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섬유의 역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견섬유의 역사는 기원전 7천 년 후반 중국 신석기 시대 유적에서 시작되어, 한국, 일본, 인도로 전파되었다. 중국은 수천 년 동안 견직물 제조를 독점했으며, 비단길을 통해 서방 세계로 전파되었다. 견직물은 중국에서 부와 권력의 상징이었으며, 화폐로 사용되기도 했다. 1세기 경, 비잔티움 제국이 누에 알을 들여와 견직물 산업을 발전시켰고, 이후 이탈리아, 프랑스 등 유럽 각지로 기술이 전파되었다. 산업 혁명으로 자카드 문직기가 발명되어 대량 생산이 가능해졌지만, 누에 질병과 합성 섬유의 등장으로 유럽의 견직물 산업은 쇠퇴했다. 20세기에는 일본이 세계 최대 견직물 생산국이 되었으나, 현재는 중국이 세계 최대 생산국이다. 최근에는 생체 재료, 미용 제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견직물이 활용되고 있다.
비단은 고대부터 인류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온 섬유이다. 특히 중국에서 처음 생산되기 시작하여 수천 년 동안 동양과 서양 모두에서 귀한 사치품이자 문화 교류의 매개체로 여겨졌다.
2. 초기 역사

비단(견섬유)은 고대 중국에서 처음 생산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기원은 수천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신석기 시대 유적에서 발견된 고고학적 증거들은 초기 양잠과 직조 기술의 존재 가능성을 보여준다.
비단의 발견과 관련해서는 황제의 황후인 누조가 우연히 누에고치에서 실을 발견했다는 전설을 비롯하여 다양한 이야기가 전해 내려온다. 이러한 초기 역사와 전설은 비단이 고대 사회에서 얼마나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는지 짐작하게 한다.
2. 1. 최초의 견의 출현
견섬유(비단)의 가장 오래된 증거는 8,500년 전(기원전 7천년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중국 초기 신석기 시대 무덤인 지아후(賈湖) 유적에서 발견되었다.[76][1] 한 연구에서는 무덤 부장자의 사타구니 위치 흙에서 견 단백질인 피브로인과 유사한 펩타이드가 검출되었다고 보고했으나, 이는 단 하나의 샘플을 대상으로 한 유일한 연구이므로 결과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76] 또한, 이 유적에서는 조잡한 직조 도구와 뼈 바늘 등이 발굴되어, 지아후 거주민들이 직물을 만드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직조 및 재봉 기술을 보유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1]
견섬유에 대한 다른 증거로는 산시성 샤현의 양사오 문화 유적지에서 발견된 유물이 있다. 이곳에서는 기원전 4,000년에서 3,000년 사이의 것으로 추정되는, 날카로운 칼로 반이 잘린 누에고치가 발견되었다.[76] 이 누에고치는 가축화된 누에인 집누에나방(Bombyx mori)으로 확인되었지만,[1] 과학적으로 분석되지 않았고 유일한 샘플이어서 양잠의 기원을 뒷받침하는 확실한 증거로 보기는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76] 한편, 원시적인 베틀 조각이 기원전 4,000년경으로 추정되는 저장성 위야오의 허무두 문화 유적에서 발견되기도 했다.[1]
현재까지 발견된 가장 오래된 온전한 견직물 유물은 기원전 3,630년경의 것으로, 허난성 룽양(滎陽) 칭타이춘(青台村)의 양사오 문화 유적지에서 아이의 시신을 감싸는 데 사용된 형태로 발굴되었다.[77][2] 2019년에는 허난성 왕거우(汪溝)의 또 다른 양사오 유적지에서도 유사한 견직물 유물이 발견되었는데, 이 역시 매장된 항아리 안 아이의 시신을 감싸는 데 쓰였다.[78][3] 기원전 2,700년경의 견직물 조각들은 저장성 후저우 첸산양(錢山漾) 지역의 량주 문화 유적지에서 발견되었으며,[79][80][4][5] 상나라(기원전 1600년경–1046년) 시대의 왕실 무덤에서도 견직물 조각들이 출토되었다.[81][6]
이후 시대에 견직물 제조 기술은 중국 외부로 전파되어 한국과 인도 등지로 퍼져나갔다. 일본의 경우, 신라계 도래인으로 알려진 하타씨(秦氏)가 양잠 기술을 전파했다는 기록이 일본서기에 남아있다.[82] 구약성서에서도 견사에 대한 언급이 나타나는데, 이는 성경 시대 당시 서아시아에서도 견직물의 존재가 알려져 있었음을 시사한다.[83][7] 학자들은 기원전 2세기를 기점으로 중국이 서방 세계에 견직물을 수출하는 교역망을 구축했다고 본다.[83][7] 예를 들어,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페르시아 제국을 정복했을 당시 페르시아 궁정과 왕 다리우스 3세는 이미 견직물을 사용하고 있었다.[83][7]
견직물은 유라시아 전역으로 빠르게 퍼져나갔지만, 그 제조 기술은 약 3천 년간 중국이 독점하였다 (일본 제외).[84][85] 중국 외부에서 견직물 생산에 관한 가장 이른 고고학적 증거는 인더스 문명권의 찬후다로 유적지에서 발견된 견사 섬유로, 기원전 2,450년에서 2,000년 사이의 것으로 추정된다.[84][85][8][9] 이 섬유 분석 결과, 실을 뽑는 조사(繰絲)와 양잠의 흔적이 나타났으며, 이는 기원전 1,500년경으로 추정되는 인도 네바사 유적에서 발견된 섬유보다 시기적으로 앞선다.[84][85] 인도에서 발견된 견섬유는 중국의 집누에나방과는 다른 품종의 야잠견(野蠶繭, 야생 누에고치)에서 얻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과학적으로 확인된 가장 이른 인도산 야잠견 직물은 기원후 1세기경 시리아의 팔미라 유적에서 발견된 것들이다.[86]
파지리크 매장지에서 발굴된 시베리아 얼음 처녀의 유물 중 노란색 블라우스는 본래 야생 멧누에나방 견섬유로 제작된 것으로 여겨졌으나, 후속 연구를 통해 해당 섬유가 중국산이 아닌, 인도를 포함한 다른 지역에서 생산된 야잠견으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87][10]
2. 2. 신화와 전설
견직물 제작의 정확한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신화와 전설이 전해져 내려온다. 공자와 중국 전통 기록물들은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담고 있다. 대략 기원전 3,000년경, 황제의 황후인 누조(뢰조)의 찻잔에 누에고치가 떨어졌다고 한다.[88][11] 14세였던 누조는 찻잔에서 고치를 꺼내려다 우연히 실을 풀기 시작했고, 고치를 이루고 있던 길고 부드러운 섬유를 발견하게 되었다. 황후는 이 섬유로 옷감을 짜기로 마음먹고 다른 누에고치들을 모았다. 남편인 황제의 권유에 따라 누에의 일생을 관찰한 누조는 이후 궁녀들에게 누에를 기르는 방법, 즉 양잠법을 가르치기 시작했다고 전해진다. 이 일로 누조는 중국 신화에서 비단의 여신으로 모셔지게 되었다.
오랫동안 중국의 비밀이었던 견직물 제조 기술은 서기 1세기 초로 추정되는 시기에 호탄의 왕자와 결혼하게 된 중국 공주를 통해 외부로 전해졌다는 전설이 있다.[89][12] 이 공주는 자신이 아끼던 비단을 두고 떠나고 싶지 않아, 누에의 알이나 고치를 국외로 반출하는 것을 금지한 황실의 명령을 어기고 몰래 숨겨 나갔다고 한다.
이처럼 비단 자체는 오래전부터 막대한 양이 외국으로 수출되었지만, 그 생산 기술인 양잠술만큼은 중국이 국가 기밀로 삼아 철저히 외부 유출을 막았다. 이 때문에 다른 문화권에서는 비단의 정확한 기원을 알지 못하고 저마다의 이야기와 전설을 만들어냈다. 고전 고대 시기, 비단 옷을 매우 좋아했던 로마인들 사이에서는 중국인들이 비단을 나뭇잎에서 얻는다는 믿음이 널리 퍼져 있었다.[90][13] 이러한 생각은 대 세네카의 희곡 《파이드라》와 베르길리우스의 서사시 《게오르기카》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대 플리니우스는 그의 저서 《박물지》에서 누에나방(봄빅스)을 언급하며 비단의 기원을 비교적 정확하게 기술했다. 그는 "누에들은 거미들처럼 실을 뽑아내는데, 이것이 비단이라 불리는, 여성들의 사치스러운 의복 재료가 된다"라고 기록하였다.[91][14]
3. 고대 및 중세의 비단
고대 중국에서 비단은 단순한 옷감을 넘어 부와 권력의 상징이었다. 초기에는 황제와 최고위층만이 비단옷을 입을 수 있었으며, 이는 예기와 같은 법령으로 규제되기도 했다.[6] 비단 특유의 광택과 부드러움은 그 가치를 더욱 높였고,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상류층에게까지 사용이 확대되었다. 비단은 의복뿐만 아니라 악기, 낚시 도구, 활 제작 등 다양한 용도로 쓰였으며, 심지어 종이의 재료나 화폐의 역할까지 하기도 했다.[6][15][16] 또한, 중국은 비단을 중요한 외교 선물로 활용하여 주변 국가들과의 관계를 유지했다.[6]
비단 생산 기술, 즉 양잠과 직조 기술은 오랫동안 중국의 중요한 비밀로 여겨졌으나, 비단길을 통한 교역이 활발해지면서 점차 서쪽으로 전파되기 시작했다. 한나라 시대에 본격적으로 열린 비단길은 동서양 문명 간의 교류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비단은 이 길을 통해 거래된 가장 대표적인 상품이었다.
중세 시대에 이르러 비단 생산 기술은 비잔티움 제국으로 전해졌고, 이후 이슬람 세계와 이탈리아 등 유럽 각지로 확산되었다.[30][32] 특히 비잔티움 제국과 이탈리아의 도시 국가들은 자체적인 비단 산업을 발전시켜 고품질의 비단 직물을 생산하며 유럽 내 수요를 충족시켰다.[34][41] 이처럼 비단은 고대와 중세를 거치며 단순한 사치품을 넘어 경제, 문화, 외교 등 다양한 영역에 걸쳐 큰 영향을 미쳤다.
3. 1. 고대 및 중세 중국에서 견직물의 쓰임
중국에서 누에 재배는 원래 여성들에게 한정되었고, 많은 여성이 견직물 제조 산업에 종사했다. 일부는 사치품 발전을 부정적으로 보기도 했지만, 견직물은 상류 사회 내에서 큰 유행을 일으켜 황실 인원만 사용할 수 있도록 예기 규정이 정해지기도 했다.[6]
약 1천 년 동안 견직물을 입을 수 있는 권한은 황제와 최고위 관료에게만 주어졌다. 당시 견직물은 섬유의 각기둥 모양 구조가 모든 각도에서 빛을 굴절시켜 만들어내는 특유의 광택 때문에 부의 상징이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견직물 사용은 점차 중국 사회의 다른 계층, 주로 최상위 귀족 계층에게도 확대되었다. 견직물은 장식용뿐만 아니라 악기, 낚시 도구, 활 제작 등 실용적인 용도로도 사용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일반 농민들은 청나라(1644년-1911년) 시대까지 견직물을 입을 권리가 없었다.[6]
종이는 고대 중국의 위대한 발명품 중 하나였다. 기원전 3세기부터 다양한 재료로 여러 크기의 종이가 제작되었다.[15] 비단도 예외는 아니어서, 비단 제작자들은 기원전 2세기부터 비단으로 종이를 만들었다. 비단, 대나무, 삼베, 밀짚, 볏짚 등이 모두 종이 제작에 사용되었고, 비단 종이는 최초의 고급 종이로 인정받았다. 고고학자들은 기원전 168년경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는 후작 부인의 무덤인 마왕퇴 유적지에서 비단 종이에 쓰인 초기 기록물을 발견했다. 비단 종이는 죽간보다 훨씬 비쌌지만 실용성이 더 높았다. 비단 종이에는 기상학, 의학, 점성술, 신학 등 다양한 주제의 기록과 지도[16] 등이 남아있다.
한나라 시기에는 견직물 자체의 가치가 높아지면서 단순한 옷감 이상의 역할을 했다. 견직물은 정부 관료의 급료나 공을 세운 백성에 대한 포상으로 지급되었다. 금의 무게처럼 견직물의 길이로 상품 가치를 매기기도 했으며, 중국 경제에서 화폐처럼 통용되었다. 주변 국가들은 양잠업이 중국에 가져다준 부를 시기했고, 기원전 2세기부터 흉노족은 약 250년간 정기적으로 한나라 지역을 약탈했다. 비단은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한나라 황제가 흉노족에게 바치는 주요 진상품 중 하나였다.
견직물 제작에 관한 내용은 서한 시대(기원전 206년-서기 9년)의 농업 기술 서적인 번승지서와 동한 시대(서기 25년-220년)의 비단 생산 달력 문서에 묘사되어 있다. 한나라 시대 비단에 관한 다른 두 기록은 소실되었다.[2] 군사 급여 기록에 따르면, 병사들은 한나라 시대에 화폐처럼 유통되던 견직물을 지급받았으며, 만리장성의 관문 앞에서 말이나 모피를 팔러 온 유목민들과 이 견직물을 교환했을 가능성이 있다.[17]
1천 년 이상 동안 비단은 중국 황제가 이웃 국가나 조공국에 보내는 중요한 외교 선물이었다.[6] 비단의 중요성 때문에 비단을 뜻하는 글자(糸)는 한자의 주요 부수 중 하나가 되었다.
의복과 장신구 재료로서 비단의 사용은 중국에서 엄격한 규정에 따라 통제되었다. 예를 들어, 당나라와 송나라 시대에는 사회적 지위에 따라 관료들의 등급을 나타내기 위해 색상 상징 체계를 사용했으며, 특정 색상의 비단은 고위 계층만 사용할 수 있었다. 명나라 시대에는 비단이 손수건, 지갑, 허리띠뿐만 아니라 실제 동물이나 상상 속 동물을 수놓은 천 등 다양한 장신구에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장신구들은 특정 신분과 연결되어 무사, 판사, 귀족 등을 위한 특정 머리 장식이나 종교적 용도의 머리 장식으로도 사용되었다. 상류층 중국 여성들 역시 이러한 규정을 따랐으며, 수많은 장식 문양을 더해 의복에 비단을 사용했다.[6] 17세기 소설 금병매는 이러한 장식 중 하나를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 금빛 연꽃은 누비 처리된 바둑판 무늬가 있고 두 번 접혀 있으며, 꽃과 장미가 있는 풍경 속에서 부리로 쪼는 사나운 거위들로 장식되어 있다. 옷의 오른쪽에는 벌이나 국화 모양의 단추가 달린 꽃무늬 테두리가 있었다.[6]
중국의 견직물 제조 과정
3. 2. 비단길과 동서무역 (2세기–8세기)


여러 고고학적 발견은 비단길이 공식적으로 열리기 전부터 이미 견직물이 외국에서 귀한 사치품으로 인정받았음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기원전 1070년경으로 추정되는 이집트 왕가의 계곡에 있는 미라의 무덤에서도 견직물이 발견되었다.
고대 그리스인과 로마인들은 중국을 '비단의 사람들'이라는 의미의 '세레스'(Seres)가 사는 땅, 즉 세리카(Serica)라고 불렀다. 일부 역사가들에 따르면, 로마인들이 비단을 처음 접한 것은 시리아 속주 총독 크라수스가 이끌던 군단이었다고 한다. 유프라테스강 근처에서 벌어진 카레 전투에서 로마 군단은 파르티아 군대가 사용한 비단 군기의 화려한 광택에 압도되어 후퇴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서쪽으로 향하는 비단길은 서기 2세기에 중국에 의해 본격적으로 열렸다. 주요 경로는 시안에서 출발하여 세계에서 가장 건조한 지역 중 하나인 타클라마칸 사막의 남쪽 또는 북쪽을 지나 파미르고원을 넘는 것이었다. 이 길을 따라 다른 상인들과 비단을 교역하던 대상(캐러밴)은 보통 100명에서 500명 규모였으며, 낙타와 야크를 이용하여 한 마리당 약 140kg의 상품을 운반했다. 이 경로는 안티오키아와 지중해 연안 지역까지 이어졌으며, 시안에서 출발하면 도착까지 대략 1년이 걸렸다. 남쪽으로는 예멘, 버마, 인도를 거쳐 북쪽 경로와 합류하는 보조 경로도 존재했다.[19][20]
기원전 30년 로마가 이집트를 정복한 직후, 로마와 아시아 간의 정기적인 교역이 시작되었다. 이는 특히 동방에서 오는 비단 옷에 대한 로마인들의 강한 수요 때문이었는데, 당시 비단은 주로 파르티아인들이 로마에 되팔아 넘기는 방식으로 유통되었다. 로마 원로원은 경제적인 이유(막대한 금 유출)와 도덕적인 이유를 들어 비단 착용을 금지하려 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 비단 수입으로 인해 로마의 금이 대량으로 유출되었고, 비단 옷은 사치와 퇴폐, 부도덕의 상징처럼 여겨지기도 했다.
이에 대해 소 세네카는 다음과 같이 비판하기도 했다.
: 몸을 가리지도 않고, 심지어 품위조차 가리지 않는 재료를 옷이라고 부를 수 있다면, 나는 비단 옷을 볼 수 있다. ... 불쌍한 하녀들은 간음한 여자가 얇은 드레스를 통해 보일 수 있도록, 그녀의 남편이 아내의 몸에 대해 외부인이나 외국인보다 더 모를 수 있도록 노력한다.[21]
비단길을 통해 다양한 물품이 오갔다. 중국은 주로 비단, 차, 도자기를 수출했고, 인도는 향신료, 상아, 직물, 보석, 후추 등을 거래했다. 반면 로마 제국은 금, 은, 고급 유리 제품, 포도주, 카펫, 장신구 등을 수출했다. '비단길'이라는 이름이 마치 연속적인 하나의 길처럼 느껴지게 하지만, 실제로 전 구간을 여행한 사람은 거의 없었다. 대부분의 상품은 여러 중개 상인들의 손을 거쳐 다양한 경로로 운반되었고, 오아시스 도시의 번화한 시장에서 거래되었다.[24] 고대 시대에는 인도와 박트리아 상인들이 주요 역할을 했고, 서기 5세기부터 8세기까지는 소그드 상인들이, 그 이후에는 아랍 및 페르시아 상인들이 교역을 주도했다.
비단길은 중국, 인도, 고대 이집트, 페르시아, 아라비아, 고대 로마 등 여러 문명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비단이 중국의 대표적인 교역품이었던 것은 분명하지만, 그 외에도 새틴, 대마 같은 고급 직물, 사향과 같은 향료, 향신료, 의약품, 보석, 유리 제품, 심지어 루바브나 노예와 같은 다양한 상품들이 거래되었다. 또한 상품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술, 종교, 철학 사상이 전파되었으며, 안타깝게도 가래톳페스트(흑사병)와 같은 질병 역시 비단길을 따라 퍼져나갔다.[24]
중세 후기에 접어들면서 해상 교역이 점차 발달함에 따라 육상 비단길을 통한 대륙 간 교역은 상대적으로 쇠퇴하게 되었다. 그러나 수 세기 동안 수많은 문명과 왕조가 흥망성쇠를 거듭하는 와중에도 유럽과 아시아 대륙을 연결했던 이 교역로, 즉 비단길은 그 명맥을 유지하며 확장되어 왔다.[22][23]
3. 3. 양잠업의 전세계 전파 (4세기–16세기)

견직물이 유럽과 아시아 대부분 지역에 알려졌음에도, 중국은 황제의 칙령으로 누에나 그 알의 수출을 시도하는 사람을 사형에 처하며 수 세기 동안 비단 생산에 대한 거의 독점을 유지할 수 있었다.[26] 일본서기에 따르면, 양잠은 일본에 처음으로 서기 300년경에 전해졌으며, 일본에서 중국으로 파견된 유학생들이 중국 소녀 넷을 데려와 평직과 무늬 직조 기술을 가르친 것이 시작이었다.[27] 이후 8세기와 9세기 사이 빈번한 외교 교류를 통해 양잠 기술이 일본에 더 널리 도입되었다.
기원전 4세기부터 비단은 금, 상아, 말, 보석 등과 교환하려는 상인들을 통해 헬레니즘 세계에 도달하기 시작했다. 로마 제국 국경 지대까지 비단은 다른 상품의 가치를 평가하는 화폐 단위처럼 사용되었다. 헬레니즘 그리스는 중국 제품의 품질을 높이 평가하여 지중해 분지에 뽕나무를 심고 누에를 키우려 했으며, 사산 왕조는 유럽과 비잔티움으로 향하는 비단 무역을 통제했다. '비단 같은'을 뜻하는 그리스어 σηρικός|시리코스grc는 스트라본에 따르면 비단을 처음 얻은 사람들인 Σῆρες|세레스grc에서 유래했다고 한다.[28] 이 그리스어 단어는 라틴어 sericum|세리쿰la으로 이어졌고, 다시 고대 영어 sioloc|실로크ang를 거쳐 영어 단어 실크(Silk)가 되었다.
프로코피우스의 기록에 따르면,[29] 비잔티움 황제 유스티니아누스가 처음으로 누에 알을 얻은 것은 서기 552년이었다. 그는 네스토리우스파 수도사 두 명을 중앙아시아로 보냈고, 이들은 대나무 막대 안에 누에 알을 숨겨 밀수해 오는 데 성공했다. 수도사들의 보살핌 아래 알은 부화했지만, 콘스탄티노플에 도착하기 전에 고치를 만들지는 못했다. 이를 통해 비잔티움 제국의 교회 공방은 황제를 위한 직물을 생산할 수 있게 되었고, 사산 왕조로부터 배운 기술을 활용하여 제국 내에 대규모 비단 산업을 발전시키려 했다. 이러한 교회 공방은 비단 생산에 대한 법적 독점권을 가졌지만, 제국은 지중해의 다른 주요 도시들로부터 비단을 계속 수입하기도 했다.[30] 비잔티움에서 만든 비단은 직조와 장식에 들인 세심한 주의와 이집트에서 들여온 직조 기술 덕분에 높은 품질로 유명했다. 원시적인 형태의 직기 그림이 처음 등장한 것은 5세기였다.[31]
아랍인들은 초기 무슬림 정복을 통해 양잠 기술을 지중해 연안 전역으로 확산시켰다. 이로 인해 북아프리카, 안달루시아, 시칠리아,[32] 그리고 당시 비잔티움의 지배하에 있던 이탈리아 남부의 칼라브리아 등지에서 양잠업이 발전했다. 앙드레 기유(André Guillou)에 따르면,[33] 생사 생산을 위한 뽕나무는 9세기 말 비잔티움 제국을 통해 이탈리아 남부에 도입되었다. 1050년경 칼라브리아 테마에서는 뽕나무 잎을 얻기 위해 24,000그루의 뽕나무를 재배했으며, 생산량은 계속 증가하고 있었다. 안달루시아와 루카 등 다른 도시에서 만들어진 모방품과 더불어, 비잔티움과 이슬람 세계의 비단 직조 중심지들이 비슷한 수준의 품질로 경쟁하면서, 현재 남아있는 희귀한 견직물 유물의 정확한 출처와 제작 시기를 파악하기 어렵게 만들었다.[34]
칼라브리아 지역의 카탄차로는 9세기에서 11세기 사이에 이탈리아에서 비단 생산을 시작한 첫 중심지였다. 이후 수 세기 동안 카탄차로의 비단은 유럽 대부분 지역에 공급되었고, 레조칼라브리아 항구의 대형 시장에서 스페인, 베네치아, 제노바, 피렌체, 네덜란드 상인들에게 판매되었다. 카탄차로는 바티칸에서 사용하는 레이스와 리넨을 생산하는 대규모 누에 사육 시설을 갖추며 유럽의 레이스 중심지가 되기도 했다. 이 도시는 비단, 벨벳, 다마스크, 브로케이드 등을 뛰어난 품질로 제작하는 것으로 유명했다.[35][36] 뽕나무 재배가 이탈리아 북부로 확산되기 시작할 무렵, 칼라브리아에서 생산된 비단은 이탈리아 및 유럽 전체 생산량의 50%에 달하며 정점을 이루었다. 북부 및 중부 유럽에서는 뽕나무 재배가 어려웠기 때문에, 상인들은 비단 제품을 만들기 위해 칼라브리아에서 원재료를 구매하여 높은 가격에 되팔았다. 제노바의 비단 장인들은 벨벳 제작을 위해 칼라브리아와 시칠리아의 고급 비단을 사용하기도 했다.[37]
중국은 비단 생산 독점권을 잃었지만, 당나라 시기에는 주요 비단 공급자로서의 지위를 다시 확립했고, 송나라 시기에는 대규모 생산 산업화를 이루었다.[38] 중국은 비단길을 따라 유럽과 근동 지역에 고품질 직물을 계속 수출했지만, 제1차 십자군 전쟁이 시작된 이후 비단 생산 기술은 서유럽으로 더욱 확산되기 시작했다.
1147년, 비잔티움 황제 마누일 1세 콤니노스가 제2차 십자군에 집중하는 동안, 노르만 왕조의 시칠리아 군주 루지에로 2세는 비잔티움 비단 생산의 핵심지였던 코린토스와 테베를 공격했다. 그는 농작물과 생산 기반 시설을 약탈하고 모든 작업자들을 팔레르모와 칼라브리아로 강제 이주시켰는데,[39] 이는 결과적으로 노르만 왕국의 비단 산업을 번성시키는 계기가 되었다.[40] 1204년 제4차 십자군에 의한 콘스탄티노폴리스 약탈은 도시의 쇠퇴와 함께 비단 산업의 몰락을 가져왔고, 많은 장인들이 13세기 초 도시를 떠났다.[32] 이탈리아는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온 2,000명의 숙련된 직조공들을 받아들이면서 대규모의 자체 비단 산업을 발전시켰다. 이들 중 상당수는 아비뇽 교황에게 직물을 공급하기 위해 아비뇽에 정착하기도 했다.
11세기와 12세기에 이탈리아 도시 국가 루카의 비단 산업이 갑작스럽게 호황을 누린 것은 시칠리아인, 유대인, 그리스인 정착민들과 더불어 남부 이탈리아 도시들에서 온 이주민들의 영향이 컸다.[41] 레반트 지역의 여러 이탈리아 교역소를 잃으면서 중국풍 비단 수입이 급격히 줄어들자, 고급 직물에 대한 부유하고 강력한 부르주아 계층의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 루카, 제노바, 베네치아, 피렌체 등의 도시들은 비단 생산을 크게 늘렸다. 이들 도시는 곧 유럽 전역에 비단을 수출하게 되었으며, 1472년 피렌체에는 최소 84개의 작업장과 7,000명 이상의 장인이 있었던 것으로 기록된다.
1519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는 카탄차로의 비단 산업 발전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여, 비단 생산의 여러 단계를 규제하고 점검하는 비단 공예 영사관 설립을 허가했다. 이는 16세기 내내 이어진 도시의 번영을 뒷받침했다. 길드가 설립될 당시, 카탄차로 시는 500대가 넘는 직기를 보유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1660년경 도시 인구가 약 16,000명이었을 때, 비단 산업은 1,000대의 직기를 가동했고 최소 5,000명이 이 산업에 종사했다. 카탄차로의 비단 직물은 나폴리 왕국 시장뿐만 아니라 베네치아, 프랑스, 스페인, 잉글랜드 등지로도 수출되었다.[42]
3. 4. 중세 유럽의 견직물 사용 (5세기-15세기)
중세 성기 (서기 1000년–1250년) 동안 견직물 생산 기술은 큰 변화 없이 유지되었다. 비단은 여전히 희귀하고 값비싼 사치품이었지만,[43] 비잔틴 제국 시대 그리스와 시리아의 누에 사육장(6-8세기), 칼라브리아의 생산 중심지, 아랍 지배하의 시칠리아와 스페인(8-10세기) 등지에서 기술이 발전하면서 공급량이 점차 늘어났다.[43]
13세기에는 견직물 제조 기술에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초기 형태의 견사 가공 기술이 사용되었으며, 장 드 갈랑드의 1221년 사전과 에티엔 부일로의 1261년 Livre des métiers|리브르 데 메티에fra(''상인 수첩'')에는 겹사 기계로 추정되는 장비들이 묘사되어 있다. 이 기계는 1270년에서 1280년 사이 볼로냐에서 더욱 개선되었다. 이러한 기술 발전은 18세기 말 잉글랜드의 산업 혁명과 마찬가지로, 당시 사회 기술 발전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44]
14세기 초 기록에는 복잡한 직조 기계의 사용이 언급된다.[45] 이 시기 직물 기술은 여러 유물에서 확인되는데, 유럽 물레의 가장 오래된 묘사는 샤르트르 대성당의 스테인드 글라스 패널에서 발견된다.[46] 또한 보빈과 날실 기계(정경 장치)도 샤르트르의 스테인드 글라스와 1300년경 쾰른 쿤켈하우스의 프레스코에 등장한다. 특히 톱니 형태의 날실 기계는 견직물 산업에서 개발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더 길고 균일한 날실(경사)을 만들어 옷감의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45]
14세기 중반 흑사병으로 유럽이 황폐화되면서 생산 방식에도 변화가 생겨, 비용 절감을 위한 기술이 선호되기 시작했다. 이전에는 길드에서 금지했던 저품질 양모 사용이나 소면 같은 기술들이 보편화되었다. 견직물 산업에서는 물레방아의 사용이 늘어났다.
15세기 후반, 루이 11세의 초청으로 칼라브리아 출신 이탈리아 방직공 장 르 칼라브래(Jean le Calabrais)가 리옹에 오면서 드로룸 기술이 프랑스에 처음 도입되었다.[47][48] 이 새로운 기계는 실을 더 빠르고 정밀하게 다룰 수 있게 해주었으며, 이후 수 세기에 걸쳐 베틀에 대한 추가적인 개선이 이루어졌다.[49]
4. 근대 이후의 비단
13세기부터 시작된 견직물 제조 기술의 개선은 18세기 말 산업 혁명을 거치며 현대적인 기술 발전으로 이어지는 기반을 마련했다.[120] 14세기에는 복합 직조기, 물레, 정경 장치 등 다양한 기술적 진보가 있었으며,[121][122] 이는 옷감 생산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14세기 말 흑사병으로 인한 유럽 사회의 황폐화는 저비용 생산 기술로의 전환 경향을 가져오기도 했다. 이러한 중세 후기의 기술 축적과 변화는 이후 근대 견직물 산업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4. 1. 프랑스의 견직물 산업

이탈리아산 견직물은 품질이 매우 뛰어났지만 원재료와 생산 비용 때문에 가격이 높았다. 또한, 이탈리아 장인들은 가볍고 저렴한 직물을 선호하는 프랑스 패션계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했다.[126][50] 이러한 이유로 의복용 견직물은 프랑스 내에서 자체적으로 생산되기 시작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 견직물은 특히 장식용으로 사용될 때나 염료의 선명함 덕분에 오랫동안 최고급으로 인정받았다.
베네치아, 피렌체, 루카와 같은 부유한 이탈리아 도시 국가들이 고급 섬유 산업의 중심지 역할을 했던 것처럼, 리옹은 프랑스 시장에서 비슷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1466년, 프랑스 국왕 루이 11세는 리옹에 국내 견직물 산업을 육성하기로 결정하고, 주로 칼라브리아 출신의 이탈리아 노동자들을 대거 고용했다. 특히 카탄차로 출신 장인들의 명성이 높아, 이들이 리옹으로 초청되어 직조 기술을 전수했다. 이 시기 프랑스에 도입된 드로룸(drawloom)은 장 르 칼라브래(Jean Le Calabrais)가 도입한 것이었다.[127][51]
루이 11세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이탈리아와의 무역 적자를 줄이는 것이었다. 당시 프랑스는 이탈리아산 견직물 수입으로 매년 40만에서 50만 금화 에퀴에 달하는 손실을 보고 있었다.[128][52] 리옹 상인들의 반발에 부딪혀 루이 11세는 견직물 생산지를 투르로 옮기기도 했으나, 투르의 산업은 크게 성장하지 못했다.

이후 프랑수아 1세 통치 시기인 1535년경, 에티엔 튀르케(Etienne Turquet)와 바르텔레미 나리스(Barthélemy Naris) 두 상인에게 리옹에서 견직물 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왕실 칙령이 내려졌다. 1540년에는 국왕이 리옹에 견직물 생산 독점권을 부여하면서 리옹의 견직물 산업은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했다.[53] 16세기에 들어서 리옹은 유럽 견직물 무역의 중심지로 자리 잡았고, 여러 유명한 패션 스타일을 창조해냈다.[129] 리옹에서 생산된 견직물은 점차 자신감을 얻어 기존의 동양적인 스타일에서 벗어나 풍경을 강조하는 등 독자적인 스타일을 발전시켰다. 수천 명에 달하는 리옹의 견직물 노동자들, 이른바 카뉘(Canuts)들은 이 산업의 번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17세기 중엽에는 리옹에서 14,000대가 넘는 직기가 가동되었으며, 견직물 산업은 리옹 전체 인구의 3분의 1을 부양할 정도로 성장했다.[129][53]
18세기와 19세기에는 프로방스 지역에서 양잠업이 크게 번성하여 제1차 세계대전 발발 전까지 이어졌고, 이곳에서 생산된 견섬유의 상당량이 북쪽의 리옹으로 공급되었다. 뤼베롱 산맥 지역의 코뮌인 비앙과 라 바스티드 데 주르당은 당시 뽕나무 재배로 많은 수입을 올렸으나, 현재 이 지역의 뽕나무 농업은 거의 사라졌다.[130][54]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랑스의 견직물 중심지들은 오늘날까지도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131][55] 가내 수공업 형태로 이루어진 견사 방적과 처리는 많은 사람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며 노동자 계층의 수입 증대에 기여했다.
4. 2. 다른 국가들의 견직물 산업
잉글랜드에서는 헨리 4세 (재위: 1367년–1413년) 시기부터 견직물 산업 개발에 관심을 보였으나, 본격적인 발전은 17세기 후반에 이루어졌다. 1680년대 프랑스에서 낭트 칙령이 폐지되면서 종교적 박해를 피해 숙련된 방직공 및 양잠 전문가였던 프랑스계 위그노 수천 명이 잉글랜드로 이주해 온 것이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스피탈필즈와 같은 지역을 중심으로 여러 고품질 견직물 작업장이 생겨났으며, 이들 제품은 독특한 색상 사용으로 유럽 대륙의 견직물과 차별화되었다.[56] 그러나 영국의 기후 조건은 양잠에 불리하여, 잉글랜드의 견직물 산업이 세계적인 우위를 점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한편, 아메리카 대륙의 영국 식민지에서도 견직물 산업을 일으키려는 시도가 있었다. 잉글랜드의 제임스 1세 재위 시기인 1619년부터 관련 논의가 시작되었지만, 식민지에서의 견직물 산업은 큰 규모로 성장하지 못했다. 마찬가지로 1522년 코르테스에 의해 멕시코에 견직물이 도입되는 등 다른 여러 지역에서도 시도가 있었으나, 대부분 인상적인 규모로 발전하지는 못했다.[57]
4. 3. 오늘날의 견직물은 (1760년–현재)
18세기 후반 산업 혁명을 기점으로 견직물 산업은 기계화와 대량 생산 시대로 접어들며 큰 변화를 맞이했다. 특히 조제프 마리 자카드가 발명한 자카드 직기는 복잡한 무늬의 비단을 이전보다 훨씬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게 만들었지만, 동시에 노동자들의 일자리를 위협하며 사회적 갈등을 낳기도 했다.19세기 중반 이후, 유럽의 견직물 산업은 누에에게 치명적인 질병이 유행하고 비스코스와 같은 초기 합성 섬유가 등장하면서 큰 타격을 입었다. 또한 수에즈 운하 개통으로 아시아산 비단 수입이 용이해지면서 가격 경쟁력이 약화되어 점차 쇠퇴의 길을 걸었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일본이 양잠업 현대화에 성공하며 세계 최대의 견직물 생산국으로 부상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일론과 같은 완전 합성 섬유가 개발되어 널리 보급되면서 천연 견직물의 입지는 점차 줄어들었다. 전쟁 후 일본은 잠시 패권을 유지했지만, 합성 섬유의 부상과 산업 구조 변화로 인해 1970년대 이후 쇠퇴했다.
최근에는 경제 개혁을 거친 중국이 압도적인 생산량으로 세계 최대의 견직물 생산국으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등이 그 뒤를 잇고 있다. 비단은 여전히 고급 섬유로 인식되지만, 합성 섬유와의 경쟁 속에서 과거와 같은 지위를 누리지는 못하고 있다. 한편, 견섬유 단백질을 활용한 생체 재료 개발 등 새로운 기술 분야에서 견직물의 활용 가능성이 모색되고 있다.
4. 3. 1. 산업 혁명
산업 혁명의 시작은 주로 대영 제국의 면화 산업을 중심으로 한 기술 혁신 덕분에 전체 섬유 산업이 크게 성장한 시기로 알려져 있다. 초기에는 직물 제조의 여러 단계에서 기술 발전 속도가 달라 서로 보완하는 혁신이 필요했다. 예를 들어, 실을 만드는 방적 기술은 옷감을 짜는 직조 기술보다 훨씬 빠르게 발전했다.하지만 견직 산업은 이러한 방적 기술 혁신의 혜택을 거의 받지 못했는데, 비단실은 생산 과정에서 복잡한 방적 단계를 거치지 않기 때문이었다. 특히 금실이나 은실을 사용한 비단 브로케이드 생산은 색상마다 별도의 셔틀이 필요할 정도로 매우 섬세하고 정교한 작업이었다. 17세기와 18세기를 거치며 견직물 제작을 더 단순하고 표준화하려는 노력이 이어졌다. 부숑과 팔콩이 펀치 카드를 사용하는 직기를 선보였고(1775년경), 이후 자크 드 보캉송이 이를 개선했다.
이후 조제프 마리 자카드는 이들의 설계를 더욱 발전시켜 혁신적인 자카드 직기를 발명했다. 이 직기는 여러 장의 펀치 카드를 정해진 순서에 따라 기계적으로 처리하여 복잡한 무늬를 자동으로 짤 수 있게 했다.[58] 자카드 직기에 사용된 펀치 카드는 일종의 초기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여겨지며, 현대 컴퓨터 기술의 중요한 선구자 역할을 했다. 펀치 카드는 이후 컴퓨터 데이터 입력 방식으로도 널리 사용되다가 1970년대에 이르러서야 점차 사라졌다. 1801년 자카드 직기가 등장하면서, 마치 손으로 자수를 놓은 듯한 복잡한 디자인의 직물을 대량 생산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자카드 직기는 도입 초기 일자리를 빼앗길 것을 우려한 노동자들의 거센 반발에 부딪혔지만, 곧 견직 산업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기술로 자리 잡았다. 1806년, 자카드 직기는 공공재산으로 지정되었고, 발명가 자카드는 직기 한 대당 연금과 로열티를 받게 되었다. 1834년에는 프랑스 리옹 지역에만 총 2,885대의 자카드 직기가 가동될 정도로 널리 보급되었다.[53] 이러한 기술 변화는 사회적 갈등을 낳기도 했는데, 1831년 리옹에서 일어난 카뉘 봉기는 산업 혁명 시기 노동자들이 겪었던 어려움과 저항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건이었다. 당시 리옹의 견직물 노동자들인 카뉘(Canuts)는 도시를 점령했지만, 술트 원수가 이끄는 군대에 의해 결국 진압되었다. 이후 1834년에도 비슷한 성격의 두 번째 봉기가 발생했다.
4. 3. 2. 유럽의 견직물 산업 쇠퇴
19세기 중반 유럽의 견직물 산업은 여러 요인으로 인해 쇠퇴의 길을 걷게 되었다.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는 누에에게 치명적인 질병의 유행이었다. 1845년경부터 나타나기 시작한 이 질병들은[135] 1849년 프랑스에서 큰 피해를 일으키며 본격적으로 확산되었다.[59] 이 질병들은 곧 이탈리아, 스페인, 시리아, 터키, 중국 등지로 퍼져나갔다.[60]주요 질병으로는 미포자충류의 일종인 ''Nosema bombycis''가 일으키는 페브린(pébrine, 미립자병 또는 후추병),[65] 바이러스가 원인인 플라셰리(flacherie, 농병 또는 무름병),[64][135] 그리고 아고스티노 바시가 1835년에 기생 곰팡이인 ''Beauveria bassiana''(백강균)에 의해 발생함을 밝혀낸 백강병(muscardine 또는 말 데 세뇨, mal del segno) 등이 있었다.[61][135] 바시의 연구는 동물 간 질병 전파를 처음 증명하며 질병 확산 방지에 기여했다.[62]
프랑스에서는 질병으로 인한 피해가 심각해지자, 1865년 농업 및 상업부 장관 장바티스트 뒤마는 루이 파스퇴르에게 원인 규명과 해결책 마련을 의뢰했다.[63][135] 파스퇴르는 1865년부터 1870년까지 연구를 통해 페브린과 플라셰리의 원인을 밝혀내고, 감염된 누에를 격리하는 등의 예방 조치를 제안하여 양잠 농가들이 피해를 줄이고 생산을 일부 회복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66][64]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누에고치 가격 상승과 19세기 부르주아지 의복 유행 변화로 천연 견직물의 중요성이 감소하면서 유럽 견직물 산업의 쇠퇴는 계속되었다.[136][67] 또한, 1869년 수에즈 운하 개통은 중국과 일본 등 아시아산 비단의 수입 가격을 낮춰 유럽산 비단의 경쟁력을 더욱 약화시켰다.[136][67]
장기 불황 (1873년–1896년) 시기를 거치며 리옹 등 주요 생산지의 견직물 생산은 완전히 산업화되었고, 전통적인 수동 직조기는 빠르게 사라졌다. 이 시기 화학 분야의 발전은 섬유 산업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 화학 합성을 통해 아닐린에서 모베인(아닐린 보라색) 염료가 만들어졌고, 퀴닌 합성은 남색(인디고) 염료 개발로 이어졌다.[136][67] 결정적으로 1884년에는 일레르 드 샤르도네 백작이 인공 견직물인 비스코스를 발명했고, 1891년 비스코스 생산 공장이 가동되면서 훨씬 저렴한 가격의 인공 섬유가 천연 견직물을 대체하기 시작하며 유럽 견직물 산업의 쇠퇴를 더욱 가속화했다.[136][67]
4. 3. 3. 현대의 견직물

유럽의 양잠업 위기 이후, 일본은 양잠업의 현대화를 통해 세계 최대의 견직물 생산국으로 부상했다. 20세기 초, 급속한 산업화를 이룬 일본은 전 세계 생사 생산량의 60%를 차지했으며, 대부분의 수출품은 요코하마항을 통해 운송되었다.[137][68] 이탈리아는 위기에서 회복했지만, 프랑스는 그렇지 못했다. 유럽의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많은 양잠업 종사자들이 더 높은 수익을 찾아 공장으로 이동했고, 이로 인해 생긴 공백을 메우기 위해 일본에서 생사를 수입하게 되었다.[75][1] 과거 원재료(누에고치, 생사)를 수출하던 아시아 국가들은 점차 완성된 의복을 수출하는 방향으로 전환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으로부터의 견섬유 공급이 중단되자, 서방 국가들은 나일론과 같은 합성 섬유를 대체재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합성 섬유는 낙하산이나 스타킹 등 다양한 제품에 활용되며 견직물을 대체했다. 전쟁이 끝난 후에도 견직물은 값비싼 고급 제품으로서의 지위는 유지했지만, 이전에 비해 시장 점유율을 크게 회복하지는 못했다.[75][1]
전후 일본은 기술 혁신과 보호무역주의 정책을 통해 1970년대까지 세계 최대의 견사 생산 및 수출국 지위를 유지했다.[75][1] 그러나 합성 섬유의 중요성이 커지고 보호주의 경제가 완화되면서 일본의 견직물 산업은 점차 쇠퇴하기 시작했고, 1975년경에는 더 이상 견사 순수출국이 아니게 되었다.[138][69]
최근 경제 개혁을 거치면서 중국이 세계 최대의 견직물 생산국으로 자리 잡았다. 1996년 중국은 전 세계 생산량 81000ton 중 58000ton을 생산했으며, 인도가 13000ton으로 그 뒤를 이었다. 반면 일본의 생산량은 2500ton 수준으로 크게 줄었다. 1995년과 1997년 사이 중국은 가격 인상을 위해 생산량을 40% 감축하기도 했는데, 이는 과거 견직물 공급 부족 시기를 연상시키는 조치였다.[139][70]
견직물 및 기타 천연 섬유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2006년 12월 유엔 총회는 2009년을 국제 천연 섬유의 해로 선포했다.
최근에는 견섬유를 활용한 새로운 기술 개발도 이루어지고 있다. 2024년, MIT 등의 연구진은 전기 전압을 가하면 진동하는 매우 얇은 변형 실크 조각을 개발했다. 이 소재는 얇지만 음파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소음 차단에 활용될 가능성을 보였다.[71] 또한, 2010년대 후반부터 실크 베갯잇이 피부와 모발에 좋다는 인식과 함께 인기를 얻고 있으나,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는 과학적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72] 일본에서는 2015년경부터 "스마트 누에치기 시스템"을 활용하는 스타트업들이 누에고치에서 추출한 단백질인 피브로인을 이용하여 샴푸, 바디 비누 등 다양한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73] 이처럼 실크 기반 생체 재료는 다양한 생의학 및 생명 공학 분야에서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74]
참조
[1]
논문
Biomolecular Evidence of Silk from 8,500 Years Ago
https://www.ncbi.nlm[...]
[2]
서적
Chinese Silk: A Cultural History
Rutgers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China Focus: World's earliest silk fabrics discovered in central China's ruins-China Silk Museum
https://www.chinasil[...]
2023-03-25
[4]
간행물
Zhongguo Sichoushi
http://203.72.198.24[...]
Encyclopedia of China
2007-11-23
[5]
웹사이트
Textile Exhibition: Introduction
http://www.asianart.[...]
Asian art
2007-08-02
[6]
문서
Des mûriers dans le jardin du mandarin
Historia
2000-12
[7]
문서
Soie' (§2. Historique)
Encyclopédie Encarta
[8]
논문
New Evidence for Early Silk in the Indus Civilization
https://www.academia[...]
2009-01
[9]
논문
New Evidence for Early Silk in the Indus Civilization*
https://dash.harvard[...]
2009
[10]
서적
The Atlas of World Geology
https://archive.org/[...]
Checkmark Books
[11]
웹사이트
The History of Silk
http://www.silk.org.[...]
The Silk Association of Great Britain
2007-10-23
[12]
문서
Appendix A: Introduction of Silk Cultivation to Khotan in the 1st Century AD.
[13]
웹사이트
Les relations entre le monde romain et la Chine: la tentation du Far East
http://www.clio.fr/B[...]
clio.fr
2007-05-06
[14]
문서
Naturalis Historia
[15]
문서
Histoire des techniques
[16]
웹사이트
A History of Silk Maps
http://www.travellad[...]
2007-05-20
[17]
문서
Liu (2010)
[18]
서적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문서
Histoire de la Route de la soie
Encyclopædia Universalis
[20]
문서
Les routes de la soie: 22 siècles d'aventure
Historia
2000-12
[21]
문서
Declamations
[22]
논문
The Modern Silk Road: The Global Raw-Silk Market, 1850-1930.
http://www.jstor.org[...]
[23]
웹사이트
The Megalithic Portal and Megalith Map: Silk Road, North China [Northern Silk Road, North Silk Road] Ancient Trackway
http://www.megalithi[...]
www.megalithic.co.uk
2008-07-05
[24]
서적
The Silk Road: Two Thousand Years in the Heart of Asia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5]
서적
The Silk Road: Trade, Travel, War and Faith
https://books.google[...]
British Library. Serindia Publications, Inc.
[26]
웹사이트
The Silk Road
https://stowawaymag.[...]
2024-08-12
[27]
문서
Cook (1999)
[28]
문서
Strabo 11.11.1, 15.1.34
[29]
웹사이트
Internet History Sourcebooks Project
http://www.fordham.e[...]
[30]
문서
Byzance
Encyclopædia Universalis
[31]
문서
Histoire des Techniques
[32]
문서
Tissus d'art
Encyclopædia Universalis
[33]
서적
Storia d'Italia
UTET
[34]
논문
Silk Economics and Cross-Cultural Artistic Interaction: Byzantium, the Muslim World, and the Christian West
[35]
웹사이트
The Ancient and Noble Art of Silk
https://www.madeinit[...]
2015-05-14
[36]
웹사이트
Catanzaro | Italy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3-25
[37]
서적
La seta. E oltre...
Edizioni Scientifiche Italiane
2004
[38]
문서
Heleanor B. Feltham: ''Justinian and the International Silk Trade''
http://sino-platonic[...]
[39]
문서
Silk in the Medieval World
Jenkins
2003
[40]
서적
Histoire de l'état byzantin
Payot
1956
[41]
문서
Histoire des techniques
[42]
서적
Southern Italy in the Late Middle Ages: Demographic, Institutional Change in the Kingdom of Naples, c.1440-c.1530
Brill
2012
[43]
서적
Silk and Religion: An Exploration of Material Life and the Thought of People AD 600-1200
Oxford University Press US
1998
[44]
문서
Histoire des Techniques
[45]
문서
Histoire des Techniques
[46]
문서
1994
[47]
문서
Histoire des Techniques
[48]
서적
La seta a Catanzaro e Lione. Echi lontani e attività presente
https://books.google[...]
Calabria Letteraria
2006
[49]
문서
A Brief History of Figured Textile Production
http://media.handwea[...]
[50]
문서
Autour du Fil, l'encyclopédie des arts textiles
[51]
서적
Ancient Engineers' Inventions: Precursors of the Present
2016
[52]
서적
Histoire de la France: Dynasties et révolutions, de 1348 à 1852
Éditions Larousse
1999
[53]
간행물
La dure condition des forçats du luxe
Historia
2000-12
[54]
문서
Guide Gallimard - Parc naturel LUBERON
[55]
웹사이트
The Silk Industry in Lyon, France
http://www.museumoft[...]
2017-10-06
[56]
문서
1997
[57]
서적
The Encyclopedia of World History
Houghton Mifflin Books
2001
[58]
문서
Histoire des techniques
[59]
논문
The Silk Worm Epidemic, Pebrine, after Pasteur, with Some Reflections Regarding the Analogy of This Disorder to Certain Diseases of the Human Subject
1877
[60]
간행물
Chapter 4 - Pebrine monitoring methods in sericulture
https://www.scienced[...]
Academic Press
2024-08-11
[61]
웹사이트
Agostino Bassi {{!}} Microbiology, Disease Control & Entomology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8-11
[62]
문서
Bassi, Agostino
John Wiley & Sons, Ltd: Chichester
2013-09
[63]
웹사이트
Jean Baptiste Dumas (1800-1884)
https://www.pasteurb[...]
[64]
논문
Pasteur and insect pathogens
https://www.nature.c[...]
1999-08
[65]
간행물
Chapter 4 - Pebrine monitoring methods in sericulture
https://www.scienced[...]
Academic Press
2024-08-11
[66]
웹사이트
The scourge of silk and Pasteur's cure
https://www.deccanhe[...]
2024-08-11
[67]
문서
Japanese Industrialization and the Asian Economy
[68]
서적
Disaster and Human History: Case Studies in Nature, Society, and Catastrophe
McFarland & Company Inc.
2009
[69]
웹사이트
The Cocoon Strikes Back: Innovative Products Could Revive a Dying Industry
http://web-japan.org[...]
Japan Information Network
2007-10-23
[70]
문서
Silk
Encyclopædia Britannica
2006
[71]
웹사이트
This sound-suppressing silk can create quiet spaces
https://news.mit.edu[...]
2024-05-07
[72]
웹사이트
Are increasingly popular silk pillowcases really worth the hype?
https://www.seattlet[...]
2024-08-06
[73]
웹사이트
Japanese silk has potential for applications in medicine, food and biotechnology
https://jstories.med[...]
2024-11-23
[74]
논문
Applications of silk-based biomaterials in biomedicine and biotechnology
https://www.scienced[...]
2024-03-01
[75]
저널
Why Japan, Not China, Was the First to Develop in East Asia: Lessons from Sericulture, 1850–1937
http://www.journals.[...]
2004-01
[76]
문서
Biomolecular Evidence of Silk from 8,500 Years Ago
https://www.ncbi.nlm[...]
[77]
서적
Chinese Silk: A Cultural History
Rutgers University Press
[78]
웹인용
China Focus: World's earliest silk fabrics discovered in central China's ruins-China Silk Museum
https://www.chinasil[...]
2023-03-25
[79]
문서
Zhongguo Sichoushi
http://203.72.198.24[...]
[80]
웹인용
Textile Exhibition: Introduction
http://www.asianart.[...]
Asian art
2007-08-02
[81]
문서
Des mûriers dans le jardin du mandarin
2000-12
[82]
웹인용
일본에 전해 준 우리 문화
http://contents.nahf[...]
2024-09-11
[83]
문서
Soie
[84]
저널
New Evidence for Early Silk in the Indus Civilization
https://www.academia[...]
2009-01
[85]
저널
New Evidence for Early Silk in the Indus Civilization*
https://dash.harvard[...]
2009
[86]
저널
Species identification of silks by protein mass spectrometry reveals evidence of wild silk use in antiquity
https://www.nature.c[...]
2022-03-17
[87]
서적
The Atlas of World Geology
https://archive.org/[...]
Checkmark Books
[88]
웹인용
The History of Silk
http://www.silk.org.[...]
The Silk Association of Great Britain
2007-10-23
[89]
문서
Appendix A: Introduction of Silk Cultivation to Khotan in the 1st Century AD.
[90]
웹인용
Les relations entre le monde romain et la Chine : la tentation du Far East
http://www.clio.fr/B[...]
clio.fr
2007-05-06
[91]
문서
박물지
[92]
문서
Histoire des techniques
[93]
웹인용
A History of Silk Maps
http://www.travellad[...]
2007-05-20
[94]
문서
[95]
서적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96]
문서
Histoire de la Route de la soie
[97]
문서
Les routes de la soie: 22 siècles d'aventure
2000-12
[98]
문서
연설문
[99]
문서
The Modern Silk Road: The Global Raw-Silk Market, 1850-1930.
1996
[100]
웹인용
The Megalithic Portal and Megalith Map: Silk Road, North China [Northern Silk Road, North Silk Road] Ancient Trackway
http://www.megalithi[...]
www.megalithic.co.uk
2008-07-05
[101]
서적
The Silk Road: Two Thousand Years in the Heart of Asia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02]
서적
The Silk Road: Trade, Travel, War and Faith
https://books.google[...]
British Library. Serindia Publications, Inc.
[103]
문서
[104]
문서
[105]
웹인용
Internet History Sourcebooks Project
http://www.fordham.e[...]
2023-06-11
[106]
간행물
Byzance
Encyclopædia Universalis
2006
[107]
간행물
Histoire des Techniques
[108]
간행물
Tissus d'art
Encyclopædia Universalis
2006
[109]
서적
Storia d'Italia
UTET
1983
[110]
논문
Silk Economics and Cross-Cultural Artistic Interaction: Byzantium, the Muslim World, and the Christian West
2004
[111]
웹인용
The Ancient and Noble Art of Silk
https://www.madeinit[...]
2015-05-14
[112]
웹인용
Catanzaro | Italy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3-25
[113]
서적
La seta. E oltre...
Edizioni Scientifiche Italiane
2004
[114]
문서
Justinian and the International Silk Trade
http://sino-platonic[...]
[115]
문서
Silk in the Medieval World
Jenkins (2003)
[116]
간행물
Histoire de l'état byzantin
Payot
1956
[117]
간행물
Histoire des techniques
[118]
서적
Southern Italy in the Late Middle Ages: Demographic, Institutional Change in the Kingdom of Naples, c.1440-c.1530
Brill
2012
[119]
서적
Silk and Religion: An Exploration of Material Life and the Thought of People AD 600-1200
Oxford University Press US
1998
[120]
간행물
Histoire des Techniques
[121]
간행물
Histoire des Techniques
[122]
문서
1994
[123]
간행물
Histoire des Techniques
[124]
서적
La seta a Catanzaro e Lione. Echi lontani e attività presente
https://books.google[...]
Calabria Letteraria
2006
[125]
문서
A Brief History of Figured Textile Production
http://media.handwea[...]
[126]
문서
Autour du Fil, l'encyclopédie des arts textiles
[127]
서적
Ancient Engineers' Inventions: Precursors of the Present
2016
[128]
간행물
Histoire de la France: Dynasties et révolutions, de 1348 à 1852
Éditions Larousse
1999
[129]
간행물
La dure condition des forçats du luxe
Historia
2000-12
[130]
간행물
Guide Gallimard - Parc naturel LUBERON
[131]
웹사이트
The Silk Industry in Lyon, France
http://www.museumoft[...]
2017-10-23
[132]
문서
1997
[133]
서적
The Encyclopedia of World History
Houghton Mifflin Books
2001
[134]
간행물
Histoire des techniques
[135]
뉴스
Louis Pasteur
http://encarta.msn.c[...]
Microsoft Encarta Online Encyclopedia
2007
[136]
서적
Japanese Industrialization and the Asian Economy
[137]
서적
Disaster and Human History: Case Studies in Nature, Society, and Catastrophe
https://archive.org/[...]
McFarland & Company Inc.
2009
[138]
웹인용
The Cocoon Strikes Back: Innovative Products Could Revive a Dying Industry
http://web-japan.org[...]
Japan Information Network
2000-10-23
[139]
간행물
Silk
Encyclopædia Britannica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