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역사적 예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역사적 예수는 기독교 신앙의 대상인 예수와는 별개로, 역사학적 방법으로 연구되는 인물이다. 1세기 팔레스타인의 정치적, 사회적 배경 속에서 활동했으며, 로마 제국의 지배와 유대교와 헬레니즘 문화의 공존 속에서 유대교 율법을 새롭게 해석하고, 하느님 나라의 임박성을 선포하며, 카리스마적 치유자, 예언자, 스승, 시인, 제의 창시자, 혁명가 등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된다. 연구는 18세기부터 시작되어, 복음서, 바울 서신, 외경 등을 자료로 하여, 성서 비평을 통해 예수의 삶을 재구성하려는 시도를 해왔으며, 연구 방법에 대한 비판과 다양한 예수상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역사적 예수 탐구 - 예수 세미나
    예수 세미나는 로버트 펑크를 중심으로 신약성서 학자들이 모여 복음서에 나타난 예수의 언행의 역사적 진위를 판별하고자 했던 학술 모임으로, 학문적 기여와 비판,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 역사적 예수 탐구 - 다수적 증언의 기준
    다수적 증언의 기준은 여러 독립적인 자료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예수의 언행이나 사건일수록 역사적 신빙성이 높다고 평가하는 성서비평학의 방법론이다.
역사적 예수
기본 정보
예수와 [[세례자 요한]] ([[보이치에흐 게르손]] 그림)
예수와 세례자 요한 (보이치에흐 게르손 그림)
이름나자렛 예수
출생기원전 6년에서 기원전 4년경
출생지나자렛 또는 베들레헴
사망기원후 30년경 (34세 몰)
사망 장소예루살렘 성 밖 골고타 언덕
사인불명
종교유대교
죄목반역죄 (정치범)
형벌사형 (십자가형)
민족유대인
활동 기간기원후 28년경 - 30년경
활동 근거지갈릴리
부모어머니: 이오안나、아버지: 나자렛의 요셉
가족형제: 야고보 (예수의 형제)
관련 항목
관련 인물예수
그리스도
수태고지
예수 탄생
예수의 세례
광야의 유혹
예수의 기적
최후의 만찬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형
부활 (기독교)
예수의 승천
재림
언어별 표기
역사적 예수
관련 정보이름과 호칭
그리스도
기독론
연대학
동정녀 탄생
공생애
기적
비유
모욕
십자가형
매장
부활
재림
성유물
신약의 역사적 배경
배경예수의 언어
아람어
논란
계보
인종과 모습
예수의 종교적 관점
관점성서의 예수
종교적 관점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
탈무드
요세푸스
타키투스
바르 세라피온
신화
역사적 예수 탐구
역사적
신화론
유즈 아삽
예수의 묘사
문화 속 예수미술
묘사
예수주의

2. 1세기 팔레스타인의 사회·문화적 배경

400px


1세기 팔레스타인은 유대교헬레니즘이 공존하며 복잡한 사회·문화적 배경을 이루고 있었다. 이러한 배경은 역사적 예수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당시 팔레스타인 사람들은 천상이 세 가지 층으로 구분되어 있다는 신화적인 우주관을 가지고 있었다.[381] 사도 바오로는 코린토 교회에 보낸 서신서에서 셋째 하늘에 대한 이야기를 언급하기도 했다.

2. 1. 유대교와 헬레니즘의 공존

1세기 팔레스타인의 문화는 유대교(Judaism)와 헬레니즘(Hellenism)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헬레니즘은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원정으로 생겨났으며, 지중해 동부 세계에서 아랍 제국의 정복 이전까지 지배적인 문화로 남아 있었다.[380]

예수가 살던 시대의 팔레스타인에서 개인주의는 낯선 사고방식이었다. 당시 팔레스타인 사람들은 공동체적 문화와 유대교 전통을 존중했다. 개인보다는 가문의 명예를 중요시했고, 유대교적 가치가 경제적인 가치보다 중요하였다. 예수 시대에는 율법(Torah)과 종교적 관습법이 유대인의 규범이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셀레우코스 왕조의 안티오쿠스 4세 에피파네스는 반유대주의 정책을 폈다. 그는 유대교의 특성을 제거하려 하였다.

이러한 종교 탄압에 유대 민중은 저항했고 짧은 기간 자치 정부를 수립하였다. 그러나 자치 정부인 하스몬 왕조(Hasmonean Kingdom)는 헬라적 왕조의 모습을 닮아갔고, 종교적 자유를 향한 유대인의 기대와 어긋났다. 결국 유다로마의 침략을 받게 되었다.[382]

셀레우코스 왕조의 안티오쿠스 4세 에피파네스의 헬라화 정책 속에서 유대교는 새롭게 형성되었다. 옛 귀족 계층은 다양한 당파로 갈라졌다.[383]

역사적 예수가 등장하기 전 30여년 동안 헤롯 대왕이 유대지역을 다스렸다.[384] 그는 예루살렘 성전을 재건하고 마사다 요새를 건설했다.[385] 이 과정에서 헤롯은 많은 세금을 거두었고, 많은 사람들이 가난에 시달렸다.[386] 기원전 4년에 헤롯 대왕이 죽고, 역사적 예수가 활동한 기간에는 헤롯 안티파스가 유대 지역을 다스렸다.[387]

기원전 1세기 중엽에 로마 제국은 동방정벌을 감행한다. 70년의 성전 파괴는 이스라엘의 하느님 야훼에게 제사(예배)를 드릴 장소가 없게 됨을 의미했다. 하지만 유대 독립 전쟁을 진압함으로써 예루살렘 성전 파괴는 유대교의 성격이 바뀐 계기가 되기도 했다. 로마군이 예루살렘 성전을 파괴하여 예루살렘 성전에서 제사를 드릴 수 없게 되면서, 율법·유대교 회당(시나고그(Synagogue))·율법학자 중심의 종교로 변하게 되었다.[388]

고대 갈릴래아 지역


예수의 첫 제자들은 모두 팔레스타인 사람이었으며, 대부분 갈릴래아(갈릴리) 출신이었다.[389]

게르하르트 렌스키(Gerhard Lenski)는 1세기 지중해 세계가 발전된 농업 사회였다고 보았다. 당시 팔레스타인의 사회경제적 조직의 기초에는 농민이 있었다. 이들은 전체 인구의 약 70% 이상을 차지했다. 이들 중 일부는 자신의 농지를 잃고 소작인으로 전락했는데, 예루살렘 성전의 탐욕도 소작인 전락의 원인이었다.[390]

팔레스타인 농민들의 가장 주된 관심사는 생활을 유지할 만큼의 식량이 남아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농민과 유사한 처지에 있는 사람들은 ‘시골 프롤레타리아’(rural proletariat)로서, 떠돌이 일당 노동자, 떠돌이 기술자, 산적 등이 해당했다. 이들은 경제적으로 몰락한 사람들로, 농민 계층과 정서가 통했다. 또한 농민과 유사한 수준의 계층에 속한 사람으로 지방의 장인(匠人)이 있었다. 이들은 전 인구의 약 3~7%를 차지했고, 기본적인 농기구와 가재도구를 공급했다. 복음서는 나사렛 예수가 이러한 시골 장인 중 한 사람이었다고 말한다.[391]

''부모의 집에 있는 그리스도'' 존 에버트 밀라리스가 1850년에 그렸다.


민중신학안병무 선생도 《갈릴래아의 예수》에서 복음서저자들이 예수가 목수의 아들로 소개함으로써 예수가 변변치 않은 직업을 가진 민중으로 이해하고 있음을 말하였고,[392] 진보적 사회운동가 백기완 선생도 대중연설에서 "예수는 노동자였어. 예수의 직업이 목수가 아니던가. 노동으로 단련된 몸을 가지고 있었을 거야. 그리고 예수는 부당한 사회질서에 대항한 인물이었다."고 말함으로써 예수가 노동자요 예언자였다는 사실을 주목하였다.[393]

농민 계층 바로 위에는 상인 계층이 있었다. 상인들은 대부분 노예 및 해방 노예였고, 엘리트 계층의 사람들과 옛 주인-평민 관계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다른 사회 계층은 ‘가신(家臣)들’이라고 부른 관료, 공무원, 직업 군인, 직업 종교인들로, 엘리트 계층의 권력을 확장하는 도구 구실을 한 계층이었다. 예수 시대에 이러한 가신들은 거의 모두 유대인이었고, 지방 재판관 및 행정가, 하급 세리, 청지기 등으로 성서에 등장하는데, 대부분 사회 하층민에 대한 사랑이 부족했으며,[394] 식민지 수탈 행위로 로마 제국의 부를 유지시키는 로마의 하수인에 불과했다.[395]

복음서에서 언급된 세리들은 로마 제국을 위해 많은 세금을 거두어 동족을 착취하는 로마 제국의 하수인 노릇으로 부자가 된 식민지 수탈 행위 때문에 동족들에게 경멸을 받았다.[396][397][398][399]

팔레스타인 사회의 최상위 계층은 도시 엘리트로, 전체 인구의 3%에 불과했으며, 이들의 신분은 팔레스타인이 헬라적으로 도시화된 것과, 헤로데 대왕(헤로데스 1세)이 자신의 지지자들에게 토지를 나누어 준 결과로 얻어진 것이었다. 이들은 유대인 동족보다는 에돔(אֱדוֹם|Edomhe)[400] 사람인 헤로데 왕과 로마 제국에게 많은 유익을 제공해야만 자신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었다. 이들의 수입은 주로 토지세에서 나왔고, 관료 계층을 이용해 농민을 착취하였다.[401]

2. 2. 사회 계층 구조

예수의 첫 제자들은 모두 팔레스타인 사람이었으며, 그중 대부분은 갈릴래아(갈릴리) 출신이었다.[389] 따라서 역사적 예수를 이해하려면, 이 시대 팔레스타인, 특히 갈릴래아의 피라미드식 사회 계층 구조를 살펴봄이 유익하다.

게르하르트 렌스키(Gerhard Lenski)는 1세기 지중해 세계가 산업화 이전의 발전된, 전형적인 농업 사회였다고 보았다. 이런 사회는 소수 엘리트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복잡한 계급 구조 속에서 이루어지는 농업 생산을 경제적 기반으로 한다. 당시 팔레스타인의 사회경제적 조직의 기초에는 농민이 있었다. 이들은 전체 인구의 약 70% 이상을 차지했으며, 조상 대대로 내려온 생활 방식을 유지하였다. 이들 중 일부는 가뭄 같은 일시적인 농업 재난으로 인해 자신의 농지를 잃고 소작인으로 전락했는데, 성전세를 명목으로 자영농의 토지를 수탈하고 당시 인기 작물이었던 종려나무를 심은 예루살렘 성전의 탐욕도 소작인 전락의 원인이었다.[390]

팔레스타인 농민들의 가장 주된 관심사는 상위 계층 사람들이 자신들의 몫을 가져간 후에도 생활을 유지할 만큼의 식량(물품)이 남아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농민과 유사한 처지에 있는 사람들은 ‘시골 프롤레타리아’(rural proletariat)로서, 떠돌이 일당 노동자, 떠돌이 기술자, 산적 등이 해당했다. 이들은 이전에는 농민이었다가 경제적으로 몰락한 사람들로, 농민 계층과 정서가 통했으며, 경제적, 사회적 압박으로 인해 농민보다 더 불안정한 삶을 영위해야 했다. 농민과 유사한 수준의 계층에 속한 사람으로 지방의 장인(匠人)이 있었다. 이들은 전 인구의 약 3~7%를 차지했고, 기본적인 농기구와 가재도구를 공급했다. 그중 특별한 기술을 보유한 일부는 도시 엘리트 소비자에게 물건을 팔 수 있었지만, 대부분 장인의 고객은 최저 생계를 겨우 유지하는 사람이었다. 복음서는 나사렛 예수가 이러한 시골 장인 중 한 사람이었다고 말한다.[391]

민중신학안병무는 《갈릴래아의 예수》에서 복음서 저자들이 예수를 목수의 아들로 소개함으로써 예수가 변변치 않은 직업을 가진 민중으로 이해하고 있음을 말하였고,[392] 진보적 사회운동가 백기완은 대중 연설에서 "나는 기독교인들이 생각하는 기생오라비처럼 곱상한 예수는 당최 마음에 들지 않아. 내 생각에 그건 잘못된 그림이야. 예수는 노동자였어. 예수의 직업이 목수가 아니가서. 노동으로 단련된 몸을 가지고 있었을 거야. 그리고 예수는 부당한 사회질서에 대항한 깡따구 있는 인물이었다구."라고 말함으로써 예수가 노동자요 예언자였다는 사실을 주목하였다.[393]

농민 계층 바로 위에는 상인 계층이 있었다. 상인들은 대부분 노예 및 해방 노예였고, 이들은 엘리트 계층 사람들과 옛 주인-평민 관계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엘리트 계층은 과세와 관련이 없는 상업의 대부분을 그들의 노예 또는 해방된 노예를 통해 경영하여 수익을 얻었다.

렌스키(Lenski)가 ‘가신(家臣)들’이라고 부른 관료, 공무원, 직업 군인, 직업 종교인들은 엘리트 계층의 권력을 확장하는 도구 구실을 한 계층이었다. 예수 시대에 이러한 가신들은 거의 모두 유대인이었고, 지방 재판관 및 행정가, 하급 세리들, 땅주인 대신 땅을 관리하던 청지기 등으로 성서에 등장하는데, 대부분의 가신은 사회 하층민에 대한 사랑이 부족했으며,[394] 식민지 수탈 행위로 로마 제국의 부를 유지시키는 로마의 하수인에 불과했다.[395]

복음서에서 언급된 세리들은 지배자인 로마 제국을 위해 많은 세금을 거두어 같은 동족을 착취하는 로마 제국의 하수인 노릇으로 부자가 된 식민지 수탈 행위 때문에 동족들에게 경멸받은 자들이었다.[396][397][398][399] 즉, 로마 제국은 그들의 하수인인 식민지 세리들의 착취 행위로 부를 유지했던 것이다.[395]

팔레스타인 사회의 최상위 계층은 도시 엘리트로, 전체 인구의 3%에 불과했으며, 이들의 신분은 팔레스타인이 헬라적으로 도시화된 것과, 약 50년 전에 헤로데 대왕(헤로데스 1세)이 자신의 지지자들에게 토지를 나누어 준 결과로 얻어진 것이었다. 따라서 이들은 유대인 동족보다는 에돔(אֱדוֹם|Edomhe)[400] 사람인 헤로데 왕과 로마 제국에게 많은 유익을 제공해야만 자신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었다. 이들의 수입은 주로 토지세에서 나왔고, 관료 계층을 이용해 농민을 착취하였다.[401]

2. 3. 종교적 상황

1세기 팔레스타인의 문화는 유대교헬레니즘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헬레니즘은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원정으로 지중해 동부 세계에 퍼진 그리스 문화의 새로운 형태였다.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제국은 분할되었지만, 헬레니즘 문화는 7세기 아랍 제국의 정복 이전까지 지배적인 문화로 남아 있었다.[380]

예수 시대 팔레스타인 사람들은 가족이나 가문 중심의 공동체적 전통을 중시했고, 개인의 이익보다 가문의 명예, 유대교적 가치를 더 중요하게 여겼다. 모세 율법과 종교적 관습법이 유대인의 규범이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셀레우코스 왕조의 안티오쿠스 4세 에피파네스는 반유대주의 정책을 펴며 유대교를 탄압했다. 마카베오기 상권 1장 44~50절에 따르면, 유다인들은 이교도 관습을 따르고, 이교 제단과 신당을 세우며, 돼지 등 부정한 동물을 제물로 바치고, 할례를 금지당했으며, 이를 어기면 사형에 처해졌다.[382]

이러한 종교 탄압에 유대 민중은 저항했고, 짧은 기간 하스몬 왕조라는 자치 정부를 수립했다. 그러나 하스몬 왕조는 헬라적 왕조의 모습을 닮아갔고, 이는 종교적 자유를 향한 유대인의 기대와 어긋났다. 결국 유다로마의 침략을 받게 되었다.[382]

셀레우코스 왕조의 헬라화 정책 속에서 유대교는 새롭게 형성되었다. 옛 귀족 계층은 사두개파, 바리사이파, 에세네파 등 다양한 당파로 갈라졌다.[383]

헤롯 대왕은 예루살렘 성전 재건 등 건축사업을 벌였으나, 과도한 세금으로 많은 사람들이 가난에 시달렸다.[386]

기원전 1세기 중엽, 로마 제국은 동방정벌을 감행했고, 70년 예루살렘 성전 파괴는 유대교에 큰 타격을 주었다. 성전 파괴는 야훼에게 제사드릴 장소가 없어짐을 의미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는 유대교가 율법·유대교 회당(시나고그)·율법학자 중심의 종교로 변화하는 계기가 되었다.[388]

게르하르트 렌스키는 1세기 지중해 세계가 발전된 농업 사회였다고 보았다. 당시 팔레스타인의 사회경제적 기반은 농민이었으며, 이들은 전체 인구의 70% 이상을 차지했다. 일부는 가뭄이나 예루살렘 성전의 탐욕으로 인해 소작인으로 전락했다.[390]

농민과 유사한 처지에 있던 사람들은 '시골 프롤레타리아'로, 떠돌이 노동자, 기술자, 산적 등이 있었다. 지방 장인들은 농기구와 가재도구를 공급했으며, 복음서나사렛 예수가 시골 장인 중 한 사람이었다고 전한다.[391]

민중신학안병무예수목수의 아들로 소개된 것은 민중으로 이해됨을 의미한다고 보았고,[392] 백기완은 예수가 노동자이자 예언자였다고 주장했다.[393]

상인 계층은 대부분 노예 및 해방 노예였고, 엘리트 계층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관료, 공무원, 직업 군인, 직업 종교인들은 엘리트 계층의 도구 역할을 했으며, 성서에는 지방 재판관, 하급 세리, 청지기 등으로 등장한다. 이들은 대부분 사회 하층민에 대한 사랑이 부족했고,[394] 로마의 하수인에 불과했다.[395]

복음서에 언급된 세리들은 로마 제국을 위해 세금을 거두어 동족을 착취했기 때문에 경멸받았다.[396][397][398][399]

팔레스타인 사회 최상위 계층은 도시 엘리트로, 전체 인구의 3%에 불과했으며, 에돔(אֱדוֹם|Edomhe)[400] 사람인 헤로데 대왕과 로마 제국에게 유익을 제공해야 지위를 유지할 수 있었다. 이들은 관료 계층을 이용해 농민을 착취하였다.[401]

3. 1세기 팔레스타인의 정치적 상황

1세기 팔레스타인로마 제국식민지로 정치적 혼란을 겪었다. 로마는 군사력을 앞세워 팔레스타인을 통치했으며, 유대 민중은 이에 맞서 저항했고, 로마는 십자가형 등으로 보복했다.[403]

3. 1. 로마 제국의 지배

1세기 팔레스타인로마 제국식민지였다. 로마 제국은 군사력으로 유지되는 사회였으며, 레기온(legion)으로 불리는 로마 군단은 지중해 연안에서 막강한 힘을 발휘하였다. 기원전 63년 폼페이우스는 1만 2천 명의 유대인학살하고, 3개월 동안의 포위 작전 끝에 예루살렘을 점령하였다. 점령 후에 폼페이우스는 이방인의 출입이 금지된 성스러운 공간인, 예루살렘 성전의 지성소에 들어갔다.[402]

이후 로마에 병합된 팔레스타인은 로마 제국의 폭압적인 통치와 그로 인한 민중 반란, 그리고 민중 반란에 가담한 자들에 대한 보복으로 십자가형이 공개적으로 집행되는 정치적인 혼란을 겪었다.[403] 요세푸스의 《유대 고대사》에 따르면, 헤로데 대왕(헤로데스 1세)이 죽을 무렵인 기원전 4년에 벌어진 유대 민중의 봉기를 당시 시리아의 로마 총독인 바루스(Quintilius Varus)가 로마의 군단을 출동시켜 진압했는데, 그 과정에서 유대인을 무차별 학살했다고 기록하고 있다.[404][405] 로마제국이 임명한 첫 번째 유대 총독이었던 코포니우스(Coponius)는 효율적인 세금 징수를 위해 AD 6년에 인구 조사를 실시하다가 유대인이 저항하자 수많은 사람을 죽였는데, 이때의 저항은 열심당을 만든 갈릴리의 유다가 일으킨 것이었다.[406]

''엑세 호모'' ("이 사람을 보라"), 안토니오 시세리의 그림으로 로마제국이 임명한 팔레스타인 총독인 폰티우스 필라투스예루살렘 사람들 앞에서 예수를 채찍질하고 난 후 말하고 있는 장면을 묘사하였다.


예수의 재판관이기도 했던 필라투스(재임 기간: AD 26-36)도 야훼 하느님을 모시는 성전의 재산을 탈취한 자신에게 저항하는 군중을 군대를 동원해 진압하였다.[407] 그는 유대교의 전통을 전혀 존중하지 않아서 자신의 건설 사업을 하기 위해 성전의 재산을 이용하였는데, 그 자금은 성전 제사에서 사용할 제물을 구하기 위해 유대인들이 특별히 마련한 돈이었다.[407][408] 알렉산드리아의 유대인 철학자 필론(Philon)은 로마 총독 폰티우스 필라투스에 대한 아그리파 1세(헤로데 대왕의 손자)의 인물평을 다음과 같이 기록하였다.

루가 복음서(누가 복음서)에도 빌라도가 제사를 드리던 갈릴래아(갈릴리) 사람을 학살했는데, 그 피가 제물에 흐를 정도로 끔찍했다는 내용이 나온다.[410] 결국 폰티우스 필라투스 총독은 예언자라고 스스로를 소개한 사람이 기적을 행하는 모습을 구경하려고 몰려든 사마리아인들을 군대를 동원해 공격하는 실수를 저질렀고,[407] AD 36년에 폭압적인 정치를 한 것에 책임을 지고 자리에서 물러나게 되었다.[411]

3. 2. 유대 민중의 저항

로마 제국의 지배에 맞서 유대 민중은 끊임없이 저항했다. 열심당은 무장 투쟁을 통해 로마 제국에 맞섰으며, 메시아 대망 사상은 민중의 희망을 반영했다.

4. 역사적 예수

사실상 모든 고대 학자들은 예수가 실존했다는 데 동의한다.[7][8][25] 역사가 마이클 그랜트는 전통적인 역사 비평 기준을 신약성경에 적용하면 "우리는 예수의 존재를 거부할 수 없으며, 역사적 인물로서 그 실존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지 않는 수많은 이교도 인물들의 존재를 거부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26] 기독교에 반대했던 고대 작가들이 예수의 존재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는 징후는 없다.[27][28]

그리스도 신화 이론은 나사렛 예수가 실존하지 않았거나, 실존했더라도 유대 기독교의 설립과 복음서의 내용과 거의 관련이 없다는 주장이다.[36] 현대 고대 학자들은 예수가 실존했다는 데 동의하며, 성서학자와 고전 역사가들은 그의 비존재에 대한 이론을 효과적으로 반박된 것으로 간주한다.[7][9][43][44]

예수를 긍정적으로 언급한 고전 작가로는 시리아의 스토아 학파인 마라 바 세라피온이 있는데, 그는 로마 감옥에서 아들에게 쓴 편지에서 '지혜로운 유대인의 왕'의 처형에 대해 이야기하며, 그의 죽음을 소크라테스의 죽음과 비교한다. 그는 '지혜로운 왕'이 그가 "제정한 새로운 법" 때문에 살아 있다고 말한다.[83]

역사 비평은 고대 텍스트의 기원을 연구하는 비평의 한 분야로, 텍스트의 원래 의미를 역사적 맥락과 문자적 의미에서 밝혀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역사 비평은 17세기에 시작되어 19세기와 20세기에 대중적인 인정을 받았다.

복음서의 역사적 신뢰성은 역사적 문서로서 신약성경의 네 복음서의 신뢰성과 역사적 특성을 의미하며, 지속적인 논쟁의 대상이다.[87][88][89][90][91][92] 역사학자들은 복음서를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진실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와 가능한 허구, 과장, 변형을 구별한다.[58]

18세기 이후 일반적으로 세 가지 학문적 역사적 예수 탐구가 구별되는데, 각 탐구는 특정 단계에서 개발된 고유한 특성과 다른 연구 기준을 기반으로 한다.[95] 이러한 탐구는 역사 비평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계몽주의 이전의 접근 방식과 구별된다.

최초의 학자는 철학자, 작가, 고전학자이자 계몽주의적 자유 사상가인 헤르만 사무엘 라이마루스(1694–1768)였다.[102] 라이마루스는 예수의 가르침과 신약성서에 묘사된 예수의 모습을 구별했다. 라이마루스에 따르면, 예수는 정치적 변화에 실패하여 처형된 정치적 메시아였다. 그 후 그의 제자들은 시체를 훔쳐 개인적인 이득을 위해 부활 이야기를 지어냈다.[102][103]

호머 W. 스미스에 따르면, 레싱 등의 저작은 프로테스탄트 신학자 다비트 슈트라우스의 ''Das Leben Jesu'' ('예수의 생애', 1835)로 이어졌는데, 슈트라우스는 예수의 존재는 인정하지만, 그의 신성은 "역사적 핵이 구약 모델과 다니엘서에서 발견된 메시아 사상의 영향을 받아 최초의 기독교인들에 의해 이상적인 형태로 가공되고 재구성된 결과"라는 결론을 내렸다.[106]

1953년에 시작된 두 번째 탐구는 여러 새로운 기법을 도입했지만 1970년대에 쇠퇴했다.[109]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많은 학자들이 새로운 연구 아이디어를 점차적으로 도입하기 시작했고,[108] 최신 연구 접근 방식으로 특징지어지는 세 번째 탐구를 시작했다.[109][110]

20세기 말에 이르러 학자 톰 홀멘은 계몽주의 회의론이 소스의 역사적 신뢰성에 대한 더 "신뢰하는 태도"로 바뀌었다고 기록한다.[129] 이러한 변화를 반영하여 "역사적 예수 탐구"라는 문구는 "예수의 삶 연구"로 대체되었다.[119]

2021년, 역사적 예수 연구 저널 편집자 제임스 크로슬리는 역사적 예수 연구가 이제 다음 퀘스트 시대로 접어들었다고 발표했다. 다음 퀘스트는 기준, 예수의 독특성에 대한 집착에서 벗어났다. 대신, 냉철한 학문은 이제 이 주제를 종교, 문화 비교, 계급 관계, 노예 문화 및 경제, 역사적 예수 연구의 사회적 역사 및 역사적 예수의 더 넓은 수용 역사와 같은 더 넓은 인간 현상의 일부로 취급하는 데 집중한다.[124]

역사적 예수 연구에서 사용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흔히 다중 증언 기준, 당혹스러움 기준, 유사성 기준, 코이네 그리스어 기준들을 포함한다.

'예수'는 고대 그리스어로는 '예수스'(''᾿Ιησοῦςel (Iêsoũs)'')이며, 히브리어의 '예슈아'(여호수아 ''יֵשׁוּעַ (Yeshua)''의 단축형)에서 전사된 형태이다. 원래 의미는 '야훼(하느님)는 구원'이며, 모세의 후계자 여호수아와 동명이다.[255] 유대인들 사이에서 매우 일반적인 이름이었다.[257] '나사렛'은 『복음서』와 『사도행전』에서 예수가 '나사렛 예수'로 불린 데서 유래했다.[256]

예수의 탄생에 대해서는, 그의 생애를 알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자료인 『복음서』에서 각기 다르게 기술하고 있다. 가장 먼저 성립된 복음서인 『마르코 복음서』에서는, 예수의 전도부터 기술하기 시작하여 탄생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다. 예수는 처녀에게서 태어났다고 전해지는데, 어머니 마리아의 처녀 잉태는 『마태오 복음서』와 『루카 복음서』에 기록되어 있다. 탄생 장소는 『마태오』와 『루카』에 의하면 베들레헴인데, 이는 이스라엘의 구원자 메시아가 고대 이스라엘의 왕 다윗의 고향인 베들레헴에서 태어난다는 성경의 예언에 기인한다.

복음서는 주로 종교 활동을 시작한 시점부터의 예수를 다룬다. 그는 다양한 가르침을 설파하고 기적을 일으켜 제자 집단이 구성되었다고 전해진다. 복음서에는 예수가 다양한 병자를 치료하고, 나병 환자를 치유하고, 죽은 자를 되살리는 등 다수의 기적이 기록되어 있으며, 선교할 때 비유를 많이 사용했다는 것도 기록되어 있다.

예수에게는 많은 제자들이 생겼고, 복음서는 베드로를 필두로 하는 「12사도」를 그 대표로 한다. 성서에서 말하는 "사랑"은 그리스어로는 "아가페"라고 하는데, 예수는 학자들과의 논쟁 속에서 구약 성서에 근거하여 "마음을 다하여 하느님을 사랑하라",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고 설파하며, 이 두 가지가 가장 중요하다고 했다.[282] 플라비우스 요세푸스, 타키투스, 수에토니우스 등 가까운 시대의 역사가들이 저서에서 예수의 존재를 언급하고 있다.

4. 1. 카리스마적 존재 예수

예수는 카리스마적인 존재였다. 설명하기 어려운 영향력으로 추종자들을 매료시키고 적대자들을 당황하게 했다. 심지어 예수의 가족조차 그가 '미쳤다'고 생각했다(마르코 복음서 3:21).[412]

예수는 재치 있는 경구를 통해 사람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예를 들어 바리사이파 사람들과 헤로데 당원들은 야훼를 유일신으로 믿는 유대인으로서 로마 황제에게 세금을 내는 것이 적절한지 시비하여 예수를 곤경에 빠뜨리려 했다.[413] 이에 예수는 데나리온 한 닢을 보여 달라고 하면서, “데나리온 한 닢을 가져다 보여 다오.”라고 하였다. 그들이 돈을 가져오자 “이 초상과 글자가 누구의 것이냐?”라고 물었고, “카이사르의 것입니다.”라는 대답을 듣자 “카이사르의 것은 카이사르에게 돌리고 하느님의 것은 하느님께 돌려라.”(마르코 복음서 12:17, 마태오 복음서 22:21, 루가 복음서 20:25 / 공동번역)라고 대답했다.

이런 짧고 독특한 경구는 민중의 기억에 오래도록 남았다. 그래서 최근의 역사적 예수 연구자들은 예수의 아포리즘(짧은 경구)에 주목하여 역사적 예수의 본래 발언을 찾으려 한다. 예수의 아포리즘은 전통적인 속담과 격언이 담을 수 없는 놀라운 재치와 참신한 감각을 담고 있다. 전통 사회의 격언이 통속적인 지혜로서 문화 자체의 집단적이고 관습적인 세계관을 반영한다면, 예수의 아포리즘은 특정 개인의 색다른 관점이나 개념을 나타낸다.[414] 정승우에 따르면, 진부한 일상에 얽매여 새 시대의 징조를 읽지 못하는 기득권 세력에게 대항하는 예수의 가장 중요한 무기는, 그들의 상식을 뒤집는 풍자의 아포리즘이었다.[415]

4. 2. 예언자 예수

예수는 갈릴래아에서 하느님의 말씀을 전하면서 하느님의 나라(βασιλεία του θεου|바실레이아 투 테우el)와 하느님의 정의를 중요하게 생각했다.[416] 팔레스타인 외부에서는 예수의 가르침인 '하느님의 나라'가 하느님의 구원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없었다. 게르트 타이센과 아테네 메르츠는 《역사적 예수》에서 "이 세상이 끝날 때 하느님은 인간을 구원하는 동시에 심판한다고 예수는 말한다"고 설명한다.[417]

복음서에 따르면, 예수가 말한 하느님의 나라는 예수가 세상에 옴으로써 시작된 현재적 나라이며(루가 복음서 11:20), 앞으로 세상에 오게 될 미래적 나라이다(마태오 복음서 6:10). 복음서에 언급된 하느님 나라는 미래에 완전한 모습이 드러나지만, 미래의 나라에 대한 소식이 현재 사람들을 회개하게 한다.[418] 여기서 "회개"는 단순한 유감 표명이 아닌 삶 전체의 진로 변경을 뜻하며, 복음서에서 예수는 구약의 선지자 요나처럼 사람들에게 회개하라고 외친다.[419]

마르코 복음서에는 루가 복음서[420], 마태오 복음서와 함께 예수의 성전정화사건이 기록되어 있다. 예루살렘 성전은 제사장, 환전상, 가축 상인들이 결탁하여 민중들을 착취하는 구조적인 악이 행해지고 있었던 강도의 소굴이었는데, 예수는 예언자적인 분노로 상인들을 쫓아냈다. 예수는 구약성서에 나오는 예언자들의 전통에 따라 민중을 착취하는 구조적인 악에 분노하고 투쟁한 예언자였다. 그의 하느님 나라는 억압받으며 사회에서 소외된 사람들에게 해당하며, 그런 연약하고 보잘것없는 사람들이 하느님께서 시작하시는 새로운 역사에 참여하게 된다는 것이며, 그들을 향한 하느님의 사랑과 은혜를 뜻한다.[418][421]

4. 3. 치유자 예수

예수는 병든 자와 귀신 들린 자를 치유하며 하느님 나라의 도래를 알렸다. 당시 유대인들과 마찬가지로 역사적 예수를 연구했던 근대의 역사 연구가들은 예수의 기적에 대해 곤혹스러워했지만, 예수의 기적을 다룬 전승은 수없이 많은 옛 전승층에서 확인되기에 쉽게 무시할 수 없다.[422] 복음서 저자들은 예수의 치유 기적이 하느님께서 주신 치유 능력으로 귀신 들린 사람, 병든 사람들을 치유함으로써 하느님 나라의 도래를 선언한 사건임을 강조했다.[422]

기적 행위와 예외적인 사건에 관한 이야기는 유대교와 비유대교 문헌 모두에서 볼 수 있다. ‘마법의 파피루스’에는 치유, 귀신 축출, 저주를 위한 마법과 주문이 기록되었다. 비유대교 세계에서 치유는 다양한 사당(祠堂, shrines)에서 일어났으며, 청각 장애인, 중풍병자, 지체 장애인이 치유받았다는 기록이 있다. 요한 복음서 5장에서 예수가 38년 된 병자를 만났던 연못 베데스다는 실제로는 병원이었으며, 천사가 물을 휘젓는다는 민간 전설도 있었다.[423]

로마 역사가 타키투스베스파시아누스가 침을 사용하여 시각장애인을 치유했다고 기록했다.[424] 유대 자료에도 기적을 행한 여러 사람이 등장하는데, 원을 그리는 사람 호니(Honi, 기원전 1세기)와 하니나 벤 도사(Hanina Ben Dosa, 기원후 1세기)라는 두 랍비가 그들이다. 요세푸스는 엘레아자르(Eleazar)라는 유대인 무당이 솔로몬의 마법으로 귀신을 축출하는 것을 보았다고 기록했다.[425]

4. 4. 시인 예수

예수는 민중들이 일상에서 경험할 수 있는 소재들인 씨뿌리기, 어부의 물고기잡이, 결혼, 일용직 노동자와 같은 이야기들을 비유로 사용했다.[426] 마태복음서에 따르면, 예수는 갈릴리 나사렛에서 "저 사람은 목수의 아들이잖아? 지혜가 어디서 나왔지?"라며 배척받을 만큼(마태복음서 13장 38절) 신분이 낮았다.[426] 그의 비유는 마태복음서 13장에 나오는 하늘나라에 대한 비유들과 같이 하느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음을 강조하고 있다.

4. 5. 스승 예수

예수는 하느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라는 두 계명을 토라의 핵심이라고 보았다.[427] 그는 이 계명을 적, 이방인, 종교적으로 소외된 자들에게까지 적용되는 것으로 발전시켰다. 안식일 준수에 있어서는 아무것도 하지 말라는 규범에 대한 예외 조항의 확대를 주장했다. 즉, 사람의 생명을 구하는 경우에는 안식일에 일하는 것을 허용하자는 것이다.[428] 또한 예수는 거룩한 것과 더러운 것에 대한 구별에 회의적이었다. 그는 자신을 따르는 제자들에게 가족, 소유, 고향, 안정으로부터의 자유라는 급진적인 윤리를 요구하였다.[429]

복음서의 기술에 따르면, 예수의 가르침은 "형식적인 율법주의를 비판하고, 하느님의 사랑에 의한 구원과 이웃 사랑을 설파했으며, (유대교적 종말론에 기초한) 하느님의 나라 실현의 때가 다가오고 있다고 선포했다"라고 할 수 있다.[270]

4. 6. 제의 창시자 예수

최후의 만찬


최후의 만찬[430]에서 예수는 제자들과 마지막 식사를 하면서 새로운 제의(祭儀)가 시작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유월절 축제 전날, 예수는 포도주를 나누며 이를 '새 언약'의 축제로 해석하고, 사도들에게 이를 행하라고 하였다.[431] 모든 기독교 교파들은 이러한 사도들의 해석에 따라 성만찬을 집전한다. 그러나 미국 성공회(Episcopal Church of USA,ECUSA)의 존 셸비 스퐁 주교처럼 진보적인 신학자들은 복음서에 나오는 예수의 성만찬 제정사를 복음서 저자들이 속한 교회에서 예배 때마다 집전하는 성만찬의 신학적 정당성을 주장하기 위해 창작한 이야기로 보기도 한다.[432]

4. 7. 예수의 죽음

역사적 관점에서 예수는 로마 제국의 물리적 폭력에 의해 정치범으로 처형되었다.[433] 예수가 두 명의 강도와 함께 십자가형을 당했다는 사실은 로마인들이 그를 위험인물로 보았음을 의미한다. 당시 로마 제국에서 십자가형은 정치적 반란자와 반항적인 노예에게 주로 집행되었다. 헤로데 왕 사후 팔레스타인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한 로마 총독 바루스는 요세푸스의 기록에 따르면 2천 명의 유다인을 십자가형에 처했다고 한다.[434]

예수가 처형된 이유 역시 당시 지배 질서에 반대하는 사회적 예언자 역할을 수행했기 때문이었다.[435] 그는 종말의 때에 하느님에 의해 새 성전이 세워질 것이며, 헤로데 왕이 지은 예루살렘 성전은 무너질 것이라고 예언했다.[436]

예수가 자신의 예언을 행동으로 옮긴 대표적인 사례는 예수의 성전 정화 사건이다. 예루살렘에서 가르침을 펴던 예수는 헤로데 성전에서 소동을 일으켰다.[438] 이 사건 이후 예수가 즉각 체포되지 않은 점으로 보아, 바트 어만은 이 사건이 극적인 것은 아니었지만 권력 기관이 예수를 주목하게 만들었다고 주장한다.[371] 결국 성전 지도자인 대제사장은 예수를 문제 인물로 판단하여 체포했고, 로마 총독 폰티우스 필라투스에게 보내 형을 집행하게 했다.[436]

예수는 사두개파를 중심으로 한 이들에게 정치범으로 고발되어[292] 예루살렘 인근 골고다 언덕에서 로마 제국 법에 따라[293] 십자가형에 처해졌다.[294][295]

4. 8. 부활한 예수와 그리스도론의 태동

부활하는 예수


예수가 십자가형으로 처형된 후, 복음서에 따르면 막달라 마리아와 다른 마리아와 같은 여인들이 새벽 일찍 무덤을 찾았을 때 예수가 나타났다. 바울 서신에서는 부활한 예수가 베드로에게 먼저 나타났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이후 다른 제자들에게도 나타났다.[440] 제자들은 예수가 살아있다는 확신을 갖게 되었고, 하느님의 구원 계획이 자신들의 예상과는 다른 방식으로 실현되었다고 믿었다. 당시 유대인들은 세상을 바꿀 힘 있는 메시아를 기다렸지만, 예수는 십자가에 처형되었기 때문이다.

제자들은 부활 체험 이후 예수의 삶을 새롭게 해석하며 그가 메시아임을 믿게 되었다. 다만 그들이 예상했던 메시아와는 달리, 예수는 고난받는 구세주였다. 생전에 예수는 자신을 '사람의 아들(인자)'이라고 칭했지만, 제자들은 다니엘서 7장 13-14절에 나오는 “인자 같은 이”처럼 하늘과 땅의 모든 권세를 받은 존재임을 깨달았다.[441] 스데파노 부제는 순교 직전 하느님 오른편에 있는 예수를 보았다고 말했다.[442]

초기 기독교인들은 사도행전의 기록처럼 함께 식사하고 소유물을 공유하는 등 유대교 내부 운동과 유사하게 생활했다.[436] 신학자들은 기독교가 초기에는 '나사렛파' 등으로 불리던 유대교 분파였으며, 율법을 중시하는 히브리파 기독교와 믿음을 통한 구원을 강조하는 헬라파 기독교로 나뉘어 있었다고 설명한다. 사도행전에 따르면 예루살렘 교회 신자들은 율법을 철저히 지켰지만(사도행전 20:21~22), 갈라디아서에서 사도 바울로는 율법이 아닌 믿음으로 구원받는다고 강조했다(갈라디아서 2:16). 이들은 서로 갈등했는데, 예루살렘 교회는 바울로를 모세의 가르침을 따르지 말라고 선동하는 자로 여겼고, 바울로는 율법을 지키는 히브리파 기독교인그리스도 안에서 자유를 누리지 못하게 하는 거짓 형제라고 비판했다.[443] 사도행전율법 준수 여부를 두고 예루살렘 교회 교사들과 안티오키아 교회 사도 바울로, 바르나바 사이에 논쟁이 있었다고 전한다. 그러나 85년부터 예수를 그리스도라 고백하는 기독교인들은 유대교에서 추방되기 시작했고, '나사렛 도둑'이라 비난하는 기도문까지 발표되면서 기독교는 유대교에서 독립된 종교로 변화했다.[444][445]

5. 역사적 예수 연구

역사적 예수 연구는 복음서사도, 특히 예수를 직접 본 적이 없는 바울의 바울서신들이 예수에 대한 교리를 전할 뿐, 하느님의 나라의 임박성을 선언했던 역사적 인물로서의 예수를 제대로 전하지 못한다고 본다.[446] 루돌프 불트만은 복음서를 예수에 대한 교리의 집산이라고 했다.[446]

이러한 관점에서, 역사적 예수 연구는 복음서나 사도들의 서신 속 교리적 예수가 아닌, 역사적 인간으로서의 예수를 추구한다. 예를 들어, 예수의 죽음에 대해 교리적 예수는 세상의 죄를 대신하는 제물이지만, 역사적 예수는 로마 제국에 의해 위험인물로 규정되어 십자가형으로 처형된 순교자이다.[447]

카이사레아 마리티마에서 발견된 ''빌라도 비문'', 현재는 이스라엘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Paul Writing His Epistles''("서신을 쓰는 바울"). 16세기 작품.
(Blaffer Foundation Collection, 미국 휴스턴)


마커스 보그, 존 도미니크 크로산[448] 등의 예수 세미나 운동을 통해 20세기 이후 역사적 예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한국 기독교 연구소에서 크로산 등의 신학 문서들을 출판하여, 역사적 예수에 대한 연구 성과들을 소개하고 있다.

오늘날 진행되는 역사적 예수의 세 번째 연구(제3탐구)는 예수 세미나를 포함하여, 중도 노선의 루크 존슨, 제임스 던, 복음주의적인 대럴 복 등 상당히 폭넓은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 중이다.

학자들은 예수에 대한 성경적 기록에 묘사된 특정 에피소드의 역사성에 대해 의견이 다르지만,[14] 거의 모든 현대 학자들은 그의 세례와 십자가형을 역사적 사실로 간주한다.[11][138]

많은 학자들은 역사적 예수 연구에 사용되는 다양한 접근 방식의 엄격성 부족과, 고대 자료를 특정 목표에 맞춰 해석하는 "특정 의제"에 의해 추진된다는 점을 비판한다.[132][133][134]

5. 1. 연구의 역사

역사적 예수 연구는 18세기 계몽주의 시대에 시작되어, 자유주의 신학, 루돌프 불트만의 비신화화, 에른스트 케제만의 새로운 탐구, 예수 세미나 등을 거치며 발전해 왔다.[449]

함부르크 대학교의 교수 헤르만 사무엘 라이마루스(Herman Samuel Reimarus, 1694년-1768년)는 〈하나님을 이성적으로 경외하는 자를 위한 변호 혹은 보호 서신〉에서 예수에 대한 교리가 아닌, 임박한 종말을 가르친 예수의 삶을 보아야 한다며 ‘역사적 예수’ 문제를 제기했다.[450] 그는 실제 예수와 복음서에 묘사된 교리 속의 예수 사이에 차이가 있다고 주장했다. 예수는 스스로를 정치적 메시아로 여기고 유대교를 개혁하려고 했을 뿐, 새로운 종교를 창시할 생각은 없었다는 것이다.[451]

라이마루스 이래, 자유주의 신학자들은 “예수에게서 교리적 그리스도를 분리하겠다.”라는 시도에 따라 숱한 예수전을 쏟아냈다. 다비드 스트라우스는 자신의 예수전에서 근대적인 의미에서의 복음서 비평을 하였다.[454] 요제프 르낭(Joseph Renan)은 예수를 단지 인간적인 존재로만 묘사한 첫 번째 사람이었다.[454] 그러나 이러한 자유주의 신학자들의 예수전은 계몽주의에 근거하여 예수를 도덕적인 모범으로 이상화하던 자유주의 신학자들의 그리스도론이 투영된 것에 불과했다.[456]

알베르트 슈바이처는 《예수의 생애 연구사》(1913년작, 원제: 《라이마루스에서 브레데까지》)에서 자유주의 신학의 예수전들이 사실은 글쓴이가 갖고 있던 생각과 당시 시대 배경을 역사적 예수에게 투사한 것이라고 규명했다. 그리하여 예수전에 나타난 역사적 예수의 모습은 초기 자유주의 신학자들이 생각하던 도덕적으로 이상적인 인간의 이미지일 뿐, 실제 역사적 예수의 모습이라고 할 수 없음이 밝혀졌다.[446]

루돌프 불트만은 복음서를 예수에 대한 교리의 집산이라고 했다.[446] 그는 역사적 예수 연구가 방법론적으로 불가능하며 신학적으로 필요가 없음을 강력히 주장하여, 그의 신학이 신약성서 신학계를 지배한 시기 동안 어떠한 역사적 예수 연구서도 출판되지 않았다.[458]

제2차 세계 대전 후, 불트만은 『신약성서』에 나타난 사고 자체가 전체적으로 신화론적 성격을 띠고 있다면서, 그 "탈신화화"를 제창했다. 다만, "탈신화화"는 신화적 부분을 삭제하려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신화론적으로 관철된 성서의 고지가 내포하는 "실존 이해"를 학문적으로 해명하려는 것이었다.[342]

20세기 이후 역사적 예수에 대한 연구는 성공회 신학자인 마커스 보그(Marcus Borg), 세계적인 로마 가톨릭 교회 신학자이자 성서학자인 존 도미니크 크로산[448] 등의 예수 세미나 운동 시작을 통해 진행되고 있다.

오늘날 진행되는 역사적 예수의 세 번째 연구 (제3탐구)는 급진 또는 진보적 스펙트럼을 보여주는 로버트 프라이스나 존 크로산이 포함된 예수 세미나, 중도의 노선을 이루는 루크 존슨, 제임스 던, 복음주의 원숙함이 미를 보여주는 대럴 복에 이르기까지 상당히 폭 넓은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 중이다.

5. 2. 연구 방법론

역사적 예수 연구는 복음서사도, 특히 예수를 직접 본 적이 없는 바울의 바울서신이 하느님의 나라의 임박성을 선언했던 역사적 예수가 아닌, 예수에 대한 교리를 전한다고 본다.[446] 루돌프 불트만은 복음서를 예수에 대한 교리의 집산이라고 했다.[446]

따라서 역사적 예수 연구는 복음서나 사도들의 서신 속 교리적 예수가 아닌, 역사적 인간으로서의 예수를 추구한다. 예를 들어, 예수의 죽음에 대해 교리적 예수는 세상의 죄를 대신하는 제물이지만, 역사적 예수는 로마 제국에 의해 위험인물로 규정되어 십자가형으로 처형된 순교자이다.[447]

오늘날 역사적 예수에 대한 세 번째 연구(제3 탐구)는 존 도미니크 크로산 등이 포함된 예수 세미나, 중도 노선의 루크 존슨, 제임스 던, 복음주의적인 대럴 복 등 다양한 관점에서 진행 중이다.[447] 20세기 이후 역사적 예수 연구는 마커스 보그, 존 도미니크 크로산[448] 등의 예수 세미나 운동을 통해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한국 기독교 연구소가 크로산 등의 신학 문서들을 출판하여 연구 성과들을 소개하고 있다.

역사적 예수 연구사는 옛 연구(Old Quest), 연구 포기(No Quest), 새로운 연구(New Quest), 세 번째 연구(최근, Third Quest)로 분류된다.[449] 루돌프 불트만이 역사적 예수 연구를 부정적으로 보았음에도, 그의 제자들인 에른스트 케제만과 보른캄은 역사적 예수에 대한 질문을 다시 제기했다.[459]

케제만은 초대 교회가 예수의 생애에 관심을 가졌으며, 그렇지 않았다면 예수의 생애에 대한 내러티브를 기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다른 학자들도 하느님 나라를 선포했던 '나사렛 예수'와 교회에 의해 선포되었던 '그리스도' 사이의 연속성에 관심을 가졌다.[464] 이 시기는 후기 '불트만 학파의 시기'로도 불리며, 역사적 예수와 케리그마의 그리스도 선포 사이에 연속성이 강조되었다.[465]

니콜라스 토마스 라이트는 1992년 '새로운 연구'에서 '세 번째 연구'를 분리하며, 세 번째 연구가 예수를 종말론적 예언자로 보고 당시 유대교에서의 위치를 강조한다고 보았다.[466] 그러나 '새로운 연구'와 '세 번째 연구'는 시대나 내용으로 엄격히 분리하기 힘들며, 제3기의 연구가 더 낡은 연구도 아니기에, 이 연구의 분리는 단순한 시간상의 분리로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467]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역사적 예수에 대한 세 번째 연구는,[468] 이전에는 주로 독일과 유럽 대륙에서 진행되었으나 최근에는 미국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제3기 연구자들은 역사적 예수를 유대교와 초기 기독교 이단으로부터 분리하여 기독교의 정체성을 분명히 하려 했다. 그러나 제4기 연구자들은 예수 당시의 사회적 환경에 주목하고, 당시 이단으로 규정되었던 영지주의 자료도 활용하려 했으며, 그 주장들이 서로 달라 일반화하기 어렵다.

현대에 들어 정치, 종교, 경제 등의 분야들이 통합된 사회적 실존의 측면으로 여겨지면서, 역사적 사건에 대한 보도와 역사 내러티브 작성은 해석적이며 신학적인 작업으로 간주된다. 역사적 예수 연구를 위한 복음서 연구에서도, 과거에는 역사적 핵심을 찾기 위해 신학적 단층을 밝히고 제외했지만, 세 번째 연구에서는 복음서 본문의 어떤 층위에도 역사와 신학이 함께 담겨 있으며 분리될 수 없음을 당연시한다.[468]

예수 세미나는 로버트 펑크와 존 도미니크 크로산이 공동 회장으로 있는 캘리포니아 웨스타 연구소와 관련된 신약학자 74명으로 구성된 단체이다. 이들은 기독교 신앙이 교회의 케리그마가 아닌 예수의 언어와 행태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확신하며, 복음서에는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정황과는 다른 역사적 예수의 말과 행동이 숨겨져 있다고 보았다.[469] 예수 세미나는 복음서를 분석, 평가하여 역사적 예수가 "모든 종말론적 메시지를 거부하고 사회적으로 소외된 사람들과 가깝게 지낸 지혜자이며 굳어진 관습에 도전한 사회비평가"였다고 주장했다.[470]

그러나 예수 세미나미국 캘리포니아 지역 학자들과 자유주의 신학자들이 주로 참여하여 대표성과 신학적 형평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다. 미국 동부 아이비리그 대학들과 독일 신학자들은 예수 세미나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 편이다. 예수의 유대적 배경과 행동 양태를 강조하는 학자들은 예수 세미나가 말하는 전복적 지혜교사로서의 예수상에 동의하지 않는다. 옥스퍼드 대학교수를 역임한 베르메스는 역사적 예수를 유대적 맥락에서 이해하며, 예수를 카리스마적 권위를 지닌 인물로, 율법을 가르치고 병자를 치유한 갈릴래아의 랍비로 보았다.[471] 레이먼드 브라운은 예수가 "겸손한 갈릴래아의 현자"였다면, 아리스토텔레스, 플라톤, 세네카 같은 다른 고대 현자들과 달리 어떻게 종교의 기초를 형성할 수 있었겠느냐고 지적했다.[472]

십자가에 달린 예수


제4기 연구자들은 예수를 제2 성전 시기 유대교 신앙과 관습의 다양성 안에서 이해해야 한다고 본다. 또한, 제자를 가르치는 선생으로서 예수는 주변에 모여 십자가 처형 이후에도 지속된 공동체에 결정적 영향을 끼쳤다고 본다. 갈릴래아 사람으로서 예수는 당시 1세기 팔레스타인의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종교적 현실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활동했다. 세 번째 연구는 "예수가 왜 십자가에 달렸는가?"라는 질문을 제기하며, 로마인들이 예수를 처형한 것에 사회·역사적, 신학적 의미가 있다고 주장한다.[473]

1778년 시작된 제1차 탐구는 거의 전적으로 성서 비평에 기반을 두었다. 초기에는 문서 비평과 자료 비평 형태였으며, 1919년 형식 비평, 1948년 편집 비평이 추가되었다.[96] 형식 비평은 구전 시기 동안 성서 자료의 역사를 추적하며, 복음서 저자를 편집자로 본다. 편집 비평은 복음서 저자를 저자이자 초기 신학자로 보고, 편집자가 자신의 관점을 표현하기 위해 서술 방식을 어떻게 형성했는지 이해하려 한다.[128]

형식 비평이 복음서의 역사적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학자들은 다른 기준을 찾기 시작했다. 원전 비평 등 다른 연구 분야에서 차용된 "진정성 기준"이 등장하여 예수 연구 방법론의 독특한 분파가 되었다.[129] 이 기준들은 예수의 언행을 평가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130][131]

20세기 중반, 형식 비평이 복음서의 역사적 신뢰성에 회의적 시각을 제시하면서, 역사적 예수 연구는 진정성을 증명하려는 시도로 바뀌었다. 진정성 기준은 1901년 상이성에서 시작되었고, 20세기 초 복수 증언, 당혹감의 기준이 도입되었으며, 1950년대에는 일관성도 포함되었다. 1987년 D. 폴코는 역사적 타당성 등 25개 기준을 나열했다.[96][130]

5. 3. 다양한 예수상

역사적 예수 연구자들은 복음서사도들, 특히 예수를 직접 본 적 없는 바울의 바울서신들이 예수에 대한 교리만 전할 뿐, 하느님의 나라의 임박성을 선언했던 역사적 인물로서의 예수를 제대로 전하지 못한다고 본다.[446] 루돌프 불트만은 복음서를 예수에 대한 교리의 집합체라고 평가했다.[446]

이러한 관점에서, 역사적 예수 연구는 복음서나 사도들의 서신 속 교리적 예수가 아닌, 역사 속 실존 인물로서의 예수를 탐구한다. 예를 들어, 예수의 죽음에 대해 교리적 관점에서는 세상 죄를 대신하는 희생 제물로 보지만, 역사적 관점에서는 로마 제국에 의해 위험인물로 간주되어 십자가형으로 처형된 순교자로 본다.[447]

20세기 이후 마커스 보그, 존 도미니크 크로산[448] 등의 예수 세미나 운동을 통해 역사적 예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한국 기독교 연구소가 크로산 등의 신학 문서들을 출판하여 연구 성과들을 소개하고 있다.

역사적 예수 연구는 크게 네 시기로 구분된다: 옛 연구(Old Quest), 연구 포기(No Quest), 새로운 연구(New Quest), 세 번째 연구(Third Quest).[449] 니콜라스 토마스 라이트는 1992년 '새로운 연구'와 '세 번째 연구'를 구분하며, 후자가 예수를 종말론적 예언자로 보고 당시 유대교 내에서의 위치를 강조한다고 보았다.[466] 그러나 이 둘의 구분은 시대나 내용상 엄격하지 않으며, 단순한 시간적 구분으로 보는 것이 더 적절하다.[467]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 진행 중인 세 번째 연구는[468] 미국을 중심으로 활발하며, 초기 기독교 이단과 분리하여 기독교 정체성을 확립하려 했다. 그러나 제4기 연구자들은 영지주의 자료도 활용하며 다양한 주장을 펼치고 있다.

현대 역사 연구는 정치, 종교, 경제 등 모든 분야를 통합적으로 보며, 역사적 사건 보도와 내러티브 작성 역시 해석적, 신학적 작업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복음서 연구에서도 역사와 신학은 분리될 수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468]

예수 세미나는 복음서에 대한 학문적 비평으로 주목받았다. 로버트 펑크와 존 도미니크 크로산이 공동 회장인 웨스타 연구소 소속 신약학자 74명으로 구성된 이 단체는, 기독교 신앙이 교회의 케리그마가 아닌 예수의 언행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믿는다.[469] 이들은 복음서 분석을 통해 예수를 "모든 종말론적 메시지를 거부하고 사회적 소외 계층과 가까이 지낸 지혜자이자 관습에 도전한 사회 비평가"로 규정했다.[470]

그러나 예수 세미나는 캘리포니아 지역 학자 중심의 자유주의 신학자들로 구성되어 대표성과 신학적 형평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는다. 미국 동부 아이비리그 대학들과 독일 신학자들은 이들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예수의 유대적 배경과 행동을 강조하는 학자들은 전복적 지혜 교사로서의 예수상에 동의하지 않는다. 옥스퍼드 대학교 교수였던 베르메스(Geza Vermes)는 예수를 카리스마적 권위를 지닌 갈릴래아의 랍비로 보았다.[471] 레이먼드 브라운은 예수가 "겸손한 갈릴리의 현자"였다면 어떻게 종교의 기초를 형성할 수 있었겠느냐고 지적했다.[472]

제4기 연구는 예수를 제2성전 시기 유대교 신앙과 관습의 다양성 속에서 이해해야 하며, 제자 공동체에 큰 영향을 준 선생으로 본다. 이들은 예수가 1세기 팔레스타인의 사회, 경제, 정치, 종교적 현실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활동했다고 보며, "예수가 왜 십자가에 달렸는가?"라는 질문을 통해 사회, 역사, 신학적 의미를 찾으려 한다.[473]

6. 기독교 자료

역사적 예수 연구에서는 예수의 모습을 규명하는 데 사용하는 자료와 그 자료의 가치에 대한 평가가 중요하다. 어떤 자료를 높이 평가하느냐에 따라 재구성되는 예수의 모습이 달라지기 때문이다.[474]

신약성서 가운데 가장 빨리 기록된 것은 바울로가 서기 51년경에 데살로니카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이다.[475]

기독교 자료와 관련해서는 외경의 역사적 가치 문제가 주요 쟁점 중 하나이다. 토마 복음서(도마복음)나 유다 복음서(유다복음)를 비롯한 외경들은 초대 교회에서 이단으로 여겨졌던 영지주의 계통에서 만들어진 경우가 많다.

일부 학자들은 신학적으로 정통 교리와 다른 내용을 가진 외경도 역사적 가치가 정경과 동등하다고 본다. 존 도미니크 크로산이나 헬무트 쾨스터 같은 학자들은 토마 복음서가 공관 복음서와는 확연히 다른 전승 계보를 지니고 있으며, 이는 토마 복음서가 공관 복음서보다 더 이른 시기의 예수 어록을 담고 있을 수 있다는 가정을 가능하게 한다고 주장한다.[476] 신약성서학자 브래드 스캇도 겨자씨 비유가 토마 복음서에도 언급되어 있다고 주장한다.[477]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정경 복음서만이 역사적 가치가 있는 자료로 인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닐카(J. Gnilka)와 슈낙켄부르크(R. Schnackenburg)는 다음 세 가지 근거를 제시한다.[478]


  • 첫째, 정경이 외경보다 더 오래되었다.
  • 둘째, 정경이 더 신빙성이 있다. 정경은 역사적으로 비교적 믿을 만한 내용이지만, 외경은 전설이나 부분적으로는 공상적인 이야기들로 가득 차 있다는 것이다. 실제 신약외경인 토마 복음서에는 예수가 어린 시절부터 진흙으로 새를 만드는 기적을 보였다고 주장한다.[479]
  • 셋째, 사도적 전승을 담은 정경이 더 정통성이 있다.[478] 외경은 후대에 순수한 기독교 전승을 왜곡시킨 가르침에서 생겨났다고 본다.[480]

6. 1. 복음서

라틴어성서(1407년)


복음서는 예수의 생애와 가르침을 기록한 가장 중요한 자료이지만, 역사적 사실과 신학적 해석이 혼합되어 있으므로 비판적인 분석이 필요하다.[474] 역사적 예수 연구에서는 예수의 모습을 규명하는 데 사용하는 자료와 그 자료의 가치에 대한 평가가 중요한데, 어떤 자료를 높이 평가하느냐에 따라 재구성되는 예수의 모습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11세기 비잔틴 필사본, 누가복음 시작 부분 포함


공관 복음서는 마태오 복음서, 마르코 복음서, 루가 복음서를 말하며, 아람어를 사용하고 치치트를 착용한 유대인 예수의 생애, 사역, 십자가형부활을 이야기한다.[61][62] 이 복음서는 예수에 대한 역사적 정보와 그가 창시한 종교 운동의 주요 자료이다.[58][59][60]

네 번째 복음서인 요한 복음서는 공관 복음서와 크게 다르며, 학자들은 일반적으로 공관 복음서보다 예수의 생애를 재구성하는 데 덜 유용하다고 여긴다. 그러나 제3의 탐구 이후, 요한 복음서는 이전 생각보다 더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지거나 때로는 공관 복음서보다 더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66][67] 예를 들어, 요한 복음서의 특정 어록은 공관 복음서의 어록만큼 오래되었거나 더 오래되었고, 예루살렘 주변의 지형에 대한 묘사는 종종 공관 복음서보다 뛰어나며, 예수가 파스카 축제에 처형되었다는 증언은 더 정확할 수 있고, 정원에서 예수의 모습과 유대 당국이 이전에 개최한 회의에 대한 묘사는 공관 복음서의 유사한 묘사보다 역사적으로 더 그럴듯하다.[68]

외경이 지니는 역사적 가치는 기독교 자료에 관한 가장 큰 쟁점 중 하나이다. 토마 복음서(도마복음)나 유다 복음서(유다복음)를 비롯한 외경들은, 초대 교회에서 이단으로 여겨졌던 영지주의 계통에서 만들어진 경우가 많다.

일부 학자들은 신학적으로 정통 교리와 다른 내용을 가진 외경 자료라도, 역사적인 가치에 있어서는 정경과 동등하다고 보기도 한다. 예를 들어 토마 복음서의 경우, 공관 복음서에 나타난다고 추정되는 예수의 어록(Q 자료)과 마찬가지로 114개의 예수 어록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존 도미니크 크로산이나 헬무트 쾨스터 같은 학자들은 토마 복음서가 공관 복음서와는 확연히 다른 전승 계보를 지니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것은 토마 복음서가 공관 복음서보다 더 이른 시기의 예수 어록을 담고 있을 수 있다는 가정을 가능케 한다.[476]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정경에 속한 복음서만이 역사적 가치가 있는 자료로 인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닐카(J. Gnilka)와 슈낙켄부르크(R. Schnackenburg)는 다음 세 가지 근거를 제시한다.[478]

  • 첫째, 정경이 외경보다 더 오래된 것이다.
  • 둘째, 정경이 더 신빙성이 있다. 정경은 역사적으로 비교적 믿을 만한 내용이지만, 외경은 전설이나 부분적으로는 공상적인 이야기들로 가득 차 있다는 것이다.
  • 셋째, 사도적 전승을 담은 정경이 더 정통성이 있다는 것이다.[478] 외경은 후대에 순수한 기독교 전승을 왜곡시킨 가르침에서 생겨났다고 본다.[480]

6. 2. 바울 서신

사도 바울은 복음서에 비해 예수에 대한 전기적 정보를 거의 제공하지 않지만,[48] 그는 예수와 동시대인이었으며 예수를 실제로 존재했던 인물이자 유대인으로 간주한다는 점을 분명히 한다.[49][50][51][52] 게다가 그는 예수의 형제인 야고보를 만났다고 주장한다.[53]

바울은 자신이 십자가형 이후 불과 몇 년 만인 서기 35년 또는 36년경부터 예수의 가장 가까운 제자들(베드로와 요한)과 가족 구성원(형제 야고보)과 같은 예수의 목격자들과 직접 알고 교류했으며, 그들에게서 그의 삶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를 얻었다고 말한다.[55][56] 바울의 저술만으로도 예수의 삶에 대한 개요를 찾을 수 있다. 즉, 아브라함과 다윗의 후손, 유대 율법 하에서의 성장, 게바(베드로)와 요한을 포함한 제자들을 모으는 것, 야고보라는 형제를 두는 것, 모범적인 삶을 사는 것, 최후의 만찬과 배신, 그의 죽음과 부활에 대한 세부 사항(예: 십자가형, 그를 죽이는 데 유대인의 연루, 매장, 부활, 베드로, 야고보, 열두 제자 및 다른 사람들에 의해 목격됨)과 복음서에서 발견되는 주목할 만한 가르침과 사건들을 언급한다.[57][30]

현존하는 바울의 문서에는 생전의 예수와 직접 만났음을 짐작하게 하는 기술은 없고,[316] 서간 안에서 바울이 만났다고 증언하는 것은 "부활 후의 그리스도"이다. 또한 바울에게 있어 역사적 예수의 실상을 기술한 증언은 거의 없다.

6. 3. 외경

토마 복음서(도마복음)나 유다 복음서(유다복음)를 비롯한 외경은, 초대 교회에서 이단으로 여겨졌던 영지주의 계통에서 만들어진 경우가 많다.[474]

일부 학자들은 신학적으로 정통 교리와 다른 내용을 가진 외경 자료도 역사적 가치가 정경과 동등하다고 보기도 한다. 예를 들어 토마 복음서는 2~3세기경 기독교 영지주의자들이 남긴 문서로서, 공관 복음서에 나타난다고 추정되는 예수의 어록인 Q 자료와 마찬가지로 114개의 예수 어록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존 도미니크 크로산(John Dominic Crossan)이나 헬무트 쾨스터(Helmut Koester) 같은 학자들은 토마 복음서가 공관 복음서와는 확연히 다른 전승 계보를 지니고 있다고 주장하며, 이는 토마 복음서가 공관 복음서보다 더 이른 시기의 예수 어록을 담고 있을 수 있다는 가정을 가능케 한다.[476] 신약성서학자 브래드 스캇도 겨자씨 비유가 토마 복음서에도 언급되어 있다고 주장한다.[477]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전통적인 주장’을 따라 정경 복음서만이 역사적 가치가 있는 자료로 인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닐카(J. Gnilka)와 슈낙켄부르크(R. Schnackenburg)는 다음 세 가지 근거를 제시한다.[478]

:첫째, 정경이 외경보다 더 오래되었다. 슈낙켄부르크에 따르면, 정경 복음서 네 개는 2세기 초반의 것으로 연대를 알 수 있지만, 외경은 모두 정경 복음서보다 후대의 것이기 때문이다.[478]

:둘째, 정경이 더 신빙성이 있다. 정경은 역사적으로 비교적 믿을 만한 내용이지만, 외경은 전설이나 부분적으로는 공상적인 이야기들로 가득 차 있다는 것이다.[478] 실제 신약외경인 토마 복음서에는 예수가 어린 시절부터 진흙으로 새를 만드는 기적을 보였다고 주장한다.[479]

:셋째, 사도적 전승을 담은 정경이 더 정통성이 있다.[478] 외경은 후대에 순수한 기독교 전승을 왜곡시킨 가르침에서 생겨났다고 본다.[480]

참조

[1]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Jesus: A Life in Class Conflict https://www.johnhunt[...] Zer0 Books 2023
[3] 서적 The Historical Jesus in Context Princeton Univ Press
[4] 서적 Jesus: Apocalyptic Prophet of the New Millennium Oxford University Press
[5] 서적 The New Testament: A Historical Introduction to the Early Christian Writings Oxford University Press
[6] 학술지 Evidence, Miracles, and the Existence of Jesus https://www.pdcnet.o[...] 2011
[7] 서적 Forged: writing in the name of God
[8] 서적 Jesus at the Vanishing Point InterVarsity
[9] 서적 Jesus: An Historian's Review of the Gospels
[10] 서적
[11] 서적 Jesus Remembered
[12] 서적 Prophet and Teacher: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ical Jesus
[13] 서적 Jesus: A Revolutionary Biography HarperOne
[14] 서적 Jesus as a Figure in History: How Modern Historians View the Man from Galile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5] 서적 Jesus Outside the New Testament: An Introduction to the Ancient Evidence
[16]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Jesu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17] 서적 Studying the Historical Jesus: Evaluations of the State of Current Research BRILL 1998
[18]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ristian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서적 Key Events in the Life of the Historical Jesus: A Collaborative Exploration of Context and Coherence Mohr Siebeck 2024-03-13
[20] 웹사이트 Jesus as Rabbi https://www.pbs.org/[...] 2020-03-03
[21] 학술지 Jesus as Rabbi in the Fourth Gospel 1998
[22] 서적 Jesus Research: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Princeton–Prague Symposia Series on the Historical Jesus) Wm. B. Eerdmans
[23] 서적 Images of Christ (Academic Paperback) T&T Clark
[24] 서적 Familiar Stranger: An Introduction to Jesus of Nazareth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25] 서적 Jesus Now and Then
[26] 서적 Jesus: An Historian's Review of the Gospels https://archive.org/[...] Collier Books 1992
[27] 서적 Encyclopedia of theology: a concise Sacramentum mundi
[28] 서적 Jesus Outside the New Testament: An Introduction to the Ancient Evidence Eerdmans Publishing
[29] 웹사이트 Fringe view: The world of Jesus mythicism... https://www.christia[...] Christian Century 2018-09-21
[30] 서적 The Jesus Legend: A Case for the Historical Reliability of the Synoptic Baker Academic 2007
[31] 서적 Paul's understanding of the death of Jes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 서적 The Historical Jesus: A Comprehensive Guide https://books.google[...] Fortress Press 1996
[33] 서적
[34] 서적 The Gospels and Jesus Oxford University Press
[35] 서적 Did Jesus Exist?: The Historical Argument for Jesus of Nazareth HarperCollins 2012
[36] 서적 Did Jesus Exist? Harper Collins
[37] 서적 Did Jesus exist?
[38] 서적 The God Delusion Lulu.com
[39] 서적 God is Not Great
[40] 서적 The Messiah Myth: The Near Eastern Roots of Jesus and David Basic Book Perseus Books'
[41] 서적 Jesus Outside the New Testament
[42] 서적 Jesus at the Vanishing Point InterVarsity Press
[43] 서적 Jesus Outside the New Testament: An Introduction to the Ancient Evidence Eerdmans Publishing
[44] 서적 Paul's understanding of the death of Jes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5] 서적 Jesus at the Vanishing Point InterVarsity
[46] 서적 The Historical Jesus Fortress Press
[47]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Jesus
[48] 웹사이트 The Jesus Legend: A Case for the Historical Reliability of the Synoptic Jesus Tradition https://books.google[...] Baker Academic
[49]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Jes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50] 서적 Jesus Remembered: Christianity in the Making
[51] 서적 Jesus Christ in History and Scripture
[52] 서적 Jesus according to Paul
[53] 성경 Galatians 1:19
[54] 웹사이트 The Historical Jesus For Dummies https://archive.org/[...] For Dummies
[55] 학술지 Mythicism and the Public Jesus of History
[56] 서적 The New Cambridge Companion to St. Paul Cambridge University Press
[57] 서적 Jesus and the Gospels: An Introduction and Survey
[58] 서적 The historical figure of Jesus Penguin
[59] 백과사전 Jesus Christ https://www.britanni[...] 2010-11-27
[60] 서적 The authentic gospel of Jesus Penguin Books
[61] 웹사이트 Luke, Chapter 8 https://bible.usccb.[...]
[62] 웹사이트 Matthew, Chapter 14 https://bible.usccb.[...]
[63] 서적 The New Testament Today Westminster John Knox Press
[64] 서적 Handbook to Exegesis of the New Testament Leiden
[65] 서적
[66] 서적 The Routledge Encyclopedia of the Historical Jesus Routledge
[6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Judaism. Volume 3: The Early Roman period Cambridge Univiversity Press
[68] 웹사이트 The Historical Jesus: A Comprehensive Guide https://books.google[...] Fortress Press
[69] 서적 Dictionary of Jesus and the Gospels IVP Academic
[70] 서적 Jesus and the Gospels: An Introduction and Survey
[71] 서적 Jesus and Christian Origins Outside the New Testament https://archive.org/[...] Hodder and Stoughton 1974
[72] 서적 Jewish Traditions in Early Christian Literature
[73] 서적 The Cradle, the Cross, and the Crown: An Introduction to the New Testament B&H Publishing
[74] 서적 The new complete works of Josephus
[75] 서적 Josephus XX
[76] 서적 Jesus Outside the New Testament: An Introduction to the Ancient Evidence
[77] 서적 Josephus, the essential works: a condensation of Jewish antiquities and The Jewish war 1995-12
[78]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Latin Litera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9] 서적 Jesus Outside the New Testament: An Introduction to the Ancient Evidence Wm. B. Eerdmans
[80]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Jes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81] 서적 Jesus von Nazareth in der talmudischen Überlieferung https://books.google[...]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Abt. Verlag] 1978
[82] 웹사이트 Sanhedrin 43a https://www.sefaria.[...] Sefaria 2019-05-17
[83] 서적 Jesus outside the New Testament: an introduction to the ancient evidence
[84] 서적 Jesus and His Contemporaries: Comparative Studies
[85] 서적 Handbook of biblical criticism Westminster John Knox Press
[86] 서적 Can we trust the Bible on the Historical Jesus?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20
[87] 서적 Can we trust the Bible on the Historical Jesus?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20
[88] 논문 Life-of-Jesus Research and the Eclipse of Mythology
[89] 서적 The Historical Figure of Jesus Penguin Books
[90] 서적 Fire of Mercy, Heart of the Word (Vol. II): Meditations on the Gospel According to St. Matthew Ignatius Press
[91] 웹사이트 A Historical Introduction to the New Testament (Harper and Row, 1963) http://www.religion-[...]
[92] 서적 The Historical Reliability of the Gospels IVP Academic 2007
[93] 서적 Misquoting Jesus: The Story Behind Who Changed the Bible and Why https://archive.org/[...] Harper San Francisco
[94] 서적 The Jesus Legend: A Case for the Historical Reliability of the Synoptic Jesus Tradition. Baker Academic
[95] 서적 Jesus as a Figure in History: How Modern Historians View the Man from Galile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96] 서적 Criteria for Authenticity in Historical–Jesus Research
[97] 서적 Jesus and His Promised Second Coming: Jewish Eschatology and Christian Origins Eerdmans
[98] 서적 Jesus and His Promised Second Coming: Jewish Eschatology and Christian Origins Eerdmans
[99] 서적 From Deism to Tubingen, vol. 1 of History of New Testament Research Fortress Press
[100] 서적 "Quests for the Historical Jesus" in The Cambridge Companion to Jes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1] 서적 "The Road to Reimarus: Origins of the Quest of the Historical Jesus" in Holy Land as Homeland? Sheffield Phoenix Press 2011
[102] 서적 Hermann Samuel Reimarus (1694–1768): Classicist, Hebraist, Enlightenment Radical in Disguise https://books.google[...] Brill 2015
[103] 서적 The Historical-Critical Method: A Guide for the Perplexed T&T Clark 2012
[104] 서적 Handbook of Major Bible Interpreters InterVarsity Press
[105] 서적 Historical Handbook of Major Biblical Interpreters InterVarsity Press
[106] 서적 Man and His Gods https://archive.org/[...] Grosset & Dunlap
[107]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08] 서적 The Symbolic Jesus: Historical Scholarship, Judaism and the Construction of Contemporary Identity Routledge
[109] 서적 Jesus Outside the New Testament: An Introduction to the Ancient Evidence Eerdmans Publishing
[110] 서적 Criteria for Authenticity in Historical-Jesus Research Bloomsbury
[111] 서적 Jesus and archaeology
[112] 서적 Soundings in the Religion of Jesus: Perspectives and Methods in Jewish and Christian Scholarship
[113] 서적 Josephus and the New Testament Baker Academic
[114] 서적 Paul and Jesus: How the Apostle Transformed Christianity Simon & Schuster
[115] 서적 James the Brother of Jesus: The Key to Unlocking the Secrets of Early Christianity and the Dead Sea Scrolls Watkins
[116] 서적 The Brother of Jesus and the Lost Teachings of Christianity Inner Traditions
[117] 서적 The Jesus Dynasty: The Hidden History of Jesus, His Royal Family, and the Birth of Christianity
[118] 학술지 The New Testament Code: The Cup of the Lord, The Damascus Covenant, and the Blood of Christ – By Robert Eisenman 2007-09-14
[119] 서적 Studying the Historical Jesus: Evaluations of the State of Current Research Brill 1998
[120] 서적 Jesus, Criteria, and the Demise of Authenticity Bloomsbury Publishing
[121] 웹사이트 Book Review: Jesus, Criteria, and the Demise of Authenticity, by Chris Keith and Anthony Le Donne https://chab123.word[...] 2019-04-19
[122] 서적 Christianity in the making Volume 1. Jesus Remembered William B. Eerdmans
[123] 학술지 The Narratives of the Gospels and the Historical Jesus: Current Debates, Prior Debates and the Goal of Historical Jesus Research https://journals.sag[...] 2021-08-24
[124] 학술지 The Next Quest for the Historical Jesus https://brill.com/vi[...] 2022-06-07
[125] 서적
[126] 서적 Jesus, the Gospels, and the Galilean Crisis: The Origins, Reception, and Value of an Influential Hypothesis T&T Clark
[127] 서적 The Westminster Dictionary of Christian Theology
[128] 서적 Interpreting the New Testament
[129] 서적 The Routledge Encyclopedia of the Historical Jesus Routledge 2008
[130] 서적 Historiography and Hermeneutics in Jesus Studies: An Examination of the Work of John Dominic Crossan and Ben F. Meyer T&T Clark Int. 2004
[131] 서적 Jesus and the Scriptures: Problems, Passages and Patterns Bloomsbury T&T Clark 2016
[132] 서적 The Historical Christ and the Theological Jesus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011-01-09
[133] 서적 A Marginal Jew: Rethinking the Historical Jesus, Law and Love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10-08-27
[134] 서적 Handbook for the Study of the Historical Jesus
[135] 서적 The Historical Jesus in Recent Research
[136] 서적 The Historical Jesus of the Gospels
[137] 서적 Jesus in Contemporary Scholarship
[138] 서적 Jesus of Nazareth
[139] 서적 The Historical Jesus in Context Princeton Univ Press
[140] 서적 The new complete works of Josephus
[141] 서적 Jesus as a figure in history: how modern historians view the man from Galilee
[142] 서적 Who Is Jesus?
[143] 서적 Jesus of Nazareth: An Independent Historian's Account of His Life and Teaching
[144] 서적 John the Baptist: prophet of purity for a new age
[145] 서적 Jesus and His Contemporaries: Comparative Studies
[146]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New Testament and the origins of Christianity
[147] 서적 Who is Jesus?
[148] 서적 The relationship between John the Baptist and Jesus of Nazareth: A Critical Study
[149] 서적 The Jesus Legend: A Case for the Historical Reliability of the Synoptic Jesus Tradition Baker Academic 2007
[150] 서적 The Historical Jesus in Recent Research
[151] 서적 Jesus and the Gospels: An Introduction and Survey
[152] 서적 A Brief Introduction to the New Testament
[153] 서적 A Century of Theological and Religious Studies in Britain, 1902–2002
[154] 서적 Jesus of Nazareth: An Independent Historian's Account of His Life and Teaching https://books.google[...] A&C Black
[155] 서적 A Marginal Jew: The roots of the problem and the person https://books.google[...] Doubleday
[156] 서적 Jesus:the apocalyptic prophet of the new millenium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57] 서적 The Historical Jesus in Context Princeton University Press
[158] 서적 The Cradle, the Cross, and the Crown: An Introduction to the New Testament B&H
[159] 서적 A Short History of Christianity Viking
[160] 서적 Dictionary of Jesus and the Gospels InterVarsity Press
[161] 서적 The Historical Jesus in Recent Research Eisenbrauns
[162] 서적 Who is Jesus? Westminster John Knox
[163] 서적 Jesus Outside the New Testament Wm. B. Eerdmans
[164] 서적 The Life and Ministry of Jesus
[165] 서적 The Historical Jesus of the Gospels Wm. B. Eerdmans
[166] 간행물 Which language did Jesus speak https://www.escholar[...] Bulletin of the John Rylands University Library of Manchester
[167] 서적 Handbook to exegesis of the New Testament Brill
[168] 서적 Jesus in History and Myth Prometheus
[169] 문서 Which language did Jesus speak
[170] 서적 Authenticating the Activities of Jesus Brill
[171] 서적 Jesus as a Figure in History Westminster John Knox
[172] 서적
[173] 서적 Jesus and the Ossuaries Baylor University Press
[174] 서적 Chronos, Kairos, Christos Eisenbrauns
[175] 서적 The Lion and the Lamb B&H
[176] 서적 The Forging of Races: race and scripture in the Protestant Atlantic worl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7] 서적 Jesus: the complete guide Bloomsbury
[178] 서적 The Likeness of the K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79] 서적 Herodias Michael Glazier
[180] 서적 Herod Antipas Zondervan
[181] 서적 Christianity and the Roman Empire Trinity
[182] 서적 Chronological Aspects of the Life of Christ Zondervan
[183] 서적 The Five Gospels HarperSanFrancisco
[184] 웹사이트 VIEWS ON FORGIVENESS https://cocwp.org/20[...] 2024-01-21
[185] 서적 Pontius Pilate Liturgical Press
[186] 서적 The History of the Jews in the Greco-Roman World Psychology Press
[187] 서적 Backgrounds of Early Christianity Wm. B. Eerdmans
[188] 서적 The Cradle, the Cross, and the Crown: An Introduction to the New Testament
[189] 서적 Prophet and Teacher: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ical Jesus
[190] 서적 Jesus Research: New Methodologies and Perceptions: The Second Princeton-Prague Symposium on Jesus Research Wm. B. Eerdmans 2014
[191] 서적 Can we trust the Bible on the Historical Jesus?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20
[192] 서적 Prophet and teacher: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ical Jesus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3] 학술지 'More Ingenious than Learned'? Examining the Quest for the Non-Historical Jesus https://www.reposito[...] 2019-10
[194] 서적 The Quest of the Historical Jesus: A Critical Study of Its Progress from Reimarus to Wrede https://books.google[...] Lulu.com 1906
[195] 서적 The Historical Figure of Jesus Penguin Books 1993
[196] 서적 Jesus of Nazareth: An Independent Historian's Account of His Life and Teaching https://books.google[...] T & T Clark 2010
[197] 서적 Jesus: Apocalyptic Prophet of the New Millennium Oxford University Press
[198] 서적 Constructing Jesus: Memory, Imagination, and History
[199] 서적 Jesus and the Victory of God Fortress
[200] 서적 Dictionary of Jesus and the Gospels: A Compendium of Contemporary Biblical Scholarship IVP
[201] 학술지 Parousia, Jesus "A-Triumphal" Entry, and the Fate of Jerusalem
[202] 서적 The Gospel of Mark,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Eerdmans
[203] 웹사이트 The Olivet Discourse: Second Coming Prophesy or Prophetic Warning against Jerusalem? https://www.logos.co[...]
[204] 서적 Purity, Sacrifice, and the Temple: Symbolism and Supersessionism in the Study of Ancient Judaism Oxford University Press
[205] 서적 Hope Deferred? Against the Dogma of Delay University of St. Andrews
[206] 서적 Jesus the Jew: A Historian's Reading of the Gospels Fortress Press
[207] 서적 The Cradle, the Cross, and the Crown: An Introduction to the New Testament
[208] 문서 Menippus, Meleager, and Oenomaus from Gadara
[209] 서적 The Historical Jesus: The Life of a Mediterranean Jewish Peasant
[210] 서적 Jesus and the Gospels: An Introduction and Survey
[211] 서적 Jesus, the Tribulation, and the End of the Exile: Restoration Eschatology and the Origin of the Atonement https://books.google[...] Mohr Siebeck 2005
[212] 서적 Jesus and the Zealots: A Study of the Political Factor in Primitive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67
[213] 서적 La invención de Jesús de Nazaret: Historia, ficción, historiografía https://books.google[...] Siglo XXI de España Editores 2018
[214] 서적 Zealot: The Life and Times of Jesus of Nazareth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Publishing Group 2013
[215] 웹사이트 Was Jesus a Reform Rabbi? https://m.huffpost.c[...] 2016-03-03
[216] 서적 From Rebel to Rabbi: Reclaiming Jesus and the Making of Modern Jewish Cultur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7
[217] 서적 Rabbi Jesus: An Intimate Biography 2002
[218] 웹사이트 Jews reclaim Jesus as one of their own https://religion.blo[...] 2012-04-05
[219] 웹사이트 Koshering Jesus More: An Evangelical Review of Shmuley Boteach's 'Kosher Jesus' https://www.christia[...] 2012-03-23
[220] 서적 James the Brother of Jesus Penguin 1997
[221] 웹사이트 Review – Hyam Maccoby, Jesus the Pharisee reviewed by Robert M. Price http://www.robertmpr[...]
[222] 서적 Jesus the Pharisee: A New Look at the Jewishness of Jesus 2003
[223] 서적 Jesus as a figure in history: how modern historians view the man from Galilee
[224] 서적 The review of reviews, Volume 9, 1894, p. 306 https://books.google[...] 1894
[225] 학술지 Christus in psicho-patologischer Beleuchtung 1898
[226] 서적 Die gedrukte Freiheit: Oskar Panizza und die Zürcher Diskussjonen P. Lang 1988
[227] 서적 Oskar Panizza: Versuch einer immamenten Interpretation 1990
[228] 서적 Jesus Christus vom Standpunkte des Psychiaters = Jesus Christ from the Standpoint of a Psychiatrist Handels-Druckerei 1905
[229] 서적 Religion and civilization – the conclusions of a psychiatrist https://archive.org/[...] Truth Seeker 1912
[230] 학술지 The movement in psychiatry away from the philosophical 1974-08-22
[231] 서적 Feet of Clay; Saints, Sinners, and Madmen: A Study of Gurus Free Press Paperbacks 1997
[232] 뉴스 Obituary: Anthony Storr https://www.telegrap[...] 2001-03-21
[233] 서적 Feet Of Clay: The Power and Charisma of Gurus https://www.storytel[...] Simon and Schuster 2015-05-19
[234] 웹사이트 Health: A madman can look a lot like a messiah: There is no easy way for cult followers to tell if their leader is sane, says Raj Persaud https://www.independ[...] 1993-04-27
[235] 서적 La folie de Jésus = The Madness of Jesus A. Maloine 1908
[236] 학술지 The Role of Psychotic Disorders in Religious History Considered 2011-09
[237] 문서 New English Translation
[238] 학술지 Psychobiography of Jesus Christ in view of Władysław Witwicki's theory of cratism https://ojs.tnkul.pl[...] 2015
[239] 웹사이트 Jezus jako egocentryczny schizotymik http://www.racjonali[...]
[240] 웹사이트 Prywatna Witryna Internetowa Leszka Nowaka http://www.opracowan[...]
[241] 웹사이트 Wielka pomyłka i rozczarowanie wczesnego chrześcijaństwa http://www.opracowan[...]
[242] 문서 佐藤 2002a
[243] 웹사이트 3 イエス・キリストの生涯年表 https://lumen-christ[...] キリストの光
[244] 문서 カルヴァリ, ゴルゴタ
[245] 문서 ユダヤ教徒へのキリスト教徒の態度
[246] 서적 ブルトマン 1992
[247] 서적 チャールズワース 2012
[248] 서적 荒井 1974
[249] 서적 リヴィングストン 2017
[250] 문서 川島
[251] 서적 チャールズワース 2012 https://www.amazon.c[...]
[252] 성경 마태복음 5-9, 마가복음 9-50
[253] 성경 마태복음 6-26
[254] 성경 갈라디아서 5-13
[255] 문서 高柳 2017-07-05
[256] 성경 사도행전 10:38, 사도행전 22:8
[257] 서적 유대전쟁
[258] 서적 田川 1980
[259] 문서 나사렛 출신이었다는 확실한 사료는 없음
[260] 성경 누가복음 3:15, 마태복음 1:16, 마태복음 16:20, 마가복음 8:29, 누가복음 2:11, 요한복음 20:31
[261] 서적 荒井 2009
[262] 서적 岡田 2005
[263] 서적 荒井 2009
[264] 서적 チャールズワース 1996
[265] 서적 요한 (기독교 대사전, 1988)
[266] 서적 山谷 1961
[267] 서적 荒井 1974
[268] 서적 荒井 1974
[269] 서적 荒井 1974
[270] 서적 山我 2010
[271] 웹사이트 Jesus | Britannica.com http://global.britan[...]
[272] 서적 신약성서 이와나미 서점
[273] 성경 고린도전서 15-9
[274] 서적 신약성서 이와나미 서점
[275] 서적 신약성서 이와나미 서점
[276] 서적 신약성서 이와나미 서점
[277] 서적 신약성서 이와나미 서점
[278] 서적 신약성서 이와나미 서점
[279] 서적 신약성서 이와나미 서점
[280] 서적 신약성서 이와나미 서점
[281] 서적 新約聖書 岩波書店
[282] 논문 山我 2010
[283] 서적 ユダヤ教 シリーズ世界の宗教 青土社 1994
[284] 논문 山我 2010
[285] 서적 キリスト教大事典 1988
[286] 서적 新約聖書 岩波書店
[287] 논문 山我 2010
[288] 웹사이트 Q:「神の国」「天の国」って、なんのことですか? https://shikaoichurc[...] 2018-05-11
[289] 서적 Kata Loukan
[290] 성경 新共同訳 マタイ 21:12
[291] 성경 ヨハネ 2:13-22, マルコ 11:15-17
[292] 성경 ルカ 23:1-5
[293] 논문 新井 1976
[294] 논문 佐藤 1995a
[295] 논문 新田 1980
[296] 논문 川島 1991
[297] 논문 加藤 1999
[298] 논문 加藤 1999
[299] 논문 新井 1976
[300] 논문 田川 1997
[301] 논문 田川 1997
[302] 논문 大貫、川中子 2002
[303] 논문 佐藤 2002b
[304] 논문 横張 2002
[305] 논문 荒井 1974
[306] 논문 荒井 1974
[307] 논문 荒井 1974
[308] 논문 荒井 1974
[309] 논문 荒井 1974
[310] 문서 Q資料
[311] 논문 八木 1977
[312] 논문 八木 1977
[313] 논문 荒井 1974
[314] 뉴스 Earliest reference describes Christ as 'magician' http://www.nbcnews.c[...] 2008-10-01
[315] 뉴스 キリストの発言記したパピルス片発見、「私の妻は」の記載 https://www.cnn.co.j[...] 2012-09-19
[316] 서적 田川 1997
[317] 서적 林、隅谷 1954
[318] 서적 八木 1977
[319] 서적 荒井 1974
[320] 서적 八木 1977
[321] 서적 荒井 1974
[322] 서적 聖書-新共同訳 日本聖書協会 2009
[323] 서적 八木 1968
[324] 서적 荒井 1974
[325] 서적 荒井 1974
[326] 서적 新井 1976
[327] 서적 荒井 1988, 荒井 1998
[328] 서적 聖書-新共同訳 日本聖書協会 2009
[329] 서적 聖書-新共同訳 日本聖書協会 2009
[330] 성경
[331] 성경
[332] 성경
[333] 서적 八木 1968
[334] 서적 八木 1977
[335] 성경
[336] 성경
[337] 성경
[338] 서적 荒井 1974
[339] 서적 荒井 1974
[340] 서적 荒井 1974
[341] 서적 荒井 1974
[342] 서적 八木 1977
[343] 서적 荒井 1974
[344] 서적 八木 1968
[345] 서적 荒井 1974
[346] 서적 荒井 1974
[347] 서적 荒井 1974
[348] 서적 荒井 1974
[349] 서적 荒井 1974
[350] 간행물 考える人 特集「はじめて読む聖書」【ロングインタビュー】田川建三「神を信じないクリスチャン」聞き手・湯川豊 新潮社 2010
[351] 서적 荒井 1974
[352] 서적 荒井 1974
[353] 서적 関根 2002
[354] 서적 石川 1995
[355] 서적 二章 初期キリスト教時代の反ユダヤ主義
[356] 문서 クルアーン
[357] 문서 クルアーン
[358] 문서 クルアーン
[359] 서적 サヒーフ・ムスリム
[360] 서적 大貫 2002
[361] 서적 大貫 1999
[362] 서적 粟田、古在 1979
[363] 서적 宮谷 2004
[364] 서적 大貫 1999
[365] 서적 宮元 1998
[366] 문서 Sikhism
[367] 서적 黒柳 1998b, 黒柳 1998a
[368] 서적 村上 1987
[369] 서적 三島 2002
[370] 서적 クレーム 1998
[371] 서적 한국신학총서8 21세기 신약성서 신학 예영커뮤니케이션 2004-03-20
[372] 서적 한국신학총서8 21세기 신약성서 신학 예영커뮤니케이션 2004-03-20
[373] 서적 신약성서: 초기 기독교 문서에 대한 역사적 입문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374] 서적 예수의 역사적 모습 Penguin 1993
[375] 서적 Jesus: A Short Life Lion Hudson 2009
[376] 웹사이트 Jesus Christ http://www.britannic[...] 2011-01-11
[377] 서적 The five gospels HarperSanFrancisco 1993
[378] 서적 역사적 예수의 모습 Penguin 1993
[379] 서적 역사적 예수의 모습
[380] 서적 신약의 사회적 상황 기독교문서선교회 1996
[381] 서적 예수, 역사인가 신화인가 책세상 2005
[382] 서적 현대적인 방법을 적용한 새로운 신약성서개론 대한기독교서회 2004
[383] 서적 역사적 예수
[384] 서적 하나님과 제국 포이에마 2010
[385] 서적 고대 이스라엘 아브라함부터 로마인의 성전 파괴까지 개정증보판 한국신학연구소 2005-01-30
[386] 서적 고대 이스라엘 아브라함부터 로마인의 성전 파괴까지 개정증보판 한국신학연구소 2005-01-30
[387] 서적 하나님과 제국 포이에마 2010
[388] 서적 복음서 신학 컨콜디아
[389] 성경 마태오 복음서 4:18~22
[390] 서적 우리가 모르는 것들, 성경에는 있다 홍성사
[391] 서적 신약의 사회적 상황 기독교문서선교회
[392] 서적 갈릴래아의 예수 한국신학연구소
[393] 서적 예수 역사인가, 신화인가 책세상
[394] 성경
[395] 저널 제국의 질서와 그 대안 - 마가복음서 10장 대한기독교서회 2005-10
[396] 성경
[397] 성경 루가 복음서 19:1~7
[398] 성경 루가 복음서 18:11~12
[399] 성경 마르코 복음서 2:16
[400] 용어
[401] 서적 신약의 사회적 상황 기독교문서선교회
[402] 성경
[403] 저널 제국의 질서와 그 대안 - 마가복음 10장 대한기독교서회 2005-10
[404] 서적 왜 그리스도인인가 분도출판사 1982
[405] 서적 하나님과 제국 포이에마 2010
[406] 서적 기독교회사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3-03-25
[407] 서적 신약성서 이해 한국신학연구소 1990-12-05
[408] 서적 왜 그리스도인인가 분도출판사 1982
[409] 서적 예수 역사인가, 신화인가 책세상
[410] 성경 루가 복음서 13:1
[411] 서적 왜 그리스도인인가 분도출판사 1982
[412] 성경 요한 복음서 6:14~15
[413] 성경
[414] 서적 뒤집어읽는 신약성서 대한기독교서회 1999
[415] 서적 예수 역사인가, 신화인가 책세상
[416] 성경
[417] 서적 역사적 예수 다산글방
[418] 서적 신약성경윤리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02-11-10
[419] 서적 신약성서 이해 한국신학연구소 1990-12-05
[420] 성경 루가복음서 19:45-48
[421] 서적 신약성서 이해 한국신학연구소 1990-12-05
[422] 서적 한국교회를 위한 21세기 신약성서 해설 시유시 2005-04-08
[423] 뉴스 [新 성서의 향기] (17) 베네스다와 아스클레페이온 http://www.kukinews.[...] 국민일보 2007-12-26
[424] 서적 역사
[425] 서적 현대적인 방법을 적용한 새로운 신약성서개론 대한기독교서회
[426] 서적 예수 역사인가, 신화인가 책세상
[427] 성경 마태오 복음서 22:37~40
[428] 성경 루가 복음서 6:9
[429] 성경 루가 복음서 14:26~27
[430] 문서 기독교 교파에 따라 소위 최후의 만찬을 주님의 만찬(Lord's Surpper), 성만찬(Holy Communion),주의 성체 제정,성찬(Eucharist),성체성사,성체성혈성사등으로도 부른다.
[431] 성경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 11:23~25
[432] 서적 기독교 변하지 않으면 죽는다. 한국 기독교 연구소
[433] 서적 안병무전집3 갈릴래아의 예수 한길사 1993-01-05
[434] 서적 안병무전집3 갈릴래아의 예수 한길사 1993-01-05
[435] 서적 예수, 역사인가 신화인가
[436] 서적 고대 이스라엘 아브라함부터 로마인의 성전 파괴까지 개정증보판 한국신학연구소 2005-01-30
[437] 서적 예수:새 천년의 묵시적 예언자 Oxford 1999
[438] 서적 예수의 행동:예수의 진정한 행위를 찾아서 HarperSanFrancisco 1998
[439] 서적 가로막힌 예수 HarperCollins 2009
[440] 서적 한국교회를 위한 21세기 신약성서해설 시유시 2005-04-08
[441] 문서 표준새번역에서는 “인자”라고 옮겼으나, 공동번역에서는 “사람 모습을 한 이”로 옮겼다.
[442] 성경 사도행전 7:55~56
[443] 성경 갈라디아인들에게 보낸 편지 2:4-5
[444] 문서 개신교 신학자 정용섭 박사의 갈라디아서 해설.
[445] 서적 주요 주제를 통해서 보는 복음서들의 신학
[446] 서적 미래에서 온 기독교 에클레시안 2007-03-30
[447] 문서 신약성서학자 마커스 보그의 해석.
[448] 간행물 예수 이름으로 예수를 괴롭히는 교회 대한 기독교 서회 2008-12
[449] 서적 복음서의 예수와 공동체의 형태 이레서원 2007
[450] 서적 한국신학총서8 21세기 신약성서 신학 예영커뮤니케이션 2004-03-20
[451] 서적 예수 역사인가,신화인가 책세상
[452] 서적 기독교 교회 옥스퍼드 사전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453] 서적 Jesus Under Fire Zondervan 1996
[454] 서적 Historical Jesus, Quest of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455] 서적 mirac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456] 서적 《복음서신학》 컨콜디아
[457] 서적 《예수 역사인가 신화인가》 책세상
[458] 서적 《복음서의 예수와 공동체의 형태》 이레서원 2007-05-30
[459] 서적 한국신학총서 8 21세기 신약성서 신학 예영커뮤니케이션 2004
[460] 서적 《예수 역사인가, 신화인가》 책세상
[461] 문서 김득중 전 감리교신학대학교 총장의 마르코복음서 해석
[462] 서적 《타르수스의 바오로》 바오로딸 85
[463] 서적 《역사적 예수》 다산글방
[464] 서적 《현대적인 방법을 적용한 새로운 신약성서개론》 대한기독교서회 2004-09-25
[465] 서적 《복음서의 예수와 공동체의 형태》 이레서원 2007-05-30
[466] 서적 《Anchor Bible Dictionalry 3》
[467] 서적 《Jesus as a Figure in History》 WJK press
[468] 서적 《현대적인 방법을 적용한 새로운 신약성서개론》 대한기독교서회 2004-09-25
[469] 서적 《복음서의 예수와 공동체의 형태》 이레서원 2007-05-30
[470] 서적 한국신학총서8 21세기 신약성서 신학 예영커뮤니케이션 2004-03-20
[471] 서적 《예수 역사인가 신화인가》 책세상
[472] 서적 한국신학총서8 21세기 신약성서 신학 예영커뮤니케이션 2004-03-20
[473] 서적 《현대적인 방법을 적용한 새로운 신약성서개론》 대한기독교서회 2004-09-25
[474] 서적 21세기 신약성서 신학 예영커뮤니케이션
[475] 서적 《최근의 바울서신 연구》 은성
[476] 서적 정승우 저서
[477] 서적 예수의 비유, 새로 듣기 한국기독교연구소 2006-02-10
[478] 서적 역사적 예수 다산글방 2001-03-20
[479] 서적 예수는 평신도였다 https://archive.org/[...] 홍성사 2003-06-01
[480] 서적 역사적 예수 다산글방 2001-03-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