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키릴 문자를 사용하는 언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릴 문자를 사용하는 언어는 러시아어를 모델로 하며, 다양한 슬라브어 및 비슬라브어를 비롯하여 몽골어, 튀르크어 등 여러 언어에서 사용된다. 1870년대에 핀족과 튀르크족을 위해 개발되었으며, 소련 시대에 아랍 문자나 라틴 문자를 사용하던 민족들이 키릴 문자를 채택했다. 소련 붕괴 이후 우즈베키스탄, 아제르바이잔, 투르크메니스탄 등에서는 키릴 문자 사용이 정치적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했으며, 일부 언어는 로마자 표기법으로 전환되거나 이전 문자로 회귀했다. 현재는 슬라브어군, 튀르크어족, 몽골어족, 우랄어족, 캅카스어족 등 다양한 언어에서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키릴 문자 - 초기 키릴 문자
    초기 키릴 문자는 9세기 말 프레슬라프 문학 학교에서 글라골 문자를 기반으로 창작되어 그리스 문자를 참고하여 교회 서적에 더 적합하게 만들어졌으며, 슬라브족 국가로 전파된 후 지역적 변형과 문자 개혁을 거쳐 동유럽과 아시아 전역의 언어 표기에 사용되고 있다.
  • 키릴 문자 - 루마니아어 키릴 문자
    루마니아어 키릴 문자는 루마니아어의 초기 표기에 사용된 문자 체계로, 몰도바어 키릴 문자와 함께 초기 키릴 문자와 유사하며 교회 슬라브어의 전례 언어에 사용되었고, 1830년대 라틴 문자 채택 이전에는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가 혼용되었다.
키릴 문자를 사용하는 언어
개요
유형문자 체계
문자 종류알파벳
사용 언어다양한 언어
기원그리스 문자
모 문자 체계그리스 문자
자식 문자 체계로마자 (일부 문자)
글라골 문자 (이론상)
역사
고안10세기 말
창시자성 키릴로스 (전통적인 견해)
클리멘트 오흐리츠키 (가능성)
특징
문자 수언어에 따라 다름 (최소 33개)
쓰기 방향왼쪽에서 오른쪽
대소문자 구별있음
관련 문자그리스 문자
로마자
사용 현황
공용 문자여러 슬라브어와 비슬라브어
지리적 분포동유럽, 북아시아, 중앙아시아
키릴 문자를 사용하는 언어
슬라브어파벨라루스어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
러시아어
루신어
세르비아어
우크라이나어
튀르크어족아제르바이잔어 (과거)
바시키르어
추바시어
카자흐어
키르기스어
타타르어
투바어
야쿠트어
몽골어족부랴트어
칼미크어
몽골어 (2025년 이후)
이란어군타지크어
오세트어
핀우그르어족코미어
마리어
모르도바어
우드무르트어
캅카스 제어압하스어
아바르어
체첸어
잉구시어
카바르딘어
라크어
레즈기어
기타둥간어
몰도바어/루마니아어 (과거)
롬어
유픽어 (알래스카 유픽어, 시베리아 유픽어)
슬라브어 에스페란토
알류트어 (과거)
에벤키어
한티어
만시어
나나이어
네네츠어
셀쿠프어
축치어
유카기르어
추가 정보
관련 항목키릴 문자 유니코드
문자 인코딩
국제 음성 기호
같이 보기키릴 문자를 사용하는 언어 목록
로마자

2. 역사

키릴 문자는 러시아어를 모델로 하지만, 특히 캅카스 언어에 적용될 때 뚜렷한 차이점을 보이기도 한다. 1870년대에 이델-우랄 (마리, 우드무르트, 모르도바, 추바쉬, 케라셴 타타르)의 핀족 및 튀르크족을 위해 정교회 선교사들에 의해 개발되었다. 이후 최근에 기독교로 개종한 일부 시베리아캅카스 민족을 위해 이러한 알파벳이 만들어졌다. 1930년대에는 이러한 언어 중 일부가 통일 튀르크어 알파벳으로 전환되었다. 이전에 아랍 문자나 다른 아시아 문자를 사용했던 옛 소련의 모든 민족도 키릴 문자를 채택했으며, 1930년대 후반의 대숙청 기간 동안 소련 민족의 모든 라틴 문자도 키릴 문자로 전환되었다. 다만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에스토니아는 1940년 소련에 점령되어 합병되었으며, 이 변화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압하스어오세트어는 그루지야 문자로 전환되었지만, 이오시프 스탈린이 사망한 후 두 언어 모두 키릴 문자를 채택했다. 키릴 문자를 채택한 마지막 언어는 이전에 그리스 문자를 사용했던 가가우즈어였다.

우즈베키스탄, 아제르바이잔, 투르크메니스탄에서는 현지 언어를 표기하기 위해 키릴 문자를 사용하는 것이 소련 붕괴 이후 종종 정치적으로 논쟁이 되어왔는데, 이는 소련 통치와 러시아화 시대를 연상시키기 때문이다. 타타르족과 같은 러시아 민족 중 일부도 키릴 문자를 버리려고 시도했지만, 러시아 법에 의해 중단되었다. 많은 언어가 키릴 문자에서 로마자를 기반으로 한 철자법으로 전환하거나 이전 문자로 되돌아갔다.

키릴 문자는 여러 슬라브어(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세르비아어,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 벨라루스어)와 비슬라브어(카자흐어, 우즈베크어, 키르기스어, 타지크어, 가가우즈어, 몽골어)에서 계속 사용되고 있다.

2. 1. 초기 키릴 문자

2. 2. 불가리아 제1제국

2. 3. 러시아 및 동슬라브 지역으로의 확산

키릴 문자는 여러 슬라브어(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세르비아어,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 벨라루스어)와 비슬라브어(카자흐어, 우즈베크어, 키르기스어, 타지크어, 가가우즈어, 몽골어)에서 계속 사용되고 있다. 비슬라브 문자는 일반적으로 러시아어를 모델로 하지만, 특히 캅카스 언어에 적용될 때 뚜렷한 차이점을 보이기도 한다.

1870년대에 이델-우랄 (마리, 우드무르트, 모르도바, 추바쉬, 케라셴 타타르)의 핀족 및 튀르크족을 위해 정교회 선교사들에 의해 이러한 알파벳 중 처음 몇 개가 개발되었다. 이후 최근에 기독교로 개종한 일부 시베리아캅카스 민족을 위해 이러한 알파벳이 만들어졌다. 1930년대에는 이러한 언어 중 일부가 통일 튀르크어 알파벳으로 전환되었다. 이전에 아랍 문자나 다른 아시아 문자를 사용했던 옛 소련의 모든 민족도 키릴 문자를 채택했으며, 1930년대 후반의 대숙청 기간 동안 소련 민족의 모든 라틴 문자도 키릴 문자로 전환되었다(리투아니아, 라트비아, 에스토니아는 1940년 소련에 점령되어 합병되었으며, 이 변화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압하스어오세트어는 그루지야 문자로 전환되었지만, 이오시프 스탈린이 사망한 후 두 언어 모두 키릴 문자를 채택했다. 키릴 문자를 채택한 마지막 언어는 이전에 그리스 문자를 사용했던 가가우즈어였다.

우즈베키스탄, 아제르바이잔, 투르크메니스탄에서는 현지 언어를 표기하기 위해 키릴 문자를 사용하는 것이 소련 붕괴 이후 종종 정치적으로 논쟁이 되어왔는데, 이는 소련 통치와 러시아화 시대를 연상시키기 때문이다. 타타르족과 같은 러시아 민족 중 일부도 키릴 문자를 버리려고 시도했지만, 러시아 법에 의해 중단되었다. 많은 언어가 키릴 문자에서 로마자를 기반으로 한 철자법으로 전환하거나 이전 문자로 되돌아갔다.

2. 4. 소련 시대의 키릴 문자

비슬라브 문자는 일반적으로 러시아어를 모델로 하지만, 특히 캅카스 언어에 적용될 때 뚜렷한 차이점을 보이기도 한다. 1870년대에 이델-우랄 (마리, 우드무르트, 모르도바, 추바쉬, 케라셴 타타르)의 핀족 및 튀르크족을 위해 정교회 선교사들에 의해 개발되었다. 이후 최근에 기독교로 개종한 일부 시베리아캅카스 민족을 위해 이러한 알파벳이 만들어졌다. 1930년대에는 이러한 언어 중 일부가 통일 튀르크어 알파벳으로 전환되었다.

이전에 아랍 문자나 다른 아시아 문자를 사용했던 옛 소련의 모든 민족도 키릴 문자를 채택했으며, 1930년대 후반의 대숙청 기간 동안 소련 민족의 모든 라틴 문자도 키릴 문자로 전환되었다.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에스토니아는 1940년 소련에 점령되어 합병되었으며, 이 변화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압하스어와 오세트어는 그루지야 문자로 전환되었지만, 이오시프 스탈린이 사망한 후 두 언어 모두 키릴 문자를 채택했다. 키릴 문자를 채택한 마지막 언어는 이전에 그리스 문자를 사용했던 가가우즈어였다.

우즈베키스탄, 아제르바이잔, 투르크메니스탄에서는 현지 언어를 표기하기 위해 키릴 문자를 사용하는 것이 소련 붕괴 이후 종종 정치적으로 논쟁이 되어왔는데, 이는 소련 통치와 러시아화 시대를 연상시키기 때문이다. 타타르족과 같은 러시아 민족 중 일부도 키릴 문자를 버리려고 시도했지만, 러시아 법에 의해 중단되었다. 많은 언어가 키릴 문자에서 로마자를 기반으로 한 철자법으로 전환하거나 이전 문자로 되돌아갔다.

키릴 문자는 여러 슬라브어(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세르비아어,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 벨라루스어)와 비슬라브어(카자흐어, 우즈베크어, 키르기스어, 타지크어, 가가우즈어, 몽골어)에서 계속 사용되고 있다.

2. 5. 현대의 키릴 문자

현대의 키릴 문자는 여러 슬라브어(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세르비아어,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 벨라루스어)와 비슬라브어(카자흐어, 우즈베크어, 키르기스어, 타지크어, 가가우즈어, 몽골어)에서 계속 사용되고 있다.

비슬라브 문자는 일반적으로 러시아어를 모델로 하지만, 특히 캅카스 언어에 적용될 때 뚜렷한 차이점을 보이기도 한다. 1870년대에 이델-우랄 (마리, 우드무르트, 모르도바, 추바쉬, 케라셴 타타르)의 핀족 및 튀르크족을 위해 정교회 선교사들에 의해 개발된 알파벳이 그 시초이다. 이후 최근에 기독교로 개종한 일부 시베리아캅카스 민족을 위해 이러한 알파벳이 만들어졌다. 1930년대에는 이러한 언어 중 일부가 통일 튀르크어 알파벳으로 전환되었다. 이전에 아랍 문자나 다른 아시아 문자를 사용했던 옛 소련의 모든 민족도 키릴 문자를 채택했으며, 1930년대 후반의 대숙청 기간 동안 소련 민족의 모든 라틴 문자도 키릴 문자로 전환되었다.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에스토니아는 1940년 소련에 점령되어 합병되었으며, 이 변화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압하스어오세트어는 그루지야 문자로 전환되었지만, 이오시프 스탈린이 사망한 후 두 언어 모두 키릴 문자를 채택했다. 키릴 문자를 채택한 마지막 언어는 이전에 그리스 문자를 사용했던 가가우즈어였다.

우즈베키스탄, 아제르바이잔, 투르크메니스탄에서는 현지 언어를 표기하기 위해 키릴 문자를 사용하는 것이 소련 붕괴 이후 종종 정치적으로 논쟁이 되어왔는데, 이는 소련 통치와 러시아화 시대를 연상시키기 때문이다. 타타르족과 같은 러시아 민족 중 일부도 키릴 문자를 버리려고 시도했지만, 러시아 법에 의해 중단되었다. 많은 언어가 키릴 문자에서 로마자를 기반으로 한 철자법으로 전환하거나 이전 문자로 되돌아갔다.

3. 지리적 분포

3. 1. 동유럽

동유럽 지역에서 사용되는 슬라브어계 키릴 문자 사용 언어는 다음과 같다. 루신어, 우크라이나어, 벨라루스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세르비아어, 몬테네그로어, 마케도니아어, 불가리아어는 남슬라브어군에 속한다.

3. 2. 구 소련 지역

구 소련 지역에서는 다양한 언어들이 키릴 문자를 사용한다. 슬라브어계 언어로는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벨라루스어, 루신어가 있다. 비슬라브어계 언어로는 몰도바어, 압하스어, 인구시어, 체첸어, 아바르어, 타바사란어, 칼미크어, 코미어, 둥간어, 카자흐어, 타지크어, 키르기스어, 부랴트어, 몽골어, 축치어, 오세트어, 발카르어, 카바르다어, 루툴어, 타타르어, 크림 타타르어, 아디게어, 카렐리야어, 우드무르트어, 추바시어, 바시키르어, 모르도바어, 아이누어, 사미어 일부 등이 키릴 문자를 사용한다.

3. 3. 기타 지역

4. 언어별 키릴 문자

슬라브어군에서 사용되는 키릴 문자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 동슬라브어군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벨라루스어, 루신어는 모두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지만 각 언어별로 고유한 특징을 가진다.

러시아어 문자는 다음과 같다.

러시아어 문자
А аБ бВ вГ гД дЕ еЁ ёЖ жЗ зИ иЙ й
К кЛ лМ мН нО оП пР рС сТ тУ уФ ф
Х хЦ цЧ чШ шЩ щЪ ъЫ ыЬ ьЭ эЮ юЯ я



특징은 다음과 같다.


  • Ё (Ё ё) /jo//Ё ёru
  • 경음 기호 (ъ)
  • Ы (Ы ы) /ɨ//Ы ыru
  • Э (Э э) /ɛ//Э эru


벨라루스어 문자는 다음과 같다.

벨라루스어 문자
А аБ бВ вГ гД дЕ еЁ ёЖ жЗ зI iЙ й
К кЛ лМ мН нО оП пР рС сТ тУ уЎ ў
Ф фХ хЦ цЧ чШ шЫ ыЬ ьЭ эЮ юЯ я


  • Г는 /ɣ//Г гbe 소리를 가진다.
  • I는 라틴 문자 I (І, і)와 같은 형태이다.
  • Ў (Ў ў)는 У와 Ф 사이에 위치한다. /w//Ў ўbe 소리가 난다.
  • ШЧ, шч 같은 합자는 러시아어우크라이나어의 Щ (Щ, щ) 자리에 온다.
  • Дж дж와 Дз дз 같은 Д д 다음에 오는 합자가 있다. 이는 다음과 같은 하나의 소리를 나타낸다. Дж /ɖʐ//Дж джbe, Дз /dz//Дз дзbe.


우크라이나어 문자는 다음과 같다.

우크라이나어 문자
А аБ бВ вà 㥠ґД дЕ еЄ єЖ жЗ зИ и
I iÏ ïЙ йК кЛ лМ мН нО оП пР рС с
Т тУ уФ фХ хЦ цЧ чШ шЩ щЮ юЯ яЬ ь


  • Г는 /ɣ//Г гuk 소리를 가진다.
  • Ґ (Ґ ґ)는 /ɡ//Ґ ґuk소리를 가진다. 이 글자는 소련에서 1933년 이전에는 쓰이지 않았다.
  • Е (Е е)는 /e//Е еuk소리를 가진다.
  • E 다음에 오는 Є (Є є)는 /je//Є єuk 소리를 가진다.
  • И (И и)는 /ɪ//И иuk 소리를 가진다.
  • И 다음에 오는 I (I i)는 /i//I iuk 소리를 가진다.
  • I 다음에 오는 Ï (Ï ï)는 /ji//Ї їuk 소리를 가진다.
  • Й (Й й)는 /j//Й йuk 소리를 가진다.
  • Щ (Щ щ)는 /ɕtɕ//Щ щuk 소리를 가진다.
  • Дж дж와 Дз дз 같은 Д д 다음에 오는 합자가 있다. 이는 다음과 같은 하나의 소리를 나타낸다. Дж /dʑ//Дж джuk, Дз /dz//Дз дзuk.
  • 아포스트로피(')는 선행 자음의 구개 탈구화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루신어 문자는 다음과 같다.

루신어 문자
А аБ бВ вà 㥠ґД дЕ еЄ єЁ ёЖ жЗ з
И иI i*Ы ы*Ï ïЙ йК кЛ лМ мН нО оП п
Р рС сТ тУ уФ фХ хЦ цЧ чШ шЩ щЪ ъ
Ю юЯ яЬ ьЪ ъ*


  • 보이보디나 루신어에는 없는 문자들


루신어는 트란스카르파티아 우크라이나, 슬로바키아, 폴란드 등지의 렘코 루신인들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남슬라브어군

불가리아어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Е는 /ɛ/bg 소리가 나며 "е" [e]bg로 불린다. Щ는 /ʃt/bg 소리가 나며 "щъ" [ʃtɤ]bg로 불린다. Ъ는 /ɤ/bg 소리가 나며 "ер голям" [ˈer goˈlʲam]bg(큰 er)로 불린다.[2][3] 9세기에서 10세기 경 제1차 불가리아 제국 시기에 프레슬라프 문학 학교에서 개발되었다. 글라골 문자를 대체하여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세르비아어키릴 문자로마자를 함께 사용하나, 키릴 문자가 주로 쓰인다. Е는 /ɛ/sr 소리가 난다. Д와 Е 사이에 Ђ가 있으며 /dʑ/sr 소리를 갖는다. И와 К 사이에 J가 있으며 /j/sr 소리를 가지며, 로마자 J와 흡사하다. Л과 М 사이에 Љ가 있으며 /ʎ/sr 소리를 갖는다. Н와 О 사이에 Њ가 있으며 /ɲ/sr 소리를 갖는다. Т와 У 사이에 Ћ가 있으며 /tɕ/sr 소리를 갖는다. Ч와 Ш 사이에 Џ가 있으며 /ɖʐ/sr 소리를 갖는다. Ш는 마지막 글자이다.[4]

몬테네그로어세르비아어와 마찬가지로 키릴 문자로마자를 함께 쓰지만, 세르비아와는 달리 로마자가 주로 쓰인다. 세르비아어와 비교했을때, З́ з́ (/ʑ/sr) 와 С́ с́ (/ɕ/sr)가 추가되었다.

마케도니아어세르비아어와 비교했을 때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З와 И 사이에 S, s가 있으며 /dz/mk 소리를 갖는다. Ђ 대신 Ѓ, ѓ가 사용되며 /ɡʲ/mk 소리를 갖는다. Ћ 대신 Ќ, ќ가 사용되며 /kʲ/mk 소리를 갖는다.[5]

크로아티아어는 역사적으로 키릴 문자를 사용한 적이 있다.[6]

; 비슬라브어파

이들은 대개 러시아어 문자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대개 이 언어 사용자들이 러시아의 영향을 받게 되면서 이러한 종류의 문자가 생겨났다.

; 튀르크어족

아제르바이잔어는 1939년부터 1991년까지 키릴 문자를 사용했다. 1938년 겨울부터 바슈키르어 키릴 문자가 사용되었다. 19세기 후반부터 추바시어 키릴 문자가 사용되었다.

바슈키르어 문자
А аБ бВ вГ гҒ ғД дҘ ҙЕ еЁ ёЖ жЗ з
И иЙ йК кҠ ҡЛ лМ мН нҢ ңО оӨ өП п
Р рС сҪ ҫТ тУ уY үФ фХ хҺ hЦ цЧ ч
Ш шЩ щЪ ъЫ ыЬ ьЭ эӘ әЮ юЯ я



추바시어 문자
А аӐ ӑБ бВ вГ гД дЕ еЁ ёӖ ӗЖ жЗ з
И иЙ йК кЛ лМ мН нО оП пР рС сҪ ҫ
Т тУ уӲ ӳФ фХ хЦ цЧ чШ шЩ щЪ ъЫ ы
Ь ьЭ эЮ юЯ я



카자흐어는 라틴 문자로 쓰이기도 한다. 현 카자흐스탄 정부는 2025년까지 카자흐어 표기 문자를 라틴 문자로 바꾸려는 계획을 발표했다.

카자흐어 문자
А аӘ әБ бВ вГ гҒ ғД дЕ еЁ ёЖ жЗ з
И иЙ йК кҚ қЛ лМ мН нҢ ңО оӨ өП п
Р рС сТ тУ уҰ ұY үФ фХ хҺ hЦ цЧ ч
Ш шЩ щЪ ъЫ ыІ іЬ ьЭ эЮ юЯ я



키릴 문자 Вв, Ёё, Цц, Чч, Щщ, Ъъ, Ьь, Ээ는 러시아어 단어에만 쓰인다. 키르기스어는 키릴 문자와 아랍 문자로 쓰인다.

키르기스어 문자
А аБ бГ гД дЕ еЁ ёЖ жЗ зИ иЙ йК к
Л лМ мН нҢ ңО оӨ өП пР рС сТ тУ у
Y үХ хЧ чШ шЫ ыЭ эЮ юЯ я



키릴 문자가 자주 사용되지만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라틴 알파벳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우즈베크어 키릴 문자
А аБ бВ вГ гД дЕ еЁ ёЖ жЗ зИ иЙ йК к
Л лМ мН нО оП пР рС сТ тУ уФ фХ хЧ ч
Ш шЪ ъЭ эЮ юЯ яЎ ўҚ қҒ ғҲ ҳ



아제르바이잔 키릴 문자
첫 번째 버전 (1939–1958):АаБбВвГгҒғДдЕеӘәЖжЗзИиЙйКкҜҝЛлМмНнОо
ӨөПпРрСсТтУуҮүФфХхҺһЦцЧчҸҹШшЫыЭэЮюЯяʼ
두 번째 버전 (1958–1991):
오늘날 다게스탄에서 여전히 사용됨
АаБбВвГгҒғДдЕеӘәЖжЗзИиЫыЈјКкҜҝЛлМмНн
ОоӨөПпРрСсТтУуҮүФфХхҺһЧчҸҹШшʼ



;라틴 문자 (1992년 기준): Aa, Bb, Cc, Çç, Dd, Ee, Əə, Ff, Gg, Ğğ, Hh, Xx, Iı, İi, Jj, Kk, Qq, Ll, Mm, Nn, Oo, Öö, Pp, Rr, Ss, Şş, Tt, Uu, Üü, Vv, Yy, Zz

키릴 문자는 1938년 겨울 이후 바시키르어에 사용되었다.

바시키르 키릴 문자
А аБ бВ вГ гҒ ғД дҘ ҙЕ еЁ ёЖ жЗ з
И иЙ йК кҠ ҡЛ лМ мН нҢ ңО оӨ өП п
Р рС сҪ ҫТ тУ уҮ үФ фХ хҺ һЦ цЧ ч
Ш шЩ щЪ ъЫ ыЬ ьЭ эӘ әЮ юЯ я



키릴 문자는 19세기 후반부터 추바슈어에 사용되었으며, 1938년에 약간의 변화가 있었다.

추바슈 키릴 문자
А аӐ ӑБ бВ вГ гД дЕ еЁ ёӖ ӗЖ жЗ з
И иЙ йК кЛ лМ мН нО оП пР рС сҪ ҫ
Т тУ уӲ ӳФ фХ хЦ цЧ чШ шЩ щЪ ъЫ ы
Ь ьЭ эЮ юЯ я



키릴 문자 Бб, Гг, Дд, Ёё, Жж, Зз, Оо, Фф, Цц, Щщ 및 Ъъ는 순수 추바슈어 단어에는 사용되지 않고, 러시아어 차용어에만 사용된다.

카자흐어는 대안적으로 라틴 문자로 표기할 수 있다. 라틴 문자는 수정된 아랍 문자와 함께 2031년까지 키릴 문자를 완전히 대체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화인민공화국, 이란, 아프가니스탄).

카자흐 키릴 문자
А аӘ әБ бВ вГ гҒ ғД дЕ еЁ ёЖ жЗ з
И иЙ йК кҚ қЛ лМ мН нҢ ңО оӨ өП п
Р рС сТ тУ уҰ ұҮ үФ фХ хҺ һЦ цЧ ч
Ш шЩ щЪ ъЫ ыІ іЬ ьЭ эЮ юЯ я



키릴 문자 Вв, Ёё, Цц, Чч, Ъъ, Ьь, Ээ는 카자흐 고유어에는 사용되지 않고 러시아어 차용어에만 사용된다.

키르기스어는 라틴 문자와 아랍 문자로도 표기되어 왔다.

키르기스 키릴 문자
А аБ бВ вГ гД дЕ еЁ ёЖ жЗ зИ иЙ йК к
Л лМ мН нҢ ңО оӨ өП пР рС сТ тУ уҮ ү
Ф фХ хЦ цЧ чШ шЩ щЪ ъЫ ыЬ ьЭ эЮ юЯ я



'''굵게''' 표시된 문자는 외래어에만 사용된다.

타타르어는 1939년부터 키릴 문자를 사용해 왔지만, 러시아 정교회 타타르 공동체는 19세기부터 키릴 문자를 사용해 왔다. 2000년에는 타타르어를 위해 새로운 라틴 문자가 채택되었지만, 일반적으로 인터넷에서 사용된다.

타타르어 키릴 문자
А аӘ әБ бВ вГ гД дЕ еЁ ёЖ жҖ җ
З зИ иЙ йК кЛ лМ мН нҢ ңО оӨ ө
П пР рС сТ тУ уҮ үФ фХ хҺ һЦ ц
Ч чШ шЩ щЪ ъЫ ыЬ ьЭ эЮ юЯ я



키릴 문자 Ёё, Цц, Щщ는 고유 타타르어 단어에는 사용되지 않고, 러시아어 차용어에만 사용된다.

투르크멘어는 1940년부터 1994년까지 키릴 문자로만 표기되었으며, 1994년부터는 공식적으로 로마 문자를 사용하지만, 일상적인 의사소통에서는 키릴 문자가 로마 문자와 함께 여전히 사용된다.

투르크멘 키릴 문자
А аБ бВ вГ гД дЕ еЁ ёЖ жҖ җЗ зИ иЙ й
К кЛ лМ мН нҢ ңО оӨ өП пР рС сТ тУ у
Ү үФ фХ х(Ц ц)Ч чШ ш(Щ щ)(Ъ ъ)Ы ы(Ь ь)Э эӘ ә
Ю юЯ я



1941년부터 키릴 문자가 전적으로 사용되었다. 1998년, 정부는 이를 대체하기 위해 라틴 문자를 채택했다. 그러나 이 전환을 위한 마감일은 반복적으로 변경되었으며, 키릴 문자가 여전히 더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 전환이 과연 이루어질지는 불분명하다.

우즈베크 키릴 문자
А аБ бВ вГ гД дЕ еЁ ёЖ жЗ зИ иЙ йК к
Л лМ мН нО оП пР рС сТ тУ уФ фХ хЦ ц
Ч чШ шЪ ъЬ ьЭ эЮ юЯ яЎ ўҚ қҒ ғҲ ҳ



러시아 문자 А–Я에서 Щ와 Ы를 제외한 문자에 더해, 우즈베크 키릴 문자는 Ў, Қ, Ғ, Ҳ를 마지막에 포함한다. 이들은 우즈베크 키릴 문자에서 별개의 문자이며, 위에 표시된 대로 Я 다음에 정렬된다.

야쿠트어를 표기하기 위해 여러 키릴 문자가 사용되었지만, 현재의 문자는 1939년에 채택되었다.

야쿠트 키릴 문자
А аБ бВ вГ гҔ ҕД дДь дьЕ еЁ ё
Ж жЗ зИ иЙ йК кЛ лМ мН нҤ ҥ
Нь ньО оӨ өП пР рС сҺ һТ тУ у
Ү үФ фХ хЦ цЧ чШ шЩ щЪ ъЫ ы
Ь ьЭ эЮ юЯ я



'''굵게''' 표시된 문자는 러시아 차용어에만 사용된다.



; 몽골어족

몽골어족에는 할하 몽골어(몽골; 1941년부터 공식적으로 사용되었고, 실제로는 1946년부터 사용된 키릴 문자), 부랴트어 (바이칼 호수 주변; 1930년대부터 사용된 키릴 문자), 칼미크어 (카스피해 북서부; 1920~30년대부터 다양한 형태로 사용된 키릴 문자)가 포함된다.[8] 1990년대 초부터 몽골은 몽골 문자의 제한적인 사용을 확대하려는 시도를 해왔으며, 가장 최근의 몽골 문자 국가 계획은 2025년까지 몽골 문자의 사용을 키릴 문자와 같은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이중 문자 체제(이중 문자 사용)를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9]

할하 몽골어의 키릴 문자는 다음과 같다.

칼카 몽골어 문자
А аБ бВ вГ гД дЕ еЁ ёЖ жЗ зИ иЙ й
К кЛ лМ мН нО оӨ өП пР рС сТ тУ у
Y үФ фХ хЦ цЧ чШ шЩ щЪ ъЫ ыЬ ьЭ э
Ю юЯ я


  • В в = /w/
  • Е е = /jɛ/
  • Ё ё = /jo/
  • Ж ж = /tʃ/
  • З з = /ts/
  • Н н = /n-/, /-ŋ/
  • О о = /ɔ/
  • Ө ө = /ɵ/
  • У у = /ʊ/
  • Y ү = /u/
  • Ы ы = /iː/
  • Ь ь = /ʲ/
  • Ю ю = /ju/


키릴 문자 Кк, Фф, Щщ는 러시아어 단어에만 쓰인다.

부랴트어의 키릴 문자는 다음과 같다.

부랴트어
А аБ бВ вГ гД дЕ еЁ ёЖ жЗ зИ иЙ й
Л лМ мН нО оӨ өП пР рС сТ тУ уY ү
Х хҺ hЦ цЧ чШ шЫ ыЬ ьЭ эЮ юЯ я


  • Е е = /jɛ/
  • Ё ё = /jo/
  • Ж ж = /tʃ/
  • Н н = /n-/, /-ŋ/
  • Ө ө = /ø/
  • Y ү = /y/
  • Һ h = /h/
  • Ы ы = /iː/
  • Ю ю = /ju/


칼카 몽골어와 유사하지만 연음 기호는 그대로 연음 기호가 된다. Вв, Кк, Фф, Цц, Чч, Щщ, Ъъ를 순수 자국어에는 쓰지 않는다.

칼미크어의 키릴 문자는 다음과 같다.

칼미크어 문자
А аӘ әБ бВ вГ гҺ hД дЕ еЖ жҖ җЗ з
И иЙ йК кЛ лМ мН нҢ ңО оӨ өП пР р
С сТ тУ уY үХ хЦ цЧ чШ шЬ ьЭ эЮ ю
Я я


  • Ә ә = /æ/
  • В в = /w/
  • Һ h = /ɣ/
  • Е е = /ɛ/, /jɛ-/
  • Җ җ = /dʒ/
  • Ң ң = /ŋ/
  • Ө ө = /ø/
  • Y ү = /y/


칼카 몽골어와 유사하다. 칼미크어의 장모음은 모음 기호를 두 번 써서 나타낸다.(нөөрин)

; 우랄어족

키릴 문자를 사용하는 우랄어족 언어는 다음과 같다.

키릴 문자를 사용하여 카렐리안어로 쓰여진 마태복음의 첫 구절, 1820년


카렐리아어는 1940년까지 다양한 형태로 키릴 문자로 표기되었으나, 이때부터 라틴 문자로 표기된 트베르 카렐리안을 제외하고는 핀란드어를 사용하면서 카렐리안어 출판이 중단되었다. 1989년, 다른 카렐리안 방언으로 출판이 다시 시작되었고 라틴 문자가 사용되었으며, 경우에 따라 ь와 같은 키릴 문자가 추가되기도 했다.

지난 세기 동안, 문자는 킬딘 사미어를 표기하기 위해 세 번 변경되었다: 키릴 문자에서 라틴 문자로, 다시 키릴 문자로. 최신 공식 철자법에 대한 작업은 1979년에 시작되었다. 1982년에 공식적으로 승인되었고 1987년까지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7]

코미페르미야크 키릴 문자:

{| class="wikitable"

|-

! 아 !! 브 !! 베 !! 게 !! 데 !! 예 !! 요

|-

! 제 !! 제 !! 이 !! І і !! 이 !! 카 !! 엘

|-

! 엠 !! 엔 !! 오 !! Ӧ ӧ !! 페 !! 에르 !! 에스

|-

! 테 !! 우 !! 에프 !! 하 !! 체 !!

4. 1. 슬라브어파

슬라브어군에서 사용되는 키릴 문자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 동슬라브어군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벨라루스어, 루신어는 모두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지만 각 언어별로 고유한 특징을 가진다.

러시아어 문자는 다음과 같다.

러시아어 문자
А аБ бВ вГ гД дЕ еЁ ёЖ жЗ зИ иЙ й
К кЛ лМ мН нО оП пР рС сТ тУ уФ ф
Х хЦ цЧ чШ шЩ щЪ ъЫ ыЬ ьЭ эЮ юЯ я



특징은 다음과 같다.


  • Ё (Ё ё) /jo//Ё ёru
  • 경음 기호 (ъ)
  • Ы (Ы ы) /ɨ//Ы ыru
  • Э (Э э) /ɛ//Э эru


벨라루스어 문자는 다음과 같다.

벨라루스어 문자
А аБ бВ вГ гД дЕ еЁ ёЖ жЗ зI iЙ й
К кЛ лМ мН нО оП пР рС сТ тУ уЎ ў
Ф фХ хЦ цЧ чШ шЫ ыЬ ьЭ эЮ юЯ я


  • Г는 /ɣ//Г гbe 소리를 가진다.
  • I는 라틴 문자 I (І, і)와 같은 형태이다.
  • Ў (Ў ў)는 У와 Ф 사이에 위치한다. /w//Ў ўbe 소리가 난다.
  • ШЧ, шч 같은 합자는 러시아어우크라이나어의 Щ (Щ, щ) 자리에 온다.
  • Дж дж와 Дз дз 같은 Д д 다음에 오는 합자가 있다. 이는 다음과 같은 하나의 소리를 나타낸다. Дж /ɖʐ//Дж джbe, Дз /dz//Дз дзbe.


우크라이나어 문자는 다음과 같다.

우크라이나어 문자
А аБ бВ вà 㥠ґД дЕ еЄ єЖ жЗ зИ и
I iÏ ïЙ йК кЛ лМ мН нО оП пР рС с
Т тУ уФ фХ хЦ цЧ чШ шЩ щЮ юЯ яЬ ь


  • Г는 /ɣ//Г гuk 소리를 가진다.
  • Ґ (Ґ ґ)는 /ɡ//Ґ ґuk소리를 가진다. 이 글자는 소련에서 1933년 이전에는 쓰이지 않았다.
  • Е (Е е)는 /e//Е еuk소리를 가진다.
  • E 다음에 오는 Є (Є є)는 /je//Є єuk 소리를 가진다.
  • И (И и)는 /ɪ//И иuk 소리를 가진다.
  • И 다음에 오는 I (I i)는 /i//I iuk 소리를 가진다.
  • I 다음에 오는 Ï (Ï ï)는 /ji//Ї їuk 소리를 가진다.
  • Й (Й й)는 /j//Й йuk 소리를 가진다.
  • Щ (Щ щ)는 /ɕtɕ//Щ щuk 소리를 가진다.
  • Дж дж와 Дз дз 같은 Д д 다음에 오는 합자가 있다. 이는 다음과 같은 하나의 소리를 나타낸다. Дж /dʑ//Дж джuk, Дз /dz//Дз дзuk.
  • 아포스트로피(')는 선행 자음의 구개 탈구화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루신어 문자는 다음과 같다.

루신어 문자
А аБ бВ вà 㥠ґД дЕ еЄ єЁ ёЖ жЗ з
И иI i*Ы ы*Ï ïЙ йК кЛ лМ мН нО оП п
Р рС сТ тУ уФ фХ хЦ цЧ чШ шЩ щЪ ъ
Ю юЯ яЬ ьЪ ъ*


  • 보이보디나 루신어에는 없는 문자들


루신어는 트란스카르파티아 우크라이나, 슬로바키아, 폴란드 등지의 렘코 루신인들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남슬라브어군

불가리아어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Е는 /ɛ/bg 소리가 나며 "е" [e]bg로 불린다. Щ는 /ʃt/bg 소리가 나며 "щъ" [ʃtɤ]bg로 불린다. Ъ는 /ɤ/bg 소리가 나며 "ер голям" [ˈer goˈlʲam]bg(큰 er)로 불린다.[2][3] 9세기에서 10세기 경 제1차 불가리아 제국 시기에 프레슬라프 문학 학교에서 개발되었다. 글라골 문자를 대체하여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세르비아어키릴 문자로마자를 함께 사용하나, 키릴 문자가 주로 쓰인다. Е는 /ɛ/sr 소리가 난다. Д와 Е 사이에 Ђ가 있으며 /dʑ/sr 소리를 갖는다. И와 К 사이에 J가 있으며 /j/sr 소리를 가지며, 로마자 J와 흡사하다. Л과 М 사이에 Љ가 있으며 /ʎ/sr 소리를 갖는다. Н와 О 사이에 Њ가 있으며 /ɲ/sr 소리를 갖는다. Т와 У 사이에 Ћ가 있으며 /tɕ/sr 소리를 갖는다. Ч와 Ш 사이에 Џ가 있으며 /ɖʐ/sr 소리를 갖는다. Ш는 마지막 글자이다.[4]

몬테네그로어세르비아어와 마찬가지로 키릴 문자로마자를 함께 쓰지만, 세르비아와는 달리 로마자가 주로 쓰인다. 세르비아어와 비교했을때, З́ з́ (/ʑ/sr) 와 С́ с́ (/ɕ/sr)가 추가되었다.

마케도니아어세르비아어와 비교했을 때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З와 И 사이에 S, s가 있으며 /dz/mk 소리를 갖는다. Ђ 대신 Ѓ, ѓ가 사용되며 /ɡʲ/mk 소리를 갖는다. Ћ 대신 Ќ, ќ가 사용되며 /kʲ/mk 소리를 갖는다.[5]

크로아티아어는 역사적으로 키릴 문자를 사용한 적이 있다.[6]

4. 1. 1. 동슬라브어군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벨라루스어, 루신어는 모두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지만 각 언어별로 고유한 특징을 가진다.

러시아어 문자는 다음과 같다.

러시아어 문자
А аБ бВ вГ гД дЕ еЁ ёЖ жЗ зИ иЙ й
К кЛ лМ мН нО оП пР рС сТ тУ уФ ф
Х хЦ цЧ чШ шЩ щЪ ъЫ ыЬ ьЭ эЮ юЯ я



특징은 다음과 같다.


  • Ё (Ё ё) /jo//Ё ёru
  • 경음 기호 (ъ)
  • Ы (Ы ы) /ɨ//Ы ыru
  • Э (Э э) /ɛ//Э эru


벨라루스어 문자는 다음과 같다.

벨라루스어 문자
А аБ бВ вГ гД дЕ еЁ ёЖ жЗ зI iЙ й
К кЛ лМ мН нО оП пР рС сТ тУ уЎ ў
Ф фХ хЦ цЧ чШ шЫ ыЬ ьЭ эЮ юЯ я


  • Г는 /ɣ//Г гbe 소리를 가진다.
  • I는 라틴 문자 I (І, і)와 같은 형태이다.
  • Ў (Ў ў)는 У와 Ф 사이에 위치한다. /w//Ў ўbe 소리가 난다.
  • ШЧ, шч 같은 합자들은 러시아어우크라이나어의 Щ (Щ, щ) 자리에 온다.
  • Дж дж와 Дз дз 같은 Д д 다음에 오는 합자가 있다. 이는 다음과 같은 하나의 소리를 나타낸다. Дж /ɖʐ//Дж джbe, Дз /dz//Дз дзbe.


우크라이나어 문자는 다음과 같다.

우크라이나어 문자
А аБ бВ вà 㥠ґД дЕ еЄ єЖ жЗ зИ и
I iÏ ïЙ йК кЛ лМ мН нО оП пР рС с
Т тУ уФ фХ хЦ цЧ чШ шЩ щЮ юЯ яЬ ь


  • Г는 /ɣ//Г гuk 소리를 가진다.
  • Ґ (Ґ ґ)는 /ɡ//Ґ ґuk소리를 가진다. 이 글자는 소련에서 1933년 이전에는 쓰이지 않았다.
  • Е (Е е)는 /e//Е еuk소리를 가진다.
  • E 다음에 오는 Є (Є є)는 /je//Є єuk 소리를 가진다.
  • И (И и)는 /ɪ//И иuk 소리를 가진다.
  • И 다음에 오는 I (I i)는 /i//I iuk 소리를 가진다.
  • I 다음에 오는 Ï (Ï ï)는 /ji//Ї їuk 소리를 가진다.
  • Й (Й й)는 /j//Й йuk 소리를 가진다.
  • Щ (Щ щ)는 /ɕtɕ//Щ щuk 소리를 가진다.
  • Дж дж와 Дз дз 같은 Д д 다음에 오는 합자가 있다. 이는 다음과 같은 하나의 소리를 나타낸다. Дж /dʑ//Дж джuk, Дз /dz//Дз дзuk.
  • 아포스트로피(')는 선행 자음의 구개 탈구화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루신어 문자는 다음과 같다.

루신어 문자
А аБ бВ вà 㥠ґД дЕ еЄ єЁ ёЖ жЗ з
И иI i*Ы ы*Ï ïЙ йК кЛ лМ мН нО оП п
Р рС сТ тУ уФ фХ хЦ цЧ чШ шЩ щЪ ъ
Ю юЯ яЬ ьЪ ъ*


  • 보이보디나 루신어에는 없는 문자들


루신어는 트란스카르파티아 우크라이나, 슬로바키아, 폴란드 등지의 렘코 루신인들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4. 1. 2. 남슬라브어군

불가리아어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Е는 /ɛ/bg 소리가 나며 "е" [e]bg로 불린다. Щ는 /ʃt/bg 소리가 나며 "щъ" [ʃtɤ]bg로 불린다. Ъ는 /ɤ/bg 소리가 나며 "ер голям" [ˈer goˈlʲam]bg(큰 er)로 불린다.[2][3] 9세기에서 10세기 경 제1차 불가리아 제국 시기에 프레슬라프 문학 학교에서 개발되었다. 글라골 문자를 대체하여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세르비아어키릴 문자로마자를 함께 사용하나, 키릴 문자가 주로 쓰인다. Е는 /ɛ/sr 소리가 난다. Д와 Е 사이에 Ђ가 있으며 /dʑ/sr 소리를 갖는다. И와 К 사이에 J가 있으며 /j/sr 소리를 가지며, 로마자 J와 흡사하다. Л과 М 사이에 Љ가 있으며 /ʎ/sr 소리를 갖는다. Н와 О 사이에 Њ가 있으며 /ɲ/sr 소리를 갖는다. Т와 У 사이에 Ћ가 있으며 /tɕ/sr 소리를 갖는다. Ч와 Ш 사이에 Џ가 있으며 /ɖʐ/sr 소리를 갖는다. Ш는 마지막 글자이다.[4]

몬테네그로어세르비아어와 마찬가지로 키릴 문자로마자를 함께 쓰지만, 세르비아와는 달리 로마자가 주로 쓰인다. 세르비아어와 비교했을때, З́ з́ (/ʑ/sr) 와 С́ с́ (/ɕ/sr)가 추가되었다.

마케도니아어세르비아어와 비교했을 때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З와 И 사이에 S, s가 있으며 /dz/mk 소리를 갖는다. Ђ 대신 Ѓ, ѓ가 사용되며 /ɡʲ/mk 소리를 갖는다. Ћ 대신 Ќ, ќ가 사용되며 /kʲ/mk 소리를 갖는다.[5]

크로아티아어는 역사적으로 키릴 문자를 사용한 적이 있다.[6]

4. 2. 비슬라브어파

이들은 대개 러시아어 문자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대개 이 언어 사용자들이 러시아의 영향을 받게 되면서 이러한 종류의 문자가 생겨났다.

; 튀르크어족

아제르바이잔어는 1939년부터 1991년까지 키릴 문자를 사용했다. 1938년 겨울부터 바슈키르어 키릴 문자가 사용되었다. 19세기 후반부터 추바시어 키릴 문자가 사용되었다.

바슈키르어 문자
А аБ бВ вГ гҒ ғД дҘ ҙЕ еЁ ёЖ жЗ з
И иЙ йК кҠ ҡЛ лМ мН нҢ ңО оӨ өП п
Р рС сҪ ҫТ тУ уY үФ фХ хҺ hЦ цЧ ч
Ш шЩ щЪ ъЫ ыЬ ьЭ эӘ әЮ юЯ я



추바시어 문자
А аӐ ӑБ бВ вГ гД дЕ еЁ ёӖ ӗЖ жЗ з
И иЙ йК кЛ лМ мН нО оП пР рС сҪ ҫ
Т тУ уӲ ӳФ фХ хЦ цЧ чШ шЩ щЪ ъЫ ы
Ь ьЭ эЮ юЯ я



카자흐어는 라틴 문자로 쓰이기도 한다. 현 카자흐스탄 정부는 2025년까지 카자흐어 표기 문자를 라틴 문자로 바꾸려는 계획을 발표했다.

카자흐어 문자
А аӘ әБ бВ вГ гҒ ғД дЕ еЁ ёЖ жЗ з
И иЙ йК кҚ қЛ лМ мН нҢ ңО оӨ өП п
Р рС сТ тУ уҰ ұY үФ фХ хҺ hЦ цЧ ч
Ш шЩ щЪ ъЫ ыІ іЬ ьЭ эЮ юЯ я



키릴 문자 Вв, Ёё, Цц, Чч, Щщ, Ъъ, Ьь, Ээ는 러시아어 단어에만 쓰인다. 키르기스어는 키릴 문자와 아랍 문자로 쓰인다.

키르기스어 문자
А аБ бГ гД дЕ еЁ ёЖ жЗ зИ иЙ йК к
Л лМ мН нҢ ңО оӨ өП пР рС сТ тУ у
Y үХ хЧ чШ шЫ ыЭ эЮ юЯ я



키릴 문자가 자주 사용되지만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라틴 알파벳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우즈베크어 키릴 문자
А аБ бВ вГ гД дЕ еЁ ёЖ жЗ зИ иЙ йК к
Л лМ мН нО оП пР рС сТ тУ уФ фХ хЧ ч
Ш шЪ ъЭ эЮ юЯ яЎ ўҚ қҒ ғҲ ҳ



아제르바이잔 키릴 문자
첫 번째 버전 (1939–1958):АаБбВвГгҒғДдЕеӘәЖжЗзИиЙйКкҜҝЛлМмНнОо
ӨөПпРрСсТтУуҮүФфХхҺһЦцЧчҸҹШшЫыЭэЮюЯяʼ
두 번째 버전 (1958–1991):
오늘날 다게스탄에서 여전히 사용됨
АаБбВвГгҒғДдЕеӘәЖжЗзИиЫыЈјКкҜҝЛлМмНн
ОоӨөПпРрСсТтУуҮүФфХхҺһЧчҸҹШшʼ



;라틴 문자 (1992년 기준): Aa, Bb, Cc, Çç, Dd, Ee, Əə, Ff, Gg, Ğğ, Hh, Xx, Iı, İi, Jj, Kk, Qq, Ll, Mm, Nn, Oo, Öö, Pp, Rr, Ss, Şş, Tt, Uu, Üü, Vv, Yy, Zz

키릴 문자는 1938년 겨울 이후 바시키르어에 사용되었다.

바시키르 키릴 문자
А аБ бВ вГ гҒ ғД дҘ ҙЕ еЁ ёЖ жЗ з
И иЙ йК кҠ ҡЛ лМ мН нҢ ңО оӨ өП п
Р рС сҪ ҫТ тУ уҮ үФ фХ хҺ һЦ цЧ ч
Ш шЩ щЪ ъЫ ыЬ ьЭ эӘ әЮ юЯ я



키릴 문자는 19세기 후반부터 추바슈어에 사용되었으며, 1938년에 약간의 변화가 있었다.

추바슈 키릴 문자
А аӐ ӑБ бВ вГ гД дЕ еЁ ёӖ ӗЖ жЗ з
И иЙ йК кЛ лМ мН нО оП пР рС сҪ ҫ
Т тУ уӲ ӳФ фХ хЦ цЧ чШ шЩ щЪ ъЫ ы
Ь ьЭ эЮ юЯ я



키릴 문자 Бб, Гг, Дд, Ёё, Жж, Зз, Оо, Фф, Цц, Щщ 및 Ъъ는 순수 추바슈어 단어에는 사용되지 않고, 러시아어 차용어에만 사용된다.

카자흐어는 대안적으로 라틴 문자로 표기할 수 있다. 라틴 문자는 수정된 아랍 문자와 함께 2031년까지 키릴 문자를 완전히 대체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화인민공화국, 이란, 아프가니스탄).

카자흐 키릴 문자
А аӘ әБ бВ вГ гҒ ғД дЕ еЁ ёЖ жЗ з
И иЙ йК кҚ қЛ лМ мН нҢ ңО оӨ өП п
Р рС сТ тУ уҰ ұҮ үФ фХ хҺ һЦ цЧ ч
Ш шЩ щЪ ъЫ ыІ іЬ ьЭ эЮ юЯ я



키릴 문자 Вв, Ёё, Цц, Чч, Ъъ, Ьь, Ээ는 카자흐 고유어에는 사용되지 않고 러시아어 차용어에만 사용된다.

키르기스어는 라틴 문자와 아랍 문자로도 표기되어 왔다.

키르기스 키릴 문자
А аБ бВ вГ гД дЕ еЁ ёЖ жЗ зИ иЙ йК к
Л лМ мН нҢ ңО оӨ өП пР рС сТ тУ уҮ ү
Ф фХ хЦ цЧ чШ шЩ щЪ ъЫ ыЬ ьЭ эЮ юЯ я



'''굵게''' 표시된 문자는 외래어에만 사용된다.

타타르어는 1939년부터 키릴 문자를 사용해 왔지만, 러시아 정교회 타타르 공동체는 19세기부터 키릴 문자를 사용해 왔다. 2000년에는 타타르어를 위해 새로운 라틴 문자가 채택되었지만, 일반적으로 인터넷에서 사용된다.

타타르어 키릴 문자
А аӘ әБ бВ вГ гД дЕ еЁ ёЖ жҖ җ
З зИ иЙ йК кЛ лМ мН нҢ ңО оӨ ө
П пР рС сТ тУ уҮ үФ фХ хҺ һЦ ц
Ч чШ шЩ щЪ ъЫ ыЬ ьЭ эЮ юЯ я



키릴 문자 Ёё, Цц, Щщ는 고유 타타르어 단어에는 사용되지 않고, 러시아어 차용어에만 사용된다.

투르크멘어는 1940년부터 1994년까지 키릴 문자로만 표기되었으며, 1994년부터는 공식적으로 로마 문자를 사용하지만, 일상적인 의사소통에서는 키릴 문자가 로마 문자와 함께 여전히 사용된다.

투르크멘 키릴 문자
А аБ бВ вГ гД дЕ еЁ ёЖ жҖ җЗ зИ иЙ й
К кЛ лМ мН нҢ ңО оӨ өП пР рС сТ тУ у
Ү үФ фХ х(Ц ц)Ч чШ ш(Щ щ)(Ъ ъ)Ы ы(Ь ь)Э эӘ ә
Ю юЯ я



1941년부터 키릴 문자가 전적으로 사용되었다. 1998년, 정부는 이를 대체하기 위해 라틴 문자를 채택했다. 그러나 이 전환을 위한 마감일은 반복적으로 변경되었으며, 키릴 문자가 여전히 더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 전환이 과연 이루어질지는 불분명하다.

우즈베크 키릴 문자
А аБ бВ вГ гД дЕ еЁ ёЖ жЗ зИ иЙ йК к
Л лМ мН нО оП пР рС сТ тУ уФ фХ хЦ ц
Ч чШ шЪ ъЬ ьЭ эЮ юЯ яЎ ўҚ қҒ ғҲ ҳ



러시아 문자 А–Я에서 Щ와 Ы를 제외한 문자에 더해, 우즈베크 키릴 문자는 Ў, Қ, Ғ, Ҳ를 마지막에 포함한다. 이들은 우즈베크 키릴 문자에서 별개의 문자이며, 위에 표시된 대로 Я 다음에 정렬된다.

야쿠트어를 표기하기 위해 여러 키릴 문자가 사용되었지만, 현재의 문자는 1939년에 채택되었다.

야쿠트 키릴 문자
А аБ бВ вГ гҔ ҕД дДь дьЕ еЁ ё
Ж жЗ зИ иЙ йК кЛ лМ мН нҤ ҥ
Нь ньО оӨ өП пР рС сҺ һТ тУ у
Ү үФ фХ хЦ цЧ чШ шЩ щЪ ъЫ ы
Ь ьЭ эЮ юЯ я



'''굵게''' 표시된 문자는 러시아 차용어에만 사용된다.



; 몽골어족

몽골어족에는 할하 몽골어(몽골; 1941년부터 공식적으로 사용되었고, 실제로는 1946년부터 사용된 키릴 문자), 부랴트어 (바이칼 호수 주변; 1930년대부터 사용된 키릴 문자), 칼미크어 (카스피해 북서부; 1920~30년대부터 다양한 형태로 사용된 키릴 문자)가 포함된다.[8] 1990년대 초부터 몽골은 몽골 문자의 제한적인 사용을 확대하려는 시도를 해왔으며, 가장 최근의 몽골 문자 국가 계획은 2025년까지 몽골 문자의 사용을 키릴 문자와 같은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이중 문자 체제(이중 문자 사용)를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9]

할하 몽골어의 키릴 문자는 다음과 같다.

칼카 몽골어 문자
А аБ бВ вГ гД дЕ еЁ ёЖ жЗ зИ иЙ й
К кЛ лМ мН нО оӨ өП пР рС сТ тУ у
Y үФ фХ хЦ цЧ чШ шЩ щЪ ъЫ ыЬ ьЭ э
Ю юЯ я


  • В в = /w/
  • Е е = /jɛ/
  • Ё ё = /jo/
  • Ж ж = /tʃ/
  • З з = /ts/
  • Н н = /n-/, /-ŋ/
  • О о = /ɔ/
  • Ө ө = /ɵ/
  • У у = /ʊ/
  • Y ү = /u/
  • Ы ы = /iː/
  • Ь ь = /ʲ/
  • Ю ю = /ju/


키릴 문자 Кк, Фф, Щщ는 러시아어 단어에만 쓰인다.

부랴트어의 키릴 문자는 다음과 같다.

부랴트어
А аБ бВ вГ гД дЕ еЁ ёЖ жЗ зИ иЙ й
Л лМ мН нО оӨ өП пР рС сТ тУ уY ү
Х хҺ hЦ цЧ чШ шЫ ыЬ ьЭ эЮ юЯ я


  • Е е = /jɛ/
  • Ё ё = /jo/
  • Ж ж = /tʃ/
  • Н н = /n-/, /-ŋ/
  • Ө ө = /ø/
  • Y ү = /y/
  • Һ h = /h/
  • Ы ы = /iː/
  • Ю ю = /ju/


칼카 몽골어와 유사하지만 연음 기호는 그대로 연음 기호가 된다. Вв, Кк, Фф, Цц, Чч, Щщ, Ъъ를 순수 자국어에는 쓰지 않는다.

칼미크어의 키릴 문자는 다음과 같다.

칼미크어 문자
А аӘ әБ бВ вГ гҺ hД дЕ еЖ жҖ җЗ з
И иЙ йК кЛ лМ мН нҢ ңО оӨ өП пР р
С сТ тУ уY үХ хЦ цЧ чШ шЬ ьЭ эЮ ю
Я я


  • Ә ә = /æ/
  • В в = /w/
  • Һ h = /ɣ/
  • Е е = /ɛ/, /jɛ-/
  • Җ җ = /dʒ/
  • Ң ң = /ŋ/
  • Ө ө = /ø/
  • Y ү = /y/


칼카 몽골어와 유사하다. 칼미크어의 장모음은 모음 기호를 두 번 써서 나타낸다.(нөөрин)

; 우랄어족

키릴 문자를 사용하는 우랄어족 언어는 다음과 같다.

카렐리아어는 1940년까지 다양한 형태로 키릴 문자로 표기되었으나, 이때부터 라틴 문자로 표기된 트베르 카렐리안을 제외하고는 핀란드어를 사용하면서 카렐리안어 출판이 중단되었다. 1989년, 다른 카렐리안 방언으로 출판이 다시 시작되었고 라틴 문자가 사용되었으며, 경우에 따라 ь와 같은 키릴 문자가 추가되기도 했다.

지난 세기 동안, 문자는 킬딘 사미어를 표기하기 위해 세 번 변경되었다: 키릴 문자에서 라틴 문자로, 다시 키릴 문자로. 최신 공식 철자법에 대한 작업은 1979년에 시작되었다. 1982년에 공식적으로 승인되었고 1987년까지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7]

코미페르미야크 키릴 문자:

І і
Ӧ ӧ에르에스
에프
트베르디 즈나크먀흐키 즈나크



'''초원 마리 키릴 문자:'''

Ҥ ҥӦ ӧ
에르에스Ӱ ӱ에프
트베르디 즈나크먀흐키 즈나크



'''산 마리 키릴 문자'''

Ӓ ӓ
Ӧ ӧ에르
에스Ӱ ӱ에프
트베르디 즈나크Ӹ ӹ먀흐키 즈나크



; 캅카스어족

북서캅카스어족북동캅카스어족은 일반적으로 키릴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아바자어러시아 카라차예보-체르케스 공화국의 아바진족이 사용하는 코카서스 언어이다. 아바자어 키릴 문자는 다음과 같다.

style="font-size:smaller;" | 아바자어 키릴 문자
А аБ бВ вГ гГв гвГъ гъГъв гъвГъь гъьГь гь
Гӏ гӏГӏв гӏвД дДж джДжв джвДжь джьДз дзЕ еЁ ё
Ж жЖв жвЖь жьЗ зИ иЙ йК кКв квКъ къ
Къв къвКъь къьКь кьКӏ кӏКӏв кӏвКӏь кӏьЛ лЛь ль(Лӏ лӏ)
М мН нО оП пПӏ пӏР рС сТ тТл тл
Тш тшТӏ тӏУ уФ ф(Фӏ фӏ)Х хХв хвХъ хъХъв хъв
Хь хьХӏ хӏХӏв хӏвЦ цЦӏ цӏЧ чЧв чвЧӏ чӏЧӏв чӏв
Ш шШв швШӏ шӏЩ щЪ ъЫ ыЭ эЮ юЯ я


  • 괄호 안의 이중 자음은 방언에서 사용되며, 문어체와 공식 알파벳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압하스어는 캅카스어족에 속하며, 조지아의 자치 공화국인 압하지야에서 사용된다. 압하스 키릴 문자는 다음과 같다.

style="font-size:smaller;" | 압하스 키릴 문자
А аБ бВ вГ гГь гьГә гәӶ ӷӶь ӷьӶә ӷә
Д дДә дәЕ еЖ жЖь жьЖә жәЗ зӠ ӡӠә ӡә
И иК кКь кьКә кәҚ қҚь қьҚә қәҞ ҟҞь ҟь
Ҟә ҟәЛ лМ мН нО оП пԤ ԥР рС с
Т тТә тәҬ ҭҬә ҭәУ уФ фХ хХь хьХә хә
Ҳ ҳҲә ҳәЦ цЦә цәҴ ҵҴә ҵәЧ чҶ ҷҼ ҽ
Ҿ ҿШ шШь шьШә шәЫ ыҨ ҩЏ џЏь џь



아디게어는 캅카스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러시아아디게야 공화국에서 사용된다. 아디게 키릴 문자는 다음과 같다.

style="font-size:smaller;" | 아디게 키릴 문자
А аБ бВ вГ гГу гуГъ гъГъу гъуД дДж джДз дзДзу дзу
Е еЁ ёЖ жЖъ жъЖъу жъуЖь жьЗ зИ иЙ йК кКу ку
Къ къКъу къуКӏ кӏКӏу кӏуЛ лЛъ лъЛӏ лӏМ мН нО оП п
Пӏ пӏПӏу пӏуР рС сТ тТӏ тӏТӏу тӏуУ уФ фХ хХъ хъ
Хъу хъуХь хьЦ цЦу цуЦӏ цӏЧ чЧъ чъЧӏ чӏШ шШъ шъШъу шъу
Шӏ шӏШӏу шӏуЩ щ(Ъ ъ)Ы ы(Ь ь)Э эЮ юЯ яӀ ӏӀу ӏу


  • 괄호 안의 문자는 이중 자음에서만 사용된다.


카바르딘어는 캅카스어족에 속하며, 러시아의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과 카라차예보-체르케스 공화국에서 사용된다. 카바르딘 키릴 문자는 다음과 같다.

{| cellpadding=4 class="Unicode" style="font-size:larger; text-align:center; border-color:black; border-width:1px; border-style:solid; border-collapse:collapse; background-color:#F8F8EF;" summary="Fifty-nine letters of the Kabardian alphabet, capital and small"

|+ style="font-size:smaller;" | 카바르딘 키릴 문자

|-

| А а || Б б || В в || Г г || Гу гу || Гъ гъ || Гъу гъу || Д д || Дж дж || Дз дз

|-

| Е е || Ё ё || Ж ж || Жь жь || З з || И и || Й й || К к || Ку ку || Кӏ кӏ

|-

| Кӏу кӏу || Къ къ || Къу къу || Кхъ кхъ || Кхъу кхъу || Л л || Лъ лъ || Лӏ лӏ || М м || Н н

|-

| О о || П п || Пӏ пӏ || Р р || С с || Т т || Тӏ тӏ || У у || Ф ф || Фӏ фӏ

|-

| Х х || Ху ху || Хъ хъ || Хъу хъу || Хь хь || Ц ц || Цӏ цӏ || Ч ч || Ш ш || Щ щ

|-

| Щӏ щӏ || Ъ ъ ||

4. 2. 1. 튀르크어족

아제르바이잔어는 1939년부터 1991년까지 키릴 문자를 사용했다. 1938년 겨울부터 바슈키르어 키릴 문자가 사용되었다. 19세기 후반부터 추바시어 키릴 문자가 사용되었다.

바슈키르어 문자
А аБ бВ вГ гҒ ғД дҘ ҙЕ еЁ ёЖ жЗ з
И иЙ йК кҠ ҡЛ лМ мН нҢ ңО оӨ өП п
Р рС сҪ ҫТ тУ уY үФ фХ хҺ hЦ цЧ ч
Ш шЩ щЪ ъЫ ыЬ ьЭ эӘ әЮ юЯ я



추바시어 문자
А аӐ ӑБ бВ вГ гД дЕ еЁ ёӖ ӗЖ жЗ з
И иЙ йК кЛ лМ мН нО оП пР рС сҪ ҫ
Т тУ уӲ ӳФ фХ хЦ цЧ чШ шЩ щЪ ъЫ ы
Ь ьЭ эЮ юЯ я



카자흐어는 라틴 문자로 쓰이기도 한다. 현 카자흐스탄 정부는 2025년까지 카자흐어 표기 문자를 라틴 문자로 바꾸려는 계획을 발표했다.

카자흐어 문자
А аӘ әБ бВ вГ гҒ ғД дЕ еЁ ёЖ жЗ з
И иЙ йК кҚ қЛ лМ мН нҢ ңО оӨ өП п
Р рС сТ тУ уҰ ұY үФ фХ хҺ hЦ цЧ ч
Ш шЩ щЪ ъЫ ыІ іЬ ьЭ эЮ юЯ я



키릴 문자 Вв, Ёё, Цц, Чч, Щщ, Ъъ, Ьь, Ээ는 러시아어 단어에만 쓰인다. 키르기스어는 키릴 문자와 아랍 문자로 쓰인다.

키르기스어 문자
А аБ бГ гД дЕ еЁ ёЖ жЗ зИ иЙ йК к
Л лМ мН нҢ ңО оӨ өП пР рС сТ тУ у
Y үХ хЧ чШ шЫ ыЭ эЮ юЯ я



키릴 문자가 자주 사용되지만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라틴 알파벳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우즈베크어 키릴 문자
А аБ бВ вГ гД дЕ еЁ ёЖ жЗ зИ иЙ йК к
Л лМ мН нО оП пР рС сТ тУ уФ фХ хЧ ч
Ш шЪ ъЭ эЮ юЯ яЎ ўҚ қҒ ғҲ ҳ



아제르바이잔 키릴 문자
첫 번째 버전 (1939–1958):АаБбВвГгҒғДдЕеӘәЖжЗзИиЙйКкҜҝЛлМмНнОо
ӨөПпРрСсТтУуҮүФфХхҺһЦцЧчҸҹШшЫыЭэЮюЯяʼ
두 번째 버전 (1958–1991):
오늘날 다게스탄에서 여전히 사용됨
АаБбВвГгҒғДдЕеӘәЖжЗзИиЫыЈјКкҜҝЛлМмНн
ОоӨөПпРрСсТтУуҮүФфХхҺһЧчҸҹШшʼ



;라틴 문자 (1992년 기준): Aa, Bb, Cc, Çç, Dd, Ee, Əə, Ff, Gg, Ğğ, Hh, Xx, Iı, İi, Jj, Kk, Qq, Ll, Mm, Nn, Oo, Öö, Pp, Rr, Ss, Şş, Tt, Uu, Üü, Vv, Yy, Zz

키릴 문자는 1938년 겨울 이후 바시키르어에 사용되었다.

바시키르 키릴 문자
А аБ бВ вГ гҒ ғД дҘ ҙЕ еЁ ёЖ жЗ з
И иЙ йК кҠ ҡЛ лМ мН нҢ ңО оӨ өП п
Р рС сҪ ҫТ тУ уҮ үФ фХ хҺ һЦ цЧ ч
Ш шЩ щЪ ъЫ ыЬ ьЭ эӘ әЮ юЯ я



키릴 문자는 19세기 후반부터 추바슈어에 사용되었으며, 1938년에 약간의 변화가 있었다.

추바슈 키릴 문자
А аӐ ӑБ бВ вГ гД дЕ еЁ ёӖ ӗЖ жЗ з
И иЙ йК кЛ лМ мН нО оП пР рС сҪ ҫ
Т тУ уӲ ӳФ фХ хЦ цЧ чШ шЩ щЪ ъЫ ы
Ь ьЭ эЮ юЯ я



키릴 문자 Бб, Гг, Дд, Ёё, Жж, Зз, Оо, Фф, Цц, Щщ 및 Ъъ는 순수 추바슈어 단어에는 사용되지 않고, 러시아어 차용어에만 사용된다.

카자흐어는 대안적으로 라틴 문자로 표기할 수 있다. 라틴 문자는 수정된 아랍 문자와 함께 2031년까지 키릴 문자를 완전히 대체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화인민공화국, 이란, 아프가니스탄).

카자흐 키릴 문자
А аӘ әБ бВ вГ гҒ ғД дЕ еЁ ёЖ жЗ з
И иЙ йК кҚ қЛ лМ мН нҢ ңО оӨ өП п
Р рС сТ тУ уҰ ұҮ үФ фХ хҺ һЦ цЧ ч
Ш шЩ щЪ ъЫ ыІ іЬ ьЭ эЮ юЯ я



키릴 문자 Вв, Ёё, Цц, Чч, Ъъ, Ьь, Ээ는 카자흐 고유어에는 사용되지 않고 러시아어 차용어에만 사용된다.

키르기스어는 라틴 문자와 아랍 문자로도 표기되어 왔다.

키르기스 키릴 문자
А аБ бВ вГ гД дЕ еЁ ёЖ жЗ зИ иЙ йК к
Л лМ мН нҢ ңО оӨ өП пР рС сТ тУ уҮ ү
Ф фХ хЦ цЧ чШ шЩ щЪ ъЫ ыЬ ьЭ эЮ юЯ я



'''굵게''' 표시된 문자는 외래어에만 사용된다.

타타르어는 1939년부터 키릴 문자를 사용해 왔지만, 러시아 정교회 타타르 공동체는 19세기부터 키릴 문자를 사용해 왔다. 2000년에는 타타르어를 위해 새로운 라틴 문자가 채택되었지만, 일반적으로 인터넷에서 사용된다.

타타르어 키릴 문자
А аӘ әБ бВ вГ гД дЕ еЁ ёЖ жҖ җ
З зИ иЙ йК кЛ лМ мН нҢ ңО оӨ ө
П пР рС сТ тУ уҮ үФ фХ хҺ һЦ ц
Ч чШ шЩ щЪ ъЫ ыЬ ьЭ эЮ юЯ я



키릴 문자 Ёё, Цц, Щщ는 고유 타타르어 단어에는 사용되지 않고, 러시아어 차용어에만 사용된다.

투르크멘어는 1940년부터 1994년까지 키릴 문자로만 표기되었으며, 1994년부터는 공식적으로 로마 문자를 사용하지만, 일상적인 의사소통에서는 키릴 문자가 로마 문자와 함께 여전히 사용된다.

투르크멘 키릴 문자
А аБ бВ вГ гД дЕ еЁ ёЖ жҖ җЗ зИ иЙ й
К кЛ лМ мН нҢ ңО оӨ өП пР рС сТ тУ у
Ү үФ фХ х(Ц ц)Ч чШ ш(Щ щ)(Ъ ъ)Ы ы(Ь ь)Э эӘ ә
Ю юЯ я



1941년부터 키릴 문자가 전적으로 사용되었다. 1998년, 정부는 이를 대체하기 위해 라틴 문자를 채택했다. 그러나 이 전환을 위한 마감일은 반복적으로 변경되었으며, 키릴 문자가 여전히 더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 전환이 과연 이루어질지는 불분명하다.

우즈베크 키릴 문자
А аБ бВ вГ гД дЕ еЁ ёЖ жЗ зИ иЙ йК к
Л лМ мН нО оП пР рС сТ тУ уФ фХ хЦ ц
Ч чШ шЪ ъЬ ьЭ эЮ юЯ яЎ ўҚ қҒ ғҲ ҳ



러시아 문자 А–Я에서 Щ와 Ы를 제외한 문자에 더해, 우즈베크 키릴 문자는 Ў, Қ, Ғ, Ҳ를 마지막에 포함한다. 이들은 우즈베크 키릴 문자에서 별개의 문자이며, 위에 표시된 대로 Я 다음에 정렬된다.

야쿠트어를 표기하기 위해 여러 키릴 문자가 사용되었지만, 현재의 문자는 1939년에 채택되었다.

야쿠트 키릴 문자
А аБ бВ вГ гҔ ҕД дДь дьЕ еЁ ё
Ж жЗ зИ иЙ йК кЛ лМ мН нҤ ҥ
Нь ньО оӨ өП пР рС сҺ һТ тУ у
Ү үФ фХ хЦ цЧ чШ шЩ щЪ ъЫ ы
Ь ьЭ эЮ юЯ я



'''굵게''' 표시된 문자는 러시아 차용어에만 사용된다.

4. 2. 2. 몽골어족

몽골어족에는 할하 몽골어(몽골; 1941년부터 공식적으로 사용되었고, 실제로는 1946년부터 사용된 키릴 문자), 부랴트어 (바이칼 호수 주변; 1930년대부터 사용된 키릴 문자), 칼미크어 (카스피해 북서부; 1920~30년대부터 다양한 형태로 사용된 키릴 문자)가 포함된다.[8] 1990년대 초부터 몽골은 몽골 문자의 제한적인 사용을 확대하려는 시도를 해왔으며, 가장 최근의 몽골 문자 국가 계획은 2025년까지 몽골 문자의 사용을 키릴 문자와 같은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이중 문자 체제(이중 문자 사용)를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9]

할하 몽골어의 키릴 문자는 다음과 같다.

칼카 몽골어 문자
А аБ бВ вГ гД дЕ еЁ ёЖ жЗ зИ иЙ й
К кЛ лМ мН нО оӨ өП пР рС сТ тУ у
Y үФ фХ хЦ цЧ чШ шЩ щЪ ъЫ ыЬ ьЭ э
Ю юЯ я


  • В в = /w/
  • Е е = /jɛ/
  • Ё ё = /jo/
  • Ж ж = /tʃ/
  • З з = /ts/
  • Н н = /n-/, /-ŋ/
  • О о = /ɔ/
  • Ө ө = /ɵ/
  • У у = /ʊ/
  • Y ү = /u/
  • Ы ы = /iː/
  • Ь ь = /ʲ/
  • Ю ю = /ju/


키릴 문자 Кк, Фф, Щщ는 러시아어 단어에만 쓰인다.

부랴트어의 키릴 문자는 다음과 같다.

부랴트어
А аБ бВ вГ гД дЕ еЁ ёЖ жЗ зИ иЙ й
Л лМ мН нО оӨ өП пР рС сТ тУ уY ү
Х хҺ hЦ цЧ чШ шЫ ыЬ ьЭ эЮ юЯ я


  • Е е = /jɛ/
  • Ё ё = /jo/
  • Ж ж = /tʃ/
  • Н н = /n-/, /-ŋ/
  • Ө ө = /ø/
  • Y ү = /y/
  • Һ h = /h/
  • Ы ы = /iː/
  • Ю ю = /ju/


칼카 몽골어와 유사하지만 연음 기호는 그대로 연음 기호가 된다. Вв, Кк, Фф, Цц, Чч, Щщ, Ъъ를 순수 자국어에는 쓰지 않는다.

칼미크어의 키릴 문자는 다음과 같다.

칼미크어 문자
А аӘ әБ бВ вГ гҺ hД дЕ еЖ жҖ җЗ з
И иЙ йК кЛ лМ мН нҢ ңО оӨ өП пР р
С сТ тУ уY үХ хЦ цЧ чШ шЬ ьЭ эЮ ю
Я я


  • Ә ә = /æ/
  • В в = /w/
  • Һ h = /ɣ/
  • Е е = /ɛ/, /jɛ-/
  • Җ җ = /dʒ/
  • Ң ң = /ŋ/
  • Ө ө = /ø/
  • Y ү = /y/


칼카 몽골어와 유사하다. 칼미크어의 장모음은 모음 기호를 두 번 써서 나타낸다.(нөөрин)

4. 2. 3. 우랄어족

키릴 문자를 사용하는 우랄어족 언어는 다음과 같다.

카렐리아어는 1940년까지 다양한 형태로 키릴 문자로 표기되었으나, 이때부터 라틴 문자로 표기된 트베르 카렐리안을 제외하고는 핀란드어를 사용하면서 카렐리안어 출판이 중단되었다. 1989년, 다른 카렐리안 방언으로 출판이 다시 시작되었고 라틴 문자가 사용되었으며, 경우에 따라 ь와 같은 키릴 문자가 추가되기도 했다.

지난 세기 동안, 문자는 킬딘 사미어를 표기하기 위해 세 번 변경되었다: 키릴 문자에서 라틴 문자로, 다시 키릴 문자로. 최신 공식 철자법에 대한 작업은 1979년에 시작되었다. 1982년에 공식적으로 승인되었고 1987년까지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7]

코미페르미야크 키릴 문자:

І і
Ӧ ӧ에르에스
에프
트베르디 즈나크먀흐키 즈나크



'''초원 마리 키릴 문자:'''

Ҥ ҥӦ ӧ
에르에스Ӱ ӱ에프
트베르디 즈나크먀흐키 즈나크



'''산 마리 키릴 문자'''

Ӓ ӓ
Ӧ ӧ에르
에스Ӱ ӱ에프
트베르디 즈나크Ӹ ӹ먀흐키 즈나크


4. 2. 4. 캅카스어족

북서캅카스어족북동캅카스어족은 일반적으로 키릴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아바자어러시아 카라차예보-체르케스 공화국의 아바진족이 사용하는 코카서스 언어이다. 아바자어 키릴 문자는 다음과 같다.

style="font-size:smaller;" | 아바자어 키릴 문자
А аБ бВ вГ гГв гвГъ гъГъв гъвГъь гъьГь гь
Гӏ гӏГӏв гӏвД дДж джДжв джвДжь джьДз дзЕ еЁ ё
Ж жЖв жвЖь жьЗ зИ иЙ йК кКв квКъ къ
Къв къвКъь къьКь кьКӏ кӏКӏв кӏвКӏь кӏьЛ лЛь ль(Лӏ лӏ)
М мН нО оП пПӏ пӏР рС сТ тТл тл
Тш тшТӏ тӏУ уФ ф(Фӏ фӏ)Х хХв хвХъ хъХъв хъв
Хь хьХӏ хӏХӏв хӏвЦ цЦӏ цӏЧ чЧв чвЧӏ чӏЧӏв чӏв
Ш шШв швШӏ шӏЩ щЪ ъЫ ыЭ эЮ юЯ я


  • 괄호 안의 이중 자음은 방언에서 사용되며, 문어체와 공식 알파벳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압하스어는 캅카스어족에 속하며, 조지아의 자치 공화국인 압하지야에서 사용된다. 압하스 키릴 문자는 다음과 같다.

style="font-size:smaller;" | 압하스 키릴 문자
А аБ бВ вГ гГь гьГә гәӶ ӷӶь ӷьӶә ӷә
Д дДә дәЕ еЖ жЖь жьЖә жәЗ зӠ ӡӠә ӡә
И иК кКь кьКә кәҚ қҚь қьҚә қәҞ ҟҞь ҟь
Ҟә ҟәЛ лМ мН нО оП пԤ ԥР рС с
Т тТә тәҬ ҭҬә ҭәУ уФ фХ хХь хьХә хә
Ҳ ҳҲә ҳәЦ цЦә цәҴ ҵҴә ҵәЧ чҶ ҷҼ ҽ
Ҿ ҿШ шШь шьШә шәЫ ыҨ ҩЏ џЏь џь



아디게어는 캅카스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러시아아디게야 공화국에서 사용된다. 아디게 키릴 문자는 다음과 같다.

style="font-size:smaller;" | 아디게 키릴 문자
А аБ бВ вГ гГу гуГъ гъГъу гъуД дДж джДз дзДзу дзу
Е еЁ ёЖ жЖъ жъЖъу жъуЖь жьЗ зИ иЙ йК кКу ку
Къ къКъу къуКӏ кӏКӏу кӏуЛ лЛъ лъЛӏ лӏМ мН нО оП п
Пӏ пӏПӏу пӏуР рС сТ тТӏ тӏТӏу тӏуУ уФ фХ хХъ хъ
Хъу хъуХь хьЦ цЦу цуЦӏ цӏЧ чЧъ чъЧӏ чӏШ шШъ шъШъу шъу
Шӏ шӏШӏу шӏуЩ щ(Ъ ъ)Ы ы(Ь ь)Э эЮ юЯ яӀ ӏӀу ӏу


  • 괄호 안의 문자는 이중 자음에서만 사용된다.


카바르딘어는 캅카스어족에 속하며, 러시아의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과 카라차예보-체르케스 공화국에서 사용된다. 카바르딘 키릴 문자는 다음과 같다.

style="font-size:smaller;" | 카바르딘 키릴 문자
А аБ бВ вГ гГу гуГъ гъГъу гъуД дДж джДз дз
Е еЁ ёЖ жЖь жьЗ зИ иЙ йК кКу куКӏ кӏ
Кӏу кӏуКъ къКъу къуКхъ кхъКхъу кхъуЛ лЛъ лъЛӏ лӏМ мН н
О оП пПӏ пӏР рС сТ тТӏ тӏУ уФ фФӏ фӏ
Х хХу хуХъ хъХъу хъуХь хьЦ цЦӏ цӏЧ чШ шЩ щ
Щӏ щӏЪ ъЫ ыЬ ьЭ эЮ юЯ яӀ ӏӀу ӏу



아바르어는 러시아 연방의 다게스탄 공화국에서 사용되는 캅카스어족 언어이다. 다르긴어, 라크어, 레즈기어, 타바사란어와 함께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 아바르 키릴 문자는 다음과 같다.

style="font-size:smaller;" | 아바르 키릴 문자
А аБ бВ вГ гГъ гъГь гьГӏ гӏД д
Е еЁ ёЖ жЗ зИ иЙ йК кКъ къ
Кь кьКӏ кӏКӏкӏ кӏкӏКк ккЛ лМ мН нО о
П пР рС сТ тТӏ тӏУ уФ фХ х
Хх ххХъ хъХь хьХӏ хӏЦ цЦц ццЦӏ цӏЦӏцӏ цӏцӏ
Ч чЧӏ чӏЧӏчӏ чӏчӏШ шЩ щЪ ъЫ ыЬ ь
Э эЮ юЯ яӀ



레즈기어는 남부 다게스탄과 북부 아제르바이잔에 거주하는 레즈긴족에 의해 사용된다. 레즈기어는 문어이며 다게스탄의 공용어이다.

체첸어, 다르기어, 라크어, 타바사란어, 잉구쉬어, 아르치어 등도 키릴 문자를 사용한다.

이들 언어와 아바자어, 아디게어, 카바르딘어의 키릴 문자에는 팔로치카(Ӏ)라는 기호가 추가되어 무성 폐쇄 자음에 특정한 파열음을 부여한다.

4. 2. 5. 기타 언어

쿠르드족은 구 소련에서 키릴 문자를 사용한다. 쿠르드 키릴 문자 표기는 다음과 같다.

style="font-size:smaller;" | 쿠르드 키릴 문자 표기
А аБ бВ вГ гГ' г'Д дЕ е
Ә әӘ' ә'Ж жЗ зИ иЙ йК к
К' к'Л лМ мН нО оӦ öП п
П' п'Р рР' р'С сТ тТ' т'У у
Ф фХ хҺ һҺ' һ'Ч чЧ' ч'Ш ш
Щ щЬ ьЭ эԚ ԛԜ ԝ



오세트어는 1937년부터 공식적으로 키릴 문자를 사용해 왔다. 오세트 키릴 문자는 다음과 같다.

style="font-size:smaller;" | 오세트 키릴 문자
А аӔ ӕБ бВ вГ гГъ гъД дДж дж
Дз дзЕ еЁ ёЖ жЗ зИ иЙ йК к
Къ къЛ лМ мН нО оП пПъ пъР р
С сТ тТъ тъУ уФ фХ хХъ хъЦ ц
Цъ цъЧ чЧъ чъШ шЩ щЪ ъЫ ыЬ ь
Э эЮ юЯ я



타지크어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문자를 사용한다. 타지크-페르시아 키릴 문자는 다음과 같다.

style="font-size:smaller;" | 타지크-페르시아 키릴 문자
А аБ бВ вГ гҒ ғД дЕ еЁ ёЖ жЗ зИ и
Ӣ ӣЙ йК кҚ қЛ лМ мН нО оП пР рС с
Т тУ уӮ ӯФ фХ хҲ ҳЧ чҶ ҷШ шЪ ъЭ э
Ю юЯ я


둥간어는 1953년부터 키릴 문자를 사용한다. 현대 둥간 키릴 문자는 다음과 같다.

style="font-size:smaller;" | 현대 둥간 키릴 문자
А аБ бВ вГ гД дЕ еЁ ёӘ әЖ жҖ җЗ зИ и
Й йК кЛ лМ мН нҢ ңО оП пР рС сТ тУ у
Ў ўҮ үФ фХ хЦ цЧ чШ шЩ щЪ ъЫ ыЬ ьЭ э
Ю юЯ я


  • '''굵은''' 글자는 러시아 차용어에만 사용된다.

:**에벤어

:**에벤키어 (1937년부터)

:**나나이어

:**우데게어 (우데헤) (최근에는 사용되지 않음)

:**오로크어 (2007년부터)

:**울차어 (1980년대 후반부터)
:**축치어는 1936년부터 키릴문자를 쓴다. 축치 키릴 문자는 다음과 같다.

style="font-size:smaller;" | 축치 키릴 문자
А аБ бВ вГ гД дЕ еЁ ёЖ жЗ зИ иЙ йК к
Ӄ ӄЛ лԒ ԓМ мН нӇ ӈО оП пР рС сТ тУ у
Ф фХ хЦ цЧ чШ шЩ щЪ ъЫ ыЬ ьЭ эЮ юЯ я
ʼ



:**코랴크어는 1936년부터 키릴문자를 쓴다. 코랴크 키릴 문자는 다음과 같다.

style="font-size:smaller;" | 코랴크 키릴 문자
А аБ бВ вВʼ вʼГ гГʼ гʼД дЕ еЁ ёЖ жЗ зИ и
Й йК кӃ ӄЛ лМ мН нӇ ӈО оП пР рС сТ т
У уФ фХ хЦ цЧ чШ шЩ щЪ ъЫ ыЬ ьЭ эЮ ю
Я я



:**이텔멘어는 1980년대 후반부터 키릴문자를 쓴다. 이텔멘 키릴 문자는 다음과 같다.

style="font-size:smaller;" | 이텔멘 키릴 문자
А аӐ ӑБ бВ вГ гД дЕ еЁ ёЖ жЗ зИ иЙ й
К кКʼ кʼӃ ӄӃʼ ӄʼЛ лЉ љԒ ԓМ мН нЊ њӇ ӈО о
О̆ о̆П пПʼ пʼР рС сТ тТʼ тʼУ уЎ ўФ фХ хӼ ӽ
Ц цЧ чЧʼ чʼШ шЩ щЪ ъЫ ыЬ ьӘ әЭ эЮ юЯ я



:**알류토르어 알류토르 키릴 문자는 다음과 같다.

style="font-size:smaller;" | 알류토르 키릴 문자
А аБ бВ вВʼ вʼГ гГʼ гʼҒ ғД дЕ еӘ әЁ ёЖ ж
З зИ иЙ йК кӃ ӄЛ лМ мН нӇ ӈО оП пР р
С сТ тУ уФ фХ хЦ цЧ чШ шЩ щЪ ъЫ ыЬ ь
Э эЮ юЯ я


  • 에스칼레우트어족

:**알류트어 알류트 키릴 문자 (베링 방언)는 다음과 같다.

style="font-size:smaller;" | 알류트 키릴 문자 (베링 방언)
А аА̄ а̄Б бВ вГ гӶ ӷГў гўД д
Д̆ д̆Е еЕ̄ е̄Ё ёЖ жЗ зИ иӢ ӣ
Й йʼЙ ʼйК к ӄ ӄЛ лʼЛ ʼлМ мʼМ ʼм
Н нʼН ʼнӇ ӈʼӇ ʼӈО оО̄ о̄П пР р
С сТ тУ уӮ ӯЎ ўФ фХ хӼ ӽ
Ц цЧ чШ шЩ щЪ ъЫ ыЫ̄ ы̄Ь ь
Э эЭ̄ э̄Ю юЮ̄ ю̄Я яЯ̄ я̄ʼ’Ў ’ў



:**중앙 시베리아 유픽어

:**차플리노 방언 중앙 시베리아 유픽 키릴 문자(차플리노 방언)는 다음과 같다.

style="font-size:smaller;" | 중앙 시베리아 유픽 키릴 문자(차플리노 방언)
А аБ бВ вГ гӶ ӷД дЕ еЁ ё
Ж жЗ зИ иЙ йК кӃ ӄЛ лЛъ лъ
М мН нНъ нъӇ ӈО оП пР рС с
Т тУ уЎ ўФ фХ хӼ ӽЦ цЧ ч
Ш шЩ щЪ ъЫ ыЬ ьЭ эЮ юЯ я



:Ӷ ӷ, Ӄ ӄ, Ӈ ӈ, Ӽ ӽ 문자는 때때로 Гʼ гʼ, Кʼ кʼ, Нʼ нʼ, Хʼ хʼ 또는 Ґ ґ, Қ қ, Ң ң, Ҳ ҳ로 대체된다.

:**시레니크어 시레니크 키릴 문자는 다음과 같다.

style="font-size:smaller;" | 시레니크 키릴 문자
А аА̄ а̄Б бВ вԜ ԝГ гӶ ӷД д
Е еЁ ёЖ жЗ зИ иӢ ӣЙ йЙь йь
К кӃ ӄЛ лЛъ лъМ мН нНъ нъӇ ӈ
О оП пР рС сТ тУ уӮ ӯФ ф
Х хӼ ӽЦ цЧ чШ шЩ щЪ ъЫ ы
Ь ьЭ эЮ юЮ̄ ю̄Я яЯ̄ я̄


  • '''굵게''' 표시된 문자는 러시아어 차용어에만 사용된다.

:**나우칸 유픽어(Naukan Yupik)

  • 기타

:**아이누어 (러시아)

:**아시리아 신아람어 (아이소르)

:**케트어 (1980년대부터)

:**니브흐어

:**틀링깃어 (러시아 알래스카)

:**유카기르어 (툰드라 유카기르어, 숲 유카기르어)

5. 키릴 문자의 한국어 표기

6. 키릴 문자와 관련된 논쟁

6. 1. 소련 붕괴 이후의 탈키릴 문자 운동

6. 2. 러시아 내 소수민족 언어의 키릴 문자 사용 문제

7. 키릴 문자의 미래

참조

[1] 서적
[2] 서적 Southeastern Europe in the Middle Ages, 500–1250, Cambridge Medieval Textbook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3] 서적 The Orthodox Church in the Byzantine Empire, Oxford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4] 서적 Pravopis srpskoga jezika Matica Srpska 1994
[5] 서적 Pravopis na makedonskiot jazik http://www.pravopis.[...] Institut za makedonski jazik Krste Misirkov 2017
[6] 웹사이트 Croats Revive Forgotten Cyrillic Through Stone https://balkaninsigh[...] 2013-01-08
[7] 간행물 Towards a digital infrastructure for Kildin Saami http://www.siberian-[...] Erich Kasten, Erich and Tjeerd de Graaf 2013
[8] 논문 Language Planning in Mongolia I https://www.academia[...] 2005
[9] 웹사이트 Монгол бичгийн үндэсний хөтөлбөр III (National Plan for Mongol Script III) https://www.legalinf[...] 2021-05-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