの独立と条約の承継 https://waseda.repo.[...] 1974-03-20
[95] 웹사이트 国連加盟国加盟年順序 https://www.unic.or.[...]
[96] 웹사이트 インドていこく【インド帝国】 い 辞典 https://kids.gakken.[...]
[97] 웹사이트 会議王国(かいぎおうこく)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98] 웹사이트 ポーランド/ポーランド人/ポーランド王国 https://www.y-histor[...]
[99] 뉴스 1912년 청나라 마지막 황제 선통제 퇴위 http://media.daum.ne[...] 경향신문 2010-02-11
[100] 뉴스 Through reclusive Wa, a China's reach extends into Suu Kyi's Myanmar https://www.reuters.[...] Reuters 2016-12-28
[101] 뉴스 Why Myanmar's Wa always get what they want https://asiatimes.co[...] 2019-09-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